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977B1 - 장식구 공급유닛 및 이를 사용한 장식구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장식구 공급유닛 및 이를 사용한 장식구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977B1
KR101571977B1 KR1020140104664A KR20140104664A KR101571977B1 KR 101571977 B1 KR101571977 B1 KR 101571977B1 KR 1020140104664 A KR1020140104664 A KR 1020140104664A KR 20140104664 A KR20140104664 A KR 20140104664A KR 101571977 B1 KR101571977 B1 KR 101571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unit
orifice
decorative
support
deco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녀
임태중
Original Assignee
이순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녀 filed Critical 이순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0Decorating textiles by treatment with, or fixation of, a particulate material, e.g. mica, glass b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장식구 공급유닛 및 이를 사용한 장식구 부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구 공급유닛 및 이를 사용한 장식구 부착장치는, 구형(球形)의 제1장식구를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슬라이딩블럭을 일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장식구 공급유닛의 실린더의 직하방에 제1장식구 공급유닛의 제1지지블럭을 위치시키면 되고, 비구형(非球形)의 제2장식구를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슬라이딩블럭을 타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장식구 공급유닛의 실린더의 직하방에 제2장식구 공급유닛의 제2지지블럭을 위치시키면 된다. 그리고, 제2장식구 공급유닛의 이송정렬부의 위치에 따라, 제2장식구 저장통의 위치를 조절하면 된다. 그러므로, 부착하고자 하는 장식구에 따라 제1장식구 공급유닛과 제1장식구 공급유닛을 간편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대단히 편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장식구 공급유닛 및 이를 사용한 장식구 부착장치 {ORNAMENT SUPPLYING UNIT AND ORNAMENT ATTAC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착물(被俯着物)에 구형(球形)의 장식구와 비구형(非球形)의 장식구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부착할 수 있는 장식구 공급유닛 및 이를 사용한 장식구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 신발 또는 가방 등과 같은 피부착물(被俯着物)에는 피부착물의 외관을 장식하기 위한 장식구가 부착된다.
장식구는 구형(球形)의 장식구와 비구형(非球形)의 장식구로 대별되고, 구형의 장식구에는 구슬이 있고, 비구형의 장식구에는 반구형, 삼각 이상의 뿔형, 다이아몬드형 및 별모양 등이 있다.
구형의 장식구와 비구형의 장식구는 그 구조상 하나의 장식구 공급유닛을 이용하여 공급하기가 어렵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부착하고자 하는 장식구에 따라 장식구 부착장치의 장식구 공급유닛을 교체한 후 사용한다. 그러므로,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는, 구형의 장식구를 부착하기 위한 장식구 부착장치와 비구형의 장식구를 부착하기 위한 장식구 부착장치를 별도로 마련하여 사용하기도 하나, 이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의류용 장식구 부착장치와 관련한 선행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652112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장식구 공급유닛 및 이를 사용한 장식구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착하고자 하는 구형(球形)의 장식구 또는 비구형(非球形)의 장식구에 따라 간편하게 장식구 공급유닛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식구 공급유닛 및 이를 사용한 장식구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구 공급유닛은,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장식구를 피부착물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핀이 공급되는 경로상으로 제1장식구를 공급하는 제1장식구 공급유닛; 상기 지지부재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장식구와 상이한 형상의 제2장식구를 상기 피부착물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부착핀이 공급되는 경로상으로 제2장식구를 공급하는 제2장식구 공급유닛을 포함하며, 제1장식구 및 제2장식구는 상기 제1장식구 공급유닛 및 상기 제2장식구 공급유닛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구 부착장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피부착물(被俯着物)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몸체와 고정침을 가지는 부착핀을 공급하되, 상기 고정침이 상측을 향하게 하여 상기 부착핀을 공급하는 부착핀 공급유닛;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피부착물을 뚫은 상기 고정침이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된 제1장식구 또는 제2장식구에 박히도록, 상기 피부착물의 상측에서 상기 피부착물측으로 상기 제1장식구 또는 상기 제2장식구를 상기 부착핀이 공급되는 경로상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장식구 공급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 공급유닛 및 이를 사용한 장식구 부착장치는, 구형(球形)의 제1장식구를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슬라이딩블럭을 일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장식구 공급유닛의 실린더의 직하방에 제1장식구 공급유닛의 제1지지블럭을 위치시키면 되고, 비구형(非球形)의 제2장식구를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슬라이딩블럭을 타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장식구 공급유닛의 실린더의 직하방에 제2장식구 공급유닛의 제2지지블럭을 위치시키면 된다. 그리고, 제2장식구 공급유닛의 이송정렬부의 위치에 따라, 제2장식구 저장통의 위치를 조절하면 된다. 그러므로, 부착하고자 하는 장식구에 따라 제1장식구 공급유닛과 제1장식구 공급유닛을 간편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대단히 편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 부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착핀 공급유닛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피부착물에 부착하는 장식구를 보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장식구 공급유닛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5a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a에 도시된 제1장식구 공급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5a에 도시된 제2장식구 공급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도 8에 도시된 제2연결부재의 결합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제2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에 도시된 제2연결부재의 결합 단면도.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제2장식구 저장통의 확대 사시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위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 공급유닛 및 이를 사용한 장식구 부착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 부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 부착장치는 의류, 신발 또는 가방 등과 같은 피부착물(被俯着物)(50)의 표면에 장식용 장식구(60)(도 4 참조)를 부착핀(70)(도 2 참조)으로 부착하는 장치로서, 지지부재(100), 부착핀 공급유닛(200) 및 장식구 공급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00)는 테이블(110), 테이블(110)의 상면에 탑재 설치된 받침블럭(120)(도 5a 참조) 및 받침블럭(120)의 상면에서 수직 및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블럭(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지지부재(100)를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지지부재(100)의 테이블(110)을 기준으로, 테이블(110)의 수직 방향 상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 테이블(110)의 수직 방향 하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 부착장치의 부착핀 공급유닛(200)은 지지부재(1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부착핀(70)을 전달받아 이송한 다음 피부착물(5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부착핀 공급유닛(2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착핀 공급유닛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핀(70)은 대략 원판형의 몸체(71), 몸체(71)의 외주면에서 벤딩 형성되며 몸체(71)와 대략 수직을 이루는 복수의 고정침(73)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핀(70)은 부착핀 공급유닛(200)의 부착핀 저장통(210)에 저장되고, 부착핀 저장통(210)에 저장된 부착핀(70)은 실린더(245)로 공급되며, 실린더(245)는 부착핀(70)을 상측으로 쏘아서 피부착물(50)로 공급할 수 있다.
