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932B1 - 이중화 시스템의 이중화 상태 전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화 시스템의 이중화 상태 전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932B1
KR101563932B1 KR1020090006702A KR20090006702A KR101563932B1 KR 101563932 B1 KR101563932 B1 KR 101563932B1 KR 1020090006702 A KR1020090006702 A KR 1020090006702A KR 20090006702 A KR20090006702 A KR 20090006702A KR 101563932 B1 KR101563932 B1 KR 101563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state
redundancy
signal pattern
inform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7592A (ko
Inventor
진영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6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932B1/ko
Publication of KR20100087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2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processing functionality is redundant
    • G06F11/2023Failover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 보드와 대기 보드로 구성된 이중화 시스템에서 하드웨어(Hardware) 로직을 이용하여 활성 보드와 대기 보드의 이중화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에서 보드의 이중화 상태 전환 방법은, 상대 보드로부터 기 정해진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되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로우(Low) 신호가 수신될 시, 상대 보드가 탈장되었음을 판단하여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되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하이(High) 신호가 수신될 시, 보드 자신이 탈장되었음을 판단하여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를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중화 시스템, 활성 보드, 대기 보드, 이중화 상태, 상태 정보 신호 패턴

Description

이중화 시스템의 이중화 상태 전환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OVER OF REDUNDANCY STATUS IN REDUNDANCY SYSTEM}
본 발명은 이중화 시스템의 이중화 상태 전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활성 보드와 대기 보드로 구성된 이중화 시스템에서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하여 활성 보드와 대기 보드의 이중화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은 마스터(Master) 보드와 다수개의 슬레이브(Slave) 보드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다수개의 슬레이브 보드들은 자신들이 각각 사용하게 될 클럭이나 여러 신호들을 백 플레인을 통하여 상기 마스터 보드와 송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마스터 보드는 시스템의 신뢰성을 위해 마스터 보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대기(Standby) 보드를 더 구비하여, 시스템 동작에 중요한 마스터 보드를 활성(Active) 상태로 동작하는 활성 보드와 대기(Standby) 상태로 동작하는 대기 보드로 이중화한다.
상기와 같이, 보드의 이중화는 시스템 동작에 중요한 보드를 활성 보드와 대기 보드로 이중화하여 구비하는 것으로, 이는 활성 상태로 동작하는 활성 보드가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 장애가 발생하거나 시스템의 필요에 의해서 탈장되면, 대기 상태로 있던 대기 보드가 활성 보드로 전환(Switchover)하여 작업 처리가 중단되지 않고 계속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이중화 보드의 이중화 상태 전환 방법으로, 종래의 소프트웨어(Software)에 의한 방법을 살펴보면, 이중화 보드를 구성하는 활성 보드와 대기 보드는 각각 상대 보드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상대 보드의 상태를 판단하여 자신의 상태를 결정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라 이중화 상태를 전환할 경우, 이중화 상태 전환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대 보드로부터의 상태 정보가 비정상적일 경우, 해당 보드는 상대 보드의 상태를 제대로 판단하지 못하거나 신속한 판단이 불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대 보드로부터의 상태 정보가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이중화 보드를 구성하는 활성 보드와 대기 보드 중 어느 하나의 보드가 탈장된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 보드로부터의 상태 정보로는 활성 보드와 대기 보드 중 어느 보드가 탈장되고 있는지 알 수가 없다. 