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709B1 -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709B1
KR101814709B1 KR1020160046347A KR20160046347A KR101814709B1 KR 101814709 B1 KR101814709 B1 KR 101814709B1 KR 1020160046347 A KR1020160046347 A KR 1020160046347A KR 20160046347 A KR20160046347 A KR 20160046347A KR 101814709 B1 KR101814709 B1 KR 101814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ing
accessory
guide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8488A (ko
Inventor
이순철
Original Assignee
이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철 filed Critical 이순철
Priority to KR1020160046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709B1/ko
Publication of KR20170118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2Decorating textiles by transferring a chemical agent or a metallic or non-metallic material in particulate or other form, from a solid temporary carrier to the texti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7/00Decorative or ornamental textile articles
    • D04D7/04Three-dimensional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대와; 작업대 상부에 설치되어 이종의 액세서리 중 하나를 공급 및 가압하여 의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위치가 가변되면서 의류에 액세서리를 고정하는 제1펀칭부와; 작업대 상부에 설치되어 이종의 액세서리 중 하나를 공급 및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위치가 가변되면서 의류에 액세서리를 고정하는 제2펀칭부와; 의류에 액세서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제1펀칭부 또는 제2펀칭부와 결합하여 가압하는 가압실린더부와; 제1펀칭부 또는 제2펀칭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세서리를 제1펀칭부 또는 제2펀칭부에 의해 의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핀을 공급하는 핀공급부를 포함하며, 하나의 액세서리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이종의 액세서리를 선택적으로 의류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종래와 같이 이종의 액세서리를 부착하기 위해 액세서리 부착장치를 바꾸어 가며 액세서리를 부착하는 번거로움이 해소함은 물론 이종의 액세서리를 부착할 때 제1펀칭부 또는 제2펀칭부에 의해 액세서리가 의류에 부착되도록 하므로 작업자의 이동하는 불편함이 해소되어 작업 능률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Accessory mounting device of different two kinds}
본 발명은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액세서리 부착장치를 통해 이종의 액세서리를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한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와 같은 직물(이하, '피부착물'이라 함.)에 입체감 있는 장식미를 부여하기 위한 장식구 중에서 일명 '찡'이라 불리는 반구형이면서 2개 또는 4개의 뽀족한 쐐기를 갖으며 크기가 다양하게 이루어진 것을 의미하는 찡을 자동으로 부착하는 찡 부착기를 이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종래의 찡 부착기는 피부착물에 찡을 가압하게 되면, 찡의 쐐기가 피부착물을 관통하여 안쪽으로 절곡되어 찡이 피부착물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의 찡 부착기는 찡을 저장하는 '알통'이라고 불리는 것이 가압장치의 뒷편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가압장치 내로 찡의 쐐기가 아래를 향하도록 하기 위해 나선형의 홈이 형성된 선회수단이 상기 알통과 가압장치 사이에서 다수개로 서로 분리된 결합판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찡 부착기는 쐐기가 아래를 향하도록 하는 선회수단이 나선형의 홈으로 이루어져 알통에서 가압장치 쪽으로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불량률이 과다하게 발생됨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찡 부착기는 그 크기가 다른 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알통과 가압장치 사이에서 선회수단이 내부에 위치된 결합판들을 모두 분리하여야 하였고, 해당하는 찡의 크기에 맞는 나선형 홈을 가지는 선회수단으로 교체해주어야 하였다.
또한, 찡의 크기에 따라 가압장치에 결합된 가압뭉치도 교체하게 되는데, 가압뭉치는 상기 선회수단을 결합하고 있는 결합판과 함께 분리하게 되어 있어 매번 찡의 크기에 따라 교체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947506호(2010.03.12. 공고) '찡 부착용 가압장치'는
상하방향 구동 실린더에 의하여 신장 수축되면서 찡을 흡착 및 가압하는 가압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찡 부착기용 가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 피스톤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압 피스톤의 내부공과 연통되는 흡입공이 형성되고 아래로 연장되어 찡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봉을 가지는 가압몰드 결합몸체; 및 상기 가압몰드 결합몸체와 이격되어 스프링으로 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봉의 선단이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위치하는 가압몰드 이동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가압몰드 이동몸체의 관통공 내에 가압봉의 선단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찡을 상기 흡입공에 걸려지는 공기 부압에 의해 흡착하게 되고, 피부착물에 맞닿게 되면서 상기 가압몰드 이동몸체가 상기 가압몰드 결합몸체 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가압봉의 선단에 흡착된 찡이 상기 가압몰드 이동몸체의 관통공에서 외부로 노출되면서 가압봉이 찡을 가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기술은 액세서리 한 종을 의류에 부착할 때에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이종의 다른 액세서리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재료들을 모두 빼낸 상태에서 다른 액세서리를 투입하여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세서리의 크기에 맞게 투입대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새로운 액세서리 박음장치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그로 인하여 액세서리 박음장치의 구입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 등록특허공보 제10-947506호(2010.03.12.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하나의 액세서리 부착장치에 이종의 액세서리를 선택적으로 의류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별도의 액세서리 박음장치를 구입해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작업대와; 작업대 상부에 설치되어 이종의 액세서리 중 하나를 공급 및 가압하여 의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위치가 가변되면서 의류에 액세서리를 고정하는 제1펀칭부와; 작업대 상부에 설치되어 이종의 액세서리 중 하나를 공급 및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위치가 가변되면서 의류에 액세서리를 고정하는 제2펀칭부와; 의류에 액세서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제1펀칭부 또는 제2펀칭부와 결합하여 가압하는 가압실린더부와; 제1펀칭부 또는 제2펀칭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세서리가 의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핀을 공급하는 핀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펀칭부는, 제2펀칭부에서 액세서리를 부착하는 작업 중 컨트롤러를 조작하면, 연결가이드가 제1펀칭가이드와 순차공급부 사이로 위치되어 액세서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1펀칭부재와 