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357Y1 - 다용도 손가방 - Google Patents

다용도 손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357Y1
KR200310357Y1 KR20-2002-0030466U KR20020030466U KR200310357Y1 KR 200310357 Y1 KR200310357 Y1 KR 200310357Y1 KR 20020030466 U KR20020030466 U KR 20020030466U KR 200310357 Y1 KR200310357 Y1 KR 200310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binder
locker
plate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4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관호
Original Assignee
최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관호 filed Critical 최관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3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6Ladies' hand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5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interchangeable elements forming the storage space, e.g. mod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6Ladies' handbags
    • A45C3/08Handbags provided with removable or washable cover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손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화장용구 및 문구용품 등과 같이 부피가 작은 소용품 뿐만 아니라, 다이어리 등과 같은 지류 및 파우치, 지갑의 수납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부가적으로 여러 기능을 하는 사물함 및 기타의 수납수단을 추가하여 이용할 수 있는 다용도 손가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면부와 후면부 및 측면부가 대략 '⊃'자 형태로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면부 내측면에 형성된 사물함과; 접혀지는 베이스플레이트의 내부로 지류 또는 파우치를 철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부 내측면에 탈부착 할 수 있는 바인더 및 낱개고리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꽂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용도 손가방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손가방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기능을 갖는 다수의 사물함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면부 외측면, 전면부 내측면 및 전면부 외측면, 측면부 내측면에 탈부착할 수 있고, 바인더 및 낱개고리를 사용자 목적에 맞게 적절하게 배치시켜,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손가방{Multi-purpose handbag}
본 고안은 다용도 손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화장용구 및 문구용품 등과 같이 부피가 작은 소용품 뿐만 아니라, 다이어리 등과 같은 지류 및 파우치, 지갑의 수납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부가적으로 여러 기능을 하는 사물함 및 기타 수납수단을 추가하여 이용할 수 있는 다용도 손가방이다.
손가방은, 작은 소용품을 넣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소지자의 성별, 연령별, 용도별 등에 따라 그 구조가 다양하다.
이와 같은 손가방은, 대개 단순 수납공간이 확보되는 구조 및 그 개구부를 여닫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지갑과 다이어리 및 필통, 그리고 화장품, 화장용구 등을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게 되며, 어깨용 및 손잡이용 끈을 구비하게 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손가방은 지갑, 다이어리, 필통, 화장품, 화장용구 등을 하나의 공간에 수납하게 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내부를 정돈 상태로 유지할 수가 없게 되며, 따라서 수납물이 뒤섞여 필요 물품을 색출해 내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사용시 진열해야만 하는데 따르는 번거로움 및 장소의 제약이 그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결합된 기능을 갖는 수납수단들도 단순히 하나의 용도에 다른 기능을 추가결합한 형태로서 그 용도 외에는 사용에 제약을 받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불편하다는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를 정돈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내용물이 뒤섞일 우려가 없으며, 따라서 내용물의 색출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가방을 펼치기만 함으로써 내용물이 저절로 진열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른 사용상의 번거로움 및 사용 장소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게 하는 손가방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또, 본 고안은 부피가 작으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공간을 구성하여 화장품, 화장용구 및 문구용품, 다이어리, 지갑 등을 충분히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며, 따라서 화장품, 화장용구 및 문구용품, 다이어리, 지갑 등을 별도로 소지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 이로써 별도 소지에 따르는 부분 분실의 우려를 해소할 수도 있게 하며, 각 공간을 구성하는 사물함, 바인더 및 낱개고리, 꽂이 등은 탈부착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 편의에 적합하게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손가방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의 기본적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도면임.
도 2a 내지 도 2d는 다수의 사물함과 바인더 및 낱개고리가 다양한 양태로 조합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부가요소들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결합수단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부가요소들이 결합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지퍼가 부착된 경우의 예시도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다양한 기능을 하는 사물함내부에 기타 장착물을 설치한 경우의 예시도임.