이런 상황에서 탈장되는 보드의 프로세서가 동작을 하게 되면 시스템에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화 시스템의 이중화 상태 전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활성 보드와 대기 보드로 구성된 이중화 시스템에서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하여 활성 보드와 대기 보드의 이중화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이중화 시스템에서 보드의 이중화 상태 전환 방법은, 상대 보드로부터 기 정해진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되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로우(Low) 신호가 수신될 시, 상대 보드가 탈장되었음을 판단하여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되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하이(High) 신호가 수신될 시, 보드 자신이 탈장되었음을 판단하여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를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이중화 시스템의 이중화 상태 전환 장치는, 상기 보드로 기 정해진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을 전송하는 상대 보드와, 상기 상대 보드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되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로우(Low) 신호가 수신될 시, 상대 보드가 탈장되었음을 판단하여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며,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되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하이(High) 신호가 수신될 시, 보드 자신이 탈장되었음을 판단하여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를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활성 보드와 대기 보드로 구성된 이중화 시스템에서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하여 활성 보드와 대기 보드의 이중화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이중화 상태 전환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대 보드로부터의 상태 정보가 비정상적일 경우, 특히 보드가 탈장된 경우에도 상대 보드의 상태를 신속하면서도 신뢰성 있게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활성 보드와 대기 보드로 구성된 이중화 시스템에서 하드웨어 로직을 이용하여 활성 보드와 대기 보드의 이중화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앞서, 이중화 상태 전환의 원칙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중화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보드는 활성 상태 혹은 대기 상태에 있으며, 둘 중 어느 하나의 보드가 활성 상태이면 다른 하나의 보드는 대기 상태에 있어야 한다. 이때, 활성 상태인 보드는 이중화 쌍을 이루는 상대 보드의 상태와 상관없이 활성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대기 상태인 보드는 이중화 쌍을 이루는 상대 보드의 상태가 활성 상태이면 그대로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이중화 쌍을 이루는 상대 보드의 상태가 대기 상태이면 활성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이중화 쌍을 이루는 상대 보드가 탈장되면, 실장되어 있는 나머지 보드는 활성 상태로 전환되고, 보드 자신이 탈장되면, 탈장되는 보드는 대기 상태로 전환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중화 쌍을 이루는 각 보드는 상대 보드의 이중화 상태(활성 상태/ 대기 상태) 정보와, 보드 자신의 탈장 여부 그리고 상대 보드의 탈장 여부를 바탕으로 보드 자신의 상태를 유지 또는 전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이중화 시스템은 이중화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보드, 즉 보드 A(100) 및 보드 B(110)와 하나의 백보드(120)로 구성되며, 상기 두 개의 보드(100, 110)는 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백보드(120)에 연결된다.
상기 각 보드(100, 110)에는 CPLD(Control Programmable Logic Device)(101, 111)가 포함된다. 상기 각 보드(100, 110)의 CPLD(101, 111)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이중화 쌍을 이루는 상대 보드로 자신의 이중화 상태(활성 상태/대기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다른 신호선을 이용하여 상대 보드로부터 수신되는 상대 보드의 이중화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를 유지 혹은 전환한다.
여기서, 상기 각 신호선은 상기 각 보드(100, 110)의 CPLD(101, 111)에서 백보드(120)를 통과하여 이중화 쌍을 이루는 상대 보드의 CPLD로 연결되며, 상기 백보드(120)를 통과하는 각 신호선에서 인가 전압(VCC)으로 풀업 저항(121, 122)이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에서 이중화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보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이중화 쌍을 이루는 보드 A(200)와 보드 B(210)의 CPLD(201, 211)는 각각 이중화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상태 정보 신호 패턴 송신부(202, 214)와 이중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 정보 신호 패턴 수신부(204, 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드 A(200)의 상태 정보 신호 패턴 송신부(202)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자신의 이중화 상태 정보를 상기 보드 B(210)의 상태 정보 신호 패턴 수신부(212)로 전송하고, 상기 보드 B(210)의 상태 정보 신호 패턴 송신부(214)는 다른 신호선을 이용하여 자신의 이중화 상태 정보를 상기 보드 A(200)의 상태 정보 신호 패턴 수신부(204)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각 신호선은 상기 각 보드(200, 210)의 CPLD(201, 211)에서 백보드(220)를 통과하여 이중화 쌍을 이루는 상대 보드의 CPLD로 연결되며, 상기 백보드(220)를 통과하는 각 신호선에서 인가 전압(VCC)으로 풀업 저항(221, 222)이 연결된다. 