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699B1 - 공기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699B1
KR101579699B1 KR1020147012656A KR20147012656A KR101579699B1 KR 101579699 B1 KR101579699 B1 KR 101579699B1 KR 1020147012656 A KR1020147012656 A KR 1020147012656A KR 20147012656 A KR20147012656 A KR 20147012656A KR 101579699 B1 KR101579699 B1 KR 101579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dimples
row
column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4396A (ko
Inventor
나오키 유카와
다이스케 구도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4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2Arrangement of grooves or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009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features of the carcass terminal portion
    • B60C15/0036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features of the carcass terminal portion with high ply turn-up, i.e. folded around the bead core and terminating radially above the point of maximum section width
    • B60C15/0045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features of the carcass terminal portion with high ply turn-up, i.e. folded around the bead core and terminating radially above the point of maximum section width with ply turn-up up to the belt edges, i.e. folded around the bead core and extending to the belt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009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comprising sidewall rubber inserts, e.g. crescent shape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60C15/0603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bead filler or apex
    • B60C2015/061Dimensions of the bead filler in terms of numerical values or ratio in proportion to section height

Abstract

본 발명은, 그 몰드의 가공이 용이하며, 또한 내구성이 우수한 공기 타이어(2)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2)는, 그 사이드월(8)에 다수의 딤플(62)을 구비한다. 이들 딤플(62)은, 제1 열(Ⅰ)의 딤플(62)과, 제2 열(Ⅱ)의 딤플(62)로 구별된다. 하나의 열당 딤플(62)의 수는, 2, 3, 4, 5, 6, 8, 9, 10, 12, 15, 16, 18, 20, 24, 25, 30, 32, 36, 40, 48, 50, 60, 72, 75, 80, 90, 100, 120, 144, 150, 160, 180, 200, 225, 240, 300, 360, 375, 400, 450, 480, 500, 600 또는 720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 열(Ⅱ)의 딤플(62)의 수는, 제1 열(Ⅰ)의 딤플(62)과 동일하다.

Description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
본 발명은 공기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사이드면에 딤플(dimple)을 구비한 공기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이드월의 내측에 하중 지지층을 구비한 런플랫 타이어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이 지지층에는, 고경도의 가교 고무가 이용되고 있다. 이 런플랫 타이어를 사이드 보강 타입이라고 한다. 이 타입의 런플랫 타이어에서는, 펑크에 의해 내압(內壓)이 저하되면, 지지층에 의해 하중이 지지된다. 이 지지층은, 펑크 상태에서의 타이어의 휨을 억제한다. 펑크 상태에서 주행이 계속되더라도, 고경도의 가교 고무가, 지지층에서의 발열을 억제한다. 이 런플랫 타이어에서는, 펑크 상태에서도, 어느 정도 거리의 주행이 가능하다. 이 런플랫 타이어가 장착된 자동차에는, 스페어 타이어의 상비는 불필요하다. 이 런플랫 타이어의 채용에 의해, 불편한 장소에서의 타이어 교환을 피할 수 있다.
펑크 상태에 있는 런플랫 타이어의 주행이 계속되면, 지지층의 변형과 복원이 반복된다. 이 반복에 의해 지지층에서 열이 발생하여, 타이어가 고온에 도달한다. 이 열은, 타이어를 구성하는 고무 부재의 파손 및 고무 부재 사이의 박리를 초래한다. 파손 및 박리가 생긴 타이어에서는, 주행은 불가능하다. 펑크 상태에서의 장시간의 주행이 가능한 런플랫 타이어, 바꿔 말하면, 열에서 기인하는 파손 및 박리가 잘 생기지 않는 런플랫 타이어가 요구되고 있다.
WO 2007/032405 공보에는, 사이드월에 다수의 핀(fin)을 구비한 런플랫 타이어가 개시되어 있다. 핀을 구비한 타이어의 표면적은 크다. 큰 표면적은, 타이어로부터 대기로의 방열을 촉진한다. 이 타이어는 잘 승온되지 않는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98397호 공보에는, 사이드월에 딤플을 구비한 런플랫 타이어가 개시되어 있다. 이 딤플의 표면 형상은 원이다. 이 사이드월의 표면적은 크다. 이 타이어에서는, 딤플이 난류를 발생시킨다. 큰 표면적과 난류에 의해, 사이드월로부터 대기로의 방열이 촉진된다. 이 타이어는 잘 승온되지 않는다. 이 타이어는, 펑크 상태에서의 주행시의 내구성이 우수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74886호 공보에는, 그 표면 형상이 타원인 딤플을 구비한 런플랫 타이어가 개시되어 있다. 이 타이어에서도, 딤플에 의해 사이드월로부터 대기로의 방열이 촉진된다. 이 타이어는 잘 승온되지 않는다. 이 타이어는, 펑크 상태에서의 주행시의 내구성이 우수하다.
특허문헌 1 : WO 2007/032405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98397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74886호 공보
핀, 딤플 등의 요소는,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의 피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요소는, 몰드에 의해 형성된다. 몰드는, 타이어의 요소의 형상이 반전(反轉)된 형상의 요소를 갖고 있다. 몰드의 요소는 기계 가공으로 형성된다.
기계 가공시, 요소의 피치는, 중심각(도)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것이 통례이다. 이 중심각이 무리수인 경우, 가공의 제어는 곤란하다. 이 중심각이 무리수인 경우, 이 무리수에 가까운 유리수에 기초하여 가공이 진행된다. 가공이 진행되어 감에 따라, 서서히 오차가 커진다. 오차의 교정은, 임의의 요소에 있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공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은 복잡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몰드의 가공이 용이하며, 또한 내구성이 우수한 공기 타이어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타이어는, 그 사이드면에, 요함(凹陷)된 또는 돌출된 다수의 요소를 구비한다. 이들 요소는, 둘레 방향을 따라 등피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1 주(周)당 요소의 수는, 2, 3, 4, 5, 6, 8, 9, 10, 12, 15, 16, 18, 20, 24, 25, 30, 32, 36, 40, 48, 50, 60, 72, 75, 80, 90, 100, 120, 144, 150, 160, 180, 200, 225, 240, 300, 360, 375, 400, 450, 480, 500, 600 또는 720이다.
