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641B1 - 다용도 가방 - Google Patents

다용도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641B1
KR101500641B1 KR20140029888A KR20140029888A KR101500641B1 KR 101500641 B1 KR101500641 B1 KR 101500641B1 KR 20140029888 A KR20140029888 A KR 20140029888A KR 20140029888 A KR20140029888 A KR 20140029888A KR 101500641 B1 KR101500641 B1 KR 101500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bag
bag strap
main body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9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선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29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6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방은, 내부에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전면에 구비되는 제1가방끈과, 상기 본체의 상부 전면에 구비되는 제1버클과, 상기 본체의 상부 배면에서, 상기 제1버클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제2가방끈과, 상기 본체의 상부 배면에서, 상기 제1가방끈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제2버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방끈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어 한쪽 팔이나 어깨에 착용할 수 있는 토트백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쪽 어깨에 착용할 수 있는 배낭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가방{MULTIPURPOSE BAG}
본 발명은 다용도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방끈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의 가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용도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가방은 외출시에 주머니에 넣기 힘든 물건이나 지갑 수첩, 화장품등을 넣어 휴대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가방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취향에 따른 디자인 및 용도에 따라 선택하여 구매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방은 취향, 용도에 따라 구매함으로 인하여 필요한 가방의 개수가 늘어나게 되므로 이는 불필요한 비용의 지출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03-0075127호(발명의 명칭:다용도 가방 겸용 수납함, 공개일자:2003년 09월 22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방끈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어 한쪽 팔이나 어깨에 착용할 수 있는 토트백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쪽 어깨에 착용할 수 있는 배낭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용도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방은, 내부에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전면에 구비되는 제1가방끈과, 상기 본체의 상부 전면에 구비되는 제1버클과, 상기 본체의 상부 배면에서, 상기 제1버클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제2가방끈과, 상기 본체의 상부 배면에서, 상기 제1가방끈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제2버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가방끈 및 상기 제2가방끈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타공되는 복수의 길이조절통공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가방끈은 상기 제1버클에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가방끈은 상기 제2버클에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가방끈은 상기 제2버클에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가방끈은 상기 제1버클에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3버클과, 상기 본체의 하부 타측에 구비되는 제4버클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가방끈은 상기 제3버클에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가방끈은 상기 제4버클에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가방끈은 상기 제4버클에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가방끈은 상기 제3버클에 길이가 조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가방끈과 상기 제2가방끈은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가방끈은 상기 제2버클을 관통하고, 상기 제2가방끈은 상기 제1버클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에 물건을 넣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와 양측부 중 적어도 한 곳에 구비되는 개구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정면 또는 배면에 구비되는 보조가방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방끈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어 한쪽 팔이나 어깨에 착용할 수 있는 토트백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쪽 어깨에 착용할 수 있는 배낭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방의 가방끈이 펼쳐진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보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방의 가방끈을 토트백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버클에 연결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방의 가방끈을 토트백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버클에 연결한 또 다른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방의 가방끈을 배낭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버클에 연결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방의 가방끈을 배낭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버클에 연결한 또 다른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방의 가방끈이 펼쳐진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방은, 본체(100), 제1가방끈(110), 제1버클(130), 제2가방끈(120), 제2버클(140)이 포함되며,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제3버클(150)과 제4버클(16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4버클(130, 140, 150, 160)은 각 가방끈(110, 120)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부(17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관통부(170)를 통과하는 각각의 가방끈(110, 120)이 고정되어 가방끈(110, 12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각각의 가방끈(110, 120)에는 길이조절통공(111, 121)이, 각각의 버클(130, 140, 150, 16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7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제1가방끈(110)과 제2가방끈(120)을 이용하여 토트백(Tote bag)과 배낭으로 모두 활용가능한 특징이 있다.
