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842B1 -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 - Google Patents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842B1
KR101576842B1 KR1020140047188A KR20140047188A KR101576842B1 KR 101576842 B1 KR101576842 B1 KR 101576842B1 KR 1020140047188 A KR1020140047188 A KR 1020140047188A KR 20140047188 A KR20140047188 A KR 20140047188A KR 101576842 B1 KR101576842 B1 KR 101576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ed
knitted fabric
yarn
fabr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0027A (ko
Inventor
다쓰야 고스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130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being specifically extensible by reason of its structure or arrangement, e.g. by reason of the chemical na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41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thermoplastic; thermosett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Shape features
    • D10B2403/033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31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with one or more convex or concave portions of limited extension, e.g. domes or pouch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4Floor or wall coverings; Carpe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8Upholstery, matt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구성)
상대적으로 수축성이 높은 제1실에 의하여 편성되고 편성후에 수축시킨 편성포와, 제2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를 구비하고, 제1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와, 제2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서로 마주 향하고 또한 서로 연결되어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를 구성한다. 제1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와 제2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와의 수축성의 차이에 의하여 제1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는 오목하게 되고, 제2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는 볼록하게 된다. 그리고 제2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다층편성포의 표면측에 볼록하게 나타나고 제1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다층편성포의 이면측에 오목하게 나타나는 제1부분과, 제2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다층편성포의 이면측에 볼록하게 나타나고 제1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다층편성포의 표면측에 오목하게 나타나는 제2부분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효과)
명료한 요철을 구비하는 다층편성포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MULTILAYER KNITTED FABRIC HAVING CONCAVITY AND CONVEXITY}
본 발명은 다층편성포(多層編成布)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1(JP2004-107800)은, 표리(表裏)의 편성포 사이에 연결사(連結絲)를 턱(tuck)에 의하여 삽입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삽입된 연결사는 표리의 편성포의 간격을 넓히려 하기 때문에 요철(凹凸)이 있는 다층편성포가 얻어진다. 특허문헌2(JPU Sho52-108377)에서는, 표면 편성포와 이면 편성포를 상하양단과 좌우양단으로 접합시킨 자루편성포에 있어서 표면 편성포와 이면 편성포의 재질이 다르게 하는 것과, 표면 편성포와 이면 편성포 사이에 부피가 큰 실을 다량으로 삽입함으로써 자루편성포를 부풀어 커지게 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 JP2004-107800 ; JPU Sho52-108377
특허문헌1, 2의 다층편성포는, 편성포 사이에 삽입된 실이 표리의 편성포를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펴서 넓히려고 하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다층편성포는 부피가 커서, 볼록한 이면은 볼록하게 되고, 오목한 이면은 오목하게 된다. 또한 편성포의 요철(凹凸)을 충분히 크게 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실을 표리의 편성포 사이에 삽입하여야만 한다.
발명자는 이에 대하여, 표리의 편성포 사이에 삽입된 실의 탄성력에 의존하지 않고 요철을 발생하는 다층편성포를 개발하는 것을 검토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발명자는 보조적인 과제로서 단단하고 장력(張力)이 있으며, 사람의 체중 등이 가해져도 요철을 유지하는 다층편성포를 검토했다. 본 발명에서의 과제는 이하의 점에 있다.
· 표리의 편성포 사이에 삽입된 실의 탄성력에 의존하지 않고 요철을 실현하는 것.
· 표리의 편성포 사이에 삽입하는 실의 양을 줄여서 단시간에 다층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다층편성포가 더 명료한 요철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
· 볼록한 이면은 오목하게 되고, 오목한 이면은 볼록하게 되도록 하여 다층편성포 자체의 부피를 작게 하는 것.
