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188B1 - 모듈식 서랍 가방 - Google Patents

모듈식 서랍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188B1
KR101978188B1 KR1020170129322A KR20170129322A KR101978188B1 KR 101978188 B1 KR101978188 B1 KR 101978188B1 KR 1020170129322 A KR1020170129322 A KR 1020170129322A KR 20170129322 A KR20170129322 A KR 20170129322A KR 101978188 B1 KR101978188 B1 KR 101978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module
drawer
case
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1045A (ko
Inventor
송한림
Original Assignee
송한림
주식회사 에스와이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한림, 주식회사 에스와이플러스 filed Critical 송한림
Priority to KR1020170129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188B1/ko
Publication of KR20190041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5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interchangeable elements forming the storage space, e.g.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의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다양한 물건들을 정리하고 수납할 수 있도록 구현함과 아울러, 가방을 탈부착되는 모듈식으로 제공하여 가방 휴대에 따른 편리함과 실용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식 서랍 가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케이스 모듈과; 내측에 물품이 수납 보관되며, 상기 케이스 모듈의 전후방에 설치되는 제1 가방모듈 및 제2 가방모듈을 포함하여 하나의 가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 모듈의 좌우 양측에는 개폐되어 물품을 수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물품 보관용 서랍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 모듈의 내측에는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을 좌우 분리하여 층별로 수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납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서랍 가방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모듈식 서랍 가방{Portable modular bag}
본 발명은 모듈식 서랍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다중의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다양한 물건들을 정리하고 수납할 수 있도록 구현함과 아울러, 가방을 탈/부착되는 모듈식 가방 형태로 제공하여 가방 휴대에 따른 편리함과 실용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식 서랍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파우치, 손가방, 숄더백, 여행용 가방 및 백팩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 크기 및 모양으로 제공되고 있다.
일반 사람들은 가방들 중에서 여행 또는 일상생활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파우치 등에 치약, 칫솔, 로션 및 면도기 등과 같은 많은 물품을 넣어 휴대한다.
이러한 가방은 여러 가지 물품들을 넣어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용도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천이나 가죽으로 외관을 이루는 가방 본체와, 가방 본체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는 두 개의 어깨끈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한국공개특허 제1998-0058412호(1998.10.26. 공개)는 배낭겸용 가방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바퀴와 손잡이대를 장설한 본체와, 본체 전면에 형성시킨 보관실을 여닫게 된 다수의 절곡선을 형성한 덮개와, 덮개의 외부면 좌우에 다수의 조각을 돌기와 연동대로 연동이 되도록 하는 받침을 경첩으로 연결시켜 받침을 본체 전면에 형성시킨 수직홈에 끼운 상태로 덮개를 아래로 회동시켜 본체 하단측에 매설시킨 괘정구로 덮개를 불룩한 모양의 등 받이 형태를 유지시키도록 한 등받이 형성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손잡이대를 길게 인출하여 본체를 끌고 다닐 수 있으며, 산간 오지여행 때에 등받이 형성수단으로 덮개를 등받이형태로 조립하여 짊어질 때 허리받침으로 등에 밀착시킨 상태로 편안히 짊어져 여행할 수 있고, 보조가방의 연결수단으로 보조가방을 임의대로 본체로부터 조립분해 하여, 본체와 보조가방을 함께 또는 본체나 보조가방만을 가지고 여행할 수 있고, 도난방지수단을 구비하여 도난당할 염려가 없고, 보조가방을 여행 휴대 물품이 적을 때에는 가방으로 사용하고 또 여행 휴대물품이 많을 경우에는 보조가방 배낭수단으로 보조가방을 배낭형태로 만들어 등에 짊어지고 편안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국등록실용실안 제20-0276386호(2002.05.010. 실용실안)는 다단식 의류 수납공간을 제공하여 의류의 구김을 방지하도록 하고, 신발 또는 접이식 우산 등의 수납을 용이하도록 하여 이용자에게 상쾌감 및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다단 수납 구조를 갖는 기능성 가방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다수의 구획판을 매개로 구획된 다수의 서랍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그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수용 공간을 갖는 수납프레임과, 서랍 수용 공간에서 인입,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랍과, 수납 프레임의 외면을 감싸며, 운반 가능한 파지 부재가 그 일측에 구비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소정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서랍 수용 공간 및 타측 수용공간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가방은,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속옷, 의류, 기타용품 등을 가지런히 정리할 수 없고 필요한 물품만 꺼내서 사용할 수 없으며, 반면에 수납공간을 구비한 경우에 수납공간이 고정되어 있어, 평상시에 배낭의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여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또한, 서랍 형태의 수납 공간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가방의 수직 폭을 낮추는 경향이 있어, 노트북과 같은 길이를 갖는 내용물은 하단이나 측면 서랍의 폭에 제한을 받게 되어 휴대하기에 불편함이 따랐다.
