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259B1 -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259B1
KR101577259B1 KR1020137026731A KR20137026731A KR101577259B1 KR 101577259 B1 KR101577259 B1 KR 101577259B1 KR 1020137026731 A KR1020137026731 A KR 1020137026731A KR 20137026731 A KR20137026731 A KR 20137026731A KR 101577259 B1 KR101577259 B1 KR 101577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fusion splicer
cover
main body
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7199A (ko
Inventor
노리유키 가와니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140057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3Splicing machines, e.g. optical fibre fusion splic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5Alignment or adjustment devices for aligning prior to splic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를 수납하는 수납 케이싱을 구비한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으로서, 상기 작업대는, 상기 수납 케이싱에 수납되는 융착 접속기를 수용하는 융착 접속기 설치부와, 광섬유의 전처리 작업을 행하는 작업면을 구비하고, 상기 융착 접속기 설치부는, 상기 융착 접속기가 상기 작업대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융착 접속기 구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면은, 그 외주에 설치되고, 상기 전처리 작업에 사용하는 공구가 상기 작업면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 케이싱은, 케이싱 본체와, 상기 케이싱 본체의 상부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 본체는, 강직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케이싱 본체 외층과, 적어도 일부가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는 케이싱 본체 내층으로 구성되는 2층 구조를 가지고, 상기 케이싱 본체 외층은,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주위에 세워 설치된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 본체 내층은, 상기 케이싱 본체 외층과 상기 작업대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작업대와 끼워맞춤 가능한 작업대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대 끼워맞춤부는, 상기 작업대와 접촉하는 볼록부와, 상기 작업대와 접촉하지 않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강직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커버 외층과,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는 커버 내층으로 구성되는 2층 구조를 가지고, 상기 커버 외층은 상기 작업대에 접촉되지 않는다.

Description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OPTICAL FIBER FUSION SPLICE SYSTEM}
본 발명은, 광섬유 융착(融着) 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2년 10월 4일자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2-222049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광섬유의 융착 접속을 행할 때는, 일반적으로, 하기의 작업이 필요하다.
(1-1) 광섬유 케이블로부터 광섬유 심선(心線)을 인출한다.
(1-2) 인출된 광섬유 심선을 덮는 수지 피복(선단부)을 광섬유 피복 제거 공구에 의해 제거한다.
(1-3) 선단부의 피복이 제거된 광섬유 심선의 유리(누드 광섬유) 표면에 남는 수지 피복 칩(부스러기)을 알코올로 적셔진 천 또는 종이로 제거한다.
(1-4) 청소된 광섬유 심선을 광섬유 절단기에 의해 절단한다.
(1-5) 절단된 광섬유 심선을 광섬유 융착 접속기에 의해 융착 접속한다.
(1-6) 융착 접속된 광섬유 심선을 열수축성의 보강 슬리브로 덮어, 융착 접속기의 가열기에 의해 가열 보강한다.
(1-7) 가열 보강된 광섬유 심선을 접속부 수납 케이스의 수납 트레이에 수납한다.
(1-2)∼(1-4)는 융착 접속 전의 광섬유 심선의 전처리(前處理) 공정이라고 한다. 전처리 공정을 행하기 위하여, 피복 제거 공구, 청소용의 천, 종이, 알코올 용기, 및 광섬유 절단기(커터) 등 다양한 공구를 두고 작업하는 스페이스가 필요하다.
광섬유에 의한 고속 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해 행해지는 광섬유 융착 접속 작업에서는, 작업 시간 단축에 의한 비용 저감이 요구되고 있다. 작업 시간 단축을 위해서는, 이전에는 융착 접속기의 접속 시간 및 가열 시간의 단축이 과제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주요 간선(幹線)의 정비가 종료되고, 지선(支線) 또는 택지(宅地)에서의 작업이 증가하고 있다. 지선 또는 택지에서의 융착 접속에 있어서는, 1개소당의, 접속하는 광섬유의 개수가 적고, 작업 장소의 변경(이동)이 더욱 빈번해진다. 이와 같은 상황에 있어서는, 융착 접속 시간 및 가열 시간의 단축보다, 1개의 작업 장소에서 작업 가능하도록 작업 환경을 구축하거나, 융착 접속기 등을 작업 장소로부터 철수하거나 하는 작업의 시간의 단축이 중요하다.
융착 접속 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전용 작업대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4 참조).
특허 문헌 1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바닥면을 가지는 상부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클로져(closer)의 바닥판을 이격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파지(把持) 수단과, 상기 상부에 설치되어 클로져의 지지선으로부터 상기 상부를 매다는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을 가지는 지지 수단을 가지는 가공(架空) 광케이블 클로져나 작업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작업대의 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암(arm) 부재에 설치된 훅부(hook member)에 의해 항장력선(抗張力線) 등의 선형체(線形體)에 수하(垂下)되고, 작업면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가공 광케이블의 접속 작업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고소(高所) 작업용 버킷(bucket) 차량의 승용 버킷의 상부 에지에 걸어맞추어지는 훅과, 훅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승용 버킷의 벽면에 접촉되는 가압부와, 가압부의 중간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테이블부로 형성되는 광섬유 접속 작업용 작업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4에는, 기재(基材)의 양 단부에 작업 벨트가 장착되고, 그 기재에는 임의의 각도로 회전 정지할 수 있는 힌지를 통하여 고정구가 장착되고, 또한 기재와 고정구와의 사이에는 융착 접속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기재에 대하여 융착 접속기가 회전·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융착 접속기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융착 접속기 탑재용 작업대가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 작업 현장 1개소(箇所)에서의 광섬유의 접속 개수는 감소되어, 접속 작업을 행하는 장소를 하루에 몇번이라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작업 현장 간의 이동에는 자동차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FTTH(Fiber To The Home) 공사와 같이 택지에 가까운 부분의 지선 공사, 즉 맨션 또는 가정 주변에서의 접속 작업에 있어서는, 자동차로 접속 작업 현장에 가까워질 수가 없다. 또한, 통상의 간선 공사에 있어서도, 주차 스페이스가 없는 등의 이유에 의해, 자동차의 주차 스페이스와 작업 현장이 근접하고 있지 않은 경우도 많다.
일반적으로 직경 0.125㎜로 되는 통신용 광섬유를 융착 접속하는 융착 접속기는 정밀 기계이다. 또한, 광섬유 커터 등의 주변 공구도 정밀하게 조정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기계 또는 공구에 대한 충격 및 진동을 최소한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융착 접속기의 운반에는, 충격 완충 기능을 가지는 반송(搬送) 케이싱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 요구된다.
자동차에서의 이동 중 및 자동차로부터 접속 작업 현장까지의 이동에 있어서는, 융착 접속기는 반송 케이싱에 수납된 상태로 운반된다. 그리고, 접속 작업 현장에서 반송 케이싱을 개봉하고, 별도 운반한 작업대에 융착 접속기를 고정시킨 후에 작업을 개시한다. 공사 완료 후에는 융착 접속기를 작업대로부터 분리하고, 작업대를 반송 케이싱에 수납하고나서 자동차까지 운반한다.
일반적으로 작업대와 반송 케이싱의 2개를 운반하는 작업 수순에 있어서, 하기 작업이 필요하다.
(2-1) 작업 전에, 융착 접속기 및 공구를 반송 케이싱에서 인출한다.
(2-2) 작업 전에, 융착 접속기 및 공구를 작업대에 설치한다.
(2-3) 작업 후에, 융착 접속기 및 공구를 작업대로부터 분리한다.
(2-4) 작업 후에, 융착 접속기 및 공구를 반송 케이싱에 수납한다.
(2-1)∼(2-4)의 작업을 생략하기 위하여, 특허 문헌 5에서는, 융착 접속기 및 주변 공구류를 수납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는 커버부로 형성되고, 본체부에 대하여 커버부를 개방한 상태로, 본체부의 앞쪽에 작업을 위한 평면부가 형성되는 작업 케이싱이 제안되어 있다. 이 제안에 의해 융착 접속기 및 공구를 작업대에 설치하거나 분리해 내거나 할 필요는 없어졌다. 그러나, 특허 문헌 5의 작업 케이싱은, 충격 완충 기능이 없기 때문에 장거리의 운반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비 또는 먼지를 방지할 수는 없다.
