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4567A -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 Google Patents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4567A
KR20130034567A KR1020120030022A KR20120030022A KR20130034567A KR 20130034567 A KR20130034567 A KR 20130034567A KR 1020120030022 A KR1020120030022 A KR 1020120030022A KR 20120030022 A KR20120030022 A KR 20120030022A KR 20130034567 A KR20130034567 A KR 20130034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unit
link
driv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7726B1 (ko
Inventor
전경진
고철웅
조덕연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30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726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28Steering or braking devices for cast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05Means for bathing bedridden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6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8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torq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안착되는 베드유닛, 상기 베드유닛에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서 상기 베드유닛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베드유닛을 이동 가능하게 하는 복수 개의 이동바퀴를 가지는 베이스 및 지면과 접지되는 구동바퀴, 상기 구동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지면과 접지되는 구동바퀴, 상기 구동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베드유닛 및 상기 베이스 중에서 적어도 한곳에 결합되고 하측 끝단부에 상기 구동바퀴가 위치하여 상기 구동바퀴를 지지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상기 구동바퀴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동링크 및 상기 베드유닛의 끝단부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베드유닛의 외측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운동을 조절하는 상기 손잡이를 가지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면에 접지하여 상기 구동바퀴가 구동되는 주행보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Moving Type Shower Carrier Including Driving Assistance Unit}
본 발명은 이동식침대에 적용되는 주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면에 선택적으로 접지되는 구동바퀴를 구비하여 샤워캐리어의 이동을 보조하는 이동식 샤워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요양보호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고령 친화용품의 연구개발에 많은 관심이 보여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령자의 요양보호는 재택 또는 노인전문 요양시설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상행활 수행능력에 있어서 식사, 목욕, 배변 및 이송과 이동이 주요 행위로 구분된다,
특히, 목욕 또는 샤워 행위는 고령자의 건강한 삶의 질을 영위하기 위한 필수적인 행위이며, 이와 관련된 보호자의 비용 저감과 사용자의 사용감 개선은 점점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을 바탕으로 최근 목욕 또는 샤워행위에 사용되는 샤워캐리어 등에 사용되는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 체계적인 연구를 통한 제품 개발은 미흡하다.
그 중 샤워캐리어는 세정할 피 간호인을 베드에 눕힌 채로 이동 및 세정이 가능케 하는 장비이다.
종래에 개발된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일 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종래의 샤워캐리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과 베드부(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드부(11)는 사용자가 눕도록 구비되는 부분이며 상기 프레임(12)은 상기 베드부(11)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베드부(11)의 양측에는 사용자의 낙상을 방지하는 난간부(14)가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기 베드부(11)에 올라오거나 내리는 것이 용이하게 상기 난간부(14)가 회전을 통하여 조절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2)은 지면과 접지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이동바퀴(13)를 구비하여 상기 샤워캐리어(10)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샤워캐리어(10)를 사용자가 직접 밀어 상기 복수개의 이동바퀴(13)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샤워캐리어(10)는 사용자가 피간호인이 탑승한 샤워캐리어(10)를 밀어 이동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체력적으로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샤워캐리어(1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진이동뿐만 아니라 좌우 및 미세한 조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종래에는 샤워캐리어(10)에 구비된 상기 복수 개의 이동바퀴(13)에 구동력을 가진 구동모터를 추가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종래의 이동식 샤워캐리어 이외에도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39286호인 보조바퀴가 장착된 환자이송카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수동으로 작동해야 하는 이동식 샤워캐리어와는 달리, 내부에 틸팅을 통해 지면과 선택적으로 접지되는 주행보조유닛의 결합을 통하여 주행보조유닛이 지면과 접지되는 경우 샤워캐리어의 주행을 보조하는 이동식 샤워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주행보조유닛에 구비된 회전스톱퍼를 이용하여 이동식샤워캐리어의 주행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구동바퀴가 정지되는 기능을 포함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샤워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바퀴의 회전속도에 대응하게 구동바퀴의 속도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샤워캐리어의 이용함에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드유닛, 상기 베드유닛을 지지하고 이동 가능하게 하는 베이스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면에 선택적으로 접지되어 이동식 샤워캐리어가 이동하는 경우 구동력을 통해서 주행을 보조하는 주행보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드유닛은 사용자가 상면에 안착되며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드유닛에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서 상기 베드유닛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베드유닛을 이동 가능하게 하는 복수 개의 이동바퀴를 가진다.
