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756B1 -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756B1
KR101585756B1 KR1020140021243A KR20140021243A KR101585756B1 KR 101585756 B1 KR101585756 B1 KR 101585756B1 KR 1020140021243 A KR1020140021243 A KR 1020140021243A KR 20140021243 A KR20140021243 A KR 20140021243A KR 101585756 B1 KR101585756 B1 KR 101585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element
electrode pattern
conductive pad
semiconductor
underf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9994A (ko
Inventor
김준일
김성진
김학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to KR1020140021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756B1/ko
Priority to PCT/KR2014/002814 priority patent/WO2015125999A1/ko
Publication of KR20150099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01L23/3107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 H01L23/3135Double encapsulation or coating and 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01L23/3107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 H01L23/312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a substrate forming part of the 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56Encapsulations, e.g. encapsulation layers, coatings
    • H01L21/563Encapsulation of active face of flip-chip device, e.g. underfilling or underencapsulation of flip-chip, encapsulation preform on chip or mounting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5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3222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3222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0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the same surface
    • H01L2224/73203Bump and layer connectors
    • H01L2224/73204Bump and layer connectors the bump connector being embedded into the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8319Arrangement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mounting
    • H01L2224/83192Arrangement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mounting wherein the layer connectors are disposed only on another item or body to be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Structures Or Materials For Encapsulating Or Coating Semiconductor Device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실시예의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는, 플렉서블 필름을 베이스 필름으로 사용하고, 디스플레이 기기에 사용되는 드라이버 IC용 반도체 패키지로서,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 상기 전극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패드; 상기 전도성 패드를 통하여 상기 전극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극 패턴 상에 장착되는 반도체 소자; 및 상기 반도체 소자와 전도성 패드를 밀폐시키고, 상기 반도체 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제 1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호층은, 상기 반도체 소자의 하부에 위치하는 언더필과, 상기 반도체 소자의 측면 및 상기 전극 패턴 상에 형성되는 사이드필과, 상기 반도체 소자의 상부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어퍼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COF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씨오에프(COF)형 반도체 패키지에 대한 것으로서, 플렉서블 PCB 상에 제조되는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면서, 반도체 패키지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는 구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는 전계를 이용하여 액정의 광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화상 표시를 위하여,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브라운관에 비하여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용 텔레비전이나 랩탑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표시기기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데이터 드라이버와 게이트 드라이버가 요구되며, 이러한 데이터 드라이버와 게이트 드라이버는 다수개의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IC)로 집적화된다. 집적화된 데이터 구동 IC와 게이트 구동 IC 각각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TCP) 상에 실장되고, 탭(TAB :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으로 액정 패널에 접속되거나,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액정 패널 상에 실장된다.
특히, 고해상도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등장과, 원가 절감을 위한 고집적도의 IC가 요구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반드시 필요한 집적 회로의 방열 문제는 더욱더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발열 문제는 회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연성의 베이스 필름의 내열 온도를 위협할 수도 있다. 또한, 최근의 FHD나 UHD TV의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기기에서는 집적 회로의 발열 문제 때문에 TV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역시 내열성을 반드시 고려하여야만 하는 상황이 되었다.
집적 회로에서 발생되는 열을 충분히 방열시킬 수 있다면, 집적 회로가 사용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자인이나 재질 등에 대한 문제를 보다 쉽게 해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현재의 기술적 문제에 해결 방법을 제안하는 것으로서, 특히, 액정 패널이나 프린트 기판 등에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로서, 플렉서블 필름 상에 반도체 소자가 탑재된 구조의 COF(Chip On Film) 반도체 소자 패키지의 발열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자세히, 플렉서블 필름 상에 형성된 반도체 소자의 하부와, 측면 및 상부에 방열 도료를 형성시킴으로써, 방열 도료에 의하여 반도체 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이 효과적으로 방열되도록 하고, 상기 반도체 소자반소체 소자를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의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는, 플렉서블 필름을 베이스 필름으로 사용하고, 디스플레이 기기에 사용되는 드라이버 IC용 반도체 패키지로서,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 상기 전극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패드; 상기 전도성 패드를 통하여 상기 전극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극 패턴 상에 장착되는 반도체 소자; 및 상기 반도체 소자와 전도성 패드를 밀폐시키고, 상기 반도체 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제 1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호층은, 상기 반도체 소자의 하부에 위치하는 언더필과, 상기 반도체 소자의 측면 및 상기 전극 패턴 상에 형성되는 사이드필과, 상기 반도체 소자의 상부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어퍼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은, 씨오에프에 탑재되는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플렉서블 필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필름 상에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방열 도료를 형성시키기 위한 제 1 박막 형성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전극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패드 및 상기 반도체 소자를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전도성 패드 및 상기 반도체 소자를 밀폐시키고, 상기 반도체 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보호층 형성을 위한 제 2 박막 형성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는 반도체 소자에서 발생되는 고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열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초고해상도의 TV나 모니터 등에서 액정 패널 외의 외관을 형성하는 베젤이나 샤시들의 재질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면, 초고해상도의 TV의 경우, 보다 슬림화한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하여 베젤과 샤시 부분을 축소시켜야 하는데, IC에서 발생되는 고열에 견디기 위하여 알루미늄 등의 소재가 사용되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라 효과적으로 IC의 발열을 줄일 수 있게 되면, TV의 베젤과 샤시를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것은 제품의 경량화, 생산비용의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실시예의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방열 도료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방열 도료를 도포하기 위한 기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실시예의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의 구성을 설명하여 본다.
