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782B1 -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외부 포스트텐션용 슬라이딩 정착장치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외부 포스트텐션용 슬라이딩 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782B1
KR101549782B1 KR1020140038863A KR20140038863A KR101549782B1 KR 101549782 B1 KR101549782 B1 KR 101549782B1 KR 1020140038863 A KR1020140038863 A KR 1020140038863A KR 20140038863 A KR20140038863 A KR 20140038863A KR 101549782 B1 KR101549782 B1 KR 101549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fixing
tension member
segment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수
이원록
오재열
김현광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38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7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글 세그먼트로 요구되는 긴장재의 도입 각도에 쉽게 대응할 수 있고, 앵글 세그먼트의 슬라이딩 적층 배열로 외부에서 긴장재 도입 각도의 증감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외부 포스트텐션용 슬라이딩 정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외부 포스트텐션용 슬라이딩 정착장치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프리스트레스 도입을 위한 긴장재를 요구되는 방향으로 긴장시켜 구조물에 정착시켜 놓기 위한 정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일단 및 타단에 고정 설치되는 정착브라켓과; 상기 정착브라켓에 긴장재가 배치되는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힌지 블록과, 상기 힌지 블록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정착브라켓에 지지된 상태에서 긴장재의 단부측 도입 각도를 설정하는 앵글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긴장재 앵글 세그먼트 힌지조립체와; 상기 앵글 세그먼트의 배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긴장재의 단부에 연결되는 정착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외부 포스트텐션용 슬라이딩 정착장치{Angle Adjustable Tendon Anchoring Apparatus for external post-tensiong}
본 발명은 긴장재의 긴장·정착으로 보강대상인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데 사용되는 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앵글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요구되는 긴장재의 도입 각도에 쉽게 대응할 수 있고, 앵글 세그먼트의 슬라이딩 적층 배열로 외부에서 긴장재 도입 각도의 증감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외부 포스트텐션용 슬라이딩 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구조는 크게 4가지, 철근콘크리트구조, 철골구조,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 및 합성구조로 분류할 수 있다.
철근콘크리트구조는 콘크리트가 압축력을 부담하고 콘크리트 속에 매립된 철근이 인장력을 부담하는 구조로서, 콘크리트는 단위체적 당 단가가 저렴하나 인장력이 부족하여 단독으로는 인장력을 받을 수 없으므로 단면 내 인장력이 발생하는 부위에 철근을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하도록 한 구조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설계, 사용재료 선정, 시공 등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면 내구성이 우수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현재 반세기 이상 경과된 건물도 상당히 많다.
그러나 근대화와 더불어 건설된 지하철, 고속도로, 댐과 주택 및 대형 상업건축 구조물 등은 짧은 기간 내에 급속히 건설되었고, 시공 이후 자연현상, 잦은 용도 및 구조 변경과 같은 하중 증가 요인과 기타 환경적 요인은 물론, 사용연수가 더해갈수록 화학적, 물리적인 변형 등으로 노화가 급속히 진행되며, 이로 인한 각종 하자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설계, 재료, 시공이 부적절하거나 사용조건 및 환경조건이 열악할 경우에는 그 취약부위의 내구성 및 내력의 저하가 진행되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 확보 및 내구연수를 연장하기 위해서는 보수, 보강이 필요하다.
최근 들어 유지 관리 분야에 대한 관심과 신공법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그 중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보수, 보강 공법으로는 단면증설 보강공법, 강판접착 보강공법, 섬유시트 보강공법, 포스트텐션 보강공법 등이 있고, 보강재료로는 철근, 강판, PC강재, 섬유시트 등이 사용되고 있다.
포스트텐션 보강공법은 구조부재의 내력저하를 회복 또는 증진시키기 위한 보강공법이다. 이는 구조체의 부재가 받고 있는 하중에 대한 응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응력을 작용시켜 기존 고정하중에 의한 응력을 감소시키고, 부재의 내력 또한 증가시켜 부재가 받을 수 있는 허용하중을 효과적으로 증가시켜 주며 구조체의 변형에 대한 회복도 동시에 행하는 능동적 보강방법이다. 주로 강연선이나 강봉의 긴장에 의한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구조부재를 보강하는 공법이다.