바람직하게는, 1 주당 요소의 수는, 2, 3, 4, 5, 6, 8, 9, 10, 12, 15, 16, 18, 20, 24, 25, 30, 36, 40, 60, 72, 75, 80, 90, 100, 120, 144, 150, 180, 200, 225, 240, 300, 360, 400, 450, 600 또는 720이다.
바람직하게는, 요소의 피치는 10 ㎜ 이상 30 ㎜ 이하이다.
타이어는, 다수의 요소가 둘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제1 열과, 다른 다수의 요소가 둘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제2 열을 구비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제2 열의 요소의 수는, 제1 열의 요소의 수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제2 열의 요소의 둘레 방향 위치는, 제1 열의 요소의 둘레 방향 위치에 대하여 어긋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열의 요소와 제2 열의 요소는,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타이어는,
그 외면이 트레드면을 이루는 트레드,
각각이 상기 트레드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대략 내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월,
각각이 상기 사이드월보다 반경 방향 대략 내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비드,
상기 트레드 및 사이드월을 따르고 있고, 양(兩) 비드 사이에 걸쳐진 카커스 및
각각이 사이드월의 축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하중 지지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타이어에서는, 요소에 의해 사이드면의 큰 표면적이 달성된다. 큰 표면적은, 타이어로부터 대기로의 방열을 촉진한다. 이 요소는 또한, 타이어의 주위에 난류를 발생시킨다. 이 난류에 의해, 타이어로부터 대기로의 방열이 촉진된다. 이 타이어는 내구성이 우수하다.
이 타이어에서는, 둘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요소의 중심각이 유리수이기 때문에, 몰드의 가공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타이어의 일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타이어의 사이드면의 일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타이어의 사이드면의 일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타이어의 사이드면의 일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타이어의 사이드면의 일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타이어의 사이드면의 일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타이어의 사이드면의 일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이하, 적절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런플랫 타이어(2)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상하 방향이 타이어(2)의 반경 방향이고, 좌우 방향이 타이어(2)의 축 방향이며, 지면과의 수직 방향이 타이어(2)의 둘레 방향이다. 도 1에 있어서, 1점 쇄선 Eq는 타이어(2)의 적도면을 나타낸다. 이 타이어(2)의 형상은, 트레드 패턴(이후에 상세히 설명)을 제외하고, 적도면(Eq)에 대하여 대칭이다. 도 1에 있어서, 화살표 H는 베이스 라인(BL)(이후에 상세히 설명)으로부터의 타이어(2)의 높이를 나타낸다.
이 타이어(2)는 트레드(4), 윙(6), 사이드월(8), 클린치(10), 비드(12), 카커스(14), 하중 지지층(16), 벨트(18), 밴드(20), 이너 라이너(22) 및 체이퍼(chafer)(24)를 구비한다. 벨트(18) 및 밴드(20)는, 보강층을 구성하고 있다. 벨트(18)만으로 보강층이 구성되어도 좋다. 밴드(20)만으로 보강층이 구성되어도 좋다.
트레드(4)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트레드(4)는, 노면과 접지하는 트레드면(26)을 형성한다. 트레드면(26)에는, 홈(28)이 파여 있다. 이 홈(28)에 의해, 트레드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트레드(4)는 캡층(30)과 베이스층(32)을 갖는다. 캡층(30)은 가교 고무로 이루어진다. 베이스층(32)은 다른 가교 고무로 이루어진다. 캡층(30)은, 베이스층(32)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해 있다. 캡층(30)은 베이스층(32)에 적층되어 있다.
사이드월(8)은, 트레드(4)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대략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사이드월(8)은 가교 고무로 이루어진다. 사이드월(8)은 카커스(14)의 외상을 방지한다. 사이드월(8)은 리브(rib)(34)를 구비한다. 리브(34)는 축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펑크 상태에서의 주행시, 이 리브(34)가 림의 플랜지(36)와 접촉한다. 이 접촉에 의해, 비드(12)의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변형이 억제된 타이어(2)는, 펑크 상태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하다.
클린치(10)는, 사이드월(8)의 반경 방향 대략 내측에 위치해 있다. 클린치(10)는, 축 방향에 있어서, 비드(12) 및 카커스(14)보다 외측에 위치해 있다. 클린치(10)는 림의 플랜지(36)와 접촉하고 있다.
비드(12)는 사이드월(8)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해 있다. 비드(12)는, 코어(38)와, 이 코어(38)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에이펙스(40)를 구비한다. 코어(38)는 링형이고, 권취된 비신축성 와이어(전형적으로는 스틸제 와이어)를 포함한다. 에이펙스(40)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에이펙스(40)는, 고경도의 가교 고무로 이루어진다.
도 1에 있어서 화살표 Ha로 표시되어 있는 것은, 베이스 라인(BL)으로부터의 에이펙스(40)의 높이이다. 바꿔 말하면, 높이 Ha는, 비드의 반경 방향 외측단의, 베이스 라인으로부터의 거리이다. 이 베이스 라인(BL)은, 코어(38)의, 반경 방향에서의 가장 내측 지점을 통과한다. 이 베이스 라인(BL)은,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타이어(2)의 높이 H에 대한 에이펙스(40)의 높이 Ha의 비(Ha/H)는, 0.1 이상 0.7 이하가 바람직하다. 비(Ha/H)가 0.1 이상인 에이펙스(40)는, 펑크 상태에서 차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다. 이 에이펙스(40)는, 펑크 상태에서의 타이어(2)의 내구성에 기여한다. 이 관점에서, 비(Ha/H)는 0.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Ha/H)가 0.7 이하인 타이어(2)는, 승차감이 우수하다. 이 관점에서, 비(Ha/H)는 0.6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 1에 있어서 화살표 Hb로 표시되어 있는 것은, 최대폭의 위치(P)의, 베이스 라인(BL)으로부터의 높이이다. 높이 Hb에 대한 높이 Ha의 비율은, 80%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 비율이 80% 이상인 타이어(2)의 사이드부의 강성은 크다. 이 타이어(2)에서는, 펑크시의 사이드부의, 림 플랜지를 지지점으로 한 변형이 억제된다. 이 타이어(2)는, 펑크 상태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하다. 이 관점에서, 상기 비율은 8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통상 상태[정규 내압이 되도록 타이어(2)에 공기가 충전된 상태]에서의 승차감의 관점에서, 상기 비율은 110% 이하가 바람직하다.
