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204B1 - 탈착형 가방 - Google Patents

탈착형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204B1
KR102147204B1 KR1020180108545A KR20180108545A KR102147204B1 KR 102147204 B1 KR102147204 B1 KR 102147204B1 KR 1020180108545 A KR1020180108545 A KR 1020180108545A KR 20180108545 A KR20180108545 A KR 20180108545A KR 102147204 B1 KR102147204 B1 KR 102147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dy
storage
strap
detachab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9932A (ko
Inventor
박선혜
이상빈
Original Assignee
(주)블랭크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랭크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블랭크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80108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204B1/ko
Publication of KR20200029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A45C7/0086Flexible luggage; Hand bag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ble elements which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45Rigid or semi-rigid luggage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ble elements which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가방은 제1 수납부; 및 상기 제1 수납부의 내부에 수용 가능하고, 자력을 통하여 상기 제1 수납부에 탈착 가능한 제2 수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는 각각 서로 탈착 가능한 자성체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상호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함에 따라,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가방을 구현 가능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휴대성 및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탈착이 용이하여 물품의 수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탈착형 가방{DETACHABLE BAG}
본 발명은 탈착형 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수납부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여 사용 목적에 따라 모양 및 구성을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탈착형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모양과 사용 목적 등에 따라 핸드백, 숄더백, 클러치, 백팩, 서류 가방, 캐리어 등으로 나눠질 수 있다.
이 중, 핸드백 또는 숄더백 등은 여성이 간단한 물품을 휴대하기 위한 용도로 제작되기 때문에 크기가 백팩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제작되고, 형태 및 모양이 한정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다양한 물품의 휴대가 어렵고,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불가능하여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방의 외관 형상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다목적 가방이 개발되었다.
다목적 가방은 보자기 형상으로부터 접는 방식을 달리하여 외형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의 경우 가방의 형태는 변화시킬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감소하여 활용적인 측면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다수의 가방이 벨크로 혹은 지퍼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탈착식 가방이 개발된 바 있으나, 이의 경우 벨크로 혹은 지퍼 등의 연결부위가 쉽게 변형 및 파손되고, 연결부위가 가방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미관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사용자는 연결부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다수의 가방을 서로 부착해야만 하기 때문에, 연결부위가 정확히 연결되지 않은 상황이 빈번히 발생되고, 연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실질적으로 가방을 분리하지 않고 사용하거나, 분리된 상태로만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565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탈착 가능한 복수개의 수납부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가방을 구현 가능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휴대성 및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탈착형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가방은 제1 수납부; 및 상기 제1 수납부의 내부에 수용 가능하고, 자력을 통하여 상기 제1 수납부에 탈착 가능한 제2 수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납부는, 내측에 제1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일 측에 상기 제1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수납공간으로 상기 제2 수납부의 출입이 가능한 제1 수납본체; 및 상기 제1 수납본체의 내부에 개재되어 상기 제2 수납부를 미리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1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납부는, 내측에 제2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일 측에 상기 제2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수납공간에 수용 가능한 제2 수납본체; 및 상기 제2 수납본체의 내부에 개재되고, 상기 제1 자성체에 탈착 가능한 제2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납부는, 상기 제1 수납공간에 수용된 상기 제2 수납본체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납부는, 상기 제2 수납본체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에 지지되는 고리형상의 결합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수납본체의 내면에 설치되는 체결핀; 상기 제2 수납본체의 고정 시 상기 결합구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구를 지지하는 걸림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핀에 체결되어 상기 걸림부재를 고정시키는 체결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납부는, 상기 제2 수납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개재되어, 상기 제2 수납본체가 상기 제1 수납본체에 수용될 경우 상기 제1 자성체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제2 