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639B1 -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 - Google Patents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639B1
KR101574639B1 KR1020140011268A KR20140011268A KR101574639B1 KR 101574639 B1 KR101574639 B1 KR 101574639B1 KR 1020140011268 A KR1020140011268 A KR 1020140011268A KR 20140011268 A KR20140011268 A KR 20140011268A KR 101574639 B1 KR101574639 B1 KR 101574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solution
molding material
acry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0523A (ko
Inventor
김형중
한병학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1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639B1/ko
Publication of KR20150090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6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22Ester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기본수지로 함유한 A, B액상으로 이루어지되, 환원제를 함유한 A용액과 산화제를 함유한 B용액간의 산화-환원 중합(Redox polymerization)에 의한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는 A, B용액상의 2성분으로 구성되어 저점도로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으며, 액상타입으로 인한 분진 발생이 없고, 투명성이 우수하고 진공 탈포 설비와 같은 별도의 장비 없이 상온에서 콜드 마운팅용 몰딩 시편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저점도 A, B액상의 조성별 혼합비에 따라 마운팅 몰딩 시편의 제조시간을 조절하여 종래 콜드 마운팅용 몰딩 재료에 요구되는 물성을 충족하면서 개발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ACRYLIC BASED MOLDING MATERIAL FOR COLD MOUNTING}
본 발명은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기본수지로 함유한 A, B액상으로 이루어지되, 환원제를 함유한 A용액과 산화제를 함유한 B용액간의 산화-환원 중합(Redox polymerization)에 의해 구현되며, A, B용액상의 2성분으로 구성되어 저점도로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으며, 액상타입으로 인한 분진 발생이 없고, 투명성이 우수하고 특히, 저점도 A, B액상의 조성별 혼합비에 따라 마운팅 몰딩 시편의 제조시간을 조절하여 속경화가 가능한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및 전자부품관련 분야, 금속 및 비금속관련 산업분야에서 제품분석 및 품질관리를 위한 검사 시편 가공은 기본적인 공정이면서도 고객에게 빠른 처리속도로 대응하고 동시에 정밀성이 요구되므로 날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마운팅(Mounting)이란 일반적으로 절단된 시편을 연마하기 위해서 시편을 고정시키는 작업을 말하며, 재료공학 분야에서 비커스 경도 측정이나 전자현미경 분석을 위해서 시편표면을 연마하게 되는데 연마할 때 실험의 편의성을 위해서 시편을 수지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 중에서, 콜드 마운팅(Cold mounting)이란 절단된 시편을 연마하기 위하여 주형용(Castable) 수지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일정한 형태로 몰딩(Molding)한 시편을 말한다.
콜드 마운팅의 주요 용도는 금속 및 비철금속관련 산업분야뿐만 아니라 반도체 및 전자부품관련 분야, 시멘트나 광물, 유리 및 플라스틱 분야를 포함하여 제지나 유물연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면에서 표면 분석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에 종래 보편적으로 시편분석에 사용되는 콜드 마운팅(Cold mounting)용 몰딩 재료로는 2액형 타입의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UPR) 또는 에폭시 수지(Epoxy resin)가 주로 이루어졌으며, 상기 주제에 경화제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굳히는 방식으로 몰딩 시편이 제작된다.
그러나, 이때 몰딩 시편의 경화시간이 수 시간 내지 1일 정도가 소요되거나, 후경화 공정을 거치는 경우도 있고, 주제와 경화제를 정량 배합비율에 맞추기가 까다로워 원하는 시편 제작이 어렵고, 공정 작업자가 반복된 연습을 통해서 숙련된 기능을 통해서 비로소 몰딩 시편을 제작하는 실정에 있다.
