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933B1 - 장식구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장식구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933B1
KR101424933B1 KR1020130072834A KR20130072834A KR101424933B1 KR 101424933 B1 KR101424933 B1 KR 101424933B1 KR 1020130072834 A KR1020130072834 A KR 1020130072834A KR 20130072834 A KR20130072834 A KR 20130072834A KR 101424933 B1 KR101424933 B1 KR 101424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base block
attachment pin
attachment
receiv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녀
임태중
Original Assignee
이순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녀 filed Critical 이순녀
Priority to KR1020130072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0Decorating textiles by treatment with, or fixation of, a particulate material, e.g. mica, glass be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31Methods for making patterns on fabrics, e.g. by application of powder dye, moiréing, embo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장식구 부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구 부착장치는, 일렬로 정렬된 부착핀들 중, 최외곽에 위치된 하나의 부착핀을 흡착한 다음 장식구로 이송하고, 최외곽에 위치된 하나의 부착핀을 장식구로 이송하기 위하여 흡착할 때, 간단한 구조의 차단부가 다른 부착핀을 차단한다. 따라서, 장식구 부착장치의 부피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식구 부착장치 {APPARATUS FOR ATTACHING ORNAMENT}
본 발명은 두께가 두꺼운 피부착물(被俯着物)에 장식구를 부착하기 위한 장식구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 신발 또는 가방 등과 같은 피부착물(被俯着物)에는 피부착물의 외관을 장식하기 위한 장식구가 부착되고, 장식구는 장식구 부착장치에 의하여 피착물에 부착된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부착핀의 사시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의 몸체(11)와 몸체(11)의 외주면에서 벤딩 형성되어 몸체(11)와 대략 수직을 이루는 복수의 고정침(15)을 포함하는 부착핀(10)은 의류 등과 같은 얇은 피부착물에 장식구를 부착할 때 사용된다.
그리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의 머리부(21)와 머리부(21)에서 연장 형성된 고정침(23)과 고정침(23)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25)를 포함하는 부착핀(20)은 피혁 등과 같은 두꺼운 피부착물에 장식구를 부착할 때 사용된다.
그리고, 장식구 부착장치는 피부착물로 장식구를 공급하는 장식구 공급부, 상기 장식구가 피부착물에 부착되도록 피부착물을 뚫고서 상기 장식구에 박히는 부착핀을 공급하는 부착핀 공급부를 포함한다.
그런데, 두꺼운 피부착물에 사용되는 부착핀(20)의 경우에는, 부착핀(20)의 구조상, 부착핀(20)을 연속적으로 한개씩 순차적으로 공급해주기 위한 상기 부착핀 공급부의 구조가 복잡하다.
이로 인해, 종래의 장식구 부착장치는 부피가 큰 단점이 있다.
