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416B1 -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416B1
KR101572416B1 KR1020150052433A KR20150052433A KR101572416B1 KR 101572416 B1 KR101572416 B1 KR 101572416B1 KR 1020150052433 A KR1020150052433 A KR 1020150052433A KR 20150052433 A KR20150052433 A KR 20150052433A KR 101572416 B1 KR101572416 B1 KR 101572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frame
bar
sort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명석
이종윤
박종관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엠엔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엔테크(주) filed Critical 엠엔테크(주)
Priority to KR1020150052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회전하는 드럼 내측에 쓰레기봉투를 파봉할 수 있는 파봉날을 설치하여 재활용품이 담겨져 투입된 쓰레기봉투가 배출구측으로 이동하는 중에 자동으로 파봉시켜 입도별로 선별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회전하는 드럼의 외주면을 타격가능하도록 타격수단이 구비되어 입도별로 선별시 선별용배출공이 막힘되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풍력을 이용하여 비닐을 선별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일단이 타단보다 높게 형성되어 경사지게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 양단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로울러의 어느 하나에 모터 및 동력전달수단이 연결되어 구비되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로울러에 일단과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되, 외주면 일측과 타측에는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입도별로 선별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배출공이 원둘레를 따라 다수 형성되어 구비되는 드럼과, 상기 프레임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드럼의 내부에 설치되어 재활용품이 담겨진 쓰레기봉투의 투입에 따른 쓰레기봉투를 파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screening device of trommel screen}
본 발명은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활용품이 담겨져 투입된 쓰레기봉투가 타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자동 파봉시켜 입도별로 선별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입도별로 선별시 선별용배출공이 막힘되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풍력을 이용하여 비닐을 선별가능하도록 한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트롬멜(trommel)이란 회전식 원통의 체라는 사전적 의미가 있는 선별장치의 일종으로, 흔히 트롬멜 장치, 트롬멜 스크린장치, 트롬멜 선별장치(이하 '트롬멜 선별장치'라고 함)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사용되며, 재활용품 선별 또는 건설업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트롬멜 선별장치는 프레임의 상단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되, 물품 투입구측에서 물품 배출구로 하향되게 설치되고, 원둘레를 따라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드럼 및 상기 드럼의 양 끝단 및 중간 부분에 설치되는 받침 롤러와, 상기 받침 롤러의 어느 하나에 모터 및 동력전달수단이 연결된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받침 롤러를 회전 구동시켜서 상기 드럼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며, 타측의 받침 롤러들은 상기 드럼을 회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드럼의 외측 하방 또는 배출구에는 선별되는 물품을 수집하는 수거함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트롬멜 선별장치는 드럼의 투입구로 선별하고자 하는 물품을 투입시키면, 상기 투입된 물품은 드럼의 기울기에 따라 자연적으로 배출구측으로 진행되며, 또한 상기 드럼은 회전수단에 의해 저속으로 일방향 회전됨에 따라 뭉쳐진 물품이 헤쳐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에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드럼을 통해 하방으로 이동되는 물품 중에서 상기 배출공의 크기보다 작은 물품은 낙하 되고 상기 드럼의 하방에 위치된 수거함에 수집된다.
또한, 드럼의 배출공 보다 큰 물품은 드럼 배출구로 배출되어, 수거함에 수집된다.
이와 같이, 상기 트롬멜 선별장치는 드럼에 형성된 배출공의 크기에 따라 물품을 그의 크기별로 선별한다.
예컨대, 재활용품 선별을 위해 재질별로 분리된 철재 또는 합성수지 제품을 투입하면 드럼의 배출공을 통해 각 재질에 대하여 크기별로 선별되고, 건설 자재 특히 건설 폐기물을 투입하면 흙이나 응고된 시멘트조각들이 선별된다.
