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707B1 -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707B1
KR101569707B1 KR1020140086919A KR20140086919A KR101569707B1 KR 101569707 B1 KR101569707 B1 KR 101569707B1 KR 1020140086919 A KR1020140086919 A KR 1020140086919A KR 20140086919 A KR20140086919 A KR 20140086919A KR 101569707 B1 KR101569707 B1 KR 101569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material
lightweight molding
bar
deck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호
박성태
정운홍
윤혜상
Original Assignee
(주)광장브이디에스
(주)윈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장브이디에스, (주)윈하이텍 filed Critical (주)광장브이디에스
Priority to KR1020140086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데크웨브(DW)와 데크플렌지(DF)가 형성된 다수개의 티바가 병렬로 배열된 T형데크플레이트(D); 양단에 고정구삽입홈(32)이 형성되고 상기 T형데크플레이트(D) 상부에 거치되는 경량성형재(30); 수직바(12)와 수평바(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단면이 L자 형상이며 상기 경량성형재(30) 상부에 거치되는 앵글바(10); 및, 수직대(22)와 데크플렌지거치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정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직대(22)가 상기 고정구삽입홈(32)에 삽입될 때,
상기 데크플렌지거치부(24) 양단은 상기 데크플렌지(DF)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수직대(22) 상단에 형성된 앵글거치부(23)가 상기 수평바(14) 양단에 형성된 앵글거치부삽입홈(15) 상부에 고정되므로 슬래브콘크리트(미도시) 타설로 인한 부력으로 상기 경량성형재(30)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를 제공한다.
더불어, 상부에 데크웨브(DW)와 데크플렌지(DF)가 형성된 다수개의 티바가 병렬로 배열된 T형데크플레이트(D); 상기 T형데크플레이트(D) 상부에 거치되는 경량성형재(30); 수직바(12`)와 수평바(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단면이 L자 형상이며 상기 경량성형재(30) 상부에 거치되는 앵글바(10`); 및, 수직대(22`)와 데크플렌지거치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정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직대(22`)는 상기 경량성형재(30)를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상기 수직대(22`) 상단은 상기 경량성형재(30) 상부에 노출되고,
상기 앵글바(10`)는 상기 수직대(22`) 상단에 형성된 앵글바관통홀(25)에 삽입되어 거치되므로,
슬래브콘크리트(미도시) 타설로 인한 부력으로 상기 경량성형재(30)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the improved buoyancy protection structure of the light weight assembly}
본 발명은 다수개의 티바(T-Bar)를 갖는 데크플레이트에 적용되는 것으로,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서의 간단한 작업만으로 간단한 구조로 미숙련공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경량성형재를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의 슬래브 경량화를 위하여 중공슬래브구조가 많이 채택되고 있다.
중공슬래브에 적용되는 종래의 부력방지장치(특허 제1019588호)는 거푸집에 부력방지를 위한 앵커작업을 하는 것으로 거푸집 하부에서 설치 및 해체작업을 하므로 공정도 복잡하고 미숙련공의 경우 안전과 품질을 담보하지 못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기술을 좀 더 발전시켜 부력방지의 고정력을 높이면서도 원터치로 간단히 설치가능하며, 설치 후 수정을 위한 경량성형재의 해체가 용이 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게 되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9588호 ‘중공슬래브의 부력방지장치’, 2011.02.25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990호 ‘데크플레이트용 중공부재를 이용한 중공식 슬래브구조 및 그 시공방법’, 2007.11.2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고장이 적고 미숙련공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중공체라 불리는 경향성형재를 데크플레이트에 고정할 수 있는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에 데크웨브(DW)와 데크플렌지(DF)가 형성된 다수개의 티바가 병렬로 배열된 T형데크플레이트(D); 양단에 고정구삽입홈(32)이 형성되고 상기 T형데크플레이트(D) 상부에 거치되는 경량성형재(30); 수직바(12)와 수평바(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단면이 L자 형상이며 상기 경량성형재(30) 상부에 거치되는 앵글바(10); 및, 수직대(22)와 데크플렌지거치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정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직대(22)가 상기 고정구삽입홈(32)에 삽입될 때,
상기 데크플렌지거치부(24) 양단은 상기 데크플렌지(DF)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수직대(22) 상단에 형성된 앵글거치부(23)가 상기 수평바(14) 양단에 형성된 앵글거치부삽입홈(15) 상부에 고정되므로 슬래브콘크리트(미도시) 타설로 인한 부력으로 상기 경량성형재(30)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를 제공한다.