만약, 부착핀(70)의 몸체(71)가 상측을 향하는 상태로 실린더(245)로 공급되어 피부착물(50)로 공급되면, 편평한 몸체(71)가 피부착물(50)에 부딪히므로, 부착핀(70)이 피부착물(50)을 뚫고서 피부착물(50)의 상측에서 피부착물(50)로 공급되는 장식구(60)에 박히지 못할 수 있다. 그러면, 장식구(60)가 피부착물(50)에 부착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부착핀 공급유닛(200)은 부착핀 저장통(210)으로부터 부착핀(70)을 전달받아 고정침(73)이 상측을 향하도록 부착핀(70)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부(220)를 포함할 수 있고, 방향전환부(220)는 고정블럭(221)과 이탈방지테(22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블럭(221)은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이송부(230)의 베이스블럭(231)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블럭(221)의 외주면에는 고정블럭(221)의 외주면을 따라 곡선 이송레일(222)이 형성될 수 있고, 곡선 이송레일(222)의 상단부측은 부착핀 저장통(210)측과 연결될 수 있다. 부착핀 저장통(210)에서 이송된 부착핀(70)은 상호 인접하는 고정침(73)의 사이의 부위가 곡선 이송레일(222)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탈방지테(225)는 곡선 이송레일(222)과 간격을 가지면서 곡선 이송레일(222)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블럭(221)에 형성될 수 있고, 곡선 이송레일(222)에 지지된 부착핀(70)이 곡선 이송레일(222)의 외주면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곡선 이송레일(222)의 상단부측으로 이송된 부착핀(70)은 자중에 의하여 곡선 이송레일(222)을 따라, 고정블럭(2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공전한다. 그러면, 곡선 이송레일(222)의 상단부측으로 이송될 때의 부착핀(70)의 고정침(73)은 하측을 향하지만, 곡선 이송레일(222)의 하단부측으로 이송된 부착핀(70)의 고정침(73)은 상측을 향한다. 이로 인해, 부착핀(70)의 방향이 전환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착핀 공급유닛(200)은 방향전환부(220)로부터 고정침(73)이 상측을 향하는 형태로 부착핀(70)을 전달받아, 부착핀(70)이 공급되어야 할 적정한 위치로 부착핀(70)을 이송하는 이송부(230)를 포함할 수 있고, 이송부(230)는 베이스블럭(231), 제1안내블럭(234) 및 제2안내블럭(237)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블럭(231)은 지지부재(100)에 설치되며, 전술한 고정블럭(221)의 하측 부위가 결합될 수 있다.
제1안내블럭(234)은 베이스블럭(231)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고, 제1안내블럭(234)의 하면 테두리부측에는 직선 이송레일(235)이 형성될 수 있다. 직선 이송레일(235)의 하단면(下端面)은 베이스블럭(231)의 상면과 간격을 가짐과 동시에, 일단부가 곡선 이송레일(222)의 하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직선 이송레일(235)의 하단면이 베이스블럭(231)의 상면과 간격을 가질 수 있도록, 베이스블럭(231)의 상면은 계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직선 이송레일(235)은 곡선 이송레일(222)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인접하는 고정침(73) 사이가 직선 이송레일(235)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부착핀(70)은 직선 이송레일(235)을 따라서 직선 이송레일(235)의 타단부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제2안내블럭(237)은 베이스블럭(231)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안내블럭(237)에는 부착핀(70)을 상기 장식구 공급유닛의 실린더(310)의 직하방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237a)가 형성될 수 있고, 공급로(237a)는 직선 이송레일(235)의 타단부와 대향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급로(237a)에는 방향이 전환된 부착핀(70)이 위치되며, 공급로(237a)의 직상방에 상기 장식구 공급유닛의 제1장식구 공급유닛(400)의 제1지지블럭(431) 및 제2장식구 공급유닛(500)의 제1지지블럭(551)이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한다.
직선 이송레일(235)의 타단부와 대향하는 제2안내블럭(237)의 일면에는 절개홈(237b)이 형성될 수 있고, 절개홈(237b)에 직선 이송레일(235)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직선 이송레일(235)의 타단면과 절개홈(237b)을 형성하는 제2안내블럭(237)의 면 사이의 공간에 의하여 공급로(237a)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급로(237a)로 이송된 부착핀(70)은 공급로(237a)에서 쓰러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직선 이송레일(235)의 타단면과 절개홈(237b)을 형성하는 제2안내블럭(237)의 면 사이의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부착핀(70)의 크기와 공급로(237a)의 크기를 대응되게 형성하면 된다.
제2안내블럭(237)의 하면에는 절개홈(237b)과 연통된 흡입로(237c)가 형성될 수 있고, 흡입로(237c)는 베이스블럭(231)에 결합된 진공펌프(241)측과 연통될 수 있다. 진공펌프(241)는 직선 이송레일(235)에 지지된 부착핀(70)이 공급로(237a)로 이송되도록 부착핀(70)을 흡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블럭(231)에는 진공펌프(241)와 흡입로(237c)를 연통시키는 연통공(231a)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급로(237a) 하측의 베이스블럭(231)에는 실린더(245)가 설치될 수 있고, 실린더(245)의 푸시로드(245a)는 베이스블럭(231)을 관통하여 공급로(237a)의 직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푸시로드(245a)가 승강하면서 공급로(237a)에 위치된 부착핀(70)을 상기 장식구 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장식구(60)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러면, 푸시로드(245a)에 의하여 부착핀(70)이 상측으로 공급되고, 이로 인해 부착핀(70)의 고정침(73)이 피부착물(50)을 뚫고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공급되는 장식구(60)에 박히게 된다.
그리고, 부착핀(70)이 공급로(237a)로 이송될 때에는, 푸시로드(245a)의 상단면(上端面)과 베이스블럭(231)의 상면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로 인해, 부착핀(70)의 몸체(71)가 푸시로드(245a)의 상단면에 탑재 지지되는 것이다. 부착핀(70)의 몸체(71)가 푸시로드(245a)의 상단면에 지지되므로, 부착핀(70)이 적층된 형태로 공급로(237a)에 공급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2 및 도 3의 미설명 부호 251은 제1안내블럭(234)및 제2안내블럭(237)을 지지하는 커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착핀 공급유닛(200)의 구성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74320호의 도 12 내지 도 14d에 개시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고,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65386호의 도 12 내지 도 14d에 개시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피부착물에 부착하는 장식구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구(60)는 구슬형(61a)과 같은 구형(球形)의 제1장식구(61), 삼각 뿔형(65a), 사각 뿔형(65b), 반구형(65c), 외면이 각진 반구형(65d) 또는 별형(65e) 등과 같은 비구형(非球形)의 제2장식구(65)로 대별될 수 있다. 제1장식구(61)는 외면에 편평한 면이 존재하지 않고, 제2장식구(65)는 외면에 편평한 면이 존재할 수 있다.
