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996B1 - 스티어링 칼럼 부품 상의 스티어링 드롭 아암의 베어링 장치, 및 이러한 유형의 베어링 장치를 갖는 자동차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칼럼 부품 상의 스티어링 드롭 아암의 베어링 장치, 및 이러한 유형의 베어링 장치를 갖는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996B1
KR101573996B1 KR1020137024164A KR20137024164A KR101573996B1 KR 101573996 B1 KR101573996 B1 KR 101573996B1 KR 1020137024164 A KR1020137024164 A KR 1020137024164A KR 20137024164 A KR20137024164 A KR 20137024164A KR 101573996 B1 KR101573996 B1 KR 101573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additional
steering column
main
jou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4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3065A (ko
Inventor
칼 시모니스
로란트 그루너
로랑 라다즈
마틴 하쉬
엔리코 라이몬도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filed Critical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Publication of KR20140043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69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26System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7/00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27/02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20Land vehicles
    • F16C2326/24Steering systems, e.g. steering rods or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 부품(1) 상의 스티어링 드롭 아암의 베어링 장치(2)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스티어링 드롭 아암은, 적어도 간접적으로, 주 베어링 저널(4, 10) 및 대응하는 주 베어링 슬리브(20, 21)에 의해 형성되는 주 베어링 지점(26, 28)을 갖는 베어링(5, 9)을 통해 스티어링 칼럼 부품(1)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다. 베어링(5, 9)은 특히 주 베어링 저널(4, 1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주 베어링 저널(4, 10)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된 추가 베어링 저널(7, 11)을 가지며, 여기서 베어링(5, 9)의 추가 베어링 지점(27, 29)은 추가 베어링 저널(7, 11) 및 대응하는 추가 베어링 슬리브(17, 23)에 의해 형성되고, 주 베어링 지점(26, 28)은 유극을 갖도록 설계되고 추가 베어링 지점(27, 29)은 유극이 없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칼럼 부품 상의 스티어링 드롭 아암의 베어링 장치, 및 이러한 유형의 베어링 장치를 갖는 자동차{BEARING ARRANGEMENT OF A STEERING DROP ARM ON A STEERING COLUMN PART AND MOTOR VEHICLE WITH A BEARING ARRANGEMENT OF THIS TYP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 부품 상의 스티어링 칼럼 레버(steering column lever)의 베어링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스티어링 칼럼 레버는 적어도 간접적으로 베어링을 통해 스티어링 칼럼 부품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다. 베어링은 주 베어링 저널(bearing journal) 및 대응하는 주 베어링 슬리브(bearing sleeve) 또는 주 베어링 쉘(bearing shell)에 의해 형성되는 주 베어링 지점(bearing point)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베어링 조립체를 갖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 레버 또는 스티어링 칼럼 스위치를 위한 베어링 조립체는 최신의 것이다. 보통, 카던 조인트(cardan joint)로 또한 알려진 유니버설 조인트(universal joint)가 사용된다. 유니버설 조인트의 사용은 2개의 피벗 방향에 있어서의 스티어링 칼럼 레버의 피벗 이동을 허용한다. 이를 위해 중간 요소가 사용되는데, 첫째로 이러한 중간 요소는 제 1 피벗 방향으로 피벗가능하게 스티어링 칼럼 부품에 장착되고, 둘째로 실제 스티어링 칼럼 레버는 제 1 피벗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피벗가능하게 중간 요소에 장착된다.
