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549B1 - 낚싯대 받침 뒤꽂이 - Google Patents

낚싯대 받침 뒤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549B1
KR101582549B1 KR1020150095031A KR20150095031A KR101582549B1 KR 101582549 B1 KR101582549 B1 KR 101582549B1 KR 1020150095031 A KR1020150095031 A KR 1020150095031A KR 20150095031 A KR20150095031 A KR 20150095031A KR 101582549 B1 KR101582549 B1 KR 101582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weight
self
support
wal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수
Original Assignee
황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수 filed Critical 황인수
Priority to KR1020150095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며, 낚싯대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동시에 낚시에 방해가 되지 않는 구조의 낚싯대 받침 뒤꽂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낚싯대 받침 뒤꽂이는, 낚싯대가 안치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U자형의 안치요홈부를 형성하는 좌우 벽부재를 포함하는 U자형 지지몸체와, 상기 U자형 안치요홈부의 하부로 좁은 협로를 통해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낚싯대 후단에 와이어에 의해 달아매진 앵커가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스톱퍼구멍과, 상기 U자형 지지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일 측 벽부재의 하단으로 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안치요홈부로부터 낚싯대가 이탈하는 경우 자중에 의해 상기 스톱퍼구멍 측을 향해 회동하여 상기 스톱퍼구멍의 상측 협로를 덮어 막게 되는 자중작동회동걸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낚싯대 받침 뒤꽂이{Rearward holder for standing fishing pole}
본 발명은 낚싯대 받침 뒤꽂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걸려서 도망갈 때 물고기에 의해 낚싯대에 가해지는 전방향 당김뿐만 아니라 수직방향 요동에 대하여도 낚싯대가 이탈하여 유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극히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비용이 현저히 절감되며 낚싯대 작동에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설치가 간편하도록 하는 낚싯대 받침 뒤꽂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싯대 설치장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대 받침틀(2), 낚싯대(3) 앞부분을 지렛대 형태로 지지하는 앞받침대(4) 및 낚싯대 뒷부분이 끼움 고정되는 뒤꽂이(100)로 구성된다.
상기 뒤꽂이(100)는 직경 차가 있는 여러 규격의 낚싯대를 범용적으로 파지 가능하며, 물고기가 낚싯대를 강한 힘으로 당길 때에도 뺏기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될 것이 요구된다.
종래기술의 뒤꽂이(100)는 낚시대가 얹혀지는 베이스(110)에 낚시대를 파지하는 한 쌍의 협지자(151)(152)가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협지자(151)(152)는 원기둥형태로 되고 도면상에 나타나지 않은 가압부재에 의하여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압력을 받고 있으며 간격이 넓어지는 것도 가능하게 구성되어 소정 범위 내에서는 낚싯대의 여러 규격에 범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협지자(151)(152) 간의 간격이 물고기가 낚싯대를 당기는 방향으로 벌어진다면 낚싯대가 이탈되므로 물고기 방향에서 낚싯대를 당기면 협지자 간의 간격은 조여지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낚시대를 견고하게 파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같은 구성의 예로는 한국 등록특허 10-1036264호의 낚싯대 지지대용 홀더가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은 상기와 같이 협지자(151)(152) 간의 간격이 방향성을 갖으며 벌어지거나 조여지도록 되어 구성이 복잡하고 많은 부품이 수반되어 제조원가가 고가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고기가 낚싯대를 수면으로 당기며 전후 및 수직방향으로 요동칠 때 낚싯대는 전방으로 당겨지는 동시에 낚싯대 선단부가 수직방향으로 당겨져 손잡이 쪽이 협지공간의 개구(153)를 통하여 들어 올려져 이탈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낚싯대 손잡이 끝에 와이어(5a)를 연결하고 이 와이어 끝에 일명 "총알"이라고도 불리는 앵커(5)를 매달고, 뒤꽂이(100)의 협지공간 하방에 상기 와이어(5a)는 통과되며 앵커(5)는 걸리는 와이어통로(11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낚싯대가 뒤꽂이로부터 상향 기울기 이탈시 상기 앵커(5)가 와이어통로(115)에 걸리게 되어 개구(153)를 통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낚싯대의 상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통로(115)가 