제1펀칭가이드가 함께 이동되어 가압실린더와 핀투입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2펀칭부는 제1펀칭가이드와 함께 일측으로 이동되어 제1펀칭부를 통해 액세서리를 의류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펀칭부는 작업대 상부에 설치한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지지패널에 결합되어 액세서리가 의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제1펀칭부재와; 제1펀칭부재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하방향에 위치되어 지지패널에 설치되는 제1펀칭가이드와; 작업대 일측에 설치되어 액세서리를 공급하기 위해 자동으로 정렬하는 액세서리공급부와; 액세서리공급부에서 자동으로 정렬되어 공급되는 액세서리를 개별로 공급하기 위해 액세서리공급부에 결합하는 순차공급부와; 제1펀칭부재와 순차공급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순차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세서리를 제1펀칭부재로 공급하는 연결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펀칭부재는, 패널가이드부재에 결합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승하강패널과; 가압실린더에 의해 액세서리를 의류에 고정 시킬 수 있도록 가압실린더와 결합하는 제1결합홈을 가지며 제1승하강패널에 결합하는 제1펀칭몸체와; 제1펀칭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제1펀칭몸체에 고정되는 제1펀칭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펀칭가이드는 하부에 단턱을 형성하고, 단턱이 형성된 부분에 액세서리가 이동하는 제1액세서리이동홈을 형성하며, 제1펀칭봉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액세서리이동홈과 연결되는 제1펀칭홀을 가지며 일측에 결합턱을 형성한 제1펀칭가이드몸체와; 액세서리가 이동하는 관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도록 제1펀칭가이드몸체에 형성한 단턱에 결합하는 제1홀결합패널과; 제1펀칭홀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제1펀칭가이드몸체에 설치하는 복수의 제1홀막음부재와; 제1펀칭봉의 이동을 단속할 수 있도록 제1홀막음부재가 설치된 부분의 제1펀칭가이드몸체에 설치하는 복수의 제1자석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순차공급부는 액세서리가 인입될 수 있도록 액세서리공급부에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공급부브래킷과; 상기 공급부브래킷의 상부에 설치되는 볼트가이드부재와; 상기 액세서리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액세서리를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부에 형성한 액세서리공급홈으로 가이드함과 동시에 액세서리의 높이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게 공급부브래킷에 설치하여 볼트가이드부재에 결합하는 공급가이드부재와; 상기 공급부브래킷에 설치되어 공급가이드부재 상부에 결합하는 조절브랫킷과; 상기 공급가이드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공급가이드부재에 설치되어 조절브래킷에 결합하는 복수의 제1가이드봉과; 상기 공급가이드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공급가이드부재에 결합하여 조절브래킷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조절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결가이드는 가압실린더의 고정부재에 설치되는 연결실린더와; 순차공급부와 제1펀칭가이드 사이에 위치하거나 또는 순차공급부와 제1펀칭가이드 사이에서 이탈할 수 있도록 연결실린더와 결합하는 연결브래킷과; 액세서리가이드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브래킷의 상부에 제2조절핸들을 가지며 결합하는 고정블럭과; 순차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액세서리를 제1펀칭가이드로 공급할 수 있도록 액세서리가 이동하는 제2액세서리이동홈을 가지며 제2조절핸들에 결합하여 연결브래킷과 고정블럭 사이에 위치되는 액세서리가이드부재와; 액세서리가이드부재가 순차공급부와 제1펀칭가이드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연결브래킷의 하부에 설치하는 가이드부재와; 가이드부재가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와 결합하여 실린더부의 고정부재에 설치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펀칭부는 액세서리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의 일측에 설치하는 호퍼와; 액세서리를 의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패널가이드부재에 결합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제2펀칭부재와; 제2펀칭부재에 의해 호퍼에서 공급하는 액세서리를 의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지지패널에 설치되어 액세서리의 공급 및 제2펀칭부재를 가이드하는 제2펀칭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펀칭부재는, 패널가이드부재에 결합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승하강패널과; 가압실린더에 의해 액세서리를 의류에 고정 시킬 수 있도록 가압실린더가 결합하는 제2결합홈을 가지며 제1승하강패널에 결합하는 제2펀칭몸체와; 제2펀칭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제2펀칭몸체에 고정되는 제2펀칭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펀칭부 또는 제2펀칭부에 공급되는 액세서리는 의류의 상부 쪽에 위치되도록 하고, 핀공급부에서 공급하는 핀은 의류의 하부 쪽에 위치되도록 하여 액세서리의 고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펀칭부는, 제1펀칭부에서 액세서리를 부착하는 작업 컨트롤러를 조작하면, 연결가이드가 제1펀칭가이드와 순차공급부 사이의 위치에서 이탈되면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고, 동시에 제2펀칭부재 및 제2펀칭가이드가 제1펀칭부재와 제1펀칭가이드가 위치하였던 가압실린더와 핀투입대 사이로 위치되어 액세서리를 의류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압실린더부는, 작업대의 베이스의 상부에 복수의 고정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베이스의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패널을 설치하며, 상기 제1펀칭부의 제1펀칭부재와 제2펀칭부의 제2펀칭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ㅠ'자 형상의 패널가이드부재를 지지패널의 전면에 구성하고, 액세서리를 의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제1펀칭부재와 제2펀칭부재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가압실린더를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 사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이종의 액세서리를 부착하기 위해 액세서리 부착장치를 바꾸어 가며 액세서리를 부착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종의 액세서리를 부착할 때 제1펀칭부 또는 제2펀칭부에 의해 액세서리를 의류에 부착하므로 작업자의 이종의 액세서리를 부착하기 위해 이동하는 불편함이 해소되므로 작업의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다른 액세서리를 의류에 부착하기 위한 과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종래의 의류에 액세서리를 부착하는 시간에 비해 더 많은 양의 액세서리를 부착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므로 바이어와의 공급계약에 따른 일정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종래와 같이 이종의 액세서리를 의류에 부착하기 위해 복수의 액세서리 박음장치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것에 빙해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를 구매하여 사용할 경우 구매비용을 절반으로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제1펀칭부의 구성 및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도 3의 평면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펀칭부의 연결가이드가 순차공급부와 제1펀칭가이드 사이에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도 3의 제1펀칭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3의 펀칭가이드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도 3의 액세서리 공급부를 나타낸 구성도.