즉, 구조체 단면의 바깥쪽에 긴장재를 설치하여 긴장하는 보강 방식으로서, 주로 사장교 또는 현수교나 장경간 지붕 구조물 등에 많이 사용되고, 구조적인 해석이 명확하고 적용범위가 광범위하며, 보강 부재의 자중이 가벼워 하중의 증가가 거의 없고 설치가 간편하며 공기가 짧고, 타 공법에 비해 공사비가 저렴하며 시공 후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추후 필요시 긴장재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0-1085407호 "벌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에프알피판 긴장재용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특허문헌 1)이 있다. 이 특허는 정착장치의 길이를 짧게 구성하여도 충분한 정착력을 확보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을 줄이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에프알피판 긴장재용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 특허가 제안하는 정착장치의 길이를 짧게 하여도 충분한 정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구조부재 중심축과 포스트텐션 축이 일치하는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특허등록 제10-1085407호 "벌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에프알피판 긴장재용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앵글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요구되는 긴장재의 도입 각도에 쉽게 대응할 수 있고, 앵글 세그먼트의 슬라이딩 적층 배열로 외부에서 긴장재 도입 각도의 증감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외부 포스트텐션용 슬라이딩 정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외부 포스트텐션용 슬라이딩 정착장치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프리스트레스 도입을 위한 긴장재를 요구되는 방향으로 긴장시켜 구조물에 정착시켜 놓기 위한 정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일단 및 타단에 고정 설치되는 정착브라켓과;
상기 정착브라켓에 긴장재가 배치되는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힌지 블록과, 상기 힌지 블록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정착브라켓에 지지된 상태에서 긴장재의 단부측 도입 각도를 설정하는 앵글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긴장재 앵글 세그먼트 힌지조립체와;
상기 앵글 세그먼트의 배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긴장재의 단부에 연결되는 정착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착브라켓은,
상기 힌지 블록이 슬라이딩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을 갖는 정착판과;
상기 정착판의 하면에 접합되어 긴장재의 배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긴장재 관통통로를 갖고, 관통통로의 배면측에 정착판의 하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긴장재 단부측 도입각도의 기준면을 제공하는 수직지지면을 갖는 정착 박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착박스는 수직지지면의 길이를 회전 반경으로 하는 라운드 곡면에 의해 전면 곡면부를 갖는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전면 곡면부에는 격벽이 형성되고, 격벽에는 긴장재 관통통로에 포함되어 있는 긴장재 삽입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글 세그먼트는,
긴장재가 배치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고 길이방향의 일측면에 긴장재의 도입 각도를 얻기 위해 밑변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한 쌍의 경사판과;
한 쌍의 경사판의 배면에 정착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로 면취되어 형성된 정착구 정착홈과;
상기 한 쌍의 경사판의 밑변을 상호 연결하는 경사판 브리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앵글 세그먼트의 설정 각도를 점증적으로 증감시키기 위해 정착브라켓에는 동일한 위치에 슬라이딩 끼움되는 긴장재 앵글 증감용 세그먼트 힌지조립체가 하나 이상 더 포함되고, 상기 긴장재 앵글 증감용 세그먼트 힌지조립체는 동일한 힌지 블록과 앵글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되, 앵글 세그먼트에는 길이방향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긴장재의 도입 각도를 얻기 위해 밑변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정착구 정착홈이 제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외부 포스트텐션용 슬라이딩 정착장치에 따르면, 정착브라켓에 슬라이딩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긴장재 앵글 세그먼트 힌지조립체의 앵글 세그먼트로 요구되는 긴장재의 도입 각도에 쉽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긴장재 앵글 세그먼트 힌지조립체와 더불어 긴장재 앵글 증감용 세그먼트 힌지조립체의 부가적인 슬라이딩 조립 설치가 가능해지고, 이로 인해 앵글 세그먼트의 적층 배열이 이루어져 긴장재 도입 각도의 증감 변화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른 긴장재의 배치를 포물선 방향이나 설계된 편향 방향으로 쉽고 용이하게 대응·시공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외부 포스트텐션용 슬라이딩 정착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결합사시도.
도 2a는 도 1b의 A-A 절단선에서 본 정착브라켓의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좌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긴장재 앵글 세그먼트 힌지조립체의 정면도.
도 3b는 도 3a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1a의 외부 포스트텐션용 슬라이딩 정착장치가 구조물에 적용된 설치상태도.
