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658B1 - 쉬트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쉬트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658B1
KR101570658B1 KR1020140183494A KR20140183494A KR101570658B1 KR 101570658 B1 KR101570658 B1 KR 101570658B1 KR 1020140183494 A KR1020140183494 A KR 1020140183494A KR 20140183494 A KR20140183494 A KR 20140183494A KR 101570658 B1 KR101570658 B1 KR 101570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orming
sheet
window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0658B9 (ko
Inventor
박덕영
김학철
Original Assignee
(주)유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84474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7065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티아이 filed Critical (주)유티아이
Priority to KR1020140183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658B1/ko
Priority to CN201510958860.0A priority patent/CN105712619B/zh
Publication of KR10157065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658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9Severing cooled glass by thermal shock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5/00Annealing glass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5/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et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 글래스의 측면 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원판유리의 상하부에 셀단위로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크층 영역 외의 노출된 원판유리 영역을 레이저로 쉬트컷팅(sheet cutting)하여 상기 노출된 원판유리 영역에 쉬트컷팅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크층을 제거하고 상기 원판유리를 강화시켜 상기 쉬트컷팅부를 통해 상기 원판유리의 측면부도 강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원판유리의 일면에 셀단위로 기능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능층이 형성된 원판유리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셀단위로 컷팅하여 셀단위 윈도우 글래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원판유리를 쉬트 상태로 유지하는 쉬트 프로세스가 가능하고, 동시에 원판유리의 컷팅면인 측면 강도를 강화시켜 양산성 및 수율을 향상시키고 강도를 개선시킨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쉬트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glass with tempered side edge using sheet cutting}
본 발명은 윈도우 글래스의 측면 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원판유리를 쉬트 상태로 유지하는 쉬트 프로세스가 가능하고, 동시에 원판유리의 컷팅면인 측면 강도를 강화시켜 양산성 및 수율을 향상시키고 강도를 개선시킨 쉬트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확인의 편의성과 사용의 편리성 등을 위해 스마트폰, 태블릿 PC,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는 디스플레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 카메라나 가전제품 등 각종 전기전자 제품에도 디스플레이가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정보 확인을 위한 사용의 편의성 뿐만 아니라 직접 조작하고 작동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방지와 터치로 인한 내부 터치 스크린 패널 등의 보호를 위해, 디스플레이 윈도우에도 윈도우 글래스가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윈도우 글래스는 각종 휴대 단말기나 가전제품, 카메라 등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윈도우에 결합될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나 일반 카메라에 설치된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기 위해 카메라 렌즈 윈도우에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 윈도우 글래스는 일반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휴대용 단말기나 전기전자 제품의 디스플레이 윈도우 또는 카메라 렌즈 윈도우의 크기와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소정 프레임 내에 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은 원판 유리를 소정의 형태로 절단하고, 이의 상면 또는 하면에 사용목적에 맞도록 기능층, 반사방지층, 습기제거층, 정전기 방지층, 보호층, 인쇄층, 전극층, 금속층 등(이하 편의상 '기능층'이라고 한다)을 형성하여 윈도우 상의 최상층에 결합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터치 스크린 패널 또는 카메라의 대물렌즈 등을 보호하게 된다.