그러나, 종래의 트롬멜 선별장치는 배출공이 흑이나 기타 불순물에 의해 자주 막힘이 발생하여 분리 선별률이 크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10-0041339호에 트롤멜 선별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트롤멜 선별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드럼과, 상기 드럼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 상기 배출공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상기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드럼에 규칙적인 충격을 가해주는 충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충격수단은, 상기 드럼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드럼에 힌지 결합되는 타공망과, 상기 드럼의 외주면 바깥쪽에 설치된 제2롤러, 상기 타공망과 제2롤러를 연결하는 브라켓 및 상기 드럼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부착되어 상기 제2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제2충격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트롤멜 선별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2충격수단에 의해 배출공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그 구성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트롤멜 선별장치는 회전하는 드럼에 의해 투입된 재활용품을 선별하도록 구성하고 있어 쓰레기봉투에 담겨져 투입된 재활용품은 드럼을 통하여 자동으로 선별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10-0041339호, 출원일 2010년05월03일 발명의 명칭; 트롤멜 선별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회전하는 드럼 내측에 쓰레기봉투를 파봉할 수 있는 파봉날을 설치하여 재활용품이 담겨져 투입된 쓰레기봉투가 배출구측으로 이동하는 중에 자동으로 파봉시켜 입도별로 선별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회전하는 드럼의 외주면을 타격가능하도록 타격수단이 구비되어 입도별로 선별시 선별용배출공이 막힘되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풍력을 이용하여 비닐을 선별가능하도록 한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타단보다 높게 형성되어 경사지게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 양단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로울러의 어느 하나에 모터 및 동력전달수단이 연결되어 구비되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로울러에 일단과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되, 외주면 일측과 타측에는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입도별로 선별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배출공이 원둘레를 따라 다수 형성되어 구비되는 드럼과, 상기 프레임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드럼의 내부에 설치되어 재활용품이 담겨진 쓰레기봉투의 투입에 따른 쓰레기봉투를 파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드럼의 배출구측에 위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대응되게 송풍됨에 따른 드럼 내부의 비닐류를 드럼의 배출구측으로 배출시켜 선별가능하도록 비닐선별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프레임의 상단 후방에 양단이 고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드럼의 외주면 타측에 설치되어 재활용품을 입도별로 선별하는 중에 배출공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상기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드럼에 규칙적인 충격을 가하기 위한 충격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에 따르면, 회전하는 드럼 내측에 쓰레기봉투를 파봉할 수 있는 파봉날을 설치하여 재활용품이 담겨져 투입된 쓰레기봉투가 배출구측으로 이동하는 중에 자동으로 파봉시켜 입도별로 선별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회전하는 드럼의 외주면을 타격가능하도록 타격수단이 구비되어 입도별로 선별시 선별용배출공이 막힘되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풍력을 이용하여 비닐을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는 쓰레기봉투를 파봉하면서 재활용품을 입도별로 선별가능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드럼 외주면을 타격하는 것에 의해 선별용배출공이 막힘되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풍력을 이용하여 비닐도 선별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100)는 일단이 타단보다 높게 형성되어 경사지게 설치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 양단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로울러(121,122)의 어느 하나에 모터(123) 및 동력전달수단(도면부호 생략)이 연결되어 구비되는 회전수단(120)과, 상기 회전로울러(121,122)에 일단과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되, 외주면 일측과 타측에는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입도별로 선별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배출공이 원둘레를 따라 다수 형성되어 구비되는 드럼(130)과, 상기 프레임(110)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드럼(1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재활용품이 담겨진 쓰레기봉투의 투입에 따른 쓰레기봉투를 파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봉수단(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드럼(130)의 배출구측에 위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대응되게 송풍됨에 따른 드럼(130) 내부의 비닐류를 드럼(130)의 배출구측으로 배출시켜 선별가능하도록 비닐선별수단(150)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프레임(110)의 상단 전방에 양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드럼의 외주면 일측에 밀착되어 재활용품을 입도별로 선별하는 중에 선별용배출공이 막히지 않도록 청소가능하게 롤브러쉬(16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프레임(110)의 상단 후방에 양단이 고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드럼(130)의 외주면 타측에 설치되어 재활용품을 입도별로 선별하는 중에 배출공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상기 드럼(13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드럼(130)에 규칙적인 충격을 가하기 위한 충격수단(170)이 더 구비된다.