장식구를 공급하는 하나의 장식구 공급유닛을 이용하여, 외면에 편평한 면이 존재하지 않는 제1장식구(61)와 외면에 편평한 면이 존재하는 제2장식구(65)를 모두 공급하기가 어렵다. 이로 인해, 장식구(60)의 형태에 따라, 장식구 공급유닛을 교체하여야 하거나, 장식구 부착장치를 별도로 마련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 부착장치는 구형(球形)의 제1장식구(61)를 공급하기 위한 제1장식구 공급유닛(400)과 비구형(非球形)의 제2장식구(65)를 공급하기 위한 제2장식구 공급유닛(500)을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하고, 제1장식구 공급유닛(400)과 제2장식구 공급유닛(500)을 간편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상기 장식구 공급유닛에 대하여, 도 1,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장식구 공급유닛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a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장식구 공급유닛은 피부착물(50)의 상측에서 피부착물(50)측으로 장식구(60)를 공급할 수 있으며, 부착핀 공급유닛(200)의 실린더(245)의 푸시로드(245a)(도 3 참조)의 상측으로 장식구(60)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장식구 공급유닛은 실린더(310), 지지블럭(320), 슬라이딩블럭(330), 제1장식구 공급유닛(400) 및 제2장식구 공급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부착하고자 하는 장식구(60)에 따라, 부착핀(70)이 공급되는 경로상인 푸시로드(245a)의 상측으로, 선택적으로 제1장식구 공급유닛(400)을 이동하여 제1장식구(61)를 공급하거나, 제2장식구 공급유닛(500)을 이동하여 제2장식구(65)를 공급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실린더(310)는 지지부재(100)의 최상측 부위에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플런저(Plunger)(313)의 상측 부위가 삽입될 수 있다. 플런저(313)는 실린더(31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푸시로드(245a)의 직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플런저(313)의 하단면(下端面)과 푸시로드(245a)의 상단면(上端面)은 대향할 수 있다. 따라서, 푸시로드(245a)가 운동하는 경로상에 플런저(313)가 위치되므로, 푸시로드(245a)에 의하여 공급되는 부착핀(70)의 공급 경로상에서 플런저(313)가 승강하는 것이다.
지지블럭(320)은 실린더(310)와 푸시로드(245a) 사이의 지지부재(100)의 연장블럭(130)의 부위에 설치될 수 있고, 슬라이딩블럭(330)은 좌우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블럭(32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장식구 공급유닛(400)의 제1지지블럭(431)과 제2장식구 공급유닛(500)의 제1지지블럭(551)은 슬라이딩블럭(330)에 설치되어, 슬라이딩블럭(330)과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즉, 제1장식구 공급유닛(400)과 제2장식구 공급유닛(500)은 슬라이딩블럭(330)에 설치되어 함께 슬라이딩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블럭(330)이 운동함에 따라 제1장식구 공급유닛(400)의 제1지지블럭(431)에 설치된 제1연결부재(471)의 상측 부위와 제2장식구 공급유닛(500)의 제1지지블럭(551)에 설치된 제1연결부재(571)의 상측 부위는 플런저(313)의 하측 부위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블럭(320)에는 슬라이딩블럭(330)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실린더 등과 같은 구동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플런저(313)의 하측 부위에 제1장식구 공급유닛(400)의 제1연결부재(471)가 연결되면, 플런저(313)에 의하여 제1장식구(61)가 부착핀(70)이 공급되는 경로상으로 공급되고, 플런저(313)의 하측 부위에 제2장식구 공급유닛(500)의 제1연결부재(571)가 연결되면, 플런저(313)에 의하여 제2장식구(65)가 부착핀(70)이 공급되는 경로상으로 공급된다.
고정블럭(320)에는 좌우방향으로 안내로(321)가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딩블럭(330)에는 안내로(321)에 삽입되는 안내레일(331)이 형성될 수 있다. 안내로(321)와 안내레일(331)은 슬라이딩블럭(330)이 안정되게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고정블럭(320)에 안내레일(331)이 형성되고, 슬라이딩블럭(330)에 안내로(321)가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플런저(313)의 하측 부위에 제1장식구 공급유닛(400)의 제1연결부재(471)의 상측 부위 및 제2장식구 공급유닛(50)의 제1연결부재(571)의 상측 부위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린더(310)의 외측으로 노출된 플런저(313)의 하단부측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링형상의 걸림홈(31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장식구 공급유닛(400)의 제1연결부재(471) 및 제2장식구 공급유닛(500)의 제1연결부재(571)의 상단부에는 머리부(471a)(571a)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머리부(471a)(571a)에는 각각 한쌍의 연장편(471b)(571b)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호 대향할 수 있으며, 연장편(471b)(571b)의 상단부에는 걸림편(471c)(571c)이 각각 벤딩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슬라이딩블럭(330)이 슬라이딩함에 따라 플런저(313)의 하측 부위는 연장편(471b)(571b) 사이를 통과하게 되고, 플런저(313)의 하측 부위가 연장편(471b)(571b) 사이에 위치되면, 걸림편(471c)(571c)은 걸림홈(313a)에 삽입되어 걸린다. 그러면, 플런저(313)와 제1장식구 공급유닛(400)의 제1연결부재(471)가 연결되거나, 플런저(313)와 제2장식구 공급유닛(500)의 제1연결부재(571)가 연결되는 것이다.
플런저(313)는 슬라이딩블럭(330)과 함께 슬라이딩하는 제1장식구 공급유닛(400)의 제1연결부재(471)와 제2장식구 공급유닛(500)의 제1연결부재(57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므로, 플런저(313)와 결합되지 않은 제1연결부재(471) 또는 제1연결부재(571)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할 수 있다. 그런데, 제1연결부재(471) 또는 제1연결부재(571)가 하강한 상태에서, 제1연결부재(471) 또는 제1연결부재(571)가 슬라이딩블럭(330)과 함께 슬라이딩되면, 하강한 제1연결부재(471) 또는 제1연결부재(571)가 플런저(313)에 결합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재(100)에는 플런저(313)와 결합되지 않은 제1연결부재(471) 또는 제1연결부재(571)가 자중에 의하여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브라켓(340)이 설치될 수 있다.
지지브라켓(340)은 지지부재(100)에 결합된 결합판(341)과 결합판(341)의 하단부에서 플런저(313)측으로 벤딩 형성되며, 제1연결부재(471)(571)의 머리부(471a)(571a)의 하면이 접촉 지지되는 지지판(345)을 포함할 수 있다.
