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030Y1 - 교환기 셀프간 이중화 인터페이스 구조 - Google Patents
교환기 셀프간 이중화 인터페이스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6030Y1 KR200206030Y1 KR2019980020048U KR19980020048U KR200206030Y1 KR 200206030 Y1 KR200206030 Y1 KR 200206030Y1 KR 2019980020048 U KR2019980020048 U KR 2019980020048U KR 19980020048 U KR19980020048 U KR 19980020048U KR 200206030 Y1 KR200206030 Y1 KR 20020603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self
- input
- interface
- shelf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3—Constructional details using sliding mechanisms for accessing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4—Frames or mounting racks for selector switches; Accessories therefor, e.g. frame co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25—Provisions for sign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환기 셀프간 이중화 인터페이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교환기 셀프간 이중화 인터페이스 구조는 하나의 셀프내에 이중화된 유니트 구조(제 1 유니트, 제 2 유니트)를 구비하여 워킹 유니트와 스텐바이 유니트로 동작하는 전자교환기 시스템내에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준 셀프(10)와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처리하는 제 1, 제 2 입/출력 (20,30)셀프 간의 인터페이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준셀프(10)의 제 1 유니트(11), 제 2 유니트(12) 각각의 송신단자가 상기 제 1 입/출력 셀프(20)의 제 1 유니트(21)와 제 2 유니트(22)의 수신단자에 이중화되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입/출력 셀프(30)의 제 1 유니트(31)와 제 2 유니트(32)의 수신단자에 이중화되어 연결되고; 상기 제 1, 제 2 입/출력 셀프(20,30)의 제 1 유니트(21,31)와 제 2 유니트(22,32) 각각의 송신단자가 상기 기준셀프(10)의 제 1 유니트(11), 제 2 유니트(12)의 수신 단자에 이중화되어 연결되어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셀프간의 인터페이스에서 각 셀프에 워킹 유니트 한 장씩만 실장되어 있으면 인터페이스에 영향을 주지 않고 시스템을 동작시킬 수 있어 시스템의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교환기 셀프간 이중화 인터페이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나의 셀프내에 이중화된 유니트 구조(제 1 유니트, 제 2 유니트)를 구비하여 워킹 유니트와 스텐바이 유니트로 동작하는 전자교환기 시스템내에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준 셀프와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처리하는 제 1, 제 2 입/출력 셀프 간의 인터페이스 구조에 있어 각 셀프간의 인터페이스에 관련하는 유니트의 워킹, 스탠바이의 구분없이 동작하도록 하는 교환기 셀프간 이중화 인터페이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전자교환기 시스템의 경우 하나의 셀프내에 이중화된 유니트 구조를 구비하여 워킹 유니트와 스텐바이 유니트로 동작하게하여 예상치 않은 사태에 대비하여 하나의 유니트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동작하는 다른 유니트를 동작시켜서 전체 교환기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전전자교환기 시스템의 서로 다른 셀프간에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유니트가 존재한다. 이 유니트들도 역시 워킹(working)과 스텐바이(standby)로 구분되어져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도 1 에 종래의 교환기 셀프간 인터페이스 구조의 유니트 연결상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셀프간 데이터의 인터페이스에서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유니트들은 셀프 1(10)과 셀프 2,3(20,30)간의 인터페이스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케이블은 각각 1:1로 구성된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셀프 1(10)의 유니트 A,B(11,12)와 셀프 2(20)의 유니트 A,B(21,22)과 셀프 3(30)의 유니트 A,B(31,32)은 각각 연결되어져 있다. 그리고 케이블의 구조를 보면 셀프 1(10)의 유니트 A(11)에 해당하는 2개의 케이블은 셀프 2(20)와 셀프 3(30)의 유니트 A,B(21,22,31,32)에 1: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셀프 1(10)의 유니트 A(11)에 해당하는 케이블은 셀프 2,3(20,30)의 유니트 A(21,31)에 연결되어 있고, 셀프 1(10)의 유니트 B(12)는 셀프 2.3(20,30)의 유니트 B(22,32)에 연결되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셀프 1(10)의 유니트 A,B유니트 (워킹,스텐바이)가 둘다 실장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셀프 2(20)의 A(또는 B), 셀프 3(30)의 A(또는 B)가 탈장되어도 데이터의 송수신에는 지장이 없다.
