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635Y1 -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 - Google Patents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635Y1
KR200203635Y1 KR2020000017672U KR20000017672U KR200203635Y1 KR 200203635 Y1 KR200203635 Y1 KR 200203635Y1 KR 2020000017672 U KR2020000017672 U KR 2020000017672U KR 20000017672 U KR20000017672 U KR 20000017672U KR 200203635 Y1 KR200203635 Y1 KR 200203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spacer
reinforcing bar
n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엽
Original Assignee
한상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엽 filed Critical 한상엽
Priority to KR2020000017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6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6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박스 주변의 콘크리트 슬라브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철근 보강망; 및 상기 철근 보강망에 보강망 자체의 높이를 일정하게 수평으로 이격시켜 주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때, 상기 스페이서는 일정두께의 판 형태로 일측에 철근 보강망의 철근을 끼울 수 있는 철근결합부인 홈 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철근결합부 부근에 콘크리트 유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로는 일정높이의 원기둥 내지 원뿔 형태로 일측에 철근결합부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를 들 수 있다.

Description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A Reinforcing Bar Structure With Spacer}
본 고안은 철근 보강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페이서가 철근 보강망에 끼워져 슬라브 거푸집으로부터 소정높이로 이격되는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격자구조인 철근 보강망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의 격자구조의 보강망이 설치된 슬라브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자구조의 철근 보강망(100)은 대략 450mm 정도의 길이에, 7mm정도의 지름을 갖는 8개의 철근(110)들의 조합으로써, 4개씩 나누어서 격자구조로 배열한다. 이때 철근들의 맞닿는 부분은 용접을 하여 접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철근 보강망(100)은 중앙의 사각영역에 전기박스 설치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 거푸집(3) 상부에 전기박스(2)를 설치할 때에 전기박스(2)에 의한 슬라브(1)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근 보강망(100)을 설치한다. 이 때 철근 보강망(100)의 정확한 설치를 위해 결속선(5)으로 철근 보강망(100)과 하부 철근(4)을 결박하여 고정시킨다.
이에 따르면, 전기박스(2)주변의 콘크리트 슬라브(1)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근 보강망(100)을 일정한 높이로 이격시켜서 설치할 때에, 슬라브용 하부철근(4)에 결속선(5)으로 촘촘히 결박하여야 하는 번거롭고 비능률적인 작업을 수행하게 되어, 작업능률을 전반적으로 크게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현장여건상 결속선(5)을 묶는 일이 익숙하지 못한 비숙련공이 철근 보강망(100)을 설치하게 되는 실정임을 감안하여 볼때, 슬라브용 하부철근(4)에 철근 보강망(100)을 정확하게 고정시켜 주지 못한다. 그리고 이후 콘크리트 반죽을 타설할 때의 충격 및 진동에 의하여 슬라브용 하부철근(4)으로부터 보강망(100)이 탈락되면서 제위치에서 쉽게 이탈되기 때문에, 시공된 슬라브(1) 단면내에 철근 보강망(100)이 정확하게 매설되지 못하고, 슬라브(1) 바닥면에 노출되어서 보강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또한 슬라브(1)의 바닥면에 노출된 철근 보강망(100)이 부식되어서 발생된 녹으로 슬라브(1)를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도출된 것으로써, 본고안의 제 1목적은 슬라브 거푸집으로부터 소정높이로 이격되는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전기박스가 매설된 주변의 슬라브 단면내의 정확한 제위치에 매설되어 본래의 보강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결합부가 형성된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스페이서의 형상은 삼각판, 사각판, 오각판, 육각판 칠각판 내지 원기둥, 원뿔, 삼각기둥, 사각기둥 중 임의로 택일 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삼각판, 사각판, 원기둥, 원뿔 이 4가지 형상이 제일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의 철근결합부는 한쌍의 탄성편이 상호 맞대어 형성되어진 홈과 관통홀 중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중앙의 사각영역에 전기박스를 설치하기 위한 전기박스 설치부가 형성된 격자구조의 철근 보강망과 일측에 상기 철근과 결합되는 철근결합부가 형성되어 슬라브 거푸집 바닥으로부터 상기 철근 보강망을 소정높이로 이격시키는 스페이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도 1a는 종래의 보강망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보강망이 설치된 슬라브의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스페이서가 설치된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스페이서가 설치된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스페이서가 설치된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스페이서가 설치된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 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사시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스페이서가 설치된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 사시도,
도 7a는 본 고안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사시도,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스페이서가 설치된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 사시도.