상기 주행보조유닛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면에 선택적으로 접지되는 구동바퀴, 상기 구동바퀴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바퀴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구동링크 및 또한, 상기 구동링크의 외측 끝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운동을 조작하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가진다.
상기 구동바퀴는 상기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이동에 방해가 없도록 상기 이동바퀴의 사이에 위치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링크는 상기 베드유닛 및 상기 베이스 중에서 적어도 한곳에 결합되고 하측 끝단부가 상기 구동바퀴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바퀴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링크가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구동링크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운동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링크는 상기 구동바퀴가 지면에 접지되는 경우, 상기 구동바퀴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바퀴를 통해서 전달되는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게 탄성 지지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구동링크가 회전운동 하는 경우, 상기 손잡이가 상기 베드유닛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베드유닛의 외측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이동바퀴의 회전속도를 측정하여 대응하는 속도로 상기 구동바퀴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에 회전스톱퍼가 더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를 통해서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바퀴와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구동바퀴가 지면에 접지되는 경우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여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이 상기 구동바퀴를 통해서 상기 구동모터에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주행보조유닛은 상기 구동링크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구동바퀴의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동작제어부는 상기 구동링크와 상기 베드유닛의 이격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근접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제어부는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상태에 따라서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회전감지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드유닛, 상기 베드유닛을 지지하고 이동 가능하게 하는 베이스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면에 선택적으로 접지되어 이동식 샤워캐리어가 이동하는 경우 구동력을 통해서 주행을 보조하는 주행보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드유닛은 사용자가 상면에 안착되며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드유닛에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서 상기 베드유닛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베드유닛을 이동 가능하게 하는 복수 개의 이동바퀴를 가진다.
상기 주행보조유닛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면에 선택적으로 접지되는 구동바퀴, 상기 구동바퀴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바퀴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구동링크 및 또한, 상기 구동링크의 외측 끝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운동을 조작하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가진다.
상기 구동바퀴는 상기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이동에 방해가 없도록 상기 이동바퀴의 사이에 위치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링크는 상기 베드유닛 및 상기 베이스 중에서 적어도 한곳에 결합되고 하측 끝단부가 상기 구동바퀴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바퀴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링크가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구동링크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운동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링크는 상기 구동바퀴가 지면에 접지되는 경우, 상기 구동바퀴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바퀴를 통해서 전달되는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게 탄성 지지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구동링크가 회전운동 하는 경우, 상기 손잡이가 상기 베드유닛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베드유닛의 외측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이동바퀴의 회전속도를 측정하여 대응하는 속도로 상기 구동바퀴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에 회전스톱퍼가 더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를 통해서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바퀴와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구동바퀴가 지면에 접지되는 경우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여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이 상기 구동바퀴를 통해서 상기 구동모터에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주행보조유닛은 상기 구동링크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구동바퀴의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동작제어부는 상기 구동링크와 상기 베드유닛의 이격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근접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제어부는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상태에 따라서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회전감지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2의 구동링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2의 주행보조유닛의 측면주행상태 및 정지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6은 도 2의 주행보조유닛의 직선주행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7은 도 4의 연장링크 및 제어링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4의 구동바퀴 및 구동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4의 구동바퀴 및 구동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도 4의 연장링크가 구동바퀴를 탄성지지 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도 4의 손잡이의 형상과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도 4의 동작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주행보조유닛의 측면주행상태 및 정지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및
도 15는 도 13의 주행보조유닛의 직선주행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를 통해서 좀더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실시예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샤워캐리어는 크게 사용자가 상면에 누울 수 있는 베드유닛(100), 상기 베드유닛(100)하측에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서 상기 베드유닛(100)을 지지하는 베이스(200) 및 상기 베드유닛(100) 및 상기 베이스(200)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이동을 도와주는 주행보조유닛(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드유닛(100)은 사용자가 상면에 누운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베드유닛(100)은 사용자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양측에 회전을 통해서 조절이 되는 안전가이드(120)를 구비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그리고 상기 베드유닛(100)은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부분에 틸팅 되는 헤드레스트(11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베드유닛(100)은 외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드유닛(100)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그립부(13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조작하기 쉽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200)는 상기 베드유닛(100)을 지지하는 프레임(210) 및 상기 프레임(210)과 연결되고 회전을 통해서 상기 베드유닛(100)이 이동되게 하는 복수개의 이동바퀴(22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10)은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서 상기 베드유닛(100)을 지지하며 상기 이동바퀴(220)는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힘을 받아 상기 이동식 샤워캐리어가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주행보조유닛(300)은 상기 베드유닛(100) 및 상기 베이스(200)중에서 적어도 한곳과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구동링크(330), 상기 구동링크(330)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바퀴(220)와 함께 이동을 보조하는 구동바퀴(311) 및 상기 구동바퀴(311)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12)로 구성된다.