본 발명은 LCD, PDP, OLED. LED 및 RFID 등과 같은 반도체 소자가 채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패널 본체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씨오에프에 탑재되는 드라이버 IC로 실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반도체 패키지(100)는, 플렉서블한 소재의 베이스 필름(110)과, 상기 베이스 필름(110) 상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120)과, 상기 전극 패턴(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패드(141)와, 상기 전도성 패드(141) 상에 위치하는 반도체 소자(140)와, 상기 전극 패턴(120) 상에 형성되면서 상기 전도성 패드(141)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 2 보호층(130)과, 상기 반도체 소자(14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 도료로 이루어진 제 1 보호층(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패드(141)는 상기 반도체 소자(140)에 장착되고, 숄더 범프(solder bump) 또는 골드 범프(gold bump)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제 1 보호층(150)은 그 형성 위치에 따라 언더필(151a), 사이드필(151b,152) 및 어퍼필(153)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언더필(151a)은 상기 반도체 소자(14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사이드필(151b,152)은 상기 반도체 소자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어퍼필(153)은 상기 반도체 소자의 일측 뿐만 아니라 상부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반도체 소자(140)은 상하측과 측면은 제 1 보호층(150)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제 1 보호층(150)에 의한 반도체 소자(140)의 위치 고정 뿐만 아니라 소자의 동작으로 발생하게 되는 열이 상기 제 1 보호층(150)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방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열 기능에 대해서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보호층(150)은 상기 베이스 필름(110) 상부면 일부와, 상기 전극 패턴(120) 상부면 일부와, 상기 제 2 보호층(130) 상부면 일부 및 상기 반도체 소자(140) 상에 형성되며, 방열 도료에 의한 상기 제 1 보호층(150)의 형성은 도포 또는 증착 등의 박막 형성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140)의 주변, 즉, 상하면과 측면에 형성되는 제 1 보호층(150)을 구성하는 방열 도료는, 방열을 위한 물질과 함께 인접한 다른 구성요소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 1 보호층을 구성하는 상기 언더필(151a), 사이드필(151b,152) 및 어퍼필(153)은 상기 반도체 소자(140)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키는 역할 뿐만 아니라, 접촉된 다른 구성요소들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언더필(151a)의 경우, 상기 베이스 필름(110)과 반도체 소자(140)의 하부면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반도체 소자(140)의 하부를 통한 방열 뿐만 아니라, 상기 반도체 소자(140)가 상기 베이스 필름(110)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사이드필(151b,152)의 경우, 상기 전극 패턴(120) 상에 위치하면서, 상기 전도성 패드(141)와 제 2 보호층(13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특히, 상기 반도체 소자(140)를 지지하는 전도성 패드(141)가 외부의 열이나 습도 또는 충격으로 인하여 전극이 오픈 또는 쇼트되지 않도록 상기 전도성 패드(141)의 위치를 견고히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어퍼필(153)의 경우, 상기 반도체 소자(140)와, 사이드필(151b,152) 및 제 2 보호층(130) 상에 도포 또는 증착되어, 이들 구성요소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반도체 소자(14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보호층(150)이 상기 반도체 소자(140)의 상부면 뿐만 아니라, 측면 및 하부면에 도포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반도체 소자(140)와 인접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위치 고정을 보다 견고히 수행할 수 있으며, 방열 도료가 갖는 탄성에 의하여 충격 완화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이드필(151b,152)이 서로 다른 박막 형성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제 1 사이드필(151b)과 제 2 사이드필(15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사이드필(151b)은 상기 반도체 소자(140)의 하부에 위치하는 언더필(151a)과 동일한 박막 형성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며, 그 형성 위치는 상기 반도체 소자(140)의 측면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사이드필(151b) 상에는 다른 박막 형성공정에 의하여 상기 제 2 사이드필(152)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사이드필(152)은 상기 제 1 사이드필(151b)을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 2 사이드필(152)을 형성하기 위한 박막 형성공정과, 상기 어퍼필(153)을 형성하기 위한 박막 형성공정은 각각 별도의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2 사이드필(152) 형성을 위한 박막 형성공정 후에 방열 도료의 경화를 위한 경화 공정을 진행하거나, 상기 어퍼필(153) 형성을 위한 박막 형성공정 후에 경화 공정이 진행될 수도 있다.
