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720B1 - 가스 터빈 연소기 - Google Patents

가스 터빈 연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720B1
KR101576720B1 KR1020137033961A KR20137033961A KR101576720B1 KR 101576720 B1 KR101576720 B1 KR 101576720B1 KR 1020137033961 A KR1020137033961 A KR 1020137033961A KR 20137033961 A KR20137033961 A KR 20137033961A KR 101576720 B1 KR101576720 B1 KR 101576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nce device
resonance
inner cylinder
inner tube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3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2183A (ko
Inventor
신지 아카마츠
히로아키 기시다
겐지 사토
겐타로 도쿠야마
게이스케 마츠야마
다카요시 다카시마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2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0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ir-flow or gas-flow configuration
    • F23R3/16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ir-flow or gas-flow configuration with devices inside the flame tube or the combustion chamber to influence the air or gas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4Heat or noise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20/00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eans for storing heat from flames
    • F23M20/005Noise absorb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002Wall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4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form of the flame tubes or combustion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Combustion processes therefor
    • F23R2900/00014Reducing thermo-acoustic vibrations by passive means, e.g. by Helmholtz reson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가스 터빈 연소기는, 노즐로부터 분사된 연료의 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연소 가스가 내부를 흐르는 내통과, 이 내통의 외표면에 장착되는 제1 공명 장치 및 제2 공명 장치를 구비한다. 제2 공명 장치는, 제1 공명 장치보다도 연소 가스 흐름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제1 공명 장치보다도 고주파의 연소 진동을 감쇠한다. 제1 공명 장치 및 제2 공명 장치는, 내통의 외표면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갖는 음향 라이너이다. 하우징과 내통의 외표면으로 둘러싸이는 공명 공간이 내통에 형성된 복수의 음향 구멍을 통해 내통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고 있다.

Description

가스 터빈 연소기 {GAS TURBINE COMBUSTOR}
본 개시는, 연료를 연소시켜 연소 가스를 생성하는 가스 터빈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연소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 음향 라이너라고 칭해지는 공명 장치를 연소기 내통의 외주에 설치한 가스 터빈 연소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공동(공명 공간)을 갖는 음향 라이너를 연소기 통체의 외주에 장착하고, 상기 공동을 연소기 통체에 형성된 흡음 구멍(음향 구멍)에 연통시킨 가스 터빈 연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연소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 연소 영역의 근방, 즉 화염의 근방에 흡음 구멍 및 음향 라이너를 배치하는 것도 개시되어 있다(단락 0011 참조).
한편, 복수의 공명 장치를 설치한 가스 터빈 연소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및 3에는, 연소통의 연소 가스의 흐름 방향으로 2개의 음향 라이너를 장착한 가스 터빈 연소기가 기재되어 있다(특허문헌 2의 도 1 및 특허문헌 3의 도 2 참조). 또한, 특허문헌 4에는, 연소통에 음향 라이너와 상기 음향 라이너에 접속되는 음향 댐퍼를 연소통에 장착한 가스 터빈 연소기가 기재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특허문헌 5에는, 음향 라이너 및 이것에 접속되는 음향 댐퍼를 포함하는 감쇠 장치를 미통(尾筒)에 복수개 설치한 가스 터빈 연소기가 기재되어 있다(도 17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7442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9798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009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3264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66671호 공보
그런데, 종래부터, 폭넓은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1.5∼5㎑ 정도)의 연소 진동을 억제 가능한 음향 라이너를 연소기 내통에 하나만 장착하면, 연소 진동에 기인하는 크랙의 발생 등의 문제를 충분히 해소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 있었다.
그런데,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한 결과, 가스 터빈의 운전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음향 라이너의 주파수대를 벗어난 특정한 고주파(예를 들어, 5.5㎑ 정도)의 연소 진동도 발생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가스 터빈의 운전 조건(부하의 크기)이 항상 일정한 것은 아닌 점에서, 연소기 내통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화염의 길이가 변동되고, 이 화염의 길이에 의존하여 연소 진동의 특성이 변화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에 의한 가일층의 검토에 의해, 상기 특정한 고주파의 연소 진동은, 상기 음향 라이너에 의해 억제 가능한 주파수대에 대응하는 화염 위치에 비해 연소 가스 흐름 방향의 하류측으로 화염 위치가 벗어나는 동시에, 연소기 내통의 벽면 근방에서 연소가 발생하였을 때에 일어나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내용을 참고로 하여, 연소 영역(화염)의 근방에 음향 라이너를 배치하기 위해, 종래에 비해 음향 라이너를 광폭으로 하여, 상기 특정한 고주파의 연소 진동에 대응하는 화염 위치까지 음향 라이너의 설치 에어리어를 확대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음향 라이너의 폭을 넓히면, 그만큼, 음향 라이너의 하우징에 형성된 퍼지 구멍의 수가 증가하게 되어, 퍼지 구멍을 통한 하우징 내에의 압축 공기의 유입량이 증가하여, 연소에 사용되는 압축 공기의 양이 줄어들어 버린다.