베어링 조립체의 개발에 있어서, 또는 베어링의 치수설정에 있어서, 소정의 타협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베어링은 스티어링 칼럼 레버의 작동시 베어링 지점에 작용하는 작동력을 견디기에 충분히 크고 튼튼하게 치수설정되어야 한다. 특히, 베어링 조립체는 사용자가 스티어링 칼럼 레버를 "강력하게" 또는 큰 힘으로 작동시킬 때 "남용된 힘"을 흡수할 수 있어야 한다. 주 베어링 지점 - 주 베어링 저널과 대응하는 주 베어링 슬리브 - 이 충분히 크게 치수설정된다면, 스티어링 칼럼 레버가 용이하게 그리고 큰 노력 없이 이동될 수 있도록 주 베어링 저널과 대응하는 주 베어링 슬리브 사이에 어느 정도의 유극(play)이 존재하여야 한다. 주 베어링 저널과 주 베어링 슬리브 사이에 유극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스티어링 칼럼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비교적 큰 토크가 인가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로, 주 베어링 지점은 그것이 비교적 큰 작동력을 견디도록 그리고 이에 따라 베어링이 파괴되지 않도록 충분히 크게 치수설정되어야 한다. 둘째로, 주 베어링 지점은 스티어링 칼럼 레버가 적정한 힘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유극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스티어링 칼럼 레버는 허용오차(tolerance)로 인해 흔들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처음에 언급된 유형의 베어링 조립체에 있어서, 첫째로 스티어링 칼럼 레버의 작동시의 비교적 큰 힘(예를 들어, 남용된 힘)을 견딜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티어링 칼럼 레버가 충분히 튼튼히 구성될 수 있으며, 둘째로 스티어링 칼럼 레버의 높은 지각 품질(perceived high quality)이 보장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베어링 조립체, 및 청구항 9의 특징을 갖는 자동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의 주제이다.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 부품 상의 스티어링 칼럼 레버의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조립체에서, 스티어링 칼럼 레버는 적어도 간접적으로 베어링을 통해 스티어링 칼럼 부품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다. 베어링은 주 베어링 저널 및 대응하는 주 베어링 슬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주 베어링 지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링은 또한 주 베어링 저널에 대해 동축으로 또는 동심으로 배열되고 특히 주 베어링 저널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추가 베어링 저널을 갖는다. 추가 베어링 저널 및 대응하는 추가 베어링 슬리브 또는 쉘은 베어링의 추가 베어링 지점을 형성한다. (반경방향 및/또는 축방향에서) 주 베어링 지점은 유극을 갖도록 형성되고 추가 베어링 지점은 유극을 갖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는 주 베어링 저널과 주 베어링 슬리브가 서로에 관해 유극을 갖는 반면, 추가 베어링 슬리브와 추가 베어링 저널이 서로에 관해 유극 없이 배열됨을 의미한다.
주 베어링 지점뿐만 아니라, 추가 베어링 저널 - 특히 더 작은 직경을 가짐 - 및 대응하는 추가 베어링 슬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추가 베어링 지점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효과가 또한 달성된다. 따라서, 주 베어링 지점 - 주 베어링 저널 및 주 베어링 슬리브에 의한 것 - 은 비교적 큰 직경 때문에 큰 작동력을 견딜 수 있어서, 스티어링 칼럼 스위치는 특히 튼튼하며 남용된 큰 힘을 견딜 수 있다. 반면에, 추가 베어링 지점 - 추가 베어링 저널 및 추가 베어링 슬리브에 의한 것 - 은 유극이 없도록 설계되며 이에 따라 스티어링 칼럼 스위치의 높은 지각 품질을 보장한다. 추가 베어링 지점이 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면, 스티어링 칼럼 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해 큰 토크가 인가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존재한다. 추가 베어링 지점에서의 마찰 모멘트는 작은 직경 때문에 본 발명에서 무시해도 좋을 정도로 낮으며, 사용자는 큰 노력 없이 스티어링 칼럼 레버를 작동시킬 수 있다. 베어링 힘은 주 베어링 지점의 유극이 극복된 때까지만 추가 베어링 지점에 의해 흡수되며 후자는 지지 기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조립체에 따르면, 더 큰 허용 오차에도 불구하고, 항상 100% 유극 없는 베어링이 - 가격 중립적으로 -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스티어링 칼럼 스위치의 높은 지각 품질을 보장한다.
따라서, 추가 베어링 지점은 유극이 없도록 설계되는 반면, 주 베어링 지점은 유극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이점은 추가 베어링 저널 또는 베어링 핀이 주 베어링 저널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경우 충분히 활용된다. 첫째로 추가 베어링 지점에 유극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스티어링 칼럼 레버의 높은 지각 품질이 따라서 보장되고, 둘째로 본 발명에서 발생하는 마찰 모멘트가 작은 직경으로 인해 특히 낮기 때문에 스티어링 칼럼 레버가 특히 확실하게 그리고 큰 노력 없이 - 즉, 작은 토크로 - 작동될 수 있다.