또한, 후공정인 연마공정에서 가공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지적되는가 하면, 마운팅 제조에 대한 기본공정에서부터 어려움이 빈번히 발생되므로, 관련분야의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콜드 마운팅(Cold mounting)용 몰딩 재료는 하기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첫째, 수 내지 수십 분 이내에 경화가 이루어지는 속 경화이어야 하고,
둘째, 경화 후 수지가 유리처럼 투명하여 어느 각도에서의 관찰도 원활히 이루어져야 하고,
셋째, 경화 후 기포 발생이 없어 측정 부위, 특히 홀 속 관찰이 방해 받지 않아야 하며,
넷째, 콜드 마운팅으로서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정 없이 상온에서 자체적으로 자연경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대한민국특허 제1997-41447호에는 마운팅 플레이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7656호에는 내구성, 내충격성, 내한충격성 및 내진동성 등 제반 물성이 우수한 자동차 헤드램프의 조립형 마운팅 플레이트용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 제663680호에는 마운팅형 반도체 장치에 적합하고 뒤틀림이 적은 (A) 에폭시 수지, (B) 페놀 수지, (C) 경화 가속제 및 (D) 무기 충전제를 주요성분으로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특허 제643348호는 불포화에스테르 수지용액 230∼270중량부; 파라핀 0.4~0.6중량부; 및 메틸-에틸-케톤 퍼옥사이드 55%와 안정제인 DOP(디오틸 프탈레이트) 45%로 구성된 경화제 0.8~1.2중량부;로 이루어진 콜드몰드 제조용 용액 및 그를 이용한 성형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콜드 마운팅용 몰딩 재료에 아크릴계 2성분 액상타입 제조에 대한 보고가 없으며, 국내 시장 규모로는 국내에서 개발하여 생산하는 것이 경제성이 없어 부정적이고, 제조할 때 발생하는 폐수처리에 대한 또 다른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2성분 액상타입의 아크릴계 콜드 마운팅용 몰딩 재료는 주로 외국의 시편가공 및 단면검사 관련 장비사업체에서 장비와 같이 세트로 공급되고 있으며, 국내의 분석관련 사업체와 국내 화학 관련업체의 상호간의 정보공유 미비로 거의 대부분을 고가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콜드 마운팅용 몰딩 재료에 요구되는 물성을 충족하면서 개발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노력한 결과, A, B액상으로 구성하여 저점도로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으며 진공 탈포 설비와 같은 별도의 장비 없이 상온에서 콜드 마운팅용 몰딩 시편을 제조할 수 있는 2 성분 액상타입의 아크릴계 몰딩 재료를 안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콜드 마운팅용 2 성분 액상타입의 아크릴계 몰딩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기본수지로 함유한 A, B액상으로 이루어지되, 환원제를 함유한 A용액과 산화제를 함유한 B용액간의 산화-환원 중합(Redox polymerization)에 의한 2성분의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혼합형태를 사용한다.
상기에서 A용액은 아크릴계 올리고머 20 내지 60 중량%, 다관능 모노머 5 내지 10중량%, 단관능 모노머 23 내지 50중량%, 저수축제 10 내지 15중량% 및 환원제 2 내지 5 중량%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B 용액은 아크릴계 올리고머 19 내지 60 중량%, 다관능 모노머 5 내지 10중량%, 단관능 모노머 21 내지 50중량%, 저수축제 10 내지 15중량% 및 산화제 4 내지 6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용액과 B용액에서 다관능 모노머는 핵산디올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티롤 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단관능 모노머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르말)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상기 A용액과 B용액에서의 저수축제는 폴리스티렌수지, 폴리아크릴수지, 폴리아세테이트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로진변성수지, 페놀수지, 알데히드수지, 터펜페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환원제를 함유한 A용액에서의 환원제는 우레아계, 아닐린계 및 톨루이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차 아민화합물 또는 3차 아민화합물의 유기화합물계 환원제; 또는 코발트계, 망간계, 칼슘계, 바나듐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금속화합물계 환원제;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2종이상의 혼합형태이다.