장식구 부착장치와 관련한 선행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652112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식구 부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구 부착장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며 피부착물(被俯着物)의 상측에서 장식구를 상기 피부착물로 공급하는 장식구 공급부;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상면측에는 상기 피부착물이 놓여서 통과하며, 상기 피부착물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부착핀을 공급하여 상기 피부착물을 뚫고서 상기 장식구에 박히게 하는 부착핀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핀 공급부는, 상기 부착핀을 자신의 일측으로 전달받아 일렬로 정렬하여 자신의 타측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 상기 제1이송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이송부의 타단부 최외측에 위치된 상기 부착핀을 흡인한 후 상기 장식구로 공급하여 상기 장식구에 박히게 하는 제2이송부; 상기 제1이송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이송부의 타단부 최외측에 위치된 상기 부착핀이 상기 제2이송부에 흡인될 때, 상기 제1이송부의 타단부 최외측에 위치된 상기 부착핀과 인접하는 다른 상기 부착핀이 상기 제2이송부로 흡인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구 부착장치는, 일렬로 정렬된 부착핀들 중, 최외곽에 위치된 하나의 부착핀을 흡착한 다음 장식구로 이송하고, 최외곽에 위치된 하나의 부착핀을 장식구로 이송하기 위하여 흡착할 때, 간단한 구조의 차단부가 다른 부착핀을 차단한다. 따라서, 장식구 부착장치의 부피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부착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 부착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착핀 공급부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분해 확대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에 도시된 부착핀 공급부의 동작을 보인 일부 절개 개략 평면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호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특정 구조 및 특정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길이, 면적, 두께 및 형태는, 편의상,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 부착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 부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 부착장치는 두께가 두꺼운 피혁 등과 같은 피부착물(被俯着物)(50)(도 5a 참조)의 표면에 부착핀(60)을 이용하여 장식용 장식구(미도시)를 부착하는 장치로서, 지지부재(100), 부착핀 공급부(200) 및 장식구 공급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00)는 테이블(미도시)등의 상면에 탑재되는 받침블럭(110), 받침블럭(110)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블럭(120) 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지지부재(100)를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받침블럭(110)을 기준으로, 받침블럭(110)의 수직 방향 상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 받침블럭(110)의 수직 방향 하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
부착핀 공급부(200)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착핀 공급부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 분해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핀(60)은 원판형의 머리부(61)와 머리부(61)에서 연장 형성된 고정침(63)과 고정침(63)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부(61)는 피부착물(50)의 이면과 접촉하여 걸리고, 고정침(63)은 피부착물(50) 및 상기 장식구를 관통하며, 걸림부(65)는 상기 장식구를 관통하여 상기 장식구에 걸린다. 이로 인해, 부착핀(60)이 피부착물(50)을 관통하여 상기 장식구에 박혔을 때, 부착핀(60)이 상기 장식구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상기 장식구가 피부착물(50)에 부착된다.
부착핀 공급부(200)는 제1이송부(210), 제2이송부(230) 및 차단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이송부(210)는 부착핀(60)을 자신의 일측으로 전달받아 일렬로 정렬하여 자신의 타측으로 이송한다. 이를 위하여, 제1이송부(210)는 베이스블럭(2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이스블럭(212)의 상면에는 이송로(214)가 형성된다. 이송로(214)는 부착핀(60)을 수용하여 일렬로 정렬시킴과 동시에 부착핀(60)의 이송경로를 이룬다.
부착핀(60)은 머리부(61)가 하측을 향하면서 이송로(214)에 수용되며, 걸림부(65)가 상측을 향한다. 따라서, 이송로(214)의 폭은 부착핀(60)의 머리부(61)의 직경과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핀 공급부(200)는 제1이송부(210)의 상측에 위치되어 부착핀(60)의 머리부(61)가 하측을 향하고, 걸림부(65)가 상측을 향하도록 정렬한 후, 하나씩 이송로(214)의 일측으로 공급하는 정렬/공급부(270)(도 2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정렬/공급부(270)와 이송로(214)의 일측은 연통된다. 이때, 정렬/공급부(270)가 이송로(214)의 상측에 위치되므로, 정렬/공급부(270)에서 이송로(214)로 이송된 부착핀(60)들은 상측에 위치된 정렬/공급부(270)의 부착핀(60)들에 의하여 밀려서 이송로(214)를 따라 이송로(214)의 타측으로 이송된다.
제2이송부(230)는 제1이송부(210)의 베이스블럭(212)에 설치되며, 이송로(214)의 타단부 최외측에 위치된 부착핀(60)을 흡인한 다음, 피부착물(50)의 상측에서 공급되는 상기 장식구로 공급한다. 그러면, 부착핀(60)이 피부착물(50)을 관통하여 상기 장식구에 박힌다.
