KR101587454B1 - 음용차에 사용 가능한 초피가루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음용차에 사용 가능한 초피가루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454B1
KR101587454B1 KR1020140071309A KR20140071309A KR101587454B1 KR 101587454 B1 KR101587454 B1 KR 101587454B1 KR 1020140071309 A KR1020140071309 A KR 1020140071309A KR 20140071309 A KR20140071309 A KR 20140071309A KR 101587454 B1 KR101587454 B1 KR 101587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t
powder
coffee
pulp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2448A (ko
Inventor
배상태
배동윤
Original Assignee
배상태
배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상태, 배동윤 filed Critical 배상태
Priority to KR1020140071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454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피를 포함하는 음용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초피열매를 채취하고 건조 후, 열매 속의 씨와 과피를 분리하여 씨를 제거하고 얻은 초피의 과피를 분쇄하여 가루로 제조한 후, 제조된 초피가루를 음용차에 첨가하여 사용함으로써, 초피가 가지는 통증완화 효과는 물론 여러가지 약리 작용을 가져 상승효과를 예상 할 수 있으며, 음용차에 첨가된 초피가루로 인하여 음식의 비린내를 제거하기에 입안의 청량감이 좋고 부드러운 맛이 있어 마시기에 적당한 특성을 가진 초피를 포함하는 음용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용차에 사용 가능한 초피가루 및 그의 제조방법{drinking tea and method using Zanthoxylum powder}
본 발명은 음용차에 사용 가능한 초피가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초피열매를 채취하고 건조 후, 열매 속의 씨와 과피를 분리하여 씨를 제거하고 얻은 초피의 과피를 분쇄하여 가루로 제조한 후, 제조된 초피가루를 음용차에 첨가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차에 사용 가능한 초피가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피나무(Zanthoxylum bungeanum)는 산초나무(Zanthoxylum piperitum)와 열매가 비슷하여 혼동하는 경우가 있으나 서로 다른 식물이다. 일반적으로 초피나무는 가시가 둥근 테두리에 같이 자라나며, 산초나무는 가시가 어긋나 자란다.
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는 우리나라 특산으로 제주도를 비롯한 따뜻한 지방에서 자라며 대나무가 자라는 곳이면 어디거나 잘 자란다. 초피나무는 눈이 많이 오는 곳이나 찬바람이 많은 곳에서는 수확이 적어지며 뿌리가 땅속에 얕게 내리므로 적당히 물기가 있는 땅이 좋으며 심은 지 3년째부터 열매를 딸수 있는 나무이다.
우리나라 남부지방은 초피를 재배하기에 세계에서 가장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 초피를 연구하고 있는 학자들은 한결같이 한국 지리산 부근에서 나는 초피가 향기가 제일 강하고 품질이 가장 좋은 것으로 꼽고 있다.
동의보감에는 초피나무를 《촉초》(蜀椒)하고, 산초나무를 《진초》(秦椒)라고 구분하였다.
초피에는 레몬과 비슷하면서 혀를 살짝 마비시키는 향이 있는데, 이는 알파 산쇼올의 작용이다.
