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126B1 - 중공슬래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중공슬래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126B1
KR101886126B1 KR1020160138889A KR20160138889A KR101886126B1 KR 101886126 B1 KR101886126 B1 KR 101886126B1 KR 1020160138889 A KR1020160138889 A KR 1020160138889A KR 20160138889 A KR20160138889 A KR 20160138889A KR 101886126 B1 KR101886126 B1 KR 101886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bar
hollow member
bar
hollow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5135A (ko
Inventor
강현욱
변천섭
Original Assignee
(주)윈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윈하이텍 filed Critical (주)윈하이텍
Priority to KR1020160138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126B1/ko
Publication of KR20180045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2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슬래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에 있어서, 고정구의 수직대 상방부에 천공되는 앵글바 결합공을 수직면 높이(h1, h2)가 서로 다른 두개의 직삼각형이 서로 대칭된 "
Figure 112016103484618-pat00007
" 형상을 갖도록 제 1 및 제 2 앵글바 결합공으로 천공하거나 또는 고정구의 수직대 상방부에 천공되는 앵글바 결합공의 상부 꼭지점 부위에 앵글바의 수직바가 삽입되는 수직바 삽입홈을 정해진 높이(h3)만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앵글바 결합공의 경사면과 저면 사이의 교차점 부분에서 수직방향으로는 복수의 수평바 삽입홈dl 정해진 높이(h4)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앵글바 수평바 결합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중공부재를 이용하여 중공슬래브를 시공할 때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발생하는 중공부재의 부상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고, 또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중공부재의 높이를 정밀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공부재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안정적인 중공위치를 확보할 수 있고, 미숙련자라도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작성 능률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과 인건비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중공슬래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Injury prevention and precision fixture of the hollow member to be used for hollow slabs}
본 발명은 중공슬래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데크플레이트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다수 개가 설치되어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고 구조물 자체를 경량화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중공부재를 이용하여 중공슬래브를 시공할 때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발생하는 중공부재의 부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중공부재의 높이를 정밀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여 중공부재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안정적인 중공위치를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미숙련자라도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발명한 중공슬래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을 건설할 때 공간활용의 다양화를 위하여 기둥이나 벽으로 구획되는 공간이 넓어지고 건설하게 되는 데, 이러한 공간 활용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슬래브의 면적에 비례하여 슬래브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슬래브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보를 적절하게 건설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슬래브의 두께를 두껍게 건설하는 경우에는, 슬래브 두께의 증가에 비례하여 콘크리트 등과 같은 타설물이 증가하고, 슬래브의 자중도 증가하여 슬래브 자체뿐만 아니라 구조물 전체에도 상당한 하중으로 부담되어 구조적인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지지보를 건설하는 경우에는, 거푸집으로 지지보를 타설하고 내부에 삽입되는 철근이 추가되어 건축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상기 지지보에 의해 내부 활용 공간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경량이면서 슬래브의 두께는 얇고, 지지보의 수량을 적으면서 휨 강성이 뛰어난 중공슬래브 등이 제안되어 구조물을 건설할 때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중공슬래브(hollow core slab or void slab)는, 바닥 두께의 중앙에 중공부를 둔 슬래브의 총칭으로 중앙에 중공(hollow core)을 구비한 구조로서 플레이트의 중량을 감소시킴에 따라 자중에 비해 비교적 우수한 단면 성능을 가지며, 이러한 중공슬래브는 긴 기둥 사이의 거리를 말하는 장경간(long span)과 수평구조 부재인 보가 없이 기둥과 슬래브로 구성된 무량판(flat slab)의 구현은 물론 층간소음 저감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중공슬래브는 통상적으로 중공 형성 등 현장작업이 어려워 공장에서 제작된 제품으로 시공하게 되는데, 공장에서 제작되는 중공슬래브는 별도의 제작설비가 필요하며, 그 중공 형성을 위한 제작과정이 상당히 복잡하여 작업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장에서 제작된 중공슬래브는 그 자체가 상당한 부피와 중량이 무거워 운반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중공을 스티로폼 등의 경량 중공부재를 이용하여 중공슬래브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중공이 형성될 위치에 경량의 중공부재를 설치하여 현장에서 콘크리트에 매입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중공슬래브의 경우 콘크리트 타설시 경량의 중공부재가 부력에 의해 상부에 부상되어 중공슬래브가 제대로 타설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경량의 중공부재에 작용하는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조치가 필요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중공부재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 대부분의 방법은 거푸집에 앵글작업을 하는 것으로 거푸집 하부에서 앵글를 설치 및 해체작업을 함으로써 공정이 복잡하고, 미숙련자의 경우 작업이 어려워 품질과 안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거푸집 하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나 콘크리트 경화시 누수가 발생하거나 콘크리트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 중공슬래브에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량의 중공부재에 작용되는 부력에 의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본 출원인은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를 