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550B1 -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액세서리 고정몰드 - Google Patents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액세서리 고정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550B1
KR101271550B1 KR1020120030413A KR20120030413A KR101271550B1 KR 101271550 B1 KR101271550 B1 KR 101271550B1 KR 1020120030413 A KR1020120030413 A KR 1020120030413A KR 20120030413 A KR20120030413 A KR 20120030413A KR 101271550 B1 KR101271550 B1 KR 101271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fixing mold
stopper
pist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철
Original Assignee
이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철 filed Critical 이순철
Priority to KR1020120030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등에 장식미를 표현하도록 하는 액세서리를 부착하는 부착장치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액세서리를 가압 위치에 놓이도록 유도하고, 안정되게 안착시켜 가압되는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액세서리 고정몰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테이블에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액세서리를 공급하는 액세서리 공급부와, 상기 액세서리를 공급받아 가압하기 위한 가압피스톤과, 상기 가압피스톤의 하단 후방에서 상기 액세서리에 부착되는 찡을 선별하여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찡 자동공급부와, 상기 찡 자동공급부와 연계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찡을 수납하여 이송하기 위한 찡 투입대와, 상기 찡 투입대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피스톤이 하강하여 가압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찡이 놓이도록 고정하는 찡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액세서리 공급부는,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액세서리를 보관하는 보관통과; 상기 보관통에서 상기 액세서리가 순처적으로 공급하는 연결호스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 상단부를 통해 상기 가압피스톤이 관통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액세서리를 배출시키는 액세서리 고정몰드를; 포함하며, 상기 액세서리 고정몰드의 내측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가압피스톤의 가압 전에 상기 액세서리 고정몰드의 내부로 유입되어 위치되는 상기 액세서리를 일시 고정하기 위한 스톱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피부착물에 찡과 함께 부착되는 장식용 액세서리를 원활히 공급하여 피부착물에 부착되는 액세서리의 불량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액세서리 고정몰드{Accessory fix molding for accessory attaching device}
본 발명은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액세서리 고정몰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더 상세하게는 의류 등에 장식미를 표현하도록 하는 액세서리를 부착하는 부착장치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액세서리를 가압 위치에 놓이도록 유도하고, 안정되게 안착시켜 가압되는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액세서리 고정몰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와 같은 직물(이하, '피부착물'이라 함.)에 입체감 있는 장식미를 부여하기 액세서리와 일명 '찡'이라고 불리고 있는 것이 있는데, 상기한 찡은 반구형이면서 2개 또는 4개의 뾰족한 쐐기를 가지고 있고 그 크기가 다양하다. 또한 이러한 찡이나 액세서리를 피부착물에 일체로 부착하는 자동 부착장치들이 제시된 바 있다.
상기한 종래의 자동 부착장치는 자동공급라인에서 공급된 찡을 상부에서 작동하는 가압피스톤이 붙잡고 작업 테이블 위에 놓이는 피부착물과 액세서리를 동시에 가압하여 찡과 피부착물 및 액세서리를 일체로 부착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찡 부착장치로는 정확한 액세서리의 가압 위치를 일일이 확인할 수 없어 불량률이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특허출원 제2009-0064576호(명칭: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를 제시한 바 있다.
선 출원된 상기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는 찡의 쐐기가 상부를 향하도록 찡을 공급하고, 상부에서 승하강하는 가압피스톤에 부착용 액세서리를 공급하여 상기 가압피스톤이 액세서리를 붙잡고 하강하여 상기 피부착물의 하부에 놓이는 찡의 쐐기에 액세서리를 가압하여 액세서리를 찡과 일체로 피부착물에 부착시키는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액세서리 부착장치에서는 흡착과 동시에 가압 작용을 하게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액세서리의 중심에 정확하게 흡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을 하게 되면 위치가 불규칙하여 액세서리의 부착상태가 불량하거나 파손될 수 있었다.
