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059Y1 -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 Google Patents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059Y1
KR200486059Y1 KR2020160003978U KR20160003978U KR200486059Y1 KR 200486059 Y1 KR200486059 Y1 KR 200486059Y1 KR 2020160003978 U KR2020160003978 U KR 2020160003978U KR 20160003978 U KR20160003978 U KR 20160003978U KR 200486059 Y1 KR200486059 Y1 KR 2004860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ng
hole
orific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207U (ko
Inventor
이순녀
임태중
Original Assignee
이순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녀 filed Critical 이순녀
Priority to KR2020160003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059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2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2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0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0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0Decorating textiles by treatment with, or fixation of, a particulate material, e.g. mica, glass bea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7/00Decorative or ornamental textile articles
    • D04D7/04Three-dimensional articles
    • D04D7/06Ball-like tufts, e.g. pomp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17Flat presses, pressing plates or heating devices for pressing pl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31Methods for making patterns on fabrics, e.g. by application of powder dye, moiréing, embo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은, 상이한 크기의 장식구를 수용 저장한 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장식구 공급유닛의 부위중, 공급하고자 하는 장식구가 수용된 장식구 공급유닛의 부위만을 자동으로 감압할 수 있다. 그러므로, 편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감압모듈을 하나만 설치하여 공급하고자 하는 장식구가 수용된 장식구 공급유닛의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감압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VACCUM CHANGEOVER UNIT OF ORNAMENT SUPPLYING APPARATUS}
본 고안은 상이한 크기의 장식구를 선택적으로 피부착물(被俯着物)로 공급할 때, 공급하고자 하는 장식구가 수용된 부위만을 자동으로 진공과 가깝게 감압시켜 장식구를 흡착 지지할 수 있는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에 관한 것이다.
의류, 신발 또는 가방 등과 같은 피부착물(被俯着物)에는 피부착물의 외관을 장식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의 장식구가 부착되며, 장식구는 구형(球形)의 장식구와 비구형(非球形)의 장식구로 대별된다.
구형의 장식구로는 구슬 형상으로 형성된 인조 진주가 많이 사용된다.
하나의 장식구 공급장치로 상이한 크기의 장식구를 선택적으로 각각 공급할 수 있으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장식구의 크기에 따라 장식구 공급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이 절감된다.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공보 제10-1365386호에 개시된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65386호의 도 15 내지 도 19d에 개시된 구슬 공급부(900)는 실린더(910), 정렬부(930) 및 누름지지부(950)를 포함하고, 정렬부(930)는 지지부재(70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블럭(931)과 슬라이딩블럭(931)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로(932)의 하단부에 각각 삽입 결합되는 수용블럭(935)을 포함한다.
관통로(932)의 개수는 구슬(60)의 크기별 개수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수용블럭(935)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구슬(60)을 수용한다. 이때, 각 수용블럭(935)에 수용되는 구슬(60)의 크기는 동일하고, 각각의 수용블럭(935)에 수용되는 구슬(60)의 크기는 상이하다.
그리하여, 슬라이딩블럭(931)을 슬라이딩시켜, 부착하고자 하는 구슬(60)이 수용된 수용블럭(935)의 수직 상측에 위치된 연결바(954)를 플런저(913)에 결합시킨 다음, 진공펌프를 구동시켜 부착하고자 하는 구슬(60)이 수용된 수용블럭(935)의 승강부(951)의 연통로(951b)를 통하여 누름바(957)의 유로(957a)의 압력을 감압하면, 구슬(60)이 누름바(957)의 하단부에 흡착된다. 그 후, 실린더(910)를 구동시켜 플런저(913)를 하강시키면, 누름바(957)에 흡착된 구슬(60)이 피부착물(50)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슬 공급 장치는 부착하고자 하는 구슬(60)이 결정되면, 부착하고자 하는 구슬(60)의 수직 상측에 위치된 승강바(951)의 연통로(951b)와 상기 진공펌프를 수작업으로 연결해 주어야 하므로,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는, 승강바(951)의 수만큼 상기 진공펌프를 마련하고 각각의 상기 진공펌프와 각각의 승강바(951)를 연통시킬 경우,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크기별로 구획 저장된 장식구를 선택적으로 피부착물측으로 공급할 때, 공급하고자 하는 장식구가 수용된 부위만을 자동으로 진공에 가깝게 감압시켜 장식구를 흡착 지지함으로써, 편리하게 상이한 크기의 장식구를 선택적으로 피부착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감압모듈을 이용하여 공급하고자 하는 장식구가 수용된 부위를 자동으로 선택적으로 감압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은, 상이한 크기의 장식구를 크기별로 구획 수용하며 수용된 장식구를 선택적으로 피부착물로 공급하는 장식구 공급유닛; 장식구가 수용된 상기 장식구 공급유닛측을 감압시키는 