상기 주행보조유닛(300)은 상기 구동링크(330)의 구동에 따라서 상기 구동바퀴(311) 및 상기 구동모터(312)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주행보조유닛(300)은, 상기 구동링크(330)의 조작을 통해서 사용자가 상기 구동바퀴(311)를 선택적으로 지면에 접지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바퀴(311)가 상기 구동링크(330)에 의해서 지면에 접지되면 상기 구동모터(312)가 동작하고, 상기 구동모터(312)의 동작에 의해서 상기 구동바퀴(311)가 회전운동을 하면서 상기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이동을 돕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링크(330)에 의해서 상기 구동바퀴(311)의 위치 이동과정은 도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주행보조유닛(300)이 구비되는 위치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보조유닛(300)은 상기 구동바퀴(311)가 상기 베드유닛(100)의 이동에 있어서 서로 간섭을 하지 않도록 상기 이동바퀴(22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바퀴(311)는 지면에 접지된 경우, 상기 제1이동바퀴(221) 및 제2이동바퀴(222) 사이에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이동을 보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위치한 상기 주행보조유닛(300)은, 상기 구동바퀴(311)가 지면에 접지되어 상기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이동을 보조하여도 상기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이동에 아무런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구동링크(330)의 연결 및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2의 구동링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구동링크(330)는 중간부가 상기 베드유닛(100)에 구비된 제1힌지브라켓(334)과 힌지결합 되고 외측 끝단부가 상기 베드유닛(100)의 끝단부 하단에 이격되게 위치하여 회전운동이 가능한 제어링크(331), 상기 제어링크(331)의 내측 끝단부와 힌지결합 되어 상기 제어링크(3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회전운동을 하는 연장링크(332)로 구성되어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링크(330)는 상기 연장링크(332)를 보조지지하며 휘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베드유닛(100)에 구비된 제2힌지브라켓(335)과 힌지결합 되고 타측이 상기 연장링크(332)에 힌지결합 되는 보조링크(33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주행보조유닛(300)은 상기 제어링크(331)의 외측 끝단부에 손잡이(350)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상기 제어링크(331)가 제1결합부(336)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 상기 연장링크(332)는 상기 보조링크(333)와 결합되어 함께 이동되지 않고 제2결합부(337)를 회전축으로 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링크(333)는 상기 연장링크(332)의 회전운동에 따라 제3결합부(338)를 회전축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제4결합부(339)를 회전축으로 하여 같이 회전을 하며 상기 연장링크(332)를 지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상기 제어링크(331)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상기 연장링크(332)에 연결된 상기 구동바퀴(311)의 위치가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링크(330)가 복수 개의 링크가 연결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는 상기 구동링크(330)의 구조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예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주행보조유닛(300)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2의 주행보조유닛의 측면주행상태 및 정지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2의 주행보조유닛의 직선주행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링크(331)에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제어링크(331)는 상기 제1결합부(336)를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링크(331)의 내측 끝단부와 연결된 상기 연장링크(332)가 제2 결합부(337)를 회전축으로 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이를 통해서 상기 제어링크(331)의 하측 끝단부에 연결된 상기 구동바퀴(311)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한다.
이와 같이 동작된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바퀴(220)만 지면과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이동식 샤워캐리어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는데 있어서 방해가 없게 된다.