<주요부호의 설명>
2 베이스플레이트, 4, 74, 74´, 74˝ 사물함, 6 바인더, 8 꽂이, 10 전면부, 12 후면부, 14 측면부, 16 지류, 20 함체, 22 커버, 23 커버결합수단, 30, 32 클램핑바아, 34 개폐클램프, 46 덮개판, 50, 50´, 62 클램프, 60 겉부착판, 61 속부착판, 80 덜렁이판, 88 덜렁이사물함
고안의 개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면부와 후면부 및 측면부가 대략 '⊃'자 형태로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면부 내측면에 형성된 사물함과; 접혀지는 베이스플레이트의 내부로 지류 또는 파우치를 철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부 내측면에 탈부착 할수 있는 바인더 및 낱개고리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꽂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용도 손가방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손가방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기능을 갖는 다수의 사물함을 추가로 포함하여 탈부착 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면부 및 후면부의 장변의 외곽선단부에는 클램핑바아 또는 연결결합수단이 구비되어 부가요소들을 탈부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직업 등에 따라서 요구되는 손가방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연출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특징, 장점 및 구체적 사항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손가방의 기본적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베이스플레이트(2), 사물함(4), 바인더(6) 및 꽂이(8)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는 전면부(10), 후면부(12) 및 측면부(14)가 대략 '⊃'자의 형태로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플레이트(2)는 대략 '⊃'자의 형태로 접을 수 있는 구조로서 두 가지를 고려할 수 있는데, 첫째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2)의 전면부(10)와 측면부(14)의 경계 및 후면부(12)와 측면부(14)의 경계를 안쪽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둘째는, 도 1c에 도시된 것처럼, 전면부(10)와 측면부(14)의 경계 및 후면부(12)와 측면부(14)의 경계를 대략 직각으로 유지하고, 측면부(14)의 중앙부(X)를 도면상에서 아래쪽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2)의 전면부(10), 후면부(12), 측면부(14) 내측면에는 사물함, 바인더, 꽂이를 탈부착시킬 수 있는 착탈수단(R, Q)이 장착될 수 있다(도 3a 참조).
상기 사물함(4)은 부피가 작은 소용물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함체(20) 및 이러한 함체(20)의 개구부를 여닫을 수 있도록 함체(20)의 일측 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함체(20)와 커버(22)의 개구부 개폐수단은 탈착고리(23)나 지퍼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외 다른 개폐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커버(22)에 거울(G, G´)을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c, 도 6a참조). 도 1c는 사물함(4)의 여러 가지 형태에 대한 예들을 도시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물함(4)의 측면에 형성된 홈은 바인더(6)가 장착되는 측면부(14)에 안내레일(R)에 대응하여 탈착시킬 수 있는 사물함홈(R´)이고, 밑면의 홈은 베이스플레이트(2)와 결합시키기 위한 레일홈(R˝)이다(도 1c, 도 4a참조). 원래 바인더(6)가 장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2)의 측면부(14)에 사물함(84)이 장착된 예는 도 2d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사물함(4)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측면부(14) 일측 변부로부터 그 일측 벽면에 상응하는 넓이의 공간을 띄운 위치로 베이스플레이트(2)의 후면부(12) 내측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1b 참조). 따라서, 베이스플레이트(2)가 전체적으로 '⊃'자의 형태로 원활하게 접힐 수 있도록 하고, 베이스플레이트(2)가 '⊃'자의 형태로 접혔을 때, 바인더(6)에 철하여진 지류(16) 및 파우치(T)의 양측면이 상기한 사물함(4) 및 전면부(10) 내측면에 각각 접촉된다. 또한,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물함 및 바인더의 크기와 탈착위치를 조합하여 조절함으로써, 사물함(4)을 베이스플레이트(2)의 측면부(14) 일측 변부에 공간을 두지 않도록 위치시켜, 베이스플레이트(2)를 '⊃'자 형태로 접었을 경우, 바인더(6)에 철하여진 지류(16) 및 파우치(T)의 양측면이 상기한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면부(10) 및 후면부(12) 내측면에 각각 접촉되게 하여, 그 측면부(14)의 너비를 줄일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b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함(4), 바인더 및 낱개고리, 꽂이로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는 같지만, 그 구성요소의 크기와 탈착위치 및 조합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2)가 '⊃'자의 형태로 접혔을 경우, 그 측면부의 너비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물함, 바인더 및 낱개고리, 꽂이는 독립적인 구조로서 착탈수단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손가방은 상기 사물함(4) 이외에 다수의 다른 사물함들을 포함할 수 있다(도 2d 참조).
