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005B1 -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 - Google Patents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005B1
KR101577005B1 KR1020140130309A KR20140130309A KR101577005B1 KR 101577005 B1 KR101577005 B1 KR 101577005B1 KR 1020140130309 A KR1020140130309 A KR 1020140130309A KR 20140130309 A KR20140130309 A KR 20140130309A KR 101577005 B1 KR101577005 B1 KR 101577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band
bag
finish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호
Original Assignee
정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호 filed Critical 정윤호
Priority to KR1020140130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005B1/ko
Priority to CN201410610724.8A priority patent/CN105615201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4Stays or supports for holding lids or covers ope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납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몸체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덮개는 내측면에 연결띠가 구비되되, 상기 연결띠는 하측부분이 상기 몸체의 후면을 후방에서 전방쪽으로 관통한 후 상측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덮개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A Bag having replacement Cover}
본 발명은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몸체로부터 덮개와 손잡이 등을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외출 또는 여행시에 그 내부에 소지품들을 수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소지품들의 휴대를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현대인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물품이다.
사용자는 참석하는 모임의 성격이나 계절 또는 옷차림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색상 및 무늬로 형성된 가방을 적절히 선택하여 구매한다.
이러한 가방들은 한 번 구매하면 유행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계속 그 형태와 디자인 그대로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참석하는 모임들의 분위기가 매번 다르다면 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가방을 소지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려면 구매해야 하는 가방의 개수가 많아져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렇게 구매한 가방의 사용과정 중에 다른 부분에는 전혀 훼손이 발생되지 않고 일부분에만 훼손이 발생된 경우라도 새로운 가방 하나를 구매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출원번호:10-2004-0071313 (공개번호:10-2004-0082369, 발명의 명칭 : 커버 착탈식 가방)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주변 상황이나 기분 및 옷차림 등에 따라 덮개를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덮개와의 호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은 내용물을 수납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몸체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덮개는 내측면에 연결띠가 구비되되, 상기 연결띠는 하측부분이 상기 몸체의 후면을 후방에서 전방쪽으로 관통한 후 상측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덮개의 외측면에는 결합띠에 의해 손잡이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손잡이의 양단에는 연결고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띠의 일단은 덮개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결합띠의 타단은 상기 연결고리를 통과한 후 덮개를 관통하여 덮개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전면과 후면에는 연결띠가 부착된 손잡이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연결띠는 일단이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한 후 상기 몸체의 전면과 후면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좌측면과 우측면이 수용공간의 안쪽을 향하여 세로방향으로 절곡되고, 이 몸체의 좌측면과 우측면의 세로방향 절곡상태를 각각 유지시키기 위하여 제1마감띠와 제2마감띠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마감띠는 일단이 상기 몸체의 후면 좌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몸체의 후면과 좌측면 및 전면을 관통한 후 몸체의 전면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마감띠는 일단이 상기 몸체의 후면 우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몸체의 후면과 우측면 및 전면을 관통한 후 몸체의 전면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마감띠와 제2마감띠는 타단이 상기 몸체의 전면 중앙에서 적층되고, 적층된 제1마감띠와 제2마감띠는 상기 몸체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덮개를 관통한 록버튼에 의해 관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은 덮개와 손잡이 및 마감띠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기분이나 주변상황 등에 따라 다른 분기기와 디자인을 갖는 덮개나 손잡이 및 마감띠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방의 일부분, 즉 덮개나 손잡이 또는 마감띠 등이 훼손되어 교체가 필요할 때 가방 전체를 구입하지 않고 그 일부분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방의 손잡이 설치관계를 보인 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방의 제1마감띠와 제2마감띠 설치관계를 보인 도.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방의 덮개 설치관계를 보인 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가방의 몸체에서 덮개를 분리한 모습을 보인 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가방의 손잡이 설치관계를 보인 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가방의 제1마감띠와 제2마감띠 및 손잡이 설치관계를 보인 도.
도 10 및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가방의 덮개 설치관계를 보인 도.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가방의 몸체에서 덮개를 분리한 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방의 손잡이 설치관계를 보인 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방의 제1마감띠와 제2마감띠 설치관계를 보인 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방의 덮개 설치관계를 보인 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가방의 몸체에서 덮개를 분리한 모습을 보인 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은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200)와, 상기 덮개(2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300)와, 상기 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마감띠(400) 및 제2마감띠(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각종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00a)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다.
