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386B1 -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386B1
KR101365386B1 KR1020120058588A KR20120058588A KR101365386B1 KR 101365386 B1 KR101365386 B1 KR 101365386B1 KR 1020120058588 A KR1020120058588 A KR 1020120058588A KR 20120058588 A KR20120058588 A KR 20120058588A KR 101365386 B1 KR101365386 B1 KR 101365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bar
support
attachment pin
be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9610A (ko
Inventor
이순녀
임태중
Original Assignee
이순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녀 filed Critical 이순녀
Publication of KR20130009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는, 구슬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공급되고, 구슬을 피부착물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핀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급되므로, 구슬이 부착되는 피부착물의 표면을 상측으로 향하게 하여 작업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착물에 구슬을 부착하는 작업이 대단히 편리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구슬 공급부로 유입되는 구슬의 크기에 따라, 구슬을 정렬하는 정렬관 및 구슬을 눌러서 지지하는 누름바를 각각 적절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크기의 구슬을 피부착물에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구슬 공급부의 지지블럭에 세트를 이루는 실린더와 누름지지부와 정렬부가 복수 개 설치되므로, 하나의 구슬 공급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구슬을 연속으로 공급하여 피부착물에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블럭을 슬라이딩시켜 부착하고자 하는 구슬과 대응되게 설치된 연결바를 플런저와 결합시키면 부착하고자 하는 구슬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대단히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APPARATUS FOR ATTACHING DECORATION BEAD}
본 발명은 피부착물(被俯着物)을 사이에 두고, 피부착물에 부착되는 구슬을 상측에서 공급하고 구슬을 피부착물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핀을 하측에서 공급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또는 가방 등과 같은 피부착물(被俯着物)에는 피부착물의 외관을 장식하기 위한 장식용 구슬이 부착된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9-0012855호에 개시된 종래의 "장식용 구슬 부착장치"는 고정 베이스(2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회동판(10)이 설치되고, 회동판(10)에는 구슬(2)이 위치되는 구슬 위치부(16a, 16b)가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판(10)의 하측에는 구슬(30)을 구슬 위치부(16a, 16b)로 공급하는 구슬 이동부재(30)가 설치되고, 회동판(10)의 상측에는 부착핀(1)을 구슬 위치부(16a, 16b)로 공급하는 핀 이동부재(40)가 설치된다. 회동판(10)의 상면에는 피부착물(被俯着物)인 의류 등이 놓인다.
구슬(2)을 의류에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의류를 기준으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구슬(30)이 공급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부착핀(1)이 공급된다. 그리고, 부착핀(1)의 일측이 의류를 통과하여 구슬(2)에 박힘으로 인하여 구슬(2)이 의류에 부착된다.
구슬(2)이 의류의 표면(表面)에 부착되어야, 구슬(2)이 외부로 노출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식용 구슬 부착장치는, 의류를 기준으로, 하측에서 구슬(2)이 공급되고, 상측에서 부착핀(1)이 공급된다. 그러므로, 의류의 표면이 하측을 향하고 이면(裡面)이 상측을 향하도록 놓아야, 의류의 표면에 구슬(2)이 부착된다. 이로인해, 의류를 뒤집어서 구슬(2)을 부착하는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대단히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착물을 기준으로, 구슬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공급하고, 구슬을 피부착물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핀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급함으로써, 편리하게 구슬을 피부착물에 부착할 수 있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침을 가지는 부착핀을 이용하여 피부착물(被俯着物)에 구슬을 부착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에 있어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상면측에는 상기 피부착물이 놓여서 통과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부착핀을 전달받아 이송한 후, 상기 부착핀을 상기 피부착물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급하는 부착핀 공급부;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부착핀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부착핀의 상기 고정침이 상기 구슬에 박혀서 상기 구슬이 상기 피부착물에 부착되도록, 외부로부터 상기 구슬을 전달받아 상기 부착핀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부착핀의 공급 방향과 대응되는 부위로 상기 구슬을 상기 피부착물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공급하여 지지하는 구슬 공급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는, 구슬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공급되고, 구슬을 피부착물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핀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급되므로, 구슬이 부착되는 피부착물의 표면을 상측으로 향하게 하여 작업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착물에 구슬을 부착하는 작업이 대단히 편리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구슬 공급부로 유입되는 구슬의 크기에 따라, 구슬을 정렬하는 정렬관 및 구슬을 눌러서 지지하는 누름바를 각각 적절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크기의 구슬을 피부착물에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구슬 공급부의 지지블럭에 세트를 이루는 실린더와 누름지지부와 정렬부가 복수 개 설치되므로, 하나의 구슬 공급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구슬을 연속으로 공급하여 피부착물에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블럭을 슬라이딩시켜 부착하고자 하는 구슬과 대응되게 설치된 연결바를 플런저와 결합시키면 부착하고자 하는 구슬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대단히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착핀 공급부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Ⅲ-Ⅲ"선 단면도 및 "Ⅳ-Ⅳ선 결합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도 2에 도시된 부착핀 공급부의 동작을 보인 개략 정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구슬 공급부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의 개략 정단면도.
도 9a 내지 도 9d는 도 6에 도시된 구슬 공급부의 동작을 보인 개략 정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부착핀 공급부의 확대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분해 사시도.
도 14a 내지 도 14d는 도 12에 도시된 부착핀 공급부의 동작을 보인 개략 정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구슬 공급부의 확대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분해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Ⅴ-Ⅴ"선 결합 단면도.
도 19a 내지 도 19d는 도 16에 도시된 부착핀 공급부의 동작을 보인 개략 정단면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호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특정 구조 및 특정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길이, 면적, 두께 및 형태는, 편의상,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는, 의류 또는 가방 등과 같은 피부착물(被俯着物)(50)(도 5a 및 도 9a 참조)의 표면에 부착되는 장식용 구슬(60)을 부착핀(70)으로 부착하는 장치로서, 지지부재(100), 부착핀 공급부(200) 및 구슬 공급부(30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00)는 테이블(미도시) 등의 상면에 탑재되는 받침판(110), 받침판(110)의 상면 대략 중앙부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판(120) 및 수직판(120)의 상단부에서 벤딩 형성된 연장판(130)을 가진다.
이하, 지지부재(100)를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받침판(110)을 기준으로, 받침판(110)의 수직 방향 상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 받침판(110)의 수직 방향 하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착핀 공급부(200)는 지지부재(100)의 받침판(110)에 결합되고, 상면에는 피부착물(50)이 놓여서 통과하며, 외부로부터 부착핀(70)을 전달받아 이송한 다음, 부착핀(70)을 피부착물(5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급한다.
부착핀 공급부(2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착핀 공급부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Ⅲ-Ⅲ"선 단면도 및 "Ⅳ-Ⅳ선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핀(70)(도 1 참조)은 원판형의 몸체(71), 몸체(71)의 외주면에서 벤딩 형성되며 몸체(71)와 대략 수직을 이루는 복수의 고정침(73)을 포함한다. 그리고, 부착핀(70)은 고정침(73)이 하측을 향하는 형태로 안내레일(80)에 걸려서 부착핀 공급부(200)로 전달된다.
고정침(73)이 하측을 향하는 상태로 부착핀(70)이 부착핀 공급부(200)로 전달된 다음, 고정침(73)이 하측을 향하는 상태로 부착핀(70)이 부착핀 공급부(200)에 의하여 상측으로 공급되면, 편평한 몸체(71)가 피부착물(50)에 부딪히게 된다. 그러면, 부착핀(70)이 피부착물(50)을 뚫고서 피부착물(50)의 상측에서 피부착물(50)로 공급되는 구슬(60)에 박히지 못한다. 그러면, 구슬(60)이 피부착물(50)에 부착되지 못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착핀 공급부(200)는 부착핀(70)을 전달받아 고정침(73)이 상측을 향하도록 부착핀(70)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부(210)를 포함하며, 방향전환부(210)는 고정블럭(211)과 회전블럭(215)을 가진다.
고정블럭(211)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베이스블럭(231)의 상면에 결합된 커버(251)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원형의 공간(212)(도 4a 참조)이 형성된다. 그리고, 공간(212)을 형성하는 고정블럭(211)의 외주면 상측에는 투입공(213a)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부착핀 배출공(213b)(도 4a 참조)이 형성된다. 이때, 투입공(213a)과 부착핀 배출공(213b)은 받침판(110)에 수직하는 가상의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회전블럭(215)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고정블럭(211)의 공간(2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회전블럭(215)의 외주면에는 수용홈(216)이 형성되고, 수용홈(216)은 회전블럭(215)이 회전함에 따라, 투입공(213a) 또는 부착핀 배출공(213b)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면서 투입공(213a)으로 투입된 부착핀(70)을 수용한 다음 부착핀 배출공(213b)으로 배출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투입공(213a)으로 투입되는 부착핀(70)은 고정침(73)이 하측을 향한다. 그러므로, 수용홈(216)이 상측에 위치되어 투입공(213a)과 연통되면, 투입공(213a)을 통하여 수용홈(216)에 수용된 부착핀(70)도 고정침(73)이 하측을 향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블럭(215)이 회전하여, 수용홈(216)이 하측을 향하게 되면, 수용홈(216)에 수용된 부착핀(70)은 고정핀(73)이 상측을 향하게 된다. 그러므로, 수용홈(216)과 부착핀 배출공(213b)이 연통되면, 수용홈(216)에 수용된 부착핀(70)은 고정침(73)이 상측을 향하는 형태로 부착핀 배출공(213b)을 통하여 하측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부착핀(70)의 방향이 전환되는 것이다.
회전블럭(215)에는 외측에서 회전블럭(215)을 회전시키기 위한 연결축(217)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착핀 공급부(200)는 방향전환부(210)로부터 고정침(73)이 상측을 향하는 형태로 부착핀(70)을 전달받아, 부착핀(70)이 공급되어야 할 적정한 공급 위치로 이송하는 이송부(220)를 포함하며, 이송부(220)는 베이스블럭(231)과 이송바(241)를 가진다.