《동의보감》에는 목부(木部)에서 초목(椒木), 초엽(椒葉), 촉초(蜀椒), 초피나무를 초목, 초피나무 잎을 초엽, 초피를 촉초라고 표기하고 있다. 촉초의 성질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 맵고, 독이 있으며, 속을 따뜻하게 하며 피부에 죽은 살, 한습비로 아픈 것을 낫게 한다. 또한 한랭기운을 없애며 귀주, 고독(蠱毒)을 낫게 하며, 벌레독이나 생선독을 없애며 치통을 멈추고 성기능을 높이며 음낭에서 땀나는 것을 멈춘다. 허리와 무릎을 덥게 하며 오줌횟수를 줄이고 기를 내려가게 한다고 기술하고 있다[허준. 동의보감(東醫寶鑑)-나무부[木部]. 동의보감(東醫寶鑑). 2010년 6월 28일에 확인. “목부”].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초피는 한방에서 해독, 구충, 진동, 건위 약으로 많이 쓰이고, 음식의 향신료로도 많이 쓰여지며 추어탕 등의 비린내 제거와 식중독을 예방하기위해 많이 사용된다. 초피는 고추처럼 맛이 맵고 성질이 따뜻하며, 독성이 조금 있는 나무이다.
초피나무는 매콤한 맛과 톡 쏘는 향이 특징으로 음식의 맛을 나게 하고 채소의 풋냄새와 민물고기의 비린내, 육류의 누린내 등 잡냄새를 없애고 입맛을 개운하게 하여 소화 작용을 돕는다. 각종 질병을 예방 치료하는 약효가 있어 어린잎은 나물이나 장아찌로 식용하고, 열매 및 열매껍질은 약용 또는 향신료로 쓰였다. 김치를 담글 때에 넣으면 산패방지 효과가 우수하여 김치에 넣으면 빨리 시지 않아 신선한 맛을 오래 즐길 수 있다. 초피는 성질이 뜨거우므로 속을 따뜻하게 하고 기를 내리며 양기를 돕고 소화를 잘되게 한다. 시골에서는 마당가에 빙 둘러 심어 모기를 쫓기도 하고 초피나무 껍질을 돌로 짓찧어 개울물에 풀어 물고기를 잡기도 했다.
통상 초피를 약용으로 사용할 때에는 씨앗을 추려내고 열매 껍질만을 쓴다.
이 열매껍질에 초피의 유효 성분들이 많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열매껍질을 분쇄하여 음식의 비린내를 제거하기 위한 향신료로써 음식에 첨가하게 되며, 이를 꿀 등에 섞어 알약으로 만들어 복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초피가 한방 및 음식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고, 그 유효성이 일반에게도 많이 알려져 있으나 초피의 상시 복용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으로 일반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초피는 매우 맛이 강하여 그 자체로 복용하기에는 불편하고, 또한 초피나무 열매 껍질로부터 얻을 수 있는 수확량이 많지 않아 값이 비교적 비싸고 열매껍질에 비교적 강한 매운맛이 많이 있어 열매 껍질만을 장기 및 다량 복용 시 부작용이 우려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를 희석시키되 맛도 복용에 부담이 없어야 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초피는 그 자체로 매운맛이 너무 강하므로 커피 등 음료 등에 첨가하는 경우 매우 소량을 첨가하여야 하나, 일반 수요자들이 실수로 조금만 많은 양을 첨가하는 경우 커피 등의 맛과 향이 지나치게 강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초피를 가루로 하여 음료 등에 첨가하는 경우 초피 가루가 물에 용해되는 것이 아니라, 물에 뜨거나, 물에 풀어진 상태가 됨으로 인하여 음용시 식감이 부드럽지 못하고 또한 시간이 약간 경과하면 침전물이 생기게 되어 초피의 매운맛이 그대로 남아있는 문제가 있어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피의 매운 맛을 없애고 다른 음용차와 혼합하여 상시 음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음용차에 초피의 한방적 효과를 추가하여 얻을 수 있는 건강 음료로써의 음용차에 사용 가능한 초피가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초피의 매운 맛과 특유의 향을 없애기 위해 가장 적정한 시기에 초피열매를 채취해야 하며, 초피열매의 과피와 씨를 분리하고, 과피를 4mm 이하의 일정한 입자로 분쇄하여 첨가함으로써 초피의 독특한 매운 맛이 사라지고 허브차와 같은 입안이 초피향과 맛을 느끼면서도 음용차의 맛 역시 한층 더 풍요롭게 해주며, 초피의 통증완화 효과는 물론 여러가지 약리 작용을 가져 상승효과를 기대한다.