개발하여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78204호와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를 개발하여 국내 등록특허공 10-1569707호로 제시한 바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 중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20-0478204호)"의 경우는 중공 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 부상방지장치에 있어서, 좌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바몸체에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구비된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바몸체 양측단에 구비된 관통공에 ∪ 형상으로 관통하여 바몸체 양측 상부로 돌출되어 결속에 의해 중공부재를 지지바에 결속하는 결속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중공부재 부상방지장치는 작업자가 일일이 지지바에 결속구를 결합시킨 다음 지지바의 양단부가 데크플레이트의 T형 돌출판에 걸리도록 설치한 다음 결속밴드 또는 결속 외이어로 이루어진 결속구를 상호 결합시켜 중공부재를 데크플레이트에 고정시켜 주야 하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시간도 많이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10-1569707호)"에 있어서 일 실시 예의 경우는, 상부에 데크웨브(DW)와 데크플렌지(DF)가 형성된 다수개의 티바가 병렬로 배열된 T형데크플레이트와; 양단에 고정구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T형데크플레이트 상부에 거치되는 경량성형재와; 수직바와 수평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단면이 L자 형상이며 상기 경량성형재 상부에 거치되어 상기 경량성형재의 중앙에서 길이방향 전체를 상부에서 하부로 압박 고정하는 앵글바; 및 수직대와 데크플렌지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직대가 상기 고정구삽입홈에 삽입될 때, 상기 데크플렌지거치부 양단은 상기 데크플렌지(DF)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수직대 상단에 형성된 앵글거치부가 상기 수평바 양단에 형성된 앵글거치부삽입홈 상부에 고정되므로 슬래브콘크리트 타설로 인한 부력으로 상기 경량성형재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평바의 면적으로 가지고 상기 경량성형재 길이 전체에 대하여 누르게 되어 넓은 면적에 고정압력을 분산시키므로 상기 경량성형재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의 경우는, 상부에 데크웨브(DW)와 데크플렌지(DF)가 형성된 다수개의 티바가 병렬로 배열된 T형데크플레이트(D)와; 상기 T형데크플레이트(D) 상부에 거치되는 경량성형재와; 수직바와 수평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단면이 L자 형상이며 상기 경량성형재 상부에 거치되어 상기 경량성형재의 중앙에서 길이방향 전체를 상부에서 하부로 압박 고정하는 앵글바; 및 수직대와 데크플렌지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직대는 상기 경량성형재를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상기 수직대 상단은 상기 경량성형재 상부에 노출되고, 상기 앵글바는 상기 수직대 상단에 형성된 앵글바관통홀에 삽입되어 거치되므로, 슬래브콘크리트 타설로 인한 부력으로 상기 경량성형재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평바의 면적으로 가지고 상기 경량성형재 길이 전체에 대하여 누르게 되어 넓은 면적에 고정압력을 분산시키므로 상기 경량성형재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ㅗ"자 형상을 갖는 고정구의 수직대 상단부에 돌출 형성된 앵글거치부에 양글거치부삽입홈이 형상된 앵글바의 수평바가 걸리도록 하거나 또는 "ㅗ"자 형상을 갖는 고정구의 수직대 상단부에서 직삼각형 형상으로 천공된 앵글바관통홀에 앵글바가 끼워져 걸리도록 한 구성은 데크플레이트나 거푸집의 평탄도 변형과 경량성형재(이하 "중공부재"로 통칭함) 형태 변화 및 기타 현장변수 등에 따라서는 고정구에 앵글바를 결합시키기 어려울 수도 있고, 또 상호 결합시켰다 하더라도 결합력이 약화하여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기능이 크게 저하될 우려가 있다.
즉, 데크플레이트를 생산하는 과정이나 운반 과정에서 일부 변형이 발생되어 현장에 설치하였을 때 평탄도가 나뿔 수 있고, 또 거푸집 경우는 하부 장선 레벨차 및 배치에 따른 변형이 발생되어 평탄도가 나뿔 수 있으며, 중공부재의 경우는 생산시기 등에 따라 높이 차가 발생할 수 있고, 기타 현장에 따라 각종 변수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변수가 발생될 경우 데크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중공부재를 통과하여 중공부재 상면으로 노출된 형태를 갖는 고정구의 상단 높이가 일정하지 않고 대략 ±2~5mm의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구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된 앵글거치부 또는 직삼각형 형상으로 천공된 앵글바관통홀의 높이가 정상위치보다 높을 경우(즉, 앵글바관통홀의 저면이 중공부재의 상면보다 대략 ±2~5mm 정도 높은 위치에 있을 경우) 이를 낮출 방법이 없으므로 중공부재의 상면에서 고정구에 결합되는 앵글바에 의한 중공부재의 결속이 헐거워 콘크리트 타설시 중공재부가 슬라이딩되거나 부력에 의해 부상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와 반대로 정상위치보다 낮을 경우(즉, 앵글바관통홀의 저면이 중공부재의 상면보다 대략 ±2~5mm 정도 낮아 중공부재 내측에 위치할 경우)에도 이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고정구에 앵글바를 결합시킬 때 빡빡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억지로 결합시켜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크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억지로 결합시킬 때 중공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이 심하게 가해질 경우에는 중공부재 자체의 일부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78204호(2015년 09월 0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69707호(2015년 11월 1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21917호(2013년 10월 18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142910호(2014년 12월 15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들 중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특허받은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10-1569707호)"에 대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ㅗ"자 형상을 갖는 고정구의 수직대 상방부에 앵글바 결합공을 형성할 때 높이가 서로 다른 두개의 직삼각형 형상을 서로 대칭되게 하여 제 1 및 제 2 앵글바 결합공으로 천공하여, 데크플레이트나 거푸집의 평탄도가 변형되거나 또는 중공부재의 형태 변화되거나 또는 기타 현장에서 각종 조건이 변동되더라도 현장 상황에 맞게 유동적으로 추가작업 없이 수평대가 데크플레이트의 데크웨브(DW) 상단부에 절곡 형성된 데크플렌지(DF)에 걸려지는 고정구의 수직대 상단부에 천공된 앵글바 결합공을 통해 앵글바를 원활하고도 정확한 위치에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공부재를 이용하여 중공슬래브를 시공할 때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발생하는 중공부재의 부상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고,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중공부재의 높이를 정밀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특히 중공부재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안정적인 중공위치를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미숙련자라도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성 능률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과 인건비도 줄일 수 있는 중공슬래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데크웨브(DW)와 데크플렌지(DF)가 "T"자 형상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절곡 형성된 형태를 갖는 데크플레이트와; 고정구 통과공을 구비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 거치되는 중공부재와; 수직바와 수평바가 L자 형상을 갖게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중공부재 상부에서 고정구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부재들을 상부에서 하부로 압박 고정하는 앵글바; 및 상방부에 직삼각형의 앵글바 결합공이 천공된 수직대의 저부에 데크플렌지 거치용 수평대가 일체로 구비된 형태를 갖고 하부 수평대 양단부는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데크플렌지에 걸려지고 수직대 상단의 앵글바 결합공에는 상기 앵글바가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ㅗ"자 형상의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수직대 상방부에 천공되는 앵글바 결합공을 수직면 높이(h1, h2)가 서로 다른 두개의 직삼각형이 서로 대칭된 "
