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515B1 - 이중화보드 절체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이중화보드 절체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515B1
KR100316515B1 KR1019990046097A KR19990046097A KR100316515B1 KR 100316515 B1 KR100316515 B1 KR 100316515B1 KR 1019990046097 A KR1019990046097 A KR 1019990046097A KR 19990046097 A KR19990046097 A KR 19990046097A KR 100316515 B1 KR100316515 B1 KR 100316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upled
board
redundancy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8211A (ko
Inventor
오한석
Original Assignee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filed Critical 김진찬
Priority to KR1019990046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515B1/ko
Publication of KR20010038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0Logic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화보드로 구성되는 이중화시스템에서 이중화되어 구성되는 각 보드의 상태정보를 이중화보드간에 상호 송수신하도록 하고, 이를 근거로 각 보드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으로 이중화보드간의 절체제어가 가능하도록 된 이중화보드 절체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이중화보드는 해당 보드내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출력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수단 및, 자신의 상태정보를 상대측으로 송출하고 상대측으로부터 인가된 상대 상태정보를 근거로 자신의 상태를 설정함과 더불어, 자신의 상태가 동작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처리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중화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중화제어수단은 상대 이중화제어수단과 상태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및 제 2입출력단과, 상기 제 1입출력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와 전원전압이 풀업저항을 통해 인가되는 신호가 병렬로 결합되어 제 1입력으로 결합됨과 더불어 이중화보드의 동작상태전환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또다른 입력으로 결합되는 제 1앤드게이트, 상기 제 1앤드게이트의 입력으로 결합되는 이중화보드의 동작상태전환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입력으로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제 2입출력단으로 인가되는 신호가 제 1낱게이트를 통해 또 다른 입력으로 결합되는 제 2앤드게이트, 상기 제 1앤드게이트와 제 2앤드게이트의 출력신호가 입력으로 결합되고, 그 출력신호는 상기 제 2입출력단과 결합되는 제 1노아게이트 및, 상기 제 1앤드게이트의 제 1입력으로 인가되는 신호를 반전시켜 데이터처리수단으로 인가하기 위한 제 2낱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이중화제어수단의 제 1입출력단은 제 2이중화제어수단의 제 2입출력단과 결합되며, 상기 제 1이중화제어수단의 제 2입출력단은 제 2이중화제어수단의 제 1입출력단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화보드 절체제어장치{Dual-board change-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이중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화보드로 구성되는 이중화시스템에서 이중화되어 구성되는 각 보드의 상태정보를 이중화보드간에 상호 송수신하도록 하고, 이를 근거로 각 보드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으로 이중화보드간의 절체제어가 가능하도록 된 이중화보드 절체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송시스템, 교환시스템, 통신시스템 등에 있어서는 시스템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두 개의 보드를 이용하는 이중화시스템을 적용하여 시스템을 구현하게 된다.
그리고, 이중화시스템에 있어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두 개의 보드 중 하나는 동작(active)보드로 동작하고, 다른 하나는 대기(stand-by)보드로 동작하게 되는 바, 실제적으로는 동작보드에 의해 통신서비스를 지원하다가, 통신시스템의 장애등으로 인하여 동작보드가 정상 동작을 할 수 없을 경우, 동작보드에 대한 권한을 대기보드에게 건네주어 통신서비스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중화시스템에서 이중화보드간의 상태절체는 보드의 탈장, 또는 사용자에 의한 동작상태보드 강제 리세트시에도 발생되게 되는 바, 상기한 이중화보드간의 상태절체시 용이하게 보드간의 절체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된 이중화 절체제어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각 이중화보드에서 자신의 상태정보를 상대 이중화보드로 출력하고, 수신된 상대 이중화보드의 상태를 근거로 자신의 동작상태가 자동으로 절체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절체상황에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된 이중화보드 절체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보드 절체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이중화제어부(11,21)의 내부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 1이중화보드, 11 : 제 1이중화제어부,
12 : 제 1데이터처리부, 20 : 제 2이중화보드,
21 : 제 2이중화제어부, 22 : 제 2데이터처리부,
111 : 보드오류검출회로, 112 : 래치회로,
113 : 리세트회로, Vcc : 전원전압,
P : 입출력단, R : 저항,
N : 낱게이트, AND : 앤드게이트,