베이스블럭(231)은 길이가 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부재(100)의 받침판(110)에 결합된다. 베이스블럭(231)의 상면에는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운동로(232)가 형성되고 운동로(232)의 우측 부위에는 부착핀(70)을 구슬 공급부(30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233)(도 5a 참조)가 수직으로 형성된다. 공급로(233)는 구슬 공급부(300)에서 공급되는 구슬(60)과 대향되게 형성된다.
이송바(241)는 베이스블럭(231)의 상면을 따라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방향전환부(210)로부터 부착핀(70)을 전달받아 공급로(233)로 이송한다. 이를 위하여 이송바(241)의 우측 부위는 운동로(232)에 삽입되어 운동로(232)를 따라 직선왕복운동하고, 좌측 부위는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이송바(241)의 우측 부위에는 부착핀 배출공(213b)에서 배출된 부착핀(70)을 수용하여 공급로(233)로 전달하는 수용공(242)이 형성된다.
즉, 이송바(241)의 우측 부위가 운동로(232)의 좌측 부위에 위치되어, 후술할 커버(251)의 제 1 연통공(252)을 매개로, 부착핀 배출공(213b)과 수용공(242)이 연통되면, 부착핀 배출공(213b)에서 배출된 부착핀(70)이 수용공(242)에 수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송바(241)가 상사점 위치로 직선운동하여, 이송바(241)의 우측 부위가 운동로(232)의 우측 부위에 위치되어 수용공(242)과 공급로(233)가 연통되면, 수용공(242)에 수용된 부착핀(70)이 후술할 압축기(270)에 의하여 구슬 공급부(300)로 전달된다.
베이스블럭(231)의 상면에는 이송바(241)가 베이스블럭(231)의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고정블럭(211)이 결합되는 커버(251)가 결합되고, 커버(251)의 좌측 부위 및 우측 부위에는 제 1 및 제 2 연통공(252, 253)이 각각 형성된다. 결합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251)는 복수 개가 분리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연통공(252)은 부착핀 배출공(213b)(도 4a 참조)과 연통됨과 동시에, 이송바(241)의 우측 부위가 운동로(232)의 좌측 부위에 위치되면 수용공(242)과 연통된다. 그리고, 제 2 연통공(253)은 이송바(241)의 우측 부위가 운동로(232)의 우측 부위에 위치되어 수용공(242)과 공급로(233)가 연통되면, 수용공(242)을 매개로, 공급로(233)와 연통된다.
따라서, 부착핀(70)은 부착핀 배출공(213b) → 제 1 연통공(252) → 수용공(242)을 통하여 공급로(233)에 위치된 다음, 후술할 안내공(263) → 제 2 연통공(253)을 통하여 공급 부위로 공급된다.
이송바(241)는 작동바(245)에 연결되어 직선운동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베이스블럭(231)의 하면에는 실린더(247)가 설치되고, 실린더(247)의 내부에는 작동바(245)의 우측 부위가 삽입된다. 그리고, 작동바(245)의 좌측 부위는 실린더(247)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이송바(241)의 좌측 부위와 연결된다. 그리하여, 실린더(247)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작동바(245)가 직선왕복운동하면, 이송바(241)도 직선왕복운동한다.
작동바(245) 및 이송바(241)가 하사점에 위치되면 제 1 연통공(252)과 수용공(242)이 상호 연통되고, 상사점에 위치되면 공급로(233)와 수용공(242)이 연통되도록 이송바(241)의 운동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착핀 공급부(200)는 수용공(242)에 수용되어 공급로(233)에 위치된 부착핀(70)을 상측으로 쏘아서, 구슬 공급부(300)에서 공급되는 구슬(60)에 박히게 하기 위한 압축기(270)를 포함한다.
압축기(270)는 베이스블럭(231)의 우측 부위 하면에 결합되어, 공급로(233)의 하측 부위와 연통(도 5c 및 도 5d 참조)된다. 따라서, 압축기(270)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하여 수용공(242)에 수용되어 공급로(233)에 위치된 부착핀(70)이 제 2 연통공(253)을 통하여 구슬(60)로 공급된다. 그러면, 부착핀(70)이 피부착물(50)을 뚫고서 구슬(60)에 박히게 된다.
전술한 회전블럭(215)의 수용홈(216)은 이송바(241)의 운동주기를 고려하여,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압축기(270)에 의하여 상측으로 공급된 부착핀(70)이 구슬(60)에 박히지 않고제 2 연통공(253)으로 재유입될 수 있다. 그러면, 제 2 연통공(253)으로 재유입된 부착핀(70)이 자중에 의하여 운동로(232)로 낙하하고, 이로 인해 이송바(241)의 운동이 방해를 받아 오류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착핀 공급부(200)에는 제 2 연통공(253)으로 재유입된 부착핀(70)을 재수용하여 제 2 연통공(253)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안내수단은 안내바(261) 및 안내바(261)에 형성된 안내공(263)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커버(251)의 우단부측은 베이스블럭(231)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커버(251)의 우단부측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편(255)이 형성된다. 돌출편(255)에는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 즉 커버(251)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지지공(256)이 형성된다.
안내바(261)의 좌측 부위는 지지공(256)의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여 지지공(256)을 관통한 다음, 지지공(256)의 외측에 위치되며, 운동로(232)의 우측 부위에 삽입되어 운동로(232)를 따라 직선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안내바(261)의 우측 부위는 지지공(256)에 삽입되어 커버(251)의 돌출편(255)측에 지지된다.
그리고, 안내공(263)은 지지공(256)의 외측에 위치된 안내바(261)의 좌측 부위에 형성되며, 안내바(261)가 직선왕복운동함에 따라 하측은 공급로(233)와 연통되고 상측은 제 2 연통공(253)과 연통되어, 제 2 연통공(253)으로 재유입된 부착핀(70)을 수용한다. 그러면, 안내공(263)에 의하여, 부착핀(70)이 수용공(242)에 수용된 상태와 동일한 형태로 제 2 연통공(253)으로 유입된다.
안내공(263)은 이송바(241)의 운동에 의하여 공급로(233) 및 제 2 연통공(253)과 각각 연통 또는 비연통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송바(241)가 하사점의 위치인 좌측으로 운동하여, 수용공(242)과 공급로(233)가 비연통하면, 안내공(263)은 공급로(233) 및 제 2 연통공(253)과 각각 연통하고, 이송바(241)가 상사점의 위치인 우측으로 운동하여, 수용공(242)과 공급로(233)가 연통하면, 안내공(263)은 공급로(233) 및 제 2 연통공(253)과 각각 비연통한다.
돌출편(255)의 우측 단면(端面)에는 지지공(256)을 밀폐하는 마개(257)가 결합되고, 안내바(261)의 우측 단면과 마개(257) 사이에는 안내공(263)이 공급로(233) 및 제 2 연통공(253)과 각각 연통되도록 안내바(261)를 좌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65)가 설치된다. 즉, 탄성부재(265)는 이송바(241)의 수용공(242)이 공급로(233) 및 제 2 연통공(253)과 각각 비연통하면, 안내바(261)의 안내공(263)이 공급로(233) 및 제 2 연통공(253)과 각각 연통하도록 안내바(261)를 탄성 지지한다.
지지공(256)의 좌측 단부측 부위의 직경은 우측 부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안내바(261)의 좌측 부위의 직경은 우측 부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러면, 직경이 큰 안내바(261)의 우측 단면(端面)이 직경이 작은 지지공(256)의 부위에 걸리므로, 안내바(261)가 지지공(256)의 좌측을 통하여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안내바(261)의 우측 단면은 탄성부재(265)를 매개로 마개(257)에 지지되므로, 안내바(261)가 지지공(256)의 우측을 통하여 외측으로 이탈하려는 것이 방지된다.
탄성부재(265)의 견고한 설치를 위하여, 안내바(261)의 우측 단면에는 탄성부재(265)의 좌측 부위가 삽입 지지되는 지지홈(261a)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의 부착핀 공급부의 동작을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2에 도시된 부착핀 공급부의 동작을 보인 개략 정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블럭(211)의 투입공(213a)과 회전블럭(215)의 수용홈(216)이 연통되고, 고정블럭(211)의 부착핀 배출공(213b)과 커버(251)의 제 1 연통공(252)과 이송바(241)의 수용공(242)이 순차적으로 연통되며, 베이스블럭(231)의 공급로(233)와 안내바(261)의 안내공(263)과 커버(251)의 제 2 연통공(253)이 순차적으로 연통된 상태를 최초의 상태라 가정한다.
최초의 상태에서, 부착핀(70)이 저장된 저장통(미도시)으로부터 부착핀(70)이 안내레일(80)(도 1 참조)을 타고 투입공(213a)으로 투입되면, 수용홈(216)에 부착핀(70)이 수용된다. 이때, 부착핀(70)은 고정침(73)이 하측을 향한다.
수용홈(216)에 부착핀(70)이 수용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블럭(215)이 회전하여, 수용홈(216)과 부착핀 배출공(213b)이 연통된다. 그러면, 수용홈(216)에 수용된 부착핀(70)이 부착핀 배출공(213b) → 제 1 연통공(252)을 통하여 수용공(242)에 수용된다. 수용공(242)에 수용된 부착핀(70)은 회전블럭(215)의 회전에 의하여 방향이 바뀌므로, 고정침(73)이 상측을 향한다.
수용공(242)에 부착핀(70)이 수용되면, 이송바(241)가 상사점 위치인 우측으로 직선운동하고, 이로인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242)과 공급로(233)와 제 2 연통공(253)이 연통된다. 그러면, 압축기(270)가 구동하여 부착핀(70)을 상측으로 쏘아서 공급한다. 이러한 동작의 반복에 의하여 부착핀(70)이 피부착물(5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급된다.
