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098B1 - 트롬멜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트롬멜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098B1
KR101183098B1 KR1020100041339A KR20100041339A KR101183098B1 KR 101183098 B1 KR101183098 B1 KR 101183098B1 KR 1020100041339 A KR1020100041339 A KR 1020100041339A KR 20100041339 A KR20100041339 A KR 20100041339A KR 101183098 B1 KR101183098 B1 KR 101183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frame
roller
impact means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1854A (ko
Inventor
한상령
김경택
Original Assignee
경원 주식회사
계림환경(주)
한경이엔티 주식회사
김경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원 주식회사, 계림환경(주), 한경이엔티 주식회사, 김경택 filed Critical 경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1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098B1/ko
Publication of KR20110121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트롬멜 선별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드럼; 상기 드럼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 상기 배출공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상기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드럼에 규칙적인 충격을 가해주는 충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제1,2충격수단에 의해 드럼의 외주면에 규칙적인 충격을 가함으로써 배출공을 막고 있는 불순물을 털어내는 효과가 있다. 즉, 불순물에 의한 배출공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분리 선별이 용이하다.

Description

트롬멜 선별장치{Trommel}
본 발명은 트롬멜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불순물에 의한 배출공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분리 선별이 용이한 트롬멜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롬멜(trommel)이란 '회전식 원통의 체'라는 사전적 의미가 있는 선별장치의 일종으로, 흔히 트롬멜 장치, 트롬멜 스크린장치, 트롬멜 선별장치(이하 '트롬멜 선별장치'라고 함)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사용되며, 재활용품 선별 또는 건설업에 주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트롬멜 선별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트롬멜 선별장치(1)는 프레임(2)의 상단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되, 물품 투입구(4a) 측에서 물품 배출구(4b)로 하향되게 설치되고, 원둘레를 따라 다수의 배출공(3a)이 형성된 드럼(3), 및 상기 드럼(3)의 양 끝단 및 중간 부분에 설치되는 받침 롤러(10)와, 상기 받침 롤러(10)의 어느 하나에 모터(M) 및 동력전달수단이 연결된 회전수단(5)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모터(M)의 동력에 의해 받침 롤러(10)를 회전 구동시켜서 상기 드럼(3)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타 측의 받침 롤러(10)들은 상기 드럼(3)을 회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드럼(3)의 외측 하방 또는 배출구(4b)에는 선별되는 물품을 수집하는 수거함(11)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트롬멜 선별장치는 드럼(3)의 투입구(4a)로 선별하고자 하는 물품을 투입시키면, 상기 투입된 물품은 드럼(3)의 기울기에 따라 자연적으로 배출구(4b) 측으로 진행되며, 또한 상기 드럼(3)은 회전수단(5)에 의해 저속으로 일 방향 회전됨에 따라 뭉쳐진 물품이 헤쳐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3)에는 다수의 배출공(3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드럼(3)을 통해 하방으로 이동되는 물품 중에서 상기 배출공(3a)의 크기보다 작은 물품은 낙하 되고 상기 드럼(3)의 하방에 위치된 수거함(11)에 수집된다.
또한, 드럼(3)의 배출공(3a) 보다 큰 물품은 드럼(3)의 배출구(4b)로 배출되어, 수거함()에 수집된다.
이와 같이, 상기 트롬멜 선별장치는 드럼(3)에 형성된 배출공(3a)의 크기에 따라 물품을 그의 크기별로 선별한다.
예컨대, 재활용품 선별을 위해 재질별로 분리된 철재 또는 합성수지 제품을 투입하면 드럼의 배출공(3a)을 통해 각 재질에 대하여 크기별로 선별되고, 건설 자재 특히 건설 폐기물을 투입하면 흙이나 응고된 시멘트조각들이 선별된다.