이러한 몸체(100)는 전면(110)에 2개의 전방홀(110a)이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후면(120)에 2개의 후방홀(120a)이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좌측면(130)에 2개의 좌측홀(130a)이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우측면(140)에 2개의 우측홀(140a)이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전면(110)에는 상기 덮개(200)를 몸체(100)에 잠가 고정시키거나 잠금을 해제하는 록버튼(Lock Button,111)이 구비되고, 후면(120) 상측에는 2개의 관통홀(120b)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좌측면(130)과 우측면(140)은 상기 수용공간(100a)의 안쪽을 향하여 세로방향으로 부드럽게 절곡된다. 이렇게 좌측면(130)와 우측면(140)이 세로방향으로 절곡되면 좌측면(130)에 형성된 2개의 좌측홀(130a)은 서로 마주보게 되고, 우측면(140)에 형성된 2개의 우측홀(140a) 또한 서로 마주보게 된다. 그리고, 몸체(100)의 좌우측면(130,140)이 세로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가방의 몸체(100)를 측면에서 보면 하단은 넓고 상단은 좁은 형태를 취하게 된다.
상기 덮개(200)는 상기 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몸체(100)의 후면(120)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몸체(100)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한다.
상기 덮개(200)가 몸체(100)에 설치되는 방식은 결합과 분리가 자유로운 방식이라면 어느 방식을 채택해도 무방하다. 즉 몸체(100)의 후면(120) 상부에 암딱단추(또는 수딱단추)를 설치하고 덮개(200)의 후방에 수딱단추(또는 암딱단추)를 설치하여 이 딱단추들을 결합하는 방식도 가능하고, 몸체(100)의 후면(120) 상부에 암벨크로 테잎(또는 수벨크로 테잎)을 설치하고 덮개(200)의 후방에 수벨크로 테잎(또는 암벨크로 테잎)을 설치하여 이 벨크로 테잎들을 결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각 구성부분들의 착탈 방식은 이러한 딱단추 방식이나 벨크로 테잎방식을 비롯한 다양한 방식을 취하므로 이후에 착탈방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덮개(200)는 내측면에 2개의 연결띠(210)와 2개의 D형고리(220)가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연결띠(210)는 두 겹 이상으로 제조되는 덮개(200)의 내부에 중간 부분이 삽입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고 상측부분과 하측부분만 덮개(200)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으로서, 하측부분이 상기 몸체(100)의 후면(120)을 후방에서 전방쪽으로 관통한 후 상측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띠(210)는 하측부분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상기 몸체(100)의 관통홀(120b)을 통과한 후 위쪽으로 절곡되고, 이 절곡된 연결띠(210)의 하측부분이 연결띠(210)의 상측부분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D형고리(220)는 상기 연결띠(210)의 상측 부분을 상기 몸체(100) 쪽으로 절곡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200)는 전방에 삽입홀(200a)이 형성된다. 이 삽입홀(200a)은 상기 몸체(100)의 전면(110)에 구비된 록버튼(111)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록버튼(111)을 상기 삽입홀(200a)에 삽입시킨 후 록버튼(111)의 끝부분을 90도 회전시킴으로써 덮개(200)가 록버튼(1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덮개(200)는 외측면에 2개의 D형고리(230)가 구비됨과 아울러 2개의 통과홀(200b)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앞서 기재한 것과 같이 덮개(200)의 내측면에 구비된 D형고리(220)는 연결띠(210)가 설치되는 부분이지만, 덮개(200)의 외측면에 구비된 D형고리(230)와 통과홀(200b)은 상기 손잡이(30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 부분은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덮개(200)는 몸체(100)에 대한 결합력을 강화하고, 더불어 덮개(200)의 후단 부분이 위쪽으로 들려 미관이 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200)의 후방 중앙 및 양단 부분과 몸체(100)의 후면(120) 상측 중앙 및 양단 부분을 딱단추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시킨다.