특허 문헌 6에서는, 충격 완충 기능을 가지는 반송 케이싱 상에 작업대를 장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제안에 의해, 작업대와 반송 케이싱을 동시에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접속 작업 현장에 도착한 후,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있는 작업대를 반송 케이싱의 상면으로부터 분리하고, 반송 케이싱의 커버를 개방하여 융착 접속기 및 다양한 공구를 인출하고, 인출한 물품을 작업대 상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접속 작업 종료 후에는, 이 반대의 작업을 행하고, 작업대 위로부터 융착 접속기 및 다양한 공구를 분리하고, 이들을 반송 케이싱에 수납하고, 마지막으로 작업대를 반송 케이싱에 장착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특허 문헌 6의 반송 케이싱에서는, 상기 (2-1)∼(2-4)의 작업을 생략하는 과제는 해결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 7에는, 케이싱부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커버부가 설치되고, 상부의 한 쌍의 측면부인 작업자측 단부에 동체(胴體) 벨트가 장착되고, 케이싱부의 한 쌍의 측면부의 각각에 길이가 조정 가능한 수하(垂下) 벨트가 장착되고, 상부 및 커버부가 유연성 재료로 형성되고, 케이싱부의 바닥면부에 그 평면을 규정하는 판형체가 배치되는 융착 접속기용 수용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수용 케이스에는, 작업대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 8에는, 공구 수납 케이싱을 수납 트레이 상에 배치할 수 있어, 수납 트레이를 공구 케이싱 본체 상에 걸어맞춤 가능한 공구 케이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9에는, 타원형의 케이싱 본체 및 상부 커버와, 상부 커버에 장착된 핸들과, 케이싱 본체 상에 톱니형의 슬롯 홈을 가지는 수납 트레이를 설치한 공구 케이싱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공구 케이싱은, 케이싱 내의 공간을 분할함으로써 공구 수납량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수납 장소를 안정시키는 것을 효과로 하고 있다. 또한, 융착 접속기는 수납되지 않기 때문에, 충격 완충 기능이 없다. 그리고, 수납 트레이는 경질의 케이싱 본체와 직접 접촉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평10-206652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평10-282356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평11-005695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7-193097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6-201305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10-039002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11-145528호 공보 미국 특허 제5680932호 명세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5/0056561호 명세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이루어진 것이며, 융착 접속기를 수납 케이싱에서 인출하여 작업대에 설치하고, 및 작업대로부터 분리하여 수납 케이싱에 수납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또한 융착 접속기 및 공구에 대한 충격 완충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은,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를 수납하는 수납 케이싱을 구비한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으로서, 상기 작업대는, 상기 수납 케이싱에 수납되는 융착 접속기를 수용하는 융착 접속기 설치부와, 광섬유의 전처리 작업을 행하는 작업면을 가지고, 상기 융착 접속기 설치부는, 상기 융착 접속기가 상기 작업대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속(拘束)하는 융착 접속기 구속부를 가지고, 상기 작업면은, 그 외주에 설치되고, 상기 전처리 작업에 사용하는 공구가 상기 작업면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를 가지고, 상기 수납 케이싱은, 케이싱 본체와, 상기 케이싱 본체의 상부를 덮는 커버를 가지고, 상기 케이싱 본체는, 강직(剛直)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케이싱 본체 외층과, 적어도 일부가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는 케이싱 본체 내층으로 구성되는 2층 구조를 가지고, 상기 케이싱 본체 외층은,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주위에 세워 설치된 측벽부를 가지고, 상기 케이싱 본체 내층은, 상기 케이싱 본체 외층과, 상기 작업대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작업대와 끼워맞춤 가능한 작업대 끼워맞춤부를 가지고, 상기 작업대 끼워맞춤부는, 상기 작업대와 접촉하는 볼록부와, 상기 작업대와 접촉하지 않는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커버는, 강직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커버 외층과,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는 커버 내층으로 구성되는 2층 구조를 가지고, 상기 커버 외층은 상기 작업대에 접촉되지 않는다.
상기 케이싱 본체 내층 및 상기 커버 내층을 형성하는 상기 합성 수지 발포체가 발포 합성수지라도 된다.
상기 볼록부는, 상기 작업대의 주위에 3개소 이상 또는 상기 작업대의 주위 중 서로 대향하는 2개소에 설치되고, 상기 작업대와 상기 케이싱 본체 외층의 측벽부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이, 상기 융착 접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융착 접속기는, 상기 융착 접속기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이동 가능한 표시기를 가지고, 상기 케이싱 본체는, 상기 표시기가 이동할 때 상기 표시기에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절결된 절결부(切缺部)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커버는, 상기 절결부와 끼워맞춤 가능한 돌출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이, 상기 융착 접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융착 접속기는 상기 융착 접속기의 상면에 고정된 표시기를 가져도 된다.
상기 작업대는, 융착 접속 후에 사용하는 광섬유 반송 지그를 꽂기 위한 고정공을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수납 케이싱은, 상기 작업면 상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제1 부속 물품 수납부와, 상기 융착 접속기 설치부의 아래 또는 상기 작업면 아래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제2 부속 물품 수납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부속 물품 수납부와 상기 융착 접속기와의 사이에 설치된 칸막이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작업대는, 상기 제2 부속 물품 수납부와 상기 융착 접속기와의 사이에 설치된 격벽을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케이싱 본체의 바닥부 및 상기 커버가, 수납 케이싱의 내부에 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방수성을 가져도 된다.
상기 본 발명의 태양에 의하면, 융착 접속기를 수납 케이싱에서 인출하여 작업대에 설치하고, 및 작업대로부터 분리하여 수납 케이싱에 수납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또한 융착 접속기 및 공구에 대한 충격 완충 기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융착 접속기 및 작업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케이싱 본체의 내층과 외층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케이싱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융착 접속기 및 작업대를 수납한 케이싱 본체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융착 접속기 및 작업대를 수납한 케이싱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의 내층과 외층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의 외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융착 접속기 및 작업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케이싱 본체의 내층과 외층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케이싱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융착 접속기 및 작업대를 수납한 케이싱 본체의 상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융착 접속기 및 작업대를 수납한 케이싱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의 내층과 외층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융착 접속기 및 작업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작업대의 사시도이다.
도 20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작업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융착 접속기를 작업대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의 외관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의 커버를 개방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케이싱 본체의 내층과 외층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케이싱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의 내층과 외층을 분리한 상측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의 상측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의 내층과 외층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융착 접속기 및 작업대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융착 접속기를 작업대에 장착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의 외관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의 커버를 개방한 사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케이싱 본체의 내층과 외층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케이싱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의 내층과 외층을 분리한 상측 사시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의 상측 사시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의 내층과 외층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융착 접속기 및 작업대의 사시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융착 접속기를 작업대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작업대의 사시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작업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융착 접속기 설치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융착 접속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융착 접속기를 융착 접속기 설치부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3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가압 플레이트의 표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53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가압 플레이트의 이면측(裏面側)의 사시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를 두고,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도 9에,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을 나타낸다.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10)와 작업대(20)를 수납 케이싱(40)에 수납한 구성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대(20)는, 융착 접속기(10)를 수용하는 융착 접속기 설치부(30)와, 광섬유의 전처리 작업을 행하는 작업면(22)을 가진다. 여기서 전후 좌우는, 융착 접속기(10) 측면 중, 표시기(13)가 설치되는 측을 앞쪽으로 하고, 작업자에서 볼 때 융착 접속기(10)의 뒤쪽[표시기(13)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을 배벽부(背壁部)(안쪽)으로 하고, 작업자가 보았을 때의 좌우를 좌우로 한다.
융착 접속기(10)는, 적어도 광섬유의 융착 접속을 행하는 융착 접속부(11)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융착 접속기(10)는, 융착 접속부(11) 외에, 융착 접속 후의 광섬유에 씌운 보강 슬리브를 가열하는 보강 슬리브 가열부(12), 융착 접속기(10)로부터 작업자 전용으로 각종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기(13), 조건 설정 등에 사용하는 조작부(14) 등을 가진다. 또한, 융착 접속기(10)는, 대략 입방체형의 본체부(16)에 융착 접속부(11), 보강 슬리브 가열부(12), 및 융착 접속 및 가열의 구동부 및 제어부 등의 내장(內藏)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16)의 하부에는 복수(예를 들면, 4개)의 다리부(15)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기(13)에는, 액정, 유기 EL, 또는 전광식(電光式) 등, 각종 표시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융착 접속기(10)는, 본체부(16)의 앞쪽으로 이동 가능한 패널부(17)를 구비하고, 패널부(17) 상에 표시기(13) 및 조작부(14)가 배치되어 있다. 패널부(17)는, 본체부(16)의 상부에 설치된 수평 방향의 회동축(16a)을 통하여 본체부(16)에 연결되어 있다. 화살표(17a)와 같이 패널부(17)를 이동시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표시기(13)를 향하게 할 수 있다. 작업자는, 표시기(13)가 보기 쉬운 방향으로 패널부(17)를 이동시킬 수 있다.
융착 접속기(10)는, 융착 접속기 설치부(30)에 수용된다(도 2 참조).
융착 접속기 설치부(30)는, 융착 접속기(10)를 지지하는 바닥부(31)와, 융착 접속기(10)의 뒤쪽에 설치된 배벽부(32)와, 바닥부(31) 및 배벽부(32)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측부(33, 33)를 가진다. 바닥부(31)는 대략 직사각형이며, 바닥부(31)의 4방면 중 3방면은 배벽부(32) 및 측부(33, 33)에 의해 에워싸이고 앞부분은 개방되어 있다.
융착 접속기 설치부(30)는, 융착 접속기(10)가 융착 접속기 설치부(30)에 대하여[즉, 작업대(2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융착 접속기 구속부(35)를 가진다. 여기서는, 수직[연직(鉛直)·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1 또는 2개 이상의 안내홈(35a, 35b)을 가지는 융착 접속기 구속부(35)가, 좌우 양쪽의 측부(33, 33)의 앞쪽에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35a, 35b)은, 융착 접속기(10)의 측면에 형성된 수직 방향의 돌기(18a, 18b)를 인수(引受)(수납) 가능하다. 돌기(18a, 18b)를 안내홈(35a, 35b)에 안내하면서, 융착 접속기(10)를 융착 접속기 설치부(30)의 바닥부(3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융착 접속기(10)를 융착 접속기 설치부(30)에 장착하거나 분리해 내거나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일부 밖에 도시하지 않지만, 돌기(18a, 18b) 및 안내홈(35a, 35b)은, 각각 융착 접속기(10) 및 융착 접속기 설치부(30)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도 6의 융착 접속기 구속부(35, 35)를 참조].
융착 접속기(10)를 융착 접속기 설치부(30)에 설치했을 때, 융착 접속기(10)의 다리부(15)를 받는 오목형의 받이 시트(31a)가, 융착 접속기 설치부(30)의 바닥부(31) 상(여기서는 4코너)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융착 접속기(10)는 본체부(16)의 바닥부에 나사공(도시하지 않음)을 가진다. 융착 접속기 설치부(30)의 바닥부(31)의 구멍(31b)(도 33 참조)으로부터 나사를 사용하여, 융착 접속기 설치부(30)의 바닥부(31)를 융착 접속기(10)의 바닥부와 나사의 헤드부와의 사이에서 끼워넣는 형태로 융착 접속기(10)를 나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융착 접속기(10)의 자중에 의해 항상 하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나사 등에 의한 고정은 필수는 아니다.