머리부(471a)(571a)의 하면이 지지판(345)에 접촉 지지되므로, 제1연결부재(471)(571)가 낙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플런저(313)의 운동경로 상에 위치된 지지판(345)의 부위는 개방(345a)되어 상호 결합된 플런저(313)와 제1연결부재(571) 또는 상호 결합된 플런저(313)와 제1연결부재(571)가 승강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즉, 실린더(310)와 지지브라켓(340)은 고정되어 있고, 제1연결부재(471)(571)는 슬라이딩블럭(330)에 의하여 슬라이딩한다. 이때, 제1연결부재(471)(571)의 머리부(471a)(571a)가 지지판(345)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제1연결부재(471)(571)는 지지판(345)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슬라이딩블럭(330)이 슬라이딩함에 따라 제1연결부재(471)(571) 중, 어느 하나의 제1연결부재(471)(571)가 플런저(313)와 결합될 수 있다. 그런데, 플런저(313)의 운동경로 상에 위치된 지지판(345)의 부위는 개방(345a)되어 있으므로, 상호 결합된 플런저(313)와 제1연결부재(571) 또는 상호 결합된 플런저(313)와 제1연결부재(571)는 지지판(345)의 간섭을 받지 않고 함께 승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313), 제1연결부재(471)(571) 및 지지브라켓(340)의 구성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74320호의 도 2 내지 도 4에 개시된 구성,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65299호의 도 6 내지 도 12에 개시된 구성 및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65386호의 도 16 내지 도 19d에 개시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 부착장치의 제1장식구 공급유닛(400)에 대하여 도 5a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5a에 도시된 제1장식구 공급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장식구 공급유닛(400)은 제1장식구(61)를 저장하는 제1장식구 저장통(미도시), 이송정렬부(430) 및 지지누름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정렬부(430)는 슬라이딩블럭(330)에 설치되어 슬라이딩블럭(330)과 함께 운동하는 중공체(中空體)의 제1지지블럭(431)과 제1지지블럭(431)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지지블럭(431)과 함께 운동하는 제2지지블럭(4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블럭(431)의 내부에는 플런저(313)의 운동방향과 평행하게 관통로(432)가 구획 형성될 수 있고, 관통로(432)에는 지지누름부(470)의 하측 부위가 삽입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지지블럭(435)은 제1지지블럭(431)의 하면에 결합되어 제1지지블럭(431)과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제2지지블럭(435)은 상기 제1장식구 저장통에서 공급되는 구형의 제1장식구(61)를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지지블럭(435)의 일측에는 상기 제1장식구 저장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제1장식구(61)를 전달받기 위한 유입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는 상기 유입공과 연통되어 제1장식구(61)를 수용함과 동시에 제1장식구(61)를 피부착물(50)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블럭(435)의 타측에는 지지홈(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홈에는 상기 배출공으로 유입된 제1장식구(61)가 자중에 의하여 피부착물(50)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볼(미도시)이 탄성 지지 설치될 수 있다.
제2지지블럭(435)의 상면에는 관통로(432)의 하측 부위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관(435a)이 형성될 수 있고, 결합관(435a)은 상기 배출공과 직선을 이루면서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공과 관통로(432)는 결합관(435a)을 매개로 직선을 이루면서 상호 연통될 수 있다.
지지누름부(470)는 슬라이딩블럭(330)에 의하여 제1장식구 공급유닛(400)의 제1지지블럭(431)이 슬라이딩함에 따라, 플런저(313)에 상단부측이 연결될 수 있고, 플런저(313)와 함께 승강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누름부(470)의 하단부는 제2지지블럭(435)의 상기 배출공에 수용된 제1장식구(61)를 하측으로 눌러서 제1장식구(61)를 부착핀(70)이 공급되는 부위로 공급함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지지누름부(470)는 제1연결부재(471), 제2연결부재(475) 및 누름바(47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471)의 상측 부위는 플런저(313)의 하측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2연결부재(475)는 상측 부위는 제1지지블럭(431)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제1연결부재(471)의 하측 부위에 결합될 수 있고, 하측 부위는 관통로(432)에 승강가능하게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471)가 플런저(313)에 의하여 승강하므로, 제2연결부재(475)도 승강함은 당연하다.
누름바(479)는 상측 부위는 제2연결부재(475)의 하측 부위에 결합될 수 있고, 하단부는 제2지지블럭(435)의 결합관(435a)에 삽입되어 제2지지블럭(435)의 상기 배출공에 수용된 제1장식구(61)과 대향할 수 있다. 그리하여, 누름바(479)는 제2연결부재(475)와 함께 승강하면서, 제2지지블럭(435)의 상기 배출공에 수용된 제1장식구(61)을 눌러서 부착핀(70)이 공급되는 부위로 공급함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그런데, 누름바(479)에서 제1장식구(61)에 작용하는 힘이 소정 이상이면, 제1장식구(61)가 손상되거나 피부착물(50)에 제1장식구(61)의 자국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연결부재(471)는 플런저(313)의 운동방향을 따라 유동가능하게 제2연결부재(475)에 결합되어, 플런저(313)측으로 탄성 지지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연결부재(471)의 하측 부위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장공(長空)(471d)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475)의 상측 부위는 중공체(中空體)로 형성될 수 있고, 외주면에는 상호 대향되게 결합공(47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장공(471d)과 결합공(475a)은 상호 연통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연결부재(471)의 하측 부위는 제2연결부재(475)의 상측 부위에 삽입되고, 결합공(475a)에는 결합핀(472)이 결합된다. 이때, 결합핀(472)은 장공(471d)을 통과한다. 이로 인해, 제1연결부재(471)는 장공(471d)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가능하게 제2연결부재(475)에 결합되므로, 플런저(313)의 운동방향과 평행하게 유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475)의 상측 부위 내부에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473)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누름바(479)가 하강하여 제1장식구(61)를 피부착물(50)로 전달하여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플런저(313)가 더 하강하면, 플런저(313)에 의하여 제1연결부재(471)가 하강하면서 탄성부재(473)를 압축시킬 수 있다. 즉, 제1연결부재(471)는 하강하나, 제2연결부재(475)는 하강하지 않으므로, 누름바(479)도 하강하지 않는다. 그리고, 누름바(479)는 탄성부재(473)에 의하여 하측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누름바(479)에 의하여 제1장식구(61)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고, 피부착물(50)에 제1장식구(61)의 자국이 생기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누름바(479)의 하강 거리를 결정하는 플런저(313)의 하강 거리 및 탄성부재(473)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누름바(479)에서 제1장식구(61)에 작용하는 힘이 소정 이하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누름바(479)가 안정되게 제1장식구(61)를 피부착물(50)의 정확한 부위에 공급한 후, 지지할 수 있도록, 누름바(479)는 제1장식구(61)을 흡착한다. 이를 위하여, 누름바(479)의 내부에는 유로(미도시)가 형성되고, 제2연결부재(475)의 외주면에는 일측은 진공펌프(미도시)측과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유로와 연통된 연통로(475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장식구(61)가 제2지지블럭(435)의 상기 배출공에 수용되면, 제1장식구(61)는 압력차에 의하여 누름바(479)의 하단부에 흡착된 다음, 피부축물(50)로 공급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누름바(479)가 제1장식구(61)를 더욱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누름바(479)의 하단부에는 제1장식구(61)가 안치되는 안치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장식구 공급유닛(400)의 구성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65386호의 도 16 내지 도 19d에 개시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 부착장치의 제2장식구 공급유닛(500)에 대하여 도 5a 내지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5a에 도시된 제2장식구 공급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장식구 공급유닛(500)은 제2장식구(65)를 저장하는 제2장식구 저장통(510), 이송정렬부(530) 및 지지누름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장식구 저장통(510)은 지지부재(100)에 설치되며, 실린더(310)와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한다.