Figure 112016103484618-pat00001
" 형상을 갖도록 제 1 및 제 2 앵글바 결합공으로 천공하여, 데크플레이트와 중공부재 사이에 결합된 고정구의 앵글바 결합공 저면이 중공부재의 상면과 일치할 경우에는 앵글바를 수직면 높이(h1)가 제 2 앵글바 결합공 높이(h2)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 1 앵글바 결합공에 결합하고, 고정구의 앵글바 결합공 저면이 중공부재의 상면보다 낮아 중공부재 내측에 위치할 경우에는 앵글바를 수직면 높이(h2)가 제 1 앵글바 결합공 높이(h1)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제 2 앵글바 결합공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2 앵글바 결합공의 수직면 높이(h2)는 제 1 앵글바 결합공의 수직면 높이(h1)보다 2~5mm 더 높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데크웨브(DW)와 데크플렌지(DF)가 "T"자 형상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절곡 형성된 형태를 갖는 데크플레이트와; 고정구 통과공을 구비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 거치되는 중공부재와; 수직바와 수평바가 L자 형상을 갖게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중공부재 상부에서 고정구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부재들을 상부에서 하부로 압박 고정하는 앵글바; 및 상방부에 직삼각형의 앵글바 결합공이 천공된 수직대의 저부에 데크플렌지 거치용 수평대가 일체로 구비된 형태를 갖고 하부 수평대 양단부는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데크플렌지에 걸려지고 수직대 상단의 앵글바 결합공에는 상기 앵글바가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ㅗ"자 형상의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수직대 상방부에 천공되는 앵글바 결합공의 상부 꼭지점 부위에 앵글바의 수직바가 삽입되는 수직바 삽입홈을 정해진 높이(h3)만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앵글바 결합공의 경사면과 저면 사이의 교차점 부분에서 수직방향으로는 앵글바 수평바 결합부를 더 형성하되, 상기 앵글바 수평바 결합부에는 앵글바의 수평바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걸려지는 복수의 수평바 삽입홈을 정해진 높이(h4)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데크플레이트와 중공부재 사이에 결합된 고정구의 앵글바 결합공에 앵글바를 결합할 때, 상기 앵글바 수평바 결합부에는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수평바 삽입홈 중 중공부재의 상면과 일치되는 수평바 삽입홈에 수평바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하여 앵글바를 고정구에 결합시켜 중공부재를 데크플레이트 상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앵글바 결합공의 상부 꼭지점 부위에 연장 형성되는 수직바 삽입홈의 정해진 높이(h3)는 2~5mm로 설정하고, 상기 앵글바 수평바 결합부에 형성되는 수평바 삽입홈들의 정해진 높이(h4) 간격은 2~3mm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공슬래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에 의하면, 수직대 및 수평대가 "ㅗ"자 형상으로 결합된 고정구의 수직대 상방부에 앵글바 결합공을 천공할 때, 높이가 서로 다른 두개의 직삼각형 형상을 서로 대칭되게 하여 제 1 및 제 2 앵글바 결합공으로 천공하거나, 또는 앵글바 결합홈을 하나의 직삼각형 형상을 갖게 천공하되, 상부 꼭지점 부위에는 앵글바의 수직바가 삽입되는 수직바 삽입홈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앵글바 결합홈의 경사면 저부와 저면 사이의 교차부분에는 복수의 수평바 삽입홈이 수직방향에 대해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된 앵글바 수평바 결합부를 형성하여, 데크플레이트나 거푸집의 평탄도가 변형되거나 또는 중공부재의 형태 변화되거나 또는 기타 현장에서 각종 조건이 변동되더라도 현장 상황에 맞게 유동적으로 추가작업 없이 수평대가 데크플레이트의 데크웨브(DW) 상단부에 절곡 형성된 데크플렌지(DF)에 걸려지는 고정구의 수직대 상단부에 천공된 앵글바 결합공을 통해 앵글바를 원활하고도 정확한 위치에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첫째 데크플레이트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다수 개가 설치되어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고 구조물 자체를 경량화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중공부재를 이용하여 중공슬래브를 시공할 때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발생하는 중공부재의 부상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고, 둘째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중공부재의 높이를 정밀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셋째 중공부재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안정적인 중공위치를 확보할 수 있고, 넷째 미숙련자라도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다섯째 작성 능률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과 인건비도 줄일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적용하여 중공부재를 데크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적용하여 중공부재를 데크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3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고정구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4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고정구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고정구를 이용하여 중공부재를 데크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시킨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6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고정구를 이용하여 중공부재를 데크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시킨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적용하여 중공부재를 데크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시킨 상태의 사시도를 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적용하여 중공부재를 데크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시킨 상태의 사시도를 타낸 것이며, 도 3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고정구의 사시도 및 정면도를 타낸 것이고, 도 4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고정구의 사시도 및 정면도를 타낸 것이다.