작업대(20)는, 융착 접속기(10)의 좌우에 근접하여, 작업면(22, 22)을 가진다. 작업면(22, 22)에 있어서, 광섬유의 전처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작업면(22)의 외주에는, 전처리 작업에 사용하는 공구 등의 각종 물품(도시하지 않음)이 작업면(22)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 방지 돌기(23)를 가진다. 전술한 예에서는, 작업면(22)과 낙하 방지 돌기(23)를 가지는 작업부(21)가, 융착 접속기 설치부(3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의 낙하 방지 돌기(23)는, 측부(33)가 있는 측을 제외하는 작업면(22)의 3방면에 설치되고, 측부(33)와 일체화된 벽부이다.
융착 접속 전의 광섬유의 전처리 작업으로서는, 전술한 (1-2)∼(1-4)와 같은 피복 제거, 청소, 절단 등을 들 수 있다.
전처리 작업에 사용하는 물품으로서는, 광섬유 심선을 덮는 수지 피복을 제거하는 광섬유 피복 제거 공구(스트리퍼), 광섬유 심선에 부착된 수지 피복 칩 등의 진개(塵芥)를 청소하기 위한 알코올을 넣은 알코올 용기 및 닦아내는 부재(천이나 종이 등), 및 광섬유 심선을 절단하는 광섬유 절단기(커터) 등을 들 수 있다.
작업면(22)의 치수는, 작업에 필요한 면적(작업의 용이함)과 수납 케이싱의 치수(반송 용이함)와의 균형으로 적절히 설정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변이 10∼30cm의 직사각형, 예를 들면, 약 20cm 4방면 등에 설정할 수 있다.
작업부(21)는, 그 한쪽에서 융착 접속기 설치부(30)의 측부(33)에 일체화되고, 그 반대측에서 입벽(立壁)(2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작업대(20)의 양 단부[입벽(24) 및 입벽(24)에 가까운 위치]에는, 작업대(20)를 손으로 가질 때 사용하는 손잡이 구멍(24a)과, 작업대(20)를 어깨에 걸 때 어깨걸이 벨트 또는 스트랩 등(도시하지 않음)이 통과할 수 있는 벨트공(24b)을 가진다. 이들은, 작업대(20)를 수납 케이싱(40)으로부터 인출하거나, 수납 케이싱(40)으로부터 인출한 작업대(20)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선채로 융착 접속 작업을 하거나 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또한, 작업대(20)는, 융착 접속 후의 광섬유에 보강 슬리브를 씌우는 처리[전술한(1-6)의 처리]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또한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작업대(20)는, 융착 접속기 설치부(30)의 좌우 양측[측부(33)의 상단]에는, 광섬유 반송 지그(도시하지 않음)를 꽂기 위한 고정공(33a, 33b)을 가진다. 앞쪽에 설치되는 고정공(33a)은 융착 접속기(10)의 융착 접속부(11)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안쪽에 설치되는 고정공(33b)은 융착 접속기(10)에 내장된 보강 슬리브 가열부(12)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6도 참조). 융착 접속 작업을 할 때, 미리 앞쪽에 형성되는 고정공(33a)에 광섬유 반송 지그를 고정하고, 융착 접속 후에 광섬유를 광섬유 반송 지그에 파지 등에 의해 장착한다. 광섬유 반송 지그를 가지고 앞쪽의 고정공(33a)으로부터 벗겨내고, 안쪽의 고정공(33b)으로 이동시키면, 융착 접속 후의 미(未)보강의 광섬유를 용이하게 보강 슬리브 가열부(12)로 이동(반송)시킬 수 있다. 이로써, 광섬유의 선단끼리가 접속된 접속점에 대한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광섬유 반송 지그는, 융착 접속기(10)의 융착 접속부(11)로부터 보강 슬리브 가열부(12)에 융착 접속 후의 광섬유를 반송할 때 사용된다.
또한, 작업대(20)는, 보강 슬리브로 보강된 접속 후의 광섬유를 설치하기 위한 광섬유 설치대(32a)를 가진다. 도시한 예의 광섬유 설치대(32a)는, 예를 들면, 단면(斷面)이 U자형의 홈을 배벽부(32)의 상단에 형성한 구성이다.
작업대(20)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세라믹스, 금속, 및 목질재 등의 각종 재료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10)는, 작업대(20)의 융착 접속기 설치부(30)에 장착한 상태로, 수납 케이싱(40)에 수납된다.
수납 케이싱(40)은, 융착 접속기(10)를 장착한 작업대(20)가 수납되는 케이싱 본체(50)와, 케이싱 본체(50)의 상부를 덮는 커버(70)를 가진다. 융착 접속기(10) 등을 보호하기 위한 충격 완충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해, 수납 케이싱(40)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50)는, 강직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케이싱 본체 외층(51)과,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는 케이싱 본체 내층(61)으로 구성되는 2층 구조를 가진다. 도 4는, 케이싱 본체 외층(51)과 케이싱 본체 내층(61)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는, 양자를 조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케이싱 본체 외층(51)은, 바닥부(52) 및 바닥부(52)의 주위에 세워 설치된[(바닥부(52)에 대략 수직으로 설치된] 측벽부(53)를 가진다. 바닥부(52)는 대략 직사각형이며, 측벽부(53)는, 융착 접속기(10)의 앞쪽에 대응하는 전벽(前壁)(53a)과, 전벽(53a)에 대향하는 후벽(後壁)(53b)과, 전벽(53a) 및 후벽(53b)의 양단의 사이를 막는 한 쌍의 단벽(端壁)(53c, 53c)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케이싱 본체 내층(61)은, 바닥부(62) 및 바닥부(62)의 주위에 세워 설치된[바닥부(62)에 대략 수직으로 설치된] 측벽부(63)를 가진다. 바닥부(62)는 대략 직사각형이며, 측벽부(63)는, 전벽(63a)과, 전벽(63a)에 대향하는 후벽(63b)과, 전벽(63a) 및 후벽(63b)의 양단 간을 막는 한 쌍의 단벽(63c, 63c)을 가진다. 케이싱 본체 외층(51)과 케이싱 본체 내층(61)은, 바닥부(52)와 바닥부(62), 전벽(53a)과 전벽(63a), 후벽(53b)과 후벽(63b), 및 단벽(53c)과 단벽(63c)이 각각 접하도록 끼워맞추어진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50)는, 융착 접속기(10)를 장착한 작업대(20)를 수납할 수 있다. 작업대(20)의 주위는,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는 케이싱 본체 내층(61)으로 에워싸여 있다. 케이싱 본체 내층(61)은, 케이싱 본체 외층(51)이 작업대(20)와 접촉되지 않도록 작업대(20)와 끼워맞추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작업대 끼워맞춤부(65)를 가진다(도 4 및 도 5 참조).
케이싱 본체 외층(51)과 작업대(20)와의 사이에 합성 수지 발포체로 구성되는 케이싱 본체 내층(61)이 개재(介在)됨으로써, 케이싱의 외측으로부터 작업대(20)에 전해지는 충격을 감쇠(減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케이싱 본체 내층(61)에 있어서, 모든 것이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적어도 일부가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적어도 작업대 끼워맞춤부(65)가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싱 본체 내층(61)은, 케이싱 본체 내층(61)과 작업대(20)와의 사이에서, 충격에 의해 수축되는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싱 본체 내층(61)은, 작업대 끼워맞춤부(65)에 있어서, 케이싱 본체 내층(61)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 발포체가 작업대(20)와 접촉하는 볼록부(66)와, 상기 합성 수지 발포체가 작업대(20)와 접촉하지 않는 오목부(67)를 가진다. 도 6에 나타낸 예에서는, 볼록부(66)는 전벽(63a)에 2개소, 후벽(63b)에 3개소, 전벽(63a) 또는 후벽(63b)과 단벽(63c)과의 코너에 4개소 형성되고, 각 볼록부(66)의 사이에 오목부(67)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볼록부(66)는, 작업대(20)와 케이싱 본체 외층(51)의 측벽부(53)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가로 요동(搖動) 등의 충격이 있어도 수축하여, 작업대(20)와 케이싱 본체 외층(51)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대 끼워맞춤부(65)는, 작업대(20)의 주위에 3개소 이상의 볼록부(66)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업대 끼워맞춤부(65)는, 작업대 끼워맞춤부(65)의 주위에 따른 볼록부(66)가 돌출하는 길이에 따라서, 작업대(20)의 주위 중, 서로 대향하는 2개소에 설치된 볼록부(66)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66)로 오목부(67)가 교호적(交互的)으로 설치되면 케이싱 본체 내층(61)의 합성 수지 발포체가 전체 주위에 걸쳐 작업대(20)와 접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볼록부(66)의 수축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작업대 끼워맞춤부(65)의 측면[케이싱 본체 내층(61)의 측벽부(63)]에서의 볼록부(66) 및 오목부(67)와 마찬가지로, 케이싱 본체 내층(61)의 바닥부(62) 측에 있어서도, 케이싱 본체 내층(61)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 발포체가 작업대(20)와 접촉하는 볼록부와, 상기 합성 수지 발포체가 작업대(20)와 접촉하지 않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 설치부(30)의 측부(33)에 접하는 맞닿음부(69)와, 입벽(24)에 접하는 맞닿음부(68)가 케이싱 본체 내층(61)에 설치되어 있다. 측부(33)에 접하는 맞닿음부(69)와 입벽(24)에 접하는 맞닿음부(68)와의 사이에는, 작업대(20)의 작업면(22)과 케이싱 본체 내층(61)과의 사이에서 물품 등을 수납 가능한 물품 수납 오목부(68a)가 형성된다. 또한, 측부(33, 33)와 접하는 한 쌍의 맞닿음부(69, 69)의 사이에는, 융착 접속기 설치부(30)를 수용 가능한 융착 접속기 수용 오목부(69a)가 형성된다.