상기 손잡이(300)는 결합띠(310)에 의해 상기 덮개(200)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손잡이(300)는 양단에 연결고리(3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띠(310)의 일단은 덮개(200)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결합띠(310)의 타단은 상기 연결고리(320)를 통과한 후 덮개(200)를 관통하여 덮개(200)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결합띠(310)는 일단이 상기 덮개(200)의 외측면에 딱단추와 같은 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덮개(200)의 외측면에 구비된 D형고리(230)를 통과한 후 상기 연결고리(320)를 통과한다. 그 다음 결합띠(310)의 타단은 하측으로 절곡되어 덮개(200)에 형성된 통과홀(200b)을 통과한다. 이후 결합띠(310)의 타단은 딱단추와 같은 방식으로 덮개(200)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띠(310)의 일단, 즉 덮개(200)의 외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은 덮개(200)의 외측면에 형성된 D형고리(230)의 내경보다 그 폭이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띠(310)의 타단을 잡고 잡아당길 때 결합띠(310)의 일단은 D형고리(230)에 걸리게 된다.
상기 제1마감띠(400)는 상기 몸체(100)의 좌측면(130)의 세로방향 절곡상태를 유지시킴과 아울러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몸체(100)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마감띠(400)는 일단이 상기 몸체(100)의 후면(120) 좌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몸체(100)의 후면(120)과 좌측면(130) 및 전면(110)을 관통한 후 몸체(100)의 전면(110)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마감띠(400)는 일단이 딱단추 방식으로 몸체(100)의 후면(120) 좌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몸체(100)의 후면(120) 좌측에 형성된 후방홀(120a)과 몸체(100)의 좌측면(130)에 형성된 2개의 좌측홀(130a) 및 몸체(100)의 전면(110) 좌측에 형성된 전방홀(110a)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몸체(100)의 전면(110)에 돌출 형성되어 덮개(200)를 관통한 록버튼(111)에 의해 관통된다.
상기 제2마감띠(500)는 상기 몸체(100)의 우측면(140)의 세로방향 절곡상태를 유지시킴과 아울러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몸체(100)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2마감띠(500)는 일단이 상기 몸체(100)의 후면(120) 우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몸체(100)의 후면(120)과 우측면(140) 및 전면(110)을 관통한 후 몸체(100)의 전면(110)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마감띠(500)는 일단이 딱단추 방식으로 몸체(100)의 후면(120) 우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몸체(100)의 후면(120) 우측에 형성된 후방홀(120a)과 몸체(100)의 우측면(140)에 형성된 2개의 우측홀(140a) 및 몸체(100)의 전면(110) 우측에 형성된 전방홀(110a)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몸체(100)의 전면(110)에 돌출 형성되어 덮개(200)를 관통한 록버튼(111)에 의해 관통된다.
부연하면, 상기 제1마감띠(400)와 제2마감띠(500)는 타단이 몸체(100)의 전면(110)에 형성된 전방홀(110a)을 통과한 후 몸체(100)의 전면(110) 중앙 부분에서 적층되는데, 이 적층된 제1마감띠(400)와 제2마감띠(500)의 타단 부분이 상기 록버튼(111)에 의해 관통된다. 이 후 록버튼(111)의 끝부분을 90도 회전시켜 제1마감띠(400)와 제2마감띠(500) 및 덮개(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여 설명을 하였고,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가방의 손잡이 설치관계를 보인 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가방의 제1마감띠와 제2마감띠 및 손잡이 설치관계를 보인 도이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가방의 덮개 설치관계를 보인 도이며,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가방의 몸체에서 덮개를 분리한 모습을 보인 도이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은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200)와, 상기 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300)와, 상기 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마감띠(400) 및 제2마감띠(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각종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00a)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다.
이러한 몸체(100)는 전면(110)에 2개의 전방홀(110a)이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후면(120)에 2개의 후방홀(120a)이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좌측면(130)에 2개의 좌측홀(130a)이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우측면(140)에 2개의 우측홀(140a)이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전면(110)에는 상기 덮개(200)를 몸체(100)에 잠가 고정시키거나 잠금을 해제하는 록버튼(Lock Button,111)이 구비됨과 아울러 2개의 끼움홀(110b)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후면(120) 상측에는 2개의 관통홀(120b)이 이격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2개의 끼움홀(120c)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좌측면(130)과 우측면(140)은 상기 수용공간(100a)의 안쪽을 향하여 세로방향으로 부드럽게 절곡된다. 이렇게 좌측면(130)와 우측면(140)이 세로방향으로 절곡되면 좌측면(130)에 형성된 2개의 좌측홀(130a)은 서로 마주보게 되고, 우측면(140)에 형성된 2개의 우측홀(140a) 또한 서로 마주보게 된다. 그리고, 몸체(100)의 좌우측면(130,140)이 세로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가방의 몸체(100)를 측면에서 보면 하단은 넓고 상단은 좁은 형태를 취하게 된다.