한편, 특허문헌 2∼5에는, 2개의 공명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 특정한 고주파의 연소 진동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각 공명 장치를 어떤 위치 관계에서 배치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 형태는,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연소용의 압축 공기의 공급량 저하를 억제하면서 고주파의 연소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가스 터빈 연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가스 터빈 연소기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연료의 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연소 가스가 내부를 흐르는 내통과, 상기 내통의 외표면에 장착되는 제1 공명 장치와, 상기 제1 공명 장치보다도 연료 가스 흐름의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통의 외표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공명 장치보다도 고주파의 연소 진동을 감쇠하는 제2 공명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공명 장치 및 상기 제2 공명 장치는, 상기 내통의 외표면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갖는 음향 라이너이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내통의 외표면으로 둘러싸이는 공명 공간이 상기 내통에 형성된 복수의 음향 구멍을 통해 상기 내통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스 터빈 연소기에서는, 제1 공명 장치 외에, 제1 공명 장치보다도 고주파의 연소 진동을 감쇠하는 제2 공명 장치를 설치하였으므로, 제1 공명 장치의 주파수대를 벗어난 특정한 고주파의 연소 진동을 제2 공명 장치에 의해 감쇠할 수 있다. 또한, 제1 공명 장치보다도 연료 가스 흐름의 하류측에 제2 공명 장치를 배치하였으므로, 제1 공명 장치의 주파수대를 벗어난 특정한 고주파의 연소 진동이 발생할 때의 화염 위치에 제2 공명 장치가 근접하여, 제2 공명 장치에 의한 상기 고주파의 연소 진동의 감쇠 효과가 증대한다. 또한, 광폭의 공명 장치를 하나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제1 공명 장치 및 제2 공명 장치를 사용하도록 하였으므로, 공명 장치의 설치 에어리어의 증가를 억제하고, 공명 장치가 통상 갖는 퍼지 구멍의 수를 최소한으로 하여, 연소용의 압축 공기의 공급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몇 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공명 장치의 공명 공간의 높이는, 상기 제1 공명 장치의 공명 공간의 높이보다도 낮다.
이와 같이, 제2 공명 장치의 공명 공간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제2 공명 장치에 의한 고주파의 연소 진동의 감쇠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공명 장치가 콤팩트화되어, 제2 공명 장치의 레이아웃이 용이해진다.
상기 가스 터빈 연소기는, 상기 내통의 하류측 단부의 외주측에 그 상류측 단부(미통의 상류측 단부)가 겹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내통에서 생성된 상기 연소 가스를 터빈에 유도하는 미통과, 탄성력에 의해 상기 미통의 상기 상류측 단부와 상기 내통의 상기 하류측 단부를 접속하는 스프링 클립과, 상기 스프링 클립을 상기 미통의 상기 상류측 단부측으로 압박하는 버기 클립을 더 구비하고, 상기 버기 클립과 상기 내통의 상기 하류측 단부의 외표면으로 둘러싸이는 스페이스에 상기 제2 공명 장치를 수납해도 된다.