카커스(14)는 카커스 플라이(42)로 이루어진다. 카커스 플라이(42)는, 양측의 비드(12) 사이에 걸쳐져 있고, 트레드(4) 및 사이드월(8)을 따르고 있다. 카커스 플라이(42)는, 코어(38)의 둘레로, 축 방향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접혀 있다. 이러한 접힘에 의해, 카커스 플라이(42)에는, 메인부(44)와 접힘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접힘부(46)의 단부(48)는, 벨트(18)의 바로 아래에까지 이르고 있다. 바꿔 말하면, 접힘부(46)는 벨트(18)와 오버랩되어 있다. 이 카커스(14)는, 소위 「울트라-하이 턴업 구조(ultra-highly turned up structure)」를 갖는다. 울트라-하이 턴업 구조를 갖는 카커스(14)는, 펑크 상태에서의 타이어(2)의 내구성에 기여한다. 이 카커스(14)는, 펑크 상태에서의 내구성에 기여한다.
카커스 플라이(42)는,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코드와 토핑 고무로 이루어진다. 각 코드가 적도면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의 절대치는, 45°내지 90°, 더 나아가 75°내지 90°이다. 바꿔 말하면, 이 카커스(14)는 레이디얼 구조를 갖는다. 코드는 유기 섬유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유기 섬유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레이온 섬유,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가 예시된다.
하중 지지층(16)은, 사이드월(8)의 축 방향 내측에 위치해 있다. 이 지지층(16)은, 카커스(14)와 이너 라이너(22) 사이에 끼어 있다. 지지층(16)은, 반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며 외측으로도 갈수록 가늘어진다. 지지층(16)은 초승달에 유사한 형상이다. 지지층(16)은, 고경도의 가교 고무로 이루어진다. 타이어(2)에 펑크가 났을 때, 지지층(16)이 하중을 지지한다. 지지층(16)에 의해, 펑크 상태라도, 타이어(2)는 어느 정도의 거리를 주행할 수 있다. 이 런플랫 타이어(2)는, 사이드 보강 타입이다. 타이어(2)는, 도 1에 도시된 지지층(16)의 형상과는 상이한 형상을 갖는 지지층을 구비해도 좋다.
카커스(14) 중, 지지층(16)과 오버랩되어 있는 부분은, 이너 라이너(22)와 떨어져 있다. 바꿔 말하면, 지지층(16)의 존재에 의해, 카커스(14)는 만곡되어 있다. 펑크 상태일 때, 지지층(16)에는 압축 하중이 가해지고, 카커스(14) 중 지지층(16)과 근접하고 있는 영역에는 인장 하중이 가해진다. 지지층(16)은 고무 덩어리이기 때문에, 압축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다. 카커스(14)의 코드는, 인장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다. 지지층(16)과 카커스 코드에 의해, 펑크 상태에서의 타이어(2)의 세로 휨이 억제된다. 세로 휨이 억제된 타이어(2)는, 펑크 상태에서의 조종 안정성이 우수하다.
펑크 상태에서의 세로 왜곡의 억제의 관점에서, 지지층(16)의 경도는 60 이상이 바람직하고, 6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통상 상태에서의 승차감의 관점에서, 경도는 90 이하가 바람직하고, 8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경도는, 「JIS K6253」의 규정에 준하여, 타입 A의 듀로미터에 의해 측정된다. 도 1에 도시된 단면에 이 듀로미터를 압박함으로써, 경도가 측정된다. 측정은, 23℃의 온도하에서 이루어진다.
지지층(16)의 하단(50)은, 에이펙스(40)의 상단(52)(즉, 비드의 반경 방향 외측단)보다, 반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에 위치해 있다. 바꿔 말하면, 지지층(16)은 에이펙스(40)와 오버랩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화살표 L1로 표시되어 있는 것은, 지지층(16)의 하단(50)과 에이펙스(40)의 상단(52)의 반경 방향 거리이다. 거리 L1은 5 ㎜ 이상 50 ㎜ 이하가 바람직하다. 거리 L1이 상기 범위인 타이어(2)에서는, 균일한 강성 분포가 얻어진다. 거리 L1은 1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거리 L1은 4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지지층(16)의 상단(54)은, 벨트(18)의 단부(56)보다 축 방향에 있어서 내측에 위치해 있다. 바꿔 말하면, 지지층(16)은 벨트(18)와 오버랩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화살표 L2로 표시되어 있는 것은, 지지층(16)의 상단(54)과 벨트(18)의 단부(56)의 축 방향 거리이다. 거리 L2는 2 ㎜ 이상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거리 L2가 상기 범위인 타이어(2)에서는, 균일한 강성 분포가 얻어진다. 거리 L2는 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거리 L2는 4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펑크 상태에서의 세로 왜곡의 억제의 관점에서, 지지층(16)의 최대 두께는 3 ㎜ 이상이 바람직하고, 4 ㎜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타이어(2)의 경량화의 관점에서, 최대 두께는 15 ㎜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벨트(18)는, 카커스(14)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해 있다. 벨트(18)는, 카커스(14)에 적층되어 있다. 벨트(18)는 카커스(14)를 보강한다. 벨트(18)는, 내측층(58) 및 외측층(60)으로 이루어진다. 도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내측층(58)의 폭은 외측층(60)의 폭보다 약간 크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내측층(58) 및 외측층(60) 각각은,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코드와 토핑 고무로 이루어진다. 각 코드는, 적도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경사 각도의 절대치는, 통상은 10°이상 35°이하이다. 내측층(58)의 코드의 적도면에 대한 경사 방향은, 외측층(60)의 코드의 적도면에 대한 경사 방향과는 반대이다. 코드의 바람직한 재질은 스틸이다. 코드에 유기 섬유가 이용되어도 좋다. 벨트(18)의 축 방향 폭은, 타이어(2)의 최대폭(이후에 상세히 설명)의 0.85배 이상 1.0배 이하가 바람직하다. 벨트(18)가 3 이상의 층을 구비해도 좋다.