수납 케이싱(40)은, 커버(70)(도 2 참조)를 연 상태[커버(70)는 케이싱 본체(50)로부터 분리해도 분리해 내지 않아도 됨)에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50)에 융착 접속기(10)를 장착한 작업대(20)를 수납한 채, 융착 접속기(10)와 작업대(20)를 사용하여 융착 접속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융착 접속기(10)의 융착 접속부(11) 및 보강 슬리브 가열부(12)는, 작업대(20)의 상측에 위치하므로, 융착 접속기(10)가 케이싱 본체(50) 또는 작업대(20) 중에 수납된 상태라도,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다. 특히 융착 접속부(11)에 있어서는, 좌우의 광섬유(2, 2)의 단면(端面)의 사이를 이격된 상태로부터 근접시켜 맞대어, 가열 융착한다. 따라서, 광섬유(2, 2)가 근접하는 전진 이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케이싱 본체(50)[케이싱 본체 외층(51), 케이싱 본체 내층(61)]와 작업대(20)와의 형상이 융착 접속부(11)의 좌우 각각의 섬유 출구부(11a, 11a)의 높이에 있는 수평면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광섬유(2)가 통하지 않는 부분에서는, 케이싱 본체(50) 및 작업대(20)의 일부가 섬유 출구부(11a, 11a)의 높이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나타낸 융착 접속기(10)는, 그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 가능한 표시기(13)를 가진다. 그러므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10) 및 작업대(20)를 케이싱 본체(50)에 수납한 상태에 있어서도, 표시기(13)[상세하게는 도 3의 패널부(17)]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표시기가 이동할 때 케이싱 본체(50)가 표시기에 접촉되지 않도록], 케이싱 본체(50)에는, 케이싱 본체(50)의 상단(50a)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배치된(절결된) 절결부(54, 64)가 형성된다. 절결부(54, 64)는, 케이싱 본체 외층(51)과 케이싱 본체 내층(61)의 각각[상세하게는 전벽(53a, 63a)]에 형성되어 있다(도 4 및 도 5를 참조).
이들 절결부(54, 64)에 의해, 융착 접속기(10)의 측면에 표시기(13)를 가지는 경우라도, 융착 접속기(10)를 케이싱 본체(50)에 수납한 채, 작업자가 표시기(13)를 볼 수가 있다. 측면의 표시기(13)는 고정식이라도 되지만, 가동식이라도 표시기(13)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싱 본체(50) 및 작업대(20)의 형상은, 표시기(13)의 표시면을 표시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공간 영역에 간섭하지 않도록 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착 접속기의 표시기가 융착 접속기의 상면에 있는 경우 등, 표시를 육안으로 하기 위한 공간 영역에 간섭하지 않는 경우에는, 케이싱 본체의 절결부를 생략할 수 있다.
케이싱 본체(50)는, 적어도 바닥부(52)가, 수납 케이싱(40)의 내부에 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방수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싱 본체 외층(51)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및 케이싱 본체 내층(61)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 발포체가, 방수성을 가지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누수(漏水)의 원인으로 되는 구멍이나 간극이 없도록 케이싱 본체 외층(51) 및 케이싱 본체 내층(61)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작업 현장의 바닥면이 젖은 상태라도 융착 접속기를 설치 가능하게 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바닥면의 수위가 절결부(54, 64)에 도달할 때까지는 방수 가능하도록, 케이싱 본체(50)의 측벽부(53, 63)에도 전술한 방수성을 가진다.
또한, 수납 케이싱(4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50)의 상부를 덮는 커버(70)를 가진다. 커버(70)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직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커버 외층(71)과,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는 커버 내층(81)을 가지는 2층 구조를 가진다. 도 8에, 커버 외층(71)과 커버 내층(81)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9에, 양자를 조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커버 외층(71)은, 천정부(72) 및 천정부(72)의 주위에 형성된 측벽부(73)를 가진다. 천정부(72)은 대략 직사각형이며, 측벽부(73)는, 융착 접속기(10)의 앞쪽에 대응하는 전벽(73a)과, 전벽(73a)에 대향하는 후벽(73b)과, 전벽(73a) 및 후벽(73b)의 양단 간을 막는 한 쌍의 단벽(73c, 73c)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커버 내층(81)은, 천정부(82) 및 천정부(82)의 주위에 형성된 측벽부(83)를 가진다. 천정부(82)은 대략 직사각형이며, 측벽부(83)는, 전벽(83a)과, 전벽(83a)에 대향하는 후벽(83b)과, 전벽(83a) 및 후벽(83b)의 양단 간을 막는 한 쌍의 단벽(83c, 83c)을 가진다. 커버 외층(71)과 커버 내층(81)은, 천정부(72)와 천정부(82), 전벽(73a)과 전벽(83a), 후벽(73b)과 후벽(83b), 또한 단벽(73c)과 단벽(83c)이 각각 접하도록 끼워맞추어진다.
커버 외층(71)의 전벽(73a)에는, 커버 내층(81)의 전벽(83a)의 홈(83d)(도 29 참조)과 끼워맞춤 가능한 리브(73d)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73d)와 홈(83d)은 수직(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커버 외층(71)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커버 내층(8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외층(71)이 작업대(20)에 접촉되지 않는 구조이다.
커버 외층(71)과 작업대(20)와의 사이에 합성 수지 발포체로 구성되는 커버 내층(81)이 개재됨으로써, 케이싱 또는 커버의 외측으로부터 작업대(20)에 전해지는 충격을 감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7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비 및 먼지를 차단할 수 있다. 커버(70)는, 수납 케이싱(40)의 내부에 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방수성을 가진다. 커버 외층(71)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및 커버 내층(81)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 발포체가, 방수성을 가지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누수의 원인으로 되는 구멍이나 간극이 없도록 커버 외층(71) 및 커버 내층(81)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70)에는 행거(hanger)(77)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70)가 행거(77) 등의 손잡이를 가지면, 반송이 용이해져, 바람직하다.
도시한 예의 커버(70)는, 천정부(72)에 융착 접속기 설치부(78)를 가지고, 그 근방에 작업 평면(79)을 가진다. 여기서는 융착 접속기 설치부(78)의 좌우 양측에 각각 작업 평면(79, 79)이 확보되어 있다. 커버(70)의 외측에 융착 접속기 설치부(78) 및 작업 평면(79)이 설치되면 융착 접속기(10)를 수납 케이싱(40)으로부터 인출하여 융착 접속기 설치부(78)에 설치한 상태로 작업할 수도 있다. 단, 수납 케이싱(40)에 수납한 작업대(20)를 사용한 작업으로 충분하면, 커버(70)의 융착 접속기 설치부(78) 및 작업 평면(79)은 특별히 필요하게 되지 않는다.
융착 접속기(10)를 융착 접속기 설치부(78)에 설치했을 때, 융착 접속기(10)의 다리부(15)(도 3 참조)를 받는 오목형의 받이 시트(78a)가, 융착 접속기 설치부(78)(여기서는 4코너)에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케이싱 본체(50)와 커버(70)는, 케이싱 본체(50)의 후벽(53b)에 형성된 힌지 베어링(55)(도 4 및 도 5 참조)와, 커버(70)의 후벽(73b)에 형성된 힌지 베어링(75)(도 8 및 도 9 참조)를 조합시키고, 힌지 축(42)을 통해 구성된 회전 힌지(41)(도 23 참조)와 연결된다. 커버(70)를 개방하여 융착 접속기(10) 또는 작업대(20)를 사용할 때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를 분리해 낼 수 있는 구조로 해도 된다. 또한, 180°이상 회전 가능한 회전 힌지 등에 의해,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커버를 퇴피시키는 구조라도 된다.
케이싱 본체(50)의 상단과 커버(70)의 하단과의 사이에는, 케이싱 본체(50)[상세하게는 케이싱 본체 외층(51)]의 상단에 형성된 돌기(56)(도 4 및 도 5 참조)와 커버(70)[상세하게는 커버 외층(71)]의 하단에 형성된 홈(76)(도 8 및 도 9 참조)을 조합한 끼워맞춤부(46)(도 2 참조)가 형성된다. 끼워맞춤부(46)는, 누수 등의 원인으로 되는 간극이 없도록 밀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 본체(50)는 절결부(54, 64)(도 5 참조)를 가지지만, 커버(70)는, 케이싱 본체(50)의 절결부(54, 64)와 끼워맞춤 가능한 돌출부(74, 84)(도 8 및 도 9 참조)를 가진다. 돌기(56)와 홈(76)과의 끼워맞춤에 의한 끼워맞춤부(46)는, 케이싱 본체 외층(51)의 절결부(54) 및 커버 외층(71)의 돌출부(74)의 에지에도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50)에 대하여 간극없이 커버(70)가 폐쇄될 수 있어, 수납 케이싱(40)의 측면의 방수성도 확보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70)가 폐쇄된 수납 케이싱(40)은, 융착 접속기(10)를 탑재한 작업대(20)의 전방위(全方位)를, 합성 수지 발포체의 케이싱 본체 내층(61) 및 커버 내층(81)으로 에워싸, 충격 흡수 작용을 가지고 있다. 이로써, 반송하는 거리가 긴 경우, 또는 비탈 또는 계단 등의 승강이 있는 경우 등이라도, 융착 접속기(10)에 충격이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어떠한 장소로도 운반 가능하게 된다. 케이싱 본체 내층(61) 및 커버 내층(81)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 발포체로서는, 발포 합성수지, 발포 폴리에틸렌, 발포 폴리프로필렌, 및 발포 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충격 흡수성, 방수성, 가공성, 및 경량성 등의 관점에서, 합성 수지 발포체가 발포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 수지 발포체는, 자중에 의해서는 변형되지 않지만, 충격으로 변형되는 정도의 단단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반송 시의 충격뿐 아니라, 작업 중이라도, 버킷 차량의 엔진 진동 등 작업자가 타는 비계(飛階; scaffold)에 진동이 있어도 합성 수지 발포체가 그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작업에 필요한 물품류를 융착 접속기(10) 및 작업대(20)와 함께 반송 가능하도록 하므로, 수납 케이싱(40)은, 내부에 부속 물품 수납부를 가진다. 도 2에서는, 작업대(20)의 작업면(22) 상에 제1 부속 물품 수납부(43)가 설치되고, 작업면(22) 아래에 제2 부속 물품 수납부(4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부속 물품 수납부(43)는, 거기에 수납한 물품을, 커버(70)를 여는 것만으로[작업대(20)를 움직이지 않아도] 사용하거나 인출하거나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매회의 작업에 사용하는 물품(예를 들면, 보강 슬리브 또는 알코올 병 등)을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부속 물품 수납부(44)는, 예비 배터리, AC 어댑터, 또는 예비에 사용하는 물품 등 인출의 빈도가 낮은 물품을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내층(81)은, 융착 접속기(10)가 수용되는 융착 접속기 수용 오목부(85)와, 제1 부속 물품 수납부(43)를 확보하는 물품 수납 오목부(86)를 가진다.