오 9는 도 3의 순차공급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도 3의 연결가이드를 나타낸 구성도.
도 12는 도 11의 연결가이드의 측면을 나타낸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제2펀칭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실린더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핀공급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16은 도 15의 핀투입대의 구성을 나타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제1펀칭부의 구성 및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펀칭부의 연결가이드가 순차공급부와 제1펀칭가이드 사이에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3의 제1펀칭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3의 펀칭가이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3의 액세서리 공급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오 9는 도 3의 순차공급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3의 연결가이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연결가이드의 측면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제2펀칭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실린더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핀공급부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핀투입대의 구성을 나타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작업대(100)와, 작업대(100) 상부에 설치되어 이종의 액세서리 중 하나를 공급 및 가압하여 의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위치가 가변해 의류에 액세서리를 고정하는 제1펀칭부(200)와, 작업대(100) 상부에 설치되어 이종의 액세서리 중 하나를 공급 및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위치를 가변시켜 의류에 액세서리를 고정하는 제2펀칭부(300)와, 의류에 액세서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제1펀칭(200)부 또는 제2펀칭부(300)와 결합하여 가압하는 가압실린더부(400)와, 제1펀칭부(200) 또는 제2펀칭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액세서리가 의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핀을 공급하는 핀공급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대(100)는 제1펀칭부(200), 제2펀칭부(300) 및 핀공급부(500)가 설치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패널(120)과, 상기 수직패널(120)에 결합하는 받침대(130)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패널(110)에는 컨트롤러를 설치하여 제1펀칭부(200), 제2펀칭부(300), 실린더부(400) 및 핀공급부(500)를 제어한다.
상기의 컨트롤러는 제1펀칭부(200)와 제2펀칭부(30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과, 액세서리를 공급하는 것 그리고 핀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며, 또한 에어의 공급량을 제어한다. 상기의 컨트롤러는 당해 기술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펀칭부(200)는 작업대(100)의 베이스(110)에 설치되어 의류에 액세서리를 핀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펀칭부(200)는 제1펀칭부재(210)와, 제1펀칭가이드(220)와, 액세서리공급부(230)와, 순차공급부(240)와, 연결가이드(250)를 포함한다.
액세서리를 의류에 고정하기 위해 하기에서 설명할 가압실린더부(400)의 패널가이드부재(430)에 결합하여 가압실린더(440)의 구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1펀칭부재(210)를 구성한다.
상기 제1펀칭부재(210)는 패널가이드부재(430)에 결합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승하강패널(211)이 일측에 설치된 제1펀칭몸체(212)를 구성하고, 상기 제1펀칭몸체(212)의 상부에는 가압실린더(440)와 결합하는 제1결합홈(212-1)을 형성하며, 상기 제1펀칭몸체(212)의 하부에는 액세서리를 고정한 상태에서 핀과 결합하여 의류에 고정시키는 제1펀칭봉(213)을 설치한다.
상기 제1펀칭봉(213)의 내측에는 에어가 이동하는 홀(미도시)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홀에서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액세서리를 에어의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제1펀칭부재(210)를 하강시켜 핀과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흡입력은 에어에 의해 액세서리를 고정하는 정도로만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에어에 의해 다른 부자재에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펀칭봉(213)이 가압실린더(440)에 의해 핀이 위치하는 곳으로 이동할 때 흔들림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제1펀칭가이드(220)에 가이드된다.
상기 펀칭가이드(220)는 제1펀칭가이드몸체(221)와, 제1홀결합패널(222)과, 제1홀막음부재(223) 및 제1자석부재(2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펀칭부재의(210) 제1펀칭봉(213)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도면상 상하방향으로 제1펀칭홀(221-1)을 형성한 제1펀칭가이드몸체(221)를 역 'ㄴ'자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1펀칭가이드몸체(221)의 하부에는 단턱(221-2)을 형성하며, 단턱(221-2)이 형성된 부분에 순차공급부(240)를 통해 연결가이드(250)를 거쳐 공급되는 액세서리가 이동하는 제1액세서리이동홈(221-3)이 제1펀칭홀(221-1)에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1액세서리이동홈(221-3)과 연결되어 제1펀칭홀(221-1)에 형성된 하단에 제1설치홈(221-4)을 형성한다. 상기 제1설치홈(221-4)은 제1액세서리이동홈(221-3)의 수평방향으로 직각이 되게 형성되어 제1펀칭홈(221-1)과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단턱(221-2)에는 제1액세서리이동홈(221-3)이 관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볼트에 의해 제1홀결합패널(222)을 고정하며, 제1액세서리이동홈(221-3)과 제1홀결합패널(222)에 의해 형성된 관로를 따라 액세서리가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설치홈(221-4)에는 복수의 제1자석부재(224)를 설치하며, 상기 제1자석부재(224)가 설치된 제1설치홈(221-4)에 회전 가능하게 복수의 제1홀막음부재(233)를 설치하며, 상기 제1홀막음부재(223)는 제1자석부재(224)에 자력에 의해 제1펀칭홀(221-1)을 막아 제1펀칭부재(210)를 지지하여 이동을 제한하고, 더불어 가압실린더(440)와 용이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실린더(440)와 결합한 제1펀칭부재(210)의 이동에 의해서 제1홀막음부재(223)가 하방향으로 오픈되므로 액세서리를 의류에 고정할 때에는 간섭이 일어나지 않아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제1펀칭부재(210)와 제1펀칭가이드(220)는 액세서리를 의류에 고정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1을 기준하여 좌측에 설치한 액세서리공급부(230)를 통해 액세서리가 공급되는 경우, 제1펀칭부재(210)와 제1펀칭가이드(220)가 함께 가압실린더(440)의 하방향 쪽으로 이동하여 액세서리를 의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펀칭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펀칭가이드(220)로 액세서리를 공급하여 의류에 고정되도록 상기 액세서리공급부(230)는 작업대(100) 일측에 설치한다.
