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983B1 - 착용 가능한 장치 - Google Patents

착용 가능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983B1
KR101578983B1 KR1020137003848A KR20137003848A KR101578983B1 KR 101578983 B1 KR101578983 B1 KR 101578983B1 KR 1020137003848 A KR1020137003848 A KR 1020137003848A KR 20137003848 A KR20137003848 A KR 20137003848A KR 101578983 B1 KR101578983 B1 KR 101578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wearable device
frame
wheel assembly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0331A (ko
Inventor
로저 알 아담스
Original Assignee
로저 알 아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저 알 아담스 filed Critical 로저 알 아담스
Publication of KR20130030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A63C17/226Wheel mounting, i.e. arrangement connecting wheel and axle mou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6Skating boots
    • A43B5/1666Skating boots characterised by the upp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43C11/1493Strap fastenings having hook and loop-type fasten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4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hock absorption or suspension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7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offset wheel, i.e. wheel contact point to surface offset from other associated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in two p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A63C17/223Wheel hu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 A63C17/26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with foot bindings or suppo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6Roller skates; Skate-boards for use on specially shaped or arranged runw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선택적으로 롤러 주행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착용 가능한 장치는, 착용 가능한 장치의 사용자의 발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신발로서, 발의 바닥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발 경계면을 포함하는 신발, 회전 축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한 휠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의 회전에 응답하여 지표면에 대해 선택적으로 롤링하도록 구성되는 휠 조립체, 그리고 신발과 휠 조립체 사이에 결합되는 프레임으로서, 신발과 휠 조립체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지표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오프셋된 틈새 평면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착용 가능한 장치{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착용 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발과 같은 일부 착용 가능한 장치는, 사용자의 발을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발에 착용될 수 있는 한편, 또한 보행 운동을 개선할 수 있다. 신발의 사용에 기인하는 보행 운동에 있어서의 일부 개선은, 보다 빠른 속도의 허용, 개선된 안정성, 및/또는 보행 운동 동안 가로지르는, 지표면과 같은 표면의 요소로부터의 차단(insul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스케이트보드와 같은 다른 장치는, 통합된 롤러 요소를 갖춘 장치가 없으면 사용자에게 가능하지 않은 보행 운동을 사용자가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과 관련될 수 있는 롤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스케이트와 같은 일부 착용 가능한 장치는, 신발의 특징을 롤러 요소와 조합하여 통합된 롤러 요소를 갖춘 착용 가능한 장치가 없으면 사용자에게 가능하지 않은 보행 운동을 사용자가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담스 로저 알(Roger R. Adams)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물의 유일한 발명자로서, 또한 이전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6,450,509호(이하에서는 '509 특허라고 함)를 포함한 다양한 특허의 유일한 발명자인데, 상기 다양한 특허들 중에서도 상기 미국 특허 제6,450,509호는 신발의 뒤꿈치에 단일의 휠을 제공하는 혁신적인 개념을 개시하고 있다. '509 특허의 발명의 사상 중 일부는 "힐리스(Heelys)"라는 미국 상표로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다. 본 특허 출원에 있어서, 아담스 로저 알은 현재의 롤러 장치의 복수의 단점을 개시하며, 확인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추가적인 이익 및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신규의 혁신적인 대상을 또한 개시한다.
일부 소위 "롤러 장치"는 하나 이상의 롤러 요소가 통합된 신발의 특징을 제공한다. 다른 롤러 장치는,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수 있는 신발에 하나 이상의 롤러 요소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방식으로, 앞서 설명한 롤러 장치 각각은 "롤러 주행(roller transportation)"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데, 이 롤러 주행에 있어서 롤러 장치 자체, 롤러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 및/또는 대상 및/또는 롤러 장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탱되는 사용자에게는, 롤러 장치의 하나 이상의 롤러 요소의 롤링(rolling)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인하는 병진 운동이 제공된다. 롤러 주행은 롤러 장치에 의해 지탱되는 대상 또는 사용자의 실제 주행을 위해, 레크레이션 목적을 위해, 및/또는 롤러 장치의 경기 및/또는 운동 용도를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롤러 주행은, 더욱 빠르고 더 적은 일을 필요로 하며 더욱 조용하고 주의 감독이 덜 필요한 방식으로 및/또는 주행을 위한 다른 이용 가능한 및/또는 경제적인 수단보다 일반적으로 더욱 안전한 방식으로 출발 위치로부터 도착 위치까지 사용자 및/또는 대상의 주행을 달성함으로써 롤러 장치에 의해 지탱되는 대상 및/또는 사용자의 주행을 제공하는 실제적인 목적을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발에 롤러 장치를 부착할 수 있고, 롤러 장치의 도움 없이 동일한 사용자가 해당 거리를 이동하는 것보다 짧은 시간에 상기 거리에 걸친 롤러 주행을 행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롤러 장치를 사용하여 소정 거리에 걸쳐 사용자 및/또는 대상이 주행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더 적은 일 또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롤러 장치는, 물리적으로 더 적은 일 및/또는 에너지를 이용한 주행을 제공하기 위해 롤러 장치의 롤러 요소가 사용자 및/또는 대상의 중력에 따른 위치 에너지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및/또는 대상을 내리막에서 주행시킬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롤러 주행은, 사용자 및/또는 대상의 병진 운동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충격력의 감소로 인해 사용자 및/또는 대상의 더욱 조용한 및/또는 더욱 원활한 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 및/또는 대상의 이러한 주행은, 병진 운동을 제공하는 다른 수단과 비교할 때 더 적은 주의 감독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롤러 장치는 병진 운동의 초기 방향으로부터 의도치 않은 이탈을 허용하는 것에 대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병진 운동 동안 반복적인 경로 수정에 대해 관심 및/또는 주의를 덜 필요로 하면서 병진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경우에 있어서, 롤러 주행은, 가로지르는 표면과의 접촉점이 주기적으로 형성 및 제거되는 도보 및/또는 달리기와 같은 병진 운동의 대안적인 수단과는 대조적으로, 가로지르는 표면과 더 많은 수의 접촉점을 일반적으로 유지함으로써 더욱 안전한 병진 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롤러 주행의 일부 형태는 예컨대 "코스팅(coasting)" -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님 - 인 병진 운동 구간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 구간 동안 사용자는 가로지르는 지표면 및 사용자의 각각의 발과 관련되는 다수의 접촉점을 이용할 수 있도록 더 넓은 지지 기초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는 그 발을 지표면으로부터 떨어뜨리지 않은 채로 코스팅함으로써 지표면을 가로지를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일부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지표면과의 8개의 접촉점, 즉 각각의 발과 관련하여 4개의 접촉점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롤러 장치의 일부 실시예를 이용하는 이러한 코스팅 동안, 사용자는 지표면을 계속 가로지르기 위해 일반적으로 지표면과 사용자의 두 발 중 어느 하나 사이의 접촉을 떨어뜨릴 - 앞서 설명한 접촉점의 주기적인 형성 및 제거에 해당함 - 필요가 없다. 더욱이, 롤러 주행은, 예컨대 더욱 신속하고/신속하거나 효율적으로 고객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레스토랑에서의 웨이터 직원이 롤러 장치를 착용할 수 있는 경우 등이라면, 경제적인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롤러 장치는 레크레이션용 주행의 소스로서 롤러 주행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사용자에 있어서, 롤러 주행은 도보, 달리기, 및/또는 다른 병진 운동 수단에 비해 선호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롤러 장치의 사용자는 인도, 널판지가 깔린 도로, 및/또는 먼 길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는 것을 즐길 수 있다. 이러한 레크레이션용 주행은, 일부 경우에 있어서, 소위 "전통적인 4륜 타입의 롤러 스케이트" 및/또는 소위 "인라인 스케이트"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사용자에 있어서, 롤러 장치에 의해 이용 가능하게 되는 롤러 주행은, 매력적인 주행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때 롤러 장치를 이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술은 다른 사용자의 롤러 주행 기술에 대해 경쟁적으로 맞붙을 수 있는 기술로서 점점 더 학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사용자는, 롤러 장치를 이용한 스피드 레이싱, 롤러 장치를 이용한 소위 "트릭(tricks)"의 실행, 및/또는 롤러 장치를 이용한 예술적 신체 운동의 실시에 기초한 경연에의 참가를 즐길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롤러 링크 및/또는 소위 "스케이트 파크(skate parks)"와 같은 상업적인 경기장(venues)은 레크레이션용 및/또는 경기용의 롤러 주행 이벤트를 위한 편리한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롤러 주행의 사용은, 소위 "롤러 더비(roller derby)" 경기와 같은 경기의 다수의 구성요소 중 하나로서 채용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착용 가능하고/가능하거나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의 신발에 부착 가능한 다수의 롤러 장치가 존재하지만, 많은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 일부 롤러 장치는 사용자에게 더 높은 무게 중심을 제공하는데, 이는 사용자가 넘어지는 경우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고/있거나 더 큰 부상 위험을 감수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더 높은 무게 중심을 갖도록 하는 롤러 장치는, 더 높은 무게 중심의 인지 및/또는 가로지르는 지면 및/또는 표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늘어난 거리로 인해 사용자의 신경과민 및/또는 불안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인라인 스케이트와 같은 일부 롤러 장치는, 일부 사용자에 의해, 사용이 어렵고 및/또는 조작이 어려우며 레크레이션용으로 불편하고 및/또는 근사하거나 또는 유행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더욱이, 전통적인 4륜 타입의 스케이트와 같은 일부 롤러 장치는, 일부 사용자에 의해, 과도하게 무겁고 지나치게 느리며 및/또는 통상적인 주행 장애물을 만날 때 반응하여 충돌하고/충돌하거나 넘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기가 무척 쉬운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더욱이, 일부 사용자는, 내구성 있고 편리하며 성능이 허용 가능하고 및/또는 미적으로 매력적인 롤러 장치는 엄청나게 고가일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 및 장치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롤러 주행과 관련된 이상의 문제들 중 하나 이상을 극복할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롤러 주행 장치에 관한 언급되지 않은 다른 문제를 극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케이트와 같은 - 이로써 한정되지 않음 - 착용 가능한 장치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 착용 가능한 장치는 스케이트 및/또는 사용자에게 매우 낮은 무게 중심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또한 스케이트의 휠 조립체 중 하나 이상에 독특한 독립적인 서스펜션을 결합시킨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렇게 조합된 특징으로 인해 심지어 스케이트를 타 본 경험이 없는 사람도, 보다 낮은 무게 중심을 즐기는 결과로서 그리고 독립적인 서스펜션의 적용에 의해 제공되는 안정성 및 조작 가능성의 결과로서, 일부 경우에 있어서, 빠르게 스케이트를 배우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더욱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스케이트는 스케이트의 다른 기계적인 구성요소보다 훨씬 더 시각적으로 두드러진, 미적으로 바람직한 신발 부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패션 감각을 유지하면서 스케이트를 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스케이트는 스케이팅 성능 또는 스타일을 희생하지 않으면서 지면에 더욱 밀접하게 접근하는 저프로파일(low profile) 스케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 가능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개시내용 및 그 장점에 대한 더욱 완벽한 이해를 위해, 이제 첨부 도면 및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음의 간단한 설명을 참고하는데, 상기 첨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가리킨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장치의 직교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착용 가능한 장치의 직교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착용 가능한 장치를 부분적으로 분해된 상태로 도시한 부분적인 직교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부분적인 직교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프레임의 부분적인 상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부착 시스템의 부분적인 상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부착 시스템의 다른 부분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부착 시스템에 결합되는, 도 5의 프레임의 일부를 도시하는, 부분적인 직교 단면을 측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가이드 튜브(guide tube)의 부분적인 측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대안적인 커버 플레이트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대안적인 커버 플레이트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대안적인 커버 플레이트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직교 상부도이다.
도 15는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직교 하부도이다.
도 16는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직교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직교 후면도이다.
도 18은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직교 좌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직교 우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프레임의 직교 상부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프레임의 직교 하부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프레임의 직교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0의 프레임의 직교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0의 프레임 상에 설치된,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서스펜션(suspension)의 내측 사시도이다.
도 26은 수형 액슬 스크류(male axle screw)가 부분적으로 제거된 상태인 도 25의 서스펜션의 직교 상부도이다.
도 27은 도 25의 서스펜션의 수형 액슬 스크류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휠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1의 휠 조립체가 제거된 상태인, 도 25의 서스펜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30은 서스펜션 스페이서(suspension spacer)가 제거된 상태인, 도 25의 서스펜션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25의 서스펜션의 내측 톱해트(tophat)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외측 톱해트가 제거된 상태인, 도 25의 서스펜션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25의 서스펜션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34는 각각의 언로딩 상태(unloaded state) 및 로딩 상태(loaded state) 및/또는 사용 중인 상태에서, 도 25의 서스펜션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5는,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부착 시스템의 일부를 수용하는,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신발의 내부를 도시하는 상부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프레임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된,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신발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신발의 직교 하부도이다.
도 38은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부착 시스템의 스터드(stud)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부착 시스템의 리테이너(retainer)의 사시도이다.
도 40은 비유지 구조(unretained configuration)인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부착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직교 도면이다.
도 41은 유지 구조(retained configuration)인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부착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직교 도면이다.
도 42는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부착 시스템의 유지용 스터드의 사시도이다.
도 43은 유지 구조인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부착 시스템의 모든 스터드의 직교 상부도이다.
도 44는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신발의 직교 하부도이다.
도 45는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의 타이어의 직교 정면도이다.
도 46은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를 위한 대안적인 타이어의 직교 정면도이다.
도 47은 도 1의 착용 가능한 장치를 위한 다른 대안적인 타이어의 직교 정면도이다.
도 4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대안적인 부착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4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형 풋 베드(segmented foot bed)의 직교 상부도이다.
도 5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액슬 조립체(axle assembly)의 직교 측면도를 분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대안적인 서스펜션 블록의 부분적인 직교 측면도이다.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착용 가능한 장치(1000, 3000)와 같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착용 가능한 장치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착용 가능한 장치(1000, 3000)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가 제공되기 이전의 단일 롤러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이용 불가능하였던 다양한 특징을, 롤러 주행의 모든 기술 수준 및/또는 롤러 주행의 모든 경험 수준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경우에 있어서, 경험이 없고/없거나 상대적으로 미숙련의 롤러 장치 사용자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 3000)를 이용하여 롤러 주행 기술을 획득할 수 있고/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특징들의 조합의 결과로서 더 큰 자신감으로 롤러 주행을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부 경우에 있어서, 개선된 낮은 무게 중심, 지표면(1008)에 대해 더 넓은 지지 기초, 및/또는 일상의 롤러 주행 장애물과 만나는 것과 관련하여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 넘어짐에 대한 저항의 증가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롤러 장치에 대해 열광하지 않는 사용자에게, 착용 가능한 장치(1000, 3000)가 다른 이용 가능한 롤러 장치에 비해 더욱 안전하고 및/또는 사용하기에 더욱 재미있다는 확신을 줄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낮은 무게 중심은,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틈새 평면(1002)의 위치, 발 경계면(1006), 회전 축선(1808), 및/또는 서로에 대한 및/또는 지면(1008)에 대한 착용 가능한 장치의 다른 특징부들에 따른 것일 수 있다. 더 넓은 지지 기초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휠 조립체(1800) 및 부착 시스템(2000, 3006, 3120)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른 것일 수 있다. 더욱이, 넘어짐에 대한 저항의 증가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공동 축선(1412; cavity axis), 서스펜션 축선(1602) 및 서로에 대한 회전 축선(1808)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른 것일 수 있다. 또한 더욱이, 넘어짐에 대한 저항의 증가 및/또는 일반적으로 더욱 재미있는 롤러 장치의 사용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질적으로 독립적인 서스펜션(1600)의 전반적인 특성 및/또는 부동 축선(1652; floating axis)이 회전 중심(1654)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특성에 따른 것일 수 있다. 착용 가능한 장치(1000, 3000)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 별도의 축 및/또는 서스펜션(1600)을 갖는 휠 조립체를 마련하면, 공유된 축 구조를 포함하는 전통적인 롤러 장치에 비해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공유된 축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본 발명 및 착용 가능한 장치(1000, 3000)의 일부 실시예는, 대체로 좌측/우측의 대향하는 휠 조립체(1800)의 전방을 향한 오프셋/후방을 향한 오프셋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휠 조립체(1800)는 독립적인 서스펜션(1600)과 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 축선(1800)은 발 경계면(1006) 및/또는 사용자의 발보다 높이 위치할 수 있고, 이러한 특징들 각각은 더욱 원활하고 더욱 안정적이며 무게 중심이 더 낮은 롤러 장치에 기여하고, 롤러 주행의 개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더욱이, 롤러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더 높은 수준의 기술을 갖고 있는 사용자 및/또는 전문적인 롤러 장치 사용자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 3000) 및/또는 롤러 장치를 이용한 롤러 주행에 있어서 다른 성능 관련 개선을 달성하기 위해 앞서 설명된 동일한 특징들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롤러 장치 및/또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 3000)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사용자가 더 큰 비율의 가속 및/또는 감속, 더 빠른 속도, 증가된 터닝(turning) 속도 및/또는 감소된 터닝 반경, 지표면(1008) 및/또는 다른 대상물에 대한 트릭 및/또는 점프를 행할 때의 더 큰 안정성, 및/또는 사용자가 롤러 주행을 행하는 동안 사용자의 몸에 인가되는 불안정 유발 힘에 사용자가 견디도록 하는 능력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 3000)를 이용하는 잼 스케이팅(jam skating)(일부 경우에 있어서, 춤, 체조 및 스케이팅의 조합)을 행할 수 있으며, 착용 가능한 장치(1000, 3000)의 구성요소는 향상된 가요성, 충격 흡수, 및/또는 잼 스케이터(jam skater)의 성공적인 신체 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정적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특별하게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 3000)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롤러 더비 경기와 같은 경기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기에서 경쟁자들은, 때때로 경사지고 이동 방향이 때때로 대체로 반복적인 시계방향 이동 혹은 대안으로 반시계방향 이동으로 한정되는 연속 루프 트랙 주위를 주행한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 3000)는, 착용 가능한 장치의 좌우 방향으로 상이하게 구성요소의 기하학적 형상 및/또는 구성요소의 재료 조성을 변경함으로써 트랙을 따른 이동의 앞서 설명한 방향 및/또는 트랙의 경사를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구성은, 구성요소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실질적으로 평평하고/평평하거나 똑바른 지지면을 가로지르도록 주로 구성되는 롤러 장치(1000, 3000)와 비교할 때 우수한 터닝 능력 및/또는 속도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롤러 장치 및/또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 3000)는, 숙련된 롤러 장치 사용자 및 비숙련 롤러 장치 사용자에게 마찬가지로 널리 인정받기에 매우 적합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롤러 장치 및/또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 3000)는 롤러 장치 사용자에게 다른 방식으로는 이용 불가능한 형태의 운동 및/또는 레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롤러 장치 및/또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 3000)는 성능에 있어서의 충분한 향상 및/또는 바람직하고 명백한 물리적 및/또는 감성적 센세이션을 제공할 수 있어서(예컨대 다음 특징들, 즉 낮은 무게 중심, 더 넓은 지지 기초, 독립적인 유형의 서스펜션, 중심에서 벗어난 및/또는 지그재그형인 휠 배치, 대체로 더 높고 더 좁게 성형되는 휠 및/또는 타이어, 심미적인 유형의 신발 구조, 및/또는 편의성 및/또는 원활한 주행감의 대체적인 향상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인함), 롤러 장치를 자주 이용하지 않는 사용자 또는 유경험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롤러 장치 및/또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 3000)의 유용성 관점에서 그리고 그들 자신의 의지로, 롤러 주행 활동에 참여하는 빈도 및/또는 지속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제 도 3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착용 가능한 장치(3000)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호환 가능한 선택적인 구성요소 및/또는 부속품이 도시되어 있다. 착용 가능한 장치(3000)는 바람직한 부착 시스템(3006)(도 3 내지 도 8 참고)을 포함한다. 도 9 내지 도 13은 부착 시스템(3006)과 호환 가능한 선택적인 구성요소 및/또는 부속품을 개시하고 있다. 착용 가능한 장치(3000) 및 그 호환 가능한 구성요소 및/또는 부속품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얻기 위해, 우선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상세한 설명을 자세히 검토할 것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착용 가능한 장치(30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에 대한 후속하는 설명이 이하에 제시된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 및 관련된 예시적인 도면은 처음에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에 대해 매우 상세하게 집중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주요 구성요소 및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을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에 대해 우선 설명할 것이다. 후속하여,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주요 구성요소가 더욱 상세하게 개별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또한 이후에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 및 다른 시스템을 이용하고/이용하거나 작동시키는 다수의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추가적인 기능이 언급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실시예에 대해 단계적인 상세한 설명을 통해 앞서 나열한 시스템 및 방법의 이해를 제공하고자 구성된 것이다. 착용 가능한 장치(1000)에 대한 설명은 전체 개시내용을 공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시스템의 특정 실시예로서의 역할을 하며, 본 개시내용의 다수의 시스템 및 방법은 이에 대해 상대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매우 상세하게 언급되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롤러 요소와 관련되는 신발의 특징을 포함하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가 개시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는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신발로서 설명될 수 있는 것을 일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신발을 하나 이상의 롤러 요소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욱이,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롤러 요소는 서스펜션을 매개로 프레임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양태는 단지 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부분의 총합으로 한정되지 않고, 오히려 일부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특성은 이들 실시예들의 구성요소 부품이 서로에 대해 상호작용하는 방법에 의해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제 도 1, 도 2 및 도 14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실시예가 완전히 조립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 가능한 장치(1000)는 일반적으로 인간인 사용자의 오른발과 관련하여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속의 일환으로서, 인간인 사용자가 그 오른발에 착용 가능한 장치(1000)를 착용하고 있고 그 자신의 양 발로 똑바로 서 있으며 대략 어깨 폭만큼 두 발을 측방향으로 벌리고 있고 착용 가능한 장치(1000) 위로 수직방향인 위치로부터 착용 가능한 장치(1000)를 향해 아래로 내려보고 있다[즉,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소위 "등쪽(dorsal)"에서 봄]는 가정의 시각(perspective)을 이용하여 착용 가능한 장치(1000)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와 같이, "위로", "아래로", "전방으로", "후방으로", "좌측으로" 그리고 "우측으로"와 같은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그리고 이들 용어의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등가의 용어)는, 앞서 설명한 가정의 시각을 고려하여 해석되어야만 하고, 이에 따라 "위로"는 일반적으로 수직방향 위쪽 및/또는 앞서 설명된 가정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눈에 수직방향으로 근접한 것을 의미하며, "아래로"는 일반적으로 수직방향 아래쪽 및/또는 앞서 설명한 가정의 상황에서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멀리 있는 것을 의미하고, "전방으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앞쪽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멀리 있는 것을 의미하며, "후방으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뒤쪽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멀리 있는 것을 의미하고, "좌측으로(또는 내측으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몸의 중심선에 더 근접한 것을 의미하며, "우측으로(또는 외측으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몸의 중심선으로부터 더 멀리 있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용어 "표면"은 3차원 공간 곡면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설명되는 표면 중 일부는 물리적인 구성요소의 소위 통상의 사용 중에 예상되는 힘에 대한 노출에 응답하여 가요성 있고 및/또는 압축 가능한 물리적인 구성요소와 관련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에 따라, 달리 특정되지 않는다면, 용어 "표면"은 고정된 형상의 공간 곡면을 나타내기보다는 물리적인 구성요소의 가변적인 공간 곡면 경계(즉, 가요성 및/또는 압축에 의한 경계)를 대체로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착용 가능한 장치(1000)는, 선택적으로 롤러 주행을 제공하도록 구성 가능한 착용 가능한 롤러 장치로서 설명될 것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착용 가능한 장치(1000)는 신발(1200), 신발(1200)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1400), 및 복수 개의 휠 조립체(1800)를 프레임(1400)에 부착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 가능한 복수 개의 서스펜션(1600)을 포함한다. 광의의 관점에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사용자의 발을 신발(1200) 내로 수용할 수 있으며, 착용 가능한 장치(1000)는 하나 이상의 휠 조립체(1800)의 회전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롤러 주행을 제공할 수 있다. 단지 하나의 신발(1200)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본 개시내용은, 사용자가 사용자의 오른발에 신발(1200)을 착용하고 있는 동안 사용자의 왼발을 위한 제2의 신발이 동시에 착용되어 있을 수 있다고 예상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2의 신발은 사용자의 왼발과 사용자의 오른발 사이의 통상의 해부학적 차이점을 적절하게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더욱이, 제2의 신발은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프레임(마찬가지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왼발과 사용자의 오른발 사이의 통상의 해부학적 차이점을 적절하게 허용하도록 구성됨) 및/또는 제2의 복수 개의 휠 조립체(1800) 및/또는 제2의 복수 개의 서스펜션(1600)과 관련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신발(1200)은 갑피(1202), 밑창(1204) 및 힐 카운터(1206; heel counter)를 포함한다. 갑피(1202)는 일반적으로 밑창(1204)보다 더 가요성이 있고, 사용자의 발가락을 수용 및/또는 보호하기 위해 토박스(toebox; 1208)를 포함한다. 갑피(1202)는 또한 앞닫이(1210; vamp) 및 사용자의 발의 중간 부분을 선택적으로 덮도록 구성되는 텅(1212; tongue)을 포함한다. 앞닫이(1210) 및 텅(1212)은 레이스(1214) 및/또는 선택적인 스트랩(1216)의 사용을 통해 사용자의 발에 대해 적소에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트랩(1216)은 선택적인 스트랩 랜딩(1218)의 호환 가능한 후크 앤드 루프(hook and loop) 유형의 패스너 재료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후크 앤드 루프 유형의 패스너 재료를 포함한다. 스트랩(1216) 및 스트랩 랜딩(1218)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포함되지 않으며, 도 1 및 도 2에서는 스트랩(1216) 및 스트랩 랜딩(1218)이 없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텅(1212)은 또한 탄성적인 텅 리테이너(1220; tongue retainer)에 의해 위치 면에서 구속될 수 있다(도 35 참고).