커버(70)[상세하게는 커버 내층(81)]은, 제1 부속 물품 수납부(43)와 융착 접속기(10)와의 사이에 칸막이(87)를 가진다. 이로써, 작업면(22) 상에 탑재하여 제1 부속 물품 수납부(43)에 수납한 물품이, 커버(70)를 닫은 상태에서 융착 접속기(10)에 대하여 충격 등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70)를 열면, 칸막이(87)는 커버(70)와 함께 비켜진다. 따라서, 전처리한 광섬유를 작업면(22)으로부터 융착 접속기(10)로 이동시키는 작업 시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작업대(20)는, 제2 부속 물품 수납부(44)와 융착 접속기(10)와의 사이에 격벽을 가진다. 여기서는, 작업대(20) 중 융착 접속기 설치부(30)의 측부(33)가 격벽으로서 기능한다. 이로써, 제2 부속 물품 수납부(44)에 수납한 물품이, 융착 접속기(10)에 대하여 충격 등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에 의하면, 수납 케이싱(40)의 커버(70)를 열거나, 또는 커버(70)를 분리하면, 수납 케이싱(40) 중의 융착 접속기(10)와 작업대(20)가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는 상태로 설치되고, 융착 접속기(10) 또는 작업대(20)의 재배치를 행하지 않고, 그대로 융착 접속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 수납 케이싱(40)은, 모든 방향으로부터의 충격 흡수 기능을 가지고, 반송 시에 정밀 기기인 융착 접속기(1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 및 먼지로부터도 융착 접속기(10)를 지킬 수 있다.
또한, 수납 케이싱(40) 중에서 작업대(20)에 설치되어 있는 융착 접속기(10)와 함께 작업대(20)를 인출함으로써, 융착 접속 작업을 수납 케이싱(4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대(20)를 수납 케이싱(40)으로부터 인출하지 않고 융착 접속기 설치부(30)로부터 융착 접속기(10)만을 인출할 수도 있다. 이로써, 작업 장소가 좁은 경우 등, 수납 케이싱(40)의 설치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라도 융착 접속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주(電柱)의 위 또는 가공(架空) 전선의 근처 등 고소(高所) 작업 시에 있어서, 작업자가 버킷 차량(크레인의 끝에 버킷을 장착한 크레인 차량)의 버킷에 탑승하여,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을 반입하여 융착 접속 작업을 행하는 경우와 같이, 진동이 있는 환경에서도 합성 수지 발포체에 의해 진동을 차단하고, 융착 접속기(10)를 보호할 수 있다.
수납 케이싱(40)에 수납한 작업대(20)는, 지면(바닥면)으로부터 비교적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작업대를 특별히 설치하거나 고정시키거나 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수납 케이싱(40)을 지면(바닥면)에 두고 그대로의 상태에서 융착 접속 작업이 가능하다.
수납 케이싱의 바닥면에 4개의 다리가 설치되는 경우, 작업하는 지면이 기울어 있거나, 평면이 아니라고 해도, 작업대가 미끄러지기 시작하는 일 없이 안정된 융착 접속 작업이 가능하다.
<제2 실시형태>
도 10∼ 도 21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을 나타낸다.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101)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110)와 작업대(120)를 수납 케이싱(140)에 수납한 구성이다.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제1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구성에는, 같은 명칭을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하는 경우가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110)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융착 접속기(10)와 마찬가지로, 융착 접속부(111) 외에, 보강 슬리브 가열부(112), 표시기(113), 및 조작부(114) 등을 가진다. 단, 표시기(113)로서는, 융착 접속부(111)의 상면에 고정된 고정식을 채용한다. 표시기(113)는 작업자를 향하는 앞쪽(도 12의 우측 하측)이 낮게 되어 있고, 보기 쉬운 각도로 경사져 있다.
융착 접속기(110)는, 작업대(120)의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에 수용된다. 또한, 작업대(120)는, 광섬유의 전처리 작업을 행하는 작업 트레이(121)를 가진다. 작업 트레이(121)는, 대략 직사각형의 작업면(122)과, 작업면(122)의 외주에 설치된 낙하 방지 돌기(123)를 가진다. 전처리 작업에 사용하는 물품이나 작업면(122)의 치수 등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라도 된다. 도 20a 및 도 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대(120)의 작업 트레이(121)와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는 착탈 가능하다.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는, 융착 접속기(110)를 지지하는 바닥부(131)와 융착 접속기(110)의 뒤쪽에 설치된 배벽부(132)와, 바닥부(131) 및 배벽부(132)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측부(133, 133)와, 작업 트레이(121)에 연결 가능한 전방부(134)를 가진다.
바닥부(131)는 대략 직사각형이며, 바닥부(131)의 사방은 배벽부(132), 측부(133, 133) 및 전방부(134)에 의해 에워싸여 있다. 작업 트레이(121)의 한 변에 설치된 연결부(124)를, 전방부(134)의 절결부(134a)에 걸어맞춤으로써, 작업 트레이(121)와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24)와는 반대측의 단벽부(端壁部)(128)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128a)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28a)는, 작업대(120)에 어깨걸이 벨트(상세하게는 후술)를 장착하여 목으로부터 내려걸고 단벽부(128)를 복부에 가압하여 사용할 때의 미끄럼방지로서 기능한다. 또한,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로부터 분리한 작업 트레이(121)를 수납하는 경우에, 작업 트레이(121)를 180°회전시킨 방향으로 되고, 연결부(124) 대신에 단벽부(128)를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의 전방부(134)를 향해 맞추어도, 작업대(120)를 케이싱 본체(150)에 수납 가능하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는, 융착 접속기(110)가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에 대하여[즉, 작업대(12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융착 접속기 구속부(135)를 가진다. 여기서는, 융착 접속기(110)와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의 배벽부(132)와의 사이에 가압 플레이트(136)를 개재시킴으로써 간극을 막아, 융착 접속기(110)의 수평 이동을 구속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압 플레이트(136)를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로부터 제거한 상태에서 도 19의 하방향 화살표 (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110)를 배벽부(132)에 가압하면서 장착한 후, 화살표 (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110)를 앞쪽으로 이동시킨다. (1)의 단계에서는, 융착 접속기(110)의 후방측 돌기부(117)가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의 측부(133) 내측의 후방측 돌기부(137)와 배벽부(132)의 사이의 스페이스(137a)를 지나, 바닥부(131)에 설치된다.
(2)의 단계에서는, 융착 접속기(110)의 후방측 돌기부(117) 및 앞쪽 돌기부(118)가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의 측부(133) 내측의 후방측 돌기부(137) 및 앞쪽 돌기부(138)의 하측에 들어간다. 마지막으로 하방향 화살표 (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 플레이트(136)를 배벽부(132)와 융착 접속기(110)와의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융착 접속기(110)가 구속된다.
가압 플레이트(136)는, 도 19 및 도 5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면(136d) 측에 걸림클릭(136c)을 가진다. 걸림클릭(136c)을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의 배벽부(132)에 형성된 걸림공(132a)에 걸어맞춤으로써, 가압 플레이트(136)의 인발(引拔) 즉 빠짐이 방지된다. 걸림공(132a)을 통해 걸림클릭(136c)을 배벽부(132)의 이면측으로부터 압입(壓入)하면, 걸림클릭(136c)과 걸림공(132a)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가압 플레이트(136)의 인발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의 후방측 돌기부(137)는, 도 19에서는 한쪽에만 나타나 있지만, 앞쪽 돌기부(138, 138)와 마찬가지로, 후방측 돌기부(137)는 측부(133, 133)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다. 융착 접속기(110)의 후방측 돌기부(117) 및 앞쪽 돌기부(118)도 마찬가지로, 융착 접속기(110)의 양쪽의 측부(116, 116)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20a 및 도 20b에 있어서,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의 측부(133)에는, 작업대(120)를 어깨에 걸 때 어깨걸이 벨트 및 스트랩 등(도시하지 않음)을 통할 수 있는 벨트공(133c)을 가진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트레이(121)를 분리하여, 융착 접속기(110)를 설치한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만을 어깨에 걸 수도 있다. 벨트공(133c)은, 융착 접속기(110)를 설치한 벨트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측부(133)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귀형(ear type)의 돌출부(133d)에 형성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의 좌우 양측[측부(133)의 상단]에는, 광섬유 반송 지그(도시하지 않음)를 꽂기 위한 고정공(133a, 133b)을 가진다. 바로 앞쪽의 고정공(133a)은 융착 접속부(111)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안쪽의 고정공(133b)은 보강 슬리브 가열부(112)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융착 접속 후의 광섬유를 융착 접속부(111)로부터 보강 슬리브 가열부(112)에 반송할 때 사용 가능하다.
또한, 도 16 및 도 53a 및 도 5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 플레이트(136)의 상부에는, 보강 슬리브 가열부(112)에서 보강된 접속 후의 광섬유를 설치하기 위한 광섬유 설치대(136a)를 가진다. 도시한 예의 광섬유 설치대(136a)는, 예를 들면, 단면이 U자형의 홈을 가압 플레이트(136)의 상부(136b)에 설치한 구성이다.