한국공개특허 제1998-0058412호 한국등록실용실안 제20-0276386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의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다양한 물건들을 정리하고 수납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는 모듈식 서랍 가방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방을 탈부착되는 모듈식으로 제공하여 가방 휴대에 따른 편리함과 실용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식 서랍 가방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가방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모듈식으로 구현하여 사용자의 취향과 선호에 맞추어 휴대용 가방을 다양하게 연출 가능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다양한 수납 공간을 제시하여 물품의 사용 용도에 맞추어 물품 보관이 용이한 모듈식 서랍 가방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정 크기를 갖는 가방의 높이에 한정 없이 서압 공간을 측면에서 빼는 형태에 의해 서랍 공간 폭이 넓어 많은 내용물 휴대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케이스 모듈과; 내측에 물품이 수납 보관되며, 상기 케이스 모듈의 전후방에 설치되는 제1 가방모듈 및 제2 가방모듈을 포함하여 하나의 가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 모듈의 좌우 양측에는 개폐되어 물품을 수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물품 보관용 서랍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 모듈의 내측에는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을 좌우 분리하여 층별로 수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납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서랍 가방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제1, 2 가방모듈과 상기 케이스 모듈은 상호 조립 및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다양한 물품 휴대 및 가방 연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품이 수납 보관되는 제1 가방모듈과; 물품이 수납 보관되는 제2 가방모듈과; 상기 제1,2 가방모듈 사이에 조립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측면에 개폐용 서랍을 갖는 케이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2 가방모듈과 상기 케이스 모듈을 상호 조립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물품 휴대 및 가방 연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방모듈은 물품이 수납되는 가방 본체와; 상기 가방 본체의 전면 상측에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방 덮개와; 상기 가방 본체의 전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가방 덮개를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덮개 체결부; 및 상기 가방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모듈과 상호 조립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모듈 조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조립부는, 상기 가방 본체의 후면 모서리 측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모듈에 슬라이딩으로 조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돌기를 상기 가방 본체에 부착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고정구를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방모듈은 상기 가방 본체의 전방 모서리 외 측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가방 모듈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퍼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방모듈은 일측이 개폐되고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갖는 가방 본체와; 상기 가방 본체의 후방에 고리 형태로 연결 고정되어 사용자가 가방을 메거나 들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멜빵끈과; 상기 가방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모듈과 상호 조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모듈 조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조립부는 상기 가방 본체의 전면 모서리 측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모듈에 슬라이딩으로 조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돌기를 상기 가방 본체에 부착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고정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방모듈은 상기 가방 본체의 전방 모서리 외 측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가방 모듈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퍼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모듈은 사면이 밀폐되고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서 관통 형성되는 개방홀과; 상기 개방홀에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는 물품 보관용 서랍과; 상기 케이스의 전/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2 가방모듈과 각각 상호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모듈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조립체는 상기 케이스의 전.후면 모서리 측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2 가방모듈이 각각 슬라이딩으로 조립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홈 레일과; 상기 가이드 홈 레일을 상기 케이스에 부착 고정하기 위한 레일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은 상기 케이스의 개방홀을 따라 층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은 상기 케이스의 개방홀을 따라 층별로 수납 가능하도록 설치하되, 상기 케이스 모듈의 좌우 양 측면에서 모두 수납 가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모듈은 사면이 밀폐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측면에서 관통 형성되는 개방홀과; 상기 개방홀을 따라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는 물품 보관용 서랍과; 상기 외피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을 층별로 수용하도록 격자 형태의 층별 구조를 갖는 수납프프레임과; 상기 외피의 전/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2 가방모듈을 각각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위한 탈부착 조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프레임은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을 좌우 양측으로 분리 수용하도록 하는 중간에 격자판 구조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프레임은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을 