또한,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고정구를 이용하여 중공부재를 데크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시킨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를 타낸 것이고, 도 6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고정구를 이용하여 중공부재를 데크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시킨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를 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데크웨브(11)와 데크플렌지(12)가 "T"자 형상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절곡 형성된 형태의 데크플레이트(1)와; 고정구 통과공(21)을 구비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1)의 상부에 거치되는 중공부재(2)와; 수직바(31)와 수평바(32)가 L자 형상을 갖게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중공부재(2) 상부에서 고정구(4)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부재(2)들을 데크플레이트(1)의 상면을 향해 상부에서 하부로 압박 고정하는 앵글바(3); 및 상방부에 직삼각형의 앵글바 결합공(411)이 천공된 수직대(41)와 데크플렌지 거치용 수평대(42)가 일체로 구비된 형태를 갖고 하부 수직대(41) 양단부는 상기 데크플레이트(1)의 데크플렌지(12)에 걸려지고 수직대(41) 상단에 천공돤 앵글바 결합공(411)에는 상기 앵글바(3)가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ㅗ"자 형상의 고정구(4);를 포함하여 구성된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4)의 수직대(41) 상방부에 천공되는 앵글바 결합공(411)을 수직면 높이(h1, h2)가 서로 다른 두개의 직삼각형이 서로 대칭된 "
Figure 112016103484618-pat00002
" 형상을 갖도록 제 1 및 제 2 앵글바 결합공(411-a)(411-b)으로 천공하여,
데크플레이트(1)와 중공부재(2) 사이에 결합된 고정구(4)의 앵글바 결합공(411) 저면이 중공부재(2)의 상면과 일치할 경우에는 앵글바(3)를 수직면 높이(h1)가 제 2 앵글바 결합공(411-b) 높이(h2)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 1 앵글바 결합공(411-a)에 결합하여 중공부재(2)를 데크플레이트(1) 상면에 고정시키고,
고정구(4)의 앵글바 결합공(411) 저면이 중공부재(2)의 상면보다 낮아 중공부재(2) 내측에 위치할 경우에는 앵글바(3)를 수직면 높이(h2)가 제 1 앵글바 결합공(411-a) 높이(h1)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제 2 앵글바 결합공(411-b)에 결합하여 중공부재(2)를 데크플레이트(1)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2 앵글바 결합공(411-b)의 수직면 높이(h2)는 제 1 앵글바 결합공(411-a)의 수직면 높이(h1)보다 2~5mm 더 높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데크웨브(11)와 데크플렌지(12)가 "T"자 형상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절곡 형성된 형태의 데크플레이트(1)와; 고정구 통과공(21)을 구비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1)의 상부에 거치되는 중공부재(2)와; 수직바(31)와 수평바(32)가 L자 형상을 갖게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중공부재(2) 상부에서 고정구(4)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부재(2)들을 데크플레이트(1)의 상면을 향해 상부에서 하부로 압박 고정하는 앵글바(3); 및 상방부에 직삼각형의 앵글바 결합공(411)이 천공된 수직대(41)와 데크플렌지 거치용 수평대(42)가 일체로 구비된 형태를 갖고 하부 수직대(41) 양단부는 상기 데크플레이트(1)의 데크플렌지(12)에 걸려지고 수직대(41) 상단의 앵글바 결합공(411)에는 상기 앵글바(3)가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ㅗ"자 형상의 고정구(4);를 포함하여 구성된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4)의 수직대(41) 상방부에 천공되는 앵글바 결합공(411)의 상부 꼭지점 부위에 앵글바(3)의 수직바(31)가 삽입되는 수직바 삽입홈(411-c)을 정해진 높이(h3)만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앵글바 결합공(411)의 경사면과 저면 사이의 교차점 부분에서 수직방향으로는 앵글바 수평바 결합부(411-d)를 더 형성하되, 상기 앵글바 수평바 결합부(411-d)에는 앵글바(3)의 수평바(32)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걸려지는 복수의 수평바 삽입홈(411-e)을 정해진 높이(h4)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데크플레이트(1)와 중공부재(2) 사이에 결합된 고정구(4)의 앵글바 결합공(411)에 앵글바(3)를 결합할 때, 상기 앵글바 수평바 결합부(411-d)에는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수평바 