그러나, 종래의 트롬멜 선별장치는 배출공이 흑이나 기타 불순물에 의해 자주 막힘이 발생하여 분리 선별률이 크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불순물에 의한 배출공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분리 선별이 용이한 트롬멜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롬멜 선별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드럼; 상기 드럼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 상기 배출공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상기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드럼에 규칙적인 충격을 가해주는 충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수단은, 상기 드럼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산형부와 골형부가 반복 형성되는 제1가이드레일;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산형부와 골형부에 교대로 접촉 이동하는 해머를 포함하는 제1충격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해머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접촉하면서 구름 운동하는 제1롤러; 일단에는 상기 제1롤러가 힌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을 관통해서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충격수단은, 상기 드럼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드럼에 힌지 결합되는 타공망; 상기 드럼의 외주면 바깥쪽에 설치된 제2롤러; 상기 타공망과 제2롤러를 연결하는 브라켓; 및, 상기 드럼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부착되어 상기 제2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제2충격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럼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드럼에 힌지 결합되는 타공망; 상기 드럼의 외주면 바깥쪽에 설치된 제2롤러; 상기 타공망과 제2롤러를 연결하는 브라켓; 및, 상기 드럼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부착되어 상기 제2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제2충격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충격수단과 제2충격수단은 드럼의 축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프레임은 드럼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드럼의 상부를 감싸는 상부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과 드럼 사이에는 상기 드럼의 회전을 지지하는 가이드롤러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드럼의 하부를 감싸는 수거부가 설치되며, 상기 수거부의 하부에는 컨베이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드럼에는 외주면을 감싸는 원형리브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측면리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롬멜 선별장치에 따르면, 제1,2충격수단에 의해 드럼의 외주면에 규칙적인 충격을 가함으로써 배출공을 막고 있는 불순물을 털어내는 효과가 있다.
즉, 불순물에 의한 배출공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분리 선별이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트롬멜 선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롬멜 선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a'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b'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의 일부구성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7c는 도 5의 작동상태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롬멜 선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a'부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b'부의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2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a 내지 7c는 도 5의 작동상태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롬멜 선별장치(A)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고 다수의 배출공(210)이 형성된 드럼(200)과, 상기 드럼(20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300) 및 상기 배출공(210)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상기 드럼(200)에 규칙적인 충격을 가해주는 충격수단(40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충격수단(400)은 제1충격수단(410)과 제2충격수단(4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2충격수단(410,420)은 드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으로 두고 순서대로 반복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충격수단(410)은 드럼(2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산형부(411a)와 골형부(411b)가 반복 형성되는 제1가이드레일(411)과,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상기 드럼(20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레일(411)의 산형부(411a)와 골형부(411b)에 교대로 접촉 이동하는 해머(412)로 구성된다.
상기 해머(41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레일(411)에 접촉하면서 구름 운동하는 제1롤러(412a)와, 일단에는 상기 제1롤러(412a)가 힌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100)을 관통해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412b), 및 상기 연결부(412b)와 프레임(100)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412c)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롤러(412a)는 높이편차를 가지는 산형부(411a)와 골형부(411b)를 접촉 이동하면서 스프링(412c)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드럼(200)에 규칙적인 충격을 가함으로써 배출공(210)의 불순물을 털어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롤러(412a)가 산형부(411a)를 지난 후 골형부(411b)로 이동할 때 상기 스프링(412c)의 탄성복원력이 작용하여 상기 롤러(412a)가 골형부(411b)를 타격함으로써 그 충격이 드럼(200)에 전해져 배출공(210)의 불순물을 털어내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레일(411)은 산형부(411a)와 골형부(411b)가 반복 형성되되, 일방향으로 형성된 톱니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충격수단(420)은 상기 드럼(200)에 형성되는 개구부(421)와, 상기 드럼(20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421)를 개폐하며 제2롤러(422a)가 구비되는 타공망(422), 및 상기 타공망(422)이 개구부(421)를 폐쇄하도록 상기 드럼(200)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부착되어 상기 제2롤러(422a)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레일(423)을 포함한다. 