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668B1 - 방향 전환이 용이한 전동식 환자 운반기 - Google Patents

방향 전환이 용이한 전동식 환자 운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668B1
KR102486668B1 KR1020220003202A KR20220003202A KR102486668B1 KR 102486668 B1 KR102486668 B1 KR 102486668B1 KR 1020220003202 A KR1020220003202 A KR 1020220003202A KR 20220003202 A KR20220003202 A KR 20220003202A KR 102486668 B1 KR102486668 B1 KR 102486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link
unit
ground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원
Original Assignee
이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원 filed Critical 이준원
Priority to KR1020220003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17Stretchers convertible into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 A61G1/0237Stretchers with wheels having at least one swivelling wheel, e.g.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 A61G1/0275Stretchers with wheels having driven wheels, e.g. motor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 A61G1/0281Stretchers with wheels having a steer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convertible to stretchers or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1Arrangements f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환자 운반기에 관한 것으로, 환자가 탑승하는 탑승부를 베드 모드와 휠체어 모드로 변환 가능하며, 하부의 바퀴부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전동식 환자 운반기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는, 이동 방향을 향해 전방에 위치하며,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자유 회전하는 전방 바퀴들과, 이동 방향에 대해 후방에 위치하며,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자유 회전하는 후방 바퀴들과, 상기 전방 바퀴들과 후방 바퀴들 사이에 위치하며, 이동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되어 지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의 회전이 불가능한 중간 바퀴와, 상기 중간 바퀴를 전동식 환자 운반기의 하부 프레임에 고정하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중간 바퀴를 지면에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는 랜딩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향 전환이 용이한 전동식 환자 운반기{Electric wheel stretcher cart that can facilitate change of direction}
본 발명은 전동식 환자 운반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이동시 방향 전환이 용이한 전동식 환자 운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양원 또는 요양 병원에 입원한 거동이 불편한 고령환자들은 치료를 위한 이동, 외부 병원으로의 외부 진료, 접견 등을 위해 요양보호사의 도움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요양원 또는 요양 병원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들의 주로 50대 이상의 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많은 문제점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환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베드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베드 전용 승강기가 필요하다는 문제점 및 휠체어를 이용하여 환자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베드에서 휠체어로 또는 휠체어에서 베드로 환자를 옮겨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요양보호사의 도움이 필수적이며, 이에 의해 요양보호사들이 부상, 근골격계 질환, 스트레스 등을 받게 되며, 퇴사 또는 환자로의 스트레스가 전달되어 양방 간의 사이가 점점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의 등록특허 10-2336949(2021년 12월 03일 등록, 형태 변환이 가능한 전동식 환자 운반기)에는 환자가 베드에서 내려오지 않고도 이동이 가능한, 베드-휠체어 형태 변환이 가능한 구조의 전동식 환자 운반기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위의 등록특허의 제안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등록특허의 전동식 환자 운반기는 전방 바퀴와 후방 바퀴가 360도 회전 가능한 자유 바퀴로 구성되고, 중간 바퀴가 본체 회전축에 고정되는 고정 바퀴로 구성된다.
