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679B1 - 재활용품 선별 진동분리기 - Google Patents

재활용품 선별 진동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679B1
KR101130679B1 KR1020090111185A KR20090111185A KR101130679B1 KR 101130679 B1 KR101130679 B1 KR 101130679B1 KR 1020090111185 A KR1020090111185 A KR 1020090111185A KR 20090111185 A KR20090111185 A KR 20090111185A KR 101130679 B1 KR101130679 B1 KR 101130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cycled
shaft
bar
rotatio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4518A (ko
Inventor
이정기
Original Assignee
흥용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흥용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흥용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1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679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3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by means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54Sorting of waste or refuse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에 내측에 복수이면서 상호 높이차를 달리하는 걸름바와 상기 걸름바가 진동되도록 편심링크부와 회동링크를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에 송풍기를 구성하여, 투입된 재활용품들의 펼침과 그에 섞여진 이물질을 용이하게 분리 선별함으로써, 선별 작업환경개선 및 재활용선별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재활용품 선별 진동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한 진동분리기는 내측이 관통되고 후방이 개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제1 및 제2축;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축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 또는 제2축에 마련되는 편심링크부 및 다른 하나인 제1 또는 제2축에 마련되는 회동링크;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하단에 상기 편심링크부 및 회동링크가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편심링크부의 회동 승강력과 회동링크의 구속회동력에 의해 승강 및 좌우 흔들림으로 진동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걸름바; 및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걸름바의 진동으로 재활용품 중 비교적 가벼운 재활용품은 상기 프레임의 후방으로 비산시켜 분리하고 비교적 무거운 재활용품은 걸름바를 따라 전방으로 이송되어 분리되도록 하는 송풍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활용품 선별 진동분리기{Vibrational separator for sorting recycled products}
본 발명은 재활용품 선별 진동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에 내측에 복수이면서 상호 높이차를 달리하는 걸름바와 상기 걸름바가 진동되도록 편심링크부와 회동링크를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에 송풍기를 구성하여, 투입된 재활용품들의 펼침과 그에 섞여진 이물질을 용이하게 분리 선별함으로써, 선별 작업환경개선 및 재활용선별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재활용품 선별 진동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들 중 음료용 캔이나 병 또는 각종 포장재 등은 재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이들을 동일한 군(群)으로 분리하여 재처리 작업을 통해 자원을 확보함으로써, 자원절약은 물론 폐쓰레기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리고,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쓰레기를 버릴 때 재활용 가능한 것과 그렇지못한 것들을 분리하여 버리게 되고, 또한 상기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는 별도의 수 거작업을 통해 수거한 후 이를 동일한 군, 즉 금속재, 종이재와 유리병 및 플라스틱재 등으로 분리하여, 분리된 원료를 재활용 공장 등으로 보내어 자원으로써 재활용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재활용방법을 보면, 도 1은 일반적인 재활용 시스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재활용 선별방법은 재활용으로 분리된 쓰레기를 집하장으로 수집한 후 작업자가 각 종류별로 고중량체와 저중량체로 분류하는 제1선별단계 (S1)와, 상기 제1선별단계(S1)를 통해 저중량체의 재활용품을 별도의 선별수단에 의해 중량체에 따라 