또한, 음용차에 첨가된 초피가루로 인하여 입안의 청량감이 좋고 부드러운 맛이 있어 마시기가 적당하며, 또한 독성이 음용차에 혼합되어 중화되기 때문에 상시 복용하더라도 부작용이 없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용차에 사용 가능한 초피가루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초피의 통증완화 효과는 물론 여러가지 약리 작용을 가져 상승효과를 예상 할 수 있으며, 음용차에 첨가된 초피가루로 인하여 음식의 비린내를 제거하기에 입안의 청량감이 좋고 부드러운 맛이 있어 마시기가 적당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용차에 사용 가능한 초피가루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피 원료
일반적으로 초피는 전국의 해발 1천 미터 아래의 산야에 자생하거나 심어 키운다. 6월에 황록색 꽃이 피어 가을에 지름 4밀리미터쯤의 둥근 열매가 갈색으로 익는다. 열매가 다 익으면 껍질이 터져 새까만 씨앗이 밖으로 튀어나온다. 대개 열매껍질을 향신료와 약으로 쓰고, 씨앗이나 어린 잎, 나무줄기도 여러 용도로 쓴다.
초피가루 제조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음용차에 사용 가능한 초피가루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내며 이를 참고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초피열매를 이용하여 초피가루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초피열매는 7월에서 8월 사이에 초피열매가 푸른색에서 적색으로 가기전의 주황색일 때 채취한 것을 사용하는 초피열매 채취단계(1)
상기 초피열매 채취단계(1)에서 채취한 초피열매를 15~23℃ 내외의 자연풍으로 3~6일정도 음건하여 건조하는 1차 건조 단계(2)와,
상기 1차 건조 단계(2)에서 건조된 초피열매를 과피와 씨로 분리하는 과피 분리단계(3)와,
상기 과피 분리단계(3)에서 분리된 과피 10kg을 분쇄기에 넣고 3~5분간 분쇄하는 1차 분쇄 단계(4)와,
상기 1차 분쇄 단계(4)에서 분쇄된 과피를 바람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풍로에 의해 가벼운 과피는 바람에 의해 날려버리고, 양질의 과피를 회수하는 과피 회수단계(5)와,
상기 과피 회수단계(5)에서 회수한 초피의 과피를 60~70 ℃의 열풍기에 의해 5~10분간 열풍 건조시켜 수분함량이 10~20%로 건조하는 2차 건조단계(6)와,
상기 2차 건조단계(6)에서 건조된 과피를 0.4mm 메쉬 정도의 크기로 분쇄하는 2차 분쇄단계(7)와,
상기 2차 분쇄단계(7)에서 0.4mm 메쉬를 통과하는 분쇄된 과피는 초피 겉껍질이며, 0.4mm 메쉬를 통과하지 못한 것은 속껍질의 것으로 분리하는 겉껍질 분리단계(8)와,
상기 겉껍질 분리단계(8)에서 0.4mm 메쉬를 통과한 겉껍질의 과피를 회수하여 0.18~0.2g 단위로 초피가루를 포장하는 초피가루 포장단계(9)의 순으로 순차적인 단계를 거쳐 초피가루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 0.4mm 메쉬를 통과한 겉껍질의 과피를 회수하여 초피가루로 사용하여야 초피가루가 물에 잘 용해될 수 있는 것으로 음료 또는 커피 등에 초피가루를 첨가하여 초피의 독특한 맛과 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물에 용해되어 초피를 포함하는 음용차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0.4mm 메쉬를 통과한 겉껍질의 과피를 회수하여 초피가루로 사용하여야 초피가루의 깊은 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초피의 강한 매운맛은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초피 가루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초피가루는 커피 및 음료뿐만 아니라 각종 음식물과의 혼합이 용이하여, 다양한 음식물에의 혼합을 통하여 다양한 종류의 초피함유 식품을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만약 초피가루의 크기가 0.4mm 메쉬를 통과하지 않은 큰 입자의 경우에는 음료 등에 첨가하는 경우 초피가루가 물에 완전히 용해되는 것이 아니라 물에 풀어진 상태가 됨으로 인하여 음용 시 식감이 부드럽지 못하고 또한 시간이 약간 경과하면 침전물이 생기게 되어 초피의 매운맛이 그대로 남아있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열매가 다 익어 껍질이 터져 새까만 씨앗이 밖으로 튀어 나가기 전인 7월에서 8월 사이에 초피열매를 수확하는 것으로, 초피열매가 푸른색에서 적색으로 가기 전의 주황색일 때 채취한 것을 사용한다.
