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453B1 -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1453B1
KR101611453B1 KR1020150087380A KR20150087380A KR101611453B1 KR 101611453 B1 KR101611453 B1 KR 101611453B1 KR 1020150087380 A KR1020150087380 A KR 1020150087380A KR 20150087380 A KR20150087380 A KR 20150087380A KR 101611453 B1 KR101611453 B1 KR 101611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ctural member
building
wood
reinforcing plate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진수
Original Assignee
(주)토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토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087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 E04F13/073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for cor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 E04F13/073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for colum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wood or with an outer layer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 시공이 완료된 건축물의 구조부재 외측에 마감목재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건축물 구조부재의 크기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마감목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공이 완료된 건축물의 구조부재 외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L형 보강판; 상기 보강판의 촉방향 일측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보강판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간격조절판; 상기 보강판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는 고정철물에 의해 상기 보강판 일측에 결합되는 마감목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시공이 완료된 건축물의 구조부재 외측을 목재로 마감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FINISHING SYSTEM OF CONSTRUCTION BEAM}
본 발명은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 시공이 완료된 건축물의 구조부재 외측에 마감목재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건축물 구조부재의 크기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마감목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목재나 철재의 기둥과 보로 뼈대를 형성하고, 벽면과 바닥슬라브 등을 다양한 건축자재를 사용하여 시공된다.
상기 목재는 질감이 좋고, 미관상 외관이 자연스러우나 변형이 생기는 단점이 있으며, 철재는 목재에 비해 월등한 강성을 지니고 있으나 마감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관상 차가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목재와 철재의 구조부재를 기둥이나 보로 적절히 분할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철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볼트나 용접으로 기둥과 수평보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볼트나 용접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고 그로 인해 부식되어 수명이 단축됨은 물론, 부식에 의한 녹이 흘러내려 기둥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구조물 전체가 목재나 철재로 되어 있어 운반 및 설치가 어렵고 해체 시에도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금속으로 심체를 두고 그 외면부에 외장재를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건축용 구조 부재가 제안된 바 있다. 즉, 철재로 형성된 심체의 외주면에 석재 또는 목재 등으로 되는 복수개의 외장재를 배열 설치하고, 상기 외장재와 심체에 결합공을 형성한 후, 상기 결합공에 나사못이나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삽입체결하여 심체와 외장재를 결합시킨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건축 구조부재는 체결수단인 나사못이나 볼트를 삽입시키기 위한 결합공을 뚫어야 하므로 작업의 공수와 비용이 증가함과 아울러, 목재나 석재로 되는 외장재에 형성된 결합공에 의하여 상기 외장재의 균열이나 뒤틀림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체결수단인 나사못이나 볼트가 금속으로 되어 부식되기 쉽고, 그로 인한 녹이 흘러내려 오염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9702호의 건축용 구조부재를 보면, 주보강판은 일면이 길이방향으로 개방되고, 외장목재는 내측으로부터 접합핀으로 접합되어 기본판재를 형성하고, 상기 기본판재가 상기 주보강판의 개방면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하고, 금속판상으로 상기 대칭된 주보강판내측에서 삽입되는 간격판과, 상기 간격판의 반대편에서 상기 외장목재와 주보강판사이에 양단부가 억지끼움되는 부보강판과, 상기 간격판의 외측에서 내측으로부터 접합핀으로 접합되는 측판목재, 상기 부보강판의 외측에 접착되는 마감목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축용 구조부재는 사각형의 기둥형상을 하는 심재가 분리된 상태에서 그 일면에 기본판재, 측판목재, 마감목재를 결합한 후,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제조과정이 복잡할 뿐 아니라 기본판재, 측판목재, 마감목재가 철재로 된 심재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에 있어 우천 후 건조되는 과정에서 신속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아 접촉면부에서의 부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철골구조의 외측에 마감목재를 연결철물을 매개로 결합하여 사용되는데, 이 경우 상기 연결철물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고 자연상태에서 상기 연결철물의 부식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는 자연친화적인 건축물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함에 따라 시공이 완료된 건축물의 외장을 목재로 마감하여 건축물을 미려하게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건축물의 기둥이나 보, H형강으로 이루어진 기둥에 목재마감을 시공하는데 상당한 어렵움이 따라 이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 시공이 완료된 건축물의 구조부재 외측에 목재로 된 마감목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보강판의 간격을 간격조절판에 의해 조절하여 각기 다른 크기를 갖는 건축물 구조부재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적응성 