후방 바퀴는 베드 모드에서 환자의 머리쪽 전복 방지를 위한 것이며, 중간 바퀴는 고정되어 직진성 및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방향 전환시 고정 바퀴인 중간 바퀴에 의해 조력자가 불필요하게 힘을 많이 소모한다는 개선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선행 특허의 개선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직진성을 보완하거나 방향 전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동식 환자 운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전동식 환자 운반기는, 환자가 탑승하는 탑승부를 베드 모드와 휠체어 모드로 변환 가능하며, 하부의 바퀴부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전동식 환자 운반기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는, 이동 방향을 향해 전방에 위치하며,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자유 회전하는 전방 바퀴들과, 이동 방향에 대해 후방에 위치하며,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자유 회전하는 후방 바퀴들과, 상기 전방 바퀴들과 후방 바퀴들 사이에 위치하며, 이동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되어 지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의 회전이 불가능한 중간 바퀴와, 상기 중간 바퀴를 전동식 환자 운반기의 하부 프레임에 고정하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중간 바퀴를 지면에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는 랜딩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랜딩 조작부는, 상기 레버의 상하 조작에 따른 회전을 상기 중간 바퀴에 전달하는 다수의 링크와, 상기 레버의 조작 상태를 유지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전방 바퀴 및 후방 바퀴는, 개별 풋 브레이크가 적용되거나, 링크 구조에 의해 모든 바퀴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단일 풋 브레이크가 적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탑승부는 서로 분리된 등판, 엉덩이판 및 다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탑승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등판, 엉덩이판 및 다리판의 형태를 변경하여, 휠체어 모드 또는 베드 모드로 전환하는 형태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형태 변환부는, 복수의 액추에이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형태 변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과방전을 차단하는 과방전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등판과 다리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 1 액추에이터와, 등판, 다리판, 엉덩이판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바퀴부가 고정되는 하부 프레임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 2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간 바퀴에 랜딩 기어를 적용하여 지면과의 접촉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바퀴의 회전이 전방과 후방으로만 이루어지고, 방향 전환이 불가능한 고정 바퀴인 중간 바퀴를 이동시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방향 전환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환자 운반기의 휠체어 모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랜딩 조작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각각 랜딩 조작부의 조작 상태도로서, 도 5는 지면 접촉 상태, 도 6은 지면과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베드 모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환자 운반기의 휠체어 모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도이며, 도 4는 랜딩 조작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와 도 6은 각각 랜딩 조작부의 조작 상태도이며, 도 7은 베드 모드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7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환자 운반기(1)는 탑승부(100), 형태 변환부(200), 바퀴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퀴부(300)는 휠체어 모드에서 진행 방향(환자가 착석하여 바라보는 전방)을 기준으로 전방 바퀴(310), 후방 바퀴(320) 및 중간 바퀴(330)를 포함하고, 중간 바퀴(330)를 지면에 접촉된 상태 또는 지면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조작할 수 있는 랜딩 조작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방 바퀴(310)와 후방 바퀴(320)는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여 자유롭게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유 회전 바퀴인 것으로 한다.
이에 대하여 중간 바퀴(330)는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으며, 바퀴만 전방 또는 후방으로 외력에 의해 회전 가능한 고정 바퀴인 것으로 한다.
중간 바퀴(330)는 랜딩 조작부(340)에 결합된 상태로, 하부 프레임(220)의 중앙에 위치한다. 중간 바퀴(330)는 휠체어 모드에서 전체 구조물의 중앙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방 바퀴(310)와 후방 바퀴(320)는 각각 한 쌍씩 마련되는 것으로 하며, 중간 바퀴(330)는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전방 바퀴(310)와 후방 바퀴(320) 사이에 대응하도록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중간 바퀴(330)는 레버(341)의 조작에 따라 지면에 접촉되거나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전환이 가능하다.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레버(341)를 아래로 밟으면, 레버(341)의 끝단에 연결된 제1링크(342)가 제1회전축(C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링크(342)의 반대편과 제2회전축(C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링크(34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3링크(344)가 제4회전축(C4)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2링크(343)와 제3링크(344)는 제3회전축(C3)에 의해 연결된다.
제3링크(344)의 회전에 따라 제3링크(344)와 연결된 중간 바퀴(330)가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지면에 접하게 된다.
이때, 압축스프링(345)에 의해 중간 바퀴(330)는 지속적으로 지면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중간 바퀴(330)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며, 또한 이동시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중간 바퀴(33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서, 랜딩 조작부(340)의 레버(341)를 위로 올리면, 레버(341)에 고정된 제1링크(34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2링크(343)은 반대 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링크(343)이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3링크(344)는 시계방향으로 움직이고, 이에 따라 제3링크(344)에 고정된 중간 바퀴(330)는 상향으로 이동하여, 지면에서 이격된다.
이때, 압축스프링(345)에 의해 제3링크(344)가 제4회전축(C4)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나, 역으로 꺾인 관절형태의 제1링크(342) 및 제2링크(343)에 의해 내려가거나 올라가지 않고, 현상을 유지한다.
이처럼 중간 바퀴(330)가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는, 앞서 설명한 자유 회전 바퀴인 전방 바퀴(310)와 후방 바퀴(320)만이 지면에 접하여, 조작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진행 방향의 전환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자리 회전도 용이하게 된다.
상기 레버(341)는 회전 가이드(346)에 의해 하부 프레임(220)에 결합 고정된다.