이송정렬부(530)는 슬라이딩블럭(330)에 설치되며, 제2장식구 저장통(510)으로부터 제2장식구(65)를 전달받아, 제2장식구(65)를 연속적으로 이송하여 하나씩 부착핀(70)이 공급되는 경로상에 위치시킨다.
이송정렬부(530)는 제2장식구 저장통(510)과 지지누름부(570) 사이에 위치되며, 상호 상하로 대향하는 제1이송정렬레일(541)과 제2이송정렬레일(5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호 대향하는 제1이송정렬레일(541)의 상면 및 제2이송정렬레일(545)의 하면에는 상호 대향되게 제1이송정렬로(541a) 및 제2이송정렬로(미도시)가 각각 하측 및 상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2장식구 저장통(510)에서 정렬되어 이송되는 제2장식구(65)는 제1이송정렬로(541a)와 상기 제2이송정렬로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제2장식구(65)의 하측 부위는 제1이송정렬로(541a)에 삽입 안치될 수 있고, 상측 부위는 상기 제2이송정렬로에 삽입 안치될 수 있다.
제2장식구 저장통(510)은 내부에 나선형태의 이송테(511)가 형성될 수 있고, 미세하게 진동할 수 있다. 그러면, 제2장식구 저장통(510)에 저장된 제2장식구(65)가 이송테(511)에 탑재되어 이송테(511)를 따라서 이송되면서 정렬될 수 있다. 제2장식구 저장통(510)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장식구 공급유닛(500)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제2장식구(65)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1이송정렬로(541a)의 폭은 제2장식구(65)의 하면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2이송정렬로의 폭은 제1이송정렬로(541a)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며, 제2이송정렬레일(545)은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장식구(65)의 편평한 하면은 제1이송정렬로(541a)를 형성하는 제1이송정렬레일(541)의 상면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장식구(65)의 하측 부위는 제1이송정렬로(541a)에 삽입 안치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진 제2장식구(65)의 상측 부위는 상기 제2이송정렬로를 형성하는 제2이송정렬레일(545)의 하면 모서리부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크기가 큰 제2장식구(65)를 이송 정렬할 경우에는 제2이송정렬레일(545)을 상승시키고, 크기가 작은 제2장식구(65)를 이송 정렬할 경우에는 제2이송정렬레일(545)을 하강시키면, 제2장식구(65)의 경사진 상측 부위가 상기 제2이송정렬로를 형성하는 제2이송정렬레일(545)의 하면 모서리부에 접촉 지지되므로, 제1이송정렬로(541a)와 상기 제2이송정렬로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된 제2장식구(65)는 제1이송정렬로(541a)와 상기 제2이송정렬로를 따라 이송되면서 정렬되는 것이다.
지지부재(100) 및 제2이송정렬레일(545)에는 상호 삽입 결합되어 제2이송정렬레일(545)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돌기(133) 및 안내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이송정렬레일(545)은 볼스크류(546)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승강할 수 있다. 그리고, 볼스크류(546)를 감싸는 형태로 제2이송정렬레일(545)을 제1이송정렬레일(541)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547)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이송정렬레일(541) 및 제2이송정렬레일(545)과 제2장식구 저장통(510) 사이에는 경계면이 있으므로, 제2장식구(65)가 제2장식구 저장통(510)에서 제1이송정렬로(541a)와 상기 제2이송정렬로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으로 용이하게 이송되지 못할 수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장식구 저장통(510)과 인접한 제2이송정렬레일(545)의 부위에는 압축기(미도시) 등과 연통된 공기통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통로를 통하여 토출되면서 제2장식구(65)를 지지누름부(570)측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공기통로는 제2이송정렬레일(545)의 중앙부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송정렬부(530)는 제1지지블럭(551), 제2지지블럭(555) 및 이탈방지판(55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블럭(551)은 중공체(中空體)로 형성되어 슬라이딩블럭(330)에 설치될 수 있고, 슬라이딩블럭(330)과 함께 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블럭(551)의 내부에는 플런저(313)의 운동방향과 평행하게 관통로(552)가 구획 형성될 수 있고, 관통로(532)에는 지지누름부(570)의 하측 부위가 삽입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지지블럭(555)은 제1지지블럭(551)의 하단면에 결합될 수 있고, 제1이송정렬레일(541) 및 제2이송정렬레일(545)의 좌측면과 접촉하며, 내부는 제1이송정렬로(541a)와 상기 제2이송정렬로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과 연통되어 제2장식구(65)를 지지누름부(570)의 직하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지지블럭(555)의 상면에는 제1지지블럭(551)의 관통로(552)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관(555a)이 형성될 수 있고, 하면에는 제2장식구(65)가 안치되는 안치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결합관(555a) 및 상기 안치로와 연통하는 연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누름부(570)의 누름바(577)는 결합관(555a) 및 상기 연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안치로에 안치된 제2장식구(65)를 부착핀(70)의 공급 경로상으로 지지 공급할 수 있다.
제1이송정렬레일(541) 및 제2이송정렬레일(545)과 접촉하는 제2지지블럭(555)의 우측면에는 제1이송정렬레일(541) 및 제2이송정렬레일(545)측에서 상기 안치로로 이송되는 제2장식구(65)가 상기 안치로의 하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블럭(555b)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지블럭(555)의 좌측면측 제1지지블럭(551)에는 이탈방지블럭(555b)을 통과하여 상기 안치로에 위치된 제2장식구(65)가 하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559)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탈방지판(559)은 실린더(미도시)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고,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하여 복귀할 수 있다.
