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301B1 -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 - Google Patents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301B1
KR101582301B1 KR1020140010095A KR20140010095A KR101582301B1 KR 101582301 B1 KR101582301 B1 KR 101582301B1 KR 1020140010095 A KR1020140010095 A KR 1020140010095A KR 20140010095 A KR20140010095 A KR 20140010095A KR 101582301 B1 KR101582301 B1 KR 101582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main body
cover
window
cargo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9452A (ko
Inventor
박일훈
Original Assignee
박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일훈 filed Critical 박일훈
Priority to KR1020140010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301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트럭의 카고에 구비되는 카고 크레인 운전석에 설치되어 작업 환경에 대응되도록 형태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카고 크레인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는 개방되고 일측에 출입문이 구비되며 카고 크레인의 운전석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카고 크레인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후부 외측에 상기 본체의 후부를 내포하면서 상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 조작에 따라 상기 본체의 후부 상측을 일정공간을 두고 덮는 보호커버; 및 상기 보호커버의 후단 상측에 상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호커버를 상방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회동 조작에 따라 상기 본체의 전부 상측에 결합 고정되면서 상기 본체의 전부 상측을 일정공간을 두고 경사지게 덮는 보호창;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후부 양측과 상기 보호커버의 전부 양측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보호커버의 회동 조작을 돕는 제1완충실린더; 및 상기 보호커버의 하부 상측과 상기 보호창의 양측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보호창의 회동 조작을 돕는 제2완충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Cover for diving seat of cargo crane}
본 발명은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트럭의 카고에 구비되는 카고 크레인 운전석에 설치되어 작업 환경에 대응되도록 형태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카고 크레인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트럭에는 소형 트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카고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대형 트럭의 카고에는 중량의 화물이 실리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를 용이하게 하역하기 위하여 크레인을 주로 많이 사용하였다. 단, 크레인이 비치되어 있는 하역장에서는 상관없지만 크레인이 비치되지 않은 하역장에서 화물을 하역할 때는 크레인이 별도로 동원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대형 트럭의 카고에 카고 크레인을 일체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카고 크레인에는 운전자가 앉아서 운전할 수 있도록 운전수단이 구비된 운전석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즉, 운전자는 운전석에 앉아서 운전수단을 조작하여 카고 크레인을 작동시킴으로써 카고에 화물을 싣거나 화물을 카고에서 내리는 하역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하지만 카고 크레인에 구비된 운전석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단순한 형태이므로 운전자는 운전석에 앉아 카고 크레인을 운전함에 있어 날씨 조건, 작업 종류 등에 의한 작업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되면서 불편함과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를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해 아래 특허문헌 1의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가 출원되어 특허등록되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는, 출입문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후단에 상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후단 상부를 덮는 보호커버, 및 상기 보호커버의 내측에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선단 상부를 덮는 보호창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작업 환경에 따라 본체 형태 그대로 사용하거나 보호커버로 본체의 후단 상부를 덮은 형태로 사용하거나 보호커버와 보호창으로 본체의 후단과 상단을 덮은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커버와 보호창은 모두 수동식으로 회동하는 구조로서 이들로 본체를 덮을 때 처음부터 끝까지 인력으로 회동시켜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보호커버와 보호창을 회동시킬 때는 처음부터 끝까지 잡고 서서히 회동시키지 않으면 그 무게에 의해 강한 충격이 발생하거나 손 끼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621454호, 2006.08.31.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중량물의 보호커와 보호창의 회동 조작을 부드럽고 안전하게 하는 제1완충실린더와 제2완충실린더를 더 설치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카고 크레인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는, 상부는 개방되고 일측에 출입문이 구비되며 카고 크레인의 운전석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카고 크레인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후부 외측에 상기 본체의 후부를 내포하면서 상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 조작에 따라 상기 본체의 후부 상측을 일정공간을 두고 덮는 보호커버; 및 상기 보호커버의 후단 상측에 상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호커버를 상방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회동 조작에 따라 상기 본체의 전부 상측에 결합 고정되면서 상기 본체의 전부 상측을 일정공간을 두고 경사지게 덮는 보호창;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후부 양측과 상기 보호커버의 전부 양측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보호커버의 회동 조작을 돕는 제1완충실린더; 및 상기 보호커버의 하부 상측과 상기 보호창의 양측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보호창의 회동 조작을 돕는 제2완충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창과 상기 본체는, 결합수단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보호창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결합핀; 및 상기 본체의 전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결합핀이 삽입되는 결합홈이 구비된 핀수용편, 상기 핀수용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핀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때 