형성되는 한편 낚싯대(3)에는 앵커(5)를 매달고 와이어를 뒤꽂이에 연결후 늘어 놓아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 상기와 같은 이탈방지를 위한 낚시대 지지대용 홀더는 낚싯대가 위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기가 낚였을 때 낚싯대(3)가 협지자(151)(152) 사이에서 강하게 압박되고 있어 순간적으로 낚아채는 것이 어렵고, 따라서 낚시대(3)를 후방으로 당겨 협지력을 일단 약화시킨 상태에서 낚시대(3)를 상측으로 채 올리는 2단 연속 동작, 즉 후방으로 당기는 예비동작을 먼저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등록실용신안 20-0443629호에서는 물고기에 의해 낚싯대에 가해지는 전방향 당김뿐만 아니라 수직방향 요동에 대하여도 낚싯대를 견고하게 잡아주어 낚싯대 이탈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극히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비용이 현저히 절감되며 별도의 앵커가 불필요하여 낚싯대 설치가 간편하도록 하는 낚싯대 받침 뒤꽂이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한 구조의 선등록 고안에 따른 낚싯대 받침 뒤꽂이(10)는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몸체(10a)에 낚싯대(3)가 안착되기 위한 직경의 만곡요홈(11)과, 상기 만곡요홈 상부에 만곡요홈의 직경보다 좁은 간격의 개구(13)와, 상기 개구(13)로부터 상향하여 개방공간이 넓어지는 도입부(15)가 구비되고, 하방으로 낚싯대 받침대(2)에 착탈되는 고정대(2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10a)는 단일 경질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만곡요홈(11)은 내주면(11a) 상에 요홈이나 틈새가 없이 연속되는 원호로 형성되고, 안착되는 낚싯대(3) 길이 방향으로 전방 직경에 비하여 후방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홈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낚싯대 받침 뒤꽂이(10)는 종래에 비해 구조는 단순해졌으나, 낚시에 걸린 물고기가 상하로 요동치면서 낚싯대를 끌고 가게 되는 경우 직경이 오므러든 개구(13)에 걸려 낚시대가 이탈하지 않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 경우 잡힌 고기를 낚아채기 위하여 낚시대를 상측으로 잡아채 올리게 되는 순간 개구(13)가 저항체로 작용하여 낚시 동작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일단 낚싯대가 상측으로 통과하면 그 개구(13)의 간격이 낚싯대 직경보다 커지게 되어 실효성이 없는 관계로, 낚싯대 받침 뒤꽂이를 도 3에 도시한 것 같은 구조로 변경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공개실용신안 20-2009-0002793호 참조).
도 3의 낚싯대 받침 뒤꽂이(21)는 낚싯대 지지면(22)을 구비하되, 그 지지면(21)의 하부로 걸림구멍(23)을 형성하고 있고, 도 4에 도시하는 것 같이 낚싯대(24)의 후단에 앵커(25)를 와이어(25a)로 달아매어 낚싯대(24)가 물고기에 의해 끌려 갈 때 앵커(25)가 걸림구멍(23)에 걸리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앵커(25)를 달아매어 걸림구멍(23)에 걸리도록 하더라도 낚싯대(24)가 상부로 요동치는 경우 와이어(25a)가 걸림구멍(23) 상측으로 이탈하면서 앵커(25)가 걸림구멍(23)에 걸리게 되지 않아 이 역시 물고기가 낚싯대(24)를 끌고 가게 되어 낚싯대를 회수하기 위해 호수에 들어가야 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낚싯대가 안치되어 지지되는 지지면(22) 아래로 형성한 걸림구멍(23)은 낚싯대(24)의 수평방향에 대해 앵커(25)가 걸리도록 하고, 고정대(20)에는 와이어(25a)가 수직 방향으로 견인될 때 앵커(25)의 이동을 도중에 차단하는 스톱퍼(도시 생략)를 별도로 두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은 2중의 차단 구조를 가져야 함으로써 부품이 많이 소요되며, 낚싯대를 상측으로 채어 올릴 때 스톱퍼가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고, 또 앵커를 항시 스톱퍼에 끼워 장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허문헌1: 한국 등록특허 10-1036264호 특허문헌2: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443629호 특허문헌3: 한국 공개실용신안 20-2013-0006481호 특허문헌4: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95036호 특허문헌5: 한국 공개실용신안 20-2009-0002793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구조가 단순하며, 낚싯대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동시에 낚시에 방해가 되지 않는 구조의 낚싯대 받침 뒤꽂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낚싯대 받침 뒤꽂이는, 낚싯대가 안치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U자형의 안치요홈부를 형성하는 좌우 벽부재를 포함하는 U자형 지지몸체와, 상기 U자형 안치요홈부의 하부로 좁은 협로를 통해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낚싯대 후단에 와이어에 의해 달아매진 앵커가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스톱퍼구멍과, 상기 U자형 지지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일 측 벽부재의 하단으로 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안치요홈부로부터 낚싯대가 이탈하는 경우 자중에 의해 상기 스톱퍼구멍 측을 향해 회동하여 