제2이송부(230)는 수용공(231)과 실린더(23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공(231)은 이송로(214)의 타단부와 대응되는 베이스블럭(212)의 부위에 형성되어 이송로(214)와 연통되며 이송로(214)의 타단부 최외측에 위치된 부착핀(60)을 수용한다. 수용공(231)은 장식구 공급부(300)에서 공급되는 상기 장식구의 직하방에 위치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실린더(233)는 베이스블럭(212)의 하면에 설치되며, 실린더(233)의 피스톤(233a)의 상단부측은 수용공(231)에 삽입된다. 피스톤(233a)은 수용공(231)에 수용된 부착핀(60)의 머리부(61)을 받쳐서 지지함과 동시에, 부착핀(60)을 상기 장식구로 공급한다.
이송로(214)의 타단부 최외측에 위치된 부착핀(60)이 수용공(231)에 용이하게 낙하하여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231)에 삽입된 피스톤(233a)의 부위는 중공체(中空體)로 형성되어 내부가 진공펌프(238)측과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233a)은 하측 부위가 실린더(233)에 내장된 제1피스톤(233aa)과 하측 부위는 제1피스톤(233aa)의 상측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측 부위는 수용공(231)에 삽입된 제2피스톤(233a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피스톤(233ab)은 중공체로 형성되어 내부가 진공펌프(238)측과 연통된다.
제1피스톤(233aa)과 제1피스톤(233aa)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면, 부착핀(60)의 크기에 따라, 부착핀(60)의 크기와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 제1피스톤(233aa)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피부착물(50)은 수용공(231)과 이송로(214)의 타단부측 부위 상측을 통과한다. 그런데, 수용공(231)과 이송로(214)가 외부로 노출되면, 수용공(231)에 수용된 부착핀(60)과 이송로(214)의 타단부측 부위에 위치된 부착핀(60)이 피부착물(50)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용공(231)이 형성된 베이스블럭(212)의 부위에는 수용공(231)과 이송로(214)의 타단부측 부위를 덮는 커버(235)가 결합될 수 있고, 커버(235)의 상면을 피부착물(50)이 통과한다. 이때, 커버(235)에는 수용공(231)과 연통되는 연통공(235a)이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차단부(250)는 제1이송부(210)의 베이스블럭(212)에 설치된다. 그리하여, 제1이송부(210)의 이송로(214)의 타단부 최외측에 위치된 부착핀(60)이 제2이송부(230)의 수용공(231)측으로 흡입될 때, 이송로(214)의 타단부 최외측에 위치된 부착핀(60)과 인접하는 다른 부착핀(60)이 수용공(231)측으로 흡인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차단부(250)는 부착핀(60)이 하나씩 수용공(231)으로 이송되게 하며, 가동바(251), 피스톤(253)을 가지는 실린더 및 차단부재(255)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바(251)는 중앙부측이 베이스블럭(212)의 일측면에 힌지 지지되며, 베이스브럭(212)에 지지된 부위를 기준으로 양단부측이 베이스블럭(212)과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시소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는 베이스블럭(212)에 설치되고, 피스톤(253)의 단부측은 베이스블럭(21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가동바(251)의 일단부측과 연결된다. 이때, 피스톤(253)의 길이방향은 이송로(214)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피스톤(253)이 직선운동함에 따라 가동바(251)는 자신의 중앙부측을 기준으로 시소형태로 운동한다.
차단부재(255)는 일측은 베이스블럭(212)의 외측에 위치되어 가동바(251)의 타단부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베이스블럭(212)에 삽입 설치된다. 그리하여, 피스톤(253)에 의하여 가동바(251)가 운동함에 따라 차단부재(255)의 타단부측이 이송로(214)를 출입하면서 이송로(214)의 타단부 최외측에 위치된 부착핀(60)이 수용공(251)에 흡인될 때, 이송로(214)의 타단부 최외측에 위치된 부착핀(60)과 인접하는 다른 부착핀(60)을 차단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단부재(255)는 머리부(255a)와 차단바(255b)(도 5a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부(255a)는 베이스블럭(212)의 외측에 위치되어 일측이 가동바(251)와 연결되고, 차단바(255b)는 머리부(255a)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베이스블럭(212)에 삽입된다. 이때, 베이스블럭(212)에는 차단바(255b)가 삽입되는 안내로(256)가 형성되고, 안내로(256)는 이송로(214)와 직교하면서 이송로(214)와 연통된다. 그리하여, 가동바(251)가 운동함에 따라 차단바(255b)가 안내로(256)를 따라 운동하고, 이로 인해 차단바(255b)의 단부측은 이송로(214)를 출입하면서 부착핀(60)을 차단한다.