상기 구동바퀴(311)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는 경우 중력에 의해 지면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구동링크(330)는 중력에 의해 상기 구동링크(330)가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370: 도7참조)가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고정부(370)에 대해서는 도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링크(331)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어링크(331)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링크(331)와 연결된 상기 연장링크(33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연장링크(332) 하측 끝단부에 결합된 상기 구동바퀴(311)가 지면에 접지된다.
상기 구동바퀴(311)가 지면에 접지되면 함께 구비된 상기 구동모터(312)가 동작하여 상기 구동바퀴(311)에 동력은 전달해 상기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이동을 보조하게 된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구동바퀴(311)의 접지력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구동링크(330)는 내부에 구비된 상기 고정부(370)에 의해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형태로 상기 구동링크(33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연결링크와 제어링크(331)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부(37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4의 연장링크 및 제어링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이다.
상기 연장링크(332)는 양 측면에 각각의 결합축(371)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축(371)의 일면에 상기 결합축(371)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돌출부(372)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링크(331)는 제1제어링크(331a) 및 제2제어링크(331b)로 구성되어 각각의 결합홈(373)을 가진다.
상기 제1제어링크(331a) 및 제2제어링크(331b) 사이에 상기 연장링크(332)의 일부가 위치하고 상기 결합축(371)과 상기 결합홈(37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돌출부(372)가 구비된 일면에 결합된 제어링크(331)는 복수 개의 고정홈(374)이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372)와 상기 고정홈(374)이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결합홈(373)과 상기 결합축(371) 사이에 스프링(375)을 구비하여, 상기 돌출부(372)와 상기 고정홈(374)가 결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연장링크(332)가 상기 결합축(371)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탄성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부(370)를 통해 상기 연장링크(332)와 상기 제어링크(331)의 회전운동을 선택적으로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370)의 구성을 돌출부(372) 및 고정홈(374)을 포함하게 구성하여 선택하였지만 이는 보다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선택한 것이지 다양한 방법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구동바퀴(311) 및 상기 구동모터(312)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도 4의 구동바퀴 및 구동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링크(332)는 지지자켓(314)과 결합된다.
상기 지지자켓(314)은 내부에 위치하여 구동력을 외부로 제공하는 구동모터(312)와 결합된다.
상기 구동모터(312)는 회전롤러(313)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상기 회전롤러(313)에 전달한다.
상기 구동바퀴(311)는 상기 지지자켓(314)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롤러(313)와 접촉을 통해서 상기 구동모터(31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구동바퀴(311)는 지면에 접촉되며 상기 회전롤러(313)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이동바퀴(220)와 함께 상기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이동을 보조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바퀴(220)는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바퀴(220)의 회전속도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312)는 회전속도가 조절되게 구성되어, 상기 이동바퀴(220)에 구비된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회전속도를 결정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상기 이동식 샤워캐리어는 이동 속도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312)는 상기 손잡이(350)에 구비된 조작부(351: 도11참조)에 의하여 구동을 차단할 수 있는 회전스톱퍼(미도시)가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351)는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스톱퍼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상기 구동모터(312)의 동작을 조작이 가능하며, 상기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주행 중에 갑작스러운 정지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51)에 의해서 상기 회전스톱퍼가 작동되면 상기 구동모터(312)의 구동이 멈춰서 상기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이동이 멈추게 되고, 상기 조작부(351)에서 다시 조작을 통해 상기 회전스톱퍼의 작동을 멈추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312)는 다시 구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스톱퍼를 통해서 상기 구동모터(312)의 구동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주행 중에 빠르게 멈출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312)의 구동을 멈출 수 있는 어떤 구성이나 장치들도 회전스톱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구동바퀴(311) 및 상기 구동모터(312)의 위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도4의 구동바퀴 및 구동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구동바퀴(311)가 지면에 접지되는 경우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312)와 상기 구동바퀴(311)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바퀴(311)는 지면과 접지되어 지면의 상태에 따라서 충격을 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312)가 상기 구동바퀴(311)가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이 상기 구동모터(312)로 전달되어 상기 구동모터(312)의 고장 원인이 될 수 있다.
