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073B1 - 전자 부품의 장착 방법 및 그 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부품의 장착 방법 및 그 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073B1
KR101571073B1 KR1020157000093A KR20157000093A KR101571073B1 KR 101571073 B1 KR101571073 B1 KR 101571073B1 KR 1020157000093 A KR1020157000093 A KR 1020157000093A KR 20157000093 A KR20157000093 A KR 20157000093A KR 101571073 B1 KR101571073 B1 KR 101571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electronic component
processing unit
component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0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547A (ko
Inventor
카즈요시 오야마
츠토무 야나기다
요시노리 카노
세이지 오니시
테츠지 오노
Original Assignee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5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19Feeding with belts or tapes tape fee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by means of a mounting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공급 유닛에 적절한 테이프 처리 유닛이 장착되도록 하고 적절한 전자 부품을 기판 상에 장착한다. 제어 장치(70)는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종별의 식별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이 종별의 식별 처리가 행해져서 이 테이프 처리 유닛(28)이 취급하는 전자 부품이 피더 베이스에 있어서의 부품 배치 번호의 전자 부품과 합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제어 장치(70)가 판정하고, 합치한다고 판정되면 흡착 노즐(7)에 의해 수납 테이프(CX) 내의 전자 부품(D)의 인출 동작을 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전자 부품의 장착 방법 및 그 장착 장치{METHOD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AND DEVICE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본 발명은 수납 테이프의 수납부를 덮는 커버 테이프를 이 수납 테이프의 진행에 따라서 진행 방향을 따라 순차 절단하는 커터와 이 커터에 의해 상기 커버 테이프가 절개된 상태에 있어서 부품 인출 위치에 공급된 상기 수납부 내의 전자 부품을 부품 인출 부재에 의해 인출하기 위해 개방 형성된 인출용 개구를 구비한 테이프 처리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부품 공급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부품 공급 유닛으로부터 인출한 전자 부품을 기판 상에 장착하는 전자 부품의 장착 방법 및 전자 부품의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부품 공급 유닛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납 테이프에 수납된 전자 부품의 사이즈에 대응해서 이 사이즈마다 다른 종류의 것을 제작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부품 공급 유닛의 유닛 본체에 테이프 처리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한 것이 고려된다. 이 테이프 처리 유닛은 수납 테이프의 수납부를 덮는 커버 테이프를 이 수납 테이프의 진행에 따라서 진행 방향을 따라 순차 절단하는 커터와 이 커터에 의해 상기 커버 테이프가 절개된 상태에 있어서 부품 인출 위치에 공급된 상기 수납부 내의 전자 부품을 부품 인출 부재에 의해 인출하기 위해 개방 형성된 인출용 개구를 구비하고 있고, 이 테이프 처리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한 부품 공급 유닛의 출현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12-74749 호 공보
그러나, 상기 부품 공급 유닛에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면 적절하지 않은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을 장착해버릴 우려가 있고, 이 적절하지 않은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을 장착해버리면 기판 상에 적절하지 않은 전자 부품을 장착해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부품 공급 유닛에 적절한 테이프 처리 유닛이 장착되도록 하여 적절한 전자 부품을 기판 상에 장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문에, 제 1 발명은 수납 테이프의 수납부를 덮는 커버 테이프에 의해 상기 수납부 내에 봉해져 있었던 전자 부품을 노출시켜 부품 인출 위치에 공급하고 공급된 상기 전자 부품을 부품 인출 부재에 의해 인출하기 위해 개방 형성된 인출용 개구를 구비한 테이프 처리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부품 공급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부품 공급 유닛으로부터 인출한 전자 부품을 기판 상에 장착하는 전자 부품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식별 처리를 행하고,
이 종별의 식별 처리가 행해져서 이 테이프 처리 유닛이 취급하는 전자 부품이 피더 베이스에 있어서의 부품 배치 번호의 전자 부품과 합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합치한다고 판정되면 상기 부품 인출 부재에 의해 전자 부품의 인출 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의 전자 부품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은 커터를 구비하고, 이 커터가 상기 수납 테이프의 진행에 따라서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 테이프를 순차 절단하고 절개해서 상기 수납부 내의 전자 부품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은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의 전자 부품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했을 때,
상기 수납 테이프의 상기 부품 공급 유닛에 탑재한 후의 최초의 전자 부품을 인출함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식별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제 4 발명은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의 전자 부품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했을 때,
상기 부품 공급 유닛의 이상 발생후의 최초의 전자 부품(D)을 인출함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식별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5 발명은 수납 테이프의 수납부를 덮는 커버 테이프에 의해 상기 수납부 내에 봉해져 있던 전자 부품을 노출시켜 부품 인출 위치에 공급하고 공급된 상기 전자 부품을 부품 인출 부재에 의해 인출하기 위해 개방 형성된 인출용 개구를 구비한 테이프 처리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부품 공급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부품 공급 유닛으로부터 인출한 전자 부품을 기판 상에 장착하는 전자 부품의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1 판정 수단과,
이 제 1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식별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수단과,
이 실행 수단에 의해 종별의 식별 처리가 행해져서 이 테이프 처리 유닛이 취급하는 전자 부품이 피더 베이스에 있어서의 부품 배치 번호의 전자 부품과 합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2 판정 수단과,
합치한다고 판정되면 상기 부품 인출 부재에 의해 전자 부품의 인출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발명은 제 5 발명의 전자 부품의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은 상기 수납 테이프의 진행에 따라서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 테이프를 순차 절단하고 절개해서 상기 수납부 내의 전자 부품을 노출시키는 커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발명은 제 5 발명 또는 제 6 발명의 전자 부품의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행 수단은 상기 수납 테이프의 상기 부품 공급 유닛에 탑재한 후의 최초의 전자 부품을 인출함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식별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발명은 제 5 발명 또는 제 6 발명의 전자 부품의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행 수단은 상기 부품 공급 유닛의 상기 피더 베이스로의 탈착 후의 최초의 전자 부품을 인출함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식별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 발명은 제 5 발명 또는 제 6 발명의 전자 부품의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행 수단은 상기 부품 공급 유닛의 이상 발생 후의 최초의 전자 부품을 인출함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식별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부품 공급 유닛에 적절한 테이프 처리 유닛이 장착되도록 하여 적절한 전자 부품을 기판 상에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전자 부품 장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수납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대부품용 수납 테이프, 도 3(b)는 소부품용 수납 테이프를 나타낸다.