상기 스톱퍼구멍의 상측 협로를 덮어 막게 되는 자중작동회동걸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자중작동 회동걸림편의 상단에는 구형 걸림홈이 형성되고, 그 구형 걸림홈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일측 벽부재에는 탄성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볼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자중작동 회동걸림편이 기립하여 상기 일측 벽부재와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볼이 구형 걸림홈 내에 수용되어 자중작동 회동걸림편의 회동 움직임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자중작동 회동걸림편이 상기 스톱퍼구멍의 상측 협로를 덮어 막게 되는 상태에서 상기 자중작동 회동걸림편을 지지하게 되는 수평의 지지면이 반대측 벽부재의 하단에 마련되며, 상기 지지면에는 상기 자중작동 회동걸림편이 당접할 때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 완충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핀축에는 상기 자중작동 회동걸림편의 자중에 의한 회동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토션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싯대를 U자형 지지몸체의 U 자형 안치요홈부에 낚싯대를 지지시킨 상태에서 자중작동 회동편을 낚싯대 측으로 밀면 볼의 구속 상태가 해제된 자중작동 회동편이 자중에 의해 핀축을 중심점으로 하여 회동하여 낚싯대의 상부면에 걸쳐 지지되는 상태가 되며, 이 같은 상태에서 힘이 좋은 물고기가 잡혀 상하 전후로 요통쳐서 낚시대를 끌고 가게 되어 낚싯대가 이탈하면 자중작동 회동편이 내려 않자 스톱퍼구멍의 상측 협로를 덮어 막게 되므로 앵커가 스톱퍼구멍에 확실하게 걸려 낚싯대가 끌려가는 것을 방지하며, 이때 토션스프링이 자중에 의한 회동을 보조하도록 약간의 힘을 보태도록 하면 더욱 작동의 신속성과 정확성이 확보된다.
또 낚싯대가 빠져 나가면서 상기 회동편이 낙하하여 수평 지지면에 충격을 가할 때 고무 완충재가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 발생을 차단하며, 정상적 상태에서 고기가 걸려 낚싯대를 상측으로 챌 때 낚싯대의 상부에 걸터타고 있는 회동편이 회동하여(도시 상태를 기준하면 반 시계 방향 회동) 상측을 개방하여 낚싯대 움직임에 방해되는 일이 없고 회동편 단부에 형성된 곡면의 안내를 따라 부드럽게 가이드된다.
또한 낚싯대 받침 뒤꽂이를 사용치 않을 때에는 회동편을 수직으로 기립시켜 벽부재에 일치시키면 볼이 구형 걸림홈 내에 수용되어 잠금되므로 임의로 움직이는 일이 없이 가지런히 정돈 보관할 수 있다.
또 여러 대의 낚싯대를 설치했을 때 일일이 모든 찌의 움직임을 감시할 수 없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앵커가 확실하게 걸림구멍에 걸리게 되기 때문에 앵커가 걸릴 때 발생하는 충격음을 듣고 고기가 잡혔음을 바로 알 수 있고, 예비 동작 없이도 어느 각도의 낚싯대 동작(챔질)도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 기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 받침 뒤꽂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 받침 뒤꽂이에 낚싯대를 안치시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 받침 뒤꽂이에 안치된 낚싯대가 물고기에 의해 끌려 갔을 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 받침 뒤꽂이의 A-A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 받침 뒤꽂이의 B-B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 받침 뒤꽂이의 높이 조절 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낚싯대 받침 뒤꽂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9에서 전체를 부호 30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낚싯대 받침 뒤꽂이(30)는 낚싯대(31)가 안치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U자형의 안치요홈부(32)를 형성하는 좌우 벽부재(33)(34)를 포함하는 U자형 지지몸체(35)와, 상기 U자형 안치요홈부(32)의 하부로 좁은 협로(36)를 통해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낚싯대(31) 후단에 와이어(37)에 의해 달아매진 앵커(38)가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스톱퍼구멍(39)과, 상기 U자형 지지몸체(35)를 지지하는 지지대(40)와, 상기 일 측 벽부재(33)의 하단으로 핀축(4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안치요홈부(32)로부터 낚싯대(31)가 이탈하는 경우 자중에 의해 상기 스톱퍼구멍(39) 측을 향해 회동하여 상기 스톱퍼구멍(39)의 상측 협로(36)를 덮어 막게 되는 자중작동 회동편(4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중작동 회동편(42)의 상단에는 도 8에 도시한 것 같이 구형 걸림홈(43)이 형성되고, 그 구형 걸림홈(43)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일측 벽부재(33)에는 탄성 스프링(44)에 의해 지지되는 볼(45)이 마련되어 있어, 도 5에서 처럼 상기 자중작동 회동편(42)이 기립하여 상기 일측 벽부재(33)와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볼(45)이 구형 걸림홈(43) 내에 수용되어 자중작동 회동편(42)의 회동 움직임을 단속하게 되며, 또 상기 자중작동 회동편(42)의 단부로 상기 낚싯대(31)를 향한 쪽의 면은 곡면(46)으로 형성되어 낚싯대(31)를 상측으로 채서 올릴 때 곡면(46)이 부드럽게 가이드하게 된다.
