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111B1 - 온도와 기압의 평형을 이용한 환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저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도와 기압의 평형을 이용한 환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저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111B1
KR101571111B1 KR1020140049213A KR20140049213A KR101571111B1 KR 101571111 B1 KR101571111 B1 KR 101571111B1 KR 1020140049213 A KR1020140049213 A KR 1020140049213A KR 20140049213 A KR20140049213 A KR 20140049213A KR 101571111 B1 KR101571111 B1 KR 101571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ventilation
open
reservoi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3437A (ko
Inventor
심기섭
Original Assignee
심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기섭 filed Critical 심기섭
Priority to PCT/KR2014/00408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182080A1/ko
Priority to CN201480019168.5A priority patent/CN105121968A/zh
Priority to US14/780,659 priority patent/US20160054046A1/en
Publication of KR20140133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0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in cold 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5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for maintaining constant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means responsive to temperature, e.g. bi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7Pressure equali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freezer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Ventilation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기압평형 환기 유닛은, 제1 환기구를 정의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환기구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1 회전축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1 환기구를 개폐시키는 제1 개폐 플레이트를 갖는 제1 프레임 어셈블리, 상기 제1 프레임 어셈블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환기구를 정의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환기구에 설치되는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구비되며 상기 제2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2 환기구를 개폐시키는 제2 개폐 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양측에 가해지는 기압 차이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제2 환기구를 개방할 수 있는 제2 프레임 어셈블리, 상기 제1 회전축에 연결되며, 개방 신호 또는 폐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정역 모터를 갖는 구동부,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정역 모터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이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개방 신호 또는 상기 폐쇄 신호를 차단하여 상기 정역 모터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각각 연동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이 상기 개방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환기구를 개방시킬 때 상기 제2 회전축을 구속시켜 상기 제2 환기구를 폐쇄 상태로 유지시키는 잠금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압평형 환기 유닛은, 온도가 다른 2곳 이상의 저장고들 및 냉동고와 냉장고 사이(또는 열원부 온장고와 수열부 온장고 사이)에 설치되어, 온도를 낮게 유지하고자 할 때에는, 낮은 열원부가 있는 온도가 낮은 곳의 공기를, 온도를 높게 유지하고자 할 때에는 높은 열원부가 있는 온도가 높은 곳의 공기를, 온도를 제어하고자 하는 인접한 곳으로 열기 또는 냉기를 보내고, 이때 받는 곳에서 발생 되는 양압을, 보낸 곳으로 다시 되돌려 주어 보낸 곳의 음압을 보상하여 기압의 평형을 이루며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목적하는 인접한 곳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저장고 또는 제1 실 내부에 농산물이나 사람이 존재하고, 저장물 또는 사람에게 유해한 가스가 일정농도 이상이 되어, 저장물 또는 사람에게 위해를 줄 수 있을 때, 이 가스를 감지하여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가스인 경우에는, 연소로 인해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며, 감지된 가스가 화재로 인해 발생된 가스가 아닌 특정 유독가스인 경우에는 자동으로 실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고, 감지된 가스가 화재로 인해 발생된 가스가 아닌 특정 유독가스인 경우에는 산소나 특정 유독가스를 중화할 수있는 가스를 투입하여 유독가스의 농도를 설정치 이하로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온도와 기압의 평형을 이용한 환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저장 시스템{TEMPERATURE AND AIR PRESSURE BALANCED VENTILATION UNIT AND STORAGE SYSTEM USING THE VENTILATION UNIT}
본 발명은 온도와 기압의 평형을 이용한 환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가열장치 또는 냉각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원 또는 냉원을 이용하여 인접한 장소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압평형 환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냉장고는 냉장실에 별도의 증발기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냉동실의 증발기 하나로 상기 냉장실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규모가 큰 산업용 또는 상업용 워크인 쿨러(WORK-IN COOLER)나 냉동냉장고에서는, 냉동실 증발기의 팬과 냉동실과 냉장실을 연결하는 댐퍼 및 덕트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한 열손실과 댐퍼의 결빙, 그리고 냉동고의 공기를 냉장고로 송풍할 때 발생하는 냉장고의 기압 상승과 냉동고의 기압 강하로 인해,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냉동고의 온도 강하에 따른 음압을 해소하기 위해 설치된 기압변을 통한 외부 공기의 냉동고 유입으로 인해 냉동고의 열손실이 발생하고, 기압이 높아진 냉장고의 공기가 냉장고에 설치된 기압변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감으로 인해 열손실이 초래되어, 재료비와 인건비 그리고 소비전력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하기에, 비용과 인건비 등이 상승하여도 냉동냉장고의 용량이 대형화될 때에는 냉장고에 각각의 냉동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한대의 콘덴싱 유닛을 사용하더라도 냉동고와 냉장고에 각각의 쿨러를 설치하고 냉동기에 냉매 배관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냉동실과 냉동실, 그리고 냉장실과 냉장실이 여럿인 경우에 있어서도 각 실별로 냉동기를 각각 설치하거나, 최소한 실내기를 각각 설치하고 냉매 배관을 콘덴싱 유닛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고 내부의 공기를 인접한 저장고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급하고 상기 인접한 저장고들 사이의 압력 평형을 유지할 수 있는 기압평형 환기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기압평형 환기 유닛을 이용한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냉동고의 온도 강하에 따른 음압을 해소하기 위하여 냉동고에 설치된 기압변을 통해, 외부 공기가 냉동고로 유입됨으로 인해 냉동고에 열손실이 발생하고, 기압이 높아진 냉장고의 공기가 냉장고에 설치된 기압변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감으로 인해 열손실이 크게 초래되는 것을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기압평형 환기 유닛은, 제1 환기구를 정의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환기구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1 회전축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1 환기구를 개폐시키는 제1 개폐 플레이트를 갖는 제1 프레임 어셈블리, 상기 제1 프레임 어셈블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환기구를 정의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환기구에 설치되는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구비되며 상기 제2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2 환기구를 개폐시키는 제2 개폐 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양측에 가해지는 기압 차이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제2 환기구를 개방할 수 있는 제2 프레임 어셈블리, 상기 제1 회전축에 연결되며, 개방 신호 또는 폐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정역 모터를 갖는 구동부,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정역 모터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이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개방 신호 또는 상기 폐쇄 신호를 차단하여 상기 정역 모터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제1 회전축에 연동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이 상기 개방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환기구를 개방시킬 때 상기 제2 회전축을 구속시켜 상기 제2 환기구를 폐쇄 상태로 유지시키는 잠금 제어부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환기구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하부 제1 환기구 및 상부 제1 환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하부 제1 환기구에 설치되는 하부 제1 회전축 및 상기 상부 제1 환기구에 설치되는 상부 제1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개폐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제1 회전축에 구비되는 하부 제1 개폐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제1 회전축에 구비되는 상부 제1 개폐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제1 회전축은 제1 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제1 회전축은 제2 링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는 연결 링크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정역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된 입력 링크이고, 상기 제2 링크는 출력 링크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정역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된 입력 링크이고, 상기 제1 링크는 출력 링크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잠금 제어부는 상기 제2 회전축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잠금용 돌출부를 갖는 평형 날개, 및 상기 연결 링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이 상기 개방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할 때 상승하여 상기 잠금용 돌출부와 접촉하여 상기 평형 날개를 구속하는 고정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잠금용 돌출부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회전축이 회전할 때, 상기 고정 날개는 상승하여 상기 두 개의 잠금용 돌출부들과 접촉하여 기울어져 있는 상기 평형 날개를 수평 상태로 고정시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하부 제1 환기구 및 상기 상부 제1 환기구를 분할하는 분할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분할 프레임은 일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얇아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내부면 중심부와 상기 분할 프레임의 중심부에는 걸림턱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축이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제1 개폐 플레이트는 상기 걸림턱에 안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의 내부면 중심부 및 하부면 중심부에는 돌출부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 및 상기 돌출부에는 히터 삽입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히터 삽입홈에는 히터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들과 상기 제1 및 제2 개폐 플레이트들과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회전축에 연동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이 상기 개방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개방 신호를 차단하는 제1 마이크로 스위치, 상기 제1 회전축에 연동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이 상기 폐쇄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폐쇄 신호를 차단하는 제2 마이크로 스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로 스위치들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개방 신호 및 상기 폐쇄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차단되면 상기 정역 모터를 정지시키는 릴레이들을 갖는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 스위치의 접점은 상기 제1 회전축이 개방 방향으로 90ㅀ 만큼 회전할 때 개방되어 상기 개방 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제2 마이크로 스위치의 접점은 상기 제1 회전축이 폐쇄 방향으로 90ㅀ 만큼 회전할 때 개방되어 상기 폐쇄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가 상기 상부 제1 회전축에 대하여 개방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한 후, 상기 제1 마이크로 스위치와 접촉하여 상기 개방 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제2 링크가 상기 제2 하부 회전축에 대하여 폐쇄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한 후 상기 제2 마이크로 스위치와 접촉하여 상기 폐쇄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양측에 가해지는 기압 차이가 발생할 때 개방되고, 상기 기압 차이가 제거될 때 폐쇄되며,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상기 제2 회전축을 상기 제2 환기구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무게 중심이 상기 제2 회전축보다 하부에 있어, 자중에 의해 상기 제2 환기구를 폐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하부는 공기압을 수용하도록 오목한 형태로 함몰된 리세스 영역을 가지며, 상기 환기구 개폐 시 하부 수평 프레임과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부 수평 프레임과 닿는 제2 개폐 플레이트의 하단면을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전후 양측에 가해지는 기압 차이에 의해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가 열리고,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전후 양측에 상기 기압 차이가 해소되면, 상기 제2 회전축의 일단부에 구비된 복귀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으로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가 폐쇄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전후 양측에 가해지는 기압 차이에 의해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가 열리고,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전후 양측에 상기 기압 차이가 해소되면, 상기 제2 회전축의 일단부에 구비된 복귀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으로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가 폐쇄 위치로 근접할 때,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구비된 제1 자석부와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프레임에 구비된 제2 자석부 사이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기압평형 환기 유닛은 상기 기압평형 환기 유닛이 설치된 저장고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정역 모터에 상기 개방 신호 및 상기 폐쇄 신호를 공급하는 온도 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기압평형 환기 유닛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환기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 또는 공급하기 위한 환기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환기팬은 상기 개방 신호가 공급되면 작동하고 상기 폐쇄 신호가 공급되면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저장 시스템은 열원 및 냉원을 갖는 제1 저장고, 벽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저장고와 인접한 제2 저장고, 상기 벽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저장고 내의 공기를 상기 제2 저장고로 공급하는 제1 기압평형 환기 유닛, 및 상기 제1 기압평형 환기 유닛이 설치된 동일 벽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저장고 내의 공기를 상기 제1 저장고로 공급하는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환기구를 정의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환기구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1 회전축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1 환기구를 개폐시키는 제1 개폐 플레이트를 갖는 제1 프레임 어셈블리,