도 4는 부품 공급 유닛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5는 부품 공급 유닛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은 형식 「W8S」의 테이프 처리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형식 「W8S」의 테이프 처리 유닛을 포함한 부품 공급 유닛의 X-X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위치로부터 종단면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B위치로부터 종단면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C위치로부터 종단면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의 D위치로부터 종단면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7의 E위치로부터 종단면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7의 F위치로부터 종단면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7의 G위치로부터 종단면한 도면이다.
도 15는 형식 「W8LL」의 테이프 처리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 판별용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1과 마찬가지로 D위치로부터 종단면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2와 마찬가지로 E위치로부터 종단면한 도면이다.
도 19는 테이프 처리 유닛의 형식과 대상 전자 부품의 관계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전자 부품 장착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1은 조작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자동 대조에 의한 플로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확인의 필요 여부 판정에 의한 플로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장착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부품 배치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부품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전자 부품 장착 장치(1)의 평면도인 도 1에 의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전자 부품 장착 장치(1)의 장치 본체(2) 상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부품 공급 장치(3A, 3B, 3C, 3D)가 4개의 블록으로 나뉘어 복수 병렬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 부품 공급 장치(3A, 3B, 3C, 3D)는 장착대인 카트대의 피더 베이스 상에 부품 공급 유닛(5)을 다수 병렬 배치한 것이며, 부품 공급측의 선단부가 기판으로서의 프린트 기판(P)의 반송로를 향하도록 상기 장치 본체(2)에 연결 부재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고, 카트대가 정규적으로 장치 본체(2)에 장착되면 카트대에 탑재된 부품 공급 유닛(5)에 전원이 공급되며 또한 연결 부재를 해제해서 손잡이를 당기면 하면에 설치된 캐스터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피더 베이스로부터 부품 공급 유닛(5)을 빼내기 위해 전원에 접속되는 커넥터끼리의 접속을 해제했을 경우에는 이 부품 공급 유닛(5)으로의 공급 전원이 차단되며 이 차단 상태를 후술하는 제어 장치(70)가 이것을 검출할 수 있고, 또한 반대로 상기 피더 베이스에 부품 공급 유닛(5)을 삽입해서 장착하여 상기 커넥터끼리를 접속하면 이 부품 공급 유닛(5)에 전원이 공급되고 이 공급 상태를 후술하는 제어 장치(70)가 검출할 수 있다.
각 부품 공급 장치(3A, 3B, 3C, 3D)는 부품 공급측의 선단부가 장착 헤드(6)의 부품 인출 영역인 부품 흡착 인출 위치(PU)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바로 앞측의 부품 공급 장치(3B, 3D)와 안측의 부품 공급 장치(3A, 3C) 사이에는 기판으로서의 프린트 기판(P)을 반송하는 기판 반송 장치(8)를 구성하는 공급 컨베이어, 제 1 위치 결정부, 중간 컨베이어, 제 2 위치 결정부 및 배출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급 컨베이어는 상류로부터 받은 프린트 기판(P)을 제 1 위치 결정부로 반송하고, 이 각 위치 결정부에서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결정 기구에 의해 위치 결정된 기판(P) 상에 전자 부품을 장착한 후 중간 컨베이어로 반송하고, 이 중간 컨베이어로부터 받은 프린트 기판(P)을 제 2 위치 결정부에서 위치 결정 기구에 의해 위치 결정해서 전자 부품을 장착한 후 배출 컨베이어로 반송되고, 그 후 하류측 장치로 반송된다.
Y방향으로 Y축 구동 모터(11)에 의해 가이드 레일(9)을 따라 이동하는 각 빔(10)에는 그 길이 방향 즉 X방향으로 X축 구동 모터(13)에 의해 이동하는 장착 헤드(6)가 설치되고, 이 장착 헤드(6)에는 복수개의 부품 인출 부재인 흡착 노즐(7)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 헤드(6)에는 상기 흡착 노즐(7)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축 구동 모터(14)가 탑재되고, 또한 연직축 둘레로 회전시키기 위한 θ축 구동 모터(15)가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 헤드(6)의 흡착 노즐(7)은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연직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며 또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면부호 4는 프린트 기판(P)의 위치 인식을 위한 기판 인식 카메라이며 상기 장착 헤드(6)에 고정되어 상기 프린트 기판(P)에 장착된 위치 결정 마크를 촬상한다. 도면부호 12는 부품 인식 카메라이며 전자 부품이 흡착 노즐(7)에 대해서 얼만큼 위치 어긋남되어 흡착 유지되어 있는지 XY방향 및 회전 각도에 대해 위치 인식하기 위해 전자 부품을 촬상한다.
수납 테이프(CX)의 사시도인 도 2에 의거해서 수납 테이프(CX)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수납 테이프(CX)는 캐리어 테이프(Ca)에 소정 간격마다 형성된 수납 오목부(Cb) 내에 전자 부품(D)을 수납하고 상기 수납 오목부(Cb)를 덮도록 커버 테이프(Cc)가 캐리어 테이프(Ca) 상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 테이프(Ca)에는 소정 간격마다 이송 구멍(C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테이프(Cc)의 접착부(Ce)[수납 오목부(Cb)의 좌우에 커버 테이프(Cc)를 접착(융착) 고정하고 있는 부분]는 장전되는 전자 부품의 사이즈에 따라 그 위치가 다르다. 