밑창(1204)은, 사용자의 발의 바닥 및/또는 사용자의 발에 착용된 양말의 바닥과 접촉할 수 있는 제거 가능한 안창(1222)을 포함한다. 밑창(1204)은, 일반적으로 신발(1200)의 최하위 부분으로서 역할을 하는 바닥창(1224)을 더 포함한다. 밑창(1204)은, 제거 가능한 안창(1222)과 바닥창(1224) 사이에 일반적으로 개재되는 중창(midsole; 1226)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중창(1226)은 지지, 안정성 및 쿠셔닝 사이의 균형을 제공하도록 선택되는 재료 및/또는 구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창(1224)은 일반적으로 마모 및/또는 삭마에 대해 더욱 내성이 있을 수 있는데, 왜냐하면 바닥창(1224)은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지표면과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닥창(1224)은, 제1 트레드(tread) 표면(123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는 트레드 돌출부(12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밑창(1204)은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바닥창(1224) 위로 중창의 크기가 감소되어 있을 때 밑창(1204)의 일부로서 대체로 표시되는 선택적인 밑창 공동(12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밑창 공동(1232)은 밑창(1204) 내의 다른 곳에 위치하게 될 수 있으며 및/또는 이 밑창 공동에는 가압 유체 및/또는 상호 교환 가능한 인서트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들 각각은 밑창(1204)에 의해 마련되는 지지, 안정성, 및 쿠셔닝 중 하나 이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밑창 공동(1232)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포함되지 않으며, 도 1 및 도 2에서는 밑창 공동(1232)이 없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가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밑창(1204)은 중간 밑창(1238)에 의해 연결되는 전방 밑창(1234) 및 후방 밑창(1236)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중간 밑창(1238)은 일반적으로 단지 바닥창(1224)의 작은 부분만을 포함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밑창(1204)은 바닥창(1224)을 포함하지 않는 중간 밑창(1238)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밑창(1204)이 주로 전방 밑창(1234) 및 후방 밑창(1236)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더욱이, 밑창(1204)의 전방 부분은 신발(1200)의 전방 부근에서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재료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소위 전방 범퍼(1246)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범퍼(1246)는 바닥창(1224)의 재료와는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1200)의 힐 카운터(1206)는, 뒤꿈치를 안정화하기 위해 및/또는 움직임의 제어를 돕기 위해 사용자의 뒤꿈치의 후방 주위에서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힐 카운터(1206)는, 사용자의 발 및/또는 발목과의 불편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인체공학적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힐 카운터(1206)는 내측 발목 프로파일(1240), 외측 발목 프로파일(1242) 및/또는 아킬레스 건 프로파일(1244)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파일들(1240, 1242 및 1244)은, 사용자의 발에 대한 물집 발생 및/또는 다른 압력에 따른 상처를 유발할 가능성을 줄이면서 사용자의 발이 발목을 중심으로 움직이고/움직이거나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프로파일들(1240, 1242 및 1244)은 또한, 다른 경우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사용 중에 신발(1200)에 대한 발 및/또는 발목의 변위 정도의 변화로부터 초래될 수 있는 물집 발생 및/또는 다른 상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14 내지 도 19에 있어서, 신발(1200)은 일반적으로 프레임(1400)에 부착된다. 프레임(1400)은 신발(1200)에 대한 부착을 위한 경계(1402)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일반화될 수 있다. 경계(1402)는 대체로 중앙에 위치하는 몸통(1404; trunk)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명될 수 있는데, 이 몸통으로부터 복수 개의 분지(1406; branch) 각각은 위에서 볼 때 밑창(1204)의 외측 프로파일(1248)을 약간 넘어 연장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분지(1406)의 원위 단부로부터, 다소 필로우 블록 하우징(pillow block housing) 형상의 서스펜션 블록(1408)이 신발(1200)과 나란하게 수직방향 상방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서스펜션 블록(1408)은, 실질적으로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되는 서스펜션 공동(1410)(도 32 참고)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스펜션 공동(1410)은, 대체로 서스펜션 공동(1410)의 중앙 축선을 나타내는 공동 축선(14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언급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서스펜션 공동(1410)은 독립적으로 서스펜션(1600)을 지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1600)의 구성요소는 실질적으로 서스펜션 축선(1602)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언급되는 바와 같이 착용 가능한 장치(1000)에 인가되는 힘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서스펜션 축선(1602)은 각각의 관련 공동 축선(1412)과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서스펜션(1600)은 독립적으로 휠 조립체(1800)를 서스펜션 블록(1408)에 결합시킬 수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각각의 휠 조립체(1800)는, 타이어(1804)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둘러싸이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휠 허브(18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휠 허브(1802)는, 몇몇 실시예에서 휠 허브(1802)를 통해 연장되는 관통 구멍인 실질적인 중앙의 보어(180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휠 조립체(1800)는, 대체로 보어(1806)의 중앙 축선을 나타내는 회전 축선(1808)을 포함할 수 있다. 휠 조립체(1800)는 일반적으로 그 각각의 회전 축선(1808)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일부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회전 주행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휠 조립체(1800)는 소위 롤러 요소를 지칭할 수 있는데, 이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착용 가능한 장치(1000)가 앞서 설명한 롤러 주행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언급되는 바와 같은 착용 가능한 장치(1000)에 인가되는 힘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회전 축선(1808)은 그 각각의 관련 서스펜션 축선(1602) 및/또는 공동 축선(1412)과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이어(1804)는 일반적으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타이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타이어는 타이어 재료의 지지 허브 및/또는 중앙 목부를 남길 수 있도록 국지적인 방식으로 타이어(1804)의 좌향/우향 두께를 줄임으로써 변경된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14 내지 도 19는 실질적으로 "언로딩 상태"에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도 16 및 도 18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도면을 제시하지만, 이들 도면에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더욱 분명한 도면을 제시하기 위해 보다 적은 수의 도면부호가 표시된다. 언로딩 상태는 일반적으로, (1) 주로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요소의 자중에 기인하는 힘의 결과로서 및/또는 (2) 주로 외력의 지속적인 인가 없이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요소의 기계적인 편향의 결과로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가 물리적인 배향, 형상 및/또는 형태를 유지하는 상태로서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언로딩 상태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가 외력의 인가 없이 그리고 이전의 사용, 마모 및/또는 파손에 기인하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에 대한 실질적인 변화 없이 유지되는 물리적인 상태로서 설명될 수 있다.
착용 가능한 장치(1000)는 복수 개의 기준 평면 및/또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가 앞서 설명된 언로딩 상태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위치 면에서 변할 수 있는 표면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는, 외력(중력을 제외함)이 착용 가능한 장치(1000)에 인가되는 "로딩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물리적 배향, 형상 및/또는 형태가 언로딩 상태로부터 이전의 사용, 마모 및/또는 파손으로 인해 변하는 "사용 중인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경우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는 동시에 로딩 상태 및 사용 중인 상태인 두 가지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준 평면 및/또는 표면은 착용 가능한 장치(1000)에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 및 방향에 응답하여 및/또는 이전의 사용, 마모 및/또는 파손에 응답하여 위치 면에서 크게 변할 수 있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다면, 용어 "지면"은 실질적으로 평면적인 표면으로서, 이 표면 상에 착용 가능한 장치(1000)가 안착할 수 있으며 및/또는 이 표면 위에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가 병진 이동될 수 있는 것인 표면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병진 운동은, 지면에 대한 휠 조립체(1800)의 활주를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동안 하나 이상의 휠 조립체(180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언로딩 상태에 있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는 틈새 평면(1002; clearance plane)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틈새 평면은 지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착용 가능한 장치(1000)[휠 조립체(1800) 제외]의 최하위 부분과 일치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틈새 평면(1002)과 지면 사이의 거리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최소 틈새 거리로서 일반화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14 내지 도 19에 있어서, 틈새 평면(1002)은 일반적으로 프레임(1400)의 최하위 부분과 일치하게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언로딩 상태에 있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는 회전 평면(1004)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회전 평면은 지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하나 이상의 회전 축선(1808)과 일치한다. 도 1, 도 2 및 도 14 내지 도 19에 있어서, 회전 평면(1004)은 4개의 회전 축선(1808) 모두와 일치하게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는 발 경계면(1006)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발 경계면은, 기립, 도보 및/또는 달리기를 목적으로 신발(1200)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통상적인 신발 내에 사용자의 발이 보통 삽입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발이 일반적으로 신발(1200) 내로 삽입될 때 사용자의 발의 바닥이 일반적으로 접촉하는 표면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14 내지 도 19에 있어서, 발 경계면(1006)은 일반적으로 안창(1222)의 최상위 표면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기준 평면 및 표면들은, 일부 실시예에서 지면과 발 경계면(1006) 사이의 거리 및/또는 공간을 감소시키는 동안 착용 가능한 장치(1000)가 롤러 주행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방식을 설명함에 있어서 유용하다. 발 경계면(1006)은 실질적으로 복잡한 공간 평면이기 때문에, 지면과 발 경계면(1006) 사이의 수직 거리 및/또는 공간의 이러한 감소는, 지면과 발 경계면(1006) 사이의 최대 수직 거리, 지면과 발 경계면(1006) 사이의 평균 및/또는 통합 수직 거리, 및 지면과 발 경계면(1006) 사이의 공간의 체적 중 하나 이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서 더욱 용이하게 개념화될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앞서 설명된 수직 거리 및/또는 공간의 감소는, 로딩 상태에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를 평가할 때, 또한 사용자의 발의 바닥과 실제로 접촉하는 발 경계면(1006)의 단지 일부를 고려함으로써 더욱 감소된 것으로서 측정될 수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앞서 설명한 공간 및/또는 수직 거리의 감소의 결과로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 자체의 수직방향으로 더 낮은 무게 중심을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리고 아마도 더욱 중요하게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다른 롤러 장치의 발 경계면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 있는 타이어 및/또는 휠 조립체와 같은 롤러 요소를 제공하는 다른 롤러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무게 중심과 비교할 때, 상기 착용 가능한 장치(1000)는, 이 착용 가능한 장치(10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수직방향으로 더 낮은 사용자의 무게 중심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14 내지 도 19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감소된 공간 및/또는 수직 거리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원하는 최소 틈새 거리, 원하는 전체 휠 조립체(1800) 직경, 원하는 밑창(1204) 물성, 지면에 대한 발 경계면(1006)의 원하는 배향, 지면에 대한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무게 중심의 원하는 수직방향 거리, 그리고 지면에 대해 착용 가능한 장치(10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무게 중심의 원하는 수직방향 거리를 비롯한 인자들의 절충으로서 일반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극단적인 예로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에는 무시할만한 틈새 거리, 매우 작은 전체 휠 조립체(1800) 직경, 없거나 적은 밑창(1204) 두께, 그리고 실질적으로 평면적인 발 경계면(1006)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가 본 개시내용에 의해 [각각의 착용 가능한 장치(1000) 자체 및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사용자에 대해] 매우 낮은 무게 중심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창안되는 경우,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일부 실제적인 용례는 하나 이상의 앞서 나열된 실질적으로 최소화된 예시적 구조 파라메타 세트로부터 적어도 약간의 변화를 필요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도 1, 도 2 및 도 14 내지 도 19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의 오른발에 착용되기에 매우 적합한 착용 가능한 장치(1000)를 도시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유사한 착용 가능한 장치(1000)가 실질적으로 상기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거울상으로서 마련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거울상은 사용자의 중선 평면에 대해 형성됨). 물론,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거울상 버전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의 왼발에 착용되기에 매우 적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내용은 착용 가능한 장치에 대한 복수의 실시예를 제시하는데, 이들 실시예에서 착용 가능한 장치의 사용자는 사용자의 발 각각에서 선택적으로 사용자에게 롤러 주행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 착용 가능한 장치를 착용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착용된 착용 가능한 장치는 실질적으로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특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는 언로딩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소위 병진 평면(10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14 내지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휠 조립체(1800)는 별도의 병진 평면(1010)과 관련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별도의 병진 평면(1010) 각각은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다른 병진 평면(1010)과 실질적으로 평행하여 지면(1008)과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으며, 전방 방향, 후방 방향, 상방 방향 및 하방 방향에서 평면적인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병진 평면(1010) 중 하나 이상은 공동 축선(1412), 서스펜션 축선(1602) 및/또는 회전 축선(1808) 중 하나 이상에 실질적으로 직교하게 놓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병진 평면(1010) 중 하나 이상은 휠 조립체(1800) 중 하나 이상을 실질적으로 양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병진 평면(1010)은 타이어(1804) 및/또는 휠 허브(1802)를 수직으로 양분할 수 있다. 착용 가능한 장치(1000)가 실질적으로 언로딩 상태인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휠 조립체(1800)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다수의 병진 평면(1010)을 제공하는 것은,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전방을 향한 섭동(perturbation) 또는 후방을 향한 섭동에 응답하여, 각각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으로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병진 운동을 제공한다. 병진 운동의 방향은 하나 이상의 병진 평면(1010)의 전방 연장 방향 및 후방 연장 방향에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평행인 병진 평면(1010)과 관련되는 다수의 휠 조립체(1800)를 제공하는 것은, 적어도 착용 가능한 장치(1000)가 언로딩 상태일 때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용이한 직선 경로 병진 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이제 도 20 내지 도 24를 참고하면, 프레임(1400)의 실시예가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신발(1200)로부터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더욱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400)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서스펜션(1600)을 매개로 하나 이상의 휠 조립체(1800)를 신발(1200)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계(140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계(1402)는, 실질적으로 단지 프레임(1400)에 결합되는 신발(1200)과 프레임(1400)에 결합되는 휠 조립체(1800) 사이에 적절하게 힘을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프레임(1400)의 부분만을 지칭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일부 경우에 있어서, 프레임(1400)은 신발(1200)과 하나 이상의 휠 조립체(1800) 사이에서 앞서 설명한 힘의 전달을 충분히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을 초과하는 재료 및/또는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1400)은 위에서 및/또는 아래에서 볼 때, 대체로 중앙에 위치하게 되는 몸통(1404)을 포함하는 X자형 프로파일을 일반적으로 나타내는데, 이 몸통은 몸통(1404)으로부터 연장되는 4개의 도시된 분지(1406) 각각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몸통(1404)은 지면(1008)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가상의 중선 평면(1414)을 포함할 수 있지만, 하나 이상의 병진 평면(1010)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몸통(1404)은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전방 방향/후방 방향과 비교할 때 일반적으로 비스듬하게 놓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몸통(1404)이 프레임(140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프레임(1400)의 길이를 따라 약간 점점 더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이 도 21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분지(1406)는, 위에서 그리고 아래에서 볼 때, 앞서 설명한 X자형 프로파일을 형성하기 위해 몸통(1404)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분지(1406)는 각각 가상의 분지 중선 평면(1416)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가상의 분지 중선 평면은 지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고 외각(1418)으로 몸통 중선 평면(1414)을 일반적으로 가로지른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외각(1418)은,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는데 하나 이상의 분지(1406)가 몸통 중선 평면(1414)을 향해 유사하게 각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외각(1418) 값의 변동을 고려하고 각각의 분지가 상이한 전체 길이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각각의 분지(1406)의 원위 단부는 다른 분지(1406)의 원위 단부의 오프셋 거리와는 상이한 거리만큼 몸통 중선 평면(1414)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된 프레임(1400)에 있어서, 각각의 분지(1406)의 전체 길이는 다른 분지(1406)의 전체 길이와 상이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그리고 도 21에 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지(1406)의 전체 길이는 분지(1406)의 전체 길이가 증가하는 순서로 후방 우측 분지(1406)(가장 ?은 분지), 후방 좌측 분지(1406), 전방 우측 분지(1406) 및 전방 좌측 분지(1406)(가장 긴 분지)로 나열될 수 있다. 분지(1406)의 전체 길이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분지(1406)의 서스펜션 블록(1408)과 분지(1406) 사이의 경계와 몸통 중선 평면(1414) 사이에서 측정된 거리와 관련하여 비례하는 것으로서 일반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1400)의 서스펜션 블록(1408)은 관련 분지(1406)로부터 상향하는 실질적으로 블록 형상인 수직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 블록(1408)의 최상위 표면은 실질적인 반원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 블록(1408)의 반원 프로파일은 관련 공동 축선(1412)과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구조적인 지지 웨브(1420)는, 연결부의 강성을 강화하고/강화하거나 피로 파괴에 대한 프레임(1400)의 내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서스펜션 블록(1408)을 관련 분지(1406)에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웨브(1420)는 몸통(1404)의 최상위 부분을 일반적으로 가로지르는 상위 경계면(1422)과 서스펜션 블록(1408) 사이에 연결되는 재료의 웨지(wedge)형 부분으로서 실질적으로 성형되며, 분지(1406)는 실질적으로 최상위 경계면(1424)으로서 지칭될 수 있는 것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위 경계면(1422) 및/또는 최상위 경계 평면(1424)은, 신발(1200)과 경계(1402), 몸통(1404) 및/또는 분지(1406) 사이에서 수직으로 최고위 접촉부 내로 및/또는 수직으로 가장 높이 연장되는 분지(1406) 및/또는 몸통(1404)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웨브(1420)의 형상 및/또는 두께는 분지(1406)의 길이 및/또는 단면 형상 및/또는 두께와 관련하여 선택될 수 있다.