이탈방지블럭(555b)은 지지누름부(570)의 누름바(579)에 의하여 하측으로 공급되는 제2장식구(65)가 제1이송정렬레일(541) 및 제2이송정렬레일(545)측으로 이탈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누름지지부(570)는 슬라이딩블럭(330)에 의하여 제2장식구 공급유닛(500)의 제1지지블럭(551)이 슬라이딩함에 따라, 플런저(313)에 상단부측이 연결될 수 있고, 플런저(313)와 함께 승강할 수 있다. 그리고, 누름지지부(570)의 하단부는 제2지지블럭(555)의 상기 안치로에 안치된 제2장식구(65)를 하측으로 눌러서 제2장식구(65)를 부착핀(70)이 공급되는 부위로 공급함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누름지지부(570)는 제1연결부재(571), 제2연결부재(575) 및 누름바(57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571)의 상측 부위는 플런저(313)의 하측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2연결부재(575)는 상측 부위는 제1지지블럭(551)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제1연결부재(571)의 하측 부위에 결합될 수 있고, 하측 부위는 관통로(552)에 승강가능하게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571)가 플런저(313)에 의하여 승강하므로, 제2연결부재(575)도 승강함은 당연하다. 제2연결부재(575)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누름바(579)는 상측 부위는 제2연결부재(575)의 하측 부위에 결합될 수 있고, 하단부는 제2지지블럭(555)의 결합관(555a)에 삽입되어 제2지지블럭(555)의 상기 배출공에 수용된 제2장식구(65)과 대향할 수 있다. 그리하여, 누름바(579)는 제2연결부재(575)와 함께 승강하면서, 제2지지블럭(555)의 상기 배출공에 수용된 제2장식구(65)을 눌러서 부착핀(70)이 공급되는 부위로 공급함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그런데, 누름바(579)에서 제2장식구(65)에 작용하는 힘이 소정 이상이면, 제2장식구(65)가 손상되거나 피부착물(50)에 제2장식구(65)의 자국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연결부재(571)는 플런저(313)의 운동방향을 따라 유동가능하게 제2연결부재(575)에 결합되어, 플런저(313)측으로 탄성 지지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연결부재(571)의 하측 부위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장공(長空)(571d)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575)의 상측 부위는 중공체(中空體)로 형성될 수 있고, 외주면에는 상호 대향되게 결합공(57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장공(571d)과 결합공(575a)은 상호 연통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연결부재(571)의 하측 부위는 제2연결부재(575)의 상측 부위에 삽입되고, 결합공(575a)에는 결합핀(572)이 결합된다. 이때, 결합핀(572)은 장공(571d)을 통과한다. 이로 인해, 제1연결부재(571)는 장공(571d)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가능하게 제2연결부재(575)에 결합되므로, 플런저(313)의 운동방향과 평행하게 유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575)의 상측 부위 내부에는 제1연결부재(571)를 플런저(313)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73)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누름바(579)가 하강하여 제2장식구(65)를 피부착물(50)로 전달한 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플런저(313)가 더 하강하면, 플런저(313)에 의하여 제1연결부재(571)가 하강하면서 탄성부재(573)를 압축시킬 수 있다. 즉, 제1연결부재(571)는 하강하나, 제2연결부재(575)는 하강하지 않으므로, 누름바(579)도 하강하지 않는다. 그리고, 누름바(579)는 탄성부재(573)에 하측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누름바(579)에 의하여 제2장식구(65)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고, 피부착물(50)에 제2장식구(65)의 자국이 생기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누름바(579)의 하강 거리를 결정하는 플런저(313)의 하강 거리 및 탄성부재(573)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누름바(579)에서 제2장식구(65)에 작용하는 힘이 소정 이하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누름바(579)가 안정되게 제2장식구(65)를 피부착물(50)의 정확한 부위에 공급한 후, 지지할 수 있도록, 누름바(579)는 제2장식구(65)을 흡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누름바(579)의 내부에는 유로(미도시)가 형성되고, 제2연결부재(575)의 외주면에는 일측은 진공펌프(미도시)측과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유로와 연통된 연통로(575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장식구(65)가 제2지지블럭(555)의 상기 배출공에 수용되면, 제2장식구(65)는 압력차에 의하여 누름바(579)의 하단부에 흡착된 다음, 피부축물(50)로 공급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누름바(579)가 제2장식구(65)를 더욱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누름바(579)의 하단부에는 제2장식구(65)가 안치되는 안치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장식구 공급유닛(500)의 구성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74320호의 도 3 내지 도 11c에 개시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장식구 공급유닛(500)은 상이한 크기의 제2장식구(65)를 공급할 수 있고, 제2장식구(65)는 크기에 따라 높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면, 제2장식구(65)의 높이에 따라 누름바(579)가 하사점 위치에 있을 때의 누름바(579)의 하단면(下端面)과 이탈방지판(559) 사이의 간격도 제2장식구(65)의 높이에 따라 조절해 주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장식구 공급유닛(500)은 제2연결부재(575)의 길이를 조절하여, 누름바(579)의 하단면(下端面)과 이탈방지판(559)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데, 이를 도 8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에 도시된 제2연결부재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에 따른 제2연결부재(575)는, 상부연결관(576), 하부연결관(577) 및 조절나사(578)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연결관(576)은 상측 부위가 제1연결부재(571)의 하측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전술한 결합공(575a) 및 탄성부재(573)가 각각 형성 및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연결관(577)은 하측 부위가 누름바(579)의 상측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전술한 연통로(575b)가 형성될 수 있다.