감압모듈; 피부착물로 공급하고자 하는 장식구가 수용된 상기 장식구 공급유닛의 부위만이 감압되도록 상기 장식구 공급유닛과 상기 감압모듈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진공전환유닛을 포함하는 장식구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공전환유닛은, 상기 장식구 공급유닛에 설치되며, 일단부측이 장식구가 구획 수용된 상기 장식구 공급유닛측과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제1연통공이 형성된 분배블럭; 지지공이 형성된 지지블럭; 상기 지지공에 삽입 지지되며, 일면은 상기 감압모듈과 연통되고 타면은 복수의 상기 제1연통공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연통공의 타단부측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연통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은, 상이한 크기의 장식구를 수용 저장한 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장식구 공급유닛의 부위중, 공급하고자 하는 장식구가 수용된 장식구 공급유닛의 부위만을 자동으로 감압할 수 있다. 그러므로, 편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감압모듈을 하나만 설치하여 공급하고자 하는 장식구가 수용된 장식구 공급유닛의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감압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전환유닛이 설치된 장식구 부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식구 공급장치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전환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식구 공급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결합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진공전환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6a는 도 5의 결합 정면도.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분배블럭과 연통부재의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전환유닛이 장식구 공급유닛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 정면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위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전환유닛이 설치된 장식구 부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구 부착장치는 의류, 신발 또는 가방 등과 같은 피부착물(被俯着物)(50)의 표면에 부착핀을 이용하여 장식용 장식구(60)(도 4 참조)를 부착하는 장치로서, 지지프레임(100), 부착핀 공급장치(200), 장식구 공급장치(300) 및 진공전환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00)은 작업장의 바닥 등에 설치될 수 있고, 부착핀 공급장치(200)는 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될 수 있다. 부착핀 공급장치(200)는 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상기 부착핀이 저장되는 부착핀 저장통(210)을 포함할 수 있고, 부착핀 저장통(210)에 저장된 상기 부착핀을 이송하여 피부착물(5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장식구 공급장치(300)는 구슬 형상의 인조 진주 등과 같은 구형(球形)의 장식구(60)를 피부착물(50)로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부착핀이 공급되는 경로상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장식구(60)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장식구 공급장치 (300)는 상이한 크기의 장식구(60)를 크기별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장식구 공급장치(300)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식구 공급장치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전환유닛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식구 공급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구 공급장치(300)는 장식구 저장통(310) 및 장식구 공급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지지프레임(100)을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지지프레임(100)의 상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 하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
장식구 저장통(310)은 지지프레임(100)의 상측 부위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장식구(60)(도 4 참조)는 각 장식구 저장통(3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각 장식구 저장통(310)에는 동일한 크기의 장식구(60)가 각각 저장되고, 각 장식구 저장통(310)에 저장된 장식구(60)의 크기는 상호 상이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장식구 저장통(310)은 장식구(60)의 크기별로 장식구(60)를 수용할 수 있다.
장식구 공급유닛(330)은 지지프레임(100)의 상측 부위에 설치되며 피스톤(341a)을 가지는 실린더(3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피스톤(341a)은 수직방향인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면서 후술할 승강바(351)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때, 피스톤(341a)의 상측 부위는 실린더(341)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하측 부위는 실린더(341)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341a)의 운동 경로와 상기 부착핀의 공급 경로는 동일 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장식구 공급유닛(330)은 슬라이딩블럭(343)과 승강바(3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블럭(343)은 실린더(341) 하측의 지지프레임(100)의 부위에 수평방향인 좌우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00) 및 슬라이딩블럭(343)에는 상호 삽입 결합되어 슬라이딩블럭(343)이 안정되게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레일 및 안내로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블럭(343)은 수작업에 의해서도 슬라이딩될 수 있다.