상기 액세서리공급부(230)는 진동에 의해 액세서리를 자동으로 정렬할 수 있도록 진동을 발생하는 제1진동발생장치(미부호)를 작업대 일측에 설치하고, 상기 제1진동발생장치(미부호)의 상부에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제1보울(231)을 설치하며, 상기 제1보울(231)의 내측에는 진동에 의해 이동하는 액세서리가 일정한 방향으로 자세를 갖도록 가이드는 안내 및 공급가이드(232)를 설치한다.
상기 진동발생장치는 진동 발생에 의하여 정렬의 대상이 되는 부품을 일정한 방향 또는 자세를 갖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 작동 원리를 살펴보면 전류의 파장을 콘트롤에서 한쪽 파형을 제거시킴으로써 전자석을 일시적으로 끊어주게 되고 판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받게 됨으로써 반복된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발생장치의 진동에 의하여 제1보울(231) 내부에 저장된 부품들은 중앙 바닥면에서부터 외주를 따라 나선형으로 상승되는 안내 및 공급가이드(232)를 따라 진행하면서 일정한 방향 및 자세를 갖게 한다.
상기 안내 및 공급가이드(232)를 타고 이동하는 액세서리 중 일부는 다시 안내 및 공급가이드(232)의 아래로 떨어지고, 안내 및 공급가이드(232)의 끝단 쪽으로 이동할수록 적은 수량의 액세서리만 남게되는 원리를 통해 순차공급부(240)로 액세서리를 공급한다.
상기의 액세서리를 자동으로 정렬하여 공급하는 상기의 액세서리공급부(230)는 당해 기술을 가진 자라면 쉽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액세서리공급부(230)는 현재 시중에서 판매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순차공급부(240)는 공급부브래킷(241), 볼트가이드부재(242), 공급가이드부재(243), 조절브래킷(244), 제1가이드봉(245) 및 제1조절핸들(246)을 포함한다.
상기 액세서리공급부(230)에서 자동으로 정렬하여 공급되는 액세서리는 순차공급부(240)의 공급부브래킷(241)과 공급가이드부재(243)의 사이로 공급되어 이동한다. 이때 상기 공급가이드부재(243)의 하부에는 액세서리공급홈(243-1)이 형성하고, 상기 액세서리공급홈(243-1)에는 에어공급공(243-2)을 통해 에어가 공급되어 액세서리가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액세서리공급홈(243-1)을 통해 이동하는 액세서리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공급가이드부재(243)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공급가이드부재(243)에 복수의 제1가이드봉(245)을 설치해 공급부브래킷(241)의 상단에 결합한 조절브래킷(244)에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제1가이드봉(245) 사이에는 제1조절핸들(246)을 조절브래킷(244)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공급가이드부재(243)의 높이조절공(243-3)에 결합한다. 상기 제1조절핸들(246)을 조작하여 상기 공급가이드부재(243)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액세서리공급홈(243-1)의 높낮이를 조절해 액세서리가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공급가이드부재(243)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그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볼트가이드부재(242)의 일측에 위치되어 공급가이드부재(243)의 고정공(243-4)에 결합한 고정볼트(242-1)를 이용하여 위치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가이드부재(243)는 액세서리의 형태에 따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전체 형상은 변화하지 않고 단지, 액세서리가 이동하는 액세서리공급홈(243-1)의 형상만 변화된다. 상기 공급가이드부재(243)의 전체 구성은 액세서리의 형태나 모양에 따라 약간의 변화가 있을 수는 있으나, 제1보울(231)을 통해 공급되는 액세서리를 연결가이드(250)로 공급하기 위한 목적의 취지에 맞게 변화가 이루어지며, 이러한 변화가 이루어지는 구성은 본 발명의 카테고리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 순차공급부(240)에서 공급되는 액세서리는 일측에 위치되는 연결가이드(250)를 통해 제1펀칭가이드(220)로 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가이드(250)는 순차공급부(240)와 제1펀칭가이드(220) 사이로 인입되거나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연결실린더(251), 연결브래킷(252), 고정블럭(253), 제2조절핸들(254), 액세서리가이드부재(255), 가이드부재(256) 및 가이드바(257)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가이드(250)가 상기 순차공급부(240)와 제1펀칭가이드(220)의 사이에 위치하거나 또는 그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되도록 에어에 의해 작동하는 연결실린더(251)를 작업대에 설치한 실린더부(400)의 고정부재(410)에 고정한다. 상기 연결실린더(251)는 에어의 공급에 의해 구동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연결가이드의 위치를 조절한다.
상기 연결실린더(251)의 일측에는 연결실린더로드(미부호)와 결합하는 연결브래킷(252)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브래킷(252)은 전체 형상이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에 고정블럭(253)을 설치하며, 상기 고정블럭(253)의 상부에는 제2조절핸들(253)이 결합되고, 상기 연결브래킷(252)과 고정블럭(253)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액세서리가이드부재(255)가 위치되어 제2조절핸들(254)과 결합하며, 상기 연결브래킷(252)의 하부에는 가이드부재(256)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재(256)는 연결실린더(251)의 하부에 고정되는 가이드바(257)와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연결브래킷(252)은 상기 연결실린더(251)의 작동에 의해 연결실린더(25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연결실린더(251)의 구동에 의해 상기의 순차공급부(240)와 제1펀칭가이드(220) 사이에 위치하거나 그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순차공급부(240)에서 공급되는 액세서리를 제1펀칭가이드(220)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연결실린더(251)의 구동에 의해 연결브래킷(252)이 순차공급부(240)와 제1펀칭가이드(220)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액세서리는 연결브래킷(252)과 액세서리가이드부재(255) 사이로 인입된다.