우선,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고안에서 일관되게 사용하고 있는 스페이서(Spacer)란 '이격시킴으로 해서 일정공간을 형성시켜주는 것' 의 의미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써 일반적으로 건축현장의 시공방식의 일종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삼각판 형상의 스페이서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삼각판 형상의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장치의 사시도이다.
우선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삼각판 형상의 스페이서(200)에는 삼각판의 세 모서리 중 한 모서리에 한쌍의 탄성편(230)이 상호 맞대어 형성되어진 홈(210)이 있다. 이 한쌍의 탄성편(230)과 홈(210) 전체가 철근결합부인데 이 철근결합부 주위 영역에는 삼각판면에 수직으로 관통되어진 콘크리트 유통구(220) 2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스페이서(200)는 대략 20mm 두께이고, 철근결합부의 홈은 지름 7mm정도의 크기이다. 그리고, 철근결합부가 형성된 모서리에서 마주보는 일변까지의 수직거리가 150mm 정도이고, 이 일변의 길이가 대략 170mm 이며, 형성되어진 콘크리트 유통구(220)의 지름이 40mm 정도이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구조의 철근 보강망(100)은 대략 450mm 정도의 길이에, 7mm정도의 지름을 갖는 8개의 철근(110)들의 조합으로써, 4개씩 나누어서 격자구조로 배열한다. 이때 철근들의 맞닿는 부분은 용접을 하여 접합한다.
상기 철근 보강망(100)은 중앙의 사각영역에 전기박스 설치부(120)가 형성되어 있는데, 1개의 철근 보강망(100)에는 4개의 스페이서(200)가 고정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200)와 철근 보강망(100)은 철근(110)의 일단이 상기 한쌍의 탄성편(230)이 맞대어진 부분에 철근(110)의 길이방향의 측면을 끼워넣어 결합된다. 이 때 이용되는 것이 탄성편(230)의 탄성력으로 끼움결합 전·후로 해서 상기 한쌍의 탄성편(230)이 벌어졌다가 다시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러한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는 설치시 스페이서(200)에 의하여 이격되고, 또한 상기 스페이서(200)에 형성된 콘크리트 유통구(220)에 의하여 타설시 콘크리트 반죽의 유동에 따른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본래의 제 위치를 벗어남이 없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실시예에서 언급된 철근 보강망(100)에 대한 중복 기재를 피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철근 보강망(100)의 기재는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3a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사각판 형상의 스페이서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사각판 형상의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300)는 두께 20mm의 사각판 형상을 하고 네변 중 일변 주변의 영역에 한쌍의 탄성편(330)이 상호 맞대어 형성되어진 지름 7mm 정도의 홈(310)이 있다. 이러한 한쌍의 탄성편(330)과 홈(310) 전체가 철근결합부인데, 이 철근결합부 영역 주위에는 지름 40mm 정도인 2개의 콘크리트 유통구(32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철근결합부가 형성된 일변의 길이가 대략 170mm이고, 이 일변과 수직한 다른 일변의 길이가 200mm 정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300)와 철근 보강망(100)은 철근(110)의 일단이 상기 한쌍의 탄성편(330)이 맞대어진 부분에 철근의 길이방향의 측면을 끼워넣어 결합된다. 이 때 이용되는 것이 탄성편(330)의 탄성력으로써 상기의 끼움결합 전·후로 해서 상기 한쌍의 탄성편(330)이 벌어졌다가 다시 원 상태로 복원된다.
상기 철근 보강망(100)은 중앙의 사각영역에 전기박스 설치부(120)가 형성되어 있는데, 1개의 철근 보강망(100)에는 4개의 스페이서(300)가 고정 결합되어 있다.