본 발명에서의 보조적인 과제는, 단단하고 장력이 있어 변형되기 어려운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서의 다른 보조적인 과제는, 요철에 의하여 결합된 다층편성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서의 또 다른 보조적인 과제는, 원하는 위치에 볼록하게 나타나는 다층편성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성질이 서로 다른 적어도 2종류의 실로 이루어지는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수축성이 높은 제1실에 의하여 편성되고, 편성후에 수축시킨 편성포와,
상대적으로 수축성이 낮은 제2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와, 상기 제2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서로 마주 향하고 또한 서로 연결되어 다층편성포를 구성하고,
상기 제1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와, 상기 제2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연결되고 또한 수축성에 차이가 있음으로써 상기 제1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오목하게 되고, 상기 제2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볼록하게 되며,
또한 상기 제2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다층편성포의 표면측에 볼록하게 나타나고 또한 그 이면측에 상기 제1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오목하게 나타나는 제1부분과, 상기 제2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다층편성포의 이면측에 볼록하게 나타나고 또한 그 표면측에 상기 제1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오목하게 나타나는 제2부분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실과 제2실이 함께 수축사이더라도 좋지만, 수축률의 차이를 크게하기 위하여 제1실은 수축사이고, 상기 제2실은 비수축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축사에는, 탄성율이 낮고 신축(伸縮)하기 쉬운 탄성사(彈性絲), 탄성사와 유사하고 장력을 제외하면 권축되는 권축사(捲縮絲), 가열에 의하여 수축되는 열수축사(熱收縮絲) 등이 있다. 이 명세서에서는 권축사를 탄성사에 포함시켜서 탄성사를 편성에 사용하면, 편성기로부터 탄성사에 가해지는 장력 때문에 탄성사는 늘어나게 되어, 편성포도 늘어나게 된 상태에서 편성된다. 그리고 다층편성포를 편성기로부터 분리하면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수축된다. 또한 열수축사를 편성에 사용하여 편성후에 가열해서 열수축시키면, 열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수축된다. 여기에서 수축사 등의 제1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와, 비수축사 등의 제2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오목하게 되며, 제2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볼록하게 되도록 요철이 발생된다. 이 때문에 표리의 편성포 사이에 삽입된 실의 탄성력에 의존하지 않고,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가 얻어진다. 그리고 도4, 도6,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층편성포는 확실한 요철을 구비하고 있으며, 쿠션성(cushion性)과 통기성(通氣性)이 높다. 또한 다층편성포에서의 볼록한 이면은 오목, 오목한 이면은 볼록으로서, 다층편성포 자체는 얇고 경량이다. 표리의 편성포를 더 펴서 넓힐 정도의 연결사를 삽입할 필요가 없이, 단시간에 편성할 수 있어서 편성효율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비수축사 등의 제2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는 볼록하게 되며, 수축사 등의 제1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는 오목하게 되어, 다층편성포의 표리양면에 요철이 나타난다. 그리고 표면측에서의 볼록부의 정점(頂点)과, 표면측에서 볼록부에 인접하는 오목부의 밑바닥과의 간격이 다층편성포에 있어서의 요철의 높낮이 차이가 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다층편성포에서는 요철의 높낮이 차이를 크게 할 수 있다. 다층편성포의 표면측에서 볼록하게 되는 부분을 제1부분, 표면측에서 오목하게 되는 부분을 제2부분으로 하고,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서로 인접한다. 제1부분과 제2부분은 편성포의 코스방향과 서로 인접하더라도 좋고, 웨일방향과 서로 인접하더라도 좋고 혹은 코스방향과 웨일방향의 쌍방과 서로 인접하더라도 좋다. 코스방향과 웨일방향의 쌍방에서 서로 인접하면 예를 들면 제1부분의 주위는 제2부분이 되며, 제2부분의 주위는 제1부분이 된다. 이에 대하여 종래의 스페이서 패브릭(spacer fabric)의 대부분은 볼록부의 그 이면측의 편성포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볼록부의 그 이면측의 편성포에도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과 동일한 높낮이 차이를 얻기 위해서는 더 큰 볼록부가 필요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실은 수축사이고 상기 제2실은 비수축사이며, 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와 비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연결사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연결사는, 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수축되면, 비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를 그것에 따라 변형시킴으로써 요철을 발생시킨다.
더 바람직하게는 연결사가 열융착사로 구성되고 또한 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와 비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에 연결사가 융착 되어 있다. 이러한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에서는, 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의 스티치도, 비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의 스티치도, 열용착사가 용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를 임의의 형상으로 마름질하더라도 스티치가 풀리는 일이 없다. 따라서 마름질후의 후처리가 불필요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실은 수축사이고 상기 제2실은 비수축사이며, 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로부터 비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에 턱 되거나 혹은 비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로부터 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에 턱 되어 있게 함으로써, 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와 비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연결되어 있다. 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와 비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는 턱에 의하여 연결 되어 있기 때문에, 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수축되면, 비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도 변형되어 요철이 발생된다. 또한 연결사가 없이 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와 비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를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다층편성포의 편성을 단시간에 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비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를 열융착사로 구성한다.
연결사 혹은 비수축사를 비탄성이고 또한 열수축이 적은 열융착사 로 구성하면, 편성후에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를 가열한 후에 열을 제거함으로써, 열융착사가 융착되어 다층편성포가 단단해진다. 이 때문에 체중 등의 하중이 가해져도 요철이 유지되고, 또한 다층편성포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면 그 형상이 유지되게 된다.