상기 연결브래킷(252)과 액세서리가이드부재(255) 사이로 인입되는 액세서리는 제2액세서리가이드부재(255)의 하부에 형성한 제2액세서리이동홈(255-1)을 따라 이동하면서 연결가이드(220)의 일측에 위치한 제1펀칭가이드(220)로 공급한다.
상기 제2액세서리가이드부재(255)는 상기 제2조절핸들(254)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하는데, 이는 공급되는 액세서리의 크기 및 높이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여 액세서리의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액세서리가이드부재(255)는 액세서리의 형태에 따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순차공급부(240)에서 공급되는 액세서리는 연결가이드(250)를 거쳐 제1펀칭가이드(220)로 공급되고, 공급된 액세서리는 제1펀칭부재(210)가 하강되어 핀에 의해 의류에 고정된다.
상기 순차공급부(240)의 액세서리공급홈(243-1), 연결가이드(250)의 제2액세서리이동홈(255-1) 및 제1펀칭가이드(220)의 제1액세서리이동홈(221-3)은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높이 또한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져 액세서리의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의 연결가이드(250)는 제1보울(231)에서 액세서리가 공급될 때에만 제1펀칭가이드부(220)와 순차공급부(240) 사이에 위치되고, 제2펀칭부(300)에서 액세서리를 의류에 고정할 때에는 제1펀칭가이드부(220)와 순착공급부(240) 사이에서 이탈되어 순차공급부(240) 일측에 제1펀칭가이드부(220)가 위치되면서 제2펀칭부(300)가 가압실린더부(400)의 하부에 위치된다.
상기 제2펀칭부(300)에서 액세서리를 고정하는 구동이 이루어질 때에는 연결실린더(251)가 설치된 위치로 이동되어 순차공급부(240)의 일측에 제1펀칭가이드(220)가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가이드(250)는 제1펀칭부재(210)와 제1펀칭가이드(220)의 이동시 함께 이동되어 액세서리를 공급을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2펀칭부(300)는 액세서리를 담아 공급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410)에 고정되는 호퍼(310)와, 호퍼(310)에서 공급되는 액세서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가압실린더부(400)의 패널가이드부재(430)에 결합하는 제2펀칭부재(320)와, 제2펀칭부재(320)에 의해 액세서리를 의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제2펀칭부재(320)의 하방향에 위치되어 지지패널(420)에 설치되는 제2펀칭가이드(330)를 포함한다.
상기 호퍼(310)는 내측에 액세서리가 담길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을 형성하고, 공간이 형성된 하부쪽에는 인출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액세서리가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인출공으로 배출되는 액세서리를 제2펀칭가이드(33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신축성 및 잘 구부러지는 연결관을 제2펀칭가이드(330)와 연결한다.
상기 제2펀칭부재(320)는 제1펀칭부(200)의 제1펀칭부재(210) 일측에 구성하고, 상기 제2펀칭부재(320)는 제1펀칭부재(210)와 동일하게 구성하고, 다만, 제2펀칭부재(320)의 제2펀칭봉(323)의 형상만 제1펀칭봉(213)의 형상과 다르게 형성한다.
상기 제1펀칭봉(213)과 제2펀칭봉(323)의 형상을 다르게 구성하는 것은 형태가 다른 액세서리가 각각 공급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1펀칭봉(213)에 의해 고정되는 액세서리는 일명 '찡'이라는 액세서리를 공급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펀치봉(323)에 의해 고정되는 액세서리는 비드(bead, 구슬처럼 둥글게 생긴것)를 공급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설명하면, 제1펀칭봉(213)을 사각으로 형성하는 경우, 대부분의 '찡' 형상이 사각뿔 또는 원뿔형태로 이루어져 범용으로 사용하기 용이하다.
그리고 제2펀치봉(323)을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은 비드와 같은 액세서리는 각진 부분이 없기 때문에 사각 형상은 액세서리와 맞닿는 면적이 매우 작아 고정이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에 비드와 같은 둥근 액세서리의 고정시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펀칭가이드(330)는 사각형상의 제2펀칭가이드몸체(331)를 형성하고, 상기 제2펀칭가이드몸체(331)에는 제2펀칭부재(320)의 제2펀칭봉(323)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펀칭홀(331-1)을 형성하며, 상기 제2펀칭홀(331-1)의 수평방향으로 액세서리가 공급되는 액세서리공급홈(331-2)을 제2펀칭홀(331-1)과 연결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2펀칭홀(331-1)의 하부 쪽에는 제2설치홈(331-3)을 형성하며, 상기 제2설치홈(331-3)에는 제2자석부재(미도시)를 설치하고, 상기 제2자석부재는 도 7에 도시된 제1자석부재(224)가 설치된 것과 동일하게 구성 및 설치되어 자력에 의해 제2홀막음부재(332)가 제2펀칭홀(331-1)을 막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2자석부재가 설치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제2홀막음부재(332)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제2펀칭홀(331-1)과 액세서리공급홈(331-2)이 맞나는 부분에 액세서리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제2볼(미부호)이 설치되고, 상기 제2볼은 공급되는 액세서리가 제2펀칭홀(331-1)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여 제2펀칭봉(323) 하부 중앙에 위치되게 한다.
상기 제2펀칭가이드몸체(331)의 하부에 설치한 제2홀막음부재(332)는 제2펀칭부재(320)가 가압실린더(440)와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자석부재에 고정되므로 제2펀칭부재(320)의 제2펀칭봉(323)이 제2펀칭가이드몸체(331)의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제1펀칭부(200)에서 액세서리를 고정할 때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압실린더부(400)는 고정부재(410), 지지패널(420), 패널가이드부재(430) 및 가압실린더(44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410)는 복수로 이루어져 작업대(100)의 베이스(110)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전체 형상은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패널(420)은 베이스(110)의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부재(410)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패널(420)의 배면에는 에어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실린더(미부호)를 지지패널(420)에 결합하여 지재패널(420)이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패널가이드부재(430)는 지지패널(420)의 전면에 설치되어 가압실린더(44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제1펀칭부재(210) 또는 제2펀칭부재(320)가 이동할 때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패널가이드부재(430)는 단순히 제1펀칭부재(210)와 제2펀칭부재(320)가 이동할 때 가이드 하는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액세서리가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가압실린더(440)는 고정부재(410)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펀칭부재(210) 또는 제2펀칭부재(320)와 선별적으로 결합하여 액세서리공급부(230) 또는 호퍼(310)에서 공급하는 액세서리를 의류에 고정한다.