종래의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인 셀 단위 공정은, 기판을 디스플레이 윈도우 또는 렌즈 윈도우 형태로 가공하고, 가공된 각각의 셀 단위 기판을 화학 강화한 후 기능층을 형성하는데, 이는 셀 단위로 여러가지 공정이 이루어지지 때문에 패터닝이 용이하지 못하고, 불량률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셀 단위 제조 공정의 특성상 공정 라인 및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원판 유리인 원도우 커버 유리 기판을 화학 강화하고, 강화한 윈도우 커버 유리 기판 상에 기능층을 형성시킨 후 절삭 및 면취하는 원판단위 공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원판 유리의 절삭 및 면취 공정 시 상하부 표면은 강화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나, 컷팅 후 측면은 강화되어 있지 않아서 충격강도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어 최종 디스플레이의 내구성을 떨어뜨리며,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10-2008-0047002호(2008.05.28)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판유리를 쉬트 상태로 유지하는 쉬트 프로세스가 가능하고, 동시에 원판유리의 컷팅면인 측면 강도를 강화시켜 양산성 및 수율을 향상시키고 강도를 개선시킨 쉬트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판유리의 상하부에 셀단위로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크층 영역 외의 노출된 원판유리 영역을 레이저로 쉬트컷팅(sheet cutting)하여, 브레이킹 라인은 형성하지 않고 상기 노출된 원판유리 영역에 상하로 관통하는 크랙으로 이루어진 쉬트컷팅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크층을 제거하고 상기 원판유리를 강화시켜 상기 쉬트컷팅부를 통해 상기 원판유리의 측면부도 강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원판유리의 일면에 셀단위로 기능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능층이 형성된 원판유리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셀단위로 컷팅하여 셀단위 윈도우 글래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원판유리는 무강화유리 또는 강화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원판유리의 상하부에 DFR(Dry Film Photoresist)를 라미네이팅하여 사진식각 공정에 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쉬트컷팅부가 형성된 원판유리에 습식식각을 진행하여 상기 노출된 원판유리 영역에 챔퍼부(chamfer)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챔퍼부는, 상기 원판유리 상하부 표면으로부터 0.5%~25%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판유리의 강화는, 질산칼륨(KNO3)을 이용하여, 350℃~450℃의 온도에서 화학 강화(chemical tempering)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측면 강화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윈도우 글래스는, 디스플레이 윈도우 및 카메라 렌즈 윈도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브레이킹 라인은 형성하지 않고, 원판유리의 상하부로 관통하는 크랙 형태의 쉬트컷팅부를 형성한 후, 원판유리의 강화를 실시하여, 원판유리를 유지한 채로 강화, 기능층의 형성 등의 공정이 진행되므로 쉬트 프로세스가 가능하여, 기존 셀 타입 공정에 비하여 양산성 및 수율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어 가격 경쟁력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쉬트 프로세스에서는 원판유리의 컷팅면인 측면부의 강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측면강도가 취약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SLP 공법은 쉬트 상태를 유지하면서 측면 강화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으므로, 수율 향상과 더불어 강도 개선이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 ~ 도 3 -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쉬트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에 대한 모식도.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브레이킹 라인은 형성하지 않고, 원판유리의 상하부로 관통하는 크랙 형태의 쉬트컷팅부를 형성한 후, 강화를 실시하여, 원판유리를 유지한 채로 강화, 기능층의 형성 등의 공정이 진행되므로 쉬트 프로세스가 가능하여, 기존 셀 타입 공정에 비하여 양산성 및 수율이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어 가격 경쟁력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쉬트 프로세스에서는 원판유리의 컷팅면인 측면부의 강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측면강도가 취약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SLP 공법은 쉬트 상태를 유지하면서 측면 강화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수율 향상과 더불어 강도 개선이 탁월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쉬트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쉬트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은, 원판유리의 상하부에 셀단위로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크층 영역 외의 노출된 원판유리 영역을 레이저로 쉬트컷팅(sheet cutting)하여, 브레이킹 라인은 형성하지 않고 상기 노출된 원판유리 영역에 상하로 관통하는 크랙으로 이루어진 쉬트컷팅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크층을 제거하고 상기 원판유리를 강화시켜 상기 쉬트컷팅부를 통해 상기 원판유리의 측면부도 강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원판유리의 일면에 셀단위로 기능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능층이 형성된 원판유리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셀단위로 컷팅하여 셀단위 윈도우 글래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원판유리를 준비한다.