여기서, 토트백은, 상부가 벌어져 있는 핸드백 등을 통칭하며, 손잡이가 두 개 있으며, 작은 짐이나 신변용품을 넣는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배낭(背囊)은 물건을 넣어서 등에 질 수 있도록 하는 가방을 통칭하며, 일반적으로 2개의 끈이 포함되되, 등산 등의 용도에 따라 착용감 증진을 위한 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먼저, 본체(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본체(100)는 내부에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부재로서, 재질은 가죽, 섬유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수용공간 내부에 물건을 넣을 수 있도록 개구부(101)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개구부(101)는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양측부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개구부(101)에는 예컨대, 지퍼가 설치되어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정면에는 보조가방(102)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보조가방(102)은 배면이나 다른 곳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보조가방(102)에는 자주 꺼내어 사용되는 신용카드나 동전, 명함, 화장품 등을 넣어서 보관할 수 있으며, 예컨대, 지퍼나 벨크로 등을 매개로 개폐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가방끈(110), 제1버클(130), 제2가방끈(120), 제2버클(140), 제3버클(150) 및 제4버클(16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가방끈(110)과 제1버클(130)은 상술한 본체의 상부 전면에 구비되는 부재이고, 상기 제2가방끈(120)과 제2버클(140)은 상술한 본체(100)의 상부 배면에 구비되는 부재이다.
상기 제1가방끈(110)과 제2가방끈(120)은 가죽, 인조가죽, 합성섬유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제1~4버클(130, 140, 150, 160)은 플라스틱, 금속재질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방끈(110)과 제2버클(140)은 본체(100)의 상부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가방끈(120)과 제1버클(130)은 본체(100)의 상부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방끈(110)과 제2가방끈(120), 상기 제1버클(130)과 제2버클(140)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서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3버클(150)과 제4버클(160)은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부재로서, 제3버클(150)에는 제1가방끈(110)과 제2가방끈(120) 중 어느 하나의 가방끈이 연결되고, 제4버클(160)에는 제1가방끈(110)과 제2가방끈(120) 중 나머지 하나의 가방끈이 연결된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제3버클(150)과 제4버클(160)에 연결되는 제1가방끈(110)과 제2가방끈(120)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방끈(110)과 제2가방끈(120)을 본체(100)의 배면 측으로 위치하게 한 상태에서 제3버클(150) 또는 제4버클(160)에 각각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제1가방끈(110)과 제2가방끈(120)이 제3버클(150) 또는 제4버클(160)에 연결되는 경우, 본 발명을 양 어깨와 등에 착용하는 배낭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1가방끈(110)과 제2가방끈(120)이 제1버클(130) 또는 제2버클(140)에 연결되는 경우, 본 발명을 예컨대, 오른손, 오른팔, 오른 어깨에 걸어서 착용하는 토트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방의 가방끈을 버클에 연결하는 4가지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첫 번째 실시예와 두 번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첫 번째 실시예와 두 번째 실시예는 본 발명을 토트백의 용도로 사용하는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방의 가방끈을 토트백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버클에 연결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방의 가방끈을 토트백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버클에 연결한 또 다른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첫 번째 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방끈(110)을 제1버클(130)에 연결하고, 제2가방끈(120)을 제2버클(140)에 연결한 실시예이며, 두 번째 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방끈(110)을 제2버클(140)에 연결하고, 제2가방끈(120)을 제1버클(130)에 연결한 실시예이다.
상기와 같은 첫 번째 실시예와 두 번째 실시예에서 2개의 가방끈(110, 120)이 2개의 버클(130, 140)에 각각 길이가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면, 예컨대, 사용자의 오른손으로 2개의 가방끈(110, 120)을 잡거나, 2개의 가방끈(110, 120)이 2개의 버클(130, 140)에 각각 연결되면서 형성되는 아치형의 공간으로 오른팔과 오른 어깨에 넣어서 걸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세 번째 실시예와 네 번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세 번째 실시예와 네 번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배낭의 용도로 사용하는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방의 가방끈을 배낭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버클에 연결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가방의 가방끈을 배낭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버클에 연결한 또 다른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배면도이다.
세 번째 실시예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방끈(110)을 제3버클(150)에 연결하고, 제2가방끈(120)을 제4버클(160)에 연결한 실시예이며, 네 번째 실시예는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방끈(110)을 제4버클(160)에 연결하고, 제2가방끈(120)을 제3버클(150)에 연결한 실시예이다.
세 번째 실시예와 네 번째 실시예는 제1가방끈(110)과 제2가방끈(120)을 본체(100)의 배면 측으로 이동시켜 제3버클(150)과 제4버클(160)에 각각 연결한다.
특히, 네 번째 실시예는 제1가방끈(110)과 제2가방끈(120)이 교차되도록 제3버클(150)과 제4버클(160)에 연결하여 심미감이 우수하고 개성있게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세 번째 실시예와 네 번째의 실시예에서, 제1가방끈(110)이 제2버클(140)을 관통하여 제3버클(150) 또는 제4버클(160)에 연결되고, 제2가방끈(120)이 제1버클(130)을 관통하여 제3버클(150) 또는 제4버클(16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1가방끈(110)과 제2가방끈(120)이 제2버클(140)과 제1버클(130)을 각각 관통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하는 경우, 본체(100)의 상부를 팽팽하게 유지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어 착용감이 증진될 수 있다.
특히, 본체(100)의 상부에 개구부(101)가 형성되는 경우, 소매치기로부터 본체(100) 내부에 보관된 물품을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에 구비된 4개의 버클(130, 140, 150, 160)에 2개의 가방끈(110, 120)을 상술한 바와 같은 네가지 방법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취향, 필요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가방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본체 101-개구부
102-보조가방
110-제1가방끈 111-길이조절통공
120-제2가방끈 121-길이조절통공
130-제1버클
140-제2버클
150-제3버클
160-제4버클
170-관통부 171-고정부재