또한, 산화제를 함유한 B용액에서의 산화제는 케톤계, 디아실계, 하이드로계 또는 디알킬계에서 선택되는 퍼옥사이드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콜드 마운팅용 2 성분 액상타입의 아크릴계 몰딩 재료는 저점도 A, B액상으로 구성되어 혼합이 용이하고, 액상타입으로 인한 분진 발생이 없고, 투명성이 우수하고 특히, 저점도 A, B액상의 혼합비율에 따라 마운팅 몰딩 시편의 제조시간을 조절할 수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를 이용한 시편 검사공정은 빠른 검사시간, 품질 검토 및 분석에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기본수지로 함유한 A, B액상으로 이루어지되, 환원제를 함유한 A용액과 산화제를 함유한 B용액간의 산화-환원 중합(Redox polymerization)에 의한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기본수지인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혼합형태가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일례로 저수축성 특성이 우수한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상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알데히드수지 변성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할 것이다.
본 발명의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를 구성하는 성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에서 A용액은 아크릴계 올리고머 20 내지 60 중량%, 다관능 모노머 5 내지 10중량%, 단관능 모노머 23 내지 50중량%, 저수축제 10 내지 15중량% 및 환원제 2 내지 5 중량%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B 용액은 아크릴계 올리고머 19 내지 60 중량%, 다관능 모노머 5 내지 10중량%, 단관능 모노머 21 내지 50중량%, 저수축제 10 내지 15중량% 및 산화제 4 내지 6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A, B용액간의 반응은 동일비율로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혼합비율에 따라 경화시간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각 구성하는 조성의 함량을 제어함에 따라 물성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A용액과 B용액에 기본수지로 포함되는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함량에 따라, 반응속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하한 함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반응속도가 현저하게 느려지고, 제시된 상한 함량을 초과하면, 반응속도가 너무 빨라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A용액과 B용액은 액상의 점도, 경화속도의 조절 및 경도를 충족하기 위하여 단관능 모노머 및 2관능 내지 3관능의 (메타)아크릴레이트의 다관능 모노머를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1관능의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의 단관능 모노머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MMA), 이소(노르말)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I-BMA) 및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EM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취기성과 마운팅의 강도 및 투명도 측면에서 우수한 이소(노르말)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단관능 모노머의 함량에 따라, 점도 및 경화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데, A용액에서는 단관능 모노머 23 내지 50중량%, B 용액에는 단관능 모노머 21 내지 50중량%가 함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로부터, 단관능 모노머의 함량을 달리함에 따라, 최종 몰딩 재료의 겔 타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상기 A용액 또는 B 용액에서의 하한 수치 함량의 미만으로 함유되면, 점도가 너무 높아져 작업성이 떨어지고, 상한 수치함량을 초과하면, 반응성이 떨어지고 경도가 나오질 않는다.
또한, 2관능 내지 3관능의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의 다관능 모노머의 경우 역시, 경화속도에 관여하며, 상기 A용액 또는 B 용액에 5 내지 10중량%으로 함유된다. 이때, 5중량% 미만이면, 반응속도가 느려지고 경도가 나오질 않고, 10중량%를 초과하면, 반응속도가 너무 빨라 작업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다관능 모노머의 일례로는 핵산디올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티롤 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경화속도의 단축 및 경도 향상에 우수한 트리메티롤 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A, B용액에서 저수축제는 폴리스티렌수지, 폴리아크릴수지, 폴리아세테이트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로진변성수지, 페놀수지, 알데히드수지 및 터펜페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투명성과 상용성이 우수한 알데히드 수지를 사용하며, 상기 물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A용액 또는 B 용액에 10 내지 15중량%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A액상에 함유된 환원제는 유기화합물계 환원제; 또는 유기금속화합물계 환원제;에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화합물계 환원제는 2차 아민화합물 또는 3차 아민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 우레아계, 아닐린계 및 톨루이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용해성이 우수한 디부틸티오우레아를 사용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할 것이다.
또한, 유기금속화합물계 환원제는 코발트계, 망간계, 칼슘계, 바나듐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투명성과 활성이 높은 바나듐아세토아세테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액상에 환원제의 바람직한 함량은 2 내지 4중량%로 함유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산화제를 함유한 B용액에서의 산화제는 케톤계, 디아실계, 하이드로계 또는 디알킬계에서 선택되는 퍼옥사이드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저장안정이 높은 큐멘 하이드로 퍼옥사이드를 사용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할 것이다.