슬라이딩블럭(343)의 내부에는 피스톤(341a)의 승강방향과 평행하게 복수의 관통로(343a)(도 4 참조)가 구획 형성될 수 있고, 각 관통로(343a)에는 승강바(351)가 각각 삽입되어 관통로(343a)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관통로(343a)의 개수는 공급하고자 하는 장식구(60)의 크기별 개수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로(343a)의 개수는 장식구 저장통(310)의 개수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바(351)의 개수도 장식구 저장통(310)의 개수와 대응됨은 당연하다.
승강바(351)는 슬라이딩블럭(343)과 함께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승강바(351)의 상단부측은 슬라이딩블럭(343)의 상면 외측으로 노출되어 피스톤(341a)의 하단부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하단부측은 관통로(343a)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승강바(351)의 하단면(下端面)에는 장식구(60)가 흡착 지지될 수 있다. 그리하여, 승강바(351)는 피스톤(341a)에 의하여 승강하면서, 장식구(60)를 피부착물(50)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피스톤(341a)의 하측 부위에 승강바(351)의 상측 부위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구조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A-A"선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41a)의 하단면(下端面)에는 수평판(341aa)이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수평판(341aa)에는 한쌍의 연장편(341ab)이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호 대향할 수 있으며, 연장편(341ab)의 하단부에는 걸림편(341ac)이 각각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호 대향하는 걸림편(341ac)과 걸림편(341ac)은 상호 간격을 가진다.
승강바(351)는 제1연결바(351a), 제2연결바(351b) 및 지지누름바(35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바(351a)는 슬라이딩블럭(343)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측 부위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걸림편(341ac)이 삽입되어 걸리는 링형상의 걸림홈(351a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블럭(343)이 슬라이딩함에 따라 승강바(351)도 함께 슬라이딩하며, 슬라이딩하는 승강바(351) 중, 어느 하나의 승강바(351)의 제1연결바(351a)의 걸림홈(351aa)에 걸림편(341ac)이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 그러면, 피스톤(341a)이 복수의 승강바(351) 중, 어느 하나의 승강바(351)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바(351b)의 상측 부위는 제1연결바(351a)의 하측 부위에 결합될 수 있고, 하측 부위는 관통로(343a)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지지누름바(351c)는 상측 부위는 제2연결바(351b)의 하측 부위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슬라이딩블럭(343)의 하단면에 결합되는 후술할 수용블럭(345)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지지누름바(351c)의 하단면(下端面)에는 장식구(60)가 흡착 지지되며, 지지누름바(351c)에 흡착 지지된 장식구(60)는 피스톤(341a)의 승강에 의하여 피부착물(50)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지지누름바(351c)가 장식구(60)를 흡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누름바(351c)의 내부에는 지지누름바(351c)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로(351ca)가 형성될 수 있고, 유로(351ca)는 진공펌프 등과 같은 감압모듈(미도시)에 의하여 감압될 수 있다. 이때, 유로(351ca)는 제2연결바(351b)의 외주면에 형성된 연통로(351ba)를 매개로 상기 감압모듈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감압모듈측과 관통로(343a)에 삽입된 제2연결바(351b)의 연통로(351ba)는 후술한 연결호스(453)를 매개로 연통될 수 있으며, 관통로(343a)가 형성된 슬라이딩블럭(343)의 부위에는 연결호스(453)의 단부측이 삽입되는 개방로(343b)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누름바(351c)에 흡착 지지된 장식구(60)가 피부착물(50)로 공급된 후, 상기 부착핀에 의하여 장식구(60)가 피부착물(50)에 부착되면, 상기 감압모듈이 정지하여 유로(351ca)의 압력이 승압될 수 있다.