향상 및 시공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공이 완료된 건축물의 구조부재 외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L형 보강판; 상기 보강판의 촉방향 일측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보강판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간격조절판; 상기 보강판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는 고정철물에 의해 상기 보강판 일측에 결합되는 마감목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시공이 완료된 건축물의 구조부재 외측을 목재로 마감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L형 보강판은, 건축물 구조부재의 각진부분을 감싸는 L형 메인스틸과 상기 메인스틸의 폭방향 양측단에 연결볼트를 매개로 결합되는 연장스틸로 구성되어 건축물 구조부재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메인스틸의 폭방향 양측단에는 다수개의 제1끼움볼트홈을 갖는 제1꺽임연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스틸의 폭방향 일측단에는 상기 제1꺽임연결편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호 마주본 상태로 상기 제1끼움볼트홈에 대응되는 제2끼움볼트홈을 갖는 제2꺽임연결편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판의 폭방향 타측을 상호 연결하여 사각형상의 건축물 구조부재의 외측을 상기 보강판과 함께 감싸도록 하는 보강스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 시공이 완료된 건축물의 구조부재 외측에 목재로 된 마감목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되고, 건축물 구조부재의 크기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어 현장적응성 및 시공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나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은 시공이 완료된 건축물의 구조부재 즉, 건축물의 기둥이나 보의 외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L형 보강판(100)과, 상기 보강판(100)의 폭방향 일측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보강판(10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간격조절판(200)과, 상기 보강판(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는 고정철물(310)에 의해 상기 보강판(100) 외측에 결합되는 마감목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시공이 완료된 건축물의 구조부재 외측을 즉 건축물의 기둥이나 보의 외측을 목재로 마감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판(100)은 폭단면상 L형상을 갖는 스틸재로써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관통공(11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0)을 통해 상기 고정철물(310)이 관통되어 상기 마감목재(300)를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판(200)은 한 쌍의 보강판 폭방향 일측단 사이에 위치하여 보강판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간격조절판(200)의 길이만큼 상기 보강판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갖는 기둥이나 보의 외측에 상기 보강판의 설치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감목재(300)는 상기 관통공(110)을 통해 관통된 상기 고정철물(310)에 의해 상기 보강판(100)의 외측에 결합됨으로써 건축물의 구조부재 즉 기둥이나 보의 외측이 목재로 마감되어 건축물의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강판(100)은 건축물 구조부재의 각진 부분을 감싸는 L형 메인스틸(120)과 상기 메인스틸(120)의 폭방향 양측단에 연결볼트(140)를 매개로 결합되는 연장스틸(130)로 구성되어 건축물 구조부재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기존 콘크리트 벽체(30)로 이루어진 건축물 구조부재의 외측에 목재마감을 시공하는 경우, 면적이 넓은 벽체가 상기 메인스틸(120)고 연장스틸(130)로 이루어진 보강판(100)의 구성에 의해 용이하게 감싸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재마감되는 건축물 구조부재의 상태를 더욱 미려하게 하고, 현장적용성을 향상시켜 용이한 목재마감시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장스틸(130)은 다수개가 연이어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하나의 연장스틸만으로는 콘크리트 벽체를 감쌀 수 없는 경우 다수개의 연장스틸을 연이어 설치함으로써 콘크리드 벽체를 감싸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스틸(120)의 폭방향 양측단에는 다수개의 제1끼움볼트홈(122)이 형성된 제1꺽임연결편(121)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스틸(130)의 폭방향 일측단에는 상기 제1꺽임연결편(121)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호 마주본 상태로 상기 제1끼움볼트홈(122)에 대응되는 제2끼움볼트홈(132)이 형성된 제2꺽임연결편(131)이 형성된다.
즉, 면적이 넓은 콘크리트 벽체로 이루어진 건축물 구조부재의 외측을 상기 마감목재(300)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경우, 상기 메인스틸(120)과 연장스틸(130)을 연이어 설치하여 상기 마감목재(300)의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제1꺽임연결편(121)과 제2꺽임연결편(131)에 의해 상기 메인스틸(120)과 연장스틸(130)이 연이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마감목재(300)에는 상기 제1,2꺽임연결편(121,131)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결볼트(140)의 걸림헤드구(141)가 상기 제1,2끼움볼트홈(122,132)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연결볼트(140)의 관통구(145)가 콘크리트 벽체에 박힘으로서 상기 보강판(100)을 콘크리트 벽체의 외측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헤드구(141)는 상기 제1,2끼움볼트홈(122,132)에 양측이 끼움되는 끼움체(142)와 상기 끼움체(14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2꺽임연결편(121,131)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간격체(146)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원 발명에서는 건축물의 구조부재가 사각형상의 기둥인 경우 상기 보강판(100)의 폭방향 타측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보강판(100)과 함께 상기 기둥을 감쌀 수 있도록 하는 보강스틸(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 별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이 완료된 건축물의 구조부재가 H형강(10)의 철골인 경우 그 외측을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을 통해 목재로 마감하는 것이다.