상기 제2가이드레일(423)은 후술하는 수거부(600)에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롤러(422a)는 브라켓(422b)에 의해 타공망(422)과 연결되고, 상기 타공망(422)은 드럼(2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타공망(422)이 개구부(421)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타공망(422)은 개구부(421)의 내측으로만 개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충격수단(420)에 따르면, 상기 제2롤러(422a)가 가이드레일(423)와 접촉하지 않으면 도 7a와 같이 타공망(422)은 개구부(421)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드럼(200)이 회전하여 상기 제2롤러(422a)가 제2가이드레일(423)의 안쪽으로 타고 들어가면 도 7b와 같이 타공망(422)은 개구부(421)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드럼(200)이 좀더 회전하여 상기 제2롤러(422a)가 제2가이드레일(423)에서 벗어나면 도 7c와 같이 타공망(422)은 개구부(421)를 개방하게 된다. 즉, 드럼(200)이 회전함에 따라 타공망(422)은 드럼(200)에 형성된 개구부(421)를 도 7a 내지 7c와 같이 반복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드럼(200)의 개구부(421)를 타공망(422)이 반복 개폐하는 경우, 그 충격이 드럼(200)에 전해져 배출공(210)의 불순물을 털어낼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제2롤러(422a)가 제2가이드레일(423)의 안쪽으로 타고 들어가면서 타공망(422)은 개구부(421)를 강제적으로 폐쇄하며 그 충격으로 배출공(210)의 불순물을 털어내고, 상기 제2롤러(422a)가 제2가이드레일(423)을 벗어나면 타공망(422)이 열리면서 그 충격으로 다시 한번 배출공(210)의 불순물을 털어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가이드레일(423)은 타공망(422)의 내측에 담겨진 선별물품이 하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범위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2충격수단(410,420)의 규칙적인 충격을 전달받아 배출공(210)을 막고 있는 흙 등과 같은 불순물을 털어내어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분리 선별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은 드럼(20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110)과, 상기 드럼(200)의 상부를 감싸는 상부 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프레임(120)에 해머(41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110)과 드럼(200) 사이에는 상기 드럼(200)의 회전을 지지하는 가이드롤러(50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프레임(110)에는 드럼(200)의 하부를 감싸는 수거부(600)가 설치되어 배출공(210)을 통과한 선별물품을 후술하는 컨베이어(700)로 안내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거부(600)에 제2가이드레일(423)이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거부(600)의 하부에는 컨베이어(700)가 구비되어 배출공(210)을 통과한 선별물품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드럼(200)에는 투입구(201)와 배출구(202)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드럼(200)에는 외주면을 감싸는 원형리브(203)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측면리브(204)가 설치되어 원통형 판재로 이루어진 드럼(200)의 국부적인 응력집중에 의한 변형을 완화시키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설명 및 도면에서는 제1,2충격수단(410,420)이 모두 적용된 트롬멜 선별장치(A)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트롬멜 선별장치는 제1,2충격수단(410,420) 중 하나만 적용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A - 필드코일 어셈블리 100 - 필드코어
200 - 보빈 300 - 보빈코일
400 - 온도퓨즈 500 - 퓨즈홀더

Claims (9)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드럼;
    상기 드럼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
    상기 배출공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상기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드럼에 규칙적인 충격을 가해주는 충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충격수단은,
    상기 드럼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드럼에 힌지 결합되는 타공망;
    상기 드럼의 외주면 바깥쪽에 설치된 제2롤러;
    상기 타공망과 제2롤러를 연결하는 브라켓; 및,
    상기 드럼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부착되어 상기 제2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제2충격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멜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수단은,
    상기 드럼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산형부와 골형부가 반복 형성되는 제1가이드레일;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레일의 산형부와 골형부에 교대로 접촉 이동하는 해머를 포함하는 제1충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롬멜 선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접촉하면서 구름 운동하는 제1롤러;
    일단에는 상기 제1롤러가 힌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을 관통해서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롬멜 선별장치.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외주면 일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드럼에 힌지 결합되는 타공망;
    상기 드럼의 외주면 바깥쪽에 설치된 제2롤러;
    상기 타공망과 제2롤러를 연결하는 브라켓; 및,
    상기 드럼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부착되어 상기 제2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제2충격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멜 선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격수단과 제2충격수단은 드럼의 축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멜 선별장치.