상기 구동바퀴(311)와 상기 구동모터(312)가 평행하게 구성되면 상기 구동바퀴(311)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상기 구동모터(312)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서 상기 구동모터(312)의 고장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롤러(313)를 이용해 상기 구동모터(312)에서 상기 구동바퀴(311)로 동력이 전달되게 구성하였지만 상기 회전롤러(313)대신 기어나 체인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구동모터(312)로부터 상기 구동바퀴(311)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구동링크(330)가 상기 구동바퀴(311)를 탄성 지지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장링크(332)는 하측 끝단부에 완충부재(315)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자켓(314)과 결합된다.
좀더 상세하게 상기 연장링크(332)는 하측 끝단부에 삽입홈(332a)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홈(332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가이드(314a)를 가지는 상기 지지자켓(314)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315)는 일측이 상기 삽입가이드(314a)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삽입홈(332a)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링크(332)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완충부재(315)를 사용하여 상기 구동바퀴(311)를 통해서 전달되는 충격이 상기 베드유닛(10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부재(315), 삽임홈(332a) 및 삽입가이드(314a)의 구성을 통해서 상기 구동바퀴(311)를 탄성지지 하였지만 유압댐퍼, 공압댐퍼, 스프링 등을 적용하여 상기 구동바퀴(311)를 탄성지지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면으로부터 상기 구동바퀴(311)를 통해서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손잡이(35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도 4의 손잡이의 형상과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손잡이(350)는 상기 제어링크(331)의 외측 끝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링크(331)가 회전운동 하는 경우, 상기 손잡이(350)가 상기 베드유닛(100)의 끝단부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베드유닛(100)의 외측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350)가 지면방향으로 회전운동 하는 경우에 상기 손잡이(350)와 상기 베드유닛(100)은 간섭이 일어나지 않지만, 상기 손잡이(350)가 상측 방향으로 회전운동 하는 경우에는 상기 베드유닛(100)과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손잡이(350)는 상기 베드유닛(100)의 외측을 통과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350)는 상기 구동모터(312)의 구동을 조작하는 조작부(351)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모터(312)의 구동을 조작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12)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상기 구동모터(312)의 동작을 정지할 수 있는 회전스톱퍼를 구비하며, 상기 조작부(351)에 의해서 상기 회전스톱퍼의 작동이 결정된다.
상기 이동식 샤워캐리어가 이동하다가 정지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351)에서의 조작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312)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이동 중에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주행보조유닛(300)에 구비된 동작제어부(34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도 4의 동작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주행보조유닛(300)은 상기 구동링크(330)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312)의 동작을 결정하는 동작제어부(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동작제어부(340)를 더 구비하여 별도의 조작 없이 사용자가 상기 구동링크(330)의 조작을 통해서 상기 구동모터(312)의 동작이 결정 된다.
상기 동작제어부(340)는 상기 구동링크(330)를 조작하여 상기 구동바퀴(311)가 지면과 접지되지 않게 하면 상기 구동모터(312)가 동작되지 않고, 상기 구동링크(330)에 의해 상기 구동바퀴(311)가 지면과 접지되면 상기 구동모터(312)가 동작하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링크(331)와 상기 베드유닛(100)이 대면되는 측에 근접센서(341)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링크(331)와 상기 베드유닛(100)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구동모터(312)의 동작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베드유닛(100)과 상기 제어링크(331)의 멀어진 거리가 상기 근접센서(341)를 통해서 측정 되면, 상기 구동모터(312)가 동작하여 상기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주행을 보조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드유닛(100)과 상기 제어링크(331)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근접센서(341)의 측정을 통해서 상기 구동모터(312)가 동작을 멈추게 구성된다.
상기 동작제어부(340)의 다른 예로 상기 근접센서(341) 대신 회전감지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행보조유닛(300)의 상기 제1결합부(336) 내지 제4결합부(339) 중에서 한 곳에 상기 회전감지센서를 구비하여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12)의 동작을 결정한다.
상기 회전감지센서를 통해서 상기 구동링크(330)의 회전상태가 측정이 되고, 측정된 결과에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312)는 동작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동작제어부(340)의 예로 상기 근접센서(341)와 상기 회전감지센서로 구성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선택한 것이지 특정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구동링크(330)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312)의 구동을 조작하는 장치라면 상기 동작제어부(340)로 사용이 가능하다.