즉, 이 도 3(a)(도 3의 좌측부) 및 도 3(b)(도 3의 우측부)에 나타내는 수납 테이프(CX)는 모두 8㎜ 폭의 종이 테이프의 것이지만, 도 3(a)는 대부품용 수납 테이프(CX)이며 상기 수납 오목부(Cb)도 크므로 진행 방향에 따라 도포된 접착부(Ce)도 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도 3(b)는 소부품용 수납 테이프(CX)이며 상기 수납 오목부(Cb)도 작으므로 접착부(Ce)도 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이어서, 상기 부품 공급 유닛(5)의 개략 측면도인 도 4 및 상기 부품 공급 유닛(5)의 개략 평면도인 도 5에 의거해서 피더 베이스 상에 병렬 배치되는 부품 공급 유닛(5)의 구성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부품 공급 유닛(5)은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수납 테이프 릴에 권회된 상태의 수납 테이프(CX)를 안내 통로를 통해 도입하는 테이프 도입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테이프 도입 기구는 테이프 도입 구동원이며 그 출력축(16)에 기어(18)를 구비한 도입 모터인 DC 모터(17)와, 상기 기어(18)와 맞물리는 기어(19)가 설치된 회전축(20)의 중간부에 설치된 웜기어(21)와 맞물리는 웜휠(22)을 구비함과 아울러, 테이프 압박 부재(24)에 상방으로부터 압박된 수납 테이프(CX)에 형성한 이송 구멍(Cd)에 그 외주부에 형성된 테이프 이송 톱니가 맞물려서 이 수납 테이프(CX)를 이송하는 제 1 스프로킷(23)으로 구성된다. 도면부호 25는 제 1 검출 센서이며 상기 부품 공급 유닛(5) 내에 도입된 상기 수납 테이프(CX)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도면부호 27은 제 2 스프로킷이며 상기 부품 공급 유닛(5)에 착탈 가능한 테이프 처리 유닛(28)으로의 수납 테이프(CX)의 공급 동작을 맡는다. 도면부호 29는 제 3 스프로킷이며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커터(30)에 의해 상기 수납 테이프(CX)의 커버 테이프(Cc)를 절개하도록 상기 수납 테이프(CX)를 전진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면부호 32는 서보 모터이며 그 출력축(33)에 설치된 풀리와 회전축(34)에 설치된 풀리 사이에는 벨트(35)가 팽팽히 설치되고, 상기 서보 모터(32)가 정회전하면 출력축(33) 및 벨트(35)를 통해 회전축(34)이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34)이 간헐 회전하면 이 회전축(34)의 중간부에 설치된 각 웜기어(37, 38)와 맞물리는 웜휠(39, 40)을 구비한 상기 제 2 스프로킷(27), 제 3 스프로킷(29)이 각각 간헐 회전하게 된다. 즉, 서프레서(43)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압박된 수납 테이프(CX)에 형성한 이송 구멍(Cd)에 제 2 스프로킷(27), 제 3 스프로킷(29)의 외주부에 형성된 테이프 이송 톱니가 맞물리고, 상기 회전축(34)이 회전하면 제 2 스프로킷(27) 및 제 3 스프로킷(29)이 회전하게 되어 수납 테이프(CX)를 간헐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도면부호 44는 제 2 검출 센서이며 도입된 상기 수납 테이프(CX)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그리고, 상기 부품 공급 유닛(5)으로의 수납 테이프(CX)의 장전시에 상기 제 1 스프로킷(23)으로부터 제 2 스프로킷(27)의 각 테이프 이송 톱니로의 수납 테이프(CX)의 이송 구멍(Cd)의 감합시(속도차에 의한 승계)의 여유 로스, 즉 즉시는 끼워지지 않고 미끄러지면서 이윽고 감합되는 것에 배려해서 수납 테이프(CX) 선단 위치의 파악을 확실히 행하기 위해 제 2 스프로킷(27)과 제 3 스프로킷(29) 사이에 제 2 검출 센서(44)를 배치하고, 수납 테이프(CX)의 선단 검출을 했을 때에 감속하도록 하고나서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 1 스프로킷(23)과 제 2 스프로킷(27)의 간격은 크기 때문에 수납 테이프(CX)의 각 이송 구멍(Cd)의 누적된 피치 오차에 의해 양 스프로킷(23, 27)의 테이프 이송 톱니의 감합 동작에 영향을 미치므로 제 1 스프로킷(23)의 회전수는 제 2 스프로킷(27)의 회전수보다 약간 느린 저속 회전으로 한다. 또한, 수납 테이프(CX)의 이송 위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송 구멍(Cd)의 변형을 적게 하기 위해, 제 1 스프로킷(23)의 테이프 이송 톱니 형상은 둥근 톱니 형상으로 한 형상을 채용하여 이송 구멍(Cd)을 초기 상태인채로 변형시키지 않고 전방의 제 2 스프로킷(27), 제 3 스프로킷(29)으로 옮기도록 했다.
또한, 제 2 스프로킷(27)과 제 3 스프로킷(29)은 매우 가까이 배치해서 누적 피치 오차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스팬으로 함과 아울러 테이프 처리 시퀸스에 필요한 가감속 컨트롤, 속도 제어, 토크 제어를 맡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서보 모터(32)를 채용함과 아울러 동일 구동원에 의한 동작으로 했다.
이어서, 소부품용의 후술하는 형식 「W8S」의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에 대해서 도 6~도 14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우선, 부품 공급 유닛(5)에는 수납 테이프(CX)를 반송하는 안내 슈트(50)가 유닛 본체(5A)에 고정 볼트(26)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이 안내 슈트(50) 상을 슬라이딩해서 반송되는 수납 테이프(CX)를 이 안내 슈트(50)에 상방으로부터 상시 압박해서 수납 테이프(CX)의 이송시에 수납 테이프(CX)가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제 2 스프로킷(27) 및 제 3 스프로킷(29)의 테이프 이송 톱니로부터 수납 테이프(CX)의 이송 구멍(Cd)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상기 서프레서(43)가 작용한다.
또한, 상기 고정 볼트(26)에 의한 상기 안내 슈트(50)의 유닛 본체(5A)로의 고정은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상면에 개방 형성된 관통 구멍(41)을 통하거나, 또는 상기 서프레서(43)에 개방 형성된 관통 구멍(42) 및 상기 관통 구멍(41)을 통해 공구를 삽입해서 상기 고정 볼트(26)의 머리부를 비틀어 넣음으로써 행한다.
여기서, 상기 서프레서(43)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이 서프레서(43)는 단면이 대략 コ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그 상면(43A)에는 장착용 개구(52)가 개방 형성되며, 이 장착용 개구(52) 내에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 상면의 일부인 볼록부(28A)가 하방으로부터 끼워넣어진 상태로 장착된다.
이 경우, 장착용 개구(52)를 벗어난 상기 서프레서(43)의 상면(43A)에는 위치 결정용 개구(54) 및 장착 구멍(55)이 2개씩 개방 형성되고,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상면에 형성된 각 위치 결정용 볼록부(56)를 상기 서프레서(43) 상면의 각 위치 결정용 개구(54)에 감합해서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상기 위치 결정용 볼록부(56)의 근방에 개방 형성된 각 비스 구멍(57)과 각 장착 구멍(55)이 합치되어 각 고정 비스(58)가 각 장착 구멍(55)을 관통한 상태로 각 비스 구멍(57)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서프레서(43)에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도 7, 도 8 및 도 14 참조).