NOR : 노아게이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중화보드 절체제어장치는,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 제1 및 제 2이중화보드를 구비하고, 이 제 1 및 제 2이중화보드가 구비된 이중화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중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이중화보드는 해당 보드내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출력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수단 및, 자신의 상태정보를 상대측으로 송출하고 상대측으로부터 인가된 상대 상태정보를 근거로 자신의 상태를 설정함과 더불어, 자신의 상태가 동작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처리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중화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중화제어수단은 상대 이중화제어수단과 상태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및 제 2입출력단과, 상기 제 1입출력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와 전원전압이 풀업저항을 통해 인가되는 신호가 병렬로 결합되어 제 1입력으로 결합됨과 더불어 이중화보드의 동작상태전환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또다른 입력으로 결합되는 제 1앤드게이트, 상기 제 1앤드게이트의 입력으로 결합되는 이중화보드의 동작상태전환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입력으로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제 2입출력단으로 인가되는 신호가 제 1낱게이트를 통해 또 다른 입력으로 결합되는 제 2앤드게이트, 상기 제 1앤드게이트와 제 2앤드게이트의 출력신호가 입력으로 결합되고, 그 출력신호는 상기 제 2입출력단과 결합되는 제 1노아게이트 및, 상기 제 1앤드게이트의 제 1입력으로 인가되는 신호를 반전시켜 데이터처리수단으로 인가하기 위한 제 2낱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이중화제어수단의 제 1입출력단은 제 2이중화제어수단의 제 2입출력단과 결합되며, 상기 제 1이중화제어수단의 제 2입출력단은 제 2이중화제어수단의 제 1입출력단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이중화보드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보드의 다양한 절체상황을 고려하여 이중화보드간에 서로의 상태정보를 송수신하도록 하고, 이를 근거로 이중화보드의 동작상태가 자동으로 설정되도록하여 이 동작상태에 따라 각 보드에서 처리된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이중화보드의 절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보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2에서, 참조번호 10과 20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이중화보드로서, 이중화보드(10,20)는 자신의 현재 상태정보를 상대측 이중화보드로 송출함과 더불어, 상대 이중화보드로부터 인가되는 상태정보를 근거로 자신의 상태를 자동으로 절체하도록 하고, 자신의 동작상태에 따라 다수의 데이터처리부(121∼12N, 221∼22N)로 데이터출력 인에이블신호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이중화제어부(11,21)와, 이중화제어부(11,21)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출력 인에이블신호를 근거로 보드내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 출력하는 데이터처리부(121∼12N, 221∼22N)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이중화제어부(11,21)의 내부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보드 절체제어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서, 제 1이중화제어부(11)와 제 2이중화제어부(21)는 동일하게 구성되는 바, 제 1이중화제어부(11)의 구성을 근거로 설명한다.
우선, 제 1이중화제어부(11)는 제 2이중화제어부(21)의 입출력단(P21,P22)과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입출력단(P11,P12)을 구비하여 구성되게 되는데, 여기서, 제 1이중화제어부(11)의 제 1입출력단(P11)은 2이중화제어부(21)의 제 2입출력단(P22)과 결합되고, 제 1이중화제어부(11)의 제 2입출력단(P12)은 제 2이중화제어부(21)의 제 1입출력단(P21)과 결합된다.
그리고, 제 1이중화제어부(11)의 제 1입출력단(P11)은 전원전압(Vcc)이 풀업저항(R11)을 통해 결합되어 제 1앤드게이트(AND11)의 제1입력으로 인가됨과 더불어, 제 1낱(NOT)게이트(N11)을 통해 제 1이중화보드(10)에 구비된 데이터처리부(121∼12N)와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낱게이트(N11)을 통해 데이터처리부(121∼12N)으로 인가되는 신호는 데이터처리부의 데이터출력 인에이블신호로서, 데이처처리부(12)는 데이터출력 인에이블신호가 로우(Low : 이하 'L'이라 칭함)인 경우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한편, 상기 제 1앤드게이트(AND11)의 입력으로는 본 이중화보드의 동작오류를 검출하여 그 검출신호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보드오류검출회로(11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와, 본 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상태정보를 저장 출력하는 래치회로(112)로부터 인가되는신호 및, 사용자에 의해 보드의 동작상태를 강제적으로 절환하는 리세트스위치(113)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각각 입력된다.
이때, 상기 보드오류검출회로(111)는 동작오류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 하이(High : 이하 'H'이라 칭함)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래치회로(112)는 초기화상태시에는 'H'신호가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다가 동작상태절환시 'L'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리세트스위치(113)는 오프(OFF)상태에서는 전원전압(Vcc)이 즉, 'H'신호가 풀업저항(R12)을 통해 제 1앤드게이트(AND11)로 인가되고, 온(ON)상태에서는 'L'신호가 제 1앤드게이트(AND11)의 입력으로 인가되게 되는 바, 정상상태에서 상기 보드오류검출회로(111)와 래치회로(112) 및 리세트스위치(113)로부터 각각 'H'신호가 제 1앤드게이트(AND11)의 입력으로 인가되게 된다.