작업 트레이(121) 및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136)는, 적어도 걸림클릭(136c)을 탄성 변형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지만, 전체를 수지 등의 일체로 성형품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110)는, 작업대(120)의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에 장착한 상태에서, 수납 케이싱(140)에 수납된다. 수납 케이싱(140)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융착 접속기(110)를 장착한 작업대(120)가 수납되는 케이싱 본체(150)와, 케이싱 본체(150)의 상부를 덮는 커버(170)를 가진다. 융착 접속기(110) 등을 보호하기 위한 충격 완충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해, 수납 케이싱(140)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150)는, 강직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케이싱 본체 외층(151)과,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는 케이싱 본체 내층(161)으로 구성되는 2층 구조를 가진다.
케이싱 본체 외층(151)은, 대략 직사각형의 바닥부(152) 및 바닥부(152)의 주위에 세워 설치된[바닥부(152)에 대략 수직으로 설치된] 측벽부(153)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케이싱 본체 내층(161)은, 대략 직사각형의 바닥부(162) 및 바닥부(162)의 주위에 세워 설치된 측벽부(163)를 가진다. 케이싱 본체 외층(151)과 케이싱 본체 내층(161)d은, 바닥부(152)와 바닥부(162), 전벽(153a)과 전벽(163a), 후벽(153b)과 후벽(163b), 및 단벽(153c)과 단벽(163c)이 각각 접하도록 끼워맞추어진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110)를 장착한 작업대(120)를 케이싱 본체(150)에 수납하면, 작업대(120)의 주위를,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는 케이싱 본체 내층(161)이 에워싸는 구조로 되어 있다. 케이싱 본체 내층(161)은, 케이싱 본체 외층(151)을 작업대(120)와 접촉시키지 않도록 작업대(120)와 끼워맞추어지는 형상의 작업대 끼워맞춤부(165)를 가진다(도 13 및 도 14 참조). 케이싱 본체 외층(151)과 작업대(120)와의 사이에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는 케이싱 본체 내층(161)이 개재됨으로써, 케이싱의 외측으로부터 작업대(120)에 전해지는 충격을 감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케이싱 본체 내층(161)에 있어서, 모든 것이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적어도 일부가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적어도 작업대 끼워맞춤부(165)가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싱 본체 내층(161)은, 케이싱 본체 내층(161)과 작업대(120)와의 사이에서, 충격에 의해 수축되는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싱 본체 내층(161)은, 작업대 끼워맞춤부(165)에 있어서, 케이싱 본체 내층(161)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 발포체가 작업대(120)와 접촉하는 볼록부(166)와, 상기 합성 수지 발포체가 작업대(120)와 접촉하지 않는 오목부(167)를 가진다. 볼록부(166)는, 작업대(120)와 케이싱 본체 외층(151)의 측벽부(153)와의 사이에 개재된다. 이로써, 가로 요동 등의 충격이 있었을 경우, 볼록부(166)(합성 수지 발포체)가 수축되어, 작업대(120)와 케이싱 본체 외층(151)과의 접촉을 방지한다.
작업대 끼워맞춤부(165)는, 작업대(120)의 주위에 3개소 이상의 볼록부(166)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업대 끼워맞춤부(165)는, 작업대 끼워맞춤부(165)의 주위에 따른 볼록부(166)의 돌출하는 길이에 따라서, 작업대(120)의 주위 중, 서로 대향하는 2개소에 볼록부(166)를 가져도 된다. 볼록부(166)와 오목부(167)가 교호적으로 형성되면 케이싱 본체 내층(161)의 합성 수지 발포체가 전체 주위에 걸쳐 작업대(120)와 접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볼록부(166)의 수축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작업대 끼워맞춤부(165)의 측면[케이싱 본체 내층(161)의 측벽부(163)]에서의 볼록부(166) 및 오목부(167)와 마찬가지로, 케이싱 본체 내층(161)의 바닥부(162) 측에 있어서도, 케이싱 본체 내층(161)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 발포체가 작업대(120)와 접촉하는 볼록부와, 상기 합성 수지 발포체가 작업대(120)와 접촉하지 않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의 바닥부(131)에 접하는 맞닿음부(168a, 168b)와 작업 트레이(121)의 바닥부(125)에 접하는 맞닿음부(169a, 169b)가 케이싱 본체 내층(161)에 설치되어 있다.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에 접하는 맞닿음부(168a, 168b)의 사이는,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 아래에 물품 등을 수납 가능한 물품 수납 오목부(168)로 되어 있다. 작업 트레이(121)에 접하는 맞닿음부(169a, 169b)끼리의 사이는, 작업면(122) 아래에 물품 등을 수납 가능한 물품 수납 오목부(169)가 형성된다.
수납 케이싱(140)은, 커버(170)(도 11 참조)를 연 상태[케이싱 본체(150)로부터 분리해도 분리해 내지 않아도 된다)에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150)에 융착 접속기(110)를 장착한 작업대(120)를 수납한 채, 융착 접속기(110)와 작업대(120)를 사용하여 융착 접속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융착 접속기(110)의 융착 접속부(111) 및 보강 슬리브 가열부(112)는, 작업대(120)의 상측에 위치하므로, 융착 접속기(110)가 케이싱 본체(150) 또는 작업대(120) 중에 수납된 상태라도,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다. 특히 융착 접속부(111)에 있어서는, 좌우의 광섬유(2, 2)의 단면의 사이가 이격된 상태로부터, 단면끼리를 근접시킴으로써 맞대어, 좌우의 광섬유(2, 2)를 가열 융착한다. 따라서, 광섬유(2, 2)가 근접하는 전진 이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케이싱 본체(150)[케이싱 본체 외층(151), 케이싱 본체 내층(161)]과 작업대(120)가 융착 접속부(111)의 좌우 각각의 섬유 출구부(111a, 111a)의 높이에 있는 수평면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광섬유(2)가 통하지 않는 부분에서는, 케이싱 본체(150) 또는 작업대(120)의 일부가 섬유 출구부(111a, 111a)의 높이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케이싱 본체(150)는, 적어도 바닥부(152)가, 수납 케이싱(140)의 내부에 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방수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납 케이싱(140)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150)의 상부를 덮는 커버(170)를 가진다. 커버(170)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직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커버 외층(171)과,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는 커버 내층(181)으로 구성되는 2층 구조를 가진다.
커버 외층(171)은, 대략 직사각형의 천정부(172) 및 천정부(172)의 주위에 형성된 측벽부(173)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커버 내층(181)은, 대략 직사각형의 천정부(182) 및 천정부(182)의 주위에 형성된 측벽부(183)를 가진다. 커버 외층(171)과 커버 내층(181)은, 천정부(172)와 천정부(182), 전벽(173a)과 전벽(183a), 후벽(173b)과 후벽(183b), 또한 단벽(173c)과 단벽(183c)이 각각 접하도록 끼워맞추어진다.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커버 외층(171)의 리브(173d)를 커버 내층(181)의 홈(183d)(도 42 참조)은 수직(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로써, 커버 외층(171)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커버 내층(181)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외층(171)과 작업대(120)가 접촉하지 않는 구조이다. 커버 외층(171)과 작업대(120)와의 사이에 합성 수지 발포체로 구성되는 커버 내층(181)이 개재됨으로써, 케이싱 또는 커버의 외측으로부터 작업대(120)에 전해지는 충격을 감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커버(170)는 방수성을 가지고, 커버(170)가 폐쇄된 상태(도 10 참조)에서는, 비 및 먼지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커버(170)의 천정부(172)에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지만,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행거(177), 융착 접속기 설치부(178), 작업 평면(179)이 설치된다.
케이싱 본체(150)와 커버(170)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힌지 베어링(155, 175)(전자는 도 13 및 도 14, 후자는 도 17 및 도 18 참조)을 조합시키고, 힌지 축(142)을 통해 구성한 회전 힌지(141)(도 36 참조)에 의해 연결된다.
커버(170)를 개방하여 융착 접속기(110) 또는 작업대(120)를 사용할 때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를 분리해 낼 수 있는 구조로 해도 된다. 또한, 180°이상 회전 가능한 회전 힌지 등에 의해,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커버를 퇴피시키는 구조라도 된다.
케이싱 본체(150)의 상단과 커버(170)의 하단과의 사이에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돌기(156)(도 13 및 도 14 참조)와 홈(176)(도 17 및 도 18 참조)을 조합한 끼워맞춤부(146)(도 11 참조)가 설치된다. 끼워맞춤부(146)는, 누수 등의 원인으로 되는 간극이 없도록 밀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70)가 폐쇄된 수납 케이싱(140)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융착 접속기(110)를 탑재한 작업대(120)의 전방위를, 합성 수지 발포체의 케이싱 본체 내층(161) 및 커버 내층(181)으로 에워싸, 충격 흡수 작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수납 케이싱(140)을 어떠한 장소로도 운반 가능하다.
또한, 작업에 필요한 물품류를 융착 접속기(110) 및 작업대(120)와 함께 반송 가능하도록 하므로, 수납 케이싱(140)은 내부에 부속 물품 수납부를 가진다. 도 11에서는, 작업대(120)의 작업면(122) 상에 제1 부속 물품 수납부(143)가 설치되고, 작업면(122) 아래에 제2 부속 물품 수납부(144)가 설치된다. 제2 부속 물품 수납부(144)는, 작업 트레이(121) 아래뿐만 아니라,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 아래에도 설치되어 있다.
커버 내층(181)은, 융착 접속기(110)가 수용되는 융착 접속기 수용 오목부(185)와 제1 부속 물품 수납부(143)를 확보하는 물품 수납 오목부(186)를 가진다.