초피가루를 이용하여 음용차의 제조방법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0.4mm 메쉬를 통과한 겉껍질의 과피를 회수하여 초피가루로 사용하여야 초피가루가 물에 잘 용해될 수 있는 것으로 음료 또는 커피 등에 초피가루를 첨가하여 초피의 독특한 맛과 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물에 용해되어 초피를 포함하는 음용차를 제공하고자 한 것으로 초피가루를 이용하여 음용차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기 0.4mm 메쉬를 통과하여 겉껍질의 과피를 회수한 초피가루를 이용하는 것으로,
분말 원두커피 8~10g에 대하여 초피가루 0.36~0.6g 을 혼합하는 비율로 사용하여 뜨거운 물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였으며,
이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먼저, 분말 원두커피와 초피가루를 상기 비율로 혼합된 분말커피를 뜨거운 물로 추출 하거나, 또는 상기 비율과 같이, 분말 원두커피를 먼저 뜨거운 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액상의 커피에 상기 초피가루를 첨가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시중 판매용 커피믹스(12g,커피, 프림, 설탕 혼합)의 경우에는 뜨거운 물을 부어 믹스커피를 녹인 후, 초피가루 0.18~0.4g을 넣고 마시면 적당하였다.
또한, 녹차, 우롱차, 보이차 등의 음용차도 상기 0.4mm 메쉬를 통과하여 겉껍질의 과피를 회수한 초피가루를 이용하는 것으로, 음용차 분말 3~5g에 대하여 초피가루 0.18~0.4g을 혼합하는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시중 판매 티백 녹차의 경우에도 뜨거운 물에 녹차 티백을 넣고 후려낸 후, 초피가루 0.18~0.4g을 넣고 마시면 적당하였다.
<실험 예>
상기 [실시예 1, 2]에 의해 제조된 초피가루를 이용하여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초피가루를 첨가하여 제조된 커피 또는 음용차에 대하여 향, 색 및 맛, 기호도에 대하여 평소 초피가루를 즐겨 음용하는 30인의 관능검사요원으로 20~50대로 고르게 선정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함으로서 관능검사를 평균화하려고 하였다.
상기와 같은 관능검사대상의 차에 대한, 관능평가는 차의 향, 시각적으로 느끼는 차의 색감 및 음용시 느껴지는 차의 맛과 차를 음용시 느끼는 전체 기호도로 나누어 그 정도를 각각 종합하여 5점 평가법으로 최고점은 5점, 최하점은 1점으로 나온 결과를 평균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의 관능검사에 대한 평가 결과표에 나타내었다.
관능검사대상의 차는 원두커피와 시중 믹스커피, 건조 녹차와 시중판매 녹차티백을 대표로하여 검사군을 8개 군으로 나누어 구성하였으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검사 1은 원두커피 10g을 뜨거운 물로 추출한 원두커피,
검사 2는 원두커피 10g에 초피가루 0.36~0.6g을 배합하여 뜨거운 물로 추출한 원두커피,
검사 3은 시중 판매용 커피믹스(12g,커피, 프림, 설탕 혼합)에 뜨거운 물을 부은 믹스커피,
검사 4는 시중 판매용 커피믹스(12g,커피, 프림, 설탕 혼합)에 초피가루 0.18~0.4g을 배합하여 뜨거운 물을 부은 믹스커피,
검사 5는 건조 녹차 3~5g에 뜨거운 물로 추출한 녹차,
검사 6은 건조 녹차 3~5g에 초피가루 0.18~0.4g을 배합하여 뜨거운 물로 추출한 녹차,
검사 7은 시중 판매 티백 녹차에 뜨거운 물로 우려낸 녹차,