경계(1402), 몸통(1404) 및/또는 분지(1406)는 프레임(1400) 내로 형성되는 함몰부 및/또는 오목부의 존재에 주로 기인하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1400)은, 프레임(1400)의 제조 및/또는 다른 취급 중에, 패스너(즉,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류와 같은 나사식 패스너) 및/또는 프레임(1400)을 유지하기에 유용한 다른 물리적 유지 장치를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피스 마운트(1426; piece mounts)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피스 마운트(1426)는 실질적으로 몸통 중선 평면(1414)을 따라 놓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1400)은 경계(1402), 몸통(1404) 및/또는 분지(1406)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질량 감소 공동(1428)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질량 감소 공동(1428)은 실질적으로 몸통(1404)의 길이를 따라 및/또는 몸통 중선 평면(141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1400)의 전체 질량의 감소에 의해, 보다 적은 중량 및/또는 관련된 적은 비용으로 착용 가능한 장치(1000)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1400)은 위에서 볼 때 프레임(14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소위 외측 프로파일 단차부(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외측 프로파일 단차부(1430)는 일반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직립하는 벽(1432) 및 관련 레지(1434; ledge)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레지(1434)가, 최상위 경계 평면(1424)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및/또는 지면(1008)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레지 평면(1436)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게 및/또는 실질적으로 평평하고/평평하거나 평행하게 놓일 수 있는 동안, 직립 벽(1432)은 (예컨대, 위에서 볼 때) 곡선 경로를 따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1400)은 경계(1402), 몸통(1404) 및/또는 하나 이상의 분지(1406)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오목부(1438)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오목부(1438)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1400)의 리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 리세스 내로 하나 이상의 커버 플레이트(144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 플레이트(1440)의 최상위 표면은 최상위 경계 평면(1424)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 플레이트(1440)의 최상위 표면은, 상위 경계면(1422)이 신발(1200)과 접촉할 수 있는 방식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신발(1200)과 접촉할 수 있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언급되는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1440)는 부착 시스템(2000)의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데, 이 부착 시스템의 요소들은 가장 일반적으로는 프레임(1400)에 대한 신발(1200)의 선택적인 부착 및/또는 분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경계 하부면(1442)은 일반적으로 몸통(1404)의 하부면 및/또는 분지(1406)의 하나 이상의 하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경계 하부면(1442)은 일반적으로 지면(1008)을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볼록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경계 하부면(1442)의 최하위 부분은 틈새 평면(1002)과 일치하게 놓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경계 하부면(1442)은 하나 이상의 천이면(1444)에 의해 하나 이상의 외측 프로파일 단차부(1430)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천이면(1444)은 하나 이상의 레지(1434)에 대해 경계 하부면(1442) 사이에 걸치는 크레넬레이션(crenellation)형의 오목한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를 비롯하여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1400)은,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기에 매우 적합한 방식으로 및/또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와 지면(1008)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표면 또는 대상 사이에 힘을 전달하기에 매우 적합한 방식으로 경계(1402), 몸통(1404) 및/또는 분지(1406)를 위치시킬 수 있고/있거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분지(1406)는, 프레임(1400)이 신발(1200)에 부착될 때 그리고 사용자의 발이 신발(1200) 내로 적절하게 삽입될 때 착용 가능한 장치(1000)에 힘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가능성이 있을 수 있는 사용자의 발의 부분과 분지(1406) 각각이 관련될 수 있도록 위치설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1400)의 전방 좌측 분지(1406)의 일부는 사용자의 발의 주요한 힘 전달점 아래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 좌측 분지(1406)의 일부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사용자의 발의 최내측 중족골의 원위 부분, 사용자의 발의 최내측 근위 지골의 근위 부분, 및/또는 사용자의 발의 최내측 중족골과 사용자의 발의 최내측 근위 지골 사이의 관절의 일부 부근에 및/또는 그 아래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방 우측 분지(1406)의 일부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사용자의 발의 최외측 중족골의 원위 부분, 사용자의 발의 최외측 근위 지골의 근위 부분, 및/또는 사용자의 발의 최외측 중족골과 사용자의 발의 최외측 근위 지골 사이의 관절의 일부 부근에 및/또는 그 아래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전방 좌측 분지(1406)는 사용자의 발의 소위 "볼(ball)"의 좌측 부분 아래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방 우측 분지(1406)는 사용자의 발의 볼(ball)의 우측 부분 아래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더욱이,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1400)의 후방 좌측 분지(1406)의 일부는, 종골의 내측 부분 및/또는 위에서 볼 때 사용자의 발의 소위 "뒤꿈치" 뼈 아래에, 그 부근에 및/또는 이들에 이웃하게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1400)의 후방 우측 분지(1406)의 일부는, 종골의 외측 부분 및/또는 위에서 볼 때 사용자의 발의 뒤꿈치 뼈 아래에, 그 부근에 및/또는 이들에 이웃하게 위치하게 될 수 있다. 프레임(1400)에 결합되어 있는 신발(1200) 내로 삽입된 사용자의 발에 대한 프레임(1400)의 특징부의 앞서 설명한 배치는, 사용자의 발과 휠 조립체(1800) 사이에 전달될 수 있는 힘에 대해 개선된 및/또는 효율적인 힘 전달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 블록(1408)은 분지(1406)에 의해 실질적으로 지탱되기 때문에, 서로에 대한 서스펜션 블록(1408)의 전방을 향한 위치/후방을 향한 위치는 분지(1406)의 물리적 레이아웃에 따라 좌우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 블록(1408) 및 더욱 구체적으로는 서스펜션 공동(1410)의 공동 축선(1412)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좌측 공동 축선(1412)은 전방 우측 공동 축선(1412)과 정렬되지 않는다. 대신, 전방 좌측 공동 축선(1412)은 상대적으로 전방 우측 공동 축선(1412)의 전방을 향해 위치하게 된다. 더욱이,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 좌측 공동 축선(1412)은 상대적으로 후방 우측 공동 축선(1412)의 후방을 향해 위치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공동 축선(1412)들이 전방을 향해/후방을 향해 지향되어 정렬되지 않고 후방 공동 축선(1412)들이 전방을 향해/후방을 향해 지향되어 정렬되지 않을 때, 4개의 공동 축선(1412) 모두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가 언로딩 상태에 있는 동안 앞서 설명한 회전 평면(1004)와 실질적으로 일치하게 놓이게 된다.
더욱이,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4개의 분지(1406) 각각과 관련되는 서스펜션(1600)은 실질적으로 유사하며, 4개의 분지(1406) 각각과 관련되는 휠 조립체(1800)는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이에 따라 그리고 서스펜션 블록(1408)이 분지(1406)에 의해 실질적으로 지탱되기 때문에, 서로에 대한 병진 평면(1010)의 좌측을 향한 위치/우측을 향한 위치는 분지(1406)의 물리적 레이아웃에 따라 좌우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좌측 병진 평면(1010)은 후방 좌측 병진 평면(1010)과 정렬되지 않고/않거나 동일 평면이 아니다. 대신, 전방 좌측 병진 평면(1010)은 상대적으로 후방 좌측 병진 평면(1010)의 좌측을 향해 위치하게 된다. 더욱이,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우측 병진 평면(1010)은 후방 우측 병진 평면(1010)과 정렬되지 않고/않거나 동일 평면이 아니다. 대신, 전방 우측 병진 평면(1010)은 상대적으로 후방 우측 병진 평면(1010)의 우측을 향해 위치하게 된다. 더욱이,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병진 평면(1010)들은 후방 병진 평면(1010)들 사이의 분리 거리보다 더 큰 분리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 병진 평면(1010)은 좌측에서 전방 좌측 병진 평면(1010)에 의해 경계지워질 수 있고 우측에서 전방 우측 병진 평면(1010)에 의해 경계지워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구성은 [후방 휠 조립체(1800)를 통한] 후방 힘 전달 경로의 세트와 비교할 때 착용 가능한 장치(1000)와 지면 사이에 더 넓고 및/또는 더욱 안정적인 [전방 휠 조립체(1800)를 통한] 전방 힘 전달 경로의 세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좌측 병진 평면(1010)들이 서로 동일 평면이 아니고 우측 병진 평면(1010)들이 서로 동일 평면이 아닐 때 4개의 병진 평면(1010) 모두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가 언로딩 상태에 있는 동안 실질적으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공동 축선(1412), 서스펜션 축선(1602) 및/또는 회전 축선(1808) 중 하나 이상은 신발(1200) 내로 적절하게 삽입된 사용자의 발을 통해 돌출하게 된다. 그러나, 변형예에 있어서, 공동 축선(1412), 서스펜션 축선(1602) 및/또는 회전 축선(1808) 중 하나 이상은 신발(1200) 내로 적절하게 삽입된 사용자의 발을 통해 돌출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을 통해 돌출하는 앞서 설명한 축선들(1412, 1602, 1808) 중 하나는, 소위 저프로파일을 갖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에 따라 좌우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삽입된 발이 하나 이상의 축선(1412, 1602, 1808)보다 지면(1008)에 더욱 근접하게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부터 방지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착용 가능한 장치(1000)가 언로딩 상태에 있는 동안 축선들(1412, 1602, 1808) 중 하나 이상이 사용자의 발을 통해 돌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을 통해 돌출하는 축선들(1412, 1602, 1808) 중 하나 이상은 또한 발 경계면(1006)을 통해 돌출되어야만 한다는 것은 명확하다. 물론,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축선들(1412, 1602, 1808) 중 하나 이상은 착용 가능한 장치(1000)가 언로딩 상태에 있는 동안 발 경계면(1006)을 통해 돌출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이러한 동일한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를 로딩 상태 및/또는 사용 중인 상태로 두는 것은 축선들(1412, 1602, 1808) 중 하나 이상이 발 경계면(1006)을 통해 돌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발 경계면(1006)을 통한 이러한 돌출은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휨 및/또는 압축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변형례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병진 평면(1010)의 좌측을 향한 위치/우측을 향한 위치 및/또는 하나 이상의 공동 축선(1412), 서스펜션 축선(1602) 및/또는 회전 축선(1808)의 상방을 향한 위치/하방을 향한 위치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선택된 설계 파라메타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휠 조립체(1800)의 전체 직경을 변경하는 것은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다수의 구성요소들의 수직 위치뿐만 아니라 신발(1200) 내로 삽입된 사용자의 발의 가능한 수직 위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물론,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휠 조립체(1800)의 전체 직경의 증가로 인한 효과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다른 구성요소의 위치 및/또는 형상을 수직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더 큰 외경의 휠 조립체(1800)가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일부 경우에 관련 회전 축선이 변경되지 않을 수 있는 동안,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실질적인 나머지의 수직 위치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다른 부분을 낮추기 위해 관련된 서스펜션 블록(1408)을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부 변형례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에 대해 그리고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사용자에 대해 낮은 무게 중심을 허용하는 저프로파일의 착용 가능한 장치(1000)를 여전히 제공하면서도 다양한 회전 축선(1808) 높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상이한 전체 직경을 갖는 휠 조립체(1800)들이 하나의 착용 가능한 장치(1000)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14 내지 도 19를 다시 참고하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휠 조립체(1800) 및/또는 휠 조립체(1800)의 구성요소는 밑창 외측 프로파일(1248)의 최근위 부분 및/또는 관련 서스펜션 블록(1408)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좌측을 향한 방향/우측을 향한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등거리에 오프셋되어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휠 조립체(1800) 및/또는 타이어(1804)는, 휠 조립체(1800) 및/또는 타이어(1084)가 밑창 외측 프로파일(1248)로부터 멀리 연장될 필요 없이 안정적인 힘 전달 경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밑창 외측 프로파일(1248)의 형상을 근접하게 따라가는 방식으로 신발(1200)에 대해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물론, 휠 조립체(1800) 및/또는 타이어(1804)가 밑창 외측 프로파일(1248)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는 거리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서스펜션(1600)의 재료 물성 및/또는 물리적인 치수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추가적인 변형례에 있어서, 프레임(1400) 및/또는 경계(1402)는 다수의 구성요소로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된 프레임(1400)의 기능은 전방 프레임 및 후방 프레임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프레임은 전방 분지(1406)의 힘 전달 기능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는 반면, 후방 프레임은 후방 분지(1406)의 힘 전달 기능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된 프레임(1400)의 기능은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좌측 프레임은 좌측 분지(1406)의 힘 전달 기능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는 반면, 우측 프레임은 우측 분지(1406)의 힘 전달 기능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추가적인 변형례에 있어서, 각각의 휠 조립체(1800)와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해 독립적인 프레임이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된 프레임(1400)은, 각각 개별적으로 신발(1200)과 관련 휠 조립체(1800) 사이에서 힘 전달 경로를 제공하는 4개의 개별적인 프레임 및/또는 경계(1402)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프레임(1400)의 기능이 다수의 별도 구성요소에 의해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전체 길이 및/또는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은, 신발(1200)에 통합될 추가적인 구조적 구성요소 및/또는 강화용 구성요소를 필요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대안으로, 신발(1200)은, 외부의 및/또는 제거 가능한 프레임(1400) 및/또는 기능적으로 등가인 구성요소의 모임(collection)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관련 휠 조립체(1800)에 직접 적절한 힘 전달을 제공하기 위해 충분히 구조적으로 변경될 수 있고/있거나 일체로 개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된 프레임(1400)은 제1 세트의 물리적 신발(1200) 치수를 갖는 신발(1200)과 관련하여 사용하기에 실질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는 제1 세트의 물리적 프레임(1400) 치수로 마련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프레임(1400)은 소위 "미국 여성의 사이즈 9"인 신발과 같은 실질적인 치수의 신발(1200)과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해 최적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이즈 9인 신발(1200)을 위해 최적화된 프레임(1400)은 대안으로 미국 여성의 사이즈 9인 신발 치수 기준에 비해 더 크게, 더 작게, 및/또는 불균일하게 치수가 결정되는 신발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1400)이 다양한 발 크기를 갖는 다양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프레임(1400)은 다양한 크기의 신발(1200)과 함께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바꿔 말하면, 실질적으로 사전에 설정된 및/또는 조정 가능한 전체 치수를 갖는 단일 프레임(1400)은, 임의의 광범위한 신발(1200) 크기와 관련하여 구성될 수 있고/있거나 이 크기와 관련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프레임(1400)은, 프레임(1400)이 다수의 다양한 크기 및/또는 형상인 신발(1200)의 변형례를 허용할 수 있는 한, 소위 "하나의 치수로 모두에 맞는(one size fits all)" 프레임(1400)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이와 같이 하나의 치수로 모두에 맞는 프레임(1400)을 제공하는 것은, 다양한 크기의 발을 갖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롤러 주행을 제공하는 비용 및/또는 난이도를 줄여줄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크기 및/또는 형상의 신발(1200)을 허용하도록 프레임(1400)이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기계 툴링(tooling), 프레임(1400) 가공 및/또는 설계 비용과 관련된 비용 및/또는 다른 전반적인 착용 가능한 장치(1000) 제조 비용은, 여러 크기, 형상 및/또는 유형의 신발(1200)과 함께 단일 프레임(1400)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되는 규모의 경제를 레버리징(leveraging)함으로써 절감될 수 있다. 물론, 프레임(1400)과 함께 사용하기에 최적화되지 않은 신발(1200) 및 프레임(1400)의 임의의 제안된 조합의 안정성, 편리성, 미적 외양, 맞춤, 착용성, 및/또는 다른 성능 인자에 대해서 어느 정도 고려가 이루어져야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신발(1200)은, 소위 테니스화, 런닝화, 하이탑(high top) 신발, 크로스 트레이너(cross-trainer)용 신발, 부츠, 방수 장화의 구성요소, 또는 임의의 다른 신발 및 임의의 다른 유형의 신발(1200)일 수 있고, 신발의 유형은 미적 사유, 생체역학적 사유, 경제적 사유 및/또는 특정 활동에 관한 사유에 기초하여 또는 임의의 다른 사유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런닝화보다 상대적으로 더 무거운 듀티 슈즈(duty shoes)와 같은 다른 유형의 신발의 중창 및/또는 밑창과 조합된 런닝화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이 마련될 수 있다.
이제 도 25 내지 도 33을 참고하면, 서스펜션(1600) 및 휠 조립체(1800)가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가장 일반적으로, 서스펜션(1600)은 암형 액슬 볼트(1604), 수형 액슬 볼트(1606), 내측 탑해트(1608), 외측 탑해트(1610) 및 서스펜션 스페이서(161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암형 액슬 볼트(1604), 수형 액슬 볼트(1606), 내측 탑해트(1608), 외측 탑해트(1610) 및 서스펜션 스페이서(1612)는, 적어도 착용 가능한 장치(1000) 및 서스펜션(1600)이 언로팅 상태일 동안에는 이미 설명된 서스펜션 축선(1602)과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놓이게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3을 간단히 참고하면, 서스펜션(1600)은 착용 가능한 장치(1000)와 별도로 조립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서스펜션 공동(1410)에 의해 구속되지 않고 관련 휠 조립체(1800)를 지탱하지 않는 방식으로 조립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33은, 서스펜션(1600)의 구성요소 부분의 상대적인 레이아웃을 명확하게 도시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수형 액슬 볼트(1606)의 일부가 암형 액슬 볼트(1604)의 일부 내에 수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33은 또한, 서스펜션(1600)이 조립되어 있을 때, 내측 탑해트(1608), 외측 탑해트(1610) 및 서스펜션 스페이서(1612)가 그 순서대로 암형 액슬 볼트(1604)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암형 베어링 표면(1614)을 따라 효과적으로 포획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33은 또한,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수형 베어링 표면(1616) 및 암형 베어링 표면(1614)의 나머지 부분이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휠 조립체(1800)를 지탱하기에 매우 적합하다는 것을 보이고 있다.
이제 도 25를 참고하면, 서스펜션(1600)의 내부도는, 서스펜션(1600)이 완전히 설치된 구조일 때 암형 액슬 볼트(1604)의 암형 헤드(1618)가 서스펜션 블록(1408)의 내측면과 암형 헤드(1618) 사이에서 내측 탑해트(1608)의 일부를 포획한다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25는 또한, 암형 헤드(1618) 및 내측 탑해트(1608)가 핀(1624)을 수용하기 위한 핀 노치(1622)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암형 헤드(1618)는 필립스(Philips) 유형의 스크류드라이버 헤드를 수용하기 위한 필립스 유형의 압입부를 포함하며, 암형 헤드(1618)는 또한 암형 액슬 볼트(1604)를 회전시키기 위한 및/또는 암형 액슬 볼트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코인(coin) 또는 자유롭게 이용 가능한 다른 툴(tool)을 수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세장형 슬롯(1626)을 더 포함한다. 그러나, 변형례에서는, 암형 헤드가 육각 헤드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핀(1624)은 서스펜션 블록(1408)에 형성된 핀홀(1628; pinhole)에 의해 이 핀홀 내로 수용될 수 있다. 핀홀(1628)은 서스펜션 블록(1408)의 내측면으로부터 서스펜션 블록(1408)의 대향하는 외측면까지 연장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례에 있어서, 핀홀(1628)은 상이하게 위치설정될 수 있고/있거나 핀(1624)을 위한 리셉터클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서스펜션 블록(1408)을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되지는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변형례에 있어서, 핀(1624) 및/또는 핀홀(1628)의 사용은 프레임(1400) 상의 추가적인 구조적 특징부를 포함함으로써 기능적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지, 벽, 돌출부 또는 다른 구조적인 요소는 프레임(1400) 내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서스펜션 블록(1408) 내에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핀 노치(1622)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서스펜션 요소의 평평한 부분의 에지들 중 하나 이상이 서스펜션 축선(1602)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간섭할 수 있도록 하는 정지부를 제공한다. 일부 변형례에 있어서, 다소 원형인 핀 노치(1622)는, 일부 실시예에서 암형 헤드(1618)의 에지를 간단히 연마함으로써 달성되는, 평평하게 된 간단한 부분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평평한 부분은 이제, 암형 헤드(1618)의 평평한 부분이 프레임(1400) 상에 마련되는 일체화된 형성부에 의해 방해를 받는 그 회전에 응답하여 암형 액슬 볼트(1604)의 회전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서스펜션 축선(1602)을 따라 서스펜션 공동(1410) 내로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물론, 추가적인 변형례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방해를 위한 기하학적 형상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육각 형상 및/또는 서스펜션 요소의 회전을 제한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기하학적 형상과 같은 더 복잡한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은 서스펜션(1600)으로부터 제거되었을 때의 수형 액슬 볼트(1606)의 사시도이다. 수형 액슬 볼트(1606)는 앞서 설명한 수형 헤드(1620), 이 수형 헤드(1620)으로부터 연장되는 수형 샤프트(1630)의 외측을 형성하는 수형 베어링 표면(1616), 및 수형 샤프트(1630)로부터 연장되는 나사식 지형부(1632; treaded finger)를 포함한다. 일단 수형 액슬 볼트(1606)가 서스펜션(1600)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면, [서스펜션(1600)이 완전히 설치되어 있을 때] 암형 베어링 표면(1614) 및 수형 베어링 표면(1616)에 의해 보통 지탱되는 휠 조립체(1800)는 서스펜션(160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착용 가능한 장치(10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된 수형 액슬 볼트(1606)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볼트의 헤드의 프로파일 및/또는 길이방향 범위(outreach)를 감소시키기 위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미터법에 따른 6 mm 정사각 헤드 볼트와 같은 표준 볼트를 개조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수형 액슬 볼트(1606)는 일부 실시예에서 세장형 슬롯(1626)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변형례는 육각 헤드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은,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나머지로부터 완전히 제거된 것으로 도시된 휠 조립체(1800)의 내측 사시도이다. 휠 조립체(1800)는 이미 설명한 휠 허브(1802), 타이어(1804) 및 휠 허브(1802)의 보어(1806)를 포함한다. 앞서 주목한 바와 같이, 휠 허브(1802), 타이어(1804) 및 보어(1806) 각각은 실질적으로 휠 조립체(1800)의 회전 축선(1808)을 따라 놓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휠 허브(1802) 및 타이어(1804)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할 수 있으며, 이미 존재하는 휠 허브(1802)의 더 작은 보어를 확대함으로써 보어(1806)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마찰 감소용 코팅(1810)은, 서스펜션 스페이서(1612)와 휠 허브(1802) 사이의 일시적인 및/또는 꾸준한 회전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휠 허브(1802)의 내측면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코팅(1810)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마찰 감소용 재료 및/또는 화학적 조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형례에 있어서, 휠 허브(1802) 자체는 마찰 면에서의 유사한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 합금 및/또는 다른 재료로 함침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보어(1806)는 2개의 베어링(1812)을 수용하는데, 하나의 베어링(1812)은 보어(1806)의 외측 에지에 실질적으로 이웃하고 다른 하나의 베어링(1812)은 보어(1806)의 내측 에지와 실질적으로 이웃한다. 베어링 스페이서(1814)는 베어링(1812)의 내측 레이스들 사이에 그리고 보어(1806) 내에 배치된다. 물론, 베어링 스페이서(1814)는 실질적으로 환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암형 베어링 표면(1614) 및/또는 수형 베어링 표면(1616)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중앙 보어를 갖는다.