커버(170)[상세하게는 커버 내층(181)]은, 제1 부속 물품 수납부(143)와 융착 접속기(110)와의 사이에 칸막이(187)를 가진다. 이로써, 작업면(122) 상에 탑재한 물품이 반송 중에 융착 접속기(110)에 대하여 충격 등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170)를 열면, 칸막이(187)는 커버(170)와 함께 비켜지므로, 전처리한 광섬유를 작업면(122)으로부터 융착 접속기(110)로 이동시키는 작업 시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작업대(120)는, 제2 부속 물품 수납부(144)와 융착 접속기(110)와의 사이에 격벽을 가진다. 여기서는,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의 바닥부(131)가 격벽으로서 기능한다. 이로써, 제2 부속 물품 수납부(144)에 수납한 물품이, 융착 접속기(110)에 대하여 충격 등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에 의하면, 수납 케이싱(140)의 커버(170)를 열거나, 또는 커버(170)를 분리하면, 수납 케이싱(140) 중의 융착 접속기(110)와 작업대(120)가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는 상태로 설치되고, 융착 접속기(110) 및 작업대(120)의 재배치를 행하지 않고, 그대로 융착 접속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 수납 케이싱(140)은, 모든 방향으로부터의 충격 흡수 기능을 가지고, 반송 시에 정밀 기기인 융착 접속기(110)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나 먼지로부터도 융착 접속기(110)를 지킬 수 있다.
또한, 수납 케이싱(140) 중에서 작업대(120)에 설치되어 있는 융착 접속기(110)와 함께 작업대(120)를 인출함으로써, 융착 접속 작업을 수납 케이싱(14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대(120)를 수납 케이싱(140)으로부터 인출하지 않고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로부터 융착 접속기(110)만을 인출할 수도 있다. 이로써, 작업 장소가 좁은 경우 등, 수납 케이싱(140)의 설치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라도 융착 접속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주 위나 가공 전선의 근처 등 고소 작업 시에 있어서, 작업자가 버킷 차량(크레인의 끝에 버킷을 장착한 크레인 차량)의 버킷에 탑승하여,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을 반입하여 융착 접속 작업을 하는 경우와 같이, 진동이 있는 환경에서도, 합성 수지 발포체에 의해 진동을 차단하고, 융착 접속기(110)를 보호할 수 있다.
수납 케이싱(140)에 수납한 작업대(120)는, 지면(바닥면)으로부터 비교적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작업대를 특별히 설치하거나 고정시키거나 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수납 케이싱(140)을 지면(바닥면)에 둔 상태에서 융착 접속 작업이 가능하다.
수납 케이싱(140)의 바닥면에 4개의 다리(152a)(도 10 및 도 11 참조)가 있는 경우, 작업하는 지면이 기울어 있거나, 평면이 아니거나 해도, 작업대가 미끄러지기 시작하는 일 없이 안정된 융착 접속 작업이 가능하다.
<제3 실시형태>
도 22∼도 34에,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을 나타낸다.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1A)은, 융착 접속기(10)와 작업대(20A)를 수납 케이싱(40A)에 수납하고, 수납 케이싱(40A)은, 케이싱 본체(50A)와, 그 상부를 덮는 커버(70A)를 가진다(도 22∼도 26 참조). 제3 실시형태에서의 작업대(20A), 수납 케이싱(40A), 케이싱 본체(50A), 및 커버(70A)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제1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구성에는, 같은 부호 및 명칭을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다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케이싱 본체(50A)는, 강직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케이싱 본체 외층(51)과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는 케이싱 본체 내층(61)으로 구성되는 2층 구조를 가진다(도 27 및 도 28 참조). 또한, 커버(70A)는, 강직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커버 외층(71)과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는 커버 내층(81)으로 구성되는 2층 구조를 가진다(도 29∼도 33 참조). 또한, 작업대(20A)는, 융착 접속기(10)를 수용하는 융착 접속기 설치부(30)와 광섬유의 전처리 작업을 행하기 위한 작업면(22)을 가진다(도 33∼도 34 참조).
제3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70A)의 내측의 융착 접속기(10)가 수용되는 융착 접속기 수용 오목부(85)와 작업면(22) 상의 물품을 수납하는 물품 수납 오목부(86, 86)와의 사이가 이어져 있어, 작업면(22) 상에 물품을 수납하는 스페이스를 더욱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작업대(20A)는, 각각의 작업면(22, 22)에 물품 등을 탑재 가능한 오목부(26, 26)를 가진다. 이로써, 작업면(22) 상에서 사용 중인 물품과 그 외의 물품을 정연하게 배치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제4 실시형태>
도 35∼도 53b에,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을 나타낸다.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101A)은, 융착 접속기(110)와 작업대(120A)를 수납 케이싱(140A)에 수납하고, 수납 케이싱(140A)은, 케이싱 본체(150A)와, 그 상부를 덮는 커버(170A)를 가진다(도 35∼도 39 참조). 제4 실시형태에서의 작업대(120A), 수납 케이싱(140A), 케이싱 본체(150A), 및 커버(170A)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제2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구성에는 같은 부호 및 명칭을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다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케이싱 본체(150A)는, 강직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케이싱 본체 외층(151)과,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는 케이싱 본체 내층(161)으로 구성되는 2층 구조를 가진다(도 40 및 도 41 참조). 또한, 커버(170A)는, 강직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커버 외층(171)과,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는 커버 내층(181)으로 구성되는 2층 구조를 가진다(도 42∼도 45 참조). 또한, 작업대(120A)는, 융착 접속기(110)를 수용하는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와, 광섬유의 전처리 작업을 행하는 작업면(122)을 가진다(도 46∼도 53b 참조).
제4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이,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작업대(120A)는, 작업면(122)에 물품 등을 탑재 가능한 오목부(126, 127)를 가진다. 이로써, 작업면(122) 상에서 사용 중인 물품과 그 외의 물품을 정연하게 배치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오목부(126)는 작업면(122) 상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칸막이(126a)에 의해 구획되고, 오목부(127)는 작업면(122)보다 낮고 오목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39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면(122) 상의 오목부(126)로 커버(170A) 측에 형성된 오목부(186a)와의 사이에, 알코올 용기(3) 등의 높이가 있는 물품을 수용할 수 있다. 오목부(127)는, 오목부(126)와는 수평면 상에서 180°회전한 서로 대칭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로부터 작업 트레이(121)를 분리하여(도 48 및 도 49 참조), 단벽부(128)를 융착 접속기 설치부(130)를 향해 합했을 때도, 알코올 용기(3) 등을, 작업면(122) 상의 오목부(127)와 커버(170A)의 오목부(186a)와의 사이에 수용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형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개변(改變)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케이싱은, 케이싱 본체의 측벽부의 상단과 커버의 측벽부의 하단을 맞닿게 하는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싱 본체의 상면에 수평 방향으로 커버를 꽂는 방식, 또는 케이싱 본체의 대향하는 2변에 각각 축에서 양쪽 열림의 커버를 장착하는 방식 등을 이용해도 된다.
융착 접속되는 광섬유는, 광섬유 케이블로부터 인출한 광섬유 심선에 한정되지 않고, 광섬유 코드 등이라도 된다. 광섬유 심선으로서는, 석영계 유리로 형성되는 코어 및 클래드를 가지는 누드 광섬유의 주위에 1층 또는 2층 이상의 수지 피복을 설치한 광섬유 심선을 들 수 있다.
작업대(20)의 낙하 방지 돌기(23)나 측부(33)는, 형상을 울타리형으로 하거나, 파일형(pile type)의 구조물을 적당한 간격으로 열로 배열된 해도 된다.
1, 1A, 101, 101A…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 2…광섬유, 10, 110…융착 접속기, 11, 111…융착 접속부, 12, 112…보강 슬리브 가열부, 13, 113…표시기, 20, 20A, 120, 120A…작업대, 22, 122…작업면, 23, 123…낙하 방지 돌기, 30, 130…융착 접속기 설치부, 32A, 136A…광섬유 설치대, 35, 135…융착 접속기 구속부, 40, 40A, 140, 140A…수납 케이싱, 43, 143…제1 부속 물품 수납부, 44, 144…제2 부속 물품 수납부, 50, 50A, 150, 150A…케이싱 본체, 51, 151…케이싱 본체 외층, 52, 62, 152, 162…바닥부, 53, 63, 153, 163…측벽부, 53A, 63A, 153A, 163A…전벽, 53B, 63B, 153B, 163B…후벽, 53C, 63C, 153C, 163C…단벽, 61, 161…케이싱 본체 내층, 65, 165…작업대 끼워맞춤부, 66, 166…볼록부, 67, 167…오목부, 70, 70A, 170, 170A…커버, 71, 171…커버 외층, 72, 82, 172, 182…천정부, 73, 83, 173, 183…측벽부, 73A, 83A, 173A, 183A…전벽, 73B, 83B, 173B, 183B…후벽, 73C, 83C, 173C, 183C…단벽, 81, 181…커버 내층.