일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결합핀이 상기 결합홈에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는 고정편, 및 상기 핀수용편의 타측에 설치되어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편을 타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결합홈에 삽입 고정된 결합핀을 분리시키는 분리편으로 구성되는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커버의 후측면과 하측면에는, 제1환기창과 제2환기창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환기창과 제2환기창은, 개폐가이드에 의해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되, 상기 개폐가이드는, 상기 제1환기창과 제2환기창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회전편; 상기 제1환기창과 상기 보호커버의 사이와 상기 제2환기창과 상기 보호커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편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상기 회전편이 단부에 고정되거나 내부로 슬라이딩 운동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부에 설치되고 호형상의 제1가이드면과 직각형상의 제2가이드면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편을 일방향으로 일정각도씩 회전시켜 상기 회전편을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부에 고정시켜거나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시키는 회전유도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중간부 양측에는, 상기 보호커버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원상태로 복귀시킬 때 상기 보호커버와 상기 본체 간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커버의 양측면 내측에는, 슬라이드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보호커버가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창의 양측과 상기 보호커버의 양측 사이를 덮는 사이드커버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먼저, 보호커보와 보호창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회동 조작 가능함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회동 조작시 유발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리고 보호창과 본체의 결합이 결합수단에 의해 원터치 방식의 조작으로 가능함에 따라 보호창과 본체의 결합 조작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보호커버에는 복수 개의 환기창이 설치됨에 따라 기온은 높은 여름철 등에는 이들을 개방하여 사용함에 따라 더욱 쾌적한 작업 환경에서 카고 크레인을 운전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본 형태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변형 형태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변형 형태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가이드를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확대도.
본 발명에 따른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는, 본체와 보호커버 및 보호창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카고 크레인이 장착된 차량의 외부에서 카고 크레인의 운전을 위한 운전석을 내부에 포함되도록 설치되어 운전자가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카고 크레인을 운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따른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는,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호커보, 그리고 보호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호창의 회동 조작으로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본체와 보호커버의 사이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보호커버의 회동 조작을 돕는 제1완충실린더, 그리고 보호커버와 보호창의 사이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보호창의 회동 조작을 돕는 제2완충실린더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본체 내부에서 보호커버를 회동시켜 본체의 후부 상측을 덮거나 상기 상태에서 보호창을 회동시켜 본체의 전후 상측을 덮을 때, 그리고 보호커버와 보호창을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켜 원상태로 복귀시킬 때, 보호커버와 보호창을 처음부터 끝까지 잡고 있지 않아도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충격 없이 부드럽게 회동 조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본 형태를 도시한 일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변형 형태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변형 형태를 도시한 일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가이드를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보호커버(20), 보호창(30), 제1완충실린더(40), 및 제2완충실린더(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주행시에는 도 1과 같은 형태로 변형시키고, 가로등 등 이동성이 많은 작업시에는 도 2와 같은 형태로 변형시키며, 그 외에는 도 3과 같은 형태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본체(10)는, 카고 크레인의 운전석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조작수단과 함게 운전석 주변을 일정한 형태로 외부에서 둘러싸는 구성이다.
즉, 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운전석과 조작수단이 내측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운전석의 지지축과 조작수단이 통과하는 통과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일측에 운전자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11)이 설치되는 형태이다.
그리고 본체(10)의 전면 일측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야간에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밝은 빛을 제공하는 조명등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호커버(20)는, 본체(10)의 후부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본체(10)의 후부를 내포하면서 상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 조작에 따라 본체(10)의 후부 상측을 일정공간을 두고 덮는 구성이다.
즉, 보호커버(20)는 도 1과 같은 형태에서 운전자의 회동 조작에 따라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회동하면서 본체(10)의 후부 상측 위치하여 운전자의 상부를 보호하는 것이다.
이때 보호커버(20)의 내측에는 보호커버(20)의 회동 조작을 위한 손잡이(미도시)가 설치되고, 그 양측에는 운전자의 측면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투시창(21)이 설치된다.
그리고 보호커버(20)의 후측면과 하측면에는 각각 제1환기창(70)과 제2환기창(80)이 더 설치된다. 상기 제1환기창(70)과 제2환기창(80)의 내측에는 개폐를 위한 손잡이(71)(81)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도 2 또는 도 3과 같은 형태에서 손잡이(71)(81)를 잡고 제1환기창(70)과 제2환기창(80)을 개방하면 도 3과 같은 형태가 되면서 본체(10)와 호보커버(20)의 내부를 환기시켜 운전석 내부를 쾌적하게 할 수 있다.