상기 이중화 상태 정보로서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은 이를 전송하는 보드의 이중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패턴으로, 예를 들어 '01011100'의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은 활성 상태를 나타내고, '11001010'의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은 대기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두 보드(200, 210)의 상태 정보 신호 패턴 송신부(202, 214)의 출력단에는 신호선을 통해 각각 버퍼(203, 215)의 입력단이 연결되며, 상기 버퍼(203, 215)는 연결되는 상태 정보 신호 패턴 송신부(202, 214)로부터의 이중화 상태 정보를 버퍼링하여 신호선을 통해 각각 상대 보드의 상태 정보 신호 패턴 수신부(204, 212)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두 보드(200, 210)의 상태 정보 신호 패턴 수신부(204, 212)의 입력단에는 신호선을 통해 각각 NOR(Not OR) 로직(205, 213)의 출력단이 연결되며, 상기 NOR 로직(205, 213)의 입력단에는 신호선을 통해 각각 상대 보드의 버퍼(203, 215)의 출력단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NOR 로직(205, 213)의 입력단에는 풀다운 저항을 통해 그라운드(Ground)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NOR 로직(205, 213)은 각각 상대 보드의 버퍼(203, 215)로부터의 신호와 그라운드(Ground)로부터의 신호를 입력값으로 NOR 연산을 수행하고, 연결되는 상태 정보 신호 패턴 수신부(204, 212)로 출력값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NOR 연산은 상기 두 개의 입력값이 모두 '0'인 경우 출력값으로 '1'을 제공하는 연산으로, 상대 보드의 버퍼(203, 215)로부터의 신호가 기 정해진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을 가지는 한,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 수신부(204, 212)는 상대 보드의 이중화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상기 NOR 로직(205, 213)의 입력값으로 상대 보드의 버퍼(203, 215)로부터 활성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NOR 로직(205, 213) 각각에 연결된 상태 정보 신호 패턴 수신부(204, 212)는 상대 보드가 활성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OR 로직(205, 213)의 입력값으로 상대 보드의 버퍼(203, 215)로부터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NOR 로직(205, 213) 각각에 연결된 상태 정보 신호 패턴 수신부(204, 212)는 상대 보드가 대기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대 보드가 탈장되는 경우, 상기 NOR 로직(205, 213)의 입력값으로 더이상 상대 보드의 버퍼(203, 215)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고, 인가 전압(VCC)으로부터의 하이(High) 신호와 그라운드(Ground)로부터의 로우(Low) 신호가 계속 입력된다. 이 경우, 상기 NOR 로직(205, 213)은 출력값으로 로우 신호를 계속 출력하게 되며, 따라서 이를 제공받은 상태 정보 신호 패턴 수신부(204, 212)는 상대 보드가 탈장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보드 자신이 탈장되는 경우, 상기 NOR 로직(205, 213)의 입력값으로 더이상 상대 보드의 버퍼(203, 215)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고, 그라운드(Ground)로부터의 로우(Low) 신호만 계속 입력된다. 이 경우, 상기 NOR 로직(205, 213)은 출력값으로 하이(High) 신호를 계속 출력하게 되며, 따라서 이를 제공받은 상태 정보 신호 패턴 수신부(204, 212)는 보드 자신이 탈장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 수신부(204, 212)는 상기 NOR 로직(205, 213)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상대 보드의 이중화 상태(활성 상태/대기 상태) 정보와, 보드 자신의 탈장 여부 그리고 상대 보드의 탈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드 자신의 상태를 유지 또는 전환한다.
즉, 상대 보드로부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되고, 보드 자신의 상태가 활성 상태인 경우,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 수신부(204, 212)는 상대 보드의 상태 정보 신호 패턴에 상관 없이 계속 활성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상대 보드로부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되고, 보드 자신의 상태가 대기 상태인 경우, 상대 보드의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패턴이면, 상기 상태 정보 신 호 패턴 수신부(204, 212)는 보드 자신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고, 상대 보드의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활성 상태를 나타내는 패턴이면,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 수신부(204, 212)는 보드 자신의 상태를 대기 상태로 유지한다.