Claims (11)

  1.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를 수납하는 수납 케이싱을 구비한 광섬유 융착(融着) 접속 시스템으로서,
    상기 작업대는, 상기 수납 케이싱에 수납되는 융착 접속기를 수용하는 융착 접속기 설치부와, 광섬유의 전처리(前處理) 작업을 행하는 작업면을 구비하고,
    상기 융착 접속기 설치부는, 상기 융착 접속기가 상기 작업대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속(拘束)하는 융착 접속기 구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면은, 상기 작업면의 외주에 형성되고, 상기 전처리 작업에 사용하는 공구가 상기 작업면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 케이싱은, 케이싱 본체와, 상기 케이싱 본체의 상부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 본체는, 강직(剛直)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케이싱 본체 외층과, 적어도 일부가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는 케이싱 본체 내층으로 구성되는 2층 구조를 가지고,
    상기 케이싱 본체 외층은,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주위에 세워 설치된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 본체 내층은, 상기 케이싱 본체 외층과 상기 작업대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작업대와 끼워맞춤 가능한 작업대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대 끼워맞춤부는, 상기 작업대와 접촉하는 볼록부와, 상기 작업대와 접촉하지 않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강직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커버 외층과, 합성 수지 발포체로 형성되는 커버 내층으로 구성되는 2층 구조를 가지고,
    상기 커버 외층은 상기 작업대에 접촉되지 않는,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본체 내층 및 상기 커버 내층을 형성하는 상기 합성 수지 발포체가 발포 합성수지인,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작업대의 주위에 3개소 이상 또는 상기 작업대의 주위 중 서로 대향하는 2개소에 형성되고, 상기 작업대와 상기 케이싱 본체 외층의 측벽부 사이에 개재(介在)되는,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접속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융착 접속기는, 상기 융착 접속기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이동 가능한 표시기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 본체는, 상기 표시기가 이동할 때 상기 표시기에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절결(切缺)된 절결부를 더 구비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절결부와 끼워맞춤 가능한 돌출부를 더 구비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접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융착 접속기는, 상기 융착 접속기의 상면에 고정된 표시기를 가지는,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융착 접속 후에 사용하는 광섬유 반송(搬送) 지그를 꽂기 위한 고정공을 더 구비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케이싱은, 상기 작업면 상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제1 부속 물품 수납부와, 상기 융착 접속기 설치부의 아래 또는 상기 작업면 아래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제2 부속 물품 수납부를 더 구비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부속 물품 수납부와 상기 융착 접속기 사이에 설치된 칸막이를 더 구비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상기 제2 부속 물품 수납부와 상기 융착 접속기 사이에 설치된 격벽을 더 구비하는,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본체의 바닥부 및 상기 커버가, 상기 수납 케이싱의 내부에 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방수성을 가지는,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
KR1020137026731A 2012-10-04 2013-05-10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 KR101577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22049A JP5328966B1 (ja) 2012-10-04 2012-10-04 光ファイバ融着接続システム
JPJP-P-2012-222049 2012-10-04
PCT/JP2013/063127 WO2014054307A1 (ja) 2012-10-04 2013-05-10 光ファイバ融着接続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199A KR20140057199A (ko) 2014-05-12
KR101577259B1 true KR101577259B1 (ko) 2015-12-14

Family

ID=49595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731A KR101577259B1 (ko) 2012-10-04 2013-05-10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157830A1 (ko)
EP (1) EP2801848B1 (ko)
JP (1) JP5328966B1 (ko)
KR (1) KR101577259B1 (ko)
CN (2) CN103713358B (ko)
WO (1) WO20140543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8966B1 (ja) * 2012-10-04 2013-10-30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融着接続システム
WO2014186436A1 (en) * 2013-05-16 2014-11-20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Optical plug having a removable and replaceable nosepiece and a complimentary receptacle
WO2016042671A1 (ja) * 2014-09-19 2016-03-24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融着接続機の収納ケース
US9513438B2 (en) * 2014-09-30 2016-12-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ortable fiber optic splicer
CN106707417A (zh) * 2015-08-07 2017-05-24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光纤处理设备
WO2017024992A1 (zh) * 2015-08-07 2017-02-16 爱德奇电讯国际贸易(上海)有限公司 光纤处理设备
JP2017207611A (ja) * 2016-05-18 2017-11-24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融着接続機用首下げ式作業トレイ
JP6628247B2 (ja) * 2016-05-19 2020-01-08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融着接続部の補強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融着接続機
CN105842789B (zh) * 2016-06-06 2022-10-11 一诺仪器(中国)有限公司 一种光纤熔接便携作业平台
JP6582010B2 (ja) * 2017-03-07 2019-09-2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融着機
CN107462953A (zh) * 2017-09-02 2017-12-12 蚌埠道生精密光电科技有限公司 光纤熔接机底座与高空作业平台的连接结构
CN108910242A (zh) * 2018-08-07 2018-11-30 吴江市震宇缝制设备有限公司 一种小型缝纫机的放置箱
CN108957629B (zh) * 2018-09-10 2020-09-04 宏安集团有限公司 一种组合式光纤熔接操作箱
CN113330341B (zh) * 2019-01-29 2023-06-13 住友电工光学前沿株式会社 收纳盒
CN109782391B (zh) * 2019-03-26 2020-09-22 浙江大丰管网有限公司 一种光纤熔接机
CN110554461B (zh) * 2019-08-09 2024-05-03 内蒙古鸿信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无尘水平光纤熔接装置
CN111443428B (zh) * 2020-04-14 2022-03-15 刘向勇 一种光纤熔接机多功能冷却装置
KR20230088384A (ko) 2020-10-15 2023-06-19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융착 접속 작업용의 트레이, 및 융착 접속기 세트
JPWO2022080382A1 (ko) * 2020-10-15 2022-04-21
CN112327413B (zh) * 2020-11-13 2022-09-09 湖北烽火平安智能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用高度可调光纤熔接装置
CN115480346B (zh) * 2022-09-20 2023-09-19 中邮通建设咨询有限公司 通信工程光纤接续智能识别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4543A (ja) 2002-11-29 2004-07-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融着接続機
JP2010039002A (ja) 2008-07-31 2010-02-18 Fujikura Ltd 融着接続機用のキャリングケース及びこれを用いて行う光ファイバ融着接続作業方法
JP2011145528A (ja) 2010-01-15 2011-07-2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融着接続機用収容ケース及び携帯型融着接続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9007A (en) * 1975-10-16 1976-09-07 Bee Plastics Corporation Picnic cooler
US4266852A (en) * 1979-02-09 1981-05-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Fiber optics welder having movable aligning mirror
DE3245229A1 (de) * 1982-12-07 1984-06-0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Thermisches lichtwellenleiter-schweissgeraet
US5154158A (en) * 1991-06-19 1992-10-13 Lindsey Don R Cooler and grill combination
US5423445A (en) * 1993-10-07 1995-06-13 Montanari; Mark J. Stackable carry container and interchangeable insert bin system
US5680932A (en) 1995-12-15 1997-10-28 Contico International, Inc. Toolbox assembly
US5921017A (en) * 1996-04-18 1999-07-13 Clark; Dennis W. Live bait transporter
JP3172463B2 (ja) 1997-01-17 2001-06-04 和興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架空光ケーブルクロージャ用作業台
US5836448A (en) * 1997-02-05 1998-11-17 Southpac Trust International, Inc. Shipping device with bondable foam layer
JPH10282356A (ja) 1997-04-09 1998-10-23 Sumitomo Electric Ind Ltd 架空光ケーブルの接続作業台
JPH115695A (ja) 1997-04-22 1999-01-12 Toudentsuu:Kk 高所作業用バケット車
US6073789A (en) * 1997-05-05 2000-06-13 The Coleman Company, Inc. Portable thermal container with reversible door
US5947032A (en) * 1998-09-14 1999-09-07 Meier; Cady D. Portable cooler having a removable table
US20050056561A1 (en) 2003-09-15 2005-03-17 Mei-Hsiang Lai Tooolbox
TWI334399B (en) * 2003-11-18 2010-12-11 Net Plastic Inc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for large-sized precision sheet (semi-)product
JP2006201305A (ja) 2005-01-18 2006-08-03 Fujikura Ltd 作業箱
JP4413870B2 (ja) 2006-01-19 2010-02-1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融着接続機搭載用作業台
US20090045204A1 (en) * 2007-08-13 2009-02-19 Marganski Christopher S Portable cooler with built-in cutting and serving board
US7693385B1 (en) * 2007-11-28 2010-04-06 TNR Communications, LLC Workstation for fiber optic splicer
US7886903B1 (en) * 2008-09-19 2011-02-15 Aileron Designs, LLC Articulated notebook computer cover and mounting device
CN202230220U (zh) * 2011-08-16 2012-05-23 北京信维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多功能箱盖的光纤熔接机携行箱
JP5328966B1 (ja) * 2012-10-04 2013-10-30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融着接続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4543A (ja) 2002-11-29 2004-07-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融着接続機
JP2010039002A (ja) 2008-07-31 2010-02-18 Fujikura Ltd 融着接続機用のキャリングケース及びこれを用いて行う光ファイバ融着接続作業方法
JP2011145528A (ja) 2010-01-15 2011-07-2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融着接続機用収容ケース及び携帯型融着接続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1848A1 (en) 2014-11-12
CN203444136U (zh) 2014-02-19
JP5328966B1 (ja) 2013-10-30
WO2014054307A1 (ja) 2014-04-10
CN103713358A (zh) 2014-04-09
EP2801848A4 (en) 2015-04-15
KR20140057199A (ko) 2014-05-12
CN103713358B (zh) 2015-12-30
US20140157830A1 (en) 2014-06-12
EP2801848B1 (en) 2017-07-05
JP2014074796A (ja) 201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259B1 (ko) 광섬유 융착 접속 시스템
US6192180B1 (en) Tray for splicing optical ribbon fibers
EP2033033B1 (en) A cable loop device for optical systems
US8985876B2 (en) Ferrule holder
KR930017254A (ko) 통신 케이블용 복원 키트
KR101819784B1 (ko) 광 파이버 보강용 가열기 및 광 파이버 융착 접속 장치
MX2012004906A (es) Conector optico.
JP2010039002A (ja) 融着接続機用のキャリングケース及びこれを用いて行う光ファイバ融着接続作業方法
CN201233458Y (zh) 用于光纤切割器的适配器
KR101135639B1 (ko) 케이블 행거의 자동설치장치
WO2017199961A1 (ja) 融着接続機用首下げ式作業トレイ
JP2004086060A (ja) 光モジュール及び光成端箱
KR200322654Y1 (ko) 인입 광케이블 여장함이 구비된 광분배함
WO2022080375A1 (ja) 融着接続作業用のトレイ、及び融着接続機セット
JP2011107211A (ja)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及び終端処理部を備えた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CN113330341B (zh) 收纳盒
JP2017106985A (ja) 光コネクタ製造方法、光コネクタ組立キット及び組立工具
WO2022080382A1 (ja) 融着接続機の収容ケース、及び融着接続機セット
JPH0555105U (ja) 光ファイバホルダー
JP2021026147A (ja) クロージャ
KR100295464B1 (ko) 광섬유보호지지판
JP2021026146A (ja) クロージャ
US7125494B2 (en) Method of removing matrix from fiber optic cable
KR20150000722U (ko) 광섬유 열융착 커넥터용 홀더
JP2001141935A (ja) 光ファイバ接続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