추가 베어링 저널이 추가 베어링 슬리브와 탄성적으로 협력하는 경우 특히 이로운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추가 베어링 지점은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파트너(bearing partner)의 탄성 변형이 허용되는 탄성 베어링 지점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대응하는 토크에 도달되고 주 베어링 지점의 유극이 극복될 때까지만 작동력이 추가의 (작은) 베어링 지점에 작용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래서 주 베어링 지점은 그것의 실제 지지 기능을 나타내고, 모든 작동력은 주 베어링 지점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이는 베어링 조립체, 즉 특히 추가 베어링 저널 및 추가 베어링 슬리브를 비롯한 추가 베어링 지점의 파괴를 방지한다.
추가 베어링 지점의 탄성은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는데, 첫째로 추가 베어링 저널 및/또는 추가 베어링 슬리브는 베어링 파트너와의 상호작용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탄성 재료 - 예를 들어, 고무 - 로 제조된 요소를 가질 수 있다. 둘째로 -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 추가 베어링 슬리브에는 추가 베어링 저널에 대면하는 베어링 슬리브의 주변부(periphery)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슬롯은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래서 슬롯은 추가 베어링 슬립의 탄성 변형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베어링 슬리브의 주변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2개 또는 3개 또는 4개의 슬롯이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갖는 실시예에서, 추가 베어링 슬리브는 심지어 전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추가 베어링 저널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추가 베어링 저널은 축방향으로 주 베어링 저널에 바로 인접하게 위치한다. 예를 들어, 추가 베어링 저널은 주 베어링 저널의 연속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베어링 지점은 주 베어링 지점 바로 옆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베어링이 전체로서 특히 콤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둘째로, 이는 주 베어링 지점으로의 확실한 힘 전달을 보증하며, 추가 베어링 지점은 파괴로부터 보호된다.
특히 안정되고 튼튼한 베어링 조립체에서, 주 베어링 저널 및 추가 베어링 저널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일체로 함께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티어링 칼럼 레버는 유니버설 조인트(카던 조인트)를 통해 스티어링 칼럼 부품에 부착된다. 유니버설 조인트는 바람직하게는 제 1 피벗 방향으로 피벗가능하게 스티어링 칼럼 부품에 첫째로 장착되는 중간 요소를 가지며, 둘째로 실제 스티어링 칼럼 레버는, 특히 제 1 피벗 방향에 수직인 제 2 피벗 방향으로 피벗가능하게 중간 요소에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주 베어링 지점 및 추가 베어링 지점을 포함하는 상기 베어링을 통해 스티어링 칼럼 부품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은 유니버설 조인트의 중간 요소이다. 그러나,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실제 스티어링 칼럼 레버가 주 베어링 지점 및 추가 베어링 지점을 갖는 그러한 베어링을 통해 중간 요소에서 피벗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전술된 (제 1) 베어링뿐만 아니라, 베어링 조립체는 또한 제 1 베어링에 동축으로 또는 동심으로 배열된 제 2 베어링을 가질 수 있다. 제 2 베어링이 또한 주 베어링 저널 및 대응하는 주 베어링 슬리브 또는 주 베어링 쉘에 의해 형성되는 주 베어링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베어링의 추가 베어링 지점은 - 제 1 베어링에서와 같이 - 주 베어링 저널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되고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추가 베어링 저널에 의해, 그리고 추가 베어링 슬리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스티어링 칼럼 레버를 스티어링 칼럼 부품에 장착하기 위해, 이러한 실시예에서, 2개의 별개의 동축 베어링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들 베어링은 서로 반대편에 위치되고 특히 상호 대향하여 배열되며, 각각 상기 주 베어링 지점 및 추가 베어링 지점을 갖는다. 이는 베어링 조립체를 특히 안정되게 만든다.