예를 들면 편성포는,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코스방향 혹은/및 웨일방향으로 교대로 반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1개 혹은 복수의 다층편성포를 제1부분과 제2부분으로 다층편성포에 형성된 요철에 의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결합부에서의 오목한 곳의 깊이를 돌기(突起)의 높이보다 크게 하면 결합이 강고하게 된다. 결합은 1매의 편성포를 그 양단(兩端) 등에서 결합하더라도 좋고 혹은 2매의 편성포를 결합하더라도 좋다. 결합에 의하여 다층편성포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고 또한 입체적인 형상을 줄 수도 있다. 이 결합은 분리도 자유자재로, 지퍼(zipper)도 버튼(button)도 사용하지 않고 편성포를 결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결합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파도 모양의 요철을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한다. 그렇게 하면 마루와 마루가 결합부의 길이방향으로 맞물려 결합이 더 강고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제1부분(볼록)과 제2부분(오목)이 다층편성포가 지지하는 대상 예를 들면 인체에 맞추어 배치되어 있다. 다층편성포를 매트, 의자의 좌면, 등받이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 제1부분과 제2부분을 인체에 맞추어 배치하면 사용 느낌이 좋다. 예를 들면 매트의 경우에 어깨뼈, 허리의 부분을 볼록하게 하면 경혈(經穴)을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또한 손을 두는 부분을 오목하게 하면 매트에 대한 자세가 안정된다. 인체 등에 맞추기 위하여 다층편성포의 요철과 그 높이를 사용자에 맞게 디자인하고 예를 들면 1품 생산으로 제조한다. 또 인체에 따른 요철이 아니라 단지 요철이 반복되는 것만의 경우에도, 사람의 위치가 변화되면 매트에 눌리는 부분이 변화되기 때문에 욕창(褥瘡)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부분과 주위의 제2부분과의 높이의 차이가, 편성포가 지지하는 대상에 맞추어 변화된다. 그렇게 하면 예를 들면 인체에 의하여 피트 되는 형상의 매트, 등받이, 좌면 등이 얻어진다. 제1부분의 높이, 제2부분의 오목의 깊이는, 제1부분의 사이즈, 제2부분의 사이즈 혹은 실의 재질 등에 의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
[도1] 제1실시예에 있어서,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의 편성방법과, 편성기상에서의 다층편성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2] 편성기의 니들베드로부터 분리했을 때의 다층편성포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3] 제2실시예에 있어서,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의 편성방법과, 편성기상에서의 다층편성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4] 제1실시예를 응용한 서포터의 사진으로서,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에서는 열융착사가 연결사로 사용되고, 연결사를 서모세트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5] 도4의 서포터의 구조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6] 제2실시예를 응용한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의 겉감의 사진으로, 열융착사가 비탄성사로서 사용되고, 열융착사를 서모세트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7] 도6의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의 안감의 사진으로서, 마찬가지로 열융착사를 서모세트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8] 서모세트에 사용되는 금형의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9] 실시예의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를 사용한 매트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10] 실시예를 응용한 매트의 사진
[도11] 실시예를 응용한 쿠션의 사진
[도12] 도11의 쿠션의 단부의 사진
[도13] 실시예를 응용한 장식물의 사진
[도14] 도13의 장식물의 결합부의 사진
[도15] 실시예를 응용한 등받이와 좌면을 구비하는 의자의 사진
[도16] 도15의 의자의 이면 상부의 사진
[도17] 도15의 의자에서의 좌면의 사진
이하에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도1∼도9에, 실시예의 요철(凹凸)이 있는 다층편성포(多層編成布)의 편성방법과, 요철을 발생하는 기구(機構) 및 다층편성포의 사진을 나타낸다. 또 적어도 표면 편성포(表面 編成布)를 형성하는 층과 이면 편성포(裏面 編成布)를 형성하는 층을 구비하고, 이들 표면 편성포와 이면 편성포가 연결되어 있는 편성포를 다층편성포라고 한다. 표면 편성포와 이면 편성포를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사(連結絲)의 층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3층의 다층편성포가 된다. 다층편성포는 2층 혹은 3층에 한정되지 않고 4층 이상이더라도 상관없다. 도1은, 최초의 실시예에서의 다층편성포의 편성방법과, 편성기(編成機)상에서의 다층편성포의 구조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전후(前後)에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 혹은 내외(內外)에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환편기(丸編機 ; circular knitting machine)를 사용하여 다층편성포를 편성한다. 다층편성포는, 비탄성사(非彈性絲)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4)를 편성하는 스텝(S1)과, 탄성사(彈性絲)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를 편성하는 스텝(S2) 및 편성포(4, 5)를 턱(tuck)에 의하여 연결하는 연결사의 층(6)을 편성하는 턱 스텝(T)을 반복함으로써 편성된다.