상기 덮개(200)는 상기 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몸체(100)의 후면(120)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몸체(100)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한다. 이러한 덮개(200)는 내측면에 2개의 연결띠(210)와 2개의 D형고리(220)가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연결띠(210)는 두 겹 이상으로 제조되는 덮개(200)의 내부에 중간 부분이 삽입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고 상측부분과 하측부분만 덮개(200)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으로서, 하측부분이 상기 몸체(100)의 후면(120)을 후방에서 전방쪽으로 관통한 후 상측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띠(210)는 하측부분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상기 몸체(100)의 관통홀(120b)을 통과한 후 위쪽으로 절곡되고, 이 절곡된 연결띠(210)의 하측부분이 연결띠(210)의 상측부분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D형고리(220)는 상기 연결띠(210)의 상측 부분을 상기 몸체(100) 쪽으로 절곡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200)는 전방에 삽입홀(200a)이 형성된다. 이 삽입홀(200a)은 상기 몸체(100)의 전면(110)에 구비된 록버튼(111)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록버튼(111)을 상기 삽입홀(200a)에 삽입시킨 후 록버튼(111)의 끝부분을 90도 회전시킴으로써 덮개(200)가 록버튼(1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덮개(200)는 전방에 손잡이 삽입홈(200c)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 삽입홈(200c)은 상기 덮개(200)의 전방 끝단에서 시작하여 후방쪽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 손잡이 삽입홈(200c)에 상기 손잡이(300)가 삽입된다. 즉, 손잡이(300)를 잡아 본 발명에 의한 가방을 들어 올리면 손잡이(300)와 덮개(200)가 서로 간섭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 간섭을 없애기 위하여 덮개(200)에 손잡이 삽입홈(200c)을 형성시킨다.
한편, 상기 덮개(200)는 몸체(100)에 대한 결합력을 강화하고, 더불어 덮개(200)의 후단 부분이 위쪽으로 들려 미관이 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200)의 후방 중앙 및 양단 부분과 몸체(100)의 후면(120) 상측 중앙 및 양단 부분을 딱단추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시킨다.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몸체(100)의 전면(110)과 후면(120)에 설치되는데, 이 손잡이(300)에는 연결띠(330)가 부착된다.
상기 연결띠(330)는 일단이 상기 손잡이(3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100)의 전면(110)과 후면(120)을 관통한 후 상기 몸체(100)의 전면(110)과 후면(120)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손잡이(300)의 연결띠(330)는 타단이 상기 몸체(100)의 전면(110)의 끼움홀(110b)과 몸체(100)의 후면(120)에 형성된 끼움홀(120c)을 통과한 후 상측으로 절곡되어 몸체(100)의 전면(110) 내측면과 몸체(100)의 후면(120) 내측면에 각각 딱단추와 같은 체결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더불어 손잡이(300)의 양단 역시 딱단추와 같은 방식으로 몸체(100)의 전면(110)과 몸체(100)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마감띠(400)는 상기 몸체(100)의 좌측면(130)의 세로방향 절곡상태를 유지시킴과 아울러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몸체(100)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마감띠(400)는 일단이 상기 몸체(100)의 후면(120) 좌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몸체(100)의 후면(120)과 좌측면(130) 및 전면(110)을 관통한 후 몸체(100)의 전면(110)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마감띠(400)는 일단이 딱단추 방식으로 몸체(100)의 후면(120) 좌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몸체(100)의 후면(120) 좌측에 형성된 후방홀(120a)과 몸체(100)의 좌측면(130)에 형성된 2개의 좌측홀(130a) 및 몸체(100)의 전면(110) 좌측에 형성된 전방홀(110a)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몸체(100)의 전면(110)에 돌출 형성되어 덮개(200)를 관통한 록버튼(111)에 의해 관통된다.