압축기(270)에 의하여 상측으로 공급된 부착핀(70)이 제 2 연통공(253)으로 재유입될 수 있다. 그러면, 부착핀(70)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연통공(253)을 통하여 안내공(263)에 수용되므로, 압축기(270)가 구동하여 부착핀(70)을 상측으로 쏘아서 공급하면 된다.
도 5c 및 도 5d의 미설명 부호 271은 압축기(270)에 의하여 운동하면서 부착핀(70)을 구슬 공급부(300)로 밀어주는 푸시로드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슬 공급부(300)는 지지부재(100)의 연장판(130)에 결합되어 부착핀 공급부(200)의 상측에 위치된다.
구슬 공급부(300)는 외부로부터 구슬(60)을 전달받아 부착핀 공급부(200)에서 공급되는 부착핀(70)의 공급 방향과 대응되는 부위로 구슬(60)을 피부착물(5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공급하여 지지한다. 그러면, 부착핀 공급부(200)에서 공급되는 부착핀(70)의 고정침(73)이 피부착물(50)을 뚫고서 구슬(60)에 박히므로, 구슬(60)이 피부착물(50)에 부착된다.
부착핀 공급부(200)에서 피부착물(50)로 공급되는 부착핀(70)의 공급 경로와 구슬 공급부(300)에서 피부착물(50)로 공급되는 구슬(60)의 공급 경로는 받침판(110)에 수직하는 가상의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슬 공급부(300)에 대하여, 도 1,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구슬 공급부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개략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슬 공급부(300)는 실린더(310)(도 1 참조), 지지블럭(320), 누름지지부(330) 및 정렬부(340)를 포함한다.
실린더(310)는 연장판(130)의 상측 부위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플런저(Plunger)(315)의 상측 부위가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플런저(315)의 하단부측은 실린더(310)의 하부 외측으로 노출되며, 대략 부착핀 공급부(200)의 공급로(233)(도 5a 참조)의 상측에 위치된다.
실린더(310)와 부착핀 공급부(200) 사이의 연장판(130) 부위에는 중공체(中空體)의 지지블럭(320)이 설치된다. 지지블럭(320)은 누름지지부(330) 및 정렬부(340)의 승강운동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슬 공급부(300)의 누름지지부(330)는 플런저(315)와 함께 승강하며, 승강바(331)와 누름바(335)를 포함한다. 누름지지부(330)의 상측 부위는 플런저(315)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정렬부(340)에 위치된 구슬(60)을 하측으로 눌러서 구슬(60)을 부착핀(70)이 공급되는 부위로 공급함과 동시에 지지한다. 정렬부(340)에 정렬된 구슬(60)은 부착핀 공급부(200)에서 공급되는 부착핀(70)의 직상방에 위치된다.
승강바(331)는 플런저(315)와 함께 승강하며, 상측 부위는 플런저(315)의 하측 부위에 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 부위는 지지블럭(320)에 삽입된다.
플런저(315)의 하측 부위는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플런저(315)의 하단부측 외주면에는 승강바(331)의 상단부측이 출입하는 개방된 출입구(3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출입구(316)를 형성하는 플런저(315)의 하측 부위에는 대향되게 걸림돌기(317)가 형성된다.
승강바(331)는 출입구(316)를 출입하면서 플런저(31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 부위 외주면에는 제 1 걸림홈(332)이 형성된다. 승강바(331)가 출입구(316)를 통하여 플런저(315)에 삽입되면, 걸림돌기(317)가 제 1 걸림홈(332)에 삽입되어 걸린다. 따라서, 승강바(331)가 플런저(315)에 결합된다.
누름바(335)는 상측 부위가 승강바(331)의 하측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는 정렬부(340)에 정렬된 구슬(60)과 대향한다. 누름바(335)는 승강바(331)와 함께 승강하며, 승강바(331)가 하강하면, 정렬부(340)에 정렬된 구슬(60)을 눌러서 부착핀(70)이 공급되는 부위로 공급함과 동시에 지지한다.
승강바(331)의 하측 부위는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누름바(335)의 상측 부위는 승강바(331)의 하측 부위에 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승강바(331)의 하측 부위의 외주면에는 누름바(335)를 승강바(331)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체결나사(334)가 결합되고, 누름바(335)의 상측 부위 외주면에는 승강바(331)를 관통한 체결나사(334)의 단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링형상의 제 2 걸림홈(336)이 형성된다.
체결나사(334)를 승강바(331)에 체결하거나 승강바(331)로부터 풀면, 누름바(335)를 승강바(331)에 결합하거나 승강바(33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누름바(335)의 하단면에는 구슬(60)의 상측 부위가 삽입 지지되는 안치홈(335a)(도 8 참조)이 형성된다. 구슬(60)이 안치홈(335a)에 삽입 안치되므로, 구슬이 누름바(335)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정확하게 공급 부위로 공급되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슬 공급부(300)의 정렬부(340)는 실린더(310)의 하측에 위치된 지지블럭(320)의 하측 부위에 삽입 지지되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달되는 구슬(60)을 하나씩 수용하여 부착핀(70)이 공급되는 피부착물(50)의 직상방에 위치시킨다.
정렬부(340)는 자중(自重)에 의하여 하강하고, 누름지지부(330)에 의하여 상승하며, 지지관(341)과 정렬관(345)을 가진다. 지지관(341)과 정렬관(345)의 내부에는 승강바(331) 및 누름바(335)가 위치되어 승강한다.
지지관(341)은 상측 부위가 지지블럭(320)의 하측 부위의 내부에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측 부위는 지지블럭(320)의 하부 외측에 위치된다. 정렬관(345)은 상측 부위가 지지관(341)의 하측 부위에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정렬관(345)을 지지관(341)에 착탈하는 구조는 전술한 승강바(331)와 누름바(335)의 착탈 구조와 같이 체결부재(351)를 사용한다.
정렬관(345)은 지지관(341)과 함께 승강하면서 외부에서 전달된 구슬(60)을 1개씩 수용하여 부착핀(70)이 공급되는 부위와 대응되게 위치시킨다. 따라서, 지지관(341)과 정렬관(345)은 부착핀(70)이 공급되는 경로 상에 위치된다.
지지관(341)의 외주면 및 지지블럭(320)에는 상호 삽입되어 정렬부(340)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344) 및 안내로(323)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정렬부(340)가 회전하지 않고, 지지블럭(320)의 내부에서 안정되게 승강한다.
정렬관(345)의 상측 부위 외주면에는 구슬(60)이 유입되는 유입공(346)이 형성되고, 유입공(346)과 대향하는 지지관(341)의 하측 부위 외주면은 개방(342)된다.
유입공(346) 하측의 정렬관(345)의 부위 내부에는 스토퍼(36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토퍼(361)는 정렬관(345)의 내부를 차단하여 구슬(60)이 하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개방하여 구슬(60)이 하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한다. 스토퍼(361)는 플런저(315)에 의하여 누름바(335)가 소정 이상 하강하면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정렬관(345)을 개방하고, 플런저(315)가 상승하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정렬관(345)을 차단한다.
지지관(341)에는 회전축(363)의 양단부측이 각각 지지 설치되고, 지지관(341)의 내부에 위치된 회전축(363)의 부위에는 스토퍼(361)의 일단부측이 지지 고정된다. 지지관(341)과 정렬관(345)에는 스토퍼(361)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스토퍼(361)의 타측 부위가 통과하는 연통로(343, 347)(도 8 참조)가 상호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다.
스토퍼(361)가 회전하여 정렬관(345)의 내부를 견고하게 차단하는 상태는, 스토퍼(361)가 정렬관(345)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평행을 이루는 경우이다. 스토퍼(361)가 정렬관(345)의 직경과 평행을 이루는 상태에서, 스토퍼(361)의 상면과 유입공(346) 사이의 거리가 구슬(60)의 직경보다 짧으면, 구슬(60)은 유입공(346)을 통하여 1개 만이 정렬관(345)으로 유입된다. 즉, 회전축(363)과 유입공(346) 사이의 거리를 구슬(60)의 직경보다 짧게 형성하고, 회전축(363)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를 조절하면, 스토퍼(361)에 의하여 구슬(60)은 1개만이 정렬관(345)에 유입되어 정렬된다.
스토퍼(361)는 누름바(335)에 눌러서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누름지지부(330)가 상승할 때, 누름지지부(330)에 의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363)에 의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지지관(341)의 외면에는 회전축(363)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회전축(363)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365)이 결합된다. 그리고, 회전판(365)의 외주면 일측에는 탄성부재(367)의 하단부가 지지되고, 탄성부재(367)의 상단부는 누름지지부(330)의 승강바(331)에 지지된다.
정렬부(340)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고, 정렬부(340)에 회전판(365)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누름지지부(330)와 회전판(365)은 탄성부재(367)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탄성부재(367)의 탄성력을 적절히 조절하면, 누름지지부(330)가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는, 자중에 의한 정렬부(340)의 하강이 탄성부재(367)에 의하여 방지된다. 그리고, 누름지지부(330)가 하강하면 자중에 의하여 정렬부(340)가 하강하고, 누름지지부(330)가 상승하면 탄성부재(367)에 의하여 정렬부(340)가 상승한다.
탄성부재(367)의 하측 부위는 회전판(365)의 외주면 일부를 감는 형태로 설치되고, 탄성부재(367)의 안정된 설치를 위하여 회전판(365)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367)가 삽입되는 함몰된 안치로(365a)가 형성된다(도 7 참조).
누름지지부(330)가 상사점에 위치되어 있을 때, 탄성부재(367)는 압축 또는 팽창되지 않은 거의 최초의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누름지지부(330)가 하강하면, 정렬부(340)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므로, 회전판(365)은 회전되지 않고 정렬부(340)와 함께 하강한다.