이제 도 29를 참고하면, 서스펜션(1600)의 직교 상부도에는 수형 액슬 볼트(1606)가 제거된 상태 및 휠 조립체(1800)가 서스펜션(1600)으로부터 제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휠 조립체(1800)가 제거된 상태에서, 서스펜션 스페이서(1612)는, 더 얇은 허브 링(1634) 및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내측 레이스 링(1636)을 갖는 실질적으로 환형인 와셔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서스펜션 스페이서(1612)의 내측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외측 톱해트(1610)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외측면과 접촉한다. 허브 링(1634)의 외측면은 내측 베어링(1812)의 내측 레이스의 내측면에 대해 이웃하도록 치수가 결정되고 상기 내측면에 이웃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앞서 설명한 서스펜션(1600) 및 휠 조립체(1800)의 도면에서, 서스펜션(1600)이 완전히 설치되어 있고 휠 조립체(1800)가 서스펜션(1600) 상에 설치되어 있을 때 수형 액슬 볼트(1606)에 대해 암형 액슬 볼트(1604)가 충분히 타이트하면, 수형 헤드(1620) 및 내측 레이스 링(1636)은 베어링 스페이서(1814) 및 베어링(1812)의 내측 레이스를 타이트하게 포획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 결과로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 스페이서(1612), 베어링(1812)의 내측 레이스, 및 베어링 스페이서(1814) 중 하나 이상의 암형 베어링 표면(1614) 및/또는 수형 베어링 표면(1616)에 대한 회전은 크게 감소될 수 있고 및/또는 완전히 없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축선(1808)을 중심으로 한 휠 허브(1802) 및 타이어(1804)의 회전은, 주로 베어링(1812)의 외측 레이스가 베어링(1812)의 내측 레이스에 대해 회전하도록 자유롭게 남아있는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다.
이제 도 30을 참고하면, 서스펜션(1600)의 사시도에는 수형 액슬 볼트(1606)가 제거된 상태, 휠 조립체(1800)가 서스펜션(1600)으로부터 제거된 상태 그리고 서스펜션 스페이서(1612)가 서스펜션(1600)으로부터 제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0은, 암형 액슬 볼트(1604)가 수형 샤프트(1630)의 내측면과 암형 액슬 볼트(1604) 사이의 주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마디형(knurled) 경계(1638)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서스펜션(1600)의 설치 중에, 핀(1624)은 암형 액슬 볼트(1604)의 회전을 방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일체로 마디가 형성된 경계(1638)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스파이더 와셔(spider washer), 접착제, 접합제, 및/또는 타이트한 스크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다른 메커니즘과 같은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암형 액슬 볼트(1604)에 대해 수형 액슬 볼트(1606)의 각도상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제 도 31을 참고하면, 내측 톱해트(1608)의 외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내측 톱해트(1608) 및 이 내측 톱해트(1608)에 관한 서스펜션 스페이서(1612)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은, 더 얇은 외측 링(1640) 및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내측 링(1642)을 갖는 실질적으로 환형인 와셔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외측 링(1640)은, 이렇게 외측 링(1640)이, 완전히 설치된 위치에서 서스펜션 공동(1410)에 대해 실질적으로 외측에 남아있게 된다는 이유로 명명된 것이다. 내측 링(1642)은, 이렇게 내측 링(1642)이, 완전히 설치된 위치에서 서스펜션 공동(1410) 내에 실질적으로 배치되고 암형 베어링 표면(1614) 둘레에 실질적으로 배치된다는 이유로 명명된 것이다. 도 31은 또한, 톱해트 내측 보어(1644)가 길이방향 릿지(1646)의 각도상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인데, 이 길이방향 릿지는 암형 액슬 볼트(1604)의 기부(1648)의 실질적으로 유사한 릿지(1646)와 실질적으로 동형으로 형성된다. 기부(1648)는 일반적으로 암형 헤드(1618)로부터 서스펜션 공동(1410)을 통해 연장되어 암형 베어링 표면(1614)에서 종결된다. 내측 톱해트(1608)의 릿지(1646)는 초기에 내측 톱해트(1608) 내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지만, 오히려 내측 톱해트(1608)의 릿지(1646)는, 암형 액슬 볼트(1604)의 기부(1648)의 릿지(1646)와 공동 벽 사이에서 서스펜션 공동(1410) 내로 강제되는 내측 톱해트(1608)에 응답하는 내측 톱해트의 재료 변형의 결과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외측 톱해트(1610)는, 외측 톱해트(1610)가 핀 노치(1622)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내측 톱해트(1608)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는 것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이제 도 32를 참고하면, 서스펜션(1600)의 사시도에는 수형 액슬 볼트(1606), 휠 조립체(1800), 서스펜션 스페이서(1612) 및 외측 톱해트(1610)가 없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2는, 마디형 경계(1638) 및 암형 액슬 볼트(1604)의 기부(1648) 상의 릿지(1646)를 더욱 명확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32는 또한, 내측 톱해트(1608) 및 구체적으로는 내측 톱해트(1608)의 내측 링(1642)이 기부(1648)와 서스펜션 공동(1410)의 표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32는 또한, 핀홀(1628)이 서스펜션 블록(1408)을 통해 서스펜션 블록(1408)의 외측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도시한다. 또한 더욱이, 도 32는, 암형 액슬 볼트(1604)의 적어도 일부, 즉 암형 베어링 표면(1614)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을 향한 적어도 일부는 나사식 지형부(1632)를 암형 액슬 볼트(1604)의 유사하게 나사가 형성된 리셉터클(1653) 내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명확하게 제시한다.
이제 도 34를 참고하면, 휠 조립체(1800) 및 서스펜션(1600)의 단순화된 개략도는, 제1 언로딩 상태 및 (가상선으로 표시된) 제2 로딩 상태 및/또는 사용 중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4는 서스펜션(1600)의 작동을 예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서스펜션(1600)이 언로딩 상태일 때, 가요성 있고 및/또는 압축성이며 및/또는 탄성적으로 전단 가능한 내측 톱해트(1608) 및 외측 톱해트(1610)의 재료는 그 실절적으로 환형으로 대칭인 형태를 유지하면서 놓여 있다. 언로딩 상태에 있어서, 공동 축선(1412), 서스펜션 축선(1602) 및 회전 축선(1808)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놓인다. 그러나, 서스펜션(1600)이 언로딩 상태로부터 섭동을 받을 때, 내측 톱해트(1608) 및 외측 톱해트(1610) 중 하나 이상은 변형할 수 있고, 이는 서스펜션 축선(1602) 및 회전 축선(1808)이 공동 축선(1412)과 동축인 상태로부터 편향되도록 해준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서스펜션 축선(1602) 및 회전 축선(808)은 각각의 서스펜션 축선(1602')에 대해 그리고 회전 축선(1808') 위치에 대해 (예컨대, 위에서 볼 때) 섭동 각도(1650)만큼 공동 축선(1412)로부터 멀리 섭동될 수 있다. 암형 액슬 볼트(1604) 및 수형 액슬 볼트(1606)는 서스펜션 블록(1408)에 의해 효과적으로 주로 구속되며, 유일한 소위 "부동 축(floating axle)"(1652)을 형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서로에 대해 충분히 강건하게 연결된다. 다시 말하면, 부동 축(1652)에 대해 주로 허용되는 기계적인 자유도는, 앞서 설명한 섭동에 응답하여 회전 중심(1654)을 중심으로 부동 축(1652)의 대향 단부가 궤적을 그릴 수 있도록 한다. 회전 중심(1654)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톱해트(1608)의 내측면과 외측 톱해트(1610)의 외측면 사이에서 길이를 따라 중간점 부근에서 공동 축선(1412)을 따라 대체로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동 축(1652)이 충분히 섭동을 받는다면, 전성이 있는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압축 가능한 내측 톱해트(1608) 및 외측 톱해트(1610)는 섭동을 받은 내측 톱해트(1608') 및 섭동을 받은 외측 톱해트(1610')에 의해 나타나는 형상을 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물론, 톱해트(1608, 1610)들은 일반적으로 암형 헤드(1618), 서스펜션 블록(1408) 및 서스펜션 스페이서(1612) 그리고 부동 축(1652)에 의해 구속되기 때문에, 부동 축(1652)의 운동은 압축 영역(1656) 및/또는 압출 및/또는 압출 영역(1658)을 초래할 수 있는데, 이 영역에서 톱해트(1608', 1610')들은 부동 축(1652)의 운동을 보상하도록 변형된다. 각각의 휠 조립체(1800)와 관련하여 이러한 서스펜션(1600)을 제공함으로써, 착용 가능한 장치(1000)는 다수의 소위 완전히 독립적인 서스펜션(1600)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각각의 서스펜션(1600)이 다른 서스펜션(1600)으로부터 받게 되는 모든 섭동으로부터 완전히 고립될 수 없을 때, 개시된 서프펜션(1600)은 관련된 휠 조립체(1800)에 대한 섭동의 실질적으로 국지적인 흡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4에 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휠 조립체는,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한 휠 허브(1802) 및 타이어(1804)의 앞서 설명한 회전을 제외하고는 그리고 관련된 회전 중심(1654)을 중심으로 한 전체 휠 조립체(1800)의 앞서 설명한 궤적 운동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프레임(1400) 및/또는 신발(120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앞서 설명한 착용 가능한 장치(1000)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의 크기 및/또는 해부구조[즉, 분지(1406), 휠 조립체(1800) 등의 위치 및 상대적인 간격]에 응답하여 선택되는 전달 경로를 통해 힘을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와 지면(1008) 사이의 생체역학적으로 및/또는 인체공학적으로 감지 가능한 힘 전달을 제공할 수 있다. 착용 가능한 장치(1000)는 또한 사용자에게 [지면(1008)에 근접한] 저프로파일 주행 해법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 주행 해법은 착용 가능한 장치(1000) 및/또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사용자가 바람직하지 않게 수직방향으로 높은 무게 중심을 갖게 하지 않으면서 바람직한 크기의 지면 틈새를 제공한다. 또한 더욱이, 프레임(1400)의 앞서 설명한 물리적 레이아웃에 응답하여,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보도에 있는 융기된 갈라진 틈과 같은 일상의 롤러 주행 장애물은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사용자에게 더 적은 위험을 줄 수 있다. 예로서, 지면(1008)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사용자를 고려하라. 사용자가 사용자의 정해진 이동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융기된 보도의 갈라진 틈에 접근하면, 사용자는 충격을 덜 느낄 수 있을 것이고 및/또는 이러한 갈라진 틈에 반응하기 위해 더 많은 시간을 갖게 될 것인데, 왜냐하면 전방 좌측 타이어(1804)가 다른 타이어(1804)에 앞서 갈라진 틈과 만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휠 조립체(1800)의 다소 엇갈린 및/또는 불균일한 구성은 사용자와 지면(1008) 사이의 인체공학적이고 및/또는 더욱 효율적인 힘 전달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물리적 레이아웃은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대해 불필요하게 큰 임피던스 힘으로 사용자가 보통의 롤러 주행 장매물을 만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물론, 변형례에 있어서, 암형 액슬 볼트(1604) 및/또는 수형 액슬 볼트(1606) 중 하나 이상은, 프레임(1400) 및/또는 신발(1200)에 대한 실질적으로 강건한 부착점 부근으로 회전 중심(1654)을 재배치할 수 있는 외팔보 방식으로, 프레임(1400) 및/또는 신발(1200)에 부착될 수 있다. 추가적인 변형례에 있어서, 부동 축(1652)은 부동 축(1652)의 길이를 따라 중간점에 더 근접하게 구속될 수 있고/있거나 부동 축(1652)은 도 34에 도시된 가요성 구속에 대한 추가적인 구속으로서 부동 축(1652)의 단부에 대한 외팔보 유형의 결합을 추가함으로써 이중으로 구속될 수 있다. 또한 더욱이, 변형례에 있어서, 부동 축(1652)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축은 유사한 톱해트(1608, 1610) 및 서스펜션 블록(1408) 구속에 의해 그 길이를 따라 2배 이상 구속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은 다수의 소위 필로우 블록 유형의 구성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할 수 있다.
이제 도 35 내지 도 43을 참고하면, 신발(1200)을 프레임(1400)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부착 시스템(2000)이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한편으로는 롤러 주행을 위해 착용 가능한 장치(1000)를 이용하고자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동일한 사용자는 경우에 따라 롤러 주행의 실시와 관련 없이 실질적으로 통상적인 신발로서 신발(1200)을 이용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내용은, 프레임(1400)으로부터 신발(1200)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허용할 뿐만 아니라 프레임(1400)에 대해 신발(1200)을 선택적으로 부착하는 것을 허용하는 부착 시스템(2000)을 제공한다.
도 35를 참고하면, 신발(1200)의 내부도가 도시되어 있다. 신발(1200)은 4개의 부착 시스템(2000)을 이용하여 프레임(1400)에 부착된다. 가장 일반적으로, 각각의 부착 시스템(2000)은, 편향식 리테이너(2004)의 사용을 통해 프레임(1400)에 대해 선택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스터드(2002)를 포함한다. 스터드(2002)는 일반적으로 신발(1200)의 밑창(1204)을 통해 프레임(1400)의 일부 내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도 35는, 안창(1222)에 압축력을 부과하고 및/또는 실질적으로 안창과 동일한 높이에 놓이는 스터드 헤드(2006)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스터드(2002)의 회전 운동은, 스터드가 편향식 리테이너(2004)에 의해 유지되는지 또는 해제되는지 여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터드는, 스터드(2002)의 회전 운동을 실현하기 위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코인 및/또는 스크류드라이버와 같은 간단한 툴을 이용하여 대략 1/4 및/또는 1/2 회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이제 도 36을 참고하면, 신발(1200)이 프레임(1400)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제거된 상태로 착용 가능한 장치(1000)가 도시되어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무용 및/또는 비작동 부착 시스템(2000)의 스터드(2002)가 밑창(1204)으로부터 제거되고 리테이너(2004)에 의해 유지되지 않는 한, 무용 및/또는 비작동 상태인 것인 2개의 부착 시스템(20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36은 또한, 밑창(1204)이 밑창 컷아웃 프로파일(1252)를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밑창 컷아웃 프로파일(1252)은 프레임(1400)의 외측 프로파일 단차부(1430)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형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신발(1200)은 프레임(1400)에 조립되고, 밑창 경계면(1250)은 실질적으로 프레임(1400)의 상위 경계면(1422)의 적어도 일부에 이웃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나머지 주된 트레드 면(1230)의 일부는, 외측 프로파일 단차부(1430)의 렛지(1434)의 적어도 일부와 실질적으로 이웃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신발(1200)이 프레임(1400)에 부착될 때, 일부 실시예에서는 효과적으로 프레임(1400)의 일부를 밑창(1204) 내에 끼워넣을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 및/또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사용자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더욱 심미적인 외관 및/또는 더 낮은 무게 중심을 달성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이제 도 37을 참고하면, 프레임(1400)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된 신발(1200)의 직교 하부도에는, 스터드(2002)가 밑창(1204)의 밑창 구멍(1254)을 통해 연장되는 상태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4개의 부착 시스템(2000)은 다소간 직선으로 둘러싸인 및/또는 다소간 직사각형인 레이아웃으로 마련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부착 시스템(2000)이 일반적으로 임의의 다른 폐쇄 다각형 방식으로, 자체 교차형 다각형 방식으로, 및/또는 곡선 경로 방식으로 놓이도록 4개가 넘는 또는 4개보다 적은 부착 시스템(2000)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 시스템(2000)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복수 개의 부착 시스템(2000)이 몸통 중선 평면(1414)과 선형적으로 관련되는 것과 같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레이아웃으로 분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 시스템(2000)은 일반적으로 각각 별도의 분지 중선 평면(1416)을 따라 놓이며, 이에 따라 넓은 지지 기초 및/또는 넓게 떨어진 힘 전달 경로를 제공한다.
이제 도 38을 참고하면, 스터드(2002)의 사시도가 제시된다. 각각의 스터드(2002)는, 후크(2010)로 종결되는 스터드 샤프트(2008)에 연결되는 스터드 헤드(2006)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터드 샤프트(2008)는 스터드 샤프트(2008)와 후크(2010) 사이에 캠 오목부(20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39를 참고하면, 리테이너(2004)의 사시도가 제시된다. 각각의 리테이너(2004)는 실질적으로 박스 형상이며 대체로 크레넬레이션형인 돌출부(2014)를 포함한다. 크레넬레이션형 돌출부(2014)는 곡선형 천이면(2016) 및 (설치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직립하는 돌출부 벽(2018)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40 내지 도 43을 참고하면, 삽입된 위치이지만 비잠금 위치인 스터드(2002)의 직교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2 및 도 43을 참고하면, 리테이너(2004)가 프레임(1400)의 리테이너 채널(1446) 내에 수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스프링(2020)이 리테이너 채널(1446) 내에 또한 배치될 수 있으며, 리테이너 채널(1446) 내에서 리테이너(2004)를 편항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1440)는 리테이너(2004) 및 관련 스프링(2020)을 리테이너 채널(1446) 내에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커버 플레이트(1440)에 의해 덮인 각각의 부착 시스템(2000)에 있어서, 커버 플레이트(1440)는, 스터드가 커버 플레이트(1440)를 통해 리테이너 채널(1446)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스터드 구멍(1448)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커버 플레이트(1440)는 2개의 부착 시스템(2000)의 리테이너(2004) 및 스프링(2020)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1440)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프레임(1400)에 커버 플레이트(14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크류와 같은 패스너를 수용하기 위해 그리고 구체적으로 플레이트 오목부(1438)를 실질적으로 채우기 위해 입구를 넓힌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2002)는, 리테이너(2004)가 스터드 샤프트(2008)와 접촉하더라도 리테이너(2004)에 대해 고정되지 않은 및/또는 유지되지 않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것은, 스터드(2002)의 수직 이동을 방지하도록 스터드(2002)에 대해 리테이너의 돌출부(2014)가 위치설정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제 도 41을 참고하면, 스터드(2002)는, 리테이너(2004)가 스터드(2002)의 수직 이동을 방지하도록 스터드(2002)에 대해 위치설정되기 때문에 리테이너(2004)에 대해 고정된 및/또는 유지된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2002)의 수직 이동은 리테이너(2004)에 의해 방지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후크(201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부(2014) 아래의 위치에 있으므로 스터드(2002)의 임의의 상향 이동은 돌출부(2014)에 의한 후크(2010)의 방해에 의해 간섭을 받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터드(2002)는, 우선 스터드(2002)를 그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약 1/4 회전만큼 회전시켜 캠 표면으로서 성형되지 않은 및/또는 돌출부(2014) 상에 걸릴 수 없는 스터드 샤프트(2008)의 일부와 돌출부 벽(2018)이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고정된 및/또는 유지된 위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제 도 42를 참고하면, 부착 시스템의 확대 사시도는, 스터드(2002)가 리테이너(2004)에 의해 프레임(1400)에 대해 유지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제 도 43을 참고하면, 4개의 부착 시스템(2000)의 직교 상부도가 도시되어 있다. 4개의 부착 시스템(2000) 각각의 스터드(2002)는 관련된 리테이너(2004)에 의해 유지되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신발(1200)이 프레임(1400)으로부터 제거된 일부 경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밑창 플러그가 스터드 구멍(1448)을 막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있거나, 밑창 컷아웃 프로파일(1252) 및 이와 관련하여 제거된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채우기 위해 밑창 인서트가 바닥창(1224)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변형례에 있어서, 신발(1200)을 프레임(1400)에 선택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대안적인 시스템이 마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대안적인 부착 시스템은, 관련 리테이너(2004) 및/또는 그 기능적인 등가물로부터 하나 이상의 스터드(2002)를 해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푸시 버튼(push-buttons)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푸시 버튼은 전방 부착점들 중 하나 또는 2개를 해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신발(1200)과 프레임(1400) 사이의 모든 부착점을 해제시키도록 단일 푸시 버튼이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관련 리테이너(2004) 및/또는 그 기능적인 등가물로부터 하나 이상의 스터드(2002)를 해제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회전 가능한 요소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가능한 요소는, 회전 가능한 요소의 회전 이동에 응답하여 스터드(2002)의 선택적인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리테이너(2004)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바아와 관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가능한 요소 및/또는 푸시 버튼 중 하나 이상은, 프레임의 몸통(1404), 신발의 중간 밑창(1238), 및/또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편리하게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부분 중 하나 이상 내에 편리하게 지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앞서 설명한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실시예 및 다수의 개시된 변형례를 이용하여 롤러 주행을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롤러 주행을 실행하는 제1 방법은,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신발(1200) 내로 사용자가 그 발을 우선 삽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가 2개의 착용 가능한 장치(1000)를 착용하도록 하기 위해 그의 두 발을 각각 착용 가능한 장치의 적절하게 구성된 및/또는 물리적으로 치수 설정된 신발(1200) 내로 삽입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제1 방향으로 지면 위에서 병진 운동을 발생시키고자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소위 "토 스타트(toe start)" 및/또는 소위 "스프린트 스타트(sprint start)"를 이용하여 전방으로 이동을 시작할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발의 발가락 및/또는 볼(ball)을 이용하여 걷거나 및/또는 달림으로써 전방으로 전진하여 가속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토 스타트 및/또는 스프린트 스타트는, 사용자와 지면(1008) 사이에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전방 밑창(1234) 중 적어도 일부를 지면(1008)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전방 속도에 도달하면, 사용자는 이후에 토 스타트 모드의 주행으로부터 롤러 주행 유형의 주행으로 전환할 수 있는데, 이때 타이어(1804)가 또한 회전 축선(1808)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 하나 이상의 타이어(1804)가 소정 시간 동안 지면과 접촉하는 결과로서 지면(1008)을 가로지르도록 하나 이상의 휠 조립체(1800)가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토 스타트는, 심지어 사용자가 앞서 설명한 달리기 작용을 이용하여 가속할 때에도 사용자의 발 및/또는 발목이 달리기를 위한 실질적인 통상의 운동 범위 내에서 구부러지도록 보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자연스러운 움직임에 의한 사용자의 가속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및/또는 통상의 생리적인 운동 범위를 벗어난 토 스타트를 필요로 할 수 있는 다른 장치와 비교할 때 더 큰 가속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생리적 운동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자연스러운 범위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토 스타트 동안 상대적으로 지면(1008)에 근접하게 유지하기 위해 발 경계면(1006)을 제공하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토 스타트는, 지면(1008)으로부터 후방 타이어(1804)를 들어올리는 것 그리고 전방 밑창(1234)이 지면(1008)에 닿을 때까지 전방 회전 축선(1808) 중 하나 이상을 중심으로 전방을 향해 착용 가능한 장치(100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전방 밑창(1234)이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상의 달리기 또는 도보 중에 보통 가속하는 것과 상당히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밑창(1204)을 통해 직접 지면(1008)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앞서 설명한 토 스타트 동안 무게 중심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일부 경우에 있어서는 훨씬 더 낮은 무게 중심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롤러 주행은 소위 "인라인 스케이팅 방법"을 이용하여 및/또는 소위 "아이스 스케이팅 방법"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는데, 이 방법에 있어서 병진 평면(1010)을 보장하면서 사용자로부터 지면(1008)으로 힘이 전달되는 소위 "오리발 자세(duck foot stance)"에서 사용자 위치 자체는 지면에 인가되는 힘의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지 않다(임의의 힘 벡터의 수직 성분은 무시함). 그러한 자세로부터, 사용자는 속도를 높이기 위해 지면을 밀 수 있고/있거나 정지 위치로부터 이동을 시작하기 위해 지면을 밀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롤러 주행의 속도는, 지면(1008)에 대한 하나 이상의 타이어(1804)의 끌림(dragging), 지면(1008)에 대한 밑창(1204)의 일부의 끌림, 및/또는 사용자 및/또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에 대한 유체 유동 저항에 기인하여 및/또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구성요소들의 상대 운동으로 인한 마찰력에 기인하여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마찰력의 결과로서 보다 저속으로 점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코스팅 중 임의의 하나에 의해 감속 및/또는 정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는, 사용자가 무게 중심을 이동(shifting)시키는 것 또는 그렇지 않으면 착용 가능한 장치가 지면(1008)으로부터 전방 타이어(1804)를 들어올리도록 하는 것, 착용 가능한 장치(1000)를 하나 이상의 후방 회전 축선(1808)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 그리고 후방 밑창(1236)을 지면(1008)과 닿게 하는 것에 응답하여 감속될 수 있다. 이러한 감속 방법은 뒤꿈치 정지법(heel stop)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착용 가능한 장치(1000)를 감속하는 다른 방법은, 사용자가 후방으로 이동한 후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 또는 그렇지 않으면 착용 가능한 장치가 지면(1008)으로부터 후방 타이어(1804)를 들어올리도록 하는 것, 착용 가능한 장치(1000)를 하나 이상의 전방 회전 축선(1808)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 그리고 전방 밑창(1234)을 지면(1008)과 닿게 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사용자가 이동 방향을 역전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앞서 설명한 가속 방법 및 감속 방법은, 착용 가능한 장치(1000)가 작동 및/또는 사용될 수 있는 방식의 단지 예일 뿐이며, 착용 가능한 장치(1000)는 단지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의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변형례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소정 용도에 따라 선택 및/또는 구성되는 재료 및/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크레이션용으로 착용 가능한 장치(1000)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또는 경험이 적은 착용 가능한 장치의 사용자는, 약 80 내지 약 84인 경도계 등급 재료,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82A의 경도계 등급 재료로 구성되는 타이어(1804)를 포함하는 착용 가능한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변형례에 있어서, 약 25A 또는 그 이하의 경도계 등급을 나타내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낮은 경도계 등급의 재료가 시스템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거나, 또는 불충분한 시스템 강성의 결과로서 소위 "고속 워블(high speed wobble)"을 초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전문적인 사용자는 약 90 내지 92의 경도계 등급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는 타이어(1804)를 선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레크레이션용으로 착용 가능한 장치(1000)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또는 경험이 적은 착용 가능한 장치의 사용자는, 직경이 약 80 mm 내지 약 84 mm인 타이어를 포함하는 착용 가능한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반면, 착용 가능한 장치의 전문적인 사용자 및/또는 보다 경험이 있는 착용 가능한 장치의 사용자는, 원하는 속도를 달성하기 위해 최대 약 120 mm 또는 그 이상의 큰 직경의 타이어를 선호할 수 있다. 또한 더욱이, 레크레이션용으로 착용 가능한 장치(1000)를 사용하는 사용자 및/또는 경험이 적은 착용 가능한 장치의 사용자는, 베어링(1812)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표준적인 및/또는 통상의 소위 "608 스케이트 베어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반면,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전문적인 사용자 및/또는 보다 경험이 있는 착용 가능한 장치의 사용자는, 마찰 손실을 감소시키고 및/또는 표준적인 608 베어링에 대해 다른 개선점을 제공하는 세라믹 재료 또는 다른 특수 재료로 이루어진 베어링을 이용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전체 타이어(1804) 직경은 심지어 60 mm 미만 내지 120 mm 초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타이어(1804)의 경도계 등급은 25A 등급 미만 내지 95A 등급 초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일부 실시예는 이 장치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정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는 대안적인 재료 및/또는 조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 스페이서(1612), 베어링 스페이서(1814) 및 프레임(1400) 중 하나 이상은 소위 6061-T6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암형 액슬 볼트(1604) 및 수형 액슬 볼트(1606) 중 하나 이상은 소위 18-8 스테인레스 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톱해트(1608) 및 외측 톱해트(1610) 중 하나 이상은, 비에프 굿리치 컴퍼니(BF Goodrich Company)에 의해 공급되는 원료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는 우레탄 재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재료는 소위 폴리우레탄 95A와 적어도 일부 재료 유사성을 나타내는 재료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프레임(1400) 및/또는 다른 구성요소는, 주조 알루미늄, 플라스틱, 수지, 우레탄, 폴리우레탄,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형례에 있어서, 다양한 유형의 신발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향상 및/또는 힘 전달 증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발목 위로 연장되는 갑피를 갖춘 헤비 듀티(heavy duty) 가죽 부츠가 이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이렇게 강도가 향상된 신발은, 착용 가능한 장치(1000)와 같은 롤러 주행 장치의 전문적인 및/또는 보다 유능한 사용자에 의해 선호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을 착용 가능한 장치(1000)에 결합시키기 위해 단지 부분적인 신발(즉, 단지 뒤꿈치 부분, 단지 토 부분, 또는 단지 신발에 해당하는 스트랩 및/또는 레이스)만이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터드(2002)가 밑창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 밑창 구멍(1254)을 채우기 위해 밑창 플러그가 마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실시예는, 전방을 향해 위치하는 리벳, 장착 볼트, 또는 스터드(2002)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기 위해 갑피(1202)에 형성되는 액세스 구멍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더욱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통상적인 신발은 앞서 설명한 부착 시스템(2000)을 포함하기보다는 프레임(1400) 상부에서 스트랩으로 간단하게 묶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밑창(1204)의 측부는 프레임(1400), 서스펜션(1600) 및/또는 휠 조립체(180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1400)은 복수 개의 조절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140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몸통(1404), 분지(1406) 및/또는 서스펜션 블록(140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더욱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몸통 및 분지가 서로에 대해 경계를 이루는 외각(1418)은 조절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휠 조립체(1800)의 추가적인 기계적 서스펜션을 제공하는 가요성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4개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휠 조립체(1800)가 사용될 수 있으며, 휠 조립체(1800)의 상대적인 위치, 크기, 및 힘 전달 능력은 변할 수 있다.