조절나사(578)는 상측 부위가 상부연결관(576)의 하측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하측 부위가 하부연결관(577)의 상측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조절나사(578)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조절나사(578)의 상측 부위 외주면 및 하측 부위 외주면에는 상호 반대방향의 나선(螺旋)(578a, 578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연결관(576) 및 하부연결관(577)의 내주면에는 조절나사(578)의 나선(578a, 578b)과 각각 맞물리는 나선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조절나사(578)를 정역회전시키면, 조절나사(578)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연결관(576)과 하부연결관(577)은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형태로 운동한다. 즉, 조절나사(578)는 상부연결관(576)과 하부연결관(577)이 자신의 중심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형태로 운동하도록 조절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연결관(576)과 하부연결관(577)이 상호 가까워지면, 하부연결관(577)이 상승한 상태이므로, 하부연결관(577)에 결합된 누름바(579)의 하단면(下端面)과 이탈방지판(559) 사이의 간격이 멀다. 그러면, 누름바(579)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제2장식구(65)를 지지하여 부착핀(70)의 공급 경로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연결관(576)과 하부연결관(577)이 상호 멀어지면, 하부연결관(577)이 하강항 상태이므로, 하부연결관(577)에 결합된 누름바(579)의 하단면(下端面)과 이탈방지판(559) 사이의 간격이 좁다. 그러면, 누름바(579)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제2장식구(65)를 지지하여 부착핀(70)의 공급 경로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제2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에 도시된 제2연결부재의 결합 단면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장식구 공급유닛(600)의 지지누름부(670)의 제2연결부재(675)는 상부연결관(676), 하부연결관(677) 및 조절나사(67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나사(678)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조절나사(678)의 상측 부위 외주면에는 나선(螺旋)(678a)이 형성될 수 있고, 상부연결관(676)의 내주면에는 조절나사(678)의 나선(678a)과 맞물리는 나선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조절나사(678)를 정역회전시키면, 조절나사(678)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연결관(676)이 조절나사(678)의 중심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형태로 운동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연결관(676)이 조절나사(678)의 중심과 가까워지면 조절나사(678)가 상승한 상태이므로, 하부연결관(677)에 결합된 누름바(579)(도 8 참조)의 하단면(下端面)과 이탈방지판(559)(도 8 참조) 사이의 간격이 멀다. 그러면, 누름바(579)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제2장식구(65)를 지지하여 부착핀(70)의 공급 경로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연결관(676)이 조절나사(678)의 중심에서 멀어지면, 조절나사(678)가 하강한 상태이므로, 하부연결관(677)에 결합된 누름바(579)의 하단면과 이탈방지판(559) 사이의 간격이 좁다. 그러면, 누름바(579)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제2장식구(65)를 지지하여 부착핀(70)의 공급 경로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재(675)는 조절나사(678)의 하측 부위 외주면에 나선(螺旋)이 형성될 수 있고, 하부연결관(677)의 내주면에 조절나사(678)의 나선과 맞물리는 나선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하여, 조절나사(678)를 정역회전시키면, 조절나사(678)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부연결관(677)이 조절나사(678)의 중심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형태로 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장식구 공급유닛(500)은 이송정렬부(530) 및 지지누름부(570)가 슬라이딩블럭(330)과 함께 슬라이딩한다. 그런데, 지지부재(100)에 설치된 제2장식구 저장통(510)이 고정되어 있으면, 슬라이딩블럭(330)이 제2장식구 저장통(510)측으로 슬라이딩될 때, 이송정렬부(530)가 제2장식구 저장통(510)에 부딪힐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장식구 저장통(510)은, 슬라이딩블럭(330)이 슬라이딩함에 따라, 실린더(310)와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를 도 1, 도 5a, 도 5b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제2장식구 저장통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0)에는 제2장식구 저장통(510)이 탑재 지지되는 받침판(515)이 지지 설치될 수 있고, 받침판(515)은 지지부재(110)에 설치된 힌지축(515a)에 지지되어 힌지축(515a)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받침판(515)이, 힌지축(515a)을 중심으로, 정역회전함에 따라 제2장식구 저장통(510)이 실린더(310)와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이동하므로, 슬라이딩블럭(330)에 의하여 이송정렬부(530)가 슬라이딩되어도, 이송정렬부(530)가 제2장식구 저장통(510)에 부딪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a는 슬라이딩블럭(330)이 좌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실린더(310)의 직하방에 제2장식구 공급유닛(500)의 제1지지블럭(551)이 위치되었을 때, 받침판(515)이 회전하여 제2장식구 저장통(510)이 실린더(310)와 가까워진 상태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5b는 슬라이딩블럭(330)이 우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실린더(310)의 직하방에 제1장식구 공급유닛(400)의 제1지지블럭(431)이 위치되었을 때, 받침판(515)이 회전하여 제2장식구 저장통(510)이 실린더(310)와 멀어진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0의 미설명 부호 517은 받침판(515)을 회전시키기 위한 실린더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 공급유닛 및 이를 사용한 장식구 부착장치는, 구형의 제1장식구(61)를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슬라이딩블럭(330)을 우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실린더(310)의 직하방에 제1장식구 공급유닛(400)의 제1지지블럭(431)을 위치시키면 되고, 비구형의 제2장식구(65)를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슬라이딩블럭(330)을 좌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실린더(310)의 직하방에 제2장식구 공급유닛(400)의 제1지지블럭(551)을 위치시키면 된다. 그리고, 제2장식구 공급유닛(400)의 이송정렬부(530)의 위치에 따라, 제2장식구 저장통(510)의 위치를 조절하면 된다. 그러므로, 부착하고자 하는 장식구(60)에 따라 제1장식구 공급유닛(400)과 제1장식구 공급유닛(500)을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대단히 편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0: 피부착물
60: 장식구
70: 부착핀
100: 지지부재
200: 부착핀 공급유닛
310: 실린더
320: 고정블럭
330: 슬라이딩블럭
340: 지지브라켓
400: 제1장식구 공급유닛
500: 제2장식구 공급유닛

Claims (16)

  1.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장식구를 피부착물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핀이 공급되는 경로상으로 상기 제1장식구를 공급하는 제1장식구 공급유닛;
    상기 지지부재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장식구와 상이한 형상의 제2장식구를 상기 피부착물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부착핀이 공급되는 경로상으로 상기 제2장식구를 공급하는 제2장식구 공급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장식구 및 상기 제2장식구는 상기 제1장식구 공급유닛 및 상기 제2장식구 공급유닛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공급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식구 공급유닛과 상기 제2장식구 공급유닛은 함께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공급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부착핀이 공급되는 경로상에서 승강하는 플런저(Plunger)를 가지는 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하측의 상기 지지부재의 부위에는 지지블럭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블럭에는 슬라이딩블럭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블럭에는 상기 제1장식구 공급유닛 및 상기 제2장식구 공급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럭과 함께 운동하며,
    상기 제1장식구 공급유닛 및 상기 제2장식구 공급유닛은 상기 슬라이딩블럭이 운동함에 따라 상기 플런저의 하측 부위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장식구 및 상기 제2장식구를 상기 부착핀이 공급되는 부위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공급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과 상기 슬라이딩블럭 중, 어느 하나 및 다른 하나에는 상호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럭의 운동을 지지하는 안내로 및 안내레일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공급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식구 공급유닛은,
    상기 실린더 외측의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2장식구가 저장되는 제2장식구 저장통;
    상기 실린더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장식구 저장통에서 전달되는 상기 제2장식구를 연속적으로 이송하여 상기 제2장식구를 하나씩 상기 부착핀이 공급되는 경로상에 위치시키는 이송정렬부;
    상측 부위가 상기 플런저에 연결되어 상기 플런저와 함께 승강하며, 하단부는 상기 이송정렬부에 정렬된 상기 제2장식구를 지지하여 상기 제2장식구를 하나씩 상기 부착핀이 공급되는 피부착물의 부위로 눌러서 공급하는 지지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정렬부와 상기 지지누름부는 상기 슬라이딩블럭과 함께 운동하고,
    상기 제2장식구 저장통은 상기 실린더와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공급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제2장식구 저장통이 탑재 지지되는 받침판이 자신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 설치되고,
    상기 받침판이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장식구 저장통이 상기 실린더와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공급유닛.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누름부는,
    상측 부위가 상기 플런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와 함께 승강하는 제1연결부재;
    상측 부위가 상기 제1연결부재의 하측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와 함께 승강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제2연결부재;
    상측 부위는 상기 제2연결부재의 하측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 부위는 상기 이송정렬부에서 이송되어 오는 상기 제2장식구의 상측에 위치되며, 하단면(下端面)은 상기 제2장식구를 지지하여 상기 제2연결부재와 함께 승강하면서 상기 제2장식구를 상기 부착핀이 공급되는 부위로 눌러서 공급하는 누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공급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측 부위가 상기 제1연결부재의 하측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연결관;
    하측 부위가 상기 누름바의 상측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연결관;
    상측 부위 및 하측 부위가 상기 상부연결관의 하측 부위 및 상기 하부연결관의 상측 부위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부연결관과 상기 하부연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신의 중심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형태로 운동시키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공급유닛.