차단바(255b)가 이송로(241)측으로 소정 이상 돌출되면 차단바(255b)의 단부가 이송로(214)를 형성하는 베이스블럭(212)의 면에 부딪혀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253)의 행정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하면 된다. 즉, 피스톤(253)이 상사점의 위치에 위치하였을 때, 차단바(255b)의 단부가 이송로(214)를 형성하는 베이스블럭(212)의 면에 부딪히지 않고 거의 인접하도록 피스톤(253)의 행정거리를 조절하면 된다. 차단바(255b)의 외면에는 일측은 머리부(255a)에 지지되고 타측은 베이스블럭(212)에 지지되어 차단부재(255)를 베이스블럭(212)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58)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 공급부(300)는 상기 장식구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공급한다. 장식구 공급부(300)의 구성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74320호에 개시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에 도시된 부착핀 공급부의 동작을 보인 개략 평면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부착핀(60)을 정렬/공급부(270)(도 2 참조)에 투입하면, 정렬/공급부(270)는 부착핀(60)의 머리부(61)가 하측을 향하고 걸림부(65)가 상측을 향하도록 부착핀(60)을 정렬하여 부착핀(60)을 제1이송부(210)의 이송로(214)로 공급한다.
그러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핀(60)은 이송로(214)에서 일렬로 정렬됨과 동시에, 이송로(214)의 상측에 위치된 정렬/공급부(270)에서 공급되는 부착핀(60)들에 의하여 밀려서 제2이송부(230)의 수용공(231)측으로 이송된다. 그리하여, 부착핀(60)이 제2이송부(230)의 수용공(231)과 접하는 이송로(214)의 타단부까지 이송된다.
정렬/공급부(207)에서 이송로(214)의 타단부까지 부착핀(60)을 이송하는 동안에는 제2이송부(230)의 실린더(233)의 피스톤(233a)이 상승하여 부착핀(60)이 수용공(231)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착핀(60)이 이송로(214)의 타단부측까지 이송되어 있고, 피스톤(233a)이 하강한, 도 5a에 도시된 상태를 최초의 상태라 가정한다.
최초의 상태에서, 제2이송부(230)의 진공펌프(238)를 가동함과 동시에 차단부(250)의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253)을 상사점으로 운동시킨다.
그러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로(214)의 타단부에 위치된 부착핀(60)이 제2이송부(230)의 수용공(231)에 수용되어 제2이송부(230)의 실린더(233)의 피스톤(233a)의 상면에 흡착된다. 도 5b에 도시된 상태는 피스톤(233a)의 상면에 부착핀(60)이 흡착된 상태이므로, 부착핀(60)에 의하여 피스톤(233a)이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가동바(251)에 의하여 차단부재(255)의 차단바(255b)의 단부측이 안내로(256)를 통과하여 이송로(214)로 돌출된다. 그러면, 이송로(214)의 타단부에 위치된 부착핀(60)과 인접하는 부착핀(60)이 차단바(255b)에 걸리므로, 수용공(231)으로 이송되지 못한다.
그 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송부(230)의 실린더(233)의 피스톤(233a)이 상사점으로 운동하고, 이로 인해 부착핀(60)이 피부착물(50)을 관통하여 장식구(60)에 박히게 된다. 도 5c에 도시된 상태는 피스톤(233a)에 흡착된 부착핀(60)이 상기 장식구에 박혔으므로, 피스톤(233a)의 상면에는 부착핀(60)이 존재하지 않는다.