밴드(20)는 벨트(18)를 덮고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 밴드(20)는 코드와 토핑 고무로 이루어진다. 코드는 나선형으로 감겨 있다. 밴드(20)는, 소위 조인트리스 구조를 갖는다. 코드는, 실질적으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둘레 방향에 대한 코드의 각도는, 5°이하, 더 나아가 2°이하이다. 이 코드에 의해 벨트(18)가 구속되기 때문에, 벨트(18)의 리프팅이 억제된다. 코드는 유기 섬유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유기 섬유로는, 나일론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레이온 섬유,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가 예시된다.
타이어(2)는 밴드(20) 대신에, 벨트(18)의 단부(56)의 근방만을 덮는 에지 밴드를 구비해도 좋다. 타이어(2)는 밴드(20)와 함께, 에지 밴드를 구비해도 좋다.
이너 라이너(22)는, 카커스(14)의 내주면에 접합되어 있다. 이너 라이너(22)는 가교 고무로 이루어진다. 이너 라이너(22)에는, 공기 차폐성이 우수한 고무가 이용되고 있다. 이너 라이너(22)는 타이어(2)의 내압을 유지한다.
도 2에 있어서, 상하 방향은 반경 방향이고,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은 둘레 방향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2)는, 그 사이드면에 다수의 딤플(62)(요소)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이드면이란, 타이어(2)의 외면 중 축 방향으로부터 눈으로 확인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전형적으로는, 딤플(62)은, 사이드월(8)의 표면에 형성된다. 사이드월(8) 중 딤플(62) 이외의 부분은, 랜드(64)이다. 도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딤플(62)은 랜드(64)로부터 요함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딤플(62)의 윤곽은 대략 직사각형이다. 다만, 코너는 라운딩되어 있다. 사이드면은 딤플(62) 대신에, 돌출된 요소를 구비해도 좋다. 돌출된 요소의 전형적인 예는 핀이다.
딤플(62)을 갖는 사이드월(8)의 표면적은, 딤플(62)이 없는 것으로 가정되었을 때의 사이드월(8)의 표면적보다 크다. 타이어(2)의 대기와의 접촉 면적은 크다. 큰 접촉 면적에 의해, 타이어(2)로부터 대기로의 방열이 촉진된다.
타이어(2)는 주행시에 회전한다. 타이어(2)가 장착된 차량은 진행한다. 타이어(2)의 회전과 차량의 진행에 의해, 딤플(62)을 가로질러 공기가 흐른다. 이 때, 공기의 흐름에 소용돌이가 생긴다. 바꿔 말하면, 딤플(62)에 있어서 난류가 생긴다. 펑크 상태에서 타이어(2)의 주행이 계속되면, 지지층(16)의 변형과 복원이 반복된다. 이 반복에 의해, 지지층(16)에서 열이 발생한다. 난류는, 이 열의 대기로의 방출을 촉진한다. 타이어(2)에서는, 열에 의한 고무 부재의 파손 및 고무 부재 사이의 박리가 억제된다. 타이어(2)는, 펑크 상태에서의 장시간의 주행이 가능하다. 난류는, 펑크 상태뿐만 아니라, 통상 상태에서의 방열에도 기여한다. 딤플(62)은, 통상 상태에서의 타이어(2)의 내구성에도 기여한다.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해, 내압이 정규치보다 작은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의 타이어(2)의 내구성에도, 딤플(62)은 기여할 수 있다.
타이어(2)에서는, 딤플(62)에 의해 승온이 억제되기 때문에, 지지층(16)이 얇더라도, 펑크 상태에서의 장시간의 주행이 가능하다. 얇은 지지층(16)에 의해, 타이어(2)의 경량화가 달성된다. 얇은 지지층(16)에 의해, 구름 저항이 억제된다. 경량이며 또한 구름 저항이 작은 타이어(2)는, 차량의 저연비에 기여한다. 또한, 얇은 지지층(16)에 의해, 우수한 승차감도 달성된다.
도 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딤플(62)은, 제1 열(Ⅰ)의 딤플(62)과, 제2 열(Ⅱ)의 딤플(62)로 구별될 수 있다. 이 타이어(2)의 열의 수는 2이다. 열의 수는, 2 이상 6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2 열(Ⅱ)의 딤플(62)은, 제1 열(Ⅰ)의 딤플(62)보다, 반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에 위치해 있다. 제1 열(Ⅰ)의 딤플(62)은, 둘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1 열의 모든 딤플(62)의 형상은 동일하다. 제1 열(Ⅰ)에서는, 등피치로 딤플(62)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2 열(Ⅱ)의 딤플(62)도, 둘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2 열(Ⅱ)의 모든 딤플(62)의 형상은 동일하다. 제2 열(Ⅱ)에서도, 등피치로 딤플(62)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1 열(Ⅰ)의 딤플(62)의 수는, 제2 열(Ⅱ)의 딤플(62)의 수와 동일하다.