층별로 수납 가능하도록 형성하되, 상기 수납프레임의 하나의 층은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을 전체 수용하는 단일 수납 구조이며, 상기 수납프레임의 하나 이상의 다른 층은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을 좌우 양측으로 분리 수용하도록 하는 격자 형태의 다단 수납 구조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부착 조립부는 상기 케이스의 전/후방 측면 모서리를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1,2 가방 모듈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벨크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중의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다양한 물건들을 정리하고 수납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는 모듈식 서랍 가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방을 탈부착 가능한 모듈식으로 제공하여 가방 휴대에 따른 편리함과 실용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식 서랍 가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가방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모듈식으로 구현하여 사용자의 취향과 선호에 맞추어 휴대용 가방을 다양하게 연출 가능하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다양한 수납 공간을 제시하여 물품의 사용 용도에 맞추어 물품 보관이 용이한 모듈식 서랍 가방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방에 수납 보관되는 물품 등을 가지런히 정리할 수 있으며, 필요한 물품만 꺼내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 공간이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일반 가방으로 휴대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크기를 갖는 가방의 높이에 한정 없이 서랍 공간을 측면에서 빼는 형태에 의해 서랍 공간 폭이 넓어 많은 내용물 휴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식 서랍 가방의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식 서랍 가방을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식 서랍 가방을 보인 전체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식 서랍 가방을 각 모듈로 분해한 측면도 및 평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식 서랍 가방에 따른 제1 가방모듈 및 제2 가방모듈의 모듈 조립부를 보인 평면 및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식 서랍 가방에 따른 케이스 모듈의 모듈 조립체를 보인 평면 및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식 서랍 가방에 따른 케이스 모듈을 보인 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식 서랍 가방에 따른 케이스 모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상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식 서랍 가방의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서랍 가방(100)은 물품이 수납 보관되는 제1 가방모듈(110)과; 물품이 수납 보관되는 제2 가방모듈(120)과; 상기 제1,2 가방모듈(110)(120) 사이에 조립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측면에 개폐용 서랍을 갖는 케이스 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가방모듈(110)은 물품이 수납되는 가방 본체(111)와, 상기 가방 본체(111)의 전면 상측에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방 덮개(112)와, 상기 가방 본체(111)의 전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가방 덮개(112)를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덮개 체결부(113)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가방모듈(110)은 상기 가방 본체(111)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가방모듈(120) 및 케이스 모듈(130)과 상호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모듈 조립부(115)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조립부(115)는 상기 가방 본체(111)의 후면 모서리 측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모듈(130)에 슬라이딩으로 조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15a)와; 상기 가이드 돌기(115a)를 상기 가방 본체(111)에 부착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고정구(115b)를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돌기(115a)는 상기 가방 본체(111)의 후면이 처지지 않도록 측면과 하측으로 "ㄷ" 형태가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 고정구(115b)는 가방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나사 형태든 그 밖의 고정 형태로서, 상기 가이드 돌기(115a)를 고정하는 어떠한 형태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가방 본체(111)의 후방 모서리 외 측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가방 모듈(120)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퍼 연결부(116)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가방모듈(110)은 상기 모듈 조립부(115)에 의해 상기 케이스 모듈(130)과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상기 지퍼 연결부(116)에 의해 제2 가방모듈(120)과 탈부착이 가능하여 휴대가 간편한 가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모듈식 가방의 연출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방모듈(120)은 일측이 개폐되고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갖는 가방 본체(121)와, 상기 가방 본체(121)의 후방에 고리 형태로 연결 고정되어 사용자가 가방을 메거나 들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멜빵끈(123)과, 상기 가방 본체(121)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모듈(130)과 상호 조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모듈 조립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듈 조립부(125)는 상기 가방 본체(121)의 전면 모서리 측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모듈(130)에 슬라이딩으로 조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25a)와; 상기 가이드 돌기(125a)를 상기 가방 본체(121)에 부착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고정구(125b)를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돌기(125a)는 상기 가방 본체(121)의 전면이 처지지 않도록 측면과 하측으로 "ㄷ" 형태가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 고정구(125b)는 가방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나사 형태든 그 밖의 고정 형태로서, 상기 가이드 돌기(125a)를 고정하는 형태이면 족하다.