반면에, 상기 제 2 사이드필(152) 및 어퍼필(153)을 각각 형성하지 않고, 동일의 박막 형성 공정을 이용하여 함께 형성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전극 패턴(120) 상에 제 2 보호층(130)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필(151b,152)은 상기 전극 패턴(120) 상에서 전도성 패드(141)와 제 2 보호층(13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 2 보호층(130)을 형성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사이드필(151b,152)은 상기 전극 패턴(120) 상부와, 상기 전도성 패드(141) 측면에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보호층(150), 즉, 언더필(151a), 사이드필(151b,152) 및 어퍼필(153)을 구성하는 방열 도료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여 본다.
도 5는 실시예의 방열 도료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방열 도료(10)는 미립 입자들로 이루어진 방열 물질(11)과, 상기 방열 물질(11)을 함유하면서 방열 도료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접착 물질(12)을 포함한다.
그리고, 방열 도료(10) 색을 결정하게 하는 염색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열 물질(11)과 접착 물질(12) 이외에 흑연의 염색 물질을 더 첨가하는 경우에는, 반도체 패키지에 형성된 방열층이 검은색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열 도료(10)를 구성하는 제 1 물질인 상기 방열 물질(11)은, 산화알루미늄, 산화철 등의 금속산화물이 포함된 열전도성 물질이거나, 질화규소, 지르코니아 등의 세라믹 계열의 금속산화물이 포함된 열전도성 물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물질인 접착 물질은(12)은 에폭시 수지와 이미다졸(Imidazole)이 포함된 레진 구성물로 이루어지거나 에폭시 수지와 아민(Amine)이 포함된 레진 구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산화알루미늄 등의 열전도성 물질은 80~90중량% 범위로 함유되고, 상기 레진 구성물은 1~10중량%범위로 함유될 수 있으며, 그 외에는 염색 물질이나, 경화제 등을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산화알루미늄의 비율이 제안되는 범위 미만이 되는 경우에는 방열 효과가 떨어지게 되고, 제안되는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반도체 소자 상에서의 접착력이 약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산화알루미늄 등의 열전도성 물질의 입자들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에 도면과 같이 방열 루트가 형성되고, 반도체 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은 이러한 방열 루트를 따라 쉽게 외부로 방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열 도료로 이루어진 보호층으로 보호되는 반도체 소자는, 액정 패널의 드라이버 IC로 사용되더라도, 고해상도의 TV, 모니터에서 발생하는 고열을 상기 언더필(151a),사이드필(151b,152) 및 어퍼필(153)이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의 반도체 패키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여 본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필름인 베이스 필름(110) 상에 전극 패턴(120)을 형성하며, 상기 전극 패턴(120)은 반도체 소자(140)의 크기를 고려하여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보호층을 구성하는 언더필과 제 1 사이드필을 형성하기 위한 방열 도료(151)를 상기 베이스 필름(110) 상에 도포하며, 상기 방열 도료(151)는 상기 전극 패턴(120) 사이에서 노출되는 베이스 필름(110) 상부면과, 상기 전극 패턴(120) 상부면 일부에도 도포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 도료(151)는 추후에 장착되는 반도체 소자(140)의 하부면과 접할 수 있는 두께로 도포 또는 증착될 수 있다. 상기 방열 도료, 즉, 언더필이 반도체 소자(140)의 하부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반도체 소자(140)의 하부를 통한 방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보호층을 구성하는 언더필과 제 1 사이드필 형성을 위한 방열 도료를 도포 또는 증착하는 박막 형성공정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도포장치(2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언더필과 제 1 사이드필 뿐만 아니라, 제 2 사이드필과 어퍼필을 형성하기 위한 박막 형성공정 역시 상기 도포장치(2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포장치(200)는 z축 방향으로의 상하 방향 이동과 함께, x축 및 y축 방향으로의 평면 이동이 가능하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도포장치(200)로 방열 도료를 제공하는 장치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방열 도료를 구성하는 방열 물질과, 접착 물질 각각이 저장되는 탱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도포장치(200)를 이용한 제 1 박막 형성공정에서는, 제 1 보호층(150)을 구성하는 언더필(151a)과 제 1 사이드필(151b)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전극 패턴(120)들 사이에서 노출되어 있는 베이스 필름(110) 상부면과, 상기 전극 패턴(120) 상부면 일부를 따라 상기 도포장치(200)가 이동하며, 상기 도포장치(200)의 배출구를 통하여 방열 물질과 접착 물질이 혼합된 방열 도료가 배출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필름(110) 상부면과, 전극 패턴(120) 상부면 일부에 방열 도료(151)를 형성시킨 다음에는, 상기 전극 패턴(120) 상에 전도성 패드(141)와 반도체 소자(140)를 형성시키는 공정을 수행한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방열 도료(151)의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전극 패턴(1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금속재질의 전도성 패드(141)를 형성하고, 상기 전도성 패드(141) 상에 반도체 