또한, 상기 서프레서(43)의 양 측면(43B, 43C) 사이에는 지지핀(60)이 양 측면(43B, 43C)을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이 지지핀(60)과 상기 안내 슈트(50)의 수평면(50A)에 형성된 수납 오목부(50B) 사이에는 스프링(61)이 설치되며, 이 스프링(61)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안내 슈트(50) 상의 수납 테이프(CX)를 이 안내 슈트(50)에 상방으로부터 상시 압박하여 상기 제 2 스프로킷(27) 및 제 3 스프로킷(29)의 테이프 이송 톱니로부터 수납 테이프(CX)의 이송 구멍(Cd)이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비스(58)의 상기 비스 구멍(57)으로의 나사 결합을 해제해서 이 고정 비스(58)를 장착 구멍(55)으로부터 빼고 상기 스프링(61)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상기 서프레서(43)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면, 상기 장착용 개구(52)로부터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 상면의 볼록부가 벗어나게 되어 상기 서프레서(43)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이 인출되면서 분리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소부품용의 형식 「W8S」 대신에 도 15에 나타내는 형식 「W8LL」의 테이프 처리 유닛(28)을 상기 서프레서(43)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서프레서(43)의 전방으로부터 형식 「W8LL」의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하방으로 삽입하고,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상면에 형성된 각 위치 결정용 볼록부(56)를 상기 서프레서(43) 상면의 각 위치 결정용 개구(54)에 감합해서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상기 위치 결정용 볼록부(56)의 근방에 개방 형성된 각 비스 구멍(57)과 각 장착 구멍(55)이 합치되어 각 고정 비스(58)가 각 장착 구멍(55)을 관통한 상태로 각 비스 구멍(57)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서프레서(43)에 이 형식 「W8LL」의 테이프 처리 유닛(28)을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공급 유닛(5)에 다른 종류의 테이프 처리 유닛(28)을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부품 공급 유닛(5)을 공용할 수 있으므로 관리가 용이해서 관리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관리 보관 공간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3(a)의 대부품용 수납 테이프(CX)는 수납 오목부(Cb)도 크므로 진행 방향을 따라 도포된 접착부(Ce)도 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부품용 형식 「W8S」의 테이프 처리 유닛(28)에 비해서 대부품용 「W8LL」의 테이프 처리 유닛(28)은 커버 테이프(Cc)의 개방량을 많게 하지 않으면 전자 부품(D)과 흡착 노즐(7)로 인출할 수 없으므로 개방 각도도 커지도록 안내면(64A)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에는 개구(63)가 개방 형성되고 공급된 수납 테이프(CX)의 커버 테이프(Cc)를 진행 방향을 따라서 그 진행에 따라 순차 절개하는 커터(30)를 상기 개구(63)를 통해 볼 수 있다(도 6, 도 9 참조). 그리고, 이 수납 테이프(CX)의 진행에 따라 커버 테이프(Cc)는 커터(30)에 의해 순차 절개되지만(도 9 및 도 10), 절개된 후 커버 테이프(Cc)의 개구 단부(절개된 좌우 단부)가 최고 높이 지점으로 되도록, 즉 커버 테이프(Cc)를 좌우로 나누어서 상방으로 밀어 개방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면(64)이 진행 방향을 향해서 좌우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 11 참조).
또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에는 전자 부품(D)보다 큰 평면적을 갖는 부품 인출 개구(65)가 개방 형성되고(도 6 및 도 12 참조), 상기 안내면(64)을 따라 수납 오목부(Cb) 내에 수납된 전자 부품(D)의 폭보다 넓게 개방된 부품 흡착 인출 위치(PU)에 있어서 수납 오목부(Cb)는 완전히 노출되고, 따라서 수납 오목부(Cb)에 수납되어 있는 전자 부품(D)은 노출된다. 그리고, 장착 헤드(6)에 설치된 흡착 노즐(7)이 상기 부품 인출 개구(65)를 통해 상기 수납 오목부(Cb) 내의 전자 부품(D)을 흡착해서 인출할 수 있다.
단, 이 상기 부품 인출 개구(65)가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각 안내면(64)은 형성할 수 없지만, 상기 부품 인출 개구(65)보다 진행 방향의 앞쪽에는 다시 좌우로 안내면(64)이 형성되고(도 6 참조) 이윽고 이 안내면(64)은 형성되지 않는다(도 12 내지 도 14).
또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에는 종별 판별용 정보 식별부(66)가 설치되고, 이 정보 식별부(66)는 전자 부품 장착 장치(1)의 작업자 식별용 정보 식별부(67)와, 전자 부품 장착 장치(1)의 정보 식별부(68)로 구성된다. 작업자 식별용 정보 식별부(67)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도록 그 형식, 예를 들면 「W8S」 등이 각인되어 있다. 또한, 전자 부품 장착 장치(1)의 정보 식별부(68)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도트를 이용한 이진화 정보(비트)로 즉 검은원의 인자가 0~15까지의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종별(종류)을 식별할 수 있도록 그 형식, 예를 들면 도 16의 최좌측부는 「W8S」, 그 우측 이웃부는 「W8M」, 그 우측 이웃부는 「W8L」, 최우측부는 「W8LL」이라는 종류를 알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식별부(68)는 4개의 도트를 이용한 이진화 정보(비트)였지만, 직접 문자 인식할 수 있는 것이나 바코드 정보(일차원 또는 이차원)를 첨부하거나 또는 메모리 태그, 뮤칩 등의 기록 매체를 매립해도 좋다. 이들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형식 정보 이외에 유니크한 관리 코드도 정보에 추가해서 각각의 관리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형식과 대상 전자 부품의 관계표[기억 장치(80)에 격납되어 있다.]인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식 「W8S」는 대상 전자 부품의 범위가 「0402~0603」이고 이 전자 부품의 X방향의 치수가 0.40~0.60㎜이며 Y방향의 치수가 0.20~0.30㎜이고, 형식 「W8M」은 대상 전자 부품의 범위가 「1005~1608」이고, 이 전자 부품의 X방향의 치수가 0.61~1.60㎜이며 Y방향의 치수가 0.31~3.40㎜이고, 형식 「W8L」은 대상 전자 부품의 범위가 「1608~2012」이고 이 전자 부품의 X방향의 치수가 1.61~2.10㎜이며 Y방향의 치수가 0.31~3.40㎜이고, 형식 「W8LL」은 대상 전자 부품의 범위가 「2012~3225」이고 이 전자 부품의 X방향의 치수가 2.11~4.30㎜이며 Y방향의 치수가 0.31~3.40㎜이다. 즉, 예를 들면 형식 「W8S」는 전자 부품의 X방향의 치수가 0.40~0.60㎜의 범위 내이고 Y방향의 치수가 0.20~0.30㎜의 범위 내의 전자 부품을 취급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어서, 도 20의 전자 부품 장착 장치(1)의 제어 블록도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전자 부품 장착 장치(1)에는 본 장착 장치(1)를 통괄 제어하는 제어 수단, 판정 수단, 실행 수단, 명령 수단 등으로서의 제어 장치(70)와, 상기 제어 장치(70)에 버스 라인을 통해 접속되는 기억 장치(7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70)는 상기 기억 장치(71)에 기억된 데이터에 의거해서 전자 부품 장착 장치(1)의 부품 장착 동작에 의한 동작을 통괄 제어한다.