한편, 상기 가방 본체(121)의 전방 모서리 외 측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가방 모듈(110)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퍼 연결부(127)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제2 가방모듈(120)은 상기 모듈 조립부(125)에 의해 상기 케이스 모듈(130)과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상기 지퍼 연결부(127)에 의해 제1 가방모듈(110)과 탈부착이 가능하여 휴대가 간편한 가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모듈식 가방의 연출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모듈(130)은 사면이 밀폐되고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갖는 케이스(131)와; 상기 케이스(131)의 측면에서 관통 형성되는 개방홀(132)과; 상기 개방홀(132)에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는 물품 보관용 서랍(133)과; 상기 케이스(131)의 전/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2 가방모듈(110)(120)과 각각 상호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모듈 조립체(135)(135A)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31)는 플라스틱 재질의 박스 형태로서, 좌우 측면에는 상기 개방홀(132)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홀(132)의 안쪽 내측으로는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133)을 수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격판(131a)으로 칸 막음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격판(131a)은 층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133)을 층별 구조로 수납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131)에서 개방홀(132)은 케이스(131)의 좌우 양측으로 분리 형성되어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133)이 상기 케이스(131)의 좌우 측면에서 각각 분리 수용되어 더 많은 물품을 분리 보관하는 형태로도 가능하다.
상기 모듈 조립체(135)(135A)는 상기 케이스(131)의 전.후면 모서리 측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2 가방모듈(110)(120)이 각각 슬라이딩으로 조립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홈 레일(135a)과, 상기 가이드 홈 레일(135a)을 상기 케이스(131)에 부착 고정하기 위한 레일 고정구(134b)를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133)은 상기 케이스(131)의 개방홀(132)을 따라 층별로 적층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133)은 상기 케이스(131)의 개방홀(132)을 따라 층별로 수납 가능하도록 설치하되, 상기 케이스 모듈(130)의 좌우 양 측면에서 모두 수납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식 휴대 가방에 따른 케이스 모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상태 예시도로서, 상기 케이스 모듈(140)은 사면이 밀폐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외피(141)와; 상기 외피(141)의 측면에서 관통 형성되는 개방홀(142)과; 상기 개방홀(142)을 따라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는 물품 보관용 서랍(143)과; 상기 외피(141)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143)을 층별로 수용하도록 격자 형태의 층별 구조를 갖는 수납프레임(144)과; 상기 외피(141)의 전/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2 가방모듈을 각각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위한 탈부착 조립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 프레임(144)은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143)을 좌우 양측으로 분리 수용하도록 하는 중간에 격자판(145)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격자판의 바닥에는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143)을 슬라이딩으로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안내레일(146)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납프레임(144)은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143)을 층별로 수납 가능하도록 형성하되, 상기 수납프레임의 하나의 층은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을 전체 수용하는 단일 수납 구조이며, 상기 수납프레임의 하나 이상의 다른 층은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을 좌우 양측으로 분리 수용하도록 하는 격자 형태의 다단 수납 구조로도 형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부착 조립부는 상기 케이스의 전/후방 측면 모서리를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1,2 가방 모듈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벨크로 타입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탑부착 조립부를 벨크로 타입 구조로 설치하되, 물건을 수납 보관하는 물건의 무게 정도를 감안하여 상기 케이스 모듈(140)의 전/후방 전면 전체에 모두 벨크로 타입으로 설치해도 무방하며, 상기 제1.2 가방모듈 및 케이스 모듈을 탈부착 구조로서 다수의 나사 조임 구조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조립하는 형태 또한 가능하다.
또 한편으로는,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은 일측에 별도의 잠금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로는 기계식이나 전자식(지문인식)으로 제공되어 물품 보관용 서랍 내에 수납 보관되는 물품에 따른 분실 위험을 미리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의한 모듈식 서랍 가방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모듈식 서랍 가방(100)에 따른 사용은 제1 가방모듈(110), 제2 가방모듈(120) 및 상기 제1,2 가방모듈(110)(120)을 각각 연결 조립하는 케이스 모듈(130)을 하나의 가방 개체로 조립하여 휴대용 가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가방모듈(110)의 모듈 조립부(115)에 따른 가이드 돌기기(115a)를 상기 케이스 모듈(130)의 전방에 설치된 모듈 조립체(135)에 따른 가이드 홈 레일(135a)에 끼움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제1 가방모듈(110)과 상기 케이스 모듈(130)을 하나로 조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가방모듈(120)의 모듈 조립부(125)에 따른 가이드 돌기기(125a)를 상기 케이스 모듈(130)의 후방에 설치된 모듈 조립체(135A)에 따른 가이드 홈 레일(135a)에 끼움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제2 가방모듈(120)과 상기 케이스 모듈(130)을 하나로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상기 케이스 모듈(130)의 전/후방 전면에 상기 제1,2 가방모듈(110)(120)을 각각 결합 조립하는 것으로, 하나의 가방 개체로 연결된 휴대용 가방(100)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 가방모듈(110)의 후방 모서리 외 측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된 지퍼 연결부(116)와, 상기 제2 가방모듈(120)의 전방 모서리 외 측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된 지퍼 연결부(127)를 상호 연결하여 탈부착하는 것으로서, 제1 가방모듈(110)과 제2 가방모듈(120)로만 조립된 휴대용 가방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상기 케이스 모듈(130)의 측면에서 보관 및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133)을 통해서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물품들로 분리 보관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물품의 위치를 확인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이 상기 케이스 모듈의 좌우 측면에 나뉘어 분리 사용됨과 아울러, 층별로 제공되어 더 많은 보관물을 적층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듈식 서랍 가방에서 측면의 서랍 형태는 일정 높이의 가방의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서랍 공간을 측면에서 빼는 형태에 의해 서랍 공간 폭이 넓어 더 많은 내용물 휴대를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가방 전방에서 빼는 형태의 서랍 형태보다는 측면에서 열리는 측면 형태의 서랍 구조가 가장 바람직한 구조 형태이다.