검사 8은 시중 판매 티백 녹차에 초피가루 0.18~0.4g을 배합하여 뜨거운 물로 우려낸 녹차
의 8개군으로 제조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상기 나누어 제조한 8개군의 특징적인 것으로 홀수군인 1, 3, 5, 7군은 커피 또는 음용차 본래의 방법으로 하여 검사한 것이며, 짝수군인 2. 4. 6. 8군은 커피 또는 음용차인 녹차에 초파가루가 일정량 첨가된 것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관능검사에 대한 평가 결과표
색감 기호도
검사 1 3.8 4.0 4.1 3.5
검사 2 4.5 4.0 4.7 4.5
검사 3 3.5 3.5 3.8 3.2
검사 4 4.2 3.5 4.3 4.2
검사 5 3.5 4.0 3.5 3.3
검사 6 4.2 4.0 4.6 4.5
검사 7 3.0 3.5 3.4 3.2
검사 8 4.0 3.5 4.3 4.1
* 관능평가 기준 (5점 평가법)
5 : 매우 좋다 4 : 좋다
3 : 보통이다 2 : 나쁘다 1 : 매우 나쁘다
상기 표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관능검사 결과에서 검사한 점수의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검사 1과 2에 있어서 원두커피의 경우, 향, 색감, 맛, 기호도에 있어서 다른 검사품목 대부분에서 점수가 높게 나왔으며. 특히 초피가루가 포함된 2군에서 더 좋은 평가를 나타내었으며, 검사 3과 4에 있어서 믹스커피의 경우, 향, 색감, 맛, 기호도에 있어서 믹스커피만의 3군의 평가보다 초피가루가 포함된 4군에서 더 좋은 평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검사 5~8군에 있어서, 건조녹차와 티백녹차의 경우에서도 녹차만을 우려낸 5. 7군 보다는 초피가루가 포함된 검사 6, 8군에서 더 좋은 평가를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원두커피(검사 1, 2군)군이 믹스커피(검사 3, 4군)군 보단 향, 맛, 기호도에 있어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어, 이는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 원두커피 음용자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초피가루 첨가한 커피에서는 색감에는 차이가 없게 나왔으나, 다른 향, 맛, 기호도에 있어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믹스커피의 경우에는 프림이 들어있어 청량감이 떨어지나, 원두커피에 있어서는 청량이 좋았다고 한다.
특히, 커피를 마실 때와 마시고 난 후를 살펴보면, 커피만을 음용 시에는 쓴맛과 덟은맛이 남아 있었으나, 초피가루가 첨가된 커피에서는 초피향이 약하게 남아 있어 입안을 깔끔하게 해주는 느낌과 시원한 느낌을 가졌다고 답하였다.
녹차의 경우에도 커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티백 녹차보다는 건조 녹차에서 향, 맛, 기호도에 있어서 더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으며, 음용차인 녹차에 첨가된 초피가루로 인하여 입안의 청량감이 좋고 부드러운 맛이 있어 마시기가 좋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초피가루 첨가는 아침 식사전이나 점심 및 저녁 식후에 1잔 정도씩 꾸준히 마시게 되면 구취제거 및 소화촉진 등의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즉, 물을 마시고 싶을 때마다 보리차나 녹차 등을 대신하여 수시로 마시게 되면 초피에 포함된 유효 성분들이 약리 작용을 하여 건강을 증진 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초피가루를 이용하여 음식의 냄새를 제거하게 될 때는 초피가루를 투입하여 음식물, 예를 들면 매운탕, 갈비탕, 추어탕 등에 넣고 끓이거나 돼지 족발 등 잡냄새가 나는 육류를 삶을 때 사용하면 냄새를 제거하게 되며, 초피가루를 상시 복용하게 되면 초피가 갖고 있는 향기 성분들에 의해 입냄새 등이 제거 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Claims (3)