아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의 프레임(1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활용품을 입도별로 선별시킬 수 있는 드럼(130)을 경사지게 설치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프레임(110)은, 일단이 타단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부에 설치되는 드럼(130)을 투입구측보다 배출구측이 하향되게 설치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하부프레임(111)과, 상기 하부프레임(111)의 상면 선단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파봉수단(140)과 비닐선별수단(150), 롤브러쉬(160) 그리고 충격수단(160)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부프레임(112)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회전수단(1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하부프레임(111) 상면 전,후단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로울러(121,122)와, 하부프레임(111)의 상면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로울러(121,12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대응되게 구동되는 모터(123) 및 동력전달수단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로울러(121,122)에 안착되는 상기 드럼(13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이러한 회전수단(120)은 주지된 공지의 기술로써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드럼(130)은 회전수단(120)의 회전로울러(121,122)에 안착되어 회전수단(120)이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회전하면서 외주면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하여 투입구측으로 투입된 재활용품을 입도별로 선별가능하도록 원통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한 드럼(13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수단(120)의 회전로울러(121,122)에 안착되는 것에 의해 배출구가 투입구보다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수단(120)이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회전가능하도록 원통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되, 외주면 일측은 투입된 재활용품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가능하도록 40mm의 직경을 갖는 이물질선별용배출공(131)이 원둘레를 따라 다수 천공되고, 외주면 타측에는 재활용가능한 용품을 선별가능하도록 200mm×250mm의 선별용배출공(132)이 원둘레를 따라 다수 천공되며, 내주면에는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재활용품을 회전하는 중에 배출구측으로 자동 이동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이동용블레이드(133)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파봉수단(140)은 드럼(130)의 내측에 일장 간격 고정 설치되어 드럼(130)의 투입구를 통하여 재활용품이 담겨진 쓰레기봉투의 투입에 따른 드럼(130) 회전시 상기 쓰레기봉투를 파봉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파봉수단(1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상부프레임(112) 상단 일단과 타단에 각 일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드럼(130)의 투입구측과 배출구측 일측에 타단이 위치되게 구비되는 파봉용고정바(141)와, 상기 파봉용고정바(141)의 각 타단에 일단가 타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드럼(130) 내측으로 설치되어 구비되는 파봉용설치용바(142)와, 상기 파봉용설치용바(142) 상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도록 일단에는 하부고정홀(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드럼(130)의 투입구를 통하여 재활용품이 담겨진 쓰레기봉투의 투입에 따른 드럼(130) 회전시 상기 쓰레기봉투를 파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파봉날(143)과, 상기 파봉날(143)의 타단에 형성된 상부고정홀(도면부호 생략)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일단과 타단은 파봉용고정바(142)에 연결바(도면부호 생략)를 매개로 고정 연결되어 구비되는 파봉부재고정바(144)로 구성된다.
상기한 비닐선별수단(1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상부프레임(112) 후단에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드럼(130)의 배출구측에 위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대응되게 송풍됨에 따른 드럼(130) 내부의 비닐류를 드럼(130)의 배출구측에 설치된 비닐안내부로 배출시켜 선별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비닐선별수단(150)은 프레임(110)의 상부프레임(112) 후단에 고정브라켓(도면부호 생략)을 매개로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대응되게 드럼(130) 내측으로 송풍가능하게 구비되는 송풍팬(151)과, 상기 송풍팬(151)의 구동으로 드럼(130) 내측에서 투입구측으로 날리는 비닐류를 안내시켜 선별가능하도록 드럼(130)의 투입구 하부측에 위치되게 일단은 상부프레임(112)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비닐안내부(152)와, 상기 비닐안내부(152)의 상부에 일단이 위치되어 송풍팬(151)의 구동에 대응되게 날리는 비닐류가 드럼(130)의 배출구측을 통하여 외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재활용품은 드럼(130)내측으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재활용품투입안내부(15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재활용품투입안내부(153)의 내부에는 송풍팬(151)의 구동으로 비닐류가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공급되는 재활용품은 드럼(130)의 투입구측으로 공급가능하도록 스윙타입의 개폐판(154)이 더 구비된다.
상기한 충격수단(17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하게 구성되어 드럼(130)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드럼(130)의 외주면을 타격하여 충격을 가하는 것에 의해 선별용배출공(132)에 끼임된 재활용품을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충격수단(170)은 프레임(110)의 상부프레임(112) 상부 일측에 종방향으로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선별용배출공(132)이 형성된 드럼(130)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충격용고정바(171)와, 상기 충격용고정바(171) 상에 일정 간격으로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드럼(130)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드럼(130) 회전시 선별용배출공(132)에 삽입되면서 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충격편(172)과, 상기 충격편(172)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충격용고정바(171)에 고정되어 충격편(172)의 일단을 가압가능하도록 판스프링으로 구비되는 탄성부재(17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의 작동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선별수단(150)의 재활용품투입안내부(153)측으로 재활용품과 상기 재활용품이 담겨진 쓰레기봉투가 회전수단(12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고 있는 드럼(130)의 투입구측으로 투입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3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방향측으로 이동하면서 떨어지고 다시 이동하면서 떨어지는 것을 반복하면서 배출구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회전하는 드럼측으로 투입된 재활용품과 상기 재활용품이 담겨진 쓰레기봉투는 드럼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이동용블레이드(133)에 의해 드럼(13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 방향측으로 이동한 후 떨어지게 된다.
이때, 쓰레기봉투는 드럼(130)의 내측에 설치된 파봉수단(140)다수의 파봉날(143)에 의해 파봉된다.