이와 같이, 버기 클립과 내통의 하류측 단부의 외표면으로 둘러싸이는 스페이스에 제2 공명 장치를 수납함으로써, 버기 클립 아래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몇 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은, 상기 내통의 중심축상에 설치되는 파일럿 노즐과, 상기 파일럿 노즐의 외주에 설치되는 복수의 메인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공명 장치의 장착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내통의 직경을 D2로 하고, 상기 메인 노즐을 둘러싸는 메인 노즐 외통의 후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공명 장치의 장착 위치까지의 거리를 L2로 하였을 때, 0.8≤L2/D2≤1.1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이에 의해, 제1 공명 장치의 주파수대를 벗어난 특정한 고주파의 연소 진동을, 제2 공명 장치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몇 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공명 장치의 장착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내통의 직경을 D2로 하고, 상기 내통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공명 장치의 공명 공간의 폭을 W2로 하였을 때, 0.05≤W2/D2≤0.3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이에 의해, 제2 공명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하면서, 제1 공명 장치의 주파수대를 벗어난 특정한 고주파의 연소 진동을 제2 공명 장치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몇 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공명 장치의 장착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내통의 직경을 D2로 하고, 상기 제2 공명 장치의 공명 공간의 높이를 h2로 하였을 때, 0.005≤h2/D2≤0.02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이에 의해, 제2 공명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하면서, 제2 공명 장치에 의한 제1 공명 장치의 주파수대보다도 고주파의 연소 진동의 큰 감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공명 장치 외에, 제1 공명 장치보다도 고주파의 연소 진동을 감쇠하는 제2 공명 장치를 설치하였으므로, 제1 공명 장치의 주파수대를 벗어난 특정한 고주파의 연소 진동을 제2 공명 장치에 의해 감쇠할 수 있다. 또한, 제1 공명 장치보다도 연료 가스 흐름의 하류측에 제2 공명 장치를 배치하였으므로, 제1 공명 장치의 주파수대를 벗어난 특정한 고주파의 연소 진동이 발생할 때의 화염 위치에 제2 공명 장치가 근접하여, 제2 공명 장치에 의한 상기 고주파의 연소 진동의 감쇠 효과가 증대한다. 또한, 광폭의 공명 장치를 하나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제1 공명 장치 및 제2 공명 장치를 사용하도록 하였으므로, 공명 장치의 설치 에어리어의 증가를 억제하고, 공명 장치가 통상 갖는 퍼지 구멍의 수를 최소한으로 하여, 연소용의 압축 공기의 공급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가스 터빈 연소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가스 터빈 연소기의 공명 장치 주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단, 이 실시 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이것으로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가스 터빈 연소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가스 터빈 연소기의 공명 장치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 터빈 연소기(이하, 간단히 「연소기」라고 함)(1)는, 연료를 분사하는 노즐(2, 3)과, 연료의 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연소 가스가 내부를 흐르는 내통(연소기 라이너)(4)과, 내통(4)에 접속된 미통(트랜지션 피스)(6)을 구비한다.
연소기(1)는 압축기 및 터빈과 함께 가스 터빈을 구성한다. 가스 터빈에서는, 압축기에서 생성된 압축 공기가 연소용 공기로서 연소기(1)에 공급되고, 연소기(1)에서 생성된 연소 가스가 내통(4)으로부터 미통(6)을 거쳐 터빈에 공급된다. 그리고 이 연소 가스에 의해 터빈이 구동된다.
연소기(1)는 파일럿 노즐(2) 및 메인 노즐(3)을 조합한 멀티 노즐 형식의 예혼합 연소기이다. 파일럿 노즐(2)은 내통(4)의 중심축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파일럿 노즐(2)의 외주에는, 파일럿 노즐(2)을 둘러싸도록 복수의 메인 노즐(3)이 배치되어 있다. 메인 노즐(3)의 선단부는 메인 노즐 외통(5)에 의해 덮여 있다.
파일럿 노즐(2)로부터 분사된 연료는 압축 공기와 혼합되어 착화되고, 파일럿 노즐(2)의 하류에 화염이 형성된다. 메인 노즐(3)로부터 분사된 연료는 파일럿 노즐(2)의 하류에 형성된 화염에 의해 착화되고, 각 메인 노즐(3)의 하류에 화염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내통(4)의 내부 공간에는, 미통(6)을 향하는 고온의 연소 가스의 흐름이 형성된다.
내통(4)에의 미통(6)의 접속은, 스프링 클립(8)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내통(4)의 하류측 단부와, 미통(6)의 상류측 단부는, 미통(6)이 내통(4)의 외주측으로 되도록 오버랩되어 있다. 스프링 클립(8)은, 일단부가 내통(4)의 하류측 단부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는 자유 단부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내통(4)과 미통(6)은, 스프링 클립(8)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스프링 클립(8)과 내통(4) 사이에는 버기 클립(9)이 설치되어 있고, 이 버기 클립(9)에 의해 스프링 클립(8)은 미통(6)의 내벽면으로 압박되어, 내통(4)과 미통(6)의 접속이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내통(4)의 외표면에는, 연소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제1 공명 장치(10) 및 제2 공명 장치(20)가 장착되어 있다. 제1 공명 장치(10) 및 제2 공명 장치(20)는 내통(4)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해도 되고, 내통(4)의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설치해도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공명 장치(10)는 내통(4)의 외표면에 용접에 의해 설치된 제1 하우징(12)을 갖는 음향 라이너이다. 제1 하우징(12)과 내통(4)의 외표면으로 둘러싸이는 제1 공명 공간(14)은 내통(4)에 형성된 복수의 음향 구멍(16)을 통해, 내통(4)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고 있다. 그로 인해, 내통(4) 내에서 발생한 연소 진동에 의한 공기 진동(압력파)이 음향 구멍(16)에 포착되어 공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공명 공간(14) 내의 공기와 음향 구멍(16) 내의 공기는, 제1 공명 공간(14) 내의 공기가 스프링으로서 작용함으로써 공명계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공명계의 공명 주파수의 진동에 대해 음향 구멍(16) 내의 공기가 심하게 공명하고, 그때의 마찰에 의해 연소 진동의 진폭이 감쇠된다.