상기 제2마감띠(500)는 상기 몸체(100)의 우측면(140)의 세로방향 절곡상태를 유지시킴과 아울러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몸체(100)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2마감띠(500)는 일단이 상기 몸체(100)의 후면(120) 우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몸체(100)의 후면(120)과 우측면(140) 및 전면(110)을 관통한 후 몸체(100)의 전면(110)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마감띠(500)는 일단이 딱단추 방식으로 몸체(100)의 후면(120) 우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몸체(100)의 후면(120) 우측에 형성된 후방홀(120a)과 몸체(100)의 우측면(140)에 형성된 2개의 우측홀(140a) 및 몸체(100)의 전면(110) 우측에 형성된 전방홀(110a)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몸체(100)의 전면(110)에 돌출 형성되어 덮개(200)를 관통한 록버튼(111)에 의해 관통된다.
부연하면, 상기 제1마감띠(400)와 제2마감띠(500)는 타단이 몸체(100)의 전면(110)에 형성된 전방홀(110a)을 통과한 후 몸체(100)의 전면(110) 중앙 부분에서 적층되는데, 이 적층된 제1마감띠(400)와 제2마감띠(500)의 타단 부분이 상기 록버튼(111)에 의해 관통된다. 이 후 록버튼(111)의 끝부분을 90도 회전시켜 제1마감띠(400)와 제2마감띠(500) 및 덮개(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100: 몸체 100a: 수용공간
110: 전면 110a: 전방홀
110b: 끼움홀 111: 록버튼
120: 후면 120a: 후방홀
120b: 관통홀 120c: 끼움홀
130: 좌측면 130a: 좌측홀
140: 우측면 140a: 우측홀
200: 덮개 200a: 삽입홀
200b: 통과홀 200c: 손잡이 삽입홈
210: 연결띠 220: D형고리
230: D형고리 300: 손잡이
310: 결합띠 320: 연결고리
330: 연결띠 400: 제1마감띠
500: 제2마감띠

Claims (10)

  1. 내용물을 수납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00a)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몸체(100)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방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는 내측면에 연결띠(210)가 구비되되, 상기 연결띠(210)는 하측부분이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관통홀(120b)을 상기 몸체(100)의 후방에서 전방쪽으로 관통한 후 위쪽으로 절곡되어 상측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덮개(200)의 외측면에는 결합띠(310)에 의해 손잡이(3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손잡이(300)의 양단에는 연결고리(3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띠(310)의 일단은 덮개(200)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결합띠(310)의 타단은 상기 연결고리(320)를 통과한 후 덮개(200)를 관통하여 덮개(200)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는 내측면에 상기 연결띠(210)의 상측 부분을 상기 몸체(100) 쪽으로 절곡시키는 D형고리(2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의 외측면에는 상기 결합띠(310)가 통과되는 D형고리(230)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결합띠(310)의 일단은 그 폭이 상기 D형고리(23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
  5. 내용물을 수납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00a)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몸체(100)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방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는 내측면에 연결띠(210)가 구비되되, 상기 연결띠(210)는 하측부분이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관통홀(120b)을 상기 몸체(100)의 후방에서 전방쪽으로 관통한 후 위쪽으로 절곡되어 상측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몸체(100)의 전면(110)과 후면(120)에는 연결띠(330)가 부착된 손잡이(3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연결띠(330)는 일단이 상기 손잡이(3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100)의 전면(110)과 후면(120)을 관통한 후 상기 몸체(100)의 전면(110)과 후면(120)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의 전방에는 손잡이 삽입홈(200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좌측면(130)과 우측면(140)이 수용공간(100a)의 안쪽을 향하여 세로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좌측면(130)과 우측면(140)의 세로방향 절곡상태를 각각 유지시키는 제1마감띠(400)와 제2마감띠(500)가 몸체(10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띠(400)는 일단이 상기 몸체(100)의 후면(120) 좌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몸체(100)의 후면(120)과 좌측면(130) 및 전면(110)을 관통한 후 몸체(100)의 전면(110)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마감띠(500)는 일단이 상기 몸체(100)의 후면(120) 우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몸체(100)의 후면(120)과 우측면(140) 및 전면(110)을 관통한 후 몸체(100)의 전면(110)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띠(400)와 제2마감띠(500)는 타단이 상기 몸체(100)의 전면(110) 중앙에서 적층되고, 적층된 제1마감띠(400)와 제2마감띠(500)는 상기 몸체(100)의 전면(110)에 돌출 형성되어 덮개(200)를 관통한 록버튼(111)에 의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