상기 제1 프레임 어셈블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환기구를 정의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환기구에 설치되는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구비되며 상기 제2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2 환기구를 개폐시키는 제2 개폐 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양측에 가해지는 기압 차이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제2 환기구를 개방할 수 있는 기압평형 어셈블리,
상기 제1 회전축에 연결되며, 개방 신호 또는 폐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정역 모터를 갖는 구동부, 및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정역 모터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이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개방 신호 또는 상기 폐쇄 신호를 차단하여 상기 정역 모터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각각 연동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이 상기 개방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환기구를 개방시킬 때 상기 제2 회전축을 구속시켜 상기 제2 환기구를 폐쇄 상태로 유지시키는 잠금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고는 낮은 열원(熱源)을 갖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저온 저장고이며, 상기 제2 저장고는 제1 저장고로부터 차가운 공기를 공급받아 온도를 제어하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수냉부(受冷部) 저온 저장고이고, 상기 제1 저장고의 열원은 냉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고는 열원부(熱源部) 온장고이며, 상기 제2 저장고는 수열부(受熱部) 온장고이고, 상기 제1 저장고의 열원은 히터 및 히트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저장 시스템은 상기 제1 및 제2 저장고들 내부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정역 모터에 상기 개방 신호 및 상기 폐쇄 신호를 공급하는 온도 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일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환기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 또는 공급하기 위한 환기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환기팬은 상기 개방 신호가 공급되면 작동하고 상기 폐쇄 신호가 공급되면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기압평형 환기 유닛의 제2 프레임은 기압평형 어셈블리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저장 시스템은 상기 제1 및 제2 저장고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저장고들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 평형을 위한 외부 기압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저장 시스템은 상기 제1 및 제2 저장고 중에서 냉기 및 열기를 공급받는 제2 저장고에 상기 제1 및 제2 저장고들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 평형을 위한 외부 기압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명에 따른 기압평형 환기 유닛은, 온도가 다른 2곳 이상의 저장고와 저장고 및 냉동고와 냉장고 사이(또는 열원부 온장고와 수열부 온장고 사이)에 설치되어, 온도를 낮게 유지하고자 할 때에는 낮은 열원부가 있는 온도가 낮은 곳의 공기를, 온도를 높게 유지하고자 할 때에는 높은 열원부가 있는 온도가 높은 곳의 공기를, 온도를 제어하고자 하는 인접한 곳으로 열기 또는 냉기를 보내고, 이때 받는 곳에서 발생 되는 양압을, 보낸 곳으로 다시 되돌려 주어 보낸 곳의 음압을 보상하여 기압의 평형을 이루며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목적하는 인접한 곳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열전달율이 적은 비금속 재질로 열전달 및 공기의 누설을 차단하도록 전용의 환기 유닛을 채용하였고, 댐퍼의 결빙을 예방하기 위해 댐퍼 플레이트 가 회전하는, 환기 어셈블리 프레임 몸체에 전용의 히터를 설치하였으며, 댐퍼 작동시 강력한 힘과 정밀한 개폐를 하기 위해 기어드 모터를 개폐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전용의 구동회로를 적용하여 작동케 하였고, 출입구 도어의 개폐 시와 공기의 순환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압의 차이 즉, 제1 저장고와 제2 저장고 사이의 내부 압력의 차이는 기압평형 어셈블리로, 저장고와 외부와의 기압 차이는 외부 기압 변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냉기 또는 열기를 공급받는 수냉부(受冷部) 및 수열부(受熱部)의 제2 저장고에 외부 기압 변을 설치함으로써, 외기와의 온도차가 적은 제2 저장고를 통해 제1 및 제2 저장고가 외기와의 압력의 균형을 이루게 되어, 상대적으로 온도차가 큰 공기가 제1 저장고를 통해 외기와의 압력의 균형을 이룰 때에 비해, 급격한 온도 변화 방지와 이로 인한, 저장물에 대한 급격한 열 충격을 예방할 수 있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한편, 제1 저장고와 제2 저장고에 모두 열원을 설치한 경우에, 제1 저장고와 제2 저장고의 어느 한쪽이 고장 났을 때 고장 난 곳에 저장물이 들어 있는 경우에 저장물이 온도의 급격한 변화로 변질될 수가 있어, 이를 수리하기 위한 시간에 ??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기압평형 환기 유닛이 설치되어 있으면, 고장 나지 않은 어느 한쪽의 열원으로서 고장 난 쪽의 필요한 냉기나 열원을 충당할 수 있다.
온도 제어를 할 수 있는 저장고의 경우에 최대 부하를 고려하여 그 설비를 시공하기에, 고장 시에 수리에 필요한 시간을 벌 수 있어 비상시를 대비한 예비 설비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저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기압평형 환기 유닛의 환기 어셈블리의 폐쇄 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기압평형 환기 유닛의 환기 어셈블리의 개방 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기압평형 환기 유닛의 기압평형 어셈블리의 개방 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2의 기압평형 환기 유닛의 기압평형 어셈블리의 개방 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폐쇄 상태의 제2 개폐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개방 상태의 제2 개폐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기압평형 환기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기압평형 환기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의 저장 시스템에서의 기압평형 환기 유닛을 채용한 회로도이다.
도 18은 단일의 복귀 스프링에 연결된 평형 날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다양한 구조의 환기 어셈블리의 제1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2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저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은 도 21의 저장 시스템에서의 자동배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저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저장 시스템(10)은 제1 저장고(12), 제2 저장고(14) 및 제1 및 제2 저장고들(12, 14)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들(100A, 100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저장 시스템(10)은 서로 다른 온도 범위들을 갖고 서로 인접한 적어도 두개의 제1 및 제2 저장고들(12, 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장고(12) 및 제2 저장고(14)는 중간벽체(16)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저장고들(12, 14)의 온도 범위들은 각각의 저장고에 저장되는 저장물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저장고(12)는 냉각기와 같은 저온의 열원(30)을 갖는, 냉동고와 같은 저온 저장고일 수 있고, 제2 저장고(14)는 제1 저장고로부터 차가운 공기를 공급받는, 제1 저장고 보다 온도가 높은 냉장고와 같은 저온 저장고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저장고(12)는 히터와 같은 고온의 열원을 갖는 열원부 온장고이고, 제2 저장고(14)는 상기 열원부 온장고보다 낮은 온도 범위를 갖는 수열부 온장고일 수 있다.
제1 기압평형 환기 유닛(100A) 및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100B)은 서로 동일 중간벽체(16) 원거리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들(100A, 100B)은 한 조를 이루어 제1 저장고(12) 내부의 공기를 제2 저장고(14)로 공급하고 제2 저장고(14) 내부의 공기를 제1 저장고(12)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들(100A, 100B)의 위치들은 제1 및 제2 저장고들(12,14)의 크기 및 온도 범위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제1 기압평형 환기 유닛(100A)은 제1 저장고(12) 내의 공기를 제2 저장고(14)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100B)은 제2 저장고(14) 내의 공기를 제1 저장고(12)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들(100A, 100B)은 서로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기압평형 환기 유닛(100A)이 작동하여 제1 저장고(12) 내의 공기를 제2 저장고(14)로 공급할 때,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100B)은 이와 동시에 작동하여 제2 저장고(14) 내의 공기를 제1 저장고(12)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압평형 환기 유닛(100A)의 급기 동작이 정지될 때,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100B)의 급기 동작 역시 정지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들(100A, 100B)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저장고 내의 공기를 다른 저장고로 공급할 수 있는 환기 어셈블리 및 상기 저장고들 사이의 압력 평형을 위한 기압평형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 어셈블리는 제1 및 제2 저장고들(12, 14) 사이에 구비된 제1 환기구를 개방 신호 및 폐쇄 신호와 같은 제어 신호에 따라 개방 및 폐쇄시키고 상기 제1 환기구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급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압평형 어셈블리는 상기 환기 어셈블리에 인접하게 구비되고, 제1 및 제2 저장고들(12, 14) 사이의 기압 차이에 의해 개방되어 기압 차이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압평형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환기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환기구를 폐쇄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기압평형 어셈블리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저장 시스템(10)은 센서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제1 저장고(12) 및 제2 저장고(14) 내부에 설치된 가스 센서, 압력 센서, 습도 센서,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저장고 내부의 온도 및 습도, 가스의 농도 등에 따라 저장 시스템(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온도 조절기(50A, 50B)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조절기는 제1 및 제2 저장고들(12, 14) 내부의 온도에 따라 제1 및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들(100A, 100B)의 급기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을 생성 및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시스템(10)은 제1 및 제2 저장고들(12, 14)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저장고들(12, 14)의 내부와 저장고 외부와의 압력 평형을 위한 외부 기압변(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저장고(14)의 일 측벽에 설치된 외부 기압변(40)은 제2 저장고(14) 내부와 저장고 외부에 기압 차이가 있을 때 개방되어 기압 차이를 해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저장 시스템에 포함된 기압평형 환기 유닛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확한 이해를 위하여, 도 1의 제1 기압평형 환기 유닛(100A)과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100B)은 급기와 배기 방향이 서로 반대일 뿐,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저장고가 냉동고이고 상기 제2 저장고가 냉장고인 경우에, 제1 및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들(100A, 100B)은 제1,제2 개폐플레이트와 환기팬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저장고(100B) 측에 환기팬을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고가 열원부 온장고이고 상기 제2 저장고가 수열부 온장고인 경우에, 상기 환기팬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들(100A, 100B)은 제2 저장고(100B) 측에 환기팬을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들(100A, 100B)을 참조부호 100으로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기압평형 환기 유닛으로 총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기압평형 환기 유닛의 환기 어셈블리의 폐쇄 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기압평형 환기 유닛의 환기 어셈블리의 개방 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기압평형 환기 유닛의 기압평형 어셈블리의 개방 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2의 기압평형 환기 유닛의 기압평형 어셈블리의 개방 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폐쇄 상태의 제2 개폐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개방 상태의 제2 개폐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기압평형 환기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기압평형 환기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의 저장 시스템에서의 기압평형 환기 유닛을 채용한 회로도이다.