대응하는 추가 베어링 지점을 갖는 제 2 베어링의 사용은 또한 반경방향과 축방향 둘 모두에서 유극이 없도록 형성된 베어링 조립체의 제공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제 1 베어링은 반경방향에 있어서의 유극의 부존재를 보장할 수 있는 반면, 제 2 베어링은 축방향에 있어서의 유극의 부존재를 보장한다. 제 1 베어링의 추가 베어링 저널은 동일한 베어링의 추가 베어링 슬리브 상에 반경방향으로 유극 없이 지지될 수 있어서, 제 1 베어링의 추가 베어링 지점 및 이에 따라 베어링 조립체 전체가 반경방향으로 유극이 없도록 형성된다. 대조적으로, 제 2 베어링의 추가 베어링 저널은 제 2 베어링의 추가 베어링 슬리브 상에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어서, 제 2 베어링의 추가 베어링 지점 및 이에 따라 또한 베어링 조립체 전체가 축방향으로 유극이 없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반경방향 또는 축방향에서 유극이 전혀 존재하지 않고, 이에 따라 흔들림 운동이 유발될 수 없는 특히 고품질의 베어링 조립체가 생성될 수 있다.
2개의 베어링은 바람직하게는 추가 베어링 저널이 서로를 향하거나 대면하도록 서로에 대해 배열된다. 따라서, 각자의 주 저널은 서로를 향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조립체를 갖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조립체에 관해 제안된 바람직한 실시예 및 그것의 이점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이 특허청구범위, 도면 및 도면의 설명으로부터 유발된다. 위의 설명에 언급된 모든 특징 및 특징 조합과, 아래의 도면의 설명 및/또는 도면 단독에 나타내어진 특징 및 특징 조합이 주어진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조합으로 또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제 개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해 그리고 첨부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이 보다 상세히 하기에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조립체의 스티어링 칼럼 부품의 개략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중간 요소가 내부에 장착된 스티어링 칼럼 부품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유니버설 조인트의 중간 요소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베어링의 주 베어링 저널 및 추가 베어링 저널의 개략 사시도,
도 5는 제 1 베어링 및 대향하는 제 2 베어링을 갖는 베어링 조립체를 통한 개략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조립체(2)의 부품인, 하우징 형태의 스티어링 칼럼 부품(1)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스티어링 칼럼 부품(1)은 자동차, 예를 들어 승용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부품이다. 스티어링 칼럼 부품(1)은 본 발명에서 하우징의 형태로 제조되며, 유니버설 조인트(도 2 참조)의,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중간 요소(3)를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베어링(5)의 주 베어링 저널 또는 주 베어링 핀(pin)(4)이 스티어링 칼럼 부품(1) 상에 형성되고, 중간 요소(3)의 대응하는 주 베어링 슬리브 또는 주 베어링 쉘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제 1 베어링(5)의 추가 베어링 저널(7)이 축방향으로(화살표 6) 주 베어링 저널(4)에 바로 인접하게 위치한다. 추가 베어링 저널(7)은 본 발명에서 주 베어링 저널(4)의 축방향 연장부로서 형성된다. 원통형 추가 베어링 저널(7)은 주 베어링 저널(4)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주 베어링 저널(4)과 주 베어링 저널(4)의 면(face)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동축의 추가 베어링 저널(7) 둘 모두는, 제 1 베어링(5)이 피벗 베어링이도록, 또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중간 요소(3)가 베어링(5)을 통해 피벗축(8)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게 스티어링 칼럼 부품(1)에 장착될 수 있도록 원통형 몸체 또는 원통형-유사 몸체이다.