또한 가압피스톤 쪽으로 공급되는 액세서리가 정확한 위치에 자리를 잡지 못하는 경우에도 가압피스톤의 위치와 맞지 않아 불량이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크기 별로 액세서리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일일이 액세서리에 맞는 액세서리 고정몰드를 교체하여야 하는 등, 교체작업에 따른 번거러움과 종류별로 액세서리 고정몰드를 제조해야 하는 등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공급되는 액세서리에 크기에 상관없이 안정되게 액세서리를 피부착물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필요로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착물에 찡과 함께 부착되는 장식용 액세서리를 원활히 공급하여 피부착물에 부착되는 액세서리의 불량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기별로 제공되는 액세서리의 종류에 상관없이 액세서리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압되는 액세서리가 가압장치에 의해 안정되게 가압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세서리 고정몰드 내에서 액세서리가 안정된 위치에 놓여 원활한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테이블에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액세서리를 공급하는 액세서리 공급부와, 상기 액세서리를 공급받아 가압하기 위한 가압피스톤과, 상기 가압피스톤의 하단 후방에서 상기 액세서리에 부착되는 찡을 선별하여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찡 자동공급부와, 상기 찡 자동공급부와 연계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찡을 수납하여 이송하기 위한 찡 투입대와, 상기 찡 투입대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피스톤이 하강하여 가압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찡이 놓이도록 고정하는 찡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액세서리 공급부는,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액세서리를 보관하는 보관통과; 상기 보관통에서 상기 액세서리가 순처적으로 공급하는 연결호스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 상단부를 통해 상기 가압피스톤이 관통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액세서리를 배출시키는 액세서리 고정몰드를; 포함하며, 상기 액세서리 고정몰드의 내측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가압피스톤의 가압 전에 상기 액세서리 고정몰드의 내부로 유입되어 위치되는 상기 액세서리를 일시 고정하기 위한 스톱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액세서리 고정몰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액세서리 고정몰드는 상부면에서 하부면까지 관통되어 상기 가압피스톤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과; 상기 연결호스가 연결되도록 일측에 관통되어 상기 액세서리를 내부로 공급하는 안내공과; 상기 안내공을 따라 안쪽으로 진입하는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가압피스톤의 가압 위치에 놓여 위치를 잡아주도록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공과; 상기 삽입공을 횡으로 관통하도록 개방되며, 내측으로 상기 스톱퍼가 수납되어 위치하기 위한 유격홈과; 상기 유격홈에 관통되어 상기 스톱퍼가 축 결합되는 힌지축과; 상기 유격홈의 다른 곳에서 관통되어 상기 스톱퍼의 회전을 일시 제어하기 위한 고정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스톱퍼는 상기 액세서리 고정몰드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액세서리를 가압하는 상기 가압피스톤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젖혀져 상기 삽입공의 하부을 개방하고, 상기 액세서리를 가압 후 복귀하는 상기 가압피스톤이 다음 차례의 액세서리가 위치하는 상기 삽입공(231) 내부를 벗어나는 순간, 상기 스톱퍼는 자중에 의한 자연하강으로 초기 액세서리를 받쳐주고 있던 위치로 원상 복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스톱퍼는 일측에 상기 힌지축이 관통하는 힌지공이 형성되고, 타측 모서리에는 일부 돌출되어 상기 액세서리를 받쳐줌과 아울러, 상기 가압피스톤의 하강에 의해 상기 스톱퍼를 젖혀지도록 하는 스톱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테이블에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액세서리를 공급하는 액세서리 공급부와, 상기 액세서리를 공급받아 가압하기 위한 가압피스톤과, 상기 가압피스톤의 하단 후방에서 상기 액세서리에 부착되는 찡을 선별하여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찡 자동공급부와, 상기 찡 자동공급부와 연계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찡을 수납하여 이송하기 위한 찡 투입대와, 상기 찡 투입대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피스톤이 하강하여 