도 2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기압평형 환기 유닛(100)은 환기 어셈블리, 기압평형 어셈블리 및 환기팬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환기팬 유닛(200)은 상기 환기 어셈블리의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다. 환기팬 유닛(200)은 저장고 내의 공기를 환기 어셈블리(110)를 통해 다른 저장고로 배출 및 공급하기 위한 환기팬(2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 어셈블리는, 제1 및 제2 저장고들(12, 14) 사이의 벽체(16)에 설치되며 제1 환기구(116a, 116b)를 갖는 제1 프레임 어셈블리, 개방 신호 및 폐쇄 신호와 같은 제어 신호를 따라 제1 환기구(116a, 116b)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구동부(140), 및 구동부(140)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 어셈블리는 제1 환기구(116a, 116b)가 개방된 상태에서 환기팬(202)이 작동하여 제1 환기구(116a, 116b)를 통해 공기를 배출 또는 공급시킬 수 있다.
상기 기압평형 어셈블리는, 상기 환기 어셈블리의 상기 제1 프레임 어셈블리에 인접하게 벽체(16)에 설치되며 제2 환기구(126)를 가지며 제2 환기구(126)가 제1 및 제2 저장고들(12, 14) 사이의 기압 차이에 의해 개방되어 이들 사이의 기압 차이를 해소할 수 있는 제2 프레임 어셈블리, 및 상기 환기 어셈블리에 연동되어 제1 환기구(116a, 116b)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2 환기구(126)가 개방되지 않도록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기압평형 환기 유닛(100)은, 저장고의 규모 및 확장성에 따라 복층형과 적층형으로 구분되며 이들의 작동 원리는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여기서는 우선 복층형을 대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프레임 어셈블리는 서로 인접한 제1 및 제2 저장고들 사이의 벽체에 설치되며 제1 환기구(116a, 116b)를 정의하는 제1 프레임(110), 제1 환기구(116a, 116b)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114a, 114b), 및 제1 회전축(114a, 114b)에 구비되며 제1 회전축(114a, 114b)과 함께 회전하여 제1 환기구(116a, 116b)를 개폐시키는 제1 개폐 플레이트(117a, 11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은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환기구(116a, 116b)를 정의하기 위한 제1 수직 프레임(111a, 111b) 및 제1 수평 프레임(112a, 112b)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레임(110)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상부 제1 환기구(116a) 및 하부 제1 환기구(11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은 상부 제1 환기구(116a) 및 하부 제1 환기구(116b)를 정의하는 분할 프레임(113)을 포함할 수 있다. 분할 프레임(113)에 의해 분할된 상부 제1 환기구(116a)와 하부 제1 환기구(116b)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병렬로 배치되어 복층형 환기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0)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다수 개 적층되는 적층형 환기 어셈블리(도 19 내지 도 20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부 제1 환기구(116a)는 하부 제1 환기구(116b)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및 하부 제1 환기구들(116a, 116b)은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환기구는 폭이 높이보다 더 큰,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각형의 윈도우를 갖는 제1 프레임(110)은 제1 프레임(110)의 중앙을 가로지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 프레임(113)에 의해 구분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환기구들(116a, 116b)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 프레임은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분할 프레임들의 개수에 따라 3개 이상의 제1 환기구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0)에는 하나의 제1 환기구만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다수개의 제1 환기구들이 좌우 또는 상하로 결합되어, 다수개의 제1 환기구들을 갖는 적층형 환기 어셈블리(도 19 내지 도 20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제1 환기구들(116a, 116b)에는 상부 및 하부 제1 회전축들(114a, 114b)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부 제1 회전축(114a)은 상부 제1 환기구(116a)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부 제1 회전축(114a)의 적어도 일단부는 제1 프레임(110)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할 수 있다. 하부 제1 회전축(114b)은 하부 제1 환기구(116b)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하부 제1 회전축(114b)의 적어도 일단부는 제1 프레임(110)의 외부로 돌출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제1 회전축들(114a, 114b)에는 상부 및 하부 제1 개폐 플레이트들(117a, 117b)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제1 개폐 플레이트(117a)는 상부 제1 회전축(114a)이 삽입되고 고정되는 수용홀을 가질 수 있다. 하부 제1 개폐 플레이트(117b)는 하부 제1 회전축(114b)이 삽입되고 고정되는 수용홀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제1 회전축들(114a, 114b)은 상부 및 하부 제1 개폐 플레이트들(117a, 117b)의 상기 수용홀들에 각각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부 제1 개폐 플레이트(117a)는 상부 제1 회전축(114a)에 설치되어 상부 제1 회전축(114a)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상부 제1 환기구(116a)를 개폐시킬 수 있다. 하부 제1 개폐 플레이트(117b)는 하부 제1 회전축(114b)에 설치되어 하부 제1 회전축(114b)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하부 제1 환기구(116b)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1 개폐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회전축에 형성된 슬릿에 끼워지고 볼트와 너트의 결합 및 볼트와 회전축에 구비된 탭에 의해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회전축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프레임(110)과 분할 프레임(113)의 내부면에는 제1 및 제2 걸림턱들(118a, 118b, 119a, 119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걸림턱(118a)은 제1 수직 프레임(111a, 111b)의 내부면과 제1 수평 프레임(112a)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제2 걸림턱(119a)은 제1 수직 프레임(111a, 111b)의 내부면과 분할 프레임(113)의 상부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 개폐 플레이트(117a)가 제1 환기구(116a)를 완전히 폐쇄시키는 위치에 있을 때, 제1 개폐 플레이트(117a)의 단부들은 제1 및 제2 걸림턱들(118a, 119a)과 각각 접하게 된다.
또한, 제1 걸림턱(118b)은 제1 수직 프레임(111a, 111b)의 내부면과 분할 프레임(113)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제2 걸림턱(119b)은 제1 수직 프레임(111a, 111b)의 내부면과 제1 수평 프레임(112b)의 상부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 개폐 플레이트(117b)가 제1 환기구(116b)를 완전히 폐쇄시키는 위치에 있을 때, 제1 개폐 플레이트(117b)의 단부들은 제1 및 제2 걸림턱들(119a, 119b)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개폐 플레이트(117a, 117b)와 제1 환기구(116a, 116b)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걸림턱들(118a, 118b, 119a, 119b)에는 히터 삽입홈들(218a, 218b, 219a, 219b)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히터 삽입홈들에는 히터가 삽입되어, 제1 개폐 플레이트(117a, 117b)가 저온에서 제1 프레임(110)에 얼어붙어 구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40)는 제1 프레임(110)의 측면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정역 모터(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정역 모터(142)는 모터 브라켓(143)에 의해 제1 프레임(110)의 측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정역 모터(142)의 구동축에 연결된 감속기(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속기(144)는 정역 모터(142)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기어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개폐 플레이트의 동작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140)의 정역 모터(142)는 저속 회전을 수행하며 큰 토크를 얻는 기어드 모터(geared motor)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정역 모터(142)의 구동축은 상부 및 하부 제1 회전축들(114a, 114b)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역 모터(142)의 구동축은 상부 제1 회전축(114a)의 일단부에 커플링(145)을 통해 직접 연결되어 상부 제1 회전축(114a)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부 제1 회전축(114a)은 제1 링크(150)에 연결되고, 하부 제1 회전축(114b)은 제2 링크(152)에 연결되고, 제1 링크(150) 및 제2 링크(152)는 연결 링크(154)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제1 회전축(114a) 및 하부 제1 회전축(114b)은 상기 링크들과 함께 4절 링크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 링크(150)의 길이는 제2 링크(152)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정역 모터(142)의 구동축이 제1 프레임(111)으로부터 돌출된 상부 제1 회전축(114a)에 직접 연결될 때, 제1 링크(150)는 입력 링크이고 제2 링크(152)는 출력 링크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링크(152)는 입력 링크이고 제1 링크(150)는 출력 링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제1 회전축(114a)이 정역 모터(142)에 의해 회전하면, 하부 제1 회전축(114b)은 상부 제1 회전축(114a)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제1 회전축 및 상기 하부 제1 회전축은 다수개의 기어열, 캠 기구, 타이밍 벨트 등과 같은 연결수단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역 모터의 구동축은 슬리브나 커플링, 감속기 기어 및 각종 조인트 연결 등에 의해 상기 상부 제1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제1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제1 회전축 및 상기 하부 제1 회전축에 상기 정역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의 동력원들이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이들은 일괄적인 신호에 의해 동시에 개폐 작동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개별적인 신호에 따라 일부의 개폐 플레이트만 작동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 플레이트의 개방 정도를 검출 및 제어하는 회로를 온오프 검출 및 제어가 아닌 비례 제어를 통해, 개방 비율 및 개방 시의 개폐 플레이트의 각도를 조절하여, 급기 및 흡기되는 공기의 양과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정역 모터(142)는 온도 조절기(50)에 연결되어 제어되며, 온도 조절기의 개방 신호 또는 폐쇄 신호와 같은 제어 신호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역 모터(142)가 상기 개방 신호에 따라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부 및 하부 제1 회전축들(114a, 114b)이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부 제1 환기구들(116a, 116b)을 개방시킬 수 있다. 