부착핀(60)이 상기 장식구에 박히는 순간, 진공펌프(238)의 압력이 피스톤(233a)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피스톤(233a)에 부착핀(60)을 흡착하여, 부착핀(60)을 상기 장식구측으로 이송하는 동안 진공펌프(238)의 압력이 피스톤(233a)에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250)의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253)은 하사점으로 운동하고, 제2이송부(230)의 실린더(233)의 피스톤(233a)도 하사점으로 운동한다. 그러면, 가동바(251) 및 탄성부재(258)에 의하여 차단부재(255)의 차단바(255a)의 단부측이 안내로(256)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차단바(255a)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던 부착핀(60)은 다른 부착핀(60)들에 의하여 밀려서 이송로(214)의 타단부로 이송된다.
차단바(255a)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던 부착핀(60)이 이송로(214)의 타단부로 이송될 때, 제2이송부(230)의 피스톤(233a)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운동한다. 즉, 차단바(255a)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다가 이송로(214)의 타단부로 이송된 부착핀(60)은 피스톤(233a)에 의하여 막혀서 수용공(231)으로 수용되지 못하고, 피스톤(233a)이 하사점에 위치되면 진공펌프(238)측의 압력에 의하여 수용공(231)에 수용되어 피스톤(233a)의 상면에 흡착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의 반복에 의하여 부착핀(60)이 상기 장식구로 공급되어 상기 장식구에 박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장식구가 피부착물(50)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 부착장치는 일렬로 정렬된 부착핀들 중, 최외곽에 위치된 하나의 부착핀을 흡착한 다음 장식구로 이송하고, 최외곽에 위치된 하나의 부착핀을 장식구로 이송하기 위하여 흡착할 때, 간단한 구조의 차단부가 다른 부착핀을 차단한다. 따라서, 부피가 감소된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도면은 자세한 윤곽 라인을 생략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속하는 부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으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된 기술사항을 이해하기 위한 참조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50: 피부착물
60: 부착핀
200: 부착핀 공급부
210: 제1이송부
230: 제2이송부
250: 차단부

Claims (8)

  1.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며 피부착물(被俯着物)의 상측에서 장식구를 상기 피부착물로 공급하는 장식구 공급부;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상면측에는 상기 피부착물이 놓여서 통과하며, 상기 피부착물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부착핀을 공급하여 상기 피부착물을 뚫고서 상기 장식구에 박히게 하는 부착핀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핀 공급부는,
    상기 부착핀을 자신의 일측으로 전달받아 일렬로 정렬하여 자신의 타측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
    상기 제1이송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이송부의 타단부 최외측에 위치된 상기 부착핀을 흡인한 후 상기 장식구로 공급하여 상기 장식구에 박히게 하는 제2이송부;
    상기 제1이송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이송부의 타단부 최외측에 위치된 상기 부착핀이 상기 제2이송부에 흡인될 때, 상기 제1이송부의 타단부 최외측에 위치된 상기 부착핀과 인접하는 다른 상기 부착핀이 상기 제2이송부로 흡인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핀 공급부는 상기 제1이송부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부착핀을 정렬한 후 하나씩 상기 제1이송부를 공급하는 정렬/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부착핀을 수용하여 일렬로 정렬시킴과 동시에 상기 부착핀의 이송경로를 이루는 이송로가 상면에 형성된 베이스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로의 일측은 상기 정렬/공급부와 연통되고, 타단부측은 상기 제2이송부와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이송로의 타단부와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블럭의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로와 연통되며 상기 이송로의 타단부 최외측에 위치된 상기 부착핀을 수용하는 수용공;
    상기 베이스블럭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공에 수용된 상기 부착핀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장식구로 공급하는 피스톤을 가지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에 삽입된 상기 피스톤의 부위는 중공체(中空體)로 형성되어 내부가 진공펌프측과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실린더에 일측이 내장된 제1피스톤;
