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142B1 -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142B1
KR101577142B1 KR1020140109861A KR20140109861A KR101577142B1 KR 101577142 B1 KR101577142 B1 KR 101577142B1 KR 1020140109861 A KR1020140109861 A KR 1020140109861A KR 20140109861 A KR20140109861 A KR 20140109861A KR 101577142 B1 KR101577142 B1 KR 101577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wheel
unit
driving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석
이근형
정일엽
문귀성
박영제
최민기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09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는, 적어도 한 쌍의 바퀴와 상기 한 쌍의 바퀴 상호를 연결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바퀴부; 상기 바퀴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외주면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함몰 형성된 일영역과 상기 바퀴의 일부가 맞물리도록 마련되며,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바퀴를 회동시키는 마찰바퀴; 상기 마찰바퀴를 구동시키는 모터부;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구동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자율적으로 주행이 가능하되 사용자와 접촉되는 센서의 개수에 따라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며, 유모차의 요동을 저감함으로써 유모차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DRIVING AUXILIARY APPARATUS FOR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율적으로 주행이 가능하되 사용자와 접촉되는 센서의 개수에 따라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며, 유모차의 요동을 저감함으로써 유모차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유아를 태워서 밀거나 끌고 다니는 차의 일종으로서, 안전성 및 기능성 등을 고려한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종래의 유모차는 시트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바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모차는 별도의 제동장치가 없어, 사용자가 유모차의 주행을 정지시킬 경우에는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해야 한다. 이는 경사지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유모차를 놓치는 경우 또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작용한다.
또한, 경사지에서는 평지에 비하여 유모차에 보다 많은 힘을 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상술한 안전사고의 또다른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동식 유모차가 제안된 바 있으나, 전동식 유모차는 매우 고가이며,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탈부착할 수 없어 단일의 유모차에서만 사용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모차는 지면이 평탄하지 않은 경우 유모차가 주행시 요동이 심하여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에게 충격이 가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어 이러한 문제점이 해소되는 유모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율적으로 주행이 가능하되 사용자와 접촉되는 센서의 개수에 따라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며, 유모차의 요동을 저감함으로써 유모차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한 쌍의 바퀴와 상기 한 쌍의 바퀴 상호를 연결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바퀴부; 상기 바퀴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외주면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함몰 형성된 일영역과 상기 바퀴의 일부가 맞물리도록 마련되며,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바퀴를 회동시키는 마찰바퀴; 상기 마찰바퀴를 구동시키는 모터부;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구동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모차 주행 보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부는, 상기 마찰바퀴에 연결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모터;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어부에 사용자와의 접촉정보를 전송하는 한 쌍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와 접촉된 상기 센서의 개수에 따라 상기 모터 및 상기 브레이크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지면의 경사에 따라서 모터의 구동력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모터부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신축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부와 상기 모터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배터리부와 상기 모터부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바퀴부와 상기 마찰바퀴 간의 접촉력을 조절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부의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과 상기 연결부 상호를 연결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길이을 갖는 회동가능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배터리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부의 길이보다 작되 상기 고정부의 높이보다 큰 폭을 갖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의 길이방향과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이 정렬시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가 상기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율적으로 주행이 가능하되 사용자와 접촉되는 센서의 개수에 따라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한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센서부는 복수 개의 센서를 포함하며, 사용자와 접촉되는 센서의 개수에 따라 모터부의 모터와 브레이크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한다.
또한, 바퀴부의 요동을 저감함으로써 유모차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탈착가능한 마찰바퀴가 바퀴부에 연결되며, 마찰바퀴를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유모차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스프링을 통하여 마찰바퀴와 바퀴부 간의 마찰력을 조절하여 보다 용이하게 바퀴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의 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의 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의 모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의 배터리부와 연결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의 배터리부와 연결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는 자율적으로 주행이 가능하되 사용자와 접촉되는 센서의 개수에 따라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며, 유모차의 요동을 저감함으로써 유모차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100)는 바퀴부(110)와, 바퀴부(110) 일부와 맞물리는 마찰바퀴(120)와, 마찰바퀴를 구동시키는 모터부(130)와, 모터부(13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40)와, 모터부(130)와 배터리부(140) 상호를 연결하는 연결부(150)와, 센서부(160))와, 센서부(160))로부터 구동정보를 제공받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바퀴부(110)는 유아 등의 탑승사자 탑승하는 본체부(미도시)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지지하며, 본체부(미도시)를 유모차의 주행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바퀴부(110)는 지면과 접촉하여 회전하며 이동하는 적어도 한 쌍의 바퀴(111)와 한 쌍의 바퀴(111) 상호를 연결하는 프레임(112)을 포함한다. 바퀴(111)는 마찰바퀴(120)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며, 한 쌍의 바퀴(111)를 연결하는 프레임(112)과 함께 회동함으로써 본체부(미도시)를 이동시킨다.