정역 모터(142)가 상기 폐쇄 신호에 따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부 및 하부 제1 회전축들(114a, 114b)이 폐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부 및 하부 제1 및 제2 환기구들(116a, 116b)을 폐쇄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제1 회전축(114a, 114b) 및 정역 모터(142)에 각각 연결되며, 제1 회전축(114a, 114b)이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개방 신호 또는 상기 폐쇄 신호를 차단하여 정역 모터(142)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제1 마이크로 스위치(160), 제2 마이크로 스위치(162), 및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마이크로 스위치들(160, 162)은 상부 및 하부 제1 회전축들(114a, 114b)에 연동되어, 상부 및 하부 제1 회전축들(114a, 114b)의 기계적 운동(예를 들면, 회전축의 회전 운동)에 따라 전기적 신호의 흐름을 변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마이크로 스위치(160)는 상부 제1 회전축(114a)에 연동되며, 상부 제1 회전축(114a)이 상기 개방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개방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제2 마이크로 스위치(162)는 하부 제1 회전축(114b)에 연동되며, 하부 제1 회전축(114b)이 상기 폐쇄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폐쇄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로 스위치와 제2 마이크로 스위치는 근접 센서나 기타 동작을 인식하는 다른 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와 상기 근접 센서를 동시에 설치하여 동작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회로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150)는 상기 개방 신호에 따라 상부 제1 회전축(114a)과 함께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면, 90ㅀ)만큼 회전한 후, 제1 링크(150)의 타단부는 제1 마이크로 스위치(160)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마이크로 스위치(160)의 접점이 개방되어 정역 모터(142)로의 상기 개방 신호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링크(152)는 상기 폐쇄 신호에 따라 하부 제1 회전축(114b)과 함께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면, 90ㅀ)만큼 회전한 후, 제2 링크(152)의 타단부는 제2 마이크로 스위치(162)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마이크로 스위치(162)의 접점이 개방되어 정역 모터(142)로의 상기 폐쇄 신호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마이크로 스위치(160)의 접점은 제1 회전축(114a, 114b)이 상기 개방 방향으로 90ㅀ 만큼 회전할 때 개방되어 상기 개방 신호를 차단하고, 제2 마이크로 스위치(162)의 접점은 제1 회전축(114a, 114b)이 상기 폐쇄 방향으로 90ㅀ 만큼 회전할 때 개방되어 상기 폐쇄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조절기(50)는 제1 및 제2 저장고들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50a, 50b)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따라 정역 모터(142)에 상기 개방 신호 및 상기 폐쇄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는 온도 조절기(50)와 정역 모터(142)를 서로 연결시키고, 제1 및 제2 마이크로 스위치들(160, 162)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개방 신호 및 상기 폐쇄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차단되면 정역 모터(142)를 정지시키는 릴레이들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저장고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온도 조절기(50)의 접점(T/C)이 닫히고 제1 저장고 컨트롤러의 제상 타이머의 B접점(DTb2)를 거쳐 환기팬과 릴레이(AX1)에 전원이 동시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고의 냉동기가 제상 중일 때 상기 제2 저장고로 냉기를 공급하게 될 시에는 상기 제1 저장고의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킬 우려가 있어, 제상 시간에는 상기 제2 저장고로 냉기를 공급하지 않고 제상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2 저장고로 냉기를 공급하게 된다.
또한, 직류전원장치인 SMPS를 통해 직류전원 12V가 제1 마이크로 스위치(S/W1)의 B접점을 거쳐 릴레이 AX1의 A접점인 AX1-1a를 거쳐 직류 릴레이 DAX1에 공급될 수 있다.
환기 개방 릴레이 DAX1에 통전이 되면, 환기 개방 릴레이 DAX1의 A접점인 DAX1-1a와 DAX1-2a를 통해 환기 정역 모터(M/A)에 직류 12V의 전원이 인가되어 환기 유닛의 제1 개폐 플레이트(117)가 열리는 방향으로 제1 링크(150)가 작동되고, 이에 연동된 제2 링크(150)와 고정 날개(157)가 상승할 수 있다.
고정 날개(157)는 상승하면서 제2 개폐 플레이트(125)의 회전축에 구비된 평형 날개(130)를 수평 상태로 구속할 수 있고, 제2 개폐 플레이트(125)가 90ㅀ 각도로 회전을 하면, 제1 링크(150)와 고정 날개(157)를 연결하는 볼트의 돌출된 머리는 제1 마이크로 스위치(160)의 레버와 접촉하여, 제1 마이크로 스위치(160)의 접점이 열려 DAX1로 공급되던 직류 전원은 차단될 수 있다.
환기 유닛의 정역 모터(M/A)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어 제1 개폐 플레이트(117)가 90ㅀ 각도로 회전하여 열린 상태에서 정역 모터(142)는 정지하게 되고 환기팬(202)은 제1 환기구(116)가 열린 상태에서 각각 제1 저장고와 제2 저장고의 공기를 환기하며 제2 저장고의 온도 조절기 T/C의 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저장고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범위 내로 도달된 경우, 온도 조절기(50)의 T/C의 접점이 개방되어 환기팬, 릴레이(AX1)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어 환기팬은 정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X1의 b 접점인 AX1-2b이 닫히게 되어 제1 마이크로 스위치의 b 접점과 AX1-2b 접점을 거쳐 정역 모터 DAX2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부 제1 회전축(114a)을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 링크(150)에 연동된 제2 링크(152) 역시 폐쇄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부 제1 회전축(114b)도 상기 폐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부 및 하부 제1 환기구들(116a, 116b)이 폐쇄될 수 있다.
상부 제1 회전축(114a)이 상기 폐쇄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면, 90ㅀ)만큼 회전하면, 제2 링크(152)도 함께 회전한 후 제2 링크(152)의 타단부는 제2 마이크로 스위치(162)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마이크로 스위치(162)의 접점이 개방되어 릴레이(DAX2)의 전원이 차단되어 DAX2-1a와 DAX2-2a의 접점이 모두 개방되고, 정역 모터(142)로의 상기 폐쇄 신호의 흐름은 차단되어 정역 모터(142)의 역방향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이 때, 하부 및 상부 제1 환기구들(116a, 116b)은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고 컨트롤러의 제상 타이머 B접점인 DTb2를 거쳐 환기팬과 릴레이(AX1)에 전원이 공급되는 이유는 상기 제1 저장고의 냉동기가 제상 중일 때 상기 제2 저장고로 냉기를 공급하게 될 시에는, 상기 제1 저장고 내부의 온도가 오히려 상승할 우려가 있기에 상기 제1 저장고의 제상 시간에는 상기 제2 저장고로 냉기를 공급하지 않고, 제상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2 저장고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로 스위치들의 동작을 보완하고 정역 모터(142)를 보호하기 위해 근접 센서를 마이크로 스위치에 직렬로 더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가 동작하지 않더라도, 근접 센서가 정역 모터(142)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하여 정역 모터(142)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하는 2차 전기를 D/C로 회로를 구성한 이유는 안전성과 구동 모터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이다.
도 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압평형 환기 유닛은 서로 인접한 제1 및 제2 저장고들 사이의 벽체에 설치되며 제2 환기구(126)를 정의하는 제2 프레임(120), 제2 환기구(126)에 설치되는 제2 회전축(124), 및 제2 회전축(124)에 구비되며 제2 회전축(124)과 함께 회전하여 제2 환기구(126)를 개폐시키는 제2 개폐 플레이트(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120)은 제1 프레임(11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프레임(120)은 제1 프레임(110)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프레임(120)은 제1 프레임(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0)은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환기구(126)를 정의하기 위한 제2 수직 프레임(121a, 121b) 및 제2 수평 프레임(122a)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환기구(126)는 제2 수직 프레임(121a, 121b), 제2 수평 프레임(122a) 및 제1 수평 프레임(112a)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환기구(126)는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환기구는 폭이 높이보다 더 큰,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환기구(126)의 폭과 높이는 제1 환기구(116a, 116b)의 폭과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환기구(126)에는 제2 회전축(124)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회전축(124)은 제2 환기구(126)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제2 회전축(124)의 양단부는 제2 프레임(120)의 관통홀들을 통해 외부로 돌출할 수 있다. 제2 환기구(126) 내에서 제2 회전축(124)에는 제2 개폐 플레이트(125)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개폐 플레이트(125)는 제2 회전축(124)에 설치되어 제2 회전축(124)에 대하여 양방향 회전 가능하도록 제2 회전축(124)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개폐 플레이트(125)는 제2 회전축(124)에 대하여 양방향 회전하여 제2 환기구(126)를 개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개폐 플레이트(125)는 제2 회전축(124)이 삽입되고 고정되는 수용홀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회전축(124)은 제2 개폐 플레이트(125)의 상기 수용홀에 각각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축(124)은 제2 환기구(125)의 최상부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제2 개폐 플레이트(125)는 제2 회전축(124)으로부터 일방향으로만 연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개폐 플레이트(125)는 제2 프레임(120)의 최상부를 가로지는 제2 회전축(124)의 상기 수용홀에 삽입되고, 볼트와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제2 회전축(124)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회전축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축(124)은 제2 프레임(120)을 관통하는 부분에 오일리스 베어링을 채용하여 공기의 차압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하는 기압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프레임(120)으로부터 돌출된 제2 회전축(124)의 양단부에는 평형 날개(130)가 구비되고, 평형 날개(130)의 양단부에는 제1 및 제2 복귀 스프링들(132a, 132b)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복귀 스프링들(132a, 132b)의 일단부들은 제2 프레임(120)의 외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복귀 스프링들(132a, 132b)은 평형 날개(130)의 좌우 양단에 V-자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전후에 가해지는 압력의 차이가 제1 및 제2 복귀 스프링들(132a, 132b)의 탄성력보다 크면, 제2 회전축(124)은 제2 개폐 플레이트(125)와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환기구(126)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 때, 평형 날개(130)가 회전할 때, 제1 복귀 스프링(132a)이 인장력을 받으면 제2 복귀 스프링(132b)은 압축력을 받고, 반대로 제1 복귀 스프링(132a)이 압축력을 받으면 제2 복귀 스프링(132b)은 인장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전후에 가해지는 기압 차이가 해소되면, 제1 및 제2 복귀 스프링들(132a, 132b)의 복원력에 의해 평형 날개(130)는 수평 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개폐 플레이트(125)는 원위치로 복귀하여 제2 환기구(126)를 폐쇄시킬 수 있다.