수납본체가 상기 제1 수납본체로부터 분리될 경우 상기 제2 자성체에 탈착 가능한 제3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2 수납본체가 상기 제1 수납본체에 수용될 경우, 상기 제1 수납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제1 수납본체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2 개구부를 폐쇄 가능하고, 상기 제2 수납본체가 상기 제1 수납본체로부터 분리될 경우, 상기 제2 수납본체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2 개구부를 폐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납부 또는 상기 제2 수납부에 탈착 가능하고, 내측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스트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수용공간 조절구멍이 형성되고, 일 측에 결합고리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수납부 또는 상기 제2 수납부에 연결 가능한 스트랩 본체; 및 상기 스트랩 본체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용공간 조절구멍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 가능한 수용공간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납부는, 상기 제1 수납본체의 내면에 설치되는 고정핀, 및 상기 제1 수납본체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핀을 향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결합고리의 내측 공간을 통과한 후 상기 고정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고리와 상기 제1 수납본체를 연결 가능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제1 스트랩 연결부; 및 상기 제1 수납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스트랩 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결합고리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내측 공간으로 상기 스트랩 본체가 통과 가능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복수개의 수용공간 조절구멍과 상기 수용공간 조절부재의 결합을 통해 중첩된 상태로 형성된 상기 스트랩 본체와 상기 제1 수납본체를 연결 가능한 제2 스트랩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납부는, 상기 제1 수납본체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핀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용공간 조절구멍 중 적어도 하나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스트랩 본체와 상기 제1 수납본체를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 가능한 제3 스트랩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납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용공간 조절구멍 중 적어도 하나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스트랩 본체와 상기 제2 수납본체를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 가능한 스트랩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는 각각 서로 탈착 가능한 자성체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상호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함에 따라,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가방을 구현 가능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휴대성 및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탈착이 용이하여 물품의 수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수납부는 제2 자성체를 통하여 제1 수납부에 1차적으로 지지되고, 제1 수납부에 구비된 고정부를 통하여 2차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설정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외형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납부는 내측에 자성체가 개재된 커버부를 구비함으로써, 제2 수납부가 제1 수납부에 수용된 경우에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를 제1 수납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제품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커버부가 제1 수납본체의 상단에 걸려 지지되도록 하여 지지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트랩부를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에 각각 구비된 스트랩 연결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수용공간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 가능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가방을 휴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가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가방의 제1 수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가방의 제2 수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제2 수납부의 커버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의 VI-V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가방의 제1 수납부에 구비된 고정부가 제2 수납부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가방의 제2 수납부에 스트랩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가방의 제1 스트랩 연결부 및 제2 스트랩 연결부에 스트랩부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가방의 제1 스트랩 연결부 및 제3 스트랩 연결부에 스트랩부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가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가방의 제1 수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IV-IV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가방의 제2 수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의 (b)는 제2 수납부의 커버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5의 (a)의 VI-V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가방의 제1 수납부에 구비된 고정부가 제2 수납부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가방의 제2 수납부에 스트랩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가방의 제1 스트랩 연결부 및 제2 스트랩 연결부에 스트랩부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가방의 제1 스트랩 연결부 및 제3 스트랩 연결부에 스트랩부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가방(100)(이하 ‘탈착형 가방(100)’이라 함)은 복수개의 수납부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여 