상기 가압실린더(440)의 실린더로드(441)에는 제1펀칭부재(210)에 형성한 제1결합홈(212-1) 또는 제2펀칭몸체(322)에 형성한 제2결합홈(322-2)에 슬라이딩하면서 결합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펀칭결합부재(442)를 형성한다.
상기 펀칭결합부재(442)는 제1펀칭부재(210)에 형성한 제1결합홈(212-1) 또는 제2펀칭부재(320)에 형성한 제2결합홈(332-2)에 결합하여 가압실린더(440)의 작동에 의해 제1펀칭부재(210) 또는 제2펀칭부재(3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종의 액세서리 중 하나를 의류에 고정한다.
상기 핀공급부(500)는 제2보울(510), 핀정렬가이드(520) 및 핀투입대(5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보울(510)은 액세서리를 의류에 고정되게 액세서리와 결합하는 핀이 상방향으로 향하게 선별하여 순차적으로 투입되도록 나선형 형태로 구성한다.
상기 핀정정렬가이드(520)는 제2보울(510)을 통해 핀이 옆으로 누운 상태로 정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누워있는 핀을 세워서 핀투입대(530)에 공급되도록 비틀어지게 형성한다. 상기 핀정렬가이드(520)로 핀의 공급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2보울(510)의 일측에 핀투입가이드(521)를 설치한다. 상기 핀투입가이드(521)는 상기 핀정렬가이드(520)와 연결되어 핀투입대(530)로 핀의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핀투입대(530)는 제2보울(510)에서 공급되는 핀을 이송하여 액세서리가 의류에 고정되도록 작업대(100)의 전면 쪽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돌출되게 설치한다.
상기 핀투입대(530)는 투입대하우징(531), 안내하우징(532) 및 덮개(533)로 구성한다.
상기 투입대하우징(531)은 작업대(100)에 일측이 고정되어 작업대(100)의 전방 쪽으로 돌출되게 설치하여 실린더부(500)의 하방향에 위치되게 설치한다.
상기 안내하우징(532)은 상기 투입대하우징(531)의 내측에 설치되어 핀이 가이드되면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다단으로 형성한다. 상기 안내하우징(532)에는 핀이 이송되는 핀안내홈(532-1)이 형성되고, 상기 핀안내홈(532-1)이 형성된 하방향으로 에어분사공(532-2)을 형성하여 핀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핀안내홈(532-1)의 일측에는 노즐결합홈(532-3)을 형성하여 에어를 에어분사공(532-2)으로 공급해 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핀안내홈(532-1)에는 핀이 에어에 의해 이동될 때, 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봉(532-4)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봉(532-4)은 핀안내홈(532-1)의 내측 하단에 밀착되도록 끼움되어 에어로 이송되는 핀을 가이드 하도록 환봉 형태로 형성한다.
상기 덮개(533)는 투입대하우징(531)의 넓이와 폭을 동일하게 형성하여 투입대하우징(531) 상부에 결합한다. 상기 덮개(533)에는 핀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가이드돌출부재(533-1)가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돌출부재(533-1)의 끝 부분에는 인출구(533-2)를 형성하며, 상기 인출구(533-2)를 통해 핀이 돌출되어 액세서리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의류에 고정하는 액세서리가 의류의 윗쪽에 위치하고, 의류의 하부에 액세서리를 고정하도록 핀을 투입하므로 작업자 액세서리의 부착이 잘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면서 액세서리를 부착하므로 숙련공이 아니어도 액세서리 부착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종의 액세서리를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선별하여 의류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액세서리 부착장치보다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종래의 액세서리 부착장치보다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를 이용하므로 하나의 부착장치를 통해 이종의 액세서리를 부착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여러 대의 액세서리 부착장치를 구비할 필요성이 없어지는 것은 물론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비용이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100: 작업대 110: 베이스
120: 수직패널 130: 받침대 컨트롤러
200: 제1펀칭부 210: 제1펀칭부재
211: 제1승하강패널 212: 제1펀칭몸체
212-1: 제1결합홈 213: 제1펀칭봉
220: 제1펀칭가이드 221: 제1펀칭가이드몸체
221-1: 제1펀칭홀 221-2: 단턱
221-3: 제1액세서리이동홈 221-4: 제1설치홈
222: 제1홀결합패널 223: 제1홀막음부재
224: 제1자석부재 230: 액세서리공급부
231: 제1보울 232: 안내 및 공급가이드
240: 순차공급부 241: 공급부브래킷
242: 볼트가이드부재 243: 공급가이드부재
243-1: 액세서리공급홈 243-2: 에어공급공
243-3: 높이조절공 243-4: 고정공
244: 조절브래킷 245: 제1가이드봉
246: 제1조절핸들 250: 연결가이드
251: 연결실린더 252: 연결브래킷
253: 고정블럭 254: 제2조절핸들
255: 액세서리가이드부재 255-1: 제2액세서리이동홈
256: 가이드부재 257: 가이드바
300: 제2펀칭부 310: 호퍼
320: 제2펀칭부재 321: 제2승하강패널
322: 제2펀칭몸체 322-2: 제2결합홈
323: 제2펀칭봉 330: 제2펀칭가이드
331: 제2펀칭가이드몸체 331-1: 제2펀칭홀
331-2: 액세서리공급홈 331-3: 제2설치홈
332: 제2홀막음부재
400: 가압실린더부 410: 고정부재
420: 지지패널 430: 패널가이드부재
440: 가압실린더 441: 실린더로드
442: 펀칭결합부재 500: 핀공급부
510: 제2보울 520: 핀정렬가이드
521: 핀투입가이드 530: 핀투입대
531: 투입대하우징 532: 안내하우징
532-1: 핀안내홈 532-2: 에어분사공
532-3: 노즐결합홈 532-4: 가이드봉
533: 덮개 533-1: 가이드돌출부재
533-2: 인출구

Claims (13)

  1.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에 있어서,
    작업대(100)와;
    작업대(100) 상부에 설치되어 이종의 액세서리 중 하나를 공급 및 가압하여 의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위치를 가변하여 의류에 액세서리를 고정하는 제1펀칭부(200)와;
    작업대(100) 상부에 설치되어 이종의 액세서리 중 하나를 공급 및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위치를 가변하여 의류에 액세서리를 고정하는 제2펀칭부(300)와;
    의류에 액세서리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제1펀칭부(200) 또는 제2펀칭부(300)와 결합하여 가압하는 가압실린더부(400)와;