가압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찡이 놓이도록 고정하는 찡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액세서리 공급부는,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액세서리를 보관하는 보관통과; 상기 보관통에서 상기 액세서리가 순처적으로 공급하는 연결호스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 상단부를 통해 상기 가압피스톤이 관통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액세서리를 배출시키는 액세서리 고정몰드를; 포함하며, 상기 액세서리 고정몰드의 내측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가압피스톤의 가압 전에 상기 액세서리 고정몰드의 내부로 유입되어 위치되는 상기 액세서리를 일시 고정하기 위한 스톱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피부착물에 찡과 함께 부착되는 장식용 액세서리를 원활히 공급하여 피부착물에 부착되는 액세서리의 불량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크기별로 제공되는 액세서리의 종류에 상관없이 액세서리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가압되는 액세서리가 가압장치에 의해 안정되게 가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액세서리 고정몰드 내에서 액세서리가 안정된 위치에 놓여 원활한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액세서리 찡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의 일 실시에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가 설치된 것을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에 따른 스톱퍼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의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가 가압피스톤과 결합된 것을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의 작동을 보인 것으로,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의 작동 전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의 작동 중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의 작동 후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의 일 실시에를 보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는 액세서리 고정몰드는 테이블(1)에 설치된 지지대(100)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서 액세서리(2)를 공급하는 액세서리 공급부(200)와, 상기 액세서리(2)를 공급받아 가압이 이루어지는 가압피스톤(300)와, 상기 가압피스톤(300)의 하단 후방에서 상기 액세서리(2)에 부착되는 찡(3)을 선별하여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찡 자동공급부(400)와, 상기 찡 자동공급부(400)와 연계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찡(5)을 수납하여 이송하기 위한 찡 투입대(500)와, 상기 찡 투입대(5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피스톤(300)이 하강하여 가압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찡(30)이 놓이도록 고정하는 찡 받침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00)는 상기 액세서리 공급부(200)가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피스톤(300)이 중심부에 설치되도록 테이블(1) 상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상기 액세서리 공급부(200)는 상기 액세서리(2)가 보관되는 보관통(210)이 설치되고, 상기 보관통의 하단에는 상기 보관통(210)에서 배출되는 액세서리(2)가 이동하는 연결호스(220)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호스(220)의 일단은 상기 액세서리(2)가 공급되어 내설되기 위한 상기 액세서리 고정몰드(230)의 일측면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압피스톤(300)은 상측에 상하 운동하는 구동실린더에 장착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액세서리 고정몰드(230)에 내설된 상기 액세서리(2)를 순간 흡입하여 상기 가압피스톤(300)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찡 받침대(600)에 위치하는 찡(3)으로 액세서리(2)를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찡 자동공급부(400)는 찡(3)의 쐐기가 상부를 향하도록 선별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찡 투입대로(500)로 찡(3)을 이송시키도록 설치된다.