삽입홈(411-e) 중 중공부재(2)의 상면과 일치되는 수평바 삽입홈에 수평바(32)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하여 앵글바(3)를 고정구(4)에 결합시켜 중공부재(2)를 데크플레이트(1)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앵글바 결합공(411)의 상부 꼭지점 부위에 연장 형성되는 수직바 삽입홈(411-c)의 정해진 높이(h3)는 2~5mm로 설정하고, 상기 앵글바 수평바 결합부(411-d)에 형성되는 수평바 삽입홈(411-e)들의 정해진 높이(h4) 간격은 2~3mm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도 1 내지 도 6의 (a)(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중공슬래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는, 도 1과 도 3의 (a)(b) 및 내지 도 5의 (a)(b)와 같이 데크플레이트(1)와 중공부재(2),앵글바(3) 및 "ㅗ"자 형상의 고정구(4)로 이루어진 공지의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 중 상기 고정구(4)의 수직대(41) 상방부에 천공되는 앵글바 결합공(411)을 수직면 높이(h1, h2)가 서로 다른 두개의 직삼각형이 서로 대칭된 "
Figure 112016103484618-pat00003
" 형상을 갖도록 제 1 및 제 2 앵글바 결합공(411-a)(411-b)으로 천공하여, 데크플레이트(1)나 거푸집의 평탄도가 변형되거나 또는 중공부재(2)의 형태 변화되거나 또는 기타 현장에서 각종 조건이 변동되더라도 현장 상황에 맞게 유동적으로 추가작업 없이 고정구(4)의 수직대(41) 상단부에 천공된 앵글바 결합공(411)에 앵글바(3)를 원활하고도 정확한 위치에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공지된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의 구성요소 중 상기 데크플레이트(1)는 소정면적을 갖는 절판을 이용하여 데크웨브(11)의 상단부에 데크플렌지(12)가 "T"자 형상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절곡 형성되게 성형한 것이다.
또, 고정구 통과공(21)을 구비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1)의 상부에 거치되는 상기 중공부재(2)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 및 설치가 가능하며, 재료는 경량화가 가능한 소재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나 가공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면 스티로폼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앵글바(3)는 수직바(12)와 수평바(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단면이 L자 형상을 갖고 상기 중공부재(2)의 상부에서 고정구(4)들의 앵글바 결합공(411)을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중공부재(2)들을 데크플레이트(1)의 상면을 향해 상부에서 하부로 압박 고정시켜 슬래브 콘크리트(미도시) 타설로 인한 부력으로 상기 중공부재(2)들이 부상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고정구(4)는 기본적으로 방부에 하나의 직삼각형 앵글바 결합공(411)이 천공된 수직대(41)와 데크플렌지 거치용 수평대(42)가 일체로 구비되도록 소정두께를 갖는 철판을 "ㅗ"자 형상으로 절단하여 제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구(4)는 하부 수직대(41) 양단부가 상기 데크플레이트(1)의 데크플렌지(12)에 걸려지고 수직대(41)는 상기 중공부재(2)의 고정구 통과공(21)을 통해 수직으로 삽입되며, 중공부재(2)의 상면부노 노출되는 수직대(41) 상단의 앵글바 결합공(411)에는 상기 앵글바(3)가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앵글바(3)들이 중공부재(2)들의 상면을 압박하는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에는 이와 같이 공지된 상기 고정구(4)의 수직대(41) 상방부에 앵글바 결합공(411)을 천공할 때, 종래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로 하나만 천공하지 않고, 도 3의 (a)(b)와 같이 수직면 높이(h1, h2)가 서로 다른 두개의 직삼각형이 서로 대칭된 형태 즉, "
Figure 112016103484618-pat00004
" 형상을 갖도록 제 1 및 제 2 앵글바 결합공(411-a)(411-b)을 일체로 천공시켜 작업자가 앵글바(3)를 결합하고자 할 때 현장 상황에 맞춰 제 1 및 제 2 앵글바 결합공(411-a)(411-b) 중 어느 한 앵글바 결합공에 선택적으로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지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앵글바 결합공(411-a)의 수직면 높이(h)는 종래와 같이 앵글바(3)의 수직바(31) 높이와 동일하게 천공하고, 상기 제 1 앵글바 결합공(411-a)의 반대측에서 서로 대향되게 일체로 천공되는 상기 제 2 앵글바 결합공(411-b)의 수직면 높이(h2)는 데크플레이트(1)나 거푸집의 평탄도 변형 및 중공부재(2)의 형태 변화 등이 변화될 때 최대 변위를 감안하여 제 1 앵글바 결합공(411-a)의 수직면 높이(h1)보다 최소 2mm 최대 5mm 더 높게 형성해 주었다.