탄성사는 신축성(伸縮性)이 풍부한 실(絲)을 의미하고 예를 들면 신축성이 높은 섬유로 이루어지는 심(芯)을 비신축성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덮개로 덮은 실이다. 장력(張力)이 가해지면 심이 신장되고, 주위의 덮개는 심의 신장에 따라 신장되기 때문에 탄성사는 신장된다. 또한 비탄성사는 탄성사에 비하여 신축성이 낮은 실로서, 목면(木綿), 양모(羊毛) 혹은 통상의 합성 섬유사(合成 纖維絲) 등으로 이루어진다. 편성기로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실의 공급측에서 실에 마찰을 가하거나 실의 이송량을 자연길이에서의 실의 길이보다 적게 하는 등을 하면, 실에 가해지는 장력이 증가된다. 이 장력을 이용하여 다층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탄성사에 장력을 가한다. 그리고 탄성사를, 자연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면 50%∼100% 정도 늘어나게 해서 편성한다.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는 편성기의 니들베드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니들베드로부터 분리될 때까지는 늘어난 상태를 유지하고, 니들베드로부터 분리되면 수축된다. 또한 비탄성사는 신축성이 낮아 거의 자연길이인 채로 편성된다. 이 때문에 편성기의 니들베드로부터 다층편성포를 분리하면,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는 예를 들면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4)에 비하여 길이가 30%∼50% 정도 수축된다. 연결사의 층(6)은,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4)와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를 턱 등에 의하여 연결하는 층이다.
탄성사도 권축사(捲縮絲)도 편성기상에서는 장력에 의하여 늘어나게 되고, 편성기로부터 분리되면 수축되는 실이며 작용은 동일하다. 그래서 탄성사 대신에 권축사를 사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열수축사(熱收縮絲)는 가열에 의하여 수축되는 실이며, 편성후에 가열하면 수축되기 때문에 탄성사 대신에 열수축사를 사용하여 편성후에 가열해서 수축시키더라도 좋다. 또한 열융착사(熱融着絲)는 가열에 의하여 융착되는 실이며 열수축사와는 다르다. 수축사(收縮絲)와 비수축사(非收縮絲)를 사용하면, 양자(兩者)의 수축률(收縮率)의 차이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큰 요철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비수축사 대신에 수축률이 상대적으로 작은 수축사를 사용하여, 수축률이 상대적으로 큰 수축사와 조합시켜도 좋다.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4)와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는, 도2에 나타내는 유닛(unit)(8)을 단위로 하여 소정의 스티치(stitch)수마다 어느 쪽의 편성포가 표면측에 나타날지가 바뀐다. 유닛(8)의 스티치수는 일정하게 할 필요가 없고, 또한 유닛(8)은 다층편성포의 웨일방향(wale方向)을 따라 코스방향(course方向)의 위치가 서로 교체되도록 배치하더라도 좋고, 코스방향의 위치가 일정하게 되도록 편성하더라도 좋다. 여기에서 코스방향은 니들베드상에서 다층편성포를 편성하는 방향이고, 웨일방향은 다층편성포상에서 코스방향과 직각인 방향이다. 그리고 연결사의 층(6)은, 1개의 유닛(8)내에서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4)와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를 턱 등에 의하여 연결시킨다. 서로 이웃하는 유닛(8, 8) 사이는 연결사의 층(6)에 의하여 연결되지 않는다.
도2에, 편성기의 니들베드로부터 분리됐을 때의 다층편성포(2)의 변형을 유닛(8)의 1개분으로 나타낸다. 도2의 화살표는 유닛(8)이 변형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편성기의 니들베드로부터 다층편성포(2)를 분리하면,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가 수축된다. 그리고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와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4)가 연결사의 층(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가 오목하게 되고,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4)가 볼록하게 되도록 요철이 다층편성포(2)의 표리양면에 발생된다. 요철의 원인은 편성기로부터의 장력이 없어지기 때문에,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가 수축됨으로써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가 오목한 부분이 된다. 동일한 유닛(8)내의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4)는,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보다 길기 때문에 볼록하게 된다. 연결사의 층(6)에 의하여 표리의 편성포가 연결되어, 다층편성포(2) 자체의 두께는 두껍지 않다. 또한 편성포(4, 5)를 반대방향으로 펴서 넓힐 정도의 실을 연결사의 층(6)으로 하여 삽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다층편성포(2)의 편성은 특허문헌1, 2에 비하여 용이하다.