즉, 제어 장치(70)는 인터페이스(74) 및 구동 회로(77)를 통해 상기 Y축 구동 모터(11), X축 구동 모터(13), 상하축 구동 모터(14) 및 상기 θ축 구동 모터(15) 등의 구동을 제어함과 아울러 각 부품 공급 유닛(5)을 제어한다. 이 도 20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복수개 있는 것이라도 예를 들면 장착 헤드(6), 부품 공급 유닛(5) 등은 1개로 해서 생략하고 있다.
상기 기억 장치(71)에는 부품 장착에 의한 프린트 기판(P)의 종류마다 장착 데이터(도 24 참조)가 기억되어 있고, 그 장착 순서마다(스텝 번호마다)에 프린트 기판(P) 내에서의 X방향(X로 나타냄), Y방향(Y로 나타냄) 및 각도(Z로 나타냄) 정보나, 각 부품 공급 유닛(5)의 배치 번호 정보 등이 격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억 장치(71)에는 각 프린트 기판(P)의 종류마다 상기 각 부품 공급 유닛(5)의 배치 번호(레인 번호)에 대응한 각 전자 부품 종류(부품 ID)의 정보, 즉 부품 배치 정보(도 25 참조)가 격납되어 있고, 이 부품 배치 정보는 상기 카트대 상의 어떤 위치에 어떤 부품 공급 유닛(5)을 탑재할지에 대한 데이터이다. 또한, 이 부품 ID마다 전자 부품의 X방향 및 Y방향 치수 등의 전자 부품의 특징 등에 관한 부품 라이브러리 데이터(도 26 참조)가 격납되어 있다.
도면부호 73은 인터페이스(74)를 통해 상기 제어 장치(70)에 접속되는 인식 처리 장치이며 상기 부품 인식 카메라(12)에 의해 촬상해서 취득한 화상이나, 상기 기판 인식 카메라(4)에 의해 촬상해서 취득한 화상의 인식 처리가 상기 인식 처리 장치(73)에 의해 행해져 제어 장치(70)에 처리 결과가 송출된다. 즉, 제어 장치(70)는 부품 인식 카메라(12)에 촬상된 화상이나 상기 기판 인식 카메라(4)에 촬상된 화상을 인식 처리(위치 어긋남량의 산출 등)하도록 지시를 인식 처리 장치(73)에 출력 함과 아울러 인식 처리 결과를 인식 처리 장치(73)로부터 수취하는 것이다.
도면부호 75는 부품 화상이나 각종 데이터 설정을 위한 화면 등을 표시하는 모니터이며 이 모니터(75)에는 입력 수단으로서의 다양한 터치 패널 스위치(76)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터치 패널 스위치(76)를 조작함으로써 다양한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C 모터(17) 및 상기 서보 모터(32)에 의해 수납 테이프(CX)를 도입해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부품 공급 유닛(5)은 제어 장치(79)와 기억 장치(80)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부호 82는 각각 인터페이스(81)를 통해 상기 제어 장치(79)에 접속되는 구동 회로이며 제어 장치(79)는 DC 모터(17) 및 서보 모터(32)를 구동 회로(82)를 통해 제어한다. 이 부품 공급 유닛(5)에 설치되는 제어 장치(79)는 인터페이스(81 및 74)를 통해 전자 부품 장착 장치(1)에 설치되는 제어 장치(70)에 접속된다.
또한,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부품 공급 유닛(5)의 손잡이(46)의 상면에는 조작 패널(78)이 설치되고, 이 조작 패널(78)에는 부품 공급 유닛(5)의 배치 번호(레인 번호)를 선택하기 위한 레인 번호 선택 버튼(78A)과, 이 레인 번호 선택 버튼(78A)의 좌측부 압박마다 1개씩 레인 번호를 증가시켜 표시함과 아울러 우측부 압박마다 1개씩 레인 번호를 감소시켜 표시하는 표시부(78B)와, 이송 버튼(78C)과 리턴 버튼(78D), 로딩 버튼(78E)이 설치되어 있다(도 21 참조).
따라서, 상기 부품 공급 유닛(5)을 상술한 피더 베이스 상으로부터 분리하거나 장착하거나 할 때에 표시부(78B)를 보면서 부품 공급 유닛(5)의 배치 번호(레인 번호)를 레인 번호 선택 버튼(78A)의 압박 조작에 의거해서 선택(변경)할 수 있다. 이 선택된 부품 공급 유닛(5)의 배치 번호(레인 번호)는 기억 장치(89, 70)에 리라이트 기억되게 된다.
이어서, 부품 공급 유닛(5)에 수납 테이프(CX)를 장전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테이프 압박 부재(24)를 분리하고 수납 테이프(CX) 선단부를 상기 안내 통로 상에 적재하고, 제 1 스프로킷(23)의 테이프 이송 톱니를 수납 테이프(CX)의 이송 구멍(Cd)에 감합시킨 후에 테이프 압박 부재(24)를 세팅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조작 패널(78)의 로딩 버튼(78E)을 압박 조작하면, 제어 장치(79)는 상기 제 1 검출 센서(25) 및 제 2 검출 센서(44)가 수납 테이프(CX)를 검출하고 있지 않으면 DC 모터(17)를 타이머(45)에 의한 소정 시간만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수납 테이프(CX)는 제 1 스프로킷(23)의 회전에 의해 부품 공급 유닛(5) 내측 방향으로 순차 삽입된다.
그리고, 이 삽입에 따라 타이머(45)에 의한 소정 시간을 계시하면 상기 DC 모터(17)의 구동을 정지하고 제 1 검출 센서(25)가 수납 테이프(CX)의 선단을 검출하면 상기 DC 모터(17) 및 서보 모터(32)의 구동을 개시시켜서 제 1 스프로킷(23), 제 2 스프로킷(27) 및 제 3 스프로킷(29)에 의해 수납 테이프(CX)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이송량에 따라 이동 동작을 계속하여 이 이동 중에 제 2 검출 센서(44)가 수납 테이프(CX)의 선단을 검출하면 제어 장치(79)는 DC 모터(17)의 구동을 정지시켜 서보 모터(32)를 강제적으로 감속시키면서 정지시킨다. 또한 이 경우, 상술한 미리 설정된 이송량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 2 검출 센서(44)가 수납 테이프(CX) 선단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79)는 DC 모터(17) 및 서보 모터(32)를 이상 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어서, 서보 모터(32)에 의해 상술한 감속하고나서 정지할 때의 수납 테이프(CX)의 오버런량을 감안해서 최소 피치 이송에 의한 역전 동작을 수납 테이프(CX)의 선단이 제 2 검출 센서(44)가 검지하지 않게 될 때까지 반복하여 수납 테이프(CX)의 선단 위치를 확정한다. 즉, 서보 모터(32)의 최소 피치의 역전 동작 및 정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수납 테이프(CX)의 선단 위치를 확정한다.