제 1 베어링(5)의 반대편에는, 제 1 베어링(5)의 방향으로 축방향을 향하는 주 베어링 저널(10)을 또한 갖는 동심의 제 2 베어링(9)이 있다. 제 2 베어링(9)은 또한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더 작은 직경의 추가 베어링 저널(11)(도 4)을 포함한다. 따라서, 유니버설 조인트의 중간 요소(3)는 2개의 베어링(5, 9)을 통해 피벗축(8)을 중심으로 운동가능하게 스티어링 칼럼 부품(1)에 양측에 장착될 수 있다. 중간 요소(3)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착된 상태에 있는 상태로, 중간 요소(3)는 제 1 베어링(5)의 정지부(stop)(12)와 제 2 베어링(9)의 정지부(13) 사이에 위치한다. 중간 요소(3)는 스티어링 칼럼 부품(1) 내에, 즉 2개의 하우징 반부(half)(1a, 1b) 사이에 형성된 수용기(14) 내에 유지될 수 있다. 이들 2개의 하우징 반부(1a, 1b)는 예를 들어 스크류(15)에 의해서와 같이 스크류 연결에 의해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도 2a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중간 요소(3)가 장착된 상태에 있는 베어링 조립체(2)를 도시하고 있다. 스티어링 칼럼 부품(1)은 도 1에서와 동일한 면으로부터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중간 요소(3)는 스티어링 칼럼 부품(1)의 수용기(14) 내의 영역에 유지된다. 화살표(16)로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 조립체(2)의 소정 영역이 도 2b에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중간 요소(3)는 대응하는 베어링 쉘, 즉 제 1 베어링(5)의 주 베어링 저널(4)을 수용하기 위한 주 베어링 슬리브, 및 추가 베어링 저널(7)을 수용하기 위한 더 작은 추가 베어링 슬리브(17)를 갖는다. 중간 요소(3)가 장착된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추가 베어링 저널(7)은 추가 베어링 슬리브(17)를 통해 연장되고 이 추가 베어링 슬리브(17) 밖으로 돌출하여서, 추가 베어링 저널(7)의 자유 단부 또는 작은 영역이 중간 요소(3)의 표면 위로 돌출한다. 이는 도 2b에 분명히 드러난다.
더욱이 도 2a를 참조하면, 중간 요소(3)는 또한 스티어링 칼럼 레버 또는 스티어링 칼럼 스위치(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의 대응하는 베어링 핀이 내부에 유지될 수 있는 2개의 베어링 쉘(18, 19)을 갖는다. 따라서, 스티어링 칼럼 레버가 피벗축(8)(도 1)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피벗축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게 중간 요소(3)에 장착될 수 있다.
유니버설 조인트의 중간 요소(3)가 도 3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그것은 제 1 베어링(5)의 부분인 주 베어링 슬리브(20), 및 제 2 베어링(9)에 속하는 추가의 주 베어링 슬리브(21)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주 베어링 저널(4, 10)이 주 베어링 슬리브(20, 21) 내에 유지될 수 있다. 동심의 추가 베어링 슬리브(17)는 주 베어링 슬리브(20)에 축방향으로 바로 인접하며, 추가 베어링 저널(7)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예에서 또한, 4개의 슬롯(22)이 중간 요소(3) 내에 형성되고, 추가 베어링 슬리브(17)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전체로서 십자가의 형태를 취한다. 슬롯(22)은 추가 베어링 슬리브(17)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응하여, 그것에 대해 동심으로 배열되고 또한 4개의 슬롯(24)에 의해 둘러싸이는 추가 베어링 슬리브(23)가 제 2 베어링(9)의 주 베어링 슬리브(21)에 인접해 있다. 대응하는 추가 베어링 저널(11)(도 4)은 제 2 베어링(9)의 추가 베어링 슬리브(23) 내에 유지될 수 있다.
도 4는 제 2 베어링(9)의 주 베어링 저널(10) 및 추가 베어링 저널(11)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추가 베어링 저널(11)은 주 베어링 저널(10)보다 상당히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제 1 베어링(5)과는 대조적으로, 제 2 베어링(9)의 주 베어링 저널(10)은 추가 베어링 저널(11)이 내부에 배열되는 축방향 수용기(25)를 갖는다. 추가 베어링 저널(11)은 축방향 수용기(25)를 통해 연장되며, 주 베어링 저널(10) 밖으로, 즉 축방향으로 또는 피벗축(8)(도 1)의 방향으로 돌출한다. 추가 베어링 저널(11)은 주 베어링 저널(10)보다 축방향으로 약간 더 멀리 연장된다.