상기와 같이 쓰레기봉투가 파봉됨에 따른 투입된 재활용품과 쓰레기봉투에 담겨진 재활용품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드럼(130)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전방측에 형성된 이물질선별용배출공(131)을 통하여 선별되고, 재활용이 가능한 용품은 드럼(130)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후방측에 형성된 선별용배출공(132)을 통하여 선별되며, 상기 선별용배출공(132)을 통하여 선별되지 않는 재활용품은 드럼(130)의 배출구측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비닐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선별수단(150)에 의해 별도로 자동 선별된다.
즉, 드럼(130)의 투입구측으로 투입된 비닐은 비닐선별수단(150)의 송풍팬(151) 구동에 대응되게 발생된 바람이 드럼(130) 내측으로 유입되므로 인해 드럼(130)의 입구측에 설치된 비닐안내부(152)를 통하여 선별된다.
상기와 같이 재활용품을 선별하는 중에 드럼(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물질선별용배출공(131)에 걸림된 이물질은 롤브러쉬(160)에 의해 제거되고, 선별용배출공(132)에 걸림된 재활용품은 충격수단(170)에 의해 제거된다.
즉, 상기 선별용배출공(132)에 걸림된 재활용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이 회전하는 중에 충격수단(170)의 충격편(172)이 드럼(130)의 외주면 판스프링에 가압되면 지지되는 중에 선별용배출공(132)에 상기 충격편(172)이 위치하게 되면, 판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드럼을 타격하여 충격을 주게 되고 그로 인해 선별용배출공(132)에 걸림된 재활용품은 제거된다.
따라서, 드럼(130)의 이물질선별용배출공(131)과 선별용배출공(132)은 눈막힘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재활용품의 선별률은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는 재활용품이 쓰레기봉투에 담겨져 투입되더라도 파봉수단에 의해 쓰레기봉투를 파봉시켜 입도별로 자동 선별하면서 비닐선별수단에 의해 비닐류도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롤브러쉬와 충격수단에 의해 배출공의 막힘도 발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
110 ; 프레임
120 ; 회전수단
130 ; 드럼
140 ; 파봉수단
150 ; 비닐선별수단
160 ; 롤브러쉬
170 ; 충격수단

Claims (6)

  1.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타단보다 높게 형성되어 경사지게 설치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 양단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로울러(121,122)의 어느 하나에 모터(123) 및 동력전달수단이 연결되어 구비되는 회전수단(120)과;
    상기 회전로울러(121,122)에 일단과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되, 외주면 일측과 타측에는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입도별로 선별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배출공이 원둘레를 따라 다수 형성되어 구비되는 드럼(130)과;
    상기 프레임(110)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드럼(1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재활용품이 담겨진 쓰레기봉투의 투입에 따른 쓰레기봉투를 파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파봉수단(140)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110)의 상단 후방에 양단이 고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드럼(130)의 외주면 타측에 설치되어 재활용품을 입도별로 선별하는 중에 배출공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상기 드럼(13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드럼(130)에 규칙적인 충격을 가하기 위한 충격수단(170)이 더 구비되고,
    상기 파봉수단(140)은, 프레임(110)의 상부프레임(112) 상단 일단과 타단에 각 일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드럼(130)의 투입구측과 배출구측 일측에 타단이 위치되게 구비되는 파봉용고정바(141)와, 상기 파봉용고정바(141)의 각 타단에 일단가 타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드럼(130) 내측으로 설치되어 구비되는 파봉용설치용바(142)와, 상기 파봉용설치용바(142) 상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도록 일단에는 하부고정홀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드럼(130)의 투입구를 통하여 재활용품이 담겨진 쓰레기봉투의 투입에 따른 드럼(130) 회전시 쓰레기봉투를 파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파봉날(143)과, 상기 파봉날(143)의 타단에 형성된 상부고정홀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일단과 타단은 파봉용고정바(142)에 연결바를 매개로 고정 연결되어 구비되는 파봉부재고정바(144)로 구성되며,
    상기 충격수단(170)은, 프레임(110)의 상부프레임(112) 상부 일측에 종방향으로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선별용배출공(132)이 형성된 드럼(130)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충격용고정바(171)와, 상기 충격용고정바(171) 상에 일정 간격으로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드럼(130)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드럼(130) 회전시 선별용배출공(132)에 삽입되면서 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충격편(172)과, 상기 충격편(172)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충격용고정바(171)에 고정되어 충격편(172)의 일단을 가압가능하도록 판스프링으로 구비되는 탄성부재(17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드럼(130)의 배출구측에 위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대응되게 송풍됨에 따른 드럼(130) 내부의 