사용 목적에 따라 모양 및 구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탈착형 가방(100)에 관한 것으로, 서로 탈착 가능한 복수개의 수납부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수납부는 제1 수납부(110)와, 제1 수납부(110)의 내부에 수용 가능하고, 자력을 통하여 제1 수납부(110)에 탈착 가능한 제2 수납부(12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수납부(110)는 제1 수납본체(111) 및 제1 자성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납본체(111)는 제2 수납부(1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크기로 형성되어 내측에 제2 수납부(120) 및 다양한 물품을 수납 가능한 제1 수납공간(111a)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수납본체(111)의 일 측에는 제1 수납공간(111a)과 연통되는 제1 개구부(111b)가 형성되어 제1 수납공간(111a)으로 제2 수납부(120)의 출입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수납본체(111)는 일면이 개구된 다면체 구조로 형성되고, 외피와 내피, 및 외피와 내피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납본체(111)는 폭과 두께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비율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 개구부(111b)가 형성된 상측으로부터 바닥면이 형성된 하측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수납본체(111)는 이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납본체(111)의 내면에는 종이 혹은 카드 등과 같이 두께가 얇은 물품의 수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납포켓(111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자성체(112)는 제1 수납본체(111)의 내부에 개재되어 제2 수납부(120)에 구비된 후술할 제2 자성체(122)와 자력을 통해 결합되고, 이에 따라 제2 수납부(120)를 제1 수납공간(111a) 내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자성체(112)는 제1 수납본체(111)의 전면 패널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개재되고, 일 측은 N극을 띄고, 타 측은 S극을 띄는 영구자석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자성체(112)는 제1 수납공간(111a)에 수용된 제2 수납부(120)가 제1 수납본체(111)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수납본체(121)가 제1 수납본체(111)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제2 수납본체(121)의 하측으로 물품의 수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수납부(120)는 제2 수납본체(121) 및 제2 자성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납본체(121)는 제1 수납부(1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제1 수납부(110)의 제1 수납공간(111a)에 수용 가능하고, 제2 수납본체(121)의 내측에는 다양한 물품을 수납 가능한 제2 수납공간(121a)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납본체(121)의 일 측에는 제2 수납공간(121a)과 연통되어 물품의 출입이 가능한 제2 개구부(121b)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수납본체(121)는 일면이 개구된 다면체 구조로 형성되고, 외피와 내피, 및 외피와 내피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납본체(121)는 폭과 두께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비율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개구부(121b)가 형성된 상측으로부터 바닥면이 형성된 하측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수납본체(121)는 이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자성체(122)는 제2 수납본체(121)의 내부에 개재되어 제1 수납부(110)에 구비된 제1 자성체(112)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즉, 제2 자성체(122)는 자력을 통해 제1 자성체(112)에 결합되거나, 외력에 의해 제1 자성체(1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수납부(120)는 제1 수납공간(111a) 내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거나, 제1 수납부(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자성체(122)는 제2 수납본체(121)의 전면 패널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개재되고, 일 측은 N극을 띄고, 타 측은 S극을 띄는 영구자석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극을 띄는 제2 자성체(122)의 일 측은 S극을 띄는 제1 자성체(112)의 타 측과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즉, 제1 수납부(110)와 제2 수납부(120)는 각각 서로 탈착 가능한 자성체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상호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함에 따라,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가방을 구현 가능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휴대성 및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탈착이 용이하여 물품의 수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제1 수납부(110)는 제1 수납공간(111a)에 수용된 제2 수납본체(121)를 지지하는 고정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3)는 제1 자성체(112)가 개재된 제1 수납본체(111)의 저면 패널에 대향 배치되는 후면 패널의 내면에 설치되어, 제2 자성체(122)를 통해 제1 수납본체(111)에 전방 측이 고정된 제2 수납본체(121)의 후방 측을 추가로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수납본체(121)의 후방 측 외면에는 고정부(113)에 걸려 지지되는 고리형상의 결합구(1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구(123)는 제2 수납본체(121)의 외면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부(113)는 체결핀(1131), 걸림부재(1132) 및 체결버튼(1133)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핀(1131)은 제1 수납본체(111)의 내면에 설치되어, 일부가 제1 수납공간(111a) 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고, 일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재(1132)는 일부가 제1 수납본체(111)의 내면에 설치되어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제1 수납공간(111a) 내에서 자유롭게 유동 가능한 스트랩(STRAP)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재(1132)는 제2 수납본체(121)의 고정 시 결합구(123)를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결합구(12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구(123)를 지지할 수 있다.