상기 찡 투입대(500)는 상기 찡 자동공급부(400)에서 이송되는 찡(3)을 전후진피스톤(501)에 의해 선별된 찡(3)을 상기 찡 받침대(600)의 전방으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를 통하여 액세서리(2)와 찡(3)을 동시에 가압하여 피부착물(4)에 원활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에 의해 피부착물(4)에 가압되는 액세서리(2)와 찡(3)을 불량 없이 좀 더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에 따른 스톱퍼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의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가 가압피스톤과 결합된 것을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액세서리 공급부(200)는, 상기 액세서리(2)를 보관하는 보관통(210)과; 상기 액세서리(2)를 공급하는 연결호스(220)와; 상기 가압피스톤(300)이 관통되어 내설된 액세서리(2)를 배출시키기 위한 액세서리 고정몰드(230) 및 상기 액세서리 고정몰드(230)의 내측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액세서리 고정몰드(230)에 유입되는 상기 액세서리(2)를 일시 고정하기 위한 스톱퍼(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액세서리 고정몰드(320)는 일측이 상기 지지대(100)의 하단부 일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일측 상부면에는 상기 가압피스톤(300)이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액세서리 고정몰드(320)는 상부면에서 하부면까지 관통되어 상기 가압피스톤(300)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231)과; 상기 연결호스(220)가 연결되도록 일측에 관통되어 상기 액세서리(2)를 내부로 공급하는 안내공(232)과; 상기 안내공(232)을 따라 안쪽으로 진입하는 상기 액세서리(2)가 상기 가압피스톤(300)의 가압 위치에 정확하게 놓이도록 에어노즐(250)에 의해 에어가 분사되는 에어분사공(233)과; 상기 삽입공(231)을 횡으로 관통하도록 개방되며, 내측으로 상기 스톱퍼(240)가 수납되어 위치하기 위한 유격홈(234)과; 상기 유격홈(234)에 관통되어 상기 스톱퍼(240)가 축 결합되는 힌지축(235)과; 상기 유격홈(234)의 다른 곳에서 관통되어 상기 스톱퍼(240)의 회전을 일시 제어하기 위한 고정핀(23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240)는 상기 액세서리 고정몰드(230)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액세서리(2)를 가압하는 상기 가압피스톤(300)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힌지축(235)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젖혀져 상기 삽입공(231)의 하부을 개방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액세서리(2)를 가압 후, 복귀하는 상기 가압피스톤(300)이 다음 차례의 액세서리(2)가 위치하는 곳을 통과하는 순간, 상기 톱퍼(240)는 자중에 의한 자연하강으로 초기 액세서리(2)를 받쳐주고 있던 위치로 원상 복귀되어 다음 차례의 상기 액세서리(2)를 안전되게 받쳐줄 수 있다.
한편 스톱퍼(240)는 일측에 상기 힌지축(235)이 관통하는 힌지공(241)이 형성되고, 타측 모서리에는 일부 돌출되어 상기 액세서리(2)를 받쳐줌과 아울러, 상기 가압피스톤(300)의 하강에 의해 상기 스톱퍼(240)를 젖혀지도록 하는 스톱돌기(242)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의 작동을 보인 것으로,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의 작동 전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의 작동 중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의 작동 후 상태도이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세서리 고정몰드(230)에서는 상기 액세서리 공급부(200)에서 이송되는 상기 액세서리(2)가 상기 안내공(232)를 따라 공급한다. 이때 에어노즐에서 공급되는 에어가 상기 에어분사공(233)을 통해 분출되어 공급되는 상기 액세서리(2)를 가압피스톤(300)의 가압위치에 밀착되도록 불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톱퍼(240)의 스톱돌기(242)가 분사되어 밀려오는 상기 액세서리(2)의 하단을 안정되게 받치고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세서리(2)를 상기 가압피스톤(300)이 흡입하고 실린더 작동하여 하강을 시작하는 순간, 상기 액세서리(2)의 하단부가 상기 스톱퍼(240)의 스톱돌기(241)를 밀어 젖힌다. 이때 상기 스톱퍼(240)는 상기 힌지축(235)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젖혀지며 상기 가압피스톤(300)이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공(231)의 하단부를 개방한다.
이어서, 상기 가압피스톤(300)이 하강하여 상기 찡 받침대(600)의 피부착물(4)이 놓여 있는 찡(3)의 위치로 액세서리(2)를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톱퍼(240)는 하강된 상기 가압실린더(300)에 의해 계속해서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며, 상기 스톱퍼(240)의 회전은 상기 고정핀(236)에 걸려 그 젖혀짐이 제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급히 하강하는 가압실린더(300)의 힘에 의해 상기 스톱퍼(240)가 갑자기 너무 많이 젖혀지는 것을 억제시키기 위함이다.