도 2에 있어서 화살표 θ로 표시되어 있는 것은, 인접하는 딤플(62)간의 중심각(도)이다. 이하, 이 중심각을 「피치각」이라고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열(Ⅰ)의 딤플(62)의 수는, 제2 열(Ⅱ)의 딤플(62)의 수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열에서의 피치각은, 제2 열에서의 피치각과 동일하다. 타이어(2)를 위한 몰드의 가공이 준비될 때, 제1 열(Ⅰ)의 피치각의 계산 결과를, 그대로 제2 열(Ⅱ)의 피치각의 계산에 이용할 수 있다. 이 몰드의 가공은 용이하다. 제1 열(Ⅰ)의 딤플(62)의 수가, 제2 열(Ⅱ)의 딤플(62)의 수와 상이해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열(Ⅱ)의 딤플(62)은, 제1 열(Ⅰ)의 딤플(62)보다, 반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제1 열에서의 딤플(62)의 피치(㎜)는, 제2 열에서의 딤플(62)의 피치(㎜)보다 약간 크다.
360을 딤플(62)의 수로 나눈 값이, 피치각이다. 피치각이 유리수가 되는 딤플(62)의 수가 선택되면, 오차 교정의 프로그램은 불필요하다. 피치각이 유리수인 경우, 타이어(2)를 위한 몰드의 가공은 용이하다. 피치각이 유리수가 되는 딤플(62)의 수로서, 2, 3, 4, 5, 6, 8, 9, 10, 12, 15, 16, 18, 20, 24, 25, 30, 32, 36, 40, 48, 50, 60, 72, 75, 80, 90, 100, 120, 144, 150, 160, 180, 200, 225, 240, 300, 360, 375, 400, 450, 480, 500, 600 및 720이 예시된다.
1열당 딤플(62)의 수가 2, 3, 4, 5, 6, 8, 9, 10, 12, 15, 16, 18, 20, 24, 25, 30, 36, 40, 48, 50, 60, 72, 75, 80, 90, 100, 120, 144, 150, 180, 200, 225, 240, 300, 360, 400, 450, 600 또는 720인 경우의, 피치각의 소수점 이하의 자릿수는, 0 또는 1이다. 이 경우의 몰드의 가공은 매우 용이하다.
딤플(62)의 피치는 10 ㎜ 이상 30 ㎜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피치가 10 ㎜ 이상인 타이어(2)에서는, 개개의 딤플(62)이 충분한 크기를 구비할 수 있다. 딤플(62)은 난류 발생에 기여한다. 상기 피치가 10 ㎜ 이상인 타이어(2)는 경량이다. 이들 관점에서, 피치는 15 ㎜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피치가 30 ㎜ 이하인 타이어(2)는, 다수의 딤플(62)을 가질 수 있다. 타이어(2)에서는, 난류가 다수의 개소에서 생길 수 있다. 이 관점에서, 피치는 25 ㎜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절한 피치가 달성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1열당 딤플(62)의 수는 60, 72, 75, 80, 90, 100, 120, 144, 150, 160, 180 또는 200이 바람직하다.
각 딤플(62)의 둘레 방향 길이(㎜)의, 피치(㎜)에 대한 비율은, 70%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이 70% 이상인 타이어(2)에서는, 승온이 억제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상기 비율은 8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랜드(64)의 강도의 관점에서, 상기 비율은 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어(2)의 제조에서는, 복수의 고무 부재가 어셈블리되어, 로 커버(raw cover)(미가교 타이어)가 얻어진다. 이 로 커버가 몰드에 투입된다. 로 커버의 외면은, 몰드의 캐비티면과 접촉한다. 로 커버의 내면은, 블래더 또는 코어에 접촉한다. 로 커버는, 몰드 내에서 가압 및 가열된다. 가압 및 가열에 의해, 로 커버의 고무 조성물이 유동한다. 가열에 의해 고무가 가교 반응을 일으켜, 타이어(2)가 얻어진다. 그 캐비티면에 핌플(pimple)을 갖는 몰드가 이용됨으로써, 타이어(2)에 딤플(62)이 형성된다.
타이어의 각 부위의 치수 및 각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타이어가 정규 림에 조립되고, 정규 내압이 되도록 타이어에 공기가 충전된 상태에서 측정된다. 측정시에는, 타이어에는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정규 림이란, 타이어가 의거하는 규격에 있어서 정해진 림을 의미한다. JATMA 규격에서의 「표준 림」, TRA 규격에서의 「Design Rim」, 및 ETRTO 규격에서의 「Measuring Rim」이 정규 림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정규 내압이란, 타이어가 의거하는 규격에 있어서 정해진 내압을 의미한다. JATMA 규격에서의 「최고 공기압」, TRA 규격에서의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에 게재된 「최대치」, 및 ETRTO 규격에서의 「INFLATION PRESSURE」가 정규 내압이다. 다만, 승용차 타이어의 경우, 내압이 180 kPa인 상태에서, 치수 및 각도가 측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타이어(66)의 사이드면의 일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이 타이어(66)는, 다수의 딤플(62)을 구비한다. 타이어(66)의 딤플(62) 이외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타이어(2)와 동일하다.
도 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딤플(62)은, 제1 열(Ⅰ)의 딤플(62)과, 제2 열(Ⅱ)의 딤플(62)로 구별될 수 있다. 이 타이어(66)의 열의 수는 2이다. 제2 열(Ⅱ)의 딤플(62)은, 제1 열(Ⅰ)의 딤플(62)보다, 반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에 위치해 있다. 제1 열(Ⅰ)의 딤플(62)은, 둘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1 열의 모든 딤플(62)의 형상은 동일하다. 제1 열(Ⅰ)에서는, 등피치로 딤플(62)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2 열(Ⅱ)의 딤플(62)도, 둘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2 열(Ⅱ)의 모든 딤플(62)의 형상은 동일하다. 제2 열(Ⅱ)에서도, 등피치로 딤플(62)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1 열(Ⅰ)의 딤플(62)의 수는, 제2 열(Ⅱ)의 딤플(62)의 수와 동일하다.
타이어(66)에서도, 피치각 θ가 유리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치각 θ의 소수점 이하의 자릿수는, 0 또는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제2 열(Ⅱ)의 딤플(62)의 둘레 방향 위치는, 제1 열(Ⅰ)의 딤플(62)의 둘레 방향 위치에 대하여 어긋나 있다. 어긋남의 양은, 피치각의 1/2이다. 바꿔 말하면, 제1 열(Ⅰ)의 딤플(62)과 제2 열(Ⅱ)의 딤플(62)은,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타이어(66)에서는, 난류의 발생 개소가 분산된다. 타이어(66)에서는, 난류에 의한 방열 효과가 크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타이어(68)의 사이드면의 일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이 타이어(68)는 다수의 딤플(62)을 구비한다. 타이어(68)의 딤플(62) 이외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타이어(2)와 동일하다.