Claims (10)

  1. 내부에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전면에 구비되는 제1가방끈과,
    상기 본체의 상부 전면에 구비되는 제1버클과,
    상기 본체의 상부 배면에서, 상기 제1버클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제2가방끈과,
    상기 본체의 상부 배면에서, 상기 제1가방끈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제2버클과,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3버클과,
    상기 본체의 하부 타측에 구비되는 제4버클이 포함되며,
    상기 제1가방끈은 상기 제3버클에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가방끈은 상기 제4버클에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가방끈은 상기 제2버클을 관통하고,
    상기 제2가방끈은 상기 제1버클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가방.
  2. 내부에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전면에 구비되는 제1가방끈과,
    상기 본체의 상부 전면에 구비되는 제1버클과,
    상기 본체의 상부 배면에서, 상기 제1버클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제2가방끈과,
    상기 본체의 상부 배면에서, 상기 제1가방끈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제2버클과,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3버클과,
    상기 본체의 하부 타측에 구비되는 제4버클이 포함되며,
    상기 제1가방끈은 상기 제4버클에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가방끈은 상기 제3버클에 길이가 조절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가방끈과 상기 제2가방끈은 서로 교차되며,
    상기 제1가방끈은 상기 제2버클을 관통하고,
    상기 제2가방끈은 상기 제1버클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가방.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가방끈 및 상기 제2가방끈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타공되는 복수의 길이조절통공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가방.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가방끈은 상기 제1버클에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가방끈은 상기 제2버클에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가방.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가방끈은 상기 제2버클에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가방끈은 상기 제1버클에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가방.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물건을 넣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와 양측부 중 적어도 한 곳에 구비되는 개구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가방.
  10.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정면 또는 배면에 구비되는 보조가방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가방.
KR20140029888A 2014-03-13 2014-03-13 다용도 가방 KR101500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9888A KR101500641B1 (ko) 2014-03-13 2014-03-13 다용도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9888A KR101500641B1 (ko) 2014-03-13 2014-03-13 다용도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0641B1 true KR101500641B1 (ko) 2015-03-09

Family

ID=5302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9888A KR101500641B1 (ko) 2014-03-13 2014-03-13 다용도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6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855B1 (ko) * 2018-04-20 2018-08-10 강태형 메는 가방
KR200495473Y1 (ko) * 2020-12-22 2022-05-31 주식회사 엄마산타 가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6669U (ko) * 1989-12-25 1991-09-02
JP2008054931A (ja) * 2006-08-31 2008-03-13 Kiyoko Kameoka 肩掛けと背負いの両方の機能を有するバッグ
KR20120006327U (ko) * 2011-03-04 2012-09-12 최형욱 들거나 멜 수 있는 손가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6669U (ko) * 1989-12-25 1991-09-02
JP2008054931A (ja) * 2006-08-31 2008-03-13 Kiyoko Kameoka 肩掛けと背負いの両方の機能を有するバッグ
KR20120006327U (ko) * 2011-03-04 2012-09-12 최형욱 들거나 멜 수 있는 손가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855B1 (ko) * 2018-04-20 2018-08-10 강태형 메는 가방
KR200495473Y1 (ko) * 2020-12-22 2022-05-31 주식회사 엄마산타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1441B2 (en) Bag
US20130068804A1 (en) Man-PACK Purse/Backpack Hybrid
US9474356B2 (en) Object holder band
US20080185412A1 (en) Interchangeable holster with removable pockets
US20150366332A1 (en) Convertible backpack
US10881190B2 (en) Backpack
US11547192B2 (en) Bag organizer systems and methods of assembly
US20190246761A1 (en) Purse with Concealable Compartments
KR101609979B1 (ko) 다용도 에코백
KR101731276B1 (ko) 백팩겸용 배낭형 여행가방
KR101500641B1 (ko) 다용도 가방
CN107920641A (zh) 具有管理系统的存储装置以及具有该存储装置的行李系统
US11622588B2 (en) Belt with pockets concealed by flaps
KR101760809B1 (ko) 다양한 휴대성을 갖는 가방
AU2017281613A1 (en) Bag systems
KR200392083Y1 (ko) 하중 분산용 가방
KR101495703B1 (ko) 여행용 가방
US11406170B1 (en) Fully-featured minimalist backpack
KR20070009367A (ko) 분리 가능한 가방
US20160286926A1 (en) Apparatus with Terry Cloth Handle or Strap
JP3207246U (ja) メガネケース付バッグ
US20150173476A1 (en) Cross-body handbag
US7325921B1 (en) Device to hold face-worn eyewear when not in use
US20130186530A1 (en) Apparatus to Convert Wallet to Purse
KR20200033357A (ko) 보조수납부가 구비된 배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