선별하는 제2선별단계(S2)와, 상기 제2선별단계(S2)를 통해 분류된 각각의 재활용등을 각 종류별로 세분화하는 분류작업이 수행되는 제3선별단계(S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선별단계(S1)는 집하장에 수집된 재활용품을 크기와 부피에 따라 대형 중량체는 별도의 수거함으로 분류하고, 중,소형 중량체만이 작업콘베어등을 통해 이송하는 단계로써, 이는 작업자가 직접 비중이 크고, 고하중의 가전제품이나 대형 포장재 및 대형 플라스틱재등과 같은 이송콘베어를 통해 이송이 불가능한 재활용품들을 1차적으로 분리하여, 별도의 수거함에 수거하고, 그 외의 중, 소형 중량체의 재활용품들이 이송콘베어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콘베어로 이송된 중, 소형 중량체의 재활용품들이 전달되는 작업콘베어는 직선형으로 상기 작업콘베어의 양측에 위치되는 다수의 작업자 육안 식별에 의해 중형의 재활용품을 선별하여 종이재, 유리병과 금속재 및 플라스틱재 등 종류별로 선별하여 별도의 수거함으로 수거하고, 수거되지 않는 소형이거나 저하중체의 재활용품들은 작업콘베어를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아울러, 제 2선별단계(S2)는 제 1선별단계(S1)에서 선별된 소형 및 저중량체의 재활용품이 투입되는 선별수단에 의해 그중 금속류와 같이 고하중체와 병 또는 플라스틱류와 같은 저하중체로 분류하는 단계로써, 이는 제 1선별단계(S1)에서 선별작업과 수거작업을 통해 선별되지않은 재활용품이 작업콘베어로 최종 이송된 소형 및 저중량체가 투입되어 선별수단에 의해 이들 중 비중이 큰 금속재나 파손된 파편이나 최소형 재활용품은 그물망에 걸리거나 비중에 의해 자유 낙하되어 별도의 수거함 또는 이송콘베어로 분류되고, 그 외의 소형의 금속, 비금속재나 유리병과 플라스틱재만이 다음공정으로 이송된다.
또한, 제 3선별단계(S3)는 제 2선별단계(S2)를 통해 이송된 소형의 금속, 비금속재나 유리병과 플라스틱재가 작업콘베어를 통해 이송되면서, 좀더 세분화되게 선별하여 수거하는 단계로써, 이는 제 2선별단계(S2)의 선별수단을 통해 최종적으로 배출된 소형의 금속, 비금속재나 유리병과 플라스틱재들이 직선형의 작업 콘베어로 이송되면서, 상기 작업콘베어의 양측으로 위치된 다수의 작업자 육안 식별에 의해 종류와 재질별로 좀더 세분화되게 선별하여 별도의 수거함으로 수거하는 단계이다.
즉, 소형의 금속, 비금속재중 금속 캔, 통이나 알루미늄 캔 및 병 뚜껑등으로 각각 세분화하여 분리하고, 유리병의 경우 크기와 병의 색깔 및 모양에 따라, 음료용 병, 술병 및 약병과, 투명체와 비투명체 등으로 세분화하여 분리하며, 플라스틱재의 경우도 병의 형상에 따라 중, 소형의 음료수병, 약병 및 통과 그릇으로 좀더 세분화하여 분리하게 된다.
그러나, 제1선별단계에서 작업자가 콘베어의 양측에 서서 일일 수작업을 통해 선별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다종의 물질이 섞어 있음에 따라 흡착된 이물질 또는 유해가스에 의해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캔 또는 병의 표면은 매끄러워 표면장력이 높아 비닐이나 종이 등의 흡착이 용이함에 따라 분리 선별작업시 상기 비닐이나 종이를 분리하는 작업이 어려워 캔 또는 병과 함께 비닐이나 종이가 제2 또는 제3선별단계로 진입되었을 경우 선별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선별 불량률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재활용 선별신뢰성을 상실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1차 선별된 재활용품들 중 캔이나 병과 같은 표면장력이 높은 재활용품 등에 흡착된 비닐이나 종이를 진동에 의해 탈락시켜 상기 탈락된 비닐이나 종이 등과 캔이나 병과의 분리 선별이 가능토록 하고, 이로 인해 재활용선별에 대한 불량률을 최소화함에 따라 재활용선별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재활용품 선별 진동분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재활용품 선별 진동분리기는 집하장에 수집된 재활용품들을 크기별로 작업자가 1차 선별한 후 크기별로 선별된 재활용품을 중량별로 분리 선별하는 진동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진동분리기는 내측이 관통되고 후방이 개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제1 및 제2축;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축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 또는 제2축에 마련되는 편심링크부 및 다른 하나인 제1 또는 제2축에 마련되는 회동링크;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하단에 상기 편심링크부 및 회동링크가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편심링크부의 회동 승강력과 회동링크의 구속회동력에 의해 승강 및 좌우 흔들림으로 진동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걸름바; 및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걸름바의 진동으로 재활용품 중 비교적 가벼운 재활용품은 상기 프레임의 후방으로 비산시켜 분리하고 비교적 무거운 재활용품은 걸름바를 따라 전방으로 이송되어 분리되도록 하는 송풍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레임의 후방에는 프레임을 전방 및 후방의 높이를 같거나 또는 전방보다는 후방이 높도록 높이편차를 제공하는 높이조절대;가 더 구성되고, 걸름바는 프레임의 내측 폭방향으로 복수로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걸름바들은 상호 인접된 걸름바과 