마찰바퀴(120)는 모터부(13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바퀴부(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바퀴(111)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외주면이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바퀴(111)의 일부가 함몰영역으로 요입되도록 마련된다. 즉, 마찰바퀴(120)의 함몰된 일영역은 바퀴(111)의 일부와 맞물리도록 접촉된다.
바퀴(111)의 일부가 마찰바퀴(120)의 함몰영역으로 요입됨으로써, 바퀴(111)의 상면 일부와 측면 일부가 마찰바퀴(120)와 접촉된다. 바퀴(111)와 마찰바퀴(120)의 접촉에 의하여 상호 간에는 마찰력이 형성되며, 마찰바퀴(120)의 회전에 따라 마찰력에 의하여 바퀴(111)가 회동한다. 이때, 바퀴(111)의 상면 뿐만 아니라, 측면도 마찰바퀴(120)와 맞물림으로써 보다 큰 마찰력이 작용하며, 이로 인해 마찰바퀴(120)와 바퀴(111)는 보다 용이하게 연동된다.
한편, 바퀴(111)의 상면 일부와 측면 일부가 마찰바퀴(120)와 접촉됨으로써, 바퀴(111)의 프레임(112) 방향으로의 요동이 방지된다. 즉, 유모차가 지면이 고르지 못한 영역을 주행하는 경우 바퀴(111)의 요동으로 인하여 탑승자에게 충격이 가해질 수 있으나, 마찰바퀴(120)에 의하여 요동이 저감됨으로써 전달되는 충격이 보다 완화된다.
모터부(130)는 마찰바퀴(120)에 구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구동축(131)과, 모터(132)와, 브레이크(133)를 포함한다.
구동축(131)은 마찰바퀴(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마찰바퀴(120)에 연결된다.
모터(132)는 구동축(131)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구동축(131)에 연결된다. 모터(132)는 배터리부(140)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축(131)을 구동시킨다. 한편, 모터(132)는 제어부(170)에 의하여 구동력이 조절된다. 즉, 제어부(170)는 획득하는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모터(132)의 구동력을 달리 조절함으로써, 일정한 속도로 유모차가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브레이크(133)는 구동축(131)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구동축(131)에 설치된다. 브레이크(133)는 센서부(160)의 센서 모두가 사용자와 접촉되지 않으면 작동하도록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되며, 구동축(131)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마찰바퀴(120)가 회전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바퀴부(110)도 회동하지 않아 유모차의 주행은 정지된다.
배터리부(140)는 모터부(13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모터부(130)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모터부(130)의 상방에 배치된다. 배터리부(140)는 케이싱 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며, 배터리부(140)의 일측면 즉, 케이싱의 일측면에는 관통공(141)이 형성된다. 관통공(141)은 연결부(150)의 일부가 설치될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되며, 하부에는 고정부(153)가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안내홈(141a)이 형성된다. 안내홈(141a)은 고정부(153)의 길이보다 작되 고정부(153)의 높이보다 큰 폭을 갖도록 마련되며, 회전 가능한 고정부(153)가 회전하여 고정부(153)의 길이방향과 안내홈(141a)의 길이방향이 정렬되면, 스프링(152)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부(153)가 안내홈(141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된다.
연결부(150)는 모터부(130)와 배터리부(140)를 상호 연결하며, 모터부(130)에 하방으로 가하는 힘을 선택적으로 가함으로써 바퀴부(110)와 마찰바퀴(120) 간의 마찰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연결부(150)는 연결축(151)과, 스프링(152) 및 고정부(153)를 포함한다.
연결축(151)은 일단은 모터부(130)에 연결되며, 타단은 스프링(152)에 연결됨으로써, 모터부(130)와 배터리부(140) 상호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연결축(151)은 스프링(152)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모터부(130)에 하방으로의 힘을 가함으로써 바퀴부(110)와 마찰바퀴(120) 간의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바퀴부(110)와 마찰바퀴(120) 간의 마찰력이 증가되는 경우 마찰바퀴(120)의 회전력이 보다 용이하게 바퀴부(110)에 전달된다.