또한 베이스플레이트(2)의 한 면에 둘 이상의 사물함이 탈부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면부, 측면부 및 후면부에 하나 이상의 사물함이 각 면에 여러 형태로 조합되어 장착될 수 있다. 원래는 바인더(6)가 장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2)의 측면부(14) 내측면에도 사물함(84)을 장착할 수 있는데, 이는 베이스플레이트(2) 측면부(14)에 장착된 안내레일(R)과 대응하는 사물함홈(R´)을 사물함(84) 측면에 형성함으로써 가능하다(도 2d 참조). 상기한 사물함 장착 방법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바인더(6)는 상기한 베이스플레이트(2)의 측면부(14) 내측면에 장착됨으로써 접혀지는 베이스플레이트(2)의 내부로 지류(16) 및 파우치(T)를 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인더(6)는 베이스플레이트(2)의 측면부(14) 내측면에 탈부착 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측면부 (14) 내측면에 안내레일(R)을 형성하고, 바인더(6)의 아랫면에 대응하는 안내홈(L´, L˝)을 형성하여 양자가 맞물려지도록 함으로써 바인더(6)를 베이스플레이트(2)에 장착할 수 있고,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양자를 분리할 수 있다. 거꾸로 안내레일(R)이 바인더(6)의 아랫면에 형성되고, 안내홈이 베이스플레이트(2)의 측면부(14)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인더(6)의 탈부착 방법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인더의 탈부착 위치는 측면부 내측면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면부 내측면 및 후면부 내측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2)의 한 면에 둘 이상의 바인더가 탈부착 장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측면부, 전면부 및 후면부에 하나 이상의 바인더가 각 내측면에 조합되어 장착될 수 있다(도 2b 참조).
상기 바인더를 대체할 수 있는 장착물로 낱개고리(N1, N2, N3, N4, N1´, N2´)가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낱개고리는 측면부 내측면, 전면부 및 후면부 내측면에 탈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바인더와 조합되어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낱개고리(N1, N2, N3, N4, N1´, N2´)는 고정된 크기의 지류 또는 파우치를 이용해야 하는 바인더와는 달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지류 또는 파우치의 크기에 따라 낱개고리의 탈착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지류 또는 파우치의 크기에제약을 받지 않는 유용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인더 및 낱개고리의 탈착위치나 장착각도를 다양하게 하기 위하여, 바인더 및 낱개고리의 측면에 추가로 착탈수단(L´)을 형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꽂이(8)는, 밴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후면부(12) 내측면에 배치되도록 탈부착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며, 그 단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후면부(12) 내측면에 접착 내지 부착됨으로써, 소정 물품(18)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2a 내지 도 2d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함의 위치나 개수는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바인더(6) 및 낱개고리, 꽂이(8, 8´)의 개수나 위치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물함, 바인더 및 낱개고리, 꽂이 등의 착탈수단에 의한 탈부착 방법은 상기 레일홈과 레일바아 뿐 아니라, 암수홈, 암수탈착고리, 벨크로파스너, 힌지, 돗트 등 다양한 방법을 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베이스플레이트(2)의 전면부(10) 및 후면부(12)의 장변 외곽선단부에 한 쌍의 클램핑바아(30, 32), 개폐클램프(34) 및 그 외 연결결합수단이 추가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베이스플레이트(2), 사물함(4), 바인더(6) 및 낱개고리, 꽂이(8)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고, 한 쌍의 클램핑바아(30, 32)는 각각 환봉부(B)와 결합단부(F)가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클램핑 바아(30, 32)의 각 환봉부(B)는 중실체의 환봉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단부(F)는 상기 환봉부(B)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전면부(10) 및 후면부(12) 장변에 개재 상태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단부(F)에는 상기 환봉부(B)와의 경계 부위에서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 개의 장공(H)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클램핑바아는 베이스플레이트 외측단부의 장변부에 등간격의 장공을 직접 뚫어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개폐클램프(34)는 상기 한 쌍의 환봉부(B)의 소정 부위를 감싸서 물 수 있도록 부분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밴딩부와, 이러한 한 쌍의 밴딩부를 연장시키는 연장부로 구성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손가방의 부가요소인 덮개판 (46), 덜렁이판(80), 겉부착판(60) 및 속부착판(61)이 추가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덮개판(46)은 베이스플레이트가 닫힌 '⊃' 자 형태에서 장착하는 것으로, 그 양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클램프(50)에 의해 상기 클램핑바아(30, 32)의 장공(H)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외측을 감싸게 되는 형태로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덮개판(46)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와 같이, 전체적으로 '⊃'자의 형태로 장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핑바아 외 다른 연결결합수단을 적용시킬 수도 있다. 