2실시예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인 구성이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상기 주행보조유닛(300)의 구성이 다르다. 상기 구동링크(380)의 구성이 복수 개의 링크들로 구성되지 않고 단일한 링크로 구성이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드유닛(100)의 외면 일부분을 일정 간격 이격되어 감싸도록 형성된 그립부(130)와 결합되는 한 쌍의 리버(3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버(390)와 상기 구동링크(380)에 양측 끝단이 결합되어 구성된 와이어(3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10)은 상기 제 1이동바퀴(221) 및 상기 제 2이동바퀴(222) 사이에 상기 구동바퀴(311)가 위치할 수 있도록 보조프레임(230)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보조프레임(230)의 중간부에 상기 구동링크(380)가 결합된다.
상기 보조프레임(230)은 중간부에 보조브라켓(240)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브라켓(240)에 상기 구동링크(38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바퀴(311) 및 상기 구동모터(312)는 상기 구동링크(380)의 하측 끝단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브라켓(240) 및 상기 보조프레임(230) 중에서 적어도 한 곳과 상기 구동링크(380)의 하측 끝단부는 구비된 탄성부재(384)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바퀴(311)가 지면과 접지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 에서는, 상기 보조브라켓(240)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 1고정돌기(242)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링크(380)에는 제 2고정돌기(386)가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384)의 일측끝단이 상기 제 1고정돌기(242)와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384)의 타측끝단은 상기 제 2고정돌기(386)와 결합된다.
상기 제 1고정돌기(242)와 상기 제 2고정돌기(386)가 상기 탄성부재(384)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동링크(380)와 상기 보조브라켓(240)에 인력이 작용하여 상기 구동링크(380)에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312) 및 상기 구동바퀴(311)는 지면에 접지되지 않는다.
상기 리버(390)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리버(390)는 일부가 상기 그립부(13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130)의 일부분이 관통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주행보조유닛(300)은, 상기 리버(390)의 조작을 통해서 상기 구동링크(380)의 동작상태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리버(390)와 상기 구동링크(380)를 연결하기 위해서 와이어(36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360)는 일측 끝단이 상기 리버(390)에 구비된 래버(392)에 결합되고 타측 끝단이 상기 구동링크(380)의 상측 끝단에 형성된 연결홈(382)에 결합된다.
상기 와이어(360)가 상기 구동링크(380)와 상기 리버(390)를 연결해 줌으로써, 상기 리버(390)로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외력을 상기 구동링크(380)에 전달하게 되며 상기 와이어(360)를 통해서 전달된 외력은 상기 구동링크(380)가 회전운동을 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360)는 상기 리버(390)에서 발생한 외력을 그대로 상기 구동링크(380)에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탄성을 가지지 않는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리버(390)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버(390)는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베드유닛(100)와 결합되는 결합링(394) 및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360)에 외력을 전달하는 래버(39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링(394)은 상기 그립부(13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그립부(130)의 일부분을 관통 고정하여 상기 리버(390)가 상기 베드유닛(100)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래버(392)는 상기 몸체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래버(392)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상기 와이어(360)에 전달되는 외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래버(392)는 상기 와이어(360)와의 결합을 통해서 상기 구동링크(380)의 동작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210)의 외면과 상기 베드유닛(100)의 하면 중에서 상기 와이어(360)가 위치되는 일부분은 상기 와이어(3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360)가 상기 프레임(210) 및 상기 베드유닛(10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362)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362)에 의해서 고정된 상기 와이어(360)는 이탈되지 않고 상기 리버(390)로부터 작용하는 외력을 상기 구동링크(380)에 전달한다.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5을 참조하여 상기 리버(390)의 조작에 따른 주행보조유닛(300)의 동작상태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주행보조유닛(300)의 측면주행상태 및 정지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및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주행보조유닛(300)의 직선주행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먼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버(39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상기 구동링크(380)는 결합된 상기 탄성부재(384)에 의해서 상기 보조프레임(230)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된다.
상기 구동링크(380)가 상기 보조프레임(230) 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구동링크(380)의 하측 끝단에 결합된 상기 구동바퀴(311)는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주행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버(390)에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구동링크(380)는 상기 리버(390)와 연결된 와이어(360)를 통해서 외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구동링크(380)가 상기 와이어(360)를 통해서 외력을 전달받으면 상기 구동링크(380)는 보조브라켓(240)과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링크(380)는 상기 탄성부재(384)에 의해서 고정지지 되어있기 때문에 상기 구동링크(38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링크(380)에 작용하는 외력이 상기 탄성부재(384)의 탄성력보다 더 큰 외력을 가해주어야 한다.