이와 같이 수직면 높이(h1, h2)가 서로 다른 두개의 직삼각형을 서로 대칭된 형태인 "
Figure 112016103484618-pat00005
" 형상을 갖게 수직대(41)의 상방부에 제 1 및 제 2 앵글바 결합공(411-a)(411-b)을 천공시킨 고정구(4)를 이용하여 상기 중공부재(2)들을 데크플레이트(1) 상면에 고정시키고자 할 때에는, 현장에서 상기 고정구(4)를 데크플레이트(1)와 중공부재(2) 사이에 결합시킨 결과에 따라 제 1 및 제 2 앵글바 결합공(411-a)(411-b) 중 어느 한 앵글바 결합공에 앵글바(3)를 끼워 결합하면 된다.
예를 들어 수평대(42)의 양단 상면이 데크플레이트(1)의 데크플렌지(12)에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중공부재(2)의 고정구 통과공(21)을 통해 상부로 노출된 고정구(4)의 앵글바 결합공(411) 저면을 살펴본 결과, 도 5의 (a)와 같이 상기 고정구(4)의 앵글바 결합공(411) 저면이 중공부재(2)의 상면과 일치할 경우에는 앵글바(3)를 종래와 같이 수직면 높이(h1)가 제 2 앵글바 결합공(411-b) 높이(h2)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 1 앵글바 결합공(411-a)에 결합시켜 주면, 상기 제 1 앵글바 결합공(411-a)의 저면과 밀착된 형태를 갖는 앵글바(3)의 수평대(42) 저면이 상기 중공부재(2)들의 상면에 밀착된 형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중공부재(2)들이 데크플레이트(1) 상면에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게 되어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부력에 의해 중공부재(2)들이 부상되는 것이 완벽히 방지된다.
그런데 작업자가 고정구(4)를 현장에서 데크플레이트(1)와 중공부재(2) 사이에 결합시킨 결과, 도 5의 (b)와 같이 고정구(4)의 앵글바 결합공(411) 저면이 중공부재(2)의 상면보다 낮아 중공부재(2) 내측 즉, 고정구 통과공(21)의 내측에 위치할 경우에는, 앵글바(3)를 수직면 높이(h2)가 제 1 앵글바 결합공(411-a) 높이(h1)보다 상대적으로 2~5mm 더 높게 형성시킨 제 2 앵글바 결합공(411-b)에 결합시켜 주면, 제 2 앵글바 결합공(411-b)의 저면으로부터 약간 이격(즉, 2~5mm 이격)된 형태를 갖는 상기 앵글바(3)의 수평대(42) 저면이 상기 중공부재(2)들의 상면과는 밀착된 형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데크플레이트(1)나 거푸집의 평탄도가 변형되거나 또는 중공부재(2)의 형태 변화되거나 또는 기타 현장에서 각종 조건이 변동되더라도 현장 상황에 맞게 유동적으로 추가작업 없이 상기 중공부재(2)들을 데크플레이트(1) 상면에 정확하고도 원활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또 상기 앵글바(3)가 고정구(4)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부력에 의해 중공부재(2)들이 부상되는 것이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는 도 2와 도 4의 (a)(b) 및 내지 도 6의 (a)(b)와 같이, 공지된 상기 고정구(4)의 수직대(41) 상방부에 앵글바 결합공(411)을 천공할 때, 종래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로 하나만 천공하되, 상기 앵글바 결합공(411)의 상부 꼭지점 부위에는 도 4의 (a)(b)와 같이 앵글바(3)의 수직바(31)가 삽입되는 수직바 삽입홈(411-c)을 정해진 높이(h3)만큼 연장하여 더 천공하고, 상기 앵글바 결합공(411)의 경사면과 저면 사이의 교차점에서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수평바 삽입홈(411-e)을 정해진 높이(h4) 간격을 두고 형성된 앵글바 수평바 결합부(411-d)를 더 형성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앵글바 결합공(411)의 상부 꼭지점 부위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바 삽입홈(411-c)의 높이(h3)는 데크플레이트(1)나 거푸집의 평탄도 변형 및 중공부재(2)의 형태 변화 등이 변화될 때 최대 변위를 감안하여 2~5mm가 되도록 하고, 상기 앵글바 수평바 결합부(411-d)에 형성되는 복수(예를 들어 2~3개)의 수평바 삽입홈(411-e)들에 대한 정해진 간격의 높이(h4)는 2~3mm가 되도록 형성해 주었다.
이와 같이 수직대(41) 상방부에 앵글바 결합공(411)을 천공할 때 상부 꼭지점과 경사면과 저면 사이의 교차점에 각각 소정 높이(h3)의 앵글바(3)의 수직바 삽입홈(411-c)과 각각 정해진 높이(h4) 간격을 갖는 수평바 삽입홈(411-e)이 형성된 앵글바 수평바 결합부(411-d)를 형성시켜 준 고정구(4)를 이용하여 상기 중공부재(2)들을 데크플레이트(1) 상면에 고정시키고자 할 때에는, 현장에서 상기 고정구(4)를 데크플레이트(1)와 중공부재(2) 사이에 결합시킨 결과에 따라 상기 앵글바(3)의 수직바(31)의 상단부는 상기 앵글바 결합공(411) 상단 꼭지점에 형성시킨 수직바 삽입홈(411-c)에 끼워지도록 하고 수평바(32)의 단부는 상기 앵글바 결합공(411)의 경사면과 저면 사이의 교차점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앵글바 수평바 결합부(411-d)에 정해진 높이(h4) 간격을 두고 형성시킨 복수의 수평바 삽입홈(411-e) 중 어느 한 수평바 삽입홈에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고정구(4)의 수직대(41)에 천공된 앵글바 결합공(411)에 앵글바(3)를 끼워 결합하면 된다.