다층편성포(2)는 어느 정도 단단하고 장력이 있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서포터(supporter), 프로텍터(protector), 보호용의 장갑 등에 사용하는 경우 혹은 의자의 좌면(座面), 매트(mat), 파이프(pipe)의 보호재(保護材), 곤포재(梱包材)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 다층편성포(2)는 요철이 용이하게 찌부러지지 않을 정도의 강성(剛性)이 필요하다. 외력이 가해져도 요철을 유지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서포터, 프로텍터, 보호용의 장갑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체중이 가해져도 요철을 유지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의자의 좌면, 등받이, 차량용의 시트 직물, 매트, 욕실 매트 등에 사용하면 쾌적하다. 다층편성포(2)는 이밖에 벽지(壁紙), 내부 깔개 재료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다층편성포(2)에 강성을 주기 위해서는, 연결사의 층(6) 혹은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4)를 열처리에 의하여 표면이 융착되는 열융착사에 의하여 편성하는 것이 유효하다. 열융착사는 서모실(thermo yarn)이라고도 불리고 예를 들면 내열성(耐熱性)이 높은 심의 주위를 내열성이 낮은 열가소성(熱可塑性)의 섬유의 덮개로 덮은 구조를 하고 있다. 열융착사에 열가소성의 섬유의 연화점(軟化點) 이상의 온도를 경험시키는 것을 서모세트(thermoset)라고 부르고, 서모세트에 의하여 덮개가 녹아 주위의 실에 용착(溶着)하여, 고화(固化)되면 다층편성포(2)가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연결사의 층(6)에 열융착사를 사용해서 다층편성포(2)를 편성하여 서모세트하면, 편성포(4, 5)의 각 스티치가 열융착사와 융착된다. 이 때문에 다층편성포(2)를 임의의 형상으로 마름질하더라도 스티치가 풀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마름질 부분의 후처리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 열융착사를 사용하여 다층편성포(2)의 경도(硬度)를 늘리는 여부는 임의이다.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를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4)보다 수축시키기 위하여,
· 1유닛내에서의 스티치수를,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에서는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4)보다 적게 하는,
·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에서는 스티치당 실의 길이를,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4)보다 작게 하는,
등을 추가하더라도 좋다. 다만 탄성사와 비탄성사와의 수축성(收縮性)의 차이는 반드시 사용한다. 또한 연결사의 층(6)에는 탄성사, 비탄성사중에서 어느 것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비탄성사는 통상의 탄성율(彈性率)의 실 혹은 열융착사중에서 어느 것이더라도 좋다.
도3에 제2실시예에서의 다층편성포의 편성방법과 그 구조를 나타내고, 특별하게 지적하는 점 이외에는 최초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는 최초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다. 제2실시예에서는,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14)로부터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로 턱 함으로써 편성포(14, 5)를 연결한다. 도3의 스텝(S3)에서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를 편성하고, 스텝(S4)에서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14)를 편성함과 아울러,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14)로부터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로 턱 한다. 또 스텝(S3)에서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를 편성할 때에,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로부터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14)로 턱 하더라도 좋다. 또한 탄성사와 비탄성사의 쌍방에서 턱 하더라도 좋다. 스텝(S4)의 16은 턱에 의한 스티치이다. 또한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14)는, 열융착사로 편성하더라도 좋고 통상의 실로 편성하더라도 좋다. 또 턱은 동일한 유닛(8)내의 스티치에 비탄성사를 걸도록 하여, 도3에서는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의 스티치 2개마다 턱 했지만, 1개마다 혹은 여러 개의 스티치마다 등에 턱 하더라도 좋다.
도3의 다층편성포도, 편성중에는 편성기로부터 가해지는 장력에 의하여 탄성사는 늘어나게 되기 때문에, 자연길이보다 늘어난 상태에 있다. 그리고 니들베드로부터 분리되면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가 수축되어 오목하게 되며, 편성포(5, 14)가 턱(1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 반대측의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14)가 볼록하게 된다. 도3의 실시예는, 도1에서의 연결사의 층(6)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편성이 용이하다. 다만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14)를 열융착사로 편성하고 서모세트 하더라도, 다층편성포를 마름질하면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에서 턱 되어 있지 않은 스티치는, 접착제에 의한 고정 등의 후처리가 필요하다.
도4는 최초의 실시예에서 편성한 서포터의 서모세트 후의 사진을 나타내고, 도5는 서포터(20)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연결사의 층이 열융착사로 편성되고, 도4의 볼록부는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이고, 오목부가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이며, 볼록부의 이면이 오목부이다. 볼록부와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유닛이 배열되고, 서포터의 표면측에서 볼록부가 오목부보다 넓은 면적을 차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4에서 다층편성포의 상하(上下)에는 통모양의 편성포가 있다. 서포터(20)는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3층이며,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와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4) 이외에 예를 들면 비탄성사로 이루어지는 제3층(21)이 형성되어, 다층편성포와 제3층(21)에 의하여 통을 이루고 있다.