만약, 상대 보드로부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되지 않고 계속 로우(Low)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 수신부(204, 212)는 상대 보드가 탈장되었음을 판단하고, 보드 자신의 이전 상태와는 상관없이 활성 상태로 전환한다. 반면, 상대 보드로부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되지 않고 계속 하이(High)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 수신부(204, 212)는 보드 자신이 탈장되었음을 판단하고, 보드 자신의 이전 상태와 상관없이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활성 보드와 대기 보드로 구성된 이중화 시스템에서 각 보드가 자신의 이중화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에서 보드는 상기 활성 보드와 대기 보드 중 하나의 보드를 의미하며, 상대 보드는 상기 하나의 보드를 제외한 나머지 보드를 의미한다. 엄밀히 말하면 상기 보드는 상기 보드의 상태 정보 신호 패턴 수신부를 의미하고, 상기 상대 보드는 상기 상대 보드의 상태 정보 신호 패턴 송신부를 의미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보드는 301단계에서 상대 보드로부터 기 정해진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은 이를 전송하는 보드의 이중화 상태(활성 상태/대기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패턴 으로, 예를 들어 '01011100'의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은 활성 상태를 나타내고, '11001010'의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은 대기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301단계에서 상기 상대 보드로부터 기 정해진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될 시, 상기 보드는 303단계에서 상기 보드 자신의 상태가 활성 상태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303단계에서 상기 보드 자신의 상태가 활성 상태일 시, 상기 보드는 305단계에서 상기 상대 보드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신호 패턴과 상관없이 계속 활성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상기 303단계에서 상기 보드 자신의 상태가 대기 상태일 시, 상기 보드는 307단계에서 상기 상대 보드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패턴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상대 보드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패턴일 시, 상기 보드는 309단계에서 자신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한다. 반면, 상기 상대 보드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활성 상태를 나타내는 패턴일 시, 상기 보드는 311단계에서 계속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상기 301단계에서 상기 상대 보드로부터 기 정해진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보드는 313단계에서 일정 시간 동안 로우(Low)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로우 신호는 상대 보드의 탈장으로 인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313단계에서 일정 시간 동안 로우 신호가 수신될 시, 상기 보드는 315 단계에서 상기 상대 보드가 탈장되었다고 판단하고, 317단계에서 자신의 이전 상태와는 상관없이 자신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한다.
반면, 상기 313단계에서 일정 시간 동안 로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보드는 319단계에서 일정 시간 동안 하이(High)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하이 신호는 상기 보드 자신의 탈장으로 인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일정 시간 동안 하이 신호가 수신될 시, 상기 보드는 321단계에서 상기 보드 자신이 탈장되었다고 판단하고, 323단계에서 자신의 이전 상태와는 상관없이 자신의 상태를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반면, 상기 일정 시간 동안 하이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보드는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이후, 상기 보드는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에서 이중화 쌍을 이루는 두 개의 보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활성 보드와 대기 보드로 구성된 이중화 시스템에서 각 보드가 자신의 이중화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Claims (14)

  1. 이중화 시스템에서 보드의 이중화 상태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대 보드로부터 기 정해진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되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로우(Low)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대 보드가 탈장되었음을 판단하여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되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하이(High)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보드 자신이 탈장되었음을 판단하여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를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되고,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가 대기 상태인 경우,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를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대 보드의 이중화 상태와 배타적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은 이중화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 패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되고,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가 활성 상태인 경우,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를 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를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대 보드의 이중화 상태와 배타적으로 결정하는 과정은,