비닐류를 드럼(130)의 배출구측으로 배출시켜 선별가능하도록 비닐선별수단(15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선별수단(150)은, 프레임(110)의 상부프레임(112) 후단에 고정브라켓을 매개로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대응되게 드럼(130) 내측으로 송풍가능하게 구비되는 송풍팬(151)과, 상기 송풍팬(151)의 구동으로 드럼(130) 내측에서 투입구측으로 날리는 비닐류를 안내시켜 선별가능하도록 드럼(130)의 투입구 하부측에 위치되게 일단은 상부프레임(112)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비닐안내부(152)와, 상기 비닐안내부(152)의 상부에 일단이 위치되어 송풍팬(151)의 구동에 대응되게 날리는 비닐류가 드럼(130)의 배출구측을 통하여 외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재활용품은 드럼(130)내측으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재활용품투입안내부(153)로 구성되되, 상기 재활용품투입안내부(153)의 내부에는 송풍팬(151)의 구동으로 비닐류가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공급되는 재활용품은 드럼(130)의 투입구측으로 공급가능하도록 스윙타입의 개폐판(154)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
  6. 삭제
KR1020150052433A 2015-04-14 2015-04-14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 KR101572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433A KR101572416B1 (ko) 2015-04-14 2015-04-14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433A KR101572416B1 (ko) 2015-04-14 2015-04-14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416B1 true KR101572416B1 (ko) 2015-11-25

Family

ID=54845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433A KR101572416B1 (ko) 2015-04-14 2015-04-14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4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162B1 (ko) * 2019-03-08 2019-05-31 김재광 폐기물 선별기
US20210315163A1 (en) * 2018-09-07 2021-10-14 Roy BREWIN Crop dust separation system
KR102339655B1 (ko) * 2021-06-30 2021-12-15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
KR102339656B1 (ko) * 2021-06-30 2021-12-15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 및 선별 방법
KR102643305B1 (ko) 2023-03-15 2024-03-05 김홍휘 트롬멜 선별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8597A1 (en) * 1989-01-24 1990-08-09 Franz Wroblewski Machine for processing goods, especially refuse, for sorting it
JP2000202365A (ja) * 1999-01-20 2000-07-25 Hitachi Zosen Corp 破砕ごみ選別装置
KR101146954B1 (ko) * 2011-10-17 2012-05-22 놀뫼환경(주) 이물질 막힘 제거가 우수한 이중 스크린망 원통선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8597A1 (en) * 1989-01-24 1990-08-09 Franz Wroblewski Machine for processing goods, especially refuse, for sorting it
JP2000202365A (ja) * 1999-01-20 2000-07-25 Hitachi Zosen Corp 破砕ごみ選別装置
KR101146954B1 (ko) * 2011-10-17 2012-05-22 놀뫼환경(주) 이물질 막힘 제거가 우수한 이중 스크린망 원통선별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15163A1 (en) * 2018-09-07 2021-10-14 Roy BREWIN Crop dust separation system
KR101985162B1 (ko) * 2019-03-08 2019-05-31 김재광 폐기물 선별기
KR102339655B1 (ko) * 2021-06-30 2021-12-15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
KR102339656B1 (ko) * 2021-06-30 2021-12-15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 및 선별 방법
KR102643305B1 (ko) 2023-03-15 2024-03-05 김홍휘 트롬멜 선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416B1 (ko)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
KR101036948B1 (ko)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처리시스템 및 재활용 처리방법
US8167138B2 (en) Dry washing device
CN102151681B (zh) 一种垃圾分类处理设备
CN103488070B (zh) 一种硒鼓回收系统及回收方法
US4243183A (en) Preparation and crushing tool
CN212882633U (zh) 土木工程建筑废料处理装置
CN111070474B (zh) 一种塑料颗粒原料筛选机
JP6744128B2 (ja) 破袋選別装置
CN106733029B (zh) 一种改良型整粒机
JP2014136166A (ja) 残渣分別装置
KR101183098B1 (ko) 트롬멜 선별장치
KR20200081920A (ko)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CN220346541U (zh) 一种硅藻土气流分级机
KR20090089509A (ko) 건설폐기물의 선별장치
CN104741317A (zh) 垃圾风力分选机
KR100934035B1 (ko) 쓰레기 선별장치
CN103551228B (zh) 一种粗料干洗机及利用其进行破袋和垃圾分离的方法
KR101514428B1 (ko)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
KR101130679B1 (ko) 재활용품 선별 진동분리기
US5544762A (en) Separating apparatus
CN207547244U (zh) 一种盘式分选机
KR20210095755A (ko) 폐플라스틱의 효과적 처리시스템
CN205835742U (zh) 塑料回收风选装置
KR200450648Y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