또한, 연결축(151)의 이동에 의하여 모터부(130)에 연결된 마찰바퀴(120)와 바퀴부(110) 간의 접촉 여부를 선택할 수도 있다. 즉, 연결축(151)이 스프링(152)의 압축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마찰바퀴(120)와 바퀴부(110) 간의 접촉이 해제되어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100)가 바퀴부(110)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장치의 작동이 정지된다. 즉, 연결축(151)의 이동에 의하여 장치의 온/오프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스프링(152)는 탄성력에 의하여 연결축(151)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관통공(141)에 설치된다. 스프링(152)은 일단은 배터리부(140)의 관통공(141)이 형성된 영역에 연결되며, 타단은 연결축(151)에 연결된다.
고정부(153)는 스프링(152)의 길이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연결부에 설치된다. 고정부(153)는 안내홈(141a)의 폭보다 긴 길이와, 안내홈(141a)의 폭보다 짧은 높이를 갖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고정부(153)의 길이가 배터리부(14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경우 안내홈(141a)의 상단에 위치하여 고정되며, 이때, 스프링(152)은 상방으로 압축된다. 스프링(152)의 압축에 의하여 모터부(130)는 상방으로 이동되며, 이로 인해 바퀴부(110)와 마찰바퀴(120) 간의 접촉이 해재된다.
고정부(153)가 회전하여 고정부(153)의 길이방향이 안내홈(141a)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경우 고정부(153)의 높이가 안내홈(141a)의 폭보다 작으므로, 고정부(153)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지 않으며, 압축된 스프링(152)의 복원력에 의하여 고정부(153)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연결축(151)은 모터부(130)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며, 마찰바퀴(120)와 바퀴부(110) 간의 접촉력이 증대된다.
센서부(160)은 제어부(170)에 구동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한 쌍의 센서로 마련되며 유모차의 핸들부(H)에 설치된다. 센서부(160)은 사용자가 파지 등의 접촉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사용자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모터부(130)의 구동여부가 제어되도록 한다. 즉, 센서부(160)은 제어부(170)에 사용자와의 접촉정보를 전송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센서 모두가 사용자와 접촉된 경우에는 이 정보가 제어부(170)에 전송되며, 제어부(170)는 모터(132)는 구동시키며 브레이크(133)는 구동되지 않도록 하여, 유모차가 자동 주행을 하도록 한다. 또한, 한 쌍의 센서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와 접촉된 경우에는 제어부(170)는 모터(132)와 브레이크(133) 모두 구동시키지 않는다. 즉, 일반적인 유모차와 같이 사용자가 유모차를 밀어 주행되도록 하며, 이때, 마찰바퀴(120)와 바퀴부(110)와 연동되되 공회전을 하게된다. 한편, 한 쌍의 센서 모두가 사용자와 접촉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70)는 모터(132)와 브레이크(133) 모두 주행시키지 않는다. 즉, 브레이크(133)에 의하여 구동축(131)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마찰바퀴(120)도 회전하지 않고, 이로 인해, 바퀴부(110)는 회전하지 못한다. 즉,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유모차를 놓치는 경우에는 유모차가 주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부(160)과 유모차의 구동관계를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다.
센서부의 접촉여부 모터 브레이크
한 쌍 모두 접촉 구동 미구동
어느 하나만 접촉 미구동 미구동
모두 미접촉 미구동 구동
제어부(170)는 센서부(16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정보를 통하여 모터(132)와 브레이크(133)의 구동을 제어하며, 또한, 지면의 경사정보를 인식하여 모터(132)의 구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한 쌍의 센서와 사용자 간의 접촉정보를 제공받아 모터(132)와 브레이크(133)의 구동을 제어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의 배터리부와 연결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100)의 구동을 위하여, 고정부(153)를 회전시켜 고정부(153)의 길이방향과 안내홈(141a)의 길이방향이 나란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부(153)가 압축된 스프링(152)의 복원력에 의하여 안내홈(141a)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마찰바퀴(120)와 바퀴(111)가 상호 맞물리게 된다.
센서부(140)의 한 쌍의 센서 모두가 사용자가 접촉된 경우, 센서부(140)는 제어부(170)에 사용자와의 접촉정보를 전송한다.
센서부(140)로부터 구동정보를 제공받은 제어부(170)는 모터(132)를 구동시키며, 브레이크(133)는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70)는 지면의 경사정보를 인식하여 모터의 구동속도를 제어한다.
모터(132)의 구동에 의하여 마찰바퀴(120)가 회전을 하며, 마찰바퀴(120)의 회전에 따라 바퀴부(110)가 회전함으로써, 유모차가 주행한다. 즉, 사용자가 유모차에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유모차는 자유 주행을 하게된다.