제2 프레임(120)의 내부면에는 제1 및 제2 돌출부들(123, 128)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폐 플레이트(125)가 수직 위치에(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제2 개폐 플레이트(125)의 양측부는 제1 돌출부(123)와 근접하도록 위치하고 제2 개폐 플레이트(125)의 하단부는 제2 돌출부(128)와 근접하도록 위치하여 제2 환기구(126)에서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프레임(120)의 제1 돌출부(123)는, 제1 프레임(110)의 제1 걸림턱(118a, 118b)과는 달리, 기압 차이에 의해 제2 개폐 플레이트(125)가 개폐 동작을 수행할 때, 제2 개폐 플레이트(125)가 양측부가 제1 돌출부(123)에 스치듯이 지나가도록 제2 프레임(120)의 양측면(제2 수직 프레임(121a, 121b)의 내부면들)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20)의 제2 돌출부(128)는, 제1 프레임(110)의 제2 걸림턱(119a, 119b)과는 달리, 제2 개폐 플레이트(125)의 하단부가 제2 돌출부(128)에 스치듯이 지나가도록 제2 프레임(120)의 하부면(제1 수평 프레임(112a)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개폐 플레이트(125)의 개폐 동작에 제약을 주지 않으면서 제2 개폐 플레이트(125)와 제2 환기구(116a, 116b)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123)에는 히터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히터 삽입홈 및 제2 돌출부(123)에는 히터(H)가 삽입되어, 제2 개폐 플레이트(125)가 저온에서 제2 프레임(120)에 얼어붙어 구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히터(H)는 에폭시 몰딩 컴파운드와 같은 밀봉 부재(S)에 의해 밀봉 및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개폐 플레이트(125)는 무게 중심에 의한 수직 위치로의 복원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2 개폐 플레이트(125)의 하단부에 구비된 반달 형상의 하중부(12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개폐 플레이트(125)의 하중부(125b)는 제1 자석부(M1)를 가지고, 하부 돌출부(128)에는 제1 자석부(M1)와 대응하는 제2 자석부(M2)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개폐 플레이트(125)가 열렸다가 다시 닫힐 때에 평형 날개(130)에 연결된 제1 및 제2 복귀 스프링들(132a, 132b)의 복원력, 제1 및 제2 자석부들(M1, M2)의 자기력에 의해, 제2 환기구(126)의 폐쇄 시에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기압평형 어셈블리는 상기 환기 어셈블리가 개방 시에는 패쇄되도록 연동되어, 제1 환기구(116a, 116b)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2 환기구(126)가 개방되지 않고 폐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잠금 제어부는 제1 회전축(114a, 114b) 및 제2 회전축(124)에 각각 연동되며, 제1 회전축(114a, 114b)이 상기 개방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여 제1 환기구(116a, 116b)를 개방시킬 때 제2 회전축(124)을 구속시켜 제2 환기구(126)를 폐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잠금 제어부는 평형 날개(130)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잠금용 돌출부(131), 및 제1 회전축(114a, 114b)에 연동되며 제1 환기구(116a, 116b)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잠금용 돌출부(131)와 접촉하여 평형 날개(130)의 회전 이동을 고정시키는 잠금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평형 날개(130)는 제2 회전축(124)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두 개의 잠금용 돌출부들(131)은 평형 날개(130)로부터 외측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잠금용 돌출부들(131)은 제2 개폐 플레이트(125)가 수직 상태(폐쇄 상태)에 있을 때,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잠금용 돌출부(131)는 수직 방향을 향하는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잠금 고정부는 연결 링크(154)의 일단부로부터 상부로 연장하는연장 암(156)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고정 날개(157)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 암(156)은 제1 회전축(114a, 114b)과 연동하여 제1 회전축(114a, 114b)이 상기 개방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면, 90ㅀ)만큼 회전할 때 상승하고, 연장 암(156)이 상승함에 따라, 고정 날개(157) 역시 함께 상승하여 잠금용 돌출부들(131)과 접촉하여 평형 날개(130)의 회전 이동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축(114a, 114b)이 개방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할 때, 연장 암(156)은 평형 날개(130)를 향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며, 고정 날개(157)는 잠금용 돌출부들(131)의 상기 접촉면들과 접촉하고, 나아가, 평형 날개(130)를 수평 상태로 밀어 올려, 평형 날개(13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제1 링크(150)가 상기 개방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면, 90ㅀ)만큼 회전하면, 연결 링크(154)는 상방으로 이동하고 연장 암(156)에 ㄱ-자 형상으로 연결된 고정 날개(157)는 평형 날개(130)를 수평으로 밀어 올려 제2 회전축(124)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환기구(116a, 116b)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제2 환기구(126)는 폐쇄 상태가 되어 기압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제1 회전축(114a, 114b)이 폐쇄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할 때, 연장 암(156)은 하방으로 이동하고 고정 날개(157)는 평형 날개(130)의 잠금용 돌출부들(131)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평형 날개(130)의 구속은 해제되어, 제2 회전축(124)은 제2 개폐 플레이트(12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제2 링크(152)가 상기 폐쇄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면, 90ㅀ)만큼 회전하면, 연결 링크(154)는 하방으로 이동하고 고정 날개(157)는 평형 날개(130)로부터 떨어지고 제2 회전축(124)의 구속은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환기구(116a, 116b)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2 환기구(126)는 기압 차이를 해소할 수 있는 기압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8은 단일의 복귀 스프링에 연결된 평형 날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하나의 복귀 스프링(132)이 평형 날개(130)의 하단 중앙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기압 차이에 의해 제2 회전축(124)이 회전하게 되면, 하나의 복귀 스프링(132)은 인장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기압 차이가 해소되면, 복귀 스프링(132)의 복원력에 의해 평형 날개(130)는 수평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다양한 구조의 환기 어셈블리의 제1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환기 어셈블리의 제1 프레임 어셈블리는 서로 병렬로 배치되는 제1 프레임들(110a, 1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들(110a, 110b) 각각은 다수개의 제1 환기구들을 정의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환기 어셈블리의 제1 프레임 어셈블리는 서로 수직으로 적층되는 제1 프레임들(110a, 11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냉동냉장 시스템 내에서 기압평형 환기 유닛들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의 제1 저장고(12)가 온도가 낮은 열원부 저장고이고, 제2 저장고(14)가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저장고인 저장 시스템(10) 내에서 제1 및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들(100A, 100B)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기압평형 환기 유닛(100A)이 온도가 낮은 저장고(12)의 차가운 공기를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제2 저장고(14)로 공급하면 제2 저장고(14)의 온도가 강하되고 기압이 상승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100B)은 제2 저장고(14) 내부의 공기를 온도가 낮은 제1 저장고(12)로 송풍하면, 제2 저장고(14) 내부의 공기가 온도가 낮은 제1 저장고(12) 쪽으로 순환을 하여 제1 저장고(12)의 온도는 상승하고 제2 저장고(14)의 온도는 하강하게 된다.
제1 저장고(12)의 온도가 상승하여 설정된 CUT-IN 온도(예를 들면, -18℃)에 도달하면, 제1 저장고(12)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조절기에 의해 증발기에 냉매가 공급되며 증발기 팬과 압축기는 가동되어, 제2 저장고(14)로부터 공급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공기를 냉각하여 제1 저장고(12)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한편, 제2 저장고(14)는 제1 저장고(12)로부터 공급받은 차가운 공기로 인해, 기온이 하강하고 제2 저장고(14)의 온도가 설정 온도(예를 들면, 0℃)에 이르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들은 제1 개폐 플레이트(117a, 117b)를 제1 회전축(114a, 114b)에 대하여 회전시켜, 공기의 순환 통로인 제1 환기구(116a, 116b)를 폐쇄시키고 환기팬(202)을 정지시킨다.
제2 저장고(14)로 냉기의 공급이 정지되면 제1 저장고(12) 내부의 온도는 급속히 하강하여 설정된 CUT-OFF 온도(예를 들면, -20℃)에 도달하게 되고, 제1 저장고(12)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조절기에 의해, 냉동기 증발기(30)에 공급되던 냉매의 액관 전자변이 닫혀 냉매 공급이 중단되고 증발기 팬과 압축기는 가동을 중지하게 된다.
이후, 제2 저장고(14) 내부의 저장물과 외부에서 침투한 열로 인해 제2 저장고(14)의 온도가 다시 상승하여 설정된 CUT-IN 온도(예를 들면, 2℃)에 도달하게 되면, 제2 저장고(14)의 내부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조절기에 의해 정역 모터(142)가 정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및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들(100A, 100B)의 제1 개폐 플레이트(117a, 117b)를 회전시켜 제1 환기구(116a, 116b)를 개방시키고 환기팬들(202)은 작동하게 된다. 환기팬들(202)은 제1 저장고(12)의 차가운 공기를 흡인하고, 제2 저장고(14)의 공기를 제1 저장고(12)로 송풍하여 순환시킴으로써 제2 저장고(14)의 온도는 다시 하강된다. 제2 저장고(14)의 온도가 하강되어 기 설정된 CUT-OFF 온도(예를 들면, 0℃)에 도달하면 제2 저장고(14)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조절기에 의해 정역 모터(142)가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개폐 플레이트(117a, 117b)가 회전하여 제1 환기구(116a, 116b)를 폐쇄시키고 환기팬들(202)이 정지되어 설정된 CUT-IN 온도(예를 들면, 2℃)에 도달할 때까지 가동을 정지하게 된다.
반면에 제1 저장고(12)의 온도는 상승하여 설정된 CUT-IN 온도(예를 들면, -18℃)에 도달하게 되면 제1 저장고(12)의 내부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조절기에 의해, 액관 전자변이 열려 증발기에 냉매가 공급되고 증발기 팬과 압축기는 다시 가동된다.
제1 저장고(12)의 온도가 강하되어 설정된 CUT-OFF 온도(예를 들면, -20℃)에 도달하면 제1 저장고(12)의 내부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조절기에 의해 액관 전자변이 닫혀 증발기에 공급되던 냉매 공급은 중단되고, 냉동기(12)는 설정된 CUT-IN 온도(예를 들면, -18℃)에 도달할 때까지 가동을 정지하게 된다.