이제 도 44를 참고하면, 프레임(1400)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된 신발(1200)의 단순화된 직교 하부도에는, 스터드(2002)가 밑창(1204)의 밑창 구멍(1254)을 통해 연장되는 상태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44는, 스터드 플레이트(2022)가 스터드(2002)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밑창(1204) 내에 내장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터드 플레이트(2022)는 바닥창(1224)와 중창(1226) 사이에서 밑창(1204) 내에 내장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터드 플레이트(2022)가 신발(1200) 및/또는 밑창(1204)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부분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에 위치하는 각각의 스터드(2002)를 위해 별도의 스터드 플레이트(2022)가 마련될 수 있는 반면, 2개의 후방 스터드(2002)와 관련하여 단일 스터드 플레이트(2022)가 이용될 수 있다. 물론, 추가적인 변형례에 있어서, 각각의 스터드(2002)를 위해 별도의 스터드 플레이트(2022)가 마련될 수 있다. 스터드 플레이트(2022)는 전체 강도에 기여할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프레임(1400)은 신발(1200)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활발한 사용 중에 신발(1200)과 프레임(1400)의 의도치 않은 분리가 방지된다. 스터드 플레이트(2022)는 특정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스터드 플레이트는 대안으로 직사각형, 다각형 및/또는 임의의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터드 플레이트(2022)는 금속, 플라스틱, 수지, 우레탄, 폴리우레탄, 및/또는 앞서 설명한 보강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별도의 부착되지 않은 전방 스터드 플레이트(2022)를 제공하는 것은, 선택적인 방식으로 전방 휠에 대한 더욱 용이한 힘 전달을 또한 제공할 수 있는 전방 밑창(1234)의 가요성 향상을 통해, 사용자가 무게 중심을 기울이고 및/또는 이동시키는 것에 따른 터닝 및/또는 조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별도의 전방 스터드 플레이트(2022)를 제공하는 것은, 이러한 조향 및/또는 터닝 동안 및/또는 가속 또는 감속을 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움직임 동안 전방 스터드를 통해 측방향(수직이 아님) 힘 전달을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44는 또한, 착용 가능한 장치(1000)가 일체의 및/또는 제거 가능한 전방 마모 패드(2024) 및/또는 후방 마모 패드(2026)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전방 마모 패드(2024) 및 후방 마모 패드(2026)는 선택적일 수 있으며, 지면(1008)과의 마찰식 상호작용을 증가 및/또는 감소시키는 데 유용할 수 있는 내마모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마모 패드(2024 및 2026)의 마찰 특성은, 밑창(1204)의 다른 구성요소보다 더 큰 마찰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마모 패드(2024 및/또는 2026)는 밑창(1204)에 의해 제공되는 마찰과 비교할 때 감소된 마찰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마모 패드(2024 및 2026)는, 신발(1200)의 유효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희생 구성요소(sacrificial components) 또는 쓰고 버리는 구성요소(throw away components)로서 마련될 수 있다. 변형례에 있어서, 마모 패드는, 소정의 개선된 가속 성능, 감속 성능, 내마모성, 및/또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 및/또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가 사용될 수 있는 환경의 보호를 제공하도록, 착용 가능한 장치(1000) 상에서 임의의 적합한 형상, 재료 조성, 및/또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4에서는 밑창(1204) 상에 마련되고 및/또는 밑창(1204)에 의해 지탱되는 것으로 마모 패드(2024 및 2026)가 도시되어 있지만, 변형례에서는, 프레임(1400) 및/또는 신발(1200)의 다른 부분에 대한 선택적인 부착을 위해 마모 패드(2024 및/또는 2026)가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삭마 영역(2028)이 신발(1200)에 마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삭마 영역(2028)은, 신발(1200)의 다른 영역과 비교할 때, 특히 밑창(1204)의 다른 영역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더 큰 내삭마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삭마 영역(2028)은 전방 밑창(1234)의 전방부 및 후방 밑창(1236)의 후방부 중 하나 이상에 마련될 수 있다. 삭마 영역의 재료는 실질적으로 항공기 타이어 재료 및/또는 내삭마성이 높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와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내삭마성 재료는, 지면(1008)에 흔적이 남지 않도록 또는 그렇지 않으면 삭마 영역(2028)과의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변색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위 "흔적이 남지 않는(non-marking)" 재료로서 선택될 수 있다.
이제 도 45 및 도 46을 참고하면, 타이어(1804)의 2가지 변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 45는, 타이어(1804)가 지면(1008)과 경계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파일로서 실질적으로 점진적으로 라운딩(rounding)되는 프로파일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46은, 상대적으로 도 45와 비교할 때, 타이어(1804)가 지면(1008)과 경계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파일로서 더 예리하고 및/또는 더욱 뾰족한 프로파일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오토바이 및/또는 자전거 타이어 프로파일의 변동에서와 상당히 유사하게, 타이어 프로파일의 변동은,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안정성 및/또는 조작 가능성에 상당히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착용 가능한 장치의 초심자인 사용자는 도 46의 타이어(1804)보다 도 45의 타이어(1804)를 선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45의 타이어(1804)는 사용자의 무게 중심 이동에 응답하여 더 큰 안정성 및/또는 보다 점진적인 터닝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5의 타이어(1804)는, 도 46의 타이어(1804)와 비교할 때, 대응성(responsiveness) 및 예리함(sharpness)을 제한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이 대응성 및 예리함을 이용하여 무게 중심의 이동에 따른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터닝 및/또는 조향을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부 경우에 있어서, 전문적인 및/또는 보다 경험이 많은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사용자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를 터닝시키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조작하려는 노력에 대한 보다 신속한 응답 및 더욱 향상된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 45의 타이어(1804)보다 도 46의 타이어(1804)를 선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이어(1804) 및/또는 휠 조립체(1800)는 임의의 유형의 휠 및/또는 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휠 및/또는 타이어의 선택은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성능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로서, 인라인 스케이트와 주로 관련되는 휠 및/또는 타이어와 같이 상대적으로 더 높고 더 좁은 일부 스케이트 휠 및/또는 타이어는, 4륜 롤러 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와 주로 관련되는 휠 및/또는 타이어와 같이 더 짧고 더 넓은 휠 및/또는 타이어와 비교할 때 더 빠른 속도를 달성하는 능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더 짧고 더 넓은 휠 및/또는 타이어는 더 높고 더 좁은 휠 및/또는 타이어와 비교할 때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이어(1804)는, 타이어(1804)의 면 대 면 두께보다 현저히 더 큰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더 높고 더 좁은 스케이트 휠 및/또는 타이어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와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해 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휠의 면 대 면 두께 및/또는 측벽은 서스펜션(1600)의 기하학적 형상을 수용하도록 축소될 수 있다. 더 높은 휠 및/또는 타이어(1084)는, 표준의 더 짧고 더 넓은 휠과 비교할 때 개선된 속도 능력 및/또는 개선된 터닝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더 짧고 더 넓은 휠 및/또는 스케이트보드 휠이 휠 조립체(1800)의 구성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대안적인 휠 및/또는 타이어가 휠 조립체(1800)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위 저압 타이어(balloon tire), 소위 오프로드 타이어(off-road tire), 공압 타이어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타이어 및/또는 휠이 휠 조립체(1800)에 통합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휠 및/또는 타이어(1804)가 사용되더라도, 휠 및/또는 타이어의 면 대 면 폭은 사용자의 왼발에 착용된 착용 가능한 장치(1000)와 사용자의 오른발에 착용된 별도의 착용 가능한 장치(1000) 사이의 간섭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만 한다.
이제 도 47을 참고하면, [도 45 및 도 46의 타이어(1804)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평평한 지면 접촉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타이어(1804)가 도시되어 있다. 도 47의 타이어(1804)는 향상된 안정성 및/또는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지만, 도 45 및 도 46의 타이어(1804)와 비교할 때 더 빠른 속도를 달성함에 있어서 용이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47의 타이어(1804)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경험이 없는 사용자에게 매우 적합할 수 있거나, 또는 의도적으로 고속 및/또는 의도치 않은 터닝의 달성을 제한하고자 할 수 있는 사용자에게 매우 적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무게 중심을 이동하는 것에 따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터닝 및 조작은,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이어 접촉 패치 면적, 코너링 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타이어 미끄럼 각도, 및 캠버 스러스트(camber thrust)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타이어 캠버 각도의 널리 공지된 인자에 따른 것일 수 있다. 타이어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이들 인자 및 원리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전반적인 안정성 및 대응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앞서 설명한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에는 다양한 타이어(1804) 프로파일 및/또는 다양한 타이어(1804) 캠버 각도를 나타내는 휠 조립체(1800) 및/또는 타이어(1804)가 마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타이어(1804) 프로파일 및 타이어(1804) 캠버 각도는, 로딩 상태에서 및/또는 언로딩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변형례에 있어서, 타이어(1804) 프로파일 및/또는 캠버 각도 및/또는 타이어(1804) 및 지면(1008)과 타이어의 접촉에 영향을 주는 다른 휠 조립체(1800)의 물리적 구조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타이어(1804) 세트들 간에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독립적인 서스펜션(1600)을 포함하는 착용 가능한 장치(1000)로 인해, 착용 가능한 장치(1000)의 각각의 타이어(1804)의 개별적인 특성 및 섭동에 대한 각각의 타이어의 응답은, 개선된 충격 흡수 및/또는 개선된 조작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동일한 착용 가능한 장치의 다른 타이어(1804)와 상이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착용 가능한 장치(3000)의 변형례가 도시되어 있다. 착용 가능한 장치(3000)는 일반적으로 신발(3002), 프레임(3004) 및 부착 시스템(3006)을 포함한다. 착용 가능한 장치(3000)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또한 서스펜션(1600)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서스펜션 및 휠 조립체(18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휠 조립체를 포함한다. 신발(3002)은 신발(1200)과 실질적으로 유사하지만, 부착 시스템(2000) 대신 부착 시스템(3006)을 보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레임(3004)은 프레임(1400)과 실질적으로 유사하지만, 부착 시스템(2000) 대신 부착 시스템(3006)을 보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착 시스템(3006)은 일반적으로 전방 결합부(3008) 및 후방 결합부(3010)를 포함한다. 도 4는, 전방 결합부(3008) 및 후방 결합부(3010) 양자를 매개로 프레임(3004)에 결합되는 신발(3002)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단지 전방 결합부(3008)만을 매개로 프레임(3004)에 결합되는 신발(3002)을 도시한 것이다.
이제 도 5를 참고하면, 프레임(3004)의 상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3004)은 복수 개의 전방 잠금 블록(3012) 및 복수 개의 후방 잠금 블록(3014)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잠금 블록(3012)은 프레임(3004)의 상위 경계면(3016)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전방 잠금 블록(3012)은 일반적으로, 전방 잠금 블록(3012)의 후방, 우측 및 좌측 범위에 대해 개방되는, 리세스가 형성된 슬롯(3018)을 포함하는 직사각 박스형 구조를 나타낸다. 다시 말하면, 좌측 또는 우측에서 볼 때, 전방 잠금 블록(3012)은 일반적으로 프레임(3004)의 후방을 향해 개방되는 C자형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전방 잠금 블록(3012)은, 전방 잠금 블록(3012)의 나머지와 비교할 때 더 전방을 향해 약간 연장되는 경사진 벽과 같이 일반적으로 성형되는 강건한 기초 연장부(302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잠금 블록(3012)은, 단일 금속체로부터 프레임(3004) 및 전방 잠금 블록(3012)을 밀링 및/또는 기계가공함으로써 프레임(300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잠금 블록(3012)은 프레임(3004)과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계적인 패스너, 접착제, 용접, 남땜, 브레이징 및/또는 전방 잠금 블록을 프레임(3004)에 결합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다른 방식을 이용하여 프레임(3004)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잠금 블록(3012)들 중 하나는 일반적으로 프레임(3004)의 전방 우측 분지(3022)와 관련되도록 위치설정되는 반면, 다른 전방 잠금 블록(3012)은 일반적으로 프레임(3004)의 전방 좌측 분지(3022)와 연관되도록 위치설정된다. 변형례에 있어서, 전방 잠금 블록(3012)들 중 하나 이상은 프레임(3004)의 몸통(3024)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다. 또한 더욱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잠금 블록(3012)은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할 수 있고/있거나 편리하게 대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 잠금 블록(3014)은 프레임(3004)의 상위 경계면(3016)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후방 잠금 블록(3014)은 일반적으로, 후방 잠금 블록(3014)의 전방, 우측 및 좌측 범위에 대해 개방되는, 리세스가 형성된 슬롯(3018)을 포함하는 직사각 박스형 구조를 나타낸다. 다시 말하면, 좌측 또는 우측에서 볼 때, 후방 잠금 블록(3014)은 일반적으로 프레임(3004)의 전방을 향해 개방되는 C자형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후방 잠금 블록(3014)은, 후방 잠금 블록(3014)의 나머지와 비교할 때 더 후방을 향해 약간 연장되는 경사진 벽과 같이 일반적으로 성형되는 강건한 기초 연장부(302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 잠금 블록(3014)은, 단일 금속체로부터 프레임(3004) 및 후방 잠금 블록(3014)을 밀링 및/또는 기계가공함으로써 프레임(300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 잠금 블록(3014)은 프레임(3004)과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계적인 패스너, 접착제, 용접, 남땜, 브레이징 및/또는 후방 잠금 블록(3014)을 프레임(3004)에 결합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다른 방식을 이용하여 프레임(3004)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 잠금 블록(3014)들은 일반적으로, 전방 잠금 블록(3012)들이 서로 오프셋된 만큼의 거리보다 작은 거리만큼 서로 오프셋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 잠금 블록(3014)은 실질적으로 몸통(3024)의 후방 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변형례에 있어서, 후방 잠금 블록(3014) 중 하나 이상은 프레임(3004)의 후방 좌측 분지 및/또는 후방 우측 분지(3022)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다. 또한 더욱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 잠금 블록(3014)은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할 수 있고/있거나 편리하게 대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2개의 전방 잠금 블록(3012) 및 2개의 후방 잠금 블록(3014)을 포함하는 반면, 변형례는 이보다 많거나 적은 전방 잠금 블록(3012) 및 후방 잠금 블록(3014)을 포함할 수 있고, 잠금 블록들(3012, 3014)의 위치는 상이할 수 있다.
이제 도 6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부착 시스템(3006)의 후방 결합부(3010)의 잠금 박스 조립체(3026)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잠금 박스 뚜껑(3028)이 제거된 채로, 부분적으로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잠금 박스 조립체(3026)의 직교 상부도이다. 잠금 박스 조립체(3026)는 일반적으로, 내측 박스 공간(3032)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박스(3030)를 포함한다. 내측 박스 공간(3032)은, 안내 채널 포트(3034)를 통해 그리고 박스 구멍(3036) 중 하나 또는 2개를 통해 박스(3030) 외측으로부터 액세스 가능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채널 포트(3034)는 일반적으로 착용 가능한 장치(3000)의 후방을 향해 개방되는 반면, 블록 구멍(3036)은 일반적으로 착용 가능한 장치(3000)의 바닥면을 향해 개방된다. 블록 구멍(3036)은 일반적으로, 내측 박스 공간(3032) 내로 후방 잠금 블록(3014)의 적어도 일부의 선택적인 진입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후방 잠금 블록(3014)을 보완하도록 치수 및 형상이 결정된다. 안내 튜브(3038)는, 안내 채널 포트(3034)가 안내 튜브(3038)의 내부 내로 개방되도록 박스(3030)에 연결된다. 잠금 박스 조립체(3026)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후방 잠금 블록(3014)의 리세스가 형성된 슬롯(3018)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스프링 편향식 크로스바아(3040)를 더 포함한다.