    제1펀칭부(200) 또는 제2펀칭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액세서리를 제1펀칭부(200) 또는 제2펀칭부(300)에 의해 의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핀을 공급하는 핀공급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펀칭부(200)는 작업대(100) 상부에 설치한 고정부재(410)에 설치되는 지지패널(420)에 결합되어 액세서리가 의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제1펀칭부재(210)와; 제1펀칭부재(210)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하방향에 위치되어 지지패널(420)에 설치되는 제1펀칭가이드(220)와; 작업대(100) 일측에 설치되어 액세서리를 공급하기 위해 자동으로 정렬하는 액세서리공급부(230)와; 액세서리공급부(230)에서 자동으로 정렬되어 공급되는 액세서리를 개별로 공급하기 위해 액세서리공급부(230)에 결합하는 순차공급부(240)와; 제1펀칭가이드(220)와 순차공급부(2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순차공급부(240)로부터 공급되는 액세서리를 제1펀칭가이드(220)로 공급하는 연결가이드(250)로 이루어져, 제2펀칭부(300)에서 액세서리를 부착하는 작업 중 컨트롤러를 조작하면, 연결가이드(250)가 제1펀칭가이드(220)와 순차공급부(240) 사이로 위치되면서 액세서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1펀칭부재(210)와 제1펀칭가이드(220)가 함께 이동되어 가압실린더(440)와 핀투입대(53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2펀칭부(300)는 제1펀칭가이드(220)와 함께 일측으로 이동되어 제1펀칭부(200)를 통해 액세서리를 의류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펀칭부재(210)는,
    패널가이드부재(430)에 결합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승하강패널(211)과;
    액세서리를 의류에 고정 시킬 수 있도록 가압실린더(440)와 결합하는 제1결합홈(212-1)을 가지며 제1승하강패널(211)에 고정되는 제1펀칭몸체(212)와;
    제1펀칭가이드(2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제1펀칭몸체(212)에 고정되는 제1펀칭봉(21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펀칭가이드(220)는
    하부에 단턱(221-2)을 형성하고, 단턱(221-2)이 형성된 부분에 액세서리가 이동하는 제1액세서리이동홈(221-3)을 형성하며, 제1펀칭봉(213)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액세서리이동홈(221-3)과 연결되는 제1펀칭홀(221-1)을 가지며 일측에 결합턱을 형성한 제1펀칭가이드몸체(221)와;
    액세서리가 이동하는 관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도록 제1펀칭가이드몸체(221)에 형성한 단턱(221-2)에 결합하는 제1홀결합패널(222)과;
    제1펀칭홀(221-1)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제1펀칭가이드몸체(221)에 설치하는 복수의 제1홀막음부재(223)와;
    제1펀칭봉(213)의 이동을 단속할 수 있도록 제1홀막음부재(223)가 설치된 부분의 제1펀칭가이드몸체(221)에 설치하는 복수의 제1자석부재(2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공급부(240)는,
    액세서리가 인입될 수 있도록 액세서리공급부(230)에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공급부브래킷(241)과;
    상기 공급부브래킷(241)의 상부에 설치되는 볼트가이드부재(242)와;
    상기 액세서리공급부(230)를 통해 공급되는 액세서리를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부에 형성한 액세서리공급홈(243-1)으로 가이드함과 동시에 액세서리의 높이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게 공급부브래킷(241)에 설치하여 볼트가이드부재(242)에 결합하는 공급가이드부재(243)와;
    상기 공급부브래킷(241)에 설치되어 공급가이드부재(243) 상부에 결합하는 조절브랫킷(244)과;
    상기 공급가이드부재(243)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공급가이드부재(243)에 설치되어 조절브래킷(244)에 결합하는 복수의 제1가이드봉(245)과;
    상기 공급가이드부재(243)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공급가이드부재(243)에 결합하여 조절브래킷(244)에 결합하는 제1조절핸들(24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가이드(250)는,
    가압실린더부(400)의 고정부재(410)에 설치되는 연결실린더(251)와;
    제1펀칭가이드(220)와 순차공급부(240) 사이에 위치하거나 또는 사이에서 이탈할 수 있도록 연결실린더(251)와 결합하는 연결브래킷(252)과;
    액세서리가이드부재(255)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브래킷(252)의 상부에 제2조절핸들(254)을 가지며 결합하는 고정블럭(253)과;
    순차공급부(240)에서 공급되는 액세서리를 제1펀칭가이드(22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액세서리가 이동하는 제2액세서리이동홈(255-1)을 가지며 제2조절핸들(254)에 결합하여 연결브래킷(252)과 고정블럭(253) 사이에 위치되는 액세서리가이드부재(255)와;
    액세서리가이드부재(255)가 제1펀칭가이드(220)와 순차공급부(2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연결브래킷(252)의 하부에 설치하는 가이드부재(256)와;
    가이드부재(256)가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실린더(251)의 하부와 작업대(100) 사이에 고정되는 가이드바(25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펀칭부(300)는
    액세서리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410)의 일측에 설치하는 호퍼(310)와;
    액세서리를 의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패널가이드부재(430)에 결합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제2펀칭부재(320)와;
    호퍼(310)에서 공급하는 액세서리를 의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지지패널(420)에 설치되어 액세서리의 공급 및 제2펀칭부재(320)를 가이드하는 제2펀칭가이드(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펀칭부재(320)는,
    패널가이드부재(430)에 결합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승하강패널(321)과;
    액세서리를 의류에 고정 시킬 수 있도록 가압실린더(440)가 결합하는 제2결합홈(322-2)을 가지며 제2승하강패널(321)에 결합하는 제2펀칭몸체(322)와;
    제2펀칭가이드(33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제2펀칭몸체(322)에 고정되는 제2펀칭봉(32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펀칭가이드(330)는,