이때, B용액에서의 산화제는 4 내지 6중량%가 함유되며, 상기 4중량% 미만이면, 반응이 매우 느리고, 6중량%를 초과하면, 착색의 원인이 되고, 작업성이 나오지 않는다.
이상의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는 A, B용액상의 2성분으로 구성되어 저점도로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으며, 액상타입으로 인한 분진 발생이 없고, 투명성이 우수하고 진공 탈포 설비와 같은 별도의 장비 없이 상온에서 콜드 마운팅용 몰딩 시편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저점도 A, B액상의 조성별 혼합비에 따라 마운팅 몰딩 시편의 제조시간을 조절하여 속경화가 가능하다[표 3].
이에, 종래 콜드 마운팅용 몰딩 재료 개발의 문제점인 분말성분 사용으로 인한 분진 발생과 산화제인 과산화물의 용해 여부가 불분명하여 부분적인 끓음 현상으로 시편 불량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콜드 마운팅용 2 성분 액상타입의 아크릴계 몰딩 재료를 이용하여 빠른 검사시간, 품질 검토 및 분석이 용이한 시편 검사공정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4>
단계 1: 알데히드 수지 변성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제조
4구 둥근 플라스크에 교반기, 냉각기, 온도계, 히팅 멘틀로 구성된 반응기에 알데히드 수지 600g를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I-BMA) 400g에 용해한 후,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6.9g과 2-하이드록실 메타아크릴레이트 4g을 반응시킨 반응물을 투입하고, 반응촉매인 디부틸 틴 디라우릴레이트 200ppm을 첨가한 후, 60℃로 온도를 올리면서 2시간을 유지하여 반응시켜, 알데히드 수지 변성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였다.
단계 2: 아크릴계 몰딩 재료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합성된 알데히드 수지 변성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60중량%)을 기본 수지로 사용하고, 하기 표 1에 제시된 A 성분과 B성분을 20℃로 유지한 플라스틱 컵에 1: 1로 투입하고 콜드 마운팅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유리 막대로 약 20초간 저어 주고, 겔 시간(Gel time)을 측정하고 온도를 20℃로 유지하였다.
Figure 112014009758996-pat00001
< 비교예 1∼4>
하기 표 2에 제시된 A 성분과 B성분으로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Figure 112014009758996-pat00002
< 실험예 1> 콜드 마운팅 몰드 시험
상기 표 1에 제시된 실시예 1 내지 4의 콜드 마운팅 수지 조성물과 상기 표 2에 제시된 비교에 1 내지 4의 콜드 마운팅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콜드 마운팅용 몰딩 재료의 물성을 하기 표 3에 기재되었다.
Figure 112014009758996-pat00003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콜드 마운팅 수지 조성물로 경화된 콜드 마운팅용 몰딩 재료는 기본수지를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채용함으로써, 15분 이내에 경화가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공정 없이 상온에서 자체적으로 자연경화가 가능하고, 색상이 무색이고 투명도가 높아, 어느 각도에서도 관찰이 용이하고, 기포발생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콜드 마운팅용 몰딩 재료에 요구되는 물성이 충족된 최적의 콜드 마운팅 수지 조성물을 안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기본수지로 함유한 A, B액상으로 이루어지되, 환원제를 함유한 A용액과 산화제를 함유한 B용액간의 산화-환원 중합(Redox polymerization)에 의한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의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는 A, B용액상의 2성분으로 구성되어 저점도로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으며, 액상타입으로 인한 분진 발생이 없고, 투명성이 우수하고 진공 탈포 설비와 같은 별도의 장비 없이 상온에서 콜드 마운팅용 몰딩 시편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아크릴계 몰딩 재료는 콜드 마운팅용 몰딩 재료에 요구되는 물성을 충족하면서 개발의 문제점을 해소하므로 수입의존적인 시장구조를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9)

  1.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기본수지로 함유한 A, B액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 20 내지 60 중량%, 다관능 모노머 5 내지 10중량%, 단관능 모노머 23 내지 50중량%, 저수축제 10 내지 15중량% 및 환원제 2 내지 5 중량%로 이루어진 A용액과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 19 내지 60 중량%, 다관능 모노머 5 내지 10중량%, 단관능 모노머 21 내지 50중량%, 저수축제 10 내지 15중량% 및 산화제 4 내지 6중량%로 이루어진 B용액간의 산화-환원 중합(Redox polymerization)에 의한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가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혼합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한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용액 또는 B용액에서 다관능 모노머가 