잠금 박스 조립체(3026)는, 크로스바아(3040)의 선택적인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특징부를 포함한다. 안내 튜브(3038)는, 로드, 스틱, 또는 적절하게 치수 설정되고 충분하게 강건한 다른 부재가 안내 튜브(3038)의 입구(3042)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강건한 부재는 안내 튜브(3038)의 내부를 통해 그리고 안내 채널 포트(3034)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벽(3046)들 사이에 일반적으로 포획되는 원통형 스페이서(3044)는 크로스바아(3040)의 후방을 향한 부분에 이웃할 수 있다. 크로스바아(3040)의 전방을 향한 부분은 스프링 슬라이더(3048) 옆에 이웃할 수 있다. 스프링 슬라이더(3048)는, 전후 방향으로 일반적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더 채널(3050) 내에 포획될 수 있다. 슬라이더 스프링(3052)은 또한, 스프링 슬라이더(3048), 크로스바아(3040) 및 원통형 스페이서(3044)에 편향 힘을 제공하기 위해 슬라이더 채널(305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박스(3030)는, 잠금 박스 뚜껑(3028)을 박스(3030)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패스너를 수용하기 위한 패스너 구멍(3054)을 더 포함한다. 잠금 박스 뚜껑(3028)은 또한 패스너 구멍(3054)을 포함한다.
이제 도 8을 참고하면, 부착 시스템(3006)의 전방 결합부(3008)의 캐치 블록(catch block; 3056)의 단면의 직교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결합부(3008)는 신발(3002)의 밑창(3058)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캐치 블록(3056)은, 전방 잠금 블록(301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치수 설정되고, 형상 설정되며 다른 방식으로 구성되는 하방으로 향하는 블록 입구(3060)를 갖도록 구성된 실질적으로 강성의 직사각형 블록 및/또는 비임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블록 입구(3060)는 또한,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전방 잠금 블록(3012)의 리세스가 형성된 슬롯(3018)에 상보적으로 치수 설정되는 블록 셸프(block shelf; 3062)와 결합된다. 캐치 블록(3056)은, 전방 잠금 블록(3012)과 경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2개의 블록 입구(3060)를 포함하지만, 변형례에서 부착 시스템(3006)은, 예컨대, 2개의 별개인 캐치 블록(3056)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각각의 캐치 블록(3056)은 단지 하나의 블록 입구(3060)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바닥창(3064)의 일부는 리세스가 형성된 슬롯(3018)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변형례에 있어서, 바닥창(3064)은 블록 셸프(3062) 아래로 연장될 수 없고 이에 따라 블록 셸프(3062)는 리세스가 형성된 슬롯(3018)을 더욱 완전하게 채우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더 두꺼울 수 있다.
이제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착용 가능한 장치(3000)는 신발(3002)을 프레임(3004)에 부착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신발(3002)을 프레임(3004)에 부착하는 방법은, 프레임(3004)의 상위 경계면(3016)을 향해 신발(3002)의 하부를 배향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블록 입구(3060)가 전방 잠금 블록(3012) 바로 위로 배향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3002)이 약간 구부러지면, 전방 잠금 블록(3012)의 리세스가 형성된 슬롯(3018)을 형성하는 최상위 벽보다 블록 셸프(3062)가 수직방향으로 더 낮게 되도록 전방 잠금 블록(3012)이 캐치 블록(3056) 내로 충분하게 들어갈 때까지 신발(3002)과 프레임(3004) 사이의 오프셋 거리가 감소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신발(3002)은, 리세스가 형성된 슬롯(3018) 내에 캐치 블록(3056)의 블록 셸프(3062)가 수용되도록 프레임(3004)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레임(3004)에 대해 신발(3002)을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지 않으면, 신발(3002)은 똑바르게 될 수 있다. 신발(3002)이 똑바르게 되면, 후방 잠금 블록(3014)은 잠금 박스 조립체(3026)의 내측 박스 공간(3032)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신발(3002)을 더 똑바르게 함으로써 및/또는 다른 방식으로 프레임(3004)을 향해 밑창(3058)을 낮춤으로써, 후방 잠금 블록(3014)의 상위 부분은 스프링 편향식 크로스바아(3040)와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 잠금 블록(3014)의 상위 부분은, 후방 잠금 블록(3014)이 잠금 박스 조립체(3026) 내로 점점 수용됨에 따라 크로스바아(3040)의 전방 활주를 돕도록 경사지게 될 수 있다. 내측 박스 공간(3032) 내로 후방 잠금 블록(3014)을 충분히 도입한 이후에, 크로스바아(3040)의 후방을 향해 편향된 스프링은, 후방 잠금 블록(3014)의 리세스가 형성된 슬롯(3018) 내로 크로스바아(3040)가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리세스가 형성된 슬롯(3018) 내로의 크로스바아(3040)의 이러한 진입은, 신발(3002)이 프레임(3004)에 완전하게 부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신발(3002)이 프레임(3004)에 부착되면, 사용자는 착용 가능한 장치(3000)를 이용하여 롤러 주행을 시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3000)는 프레임(3004)으로부터 신발(3002)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도록 작동 가능할 수 있다. 프레임(3004)으로부터 신발(3002)을 제거하는 제1 단계는, 입구(3042)를 통해 안내 튜브(3038) 내로 충분히 강건한 로드 -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소위 T-툴(3037)의 일부임(도 3 참고) - 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 튜브(3038) 내로 충분히 강건한 로드를 충분히 도입한 이후에, 상기 로드는 원통형 스페이서(3044)와 접촉할 수 있다. 로드에 전방을 향한 힘을 인가함으로써, 원통형 스페이서(3044)는 벽(3046)에 대해 전방을 향해 변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크로스바아(3040)와 접촉하고 크로스바아를 전방으로 변위시킨다. 크로스바아(3040)의 충분한 변위 이후에, 크로스바아(3040)는 후방 잠금 블록(3014)의 리세스가 형성된 슬롯(3018)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리세스가 형성된 슬롯(3018)으로부터 크로스바아(3040)가 제거되면, 신발(3002)은 도 4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3에 도시된 위치로 구부러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3002)이 구부러지면, 신발(3002)은 프레임(3004)에 대해 후방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프레임(3004)에 대해 신발(3002)이 충분히 후방을 향해 이동하면, 블록 셸프(3062)는 전방 잠금 블록(3012)의 리세스가 형성된 슬롯(3018)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리세스가 형성된 슬롯(3018)으로부터 블록 셸프(3062)가 완전히 제거되면, 적어도 후방 잠금 블록(3014)이 더 이상 캐치 블록(3056) 내에 수용되지 않을 때까지 수직방향 오프셋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신발(3002)이 프레임(3004)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T-툴(3037)의 선단부는 육각 툴 또는 육각 렌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T-툴(3037)은 프레임에 대한 신발의 결합 및/또는 제거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에 대해 휠 조립체 및/또는 서스펜션을 부착 및/또는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볼트 헤드 및/또는 부착 시스템 작동 메커니즘이 적절히 구성되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T-툴(3037)과 같은 단일 툴은 착용 가능한 장치를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분해 및/또는 재조립하기 위해 필요한 유일한 툴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9를 참고하면, 안내 튜브(3038)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 튜브(3038)는, 단부 칼라(3068) 및 튜브 벽(3070)을 통해 연장되는 L자형 슬롯(3066)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긴 로드는, 핀이 튜브 벽(3070)에 의해 방해를 받게 될 때까지 튜브 벽(3070)을 따라 핀을 통해 전방을 향해 통과함으로써 L자형 슬롯(3066)의 L자형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반경방향 연장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일단 핀이 튜브 벽(3070)에 의해 방해를 받게 되면, 핀이 슬롯 단부(3072)에 도달할 때까지 핀이 슬롯을 통해 각도상으로 회전하도록 로드가 회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핀이 슬롯 단부(3072)에 있게 되면, 핀이 슬롯 단부(3072)로부터 시작하여 L자형 슬롯(3066)을 통해 역방향 경로를 이동하게 될 때까지 로드는 안내 튜브(3038) 내에 유지된다.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L자형 슬롯(3066) 내에 로드의 핀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면, 로드는 사용하지 않을 때 안내 튜브(3038) 내에서 편리하게 지탱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부착 시스템(3006)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T-툴(3037)은 슬롯(3066)에서 사용하기 위한 반경방향 연장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10을 참고하면, 커버 플레이트(3100)의 상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신발(3002)이 프레임(3004)에 부착되어 있지 않을 때 커버 플레이트(3100)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신발(3002)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 플레이트(3100)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먼지 및 물과 같은 오염물질이 블록 구멍(3036) 및/또는 블록 입구(3060)를 통해 부착 시스템(3006) 내로 들어가는 것을 줄일 수 있고/있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 플레이트(3100)는 플라스틱, 수지, 금속, 고무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 플레이트(3100)는, 프레임(3004)의 전방 잠금 블록(3012) 및 후방 잠금 블록(3014)의 물리적 배치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물리적 배치에서 전방 잠금 블록(3012) 및 후방 잠금 블록(3014)이 결합된 실질적으로 평평한 차폐부(310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3100)의 부착 및 분리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신발(3002)에 대한 프레임(3004)의 부착 및 분리 방법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 플레이트(3100)의 외측 프로파일(3104)은 프레임(3004)의 외측 프로파일의 동일한 형상 및/또는 치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 플레이트(3100)는, 전방 잠금 블록(3012) 및 후방 잠금 블록(3014) 중 하나 이상의 둘레를 따라 및/또는 외측 프로파일(3104)의 둘레를 따라 밀봉 요소(310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 플레이트(3100)는 신발(3002)의 바닥창(3064)을 보완하도록 구성되는 재료, 패턴, 및/또는 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발(3002)에 설치될 때 신발(3002)이 프레임(3004)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을 거의 표시하지 않거나 또는 전혀 표시하지 않으면서 신발(3002)이 일정한 바닥창(3064)을 갖도록 하는 커버 플레이트(310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제 도 11을 참고하면, 커버 플레이트(3108)의 상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3108)는 커버 플레이트(31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지만, 차폐부(3102)의 외측 프로파일(3104)은 프레임(3004)의 외측 프로파일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지 않다. 대신, 차폐부(3102)는 차폐부(3102)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연결하는 재료로 된 좁은 밴드(31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좁은 밴드(3110)를 마련하면, 커버 플레이트(3108)가 구부러지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사용되지 않을 때 보관을 위해 보다 적은 공간을 필요로 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변형례에 있어서, 상기 좁은 밴드(3110)는 차폐부(3102)의 나머지와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제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후방 커버 플레이트(3112) 및 전방 커버 플레이트(3114)의 상부 사시도가 각각 도시된다. 후방 커버 플레이트(3112)는 커버 플레이트(3100)의 후방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전방 커버 플레이트(3114)는 커버 플레이트(3100)의 전방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별개의 커버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은, 예컨대 커버 플레이트(3100)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가 다른 방식으로 다른 커버 플레이트보다 빠르게 마모되는 경우에 바람직할 수 있다. 더욱이, 2개의 커버 플레이트(3112, 3114)의 보관은 보다 적은 공간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변형례에 있어서, 커버 플레이트는 전방 잠금 블록(3012) 및/또는 후방 잠금 블록(3014)을 포함하는 단순한 플러그로 축소될 수 있다.
이제 도 48을 참고하면, 부착 시스템(3120)의 다른 변형례의 상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부착 시스템(3120)은 부착 시스템(2000) 및 부착 시스템(3006) 양자의 특징을 포함한다. 부착 시스템(3120)은 프레임(3122)의 전방부를 신발에 부착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전방 잠금 블록(3012)을 포함한다. 부착 시스템(3120)은 프레임(3122)의 후방부를 신발에 부착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리테이너(2004)를 더 포함한다. 리테이너(2004)를 위한 작동 메커니즘은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리테이너(2004)는 버튼(3126)을 누르는 것에 의해 그리고 회전 디스크(3128)의 운동을 통해 프레임(3122)의 리세스가 형성된 경로(3124)를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된다. 가장 일반적으로, 회전 디스크는 프레임(3122)의 대체로 원통형인 리세스(3130) 내에 지탱된다. 리세스가 형성된 2개의 경로(3124)는 원통형 리세스(3130)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리세스가 형성된 하나의 경로(3124)는 대체로 프레임(3122)의 좌측 후방 분지를 향해 연장되는 반면, 리세스가 형성된 다른 하나의 경로(3124)는 대체로 프레임(3122)의 우측 후방 분지를 향해 연장된다. 회전 핀(3131)은 원통형 리세스(3130) 내에서 실질적으로 중앙에 위치하게 되며, 회전 디스크(3128)는, 회전 디스크(3128)가 회전 핀(313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될 수 있도록 회전 핀(3130)을 수용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버튼(3126)은, 회전 디스크(3128)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버튼 핀(3132)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갖는 세장형 바아이다. 버튼 핀(3132)은, 회전 디스크(3128)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제1 반경방향 거리에 위치하게 된다. 2개의 리테이너 아암 핀(3134)은 회전 디스크(3128)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며, 각각의 리테이너 아암 핀(3134)은 회전 디스크(3128)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제2 반경방향 거리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반경방향 거리는 제1 반경방향 거리보다 크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리테이너(2004)는 리테이너 아암(3136)에 의해 회전 디스크(3128)에 링크되는데, 이 리테이너 아암은 리테이너 아암(3136)의 구멍 내로 리테이너 아암 핀(3134)을 수용한다.
또한 더욱이, 회전 디스크(3128)는 회전 디스크(3128)의 반경방향으로 스위핑(sweeping)되는 슬롯(3140)에 포획된 회전 스프링(3138)에 의해 회전식으로 편향된다. 압축된 회전 스프링(3138)의 일단부는 위에서 볼 때 회전 디스크(312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편향시키는 반면, 스프링(3138)의 타단부는 프레임(3122)으로부터 상방으로 슬롯(3140) 내로 연장되는 강건한 스프링 핀(3142)에 대해 작용한다. 추가적으로, 부착 시스템(3120)은, 회전 디스크(3128)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노치(3146)와 맞물리도록 스프링에 의해 편향되는 잠금 레버(3144)를 포함한다. 잠금 레버(3144)와 노치(3146) 사이의 이러한 맞물림은 회전 디스크(3128)의 의도치 않은 반시계방향 회전을 방지한다. 잠금 레버(3144)와 회전 디스크(3128) 사이의 접촉을 중단시키기 위해, 스프링 편향식 해제 버튼(3148)이 프레임(3122)을 향해 내측으로 눌려서 회전 디스크(3128)를 해제시키는 위치까지 잠금 레버(3144)를 회전시킨다.
작동 시에, 신발은, 캐치 블록(3056)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캐치 블록을 이용하여 우선 신발의 전방부를 프레임(3122)에 부착함으로써 프레임(3122)에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신발의 후방부를 프레임(3122)에 부착하기 위해 스터드(2002)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스터드가 사용될 수 있다. 부착 시스템(3120)은, 리테이너(2004)에 대해 리세스가 형성된 슬롯(3124) 내로 스터드가 충분히 진입하면, 신발이 프레임(3122)에 완전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도록 스프링 편향된다. 신발은, 우선 회전 디스크(3128)의 운동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해제 버튼(3148)을 누르고 유지함으로써 프레임(3122)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회전 디스크의 운동이 잠금 해제되면, 회전 디스크(3128)를 회전시키기 위해 버튼(3126)이 눌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터드(2002)로부터 멀리 리테이너(2004)를 당기게 된다. 리테이너(2004)가 스터드(2002)로부터 멀리 이동되면, 신발의 후방부는 프레임(3122)으로부터 멀리 들어올려질 수 있다. 다음으로, 신발은, 캐치 블록(3056)으로부터 전방 잠금 블록(3012)을 연결 해제하기 위해 프레임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신발의 정면은, 전방 잠금 블록(3012)이 블록 입구(3060)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프레임(3122)으로부터 멀리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제 도 49를 참고하면, 세그먼트형 풋 베드(3160)의 직교 상부도가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세그먼트형 풋 베드(3160)는 밑창(1204), 안창(1222) 및 중창(1226) 중 하나 이상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세그먼트형 풋 베드(3160)은 일반적으로 밑창(1204), 안창(1222) 및 중창(1226) 중 하나 이상과 동일한 외측 프로파일(3162)을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세그먼트형 풋 베드(3160)는, 폴리테트라플로오로에틸렌(PTFE) 배리어(3164)에 의해 분리되는 복수 개의 다른 종류의 부분들로 분할된다. 세그먼트형 풋 베드(3160)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덜 제한적인 방식으로 다양한 풋 베드 구성요소(3166)의 수직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라 풋 베드 구성요소(3166)들 중 임의의 한 가지 구성요소는 이웃한 풋 베드 구성요소(3166)에 대한 수직 이동에 있어서 자유롭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풋 베드 구성요소(3166)들 중 하나 이상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풋 베드 구성요소(3166)들 사이의 상대적인 수직방향 변위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특징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세그먼트형 풋 베드(3160)는 이웃한 풋 베드 구성요소(3166)들 사이의 수직 이동을 디커플링(decoupling)시키며, 이에 따라 각각의 풋 베드 구성요소(3166)가 다른 풋 베드 구성요소(3166)의 수직방향 위치와 관련 없이 위로 또는 아래로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변형례에 있어서, 세그먼트형 풋 베드는 4개보다 많거나 적은 풋 베드 구성요소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풋 베드 구성요소(3166) 및 관련 배리어(3164)는 상이하게 성형될 수 있고/있거나 실질적으로 수직인 벽이 아닌 벽을 포함하는 배리어(316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형례에 있어서, 도 49에 도시된 2개의 후방 풋 베드 구성요소(3166)는 단일 풋 베드 구성요소로서 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3개의 풋 베드 구성요소를 제공한다. 대안으로, 도 49의 풋 베드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상이하게 성형될 수 있고/있거나 배리어(3164)와 같은 배리어에 의해 유사하게 분리되는 다수의 풋 베드 구성요소로 분할될 수 있다. 더욱이, 풋 베드 구성요소(3166)의 상대적인 수직방향 변위는 앞서 설명되어 있지만,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풋 베드 구성요소(3166)는 또한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고/있거나 전방 방향, 후방 방향, 좌측 방향 및/또는 우측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배리어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풋 베드 구성요소(3166)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풋 베드 구성요소(3166)가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 중에, 세그먼트형 풋 베드(3160)의 사용자는 다양한 풋 베드 구성요소(3166) 사이에서 중량 분배를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휠 조립체에 더욱 효율적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우측 휠 조립체와 비교할 때 좌측 휠 조립체에 인가되는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 좌측 구성요소(3166)에 배치되는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세그먼트형 풋 베드(3160)는 통상적인 풋 베드를 통해 힘을 전달하는 것과 비교할 때 선택된 휠 조립체에 선택적으로 힘을 전달하는 것과 관련하여 덜 제한적인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이제 도 50을 참고하면, 암형 액슬 볼트(3170) 및 수형 액슬 볼트(3172)의 측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암형 액슬 볼트(3170)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슬롯 리셉터클보다는 육각 헤드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것, 더 짧은 길이를 나타내는 것, 마디형 단부면(3174)을 포함하는 것, 그리고 마디형 단부면(3174)에 대해 실질적으로 완벽하게 연장되는 내부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면에서 암형 액슬 볼트(1604)와 상이하다. 수형 액슬 볼트(3172)는, 적어도 슬롯 리셉터클보다는 육각 헤드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것 그리고 볼트 헤드와 나사 사이에 견부(shoulder)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수형 액슬 볼트(1606)와 상이하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볼트(3170, 3172)의 앞서 설명한 특징부들 중 하나 이상은, 볼트(3170, 3172)가 짝을 이룰 때 볼트(3170, 3172)를 디커플링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암형 액슬 볼트(3170) 및 수형 액슬 볼트(317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의 길이는 서스펜션(1600)에서의 작용 또는 유격을 완화시키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제 도 51을 참고하면, 서스펜션 블록(3190)의 변형예의 직교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 공동(3192)은, 소위 "D자형 구멍"을 형성하도록 현(3198)에 의해 연결되는 자유 단부들을 갖는 원형 부분(3196)을 포함하는 프로파일(3194)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프로파일(3194)의 사용은, 서스펜션 공동(3192) 내에서 톱해트(1608, 1610)가 회전하는 경우를 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톱해트(1608, 1610)는 D자형 구멍을 갖는 서스펜션 블록(3190)을 보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톱해트(1608, 1610)는 서스펜션 블록(3190)의 D자 구멍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성형되는 외측 프로파일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금속 구성요소는, 303 스테인레스 강, 1018 CR 강, 6061 알루미늄, 스프링 강, 7075 알루미늄 및/또는 니켈 도금 강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은 약 20A 내지 약 120A 경도계의 폴리우레탄, 약 75D의 폴리우레탄,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플라스틱, 수지, 폴리테트라플로오로에틸렌(PTFE), 하나 이상의 유형의 고무, 나일론과 같은 폴리아미드, 폴리옥시메틸렌(POM), 아세탈, 폴리아세탈, 또는 델린과 같은 폴리포름알테히드델린, 폴리프로필렌 HD 및/또는 성형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롤러 주행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착용 가능한 장치는, 착용 가능한 장치의 사용자의 발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신발로서, 발의 바닥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발 경계면을 포함하는 신발, 회전 축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한 휠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의 회전에 응답하여 지표면에 대해 선택적으로 롤링(rolling)하도록 구성되는 휠 조립체, 그리고 신발과 휠 조립체 사이에 결합되는 프레임으로서, 신발과 휠 조립체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지표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오프셋된 틈새 평면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지표면과 발 경계면 사이의 거리 및 지표면과 발 경계면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하나는, 휠 조립체가 지표면과 접촉하고 지표면에 대해 선택적으로 롤링하도록 위치설정될 때 사용자 및 착용 가능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낮은 무게 중심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는, 휠 조립체의 일부가 발 경계면보다 수직방향으로 높게 위치하게 되는 것, 틈새 평면이 발 경계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것, 틈새 평면이 발 경계면보다 수직방향으로 낮게 위치하게 되는 것, 축의 적어도 일부가 틈새 평면보다 수직방향으로 높게 위치하게 되는 것, 축의 적어도 일부가 발 경계면보다 수직방향으로 높게 위치하게 되는 것, 그리고 틈새 평면이 지표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오프셋된 거리가 휠 조립체의 전체 직경보다 작게 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구현되도록 구성된다. 착용 가능한 장치는, 복수 개의 휠 조립체 및 복수 개의 축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복수 개의 축은 어떠한 축도 회전 축선을 공유하지 않도록 상이한 회전 축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게 된다. 착용 가능한 장치는 4개의 휠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축선은, 지표면이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착용 가능한 장치가 실질적으로 언로딩 상태일 때 지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축선은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축선은 신발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축선은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휠 조립체는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선택적으로 궤적을 그리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중심은 회전 축선과 일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중심은 틈새 평면보다 수직방향으로 더 높게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중심은 축의 내측 절반 길이를 따라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중심은 축의 외측 절반 길이를 따라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중심은 실질적으로 축 길이의 중점에서 축을 따라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중심은 프레임에 대해 실질적으로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서스펜션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서스펜션 공동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회전 중심은 서스펜션 공동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 공동은 공동 축선을 갖는 관통 구멍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공동 축선은 틈새 평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더 높게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공동 축선은 틈새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발 경계면의 적어도 일부는 착용 가능한 장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에 응답하여 공동 축선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공동 축선은 틈새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공동 축선은 착용 가능한 장치의 전후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의 전후 방향은 착용 가능한 장치의 병진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병진 평면은 틈새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며 병진 평면은 일반적으로 착용 가능한 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휠 조립체는 회전 중심에 대해 실질적으로 부분적인 구면 곡선(spherical sweep)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부분적인 구면 곡선은 회전 중심으로부터 연장되는 곡선 반경(sweep radius)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부분적인 구면 곡선은 회전 중심을 둘러싸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부분적인 구면 곡선은 프레임에 대해 휠 조립체의 이동 범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부분적인 구면 곡선은, 휠 조립체가 직접 신발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치수 설정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부분적인 구면 곡선을 따라 휠 조립체를 이동시키는 것에 대한 저항은 실질적으로 선형적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부분적인 구면 곡선을 따라 휠 조립체를 이동시키는 것에 대한 저항은 비선형적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서스펜션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서스펜션 공동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축의 적어도 일부는 서스펜션 공동 내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축은 서스펜션의 구성요소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료는, 서스펜션 공동 내에 수용되는 축 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스펜션 공동을 형성하는 벽 사이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톱해트의 일부는, 축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스펜션 공동을 형성하는 벽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의 적어도 2개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톱해트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서스펜션 공동 내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는 복수 개의 휠 조립체 및 복수 개의 서스펜션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각각의 서스펜션은 단지 하나의 휠 조립체 및 단지 하나의 서스펜션과 관련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서스펜션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톱해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톱해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진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서스펜션은 복수 개의 서스펜션 공동 중 상이한 서스펜션 공동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레방향으로 한정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은 실질적으로 틈새 평면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틈새 평면은 서스펜션의 변형에 응답하여 지면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착용 가능한 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일반적으로 연장되는 몸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몸통은, 실질적으로 착용 가능한 장치의 전후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고 틈새 평면에 대해 직교하는 몸통 중선 평면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실질적으로 중앙에 있는 몸통 및 이 몸통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 개의 분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실질적으로 X자 형상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통은 일반적으로, 틈새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착용 가능한 장치의 전후 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몸통 중선 평면을 포함하며, 분지들 중 적어도 하나는, 틈새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외각으로 몸통 중선 평면을 일반적으로 가로지르는 분지 중선 평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분지 각각은 분지 중선 평면을 포함하는데, 분지 중선 평면은 동일하지 않은 외각으로 몸통을 가로지른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분지는 전체 길이에 있어서 동일하지 않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몸통 및 분지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 면에서 조절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는 신발 내에 내장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는 신발과 일체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롤러 주행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착용 가능한 장치는, 신발, 복수 개의 휠 조립체로서, 각각의 휠 조립체는 관련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지표면에 대해 선택적으로 롤링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휠 조립체, 그리고 휠 조립체와 신발 사이에 결합되는 프레임으로서, 몸통 및 이 몸통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 개의 분지를 포함하며 각각의 분지는 복수 개의 휠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프레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신발의 적어도 일부는, 휠 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지표면과 접촉하고 휠 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지표면에 대해 선택적으로 롤링하도록 위치설정될 때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보다 수직방향으로 높게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신발의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의 틈새 평면보다 수직방향으로 더 낮게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는 신발 내에 내장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몸통은, 착용 가능한 장치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일반적으로 연장되고 지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몸통 중선 평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휠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는 일반적으로 몸통 중선 평면의 좌측을 향해 위치하며, 복수 개의 휠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는 일반적으로 몸통 중선 평면의 우측을 향해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분지 중 적어도 하나는 일반적으로 몸통 중선 평면의 좌측을 향해 위치하며, 복수 개의 분지 중 적어도 하나는 일반적으로 몸통 중선 평면의 우측을 향해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분지의 위치는 회전 축선의 위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분지는 분지 중선 평면을 포함하는데, 이 분지 중선 평면은 외각으로 몸통 