단, 제1환기창(70)과 제2환기창(80)은 개방시 별도의 지지장치 없이도 개방 상태가 유지되는데,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커버(20)와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개폐가이드(90a)(90b)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즉, 제1환기창(70)과 제2환기창(80)을 손잡이(71)(81)를 이용하여 개폐가이드(90a)(90b)를 따라 일방향으로 끝까지 밀어 개방하면 개폐가이드(90a)(90b)를 따라 타방향으로 소정 내려와 그 개방 상태가 되고, 다시 한번 개폐가이드(90a)(90b)를 따라 일방향으로 끝까지 밀면 개폐가이드(90a)(90b)를 따라 타방향으로 완전히 내려와 닫힘 상태가 된다.
이는 개폐가이드(90a)(90b)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편(92a)(92b), 가이드레일(93a)(93b), 및 회전유도편(96a)(96b)을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전편(92a)(92b)은 각각 제1환기창(70)과 제2환기창(8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측에 걸림돌기(91a)(91b)가 형성된 구성이다.
상기 가이드레일(93a)(93b)은 각각 제1환기창(70)과 보호커버(20)의 사이와 제2환기창(80)과 보호커버(20)의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편(92a)(92b)의 회전각도에 따라 걸림돌기(91a)(91b)에 의해 회전편(92a)(92b)이 단부에 고정되거나 내부로 슬라이딩 운동하는 구성이다.
상기 회전유도편(96a)(96b)은 가이드레일(93a)(93b)의 단부에 설치되고 호형상의 제1가이드면(94a)(94b)과 직각형상의 제2가이드면(95a)(95b)이 구비되어, 회전편(92a)(92b)을 일방향으로 일정각도씩 회전시켜 회전편(92a)(92b)을 가이드레일(93a)(93b)의 단부에 고정시키거나 가이드레일(93a)(93b)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시키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제1환기창(70)과 제2환기창(80)을 회전편(92a)(92b)이 가이드레일(93a)(93b)의 단부까지 오도록 밀어서 개방하면 회전편(92a)(92b)이 회전유도편(96a)(96b)의 제1가이드면(94a)(94b)과 제2가이드면(95a)(95b)에 의해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면서 그 걸림돌기(91a)(91b)가 가이드레일(93a)(93b)의 단부에 걸려 고정되면서 개방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개방 상태에서 제1환기창(70)과 제2환기창(80)을 회전편(92a)(92b)이 다시 가이드레일(93a)(93b)의 단부까지 오도록 밀면 회전편(92a)(92b)이 회전유도편(96a)(96b)의 제1가이드면(94a)(94b)과 제2가이드면(95a)(95b)에 의해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더 회전하면서 회전편(92a)(92b)의 걸림돌기(91a)(91b)가 가이드레일(93a)(93b)에 구속되지 않아 가이드레일(93a)(93b)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여 닫힘 상태가 된다.
한편, 보호커버(20)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원상태로 복귀시킬 때 본체(10)와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켜 보호커버(20)와 본체(10)의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10)의 중간부 양측에 완충부재(12)가 더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보호창(30)은, 보호커버(20)의 후단 상측에 상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보호커버(20)가 본체(10)의 후부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동 조작에 따라 본체(10)의 전부 상측에 결합 고정되어 본체(10)의 전부 상측을 일정공간을 두고 경사지게 덮는 구성이다.
즉, 보호창(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커버(20)를 상방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보호커버(20)와 본체(10)를 경사지게 연결하면서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면서 운전자의 전면을 보호하는 것이다.
단, 보호창(30)의 내측에는 회동 조작을 위한 손잡이(31)가 설치되고, 그 전면에는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위하여 투시창(미도시)이 설치되며, 그 외부 상측에는 비나 눈이 내릴 때 투시창을 통해 시야 확보가 가능하도록 투시창을 닦는 와이퍼(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보호창(30)은 결합수단(60)에 의해 본체(10)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되는데, 상기 결합수단(60)은 결합핀(61)과 결합구(66)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핀(61)은 보호창(30)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결합구(66)는 핀수용편(63), 고정편(64), 및 분리편(65)으로 구성되어 결합핀(61)이 고정 또는 분리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핀수용편(63)은 본체(10)의 전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결합핀(61)이 삽입되는 결합홈(62)이 구비된 구성이고, 상기 고정편(64)은 핀수용편(63)의 일측에 설치되어 결합핀(61)이 결합홈(62)에 삽입될 때 일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결합핀(61)이 결합홈(62)에서 이탈되지 않게 구속하는 구성이며, 상기 분리편(65)은 핀수용편(63)의 타측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고정편(64)을 타방향으로 회동시켜 결합홈(62)에 삽입 고정된 결합핀(61)을 분리시키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보호창(30)을 본체(10)에 연결 고정하고자 할 때는 도 4의 (a)의 상태에서 보호창(30)에 설치된 결합핀(61)을 본체(10)에 설치된 핀수용편(63)의 결합홈(62)에 삽입하면 도 4의 (b)와 같이 고정편(64)에 의해 고정되면서 간단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보호창(30)을 본체(10)에서 분리하여 원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할 때는 도 4의 (b)의 상태에서 분리편(65)을 회동시키면 결합핀(61)이 고정편(64)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면서 도 4의 (c)와 같이 핀수용편(63)의 결합홈(62)에서 간단하게 분리된다.