그러나, 누름지지부(330)가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승하면, 누름지지부(330)는 자중에 의하여 상승하지 않으려고 하는 반면, 회전판(365)은 탄성부재(367)에 의하여 상승한다. 그런데, 탄성부재(367)가 회전판(365)의 외주면에 감겨 있으므로, 회전판(365)은 회전하면서 상승한다. 즉, 회전판(365)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고, 이로 인해 회전축(363)도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스토퍼(36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스토퍼(361)에 의하여 정렬관(345)이 차단되는 것이다.
누름지지부(330)가 상사점에 위치되어 있을 때, 스토퍼(361)가 정렬관(345)의 직경 방향과 평행하도록, 탄성부재(367)의 탄성력 및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면 된다. 누름지지부(330)의 운동 거리에 따른 탄성부재(367)의 탄성력과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면, 회전판(365)을 포함한 회전축(363) 및 스토퍼(361)의 역방향 회전각도가 제어된다.
회전판(365) 및 승강바(331)에는 탄성부재(367)의 하단부측 및 상단부측이 각각 걸려서 지지되는 하측지지돌기(353) 및 상측지지돌기(355)(도 9d 및 도 8 참조)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블럭(320)의 외면에는 승강바(331)에 결합된 상측지지돌기(355)가 삽입 위치되는 승강로(321)(도 8 참조)가 형성된다. 상측지지돌기(355)가 승강로(321)에 위치되므로, 누름지지부(330) 및 정렬부(340)는 승강로(321) 내에서 승강한다. 따라서, 승강로(321)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플런저(315)를 포함한 누름지지부(330) 및 정렬부(340)의 상사점 및 하사점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의 구슬 공급부(300)의 동작을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d는 도 6에 도시된 구슬 공급부의 동작을 보인 개략 정면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51)의 제 2 연통공(253)의 직상방에 위치된 플런저(315)가 상사점에 위치된 상태를 최초의 상태라 가정한다. 최초의 상태에서 구슬(60)이 유입공(346)을 통하여 정렬관(345)으로 유입되면, 스토퍼(361)에 의하여 정렬관(345)의 하측 부위가 차단되어 있으므로, 정렬관(345)의 내부에는 1개의 구슬(60)이 유입되어 정렬된다.
구슬(60)이 정렬관(345)에 유입되면, 플런저(315)가 하강한다. 플런저(315)가 하강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바(331) 및 누름바(335)도 하강하고, 탄성부재(367)도 하강한다. 탄성부재(367)가 하강하면, 지지관(341) 및 정렬관(345)이 자중에 의하여 하강한다. 지지관(341)과 정렬관(345)은 정렬관(345)의 하단면이 피부착물(50)(도 9a 참조)에 접촉할 때까지 하강한다.
정렬관(345)의 하단면이 피부착물(50)에 접촉한 상태인 도 9b에 도시된 상태에서, 플런저(315)가 하사점의 위치로 하강하면, 누름바(335)는 하강하고 정렬관(345)은 하강하지 않는다. 그러면, 누름바(335)에 의하여 구슬(60)이 눌리므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슬(60)이 스토퍼(361)(도 9b 참조)를 눌러서 스토퍼(361)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스토퍼(361)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정렬관(345)이 개방되므로, 구슬(60)은 누름바(335)에 지지되어 피부착물(50)과 접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술한 부착핀 공급부(200)(도 1 참조)에서 부착핀(70)(도 5d 참조)이 상측으로 공급된다. 그러면, 부착핀(70)의 고정침(73)이 피부착물(50)을 뚫고서 구슬(60)에 박히므로, 구슬(60)이 피부착물(50)에 부착된다.
구슬(60)이 피부착물(50)에 부착되면,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315)가 상승한다. 그러면, 플런저(315)에 의하여 탄성부재(367)와 승강바(331) 및 누름바(335)가 상승한다. 그런데, 탄성부재(367)가 지지관(341)에 설치된 회전판(365)의 외주면에 감겨 있으므로, 회전판(365)은 회전하면서 상승한다.
도 9d의 도면부호 353은 전술한 하측지지돌기이다. 도 9a 내지 도 9c에서는 회전판(365)에 결합된 하측지지돌기(353)가 회전판(365)의 후면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보이지 않으나, 도 9d에서는 회전판(365)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하측지지돌기(353)도 역방향으로 회전되었기 때문에 보이는 것이다.
탄성부재(367)의 상승에 의하여 회전판(365)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367)를 회전판(365)의 외주면에 적절한 방향으로 감으면, 회전판(365)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한다. 그러면, 회전판(365)에 의하여 회전축(363) 및 스토퍼(36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스토퍼(361)에 의하여 정렬관(345)이 차단되고, 또 다른 하나의 구슬(60)이 유입공(346)을 통하여 정렬관(345)으로 유입되어 정렬된다.
승강바(331) 및 누름바(335)가 하강하면, 유입공(346)이 승강바(331) 또는 누름바(335)에 의하여,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되므로, 구슬(60)이 정렬관(345)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동작의 반복에 의하여 구슬(60)이 피부착물(5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슬 공급부(300)는 하나의 지지블럭(320)에 세트를 이루는 실린더(310)와 누름지지부(330)와 정렬부(340)가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하나의 구슬 공급부(300)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구슬(60)을 연속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1의 "A"부 확대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공(346)(도 7 참조) 측 정렬관(345)(도 7 참조)의 외면에는 지지판(371)이 고정되고, 지지판(371) 상에는 슬라이딩판(375)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슬라이딩판(375)에는 구슬(60)을 유입공(346)으로 유입하기 위한 복수의 공급호스(377)가 지지된다.
각각의 공급호스(377)로는 구슬(60)이 각각 저장된 저장통(미도시)에서부터 구슬(60)이 공급되며, 각각의 상기 저장통에 저장된 구슬(60)의 크기는 상호 상이하다. 따라서, 슬라이딩판(375)을 슬라이딩시키면서, 원하는 크기의 구슬(60)이 저장된 상기 저장통과 연통된 공급호스(377)를 유입공(346)측에 위치시키고 나머지 공급호스(377)를 막는다면, 원하는 크기의 구슬(60)을 피부착물(50)에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누름바(335)는 승강바(33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정렬관(345)은 지지관(34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유입공(346)으로 유입되는 구슬(60)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누름바(335) 및 정렬관(345)을 승강바(331) 및 지지관(341)에 각각 결합하면 된다.
각각의 누름바(335)는, 승강바(331)에 결합되는 상측 부위의 직경은 동일하고, 구슬(60)을 누르는 하측 부위의 직경은 상호 상이하다. 그리고, 각각의 정렬관(345)은 지지관(341)에 결합되는 외경의 크기는 동일하고, 구슬(60)이 유입되는 내경은 상호 상이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는 구슬(60)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공급되고, 부착핀(70)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급되므로, 구슬(60)이 부착되는 피부착물(50)의 표면을 상측으로 향하게 하여 작업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착물(50)에 구슬(60)을 부착하기 위한 작업이 대단히 편리하다.
그리고, 구슬 공급부(300)로 유입되는 구슬(60)의 크기에 따라, 구슬(60)을 정렬하는 정렬관(345) 및 구슬(60)을 눌러서 지지하는 누름바(335)를 각각 적절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크기의 구슬(60)을 피부착물(50)에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구슬 공급부(300)의 지지블럭(320)에 세트를 이루는 실린더(310)와 누름지지부(330)와 정렬부(340)가 복수 개 설치되므로, 하나의 구슬 공급부(300)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구슬(60)을 연속으로 공급하여 피부착물(50)에 부착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는 지지부재(400), 부착핀 공급부(500) 및 구슬 공급부(60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400)는 테이블(미도시) 등의 상면에 탑재되는 받침판(410), 받침판(410)의 상면 대략 중앙부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판(420) 및 수직판(420)의 상단부에서 벤딩 형성된 연장판(430)을 가진다.
이하, 지지부재(400)를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받침판(410)을 기준으로, 받침판(410)의 수직 방향 상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 받침판(410)의 수직 방향 하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착핀 공급부(500)는 지지부재(400)의 받침판(410)에 결합되고, 상면에는 피부착물(50)(도 14a 참조)이 놓여서 통과하며, 외부로부터 부착핀(70)을 전달받아 이송한 다음, 부착핀(70)을 피부착물(5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급한다.
부착핀 공급부(500)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부착핀 공급부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핀(70)은 원판형의 몸체(71), 몸체(71)의 외주면에서 벤딩 형성되며 몸체(71)와 대략 수직을 이루는 복수의 고정침(73)을 포함한다. 그리고, 부착핀(70)은 고정침(73)이 하측을 향하는 형태로 안내레일(80)에 걸려서 부착핀 공급부(500)로 전달된다.
고정침(73)이 하측을 향하는 상태로 부착핀(70)이 부착핀 공급부(500)로 전달된 다음, 고정침(73)이 하측을 향하는 상태로 부착핀(70)이 부착핀 공급부(500)에 의하여 상측으로 공급되면, 편평한 몸체(71)가 피부착물(50)에 부딪히게 된다. 그러면, 부착핀(70)이 피부착물(50)을 뚫고서 피부착물(50)의 상측에서 피부착물(50)로 공급되는 구슬(60)에 박히지 못한다. 그러면, 구슬(60)이 피부착물(50)에 부착되지 못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착핀 공급부(200)는 부착핀(70)을 전달받아 고정침(73)이 상측을 향하도록 부착핀(70)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부(510)를 포함하며, 방향전환부(510)는 고정블럭(511)과 이탈방지테(515)를 포함한다.