중선 평면을 가로지른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분지와 관련되는 외각들은 값이 동일하지 않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는 4개의 분지 및 4개의 관련된 휠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는 4개의 분지 및 4개의 관련된 외각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각각의 외각은 상이한 값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는 또한 4개의 분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 4개의 분지 각각은 전체 길이가 상이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는 또한 4개의 분지를 포함할 수 있는데, 4개의 분지 각각은 전체 길이가 상이하며 각각의 분지는 상이한 값의 외각으로 몸통 중선 평면을 가로지르는 분지 중선 평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통은 프레임의 최하위 부분과 일치하는 틈새 평면과 수직방향으로 제일 높은 위치에서 신발과 접촉하는 프레임의 상위 경계면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몸통은 프레임의 최하위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분지는 프레임의 최하위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몸통은 상위 경계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분지는 상위 경계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위 경계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신발 내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위 경계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신발의 밑창 컷아웃 프로파일 내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위 경계면은 신발의 바닥창에 대해 실질적으로 이웃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휠 조립체는 동일한 오프셋 거리만큼 밑창의 밑창 외측 프로파일로부터 실질적으로 오프셋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분지는 관련 분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스펜션 블록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서스펜션 블록은 서스펜션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서스펜션 공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서스펜션 공동은 착용 가능한 장치의 대략적인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동 축선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공동 축선은, 착용 가능한 장치가 언로딩 상태에 있을 때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공동 축선은 프레임에 대해 실질적으로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분지 및 적어도 2개의 관련 공동 축선은 신발의 전방 밑창과 관련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분지 및 적어도 2개의 관련 공동 축선은 신발의 후방 밑창과 관련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분지 및 적어도 2개의 관련 공동 축선은 신발의 전방 밑창과 관련되는데, 적어도 2개의 분지 및 적어도 2개의 관련 공동 축선은 신발의 후방 밑창과 관련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신발의 후방 밑창과 관련되는 2개의 분지는, 신발의 전방 밑창과 관련되는 2개의 분지보다 길이 면에서 각각 더 짧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신발의 후방 밑창과 관련된 2개의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들은, 신발의 전방 밑창과 관련된 2개의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들이 착용 가능한 장치의 좌우 방향으로 떨어진 거리보다 작은 거리만큼 착용 가능한 장치의 좌우 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좌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는 전방 우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에 대해 착용 가능한 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 좌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는 후방 우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에 대해 착용 가능한 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좌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는 후방 좌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에 대해 착용 가능한 장치의 좌우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우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는 후방 우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에 대해 착용 가능한 장치의 좌우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좌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는 전방 우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에 대해 착용 가능한 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으며, 후방 좌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는 후방 우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에 대해 착용 가능한 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고, 전방 좌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는 후방 좌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에 대해 착용 가능한 장치의 좌우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으며, 전방 우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는 후방 우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에 대해 착용 가능한 장치의 좌우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는 인간인 사용자의 오른발과 관련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좌측 휠 조립체는 후방 좌측 휠 조립체의 좌측을 향해 위치하게 되며 전방 우측 휠 조립체의 전방을 향해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우측 휠 조립체는 후방 우측 휠 조립체의 우측을 향해 위치하게 되며 전방 좌측 휠 조립체의 후방을 향해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 좌측 휠 조립체는 전방 좌측 휠 조립체의 우측을 향해 위치하게 되며 후방 우측 휠 조립체의 후방을 향해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 우측 휠 조립체는 전방 우측 휠 조립체의 좌측을 향해 위치하게 되며 후방 좌측 휠 조립체의 전방을 향해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는 인간인 사용자의 왼발과 관련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좌측 휠 조립체는 후방 좌측 휠 조립체의 좌측을 향해 위치하게 되며 전방 우측 휠 조립체의 후방을 향해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우측 휠 조립체는 후방 우측 휠 조립체의 우측을 향해 위치하게 되며 전방 좌측 휠 조립체의 전방을 향해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 좌측 휠 조립체는 전방 좌측 휠 조립체의 우측을 향해 위치하게 되며 후방 우측 휠 조립체의 전방을 향해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 우측 휠 조립체는 전방 우측 휠 조립체의 좌측을 향해 위치하게 되며 후방 좌측 휠 조립체의 후방을 향해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 좌측 휠 조립체 및 후방 우측 휠 조립체는 사용자의 뒤꿈치와 관련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좌측 휠 조립체 및 전방 우측 휠 조립체는 사용자의 발의 볼(ball)과 관련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외측 프로파일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피스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천이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질량 감소용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리테이너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커버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플레이트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 플레이트는 스터드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는 4개의 휠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각각의 휠 조립체는 별도의 구분되는 회전 축선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분지는 단지 하나의 휠 조립체만을 프레임에 연결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롤러 주행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착용 가능한 장치의 서스펜션은, 축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레방향으로 구속되도록 구성되는 축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축은, 축에 의해 지탱되는 휠 조립체의 회전 축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서스펜션의 서스펜션 축선을 따라 위치하게 되는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운동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축의 적어도 일부는 관통 구멍 내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톱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톱해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 구멍 내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톱해트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진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톱해트의 적어도 일부는 둘레방향으로 축 주위에 그리고 관통 구멍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축은 볼트 헤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볼트 헤드는 관통 구멍으로부터 오프셋되며, 톱해트의 적어도 일부는 볼트 헤드와 관통 구멍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 구멍 내에 위치하는 릿지(ridges)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볼트 헤드는 관통 구멍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톱해트의 적어도 일부는 관통 구멍과 휠 조립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 스페이서는 톱해트와 휠 조립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휠 조립체는 서스펜션 스페이서에 이웃하는 마찰 감소용 코팅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축은 암형 액슬 볼트 및 상보적인 수형 액슬 볼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암형 액슬 볼트 및 수형 액슬 볼트 중 적어도 하나는 일체의 상대 위치 유지 특징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일체의 상대 위치 유지 특징부는, 암형 액슬 볼트 및 상보적인 수형 액슬 볼트 중 적어도 하나의 마디진 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은, 관통 구멍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관통 구멍의 내측 단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내측 톱해트 및 관통 구멍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관통 구멍의 외측 단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외측 톱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관통 구멍의 내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톱해트 부분은 축의 볼트 헤드에 의해 구속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관통 구멍의 외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외측 톱해트 부분은 서스펜션 스페이서에 의해 구속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축은 2개의 상보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상보적인 구성요소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휠 조립체 내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중심은 실질적으로 회전 축선과 일치하고, 서스펜션 축선, 회전 축선 및 회전 중심 각각은,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한 휠 조립체의 회전 중에 그리고 서스펜션의 섭동 중에 일치된 상태로 남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롤러 주행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착용 가능한 장치는, 착용 가능한 장치의 사용자의 발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신발로서, 발의 바닥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발 경계면을 포함하는 신발, 회전 축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한 휠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의 회전에 응답하여 지표면에 대해 선택적으로 롤링하도록 구성되는 휠 조립체, 신발과 휠 조립체 사이에 결합되는 프레임으로서, 신발과 휠 조립체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지표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오프셋된 틈새 평면을 포함하는 프레임, 그리고 신발을 프레임에 선택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부착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 시스템은 편향식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편향식 리테이너의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 내에서 지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 시스템은, 신발의 밑창을 통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 구멍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 구멍 내로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 시스템은 편향식 리테이너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의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 내에서 지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터드는, 편향식 구멍에 대한 회전을 위한 캠 오목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터드는, 편향식 리테이너와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후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후크는 편향식 리테이너의 크레넬레이션형 돌출부와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터드는, 360 도 미만만큼의 스터드의 회전에 응답하여 편향식 리테이너에 대한 부착 위치와 리테이너에 대한 분리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부착 시스템은 프레임의 복수 개의 분지들 각각과 관련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부착 시스템은 복수 개의 휠 조립체들 각각과 관련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롤러 주행 방법은, 롤러 주행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착용 가능한 장치를 사용자에게 부착하는 것, 착용 가능한 장치의 롤러 요소의 구축(exclusion)에 따라 실질적으로 발생되는 보행 운동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 그리고 사용자의 속도를 증가시킨 이후에 롤러 요소가 지표면과 닿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보행 운동은, 주로 착용 가능한 장치의 신발의 전방 밑창을 이용하여 달리는 것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진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보행 운동은, 주로 착용 가능한 장치의 신발의 전방 밑창을 이용하여 걷는 것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진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보행 운동은, 롤러 요소가 지표면과 닿도록 한 이후에 반복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롤러 주행 방법은 지표면에 대해 착용 가능한 장치의 일부가 끌리도록 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의 휠 조립체는 지표면에 대해 끌리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의 신발의 일부는 지표면에 대해 끌리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롤러 주행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착용 가능한 장치는, 착용 가능한 장치의 사용자의 발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신발로서, 발의 바닥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발 경계면을 포함하는 신발, 회전 축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한 휠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의 회전에 응답하여 지표면에 대해 선택적으로 롤링하도록 구성되는 휠 조립체, 그리고 신발과 휠 조립체 사이에 결합되는 프레임으로서, 신발과 휠 조립체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지표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오프셋된 틈새 평면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1) 지표면과 발 경계면 사이의 거리 및 (2) 지표면과 발 경계면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하나는, 휠 조립체가 지표면과 접촉하고 지표면에 대해 선택적으로 롤링하도록 위치설정될 때 사용자 및 착용 가능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낮은 무게 중심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는, (1) 휠 조립체의 일부가 발 경계면보다 수직방향으로 높게 위치하게 되는 것, (2) 틈새 평면이 발 경계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것, (3) 틈새 평면이 발 경계면보다 수직방향으로 낮게 위치하게 되는 것, (4) 축의 적어도 일부가 틈새 평면보다 수직방향으로 높게 위치하게 되는 것, (5) 축의 적어도 일부가 발 경계면보다 수직방향으로 높게 위치하게 되는 것, 그리고 (6) 틈새 평면이 지표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오프셋된 거리가 휠 조립체의 전체 직경보다 작게 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구현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는 복수 개의 휠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발 경계면의 적어도 일부는 휠 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보다 낮게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는 복수 개의 축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축은, 어떠한 축도 회전 축선을 공유하지 않도록 상이한 회전 축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발 경계면의 적어도 일부는 축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보다 낮게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축들 중 적어도 하나는, 축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궤적을 그리는 단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축의 단부는 발 경계면보다 높이 위치하는 제1 위치와 발 경계면보다 낮게 위치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중심은 발 경계면의 적어도 일부보다 높게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서스펜션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서스펜션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중심은 서스펜션 공동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중심은 발 경계면보다 낮게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중심은 발 경계면보다 높게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발 경계면의 적어도 일부는 서스펜션 공동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축들 중 적어도 하나의 양 단부는 회전 중심에 대한 부분적인 구면 곡선에서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휠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과 관련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서스펜션은, 발 경계면에 대한 관련 휠 조립체의 운동이 가능하게 하도록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위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X자 형상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는 신발 내에 내장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서스펜션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탱되는 우레탄 톱해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는 신발과 일체로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몸통 및 이 몸통으로부터 연장되는 4개의 분지를 포함하는데, 4개의 분지 각각은 하나의 서스펜션 및 하나의 휠 조립체와 관련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1) 4개의 분지 각각은 상이한 길이를 갖는 것, 그리고 (2) 4개의 분지 각각은 위에서 볼 때 상이한 각도로 몸통으로부터 연장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구현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롤러 주행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착용 가능한 장치는, 신발, 복수 개의 휠 조립체로서, 각각의 휠 조립체는 관련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지표면에 대해 선택적으로 롤링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휠 조립체, 그리고 휠 조립체들 사이에서 연결되는 프레임으로서, 몸통 및 이 몸통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 개의 분지를 포함하며 각각의 분지는 복수 개의 휠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신발의 적어도 일부는, 휠 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지표면과 접촉하고 휠 조립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지표면에 대해 선택적으로 롤링하도록 위치설정될 때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보다 수직방향으로 높게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는 신발 내에 내장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몸통은, 실질적으로 착용 가능한 장치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일반적으로 연장되고 지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몸통 중선 평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분지 중 적어도 하나는 일반적으로 몸통 중선 평면의 좌측을 향해 위치하며, 복수 개의 분지 중 적어도 하나는 일반적으로 몸통 중선 평면의 우측을 향해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분지는 분지 중선 평면을 포함하는데, 이 분지 중선 평면은 외각으로 몸통 중선 평면을 가로지른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분지와 관련되는 외각들은 값이 동일하지 않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착용 가능한 장치는 또한 4개의 분지를 포함할 수 있는데, 4개의 분지 각각은 전체 길이가 상이하며 각각의 분지는 상이한 값의 외각으로 몸통 중선 평면을 가로지르는 분지 중선 평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통은 프레임의 최하위 부분과 일치하는 틈새 평면과 수직방향으로 가장 높은 위치에서 신발과 접촉하는 프레임의 상위 경계면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몸통은 프레임의 최하위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분지는 프레임의 최하위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몸통은 상위 경계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위 경계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신발 내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위 경계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신발의 밑창 컷아웃 프로파일 내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분지는 관련 분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스펜션 블록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서스펜션 블록은 서스펜션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서스펜션 공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서스펜션 공동은 착용 가능한 장치의 대략적인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동 축선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분지 및 적어도 2개의 관련 공동 축선은 신발의 전방 밑창과 관련되는데, 적어도 2개의 분지 및 적어도 2개의 관련 공동 축선은 신발의 후방 밑창과 관련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신발의 후방 밑창과 관련된 2개의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들은, 신발의 전방 밑창과 관련된 2개의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들이 착용 가능한 장치의 좌우 방향으로 떨어진 거리보다 작은 거리만큼 착용 가능한 장치의 좌우 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좌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는 전방 우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에 대해 착용 가능한 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으며, 후방 좌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는 후방 우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에 대해 착용 가능한 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고, 전방 좌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는 후방 좌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에 대해 착용 가능한 장치의 좌우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으며, 전방 우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는 후방 우측 분지와 관련되는 휠 조립체에 대해 착용 가능한 장치의 좌우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몸통 및 분지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 면에서 조절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롤러 주행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착용 가능한 장치의 서스펜션은, 축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레방향으로 구속되도록 구성되는 축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축은, 축에 의해 지탱되는 휠 조립체의 회전 축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서스펜션의 서스펜션 축선을 따라 위치하게 되는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운동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축의 적어도 일부는 관통 구멍 내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톱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톱해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 구멍 내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톱해트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진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톱해트의 적어도 일부는 둘레방향으로 축 주위에 그리고 관통 구멍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축은 볼트 헤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볼트 헤드는 관통 구멍으로부터 오프셋되며, 톱해트의 적어도 일부는 볼트 헤드와 관통 구멍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 구멍 내에 위치하는 릿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볼트 헤드는 관통 구멍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톱해트의 적어도 일부는 관통 구멍과 휠 조립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 스페이서는 톱해트와 휠 조립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휠 조립체는 서스펜션 스페이서에 이웃하는 마찰 감소용 코팅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축은 암형 액슬 볼트 및 상보적인 수형 액슬 볼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암형 액슬 볼트 및 수형 액슬 볼트 중 적어도 하나는 일체의 상대 위치 유지 특징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일체의 상대 위치 유지 특징부는, 암형 액슬 볼트 및 상보적인 수형 액슬 볼트 중 적어도 하나의 마디진 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은, 관통 구멍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관통 구멍의 내측 단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내측 톱해트, 및 관통 구멍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관통 구멍의 외측 단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외측 톱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관통 구멍의 내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톱해트 부분은 축의 볼트 헤드에 의해 구속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중심은 실질적으로 회전 축선과 일치하고, 서스펜션 축선, 회전 축선 및 회전 중심 각각은,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한 휠 조립체의 회전 중에 그리고 서스펜션의 섭동 중에 일치된 상태로 남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축의 단부는 회전 중심에 대해 실질적으로 부분적인 구면 곡선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롤러 주행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착용 가능한 장치는, 착용 가능한 장치의 사용자의 발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신발로서, 발의 바닥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발 경계면을 포함하는 신발, 회전 축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한 휠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의 회전에 응답하여 지표면에 대해 선택적으로 롤링하도록 구성되는 휠 조립체, 신발과 휠 조립체 사이에 결합되는 프레임으로서, 신발과 휠 조립체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지표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오프셋된 틈새 평면을 포함하는 프레임, 그리고 신발을 프레임에 선택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부착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 시스템은 편향식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편향식 리테이너의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 내에서 지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 시스템은, 신발의 밑창을 통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 구멍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 구멍 내로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 시스템은 편향식 리테이너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의 적어도 일부는 프레임 내에서 지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터드는, 편향식 구멍에 대한 회전을 위한 캠 오목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터드는, 편향식 리테이너와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후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후크는 편향식 리테이너의 크레넬레이션형 돌출부와 선택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터드는, 360 도 미만만큼의 스터드의 회전에 응답하여 편향식 리테이너에 대한 부착 위치와 리테이너에 대한 분리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 시스템은 프레임의 중앙 몸통과 관련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 시스템의 일부는 상기 몸통의 내부 공동 내에 지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롤러 주행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착용 가능한 장치의 부착 시스템은, 신발에 의해 지탱되는 제1 특징부 및 프레임에 의해 지탱되는 제2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특징부 및 제2 특징부는 상보적으로 성형되며, 제1 특징부 및 제2 특징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특징부 및 제2 특징부 중 다른 하나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편향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특징부는 신발의 밑창에 형성된 구멍을 포함하고 제2 특징부 중 적어도 일부는 구멍을 통한 적어도 부분적인 삽입에 의해 밑창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특징부 및 제2 특징부를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편향 메커니즘은 신발에 의해 지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특징부 및 제2 특징부를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편향 메커니즘은 프레임에 의해 지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 시스템은, 신발의 밑창을 통해 프레임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연장되는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 시스템은 신발의 밑창에 형성된 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통로를 통해 제1 특징부 및 제2 특징부의 선택적인 맞물림을 실시하기 위해 툴이 통과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특징부는 고정 구조이고 제2 특징부는 동적 메커니즘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행해지는 실시예(들) 및/또는 실시예(들)의 특징의 변경, 조합 및/또는 변형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에 속한다. 실시예(들)의 특징의 조합, 통합 및/또는 생략으로 인한 변형례도 또한 본 개시내용의 범위에 속한다. 수치 범위 또는 한정사항이 명시적으로 언급되는 경우, 범위 또는 한정사항에 대한 이러한 언급은, 명시적으로 언급된 범위 또는 한정사항에 속하는 유사한 크기의 반복되는 범위 또는 한정사항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예컨대, "약 1 내지 약 10"은 2, 3, 4 등을 포함하고, "0.10보다 크다"는 0.11, 0.12, 0.13 등을 포함함). 예를 들면, 하한(Ri) 및 상한(Ru)을 갖는 수치 범위가 개시된 경우, 구체적으로 이 범위에 속하는 임의의 수치도 포함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치 범위에 속하는 다음의 숫자들이 특히 포함되는 것이다. 즉, R=Ri+k(Ru-Ri)가 포함되며, 여기서 k는 1%의 증분으로 1%부터 100%까지를 범위로 하는 변수이며, 즉 k는 1%, 2%, 3%, 4%, 5%, … 50%, 51%, 52%, … 95%, 96%, 97%, 98%, 99% 또는 100%이다. 더욱이,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이 2개의 R 수치에 의해 정해지는 임의의 수치 범위도 또한 구체적으로 포함되는 것이다. 청구항의 임의의 요소와 관련하여 "선택적으로"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상기 요소가 요구되거나, 또는 대안으로 상기 요소는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대안적인 양자 모두는 청구항의 범위에 속한다. "구성되는", "포함하는" 및 "갖는"과 같은 보다 광의의 용어의 사용은, "이루어지는", "주요 구성으로 하는", 및 "실질적으로 포함되는"과 같은 보다 협의의 용어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보호 범위는 앞서 기재된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오히려 후속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데, 상기 보호 범위는 청구항의 대상의 모든 등가물을 포함한다. 각각의 청구항은 추가적인 개시로서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통합되며,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의 청구항은 특정 인용관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제시되는데, 이는 임의의 청구항이 임의의 다른 청구항을 인용할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한 것이며, 임의의 변형례가 다양한 청구항의 조합, 통합, 및/또는 생략으로부터 및/또는 청구항의 인용관계를 변경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는 한, 그러한 임의의 모든 변형례 및 그 등가물도 또한 본 개시내용의 범위에 속한다.