한편, 상기 보드오류검출회로(111)와 래치회로(112) 및 리세트스위치(11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제 2앤드게이트(AND12)의 입력으로 인가되게 되고, 제 2입출력단(P12)의 신호가 제 2낱(NOT)게이트(N12)를 통해 궤환되어 제 2앤드게이트(AND12)입력으로 인가되게 되는 바, 상기 제 1앤드게이트(AND11)와 제 2앤드게이트(AND12)의 출력신호는 노아게이트(NOR11)를 통해 제 2입출력단(P12)으로 인가되게 된다.
그리고, 제 1이중화제어부(11)의 제 2입출력단(P12)은 제 2이중화제어부(21)의 제 1입출력단(P21)과 결합되어 있는 바, 제 1이중화제어부(11)의 제 2입출력단(P12)의 출력신호는 제 2이중화제어부(21)의 제 1입출력단(P21)으로 인가되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이중화제어부(11,21)는 로우(Low)신호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정상적인 상태에서 보드오류검출회로(111)와 래치회로(112) 및 리세트스위치(113)에서는 'H'신호를 제 1앤드게이트(AND11)와 제 2앤드게이트(AND12)로 인가하게 되고, 제 2이중화제어부(21)로부터 제 1이중화제어부(11)의 제 1입출력단(P1)으로 인가되는 신호가 'H'이거나 또는 제 2이중화보드가 장착되지 않음으로 인해 제 1이중화제어부(11)의 제 1입출력단(P11)으로 인가되는 신호가 없는 경우, 제 1이중화제어부(11)의 제 1입출력단(P11)과 결합된 제 1앤드게이트(AND11)의 입력으로는 'H'신호가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제 1앤드게이트(AND11)의 출력신호는 'H'가 되고, 제 1앤드게이트(AND11)로부터 출력되는 'H'신호는 노아게이트(NOR11)으로 인가되게 되어, 노아게이트(NOR11)의 출력신호는 'L'가 된다.
그리고, 이 노아게이트(NOR11)의 출력신호인 'L'신호는 제 2낱게이트(N12)를 통해 제 2앤드게이트(AND12)의 입력으로 인가됨과 더불어, 제 2입출력단(P12)를 통해 제 2이중화제어부(21)의 제 1입출력단(P21)으로 인가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이중화제어부(11)의 제 1입출력단(P11)은 제 2이중화제어부(21)의 제 2입출력단(P22)와 결합되고, 제 1이중화제어부(11)의 제 2입출력단(P12)은 제 2이중화제어부(21)의 제 1입출력단(P21)과 결합되게 되는 바, 제 2이중화제어부(21)의 제 1입출력단(P21)으로는 'L'신호가 인가되게 되고, 제 2입출력단(P22)으로는 'H'신호가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제 2이중화제어부(21)의 제 1앤드게이트(AND21)의 출력신호는 'L'가되며, 제 2앤드게이트(AND22)는 제 2입출력단(P22)으로부터 인가되는 'H'신호가 제 2낱게이트(N22)를 통해 입력되므로 그 출력신호는 'L'가 되는 바, 제 1앤드게이트(AND21)의 출력신호인 'L'신호와 제 2앤드게이트(AND22)의 출력신호인 'L'신호는 노아게이트(NOR21)를 통해 제 2입출력단(P22)으로 인가되게 된다. 즉, 노아게이트(NOR21)는 'H'신호를 제 2입출력단(P22)으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제 1이중화보드(10)에서는 제 1이중화제어부(11)의 제 1입출력단(P11)과 결합된 제 1낱게이트(N11)를 통해 제 1데이터처리부(12)의 데이터출력 인에이블신호가 인가되고, 제 2이중화보드(20)에서는 제 2이중화제어부(21)의 제 2입출력단(P21)과 결합된 제 1낱게이트(N21)를 통해 제 2데이터처리부(22)의 데이터출력 인에이블신호가 인가되게 되는 바, 제 1이중화보드(10)에서는 제 1이중화제어부(11)의 제 1낱게이트(N11)를 통해 'L'신호가 제 1데이터처리부(12)로 인가되고, 제 2이중화보드(20)에서는 제 2이중화제어부(21)의 제 2낱게이트(N21)를 통해 'H'신호가 제 2데이터처리부(22)로 인가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절체제어장치는 'L'신호를 근거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 1이중화보드(10)의 상태는 동작상태로 되어 제 1데이터처리부에서 데이터출력을 수행하고, 제 2이중화보드(20)의 상태는 대기상태로 되어 제 2데이터처리부에서는 데이터출력이 차단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중화보드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보드의 다양한 절체상황을 고려하여 이중화보드간에 서로의 상태정보를 송수신하도록 하고, 이를 근거로 이중화보드의 동작상태가 자동으로 설정되도록하여 이 동작상태에 따라각 보드에서 처리된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이중화보드의 절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중화보드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보드의 다양한 절체상황을 고려하여 이중화보드간에 서로의 상태정보를 송수신하도록 하고, 이를 근거로 이중화보드의 동작상태가 자동으로 설정되도록하여 이 동작상태에 따라 각 보드에서 처리된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이중화보드의 절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 제1 및 제 2이중화보드를 구비하고, 이 제 1 및 제 2이중화보드가 구비된 이중화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중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이중화보드는 해당 보드내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출력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수단 및, 자신의 상태정보를 상대측으로 송출하고 상대측으로부터 인가된 상대 상태정보를 근거로 자신의 상태를 설정함과 더불어, 자신의 상태가 동작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처리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이중화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중화제어수단은 상대 이중화제어수단과 상태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및 제 2입출력단과, 상기 제 1입출력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와 