한편, 제1 저장고(12) 내부는 증발기(30)로부터 발생되는 차가운 냉기로 인해 기온과 기압이 강하하면, 상기 기압평형 환기 유닛의 기압평형 어셈블리는 기압변의 역할을 하여 개방된 제2 환기구(126)를 통해 제2 저장고(14) 내부의 공기가 제1 저장고(12)로 이동하여 기압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저장고(12)의 방열문을 닫아 제1 저장고(12) 내부 압력이 순간적으로 상승할 때, 그리고, 제2 저장고(14)의 방열문을 닫아 제1 저장고(12) 내부 압력이 순간적으로 상승할 때, 상기 기압평형 환기 유닛은 제2 환기구(126)를 통해 제1 저장고(12)와 제2 저장고(14) 사이의 압력이 상승된 공기를 바이패스 시켜 압력의 균형을 이루며, 온도 조절기(50)의 제어를 받아 공기를 순환시켜 제1 저장고(12)와 제2 저장고(14) 사이에서 필요한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기압변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기압평형 어셈블리의 제2 환기구(126)는 상기 환기 어셈블리의 제1 환기구(116a, 116b)가 열려있을 때에는, 연장 암(156)의 상단의 고정 날개(157)는 제2 회전축의 평형 날개(130)를 구속하여, 제2 환기구(126)를 개폐시키는 제2 개폐 플레이트(125)는 폐쇄되고, 상기 환기 어셈블리의 제1 환기구(116a, 116b)가 닫혀있을 때에만 자유롭게 작동하게 된다.
이런 구조로 인해, 상기 기압평형 환기 유닛의 환기팬이 작동될 때 제1 저장고(12) 환기 유닛 주변의 국부적인 음압 발생으로 인한, 기압변인 제2 환기구(126)가 열려 제1 저장고에서 흡인한 공기가 다시 제1 저장고로 되돌아가고, 또한 제2 저장고에서 흡인한 공기 역시 제2 환기구를 통해 다시 제2 저장고로 되돌아가게 되는, 제1 저장고와 제2 저장고 고내의 공기가 전체적으로 순환되지 못하고 국부적으로만 순환하는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의 제1 저장고(12)가 열원부 온장고이고 제2 저장고(14)가 수열부 온장고인 저장 시스템(10) 내에서 제1 및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들(100A, 100B)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기압평형 환기 유닛(100A)이 온도가 높은 열원부 온장고(12)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수열부 온장고(14)로 공급하면 수열부 온장고(13)의 온도와 기압이 상승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2 기압평형 환기유닛(100B)은 수열부 온장고(14) 내부의 공기를 열원부 온장고(12)로 공급하면, 수열부 온장고(14) 내부의 공기가 열원부 온장고(12) 쪽으로 순환하여 열원부 온장고(12)의 온도는 하강하고 수열부 온장고(14)의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열원부 온장고(12)의 온도가 하강하여 설정된 CUT-IN 온도(예를 들면, 45℃)에 도달하면, 열원부 온장고(12)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조절기에 의해 열원인 히터(30)에 전원이 공급되고 열원부 온장고(12) 내부에 히터와 팬이 가동되어 열원부 온장고(12)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열원부 온장고(12)로부터 공급받은 뜨거운 공기로 인해, 수열부 온장고(14)의 온도가 상승하여 설정된 CUT-OFF 온도(예를 들면, 50℃)에 이르게 되면, 상기 기압평형 환기 유닛은 제1 개폐 플레이트(117a, 117b)를 제1 회전축(114a, 114b)에 대하여 회전시켜 공기의 순환 통로인 제1 환기구(116a, 116b)를 폐쇄시키고 환기팬(202)을 정지시킨다.
수열부 온장고(14)로 열기의 공급이 정지되면 열원부 온장고(12) 내부의 온도는 급속히 상승하여 설정된 CUT-OFF 온도(예를 들면, 60℃)에 도달하게 되고, 열원부 온장고(12)의 내부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조절기에 의해, 히터(30)에 공급되던 전원이 중단되고 팬과 히터는 가동을 중지하게 된다.
이후, 수열부 온장고(14) 내부의 저장물에서 흡수하는 열과 외부로 누설된 열로 인해 수열부 온장고(14)의 온도가 다시 하강하여 설정된 CUT-IN 온도(예를 들면, 45℃)에 도달하게 되면, 수열부 온장고(14)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조절기(50)에 의해 정역 모터(142)가 정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및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들(100A, 100b)의 제1 개폐 플레이트(117a, 117b)를 회전시켜 제1 환기구(116a, 116b)를 개방시키고 환기팬들(202)을 작동하게 된다. 환기팬들(202)은 열원부 온장고(12)의 뜨거운 공기를 흡인하고, 수열부 온장고(14)의 공기를 열원부 온장고(12)로 송풍하여 순환시킴으로써 수열부 온장고(14)의 온도는 다시 상승하게 된다.
수열부 온장고(14)의 온도가 상승되어 설정된 CUT-OFF 온도(예를 들면, 50℃)에 도달하면 수열부 온장고(14)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조절기에 의해 정역 모터(142)가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개폐 플레이트(117a, 117b)가 회전하여 제1 환기구(116a, 116b)를 폐쇄시키고 환기팬들(202)이 정지되어 설정된 CUT-IN 온도(예를 들면, 45℃)에 도달할 때까지 가동을 정지하게 된다.
반면에 열원부 온장고(12)의 온도는 하강하여 설정된 CUT-IN 온도(예를 들면, 55℃)에 도달하게 되면 열원부 온장고(12)의 내부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조절기(50)에 의해, 히터에 전기가 공급되고 열원부 온장고 팬(202)은 다시 가동된다.
열원부 온장고(12)의 온도가 상승되어 설정된 CUT-OFF 온도(예를 들면, 60℃)에 도달하면 열원부 온장고(12)의 내부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조절기에 의해 열원부 온장고 히터와 팬에 공급되던 전원은 중단되며, 열원부 온장고는 설정된 CUT-IN 온도(예를 들면, 55℃)에 도달할 때까지 가동을 중지하게 된다.
한편, 열원부 온장고(12) 내부는 히터(30)로부터 발생되는 뜨거운 열기로 인해 기온과 기압이 상승하면, 상기 기압평형 환기 유닛의 기압평형 어셈블리는 기압변의 역할을 하여 개방된 제2 환기구(126)를 통해 열원부 온장고(12) 내부의 공기가 수열부 온장고(14)로 이동하여 기압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열원부 온장고(12) 방열문을 닫음으로 인해 열원부 온장고(12) 내부 압력이 순간적으로 상승할 때, 상기 기압평형 환기 유닛은 제2 환기구(126)를 통해 공기를 바이패스 시켜 기압의 균형을 이루며, 열원부 온장고(12)와 수열부 온장고(14) 사이에서 공기를 순환시켜 고내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저장고와 제2 저장고 사이에 압력의 불균형이 발생하여 제2 환기구가 개방되어 제1 저장고의 공기가 제2 저장고로 이동하거나, 역으로 제2 저장고의 공기가 제1 저장고로 이동하여도, 기압 차이에 의한 제2 환기구가 개방되는 시간은 극히 짧아 저장 시스템은 설정온도 이내에서의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제1 저장고와 제2 저장고에 모두 열원을 설치한 경우에, 제1 저장고와 제2 저장고의 어느 한쪽이 고장 났을 때 고장 난 곳에 저장물이 들어 있는 경우에 온도의 급격한 변화로 저장물이 변질될 수가 있어, 이를 수리하기 위한 시간에 ??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때 본 기압평형 환기유닛이 설치되어 있으면, 고장 나지 않은 어느 한쪽의 열원으로서 고장 난 쪽의 필요한 열원을 충당할 수 있다.
온도제어를 할 수 있는 저장고의 경우에 최대 부하를 고려하여 그 설비를 시공하기에, 고장 시에 수리에 필요한 시간을 벌 수 있어 비상시를 대비한 예비 설비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2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저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은 도 21의 저장 시스템에서의 자동배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상기 저장 시스템은 기압평형 환기 유닛에서 기압평형 어셈블리가 제외된 환기 유닛으로 설치되며, 하나의 저장고의 벽체에 설치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저장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들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기압평형 환기 유닛은, 본 출원인의 특허 제10-0933006호의 배기 유닛을 개량한 것으로서, 제1 저장고(또는 제1 실)만이 존재하고, 상기 제1 저장고(또는 제1 실)의 외부 벽체에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제1 저장고(또는 제1 실) 내부로 흡인하기 위한 제1 환기 유닛으로서 설치되고, 상기 제1 환기유닛의 영향을 받지 않는 또 다른 외부 벽체에 제2 저장고(또는 제2 실) 내부의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제2 환기 유닛으로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고(또는 제1 실) 내부에 농산물 또는 기타 다른 저장물이 존재하고, 내부의 저장물에 의해 유해가스가 발생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투입된, 유해가스가 일정농도 이상이 되어 저장물 또는 사람이나 기타 저장물에 위해를 줄 수 있을 때, 이 가스의 농도를 감지하여 상기 환기 유닛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흡인하여 실내의 가스 농도를 설정치 이내로 유지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내에서 감지된 가스가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가스인 경우에는, 실내의 연소로 인해 발생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며, 실내에서 감지된 가스가 화재로 인해 발생된 가스가 아닌 특정 유독가스인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유독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고 산소 또는 미리 준비된 유독 가스를 중화시킬 수 있는 가스를 실내에 공급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압평형 환기 유닛은 온도가 다른 2곳 이상의 열원부 저온저장고와 저온저장고, 냉동고와 냉장고 사이(또는 열원부 온장고와 수열부 온장고 사이)에 설치되어, 낮은 열원이 있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저장고의 공기를, 온도를 낮게 유지하고자 하는 인접한 저장고로 냉기를 보내 제2 저장고에 별도의 냉동기를 설치하지 않고도 인접한 저장고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시스템은 비단 냉동고와 냉장고 사이에서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냉동고와 냉동고, 냉장고와 냉장고 사이에서도 냉원이 있는 곳과 냉원이 없는 수냉부 사이에 약간의 온도차를 둘 수 있다면 온도제어가 가능한 것이어서, 폭 넓게 산업상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열원이 있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열원부 온장고의 공기를, 온도를 높게 유지하고자 하는 수열부 온장고에 보내 인접한 수열부 온장고에 별도의 열원을 설치하지 않고도 인접한 수열부 온장고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하나의 열원을 이용하여 인접한 여러 곳의 저장고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기존의 산업용이나 상업용 냉동냉장고에서도 하나의 콘덴싱 유닛을 사용하여 온도가 다른 2곳 이상의 장소에 각각의 쿨러를 설치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방법도 냉장실에 쿨러를 설치해야만 하고, 그에 따르는 냉매 배관 및 제상수 배관, 복잡한 전기 배선 등의 설비를 시공해야만 하였다. 또한 증발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냉장실 냉매 배관의 압력강하로 생기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냉매 배관 시에 고가(高價)의 증발압력 조정변을 설치해야 하였다.