그런 다음, 상기 액세서리(2)를 가압한 상기 가압피스톤(300)은 실린더의 작동으로 다시 상승하게 되어 다음 가압되는 다른 액세서리(2)가 위치하는 삽입공(231) 중심부를 벗어나는 순간, 상기 가압피스톤(300)의 축에 의지하던 상기 스톱퍼(240)의 스톱돌기(241)가 떨어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스톱퍼(240)는 자중에 의한 자연하강으로 힌지축(23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다음 차례로 삽입공(231) 내에 진입을 대기하고 있던 다른 액세서리(2)가 상승하는 상기 가압피스톤(300)이 완전히 벗어남과 동시에, 상기 액세서리(2)가 상기 삽입공(231) 내의 중심부에 들어와 상기 스톱퍼(240)의 지지를 받으면서 안정되게 다음 가압이 이루어지기까지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지지대 200 : 액세서리 공급부
300 : 가압피스톤 400 : 찡 자동공급부
500 : 찡 투입대 600 : 찡 받침대
210 : 보관통 220 : 연결호스
230 : 액세서리 고정몰드 231 : 삽입공
232 : 안내공 233 : 에어분사공
234 : 유격홈 235 : 힌지축
236 : 고정핀 240 : 스톱퍼
241 : 힌지공 242 : 스톱돌기

Claims (4)

  1. 테이블(1)에 설치된 지지대(100)와, 상기 지지대(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액세서리(2)를 공급하는 액세서리 공급부(200)와, 상기 액세서리(2)를 공급받아 가압을 하기 위한 가압피스톤(300)와, 상기 가압피스톤(300)의 하단 후방에서 상기 액세서리(2)에 부착되는 찡(3)을 선별하여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찡 자동공급부(400)와, 상기 찡 자동공급부(400)와 연계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찡(3)을 수납하여 이송하기 위한 찡 투입대(500)와, 상기 찡 투입대(5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피스톤(300)이 하강하여 가압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찡(3)이 놓이도록 고정하는 찡 받침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액세서리 공급부(200)는,
    상기 지지대(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액세서리(2)를 보관하는 보관통(210)과;
    상기 보관통(210)에서 상기 액세서리(2)가 순처적으로 공급하는 연결호스(220)와;
    상기 지지대(100)의 하단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 상단부를 통해 상기 가압피스톤(300)이 관통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액세서리(2)를 배출시키는 액세서리 고정몰드(230)를; 포함하며,
    상기 액세서리 고정몰드(320)의 내측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가압피스톤(300)의 가압 전에 상기 액세서리 고정몰드(3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위치되는 상기 액세서리(2)를 일시 고정하기 위한 스톱퍼(2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액세서리 고정몰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 고정몰드(230)는
    상부면에서 하부면까지 관통되어 상기 가압피스톤(300)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231)과;
    상기 연결호스(220)가 연결되도록 일측에 관통되어 상기 액세서리(2)를 내부로 공급하는 안내공(232)과;
    상기 안내공(232)을 따라 안쪽으로 진입하는 상기 액세서리(2)가 상기 가압피스톤(300)의 가압 위치에 놓여 위치를 잡아주도록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공(233)과;
    상기 삽입공(231)을 횡으로 관통하도록 개방되며, 내측으로 상기 스톱퍼(240)가 수납되어 위치하기 위한 유격홈(234)과;
    상기 유격홈(234)에 관통되어 상기 스톱퍼(240)가 축 결합되는 힌지축(235)과;
    상기 유격홈(234)의 다른 곳에서 관통되어 상기 스톱퍼(240)의 회전을 일시 제어하기 위한 고정핀(23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240)는 상기 액세서리 고정몰드(230)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액세서리(2)를 가압하는 상기 가압피스톤(300)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힌지축(235)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젖혀져 상기 삽입공(231)의 하부을 개방하고,
    상기 액세서리(2)를 가압 후 복귀하는 상기 가압피스톤(300)이 다음 차례의 액세서리(2)가 위치하는 상기 삽입공(231) 내부를 벗어나는 순간, 상기 스톱퍼(240)는 자중에 의한 자연하강으로 초기 액세서리(2)를 받쳐주고 있던 위치로 원상 복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240)는 일측에 상기 힌지축(235)이 관통하는 힌지공(241)이 형성되고,
    타측 모서리에는 일부 돌출되어 상기 액세서리(2)를 받쳐줌과 아울러, 상기 가압피스톤(300)의 하강에 의해 상기 스톱퍼(240)를 젖혀지도록 하는 스톱돌기(24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용 액세서리 고정몰드.