체결버튼(1133)은 체결핀(1131)에 대응되도록 걸림부재(1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고, 일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체결핀(1131)에 체결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체결핀(1131)과의 체결 시 걸림부재(1132)를 제1 수납본체(111)의 내면에 밀착시킴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제2 수납부(120)는 제2 자성체(122)를 통하여 제1 수납부(110)에 1차적으로 지지되고, 제1 수납부(110)에 구비된 고정부(113)를 통하여 2차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설정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외형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수납부(120)는 커버부(124) 및 제3 자성체(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24)는 제2 수납본체(121)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 개구부(121b)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124)는 제2 개구부(121b)를 개폐하는 개폐부위와 내측에 후술할 제3 자성체(125)가 수용되어 제1 수납본체(111)의 외면 혹은 제2 수납본체(121)의 외면에 탈착 가능한 탈착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124)는 제2 수납본체(121)와 동일하게 외피와 내피 및 외피와 내피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24)의 내면에는 종이 혹은 카드 등과 같이 두께가 얇은 물품의 수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보조수납포켓(124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3 자성체(125)는 커버부(124)의 내부에 개재되어, 제2 수납본체(121)가 제1 수납본체(111)에 수용될 경우 제1 자성체(112)에 탈착 가능하고, 제2 수납본체(121)가 제1 수납본체(111)로부터 분리될 경우 제2 자성체(122)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124)는, 제2 수납본체(121)가 제1 수납본체(111)에 수용될 경우, 제1 수납본체(111)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제1 수납본체(111)의 외면에 밀착되어 제2 개구부(121b)를 폐쇄 가능하고, 제2 수납본체(121)가 제1 수납본체(111)로부터 분리될 경우, 제2 수납본체(121)의 외면에 밀착되어 제2 개구부(121b)를 폐쇄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자성체(125)는 커버부(124)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개재되고, 일 측은 N극을 띄고, 타 측은 S극을 띄는 영구자석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S극을 띄는 제3 자성체(125)의 타 측은 N극을 띄는 제1 자성체(112)의 일 측과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즉, 제2 수납부(120)는 내측에 자성체가 개재된 커버부(124)를 구비함으로써, 제2 수납부(120)가 제1 수납부(110)에 수용된 경우에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24)를 제1 수납부(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제품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커버부(124)가 제1 수납본체(111)의 상단에 걸려 지지되도록 하여 지지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탈착형 가방(100)은 스트랩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스트랩부(130)는 제1 수납부(110) 또는 제2 수납부(120)에 탈착 가능하고, 내측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130a)을 형성할 수 있다.
스트랩부(130)는 스트랩 본체(131)와 수용공간 조절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 본체(131)는 미리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수용공간 조절구멍(1311)이 형성되는 유연한 재질의 띠 형태로 형성되고, 제1 수납부(110) 또는 제2 수납부(120)에 연결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랩 본체(131)의 일 측에는 후술할 제1 스트랩 연결부(114)와 연결 가능한 결합고리(1312)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수용공간 조절구멍(1311)에는 후술할 수용공간 조절부재(132)와의 결합이 용이할 수 있도록 일 측에 소정 길이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 조절부재(132)는 스트랩 본체(131)의 일면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수용공간 조절구멍(1311)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수용공간(130a)의 크기를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수용공간 조절부재(132)는 핀의 형태로 형성되고, 스트랩 본체(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트랩부(130)는 스트랩 본체(131)에 설치되어 중첩된 스트랩 본체(131)의 둘레를 감싸, 중첩된 스트랩 본체(131)를 지지하는 밴드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수납부(110) 및 2 수납부에는 스트랩부(130)와 연결 가능한 스트랩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수납부(110)는 제1 스트랩 연결부(114)와 제2 스트랩 연결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랩 연결부(114)는 제1 수납본체(111)의 내면에 설치되어 제1 수납공간(111a)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개의 고정핀(1141)과, 제1 수납본체(111)의 외면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고정핀(1141)을 향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고 결합고리(1312)의 내측 공간을 통과한 후 복수개의 고정핀(1141)에 결합되어 결합고리(1312)와 제1 수납본체(111)를 연결 가능한 고정부재(11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1142)에는 복수개의 고정핀(1141)과 결합 가능한 복수개의 결합공(11421)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각 결합공(11421)에는 각 고정핀(1141)과의 결합이 용이할 수 있도록 일 측에 소정 길이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스트랩 연결부(115)는 제1 수납본체(111)에 설치되어 일 방향을 따라 제1 스트랩 연결부(114)에 연결된 결합고리(1312)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스트랩 연결부(115)는 내측 공간으로 스트랩 본체(131)가 통과 가능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 공간을 통과하여 복수개의 수용공간 조절구멍(1311)과 수용공간 조절부재(132)의 결합을 통해 중첩된 상태로 형성된 스트랩 본체(131)와, 제1 수납본체(111)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수납부(110)는 제3 스트랩 연결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스트랩 연결부(116)는 제1 수납본체(111)의 내면에 설치되어 일 방향을 따라 고정핀(1141)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수용공간 조절구멍(1311) 중 적어도 하나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스트랩 본체(131)와 제1 수납본체(111)를 연결함과 동시에, 수용공간(130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의 (b)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 수납부(120)는 스트랩 결합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 결합부(126)는 커버부(124)의 내면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수용공간 조절구멍(1311) 중 적어도 하나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스트랩 본체(131)와 제2 수납본체(121)를 연결함과 동시에, 수용공간(130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스트랩부(130)를 제1 수납부(110) 및 제2 수납부(120)에 각각 구비된 스트랩 연결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수용공간(130a)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 가능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가방을 휴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탈착형 가방