한 쌍의 L형 보강판(100)을 H형강(10)의 크기에 맞게 위치시키고, 그런 상태에서 보강판의 폭 방향 일측을 상기 간격조절판(200)을 매개로 연결한다. 그런 후, H형강(10)에서 상기 간격조절판(200)을 매개로 연결된 한 쌍의 보강판(100)을 분리한다.
이후, 상기 마감목재(300)를 상기 보강판(100)의 외측에 설치하는데, 상기 간격조절판(200)이 설치된 면부에 결합목재(320)를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보강판(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는 고정철물(310)에 의해 상기 결합목재(320)를 결합하고, 상기 보강판(100)의 측면에 상기와 같은 고정철물(310)에 의해 측면목재(33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결합목재(320)의 폭 방향 양측단이 상기 측면목재(330)의 폭방향 일측 내주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움결합되도록 하여 구조적 안정성 및 견고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게 완성된 구조물은 다시 H형강(10)의 외측을 감싸도록 끼워결합한다.
그런 후, 상기 측면목재(330)의 폭 방향 타측에 "ㄷ"형 보강스틸(400)을 삽입하게 되는데, 상기 보강스틸(400)의 외측면에는 차단목재(340)가 상기 고정철물(310)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 있게 되고, 이러한 구성을 상기 측면목재(330) 사이에 설치하여 H형강(10)을 감싸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스틸(400)은 상기 측면목재(330) 사이의 공간부를 폐쇄하는 차단편(410)과 상기 차단편(410)의 폭방향 양측에 수직절곡되어 상기 H형강(10)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고정볼트(420)에 걸림고정되는 결속편(4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걸림고정볼트(420)는 상기 H형강의 내측에 용접되어 미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속편(430)에는 상기 걸림고정볼트(420)가 끼워지는 다수개의 끼움홈부(43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차단목재(340)가 설치된 보강스틸(400)을 상기 측면목재(330)사이로 인입시켜 상기 H형강(10)에 설치된 걸림고정볼트(420)가 상기 끼움홈부(431)에 끼워지도록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상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이 완료된 건축물의 구조부재가 사각형상의 콘크리트 기둥(20)인 경우, 그 외측을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을 통해 목재로 마감하는 것이다.
한 쌍의 보강판(100)을 사각형상의 콘크리트 기둥의 크기에 맞게 위치시키고, 그런 상태에서 보강판의 폭 방향 일측을 상기 간격조절판(200)을 매개로 연결한 후, 외측에 상기 마감목재(300)를 설치한다.
즉, 상기 간격조절판(200)이 설치된 면부에 결합목재(320)를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보강판(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는 고정철물(310)에 의해 상기 결합목재(320)를 결합하고, 상기 보강판(100)의 측면에 상기와 같은 고정철물(310)에 의해 측면목재(330)를 결합한다. 이후, 사각형상의 콘크리트 기둥을 감싸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보강판(100)의 타측 외주면에는 보강스틸(400)의 결합을 위한 걸림고정볼트(420)가 설치되고, 상기 측면목재(330)는 상기 걸림고정볼트(4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홈부(33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런 후, 상기 측면목재(330)의 폭 방향 타측에 "ㄷ"형 보강스틸(400)을 삽입하게 되는데, 상기 보강스틸(400)의 외측면에는 차단목재(340)가 상기 고정철물(310)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 있게 되고, 이러한 구성을 상기 측면목재(330) 사이에 설치하여 사각형상의 콘크리트 기둥을 감싸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스틸(400)은 상기 측면목재(330) 사이의 공간부를 폐쇄하는 차단편(410)과 상기 차단편(410)의 폭방향 양측에 수직절곡되어 상기 보강판(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고정볼트(420)에 걸림고정되는 결속편(4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걸림고정볼트(420)는 