또한, 제 1 스프로킷(23)은 원웨이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어 역전은 하지 않지만 리턴량이 미소한 것, 제 1 스프로킷(23)의 톱니 높이가 낮은 것에 의해 제 2 스프로킷(27)의 이송 톱니에 감합한 수납 테이프(CX)는 서보 모터(32)의 추진력으로 후방으로 미끄러져 나온다.
그리고, 소정량의 1회 이송 동작으로 수납 테이프(CX)의 선단부를 커터(30) 날의 직전 위치까지 고속으로 이송하도록 서보 모터(32)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수납 테이프(CX)의 선단 위치의 확정에 의해 커터(30) 날의 직전 위치까지 설계 치수에 따라 수납 테이프(CX)를 고속으로 이송한다.
그 후, 커버 테이프(Cc)의 커터(30)에 의한 절개 영역에 수납 테이프(CX)를 삽입하고 커버 테이프(Cc)의 절개를 행한다. 즉, 우선 커터(30)의 선단이 캐리어 테이프(Ca)와 커버 테이프(Cc) 사이에 잠입하고, 그 후 캐리어 테이프(Ca)와 커버 테이프(Cc)의 진행에 따라 커터(30)의 상부에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날에 의해 커버 테이프(Cc)가 절개된다. 또한, 커버 테이프(Cc)는 안내면(64)에 의해 좌우로 나뉘어서 상방으로 밀어져 개방되도록 안내된다. 이 경우, 커버 테이프(Cc)를 캐리어 테이프(Ca)로부터 박리하는 것은 아니고 진행 방향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절개하도록 상방을 향해서 개방되기 때문에 초저속도 또는 초저가속도로 소정량의 1회 이송을 행한다.
그리고, 수납 테이프(CX)의 선단부의 수납 오목부(Cb)의 위치를 부품 흡착 인출 위치(PU)로 큐잉(cueing)하기 위한 피치 이송 동작을 소정 횟수 행한다. 이 경우, 먼저의 수납 테이프(CX)의 선단 위치 확정의 위치로부터의 누계 이송량[제 2 스프로킷(27)의 테이프 이송 톱니의 이송 구멍(Cd)으로의 감합에 의한 서보 모터(32)의 구동 관리량]에 따르고 이송 피치에 따른 수납 오목부(Cb)의 위치를 부품 흡착 인출 위치(PU)로 반입하기 위한 소정 이송 동작을 실시한다.
이 수납 오목부(Cb) 위치의 자동 맞춤은 수납 테이프(CX) 선단의 이송 구멍(Cd) 기준에 따른 절단 위치를 바탕으로 테이핑 규격에 준한 수납 오목부(Cb)의 위치 관계에 의해 이송량을 컨트롤해서 행한다.
이어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종별의 자동 대조에 의한 도 22의 플로 차트 및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종별 확인의 필요 여부 판정에 의한 도 23의 플로 차트에 의거해서 이하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 피더란 부품 공급 유닛(5)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우선, 도 22의 스텝 S01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종별 확인의 필요 여부 판정이 제어 장치(7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필요 여부 판정에 대해서 도 23에 의거해 설명하면, 처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수납 테이프(CX)의 자동 로딩 후의 최초 전자 부품(D)의 인출 여부가 제어 장치(70)에 의해 판정된다(스텝 S20).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수납 테이프(CX)의 자동 로딩[상기 부품 공급 유닛(5)으로의 수납 테이프(CX)의 탑재] 후의 최초의 전자 부품(D)의 인출로 판정되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기억 장치(80)의 내용을 세팅(「ON」)하도록 제어 장치(70)는 제어 장치(79)를 제어한다(스텝 S21). 또한, 수납 테이프(CX)의 자동 로딩 후의 최초의 전자 부품(D)의 인출이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 이어서 부품 공급 유닛(5)의 탈착 후의 최초의 전자 부품(D)의 인출 여부가 제어 장치(70)에 의해 판정된다(스텝 S22).
이 경우, 부품 공급 유닛(5)의 탈착[상기 부품 공급 유닛(5)의 상기 피더 베이스로의 장착·분리] 후의 최초의 전자 부품(D)의 인출로 판정되면, 상기 기억 장치(80)의 내용을 세팅(「ON」)하도록 제어 장치(70)는 제어 장치(79)를 제어한다(스텝 S21). 또한, 탈착 후의 최초의 전자 부품(D)의 인출이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 이어서 부품 공급 유닛(5)의 이상[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형식이 불합치] 후의 최초의 전자 부품(D)의 인출 여부가 제어 장치(70)에 의해 판정된다(스텝 S23).
이 경우, 이 이상이 발생한 부품 공급 유닛(5)으로부터의 이상 발생 후의 최초의 전자 부품(D)의 인출로 판정되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기억 장치(80)의 내용을 세팅(「ON」)하도록 제어 장치(70)는 제어 장치(79)를 제어한다(스텝 S21). 또한, 이상 후의 최초의 전자 부품(D)의 인출이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기억 장치(80)의 내용을 클리어(「OFF」)하도록 제어 장치(70)는 제어 장치(79)를 제어한다(스텝 S24).
그리고, 상술한 스텝 S21이나 S24의 처리를 종료하면, 도 22의 스텝 S02로 돌아가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한지에 대한 여부의 판정을 하고, 즉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기억 장치(80)의 내용이 「ON」인지의 여부가 제어 장치(70)에 의해 판정된다.
이 경우, 상기 기억 장치(80)의 내용이 「OFF」이며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정되면, 스텝 S03으로 진행해서 전자 부품의 인출 동작을 하도록 제어 장치(70)가 제어한다. 또한, 수납 테이프(CX)의 자동 로딩 후의 최초의 전자 부품(D)의 인출이 판정되거나, 부품 공급 유닛(5)의 탈착 후의 최초의 전자 부품(D)의 인출이 판정되거나, 부품 공급 유닛(5)의 이상[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형식이 불합치] 후의 최초의 전자 부품(D)의 인출이 판정되거나 해서, 상기 기억 장치(80)의 내용이 「ON」이며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스텝 S02),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기억 장치(80)의 내용을 클리어(「OFF」)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04).