도 5는 도 1의 피벗축(8)을 따른 베어링 조립체(2)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베어링(5) 및 또한 제 2 베어링(9)을 볼 수 있다. 제 1 베어링(5)은 제 1 베어링 지점(26) 및 제 2 베어링 지점(27)을 포함한다. 제 1 베어링 지점(26)은 첫째로 주 베어링 저널(4)에 의해 그리고 둘째로 중간 요소(3)의 주 베어링 슬리브(20)에 의해 형성된다. 상응하여, 추가 베어링 지점(27)은 추가 베어링 저널(7)에 의해 그리고 중간 요소(3)의 추가 베어링 슬리브(17)에 의해 형성된다. 도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추가 베어링 저널(7)은 추가 베어링 슬리브(17)를 통해 연장되고, 이것 밖으로, 즉 축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한다. 주 베어링 지점(26)은 유극을 갖는 반면, 추가 베어링 지점(27)은 유극이 없도록 설계된다. 추가 베어링 저널(7)은 추가 베어링 슬리브(27) 상에 반경방향으로 지지되어서, 제 1 베어링(5)은 반경방향으로 유극 없는 베어링 조립체(2)를 보장한다.
대조적으로, 제 2 베어링(9)은 -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 주 베어링 저널(10), 및 주 베어링 저널(10)의 축방향 수용기(25)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추가 베어링 저널(11)을 갖는다. 제 2 베어링(9)은 또한 주 베어링 지점(28) 및 추가 베어링 지점(29)을 포함한다. 주 베어링 지점(28)은 첫째로 주 베어링 저널(10)에 의해 그리고 둘째로 주 베어링 슬리브(21)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이러한 주 베어링 지점(28)은 제 1 베어링(5)의 주 베어링 지점(26)과 마찬가지로 유극을 갖는다. 제 2 베어링(9)의 추가 베어링 지점(29)은 추가 베어링 저널(11) 및 중간 요소(3)의 추가 베어링 슬리브(23)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베어링(5)과는 대조적으로, 여기서 추가 베어링 저널(11)은 반경방향이 아닌 축방향으로, 또는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추가 베어링 슬리브(23) 상에 지지된다. 이러한 추가 베어링 지점이 또한 유극이 없도록 형성되어서, 제 2 베어링(9)은 축방향에 있어서의 유극의 부존재를 보장한다.
제 1 베어링의 추가 베어링 지점(27)과 제 2 베어링(9)의 추가 베어링 지점(29) 둘 모두는 탄성 베어링 지점으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베어링 파트너 중 적어도 하나, 즉 추가 베어링 저널(7, 11) 및/또는 추가 베어링 슬리브(17, 23)의 탄성 변형이 허용된다. 원칙적으로, 추가 베어링 저널(7, 11) 및/또는 추가 베어링 슬리브(17, 23)는 적어도 일부 영역들이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추가 베어링 저널(7, 11) 및/또는 추가 베어링 슬리브(17, 23)는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또는 다른 견고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추가 베어링 지점(27, 29)의 탄성이 십자가 형상의 슬롯(22 또는 24)에 의해 보증된다.
전체로, 첫째로 특히 고품질이고 둘째로 또한 튼튼한, 스티어링 칼럼 부품(1) 상의 스티어링 칼럼 레버의 베어링 조립체(2)가 제공된다. 주 베어링 지점(26, 28)은 큰 작동력을 견딜 수 있으며, 둘째로 더 작은 추가 베어링 지점(27, 29)이 유극 없는 장착 장치(2) 및 그에 따라 높은 지각 품질의 스티어링 칼럼 스위치를 보장한다.