  1. 초피열매를 이용하여 초피가루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초피열매는 7월에서 8월 사이에 초피열매가 푸른색에서 적색으로 가기전의 주황색일 때 채취한 것을 사용하는 초피열매 채취단계(1)

    상기 초피열매 채취단계(1)에서 채취한 초피열매를 15~23℃ 내외의 자연풍으로 3~6일정도 음건하여 건조하는 1차 건조 단계(2)와,

    상기 1차 건조 단계(2)에서 건조된 초피열매를 과피와 씨로 분리하는 과피 분리단계(3)와,

    상기 과피 분리단계(3)에서 분리된 과피 10kg을 분쇄기에 넣고 3~5분간 분쇄하는 1차 분쇄 단계(4)와,

    상기 1차 분쇄 단계(4)에서 분쇄된 과피를 바람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풍로에 의해 가벼운 과피는 바람에 의해 날려버리고, 양질의 과피를 회수하는 과피 회수단계(5)와,

    상기 과피 회수단계(5)에서 회수한 초피의 과피를 60~70 ℃의 열풍기에 의해 5~10분간 열풍 건조시켜 수분함량이 10~20%로 건조하는 2차 건조단계(6)와,

    상기 2차 건조단계(6)에서 건조된 과피를 0.4mm 메쉬 정도의 크기로 분쇄하는 2차 분쇄단계(7)와,

    상기 2차 분쇄단계(7)에서 0.4mm 메쉬를 통과하는 분쇄된 과피는 초피 겉껍질이며, 0.4mm 메쉬를 통과하지 못한 것은 속껍질의 것으로 분리하는 겉껍질 분리단계(8)와,

    상기 겉껍질 분리단계(8)에서 0.4mm 메쉬를 통과한 겉껍질의 과피를 회수하여 0.18~0.2g 단위로 초피가루를 포장하는 초피가루 포장단계(9)의 순으로 순차적인 단계를 거쳐 초피가루를 제조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차에 사용 가능한 초피가루의 제조방법
  2. 제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0.4mm 메쉬를 통과한 초피가루를 이용하여, 분말 커피 8~10g에 대하여 초피가루 0.36~0.6g을 혼합하는 비율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초피가루를 함유한 커피조성물.
  3. 제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0.4mm 메쉬를 통과한 초피가루를 이용하여, 분말 음용차 3~5g에 대하여 초피가루 0.18~0.4g을 혼합하는 비율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초피가루를 함유한 음용차조성물
KR1020140071309A 2014-06-12 2014-06-12 음용차에 사용 가능한 초피가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87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309A KR101587454B1 (ko) 2014-06-12 2014-06-12 음용차에 사용 가능한 초피가루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309A KR101587454B1 (ko) 2014-06-12 2014-06-12 음용차에 사용 가능한 초피가루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448A KR20150142448A (ko) 2015-12-22
KR101587454B1 true KR101587454B1 (ko) 2016-01-21

Family

ID=55081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309A KR101587454B1 (ko) 2014-06-12 2014-06-12 음용차에 사용 가능한 초피가루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4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008B1 (ko) 2007-07-30 2009-01-30 강해성 초피과립의 제조방법
JP2012170455A (ja) 2011-02-18 2012-09-10 Tadao Murayama 青い山椒の実を使った調味料の製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307A (ko) * 1999-02-19 2000-09-15 강해진 초피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008B1 (ko) 2007-07-30 2009-01-30 강해성 초피과립의 제조방법
JP2012170455A (ja) 2011-02-18 2012-09-10 Tadao Murayama 青い山椒の実を使った調味料の製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448A (ko) 201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646B1 (ko) 땅콩새싹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758552B1 (ko) 한방 황국화차 제조방법
JP2007252357A (ja) 新しい抽出方法の発見
KR100896902B1 (ko) 한방 개량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 고추장 조성물
AU1545599A (en) Mixed fine powder for beverage containing young barley leaves, alfalfa and/or kale
KR100879016B1 (ko) 한방 개량간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방 개량간장 조성물
KR101326076B1 (ko) 침출식 유자차와 그 제조방법 및 침출식 유자차가 내장된 유자차 티백
JP2007215534A (ja) 新しい抽出方法の発見
KR100896905B1 (ko) 한방 개량된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된장 조성물
KR101449993B1 (ko) 배즙 부산물을 이용한 배 티백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즙 부산물을 이용한 배 티백차
KR100920873B1 (ko) 싸리나무를 주재료로 한 기능성 음료,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587454B1 (ko) 음용차에 사용 가능한 초피가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45106B1 (ko)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1601013B1 (ko) 찬물에 우려먹는 냉침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25750A (ko) 죽순이 혼합된 된장의 제조방법
KR20190066269A (ko) 비린내를 제거한 홍합분말의 제조방법
KR100842809B1 (ko) 곰취 백김치의 제조방법
CN107836690A (zh) 一种菊芋调味品及其制作方法
KR100884844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사과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18223A (ko) 배추뿌리 과립 및 그 제조방법
CN106578231A (zh) 一种玛咖茶及其制备方法
KR20160071281A (ko) 과실 엑기스 제조방법
KR102239143B1 (ko) 도라지 진액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9105573A (zh) 一种火棘味的茶叶及其制备方法
KR102316867B1 (ko) 능이버섯을 주로하는 건강음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