이어서, 제어 장치(70)는 구동 회로(77)를 통해 상기 Y축 구동 모터(11), X축 구동 모터(13)를 제어해서 상기 기판 인식 카메라(4)를 이동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스텝 S05) 상기 정보 식별부(68)를 촬상하고(스텝 S06), 이 촬상 화상을 인식 처리 장치(73)가 인식 처리하고, 이 인식 처리 결과에 의거해서 제어 장치(70)가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종별의 식별 처리를 행한다(스텝 S07). 이 경우,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형식은 검은원의 수와 위치에 의해 식별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상기 정보 식별부(68)의 내용 검출에 대해서 기판 인식 카메라(4) 등을 사용해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종별의 식별 처리를 행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기타 검출 수단에 의해 행해도 좋다.
그리고, 이 테이프 처리 유닛(28)이 취급하는 전자 부품이 피더 베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부품 배치 번호의 전자 부품과 합치하는지의 여부가 제어 장치(70)에 의해 판정된다(스텝 S08). 이 경우, 장착 데이터를 구성하는 장착 순서마다(스텝 번호마다)의 부품 공급 유닛(5)의 배치 번호 정보와 이 배치 번호(레인 번호)에 대응한 각 전자 부품의 종류(부품 ID)의 정보(부품 배치 정보)로부터 얻어진 전자 부품 부품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구성하는 X치수 및 Y치수가 기판 인식 카메라(4)가 촬상해서 인식 처리 장치(73)가 인식 처리해서 판별한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형식에 대응하는 전자 부품의 X치수 및 Y치수[도 19의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28)의 형식과 대상 전자 부품의 관계표로부터 입수]와 합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제어 장치(70)가 이상을 보고한다(스텝 S09). 예를 들면, 모니터(75)에 「이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과 전자 부품이 합치하지 않습니다. 부품 공급 유닛을 확인해 주십시오.」라고 메세지를 표시시킨다.
또한, 합치하고 있다고 판정되면 제어 장치(70)는 전자 부품의 인출 동작을 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03).
그리고, 전자 부품을 이 부품 공급 유닛(5)으로부터 전자 부품을 인출한 후 흡착 노즐(7)에 흡착 유지된 전자 부품을 부품 인식 카메라(12)가 촬상해서 인식 처리 장치(73)가 이 촬상 화상을 인식 처리함과 아울러 필요한 보정 동작을 행하도록 제어해서(스텝 S10) 프린트 기판(P)으로의 전자 부품의 장착 동작을 행한다(스텝 S11). 이 경우, 기판 인식 카메라(4)에 의해 프린트 기판(P)에 첨부된 위치 결정 마크를 촬상하고, 인식 처리 장치(73)가 이 촬상 화상을 인식 처리하고, 이 인식 결과도 가미해서 상술한 보정 동작을 행해서 전자 부품의 장착 동작을 행한다.
이어서, 장착 데이터에 의거해서 이 프린트 기판(P) 상에 다른 장착할 전자 부품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2), 있을 경우에는 스텝 S02까지 돌아가서 다른 장착해야 할 전자 부품이 없어질 때까지 이하 마찬가지로 반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상술한 설명에 의거해서 당업자에 있어서 다양한 대체예, 수정 또는 변형이 가능하고,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술한 다양한 대체예, 수정 또는 변형을 포함하는 것이다.
1 : 전자 부품 장착 장치 4 : 기판 인식 카메라
5 : 부품 공급 유닛 7 : 흡착 노즐
28 : 테이프 처리 유닛 30 : 커터
65 : 부품 인출 부재 68 : 정보 식별부
70 : 제어 장치

Claims (10)

  1. 수납 테이프의 수납부를 덮는 커버 테이프에 의해 상기 수납부 내에 봉해져 있었던 전자 부품을 노출시켜 부품 인출 위치에 공급하고 공급된 상기 전자 부품을 부품 인출 부재에 의해 인출하기 위해 개방 형성된 인출용 개구를 구비한 테이프 처리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부품 공급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부품 공급 유닛으로부터 인출한 전자 부품을 기판 상에 장착하는 전자 부품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식별 처리를 행하고,
    이 종별의 식별 처리가 행해져서 이 테이프 처리 유닛이 취급하는 전자 부품이 피더 베이스에 있어서의 부품 배치 번호의 전자 부품과 합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합치한다고 판정되면 상기 부품 인출 부재에 의해 전자 부품의 인출 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의 장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은 커터를 구비하고, 이 커터가 상기 수납 테이프의 진행에 따라서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 테이프를 순차 절단하고 절개해서 상기 수납부 내의 전자 부품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의 장착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했을 때,
    상기 수납 테이프의 상기 부품 공급 유닛에 탑재한 후의 최초의 전자 부품을 인출함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식별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의 장착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했을 때,
    상기 부품 공급 유닛의 이상 발생후의 최초의 전자 부품(D)을 인출함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식별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의 장착 방법.
  5. 수납 테이프의 수납부를 덮는 커버 테이프에 의해 상기 수납부 내에 봉해져 있던 전자 부품을 노출시켜 부품 인출 위치에 공급하고 공급된 상기 전자 부품을 부품 인출 부재에 의해 인출하기 위해 개방 형성된 인출용 개구를 구비한 테이프 처리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부품 공급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부품 공급 유닛으로부터 인출한 전자 부품을 기판 상에 장착하는 전자 부품의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1 판정 수단과,
    이 제 1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식별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수단과,
    이 실행 수단에 의해 종별의 식별 처리가 행해져서 이 테이프 처리 유닛이 취급하는 전자 부품이 피더 베이스에 있어서의 부품 배치 번호의 전자 부품과 합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2 판정 수단과,
    합치한다고 판정되면 상기 부품 인출 부재에 의해 전자 부품의 인출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의 장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은 상기 수납 테이프의 진행에 따라서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 테이프를 순차 절단하고 절개해서 상기 수납부 내의 전자 부품을 노출시키는 커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의 장착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수단은 상기 수납 테이프의 상기 부품 공급 유닛에 탑재한 후의 최초의 전자 부품을 인출함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식별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의 장착 장치.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수단은 상기 부품 공급 유닛의 상기 피더 베이스로의 탈착 후의 최초의 전자 부품을 인출함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식별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의 장착 장치.