장식구(60)가 피부착물(50)에 접촉된 상태에서, 지지누름바(351c)에서 장식구(60)에 작용하는 힘이 소정 이상이면, 장식구(60)가 손상되거나 피부착물(50)에 장식구(60)의 자국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연결바(351a)는 피스톤(341a)의 운동방향을 따라 유동가능하게 제2연결바(351b)에 결합되어, 피스톤(341a)측으로 탄성 지지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연결바(351a)의 하측 부위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장공(長空)(351ab)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연결바(351b)의 상측 부위는 중공체(中空體)로 형성될 수 있고, 외주면에는 상호 대향되게 결합공(351b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장공(351ab)과 결합공(351bb)은 상호 연통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연결바(351a)의 하측 부위는 제2연결바(351b)의 상측 부위에 삽입되고, 장공(351ab) 및 결합공(351bb)에는 결합핀(351d)이 삽입 결합된다. 이로 인해, 제1연결바(351a)는 장공(351ab)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가능하게 제2연결바(351b)에 결합되므로, 피스톤(341a)의 운동방향과 평행하게 유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연결바(351b)의 상측 부위 내부에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351e)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승강바(351)가 하강하여, 지지누름바(351c)에 흡착된 장식구(60)가 피부착물(50)에 접촉된 상태에서, 피스톤(341a)이 더 하강하면, 제1연결바(351a)가 하강하면서 탄성부재(351e)를 압축시킨다. 즉, 제1연결바(351a)는 하강하나, 제2연결바(351b)는 하강하지 않으므로, 제2연결바(351b)와 지지누름바(351c)도 하강하지 않는다. 그리고, 지지누름바(351c)는 탄성부재(351e)에 의하여 하측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누름바(351c)에 의하여 장식구(60)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고, 피부착물(50)에 장식구(60)의 자국이 생기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슬라이딩블럭(343)의 하단면, 즉 관통로(343a)의 하측 부위에는 장식구(60)를 수용하는 수용블럭(345)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수용블럭(345)은 슬라이딩블럭(343)과 함께 슬라이딩할 수 있다. 수용블럭(345)은 장식구 저장통(310)의 개수인 관통로(343a)의 개수 만큼 마련되어, 관통로(343a)에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장식구 저장통(310)으로부터 장식구(60)를 각각 공급받아 장식구(60)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수용블럭(345)에 수용된 장식구(60)의 크기는 동일하고, 각각의 수용블럭(345)에 수용된 장식구(60)의 크기는 상이하다. 즉, 각각의 수용블럭(345)은 장식구(60)의 크기별로 장식구(60)를 수용한다.
수용블럭(345)의 일측에는 장식구 저장통(310)에서 공급되는 장식구(60)를 전달받기 위한 유입구(345a)가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는 유입구(345a)와 연통되어 장식구(60)를 수용함과 동시에 장식구(60)를 피부착물(50)측으로 배출하기 배출구(345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입구(345a) 및 배출구(345b)의 직경은 각 수용블럭(345)으로 전달되는 장식구(60)의 직경과 대략 비슷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구(345a)와 대향하는 수용블럭(345)의 타측 내면에는 스토퍼(347)가 삽입되어 탄성 지지될 수 있으며, 스토퍼(347)는 장식구(60)가 자중에 의하여 피부착물(50)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블럭(343)의 관통로(343a)는 상호 구획되어 형성되고, 수용블럭(345)은 관통로(343a)에 각각 삽입 결합되므로, 장식구(60)는 장식구 공급유닛(330)에 크기별로 각각 구획 수용됨은 당연하다.
수용블럭(345)의 상면에는 관통로(343a)의 하측 부위에 삽입 결합됨과 동시에 지지누름바(351c)의 하측 부위가 삽입되는 결합관(345c)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관(345c)은 배출구(345b)와 직선을 이루면서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수용블럭(345)의 각 결합관(345c)의 내경은 각 배출부(345b)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승강바(351)의 지지누름바(351c)의 하측 부위는 각각 상이하게 형성되어 지지하고자 하는 장식구(60)의 크기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연결바(351b)에 결합되는 지지누름바(351c)의 상측 부위의 직경은 각각 동일해도 무방하다.