110. 제1 수납부
111. 제1 수납본체
111a. 제1 수납공간
111b. 제1 개구부
1111. 수납포켓
112. 제1 자성체
113. 고정부
1131. 체결핀
1132. 걸림부재
1133. 체결버튼
114. 제1 스트랩 연결부
1141. 고정핀
1142. 고정부재
11421. 결합공
115. 제2 스트랩 연결부
116. 제3 스트랩 연결부
120. 제2 수납부
121. 제2 수납본체
121a. 제2 수납공간
121b. 제2 개구부
122. 제2 자성체
123. 결합구
124. 커버부
1241. 보조수납포켓
125. 제3 자성체
126. 스트랩 결합부
130. 스트랩부
130a. 수용공간
131. 스트랩 본체
1311. 수용공간 조절구멍
1312. 결합고리
132. 수용공간 조절부재
133. 밴드부

Claims (12)

  1. 제1 자성체 및 제1 수납본체를 포함하는 제1 수납부;
    상기 제1 수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2 수납부; 및
    상기 제1 수납부 또는 상기 제2 수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스트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납부는,
    일 측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수납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 수납본체의 외부에 배치 가능한 제2 수납본체;
    상기 제2 수납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수납본체가 상기 제1 수납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면 상기 제1 자성체와 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상기 제2 수납본체를 상기 제1 수납본체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자성체;
    상기 제2 수납본체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수납본체의 외면 또는 상기 제2 수납본체의 외면에 대향 배치되는 탈착부를 포함하는 커버부;
    상기 탈착부에 배치되고, 상기 탈착부가 상기 제1 수납본체의 외면에 대향 배치되면 상기 제1 자성체와 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상기 탈착부를 상기 제1 수납본체의 외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탈착부가 상기 제2 수납본체의 외면에 대향 배치되면 상기 제2 자성체와 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상기 탈착부를 상기 제2 수납본체의 외면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제3 자성체; 및
    상기 개폐부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트랩부와 결합 가능한 스트랩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부가 상기 제2 수납본체의 외면에 고정되면, 상기 스트랩 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스트랩부는 상기 개폐부와 상기 제2 수납본체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를 지지하는 탈착형 가방.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부는,
    상기 제1 수납본체에 수용된 상기 제2 수납본체를 지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탈착형 가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납부는,
    상기 제2 수납본체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에 지지되는 고리형상의 결합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수납본체의 내면에 설치되는 체결핀;
    상기 제2 수납본체의 고정 시 상기 결합구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구를 지지하는 걸림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핀에 체결되어 상기 걸림부재를 고정시키는 체결버튼;
    을 포함하는 탈착형 가방.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2 수납본체가 상기 제1 수납본체에 수용될 경우, 상기 제1 수납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제1 수납본체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 가능하고, 상기 제2 수납본체가 상기 제1 수납본체로부터 분리될 경우, 상기 제2 수납본체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 가능한, 탈착형 가방.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수용공간 조절구멍이 형성되고, 일 측에 결합고리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수납부 또는 상기 제2 수납부에 연결 가능한 스트랩 본체; 및
    상기 스트랩 본체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용공간 조절구멍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 가능한 수용공간 조절부재;
    를 포함하는 탈착형 가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부는,
    상기 제1 수납본체의 내면에 설치되는 고정핀, 및 상기 제1 수납본체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핀을 향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결합고리의 내측 공간을 통과한 후 상기 고정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고리와 상기 제1 수납본체를 연결 가능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제1 스트랩 연결부; 및
    상기 제1 수납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스트랩 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결합고리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내측 공간으로 상기 스트랩 본체가 통과 가능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복수개의 수용공간 조절구멍과 상기 수용공간 조절부재의 결합을 통해 중첩된 상태로 형성된 상기 스트랩 본체와 상기 제1 수납본체를 연결 가능한 제2 스트랩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탈착형 가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부는,
    상기 제1 수납본체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핀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용공간 조절구멍 중 적어도 하나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스트랩 본체와 상기 제1 수납본체를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 가능한 제3 스트랩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탈착형 가방.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결합부는,
    상기 복수개의 수용공간 조절구멍 중 적어도 하나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스트랩 본체와 상기 제2 수납본체를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 하도록 구성되는 탈착형 가방.