소자(140)를 장착한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패드(141)와 반도체 소자(140)를 베이스 필름(110) 상에 보다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반도체 소자(140)의 하부에 전도성 패드(141)를 일체로 먼저 형성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전도성 패드(141)가 형성된 반도체 소자(140)를 상기 전극 패턴(120) 상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전극 패턴(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패드(141) 및 반도체 소자(14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반도체 소자(14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전도성 패드(141)를 상기 전극 패턴(120) 상에 위치시키는 때에는, 상기 제 1 사이드필(151b)의 상태에 따라 추가 공정이 필요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사이드필(151b)과 언더필(151a)을 형성하기 위한 방열 도료(151)를 도포한 다음, 경화 공정이 진행된 경우에는, 상기 전도성 패드(141)를 상기 전극 패턴(120)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상기 방열 도료(151)의 일부분을 제거하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 1 사이드필(151b)과 언더필(151a)을 형성하기 위한 방열 도료(151)를 도포한 다음 경화 공정을 진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방열 도료(151)가 갖는 소정의 점성을 이용하여, 상기 전도성 패드(141) 및 반도체 소자(140)를 상기 방열 도료(151)의 상측에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전도성 패드(141)와 전극 패턴(120)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로 상기 전극 패턴(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패드(141) 및 반도체 소자(140)를 형성한 다음에는, 상기 전극 패턴(120) 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 2 보호층(130)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보호층(130)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전극 패턴(120) 상에 상기 제 2 보호층(130)을 형성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그 다음,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소자(140)의 주변부에 방열 도료를 도포 또는 증착하는 제 2 박막 형성공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 2 박막 형성공정에 의하여 도포되는 방열 도료는 상기 반도체 소자(140)의 주변부 둘레에 모두 형성되고, 제 2 박막 형성공정에 의하여 상기 제 1 사이드필(151b)상에 위치하는 제 2 사이드필(15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사이드필(152)은 그 일부가 상기 제 2 보호층(130)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사이드필(151b) 상에 위치하는 제 2 사이드필(152)을 형성하기 위한 제 2 박막 형성공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도포장치에 의하여 도포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도포장치(200)는 상기 반도체 소자(140)의 네 측면부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 2 박막 형성공정이 수행된 다음에는, 상기 반도체 소자(140)의 상부면을 덮는 어퍼필 형성을 위한 제 3 박막 형성공정이 수행된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사이드필(152)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보호층(130) 상부면 일부도 함께 덮는 어퍼필(153)이 형성된다. 상기 어퍼필(153)을 형성한 다음, 경화 공정을 진행하거나, 상기 제 2 사이드필(152) 형성 후에 제 1 경화 공정을 진행하고, 상기 어퍼필(153)을 형성한 다음 제 2 경화 공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방열 도료를 이용한 보호층을 형성하는 다른 구조의 반도체 패키지들을 살펴본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필름인 베이스 필름(110) 상에 형성된 전극 패턴(120)과, 상기 전극 패턴(120) 상에 형성된 전도성 패드(141)와, 상기 전도성 패드(141)를 통하여 상기 전극 패턴(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반도체 소자(140)와, 상기 전도성 패드(141) 및 반도체 소자(140)를 밀폐시키고, 상기 반도체 소자(140)의 상하면과 측면에서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호층(15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보호층(150)은 상기 반도체 소자(140)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언더필(151a)과, 상기 반도체 소자(140)의 측면에 형성되는 사이드필(151b,152)과, 상기 반도체 소자(140)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어퍼필(15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필(151b,152)은 그 형성 위치에 따라 제 1 사이드필(151b)과, 상기 제 1 사이드필(151b) 상에 형성되는 제 2 사이드필(15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사이드필(151b)은 상기 언더필(151a)과 동일한 박막 형성공정에 의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2 보호층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 2 사이드필(152)과 어퍼필(153)을 별개로 형성하지 않고, 상기 제 2 사이드필(152) 및 어퍼필(153)을 일체로서 한번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110) 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전극 패턴(120)과, 상기 전극 패턴(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패드(141)와, 상기 전도성 패드(141) 상에 장착되는 반도체 소자(140)와, 상기 반도체 소자(14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 소자(140)의 방열을 돕는 언더필(151)과, 상기 반도체 소자(140)의 상부면 및 측면과, 상기 전극 패턴(120) 상에 형성되는 어퍼필(154)을 포함한다.