    상기 제1피스톤의 타측에 일측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중공체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에 삽입되며 내부가 상기 진공펌프측과 연통된 제2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블럭의 부위에는 상기 수용공과 상기 이송로의 타단부측 부위를 덮는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수용공과 연통된 연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베이스블럭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양단부측이 상기 베이스블럭과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시소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지지 설치된 가동바;
    상기 베이스블럭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바의 일단부측과 연결된 피스톤을 가지면서 상기 가동바를 운동시키는 실린더;
    일측은 상기 베이스블럭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가동바의 타단부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이송로와 연통되게 상기 베이스블럭에 형성된 안내로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가동바가 운동함에 따라 자신의 타단부측이 상기 이송로를 출입하면서 상기 제1이송부의 타단부 최외측에 위치된 상기 부착핀이 상기 제2이송부에 흡인될 때, 상기 제1이송부의 타단부 최외측에 위치된 상기 부착핀과 인접하는 다른 상기 부착핀을 차단하여 상기 제2이송부로 흡인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베이스블럭의 외측에 위치되어 일측이 상기 가동바와 연결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블럭에 삽입된 차단바를 가지고,
    상기 차단바의 외면에는 상기 차단부재를 상기 베이스블럭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 부착장치.
KR1020130072834A 2013-06-25 2013-06-25 장식구 부착장치 KR101424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834A KR101424933B1 (ko) 2013-06-25 2013-06-25 장식구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834A KR101424933B1 (ko) 2013-06-25 2013-06-25 장식구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4933B1 true KR101424933B1 (ko) 2014-08-01

Family

ID=51749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834A KR101424933B1 (ko) 2013-06-25 2013-06-25 장식구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9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513A (ko) * 2007-01-19 2008-07-23 이상재 액세서리 부착기
KR101016491B1 (ko) 2010-10-26 2011-02-28 이순녀 핫픽스 자동 배열장치
KR101042668B1 (ko) 2008-09-17 2011-06-20 이순철 찡 부착기
KR20130009610A (ko) * 2011-07-13 2013-01-23 이순녀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513A (ko) * 2007-01-19 2008-07-23 이상재 액세서리 부착기
KR101042668B1 (ko) 2008-09-17 2011-06-20 이순철 찡 부착기
KR101016491B1 (ko) 2010-10-26 2011-02-28 이순녀 핫픽스 자동 배열장치
KR20130009610A (ko) * 2011-07-13 2013-01-23 이순녀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386B1 (ko)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CN103757836B (zh) 绣珠送料装置及使用该装置的绣花机
KR101424933B1 (ko) 장식구 부착장치
HK1100760A1 (en) Capsule-holder for a device for preparing a drink from a capsule by injection of a pressurized fluid
KR101274320B1 (ko) 장식구 부착장치
KR101365299B1 (ko) 장식구 부착 장치
KR101465779B1 (ko) 장식구 부착장치
CN207658642U (zh) 一种有头工件的自动整列装置
CN203683901U (zh) 送料机构
KR101643100B1 (ko) 장식구 공급장치
KR101497400B1 (ko) 직물용 장식구슬 부착장치
CN203683904U (zh) 一种绣珠送料装置
KR101530228B1 (ko) 장식구의 손상을 방지하는 장식구 부착장치
KR101433069B1 (ko) 장식구 부착장치
KR101670284B1 (ko) 단추 및 장식구의 고리 부착장치
KR101571969B1 (ko) 장식구 부착장치
CN108100628A (zh) 一种有头工件的自动整列装置
KR200486059Y1 (ko)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KR101741040B1 (ko) 옆 고리 단추용 자동 재봉장치
KR101459339B1 (ko) 장식구 부착장치
TWM287449U (en) Display device for machine use
SG10201805196XA (en) Nozzle tip adapter, nozzle assembly as well as nozzle
KR200487181Y1 (ko) 장식구 하향 방지 장치
KR200484565Y1 (ko)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KR101303742B1 (ko) 스팡글 봉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