도 6은 낚싯대(31)를 걸쳐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 상태에서는 자중작동 회동편(42)의 볼(45)에 의한 구속 상태를 해제시켜 자중작동 회동편(42)이 낚싯대(31)의 상면에 받혀 지지되고 있는 상태이며, 도 7은 잡힌 물고기가 낚싯대(31)를 끌고 가게 되어 낚싯대(31)가 낚싯대 받침 뒤꽂이(30)로부터 빠져 나가게 된 상태로서, 이때 지지력이 상실된 상기 자중작동 회동편(42)이 자중에 의해 낙하 회동하여 상기 스톱퍼구멍(39)의 상측 협로(36)를 덮어 막게 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자중작동 회동편(42)이 대략 수평으로 넘어간 상태에서 지지하게 되는 수평의 지지면(47)이 반대측 벽부재(34)의 하단에 마련되며, 도 9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수평의 지지면(47)에는 상기 자중작동 회동편(42)이 낙하하여 당접할 때 충격을 흡수하여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하는 고무 완충재(48)가 구비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측 단면도로서, 상기 핀축(41)에는 상기 자중작동 회동편(42)의 자중에 의한 회동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토션 스프링(49)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자중작동 회동편(42)을 항시 수평의 지지면(47)을 향해 넘어가도록 하는 힘을 가하며, 이때 낚싯대(31)를 채 올릴 때 저항에 따른 지장을 주지 않도록 탄성력이 클 필요가 없고 자중작동 회동편(42)의 회동 작동에 약간의 도움을 주는 정도면 충분하다.
도 10은 낚싯대 받침 뒤꽂이(30)의 지지대(40)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 조절기구(50)로서, 하부 지지대(51)에 대하여 상부 지지대(40)의 높이를 조정하는 경우 하부 지지대(51)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높이 조절기구(50)의 편심회동부(52)에 의한 지지대(40)에의 압박 고정 상태를 해제토록 누름부(53)를 젖혀 열게 되며, 이때 고정 상태가 해제된 상부 지지대(40)를 적절히 빼거나 삽입하여 길이(높이)를 조정하고 누름부(53)를 다시 지지대(40) 외주면 측에 밀착하도록 눌러 붙이면 편심회동부(52)가 회동하여 두꺼운 살두께 부분이 지지대의 파이프 외주에 위치하게 되면서파이프 외주를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때 편심회동부(52)의 외 표면에 복수의 링상 요홈(54) 형성되어 있어 마찰 표면적이 그만큼 줄어들어 누름부(53)를 젖히는 반복 작동에 의한 편심회동부(52)의 회동 시 마찰을 줄여 부드러운 작동감을 확보할 수 있고, 또 조이는 힘을 집중시켜 파이프의 협지력이 좋아져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된다.