상기 어퍼필(154)과 언더필(151)은 상기 반도체 소자(140) 및 인접한 구성요소들의 위치 고정 뿐만 아니라, 상기 반도체 소자(14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언더필(151)은 상기 전극 패턴(120) 사이의 공간으로 노출되는 베이스 필름(110) 상부면에 방열 도료를 형성시키는 박막 형성공정에 의하여 제조된다. 이때, 상기 언더필(151) 형성을 위한 박막 형성공정 중에, 방열 도료를 상기 전극 패턴(120) 상에는 형성시키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도성 패드(141)와 반도체 소자(140)를 형성한 다음, 상기 반도체 소자(140)의 전체 표면과, 상기 전극 패턴(120) 상에 방열 도료를 도포 또는 증착하는 박막 형성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단일의 어퍼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는 반도체 소자에서 발생되는 고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열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초고해상도의 TV나 모니터 등에서 액정 패널 외의 외관을 형성하는 베젤이나 샤시들의 재질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면, 초고해상도의 TV의 경우, 보다 슬림화한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하여 베젤과 샤시 부분을 축소시켜야 하는데, IC에서 발생되는 고열에 견디기 위하여 알루미늄 등의 소재가 사용되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라 효과적으로 IC의 발열을 줄일 수 있게 되면, TV의 베젤과 샤시를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것은 제품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고, 기기의 폭을 줄일 수 있으며, 당연히 생산비용의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Claims (14)

  1. 플렉서블 필름을 베이스 필름으로 사용하고, 디스플레이 기기에 사용되는 드라이버 IC용 반도체 패키지로서,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되는 전극 패턴;
    상기 전극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패드;
    상기 전도성 패드를 통하여 상기 전극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극 패턴 상에 장착되는 반도체 소자; 및
    상기 반도체 소자와 전도성 패드를 밀폐시키고, 상기 반도체 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제 1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호층은, 상기 반도체 소자의 하부에 위치하는 언더필과, 상기 반도체 소자의 측면 및 상기 전극 패턴 상에 형성되는 사이드필과, 상기 반도체 소자의 상부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어퍼필을 포함하며,
    상기 언더필과 상기 사이드필 및 상기 어퍼필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호층은 상기의 방열을 위한 열전도성 물질과, 상기 전극 패턴과 전도성 패드 및 반도체 소자와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방열 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물질은 산화알루미늄, 산화철, 질화규소 및 지르코니아 중에서 선택되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 물질은 에폭시 수지와 이미다졸(Imidazole)이 포함된 레진 구성물 또는 에폭시 수지와 아민(Amine)이 포함된 레진 구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물질은 80~90 중량%를 함유하고, 상기 접착 물질은 1~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필은, 상기 언더필과 동일한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제 1 사이드필과, 상기 제 1 사이드필 상에 형성되는 제 2 사이드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 상에 상기 전도성 패드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제 2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호층은 상기 반도체 소자, 상기 전도성 패드 및 상기 제 2 보호층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고,
    상기 제 1 보호층의 언더필은 상기 반도체 소자의 하부면과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
  7. 씨오에프에 탑재되는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플렉서블 필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필름 상에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전극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언더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전극 패턴들 사이에서 노출되는 상기 베이스 필름 상부면에 방열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언더필이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반도체 소자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극 패턴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패드들 및 상기 반도체 소자를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전도성 패드들 및 상기 반도체 소자를 밀폐시키고, 상기 반도체 소자의 측면과 상부면 상에 상기 반도체 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사이드필과 어퍼필을 각각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반도체 소자의 측면과 상부면 상에 상기 방열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도료는, 열전도성 물질과, 상기 전극 패턴과 전도성 패드 및 반도체 소자와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물질은 산화알루미늄, 산화철, 질화규소 및 