또한, 쿨러를 설치하여 가동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문제, 예를 들면 제상 시에 고내 온도의 급격한 상승, 쿨러 설치 시 제상 히터를 교체하기 위한 히터 길이만큼의 추가 공간이 필요하여, 좁은 곳에서의 설치 제약 및 제상 히터의 손상으로 인한 잦은 고장 수리 등 여러 문제 들을 내재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실의 온도를 내리기 위한 소형의 기압평형 환기 유닛을 격벽에 설치함으로써, 냉매 배관, 제상수 배관, 쿨러와 증발압력 조정변 등을 시공할 필요가 없고, 이로 인한 기계설비의 절약, 시공 상의 용이함 및 시공 인건비의 절약, 냉매 사용량의 감소, 쿨러를 설치하지 않음으로 인한 쿨러 설치공간의 활용 및 쿨러 설치 공간과 제상히터 교체 공간 확보의 불필요 등 여러 이점이 있다.
한편, 냉동고에 설치하는 냉동기의 용량은 냉동고의 용량과 냉장고의 용량을 합한 용량이 되어야 하지만, 이는 냉동고와 냉장고에 각각의 냉동기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재료비와 인건비 등의 설치비와 유지비, 사용공간의 증대 등 많은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저장고와 제2 저장고에 모두 열원을 설치한 경우에, 제1 저장고와 제2 저장고의 어느 한쪽(예를 들어 제2 저장고)이 고장 났고, 고장 난 곳에 저장물이 들어 있는 경우에 본 기압평형 환기유닛이 설치되어 있으면, 고장 나지 않은 어느 한쪽(예를 들어 제 저장고)의 열원으로서 고장 난 쪽의 필요한 열원을 충당할 수 있어, 고장 시에 수리에 필요한 시간을 벌 수 있어 비상시를 대비한 예비 설비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저장 시스템 12: 제1 저장고
14: 제2 저장고 16: 중간 벽체
30: 열원 40: 외부 기압변
50: 온도 조절기 50a: 제1 저장고 온도 센서
50b: 제2 저장고 온도 센서
100, 100A, 100B: 기압평형 환기 유닛
110: 제1 프레임 111a, 111b: 제1 수직 프레임
112a, 112b: 제1 수평 프레임 113: 분할 프레임
114a, 114b: 제1 회전축 116a, 116b: 제1 환기구
117a, 117b: 제1 개폐 플레이트 120: 제2 프레임
121a, 121b: 제2 수직 프레임 122a, 122b: 제2 수평 프레임
124: 제2 회전축 125: 제2 개폐 플레이트
125b: 하중부 126: 제2 환기구
130: 평형 날개 131: 잠금용 돌출부
140: 구동부 142: 정역 모터
144: 감속기 150: 제1 링크
152: 제2 링크 154: 연결 링크
156: 연장 암 157: 고정 날개
160: 제1 마이크로 스위치 162: 제2 마이크로 스위치
200: 환기 팬 유닛 202: 환기팬
210: 그릴

Claims (34)

  1. 제1 환기구를 정의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환기구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1 회전축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1 환기구를 개폐시키는 제1 개폐 플레이트를 갖는 제1 프레임 어셈블리;
    상기 제1 프레임 어셈블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환기구를 정의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환기구에 설치되는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구비되며 상기 제2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2 환기구를 개폐시키는 제2 개폐 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양측에 가해지는 기압 차이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제2 환기구를 개방할 수 있는 제2 프레임 어셈블리;
    상기 제1 회전축에 연결되며, 개방 신호 또는 폐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정역 모터를 갖는 구동부;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정역 모터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이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개방 신호 또는 상기 폐쇄 신호를 차단하여 상기 정역 모터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각각 연동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이 상기 개방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환기구를 개방시킬 때 상기 제2 회전축을 구속시켜 상기 제2 환기구를 폐쇄 상태로 유지시키는 잠금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압평형 환기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환기구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하부 제1 환기구 및 상부 제1 환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하부 제1 환기구에 설치되는 하부 제1 회전축 및 상기 상부 제1 환기구에 설치되는 상부 제1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폐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제1 회전축에 구비되는 하부 제1 개폐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제1 회전축에 구비되는 상부 제1 개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평형 환기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제1 회전축은 제1 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제1 회전축은 제2 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는 연결 링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평형 환기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정역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된 입력 링크이고, 상기 제2 링크는 출력 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평형 환기 유닛.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제어부는
    상기 제2 회전축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잠금용 돌출부를 갖는 평형 날개; 및
    상기 연결 링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이 상기 개방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할 때 상승하여 상기 잠금용 돌출부와 접촉하여 상기 평형 날개를 구속하는 고정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평형 환기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잠금용 돌출부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회전축이 회전할 때, 상기 고정 날개는 상승하여 상기 두 개의 잠금용 돌출부들과 접촉하여 기울어져 있는 상기 평형 날개를 수평 상태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평형 환기 유닛.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하부 제1 환기구 및 상기 상부 제1 환기구를 분할하는 분할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평형 환기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프레임은 일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평형 환기 유닛.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내부면 중심부와 상기 분할 프레임의 중심부에는 걸림턱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축이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제1 개폐 플레이트는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평형 환기 유닛.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의 내부면 중심부 및 하부면 중심부에는 돌출부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 및 상기 돌출부에는 히터 삽입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히터 삽입홈에는 히터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들과 상기 제1 및 제2 개폐 플레이트들과의 결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평형 환기 유닛.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회전축에 연동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이 상기 개방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개방 신호를 차단하는 제1 마이크로 스위치;
    상기 제1 회전축에 연동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이 상기 폐쇄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폐쇄 신호를 차단하는 제2 마이크로 스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로 스위치들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개방 신호 및 상기 폐쇄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차단되면 상기 정역 모터를 정지시키는 릴레이들을 갖는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평형 환기 유닛.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환기구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하부 제1 환기구 및 상부 제1 환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하부 제1 환기구에 설치되는 하부 제1 회전축 및 상기 상부 제1 환기구에 설치되는 상부 제1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개폐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제1 회전축에 구비되는 하부 제1 개폐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제1 회전축에 구비되는 상부 제1 개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평형 환기 유닛.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제1 회전축에 연결된 제1 링크가 상기 상부 제1 회전축에 대하여 개방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한 후 상기 제1 마이크로 스위치와 접촉하여 상기 개방 신호를 차단하고, 상기 하부 제1 회전축에 연결된 제2 링크가 상기 제2 하부 회전축에 대하여 하부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한 후 상기 제2 마이크로 스위치와 접촉하여 상기 폐쇄 신호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평형 환기 유닛.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양측에 가해지는 기압 차이가 발생할 때 개방되고, 상기 기압 차이가 제거될 때 폐쇄되며,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상기 제2 회전축을 상기 제2 환기구의 최상부에 위치하여, 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무게 중심이 상기 제2 회전축보다 하부에 있어, 자중에 의해 상기 제2 환기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평형 환기 유닛.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하부는 공기압을 수용하도록 오목한 형태로 함몰된 리세스 영역을 가지며, 상기 환기구 개폐 시 하부 수평 프레임과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부 수평 프레임과 닿는 제2 개폐 플레이트의 하단면을 곡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평형 환기 유닛.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전후 양측에 가해지는 기압 차이에 의해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가 열리고,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전후 양측에 상기 기압 차이가 해소되면, 상기 제2 회전축의 일단부에 구비된 복귀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으로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가 폐쇄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평형 환기 유닛.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전후 양측에 가해지는 기압 차이에 의해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가 열리고,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전후 양측에 상기 기압 차이가 해소되면, 상기 제2 회전축의 일단부에 구비된 복귀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으로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가 폐쇄 위치로 근접할 때,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구비된 제1 자석부와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프레임에 구비된 제2 자석부 사이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평형 환기 유닛.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압평형 환기 유닛이 설치된 저장고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정역 모터에 상기 개방 신호 및 상기 폐쇄 신호를 공급하는 온도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평형 환기 유닛.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환기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 또는 공급하기 위한 환기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평형 환기 유닛.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팬은 상기 개방 신호가 공급되면 작동하고 상기 폐쇄 신호가 공급되면 작동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평형 환기 유닛.