도 5는 도 4에 긴장재 앵글 증감용 세그먼트 힌지조립체가 부가적으로 적용된 설치상태도.
도 6a는 도 5에 적용된 긴장재 앵글 증감용 세그먼트 힌지조립체의 정면도.
도 6b는 도 6a의 일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앵글 세그먼트 힌지조립체와 긴장재 앵글 증감용 세그먼트 힌지조립체가 정착장치에 적용되어 설치된 사용상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보강대상인 구조물의 외부에 PS강선, PS강연선 또는 PS강봉과 같은 긴장재를 긴장·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구조물을 보강하는 외부 포스트텐션 보강공법에 있어서, 구조물의 양단부 하면에 고정되어 아래로 볼록한 산형 또는 포물선형으로 배치되는 긴장재의 단부를 정착하기 위한 정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조물은 주로 휨을 받은 구조부재로서 철근콘크리트 또는 철골로 이루어진 보나 슬래브 또는 교량의 거더가 될 수 있다.
긴장재의 긴장력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보강하는 방법의 핵심 부품은 긴장재 정착장치라고 할 수 있다. 긴장재 정착장치란 포스트텐션 방식에서 긴장재를 기존 구조물에 정착시켜 프리스트레스를 기존 구조물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는 긴장재의 큰 인장력(10∼15tf)을 기존 구조물에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한 매개체이다.
도 1 및 도 1b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정착장치(100)는 정착브라켓(10)과, 긴장재 앵글 세그먼트 힌지조립체(20) 및 정착구(2)로 구성된다.
정착브라켓(10)은 긴장재 정착장치(100)를 도 4의 구조물(3)에 정착시킨다. 정착브라켓(10)은 구조물(3)의 2개소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정착브라켓(10)은 구조물(3)의 하면측 일단과 타단에 설치된다.
정착브라켓(10)은 정착판(11)과, 정착판(11)의 하면에 일체로 접합되어 있는 정착박스(12)로 구성되어 있다.
정착판(11)은 후술할 힌지 블록(21)이 슬라이딩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111)과 앵커 볼트(3a)의 체결을 위한 다수개의 체결공(11h)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111)은 더브테일 단면을 이루어 정착판(11)의 길이 방향(긴장재의 긴장 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111)의 단면 형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로 'T'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정착 박스(12)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긴장재(1)의 배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긴장재 관통통로(121)를 갖고, 관통통로(121)의 배면측에 정착판(11)의 하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긴장재(1) 단부측 도입각도의 기준면을 제공하는 수직지지면(122)을 갖는다. 또한 정착박스(12)는 수직지지면(122)의 길이를 회전 반경으로 하는 라운드 곡면에 의해 전면 곡면부(123)를 갖는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전면 곡면부(123)에는 전면측 격벽(124)이 형성되고, 전면측 격벽(124)에는 긴장재 관통통로(121)에 포함되는 긴장재 삽입용 개구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긴장재(1)는 도 1 및 도 4와 같이 정착 박스(12)의 긴장재 삽입장공(125)을 통하여 도입된 후 관통통로(121)에 위치하여 정착구(2)에 정착되게 되어 있다.
긴장재 앵글 세그먼트 힌지조립체(20)는 도1a 및 도 3과 같이 정착브라켓(10)에 끼워맞춤으로 조립 설치되어 긴장재(1)의 설치 각도를 결정한다. 긴장재 앵글 세그먼트 힌지조립체(20)는 정착브라켓(10)에 슬라이딩으로 끼움 결합되는 힌지 블록(21)과, 힌지 블록(21)에 일단이 피봇 결합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긴장재(1)의 단부측 도입 각도를 설정하는 앵글 세그먼트(22)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피봇 결합은 예시된 바와 같이 볼트(B)와 너트(N)를 사용하는 체결 수단을 이용하거나 핀 등의 힌지 결합수단이 될 수 있다.
힌지 블록(21)은 정착판(11)의 가이드홈(111)에 슬라이딩 끼움 결합되는 블록 가이드부(211)와 힌지공(212h)이 형성되어 있는 블록 힌지부(211)로 구성된다.