이상과 같이 모듈식 서랍 가방을 통해서 다중의 수납공간을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모듈식 가방을 각각 분리 및 조립하는 것으로서, 가방 휴대에 따른 편리함과 실용성 및 사용자의 개성에 맞는 가방 패션을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모듈식 서랍 가방
110 : 제1 가방모듈
111 : 가방 본체
112 : 가방 덮개
113 : 덮개 체결부
115 : 모듈 조립부
115a : 가이드 돌기
115b : 가이드 고정구
116 : 지퍼 연결부
120 : 제2 가방모듈
121 : 가방 본체
123 : 멜빵끈
125 : 모듈 조립부
125a : 가이드 돌기
125b : 가이드 고정구
127 : 지퍼 연결부
130, 140 : 케이스 모듈
131, 141 : 케이스
132, 142 : 개방홀
133, 143 : 물품 보관용 서랍
135 : 모듈 조립부
135a : 가이드 홈 레일
135b : 레일 고정구
144 : 수납프레임
145 : 격자판

Claims (17)

  1. 내측에 물품이 수납 보관되는 제1 가방모듈 및 제2 가방모듈과, 상기 제1,2 가방모듈 사이에 조립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좌우 측면에는 개폐되어 물품을 수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물품 보관용 서랍을 갖는 하나의 케이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2 가방모듈과 상기 케이스 모듈을 상호 조립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물품 휴대 및 가방 연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모듈식 서랍 가방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방모듈은 물품이 수납되는 가방 본체와; 상기 가방 본체의 전면 상측에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방 덮개와; 상기 가방 본체의 전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가방 덮개를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덮개 체결부; 및 상기 가방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모듈과 상호 조립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모듈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방모듈은 일측이 개폐되고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갖는 가방 본체와; 상기 가방 본체의 후방에 고리 형태로 연결 고정되어 사용자가 가방을 메거나 들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멜빵끈과; 상기 가방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모듈과 상호 조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모듈 조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모듈은 사면이 밀폐되고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서 관통 형성되는 개방홀과; 상기 개방홀에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는 물품 보관용 서랍과; 상기 케이스의 전/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2 가방모듈과 각각 상호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모듈 조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 모듈의 내측에는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을 좌우 분리하여 층별로 수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납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프레임은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을 층별로 수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납프레임의 하나의 층은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을 전체 수용하는 단일 수납 구조이며, 상기 수납프레임의 하나 이상의 다른 층은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을 좌우 양측으로 분리 수용하도록 하는 격자 형태의 다단 수납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은 일측에 물품 보관용 서랍 내에 수납 보관되는 물품에 따른 분실 위험을 미리 차단하도록 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더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2 가방모듈은, 상기 가방 본체의 전방 모서리 외 측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퍼 연결부를 더 가지며, 상기 제1,2 가방모듈의 각 지퍼 연결부를 상호 연결하여 탈부착하는 것으로서, 제1 가방모듈과 제2 가방모듈로만 조립된 휴대용 가방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케이스 모듈의 전/후방 전면에 상기 제1,2 가방모듈을 각각 결합 조립하는 것으로, 하나의 가방 개체로 연결된 휴대용 가방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모듈식 서랍 가방에서 측면의 서랍 형태는 일정 높이의 가방의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서랍 공간을 측면에서 빼는 형태에 의해 서랍 공간 폭이 넓어 더 많은 내용물 휴대를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서랍 가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방모듈과 제2 가방모듈의 모듈 조립부는,
    상기 가방 본체의 후면 모서리 측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모듈의 모듈 조립부에 슬라이딩으로 조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돌기를 상기 가방 본체에 부착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고정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모듈의 모듈 조립부는,