도6, 도7은 제2실시예에 의하여 편성한 다층편성포(서모세트 후)를 나타내고, 도6은 표면, 도7은 이면을 나타낸다. 도6, 도7에서 볼록부분은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이고, 오목부분은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이며,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는 열융착사로 편성되어 있다.
도8은 서모세트에 사용되는 금형(金型)의 예를 나타내고, 상하의 금형(30, 31)을 다층편성포(2)의 목표형상에 맞춘 형상으로 해서 예를 들면 금형(30, 31)에 히터(heater)를 내장시켜 둔다. 그렇게 하면 서모세트 시에 원하는 형상으로 다층편성포(2)를 성형(成型)할 수 있다. 그리고 서모세트에 의하여 다층편성포(2)가 경화(硬化)되기 때문에 성형시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도9의 다층편성포(42)는, 요철이 중앙부(44)보다 좌우 양측의 측부(46, 46)에서 커지게 되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중앙부(44)보다 측부(46, 46)에서,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와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4) 등과의 신축성의 차이를 크게 하면 된다. 예를 들면 탄성사의 신축성, 편성시에 탄성사에 가해지는 장력,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5)에서의 스티치당 실의 길이 등을 중앙부(44)와 측부(46, 46)에서 다르게 하면 다층편성포(42)를 편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다층편성포(42)를 침대의 매트로 하면, 침대의 중심에서 자세가 안정되기 때문에 몸의 뒤척임 등에 의하여 침대로부터 낙하하는 위험성이 작아지고, 이 때문에 다층편성포(42)는 욕창방지용(褥瘡防止用)의 매트 등에 적합하다. 또한 의자의 등받이에 사용하면 등에 피트(fit)된다.
실시예에는 이하의 특징이 있다.
1) 표리의 편성포 사이에 삽입된 실의 탄성력에 의존하지 않고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2, 42)가 얻어지고, 다층편성포(2, 42)는 명료한 요철을 구비한다.
2) 다층편성포(2, 42)에서의 볼록한 이면은 오목하게 되고, 오목한 이면은 볼록하게 되어, 다층편성포(2, 42) 자체는 부피가 작고 경량이다.
3) 표리의 편성포를 펴서 넓힐 정도의 연결사를 삽입할 필요가 없어, 단시간에 편성할 수 있다.
4) 연결사의 층(6) 혹은 비탄성사의 층(4, 14)에 열융착사를 사용하면, 다층편성포(2, 42)는 장력이 있어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5) 연결사의 층(6)에 열융착사를 사용하면, 다층편성포(2, 42)를 임의의 형상으로 마름질하더라도 스티치가 풀리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마름질후의 후처리가 불필요하게 된다.
6) 다층편성포는, 서포터, 프로텍터, 모자, 보호용 장갑 혹은 매트, 의자의 좌면, 등받이, 차량용의 시트 직물, 욕창방지용의 매트, 욕조 매트, 매트리스, 내부 깔개 재료, 벽지 등에 적합하다.
7) 탄성사 대신에 권축사, 열수축사 등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도10∼도17에 실시예를 응용한 다층편성포의 예를 나타낸다. 또 편성에는 연결사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더라도 좋고, 수축사는 탄성사나 권축사나 열수축사이더라도 좋다. 도10은 매트를 나타내고, 사람의 허리, 어깨뼈 등이 접촉되는 위치를 볼록(제1부분)하게 하고, 다리, 손 등을 두는 부분을 오목(제2부분)하게 한다. 또한 제1부분의 볼록의 높이와 그 주위에서의 제2부분의 오목의 깊이와의 차이를 부분에 따라 변화시켜서, 인체에 대한 자극을 높이고 싶은 부분에서 높이의 차이를 크게 하고 있다. 또한 도10의 매트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요철이 배치되어 있다. 볼록부분에 의하여 인체에 대한 적절한 자극이 얻어지고, 오목부분에 의하여 인체의 자세가 안정된다. 몸을 움직이면 매트에 눌리는 부분이 변화되기 때문에 장시간 자고 있는 사람에게는 욕창이 방지된다.
도11, 도12는 1매의 다층편성포를 복수의 부분에서 서로 결합하여, 6각기둥모양의 장식물로 하고 있다. 결합부를 도12에 나타내고, 장식물의 외측에서 보아서 오목부분과 오목부분이 결합하고, 결합부의 요철은 오목(안쪽의 편성포)이 볼록(외측의 편성포)보다 크게 되어 있다.