또한, 제1 공명 장치(10)에 의해 감쇠 가능한 연소 진동의 주파수대는, 음향 구멍(16)의 직경(단면적), 제1 공명 공간(14)의 크기[제1 공명 공간(14)의 높이 h1 및 폭 W1] 등을 조절함으로써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또한, 제1 하우징(12)에는 퍼지 구멍(18)이 형성되어 있어, 내통(4)의 외부를 흐르는 압축 공기(연소용 공기)의 일부가 제1 공명 공간(14)으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온의 연소 가스와의 접촉에 의한 제1 하우징(12)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압축 공기가 흐르는 방향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통(4)의 내부 공간을 흐르는 연소 가스의 흐름과는 역방향이다.
몇 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공명 장치(10)의 장착 위치는, 제1 공명 장치(10)의 장착 위치에 있어서의 내통(4)의 직경(내경)을 D1(도 1 참조)로 하고, 메인 노즐 외통(5)의 후류 단부로부터 제1 공명 장치(10)의 장착 위치까지의 거리를 L1(도 2 참조)로 하였을 때, 0.4≤L1/D1≤0.7의 관계식이 성립하도록 결정된다. 또한, 제1 공명 장치(10)의 장착 위치라 함은, 제1 공명 장치(10)의 내통(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폭의 중심 위치를 말한다.
또한, 몇 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공명 공간(14)의 내통(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폭 W1(도 2 참조)은 제1 공명 장치(10)의 장착 위치에 있어서의 내통(4)의 직경을 D1로 하였을 때, 0.3≤W1/D1≤0.6의 관계식이 성립하도록 결정된다.
또한, 몇 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공명 공간(14)의 높이 h1(도 2 참조)은 제1 공명 장치(10)의 장착 위치에 있어서의 내통(4)의 직경을 D1로 하였을 때, 0.03≤h1/D1≤0.1의 관계식이 성립하도록 결정된다.
한편, 제2 공명 장치(20)는 제1 공명 장치(10)보다도 연소 가스 흐름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내통(4)과 미통(6)이 오버랩되어 있는 영역에 제2 공명 장치(20)를 설치해도 된다.
적어도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공명 장치(20)의 장착 위치는, 제2 공명 장치(20)의 장착 위치에 있어서의 내통(4)의 직경(내경)을 D2(도 1 참조)로 하고, 메인 노즐 외통(5)의 후류 단부로부터 제2 공명 장치(20)의 장착 위치까지의 거리를 L2(도 2 참조)로 하였을 때, 0.8≤L2/D2≤1.1의 관계식이 성립하도록 결정된다. 이에 의해, 제2 공명 장치(20)의 장착 위치가, 고주파의 연소 진동이 발생할 때의 화염 위치에 근접하여, 제2 공명 장치(20)에 의해 고주파의 연소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공명 장치(20)의 장착 위치라 함은, 제2 공명 장치(20)의 내통(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폭의 중심 위치를 말한다.
제2 공명 장치(20)도 또한, 제1 공명 장치(10)와 마찬가지로, 내통(4)의 외표면에 설치된 제2 하우징(22)을 갖는 음향 라이너이다. 제2 하우징(22)과 내통(4)의 외표면으로 둘러싸이는 제2 공명 공간(24)은 내통(4) 내에 형성된 복수의 음향 구멍(26)을 통해, 내통(4)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고 있다. 그로 인해, 제2 공명 장치(20)는 제1 공명 장치(10)와 동일한 메커니즘으로, 소정의 주파수의 연소 진동을 감쇠 가능하다. 또한, 제2 하우징(22)에는 퍼지 구멍(28)이 형성되어 있어, 내통(4)의 외부를 흐르는 압축 공기의 일부가 제2 공명 공간(24)으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제2 공명 장치(20)에 의해 감쇠 가능한 연소 진동의 주파수대는, 음향 구멍(26)의 직경(단면적), 제2 공명 공간(24)의 크기[제2 공명 공간(24)의 높이 h2 및 폭 W2] 등을 조절함으로써 임의로 설정 가능하고, 제1 공명 장치(10)에 의해 감쇠 가능한 연소 진동의 주파수대보다도 고주파로 설정되어 있다.
