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360B1 - 차량용 트렁크 도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트렁크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360B1
KR102644360B1 KR1020220137912A KR20220137912A KR102644360B1 KR 102644360 B1 KR102644360 B1 KR 102644360B1 KR 1020220137912 A KR1020220137912 A KR 1020220137912A KR 20220137912 A KR20220137912 A KR 20220137912A KR 102644360 B1 KR102644360 B1 KR 102644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door
vehicle
hing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20137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railway-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렁크를 개폐하는 도어부의 개방 방향을 달리하여 트렁크의 수납 공간을 증대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트렁크를 개폐하는 도어부와, 일측단이 상기 도어부의 상측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트렁크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에 회전되게 체결된 링크부, 그리고 상기 도어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트렁크에 탈착되고 상기 트렁크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부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힌지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트렁크를 개폐하는 도어부의 개방 방향을 달리하여 트렁크의 수납 공간을 증대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트렁크 도어{TRUNK DOO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렁크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렁크를 개폐하는 도어부의 개방 방향을 달리하여 트렁크의 수납 공간을 증대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방 측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트렁크 공간이 마련되며, 차량 후미의 트렁크리드를 개방한 상태에서 화물을 적재한 후에 트렁크리드를 닫아 록킹한다.
그러나, 트렁크 공간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큰 화물이나 길이가 긴 화물의 경우에는 트렁크리드가 제대로 록킹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며, 트렁크리드가 제대로 록킹되지 않는 상태에서 주행 시에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최근 RV차량 등의 경우에는 트렁크 공간과 연결되는 뒷좌석을 접어서 화물 적재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차량에 탑승 가능한 인원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4-0106126호(2004.12.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트렁크를 개폐하는 도어부의 개방 방향을 달리하여 트렁크의 수납 공간을 증대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도어는, 차량의 트렁크를 개폐하는 도어부; 일측단이 상기 도어부의 상측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트렁크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에 회전되게 체결된 링크부; 및 상기 도어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트렁크에 탈착되고, 상기 트렁크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부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도어부는, 상기 힌지부를 상기 트렁크에서 분리시킨 후 하측을 당겨서 상향 회전시키면 상기 링크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트렁크를 개방하고, 상기 힌지부가 상기 트렁크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측을 당겨서 하향 회전시키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트렁크를 개방하면서 수납 공간을 확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는, 상기 트렁크의 길이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도어부의 하측이 올려지면서 상기 트렁크를 개방하면 상기 가이드레일의 높이 방향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지지되어 상기 도어부의 개방을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도어부의 상측이 당겨지면서 상기 트렁크를 개방하면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지지되어 상기 도어부의 하측이 상기 트렁크와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부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상측단에 제1 관통홈이 형성되고, 하측단에 제2 관통홈이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2 관통홈에 위치하는 레버부; 상기 레버부에 형성된 이동부 체결홈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도어부에 구비된 힌지 체결부에 삽입되어 직선 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트렁크에 구비된 체결홈에 탈착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힌지 체결부에 회전 구속되게 체결되고, 상기 레버부에 나사 체결되어 있어서, 상기 레버부가 회전하면 상기 이동부는 직선 이동하여 상기 체결돌기를 상기 체결홈에 체결하거나 분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2 관통홈으로 삽입되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트렁크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레버부가 회전하면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이동부가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트렁크 도어에 따르면, 트렁크를 개폐하는 도어부의 개방 방향을 달리하여 트렁크의 수납 공간을 증대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트렁크 도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트렁크 도어에서 힌지부가 설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영역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트렁크 도어에서 