또한, 덮개판(46)의 외측면으로 지퍼에 의해 여닫히는 주머니, MP3플레이어 및 휴대폰 등의 전자제품이 각각 수납될 수 있는 돌출수납부, 그리고 다수의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카드수납부가 각각 형성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덜렁이판(80)은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면부 및 후변부 장변의 외곽선단부에 형성된 클램핑바아(30, 32)에 의해 부착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대응하는 연결수단은 상기 덜렁이판(80) 장변부의 양단부에 형성된 클램프(50´)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덜렁이판(80)은 베이스플레이트(2)와 일체로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덜렁이판의 내측면 및 외측면은 소형지류수납부 및 카드수납부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덜렁이판(80)은 별도의 독립적인 사물함 기능을 갖는 덜렁이사물함(88)으로 대체 가능하다(도 6b 참조).
겉부착판(6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클램프(62) 및 결착구(64)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일측 클램핑바아(32) 및 상기 덮개판(46)에 결합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결착구(64)는 상기 덮개판(46)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된 암수 한 쌍의 요철단추(64´)나 암수 한쌍의 벨크로파스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겉부착판(60)은 베이스플레이트(2)와 일체 (69)로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도 6a 참조). 또한, 상기 겉부착판(60)의 내측면으로 소형지류수납부 및 다수의 카드들을 각각 수납할 수 있는 다른 카드수납부(C)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겉부착판(60) 내측면에 다른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한 겉부착판(60)과 중첩되는 상태로 겹쳐지도록 결합되는 속부착판(61)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속부착판(61)의 내측면에는 다른 지퍼(63)에 의해 여닫히는 주머니 및 항상 일측이 개방되어 있도록 형성되는 다른 주머니(부호생략)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속부착판의 외측면은 다른 카드가 각각 수납될 수 있는 또 다른 카드수납부 및 항상 일측이 개구되는 또 다른 주머니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겉부착판(60)과 속부착판(61)은 서로 겹쳐져 대략 '「 ' 형태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측면부(14)에 상응되는 개구부측 면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전면부(10)에 상응되는 또 다른 면부로 구획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겉부착판(60)과 속부착판(61)의 결합수단은 상기 속부착판(61) 외측면의 요철단추(부호생략)에 대응하는 겉부착판(60) 내측면의 또 다른 요철단추(65, 67)로 고정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 외 지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위에서는 덮개판(46), 덜렁이판(80), 겉부착판(60) 또는 속부착판(61) 등의 구성요소들을 손가방에 탈착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 클램핑바아(30, 32)와 클램프 (50, 50´, 62)를 이용하였으나, 다른 방법으로는 연통형 연결결합수단(Y)과 맞물릴 수 있는 또 다른 연통형 연결수단(Y´)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고정봉을 관통시켜 결합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는 실시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연결결합수단에 의해 탈부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플레이트와 일체로서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베이스플레이트(2)의 소정 측면부(14) 또는, 전면부(10) 및 후면부(12)에 그 양단이 고정되는 손잡이(25)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도 4c 참조).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손가방에 지퍼(76)를 부착함으로써 용이하게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즉, 베이스플레이트(2)의 외곽선단부를 따라서 지퍼(76)를 형성하여 베이스플레이트(2)를 '⊃'자 형태로 접었을 때 손가방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개폐결합수단으로 지퍼 뿐 아니라, 베이스플레이트(2)의 후면부(12) 외곽선단부 상방향으로 돌출된 부분(77)과 전면부 외곽선단부 상방향으로 돌출된 부분(77)이 맞물려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돌출개폐수단을 적용할 수도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76)및 상기 돌출개폐수단을 추가하더라도 베이스플레이트(2)의 전면부(10) 및 후면부(12)의 장변의 외곽선단부를 따라서 클램핑바아(30, 32) 및 연결결합수단을 설치하는데는 지장을 초래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클램핑바아(30, 32) 및 연결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덮개판(46)이나 덜렁이판(80) 및 덜렁이사물함(88), 겉부착판(60) 등을 부착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지퍼(76)가 부착된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손가방에 