  9.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수단은 상기 부품 공급 유닛의 이상 발생 후의 최초의 전자 부품을 인출함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정되면 상기 테이프 처리 유닛의 종별의 식별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의 장착 장치.
  10. 삭제
KR1020157000093A 2012-06-29 2013-06-21 전자 부품의 장착 방법 및 그 장착 장치 KR101571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47278A JP5902569B2 (ja) 2012-06-29 2012-06-29 電子部品の装着方法及びその装着装置
JPJP-P-2012-147278 2012-06-29
PCT/JP2013/067137 WO2014002910A1 (ja) 2012-06-29 2013-06-21 電子部品の装着方法及びその装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547A KR20150015547A (ko) 2015-02-10
KR101571073B1 true KR101571073B1 (ko) 2015-11-23

Family

ID=49783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093A KR101571073B1 (ko) 2012-06-29 2013-06-21 전자 부품의 장착 방법 및 그 장착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56770B2 (ko)
EP (1) EP2869682B1 (ko)
JP (1) JP5902569B2 (ko)
KR (1) KR101571073B1 (ko)
CN (1) CN104412732B (ko)
WO (1) WO20140029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2569B2 (ja) 2012-06-29 2016-04-1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電子部品の装着方法及びその装着装置
CN107409486B (zh) * 2015-03-06 2020-06-05 株式会社富士 元件种类配置的最优化方法及元件种类配置的最优化装置
CN107430405B (zh) * 2015-03-23 2020-10-02 株式会社富士 移动体
DE102015120015B4 (de) * 2015-11-18 2018-10-11 Asm Assembly Systems Gmbh & Co. Kg Abrüsten eines Bauelement-Gurtes von einer Bauelement-Zuführvorrichtung entgegen der Gurt-Transportrichtung
JP6592528B2 (ja) * 2015-12-24 2019-10-1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表面実装機
JP6219427B2 (ja) * 2016-03-10 2017-10-2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電子部品の装着方法及びその装着装置
JP6763701B2 (ja) * 2016-06-09 2020-09-3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実装装置
WO2018066107A1 (ja) * 2016-10-06 2018-04-12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部品装着機
CN111656879B (zh) * 2018-02-20 2021-08-03 株式会社富士 带式供料器的支撑板种类/元件种类组合确认系统及支撑板种类/元件种类组合确认方法
JP6603893B2 (ja) * 2018-05-22 2019-11-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露出機構の照合方法および照合システム
JP6572451B2 (ja) * 2018-05-29 2019-09-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実装方法および部品実装システム
JP6572450B2 (ja) * 2018-05-29 2019-09-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実装方法および部品実装システム
WO2020065754A1 (ja) * 2018-09-26 2020-04-02 株式会社Fuji テープフィー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4492A (ja) 1998-12-07 2000-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の実装装置および実装方法
JP2011138834A (ja) 2009-12-26 2011-07-14 Fuji Mach Mfg Co Ltd 電子回路部品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799A (ja) 1983-07-01 1985-01-23 三洋電機株式会社 チップ状電子部品の自動装着装置
JPH0789598B2 (ja) * 1986-05-19 1995-09-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ーピング部品供給装置
US4819699A (en) * 1987-02-24 1989-04-11 Alliance Automation Systems, Inc. Cartridge feed system for automatic PCB loading machine
US5024720A (en) 1989-11-08 1991-06-18 Zevatech Ag Feeding apparatus for feeding belted components to an automatic assembly apparatus
US6032845A (en) 1998-10-15 2000-03-07 Hover-Davis, Inc. Variable pitch tape feeder and pitch selection switch therefor
JP4486259B2 (ja) * 1998-12-22 2010-06-23 マイデータ オートメーション アクチボラグ 部品テープ情報を部品取付機に移転する方法および手段
ATE369033T1 (de) * 1998-12-22 2007-08-15 Mydata Automation Ab Bandführungsvorrichtung, magazin und systeme für eine bauteilbestückungsmaschine
US6162007A (en) * 1999-01-14 2000-12-19 Witte; Stefan Apparatus for feeding electronic component tape
WO2002080643A1 (de) 2001-03-30 2002-10-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zuführen von gegurteten elektrischen bauteilen
JP4301853B2 (ja) * 2002-09-18 2009-07-22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電子回路部品装着機
JP4522839B2 (ja) * 2004-12-20 2010-08-1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および表面実装機
WO2006126465A1 (en) * 2005-05-23 2006-11-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nic components carrier tape package and electronic components feeding apparatus
US7850040B2 (en) * 2006-10-23 2010-12-14 Hover-Davis, Inc. Component tape feeder
JP2011222569A (ja) * 2010-04-02 2011-11-04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電子部品供給装置
JP2012074749A (ja) 2012-01-16 2012-04-12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電子部品装着装置
JP5902569B2 (ja) 2012-06-29 2016-04-1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電子部品の装着方法及びその装着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4492A (ja) 1998-12-07 2000-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の実装装置および実装方法
JP2011138834A (ja) 2009-12-26 2011-07-14 Fuji Mach Mfg Co Ltd 電子回路部品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43693A1 (en) 2015-05-28
US9756770B2 (en) 2017-09-05
KR20150015547A (ko) 2015-02-10
EP2869682B1 (en) 2018-10-17
EP2869682A1 (en) 2015-05-06
CN104412732B (zh) 2017-08-08
JP5902569B2 (ja) 2016-04-13
JP2014011325A (ja) 2014-01-20
WO2014002910A1 (ja) 2014-01-03
EP2869682A4 (en) 2016-03-30
CN104412732A (zh)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073B1 (ko) 전자 부품의 장착 방법 및 그 장착 장치
JP6681344B2 (ja) フィーダ装置
CN108040457B (zh) 供料器及供料器控制方法以及电子元件安装装置
EP2903405B1 (en) Component supply unit
JP6026796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及び電子部品装着方法
JP2011181816A (ja) フィーダ、供給テープの移動制御方法または供給テープの装着方法並びに電子部品装着装置
JP6000792B2 (ja) 部品供給ユニット
JP5913048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2014093424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KR101690581B1 (ko) 부품 공급 유닛
JP5913037B2 (ja) 部品供給ユニット
JP6029933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5981787B2 (ja) 部品供給ユニット、電子部品装着装置
JP6219427B2 (ja) 電子部品の装着方法及びその装着装置
JP6402156B2 (ja) フィーダ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JP6486434B2 (ja) 電子部品の装着方法及びその装着装置
JP2016197763A (ja) 部品供給ユニット
JP6780898B2 (ja) フィーダ装置
WO2023145061A1 (ja) テープ自動処理装置及びリール装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