이 같은 본 발명은 낚싯대(31)를 지지하는 사용 상태는 도 6과 같으며, 낚싯대의 사용 중 잡힌 물고기가 힘이 좋아 낚싯대(31)를 끌고 가 낚싯대(31)가 낚싯대 받침 뒤꽂이(30)로부터 빠져 나가 이탈하게 되면, 그 순간 즉시 자중작동 회동편(42)이 자중에 의해 회동 하강하여 걸림구멍(39)의 상부를 차단하게 됨으로써 와이어(37)가 걸림구멍(39)을 벗어나지 않고 걸림구멍을 통해서 끌려가게 되어 와이어(37) 후단에 달아맨 앵커(38)가 결국 걸림구멍(39)에 걸려 더 이상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므로, 물고기에 의해 끌려가던 낚시대(31)는 더 이상 끌려가지 않게 되어 물속으로 낚싯대가 사라지는 일은 없다.
또한 물고기가 걸려 낚싯대를 잡고 상부로 들어올려 낚아챌 때 상부에 걸터 앉아 있는 자중작동 회동편(42)이 도시 상태를 기준으로 가볍게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부를 개방하게 되므로 큰 저항을 주지 않기 때문에 낚시 동작에 방해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었으며, 이는 본 발명을 수행하는 데 있어 발명자에게 알려진 최선의 모드이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변형예들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자들은 숙련된 기술자들이 이러한 변형예를 채용할 것을 예상하며, 발명자들도 본 발명을 이상에서 특별히 설명한 것 외에도 실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한 법에 의해 허용되는 바에 따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언급된 주제와 균등한 모든 변형예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요소들의 가능한 모든 조합은 본 명세서 내에서 특별히 언급하거나 배제하지 않은 이상 본 발명에 포함될 것이다.
30: 낚싯대 받침 뒤꽂이 31: 낚싯대
32: U 자형 안치요홈부 33: 벽부재(좌측)
34: 벽부재(우측) 35: U 자형 지지몸체
36: 협로 37: 와이어
38: 앵커 39: 걸림구멍
40: 지지대(상부) 41: 핀축
42: 자중작동 회동편 43: 구형 걸림홈
44: 스프링 45: 볼
46: 곡면 47: 수평 지지면
48: 고무 완충재 49: 토션 스프링
50: 높이 조절구 51: 하부 지지대
52: 편심 회동부 53: 누름부
54: 링상 요홈

Claims (4)

  1. 낚싯대가 안치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U자형의 안치요홈부를 형성하는 좌우 벽부재를 포함하는 U자형 지지몸체와, 상기 U자형 안치요홈부의 하부로 좁은 협로를 통해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낚싯대 후단에 와이어에 의해 달아매진 앵커가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스톱퍼구멍과, 상기 U자형 지지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일 측 벽부재의 하단으로 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안치요홈부로부터 낚싯대가 이탈하는 경우 자중에 의해 상기 스톱퍼구멍 측을 향해 회동하여 상기 스톱퍼구멍의 상측 협로를 덮어 막게 되는 자중작동회동걸림편을 포함하되, 상기 자중작동 회동걸림편의 상단과 그 상단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일측 벽부재에는, 상기 자중작동 회동걸림편이 기립하여 상기 일측 벽부재와 일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자중작동 회동걸림편의 회동 움직임을 단속하여 잠금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 뒤꽂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중작동 회동걸림편의 회동 움직임을 단속하여 잠금하는 수단은 구형 걸림홈과 그 구형 걸림홈 내에 수용되어 자중작동 회동걸림편의 회동 움직임을 단속하는 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 뒤꽂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중작동 회동걸림편이 상기 스톱퍼구멍의 상측 협로를 덮어 막게 되는 상태에서 상기 자중작동 회동걸림편을 지지하게 되는 수평의 지지면이 반대측 벽부재의 하단에 마련되며, 상기 지지면에는 상기 자중작동 회동걸림편이 당접할 때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 완충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 뒤꽂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축에는 상기 자중작동 회동걸림편의 자중에 의한 회동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토션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 뒤꽂이.