앵글 세그먼트(22)는 도 1a 및 도 3a와 같이 긴장재(1)가 배치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고 일측면에 긴장재(1)의 도입 각도를 얻기 위해 소정의 경사각도(θ)를 갖는 경사면(222a)이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경사판(222)과, 한 쌍의 경사판(222)의 배면을 면취하여 형성시킨 정착구 정착홈(22h)과, 한 쌍의 경사판(222)의 하단을 상호 연결하는 경사판 브리지(221)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경사판(222)은 경사면(222a)을 얻기 위해 빗변을 갖는 삼각형 형태 또는 사다리꼴 형태가 될 수 있다. 경사면(222a)의 경사각도(θ)는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킬 긴장재(1)의 단부측 도입각도와 동일하게 대응하여 결정된다.
정착구(2)는 긴장재(1)를 긴장재 앵글 세그먼트 힌지조립체(20)측에 정착시킨다. 즉 정착구(2)는 앵글 세그먼트(22)의 배면측 정착구 정착홈(22h)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긴장재(1)의 양단부에 연결된다. 정착구(2)는 프리스트레스 도입 분야에서 이미 알려진 주지의 기술을 이용한다. 즉, 긴장재(1)의 종류에 따라 형태를 달리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긴장재(1)가 PS 강봉의 경우 나사로 체결되는 너트 형태가 되거나, PS 강연선의 경우 앵커 헤드 및 웨지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긴장재 정착장치(100)는 도 4와 같이 정착브라켓(10)을 앵커 볼트(3a)와 너트로 체결하여 구조물(3)에 정착 설치한 후 긴장재 앵글 세그먼트 힌지조립체(20)를 정착브라켓(10)의 가이드홈(111)에 끼워넣고, 긴장재(1)를 정착브라켓(10)과 앵글 세그먼트(22)를 관통시킨 후 정착구(2)에 연결된 상태에서 긴장재(1)의 긴장 작업이 이루어진다.
긴장재(1)의 긴장 작업이 완료되면, 정착구(2)와 앵글 세그먼트(22)가 직각으로 만나고, 정착브라켓(10)의 수직지지면(122)과 접하는 앵글 세그먼트(22)의 경사면(222a)이 이루는 경사 각도(θ)에 의해 긴장재(1)의 단부 정착부측 도입 각도가 결정된다.
이같이 긴장재 앵글 세그먼트 힌지조립체(20)는 정착브라켓(10)에 슬라이딩 끼워맞춤으로 조립 설치될 뿐만 아니라 역방향으로 탈거가 가능하여 쉽고 용이하게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앵글 세그먼트(22) 경사면(222a)의 경사 각도를 시공 조건에 맞게 제작하게 되면, 긴장재(1)의 단부 정착부측 변화된 도입 각도에 대응할수 있어 긴장재(1)의 프리스트레스 도입 방향의 배치를 쉽게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앵글 세그먼트(22)의 설정 각도를 점증적으로 증감시키기 위해 도 5와 같이 정착브라켓(10)의 동일한 위치에 슬라이딩 끼움되는 긴장재 앵글 증감용 세그먼트 힌지조립체(20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와 같이 긴장재 앵글 증감용 세그먼트 힌지조립체(20a)는 상기한 힌지 블록(21)과 앵글 세그먼트(22)와 동일한 힌지 블록(21a) 및 앵글 세그먼트(22a)로 이루어지되, 앵글 세그먼트(22)에는 길이방향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긴장재(1)의 도입 각도를 얻기 위해 밑변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222a)을 갖는다. 또한 앵글 세그먼트(22a)에는 정착구(2)와 접촉할 필요가 없으므로 정착구 정착홈(22h)이 제거된 구조를 갖는다.