상기 원판유리는 강화가 되지 않은 것을 사용하여, 후술할 강화공정에 의해 강화되게 된다.
상기 원판유리에 스크래치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사하고, 표면 정밀도 및 투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원파유리의 양쪽면을 연마처리하고 세정하여 준비한다.
그 다음 상기 원판유리의 상하부에 셀단위로 마스크층을 형성한다.
상기 셀단위로 마스크층의 형성은 상기 원판유리의 상하부에 DFR(Dry Film Photoresist)를 라미네이팅하여 사진식각 공정에 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정 간격의 패턴을 이루는 마스크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마스크층의 형성 방법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스크린 잉크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층 영역 외의 노출된 원판유리 영역을 레이저로 쉬트컷팅(sheet cutting)하여 상기 노출된 원판유리 영역에 쉬트컷팅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쉬트컷팅부는 상기 레이저로 마스크층 영역 사이의 마스크층이 형성되지 않아 노출된 원판유리 영역에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쉬트컷팅부는 상기 노출된 원판유리 영역을 레이저에 의해 브레이킹 라인(breaking line)은 형성하지 않고, 상하부로 관통하는 크랙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크랙으로 이루어진 쉬트컷팅부 양측의 원판유리 영역이 지그재그 형태로 맞물려 있거나 또는 나사의 맞물림과 같은 형태로 맞물려, 쉬트컷팅부 양측의 원판유리 영역이 상호 맞물림 결합력이 유지되어, 원판유리는 상하부로 관통하는 크랙으로 이루어진 쉬트컷팅부가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쉬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레이저로 인해 브레이킹 라인(breaking line)은 형성하지 않고, 크랙만을 형성하여 쉬트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본 발명에서는 쉬트컷팅이라고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브레이킹 라인을 추가로 만들지 않고, 레이저 컷팅은 수행하였지만 원판유리는 쉬트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 쉬트 상에서의 프로세스가 가능(Sheet Like Process, 이하에서는 편의상 "SLP"라고 한다.)한 것을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층을 제거(strip)하고 상기 원판유리를 세정한 후, 상기 원판유리를 강화시키면 상기 쉬트컷팅부를 통해 상기 원판유리의 측면부도 강화가 이루어지게 되며, 강화에 의해 원판유리의 상하부면과 측면부에 20~90㎛ 정도의 강화층이 형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강화 공정은 질산칼륨(KNO3)을 이용하여, 350℃~450℃의 온도에서 화학 강화(chemical tempering)를 실시하게 되며, 강화 후에는 서서히 냉각시켜 크랙을 방지하도록 하며, 강화가 완료되면 원판유리를 세정한다.
즉, 현재 쉬트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원판유리를 강화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이 경우 원판유리의 상부면 및 하부면뿐만 아니라 원판유리의 측면, 즉 컷팅면도 이에 따라 강화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강화 공정은 SLP 공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원판유리를 쉬트 상태로 유지한 채로 강화 공정이 진행되므로 쉬트 프로세스가 가능하여, 기존 셀 타입 공정에 비하여 양산성 및 내구성을 개선시키게 된다.
즉, 기존 쉬트 프로세스에서는 원판유리의 컷팅면인 측면부의 강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측면강도가 취약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SLP 공법은 쉬트 상태를 유지하면서 측면 강화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수율 향상과 더불어 강도 개선을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측면강화된 원판유리의 일면에 셀단위로 기능층을 형성시킨다. 이 경우에도 원판유리는 쉬트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기능층의 형성이 SLP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어, 종래의 셀단위로 기능층을 형성하는 것에 비해 양산성 및 수율이 월등히 향상되게 된다.
상기 기능층은 반사방지층, 습기제거층, 정전기 방지층, 보호층, 장식층, 인쇄층, 전극층, 금속층 등 그 사용용도에 맞게 단일 또는 복수개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윈도우 상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베젤부 등의 형성을 위한 장식층, 인쇄층, 전극층, 정전기 방지층, 보호층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카메라 렌즈 윈도우에 사용될 경우에도 회사 로고나 모델명과 같은 인쇄층, 장식층을 형성하거나, 정전기 방지층, 반사방지층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기능층의 형성까지 원판유리가 쉬트 상태를 유지한 채로 공정이 완료되게 되면, 원판유리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브레이킹 라인(breaking line)을 형성하여 셀단위로 컷팅하여 셀단위 윈도우 글래스를 형성하게 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는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하나, 강화된 원판유리를 사용하고, 쉬트컷팅부의 형성 이후에, 챔퍼부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강화된 원판유리는 CS(Compressive Stress, 압축응력) 300MPa~900MPa 이며, DOL(Depth of Layer, 강화깊이) 40㎛ 이하의 강화유리를 사용하며, 후술할 강화 공정은 추가 강화공정이 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원판유리의 상하부에 마스크층을 형성하고, 레이저로 쉬트컷팅부를 형성하는 것은 동일하게 실시되며, 상기 쉬트컷팅부가 형성된 원판유리에 습식식각을 진행하여 상기 노출된 원판유리 영역에 챔퍼부(chamfer)를 더 형성한다.