적어도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공명 공간(24)의 내통(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폭 W2(도 2 참조)는 제2 공명 장치(20)의 장착 위치에 있어서의 내통(4)의 직경을 D2로 하였을 때, 0.05≤W2/D2≤0.3의 관계식이 성립하도록 결정한다.
이에 의해, 제2 공명 장치(20)의 콤팩트를 도모하면서, 제1 공명 장치(10)의 주파수대를 벗어난 특정한 고주파의 연소 진동을 제2 공명 장치(20)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공명 공간(24)의 높이 h2(도 2 참조)는 제2 공명 장치(20)의 장착 위치에 있어서의 내통(4)의 직경을 D2로 하였을 때, 0.005≤h2/D2≤0.02의 관계식이 성립하도록 결정한다.
이에 의해, 제2 공명 장치(20)의 콤팩트화를 도모하면서, 제2 공명 장치(20)에 의한 고주파의 연소 진동의 큰 감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공명 공간(24)의 높이 h2는, 제1 공명 공간(14)의 높이 h1보다도 작다.
이와 같이, 제2 공명 장치(20)의 제2 공명 공간(24)의 높이 h2를 상대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제2 공명 장치(20)에 있어서의 고주파의 연소 진동의 감쇠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공명 장치(20)가 콤팩트화되어, 제2 공명 장치(20)의 레이아웃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어, 버기 클립(9)과 내통(4)의 외표면으로 둘러싸이는 스페이스에 제2 공명 장치(20)를 수납하여, 버기 클립(9) 아래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공명 장치(10) 외에, 제1 공명 장치(10)보다도 고주파의 연소 진동을 감쇠하는 제2 공명 장치(20)를 설치하였으므로, 제1 공명 장치(10)의 주파수대를 벗어난 특정한 고주파의 연소 진동을 제2 공명 장치(20)에 의해 감쇠할 수 있다. 또한, 제1 공명 장치(10)보다도 연료 가스 흐름의 하류측에 제2 공명 장치(20)를 배치하였으므로, 제1 공명 장치(10)의 주파수대를 벗어난 특정한 고주파의 연소 진동이 발생할 때의 화염 위치에 제2 공명 장치(20)가 근접하여, 제2 공명 장치(20)에 의한 상기 고주파의 연소 진동의 감쇠 효과가 증대한다. 또한, 광폭의 공명 장치를 하나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제1 공명 장치(10) 및 제2 공명 장치(20)를 사용하도록 하였으므로, 공명 장치(10, 20)의 설치 에어리어의 증가를 억제하여, 공명 장치가 통상 갖는 퍼지 구멍(18, 28)의 수를 최소한으로 하여, 연소용의 압축 공기의 공급량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개량이나 변형을 행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연료의 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연소 가스가 내부를 흐르는 내통과,
    상기 내통의 외표면에 장착되는 제1 공명 장치와,
    상기 제1 공명 장치보다도 연료 가스 흐름의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통의 외표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공명 장치보다도 고주파의 연소 진동을 감쇠하는 제2 공명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공명 장치 및 상기 제2 공명 장치는, 상기 내통의 외표면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갖는 음향 라이너이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내통의 외표면으로 둘러싸이는 공명 공간이 상기 내통에 형성된 복수의 음향 구멍을 통해 상기 내통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고 있고,
    상기 제2 공명 장치의 공명 공간의 높이는, 상기 제1 공명 장치의 공명 공간의 높이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연소기.