높이편차를 가지도록;구성되며, 걸름바는 재활용품 중에 섞여있는 흙과 같은 미립자가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매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편심링크부는 걸름바의 하단에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일단 내측에 마련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대로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고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축이 삽입되도록 삽입공이 형성된 제2커버; 및 상기 고정대에 마련되는 베어링 및 제2커버가 회전시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한 베어링커버;로 구성되고, 제2커버의 삽입공과 축 사이에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축이 회전을 할 때에 상기 제2커버와 축 사이에 슬립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력을 증폭하는 쐐기커버;를 더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1차 선별된 재활용품들 중 캔이나 병과 같은 표면장력이 높은 재활용품 등에 흡착된 비닐이나 종이를 진동에 의해 탈락시켜 상기 탈락된 비닐이나 종이 등과 캔이나 병과의 분리 선별이 가능토록 하고, 이로 인해 재활용선별에 대한 불량률을 최소화함에 따라 재활용선별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재활용품 선별 진동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분리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분리기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분리기의 정 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름바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링크의 작동도l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편심링크의 작동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편심링크부의 결합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진동분리기(10)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및 제2축(120)(130)과, 상기 프레임(110)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축(1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140)와, 상기 제1축(120)에 마련되는 편심링크부(150)와, 상기 제2축(130)에 마련되는 회동링크(160)와,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편심링크부(150) 및 회동링크(160)에 고정되는 걸름바(170), 및 상기 프레임(110)의 전방에 마련되는 송풍기(180)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진동분리기(10)에는 프레임(110)의 전방과 후방과의 높이를 편차지도록 즉, 상기 프레임(110)이 경사지도록 하는 높이조절대(190)가 더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110)은 내측이 관통되어 상기 내측에 걸름바(170)가 설치되고, 전방에는 송풍기(180)가 고정 설치되며, 후방은 개방되어 있어, 상기 송풍기(180)에 의해 비산되는 비교적 가벼운 재활용품 가령, 재활용품에 흡착되거나 재활용품에 섞여있던 비닐 또는 종이가 후방으로 비산되어 수집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110)의 후방 하단에 높이조절대(190)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높이조절대(190)의 높이조절에 의해 상기 프레임(110)의 경사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프레임(110)은 전방보다는 후방이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된 송풍기(180)에 의해 비산되지 않는 비교적 무거운 재활용품은 경사도에 의해 자연 전방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대(190)는 프레임(110)의 후방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한 것으로, 가령 프레임(110)에 일단이 구성된 제1봉과 상기 제1봉의 하단부가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내부가 빈 중공형상이면서 지면에 지지되는 제2봉과 상기 제1 및 제2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들 중 어느 하나가 상호 일치될 때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봉의 고정시키는 핀으로 구성된 것이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나사잭 방식이나 나사축 방식과 같은 구성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축 및 제2축(120)(130)은 프레임(110)의 하방측에 회전가능 마련되 며, 상기 제1축(120)은 상기 프레임(110)의 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축(130)은 상기 프레임(110)의 후방측에 위치된다.