상기 습식식각은 디핑(dipping)에 의해 원판유리가 완전히 식각용액에 담궈지도록 하여 쉬트컷팅부가 형성된 부분에 추가로 식각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여전히 원판유리는 쉬트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습식식각에 의한 식각층은 원판유리 상하측 표면으로부터 0.5%~25%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며, 25% 이상은 되지 않도록 하여, 후속 공정에서도 쉬트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습식식각 공정은 HF가 포함된 식각용액에 20℃~30℃의 온도로 5 내지 30분간 처리하여, 셀단위로 마스크층이 형성된 원판유리를 식각용액에 일정시간 노출시키는 방법에 의해 구현되며, 상기 마스크층 사이로 챔퍼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습식식각 공정에 의한 챔퍼부의 형성은, 앞선 공정에서 물리적인 레이저 컷팅에 의한 쉬트컷팅부로 인해 컷팅면에 마이크로 크랙이 발생하게 되는데, 레이저 컷팅 부분에 화학적으로 식각을 진행하게 되면 마이크로 크랙을 스무딩하게 형성할 수 있어 측면을 일정 부분 강화시키면서 원판유리의 셀단위로의 식각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층을 제거(strip)하고 상기 원판유리를 세정한 후, 상기 원판유리를 추가 강화시키면 상기 쉬트컷팅부를 통해 상기 원판유리의 측면부도 강화시키게 되며, 추가 강화에 의해 원판유리의 상하부면과 측면부에 20㎛~90㎛ 정도의 강화층이 형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가 강화 공정은 질산칼륨(KNO3)을 이용하여, 350℃~450℃의 온도에서 화학 강화(chemical tempering)를 실시하게 되며, 강화 후에는 서서히 냉각시켜 크랙을 방지하도록 하며, 강화가 완료되면 원판유리를 세정한다.
즉, 현재 쉬트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원판유리를 추가 강화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이 경우 원판유리의 상부면 및 하부면뿐만 아니라 원판유리의 측면, 즉 컷팅면도 이에 따라 강화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추가 강화 공정은 SLP 공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원판유리를 쉬트 상태로 유지한 채로 추가 강화 공정이 진행되므로 쉬트 프로세스가 가능하여, 기존 셀 타입 공정에 비하여 양산성 및 내구성을 개선시키게 된다.
즉, 기존 쉬트 프로세스에서는 원판유리의 컷팅면인 측면부의 강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측면강도가 취약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SLP 공법은 쉬트 상태를 유지하면서 측면 강화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수율 향상과 더불어 강도 개선을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측면강화된 원판유리의 일면에 셀단위로 기능층을 형성시킨 후, 레이저를 이용하여 셀단위로 컷팅하여 윈도우 글래스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실시예 1의 설명과 동일하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3은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 의한 레이저로 컷팅된 셀단위 윈도우 글래스에 추가 공정을 실시하는 것으로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실시예 2를 사용하여 추가 공정을 실시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단위로 윈도우 글래스를 형성한 후에, 셀단위로 접착면이 형성된 파단필름(breaking film)을 이용하여 칩(chip)은 제거하고 셀단위 윈도우 글래스의 타면부를 파단필름 상에 접착시켜 상기 기능층을 세정하는 단계가 더 이루어지게 된다.
즉, 레이저에 의한 셀단위로 윈도우 글래스를 절단한 경우, 절단 과정 중 발생하는 칩(chip)은 제거하고, 셀단위 윈도우 글래스만을 파단필름(PET) 상에 접착시키도록 하여 다음 공정을 준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능층이 형성된 윈도우 글래스의 일면부에는 일면 보호필름을 접착한 후, 상기 파단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윈도우 글래스의 타면부에는 타면 보호필름을 접착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전체적으로 셀단위 윈도우 글래스으로 분리된 상태이나 보호필름을 접착하는 과정에서도 전체 셀단위 윈도우 글래스에 동시에 보호필름이 접착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속도를 향상시키고자 한 것이다.
상기 보호필름의 접착이 완료되면, 보호필름을 절단하여 셀단위로 측면 강화된 윈도우 글래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브레이킹 라인은 형성하지 않고, 원판유리의 상하부로 관통하는 크랙 형태의 쉬트컷팅부를 형성한 후, 강화를 실시하여, 원판유리를 유지한 채로 강화, 기능층의 형성 등의 공정이 진행되므로 쉬트 프로세스가 가능하여, 기존 셀 타입 공정에 비하여 양산성 및 수율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어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게 된다.
또한, 기존 쉬트 프로세스에서는 원판유리의 컷팅면인 측면부의 강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측면강도가 취약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SLP 공법은 쉬트 상태를 유지하면서 측면 강화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으므로, 수율 향상과 더불어 강도 개선이 탁월하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의 윈도우 글래스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윈도우에 사용되는 것 뿐만 아니라, 카메라 렌즈 윈도우에 결합되어 렌즈를 보호할 수 있는 등 투명한 창으로 내부의 장치들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어떠한 곳에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7)