    제2펀칭부재(320)의 제1펀칭봉(323)이 결합하는 제2펀칭홀(331-1)을 형성하고, 제2펀칭홀(331-1)과 연결되는 액세서리공급홈(331-2)을 형성하여 액세서리를 제2펀칭홀(331-1)에 위치되도록 제2펀칭부재(320) 하부에 위치되어 지지패널(420)에 결합하는 제2펀칭가이드몸체(331)와;
    제2펀칭부재(320)의 입출을 단속할 수 있도록 제2펀칭가이드몸체(331) 하부에 제1홀막음부재(223)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설치되는 제2홀막음부재(332)와;
    제2홀막음부재(332)가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제2펀칭가이드몸체(331)에 형성한 제2설치홈(331-3)에 제1자석부재(224)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설치하는 제2자석부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펀칭부(200) 또는 제2펀칭부(300)에 공급되는 액세서리를 의류의 상부 쪽에 위치되도록 하고, 핀공급부(500)에서 공급하는 핀은 의류의 하부 쪽에 위치되도록 하여 액세서리의 고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펀칭부(300)는
    제1펀칭부(200)에서 액세서리를 부착하는 작업 중 컨트롤러를 조작하면, 연결가이드(250)가 제1펀칭가이드(220)와 순차공급부(240) 사이에서 이탈되면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고, 동시에 제2펀칭부재(320) 및 제2펀칭가이드(330)가 제1펀칭부재(210)와 제1펀칭가이드(220)가 위치하였던 가압실린더(440)와 핀투입대(530) 사이로 위치되어 액세서리를 의류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실린더부(400)는
    작업대(100)의 베이스(110)의 상부에 복수의 고정부재(410)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고정부재(410)에는 베이스(110)의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패널(420)을 설치하며,
    상기 제1펀칭부(200)의 제1펀칭부재(210)와 제2펀칭부(300)의 제2펀칭부재(3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ㅠ'자 형상의 패널가이드부재(430)를 지지패널(420)의 전면에 구성하고,
    액세서리를 의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제1펀칭부재(210)와 제2펀칭부재(320)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가압실린더(440)를 상기 복수의 고정부재(410) 사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실린더(440)는
    제1펀칭부재(210)와 제2펀칭부재(320)의 상부에 각각 형성한 제1결합홈(212-1)과 제2결합홈(322-2)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펀칭결합부재(442)가 실린더로드(441)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
KR1020160046347A 2016-04-15 2016-04-15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 KR101814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347A KR101814709B1 (ko) 2016-04-15 2016-04-15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347A KR101814709B1 (ko) 2016-04-15 2016-04-15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488A KR20170118488A (ko) 2017-10-25
KR101814709B1 true KR101814709B1 (ko) 2018-01-30

Family

ID=6029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347A KR101814709B1 (ko) 2016-04-15 2016-04-15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7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181Y1 (ko) * 2017-03-28 2018-08-17 조영주 장식구 하향 방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223B1 (ko) 2007-01-19 2008-12-16 이상재 액세서리 부착기
KR101271550B1 (ko) 2012-03-26 2013-06-05 이순철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액세서리 고정몰드
KR101571977B1 (ko) * 2014-07-17 2015-11-25 이순녀 장식구 공급유닛 및 이를 사용한 장식구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223B1 (ko) 2007-01-19 2008-12-16 이상재 액세서리 부착기
KR101271550B1 (ko) 2012-03-26 2013-06-05 이순철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액세서리 고정몰드
KR101571977B1 (ko) * 2014-07-17 2015-11-25 이순녀 장식구 공급유닛 및 이를 사용한 장식구 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488A (ko) 201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709B1 (ko)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
KR20100032062A (ko) 찡 부착기
CN105836365A (zh) 钮扣填放机构
CN106040552A (zh) 一种0°滤光片的全自动点胶方法
KR101323653B1 (ko) 액세서리 부착기 자동정렬공급장치
US8234779B2 (en) Arrangement and system at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CN109092960B (zh) 一种便于更换的高精度冲压模具
JP6989613B2 (ja) クランプ工具を有する製造設備及びクランプ工具の曲げエッジの全長を適合させる方法
US5156381A (en) Reference plane moving device
KR101277988B1 (ko) 전자제품 케이스의 인서트너트 위치조절장치
KR101067235B1 (ko) 찡 부착기용 자동정렬 공급장치
KR101844501B1 (ko) 리본장식 부착장치
KR102332374B1 (ko) 원단용 자동 아일렛 정렬 결합장치
CN105081114B (zh) 电机控制主板装配机构
US6332419B1 (en) Auxillary device of a sewing machine
CN206153442U (zh) 晶体管的成型装置
US6062797A (en) Top platform and interchangeable guide lane assemblage for vibratory feeders
KR20170065355A (ko) 진동식 피더
CN204938179U (zh) 入料装置
CN112059617B (zh) 一种集成式配电柜的焊接机构
KR102098057B1 (ko) 스테이플러용 형틀
CN214683768U (zh) 工件固定装置和冲孔设备
CN216510899U (zh) 一种振动上料组件及自动装配装置
CN208285736U (zh) 一种led显示屏灯板插件机定位装置
CN217986783U (zh) 一种铆合机及其自动送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