지르코니아 중에서 선택되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 물질은 에폭시 수지와 이미다졸(Imidazole)이 포함된 레진 구성물 또는 에폭시 수지와 아민(Amine)이 포함된 레진 구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40021243A 2014-02-24 2014-02-24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585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243A KR101585756B1 (ko) 2014-02-24 2014-02-24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PCT/KR2014/002814 WO2015125999A1 (ko) 2014-02-24 2014-04-02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243A KR101585756B1 (ko) 2014-02-24 2014-02-24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994A KR20150099994A (ko) 2015-09-02
KR101585756B1 true KR101585756B1 (ko) 2016-01-14

Family

ID=53878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243A KR101585756B1 (ko) 2014-02-24 2014-02-24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85756B1 (ko)
WO (1) WO20151259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3995B2 (en) 2020-12-08 2024-03-26 Lx Semicon Co., Ltd. Circuit driving elemen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0062A (ja) 2005-12-26 2007-07-12 Toshiba Corp プリント回路基板の製造方法、ディスペン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695B1 (ko) * 2001-09-10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열 방출판이 부착된 플립칩 패키지 제조 방법
JP2004119650A (ja) * 2002-09-26 2004-04-15 Nec Kansai Ltd 半導体装置
TW200735317A (en) * 2006-03-14 2007-09-16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Tape
KR101214292B1 (ko) * 2009-06-16 2012-12-20 김성진 방열 반도체소자 패키지, 그 제조방법 및 방열 반도체소자 패키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JP5549568B2 (ja) * 2009-12-15 2014-07-1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光半導体素子封止用樹脂組成物及び当該組成物で封止した光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0062A (ja) 2005-12-26 2007-07-12 Toshiba Corp プリント回路基板の製造方法、ディスペンサ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3995B2 (en) 2020-12-08 2024-03-26 Lx Semicon Co., Ltd. Circuit driving elemen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994A (ko) 2015-09-02
WO2015125999A1 (ko) 2015-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1955B (zh) Cof型半導體封裝及其製造方法
US7915727B2 (en) Tape for heat dissipating member, chip on film type semiconductor package including heat dissipating membe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8508056B2 (en) Heat releasing semiconductor packag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313698B1 (ko) 유연성 있는 반도체 패키지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80258290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501360B (zh) 散熱構件用膠帶、包含散熱構件之薄膜上晶片型半導體封裝以及包含該封裝之電子裝置
US20110267320A1 (en) Flexible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2012032054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446465B2 (en) Chip-on-film packag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50068130A (ko) 반도체 패키지
KR20090110206A (ko) 방열 부재 테이프, 방열부재를 구비한 씨오에프(cof)형 반도체 패키지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KR101677322B1 (ko) 반도체 패키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9406583B2 (en) COF type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031572A (ko) 방열 반도체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JPWO2006088185A1 (ja) El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80121058A (ko) 플렉서블 반도체 패키지
KR101585756B1 (ko)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29629A (ko) 방열용 접착층을 구비하는 테이프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디스플레이 장치
US20190287931A1 (en) Chip on film package
KR101537451B1 (ko)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677323B1 (ko) 반도체 소자들을 패키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150062429A (ko)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TWM610924U (zh) 撓性半導體封裝構造
KR20150099992A (ko)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TWI738596B (zh) 撓性半導體封裝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