도13, 도14는 3각기둥모양의 장식물을 나타내고, 다층편성포의 요철에 의하여 문자가 표현되어 있다. 결합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파도모양의 요철이 배치되어 서로 맞물려서 결합이 강화된다. 또 이 점은 도11, 도12에서도 동일하다. 또한 결합부에서는 볼록이 되는 측보다 오목이 되는 측이 크다. 도11∼도14에서는 1매의 편성포를 결합했지만, 복수 매의 편성포를 서로 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커튼(curtain)을 서로 결합하는 등을 할 수 있다.
도15∼도17은 의자의 등받이와 좌면을 나타낸다. 도16, 도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요철을 이용해서 다층편성포가 나무프레임에 고정되고, 다층편성포가 서로 결합되고 또한 결합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파도 모양의 요철이 배치되어서 서로 맞물려 있다. 도17은 좌면의 부분을 나타내고, 다층편성포는 요철을 이용해서 90°로 구부리기 쉬워서 좌면의 홈(groove)에 삽입되어, 오목부(도17의 오른쪽에서 보아서 오목부분)에 의하여 홈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다층편성포의 단부(端部)의 요철을 좌면의 이면에서, 홈을 통과한 다층편성포의 오목부와 결합시키고 있다.
2, 42 ; 다층편성포
4, 14 ; 비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
5 ; 탄성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
6 ; 연결사의 층
8 ; 유닛
16 ; 턱
20 ; 서포터
21 ; 제3층
30, 31 ; 금형
44 ; 중앙부
46 ; 측부

Claims (8)

  1. 성질이 서로 다른 적어도 2종류의 실(絲)로 이루어지는 요철(凹凸)이 있는 다층편성포(多層編成布)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수축성(收縮性)이 높은 제1실에 의하여 편성되고, 편성후에 수축시킨 편성포와,
    상대적으로 수축성이 낮은 제2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와, 상기 제2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서로 마주 향하고 또한 서로 연결되어 다층편성포를 구성하고,
    상기 제1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와, 상기 제2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연결되고 또한 수축성에 차이가 있음으로써 상기 제1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오목하게 되고, 상기 제2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볼록하게 되고,
    또한 상기 제2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다층편성포의 표면측에 볼록하게 나타나고 또한 그 이면측에 상기 제1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오목하게 나타나는 제1부분(第1部分)과, 상기 제2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다층편성포의 이면측에 볼록하게 나타나고 또한 그 표면측에 상기 제1실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오목하게 나타나는 제2부분(第2部分)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은 수축사(收縮絲)이고, 상기 제2실은 비수축사(非收縮絲)이며,
    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와, 비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연결사(連結絲)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
  3. 제2항에 있어서,
    연결사가 열융착사(熱融着絲)로 구성되고 또한 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와, 비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에 연결사가 융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은 수축사이고, 상기 제2실은 비수축사이며,
    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로부터 비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로 턱(tuck) 되거나 혹은 비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로부터 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로 턱 되어 있게 함으로써, 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와, 비수축사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코스방향(course方向) 혹은/및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교대로 반복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1개 혹은 복수의 다층편성포가, 제1부분과 제2부분으로 다층편성포에 형성된 요철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1부분과 제2부분이 편성포가 지지하는 대상의 접촉부위에 맞추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
  8. 제7항에 있어서,
    제1부분과 주위의 제2부분과의 높이의 차이가 영역에 따라 변화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
KR1020140047188A 2013-04-30 2014-04-21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 KR101576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95348 2013-04-30
JPJP-P-2013-095348 2013-04-30
JP2013215246A JP2014231665A (ja) 2013-04-30 2013-10-16 凹凸のある多層編地
JPJP-P-2013-215246 2013-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027A KR20140130027A (ko) 2014-11-07
KR101576842B1 true KR101576842B1 (ko) 2015-12-11

Family

ID=51804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188A KR101576842B1 (ko) 2013-04-30 2014-04-21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4231665A (ko)
KR (1) KR101576842B1 (ko)
CN (1) CN104131399B (ko)