더불어, 상부에 데크웨브(DW)와 데크플렌지(DF)가 형성된 다수개의 티바가 병렬로 배열된 T형데크플레이트(D); 상기 T형데크플레이트(D) 상부에 거치되는 경량성형재(30); 수직바(12`)와 수평바(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단면이 L자 형상이며 상기 경량성형재(30) 상부에 거치되는 앵글바(10`); 및, 수직대(22`)와 데크플렌지거치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정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직대(22`)는 상기 경량성형재(30)를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상기 수직대(22`) 상단은 상기 경량성형재(30) 상부에 노출되고,
상기 앵글바(10`)는 상기 수직대(22`) 상단에 형성된 앵글바관통홀(25)에 삽입되어 거치되므로,
슬래브콘크리트(미도시) 타설로 인한 부력으로 상기 경량성형재(30)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고장이 적고 미숙련공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중공체라 불리는 경향성형재를 데크플레이트에 고정할 수 있는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앵글바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정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사용되는 고정구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는 상부에 데크웨브(DW)와 데크플렌지(DF)가 형성된 다수개의 티바가 병렬로 배열된 T형데크플레이트(D); 양단에 고정구삽입홈(32)이 형성되고 상기 T형데크플레이트(D) 상부에 거치되는 경량성형재(30); 수직바(12)와 수평바(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단면이 L자 형상이며 상기 경량성형재(30) 상부에 거치되는 앵글바(10); 및, 수직대(22)와 데크플렌지거치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정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직대(22)가 상기 고정구삽입홈(32)에 삽입될 때,
상기 데크플렌지거치부(24) 양단은 상기 데크플렌지(DF)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수직대(22) 상단에 형성된 앵글거치부(23)가 상기 수평바(14) 양단에 형성된 앵글거치부삽입홈(15) 상부에 고정되므로 슬래브콘크리트(미도시) 타설로 인한 부력으로 상기 경량성형재(30)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량성형재(30)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 및 설치가 가능하며, 재료는 경량화가 가능한 소재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나 가공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면 스티로폼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앵글바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정면도이고 도 2(b)는 평면도이다.
상기 앵글바(10)는 수직바(12)와 수평바(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단면이 L자 형상이며 상기 경량성형재(30) 상부에 거치되고, 다수개의 콘크리트통과홀(13)이 형성되어, 상기 슬래브콘크리트(미도시)가 상기 콘크리트통과홀(13)을 관통하여 타설되고 양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정구를 도시한 것으로써, 좌도는 앵글바(10)가 결합된 정면도이고 우도는 평면도이다.
상기 고정구(20)는 상기 데크플렌지거치부(24) 양단이 상기 데크플렌지(DF)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수직대(22) 상단에 형성된 앵글거치부(23)가 상기 수평바(14) 양단에 형성된 앵글거치부삽입홈(15) 상부에 고정되므로 슬래브콘크리트(미도시) 타설로 인한 부력으로 상기 경량성형재(30)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량성형재(30) 하부에는 다수개의 슬래브하부철근관통부(34)가 더 형성되어, 상기 슬래브하부철근관통부(34)를 통하여 슬래브하부철근(R2)이 배근되고 상기 슬래브콘크리트(미도시)가 상기 슬래브하부철근관통부(34)를 관통하여 타설되고 양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특히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글바(10)가 상기 경량성형재(30) 상부에 거치되어 상기 경량성형재(30)의 중앙에서 길이방향 전체를 상부에서 하부로 압박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보통 스티로폼이 주된 재질로써 파손되기 쉬운 상기 경량성형재(30)를 상부에서 상기 수평바(14)의 면적으로 가지고 길이 전체에 대하여 누르게 되므로 넓은 면적에 고정압력을 분산시키므로 상기 경량성형재(30)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바(12)는 철근스페이서로 작용하여 상기 수직바(12) 상단에 슬래브상부철근(R1)이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T형데크플레이트(D) 상부에 경량성형재(30)를 거치한 후 상기 경량성형재(30) 상부에 앵글바(10)를 거치하고,