한편, 보호커버(20)의 양측면 내측에는, 슬라이드부재(22)에 의해 상방으로 인출되어 보호커버(20)가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보호창(30)의 양측과 보호커버(20)의 양측 사이를 덮는 사이드커버(23)가 더 설치된다.
즉, 사이드커버(23)는 보호창(30)이 운전석의 전방을 경사지게 덮은 상태에서 보호커버(20)와 보호창(30) 간의 틈새를 막아 운전자의 양측방을 보호하는 것이다.단, 사이드커버(23)는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위하여 투시 가능한 재질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완충실린더(40)는, 본체(10)의 후부 양측과 보호커버(20)의 전부 양측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보호커버(20)의 회동 조작을 돕는 구성이다.
즉, 제1완충실린더(50)는 운전자가 보호커버(20)를 회동 조작할 때 내부에 채워진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사용하고도 충격 없이 부드럽게 회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보호커버(20)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완충실린더(50)는, 보호커버(20)의 하부 상측과 보호창(30)의 양측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보호창(30)의 회동 조작을 돕는 구성이다.
즉, 제2완충실린더(50) 또한 상기한 제1완충실린더(40)와 같이 운전자가 보호창(30)을 회동 조작할 때 내부에 채워진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사용하고도 충격 없이 부드럽게 회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보호창(30)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운전자가 보다 용이하게 형태 변형시켜 편리하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본체 11: 출입문
12: 완충부재
20: 보호커버 21: 투시창
22: 슬라이드부재 23: 사이드커버
30: 보호창 31: 손잡이
40: 제1완충실린더 50: 제2완충실린더
60: 결합수단 61: 결합핀
62: 결합홈 63: 핀수용편
64: 고정편 65: 분리편
66: 결합구
70: 제1환기창 71: 손잡이
80: 제2환기창 81: 손잡이
90a, 90b: 개폐가이드 91a, 91b: 걸림돌기
92a, 92b: 회전편 93a, 93b: 가이드레일
94a, 94b: 제1가이드면 95a, 95a: 제2가이드면
96a, 96b: 회전유도편
100: 덮개 장치

Claims (6)

  1. 상부는 개방되고 일측에 출입문(11)이 구비되며 카고 크레인의 운전석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카고 크레인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후부 외측에 상기 본체(10)의 후부를 내포하면서 상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 조작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후부 상측을 일정공간을 두고 덮는 보호커버(20); 및
    상기 보호커버(20)의 후단 상측에 상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보호커버(20)를 상방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회동 조작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전부 상측에 결합 고정되면서 상기 본체(10)의 전부 상측을 일정공간을 두고 경사지게 덮는 보호창(30);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10)의 후부 양측과 상기 보호커버(20)의 전부 양측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보호커버(20)의 회동 조작을 돕는 제1완충실린더(40); 및 상기 보호커버(20)의 하부 상측과 상기 보호창(30)의 양측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보호창(30)의 회동 조작을 돕는 제2완충실린더(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창(30)과 상기 본체(10)는 결합수단(6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며,
    상기 결합수단(60)은 상기 보호창(30)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결합핀(61); 및 상기 본체(10)의 전부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결합핀(61)이 삽입되는 결합홈(62)이 구비된 핀수용편(63), 상기 핀수용편(63)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핀(61)이 상기 결합홈(62)에 삽입될 때 일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결합핀(61)이 상기 결합홈(62)에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는 고정편(64), 및 상기 핀수용편(63)의 타측에 설치되어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편(64)을 타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결합홈(62)에 삽입 고정된 결합핀(61)을 분리시키는 분리편(65)으로 구성되는 결합구(6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20)의 후측면과 하측면에는,
    제1환기창(70)과 제2환기창(8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환기창(70)과 제2환기창(80)은,
    개폐가이드(90a)(90b)에 의해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되,
    상기 개폐가이드(90a)(90b)는,
    상기 제1환기창(70)과 제2환기창(8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측에 걸림돌기(91a)(91b)가 형성되는 회전편(92a)(92b);
    상기 제1환기창(70)과 상기 보호커버(20)의 사이와 상기 제2환기창(80)과 상기 보호커버(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편(92a)(92b)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91a)(91b)에 의해 상기 회전편(92a)(92b)이 단부에 고정되거나 내부로 슬라이딩 운동하는 가이드레일(93a)(93b); 및