도 6a 및 도 6b는 긴장재 앵글 증감용 세그먼트 힌지조립체(20a)의 정면도 및 일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긴장재 앵글 증감용 세그먼트 힌지조립체(20a)의 각 부분의 도면부호에서 도 3에 도시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기재하였다. 도 6a 및 도 6b의 긴장재 앵글 증감용 세그먼트 힌지조립체(20a)에서 앵글 세그먼트(22a)는 양쪽 빗변에 모두 밑변에 대해 동일한 예각의 경사 각도(
Figure 112014031445376-pat00001
) 만큼 기울어진 경사면(222a)을 갖는다. 따라서 앵글 세그먼트(22a)의 양측면에 모두 경사 각도(
Figure 112014031445376-pat00002
)를 갖는 경우 앵글 세그먼트(22a) 빗변의 벌어진 각도 'θ1'는
Figure 112014031445376-pat00003
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우 도 5와 같이 긴장재 앵글 증감용 세그먼트 힌지조립체(20a)를 1개 추가적으로 설치하거나 도 7과 같이 2개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적측 배열되면 긴장재(1)의 단부측 도입 각도를 'α'에서 더 큰 각도의 'β'가 되도록 점증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α=θ1+θ이고, β=θ1+θ1+θ가 된다. 즉, 긴장재 앵글 증감용 세그먼트 힌지조립체(20a)의 추가 설치시마다 앵글 세그먼트(22a)에 의해 'θ1'만큼 증가되는 긴장재(1)의 도입각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긴장재(1)의 단부측 도입각을 'β'에서 더 증가시키려면 정착브라켓(10)의 가이드홈(111)이 허용하는 설치 구간내에서 긴장재 앵글 증감용 세그먼트 힌지조립체(20a)를 더 설치하면 된다.
이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긴장재 앵글 세그먼트 힌지조립체(20)를 단독으로 설치하거나 이에 부가적으로 긴장재 앵글 증감용 세그먼트 힌지조립체(20a)의 설치 개수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긴장재(1)의 보강모멘트 도입 방향의 각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즉, 긴장재(1)에 긴장력을 도입하는데 있어 포물선으로 배치하거나 절곡점을 갖는 꺾인 그래프 형상으로 배치할 시 요구되는 정착단에서의 각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결국 구조물의 축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보강모멘트를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2: 정착구
10: 정착브라켓
11: 정착판
12: 정착박스
122: 수직지지면
123: 전면곡면부
125: 긴장재 삽입용 개구부
20: 긴장재 앵글 세그먼트 힌지조립체
20a: 긴장재 앵글 증감용 세그먼트 힌지조립체
21: 힌지블록
22: 앵글 세그먼트
22h: 정착구 정착홈
222: 경사판

Claims (5)

  1. 프리스트레스 도입을 위한 긴장재(1)를 요구되는 방향으로 긴장시켜 구조물(3)에 정착시켜 놓기 위한 정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3)의 일단 및 타단에 고정 설치되고 긴장재(1) 단부측 도입각도의 기준면을 제공하는 수직지지면(122)을 갖는 정착브라켓(10)과;
    상기 정착브라켓(10)에 긴장재(1)가 배치되는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힌지 블록(21)과, 상기 힌지 블록(21)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정착브라켓(10)의 수직지지면(122)에 지지된 상태에서 긴장재(1)의 단부측 도입각도를 얻기 위해 길이방향의 일측면에 밑변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222a)을 갖는 앵글 세그먼트(22)로 이루어진 긴장재 앵글 세그먼트 힌지조립체(20)와;
    상기 앵글 세그먼트(22)의 배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긴장재(1)의 단부에 연결되는 정착구(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외부 포스트텐션용 슬라이딩 정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착브라켓(10)은,
    상기 힌지 블록(21)이 슬라이딩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111)을 갖는 정착판(11)과;
    상기 정착판(11)의 하면에 접합되어 긴장재(1)의 배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긴장재 관통통로(121)를 갖고, 관통통로(121)의 배면측에 정착판(11)의 하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긴장재(1) 단부측 도입각도의 기준면을 제공하는 수직지지면(122)을 갖는 정착 박스(1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외부 포스트텐션용 슬라이딩 정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착박스(12)는 수직지지면(122)의 길이를 회전 반경으로 하는 라운드 곡면에 의해 전면 곡면부(123)를 갖는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전면 곡면부(123)에는 격벽(124)이 형성되고, 격벽(124)에는 긴장재 관통통로(121)에 포함되어 있는 긴장재 삽입용 개구부(12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외부 포스트텐션용 슬라이딩 정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글 세그먼트(22)는,
    긴장재(1)가 배치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고 길이방향의 일측면에 긴장재(1)의 도입 각도를 얻기 위해 밑변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222a)을 갖는 한 쌍의 경사판(222)과;
    한 쌍의 경사판(222)의 배면에 정착구(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로 면취되어 형성된 정착구 정착홈(22h)과;
    상기 한 쌍의 경사판(222)의 밑변을 상호 연결하는 경사판 브리지(22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외부 포스트텐션용 슬라이딩 정착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앵글 세그먼트(22)의 설정 각도를 점증적으로 증감시키기 위해 정착브라켓(10)에는 동일한 위치에 슬라이딩 끼움되는 긴장재 앵글 증감용 세그먼트 힌지조립체(20a)가 하나 이상 더 포함되고,
    상기 긴장재 앵글 증감용 세그먼트 힌지조립체(20a)는 동일한 힌지 블록(21)과 앵글 세그먼트(22)로 이루어지되, 앵글 세그먼트(22)에는 길이방향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긴장재(1)의 도입 각도를 얻기 위해 밑변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222a)을 갖고 정착구 정착홈(22h)이 제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외부 포스트텐션용 슬라이딩 정착장치.