  21. 열원을 갖는 제1 저장고;
    벽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저장고와 인접한 제2 저장고;
    상기 벽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저장고 내의 공기를 상기 제2 저장고로 공급하는 제1 기압평형 환기 유닛; 및
    상기 제1 기압평형 환기 유닛에 인접하게 상기 벽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저장고 내의 공기를 상기 제1 저장고로 공급하는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환기구를 정의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환기구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1 회전축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1 환기구를 개폐시키는 제1 개폐 플레이트를 갖는 제1 프레임 어셈블리;
    상기 제1 프레임 어셈블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환기구를 정의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환기구에 설치되는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구비되며 상기 제2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2 환기구를 개폐시키는 제2 개폐 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개폐 플레이트의 양측에 가해지는 기압 차이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제2 환기구를 개방할 수 있는 제2 프레임 어셈블리;
    상기 제1 회전축에 연결되며, 개방 신호 또는 폐쇄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회전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정역 모터를 갖는 구동부;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정역 모터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이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개방 신호 또는 상기 폐쇄 신호를 차단하여 상기 정역 모터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제1 회전축에 연동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이 상기 개방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제1 환기구를 개방시킬 때 상기 제2 회전축을 구속시켜 상기 제2 환기구를 폐쇄 상태로 유지시키는 잠금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고는 낮은 열원을 갖는 저온저장고이며, 상기 제2 저장고는 제1 저장고에서 냉기를 공급받는 수냉부 저온저장고이고, 상기 제1 저장고의 열원은 냉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고는 열원부 온장고이며, 상기 제2 저장고는 수열부 온장고이고, 상기 제1 저장고의 열원은 히터 및 히트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저장고들 내부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정역 모터에 상기 개방 신호 및 상기 폐쇄 신호를 공급하는 온도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압평형 환기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일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환기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 또는 공급하기 위한 환기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팬은 상기 개방 신호가 공급되면 작동하고 상기 폐쇄 신호가 공급되면 작동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환기구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하부 제1 환기구 및 상부 제1 환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하부 제1 환기구에 설치되는 하부 제1 회전축 및 상기 상부 제1 환기구에 설치되는 상부 제1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폐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제1 회전축에 구비되는 하부 제1 개폐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제1 회전축에 구비되는 상부 제1 개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제1 회전축은 제1 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제1 회전축은 제2 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는 연결 링크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회전축이 상기 개방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할 때, 상기 연결 링크로부터 연장된 연장 암의 상단부에 구비된 고정 날개는, 상기 제2 회전축의 일단부에 형성된 평형 날개의 잠금용 돌출부를 상방으로 밀어, 상기 평형 날개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회전축에 연동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이 상기 개방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개방 신호를 차단하는 제1 마이크로 스위치;
    상기 제1 회전축에 연동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이 상기 폐쇄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폐쇄 신호를 차단하는 제2 마이크로 스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로 스위치들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개방 신호 및 상기 폐쇄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차단되면 상기 정역 모터를 정지시키는 릴레이들을 갖는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3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저장고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저장고들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 평형을 위한 외부 기압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31.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고는 낮은 열원부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갖는 제1 저장고에 외부 기압변을 설치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갖는 제2 저장고에 기압변을 설치하여, 높은 온도의 외기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제1 저장고에 직접 침투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제2 저장고로 들어가 제1, 제2 저장고의 기압을 조정함으로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제1 저장고에 뜨거운 열이 직접 침투할 때 발생되는 급격한 온도 변화와 열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3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고는 높은 열원부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갖는 제1 저장고에 외부 기압변을 설치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갖는 제2 저장고에 기압변을 설치하여, 낮은 온도의 외기가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제1 저장고에 직접 침투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제2 저장고로 들어가 제1, 제2 저장고의 기압을 조정함으로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제1 저장고에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가 직접 침투할 때 발생되는 급격한 온도 변화와,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시스템.
  3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 내부의 가스를 감지하여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가스인 경우에는 실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시스템.
  3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 내부의 가스를 감지하여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가스가 아닌 유독가스인 경우에는 실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고, 사전에 준비된 산소, 또는 유독가스를 중화할 수 있는 가스를 실내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시스템.
KR1020140049213A 2013-05-09 2014-04-24 온도와 기압의 평형을 이용한 환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저장 시스템 KR101571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4080 WO2014182080A1 (ko) 2013-05-09 2014-05-08 온도와 기압의 평형을 이용한 환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저장 시스템
CN201480019168.5A CN105121968A (zh) 2013-05-09 2014-05-08 利用温度平衡和气压平衡的换气单元及利用该换气单元的储藏系统
US14/780,659 US20160054046A1 (en) 2013-05-09 2014-05-08 Ventilation unit using temperature and atmospheric pressure equilibrium and preservation system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2527 2013-05-09
KR1020130052527 2013-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437A KR20140133437A (ko) 2014-11-19
KR101571111B1 true KR101571111B1 (ko) 2015-11-23

Family

ID=52454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213A KR101571111B1 (ko) 2013-05-09 2014-04-24 온도와 기압의 평형을 이용한 환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저장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054046A1 (ko)
KR (1) KR101571111B1 (ko)
CN (1) CN10512196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1230A (zh) * 2016-05-27 2016-11-09 刘朝军 一种室内人工智能的新鲜空气系统
KR102139023B1 (ko) 2020-02-20 2020-07-28 어경원 저온저장고의 환기도어 개폐장치
KR102419730B1 (ko) 2022-02-07 2022-07-13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방냉도어를 이용한 냉동고 제연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11103A1 (de) * 2013-06-14 2014-12-3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Türöffnungshilfe
CN105841282A (zh) * 2016-05-24 2016-08-10 郭毅义 一种浓差补偿新风系统
US20170350635A1 (en) * 2016-06-06 2017-12-07 Google Inc. Container with passive temperature controls
US11828518B2 (en) 2016-12-13 2023-11-28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ion appliance fan
US10837694B2 (en) * 2016-12-13 2020-11-17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ion appliance fan
JP7010280B2 (ja) * 2017-03-10 2022-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媒検知装置
JP6734225B2 (ja) * 2017-05-16 2020-08-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ダンパ装置
JP2018194221A (ja) * 2017-05-16 2018-12-06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ダンパ装置
JP2018194225A (ja) * 2017-05-16 2018-12-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ダンパ装置
JP6734226B2 (ja) * 2017-05-16 2020-08-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ダンパ装置
US10712041B2 (en) 2017-06-15 2020-07-14 Sanyo Denki Co., Ltd. Cooling fan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cooling fan automatic control device
JP6983544B2 (ja) * 2017-06-16 2021-12-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ラ、温度調節システム、温度調節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住宅
JP2020020523A (ja) * 2018-07-31 2020-02-06 山洋電気株式会社 ファン制御装置及びファン制御方法
CN109612065A (zh) * 2018-11-26 2019-04-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吹风装置出口和空调
CN109813050B (zh) * 2018-12-28 2023-03-17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用于冰箱的制冷剂泄漏检测方法及检测装置
KR20200117710A (ko) * 2019-04-05 2020-10-14 엘에스일렉트릭(주) 자동 환기 모듈을 갖는 전력전자기기
US11813926B2 (en) 2020-08-20 2023-11-14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Binding agent and olfaction sensor
US11760169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Particula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olfaction sensors
US11636870B2 (en) 2020-08-20 2023-04-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moking cess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932080B2 (en) 2020-08-20 2024-03-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and recirculatio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1828210B2 (en) 2020-08-20 2023-11-28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of vehicles using olfaction
US11760170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Olfaction sensor preserv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881093B2 (en) 2020-08-20 2024-01-2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smoking in vehicles
CN112797566B (zh) * 2021-04-13 2021-06-29 潍坊市三建集团有限公司 建筑用室内空气流通监测控制系统
CN114247722B (zh) * 2021-11-19 2022-11-08 北京戴纳实验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温度和风量的通风实验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164A (ja) 2000-01-18 2001-07-27 Nisshin Steel Co Ltd 防汚性に優れた換気口フード
JP2001280656A (ja) 2000-03-29 2001-10-10 Sanyo Electric Co Ltd 空調換気扇
US20050232753A1 (en) 2003-03-20 2005-10-20 Huntair Inc. Fan array fan section in air-handling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6420B2 (ja) * 1994-05-23 2001-11-05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冷却貯蔵庫
JPH10170042A (ja) * 1996-12-05 1998-06-26 Toshiba Corp 換気扇
CN2665063Y (zh) * 2003-09-18 2004-12-22 颜迪忠 一种简易密封仓库
CN202132515U (zh) * 2011-06-29 2012-02-01 凌义德 烧结机双层卸灰阀的扣塞式密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164A (ja) 2000-01-18 2001-07-27 Nisshin Steel Co Ltd 防汚性に優れた換気口フード
JP2001280656A (ja) 2000-03-29 2001-10-10 Sanyo Electric Co Ltd 空調換気扇
US20050232753A1 (en) 2003-03-20 2005-10-20 Huntair Inc. Fan array fan section in air-handling system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1230A (zh) * 2016-05-27 2016-11-09 刘朝军 一种室内人工智能的新鲜空气系统
KR102139023B1 (ko) 2020-02-20 2020-07-28 어경원 저온저장고의 환기도어 개폐장치
KR102419730B1 (ko) 2022-02-07 2022-07-13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방냉도어를 이용한 냉동고 제연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21968A (zh) 2015-12-02
US20160054046A1 (en) 2016-02-25
KR20140133437A (ko)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111B1 (ko) 온도와 기압의 평형을 이용한 환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저장 시스템
US8621884B2 (en) AC unit with economizer and sliding damper assembly
US7987680B2 (en) Air conditioner
JP5243092B2 (ja) ラック型空調機
KR101713546B1 (ko) 일체형 환기 및 냉난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 및 냉난방방법
JP5484919B2 (ja) 空調機
JP5570618B2 (ja) 空気調和装置
CN105050839A (zh) 车用空调装置
US9903633B2 (en) Container for refrigerating machine
RU2744780C1 (ru) Система вентиляции и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с пассивным режимом аварийного охлаждения
CN210959210U (zh) 一种集成热交换功能的空调机柜系统
JP6049981B2 (ja) 空調機及び空調システム
EP3075623B1 (en)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and railway vehicle provided with same
JP2018123999A (ja) 風路切替ダンパ、ファンコイル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
JP6466108B2 (ja) 空調システムを制御する制御システムおよび空調システム
JP2531843B2 (ja) 冷蔵庫
CN105180325B (zh) 一种空调器
JP6956900B2 (ja) 冷蔵庫
JP6448658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384371B1 (ko) 공기 조화기
KR102522061B1 (ko) 공조 유닛
JP6548369B2 (ja) ヒートポンプ式空調機
KR102485757B1 (ko) 공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JP4076407B2 (ja) 温冷蔵装置及びその冷却器及び冷風ダクトの湿度上昇抑制方法
KR20050066463A (ko) 벽걸이용 에어컨의 2베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