    상대 보드의 이중화 상태가 활성 상태인 경우,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를 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과정과,
    상대 보드의 이중화 상태가 대기 상태인 경우,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와 상대 보드는 상기 이중화 시스템 내에서 이중화 쌍을 이루는 보드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이중화 시스템의 이중화 상태 전환 장치에 있어서,
    보드로 기 정해진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을 전송하는 상대 보드와,
    상기 상대 보드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되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로우(Low)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대 보드가 탈장되었음을 판단하여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되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하이(High)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보드 자신이 탈장되었음을 판단하여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를 대기 상태로 전환하며,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되고,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가 대기 상태인 경우,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를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대 보드의 이중화 상태와 배타적으로 결정하는 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은 이중화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 패턴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이 수신되고,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가 활성 상태인 경우,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를 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상대 보드의 이중화 상태가 활성 상태인 경우,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를 대기 상태로 유지하고, 상대 보드의 이중화 상태가 대기 상태인 경우, 보드 자신의 이중화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와 상대 보드는 상기 이중화 시스템 내에서 이중화 쌍을 이루는 보드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보드는,
    버퍼를 통해 상기 상태 정보 신호 패턴을 버퍼링하여 상기 보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신호선이 상기 상대 보드에서 백보드를 통과하여 상기 보드로 연결되며, 상 기 백보드를 통과하는 상기 신호선에서 인가 전압으로 풀업 저항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NOR(Not OR) 로직을 통해 상기 상대 보드로부터의 상태 정보 신호 패턴에 대해 NOR 연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NOR 로직의 입력단에, 신호선을 이용하여 상기 상대 보드가 연결되고, 풀다운 저항을 통한 그라운드(Ground)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90006702A 2009-01-28 2009-01-28 이중화 시스템의 이중화 상태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1563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702A KR101563932B1 (ko) 2009-01-28 2009-01-28 이중화 시스템의 이중화 상태 전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702A KR101563932B1 (ko) 2009-01-28 2009-01-28 이중화 시스템의 이중화 상태 전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592A KR20100087592A (ko) 2010-08-05
KR101563932B1 true KR101563932B1 (ko) 2015-10-28

Family

ID=4275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702A KR101563932B1 (ko) 2009-01-28 2009-01-28 이중화 시스템의 이중화 상태 전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93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592A (ko) 201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3663B2 (en) Differential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nd differential signal receiving apparatus
KR101563932B1 (ko) 이중화 시스템의 이중화 상태 전환 장치 및 방법
JP2010136038A (ja) 伝送装置及び冗長構成部の系切替え方法
KR100450769B1 (ko) 이중화된 패킷 스위치 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10038483A (ko)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에서 아이피씨 경로의 에러 복구 장치
KR100733971B1 (ko) 결함허용 전이중방식 분산제어시스템
KR100191678B1 (ko) 통신망 이중화를 위한 통신망 검사방법
CN113407470B (zh) 少针脚型接口和通用异步收发器接口复用方法、装置、设备
KR200180134Y1 (ko) 교환기에서의 광 정합 링크 장치
JP2003248633A (ja) 耐障害性環境でバイナリ信号の状態を符号化/復号する方法
KR100696983B1 (ko) 결함허용 반이중방식 분산제어시스템
JP2001186217A (ja) 系間接続部の断線検出機能を有する多重化制御システム
JP2011040842A (ja) 二重化システムの装置切替方式
JP2007067801A (ja) 切替制御システム及びこれに適用される制御ユニット
KR100316515B1 (ko) 이중화보드 절체제어장치
KR100431464B1 (ko) 알람 신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100520304B1 (ko) 크로스바 스위치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
KR0161163B1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이중화된 게이트웨이노드에 대한 글로벌버스 이중화구조
JP2946731B2 (ja) 冗長系の選択切替装置
KR200403626Y1 (ko) 통신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장치
JP3619583B2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20020085051A (ko) 이중화 시스템에서 링크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7827A (ko) 전송 오류 감지 및 전송 경로를 제어하는 이중 송수신 장치
JPH05244128A (ja) 通信二重化装置
KR20020056181A (ko) 이중화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