  1. 원판유리의 상하부에 셀단위로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층 영역 외의 노출된 원판유리 영역을 레이저로 쉬트컷팅(sheet cutting)하여, 브레이킹 라인은 형성하지 않고 상기 노출된 원판유리 영역에 상하로 관통하는 크랙으로 이루어진 쉬트컷팅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층을 제거하고 상기 원판유리를 강화시켜 상기 쉬트컷팅부를 통해 상기 원판유리의 측면부도 강화시키는 단계;
    상기 원판유리의 일면에 셀단위로 기능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능층이 형성된 원판유리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셀단위로 컷팅하여 셀단위 윈도우 글래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쉬트컷팅부가 형성된 원판유리에 습식식각을 진행하여 상기 노출된 원판유리 영역에 챔퍼부(chamfer)를 형성하는 공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원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유리는 무강화유리 또는 강화유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강화된 원판유리의 상하부에 DFR(Dry Film Photoresist)를 라미네이팅하여 사진식각 공정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부는,
    상기 원판유리 상하부 표면으로부터 0.5%~25% 정도의 깊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유리의 강화는,
    질산칼륨(KNO3)을 이용하여, 350℃~450℃의 온도에서 화학 강화(chemical temper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
  7. 제 1항 내지 제 3항, 제 5항 및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는,
    디스플레이 윈도우 및 카메라 렌즈 윈도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
KR1020140183494A 2014-12-18 2014-12-18 쉬트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 KR101570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494A KR101570658B1 (ko) 2014-12-18 2014-12-18 쉬트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
CN201510958860.0A CN105712619B (zh) 2014-12-18 2015-12-18 利用片切割制造具有回火的侧面切割边缘的玻璃窗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494A KR101570658B1 (ko) 2014-12-18 2014-12-18 쉬트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658B1 true KR101570658B1 (ko) 2015-11-23
KR101570658B9 KR101570658B9 (ko) 2022-10-31