  2. 적어도 하나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연료의 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연소 가스가 내부를 흐르는 내통과,
    상기 내통의 외표면에 장착되는 제1 공명 장치와,
    상기 제1 공명 장치보다도 연료 가스 흐름의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통의 외표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공명 장치보다도 고주파의 연소 진동을 감쇠하는 제2 공명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공명 장치 및 상기 제2 공명 장치는, 상기 내통의 외표면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갖는 음향 라이너이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내통의 외표면으로 둘러싸이는 공명 공간이 상기 내통에 형성된 복수의 음향 구멍을 통해 상기 내통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고 있고,
    상기 내통의 하류측 단부의 외주측에 상류측 단부가 겹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내통에서 생성된 상기 연소 가스를 터빈에 유도하는 미통과,
    탄성력에 의해 상기 미통의 상기 상류측 단부와 상기 내통의 상기 하류측 단부를 접속하는 스프링 클립과,
    상기 스프링 클립을 상기 미통의 상기 상류측 단부측으로 압박하는 버기 클립을 더 구비하고,
    상기 버기 클립과 상기 내통의 상기 하류측 단부의 외표면으로 둘러싸이는 스페이스에 상기 제2 공명 장치를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연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하류측 단부의 외주측에 상류측 단부가 겹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내통에서 생성된 상기 연소 가스를 터빈에 유도하는 미통과,
    탄성력에 의해 상기 미통의 상기 상류측 단부와 상기 내통의 상기 하류측 단부를 접속하는 스프링 클립과,
    상기 스프링 클립을 상기 미통의 상기 상류측 단부측으로 압박하는 버기 클립을 더 구비하고,
    상기 버기 클립과 상기 내통의 상기 하류측 단부의 외표면으로 둘러싸이는 스페이스에 상기 제2 공명 장치를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연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은, 상기 내통의 중심축상에 설치되는 파일럿 노즐과, 상기 파일럿 노즐의 외주에 설치되는 복수의 메인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공명 장치의 장착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내통의 직경을 D2로 하고, 상기 메인 노즐을 둘러싸는 메인 노즐 외통의 후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공명 장치의 장착 위치까지의 거리를 L2로 하였을 때, 0.8≤L2/D2≤1.1의 관계식이 성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연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명 장치의 장착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내통의 직경을 D2로 하고, 상기 내통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공명 장치의 공명 공간의 폭을 W2로 하였을 때, 0.05≤W2/D2≤0.3의 관계식이 성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연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명 장치의 장착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내통의 직경을 D2로 하고, 상기 제2 공명 장치의 공명 공간의 높이를 h2로 하였을 때, 0.005≤h2/D2≤0.02의 관계식이 성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연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하류측 단부의 외주측에 상류측 단부가 겹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내통에서 생성된 상기 연소 가스를 터빈에 유도하는 미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공명 장치는, 상기 내통의 하류측 단부와 상기 미통의 상류측 단부가 오버랩되어 있는 영역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연소기.
KR1020137033961A 2011-07-07 2012-06-28 가스 터빈 연소기 KR1015767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51310 2011-07-07
JP2011151310A JP5804808B2 (ja) 2011-07-07 2011-07-07 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その燃焼振動減衰方法
PCT/JP2012/066596 WO2013005651A1 (ja) 2011-07-07 2012-06-28 ガスタービン燃焼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183A KR20140012183A (ko) 2014-01-29
KR101576720B1 true KR101576720B1 (ko) 2015-12-10

Family

ID=47437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3961A KR101576720B1 (ko) 2011-07-07 2012-06-28 가스 터빈 연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003800B2 (ko)
EP (1) EP2730845B1 (ko)
JP (1) JP5804808B2 (ko)
KR (1) KR101576720B1 (ko)
CN (1) CN103620307B (ko)
WO (1) WO20130056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4808B2 (ja) * 2011-07-07 2015-11-04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その燃焼振動減衰方法
US10088165B2 (en) * 2015-04-07 2018-10-0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tuning resonators
CN105008805A (zh) * 2013-02-28 2015-10-28 西门子公司 用于燃气轮机的减振设备、燃气轮机和用于衰减热声振动的方法
US9410484B2 (en) 2013-07-19 2016-08-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oling chamber for upstream weld of damping resonator on turbine component
EP3186558B1 (en) 2014-08-26 2020-06-24 Siemens Energy, Inc. Film cooling hole arrangement for acoustic resonators in gas turbine engines
JP6563004B2 (ja) * 2014-09-05 2019-08-28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Siemens Aktiengesellschaft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燃焼器用の音響減衰システム
JP6623485B2 (ja) * 2014-09-25 2019-12-25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焼器、及びこれを備えるガスタービン
WO2016057009A1 (en) 2014-10-06 2016-04-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mbustor and method for damping vibrational modes under high-frequency combustion dynamics
CN104566477B (zh) * 2014-12-31 2019-02-01 北京华清燃气轮机与煤气化联合循环工程技术有限公司 用于燃气轮机火焰筒的调频装置及燃气轮机火焰筒
KR101853456B1 (ko) * 2015-06-16 2018-04-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가스터빈용 연소 덕트 조립체