고정을 위하여 전방 바퀴(310), 후방 바퀴(320)에는 회전을 방지하는 풋 브레이크 수단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때 전방 바퀴(310) 및 후방 바퀴(320) 각각에 밀착 조작될 수 있는 풋 브레이크를 개별 적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의 링크(351)를 이용하여 하나 풋 브레이크(350)를 이용하여 모든 전방 바퀴(310)와 후방 바퀴(320)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바퀴부(300)를 포함하는 본 발명 전동식 환자 운반기(1)의 다른 작용인 상태 변환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탑승부(100)는 환자가 탑승할 수 있으며, 제 1 액추에이터(230)에 의해 휠체어에서 베드로, 베드에서 휠체어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탑승부(100) 하부에 형태 변환부(2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탑승부(100)는 형태 변환부(200)의 상부 프레임(210)에 안착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탑승부(100)는 등판(110), 엉덩이판(120) 및 다리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등판(110)은 등판 패널(111) 및 등판 프레임(112)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등판 패널(111)은 등판 프레임(112)의 일측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등판(110)은 일단이 제 1 회전축(113)에 의해 엉덩이판(120)의 일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등판 프레임(112)의 타측에 제 1 브라켓(114) 및 제 2 브라켓(115)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등판(110)은 일단이 제 1 브라켓(114)에 연결되며, 타단이 제 4 브라켓에 연결된 제 1 액추에이터(230)에 의해 제 1 방향 및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각도가 변환될 수 있다. 또한, 등판(110)은 제 1 액추에이터(230)에 의해 각도가 변환되면 등판 프레임(11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 2 브라켓(115)에 일단이 연결되면서 다리판(130)에 구비되는 제 3 브라켓의 링크를 당기거나 밀게 되어 다리판(130)이 등판(110)과 평행하도록 제 2 방향 또는 제 1 방향으로 각도가 변환될 수 있다. 제 1 액추에이터(230)는 제 1 모터와 제 1 피스톤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제 1 피스톤은 확장 및 수축을 할 수 있다. 휠체어에서 베드로 변환될 때, 제 1 피스톤이 수축되는 것에 의해, 등판(110)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여, 엉덩이판(120)과 수평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제 1 피스톤의 기동력을 전달받은 제 1 링크는 제 2 브라켓(115)에 의해 등판(110) 측의 반대측으로 밀려지게 되는 것에 의해, 다리판(130)을 제 1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다리판(130)은 엉덩이판(120)과 수평을 이룰 수 있다.
베드에서 휠체어로 변환될 때, 제 1 피스톤이 확장되는 것에 의해, 등판(110)은 제 2 방향으로 회전하여, 엉덩이판(120)과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제 1 피스톤의 기동력을 전달받은 제 1 링크는 제 2 브라켓(115)에 의해 등판(110) 측으로 당겨지게 되는 것에 의해, 다리판(130)을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다리판(130)은 엉덩이판(120)과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등판 프레임(112)은 양 측면에 손잡이(116)가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116)는 등판 프레임(112)의 양 측면에서 등판 프레임(112)의 타측으로 기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휠체어 상태에서 휠체어의 손잡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엉덩이판(120)은 엉덩이판 패널(121) 및 엉덩이판 프레임(122)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엉덩이판 패널(121)은 엉덩이판 프레임(122)의 일측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엉덩이판(120)은 형태 변환부(200)의 상부 프레임(210)에 안착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엉덩이판(120)은 일단이 제 1 회전축(113)에 의해 등판(110)의 일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타단이 제 2 회전축(123)에 의해 다리판(130)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다.