상기 고정구(20)를 ① 상부에서 내려, ② 상기 수직대(22)를 상기 고정구삽입홈(32)에 삽입시키고, ③ 상기 앵글거치부(23)를 90도 회전시키면 상기 데크플렌지거치부(24) 양단은 상기 데크플렌지(DF)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앵글거치부(23)가 상기 수평바(14) 양단에 형성된 앵글거치부삽입홈(15) 상부에 고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경량성형재(30)의 형상을 달리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사용되는 고정구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부에 데크웨브(DW)와 데크플렌지(DF)가 형성된 다수개의 티바가 병렬로 배열된 T형데크플레이트(D); 상기 T형데크플레이트(D) 상부에 거치되는 경량성형재(30); 수직바(12`)와 수평바(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단면이 L자 형상이며 상기 경량성형재(30) 상부에 거치되는 앵글바(10`); 및, 수직대(22`)와 데크플렌지거치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정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직대(22`)는 상기 경량성형재(30)를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상기 수직대(22`) 상단은 상기 경량성형재(30) 상부에 노출되고,
상기 앵글바(10`)는 상기 수직대(22`) 상단에 형성된 앵글바관통홀(25)에 삽입되어 거치되므로,
슬래브콘크리트(미도시) 타설로 인한 부력으로 상기 경량성형재(30)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 및 8의 실시예는,
도 4(b)를 유추하여 설명하면,
상기 앵글바(10`)가 상기 경량성형재(30) 상부에 거치되어 상기 경량성형재(30)의 중앙에서 길이방향 전체를 상부에서 하부로 압박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보통 스티로폼이 주된 재질로써 파손되기 쉬운 상기 경량성형재(30)를 상부에서 상기 수평바(14`)의 면적으로 가지고 길이 전체에 대하여 누르게 되므로 넓은 면적에 고정압력을 분산시키므로 상기 경량성형재(30)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D: T형데크플레이트
DW: 데크웨브
DF: 데크플렌지
R1: 슬래브상부철근
R2: 슬래브하부철근
10, 10`: 앵글바
12, 12`: 수직바
13: 콘크리트통과홀
14, 14`: 수평바
15: 앵글거치부삽입홈
20, 20`: 고정구
22, 22`: 수직대
23: 앵글거치부
24, 24`: 데크플레이트거치부
25: 앵글바관통홀
30: 경량성형재
32: 고정구삽입홈
34: 슬래브하부철근관통부

Claims (5)

  1. 상부에 데크웨브(DW)와 데크플렌지(DF)가 형성된 다수개의 티바가 병렬로 배열된 T형데크플레이트(D);
    양단에 고정구삽입홈(32)이 형성되고 상기 T형데크플레이트(D) 상부에 거치되는 경량성형재(30);
    수직바(12)와 수평바(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단면이 L자 형상이며 상기 경량성형재(30) 상부에 거치되어 상기 경량성형재(30)의 중앙에서 길이방향 전체를 상부에서 하부로 압박 고정하는 앵글바(10); 및,
    수직대(22)와 데크플렌지거치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정구(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직대(22)가 상기 고정구삽입홈(32)에 삽입될 때,
    상기 데크플렌지거치부(24) 양단은 상기 데크플렌지(DF)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수직대(22) 상단에 형성된 앵글거치부(23)가 상기 수평바(14) 양단에 형성된 앵글거치부삽입홈(15) 상부에 고정되므로 슬래브콘크리트(미도시) 타설로 인한 부력으로 상기 경량성형재(30)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평바(14)의 면적으로 가지고 상기 경량성형재(30) 길이 전체에 대하여 누르게 되어 넓은 면적에 고정압력을 분산시키므로 상기 경량성형재(30)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특징으로 하는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경량성형재(30) 하부에는 다수개의 슬래브하부철근관통부(34)가 더 형성되어, 상기 슬래브하부철근관통부(34)를 통하여 슬래브하부철근(R2)이 배근되고 상기 슬래브콘크리트(미도시)가 상기 슬래브하부철근관통부(34)를 관통하여 타설되고 양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
  4. 제1항에서,
    상기 수직바(12)는 철근스페이서로 작용하여 상기 수직바(12) 상단에 슬래브상부철근(R1)이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
  5. 상부에 데크웨브(DW)와 데크플렌지(DF)가 형성된 다수개의 티바가 병렬로 배열된 T형데크플레이트(D);
    상기 T형데크플레이트(D) 상부에 거치되는 경량성형재(30);
    수직바(12`)와 수평바(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단면이 L자 형상이며 상기 경량성형재(30) 상부에 거치되어 상기 경량성형재(30)의 중앙에서 길이방향 전체를 상부에서 하부로 압박 고정하는 앵글바(10`); 및,
    수직대(22`)와 데크플렌지거치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정구(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직대(22`)는 상기 경량성형재(30)를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상기 수직대(22`) 상단은 상기 경량성형재(30) 상부에 노출되고,
    상기 앵글바(10`)는 상기 수직대(22`) 상단에 형성된 앵글바관통홀(25)에 삽입되어 거치되므로,
    슬래브콘크리트(미도시) 타설로 인한 부력으로 상기 경량성형재(30)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평바(14`)의 면적으로 가지고 상기 경량성형재(30) 길이 전체에 대하여 누르게 되어 넓은 면적에 고정압력을 분산시키므로 상기 경량성형재(30)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특징으로 하는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