있어서 기능을 달리 하는 사물함들(4, 74, 74´, 74˝)이 베이스플레이트(2)의 전면부(10), 후면부(12) 및 측면부(14)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다양한 조합으로 부착된 경우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화장품케이스(E), 담배케이스(U), 소형지류보관함(S), 필통 등과 같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기타장착물에 의해 사물함내부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경우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타장착물들은 사물함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사물함(4)과는 독립적인 구조로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2) 전면부(10) 또는 후면부(12) 내측면의 양단변부를 고정시킨 외측판(Z)은 상기와 다른 항상 일측이 개구되는 주머니 및 카드수납부가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베이스플레이트(2)와 외측판(Z) 사이에 형성된 끼우기공간(K)에, 바인더(14) 및 낱개고리에 지류 및 파우치를 삽입하는 대신, 바인더 및 낱개고리에 끼울 수 없는 타공이 안된 다이어리 및 일반 노트의 겉표지 일면을 끼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6a 참조).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손가방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몇몇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상술한 사항은 본 고안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이하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합리적 해석방법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손가방에 의하면, 내부를 정돈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내용물이 뒤섞일 우려가 없으며, 따라서 내용물의 색출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가방을 펼치기만 함으로써 내용물이 저절로 진열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사용상의 번거로움 및 사용 장소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여러 가지 기능을 갖는 사물함, 바인더 및 낱개고리, 꽂이 등의 구성요소를 자유롭게 조합하거나 탈부착위치를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납공간을 넓히기 위하여 덮개판, 덜렁이판 및 덜렁이사물함, 겉부착판 및 속부착판 등과 같은 부가요소들을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는 특징을 지니는 손가방으로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적합하게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Claims (15)

  1. 전면부와 후면부 및 측면부가 대략 '⊃'자 형태로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면부 내측면에 소형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사물함,
    접혀지는 베이스플레이트 내부로 지류 및 파우치를 철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부 내측면에 위치한 바인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면부 내측면에 위치한 꽂이를 포함하는 다용도 손가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자 형태로 접혀질 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면부 외곽선단부와 후면부 외곽선단부가 맞물려 결합할 수 있는 개폐결합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손가방.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결합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면부 및 후면부의 외곽선단부가 맞물려지도록 하는 지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손가방.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결합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면부 및 후면부 장변의 외곽선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클램핑바아와, 상기 클램핑바아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면부 및 후면부의 경계부위에 형성되는 장공이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장공의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클램핑바아와 결합하는 클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손가방.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함은 착탈수단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면부 내측면에 탈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손가방.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착탈수단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부 내측면에 탈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손가방.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그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별도의 낱개고리로 대체 가능하며, 바인더와 낱개고리의 상호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손가방.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면부 내측면, 후면부 외측면, 전면부 내측면, 전면부 외측면, 측면부 내측면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하나 이상의 사물함이 고정되어 형성되거나, 착탈수단에 의하여 탈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손가방.