고정블럭(511)은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이송부(520)의 베이스블럭(531)에 결합된다. 고정블럭(511)의 외주면에는 고정블럭(511)의 외주면을 따라 곡선 이송레일(512)이 형성되며, 곡선 이송레일(512)의 상단부는 안내레일(80)의 하단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안내레일(80)에 지지되어 안내레일(80)을 따라 이송되는 부착핀(70)은 곡선 이송레일(512)에 지지되어 곡선 이송레일(512)을 따라 이송된다. 이때, 부착핀(70)은 상호 인접하는 고정침(73)의 사이의 부위가 곡선 이송레일(512)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이탈방지테(515)는 곡선 이송레일(512)과 간격을 가지면서 곡선 이송레일(512)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블럭(511)에 형성되며, 곡선 이송레일(512)에 지지된 부착핀(70)이 곡선 이송레일(512)의 외주면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곡선 이송레일(512)의 상단부측으로 이송된 부착핀(70)은 자중에 의하여 곡선 이송레일(512)을 따라, 고정블럭(5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공전한다. 그러면, 곡선 이송레일(512)의 상단부측으로 이송될 때의 부착핀(70)의 고정침(73)은 하측을 향하지만, 곡선 이송레일(512)의 하단부측으로 이송된 부착핀(70)의 고정침(73)은 상측을 향한다. 이로 인해, 부착핀(70)의 방향이 전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착핀 공급부(500)는 방향전환부(510)로부터 고정침(73)이 상측을 향하는 형태로 부착핀(70)을 전달받아, 부착핀(70)이 공급되어야 할 적정한 공급 위치로 이송하는 이송부(520)를 포함하며, 이송부(520)는 베이스블럭(531), 제 1 안내블럭(541) 및 제 2 안내블럭(551)을 포함한다.
베이스블럭(531)은 지지부재(400)의 받침판(410)에 결합되며, 전술한 고정블럭(511)이 결합된다.
제 1 안내블럭(541)은 베이스블럭(531)의 상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 1 안내블럭(541)의 하면에는 베이스블럭(531)의 상면과 간격을 가짐과 동시에 일단부가 곡선 이송레일(512)의 하단부와 연결된 직선 이송레일(543)이 형성된다. 직선 이송레일(543)은 곡선 이송레일(512)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호 인접하는 고정침(73) 사이가 직선 이송레일(543)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부착핀(70)은 직선 이송레일(543)을 따라서 직선 이송레일(543)의 타단부측으로 이송된다.
제 2 안내블럭(551)은 베이스블럭(531)의 상면에 결합되며, 직선 이송레일(543)의 타단부와의 사이에는 부착핀(70)을 구슬 공급부(600)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551a)가 형성된다. 공급로(551a)에는 방향이 전환된 부착핀(70)이 위치되며, 공급로(551a)의 직상방에 구슬 공급부(600)가 위치됨은 당연하다.
직선 이송레일(543)의 타단부와 대향하는 제 2 안내블럭(551)의 일면에는 절개홈(553)이 형성되고, 절개홈(553)에 직선 이송레일(543)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수용된다. 그리하여, 직선 이송레일(543)의 타단면과 절개홈(553)을 형성하는 제 2 안내블럭(551)의 면에 의하여 공급로(551a)가 형성된다.
공급로(551a)로 이송된 부착핀(70)은 공급로(551a)에서 쓰러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직선 이송레일(543)의 타단면과 절개홈(553)을 형성하는 제 2 안내블럭(551)의 면 사이의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하면 된다.
제 2 안내블럭(551)의 하면에는 절개홈(553)과 연통된 흡입로(555)가 형성되고, 흡입로(555)는 베이스블럭(531)에 결합된 진공펌프(580)측과 연통된다. 진공펌프(580)는 직선 이송레일(543)이 지지된 부착핀(70)이 공급로(551a)로 이송되도록 부착핀(70)을 흡입한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블럭(531)에는 진공펌프(580)와 흡입로(555)를 연통시키는 연통공(533)이 형성된다.
공급로(551a) 하측의 베이스블럭(531)에는 압축기(570)가 설치되고, 압축기(570)의 푸시로드(571)는 베이스블럭(531)을 관통하여 공급로(551a)의 직하방에 위치된다. 그리하여, 푸시로드(571)가 승강하면서 공급로(551a)에 위치된 부착핀(70)을 구슬 공급부(600)측으로 공급한다. 그러면, 푸시로드(571)에 의하여 부착핀(70)이 구슬 공급부(600)측으로 전달되어 피부착물(50)을 뚫고서 구슬(60)에 박히게 된다.
그리고, 부착핀(70)이 공급로(551a)로 이송될 때에는, 푸시로드(571)의 상단면(上端面)과 베이스블럭(531)의 상면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된다. 이로인해, 부착핀(70)의 몸체(71)가 푸시로드(571)의 상단면에 탑재 지지된다. 부착핀(70)의 몸체(71)가 푸시로드(571)의 상단면에 지지되므로, 부착핀(70)이 적층된 형태로 공급로(551a)에 공급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2 및 도 13의 미설명 부호 590은 제 1 및 제 2 안내블럭(541, 551)을 지지하는 커버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도 12에 도시된 부착핀 공급부의 동작을 보인 개략 정단면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레일(80)에 부착핀(70)이 지지되어 곡선 이송레일(512)의 상단부로 이송된다. 이때, 부착핀(70)의 고정침(73)은 하측을 향한다.
곡선 이송레일(512)의 상단부로 이송된 부착핀(70)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이송레일(512)을 따라 하측으로 이송된다. 그러면, 부착핀(70)은 고정블럭(511)의 중심을 기준으로 공전을 하므로, 곡선 이송레일(512)의 하단부로 이송된 부착핀(70)은 고정침(73)이 상측을 향한다.
그리고, 방향이 전환되어 곡선 이송레일(512)의 하단부로 이송된 부착핀(70)은,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펌프(580)에 의하여 흡입되므로, 직선 이송레일(543)을 따라 공급부(551a)로 이송된다.
그리고, 공급부(551a)로 이송된 부착핀(70)은,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570)의 푸시로드(571)에 의하여 구슬 공급부(600)(도 11 참조)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슬 공급부(600)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슬 공급부(300)의 구성과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에도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의 장점 이외에, 부착핀(70)이 연속적으로 공급로(551a)에 공급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제 3 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는 지지부재(700), 부착핀 공급부(800) 및 구슬 공급부(90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700)는 테이블(미도시) 등의 상면에 탑재되는 받침판(710), 받침판(710)의 상면 대략 중앙부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판(720) 및 수직판(720)의 상단부에서 벤딩 형성된 연장판(730)을 가진다.
이하, 지지부재(700)를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받침판(710)을 기준으로, 받침판(710)의 수직 방향 상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 받침판(710)의 수직 방향 하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부착핀 공급부(800)는 지지부재(700)의 받침판(710)에 결합된다. 부착핀 공급부(80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착핀 공급부(200) 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착핀 공급부(500)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슬 공급부(900)는 지지부재(700)의 연장판(730)에 결합되어 부착핀 공급부(800)의 상측에 위치된다.
구슬 공급부(900)는 외부로부터 구슬(60)을 전달받아 부착핀 공급부(800)에서 공급되는 부착핀(70)의 공급 방향과 대응되는 부위로 구슬(60)을 피부착물(5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공급하여 지지한다. 그러면, 부착핀 공급부(800)에서 공급되는 부착핀(70)의 고정침(73)이 피부착물(50)을 뚫고서 구슬(60)에 박히므로, 구슬(60)이 피부착물(50)에 부착된다.
부착핀 공급부(800)에서 피부착물(50)로 공급되는 부착핀(70)의 공급 경로와 구슬 공급부(900)에서 피부착물(50)로 공급되는 구슬(60)의 공급 경로는 받침판(110)에 수직하는 가상의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슬 공급부(900)에 대하여,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구슬 공급부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17의 "Ⅴ-Ⅴ"선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슬 공급부(900)는 실린더(910), 정렬부(930) 및 누름지지부(950)를 포함한다.
실린더(910)는 지지부재(700)의 연장판(730)에 결합되어 부착핀 공급부(800)의 상측에 위치되며, 플런저(Plunger)(913)를 가진다. 플런저(913)의 상측 부위는 실린더(91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측 부위는 실린더(9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실린더(910)의 외측으로 노출된 플런저(913)의 하단부측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링형상의 걸림홈(913a)이 형성된다. 걸림홈(913a)에는 후술할 연결바(954)의 걸림편(954c)이 삽입되어 걸린다.
정렬부(930)는 실린더(910)의 하측에 위치되며, 플런저(913)의 운동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인 수평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정렬부(930)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구슬(60)을 동일한 크기별로 구획 수용한 후, 슬라이딩되면서 피부착물(50)에 부착하고자 하는 구슬(60)을 부착핀(70)이 공급되는 부위의 직상방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킨다.
상세히 설명하면, 정렬부(930)는 슬라이딩블럭(931)과 수용블럭(935)을 포함한다.
슬라이딩블럭(931)은 지지부재(700)의 연장판(730)에 수평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플런저(913)의 운동방향과 평행하게 복수의 관통로(932)가 구획 형성된다. 관통로(932)의 개수는 구슬(60)의 크기별 개수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슬라이딩블럭(931)은 지지부재(700)에 설치된 실린더(미도시)에 의하여 슬라이딩된다.
수용블럭(935)은 관통로(932)의 개수 만큼 슬라이딩블럭(931)의 하면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블럭(931)과 함께 운동한다. 수용블럭(935)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구슬(60)을 수용한다. 이때, 어느 하나의 수용블럭(935)에 수용된 구슬(60)의 크기는 동일하고, 각각의 수용블럭(935)에 수용된 구슬(60)의 크기는 상이하다. 즉, 각각의 수용블럭(935)은 구슬(60)의 크기별로 구슬(60)을 수용한다.
이를 위하여, 수용블럭(935)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구슬(60)을 전달받기 위한 유입공(935a)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입공(935a)과 연통되어 구슬(60)을 수용함과 동시에 구슬(60)을 피부착물(50)로 배출하기 위한 구슬 배출공(935b)이 형성된다. 각 수용블럭(935)의 구슬 배출공(935b)의 직경은 각 수용블럭(935)으로 전달되는 구슬(60)의 직경과 대략 비슷하게 형성된다.