도 4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딤플(62)은 제1 열(Ⅰ)의 딤플(62)과, 제2 열(Ⅱ)의 딤플(62)과, 제3 열(Ⅲ)의 딤플(62)로 구별될 수 있다. 이 타이어(68)의 열의 수는 3이다. 제2 열(Ⅱ)의 딤플(62)은, 제1 열(Ⅰ)의 딤플(62)보다, 반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에 위치해 있다. 제3 열(Ⅲ)의 딤플(62)은, 제2 열(Ⅱ)의 딤플(62)보다, 반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에 위치해 있다. 제1 열(Ⅰ)의 딤플(62)은, 둘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1 열의 모든 딤플(62)의 형상은 동일하다. 제1 열(Ⅰ)에서는, 등피치로 딤플(62)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2 열(Ⅱ)의 딤플(62)도, 둘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2 열(Ⅱ)의 모든 딤플(62)의 형상은 동일하다. 제2 열(Ⅱ)에서도, 등피치로 딤플(62)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3 열(Ⅲ)의 딤플(62)도, 둘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3 열(Ⅲ)의 모든 딤플(62)의 형상은 동일하다. 제3 열(Ⅲ)에서도, 등피치로 딤플(62)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1 열(Ⅰ)의 딤플(62)의 수는 제2 열(Ⅱ)의 딤플(62)의 수와 동일하고, 제3 열(Ⅲ)의 딤플(62)의 수와도 동일하다. 이 타이어(68)에서도, 딤플(62)에 의해 방열이 촉진된다.
이 타이어(68)에서도, 피치각 θ가 유리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치각 θ의 소수점 이하의 자릿수는, 0 또는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타이어(70)의 사이드면의 일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이 타이어(70)는, 다수의 딤플(62)을 구비한다. 타이어(70)의 딤플(62) 이외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타이어(2)와 동일하다.
도 5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딤플(62)은, 제1 열(Ⅰ)의 딤플(62)과, 제2 열(Ⅱ)의 딤플(62)과, 제3 열(Ⅲ)의 딤플(62)로 구별될 수 있다. 이 타이어(70)의 열의 수는 3이다. 제2 열(Ⅱ)의 딤플(62)은, 제1 열(Ⅰ)의 딤플(62)보다, 반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에 위치해 있다. 제3 열(Ⅲ)의 딤플(62)은, 제2 열(Ⅱ)의 딤플(62)보다, 반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에 위치해 있다. 제1 열(Ⅰ)의 딤플(62)은, 둘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1 열의 모든 딤플(62)의 형상은 동일하다. 제1 열(Ⅰ)에서는, 등피치로 딤플(62)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2 열(Ⅱ)의 딤플(62)도, 둘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2 열(Ⅱ)의 모든 딤플(62)의 형상은 동일하다. 제2 열(Ⅱ)에서도, 등피치로 딤플(62)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3 열(Ⅲ)의 딤플(62)도, 둘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3 열(Ⅲ)의 모든 딤플(62)의 형상은 동일하다. 제3 열(Ⅲ)에서도, 등피치로 딤플(62)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1 열(Ⅰ)의 딤플(62)의 수는 제2 열(Ⅱ)의 딤플(62)의 수와 동일하고, 제3 열(Ⅲ)의 딤플(62)의 수와도 동일하다.
이 타이어(70)에서도, 피치각 θ가 유리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치각 θ의 소수점 이하의 자릿수는, 0 또는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제2 열(Ⅱ)의 딤플(62)의 둘레 방향 위치는, 제1 열(Ⅰ)의 딤플(62)의 둘레 방향 위치에 대하여 어긋나 있다. 어긋남의 양은, 피치각의 1/3이다. 어긋남의 방향은, 도 5에서의 반시계 방향이다. 제3 열(Ⅲ)의 딤플(62)의 둘레 방향 위치는, 제2 열(Ⅱ)의 딤플(62)의 둘레 방향 위치에 대하여 어긋나 있다. 어긋남의 양은, 피치각의 1/3이다. 어긋남의 방향은, 도 5에서의 반시계 방향이다. 타이어(70)에서는, 난류의 발생 개소가 분산된다. 타이어(70)에서는, 난류에 의한 방열 효과가 크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타이어(72)의 사이드면의 일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이 타이어(72)는 다수의 딤플(62)을 구비한다. 타이어(72)의 딤플(62) 이외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타이어(2)와 동일하다.
도 6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딤플(62)은, 제1 열(Ⅰ)의 딤플(62)과, 제2 열(Ⅱ)의 딤플(62)과, 제3 열(Ⅲ)의 딤플(62)로 구별될 수 있다. 이 타이어(72)의 열의 수는 3이다. 제2 열(Ⅱ)의 딤플(62)은, 제1 열(Ⅰ)의 딤플(62)보다, 반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에 위치해 있다. 제3 열(Ⅲ)의 딤플(62)은, 제2 열(Ⅱ)의 딤플(62)보다, 반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에 위치해 있다. 제1 열(Ⅰ)의 딤플(62)은, 둘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1 열의 모든 딤플(62)의 형상은 동일하다. 제1 열(Ⅰ)에서는, 등피치로 딤플(62)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2 열(Ⅱ)의 딤플(62)도, 둘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2 열(Ⅱ)의 모든 딤플(62)의 형상은 동일하다. 제2 열(Ⅱ)에서도, 등피치로 딤플(62)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3 열(Ⅲ)의 딤플(62)도, 둘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3 열(Ⅲ)의 모든 딤플(62)의 형상은 동일하다. 제3 열(Ⅲ)에서도, 등피치로 딤플(62)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1 열(Ⅰ)의 딤플(62)의 수는 제2 열(Ⅱ)의 딤플(62)의 수와 동일하고, 제3 열(Ⅲ)의 딤플(62)의 수와도 동일하다.