KR1020150095031A 2015-07-03 2015-07-03 낚싯대 받침 뒤꽂이 KR101582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031A KR101582549B1 (ko) 2015-07-03 2015-07-03 낚싯대 받침 뒤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031A KR101582549B1 (ko) 2015-07-03 2015-07-03 낚싯대 받침 뒤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549B1 true KR101582549B1 (ko) 2016-01-05

Family

ID=5516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031A KR101582549B1 (ko) 2015-07-03 2015-07-03 낚싯대 받침 뒤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5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139A (ko) 2018-01-16 2019-07-24 황인수 낚시대 뒷받침대
KR200489831Y1 (ko) 2018-10-30 2019-08-16 김종대 낚싯대 받침 장치
CN110622929A (zh) * 2019-10-06 2019-12-31 吴明义 一种管状自动钓鱼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131Y1 (ko) * 1993-12-17 1996-07-22 권병율 걸림고리를 갖춘 낚시대 받침대
JP2002034416A (ja) * 2000-07-18 2002-02-05 Hisayoshi Kaburagi 釣り竿の支持具
KR200395036Y1 (ko) 2005-06-03 2005-09-07 신성균 이탈방지를 위한 거치대용 브레이크 홀더
KR200443629Y1 (ko) 2007-04-25 2009-03-02 정덕진 낚싯대 받침 뒤꽂이
KR20090002793U (ko) 2007-09-17 2009-03-20 신중균 낚싯대 받침구용 낚싯대 유실 방지구
KR101036264B1 (ko) 2010-12-20 2011-05-23 박성옥 낚싯대 지지대용 홀더
KR20130006481U (ko) 2012-05-01 2013-11-11 가순희 낚싯대 지지용 홀더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131Y1 (ko) * 1993-12-17 1996-07-22 권병율 걸림고리를 갖춘 낚시대 받침대
JP2002034416A (ja) * 2000-07-18 2002-02-05 Hisayoshi Kaburagi 釣り竿の支持具
KR200395036Y1 (ko) 2005-06-03 2005-09-07 신성균 이탈방지를 위한 거치대용 브레이크 홀더
KR200443629Y1 (ko) 2007-04-25 2009-03-02 정덕진 낚싯대 받침 뒤꽂이
KR20090002793U (ko) 2007-09-17 2009-03-20 신중균 낚싯대 받침구용 낚싯대 유실 방지구
KR101036264B1 (ko) 2010-12-20 2011-05-23 박성옥 낚싯대 지지대용 홀더
KR20130006481U (ko) 2012-05-01 2013-11-11 가순희 낚싯대 지지용 홀더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139A (ko) 2018-01-16 2019-07-24 황인수 낚시대 뒷받침대
WO2019143101A1 (ko) * 2018-01-16 2019-07-25 황인수 낚시대 뒷받침대
KR102047421B1 (ko) 2018-01-16 2019-11-22 황인수 낚시대 뒷받침대
CN111698904A (zh) * 2018-01-16 2020-09-22 黃仁洙 鱼竿后靠部
JP2021511051A (ja) * 2018-01-16 2021-05-06 ス ファン,イン 釣竿後受け
JP7005776B2 (ja) 2018-01-16 2022-01-24 ス ファン,イン 釣竿後受け
JP2022043292A (ja) * 2018-01-16 2022-03-15 ス ファン,イン 釣竿後受け
JP7216229B2 (ja) 2018-01-16 2023-01-31 ス ファン,イン 釣竿後受け
KR200489831Y1 (ko) 2018-10-30 2019-08-16 김종대 낚싯대 받침 장치
CN110622929A (zh) * 2019-10-06 2019-12-31 吴明义 一种管状自动钓鱼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549B1 (ko) 낚싯대 받침 뒤꽂이
JP2009100862A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
US20120261212A1 (en) Anti-panic descender with possibility of ascent
JP2009132381A (ja) 建設機械用エンジンルームフードステー装置
EP2246100B1 (en) A self-locking descender and a method for descending a load on a rope
AU2003261226B2 (en) Fairlead and cam assembly
KR101415812B1 (ko) 낚싯대 이탈방지용 거치대
JP5437296B2 (ja) クライミング用ロープの制動装置
US11097934B2 (en) Bottle striking
JP2008237838A (ja) 起倒開閉構造体
US9573025B2 (en) Golf ball retriever
JP2011098699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20170000742U (ko) 일체형 낚싯대 거치구
KR101667985B1 (ko) 편의성을 갖는 선박 관로용 커버 잠금장치
WO2008054222A1 (en) Physical training apparatus
JP4469158B2 (ja) 自動玉外しフック
JP4572307B2 (ja) 釣り用ホルダー
JP3196687U (ja) 引き舟用アンカー
KR20150075920A (ko) 뒤보기와 슬라이딩 가능한 시트를 갖는 어린이용 자전거
JP5820744B2 (ja) ウェビング移動機構
KR200464637Y1 (ko) 개 목걸이와 개줄을 연결하는 고리
JP4512003B2 (ja) 釣り用ホルダー
JP2009055841A (ja) 竿回動支持部を設けた釣竿
JP3174476U (ja) ナスカンスナップ
JP7335689B2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