상기 모터(140)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동력수단으로, 상기 제1축(1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모터(140)의 보호를 위해 상기 제1축(120)과 모터(140) 사이에는 동력전달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일반적인 기술적 사상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편심링크부(150)는 일단이 걸림바(170)에 고정되고 타단으로 제1축(120)이 삽입되나 중심에서 일정길이 편심된 위치에 상기 제1축(120)이 마련됨에 따라, 상기 제1축(120)이 회전할 때 편심선도에 의해 상기 편심링크부(150)가 상,하 왕복운동을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편심링크부(150)는 걸림바(170)의 하단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대(152)와, 상기 고정대(152)의 타단에 고정되는 제1커버(154)와, 상기 제1커버(154)의 내측에 고정되는 베어링(155)과, 상기 베어링(155)의 내측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고 중심에서 일정길이 편심된 위치에 제1축(120)이 삽입되는 삽입공(157)이 형성된 제2커버(156), 및 상기 제1커버(154)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베어링(155)과 제2커버(156)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베어링커버(158)로 구성된다.
상기 제1커버(154)는 베어링(155)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가령 고정대(152)에 베어링(155)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상기 제1커버(154)는 생략 가능한 것이다.
상기 베어링(155)은 제2커버(156)와 제1축(120)의 원활한 회전을 지지하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한 것으로, 가령 부싱으로 대체할 수 도 있다.
상기 제2커버(156)는 편심되게 형성된 삽입공(157)에 삽입된 제1축(120)과 고정되어, 상기 제1축(12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편심회전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아울러, 상기 제2커버(156)의 삽입공(157)는 상기 제1축(12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상기 제1축(120)과 삽입공(157) 사이 공간으로 쐐기커버(159)를 더 구성하여, 상기 제1축(120)과 제2커버(156)의 고정력을 증폭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쐐기커버(159)는 제2커버(156)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삽입공(157)과 제1축(120) 사이 공간으로 억지끼움됨에 따라 제1축(120)과 제2커버(156)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가령, 제2커버(156)의 외측에서 멈춤나사를 체결시켜 상기 멈춤나사에 의해 제1축(120)의 어느 일단이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커버(156)의 삽입공(157)은 테이퍼된 원추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삽입공(157)과 대응하는 쐐기커버(159)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쐐기커버(159)는 금속재보다는 마찰계수가 높은 합성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또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패킹형태로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축(120)의 회전력에 의해 제2커버(156)가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1축(120)과 제2커버(156)는 편심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커버(156)는 편심에 의해 편심반경을 따라 선회함에 따라 결국, 상기 제2커버(156)가 삽입된 제 1커버(154) 및 고정대(152)가 상,하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동링크(160)는 제2축(130)과 걸름바(170) 사이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상기 회동링크(160)는 제2축(130) 및 걸름바(170)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편심링크부(150)의 상, 하 왕복 운동에 의해 걸름바(170)의 전방부분이 상, 하 왕복 운동될 때 이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걸름바(170)가 상하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름바(170)는 상기 편심링크부(150) 및 회동링크(160)에 의해 전방이 상,하 왕복운동되고, 후방은 이와 연동하여 좌,우 왕복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걸름바(170)는 투입되는 재활용품들 중에 흙과 같은 미립자들이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메쉬 또는 타공판으로 절곡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름바(170)의 다공의 지름은 흙이나 담배꽁초와 같은 부피가 작은 미립자들만 낙하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걸름바(170)는 프레임(110)의 내측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복수로 구성된 걸름바(170)는 상호 인접된 걸름바(170)들이 상호 높이차를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복수의 걸름바(170)들이 상호 높이차를 가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하 및 좌,우 왕복운동에 의한 진동이 투입된 재활용품에 불규칙적으로 전달됨에 따라 분리 선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송풍기(180)는 프레임(110)의 전방에 마련되어, 투입된 재활용품들을 건조시키게 되고, 또한 비닐이나 파쇄 종이와 같은 비교적 가벼운 이물질이 송풍력에 의해 비산되어 프레임(110)의 후방으로 수집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송풍기(180)는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측면에 다수 형성하여, 재활용품의 빠른 건조로 악취 및 표면흡착된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재활용품 선별 진동분리기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110)의 일측에 고정된 모터(140)에서 회전력이 발생하면, 상기 모터(140)와 연결된 제1축(120)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술된 바와 같이 편심링크부(150)가 상, 하 왕복 운동함에 따라 결국, 상기 편심링크부(150)에 일단이 고정된 걸름바(170)의 전방이 상,하 왕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바(170)의 전방의 상,하 왕복 운동은 수직 왕복 운동이 아니라 편심에 의한 것으로, 상,하 및 좌,우로 움직이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걸름바(170)의 후방은 회동링크(160)에 구속된 반경만큼 좌,우 왕복 운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걸름바(170)의 작동상태는 도 5a 내지 5d를 참조하면 된다.