    상기 가이드레일(93a)(93b)의 단부에 설치되고 호형상의 제1가이드면(94a)(94b)과 직각형상의 제2가이드면(95a)(95b)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편(92a)(92b)을 일방향으로 일정각도씩 회전시켜 상기 회전편(92a)(92b)을 상기 가이드레일(93a)(93b)의 단부에 고정시켜거나 상기 가이드레일(93a)(93b)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시키는 회전유도편(96a)(96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중간부 양측에는,
    상기 보호커버(20)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원상태로 복귀시킬 때 상기 보호커버(20)와 상기 본체(10) 간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12)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20)의 양측면 내측에는,
    슬라이드부재(22)에 의해 상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보호커버(20)가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창(30)의 양측과 상기 보호커버(20)의 양측 사이를 덮는 사이드커버(23)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
KR1020140010095A 2014-01-28 2014-01-28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 KR101582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095A KR101582301B1 (ko) 2014-01-28 2014-01-28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095A KR101582301B1 (ko) 2014-01-28 2014-01-28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452A KR20150089452A (ko) 2015-08-05
KR101582301B1 true KR101582301B1 (ko) 2016-01-04

Family

ID=53885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095A KR101582301B1 (ko) 2014-01-28 2014-01-28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3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5333B (zh) * 2017-04-12 2018-10-23 中船第九设计研究院工程有限公司 一种门座式起重机司机室前视窗的开闭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350Y1 (ko) * 2001-02-21 2001-07-19 최성운 차량용 크레인의 운전석 커버장치
KR100541568B1 (ko) 2003-11-13 2006-01-11 호봉식 크레인용 작업의자 안전덮개
KR101037948B1 (ko) * 2010-08-13 2011-05-30 김석곤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454B1 (ko) 2004-08-07 2006-09-19 박일훈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장치
KR20130062215A (ko) * 2011-12-02 2013-06-12 이동희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350Y1 (ko) * 2001-02-21 2001-07-19 최성운 차량용 크레인의 운전석 커버장치
KR100541568B1 (ko) 2003-11-13 2006-01-11 호봉식 크레인용 작업의자 안전덮개
KR101037948B1 (ko) * 2010-08-13 2011-05-30 김석곤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452A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4452B2 (ja) 車両の収納コンパートメントアセンブリ
US8474896B2 (en) Vehcile topper that encloses the cargo bed of a vehicle such as a pickup truck, yet provides convenient open access thereto
US20160214656A1 (en) Truck bed door with optional extension and accessories
ATE270218T1 (de) Gepäckablage mit einem absenkbaren gepäckfach, insbesondere für eine flugzeugpassagierkabine
US7213854B2 (en) Removable T-top stowage on roof rack
ES2231049T1 (es) Sistema de zona trasera para vehiculo descapotable con techo rigido replegable.
ES2284107T3 (es) Escotilla de entrada y salida para un vehiuclo de combate, especialmente un carro de combate.
US7434873B2 (en) Pop top trailer
US8887445B2 (en) Door glass over-closing
KR101582301B1 (ko) 카고 크레인 운전석 덮개 장치
CA2439940C (en) Sheltered aircraft supply vehicle
US10682537B2 (en) Ergonomic SCBA holder
KR101174244B1 (ko) 차량용 보호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JPS61278422A (ja) 車両のサンル−フ装置
KR102298958B1 (ko) 전동 선세이드와 선루프 구조
US20210252951A1 (en) Retractable windshield
HU221877B1 (hu) Targonca teleszkópos oszloppal
ATE443842T1 (de) Panzerfahrzeug
KR10096289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KR102644360B1 (ko) 차량용 트렁크 도어
JP4607552B2 (ja) 高所作業車
TWI630136B (zh) 玻璃逃生天窗及其後鈕構件
US11453462B2 (en) Magnetic coupling shade system for boats
JP2971452B1 (ja) 貨物自動車のステップ装置
JP5608550B2 (ja) 高所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