예를 들어 수평대(42)의 양단 상면이 데크플레이트(1)의 데크플렌지(12)에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중공부재(2)의 고정구 통과공(21)을 통해 상부로 노출된 고정구(4)의 앵글바 결합공(411) 저면과 중공부재(2)의 상면 사이의 레벨을 살펴본 결과, 도 6의 (a)와 같이 상기 고정구(4)의 앵글바 결합공(411) 내 경사면과 저면 사이의 교차점의 앵글바 수평바 결합부(411-d)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시킨 복수의 수평바 삽입홈(411-e) 중 최상단 위치에 형성된 수평바 삽입홈과 일치할 경우에는 앵글바(3)의 수평바(32) 단부가 최상단 위치에 형성된 수평바 삽입홈에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고정구(4)의 수직대(41)에 천공된 앵글바 결합공(411)에 결합시키게 된다.
따라서 비록 앵글바 수평바 결합부(411-d)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시킨 복수의 수평바 삽입홈(411-e) 중 최상단 위치에 형성된 수평바 삽입홈에 끼워져 걸려진 상기 앵글바(3)의 수평바(32) 저면이 앵글바 결합공(411)의 저면으로부터는 이격된 형태를 갖는다 하더라도 상기 중공부재(2)들의 상면과는 밀착된 형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데크플레이트(1)나 거푸집의 평탄도가 변형되거나 또는 중공부재(2)의 형태 변화되거나 또는 기타 현장에서 각종 조건이 변동되더라도 현장 상황에 맞게 유동적으로 추가작업 없이 상기 중공부재(2)들을 데크플레이트(1) 상면에 정확하고도 원활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또 상기 앵글바(3)가 고정구(4)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부력에 의해 중공부재(2)들이 부상되는 것이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앵글바(3)의 수직바(31) 최상단은 상기 앵글바 결합공(411)의 상부 꼭지점 부위에 정해진 높이(h3)만큼 연장하여 더 천공시킨 수직바 삽입홈(411-c)의 천정면까지 완전히 끼워져 걸려진 형태를 유지함은 물론 수평바(32)의 단부가 최상단 수평바 삽입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저면은 중공부재(2)의 상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앵글바(3)는 슬래브 콘크리트의 부력은 물론 외부에서 어떠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고정구(4)의 수직바(31)에 천공된 상기 앵글바 결합공(411) 내에서 유동되지 않고 완벽히 고정된 형태를 유지한다.
또한, 수평대(42)의 양단 상면이 데크플레이트(1)의 데크플렌지(12)에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중공부재(2)의 고정구 통과공(21)을 통해 상부로 노출된 고정구(4)의 앵글바 결합공(411) 저면과 중공부재(2)의 상면 사이의 레벨을 살펴본 결과, 도 6의 (b)와 같이 상기 고정구(4)의 앵글바 결합공(411) 내 경사면과 저면 사이의 교차점의 앵글바 수평바 결합부(411-d)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시킨 복수의 수평바 삽입홈(411-e) 중 최하단 위치(즉, 앵글바 결합공(411) 저면과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된 수평바 삽입홈과 일치할 경우에는 앵글바(3)의 수평바(32) 단부가 최하단 위치에 형성된 수평바 삽입홈에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고정구(4)의 수직대(41)에 천공된 앵글바 결합공(411)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수평바 삽입홈(411-e) 중 앵글바 결합공(411) 저면과 일치되는 최하단 평바 삽입홈에 앵글바(3)의 수평바(32) 단부가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고정구(4)의 수직대(41)에 천공된 앵글바 결합공(411)에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앵글바(3)의 수평바(32) 저면이 앵글바 결합공(411)의 저면은 물론 상기 중공부재(2)들의 상면과 밀착된 형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중공부재(2)들이 데크플레이트(1) 상면에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게 되어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부력에 의해 중공부재(2)들이 부상되는 것이 완벽히 방지된다.