한편, 이렇게 걸름바(170)의 작동상태 중에 재활용품이 투입되면, 상기 걸름바(170)의 상,하 및 좌,우 왕복 운동에 의한 진동이 재활용품에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뭉쳐있던 재활용품들이 프레임(110)의 폭방향에 구성된 복수의 걸름바(170)로 펼쳐진다.
이때, 상기 펼쳐지는 재활용품에 섞여 있던 흙이나 담배꽁초와 같은 비교적 부피가 적은 미립자등은 걸름바(170)의 다공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한다.
그리고, 프레임(110)의 전방에 설치된 송풍기(180)에 발생한 송풍력이 펼쳐지는 재활용품에 미치어 상기 재활용품을 건조시켜 표면장력으로 상호 흡착된 재활용품들을 탈락시켜 재활용품 분리 선별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송풍기(180)의 송풍력은 재활용품에 섞였거나 흡착되었다가 탈락된 비교적 가벼운 비닐이나 파쇄 종이등을 비산시켜 상기 프레임(110)의 후방으로 보내어 수집되도록 한다.
아울러, 재활용품들 중 흙과 같은 미립자는 걸름바(170)의 하방으로 낙하되고, 비교적 가벼운 비닐등은 송풍기(180)에 의해 프레임(110)의 후방으로 수집된 후 나머지 재활용품들 가령, 캔이나 병과 같은 비교적 무거운 재활용품들은 프레임(110)의 경사도에 의해 상기 프레임(110)의 전방으로 미끄러져 수집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편심링크부(150)와 회동링크(160)의 상호 결합관계에 의해 걸름바(170)가 진동되고, 또한 상기 걸름바(170)는 상호 높이차를 가지며 복수로 구성되어 뭉쳐진 재활용품들을 펼치면서 재활용품들에 흡착된 이물질을 탈락시켜 이물질의 분리선별이 용이함에 따라 작업환경의 향상 및 선별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품 선별 진동분리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재활용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분리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분리기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분리기의 정 단면도.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름바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링크의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편심링크부의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편심링크부의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진동분리기 110: 프레임
120: 제1축 130: 제2축
140: 모터 150: 편심링크부
152: 고정대 154: 제1커버
155: 베어링 156: 제2커버
157: 삽입공 158: 베어링커버
159: 쐐기커버 160: 회동링크
170: 걸름바 180: 송풍기
190: 높이조절대

Claims (6)

  1. 집하장에 수집된 재활용품들을 크기별로 작업자가 1차 선별한 후 크기별로 선별된 재활용품을 중량별로 분리 선별하는 진동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진동분리기는 내측이 관통되고 후방이 개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제1 및 제2축;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축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하 및 좌우로 흔들리면서 진동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걸름바;
    상기 걸름바의 하단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또는 제2축 중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축 중 어느 하나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걸름바를 회동 승강시키는 편심링크부;
    상기 걸름바의 하단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또는 제2축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축 중 어느 하나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걸름바를 좌,우로 구속회동시키는 회동링크;및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걸름바의 진동으로 재활용품 중 비교적 가벼운 재활용품은 상기 프레임의 후방으로 비산시켜 분리하고 비교적 무거운 재활용품은 걸름바를 따라 전방으로 이송되어 분리되도록 하는 송풍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선별 진동분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는
    프레임을 전방 및 후방의 높이를 같거나 또는 전방보다는 후방이 높도록 높이편차를 제공하는 높이조절대;
    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선별 진동분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름바는
    프레임의 내측 폭방향으로 복수로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걸름바들은 상호 인접된 걸름바과 높이편차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선별 진동분리기.