도어부가 상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트렁크 도어에서 도어부가 하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수납 공간이 확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트렁크 도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차량용 트렁크 도어에서 힌지부가 설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영역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차량용 트렁크 도어에서 도어부가 상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차량용 트렁크 도어에서 도어부가 하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수납 공간이 확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트렁크 도어(100)는 차량(10)의 트렁크(20)를 개폐하는 도어부(200)와, 일측단이 상기 도어부(200)의 상측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트렁크(20)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1)에 회전되게 체결된 링크부(300), 그리고 상기 도어부(2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트렁크(20)에 탈착되고 상기 트렁크(2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부(200)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힌지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부(200)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측 부분은 상기 트렁크(20)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측 부분은 상기 트렁크(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트렁크(20)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도어부(200)는 상기 힌지부(400)를 상기 트렁크(20)에서 분리시킨 후 하측을 당겨서 상향 회전시키면 상기 링크부(30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트렁크(20)를 상측으로 개방할 수 있고, 상기 힌지부(400)가 상기 트렁크(2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부(200)의 상측을 당겨서 하향 회전시키면 상기 힌지부(40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트렁크(20)를 개방하면서 수납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어부(200)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상측단에 제1 관통홈(210)이 형성되고, 하측단에 제2 관통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상기 도어부(200)의 제2 관통홈(220)을 잡고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상기 도어부(200)는 상기 링크부(30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 4와 같이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도어부(200)의 제1 관통홈(210)을 잡고 당기면 상기 도어부(200)는 상기 힌지부(40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 5와 같이 개방되어 수납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300)는 일측단이 상기 도어부(200)의 상측에 형성된 링크 체결부(230)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트렁크(20)의 길이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도어부(200)의 하측이 올려지면서 상기 트렁크(20)를 개방하면 상기 링크부(300)의 타측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1)의 높이 방향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지지되어 상기 도어부(200)의 개방을 가이드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200)의 상측이 당겨지면서 상기 트렁크(20)를 개방하면 상기 링크부(300)의 타측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1)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지지되어 상기 도어부(200)의 하측이 상기 트렁크(20)와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지지하여 수납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400)는 상기 도어부(2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트렁크(20)에 형서된 체결홈(22)에 탈착되고, 상기 트렁크(20)의 체결홈(22)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부(200)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부(400)는 상기 제2 관통홈(220)에 위치하는 레버부(410)와, 상기 레버부(410)에 형성된 이동부 체결홈(411)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도어부(200)에 구비된 힌지 체결부(240)에 삽입되어 직선 이동하는 이동부(420), 그리고 상기 이동부(420)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트렁크(20)에 구비된 체결홈(22)에 탈착되는 체결돌기(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420)는 상기 힌지 체결부(240)에 체결되는 영역은 평면(421)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힌지 체결부(240)에 회전 구속되고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힌지부(400)는 상기 이동부(420)가 상기 힌지 체결부(240)에 회전 구속되게 체결되고 상기 레버부(410)에 나사 체결되어 있어서, 상기 레버부(410)가 회전하면 상기 이동부(420)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상기 체결돌기(430)를 상기 체결홈(22)에 체결하거나 분리시키도록 동작한다.
일 예로, 상기 힌지부(400)는 상기 제2 관통홈(220)으로 삽입되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트렁크(20)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레버부(410)가 회전하면 상기 체결돌기(430)가 상기 체결홈(22)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이동부(420)가 직선 이동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트렁크(20)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제2 관통홈(220)에 사용자가 손을 넣으면 상기 레버부(410)가 밀리면서 회전하여 상기 체결돌기(430)가 상기 체결홈(22)에서 분리되게 동작한다.