  7.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5항,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드럼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드럼의 상부를 감싸는 상부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과 드럼 사이에는 상기 드럼의 회전을 지지하는 가이드롤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롬멜 선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드럼의 하부를 감싸는 수거부가 설치되며, 상기 수거부의 하부에는 컨베이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롬멜 선별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는 외주면을 감싸는 원형리브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측면리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롬멜 선별장치.
KR1020100041339A 2010-05-03 2010-05-03 트롬멜 선별장치 KR101183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339A KR101183098B1 (ko) 2010-05-03 2010-05-03 트롬멜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339A KR101183098B1 (ko) 2010-05-03 2010-05-03 트롬멜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854A KR20110121854A (ko) 2011-11-09
KR101183098B1 true KR101183098B1 (ko) 2012-09-20

Family

ID=4539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339A KR101183098B1 (ko) 2010-05-03 2010-05-03 트롬멜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0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6377A (zh) * 2011-12-31 2012-04-18 湖南华南煤矿机械制造有限公司 圆孔网板滚筒筛
CN109348791B (zh) * 2018-09-29 2021-09-10 东北农业大学 一种小区播种滚筒式微型薯排种器
KR101985162B1 (ko) * 2019-03-08 2019-05-31 김재광 폐기물 선별기
CN114653575B (zh) * 2022-03-30 2023-08-29 方城县宛北水泥(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防堵型回转筛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9281A (ja) 1997-03-11 1998-09-22 Sanei Kogyo Kk 床土ふるい機の目詰まり防止装置
JP2003251280A (ja) 2002-03-06 2003-09-09 Kubota Corp 回転式スクリーン装置
JP2009039646A (ja) * 2007-08-08 2009-02-26 Kotoo:Kk ふるいの目詰まり防止装置、該装置を備えたふるい装置および該装置を備えた混合攪拌分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9281A (ja) 1997-03-11 1998-09-22 Sanei Kogyo Kk 床土ふるい機の目詰まり防止装置
JP2003251280A (ja) 2002-03-06 2003-09-09 Kubota Corp 回転式スクリーン装置
JP2009039646A (ja) * 2007-08-08 2009-02-26 Kotoo:Kk ふるいの目詰まり防止装置、該装置を備えたふるい装置および該装置を備えた混合攪拌分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854A (ko)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098B1 (ko) 트롬멜 선별장치
KR20080001586U (ko) 분리 선별이 용이하도록 스토퍼가 구성된 트롬멜 선별장치
KR101572416B1 (ko) 트롬멜스크린 선별장치
US20150231668A1 (en) Horizontal rotary sieve
KR20190090216A (ko) 쓰레기 처리 설비용 진동스크린 선별기
CN211964946U (zh) 一种绒毛加工的多层筛分装置
KR101653441B1 (ko) 입도 분급 장치
US9238254B1 (en) Helical disc for use in a disc screen
EP0265669B1 (de) Sortiermaschine
KR100997858B1 (ko) 바이브레이팅 팰릿선별기
CN103447239A (zh) 缠绕物提取机和缠绕物提取设备
KR101598116B1 (ko) 순환골재 생산장치
CN110586629B (zh) 垃圾粗处理方法
KR20090089509A (ko) 건설폐기물의 선별장치
KR100934035B1 (ko) 쓰레기 선별장치
CN215142037U (zh) 一种全自动选籽机
US4399029A (en) Apparatus for the concentration and sorting of solid waste materials according to their shapes, their sizes and their flexibility
KR101208356B1 (ko) 브러쉬롤에 의한 구형 농산물의 이물질 제거 겸용 선별기
CN205673192U (zh) 一种茶叶抖筛机
DE4445515A1 (de) Siebeinrichtung
EP1712301A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fbereitung von Elektronikschrott
CN209736058U (zh) 双仓高效平筛
KR102165173B1 (ko) 경량이물질 제거판 및 제거판의 청소를 위한 클리닝 모듈을 구비한 경량이물질 선별용 트롬멜 및 이를 구비한 건설폐기물의 선별분리장치
KR102143492B1 (ko) 걸림부재와 제거패널을 이용한 경량폐기물 선별가능 구조의 트롬멜 및 이를 구비한 건설폐기물의 선별분리장치
US5544762A (en) Separ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