Family

ID=54844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494A KR101570658B1 (ko) 2014-12-18 2014-12-18 쉬트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70658B1 (ko)
CN (1) CN105712619B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598B1 (ko) * 2016-04-19 2017-06-22 (주)유티아이 노출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노출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
KR101765198B1 (ko) * 2016-02-22 2017-08-23 룩씨스 주식회사 Uv 패턴을 이용한 윈도우 글래스 제조방법
KR20180045120A (ko) * 2016-10-24 2018-05-04 (주)유티아이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
KR20180045119A (ko) * 2016-10-24 2018-05-04 (주)유티아이 전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
KR101892941B1 (ko) * 2017-09-28 2018-08-30 (주)유티아이 광학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902801B1 (ko) * 2017-12-11 2018-10-01 (주)유티아이 지문인식용 홈키 커버 글라스 윈도우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홈키 커버 글라스 윈도우
KR101912124B1 (ko) * 2017-12-11 2018-10-29 (주)유티아이 광학 필터 셀 어레이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928273B1 (ko) * 2016-08-31 2018-12-13 (주)유티아이 강도가 보강된 커버 글라스 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KR101930204B1 (ko) * 2018-04-10 2018-12-17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전, 후면 ar코팅 카메라용 윈도우글라스 제조방법
KR101930205B1 (ko) * 2018-04-10 2018-12-17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전, 후면 ar코팅 카메라용 윈도우글라스 제조방법
KR101931322B1 (ko) * 2016-11-16 2018-12-20 (주)유티아이 쉬트 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
KR20190018114A (ko) * 2017-08-11 2019-02-21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KR101948473B1 (ko) 2018-05-30 2019-05-02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원판 에칭형 셀 강화 스마트폰 카메라 윈도우 제조방법
KR20200034070A (ko) * 2018-09-20 2020-03-31 (주)유티아이 직각 형상 가공을 위한 개선된 slp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직각 형상 가공을 위한 셀컷팅된 쉬트글라스
KR102111131B1 (ko) * 2018-12-03 2020-05-15 (주)유티아이 복합 가공 공정을 이용한 광학필터 제조방법
KR102421155B1 (ko) * 2021-10-01 2022-07-14 (주)중우엠텍 셀단위 기판 제조방법
KR20240026814A (ko) 2022-08-22 2024-02-29 (주)유티아이 사파이어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사파이어 커버 윈도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9608B2 (ja) * 2017-03-31 2020-09-02 株式会社Nsc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KR101924174B1 (ko) * 2018-04-04 2019-02-22 (주)유티아이 근적외선 필터 및 그 필터의 제조방법
CN109144312A (zh) * 2018-07-27 2019-01-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胶、光学胶的制作方法及显示装置
CN110482851A (zh) * 2019-09-03 2019-11-22 拓米(成都)应用技术研究院有限公司 网格掩墨喷涂治具及基于网格掩墨喷涂治具的切割加工方法
CN112714206B (zh) * 2020-12-14 2023-08-15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手机盖板与摄像头护镜的组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688B1 (ko) 2013-01-10 2014-04-01 서택 광학용 카메라 모듈 렌즈 및 터치스크린 커버 윈도우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856B1 (ko) * 2010-04-28 2012-06-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102785031B (zh) * 2012-08-15 2015-04-01 武汉隽龙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超短脉冲激光的透明材料切割方法及切割装置
CN103043891A (zh) * 2012-12-26 2013-04-17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玻璃制作工艺
CN103435255B (zh) * 2013-08-14 2015-09-30 深圳光韵达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的切割加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688B1 (ko) 2013-01-10 2014-04-01 서택 광학용 카메라 모듈 렌즈 및 터치스크린 커버 윈도우 제조방법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198B1 (ko) * 2016-02-22 2017-08-23 룩씨스 주식회사 Uv 패턴을 이용한 윈도우 글래스 제조방법
CN107305319B (zh) * 2016-04-19 2018-11-16 Uti有限公司 摄像头镜片的制造方法及由此制造的摄像头镜片
CN107305319A (zh) * 2016-04-19 2017-10-31 Uti有限公司 摄像头镜片的制造方法及由此制造的摄像头镜片
US10519062B2 (en) 2016-04-19 2019-12-31 Uti, Inc. Manufacturing method for camera window having distinctive pattern and camera window having the distinctive pattern
US10590029B2 (en) 2016-04-19 2020-03-17 Uti, Inc. Camera window having distinctive pattern
KR101749598B1 (ko) * 2016-04-19 2017-06-22 (주)유티아이 노출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노출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
KR101928273B1 (ko) * 2016-08-31 2018-12-13 (주)유티아이 강도가 보강된 커버 글라스 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45119A (ko) * 2016-10-24 2018-05-04 (주)유티아이 전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
KR102614865B1 (ko) 2016-10-24 2023-12-19 (주)유티아이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
KR102593080B1 (ko) 2016-10-24 2023-10-24 (주)유티아이 전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
KR20180045120A (ko) * 2016-10-24 2018-05-04 (주)유티아이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배면패턴이 구현된 카메라 윈도우
KR101931322B1 (ko) * 2016-11-16 2018-12-20 (주)유티아이 쉬트 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
KR102395770B1 (ko) 2017-08-11 2022-05-10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KR20190018114A (ko) * 2017-08-11 2019-02-21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KR101892941B1 (ko) * 2017-09-28 2018-08-30 (주)유티아이 광학 필터 및 그 제조방법