    상기 케이스의 전.후면 모서리 측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2 가방모듈의 가이드 돌기가 각각 슬라이딩으로 조립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홈 레일과; 상기 가이드 홈 레일을 상기 케이스에 부착 고정하기 위한 레일 고정구를 포함하여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방 본체의 후면이 처지지 않도록 측면과 하측으로 "ㄷ"자형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서랍 가방.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모듈은
    사면이 밀폐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측면에서 관통 형성되는 개방홀과;
    상기 개방홀을 따라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는 물품 보관용 서랍과;
    상기 외피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을 층별로 수용하도록 격자 형태의 층별 구조를 갖는 수납프레임과;
    상기 외피의 전/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2 가방모듈을 각각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위한 탈부착 조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 프레임은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을 좌우 양측으로 분리 수용하도록 하는 중간에 격자판 구조로 형성하되, 격자판의 바닥에는 상기 물품 보관용 서랍을 슬라이딩으로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안내레일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서랍 가방.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70129322A 2017-10-11 2017-10-11 모듈식 서랍 가방 KR101978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322A KR101978188B1 (ko) 2017-10-11 2017-10-11 모듈식 서랍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322A KR101978188B1 (ko) 2017-10-11 2017-10-11 모듈식 서랍 가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045A KR20190041045A (ko) 2019-04-22
KR101978188B1 true KR101978188B1 (ko) 2019-08-29

Family

ID=6628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322A KR101978188B1 (ko) 2017-10-11 2017-10-11 모듈식 서랍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1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684B1 (ko) * 2014-11-14 2015-11-27 이상미 탈착 가방을 구비한 캐리어 가방
KR101577005B1 (ko) * 2014-09-29 2015-12-11 정윤호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412A (ko) 1996-12-30 1998-10-07 김영환 적층형 멀티 칩 모듈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1156437A (ja) * 1997-08-25 1999-03-02 Kimimori Saitou マルチスライド式のフルオープン型引き出しを設けた 多区分収納式ハンドバッグ
KR200276386Y1 (ko) 2001-12-31 2002-05-22 김태경 다단 수납 구조를 갖는 기능성 가방
KR200470122Y1 (ko) * 2011-08-09 2013-11-28 롯데쇼핑주식회사 여행용 가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005B1 (ko) * 2014-09-29 2015-12-11 정윤호 교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된 가방
KR101569684B1 (ko) * 2014-11-14 2015-11-27 이상미 탈착 가방을 구비한 캐리어 가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045A (ko) 201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8042B2 (en) Backpack
US20160100661A1 (en) Compartments for Tool Bags
US20060196744A1 (en) Discrete organizers for a travel bag
CA2635328C (en) Luggage bag with detachable divider
US20070164064A1 (en) Convertible storage bag
US20100108731A1 (en) Backpack with side access
US9480315B2 (en) Convertible purse with interchangeable covers
US20060207697A1 (en) Configurable travel accessory
CA2805790C (en) Carrying cases having a hard shell compartment and a soft shell compartment
CA2489691A1 (en) Wheeled backpack
US20200121062A1 (en) Configurable bag having faceplates
US20160095400A1 (en) Shoe Carrying Device
US20130068804A1 (en) Man-PACK Purse/Backpack Hybrid
JP3212142U (ja) バックパック兼用リュックサック型旅行鞄
EP3181004B1 (en) Adjustable length strap
KR101436890B1 (ko) 가방 수납공간이 분활되게 착탈되는 분할판
KR101760809B1 (ko) 다양한 휴대성을 갖는 가방
KR101978188B1 (ko) 모듈식 서랍 가방
US20220175119A1 (en) Organized Backpack
US11206907B2 (en) Holding structure for bag pocket system
US8469249B2 (en) Cart attachment for a backpack
KR20040106204A (ko) 배낭
US20160332782A1 (en) Carrier for a Helmet
US20180192755A1 (en) Luggage Containing Handle Assembly in a Cover
CA2653277C (en) Backpack with side ac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