수용블럭(935)의 타측에는 지지홈(935c)이 형성되며, 지지홈(935c)에는 구슬 배출공(935b)으로 유입된 구슬(60)이 자중에 의하여 피부착물(50)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볼(936)이 설치된다. 볼(936)은 탄성부재(937)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어 일측이 구슬 배출공(935b)의 내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유입공(935a)을 통하여 구슬 배출공(935b)으로 전달된 구슬(60)은 볼(936)의 일측에 지지되므로, 볼(936)이 피부착물(50)측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유입공(935a)과 지지홈(935c)은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슬 배출공(935b)에 위치되는 볼(936)의 일측 부위가 유입공(935a)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지지홈(935c)이 유입공(935a)의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블럭(935)의 상면에는 관통로(932)의 하측 부위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관(935d)이 형성되고, 결합관(935d)은 구슬 배출공(935b)과 직선을 이루면서 연통된다. 따라서, 구슬 배출공(935b)과 관통로(932)는 결합관(935d)을 매개로 직선을 이루면서 상호 연통된다. 각 수용블럭(935)의 각 결합관(935d)의 내경은 각 구슬 배출공(935b)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지지부(950)는 구슬(60)의 크기별 개수인 관통로(932)의 개수와 대응되게 정렬부(930)에 복수 개 설치되며, 정렬부(930)와 함께 슬라이딩한다. 누름지지부(950)는 정렬부(930)가 슬라이딩함에 따라, 어느 하나의 누름지지부(950)의 상측 부위가 플런저(913)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플런저(913)에 연결된 누름지지부(950)는 플런저(913)와 함께 승강한다. 누름지지부(950)의 하단부는 정렬부(930)의 구슬 배출공(935b)에 수용된 구슬(60)을 하측으로 눌러서 구슬(60)을 부착핀(70)이 공급되는 부위로 공급함과 동시에 지지한다.
누름지지부(950)는 승강바(951), 연결바(954) 및 누름바(957)를 포함한다.
승강바(951)는 관통로(932)의 개수와 대응되게 마련되어 관통로(932)에 각각 승강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연결바(954)는 하측 부위는 승강바(951)의 상측 부위에 각각 결합되고, 상측 부위는 슬라이딩블럭(931)의 상면 외측으로 노출되어 슬라이딩블럭(931)이 슬라이딩함에 따라 플런저(913)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플런저(913)와 결합된 연결바(954)는 플런저(913)에 의하여 승강하면서, 승강바(951)를 승강시킨다.
플런저(913)와 연결바(954)의 결합구조를 설명한다.
플런저(913)의 하측 부위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링형상의 걸림홈(91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바(954)의 상단부에는 머리부(954a)가 돌출 형성되고, 머리부(954a)에는 한쌍의 연장편(954b)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호 대향하며, 연장편(654b)의 상단부에는 걸림편(954c)이 각각 벤딩 형성된다.
그리하여, 슬라이딩블럭(931)이 슬라이딩하면, 플런저(913)의 하측 부위가 연장편(954b) 사이를 통과하게 되며, 플런저(913)의 하측 부위가 연장편(954b) 사이에 위치되면, 걸림편(954c)은 걸림홈(913a)에 삽입되어 걸린다. 그러면, 플런저(913)와 연결바(954)가 결합되는 것이다.
누름바(957)는 상측 부위는 연결바(954)의 하측 부위에 각각 결합되고 하단부는 수용블럭(935)의 결합관(935d)에 삽입되어, 구슬 배출공(935b)에 수용된 구슬(60)과 대향한다. 그리하여, 누름바(957)는 승강바(951)와 함께 승강하면서 승강바(951)가 하강하면, 구슬 배출공(935b)에 수용된 구슬(60)을 눌러서 부착핀(70)이 공급되는 부위로 공급함과 동시에 지지한다.
각각의 누름바(957)는, 승강바(951)에 결합되는 상측 부위의 직경은 동일해도 무방하나, 하측 부위 직경은 각각 상이하게 형성되어 각 결합관(935d)의 내경 및 각 구슬 배출공(935b)의 직경과 대략 비슷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런저(913)는 슬라이딩블럭(931)과 함께 슬라이딩하는 복수의 연결바(954) 중, 어느 하나의 연결바(954)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므로, 플런저(913)와 결합되지 않은 연결바(954)들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할 수 있다. 플런저(913)와 결합되지 않은 연결바(954)들이 하강한 상태에서 슬라이딩블럭(931)과 함께 슬라이딩되면, 플런저(913)에 결합되지 못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재(700)에는 플런저(913)와 결합되지 않은 연결바(954)가 자중에 의하여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브라켓(960)이 설치된다. 지지브라켓(960)은 지지부재(700)에 결합된 결합판(961)과 결합판(961)의 하단부에서 플런저(913)측으로 벤딩 형성되며, 연결바(954)의 머리부(954a)의 하면이 접촉 지지되는 지지판(963)을 가진다.
머리부(954a)의 하면이 지지판(963)에 접촉 지지되므로, 연결바(954)가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플런저(913)의 운동경로 상에 위치된 지지판(963)의 부위는 개방(963a)되어 상호 결합된 플런저(913)와 연결바(954)가 승강하는 것을 허용한다.
즉, 실린더(910)와 지지브라켓(960)은 고정되어 있고, 연결바(954)는 슬라이딩블럭(931)에 의하여 슬라이딩한다. 이때, 연결바(954)의 머리부(954a)가 지지판(963)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연결바(954)는 지지판(963)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한다. 그리하여, 슬라이딩블럭(931)이 슬라이딩함에 따라 복수의 연결바(954) 중, 어느 하나의 연결바(954)가 플런저(913)와 결합된다. 그런데, 플런저(913)의 운동경로 상에 위치된 지지판(963)의 부위는 개방(963a)되어 있으므로, 상호 결합된 플런저(913)와 연결바(954)는 지지판(963)의 간섭을 받지 않고 함께 승강하는 것이다.
플런저(913)가 하강하면, 연결바(954)와 승강바(951)와 누름바(957)가 하강하고, 누름바(957)는 구슬 배출공(935b)에 수용된 구슬(60)을 눌러서 피부착물(50)로 전달함과 동시에 지지한다. 그런데, 누름바(957)에서 구슬(60)에 작용하는 힘이 소정 이상이면, 구슬(60)이 손상되거나 피부착물(50)에 구슬(60)의 자국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바(954)는 플런저(913)의 운동방향을 따라 유동가능하게 승강바(951)에 결합되어, 플런저(913)측으로 탄성 지지 설치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연결바(954)의 하측 부위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장공(長空)(954d)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승강바(951)의 상측 부위는 중공체(中空體)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호 대향되게 결합공(951a)이 형성된다. 이때, 장공(954d)과 결합공(951a)은 상호 연통한다.
그리하여, 연결바(954)의 하측 부위는 승강바(951)의 상측 부위에 삽입되고, 결합공(951a)에는 결합핀(952)이 결합된다. 이때, 결합핀(952)은 장공(954d)을 통과한다. 이로 인해, 연결바(954)는 장공(954d)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가능하게 승강바(951)에 결합되므로, 플런저(913)의 운동방향과 평행하게 유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승강바(951)의 상측 부위 내부에는 연결바(954)를 플런저(913)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953)가 설치된다.
그러면, 누름바(957)가 하강하여 구슬(60)을 피부착물(50)로 전달한 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플런저(913)가 더 하강하면, 플런저(913)에 의하여 연결바(954)가 하강하면서 탄성부재(953)를 압축시킨다. 즉, 연결바(954)는 하강하나, 승강바(951)는 하강하지 않으므로, 누름바(957)도 하강하지 않는다. 따라서, 누름바(957)에 의하여 구슬(60)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고, 피부착물(50)에 구슬(60)의 자국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즉, 누름바(957)의 하강 거리를 결정하는 플런저(913)의 하강 거리 및 탄성부재(953)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누름바(957)에서 구슬(60)에 작용하는 힘이 소정 이하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누름바(957)가 안정되게 구슬(60)을 피부착물(50)의 정확한 부위에 공급한 후, 지지할 수 있도록, 누름바(957)는 구슬(60)을 흡착한다. 이를 위하여, 누름바(957)의 내부에는 유로(957a)가 형성되고, 승강바(951)의 외주면에는 일측은 진공펌프(미도시)측과 연통되고 타측은 유로(957a)와 연통된 연통로(951b)가 형성된다. 따라서, 구슬(60)이 구슬 배출공(935b)에 수용되면, 구슬(60)은 압력차에 의하여 누름바(957)의 하단부에 흡착된 다음, 피부축물(50)로 공급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누름바(957)가 구슬(60)을 더욱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누름바(957)의 하단부에는 구슬(60)이 안치되는 안치홈(957b)이 형성된다.
도 16 내지 도 18의 미설명부호 933은 상기 진공펌프를 누름바(957)의 유로(957a)측과 연통시킬 수 있도록, 관통로(932)와 연통되게 슬라이딩블럭(931)의 외면에 형성된 통로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의 구슬 공급부(900)의 동작을 도 19a 내지 도 19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a 내지 도 19d는 도 16에 도시된 부착핀 공급부의 동작을 보인 개략 정단면도이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960)의 지지판(963)에 연결바(954)의 머리부(954a)가 지지되어 있고, 각각의 수용블럭(935)의 구슬 배출공(935b)에 상호 상이한 크기의 구슬(60)이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최초의 상태라 가정한다.
구슬 배출공(935b)에 수용된 구슬(60)은 볼(936)(도 18 참조)의 일측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고, 누름바(957)의 하단부는 구슬(60)의 상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최초의 상태에서는 플런저(913)와 어느 하나의 연결바(954)가 상호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고, 결합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최초의 상태에서, 슬라이딩블럭(931)을 슬라이딩시켜,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하고자 하는 구슬(60)과 대응되게 설치된 연결바(954)를 플런저(913)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진공펌프를 구동시켜, 누름바(957)의 유로(957a)(도 18 참조)의 압력을 감압하여 구슬(60)을 누름바(957)의 하단부에 흡착시킨다.