상기 보강판(100)의 외주면에 용접되어 미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결속편(430)에는 상기 걸림고정볼트(420)가 끼워지는 다수개의 끼움홈부(43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차단목재(340)가 설치된 보강스틸(400)을 상기 측면목재(330)사이로 인입시켜 상기 끼움홈부(431)에 상기 걸림고정볼트(420)가 끼워지도록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상기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이 완료된 건축물의 구조부재가 콘크리트 벽체인 경우, 그 외측을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을 통해 목재로 마감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강판(100)을 건축물 구조부재의 각진 부분을 감싸는 L형 메인스틸(120)과 상기 메인스틸(120)의 폭방향 양측단에 연결볼트(140)를 매개로 결합되는 연장스틸(130)로 구성하여 기존 콘크리트 벽체(30)의 면적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기존 콘크리트 벽체(30)로 이루어진 건축물 구조부재의 외측에 목재마감을 시공하는 경우, 면적이 넓은 벽체가 상기 메인스틸(120)고 연장스틸(130)로 이루어진 보강판(100)의 구성에 의해 용이하게 감싸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재 마감되는 건축물 구조부재의 상태를 더욱 미려하게 하고, 현장적용성을 향상시켜 용이한 목재마감시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장스틸(130)은 다수개가 연이어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하나의 연장스틸만으로는 콘크리트 벽체를 감쌀 수 없는 경우 다수개의 연장스틸을 연이어 설치함으로써 콘크리드 벽체를 감싸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스틸(120)과 연장스틸(130)을 연결하거나 상기 연장스틸(130)을 상호 연결하는 경우, 상기 간격조절판(200)을 매개로 그 상호 간의 간격이 조절되게 하여 연장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스틸(120)의 폭방향 양측단에는 다수개의 제1끼움볼트홈(122)이 형성된 제1꺽임연결편(121)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스틸(130)의 폭방향 일측단에는 상기 제1꺽임연결편(121)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호 마주본 상태로 상기 제1끼움볼트홈(122)에 대응되는 제2끼움볼트홈(132)이 형성된 제2꺽임연결편(131)이 형성된다.
즉, 면적이 넓은 콘크리트 벽체로 이루어진 건축물 구조부재의 외측을 상기 마감목재(300)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경우, 상기 메인스틸(120)과 연장스틸(130)을 연이어 설치하여 상기 마감목재(300)의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제1꺽임연결편(121)과 제2꺽임연결편(131)에 의해 상기 메인스틸(120)과 연장스틸(130)이 연이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마감목재(300)에는 상기 제1,2꺽임연결편(121,131)이 수용되는 수용홈(35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결볼트(140)의 걸림헤드구(141)가 상기 제1,2끼움볼트홈(122,132)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연결볼트(140)의 관통구(145)가 콘크리트 벽체에 박힘으로서 상기 보강판(100)을 콘크리트 벽체의 외측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헤드구(141)는 상기 제1,2끼움볼트홈(122,132)에 양측이 끼움되는 끼움체(142)와 상기 끼움체(14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2꺽임연결편(121,131)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간격체(146)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상기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이 완료된 건축물의 구조부재가 보인 경우, 그 외측을 본 발명에 따른 건추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을 통해 목재로 마감하는 것이다.
한 쌍의 L형 보강판(100)을 보(40)의 크기에 맞게 위치시키고, 그런 상태에서 보강판의 폭 방향 일측을 상기 간격조절판(200)을 매개로 연결한 후, 외측에 마감목재(300)를 설치한다.