Claims (9)

  1.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 부품(1) 상의 스티어링 칼럼 레버(steering column lever)의 베어링 조립체(2)로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 레버는, 적어도 간접적으로, 주 베어링 저널(bearing journal)(4, 10) 및 대응하는 주 베어링 슬리브(bearing sleeve)(20, 21)에 의해 형성되는 주 베어링 지점(bearing point)(26, 28)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5, 9)을 통해 피벗가능하게 상기 스티어링 칼럼 부품(1)에 장착되는, 베어링 조립체(2)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5, 9)은, 상기 주 베어링 지점(26, 28)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열되고 추가 베어링 저널(7, 11) 및 대응하는 추가 베어링 슬리브(17, 23)에 의해 형성되는 추가 베어링 지점(27, 29)을 갖고,
    상기 주 베어링 지점(26, 28)은 유극(play)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추가 베어링 지점(27, 29)은 유극이 없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베어링 저널(7, 11)은 상기 주 베어링 저널(4, 1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베어링 저널(7, 11)은 상기 추가 베어링 슬리브(17, 23)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조립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베어링 저널(7, 11)은 축방향으로 상기 주 베어링 저널(4, 10)에 바로 인접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조립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베어링 저널(4, 10) 및 상기 추가 베어링 저널(7, 11)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 레버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상기 스티어링 칼럼 부품(1)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의 중간 요소(3)가 상기 베어링(5, 9)을 통해 상기 스티어링 칼럼 부품(1)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조립체.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은 복수의 베어링(5, 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 상기 베어링(5, 9) 중 제 1 베어링(5)의 추가 베어링 저널(7)이 상기 제 1 베어링(5)의 추가 베어링 슬리브(17)에 반경방향으로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 1 베어링(5)의 추가 베어링 지점(27)은 반경방향으로 유극이 없도록 형성되며,
    - 상기 베어링(5, 9) 중 제 2 베어링(9)의 추가 베어링 저널(11)이 상기 제 2 베어링(9)의 추가 베어링 슬리브(23)에 축방향으로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 2 베어링(9)의 추가 베어링 지점(29)은 축방향으로 유극이 없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조립체.
  9.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베어링 조립체(2)를 갖는
    자동차.
KR1020137024164A 2011-03-17 2012-02-20 스티어링 칼럼 부품 상의 스티어링 드롭 아암의 베어링 장치, 및 이러한 유형의 베어링 장치를 갖는 자동차 KR101573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14252A DE102011014252A1 (de) 2011-03-17 2011-03-17 Lagerungsanordnung eines Lenkstockhebels an einem Lenksäulenteil und Kraftfahrzeug mit einer solchen Lagerungsanordnung
DE102011014252.5 2011-03-17
PCT/EP2012/052832 WO2012123225A1 (de) 2011-03-17 2012-02-20 Lagerungsanordnung eines lenkstockhebels an einem lenksäulenteil und kraftfahrzeug mit einer solchen lagerungs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065A KR20140043065A (ko) 2014-04-08
KR101573996B1 true KR101573996B1 (ko) 2015-12-02

Family

ID=45722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4164A KR101573996B1 (ko) 2011-03-17 2012-02-20 스티어링 칼럼 부품 상의 스티어링 드롭 아암의 베어링 장치, 및 이러한 유형의 베어링 장치를 갖는 자동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79452B2 (ko)
EP (1) EP2686202B1 (ko)
JP (1) JP5859582B2 (ko)
KR (1) KR101573996B1 (ko)
CN (1) CN103429465B (ko)
DE (1) DE102011014252A1 (ko)
WO (1) WO20121232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8535B (zh) * 2015-12-05 2018-06-05 海南热带海洋学院 一种三维点云匹配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6840A3 (de) * 1995-11-02 1997-12-31 Eaton Controls Gmbh Elektrischer schalt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44439A1 (de) * 1988-12-31 1990-07-05 Scharwaechter Gmbh Co Kg Schwenklagerung fuer tuerhaltestangen von tuerfeststellern fuer kraftwagentueren
DE4207218C2 (de) * 1992-03-07 1996-07-18 Lemfoerder Metallwaren Ag Zentriertes Doppelkreuzgelenk für Lenkwellen in Kraftfahrzeugen