피스톤(341a)은 슬라이딩블럭(343)과 함께 슬라이딩하는 승강바(35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므로, 피스톤(341a)과 결합되지 않은 승강바(351)들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할 수 있다. 그런데, 승강바(351)가 하강한 상태에서, 승강바(351)가 슬라이딩블럭(343)과 함께 슬라이딩되면, 하강한 승강바(351)가 피스톤(341a)에 결합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장식구 공급유닛(330)은 피스톤(341a)에 결합되지 않은 승강바(351)가 자중에 의하여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브라켓(361)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브라켓(361)은 지지프레임(100)에 결합된 결합판(361a)과 결합판(361a)의 하단부에서 피스톤(341a)측으로 벤딩 형성되며, 승강바(351)의 제1연결바(351a)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테(351ac)의 하면을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판(361b)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테(351ac)의 하면이 지지판(361b)에 접촉 지지되므로, 승강바(351)가 자중에 의하여 낙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341a)의 운동경로 상에 위치된 지지판(361b)의 부위는 개방(361ba)되어 상호 결합된 피스톤(341a)과 승강바(351)가 승강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즉, 실린더(341)와 지지브라켓(361)은 고정되어 있고, 승강바(351)는 슬라이딩블럭(343)에 의하여 슬라이딩한다. 이때, 승강바(351)의 걸림테(351ac)가 지지판(361b)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승강바(351)는 지지판(361b)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슬라이딩블럭(343)이 슬라이딩함에 따라 승강바(351) 중, 어느 하나의 승강바(351)가 피스톤(341a)과 결합될 수 있다. 그런데, 피스톤(341a)의 운동경로 상에 위치된 지지판(361b)의 부위는 개방(361ba)되어 있으므로, 상호 결합된 피스톤(341a)과 승강바(351)는 지지판(361b)의 간섭을 받지 않고 함께 승강할 수 있는 것이다.
장식구(60)를 흡착 지지하여 피부착물(50)로 공급하는 복수의 승강바(351) 중, 어느 하나만 피스톤(341a)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그러므로, 복수의 승강바(351) 중, 피스톤(341a)에 결합되어 장식구(60)를 피부착물(50)로 공급하는 승강바(351)의 지지누름바(351c)의 유로(351ca)만 감압시키면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전환유닛(400)은 피스톤(341a)에 결합되어 장식구(60)를 피부착물(50)로 공급하고자 하는 승강바(351)의 지지누름바(351c)의 유로(351ca)만 선택적으로 감압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전환유닛(400)은 피부착물(50)로 공급하고자 하는 장식구(60)가 수용된 장식구 공급유닛(330)의 부위만을 감압시킬 수 있다.
진공전환유닛(400)에 대하여 도 2,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진공전환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a는 도 5의 결합 정면도이며,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분배블럭과 연통부재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전환유닛(400)은 일측은 장식구 공급유닛(330)의 승강바(351)의 유로(351ca)와 각각 연통되고 타측은 감압모듈과 연통될 수 있다. 그리하여, 슬라이딩블럭(343)과 함께 슬라이딩하는 승강바(351) 중, 피스톤(341a)과 결합된 승강바(351)의 유로(351ca)와 상기 감압모듈을 연통시켜 피스톤(341a)에 결합된 승강바(341)의 유로(351ca)를 감압시킬 수 있다.
피스톤(341a)과 결합된 승강바(351)의 유로(351ca)란 피부착물로 공급하고자 하는 장식구(60)가 수용된 장식구 공급유닛(330)의 부위를 의미함은 당연하다.
진공전환유닛(400)은 분배블럭(410), 지지블럭(420) 및 연통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블럭(410)은 연결브라켓(451)을 매개로 슬라이딩블럭(343)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딩블럭(343)과 함께 슬라이딩할 수 있다. 분배블럭(410)에는 승강바(351)의 개수와 대응되며 소정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제1연통공(4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제1연통공(411)은 분배블럭(410)을 통과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제1연통공(411)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은 분배블럭(410)의 외측과 연통될 수 있다.
각 제1연통공(411)의 일단부측은 각각의 승강바(351)의 유로(351ca)와 연통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승강바(351)의 연통로(351ba)는 각각의 연결호스(453)의 일측과 연통될 수 있고, 분배블럭(410)의 각각의 제1연통공(411)의 일단부측은 각각의 연결호스(453)의 타측과 연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각의 제1연통공(411)과 각각의 승강바(351)의 유로(351ca)는 연통될 수 있다. 제1연통공(411)의 타단부측은 연통부재(430)를 매개로 상기 감압모듈과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지지블럭(420)은 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 지지공(421)이 형성될 수 있다.