WO2016209222A1 (en) * 2015-06-24 2016-12-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mbustor basket cooling ring
US10513984B2 (en) 2015-08-25 2019-12-2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for suppressing acoustic noise within a gas turbine combustor
DE112016005084B4 (de) * 2015-11-05 2022-09-22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Verbrennungszylinder, Gasturbinenbrennkammer und Gasturbine
US10344978B2 (en) * 2016-03-15 2019-07-09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ustion liner cooling
US10197275B2 (en) 2016-05-03 2019-02-05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 frequency acoustic damper for combustor liners
US10876732B2 (en) * 2016-10-19 2020-12-29 Gloyer-Taylor Laboratories Llc Scalable acoustically-stable combustion chamber and design methods
JP6797728B2 (ja) * 2017-03-24 2020-12-09 三菱パワー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共鳴吸音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KR102044668B1 (ko) 2018-11-30 2019-11-20 한국기계연구원 연소진동 저감용 노즐 가이드를 구비한 가스터빈 연소기
DE102019205540A1 (de) * 2019-04-17 2020-10-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Resonato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sowie mit einem solchen versehene Brenneranordnung
JP2021063464A (ja) * 2019-10-15 2021-04-22 三菱パワー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KR102117531B1 (ko) * 2019-11-07 2020-06-10 한국기계연구원 연소진동 저감을 위한 음향 감쇠 구조를 갖는 가스터빈 연소기용 버너
DE112021002128T5 (de) * 2020-03-31 2023-03-0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Brennkammer für Gasturbine und Gasturbine
DE102020213836A1 (de) * 2020-11-04 2022-05-05 Siemens Energy Global GmbH & Co. KG Resonatorring, Verfahren und Brennkorb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8812A1 (en) 2009-12-15 2011-06-16 Johnson Clifford E Resonator System for Turbine Engines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9009A (en) * 1973-02-01 1974-06-25 Gen Electric Duct wall acoustic treatment
EP0269824B1 (en) * 1986-11-25 1990-12-19 General Electric Company Premixed pilot nozzle for dry low nox combustor
US4944362A (en) 1988-11-25 1990-07-31 General Electric Company Closed cavity noise suppressor
EP0576717A1 (de) * 1992-07-03 1994-01-05 Abb Research Ltd. Gasturbinen-Brennkammer
US5410884A (en) * 1992-10-19 1995-05-02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Combustor for gas turbines with diverging pilot nozzle cone
JPH06159033A (ja) 1992-11-20 1994-06-0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音響ライナー
JP3930252B2 (ja) * 2000-01-07 2007-06-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US6530221B1 (en) * 2000-09-21 2003-03-11 Siemens Westinghouse Power Corporation Modular resonators for suppressing combustion instabilities in gas turbine power plants
US6973790B2 (en) * 2000-12-06 2005-12-13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Gas turbine combustor, gas turbine, and jet engine
JP3676228B2 (ja) 2000-12-06 2005-07-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およびガスタービン並びにジェットエンジン
EP1221574B2 (en) * 2001-01-09 2017-12-20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Gas turbine combustor
JP3962554B2 (ja) 2001-04-19 2007-08-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JP2003065536A (ja) 2001-08-21 2003-03-05 Mitsubishi Heavy Ind Ltd 低noxガスタービン燃焼器
EP1423645B1 (de) * 2001-09-07 2008-10-08 Alstom Technology Ltd Dämpfungsanordnung zur reduzierung von brennkammerpulsationen in einer gasturbinenanlage
JP3993484B2 (ja) 2002-07-15 2007-10-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燃焼器冷却構造
JP2005076982A (ja) 2003-08-29 2005-03-24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
US6920958B2 (en) 2003-10-17 2005-07-26 The Boeing Company Annular acoustic panel
JP2005264729A (ja) 2004-03-16 2005-09-29 Mitsubishi Heavy Ind Ltd 遮音構造及びこの遮音構造を備えたタービン
JP4274996B2 (ja) 2004-04-27 2009-06-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US7337875B2 (en) 2004-06-28 2008-03-04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High admittance acoustic liner
JP2006097983A (ja) 2004-09-29 2006-04-13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2006097981A (ja) 2004-09-29 2006-04-13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2006132505A (ja) 2004-11-09 2006-05-25 Mitsubishi Heavy Ind Ltd 音響装置、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US20060169532A1 (en) 2005-02-03 2006-08-03 Patrick William P Acoustic liner with nonuniform impedance
US20060169533A1 (en) 2005-02-03 2006-08-03 Patrick William P Acoustic liner with a nonuniform depth backwall
JP4754987B2 (ja) 2005-02-22 2011-08-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減衰装置、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US7296655B2 (en) 2005-04-22 2007-11-2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Duct liner acoustic splice