  9.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피부착물(被俯着物)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몸체와 고정침을 가지는 부착핀을 공급하되, 상기 고정침이 상측을 향하게 하여 상기 부착핀을 공급하는 부착핀 공급유닛;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피부착물을 뚫은 상기 고정침이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된 제1장식구 또는 제2장식구에 박히도록, 상기 피부착물의 상측에서 상기 피부착물측으로 상기 제1장식구 또는 상기 제2장식구를 상기 부착핀이 공급되는 경로상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장식구 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구 공급유닛은,
    상기 지지부재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장식구 및 상기 제2장식구를 각각 공급하는 제1장식구 공급유닛 및 제2장식구 공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장식구 공급유닛과 상기 제2장식구 공급유닛은 함께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구 공급유닛은,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부착핀 공급유닛의 상측에 위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부착핀이 공급되는 경로상에서 승강하는 플런저(Plunger)의 상측 부위가 설치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와 상기 부착핀 공급유닛 사이의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된 지지블럭;
    상기 지지블럭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장식구 공급유닛 및 상기 제2장식구 공급유닛이 설치되는 슬라이딩블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장식구 공급유닛과 상기 제2장식구 공급유닛은 상기 슬라이딩블럭이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플런저의 하측 부위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장식구와 상기 제2장식구를 상기 부착핀이 공급되는 부위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과 상기 슬라이딩블럭 중, 어느 하나 및 다른 하나에는 상호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럭의 운동을 지지하는 안내로 및 안내레일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식구 공급유닛은,
    상기 제2장식구가 저장되는 제2장식구 저장통;
    상기 실린더와 상기 부착핀 공급유닛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장식구 저장통에서 전달되는 상기 제2장식구를 연속적으로 이송하여 상기 제2장식구를 하나씩 상기 부착핀이 공급되는 경로상에 위치시키는 이송정렬부;
    상측 부위가 상기 플런저에 연결되어 상기 플런저와 함께 승강하며, 하단부는 상기 이송정렬부에 정렬된 상기 제2장식구를 지지하여 상기 제2장식구를 하나씩 상기 부착핀이 공급되는 피부착물의 부위로 눌러서 공급하는 지지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정렬부와 상기 지지누름부는 상기 슬라이딩블럭과 함께 운동하고,
    상기 제2장식구 저장통은 상기 실린더와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제2장식구 저장통이 탑재 지지되는 받침판이 자신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 설치되고,
    상기 받침판이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장식구 저장통이 상기 실린더와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형태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누름부는,
    상측 부위가 상기 플런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와 함께 승강하는 제1연결부재;
    상측 부위가 상기 제1연결부재의 하측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와 함께 승강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제2연결부재;
    상측 부위는 상기 제2연결부재의 하측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 부위는 상기 이송정렬부에서 이송되어 오는 상기 제2장식구의 상측에 위치되며, 하단면(下端面)은 상기 제2장식구를 지지하여 상기 제2연결부재와 함께 승강하면서 상기 제2장식구를 상기 부착핀이 공급되는 부위로 눌러서 공급하는 누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측 부위가 상기 제1연결부재의 하측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연결관;
    하측 부위가 상기 누름바의 상측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연결관;
    상측 부위 및 하측 부위가 상기 상부연결관의 하측 부위 및 상기 하부연결관의 상측 부위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부연결관과 상기 하부연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신의 중심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형태로 운동시키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장치.
KR1020140104664A 2014-07-17 2014-08-12 장식구 공급유닛 및 이를 사용한 장식구 부착장치 KR101571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369 2014-07-17
KR20140090369 2014-07-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1977B1 true KR101571977B1 (ko) 2015-11-25

Family

ID=54845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664A KR101571977B1 (ko) 2014-07-17 2014-08-12 장식구 공급유닛 및 이를 사용한 장식구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19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709B1 (ko) * 2016-04-15 2018-01-30 이순철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
KR101844501B1 (ko) * 2016-07-20 2018-04-02 이순철 리본장식 부착장치
KR200487181Y1 (ko) * 2017-03-28 2018-08-17 조영주 장식구 하향 방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739B1 (ko) 2008-04-22 2008-11-10 김상영 장식구 부착기
KR101274320B1 (ko) 2012-09-17 2013-06-17 이순녀 장식구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739B1 (ko) 2008-04-22 2008-11-10 김상영 장식구 부착기
KR101274320B1 (ko) 2012-09-17 2013-06-17 이순녀 장식구 부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709B1 (ko) * 2016-04-15 2018-01-30 이순철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
KR101844501B1 (ko) * 2016-07-20 2018-04-02 이순철 리본장식 부착장치
KR200487181Y1 (ko) * 2017-03-28 2018-08-17 조영주 장식구 하향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977B1 (ko) 장식구 공급유닛 및 이를 사용한 장식구 부착장치
US9340309B2 (en) Supply apparatus for spout-equipped bags
US9340308B2 (en) Supply apparatus for spout-equipped bags
KR101365386B1 (ko)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JP4525514B2 (ja) バルクフィーダおよび電子部品実装装置
US10087016B2 (en) Article supply device
KR101274320B1 (ko) 장식구 부착장치
TWI705931B (zh) 製劑搬送裝置
CN105209360B (zh) 送料器
JPH0940178A (ja) 容器整列装置
JP4993102B2 (ja) カップセット機
KR20110095029A (ko)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
JP4224170B2 (ja) 播種装置
JP3806243B2 (ja) 播種装置
JP2004043162A (ja) 部品の整列供給装置及び整列供給方法
KR101424933B1 (ko) 장식구 부착장치
KR200487630Y1 (ko) 장식구 공급장치
KR200484565Y1 (ko)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KR101459339B1 (ko) 장식구 부착장치
JP6540985B2 (ja) 米飯盛付装置の搬送ユニット
CN220461429U (zh) 一种吹果装置及分选设备
JPH087674Y2 (ja) チップ状回路部品マウント装置
JP4466949B2 (ja) 棒状菓子の受け渡し装置及び棒状菓子の受け渡し方法
CN106516297A (zh) 袜子包装机连续送纸卡装置
JP3989097B2 (ja) 播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