다리판(130)은 다리판 패널(131) 및 다리판 프레임(132)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리판 패널(131)은 다리판 프레임(132)의 일측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다리판(130)은 일단이 제 2 회전축(123)에 의해 엉덩이판(120)의 타단과 결합될 수 있으며, 다리판 프레임(132)의 하단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로 연장되도록 발판 프레임(1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발판 프레임(134)의 일측에는 발판 패널(133)이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다리판 프레임(132)의 제 3 브라켓은 제 1 링크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형태 변환부(200)는 탑승부(1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탑승부(100)가 형태 변환부(200)에 안착되어 고정결합될 수 있다. 형태 변환부(200)는 탑승부(100)의 형태를 변환할 수 있으며, 높낮이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탑승부(100)는 휠체어에서 베드로, 베드에서 휠체어로 변환될 수 있다. 형태 변환부(200)는 상부 프레임(210), 하부 프레임(220), 제 1 액추에이터(230), 제 2 링크(240), 제 3 링크(250), 링크 연결봉(260) 및 제 2 액추에이터(2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210)은 탑승부(1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엉덩이판 프레임(122)과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210)의 제 4 브라켓은 제 1 액추에이터(230)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액추에이터(230)의 동작에 따라 제 1 액추에이터(230)의 타단에 연결된 제 1 브라켓(114)을 통해 등판(110)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하부 프레임(220)은 상부 프레임(2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 2 링크(240) 및 제 3 링크(250)에 의해 상부 프레임(2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 2 링크(240) 및 제 3 링크(250)는 링크 연결봉에 의해 상호 지지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220)은 링크 연결봉에 연결된 제 2 액추에이터(270)의 작동에 의해 상부 프레임(210)과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휠체어 또는 베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 2 회전봉(222)은 하부 프레임(2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 2 링크(240)의 타단이 연결되어 제 2 액추에이터(270)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 2 링크(240)의 일단에 연결된 베어링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 액추에이터(230)는 엉덩이판(120)의 하부에서 상부 프레임(2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등판(110) 및 다리판(130)의 각도를 변환시킬 수 있다. 제 1 액추에이터(230)는 제 1 모터 및 제 1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모터는 제 1 액추에이터(2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 1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피스톤은 타단이 등판 프레임(112)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브라켓(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 1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는 것에 의해 등판(110)의 각도를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제 1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의해 등판(110)의 각도가 변환되면 일단이 등판 프레임(112)에 연결되고, 타단이 다리판 프레임(132)에 연결되는 링크가 이동하게 되면서 다리판(130)이 등판(110)과 평행하도록 각도를 변환할 수 있다.
제 3 링크(250)는 제 2 액추에이터(270)의 작동에 의해 상부 프레임(210)과 하부 프레임(2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링크 연결봉(260)은 서로 마주보는 제 2 링크(240) 및 제 3 링크(250) 사이에서 제 2 링크(240) 및 제 3 링크(250) 서로를 연결할 수 있다.
제 2 액추에이터(270)는 하부 프레임(2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 프레임(210)과 하부 프레임(22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베드 또는 휠체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 2 액추에이터(270)는 제 2 모터 및 제 2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형태 변환부(200)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형태 변환이 가능한 전동식 환자 운반기(1)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며, 상기에 설명한 형태로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부(400) 관련 블록 구성도이다.
제어부(400)는 조작 입력부(410)와, 조작 입력부(410)의 버튼 입력에 따라 배터리(420)의 전압을 제 1 액추에이터(230) 및 제 2 액추에이터(27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제어부(430)와, 배터리(420)의 전압을 검출하여 일정 전압 이하이면 전원제어부(430)의 동작을 차단시키는 과방전 차단부(440)를 포함한다.
제어부(400)는 하부 프레임(220)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 입력부(410)의 버튼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은 베드 모드, 휠체어 모드로 형태를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조작 입력부(410)는 상승버튼, 하강버튼, 휠체어 전환 버튼, 베드 전환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베드 및 휠체어의 형태 변환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제어부(400)는 형태 변환 시, 발판 프레임(133)이 바닥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액추에이터(230) 및 제 2 액추에이터(270)의 전개 및 수축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 액추에이터(230), 제 2 액추에이터(270)는 조작 입력부(410)를 통해 입력된 조작 명령에 따라 배터리(420)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 제어하는 전원제어부(43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한다.