연통부재(430)는 중공체(中空體)로 형성되어 지지공(421)에 삽입 지지될 수 있다. 연통부재(430)의 일면은 개방되어 지지공(421)의 일측을 매개로 상기 감압모듈과 연통될 수 있고, 타면은 지지공(42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어느 하나의 제1연통공(411)의 타단부측과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즉, 연통부재(430)의 타면은 슬라이딩블럭(343)과 함께 분배블럭(410)이 슬라이딩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제1연통공(411)의 타단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연통부재(430)와 연통되는 제1연통공(411)은 피스톤(341a)과 연결된 승강바(351)의 유로(351ca)와 연통된 제1연통공(411)이어야 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연통부재(430)의 타면에는 연통부재(430)의 내외측과 연통되며 제1연통공(411)의 타단부측과 연통되는 제2연통공(4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복수의 승강바(351) 중, 피스톤(341a)과 연결된 어느 하나의 승강바(351)의 유로(351ca)가 상기 감압모듈에 의하여 감압되므로, 피스톤(341a)과 연결된 어느 하나의 승강바(351)의 지지누름바(351c)가 장식구(60)를 흡착하여 지지한 다음, 피부착물(50)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지지블럭(420)에 대하여 분배블럭(410)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분배블럭(410)과 지지블럭(420)은 상호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다.
제1연통공(411)의 타단부측과 연통부재(430)의 타면이 연통되었을 때, 제1연통공(411)과 연통부재(430)의 접촉 부위를 통하여 압력이 누설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통부재(430)의 타면은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연통공(411)의 타단부에는 연통부재(430)의 타면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제2연통공(431) 외측의 연통부재(430)의 타면이 삽입 접촉되는 함몰홈(4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공(421)에는 연통부재(430)를 제1연통공(411)의 타단부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4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연통공(431)의 직경은 제1연통공(411)의 타단부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1연통공(411)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전환유닛(400)은 상이한 크기의 장식구(60)를 각각 공급하는 장식구 공급유닛(330)의 승강바(351) 중, 피스톤(341a)과 결합된 승강바(351)의 유로(351ca)만을 자동으로 감압할 수 있다. 즉, 상이한 크기의 장식구(60)가 구획 수용된 장식구 공급유닛(330)의 부위중, 공급하고자 하는 장식구(60)가 수용된 장식구 공급유닛(330)의 부위만을 자동으로 감압할 수 있다. 그러므로,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감압모듈을 하나만 설치하여 공급하고자 하는 장식구(60)가 수용된 장식구 공급유닛(330)의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감압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전환유닛(400)의 동작에 대하여 도 7a 및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전환유닛이 장식구 공급유닛에 설치된 상태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361)의 지지판(361b)에 승강바(351)(도 4 참조)의 걸림테(351ac)(도 4 참조)가 지지되어 있고, 각각의 수용블럭(345)에 상호 상이한 크기의 장식구(60)(도 4 참조)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최초의 상태라 가정한다.
최초의 상태에서는 실린더(341)의 피스톤(341a)(도 4 참조)과 어느 하나의 승강바(351)가 상호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고, 결합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수용블럭(345)에 수용된 장식구(60)는 스토퍼(347)(도 4 참조)에 지지되므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고, 승강바(351)의 지지누름바(351c)(도 4 참조)의 하단부는 장식구(60)의 상측에 위치된다.
최초의 상태에서, 공급하고자 하는 장식구(60)가 수용된 수용블럭(345)의 상측에 위치된 승강바(351)에 피스톤(341a)이 결합되도록 슬라이딩블럭(343)을 슬라이딩시킨다.