상기 구동링크(380)가 전달받은 외력에 의해서 회전을 하면, 상기 구동링크(380)에 결합된 상기 구동바퀴(311)가 지면에 접지되어 상기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주행을 보조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구동바퀴(311)가 지면에 접지하는 경우 상기 구동바퀴(311)와 연결된 상기 구동모터(312)는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구동바퀴(311)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제 2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특정형태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베드유닛 200: 베이스
210: 프레임 220: 이동바퀴
230: 보조프레임 242: 제 1고정돌기
300: 주행보조유닛 311: 구동바퀴
312: 구동모터 313: 회전롤러
314: 지지자켓 330, 380: 구동링크
331: 제어링크 332: 연장링크
333: 보조링크 334: 제1힌지브라켓
335: 제 2힌지브라켓 340: 동작제어부
341: 근접센서 350: 손잡이
351: 조작부 360: 와이어
362: 고정부재 370: 고정부
371: 결합축 372: 돌출부
373: 결합홈 374: 고정홈
382: 연결홈 384: 탄성부재
386: 제 2고정돌기 390: 리버
392: 래버 394: 결합링

Claims (11)

  1. 사용자가 안착되는 베드유닛;
    상기 베드유닛에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서 상기 베드유닛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베드유닛을 이동 가능하게 하는 복수 개의 이동바퀴를 가지는 베이스; 및
    지면과 접지되는 구동바퀴, 상기 구동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지면과 접지되는 구동바퀴, 상기 구동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베드유닛 및 상기 베이스 중에서 적어도 한곳에 힌지 결합되고 하측 끝단부에 상기 구동바퀴가 위치하여 상기 구동바퀴를 지지하며 회전운동에 의해서 상기 구동바퀴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동링크 및 상기 베드유닛의 끝단부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베드유닛의 외측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운동을 조절하는 손잡이를 가지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면에 접지하여 상기 구동바퀴가 구동되는 주행보조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는,
    상기 이동식 샤워캐리어의 이동에 방해가 없도록 상기 이동바퀴의 사이에 위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링크는,
    중력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링크는,
    상기 구동바퀴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바퀴가 지면에 접지되는 경우 탄성지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이동바퀴의 회전속도를 측정하여 대응하는 속도로 상기 구동바퀴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회전스톱퍼가 더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에 의해서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가 지면에 접지하는 경우, 상기 구동바퀴와 상기 구동모터는 평행하게 위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보조유닛은,
    상기 구동링크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구동바퀴의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부는,
    상기 구동링크와 상기 베드유닛의 이격거리를 감지하여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부는,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상태에 따라서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회전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KR1020120030022A 2012-03-23 2012-03-23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KR101317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022A KR101317726B1 (ko) 2012-03-23 2012-03-23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022A KR101317726B1 (ko) 2012-03-23 2012-03-23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005A Division KR101171243B1 (ko) 2010-11-30 2011-09-28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567A true KR20130034567A (ko) 2013-04-05
KR101317726B1 KR101317726B1 (ko) 2013-10-15

Family

ID=48436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022A KR101317726B1 (ko) 2012-03-23 2012-03-23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726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235B1 (ko) 2015-12-22 2016-06-17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운행차용 강제 출력 제한 및 모니터링 장치
KR101661565B1 (ko) 2016-08-26 2016-10-05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운행차용 강제 출력 제한 및 모니터링 장치
KR101662145B1 (ko) 2016-03-30 2016-10-06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운행차용 강제 출력 제한 및 모니터링 장치