JP4101173B2 (ja) * 2001-10-01 2008-06-18 レオポルト・コスタール・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 切替え装置
DE10256785B4 (de) * 2002-12-05 2012-03-08 Leopold Kostal Gmbh & Co. Kg Lenkstockschalter für ein Kraftfahrzeug
DE10329237A1 (de) * 2003-06-25 2005-01-1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Lag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FR2861441B1 (fr) * 2003-10-27 2007-01-26 Skf Ab Palier a roulement, notammment pour colonne de direction
US7385152B2 (en) * 2003-12-05 2008-06-10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Switch module
KR20070016103A (ko) * 2003-12-05 2007-02-07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스위치 모듈
DE102004033446A1 (de) * 2003-12-05 2005-07-07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Schaltmodul
JP2005214399A (ja) * 2004-02-02 2005-08-11 Ntn Corp 等速自在継手
JP2005280520A (ja) * 2004-03-30 2005-10-13 Fuji Kiko Co Ltd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チルトヒンジ構造
JP2005332621A (ja) * 2004-05-18 2005-12-02 Yazaki Corp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用レバーの組み付け構造
DE102004031586A1 (de) * 2004-06-30 2006-02-09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Spieloptimierte Aufnahme für Schaltstück
DE102004042653B4 (de) * 2004-09-03 2020-10-15 Kostal Automobil Elektrik Gmbh & Co. Kg Lenkstockschalter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6001695A1 (de) * 2006-01-13 2007-07-19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Schalter, insbesondere Lenkstockschalter für Kraftfahrzeuge
DE102006060829B4 (de) * 2006-12-22 2010-03-25 Keiper Gmbh & Co. Kg Lageranordnung, insbesondere eines Fahrzeugsitzes
DE102009004744A1 (de) * 2009-01-15 2010-07-22 Leopold Kostal Gmbh & Co. Kg Lageranordnung für eine Verstellein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CN201448424U (zh) * 2009-07-16 2010-05-05 南京东华汽车转向器有限公司 电动转向管柱蜗杆轴向间隙调整装置
JP5259640B2 (ja) * 2010-03-31 2013-08-07 ナイルス株式会社 レバー・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6840A3 (de) * 1995-11-02 1997-12-31 Eaton Controls Gmbh Elektrischer scha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86202A1 (de) 2014-01-22
DE102011014252A1 (de) 2012-09-20
US9279452B2 (en) 2016-03-08
KR20140043065A (ko) 2014-04-08
JP5859582B2 (ja) 2016-02-10
EP2686202B1 (de) 2016-11-02
WO2012123225A1 (de) 2012-09-20
JP2014510666A (ja) 2014-05-01
US20140133790A1 (en) 2014-05-15
CN103429465A (zh) 2013-12-04
CN103429465B (zh)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5952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駆動装置
JP4436453B2 (ja) 荷重センサ付き操作装置
US9671815B2 (en) Electronic throttle control pedal assembly
EP1787890A1 (en) Steering unit
JP2019528533A (ja) 可変力電子式車両クラッチペダル
CN108027626B (zh) 具有致动阻尼的踏板装置
JP2007073261A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KR101573996B1 (ko) 스티어링 칼럼 부품 상의 스티어링 드롭 아암의 베어링 장치, 및 이러한 유형의 베어링 장치를 갖는 자동차
CN109562775B (zh) 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的旋转轴承布置
JP2007160971A (ja) 車両用ミラー装置
JP2007507673A (ja) ボールソケット
JP2010274670A (ja) 車両のワイパ装置
JP3881191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7160970A (ja) 車両用ミラー装置
JP3842439B2 (ja) 電気スイッチ可変抵抗器装置
JP4158635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CN212921844U (zh) 一种转向复位机构及平衡车
ITTO20100937A1 (it) Commutatore elettrico.
JPH11303881A (ja) 回転シャフトの結合構造
WO2022070620A1 (ja) 車両用の可倒式ルーフマウントアンテナ装置
JPH09210049A (ja) マニュアル式シフトレバーの連結構造
JP5689823B2 (ja) スイッチ装置
KR20100059591A (ko) 차량용 볼조인트 장치
CN101450621A (zh) 用于控制机动车促动器的控制踏板
KR20230134691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eps)용 유격 보상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