만일, 한 쌍의 센서 중 어느 하나만 사용자와 접촉된 경우에는 제어부(170)는 모터(132)와 브레이크(133) 모두 구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일반 유모차와 같이 작동을 하게된다. 즉, 사용자가 유모차에 힘을 가함으로써, 바퀴부(110)가 회전을 하게되며, 이때, 마찰바퀴(120)는 공회전을 한다.
한편, 한 쌍의 센서 모두와 사용자가 접촉되지 않은 경우, 이러한 정보를 제공받은 제어부(170)는 모터(132)는 미구동 시키되, 브레이크(133)는 구동시킴으로써, 연결축(131)의 회전을 제동시킨다. 이로 인해, 마찰바퀴(120)의 회전이 불가능하며, 마찰바퀴(120)와 연결된 바퀴(111)도 회전이 불가능해지므로 유모차는 정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율적으로 주행이 가능하되 사용자와 접촉되는 센서의 개수에 따라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며, 유모차의 요동을 저감함으로써 유모차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 110 : 바퀴부
120 : 마찰바퀴 130 : 모터부
140 : 배터리부 150 : 연결부
160 : 센서부 170 : 제어부
H : 핸들부

Claims (7)

  1. 적어도 한 쌍의 바퀴와 상기 한 쌍의 바퀴 상호를 연결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바퀴부;
    상기 바퀴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외주면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함몰 형성된 일영역과 상기 바퀴의 일부가 맞물리도록 마련되며,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바퀴를 회동시키는 마찰바퀴;
    상기 마찰바퀴를 구동시키는 모터부;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구동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모터부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및
    신축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부와 상기 모터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배터리부와 상기 모터부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바퀴부와 상기 마찰바퀴 간의 접촉력을 조절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상기 마찰바퀴에 연결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모터;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유모차 주행 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어부에 사용자와의 접촉정보를 전송하는 한 쌍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와 접촉된 상기 센서의 개수에 따라 상기 모터 및 상기 브레이크의 구동을 제어하는 유모차 주행 보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지면의 경사에 따라서 모터의 구동력을 조절하는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의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과 상기 연결부 상호를 연결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회동가능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배터리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부의 길이보다 작되 상기 고정부의 높이보다 큰 폭을 갖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의 길이방향과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이 정렬시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가 상기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
KR1020140109861A 2014-08-22 2014-08-22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 KR101577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861A KR101577142B1 (ko) 2014-08-22 2014-08-22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861A KR101577142B1 (ko) 2014-08-22 2014-08-22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142B1 true KR101577142B1 (ko) 2015-12-14

Family

ID=5502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861A KR101577142B1 (ko) 2014-08-22 2014-08-22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2841A (zh) * 2019-07-16 2022-04-08 赛贝克斯有限公司 婴儿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656B1 (ko) 2013-01-25 2014-05-2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식 유모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656B1 (ko) 2013-01-25 2014-05-2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식 유모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2841A (zh) * 2019-07-16 2022-04-08 赛贝克斯有限公司 婴儿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6622B2 (ja) 全姿勢のマンマシンインタラクションの電動立ち乗り車
EP1948496B1 (en) Infant stroller rocking device
KR101727703B1 (ko)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KR200474422Y1 (ko)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속도제어 가능한 전동 구동장치 장착 유모차
KR102124514B1 (ko) 구동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 로봇
WO2013054660A1 (ja) 搬送補助装置およびベッド
KR20130034567A (ko)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JP2015530217A (ja) 回転力の調節が可能な走行補助システムが備えられた移動式リフティング装置
KR101577142B1 (ko) 유모차 주행 보조장치
KR200483525Y1 (ko)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JP5425587B2 (ja) 車椅子電動化装置
KR20170001615U (ko) 고속형 이동대차(rtv) 주행장치
JP3127472U (ja) 電動アシスト機構付きベビーカー
JP5324983B2 (ja) 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キャスター付屋内移動装置
CN106965900B (zh) 一种行走电动自行车
JP6432060B2 (ja) 二輪ビークルならびにその制御方法および操作制御方法
KR101574397B1 (ko) 다리 타입 세그웨이
JP6361124B2 (ja) 無人搬送車
JP6469921B1 (ja) 階段昇降運搬装置及び自走キャリーバッグ
US20230029719A1 (en) Cart
JP2009083660A (ja) 走行台車
JP6245244B2 (ja) 歩行器の駆動装置、及び歩行器の駆動装置の制御方法
KR101541973B1 (ko) 다리 타입 자전거
CN114684302B (zh) 滑板车
JP6027385B2 (ja) 簡易移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