이외에 철근 보강망(110)에 자체에 대한 설명은 상기에서 언급한대로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해 생략하기로 하며, 필요하다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4a 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삼각판 형태의 스페이서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삼각판 형태의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400)는 대략 20mm 두께의 삼각판 형상을 하며 세모서리 중 하나의 모서리 영역에 철근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철근결합부는 철근(110)의 단부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지름 7mm 정도의 관통홀이다. 그리고 상기 철근결합부 영역 부근에 지름 40mm 정도인 2개의 콘크리트 유통구(4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400)는 철근결합부가 형성된 모서리에서 마주보는 일변까지의 수직거리가 150mm 정도이고, 이 일변의 길이가 170mm 정도이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철근결합부인 관통홀(410)에 철근 보강망(100)의 철근(110)단부가 상기 스페이서(400) 판면상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철근 보강망(100)은 중앙의 사각영역에 전기박스 설치부(120)가 형성되어 있는데, 1개의 철근 보강망(100)에는 4개의 스페이서(400)가 고정 결합되어 있다.
이어서 본 고안의 제 4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5a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사각판 형태인 스페이서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사각판 형태의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500)는 두께 20mm 정도의 사각판 형상이며 네변 중 일변의 주위 영역에 철근결합부인 관통홀(510)이 대략 지름 7mm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홀(510) 주변 영역에 지름 40mm 정도인 2개의 콘크리트 유통구(5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500)는 상기 철근결합부가 형성된 일변의 길이가 대략 170mm이고, 이 일변과 수직한 다른 일변의 길이가 200mm 정도이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500)는 상기 철근결합부인 관통홀(510)에 철근 보강망(100)의 철근(110)단부가 상기 스페이서(500)의 판면상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철근 보강망(100)은 중앙의 사각영역에 전기박스 설치부(120)가 형성되어 있는데, 1개의 철근 보강망(100)에는 4개의 스페이서(500)가 고정 결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6a는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원기둥 형상인 스페이서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원기둥 형상의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의 스페이서(600)는 일단부 부근 영역에 원기둥 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610)이 대략 지름 7mm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관통홀(610)이 철근결합부이다. 그리고, 상기 원기둥 형상의 스페이서(600)는 높이가 대략 200mm이고, 단면의 원지름이 80mm 정도이다.
이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600)는 상기 철근결합부인 관통홀(610)에 철근 보강망(100)의 철근(110)단부가 상기 스페이서(600)의 판면상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철근 보강망(100)은 중앙의 사각영역에 전기박스 설치부(120)가 형성되어 있는데, 1개의 철근 보강망(100)에는 4개의 스페이서(600)가 고정 결합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도 7a 는 본 고안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원뿔 형태인 스페이서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고안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원뿔 형태의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700)는 원뿔 형상을 하며 원뿔 형상의 꼭지점 부근 영역에 철근결합부인 관통홀(710)이 대략 지름 7mm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700)는 대략 높이가 200mm이고 원뿔 밑바닥의 지름이 70mm 정도이다.
이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700)는 상기 철근결합부인 관통홀(710)에 철근 보강망(100)의 철근(110)단부가 상기 스페이서(700)의 판면상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철근 보강망(100)은 중앙의 사각영역에 전기박스 설치부(120)가 형성되어 있는데, 1개의 철근 보강망(100)에는 4개의 스페이서(700)가 고정 결합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제 1 내지 제 6실시예들에서 스페이서(200, 300, 400, 500, 600, 700)의 형태는 삼각판, 사각판, 원기둥 및 원뿔 형태외에 임의의 형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스페이서(200, 300, 400, 500, 600, 700)에서 콘크리트 유통구(220, 320, 420, 520)의 유무나 그 개수 및 형성위치도 임의의 변경이 가능하며, 또한 철근결합부의 형태인 홈(210, 310) 또는 관통홀(410, 510, 610, 710)에 대한 선택도 임의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에 의하면, 건축물 시공시에 슬라브거푸집에 설치되는 전기박스로 인해 발생되는 슬라브의 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숙련공이라도 설치가 손쉬으며 시공 후라도 보강망의 위치 변경으로 인한 교체 및 보수가 불필요하다. 그리고 보강망의 이격 및 유지가 가능하므로 슬라브의 균열로 인한 건물 붕괴의 위험 또한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스페이서 자체는 부식될 염려가 없으므로 폐기된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에서 상기 스페이서만 추출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8)