KR1020140038863A 2014-04-01 2014-04-01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외부 포스트텐션용 슬라이딩 정착장치 KR101549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863A KR101549782B1 (ko) 2014-04-01 2014-04-01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외부 포스트텐션용 슬라이딩 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863A KR101549782B1 (ko) 2014-04-01 2014-04-01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외부 포스트텐션용 슬라이딩 정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782B1 true KR101549782B1 (ko) 2015-09-07

Family

ID=54247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863A KR101549782B1 (ko) 2014-04-01 2014-04-01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외부 포스트텐션용 슬라이딩 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7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6493A (zh) * 2018-02-26 2018-06-15 温州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预应力锚索锚头上的角度调节装置
CN109853754A (zh) * 2019-03-13 2019-06-07 悉地(北京)国际建筑设计顾问有限公司 一种钢筋混凝土梁纵筋和型钢柱的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339Y1 (ko) * 2004-05-28 2004-08-07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프리스트레싱 구조물
KR101259407B1 (ko) * 2012-02-01 2013-04-30 김인범 단부 모멘트가 최적화된 언더텐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339Y1 (ko) * 2004-05-28 2004-08-07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프리스트레싱 구조물
KR101259407B1 (ko) * 2012-02-01 2013-04-30 김인범 단부 모멘트가 최적화된 언더텐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6493A (zh) * 2018-02-26 2018-06-15 温州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预应力锚索锚头上的角度调节装置
CN109853754A (zh) * 2019-03-13 2019-06-07 悉地(北京)国际建筑设计顾问有限公司 一种钢筋混凝土梁纵筋和型钢柱的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5521B1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elements with pre-stressing connectors
KR100706571B1 (ko) 교차 강연선 지지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공법
KR100589797B1 (ko) 단순한 긴장으로 휨만을 가하는 대편심 프리스트레싱 방법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psc보
KR101170956B1 (ko) 강봉과 유압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인상하는 보강 구조 및 그 방법
JP2008248529A (ja) 直路式吊床版橋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549782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외부 포스트텐션용 슬라이딩 정착장치
KR101674471B1 (ko) 긴장재 중심축조정용 정착장치를 이용한 거더교 시공방법
JP2006233498A (ja) 落橋防止装置
KR100645548B1 (ko) 와이어 지지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JP2005273392A (ja) Pc鋼材を用いた橋梁補強方法
KR101013009B1 (ko) 정착판 연결장치와 이를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교의 연속화 시공방법
KR100893876B1 (ko)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싱 세그먼트 거더 및 이의시공방법
KR100256511B1 (ko) 현장연결부를 갖는 단순 및 연속 복합 프리스트레스합성빔의 제조방법
KR101397131B1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13911A (ko)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CN114250909A (zh) 一种快速安装的低水平预应力刚架梁
CN214942706U (zh) 一种预应力碳纤维板张拉套件
KR101439734B1 (ko) 효율적인 보강모멘트 도입이 가능한 긴장재 정착장치
KR20040091350A (ko) 피에스에스 거더
KR102331802B1 (ko) 장스팬용 무지보 데크플레이트 구조
KR101646866B1 (ko) 데크 단부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80869A (ko) 임시보강강판에 의해 추가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교의 시공방법
KR20040033238A (ko) 탄소판을 이용한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 공법
KR102318867B1 (ko) 브레이싱 합성 구조 프리캐스트 데크플레이트와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20200061868A (ko) 2차 긴장을 이용한 거더교의 보강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