  9.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부 내측면, 후면부 내측면, 전면부 내측면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하나 이상의 바인더가 고정되어 형성되거나, 착탈수단에 의하여 탈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손가방.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20-2002-0030466U 2001-10-16 2002-10-12 다용도 손가방 KR20031035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63585 2001-10-16
KR1020010063585 2001-10-16
KR1020010063586 2001-10-16
KR20010063586 2001-10-1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227A Division KR100541866B1 (ko) 2001-10-16 2002-10-12 낱개고리와 이를 이용한 다용도 손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357Y1 true KR200310357Y1 (ko) 2003-04-18

Family

ID=266393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227A KR100541866B1 (ko) 2001-10-16 2002-10-12 낱개고리와 이를 이용한 다용도 손가방
KR20-2002-0030466U KR200310357Y1 (ko) 2001-10-16 2002-10-12 다용도 손가방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227A KR100541866B1 (ko) 2001-10-16 2002-10-12 낱개고리와 이를 이용한 다용도 손가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5505363A (ko)
KR (2) KR100541866B1 (ko)
CN (1) CN1589114A (ko)
RU (1) RU2004115113A (ko)
WO (1) WO20030327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3974B1 (en) * 2022-04-20 2023-04-25 Vernon Tosh Modular binder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0785B1 (fr) * 2004-05-25 2006-07-28 Arianex Systemes Sa Classeur a boite compensee
AU2007349231B2 (en) * 2007-03-20 2013-05-16 Creata Direct Pt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ing handbags
KR200484632Y1 (ko) * 2016-06-10 2017-10-11 김상안 헤어브러시 진열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9978U (ja) * 1983-04-26 1984-11-14 株式会社 和気 ノ−トバインダ
JPH0240216U (ko) * 1988-09-13 1990-03-19
JPH0266115U (ko) * 1988-11-09 1990-05-18
US5954170A (en) * 1995-08-31 1999-09-21 Kingport International Corporation Combination organizer and accordion file
JP3609899B2 (ja) * 1996-06-03 2005-01-12 ナカバヤシ株式会社 ケースファイル
JP3052120U (ja) * 1998-03-10 1998-09-14 有限会社 イケハタ バインダ・ファイル・システムノート等簿冊状綴込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3974B1 (en) * 2022-04-20 2023-04-25 Vernon Tosh Modular bind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1866B1 (ko) 2006-01-10
CN1589114A (zh) 2005-03-02
JP2005505363A (ja) 2005-02-24
RU2004115113A (ru) 2005-08-10
WO2003032767A1 (en) 2003-04-24
KR20030031847A (ko) 200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9021A (en) Multipurpose carrying case
US4903745A (en) Wallet with removable clip
US7055564B2 (en) Host organizer with removably attached article
US20060207697A1 (en) Configurable travel accessory
US20060208043A1 (en) Carrier system
US6502951B2 (en) Lighted and content-organizing carrying case
WO2006073985A2 (en) Versatile cellular telephone holder
US5881934A (en) Carrying box for a portable computer
US20180295960A1 (en) Handbag with detachable and interchangeable covers
KR101760809B1 (ko) 다양한 휴대성을 갖는 가방
KR200310357Y1 (ko) 다용도 손가방
CA2646188C (en) Holder for personal items
US7314138B2 (en) Cosmetic planner device and insert strip
US11503888B1 (en) Carrier
WO2006102585A2 (en) Configurable travel accessory
CA1087556A (en) Organizer handbag
KR200482539Y1 (ko) 덮개형 카드 지갑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535249B1 (ko) 간이 데스크 기능을 갖는 휴대용 가방
JP3175901U (ja) 和装用の収納バッグ
KR200198561Y1 (ko) 다기능 휴대 지갑
WO2002035959A1 (en) Binder pouch
JP3058359U (ja) システム手帳
KR200370393Y1 (ko) 핸드폰 케이스가 구비된 가방
KR200316109Y1 (ko) 지갑이 구비된 다이어리
KR200411608Y1 (ko) 다용도 다이어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