KR1020140086919A 2014-07-10 2014-07-10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 KR101569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919A KR101569707B1 (ko) 2014-07-10 2014-07-10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919A KR101569707B1 (ko) 2014-07-10 2014-07-10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9707B1 true KR101569707B1 (ko) 2015-11-18

Family

ID=54839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919A KR101569707B1 (ko) 2014-07-10 2014-07-10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7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135A (ko) 2016-10-25 2018-05-04 (주)윈하이텍 중공슬래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
KR20230149500A (ko) 2022-04-20 2023-10-27 주식회사 비에스티산업 데크플레이트 위에 대형 경량체를 가지는 매립형 와플슬래브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635Y1 (ko) * 2000-06-21 2000-11-15 한상엽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
JP2005163340A (ja) * 2003-12-01 2005-06-23 Tomuko:Kk 埋込体固定金具及びコンクリートボイドスラブ工法
KR100936593B1 (ko) * 2009-07-24 2010-01-13 (주)에스큐브 T형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 설치를 위한 경량성형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635Y1 (ko) * 2000-06-21 2000-11-15 한상엽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
JP2005163340A (ja) * 2003-12-01 2005-06-23 Tomuko:Kk 埋込体固定金具及びコンクリートボイドスラブ工法
KR100936593B1 (ko) * 2009-07-24 2010-01-13 (주)에스큐브 T형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 설치를 위한 경량성형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135A (ko) 2016-10-25 2018-05-04 (주)윈하이텍 중공슬래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
KR101886126B1 (ko) * 2016-10-25 2018-08-07 (주)윈하이텍 중공슬래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
KR20230149500A (ko) 2022-04-20 2023-10-27 주식회사 비에스티산업 데크플레이트 위에 대형 경량체를 가지는 매립형 와플슬래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6636B1 (en) Stanchion base shoe support for railings
US8359793B2 (en) Earthquake force absorption system
KR101569707B1 (ko)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
KR100912700B1 (ko) 도로 명판 행거의 수평유지 및 수평조정장치
US9151038B2 (en) Anchor bolt devices and operating methods for residential and commercial structures
KR101562362B1 (ko) 구조물의 벽체와 외부 단열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시공구조 및 방법
KR101795986B1 (ko) 거푸집 겸용 단열마감재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42150B1 (ko) 시공성이 향상된 패널 고정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6782530B2 (ja) 外壁部材の支持具を用いた施工構造
KR101611453B1 (ko)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
KR100806188B1 (ko) 석재패널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
CN210713822U (zh) 一种建筑模板连接件
KR101549782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외부 포스트텐션용 슬라이딩 정착장치
KR101686122B1 (ko) 슬래브 시공용 탈형 데크 가설 소켓형 동바리 받침폼
JP2001172984A (ja) アンカーボルト保持金具
JP2020066962A (ja) 面状材布設方法
KR101300928B1 (ko) 거푸집 시공용 간격유지장치
CN110318533B (zh) 一种建筑模板支护方法
KR20190084489A (ko)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KR101886126B1 (ko) 중공슬래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
CN215977359U (zh) 一种可调预埋支架
KR20100011504U (ko) 면취부를 갖는 콘크리트기둥형성용 판넬 조립구
JP2013124447A (ja) 支持装置
KR20180001113U (ko)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
JP3135595U (ja) 布基礎部用残存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