핵산디올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티롤 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용액 또는 B용액에서 단관능 모노머가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르말)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용액 또는 B용액에서 저수축제가 폴리스티렌수지, 폴리아크릴수지, 폴리아세테이트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로진변성수지, 페놀수지, 알데히드수지, 터펜페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용액에서 환원제가 우레아계, 아닐린계 및 톨루이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차 아민화합물 또는 3차 아민화합물의 유기화합물계 환원제; 또는 코발트계, 망간계, 칼슘계, 바나듐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금속화합물계 환원제;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2종이상의 혼합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용액에서 산화제가 케톤계, 디아실계, 하이드로계 또는 디알킬계에서 선택되는 퍼옥사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
KR1020140011268A 2014-01-29 2014-01-29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 KR101574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268A KR101574639B1 (ko) 2014-01-29 2014-01-29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268A KR101574639B1 (ko) 2014-01-29 2014-01-29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523A KR20150090523A (ko) 2015-08-06
KR101574639B1 true KR101574639B1 (ko) 2015-12-11

Family

ID=53885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268A KR101574639B1 (ko) 2014-01-29 2014-01-29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6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1856A (ja) 2010-09-03 2012-03-15 Gc Corp 重合性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1856A (ja) 2010-09-03 2012-03-15 Gc Corp 重合性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523A (ko)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4885B (zh) 可固化之聚合物混凝土混合物
CN103703098B (zh) 混合型密封剂组合物
JP2017527649A (ja) 化学固定用の反応性希釈剤
KR20130132692A (ko) 라디칼 경화성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피복재, 토목 건축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JP2016029125A (ja) 2液硬化型樹脂組成物、被覆材、被覆工法及び被覆構造体
WO2015093417A1 (ja) エポキシ樹脂硬化剤、エポキシ樹脂組成物、エポキシ樹脂硬化物、及びエポキシ樹脂硬化剤の製造方法
CN104870503A (zh) 双组分固化性树脂组合物
KR101574639B1 (ko) 콜드 마운팅용 아크릴계 몰딩 재료
WO2019235063A1 (ja) ラジカル重合性パテ状樹脂組成物、シール剤、およびひび割れ修復方法
JP2008510055A (ja) 広範に変動する加工時間と硬化時間を有するポリイソシアネート/ポリケイ酸をベースとする樹脂の製法
KR102163353B1 (ko) 라디칼 중합성 수지 조성물 및 토목 건축 재료
CN104277186B (zh) 一种不饱和树脂组合物、制备方法及其用途
CN103842432B (zh) 自由基聚合型丙烯酸系树脂组合物、防水材料组合物和层积体及其制造方法
JP2018184320A (ja) 塗床用水硬性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の硬化促進剤組成物及び硬化促進方法
EP3549670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 polyurethane-poly(meth)acrylate resin
WO2021132139A1 (ja) ラジカル重合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WO2015153182A1 (en) Epoxy two-part formulations
Zhou et al.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with low-viscosity: Prepar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enhancement by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modification
TWI572670B (zh) 樹枝狀水性聚胺酯組成物及包含該聚胺酯之薄膜
DE102013020915A1 (de) Nichwässrige Dispersion von Polyurethan(meth)acrylatpartikeln in Reaktivverdünner
JP6952686B2 (ja) 炭素繊維強化樹脂用組成物、炭素繊維強化樹脂組成物、硬化物
KR101104149B1 (ko)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하이드록시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바닥재
CN103492423B (zh) 树脂组合物、金属基盘用底涂剂和层积体及其制造方法
TWI808574B (zh) 胺基甲酸酯(甲基)丙烯酸酯及胺基甲酸酯(甲基)丙烯酸酯樹脂之製造方法
JP2000169532A (ja) ビニルエステル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