KR1020120030413A 2012-03-26 2012-03-26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액세서리 고정몰드 KR101271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413A KR101271550B1 (ko) 2012-03-26 2012-03-26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액세서리 고정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413A KR101271550B1 (ko) 2012-03-26 2012-03-26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액세서리 고정몰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550B1 true KR101271550B1 (ko) 2013-06-05

Family

ID=48866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413A KR101271550B1 (ko) 2012-03-26 2012-03-26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액세서리 고정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5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795B1 (ko) 2014-01-23 2014-09-26 박홍규 라인스톤 공급장치
KR101593225B1 (ko) 2014-09-05 2016-02-15 주식회사 나인스톤 라인스톤 접착장치
KR101747036B1 (ko) 2016-06-20 2017-06-14 최종일 구슬 꿰는 장치
KR101814709B1 (ko) 2016-04-15 2018-01-30 이순철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
CN112273818A (zh) * 2020-11-25 2021-01-29 刘龙清 一种用于首饰木质串珠批量加工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795B1 (ko) 2014-01-23 2014-09-26 박홍규 라인스톤 공급장치
WO2015111956A1 (ko) * 2014-01-23 2015-07-30 박홍규 라인스톤 공급장치
CN106103839A (zh) * 2014-01-23 2016-11-09 株式会社九石 莱茵石供应设备
KR101593225B1 (ko) 2014-09-05 2016-02-15 주식회사 나인스톤 라인스톤 접착장치
WO2016036217A1 (ko) * 2014-09-05 2016-03-10 (주)나인스톤 라인스톤 접착장치
KR101814709B1 (ko) 2016-04-15 2018-01-30 이순철 이종의 액세서리 부착장치
KR101747036B1 (ko) 2016-06-20 2017-06-14 최종일 구슬 꿰는 장치
CN112273818A (zh) * 2020-11-25 2021-01-29 刘龙清 一种用于首饰木质串珠批量加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550B1 (ko)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액세서리 고정몰드
JP5766985B2 (ja) 湿式化粧料の多色充填成形装置及び多色充填成形方法
KR101160889B1 (ko)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 및 그 액세서리 부착방법
KR101681380B1 (ko) 화장품 용기용 거울 조립유닛 및 이를 갖는 화장품 용기 조립장치
KR20130003317A (ko) 액세서리 부착기 자동정렬공급장치
KR20180010571A (ko) 캡 조립 시스템
KR101912597B1 (ko) 화장품 제조공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497400B1 (ko) 직물용 장식구슬 부착장치
CN207259129U (zh) 用于水性涂料灌装工序的料桶防溅料装置
WO2019098160A1 (ja) 台紙付きシュリンクフィルム包装体への自動装填装置および自動装填方法
JP6840392B2 (ja) 解袋機
KR200461149Y1 (ko) 찡 부착기용 가압장치
JP2017065883A (ja) 容器供給装置
JP6742577B2 (ja) スポンジファンデーション製造装置及びスポンジファンデーション製造方法
KR101566908B1 (ko) 자동 칫솔대 정렬 공급 장치
KR101410023B1 (ko)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장치의 찡 투입몰드
CN205844574U (zh) 一种用于光纤熔焊机的操作装置
CN207888182U (zh) 一种射钉弹弹夹的自动压装系统
KR20130003320A (ko) 의류용 액세서리 부착기의 찡 위치고정장치
KR20150121803A (ko) 종이컵 제조장치
CN210338630U (zh) 一种假发包装箱
US1883345A (en) Infolding machine
KR200480109Y1 (ko) 화장품용 퍼프 자동공급장치
KR200486059Y1 (ko)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JP2534556B2 (ja) 電子部品の自動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