KR1020140130309A 2014-09-29 2014-09-29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 KR101577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309A KR101577005B1 (ko) 2014-09-29 2014-09-29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
CN201410610724.8A CN105615201A (zh) 2014-09-29 2014-11-03 具有可替换盖子的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309A KR101577005B1 (ko) 2014-09-29 2014-09-29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005B1 true KR101577005B1 (ko) 2015-12-11

Family

ID=55020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309A KR101577005B1 (ko) 2014-09-29 2014-09-29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77005B1 (ko)
CN (1) CN1056152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045A (ko) * 2017-10-11 2019-04-22 송한림 모듈식 서랍 가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5907B2 (ja) * 1995-03-30 2000-07-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システムにおける油圧ユニット一体型電子制御ユニット
KR200285136Y1 (ko) 2002-03-04 2002-08-13 박희명 덮개 개량형 가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4509A (en) * 1999-07-19 2000-12-26 Zero G Technologies, Llc Ergonomic bookpack
US20060207697A1 (en) * 2005-03-04 2006-09-21 Lori Greiner Configurable travel accessory
CN2896995Y (zh) * 2006-02-07 2007-05-09 田岛科技股份有限公司 背包结构
CN201426465Y (zh) * 2009-03-14 2010-03-24 唐华兴 可更换外观的包
CN201630439U (zh) * 2010-03-11 2010-11-17 王芳 一种真皮拎包
US8475045B2 (en) * 2010-11-12 2013-07-02 Under Armour, Inc. Bag with cover
CN202060161U (zh) * 2011-05-23 2011-12-07 广州市富略商贸有限公司 一种可更换盖头的包具
CN202311683U (zh) * 2011-11-25 2012-07-11 福建保兰德箱包皮具有限公司 一种可调节提带长度的提包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5907B2 (ja) * 1995-03-30 2000-07-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システムにおける油圧ユニット一体型電子制御ユニット
KR200285136Y1 (ko) 2002-03-04 2002-08-13 박희명 덮개 개량형 가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045A (ko) * 2017-10-11 2019-04-22 송한림 모듈식 서랍 가방
KR101978188B1 (ko) * 2017-10-11 2019-08-29 송한림 모듈식 서랍 가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15201A (zh)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17764A1 (en) Luggage
US20150027835A1 (en) Hard luggage case with changeable case portion
JP2015061585A (ja) 内部保持部材を有する手荷物ケース
KR101273423B1 (ko) 트렌스폼 가방
KR101577005B1 (ko)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
KR101333819B1 (ko) 어깨띠 가변형 가방, 그에 사용되는 어깨띠 어셈블리 및 선회 연결형 디바이스
JP3166588U (ja) キャリーバッグに取付可能な鞄
CN107019323A (zh) 分体式运动臂包
KR101437810B1 (ko) 체인저블 핸드백
KR101985281B1 (ko) 플랩 탈부착형 가방
US9841262B2 (en) Linked round carrying bag
KR101501885B1 (ko)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
JP5564671B2 (ja) 身体装着収納具
JP3206706U (ja) リール付きパス・キーケース
JP3118852U (ja) 靴ベラ付携帯式小物入れ
US20150164193A1 (en) Carrying Case with Removable Cover
JP3200681U (ja) ランドセル用サブバッグ
JP4543288B2 (ja) 背負い鞄用背環
US20220287442A1 (en) System to conceal strap attached to a bag
KR102147204B1 (ko) 탈착형 가방
KR102459895B1 (ko) 개량형 원터치 버클
KR101433880B1 (ko) 트렌스폼 가방
JP3221462U (ja) 和装用小物入れ
KR200489365Y1 (ko) 벨트 파우치
JP3058361U (ja) ハンドバックの手ひも取り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