즉, 상기 간격조절판(200)이 설치된 보강판(100)의 면부에 결합목재(320)를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보강판(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는 고정철물(310)에 의해 상기 결합목재(320)를 결합하고, 상기 보강판(100)의 측면에 상기와 같은 고정철물(310)에 의해 측면목재(33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결합목재(320)의 폭 방향 양측단이 상기 측면목재(330)의 폭방향 일측 내주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움결합되도록 하여 구조적 안정성 및 견고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판(100)은 상기 보(40)에 결속볼트(160)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측면목재(330)의 일측에는 상기 결속볼트(16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35)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판(100)에는 상기 결속볼트(160)의 관통을 위한 볼트고정공(15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을 통해 이미 시공이 완료된 건축물의 구조부재 외측에 목재로 된 마감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고, 건축물 구조부재의 크기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공기단축 및 시공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등록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H형강 20: 콘크리트 기둥
30: 콘크리트 벽체 40: 보
100: 보강판 110: 관통공
120: 메인스틸 130: 연장스틸
140: 연결볼트 150: 볼트고정공
160: 결속볼트 200: 간격조절판
300: 마감목재 310: 고정철물
320: 결합목재 330: 측면목재
340: 차단목재 400: 보강스틸
410: 차단편 420: 걸림고정볼트
430: 결속편

Claims (4)

  1. 시공이 완료된 건축물의 구조부재 외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L형 보강판; 상기 보강판의 폭방향 일측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보강판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간격조절판; 상기 보강판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는 고정철물에 의해 상기 보강판 일측에 결합되는 마감목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시공이 완료된 건축물의 구조부재 외측을 목재로 마감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L형 보강판은, 건축물 구조부재의 각진부분을 감싸고, 폭 방향 양측단에 다수개의 제1끼움볼트홈을 갖는 제1꺽임연결편이 형성된 L형 메인스틸과 상기 메인스틸의 폭방향 양측단에 연결볼트를 매개로 결합되되 폭방향 일측단에 상기 제1꺽임연결편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호 마주본 상태로 상기 제1끼움볼트홈에 대응되는 제2끼움볼트홈을 갖는 제2꺽임연결편이 형성된 연장스틸로 구성되어 건축물 구조부재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연결볼트는 상기 제1,2끼움볼트홈에 끼워지는 걸림헤드구와 상기 건축물 구조부재에 박힘으로써 상기 보강판을 구조부재의 외측면에 설치하는 관통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의 폭방향 타측을 상호 연결하여 사각형상의 건축물 구조부재의 외측을 상기 보강판과 함께 감싸도록 하는 보강스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
KR1020150087380A 2015-06-19 2015-06-19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 KR101611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380A KR101611453B1 (ko) 2015-06-19 2015-06-19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380A KR101611453B1 (ko) 2015-06-19 2015-06-19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1453B1 true KR101611453B1 (ko) 2016-04-11

Family

ID=5580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380A KR101611453B1 (ko) 2015-06-19 2015-06-19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4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8410A (zh) * 2017-05-12 2017-07-21 浙江米皇铝业股份有限公司 高耐侯黑色阳极着色铝型材
IT201900010050A1 (it) * 2019-06-25 2020-12-25 Poliedro Innovazione Srl Rivestimento superficiale in legno per strutture preesistenti e n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702B1 (ko) * 2005-07-19 2006-05-15 한진수 건축용 구조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702B1 (ko) * 2005-07-19 2006-05-15 한진수 건축용 구조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8410A (zh) * 2017-05-12 2017-07-21 浙江米皇铝业股份有限公司 高耐侯黑色阳极着色铝型材
IT201900010050A1 (it) * 2019-06-25 2020-12-25 Poliedro Innovazione Srl Rivestimento superficiale in legno per strutture preesistenti e n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703107A (ko) 폼(foam)과 콘크리트 모듈러(Concrete Modular) 벽구조로 이루어진 구조물과 그 구축방법 및 장치(Element based foam and concrete modular wall construc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101611453B1 (ko) 건축물 구조부재의 마감시스템
KR101018411B1 (ko) 골 데크플레이트용 보 옆판 거푸집 및 그를 사용한 춤이 깊은 골 데크플레이트 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AU2016256678B2 (en) Creation of Surface-Mounted Sills or Hobs on Cast-in-situ Concrete Building Slabs
KR20190101513A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520125B1 (ko) 거푸집 패널
KR100579702B1 (ko) 건축용 구조부재
JP2010112090A (ja) 仮設材を必要としない連結部材と連結方法
KR100615037B1 (ko) 건축용 구조부재의 제작방법
CN111356810B (zh) 阳台安装
JP5574779B2 (ja) 建物
KR102011310B1 (ko) 곡률을 갖는 패널용 가변형 프레임 조립체
KR101557335B1 (ko) 건축기둥보용 시스템 구조부재
KR101366503B1 (ko) 콘크리트 측압 저항성능이 증진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181071B1 (ko) 곡면형 벽체 형성용 거푸집 체결장치
KR100942693B1 (ko) 건축구조물 시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 고정 및 보강구조
KR102011987B1 (ko) 하지 매립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층간 방화 구조
JP4546979B2 (ja) 取り付け手段を有する型枠用部材とコンクリート壁形成方法
JP2012225133A (ja) 溝形鋼を用いた鋼製土台
KR101417888B1 (ko) 외장목재의 변형이 방지되는 건축물 구조부재
KR101473099B1 (ko)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2299137B1 (ko)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다용도 마감부재
KR20180111328A (ko) 건축구조물용 마감패널의 결합구조
KR101617713B1 (ko) 조적줄눈부 매립형 보강철물에 의한 비보강 조적조 내진보강공법 및 그 보강구조물
JP6043072B2 (ja) 耐震断熱改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