이때, 과방전 차단부(440)는 배터리(420)의 전압을 상시 검출하여 일정 전압 이하이면, 제 1 액추에이터(230)와 제 2 액추에이터(27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배터리(420)의 과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300:바퀴부 310:전방 바퀴
320:후방 바퀴 330:중간 바퀴
340:랜딩 조작부 341:레버
342:제1링크 343:제2링크
344:제3링크 345:압축스프링

Claims (5)

  1. 환자가 탑승하는 탑승부를 베드 모드와 휠체어 모드로 변환 가능하며, 하부의 바퀴부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전동식 환자 운반기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는,
    이동 방향을 향해 전방에 위치하며,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자유 회전하는 전방 바퀴들;
    이동 방향에 대해 후방에 위치하며,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자유 회전하는 후방 바퀴들;
    상기 전방 바퀴들과 후방 바퀴들 사이에 위치하며, 이동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되어 지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의 회전이 불가능한 중간 바퀴; 및
    상기 중간 바퀴를 전동식 환자 운반기의 하부 프레임에 고정하되, 사용자의 레버 조작에 따라 상기 중간 바퀴를 지면에 접촉시키거나 이격시키는 랜딩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랜딩 조작부는,
    상기 레버;
    상기 레버의 끝단에 연결되어, 레버의 조작에 의해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의 타측과 제2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
    중간 바퀴를 고정하며, 상기 제2링크에 제3회전축을 통해 연결되는 제3링크; 및
    상기 제1링크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3링크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중간 바퀴를 지면에 접촉시키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전동식 환자 운반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바퀴 및 후방 바퀴는,
    개별 풋 브레이크가 적용되거나,
    링크 구조에 의해 모든 바퀴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단일 풋 브레이크가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환자 운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는 서로 분리된 등판, 엉덩이판 및 다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탑승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등판, 엉덩이판 및 다리판의 형태를 변경하여, 휠체어 모드 또는 베드 모드로 전환하는 형태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형태 변환부는,
    복수의 액추에이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형태 변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과방전을 차단하는 과방전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전동식 환자 운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등판과 다리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 1 액추에이터; 및
    등판, 다리판, 엉덩이판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바퀴부가 고정되는 하부 프레임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 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전동식 환자 운반기.
KR1020220003202A 2022-01-10 2022-01-10 방향 전환이 용이한 전동식 환자 운반기 KR102486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202A KR102486668B1 (ko) 2022-01-10 2022-01-10 방향 전환이 용이한 전동식 환자 운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202A KR102486668B1 (ko) 2022-01-10 2022-01-10 방향 전환이 용이한 전동식 환자 운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668B1 true KR102486668B1 (ko) 2023-01-09

Family

ID=84892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202A KR102486668B1 (ko) 2022-01-10 2022-01-10 방향 전환이 용이한 전동식 환자 운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6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4441A (ja) * 2006-08-25 2008-03-06 Honda Motor Co Ltd 小型電動車両
KR20100012962U (ko) * 2009-06-22 2010-12-30 미키코리아(주) 풋 브레이크를 가지는 보조이동수단
KR20130034567A (ko) * 2012-03-23 2013-04-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KR102336949B1 (ko) * 2021-03-15 2021-12-07 이준원 형태 변환이 가능한 모션 휠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4441A (ja) * 2006-08-25 2008-03-06 Honda Motor Co Ltd 小型電動車両
KR20100012962U (ko) * 2009-06-22 2010-12-30 미키코리아(주) 풋 브레이크를 가지는 보조이동수단
KR20130034567A (ko) * 2012-03-23 2013-04-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주행보조유닛을 구비한 이동식 샤워캐리어
KR102336949B1 (ko) * 2021-03-15 2021-12-07 이준원 형태 변환이 가능한 모션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7782A (en) Sick or wounded patient bed having separable frame and moving/lifting apparatus for the separable frame
US9414980B2 (en) Bed, and combining method and separating method of bed
JP5340480B2 (ja) ベッド
CN109620586B (zh) 床椅一体式护理机器人
US9161871B2 (en) Multiple function patient handling devices and methods
CN109907893B (zh) 多功能轮椅和轮椅床
CN102871815A (zh) 一种医用手术移送床
CN206852719U (zh) 无障碍电动升降轮椅
CN203493837U (zh) 一种电动轮椅床
CN109966067A (zh) 一种轮椅
JP6302769B2 (ja) 離着座補助装置
CN113038915A (zh) 用于支持在其活动方面受限制的人的自行前进运动能力的装置
CN210698029U (zh) 多功能轮椅和轮椅床
KR20210067375A (ko) 신체약자용 휠체어
KR102486668B1 (ko) 방향 전환이 용이한 전동식 환자 운반기
CN113995592B (zh) 一种半自动分离对接的床椅一体化机器人
CN116158948A (zh) 单驱动下肢外骨骼步行器
CN114272031A (zh) 一种分离式轮椅助力床
CN210494435U (zh) 床椅一体式护理机器人
KR20180094887A (ko) 수직화 장치를 구비하고, 로봇식의 이동성이 있는 변경 가능한 침대
KR20210072653A (ko) 침대 이동 보조 휠체어
CA2206822A1 (en) Improved walking frame
CN210673595U (zh) 背部可稳定抬降的轮椅床
CN113975015B (zh) 一种可分离式一体化多功能护理床椅
CN213963995U (zh) 一种智能多功能轮椅床的四连杆机构角度抬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