그 후, 실린더(910)를 구동시켜 플런저(913)를 하강시키면,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954)와 승강바(951)와 누름바(957)가 하강하므로, 구슬(60)은 누름바(957)에 흡착 지지된 상태에서 피부착물(50)로 공급되어 피부착물(50)에 접촉된다. 이때, 구슬(60)이 구슬 배출공(935b)에서 배출될 때는, 볼(936)은 지지홈(935c)(도 18 참조)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구슬(60)이 피부착물(50)에 접촉되어도, 플런저(913)가 더 하강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913)와 연결바(954)는 하강하고, 연결바(954)의 하강에 의하여 탄성부재(953)(도 18 참조)가 압축된다. 그러면, 탄성부재(953)의 탄성력에 의하여 승강바(951)와 누름바(957)가 구슬(60)측으로 탄성 지지되므로, 구슬(60)은 더욱 견고하게 지지된다.
플런저(913)의 하강 거리와 탄성부재(953)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구슬(60)이 피부착물(50)에 접촉된 상태에서 플런저(913)가 더 하강하여도, 누름바(957)에 의하여 구슬(60)이 손상되거나 구슬(60)의 자국이 피부착물(50)에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d의 상태에서, 부착핀(70)(도 15 참조)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급된다. 그러면, 부착핀(70)이 피부착물(50)을 뚫고서 구슬(60)에 박히므로, 구슬(60)이 피부착물(50)에 부착된다.
구슬(60)이 피부착물(50)에 부착되면 플런저(913)가 상승하고, 플런저(913)의 상승에 의하여 누름바(957)도 상승하여, 도 19a에 도시된 최초의 상태가 된다.
이 후, 다른 크기의 구슬(60)을 피부착물(50)에 부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슬라이딩블럭(931)을 슬라이딩시켜 부착하고자 하는 구슬(60)과 대응되게 위치된 연결바(954)를 플런저(913)에 결합한 다음, 플런저(913)를 하강시키면 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는,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의 장점 이외에, 슬라이딩블럭(931)을 슬라이딩시켜 부착하고자 하는 구슬(60)과 대응되게 설치된 연결바(954)를 플런저(913)와 결합시키면 부착하고자 하는 구슬(60)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대단히 편리하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도면은 자세한 윤곽 라인을 생략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속하는 부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으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된 기술사항을 이해하기 위한 참조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50: 피부착물
60: 구슬
70: 부착핀
100, 400, 700: 지지부재
200, 500, 800: 부착핀 공급부
300, 600, 900: 구슬 공급부

Claims (32)

  1.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상면측에는 피부착물(被俯着物)이 놓여서 통과하며, 외부로부터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침을 가지는 부착핀을 전달받아 이송한 후, 상기 부착핀을 상기 피부착물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급하는 부착핀 공급부;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부착핀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부착핀의 상기 고정침이 구슬에 박혀서 상기 구슬이 상기 피부착물에 부착되도록, 외부로부터 상기 구슬을 전달받아 상기 부착핀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부착핀의 공급 방향과 대응되는 부위로 상기 구슬을 상기 피부착물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공급하여 지지하는 구슬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핀은 상기 고정침이 하측을 향한 상태로 상기 부착핀 공급부로 전달되고,
    상기 부착핀 공급부는, 상기 부착핀을 전달받아 상기 고정침이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부착핀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부; 상기 방향전환부로부터 상기 부착핀을 전달받아 상기 부착핀을 공급 위치로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부착핀을 상측으로 쏘아서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는, 내부에 원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외주면 상측에는 상기 부착핀이 투입되는 투입공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상기 부착핀이 배출되는 부착핀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에 고정된 고정블럭; 상기 고정블럭의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된 회전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회전블럭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투입공 또는 상기 부착핀 배출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면서 상기 투입공으로 투입된 상기 부착핀을 수용하여 상기 부착핀 배출공으로 배출하며,
    상기 부착핀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블럭의 회전에 의하여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부착핀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압축기에 의하여 상기 피부착물로 공급되는 상기 부착핀이 위치되는 공급로가 형성된 베이스블럭; 일측 부위는 상기 베이스블럭의 외측에 위치되고 타측 부위는 상기 베이스블럭의 상면 일측 부위를 따라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바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바의 타측 부위에는 상기 부착핀 배출공에서 배출된 상기 부착핀을 수용하여 상기 베이스블럭의 상면 타측 부위에 형성된 상기 공급로로 전달하는 수용공이 형성되며,
    상기 공급로의 하측 부위는 상기 압축기와 연통되고 상측 부위는 상기 구슬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구슬과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블럭의 상면에는 상기 이송바의 타측 부위가 삽입되어 직선운동하는 운동로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운동로의 타측 부위에 상기 공급로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블럭의 상면에는 상기 이송바가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의 일측 부위에는 상기 부착핀 배출공과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이송바가 운동함에 따라 상기 수용공과 연통되는 제 1 연통공이 형성되고, 타측 부위에는 상기 이송바가 운동함에 따라 상기 수용공을 매개로 상기 공급로와 연통되는 제 2 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블럭의 하면에는 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에는 일측 부위가 상기 실린더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이송바의 일측 부위와 연결된 작동바의 타측 부위가 삽입되며,
    상기 작동바는 상기 실린더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이송바를 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과 상기 공급로가 연통되면 상기 수용공에 수용된 상기 부착핀이 상기 압축기에 의하여 상기 제 2 연통공을 통하여 상기 피부착물로 공급되고,
    상기 커버의 타단부측에는,
    일측 부위는 상기 운동로에 삽입되어 상기 운동로를 따라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 부위는 상기 커버에 지지된 안내바가 설치되고,
    상기 안내바의 일단부측에는 상기 안내바가 직선운동함에 따라 하측은 상기 공급로와 연통되고 상측은 상기 제 2 연통공과 연통되는 안내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타측에는 상기 수용공이 상기 공급로 및 상기 제 2 연통공과 각각 비연통하면 상기 안내공이 상기 공급로 및 상기 제 2 연통공과 각각 연통하도록 상기 안내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는, 반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곡선 이송레일이 형성된 고정블럭; 상기 곡선 이송레일과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곡선 이송레일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고정블럭에 형성된 이탈방지테를 포함하고,
    상호 인접하는 상기 고정침의 사이의 부위는 상기 곡선 이송레일에 삽입 지지되고, 상기 이탈방지테는 상기 부착핀이 상기 곡선 이송레일의 외주면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부착핀은 상기 곡선 이송레일에 지지되어 상기 곡선 이송레일을 따라, 상기 고정블럭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공전하면서 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베이스블럭; 상기 베이스블럭의 상면에 결합되며 하면에는 상기 베이스블럭의 상면과 간격을 가짐과 동시에 일단부가 상기 곡선 이송레일의 하단부와 연결된 직선 이송레일이 형성된 제 1 안내블럭; 상기 베이스블럭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직선 이송레일의 타단부와의 사이에 방향이 전환된 상기 부착핀을 상기 구슬 공급부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를 형성하는 제 2 안내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이송레일과 대향하는 상기 제 2 안내블럭의 일면에는 상기 직선 이송레일의 타단부측이 삽입 수용되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직선 이송레일의 타단면과 상기 절개홈을 형성하는 상기 제 2 안내블럭의 면에 의하여 상기 공급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내블럭의 하면에는 상기 절개홈과 연통된 흡입로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로는 상기 베이스블럭에 결합된 진공펌프측과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로 직하방의 상기 베이스블럭에는 상기 부착핀을 상기 구슬 공급부로 전달하는 압축기의 푸시로드가 관통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핀이 상기 공급로로 이송될 때, 상기 푸시로드의 상단면(上端面)은 상기 베이스블럭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14. 제3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슬 공급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부착핀 공급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내부에는 승강 가능하게 플런저(Plunger)의 상측 부위가 설치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하측에 위치되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달되는 상기 구슬을 하나씩 수용하여 상기 부착핀이 공급되는 부위의 직상방에 위치시키는 정렬부; 상측 부위가 상기 플런저에 연결되고, 상기 플런저와 함께 승강하며, 하단부는 상기 정렬부에 위치된 상기 구슬을 하측으로 눌러서 상기 구슬을 상기 부착핀이 공급되는 부위로 공급함과 동시에 지지하는 누름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자중(自重)에 의하여 하강하고, 상기 플런저에 의하여 상승하며,
    상기 실린더와 상기 부착핀 공급부 사이의 상기 지지부재의 부위에는 상기 누름지지부 및 상기 정렬부의 승강운동을 지지하는 중공체(中空體)의 지지블럭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지지부는, 상측 부위가 상기 플런저의 하측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 부위는 상기 지지블럭에 삽입되며 상기 플런저와 함께 승강하는 승강바, 상측 부위가 상기 승강바의 하측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정렬부에 정렬된 상기 구슬과 대향하며, 상기 승강바와 함께 승강하면서 상기 승강바가 하강하면, 상기 정렬부에 정렬된 상기 구슬을 눌러서 상기 부착핀이 공급되는 부위로 공급함과 동시에 지지하는 누름바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하측 부위는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의 하단부측 외주면에는 상기 승강바의 상단부측이 출입하는 개방된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출입구를 형성하는 상기 플런저의 하측 부위에는 상호 대향되게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바의 상측 부위 외주면에는, 상기 승강바가 상기 출입구를 통하여 상기 플런저의 하측 부위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링형상의 제 1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바의 하측 부위는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누름바의 상측 부위는 상기 승강바의 하측 부위에 삽입되며,
    상기 승강바의 하측 부위 외주면에는 상기 누름바를 상기 승강바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체결나사가 결합되고,
    상기 누름바의 상측 부위 외주면에는 상기 승강바를 관통한 상기 체결나사의 단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링형상의 제 2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바의 하단면에는 상기 구슬의 상측 부위가 삽입 지지되는 안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정렬부는, 상측 부위가 상기 지지블럭의 내부에 삽입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측 부위는 상기 지지블럭의 외부에 위치된 지지관, 상기 지지관의 하측 부위에 상측 부위가 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관과 함께 승강하며 외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구슬을 수용하여 상기 부착핀이 공급되는 부위와 대응되게 위치시키는 정렬관을 가지며,
    상기 지지관과 상기 정렬관의 내부에는 상기 누름지지부의 상기 누름바가 위치되어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관의 상측 부위 외주면에는 상기 구슬이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과 대향하는 상기 지지관의 외주면은 개방되며,