DE (1) DE1020140062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6214B (en) 2013-05-22 2018-01-17 Rosnes Ltd Smart wearables
US10368590B2 (en) 2015-11-03 2019-08-06 Nike, Inc. Flat-knit support garment for upper torso
CN105220334A (zh) * 2015-11-13 2016-01-06 浙江港龙织造科技有限公司 自粘合型针织物及其加工方法
CN105442163B (zh) * 2015-12-25 2018-01-30 江南大学 具有凹凸效应的不同厚度间隔织物的编织方法
US10415162B2 (en) * 2016-08-24 2019-09-17 Federal-Mogul Powertrain Llc Impact resistant, shrinkable knitted tubular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20200002855A1 (en) * 2017-02-01 2020-01-02 Knitmasters, Llc Spacer fabric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145042B2 (en) 2017-05-02 2018-12-04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ubular-jacquard knit structure
US10912340B2 (en) 2017-05-02 2021-02-09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ubular-jacquard knit structure
US10415164B2 (en) 2017-05-02 2019-09-17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hree-dimensional knit structures
CN112543599B (zh) 2018-07-23 2022-09-06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凸起结构的针织物品以及制造方法
CN108842280B (zh) * 2018-08-09 2020-11-17 东莞百宏实业有限公司 一种孔洞互连双层经编织物的织造方法
US11142854B2 (en) 2018-10-03 2021-10-12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hree-dimensional knit structures
CN115998034A (zh) 2018-10-19 2023-04-25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凸起结构的针织部件和制造方法
CN110258010A (zh) * 2019-07-08 2019-09-20 江苏金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坐垫的制作方法
CN110699830A (zh) * 2019-11-04 2020-01-17 苏州金吉尔服饰有限公司 一种针织物
DE112019007920T5 (de) * 2019-11-28 2022-09-08 Asahi Kasei Advance Corporation Dreidimensionale elastische Rundstrickware
CN111101281B (zh) * 2019-12-29 2021-08-13 江苏恒力化纤股份有限公司 一种拉舍尔毛毯的制备方法
CN113914002B (zh) * 2021-11-16 2023-01-13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全成型仿绞花组织结构及其编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7155A (ja) * 2002-02-25 2003-09-05 Kao Corp 立体シート材料
JP2006264309A (ja) * 2005-02-23 2006-10-05 Teijin Fibers Ltd 吸水により立体的に構造変化する多層構造体および繊維製品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8377U (ko) 1976-02-07 1977-08-17
JP2002020943A (ja) * 2000-07-04 2002-01-23 Toray Ind Inc 凹凸加工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07800A (ja) 2002-09-13 2004-04-08 Asahi Kasei Fibers Corp 立体横編物
KR100938335B1 (ko) * 2007-12-20 2010-01-22 김영호 직물지
CN101457435A (zh) * 2008-12-17 2009-06-17 吴江汉通纺织有限公司 一种方块提花面料及其织造方法
CN201433276Y (zh) * 2009-06-20 2010-03-31 广东金荣华实业有限公司 一种针织纬编提花布
CN101929027A (zh) * 2010-09-02 2010-12-29 江苏金辰针纺织有限公司 一种免烫凉爽针织面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7155A (ja) * 2002-02-25 2003-09-05 Kao Corp 立体シート材料
JP2006264309A (ja) * 2005-02-23 2006-10-05 Teijin Fibers Ltd 吸水により立体的に構造変化する多層構造体および繊維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31399A (zh) 2014-11-05
KR20140130027A (ko) 2014-11-07
JP2014231665A (ja) 2014-12-11
CN104131399B (zh) 2016-08-17
DE102014006212A1 (de)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842B1 (ko) 요철이 있는 다층편성포
JP4004471B2 (ja) 多層構造を有する弾性編地及びその製造方法
JP5284700B2 (ja) 発熱具
TWI279205B (en) Seat
TW200938675A (en) Three-dimensional warp-knitted fabric and fiber product composed of the same
JP6282480B2 (ja) 非衣料用途の丸編構造体
JPH09117982A (ja) 伸縮性複合シート
JP5013284B1 (ja) パイルが表編地の表面に突出しているダブルラッセル編物
JP6209162B2 (ja) 複合シート材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使い捨て着用物品
KR101430115B1 (ko) 착용감이 향상된 신축성 다기능 땀받이
WO2012077232A1 (ja) ブラジャー
US20160039174A1 (en) Elastic Feature Product
JP6099936B2 (ja) 下半身用衣類
KR200484122Y1 (ko) 의료용 부목
JP3191886U (ja) 寝具
CN114575025A (zh) 用热收缩纱线制成的针织制品
JP2001314287A (ja) 車輌の座席シート用クッション体
TW201929796A (zh) 眼罩
JP2014019966A (ja) 膝サポータ
JP2020165020A (ja) リュックサック用素材および同素材を用いたリュックサック
KR101418893B1 (ko) 돌기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포
JP2004308054A (ja) 成型芯地
JP5030040B2 (ja) 踵保護靴下
JP3176341U (ja) スーツ用の肩パッド
US20230392306A1 (en) Spacer fabric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