KR1020180108545A 2018-09-11 2018-09-11 탈착형 가방 KR102147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545A KR102147204B1 (ko) 2018-09-11 2018-09-11 탈착형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545A KR102147204B1 (ko) 2018-09-11 2018-09-11 탈착형 가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932A KR20200029932A (ko) 2020-03-19
KR102147204B1 true KR102147204B1 (ko) 2020-08-24

Family

ID=69957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545A KR102147204B1 (ko) 2018-09-11 2018-09-11 탈착형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2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6426A (ja) * 1998-10-13 2000-04-25 Takaishi:Kk かばん
JP3140678B2 (ja) * 1996-03-12 2001-03-05 古河電池株式会社 蓄電池用電極基板へのペースト活物質の自動充填装置
US20050189188A1 (en) * 2004-02-26 2005-09-01 Cory Barnes Protective case for carrying a portable computer within a larger ba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954A (ko) * 2002-12-11 2004-06-18 강철 손가방의 수납구조
JP3140678U (ja) * 2008-01-25 2008-04-03 株式会社協和 ショルダーバッグ
KR20120010262A (ko) * 2009-04-20 2012-02-02 미취 백 엘엘씨 교체가능한 커버를 갖는 핸드백 및 핸드백 맞춤 방법
KR200465652Y1 (ko) 2011-03-02 2013-03-04 류관현 가변 가능한 다목적 휴대용 가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0678B2 (ja) * 1996-03-12 2001-03-05 古河電池株式会社 蓄電池用電極基板へのペースト活物質の自動充填装置
JP2000116426A (ja) * 1998-10-13 2000-04-25 Takaishi:Kk かばん
US20050189188A1 (en) * 2004-02-26 2005-09-01 Cory Barnes Protective case for carrying a portable computer within a larger 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932A (ko)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9541B2 (en) Combination cell phone and eyeglass case
US9480315B2 (en) Convertible purse with interchangeable covers
US8251113B2 (en) Handbag, a system a method for interchanging storage containers
US20150257499A1 (en) Wallet or handbag accessory with interior detachable billfold
US20060207697A1 (en) Configurable travel accessory
US20140352858A1 (en) Purse Having Interchangeable Inner Bags
US11547192B2 (en) Bag organizer systems and methods of assembly
US20110303560A1 (en) Combination Cell Phone and Eyeglass Dedicated Case
US20220031036A1 (en) Travel accessory and method
US20110011503A1 (en) Handbag of Detachable Assembly
US11602205B2 (en) Modular bag assemblies
US20080029565A1 (en) Back pack including front pouch
KR101436890B1 (ko) 가방 수납공간이 분활되게 착탈되는 분할판
KR102147204B1 (ko) 탈착형 가방
CA2646188C (en) Holder for personal items
US9265316B2 (en) Personal electronic device handbag
US2512588A (en) Combination billfold, purse, and pocket case
US20210204677A1 (en) Auto-foldable pouch
KR102196435B1 (ko) 위치 추적기능이 구비된 여행용 지갑
WO2006102585A2 (en) Configurable travel accessory
US20160166029A1 (en) Assembly for convertible carrying bag
US20110120825A1 (en) Bag
KR101985281B1 (ko) 플랩 탈부착형 가방
KR101500641B1 (ko) 다용도 가방
KR200310357Y1 (ko) 다용도 손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