그러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블럭(343)과 함께 진공전환유닛(400)의 분배블럭(410)이 슬라이딩하고, 이로 인해 연통부재(430)는 피스톤(341a)과 연결된 승강바(351)의 유로(351ca)(도 4 참조)와 연통된 제1연통공(411)(도 4 참조)의 타단부측과 연통된다. 그러면, 피스톤(341a)과 연결된 승강바(351)의 유로(351ca)가 상기 감압모듈에 의하여 감압되므로, 피스톤(341a)과 연결된 승강바(351)가 장식구(60)를 흡착하여 지지한 다음, 피부착물(50)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부착핀 공급장치
300: 장식구 공급장치
400: 진공전환유닛
410: 분배블럭
420: 지지블럭
430: 연통부재

Claims (4)

  1. 상이한 크기의 장식구를 크기별로 구획 수용하며 수용된 장식구를 선택적으로 피부착물로 공급하는 장식구 공급유닛; 장식구가 수용된 상기 장식구 공급유닛측을 감압시키는 감압모듈; 피부착물로 공급하고자 하는 장식구가 수용된 상기 장식구 공급유닛의 부위만이 감압되도록 상기 장식구 공급유닛과 상기 감압모듈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진공전환유닛을 포함하는 장식구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공전환유닛은,
    상기 장식구 공급유닛에 설치되며, 일단부측이 장식구가 구획 수용된 상기 장식구 공급유닛측과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제1연통공이 형성된 분배블럭;
    지지공이 형성된 지지블럭;
    상기 지지공에 삽입 지지되며, 일면은 상기 감압모듈과 연통되고 타면은 복수의 상기 제1연통공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연통공의 타단부측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연통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1연통공과 장식구가 구획 수용된 상기 장식구 공급유닛측은 연결호스에 의하여 각각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통공은 상기 분배블럭을 통과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상기 분배블럭의 외측과 각각 연통되며,
    상기 분배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은 상호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분배블럭 또는 상기 지지블럭이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연통부재의 타면은 피부착물로 공급하고자 하는 장식구가 수용된 상기 장식구 공급유닛의 부위와 연통된 상기 제1연통공의 타단부측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재는 일면은 개방되고 타면에는 상기 연통부재의 내외측과 연통되면서 상기 제1연통공의 타단부측과 연통되는 제2연통공이 형성된 중공체(中空體)로 형성되고,
    상기 연통부재의 타면은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연통공의 타단부측에는 상기 연통부재의 타면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연통공 외측의 상기 연통부재의 타면이 삽입 접촉되는 함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공에는 상기 연통부재의 타면을 상기 제1연통공의 타단부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KR2020160003978U 2016-07-11 2016-07-11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KR2004860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978U KR200486059Y1 (ko) 2016-07-11 2016-07-11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978U KR200486059Y1 (ko) 2016-07-11 2016-07-11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07U KR20180000207U (ko) 2018-01-19
KR200486059Y1 true KR200486059Y1 (ko) 2018-03-28

Family

ID=61279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978U KR200486059Y1 (ko) 2016-07-11 2016-07-11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05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386B1 (ko) 2011-07-13 2014-02-20 이순녀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KR101365299B1 (ko) 2012-06-05 2014-02-27 이순녀 장식구 부착 장치
KR101470937B1 (ko) 2013-05-31 2014-12-12 김상영 장식구 부착장치의 흡착노즐 유니트
KR101643100B1 (ko) * 2015-07-09 2016-08-10 이순녀 장식구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386B1 (ko) 2011-07-13 2014-02-20 이순녀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KR101365299B1 (ko) 2012-06-05 2014-02-27 이순녀 장식구 부착 장치
KR101470937B1 (ko) 2013-05-31 2014-12-12 김상영 장식구 부착장치의 흡착노즐 유니트
KR101643100B1 (ko) * 2015-07-09 2016-08-10 이순녀 장식구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07U (ko) 2018-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386B1 (ko)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KR101001386B1 (ko) 인서트너트 정렬 공급시스템
KR101643100B1 (ko) 장식구 공급장치
TWI644733B (zh) Liquid material discharge device and coating method
KR200486059Y1 (ko)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EP2124524B1 (en) Dip cup
KR200484565Y1 (ko)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KR101274320B1 (ko) 장식구 부착장치
KR101365299B1 (ko) 장식구 부착 장치
KR101497400B1 (ko) 직물용 장식구슬 부착장치
CN210150051U (zh) 一种气动控制式建筑装饰板货架
KR960015981B1 (ko)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CN207536215U (zh) 高效率的玻璃盖板取料装盒装置
KR101306511B1 (ko) 흘러내림 예방 디스펜스 펌프 장치
CN207223337U (zh) 一种汽车换档器底座装配装置
KR102204326B1 (ko) 컵 홀더
KR101465779B1 (ko) 장식구 부착장치
JP6294595B2 (ja) ピッキング装置
KR102164809B1 (ko) 용기 제조 방법 및 용기 제조 장치
KR200487630Y1 (ko) 장식구 공급장치
KR101459339B1 (ko) 장식구 부착장치
CN209866400U (zh) 一种用于led广告牌生产的上色喷涂装置
KR200461149Y1 (ko) 찡 부착기용 가압장치
KR101424933B1 (ko) 장식구 부착장치
KR20050097628A (ko) 스터드 코킹프레스의 스터드자동공급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