전원전압이 풀업저항을 통해 인가되는 신호가 병렬로 결합되어 제 1입력으로 결합됨과 더불어 이중화보드의 동작상태전환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또다른 입력으로 결합되는 제 1앤드게이트, 상기 제 1앤드게이트의 입력으로 결합되는 이중화보드의 동작상태전환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입력으로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제 2입출력단으로 인가되는 신호가 제 1낱게이트를 통해 또 다른 입력으로 결합되는 제 2앤드게이트, 상기 제 1앤드게이트와 제 2앤드게이트의 출력신호가 입력으로 결합되고, 그 출력신호는 상기 제 2입출력단과 결합되는 제 1노아게이트 및, 상기 제 1앤드게이트의 제 1입력으로 인가되는 신호를 반전시켜 데이터처리수단으로 인가하기 위한제 2낱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이중화제어수단의 제 1입출력단은 제 2이중화제어수단의 제 2입출력단과 결합되며, 상기 제 1이중화제어수단의 제 2입출력단은 제 2이중화제어수단의 제 1입출력단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보드 절체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화보드는 로우상태인 경우 해당 보드의 데이터처리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보드 절체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화제어수단에서 제 1 및 제 2앤드게이트의 입력으로 결합되는 이중화보드 동작상태전환수단은 해당 보드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보드오류검출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보드 절체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화제어수단에서 제 1 및 제 2앤드게이트의 입력으로 결합되는 이중화보드 동작상태전환수단은 이중화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상태전환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래치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보드 절체제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화제어수단에서 제 1 및 제 2앤드게이트의 입력으로 결합되는 이중화보드 동작상태전환수단은 사용자에 의해 강제적으로 스위칭동작하는 리세트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보드 절체제어장치.
KR1019990046097A 1999-10-22 1999-10-22 이중화보드 절체제어장치 KR100316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097A KR100316515B1 (ko) 1999-10-22 1999-10-22 이중화보드 절체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097A KR100316515B1 (ko) 1999-10-22 1999-10-22 이중화보드 절체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211A KR20010038211A (ko) 2001-05-15
KR100316515B1 true KR100316515B1 (ko) 2001-12-12

Family

ID=19616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097A KR100316515B1 (ko) 1999-10-22 1999-10-22 이중화보드 절체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5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211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5356B2 (en) Dual power supply system
US8001306B2 (en) Interface unit and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master/slave structure
KR100938738B1 (ko) 전자 패치 장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동작 방법
EP1670190B1 (en) Switching between layer 2 switches
KR100316515B1 (ko) 이중화보드 절체제어장치
US8001293B2 (en) Data relay apparatus for communication module
JP2983319B2 (ja) 通信装置
JP5176914B2 (ja) 伝送装置及び冗長構成部の系切替え方法
KR20000040686A (ko) Lan 선로의 이중화 시스템
US7114017B2 (en) Programmable peripheral switch
KR100729930B1 (ko) 이중화 시스템의 절체 회로
KR20010038483A (ko)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에서 아이피씨 경로의 에러 복구 장치
KR100533135B1 (ko)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원격 전원 제어방법 및 장치
KR200193996Y1 (ko)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 공간분할 스위치장치
JP4593135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周辺装置並びに周辺装置の試験方法
KR200301942Y1 (ko) 전송시스템의 전송경로 절체제어장치
KR101563932B1 (ko) 이중화 시스템의 이중화 상태 전환 장치 및 방법
JPS61213932A (ja) 分散形2重系計算機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17614577A (zh) 一种基于双机热备份的网络广播系统的主备切换方法
KR20000037970A (ko) 전전자 교환기의 프로세서 링크 경로 제어 장치
KR20000028406A (ko) 교환 시스템에서 프로세서간 통신망의 이중화구조
KR0130335Y1 (ko) 전전자 교환기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구조
KR200206030Y1 (ko) 교환기 셀프간 이중화 인터페이스 구조
JP2011040842A (ja) 二重化システムの装置切替方式
KR20020054151A (ko) 이더넷 망의 전송 경로 이중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