    상기 정렬관의 하측 부위 내부에는 상기 정렬관의 내부를 차단하여 상기 구슬이 하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개방하여 상기 구슬이 하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스토퍼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지지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에 일단부측이 결합되며,
    상기 지지관과 상기 정렬관에는 회전하는 상기 스토퍼의 타측 부위가 통과하는 연통로가 상호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플런저의 하강에 의하여 상기 누름바가 상기 구슬을 누르면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정렬관의 내부를 개방하고,
    상기 플런저의 상승에 의하여 상기 누름지지부가 상승하면, 상기 누름지지부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회전축에 의하여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정렬관의 내부를 차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단부측은 상기 승강바에 지지되고 하단부측은 상기 회전축측에 지지된 탄성부재에 의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의 외면에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부측이 지지되는 회전판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하측 부위는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 일부를 감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하측 부위가 삽입 안치되는 함몰된 안치로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바 및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부측 및 하단부측이 각각 걸려서 지지되는 상측지지돌기 및 하측지지돌기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지지블럭의 외면에는 상기 승강바에 결합된 상기 상측지지돌기가 삽입 위치되는 승강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 의하여 상기 정렬관의 내부가 차단되었을 때, 1개의 상기 구슬이 상기 정렬관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회전축과 상기 유입공 사이의 거리는 상기 구슬의 직경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역방향 회전각도는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에 의하여 제한되며,
    상기 지지관 및 상기 지지블럭에는 상호 삽입 결합되어 상기 누름지지부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 및 안내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측 상기 정렬관의 부위에는 지지판이 결합되며,
    상기 지지판에는 슬라이딩판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크기가 상이한 상기 구슬들이 각각 저장된 저장통과 일측이 각각 연통되어 상기 구슬들을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공으로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공급호스의 타측이 각각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에는 상기 실린더, 상기 누름지지부 및 상기 정렬부가 세트를 이루면서 복수 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24. 제3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슬 공급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부착핀 공급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내부에는 승강 가능하게 플런저(Plunger)의 상측 부위가 설치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플런저의 운동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달되는 상기 구슬을 동일한 크기별로 구획 수용하여 상기 부착핀이 공급되는 부위의 직상방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정렬부; 상기 구슬의 크기별 개수와 대응되게 상기 정렬부에 복수 개 설치되며, 상기 정렬부가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측 부위가 상기 플런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플런저와 함께 승강하며, 하단부는 상기 정렬부에 위치된 상기 구슬을 하측으로 눌러서 상기 구슬을 상기 부착핀이 공급되는 부위로 공급함과 동시에 지지하는 누름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슬라이딩가능하게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된 슬라이딩블럭; 상기 슬라이딩블럭의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럭과 함께 운동하며 상기 구슬을 크기별로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블럭에는 상기 수용블럭의 개수와 대응되며 상기 플런저의 운동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복수의 관통로가 구획 형성되고,
    상기 수용블럭의 상측 부위에는 상기 관통로의 하측 부위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관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블럭의 내부에는 상기 구슬을 수용하여 상기 피부착물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구슬 배출공이 상기 결합관과 연통 형성되고,
    상기 수용블럭의 일측에는 상기 구슬 배출공과 연통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구슬을 상기 구슬 배출공으로 전달하기 위한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블럭의 타측에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에는 상기 구슬 배출공으로 유입된 상기 구슬이 상기 피부착물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볼이 탄성 지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지지부는, 상기 관통로의 개수와 대응되게 마련되어 상기 관통로에 각각 승강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승강바; 하측 부위는 상기 승강바의 상측 부위에 각각 결합되고, 상측 부위는 상기 슬라이딩블럭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럭이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플런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에 의하여 승강하면서 상기 승강바를 승강시키는 연결바; 상측 부위는 상기 승강바의 하측 부위에 각각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구슬 배출공에 수용된 상기 구슬과 대향하며, 상기 승강바와 함께 승강하면서 상기 승강바가 하강하면, 상기 구슬 배출공에 수용된 상기 구슬을 눌러서 상기 부착핀이 공급되는 부위로 공급함과 동시에 지지하는 누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플런저와 결합되지 않은 상기 연결바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브라켓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의 상단부측에는 머리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의 하단부에서 벤딩 형성되어 상기 연결바의 상기 머리부의 하면이 지지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플런저의 운동경로 상에 위치된 상기 지지판의 부위는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하측 부위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링형상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에는 한쌍의 연장편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에는 걸림편이 각각 벤딩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블럭이 슬라이딩하여 상기 플런저의 하측 부위가 상기 연장편 사이에 위치되면, 상기 걸림편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상기 플런저의 운동방향을 따라 유동가능하게 상기 승강바에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측으로 탄성 지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바의 내부에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바의 외주면에는 일측은 진공펌프측과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유로와 연통된 연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누름바의 하단부에는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누름바의 하단부로 흡입되는 상기 구슬이 안치되는 안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KR1020120058588A 2011-07-13 2012-05-31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KR101365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372 2011-07-13
KR20110069372 2011-07-13
KR1020120004304 2012-01-13
KR1020120004304A KR20130009581A (ko) 2011-07-13 2012-01-13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610A KR20130009610A (ko) 2013-01-23
KR101365386B1 true KR101365386B1 (ko) 2014-02-20

Family

ID=478393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304A KR20130009581A (ko) 2011-07-13 2012-01-13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KR1020120058588A KR101365386B1 (ko) 2011-07-13 2012-05-31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304A KR20130009581A (ko) 2011-07-13 2012-01-13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3000958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100B1 (ko) * 2015-07-09 2016-08-10 이순녀 장식구 공급장치
KR200484565Y1 (ko) * 2016-07-11 2017-10-23 이순녀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KR20180000207U (ko) * 2016-07-11 2018-01-19 이순녀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933B1 (ko) * 2013-06-25 2014-08-01 이순녀 장식구 부착장치
KR101465779B1 (ko) * 2013-06-27 2014-12-01 이순녀 장식구 부착장치
KR101497400B1 (ko) * 2014-01-15 2015-03-04 김종운 직물용 장식구슬 부착장치
KR101670284B1 (ko) * 2015-01-29 2016-10-28 조영주 단추 및 장식구의 고리 부착장치
CN107034708B (zh) * 2017-03-29 2019-02-05 肇庆市索龙机械有限公司 钉珠机的流珠机构
WO2018214548A1 (zh) * 2017-05-25 2018-11-29 李万 涂有防磨涂层的纱网贴珠机
CN117735209A (zh) * 2024-01-11 2024-03-22 宁波睿亿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跳绳自动穿珠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7958A (ko) * 2006-11-27 2008-05-30 이상재 액세서리 부착기
KR20090031490A (ko) * 2007-09-23 2009-03-26 이상재 액세서리 부착기
KR20090012855U (ko) * 2008-06-12 2009-12-16 주진식 장식용 구슬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7958A (ko) * 2006-11-27 2008-05-30 이상재 액세서리 부착기
KR20090031490A (ko) * 2007-09-23 2009-03-26 이상재 액세서리 부착기
KR20090012855U (ko) * 2008-06-12 2009-12-16 주진식 장식용 구슬 부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100B1 (ko) * 2015-07-09 2016-08-10 이순녀 장식구 공급장치
KR200484565Y1 (ko) * 2016-07-11 2017-10-23 이순녀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KR20180000207U (ko) * 2016-07-11 2018-01-19 이순녀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KR200486059Y1 (ko) 2016-07-11 2018-03-28 이순녀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610A (ko) 2013-01-23
KR20130009581A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386B1 (ko) 장식용 구슬 부착 장치
KR101001386B1 (ko) 인서트너트 정렬 공급시스템
KR101365299B1 (ko) 장식구 부착 장치
KR20100032062A (ko) 찡 부착기
CN109626048A (zh) 一种用于布料切割的生产线
CN207582082U (zh) 一种全自动缝纫机
CN107555114A (zh) 一种制衣吊挂系统
CN106012314A (zh) 分离式自动纽扣定位缝纫装置
CN105642501B (zh) Led灯板的透镜涂胶安装机
CN114560239B (zh) 一种钉扣装置
CN108210331A (zh) 一种全自动配药机
KR20160066149A (ko) 수액팩 정열 및 낱장 연속공급 장치
CN208014545U (zh) 一种贴片式电感制造机
JP2017140228A (ja) ミシンの糸通し装置
CN109291366A (zh) 新能源电池中自动定位搬运生产线
CN109972302A (zh) 缝纫机
KR200484565Y1 (ko)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CN209684779U (zh) 吸取模板结构及具有该结构的定位吸取模板组合
CN208307905U (zh) 用于干粉灭火器灌装流水线的等距分料装置
KR200486059Y1 (ko) 장식구 공급장치의 진공전환유닛
CN110153905A (zh) 一种竖式车辆工件用装载机械
CN205551781U (zh) 梳柄自动装配焊接机
CN207219991U (zh) 一种蛋糕皮自动传送装置
KR101424933B1 (ko) 장식구 부착장치
CN109972304A (zh) 缝纫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