KR101683471B1 (ko) 2016-08-26 2016-12-21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운행차용 강제 출력 제한 및 모니터링 장치
KR101934739B1 (ko) 2017-12-11 2019-03-18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운행차용 운행 및 출력 제한 장치
KR101994214B1 (ko) 2018-02-22 2019-07-01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축하중, 총중량 초과 차량용 운행 및 출력제한장치
KR102000557B1 (ko) 2018-04-26 2019-07-16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과적 방지 장치
KR102379857B1 (ko) 2020-12-30 2022-03-30 가센 저공해 가스엔진히트펌프(ghp) 개조시스템
KR102385201B1 (ko) 2020-12-30 2022-04-15 가센 저공해 가스엔진히트펌프 시스템
KR20220098955A (ko) 2021-01-05 2022-07-12 주식회사 가센 저공해 가스엔진히트펌프 개조에 따른 산소센서와 촉매 장착 시스템
KR102486668B1 (ko) * 2022-01-10 2023-01-09 이준원 방향 전환이 용이한 전동식 환자 운반기
KR20230114398A (ko) 2022-01-25 2023-08-01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저공해 가스엔진히트펌프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8326A (en) * 1993-03-02 1994-09-20 Hill-Rom Company, Inc. Carrier with deployable center wheels
JP2004194844A (ja) * 2002-12-17 2004-07-15 Paramount Bed Co Ltd ベッドにおける電動搬送装置およびその駆動制御方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235B1 (ko) 2015-12-22 2016-06-17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운행차용 강제 출력 제한 및 모니터링 장치
KR101662145B1 (ko) 2016-03-30 2016-10-06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운행차용 강제 출력 제한 및 모니터링 장치
KR101661565B1 (ko) 2016-08-26 2016-10-05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운행차용 강제 출력 제한 및 모니터링 장치
KR101683471B1 (ko) 2016-08-26 2016-12-21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운행차용 강제 출력 제한 및 모니터링 장치
KR101934739B1 (ko) 2017-12-11 2019-03-18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운행차용 운행 및 출력 제한 장치
KR101994214B1 (ko) 2018-02-22 2019-07-01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축하중, 총중량 초과 차량용 운행 및 출력제한장치
KR102000557B1 (ko) 2018-04-26 2019-07-16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과적 방지 장치
KR102379857B1 (ko) 2020-12-30 2022-03-30 가센 저공해 가스엔진히트펌프(ghp) 개조시스템
KR102385201B1 (ko) 2020-12-30 2022-04-15 가센 저공해 가스엔진히트펌프 시스템
KR20220098955A (ko) 2021-01-05 2022-07-12 주식회사 가센 저공해 가스엔진히트펌프 개조에 따른 산소센서와 촉매 장착 시스템
KR102486668B1 (ko) * 2022-01-10 2023-01-09 이준원 방향 전환이 용이한 전동식 환자 운반기
KR20230114398A (ko) 2022-01-25 2023-08-01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저공해 가스엔진히트펌프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7726B1 (ko) 201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726B1 (ko)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JP6040316B2 (ja) 回転力の調節が可能な走行補助システムが備えられた移動式リフティング装置
JP4523244B2 (ja) パワーアシスト型移動台車
KR20160013084A (ko) 보조된 추진 시스템, 방법 및 섀시
KR101372262B1 (ko) 휠체어용 승강장치
KR20140077149A (ko) 자립 지원형 이승 장치
JP2018117770A (ja) 介護リフト装置
KR20170062259A (ko) 2 자유도 회전의 모션 시뮬레이터
US10172750B1 (en) Power assist apparatus for hand-propelled wheelchairs
KR101171243B1 (ko)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KR102013496B1 (ko) 자세 교정용 슬링바를 구비한 보행 재활 훈련 장치
KR101450590B1 (ko) 보행기 및 이를 이용한 보행 훈련 장치
KR20130053715A (ko) 리프트식 보행보조장치
KR101509083B1 (ko) 무게중심상에 주행보조바퀴를 구비한 이동식 리프팅장치
JP2000070312A (ja) 介護用補助装置
JP5400250B2 (ja) 老弱者用シャワーキャリア
JPH10295749A (ja) 歩行補助器
JP2016164040A (ja) キャスタ、及び移動用自助具
KR101885121B1 (ko)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AU20142668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a hospital bed or another wheeled object
JP2003136901A (ja) 走行装置
KR20140137595A (ko) 탈장착 가능한 동력 전달장치를 장착한 휠체어
KR101215135B1 (ko) 전동식 이동기구 기반 통합 근력지원 시스템
KR101305428B1 (ko) 회전각도조절유닛을 구비한 보행보조기
KR100999486B1 (ko) 베드의 회전축 및 캐리어의 동력축 착탈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축을 고정하는 능동형 복합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