이때, 상기 앵글바(3)의 수직바(31) 상단부는 상기 앵글바 결합공(411)의 상부 꼭지점 부위에 정해진 높이(h3)만큼 연장하여 더 천공시킨 수직바 삽입홈(411-c)의 천정면으로부터 약간 이격된 상태에서 수직바 삽입홈(411-c)에 끼워져 걸려진 형태를 갖는다 하더라도 상기 앵글바(3)의 수평바(32) 단부는 최하단 수평바 삽입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저면이 상기 앵글바 결합공(411) 저면과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중공부재(2)의 상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슬래브 콘크리트의 부력은 물론 외부에서 어떠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앵글바(3)가 고정구(4)의 수직바(31)에 천공된 상기 앵글바 결합공(411) 내에서 유동되지 않고 완벽히 고정된 형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 장치는 데크플레이트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다수 개가 설치되어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고 구조물 자체를 경량화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중공부재를 이용하여 중공슬래브를 시공할 때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발생하는 중공부재의 부상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고, 또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중공부재의 높이를 정밀하게 고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중공부재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안정적인 중공위치를 확보할 수 있고, 미숙련자라도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작성 능률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과 인건비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데크플레이트
11 : 데크웨브 12 : 데크플렌지
2 : 중공부재 21 : 고정구 통과공
3 : 앵글바
31 : 수직바 32 : 수평바
4 : 고정구
41 : 수직대 42 : 수평대
411 : 앵글바 결합공 411-a, 411-b : 제 1 및 제 2 앵글바 결합공
411-c : 수직바 삽입홈 411-d : 앵글바 수평바 결합부
411-e : 수평바 삽입홈

Claims (4)

  1. 데크웨브(DW)와 데크플렌지(DF)가 "T"자 형상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절곡 형성된 형태를 갖는 데크플레이트와; 고정구 통과공을 구비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 거치되는 중공부재와; 수직바와 수평바가 L자 형상을 갖게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중공부재 상부에서 고정구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부재들을 상부에서 하부로 압박 고정하는 앵글바; 및 상방부에 직삼각형의 앵글바 결합공이 천공된 수직대의 저부에 데크플렌지 거치용 수평대가 일체로 구비된 형태를 갖고 하부 수평대 양단부는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데크플렌지에 걸려지고 수직대 상단의 앵글바 결합공에는 상기 앵글바가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ㅗ"자 형상의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수직대 상방부에 천공되는 앵글바 결합공을 수직면 높이(h1, h2)가 서로 다른 두개의 직삼각형이 서로 대칭된 "
    Figure 112017124474802-pat00006
    " 형상을 갖도록 제 1 및 제 2 앵글바 결합공으로 천공하여,
    데크플레이트와 중공부재 사이에 결합된 고정구의 앵글바 결합공 저면이 중공부재의 상면과 일치할 경우에는 앵글바를 수직면 높이(h1)가 제 2 앵글바 결합공 높이(h2)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 1 앵글바 결합공에 결합하고,
    고정구의 앵글바 결합공 저면이 중공부재의 상면보다 낮아 중공부재 내측에 위치할 경우에는 앵글바를 수직면 높이(h2)가 제 1 앵글바 결합공 높이(h1)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제 2 앵글바 결합공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제 2 앵글바 결합공의 수직면 높이(h2)는 제 1 앵글바 결합공의 수직면 높이(h1)보다 2~5mm 더 높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38889A 2016-10-25 2016-10-25 중공슬래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 KR101886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889A KR101886126B1 (ko) 2016-10-25 2016-10-25 중공슬래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889A KR101886126B1 (ko) 2016-10-25 2016-10-25 중공슬래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135A KR20180045135A (ko) 2018-05-04
KR101886126B1 true KR101886126B1 (ko) 2018-08-07

Family

ID=62199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889A KR101886126B1 (ko) 2016-10-25 2016-10-25 중공슬래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1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6016A (ja) * 2007-12-06 2009-07-16 Takagi Seiko Corp コンクリート型枠用根止め金具
KR101569707B1 (ko) * 2014-07-10 2015-11-18 (주)광장브이디에스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917B1 (ko) 2012-09-05 2013-10-28 (주)윈하이텍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부력방지장치
KR20140142910A (ko) 2013-06-05 2014-12-15 (주) 광장브이디에스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부력방지장치
KR200478204Y1 (ko) 2014-01-28 2015-09-08 (주)윈하이텍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
KR20150145920A (ko) * 2014-06-20 2015-12-31 박상목 거푸집 고정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6016A (ja) * 2007-12-06 2009-07-16 Takagi Seiko Corp コンクリート型枠用根止め金具
KR101569707B1 (ko) * 2014-07-10 2015-11-18 (주)광장브이디에스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135A (ko)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5192B2 (en) Shear wall template
KR101779959B1 (ko)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401463B1 (ko) 절곡강판을 이용한 비탈형 보 거푸집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KR200436231Y1 (ko) 보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101308053B1 (ko) 저모멘트존을 이용한 pc기둥 접합구조
KR101886126B1 (ko) 중공슬래브를 위해 사용되는 중공부재의 부상방지 및 정밀고정장치
KR10122220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와 데크플레이트의 합성보
KR101967425B1 (ko) 부벽식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70075600A (ko) 슬라브보 시공용 거푸집 설치부재
KR101569707B1 (ko)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
KR101308055B1 (ko) 저모멘트존을 이용한 pc기둥 접합구조
JP4391446B2 (ja) 基礎パッキン
KR20160043501A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JP5746588B2 (ja) 水平スリット材、それを使用した水平打継部の施工方法及び水平打継部の構造
KR200478204Y1 (ko)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
CN201024595Y (zh) 钢筋混凝土隔离垫块
KR100651059B1 (ko) 옹벽용 유로폼과 천정 슬라브 형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KR102576034B1 (ko) 외벽 패널 조립 구조
CN112459482B (zh) 沉降部位模板加固组件及沉降部位模板框架
CN210562910U (zh) 一种楼板固定支架及楼板
CN110894753B (zh) 一种墙的模板装置及制作方法
KR100459011B1 (ko) 다층콘크리트 건축물의 연결부재 및 그 설치방법
KR200175294Y1 (ko) 옹벽 마감용 패널구조
KR200415591Y1 (ko) 슬래브 공사용 유로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