물론, 상기 제2 관통홈(220)으로 삽입되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트렁크(20)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레버부(410)가 당겨지면 상기 체결돌기(430)가 상기 체결홈(22)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트렁크 도어(100)는 상기 도어부(200)가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개방되게 구성되고, 상기 도어부(200)가 상기 링크부(300)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면 종래와 같이 트렁크(20)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도어부(200)가 상기 힌지부(400)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면 기존의 트렁크(20) 공간과 상기 도어부(200)의 하측 영역까지 수납 공간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차량용 트렁크 도어 200 : 도어부
210 : 제1 관통홈 220 : 제2 관통홈
230 : 링크 체결부 240 : 힌지 체결부
300 : 링크부 400 : 힌지부
410 : 레버부 411 : 이동부 체결홈
420 : 이동부 430 : 체결돌기

Claims (9)

  1. 차량의 트렁크를 개폐하는 도어부;
    일측단이 상기 도어부의 상측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트렁크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에 회전되게 체결된 링크부; 및
    상기 도어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트렁크에 탈착되고, 상기 트렁크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부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상측단에 제1 관통홈이 형성되고, 하측단에 제2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2 관통홈에 위치하는 레버부;
    상기 레버부에 형성된 이동부 체결홈에 나사 체결되고, 상기 도어부에 구비된 힌지 체결부에 삽입되어 직선 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트렁크에 구비된 체결홈에 탈착되는 체결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힌지부를 상기 트렁크에서 분리시킨 후 하측을 당겨서 상향 회전시키면 상기 링크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트렁크를 개방하고,
    상기 힌지부가 상기 트렁크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측을 당겨서 하향 회전시키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트렁크를 개방하면서 수납 공간을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트렁크의 길이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도어부의 하측이 올려지면서 상기 트렁크를 개방하면 상기 가이드레일의 높이 방향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지지되어 상기 도어부의 개방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도어부의 상측이 당겨지면서 상기 트렁크를 개방하면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지지되어 상기 도어부의 하측이 상기 트렁크와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힌지 체결부에 회전 구속되게 체결되고, 상기 레버부에 나사 체결되어 있어서, 상기 레버부가 회전하면 상기 이동부는 직선 이동하여 상기 체결돌기를 상기 체결홈에 체결하거나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2 관통홈으로 삽입되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트렁크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레버부가 회전하면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이동부가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KR1020220137912A 2022-10-25 2022-10-25 차량용 트렁크 도어 KR102644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912A KR102644360B1 (ko) 2022-10-25 2022-10-25 차량용 트렁크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912A KR102644360B1 (ko) 2022-10-25 2022-10-25 차량용 트렁크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360B1 true KR102644360B1 (ko) 2024-03-08

Family

ID=90235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912A KR102644360B1 (ko) 2022-10-25 2022-10-25 차량용 트렁크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3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126A (ko) 2003-06-11 2004-12-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트렁크의 확장장치
KR20070060530A (ko) * 2005-12-08 200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접이식 루프 차량의 트렁크 리프트 가변 힌지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126A (ko) 2003-06-11 2004-12-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트렁크의 확장장치
KR20070060530A (ko) * 2005-12-08 200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접이식 루프 차량의 트렁크 리프트 가변 힌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6192B2 (en) Motor vehicle having a roof with sliding convertible top
EP0348130A2 (en) Safety arrangement for overhead luggage bins in aircraft passenger cabins
US20110115246A1 (en) Retractable safety cover for a rail system in a motor vehicle
US7140657B2 (en) Openable motor vehicle rear
JP2709919B2 (ja) 車両の助手席側用のコックピット領域装置
JP2003507244A (ja) 自動車の居住空間の取外し可能な被覆用モジュール及びかかるモジュールを備えた自動車
JP2003507245A (ja) 自動車の車室のカバーモジュールと、このような車室を備える自動車
KR102644360B1 (ko) 차량용 트렁크 도어
US1425954A (en) Canopied automobile door
JP2007261549A (ja) 車両用後面扉
CN108312933A (zh) 车辆背门
JP2005041242A (ja) 車両のステップ装置
JPS61222817A (ja)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JPH06191436A (ja) 自動車のボディ構造
KR102633509B1 (ko) 콘솔커버의 양방향 개폐장치
JPH04300719A (ja) 自動車のキャンバストップ構造
US20230203863A1 (en)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s
JP4596301B2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構造
KR100530133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개방 장치
KR200146029Y1 (ko) 양방향 개폐형 콘솔 박스
JPH0351206Y2 (ko)
KR0116920Y1 (ko) 자동차 트렁크로 통하는 도어가 부착된 백셀프트림
KR0123389B1 (ko) 자동차의 백 셀프 트림의 수장박스 커버 절접장치
KR970003673Y1 (ko) 자동차 트렁크의 리드 열림 위치 고정장치
GB2252780A (en) Vehicle sliding door mounting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