  4.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걸름바는
    재활용품 중에 섞여있는 흙과 같은 미립자가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매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선별 진동분리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심링크부는
    걸름바의 하단에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일단 내측에 마련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대로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고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축이 삽입되도록 삽입공이 형성된 제2커버; 및
    상기 고정대에 마련되는 베어링 및 제2커버가 회전시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한 베어링커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선별 진동분리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의 삽입공과 축 사이에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축이 회전을 할 때에 상기 제2커버와 축 사이에 슬립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력을 증폭하는 쐐기커버;
    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선별 진동분리기.
KR1020090111185A 2009-11-18 2009-11-18 재활용품 선별 진동분리기 KR101130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185A KR101130679B1 (ko) 2009-11-18 2009-11-18 재활용품 선별 진동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185A KR101130679B1 (ko) 2009-11-18 2009-11-18 재활용품 선별 진동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518A KR20110054518A (ko) 2011-05-25
KR101130679B1 true KR101130679B1 (ko) 2012-04-02

Family

ID=44363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185A KR101130679B1 (ko) 2009-11-18 2009-11-18 재활용품 선별 진동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6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53622B (zh) * 2014-11-04 2017-06-13 淄博翔鹏机械有限公司 振动平台及其用途和使用方法
CN114733763B (zh) * 2022-03-21 2023-08-18 红云红河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云烟残次不合格品烟支烟丝筛分回收工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7692A (ja) * 1994-10-20 1996-05-14 Shinko Electric Co Ltd 混合物選別分離装置
KR100495385B1 (ko) 2001-11-28 2005-06-14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과실 비파괴 내부품질 선별장치
KR100651272B1 (ko) 2006-05-08 2006-12-01 주식회사 한성기공 재활용품 선별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7692A (ja) * 1994-10-20 1996-05-14 Shinko Electric Co Ltd 混合物選別分離装置
KR100495385B1 (ko) 2001-11-28 2005-06-14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과실 비파괴 내부품질 선별장치
KR100651272B1 (ko) 2006-05-08 2006-12-01 주식회사 한성기공 재활용품 선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518A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4856B2 (en) Air separation of recyclable material
US11407010B2 (en) Sorting waste materials
CN109078971A (zh) 一种立式生活垃圾集成分选装置
CN205341297U (zh) 一种色选机除尘运输装置
JP2015016423A (ja) 袋体入り汚染物の解体選別設備
KR101071464B1 (ko) 퇴비용 이물질 선별장치
CN110787909A (zh) 一种垃圾分选方法
KR101130679B1 (ko) 재활용품 선별 진동분리기
KR101097744B1 (ko) 폐페트병 압축품 분해장치
JP6744128B2 (ja) 破袋選別装置
US53018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a material mixture and use of the apparatus
JP2824419B2 (ja) 選別機
KR100934035B1 (ko) 쓰레기 선별장치
KR100423207B1 (ko)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 시스템
KR101060754B1 (ko) 요동식 생활폐기물 선별분리기
CN214488251U (zh) 一种其他垃圾资源化处理系统
KR200387219Y1 (ko) 재활용품 풍력선별장치
KR100762497B1 (ko) 비닐 및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흡입장치가 구성된엠비티시설
KR100971723B1 (ko)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KR102370601B1 (ko) 자동 수거 기능을 갖는 미강 추출장치
CN203124402U (zh) 一种居民小区垃圾的集约化分类系统
CN109701741A (zh) 一套工业区垃圾的分选设备
CN115430682A (zh) 一种垃圾处理筛分系统
CN217569665U (zh) 一种可分类式粉末冶金加工用颗粒收集装置
KR20070061305A (ko) 트롬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