US10585220B2 (en) 2017-09-28 2020-03-10 Uti, Inc. Optical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902801B1 (ko) * 2017-12-11 2018-10-01 (주)유티아이 지문인식용 홈키 커버 글라스 윈도우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홈키 커버 글라스 윈도우
US11243339B2 (en) 2017-12-11 2022-02-08 Uti Inc. Optical filter cell array structure with resin and tempered gla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12124B1 (ko) * 2017-12-11 2018-10-29 (주)유티아이 광학 필터 셀 어레이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930205B1 (ko) * 2018-04-10 2018-12-17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전, 후면 ar코팅 카메라용 윈도우글라스 제조방법
KR101930204B1 (ko) * 2018-04-10 2018-12-17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전, 후면 ar코팅 카메라용 윈도우글라스 제조방법
KR101948473B1 (ko) 2018-05-30 2019-05-02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 원판 에칭형 셀 강화 스마트폰 카메라 윈도우 제조방법
KR20200034070A (ko) * 2018-09-20 2020-03-31 (주)유티아이 직각 형상 가공을 위한 개선된 slp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직각 형상 가공을 위한 셀컷팅된 쉬트글라스
KR102140979B1 (ko) * 2018-09-20 2020-08-05 (주)유티아이 직각 형상 가공을 위한 개선된 slp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직각 형상 가공을 위한 셀컷팅된 쉬트글라스
KR102111131B1 (ko) * 2018-12-03 2020-05-15 (주)유티아이 복합 가공 공정을 이용한 광학필터 제조방법
KR102421155B1 (ko) * 2021-10-01 2022-07-14 (주)중우엠텍 셀단위 기판 제조방법
KR20240026814A (ko) 2022-08-22 2024-02-29 (주)유티아이 사파이어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사파이어 커버 윈도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12619B (zh) 2018-04-10
KR101570658B9 (ko) 2022-10-31
CN105712619A (zh)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658B1 (ko) 쉬트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
KR101931322B1 (ko) 쉬트 컷팅을 이용한 측면강화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
KR101765198B1 (ko) Uv 패턴을 이용한 윈도우 글래스 제조방법
CN103958423B (zh) 用于电子装置的玻璃防护罩
TWI375622B (ko)
JP5541623B2 (ja)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JP6452743B2 (ja) 携帯機器用カバーガラス、携帯機器用ガラス基板
US9063600B2 (en) Method for carrying out edge etching and strengthening of OGS (one-glass-solution) touch panel with one-time film lamination
KR101020352B1 (ko) 유리 기판재의 절단 방법
TW201329004A (zh) 強化玻璃切割件、玻璃強化方法、具有強化玻璃保護的觸控顯示裝置以及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
KR20130110701A (ko) 표시 장치용 글라스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4125399A (ja) タッチパネル形成用強化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CN107108347A (zh) 强化玻璃板的制造方法、以及强化用玻璃板的制造方法
TW201514128A (zh) 分析藍寶石物品的方法
JP6111240B2 (ja) 電子機器用カバーガラスの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KR20180056355A (ko) 쉬트컷팅을 이용한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윈도우 글래스
JP2016060664A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
JP2015093822A (ja) 強化ガラスと強化ガラスの面取り面の形成方法。
KR20150111821A (ko) 강화 유리의 절단 및 면취 방법
TWI649280B (zh) 強化玻璃切割及去角方法
KR101417993B1 (ko) 터치스크린패널 커버 글라스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터치스크린패널 커버 글라스
KR101381123B1 (ko) 기판 커팅방법
TW201413520A (zh) 高抗破壞強度的觸控面板模組的製作方法及其成品
KR101683473B1 (ko) 이중 식각을 통한 유리 기판의 절단방법
TW201418177A (zh) 觸控裝置、觸控顯示裝置及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346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11124

Effective date: 2022040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243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812

Effective date: 2022040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2209;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10720

Effective date: 20220407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5000048;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20519

Effective date: 20220922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3 Request for tri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invalidation of limit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3453; TRI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345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ED 20221213

Effective date: 20240412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200003489;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20527

Effective date: 2023110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200003472;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527

Effective date: 2023110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200003465;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20527

Effective date: 20230922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300011401;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31211

Effective date: 2024031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300011395;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31211

Effective date: 2024031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300011371;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31201

Effective date: 2023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