  1. 중앙영역에 전기박스를 설치하기 위한 전기박스 설치부가 형성된 격자구조의 철근 보강망; 및
    일측에 상기 철근과 결합되는 철근결합부가 형성되어 슬라브 거푸집 바닥으로부터 상기 철근 보강망을 소정높이로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일정두께의 삼각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일정두께의 사각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일정높이의 원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일정높이의 원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철근결합부 부근 영역에 타설된 콘크리트 반죽을 유통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유통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
  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결합부는 한쌍의 탄성편이 상호 맞대어 형성되어진 홈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
  8.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결합부는 상기 철근의 단부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관통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
KR2020000017672U 2000-06-21 2000-06-21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 KR2002036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672U KR200203635Y1 (ko) 2000-06-21 2000-06-21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672U KR200203635Y1 (ko) 2000-06-21 2000-06-21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635Y1 true KR200203635Y1 (ko) 2000-11-15

Family

ID=1966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672U KR200203635Y1 (ko) 2000-06-21 2000-06-21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63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121A (ko) * 2002-02-05 2002-04-03 김용호 전기 박스 보강대
KR20020025120A (ko) * 2002-02-05 2002-04-03 김용호 전기 박스 보강대
KR100503237B1 (ko) * 2001-12-03 2005-07-25 이창남 강화외피첨가 골조보강공법
KR100655118B1 (ko) 2003-11-28 2006-12-08 대림산업 주식회사 구조용 용접철망을 이용한 벽체매립형 전기설비 선시공 방법
KR101569707B1 (ko) * 2014-07-10 2015-11-18 (주)광장브이디에스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237B1 (ko) * 2001-12-03 2005-07-25 이창남 강화외피첨가 골조보강공법
KR20020025121A (ko) * 2002-02-05 2002-04-03 김용호 전기 박스 보강대
KR20020025120A (ko) * 2002-02-05 2002-04-03 김용호 전기 박스 보강대
KR100655118B1 (ko) 2003-11-28 2006-12-08 대림산업 주식회사 구조용 용접철망을 이용한 벽체매립형 전기설비 선시공 방법
KR101569707B1 (ko) * 2014-07-10 2015-11-18 (주)광장브이디에스 경량성형재의 개량형 부력 방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400B1 (ko) 프리캐스트 슬래브용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200203635Y1 (ko)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
JP2015074886A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及びその施工方法
JP3735781B2 (ja) ダブル配筋用スペーサ
KR102132674B1 (ko) 내진 시공이 적용된 비내력벽 시스템
KR20090010281A (ko) 콘크리트의 끊어치기를 위한 마감부재
KR20190001483A (ko) 샌드위치 피씨-월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2304567B1 (ko) 측방연결수단을 이용한 파이형 프리캐스트 슬래브 시공방법
KR20090004478U (ko) 신축이음장치용 앵커
KR101650856B1 (ko) 상단에 슬래브 블록이 일체로 구성되는 i형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JP7371315B2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施工方法
JP2001220858A (ja) コンクリート補強体及びその組立方法
KR102226883B1 (ko) 다양한 슬래브에 설치되는 인서트패널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인서트패널 시공방법
KR102612981B1 (ko) Pc 더블월 벽체 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c 더블월 벽체 시공방법
KR102304565B1 (ko) 측방연결수단을 이용한 유공 프리캐스트 슬래브 시공방법
KR102289282B1 (ko) 단부 압착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 및 이를 이용한 바닥슬래브의 시공방법
JP7195175B2 (ja) アンカー設置フレーム、アンカー組立体及び梁施工方法
KR100583228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연속부 연결블록 및 이를이용한 교량 연속부 시공방법
KR100687439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슬래브 및 벽체시공용 스페이서와일체화된 주철근 조립체 및 상기 스페이서와 일체화된주철근 조립체에 의한 슬래브 및 벽체시공용 철근배근방법
KR200411337Y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연속부 연결블록
JP2000257078A (ja) Pc基礎梁部材を使用するべた基礎の施工方法およびpc基礎梁部材用pc支持枠
KR100387093B1 (ko) 콘크리트 다이크, 엘형 측구 등과 같이 동일 단면으로길게 형성되는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 설치구조및 그의 설치방법
KR200351731Y1 (ko) 스틸박스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KR100596067B1 (ko) 스틸박스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JP6934294B2 (ja) 設備構造ユニット及び床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