이 타이어(72)에서도, 피치각 θ가 유리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치각 θ의 소수점 이하의 자릿수는, 0 또는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제2 열(Ⅱ)의 딤플(62)의 둘레 방향 위치는, 제1 열(Ⅰ)의 딤플(62)의 둘레 방향 위치에 대하여 어긋나 있다. 어긋남의 양은, 피치각의 1/2이다. 바꿔 말하면, 제1 열(Ⅰ)의 딤플(62)과 제2 열(Ⅱ)의 딤플(62)은,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제3 열(Ⅲ)의 딤플(62)의 둘레 방향 위치는, 제2 열(Ⅱ)의 딤플(62)의 둘레 방향 위치에 대하여 어긋나 있다. 어긋남의 양은, 피치각의 1/2이다. 바꿔 말하면, 제2 열(Ⅱ)의 딤플(62)과 제3 열(Ⅲ)의 딤플(62)은,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타이어(72)에서는, 난류의 발생 개소가 분산된다. 타이어(72)에서는, 난류에 의한 방열 효과가 크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공기 타이어(74)의 사이드면의 일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이 타이어(74)는, 다수의 딤플(76, 78)을 구비한다. 타이어(74)의 딤플(76, 78) 이외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타이어(2)와 동일하다.
도 7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제1 열(Ⅰ)은 대딤플(76)과 소딤플(78)로 이루어진다. 대딤플(76)과 소딤플(78)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대딤플(76)과 하나의 소딤플(78)로부터, 하나의 요소(80)가 형성된다. 제2 열(Ⅱ)도 대딤플(76)과 소딤플(78)로 이루어진다. 대딤플(76)과 소딤플(78)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대딤플(76)과 하나의 소딤플(78)로부터, 하나의 요소(80)가 형성된다.
제2 열(Ⅱ)의 요소(80)는, 제1 열(Ⅰ)의 요소(80)보다, 반경 방향에 있어서 내측에 위치해 있다. 제1 열(Ⅰ)의 요소(80)는, 둘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1 열(Ⅰ)에서는, 등피치로 요소(80)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2 열(Ⅱ)의 딤플(62)도, 둘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2 열(Ⅱ)에서도, 등피치로 요소(80)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1 열(Ⅰ)의 요소(80)의 수는, 제2 열(Ⅱ)의 요소(80)의 수와 동일하다.
타이어(74)에서도, 요소(80)의 피치각 θ가 유리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치각 θ의 소수점 이하의 자릿수는, 0 또는 1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가 분명해지지만, 이 실시예의 기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도 3에 도시된 런플랫 타이어를 제작했다. 이 타이어의 사이즈는, 245/40R19이다. 이 타이어의 사이드면은, 제1 열의 딤플 및 제2 열의 딤플을 구비한다. 제1 열의 딤플의 수는 180이고, 제2 열의 딤플의 수는 180이다.
[실시예 2-6 및 비교예 1]
제1 열 및 제2 열의 딤플의 수를 하기의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6 및 비교예 1의 타이어를 얻었다.
[실시예 7]
도 4에 도시된 런플랫 타이어를 제작했다. 이 타이어의 사이즈는, 215/50R17이다. 이 타이어의 사이드면은, 제1 열의 딤플, 제2 열의 딤플 및 제3 열의 딤플을 구비한다. 각 열의 딤플의 수는 90이다.
[실시예 8-11 및 비교예 2]
제1 열, 제2 열 및 제3 열의 딤플의 수를 하기의 표 3 및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한 것 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8-11 및 비교예 2의 타이어를 얻었다.
[실시예 12 및 13]
딤플의 배치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것 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2의 타이어를 얻었다. 딤플의 배치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것 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3의 타이어를 얻었다.
[주행 시험]
타이어를 림에 조립하고, 이 타이어에, 내압이 220 kPa이 되도록 공기를 충전했다. 이 타이어의 밸브 코어를 빼내어, 타이어의 내부를 대기와 연통시켰다. 이 타이어를 드럼 상에서 주행시켰다. 주행 개시로부터 15분 후의 사이드면의 평균 온도를, 서모그래피로 측정했다. 또한 주행을 계속시켜, 타이어로부터 이음(異音)이 발생할 때까지의 주행 거리를 측정했다. 그 결과가, 지수로서, 하기의 표 1-표 5에 기재되어 있다. 평균 온도의 지수는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주행 거리의 지수는 클수록 바람직하다. 실시예 1-6 및 비교예 1에 관련된 타이어의 시험 조건은 이하와 같다.
하중 : 4.3 kN
림 : 8.5 J
속도 : 80 ㎞/h
실시예 7-13 및 비교예 2에 관련된 타이어의 시험 조건은 이하와 같다.