GB0510538D0 (en) 2005-05-24 2005-06-29 Rolls Royce Plc A rotor blade containment assembly for a gas turbine engine
US7401682B2 (en) 2005-08-10 2008-07-22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Architecture for an acoustic liner
US7311175B2 (en) 2005-08-10 2007-12-2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Acoustic liner with bypass cooling
US7861823B2 (en) 2005-11-04 2011-01-04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Duct for reducing shock related noise
JP2007132640A (ja) 2005-11-14 2007-05-31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
US8602156B2 (en) 2006-05-19 2013-12-1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Multi-splice acoustic liner
US7469770B2 (en) 2006-06-29 2008-12-3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Anechoic visco-thermal liner
JP4773904B2 (ja) 2006-07-11 2011-09-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US7788926B2 (en) * 2006-08-18 2010-09-07 Siemens Energy, Inc. Resonator device at junction of combustor and combustion chamber
JP2008121961A (ja) 2006-11-10 2008-05-29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用の音響ライナー
US8769963B2 (en) * 2007-01-30 2014-07-08 Siemens Energy, Inc. Low leakage spring clip/ring combinations for gas turbine engine
JP4146492B2 (ja) 2007-01-31 2008-09-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燃焼器尾筒の冷却構造
JP2008304125A (ja) 2007-06-07 2008-12-18 Mitsubishi Heavy Ind Ltd 音響ダンパの振動低減構造
JP2009062977A (ja) 2007-08-15 2009-03-26 Rohr Inc 線形音響ライナー
JP2008114838A (ja) 2007-10-26 2008-05-22 General Electric Co <Ge> 補助動力装置組立体
GB0813821D0 (en) 2008-07-29 2008-09-03 Rolls Royce Plc A fan casing for a gas turbine engine
US8408004B2 (en) * 2009-06-16 2013-04-02 General Electric Company Resonator assembly for mitigating dynamics in gas turbines
US8789372B2 (en) * 2009-07-08 2014-07-29 General Electric Company Injector with integrated resonator
RU2508506C2 (ru) * 2009-09-01 2014-02-27 Дженерал Электрик Компани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ввода текучей среды в камеру сгорания газотурби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EP2302302A1 (en) * 2009-09-23 2011-03-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Helmholtz resonator for a gas turbine combustion chamber
JP5804808B2 (ja) * 2011-07-07 2015-11-04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その燃焼振動減衰方法
US9395082B2 (en) * 2011-09-23 2016-07-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mbustor resonator section with an internal thermal barrier coating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163837B2 (en) * 2013-02-27 2015-10-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Flow conditioner in a combustor of a gas turbine eng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8812A1 (en) 2009-12-15 2011-06-16 Johnson Clifford E Resonator System for Turbine Eng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01343A1 (en) 2015-04-16
KR20140012183A (ko) 2014-01-29
JP2013019567A (ja) 2013-01-31
WO2013005651A1 (ja) 2013-01-10
US20130008167A1 (en) 2013-01-10
JP5804808B2 (ja) 2015-11-04
CN103620307A (zh) 2014-03-05
EP2730845A4 (en) 2015-02-25
US10197284B2 (en) 2019-02-05
US9003800B2 (en) 2015-04-14
EP2730845B1 (en) 2020-02-12
CN103620307B (zh) 2015-08-12
EP2730845A1 (en)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720B1 (ko) 가스 터빈 연소기
JP2013019567A5 (ko)
US20160003162A1 (en) Damping device for a gas turbine, gas turbine and method for damping thermoacoustic oscillations
JP4754987B2 (ja) 減衰装置、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JP5584700B2 (ja) 音響ダンパ
JP4429730B2 (ja) ガスタービン
EP2860449B1 (en) Acoustic damping device
US11536457B2 (en) Gas turbine assemblies and methods
EP2474784A1 (en) Combustion system for a gas turbine comprising a resonator
KR20180008687A (ko) 연소기 및 가스 터빈
US20150247426A1 (en) Acoustic damping device for chambers with grazing flow
WO2015094814A1 (en) Axial stage injection dual frequency resonator for a combustor of a gas turbine engine
JP6100295B2 (ja) 燃料ノズル、これを備えた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US9400108B2 (en) Acoustic damping system for a combustor of a gas turbine engine
CN108954386B (zh) 混合器及用于操作该混合器的方法
US8857189B2 (en) Gas turbine combustion burner
JP5762481B2 (ja) 燃料ノズル、これを備えた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JP5357631B2 (ja) 燃料ノズル、これを備えた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JP2009235970A (ja) ガスタービン
JP2004183945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これを備えたガスタービン
JP2008304125A (ja) 音響ダンパの振動低減構造
CN115371083A (zh) 被动燃料耦合动力学缓解装置
CN116291878A (zh) 一种谐振腔喉部组件
WO2017018983A1 (en) Combustor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combustion residence time and/or damping combustion dynam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