1000 : 착용 가능한 장치
1200 : 신발
1400 : 프레임
1800 : 휠 조립체

Claims (80)

  1. 롤러 주행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착용 가능한 장치로서,
    착용 가능한 장치의 사용자의 발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발의 바닥과 선택적인 접촉을 하도록 구성되는 발 경계면을 포함하는 신발;
    회전 축선과 일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한 휠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의 회전에 응답하여 지표면에 대해 롤링(rolling)하도록 구성되는 휠 조립체; 및
    신발과 휠 조립체 사이에 결합되고, 신발과 휠 조립체 사이에서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지표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오프셋된 틈새 평면을 포함하는 프레임
    을 포함하고, (1) 지표면과 발 경계면 사이의 거리 및 (2) 지표면과 발 경계면 사이의 공간 중 적어도 하나는, 휠 조립체가 지표면과 접촉하고 지표면에 대해 롤링하도록 위치설정될 때 사용자 및 착용 가능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낮은 무게 중심을 제공하도록 선택되며,
    상기 착용 가능한 장치는, (1) 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틈새 평면보다 수직방향으로 높게 위치하는 것, (2) 상기 휠 조립체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 (3) 상기 휠 조립체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 중 적어도 하나가 구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축의 회전 중심은 상기 회전 축선과 일치하고, 상기 축의 제1 단부는 상기 축의 회전 중심에 대해 제1 부분 구면 곡선(spherical sweep)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축의 제2 단부는 상기 축의 회전 중심에 대해 제2 부분 구면 곡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착용 가능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발 경계면의 적어도 일부는 휠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보다 낮게 위치하는 것인 착용 가능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발 경계면의 적어도 일부는 축의 적어도 일부보다 낮게 위치하는 것인 착용 가능한 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축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발 경계면보다 높이 위치하는 제1 위치와 발 경계면보다 낮게 위치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인 착용 가능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회전 중심은 발 경계면의 적어도 일부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인 착용 가능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서스펜션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서스펜션 공동을 포함하는 것인 착용 가능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회전 중심은 서스펜션 공동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인 착용 가능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회전 중심은 발 경계면보다 낮게 위치하게 되는 것인 착용 가능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회전 중심은 발 경계면보다 높게 위치하게 되는 것인 착용 가능한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발 경계면의 적어도 일부는 서스펜션 공동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착용 가능한 장치.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휠 조립체; 및
    상기 추가적인 휠 조립체와 결합되는 추가적인 서스펜션
    을 더 포함하는 것인 착용 가능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서스펜션은, 발 경계면에 대한 관련 휠 조립체의 운동이 가능하게 하도록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한 것인 착용 가능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위에서 볼 때 X자 형상인 것인 착용 가능한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는 신발 내에 내장되는 것인 착용 가능한 장치.
  17. 제7항에 있어서, 서스펜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서스펜션 공동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탱되는 우레탄 톱해트(tophat)를 포함하는 것인 착용 가능한 장치.
  18. 삭제
  19.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몸통(trunk) 및 이 몸통으로부터 연장되는 4개의 분지(branch)를 포함하는 것인 착용 가능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1) 4개의 분지 각각은 상이한 길이를 갖는 것, 그리고
    (2) 4개의 분지 각각은 위에서 볼 때 상이한 각도로 몸통으로부터 연장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구현되는 것인 착용 가능한 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KR1020137003848A 2010-07-16 2011-07-15 착용 가능한 장치 KR1015789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522910P 2010-07-16 2010-07-16
US61/365,229 2010-07-16
PCT/US2011/044269 WO2012009690A1 (en) 2010-07-16 2011-07-15 Wearable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4050A Division KR101835053B1 (ko) 2010-07-16 2011-07-15 착용 가능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331A KR20130030331A (ko) 2013-03-26
KR101578983B1 true KR101578983B1 (ko) 2015-12-21

Family

ID=445131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848A KR101578983B1 (ko) 2010-07-16 2011-07-15 착용 가능한 장치
KR1020157014050A KR101835053B1 (ko) 2010-07-16 2011-07-15 착용 가능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4050A KR101835053B1 (ko) 2010-07-16 2011-07-15 착용 가능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7) US8690165B2 (ko)
EP (2) EP3150262B1 (ko)
JP (3) JP5894984B2 (ko)
KR (2) KR101578983B1 (ko)
CN (3) CN107413040B (ko)
CA (2) CA2805633C (ko)
HK (1) HK1218525A1 (ko)
WO (1) WO20120096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4745B1 (en) * 1998-11-25 2002-02-05 Medrad, Inc. Tapered birdcage resonator for improved homogeneity in MRI
DE102008017195A1 (de) * 2008-04-04 2009-10-08 Niewöhner, Sabine Skateschuh mit bajonettartigem Verschluss von zwei Halbachsen
CN107413040B (zh) 2010-07-16 2020-06-02 罗杰·R·亚当斯 可穿装置
US8544854B2 (en) 2011-12-09 2013-10-01 Roger R. Adams Wearable device with attachment system
GB2503214B (en) * 2012-06-18 2014-06-18 Ching-Ho Yeh Safe roller shoe structure
US8936251B1 (en) * 2014-04-25 2015-01-20 Odil Talles Pereira Skate system including active displacement mechanism
DE102015002855A1 (de) * 2015-03-06 2016-09-08 Thomas Geiger Fahrgerät
DE102015002856A1 (de) * 2015-03-06 2016-09-08 Thomas Geiger Fahrgerät
DE102015002916A1 (de) * 2015-03-06 2016-09-08 Thomas Geiger Fahrgerät
DE102015002919A1 (de) * 2015-03-06 2016-09-08 Thomas Geiger Fahrgerät
EP3265188A1 (de) * 2015-03-06 2018-01-10 Thomas Geiger Fahrgerät
US10096550B2 (en) 2017-02-21 2018-10-09 Raytheon Company Nitride structure having gold-free contact and methods for forming such structures
WO2019212995A1 (en) * 2018-04-29 2019-11-07 Nimbus Robotics, Inc. A gait controlled mobility device
US11534674B2 (en) 2019-07-03 2022-12-27 Neil Owen Detachable skate frame
US20190320756A1 (en) * 2019-07-03 2019-10-24 Neil Owen Detachable skate frame
USD966677S1 (en) * 2020-05-21 2022-10-18 Target Brands, Inc. Footwear
RS20201126A1 (sr) * 2020-09-18 2022-03-31 Vladimir Banjac Koturaljke - patike sa dva para odvojivih točkova
USD1026146S1 (en) * 2024-03-05 2024-05-07 Wenhua Feng Roller ska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4981A1 (en) 2008-08-20 2010-02-25 Shane Chen Lean-to-Turn Wheele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600A (en) * 1886-02-23 Thomas tennent
US96117A (en) 1869-10-26 Improvement in parlor-skates
US979795A (en) * 1910-01-26 1910-12-27 William H Tigerman Skate.
US2000396A (en) * 1932-03-25 1935-05-07 John M Keller Skate
US2244719A (en) * 1938-08-31 1941-06-10 Judson H Mansfield Shoe and skate combination
US2430037A (en) 1945-07-20 1947-11-04 Footmobile Corp Roller skate device
US3112119A (en) * 1961-04-25 1963-11-26 Corlise M Sweet Roller skate with heel brake
US3309098A (en) * 1964-10-13 1967-03-14 Toy Dev Ct Inc Skate
US3292940A (en) * 1964-11-12 1966-12-20 Dorothea M Weitzner Convertible ice, hockey and roller skates
US3476399A (en) * 1967-12-11 1969-11-04 Wheelees Inc Skates
US4114295A (en) 1977-05-05 1978-09-19 Schaefer Hans Joachim Convertible sports shoe
JPS5462029A (en) * 1977-10-20 1979-05-18 Doutoku Oo Skates
US4185847A (en) 1977-10-25 1980-01-29 Johnson Robert D Skateboard truck with independent wheel suspension
JPS561685U (ko) 1979-06-20 1981-01-09
US4310168A (en) * 1980-02-08 1982-01-12 Macaluso Mary H Pneumatic wheel skate device
DE3027682A1 (de) 1980-07-22 1982-02-18 Hans A. Frhr.von 6239 Kriftel Seld Rollschuhe fuer rauhe boeden
US4394028A (en) * 1981-03-13 1983-07-19 Wheelwright Joseph S Skate
US4666168A (en) 1984-04-12 1987-05-19 Roller Barons, Inc. Roller skate apparatus
GB2194157B (en) * 1986-08-20 1990-01-10 Jerry Lin Two-wheeled combination roller skate-ski
US4932675A (en) 1986-11-28 1990-06-12 Scott B. Olson Skate assembly
JP2548619B2 (ja) 1989-07-18 1996-10-30 株式会社新興製作所 電子写真式プリンタ装置
US5127672A (en) * 1990-07-12 1992-07-07 Hiroshi Horibata Hopping roller skate or ski
DE4123822C2 (de) * 1990-11-15 2003-02-06 Georg Wiegner Sportgerät
JPH06129374A (ja) 1992-10-15 1994-05-10 Shibaura Eng Works Co Ltd 油回転真空ポンプ
US5305496A (en) 1992-12-09 1994-04-26 Applied Power Inc. Shock and vibration isolating caster
US5394589A (en) * 1993-02-11 1995-03-07 Lord Corporation Caster for isolating shock and vibration loads
US5524912A (en) 1993-03-01 1996-06-11 Laub; Michael J. All season skate
US5971420A (en) 1994-06-06 1999-10-26 Shimano, Inc. Snowboard binding
US5662338A (en) * 1995-02-15 1997-09-02 Victor Posa Skate with lateral torque support members
US5609455A (en) 1995-03-24 1997-03-11 Mckewan; Arthur J. Anticross-threading male fastener
US6070885A (en) * 1995-06-19 2000-06-06 Ferone; Ralph J. Off-line roller skates
US5975542A (en) 1997-05-14 1999-11-02 V-Line Skate, Co. Inc. Hanger for roller skate having shock absorbing characteristics in vertical and horizontal planes
US6068268A (en) * 1997-10-22 2000-05-30 Rollerblade, Inc. Eccentric spacer for an in-line skate
AU1390499A (en) 1997-11-08 1999-05-31 Jun Dam Foot-front actuated roller skates
US6120038A (en) 1998-05-08 2000-09-19 K-2 Corporation Detachable skate frame
US6241264B1 (en) 1998-11-06 2001-06-05 Crosskate, Llc Steerable wheel assembly with damping and centering force mechanism for an in-line skate or roller ski
GB9826342D0 (en) * 1998-12-02 1999-01-27 Walton Robert C Steerable inline skate
ES2245524B1 (es) 1999-04-01 2007-03-16 Heeling Sports Limited Aparato y metodo de talonaje.
US7063336B2 (en) 1999-04-01 2006-06-20 Heeling Sports Limited External wheeled heeling apparatus and method
US6874795B2 (en) 1999-04-07 2005-04-05 Chien-Min Sung Wheeled skate device
GB9912436D0 (en) 1999-05-27 1999-07-28 Trew Michael High stability roller-skate
US6543791B1 (en) 1999-12-10 2003-04-08 Elmer Lee Axle shock absorber
US20010055434A1 (en) * 2000-06-19 2001-12-27 Richard Wershe Bearing adapter assembly for a skateboard truck
US6382638B1 (en) 2000-10-16 2002-05-07 Tzu-Yang Lee Skate attachable to an athletic shoe
US7478803B2 (en) 2000-11-17 2009-01-20 Elmer C. Lee Compact shock absorption, vibration, isolation, and suspension device
DE10164797A1 (de) 2001-01-17 2003-12-18 Gottschalk Gerd Rollschuhe mit in der Sohle versenkbaren Rollen mit O 50-64MM
US6629913B2 (en) 2001-01-25 2003-10-07 Cid, Inc. Exercise device
US20020105152A1 (en) 2001-02-06 2002-08-08 Miller Robbie L. Roller skate
USD467290S1 (en) 2001-08-28 2002-12-17 Cid, Inc. Exercise device
US20030042058A1 (en) 2001-08-28 2003-03-06 Shane Chen Detachable motor for scooter
CN2510119Y (zh) * 2002-01-08 2002-09-11 洪士超 改良的滑板鞋
CN2523472Y (zh) * 2002-01-21 2002-12-04 杨莲传 四轮溜冰鞋底座
US20060022417A1 (en) 2002-02-20 2006-02-02 Roderick John A Wheeled shoe accessories
TW532210U (en) 2002-02-20 2003-05-11 Chen-Wen Wang Locking device for a detachable skate of sports shoe
NZ517724A (en) * 2002-03-11 2004-02-27 Reginald Lyall Reid Roller-skates with large wheels mounted outboard of foot-plate.
KR20050006145A (ko) 2002-04-08 2005-01-15 앨머 리 소형 충격 흡수, 진동, 격리, 및 현가 장치
CN2557187Y (zh) 2002-04-19 2003-06-25 纬豪实业股份有限公司 溜冰鞋鞋体与外鞋间的卡扣构造
AT5881U1 (de) 2002-05-13 2003-01-27 Zeug Design G M B H Rollschuh
US6805363B2 (en) 2002-08-20 2004-10-19 Bbc International, Ltd. Convertible shoe
US6913272B2 (en) 2002-08-23 2005-07-05 Chuck Chang Skateboard having a three-dimensional independent suspension balance system
KR100515869B1 (ko) 2002-09-04 2005-09-21 임건호 탈 부착용 롤러스케이트
US20040140634A1 (en) 2003-01-17 2004-07-22 Shane Chen Turnable wheeled skate
US7306240B2 (en) 2003-01-17 2007-12-11 Shane Chen Turnable wheeled skate
US20040232633A1 (en) 2003-02-28 2004-11-25 Reynald Chaput Low profile roller skate
FR2857604A1 (fr) 2003-07-17 2005-01-21 Philippe Jean Michel Niepceron Patin a roulettes equipe de deux paires de roues laterales
US7717439B2 (en) 2004-01-09 2010-05-18 Shane Chen Skate device having turnable wheels
GB0407778D0 (en) * 2004-04-06 2004-05-12 Tappex Thread Insert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 fastener
FR2870135A1 (fr) 2004-05-14 2005-11-18 Roger Delgado Dispositif de patin a roulettes
US7377524B2 (en) 2004-11-19 2008-05-27 Pak Yan Lok Roller skate
FR2880818B1 (fr) * 2005-01-17 2009-05-15 Philippe Biesse Patins a roulettes de route
DE202005003188U1 (de) 2005-02-21 2005-05-19 Niewald, Lothar, Dipl.-Ing. Rollbrettartiges Gerät zur Fortbewegung von Personen
RU2295992C2 (ru) * 2005-03-11 2007-03-27 Евгений Петрович Панин Роликовые коньки (варианты)
HK1075173A2 (en) 2005-08-04 2005-12-02 Chu Yau Shing Skate.
CN2825025Y (zh) 2005-08-29 2006-10-11 陈伟成 旱冰鞋侧轴装置
WO2007030774A2 (en) 2005-09-08 2007-03-15 Heeling Sports Limited Wheeled footwear with spring suspension system
US20070114743A1 (en) 2005-11-07 2007-05-24 Shane Chen Side motion propelled skateboard device
DE102005059069B4 (de) * 2005-12-08 2008-03-20 Helmut Abel Rollschuh
CN2853118Y (zh) * 2005-12-27 2007-01-03 欣国橡胶厂股份有限公司 溜冰鞋的基座
US7597334B2 (en) 2006-01-21 2009-10-06 Shane Chen Sideways movement propelled scooter device
US20080029985A1 (en) 2006-01-21 2008-02-07 Shane Chen Side movement propelled wheeled recreational device
US7681895B2 (en) 2006-01-21 2010-03-23 Shane Chen Side movement propelled scooter device having expanded foot platform
CN200966900Y (zh) 2006-09-30 2007-10-31 陈伟成 单支点轮轴旱冰鞋结构
US20090184481A1 (en) 2006-07-25 2009-07-23 Lee Cole Unitary quad roller skate
KR100814085B1 (ko) * 2006-07-27 2008-03-14 이창주 인라인스케이트
US20080313928A1 (en) 2006-09-08 2008-12-25 Adams Roger R Wheeled footwear with spring suspension system
DE102006043070A1 (de) 2006-09-14 2008-04-03 Böger, Levin Kombinierter Lauf- und Rollschuh
AU2007358721A1 (en) 2006-09-21 2009-04-23 Razor Usa, Llc Side movement propelled scooter device having expanded foot platform
CN101522267B (zh) 2006-10-04 2011-04-27 佐野美彻 滚轮溜冰鞋
US7980568B2 (en) 2007-04-30 2011-07-19 Shane Chen Wheel skate device
US20090079147A1 (en) 2007-09-20 2009-03-26 Landroller, Inc. Roller skate
EP2265347B1 (en) 2008-03-06 2014-10-08 Leverage Design Ltd. Transportation device with pivoting axle
US20100044987A1 (en) 2008-08-20 2010-02-25 Trout William G Vehicle stabilization apparatus and vehicle formed therewith
CN101670178B (zh) 2008-09-10 2012-03-21 陈和 倾侧即可转向的轮滑器具
USD610643S1 (en) 2009-06-04 2010-02-23 Shane Chen Sideways inline skate with foot platform
JP5462029B2 (ja) 2010-03-02 2014-04-02 株式会社山田ドビー プレス機
JP5711277B2 (ja) 2010-03-17 2015-04-3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複数アンテナをサポート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チャネル状態情報参照信号の設定情報を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CN107413040B (zh) 2010-07-16 2020-06-02 罗杰·R·亚当斯 可穿装置
US8544854B2 (en) 2011-12-09 2013-10-01 Roger R. Adams Wearable device with attachmen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4981A1 (en) 2008-08-20 2010-02-25 Shane Chen Lean-to-Turn Wheele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09690A1 (en) 2012-01-19
CN107413040A (zh) 2017-12-01
US8690165B2 (en) 2014-04-08
KR101835053B1 (ko) 2018-03-08
US9901809B2 (en) 2018-02-27
US20120013084A1 (en) 2012-01-19
US20120013087A1 (en) 2012-01-19
US9492732B2 (en) 2016-11-15
CN103108680B (zh) 2015-09-30
KR20130030331A (ko) 2013-03-26
US11511181B2 (en) 2022-11-29
JP2016000213A (ja) 2016-01-07
CN105194864A (zh) 2015-12-30
EP3150262A1 (en) 2017-04-05
EP3150262B1 (en) 2019-04-17
US8801002B2 (en) 2014-08-12
JP6205393B2 (ja) 2017-09-27
US20180243640A1 (en) 2018-08-30
CA2805633A1 (en) 2012-01-19
EP2593196B1 (en) 2016-11-09
CN105194864B (zh) 2017-08-01
US20170056757A1 (en) 2017-03-02
US20120013085A1 (en) 2012-01-19
US20120013086A1 (en) 2012-01-19
EP2593196A1 (en) 2013-05-22
CA2805633C (en) 2016-01-19
US8882114B2 (en) 2014-11-11
US20150021867A1 (en) 2015-01-22
JP2013535999A (ja) 2013-09-19
CA2911006A1 (en) 2012-01-19
US8641054B2 (en) 2014-02-04
CN107413040B (zh) 2020-06-02
CA2911006C (en) 2018-08-14
JP2017109136A (ja) 2017-06-22
HK1218525A1 (zh) 2017-02-24
KR20150065937A (ko) 2015-06-15
JP5894984B2 (ja) 2016-03-30
CN103108680A (zh)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983B1 (ko) 착용 가능한 장치
US6006450A (en) Wear resistant grind shoe apparatus
US8544854B2 (en) Wearable device with attachment system
EP0613705B1 (en) Roller skate with braking device
KR102496067B1 (ko) 슬라이딩 및 논슬라이딩이 가능한 슈즈
KR20030039603A (ko) 롤러 장치를 구비한 신발
KR200265497Y1 (ko) 롤러장치를 구비한 신발
KR200422435Y1 (ko) 탈착 결합되는 휠이 구비된 신발
KR20230037311A (ko) 슬라이딩 및 논슬라이딩이 가능한 슈즈
JPH11332605A (ja) 特にスタント用のスポ―ツ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