하중 : 3.8 kN
림 : 7 J
속도 : 80 ㎞/h
[질량의 측정]
딤플을 형성함으로써 증가하는 타이어의 질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가, 지수로서, 하기의 표 1-표 5에 기재되어 있다. 지수가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가공 준비 시간의 산출]
몰드 가공의 준비 시간을 산출했다. 그 결과가, 지수로서, 하기의 표 1-표 5에 기재되어 있다. 지수가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준비 시간의 상세한 사항이, 하기의 표 6-표 8에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14044190175-pct00001
Figure 112014044190175-pct00002
Figure 112014044190175-pct00003
Figure 112014044190175-pct00004
Figure 112014044190175-pct00005
Figure 112014044190175-pct00006
Figure 112014044190175-pct00007
Figure 112014044190175-pct00008
표 1-표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실시예의 타이어에서는, 내구성과 몰드 가공의 용이성이 양립되어 있다. 이 평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우위성은 분명하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타이어는, 여러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
2, 66, 68, 70, 72, 74 : 타이어 4 : 트레드
8 : 사이드월 10 : 클린치
12 : 비드 14 : 카커스
16 : 지지층 18 : 벨트
20 : 밴드 62, 76, 78 : 딤플
64 : 랜드 80 : 요소

Claims (8)

  1. 그 사이드면에, 요함(凹陷)된 또는 돌출된 다수의 요소를 구비하고,
    이들 요소는, 둘레 방향을 따라 10 mm 이상 30 mm 이하의 등피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요소의 둘레 방향 길이의 피치에 대한 비율은 70% 이상 95% 이하이고,
    1 주(周)당 요소의 수는 60, 72, 75, 80, 90, 100, 120, 144, 150, 160, 180 또는 200인 것인 공기 타이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요소는 둘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제1 열과, 다른 다수의 요소가 둘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제2 열을 구비하는 것인 공기 타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의 요소의 수는, 상기 제1 열의 요소의 수와 동일한 것인 공기 타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의 요소의 둘레 방향 위치는, 상기 제1 열의 요소의 둘레 방향 위치에 대하여 어긋나 있는 것인 공기 타이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의 요소와 상기 제2 열의 요소는,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것인 공기 타이어.
  8. 제1항에 있어서, 그 외면이 트레드면을 이루는 트레드,
    각각이 상기 트레드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월,
    각각이 상기 사이드월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비드,
    상기 트레드 및 사이드월을 따르고 있고, 양 비드 사이에 걸쳐진 카커스, 및
    각각이 사이드월의 축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하중 지지층
    을 구비하는 공기 타이어.
KR1020147012656A 2011-10-31 2012-10-24 공기 타이어 KR1015796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38103A JP5695543B2 (ja) 2011-10-31 2011-10-31 空気入りタイヤ
JPJP-P-2011-238103 2011-10-31
PCT/JP2012/077493 WO2013065552A1 (ja) 2011-10-31 2012-10-24 空気入りタ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396A KR20140074396A (ko) 2014-06-17
KR101579699B1 true KR101579699B1 (ko) 2015-12-22

Family

ID=4819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656A KR101579699B1 (ko) 2011-10-31 2012-10-24 공기 타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238571A1 (ko)
EP (1) EP2754570B1 (ko)
JP (1) JP5695543B2 (ko)
KR (1) KR101579699B1 (ko)
CN (1) CN104024003B (ko)
WO (1) WO20130655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9229B1 (fr) * 2013-08-05 2015-07-17 Michelin & Cie Moule pour pneumatique comportant un insert annulaire demontable
DE102013108949A1 (de) * 2013-08-20 2015-02-26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JP6454472B2 (ja) * 2014-02-03 2019-01-1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ランフラットラジアルタイヤ
JP6454471B2 (ja) * 2014-02-03 2019-01-1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ランフラットラジアルタイヤ
JP6347979B2 (ja) * 2014-04-18 2018-06-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サイド補強型ランフラットラジアルタイヤ
JP6186334B2 (ja) * 2014-10-20 2017-08-2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US11225112B2 (en) 2017-07-24 2022-01-18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Sidewall treatment for cooling and aerodynamics
JP6947579B2 (ja) * 2017-08-01 2021-10-13 Toyo Tire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947578B2 (ja) * 2017-08-01 2021-10-13 Toyo Tire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US11807048B2 (en) * 2017-11-22 2023-11-07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Tire, the sidewall of which comprises ribs
JP7119632B2 (ja) * 2018-06-20 2022-08-1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2007A (ja) * 2007-03-12 2008-09-25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2009029383A (ja) * 2007-07-30 2009-02-12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2010274886A (ja) * 2009-06-01 2010-12-09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4223A (en) * 1980-01-25 1984-10-0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preading noise generated by load supporting elements of a tire tread
JPH04238703A (ja) * 1991-01-10 1992-08-26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4826110B2 (ja) * 2005-03-16 2011-11-30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DE602006014174D1 (de) 2005-09-13 2010-06-17 Bridgestone Corp Luftreifen
CN101772430B (zh) * 2007-07-30 2012-02-29 株式会社普利司通 充气轮胎
CN101909907B (zh) * 2007-12-28 2014-03-12 株式会社普利司通 充气轮胎
JP5254126B2 (ja) * 2008-05-16 2013-08-0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4801702B2 (ja) * 2008-07-31 2011-10-2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10116091A (ja) * 2008-11-14 2010-05-27 Toyota Motor Corp ランフラットタイヤ
US20120097305A1 (en) * 2009-04-28 2012-04-26 Bridgestone Corporation Pneumatic tire
RU2509655C2 (ru) * 2009-06-01 2014-03-20 Сумитомо Раббер Индастриз, Лтд.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JP4709315B2 (ja) * 2009-08-31 2011-06-2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BR112013002688A2 (pt) * 2010-08-05 2016-05-31 Bridgestone Corp pneu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2007A (ja) * 2007-03-12 2008-09-25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2009029383A (ja) * 2007-07-30 2009-02-12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2010274886A (ja) * 2009-06-01 2010-12-09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24003B (zh) 2018-03-20
EP2754570A1 (en) 2014-07-16
CN104024003A (zh) 2014-09-03
KR20140074396A (ko) 2014-06-17
EP2754570A4 (en) 2015-07-01
WO2013065552A1 (ja) 2013-05-10
JP2013095211A (ja) 2013-05-20
JP5695543B2 (ja) 2015-04-08
EP2754570B1 (en) 2018-03-28
US20140238571A1 (en) 201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699B1 (ko) 공기 타이어
JP5589015B2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13018644A1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13038903A1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
JP2010280322A (ja) 空気入りタイヤ
JP5299913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474444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140044936A (ko) 공기 타이어
US9849732B2 (en) Pneumatic tire with side wall having circumferential rows of dimples
JP6819213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10974548B2 (en) Pneumatic tire
JP6300342B2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
KR101569642B1 (ko) 공기 타이어
JP5294997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480984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140118720A (ko) 공기 타이어
JP2016165916A (ja) 空気入りタイヤ
JP6819380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0143245A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