그러나 서로 엇갈린 상태에서 탈장되면 문제가 발생한다. 즉, 셀프 1(10)의 유니트 A(11),B(12) 중 한 장이 탈장되어 있는 경우 셀프 2(20)와 셀프 3(30)의 유니트들이 서로 엇갈린 상태로 셀프 2(20)에서는 A(21)가 탈장되고 셀프 3(30)에서는 B(32)가 탈장되면 데이터의 인터페이스가 하나의 셀프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그러므로, 셀프 1(10)의 유니트 한 장 A(또는 B)가 탈장되면 셀프 2,3(20,30)에서는 셀프 1(10)의 실장된 유니트 B(12)(또는 A(11))가 할상 실장되어 있어야 정상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교환기 셀프간 인터페이스 구조에 의하면 셀프 1(10)의 유니트 A,B(11,12)이 모두 실장된 상태에서는 셀프 2,3(20,30)에서 유니트 A,B(11,12)의 구분없이 한 장만 실장되어 있으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데 지장이 없으나 셀프 1(10)의 유니트 A,B(11,12)중 한 장이 탈장되어 있으면 셀프 2,3(20,30)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셀프 1(10)의 유니트 A,B(11,12)중 어떤 유니트가 불량이거나 셀프 2,3(20,30)의 유니트가 엇갈린 상태라도 한 장만 실장되어 있으면 셀프 1(10)과 셀프 2,3(20,30)이 정상적으로 인터페이스하며 워킹과 스텐바이의 구분없이 어떤 유니트가 탈장되어도 셀프간 인터페이스를 정상적으로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교환기 셀프간 이중화 인터페이스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교환기 셀프간 인터페이스 구조의 유니트 연결상태도,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교환기 셀프간 이중화 인터페이스 구조의 유니트 연결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기준 셀프(셀프 1) 11,12,2122,31,32 : 유니트
13: 셀프 1의 마더보드 20 : 입출력 셀프(셀프 2)
23 : 셀프 2의 마더보드 24,25 : 이중화 점퍼 연결점
30 : 입출력 셀프(셀프 3) 33 : 셀프 3의 마더보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교환기 셀프간 이중화 인터페이스 구조는 하나의 셀프내에 이중화된 유니트 구조(제 1 유니트, 제 2 유니트)를 구비하여 워킹 유니트와 스텐바이 유니트로 동작하는 전자교환기 시스템내에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준 셀프와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처리하는 제 1, 제 2 입/출력 셀프 간의 인터페이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준셀프의 제 1 유니트, 제 2 유니트 각각의 송신단자가 상기 제 1 입/출력 셀프의 제 1 유니트와 제 2 유니트의 수신단자에 이중화되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입/출력 셀프의 제 1 유니트와 제 2 유니트의 수신단자에 이중화되어 연결되고; 상기 제 1, 제 2 입/출력 셀프의 제 1 유니트와 제 2 유니트 각각의 송신단자가 상기 기준셀프의 제 1 유니트, 제 2 유니트의 수신 단자에 이중화되어 연결되어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의 이중화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인터페이스의 이중화를 위한 점퍼작업이 각각 수신측 셀프의 마더보드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 1(10)에서 셀프 2,3(20,30)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가 도시되고, 도 2b에는 셀프 2,3(20,30)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를 셀프1에서 수신하는 경우로 도 2a와 대칭되는 구조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 1(10)에 있는 각 유니트들의 송신단자는 셀프 2,3(20,30)에 유니트 A,B(21,22,31,32)의 수신단자로 이중화 되어서 케이블로 연결된다. 이 경우는 셀프 1(10)(10)의 유니트 유니트 A,B(11,12)중 어떤 것이 탈장되더라도 셀프 2,3(20,30)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셀프 2,3(20,30)의 각각의 유니트 A,B(21,22,31,32)에 모두 입력됨에 따라 셀프 1(10)의 유니트 A,B(11,12)중 어떤 유니트 한 장이 탈장되더라도 데이터의 송신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셀프 1(10)의 유니트 중 적어도 한 장 A (또는 B)만 실장되어 있고 셀프 2,3(20,30) 에서도 적어도 한 장의 유니트만 실장되어 있으면 데이터의 송신에는 지장이 없다.
또한, 셀프 2,3(20,30)로 입력되는 데이터의 인터페이스 이중화를 위한 점퍼작업은 셀프 2(20)의 마더보드(2M/B)(23)와 셀프 3(30)의 마더보드(3M/B)(33)에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중화되어져 입력되는 데이터를 탭에 의한 영향을 적게 만들어 주기 위한 것이다.
그렇지 않고 셀프 1(10)(10)에서 이중화를 할 경우는 이중화 작업지점(24,25)중 어느 한쪽이 단락되면 단락된 만큼의 탭이 생겨서 이로 인한 저항을 무시할 수 없다.
도 2b에는 셀프 1(10)(10)에 셀프 2,3(20,3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 유니트의 연결상태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 2,3(20,30)의 유니트중 어느 하나가 탈장되더라도 셀프 1(10)에 입력되는 데이터의 동작에는 지장을 주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 2,3(20,30)에 유니트 A,B의 송신단자는 셀프 1(10)에 있는 각 유니트들의 수신단자로 이중화 되어서 케이블로 연결된다. 이 경우는 셀프 2,3(20,30)의 유니트 유니트 A,B중 어떤 것이 탈장되더라도 셀프 1(10)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셀프 1(10)의 유니트 A,B에 모두 입력됨에 따라 셀프 2,3(20,30)의 각각의 유니트 A,B중 어떤 유니트 한 장이 탈장되더라도 데이터의 수신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셀프 2,3(20,30)의 유니트 중 각각의 유니트에서 적어도 한 장 A (또는 B)만 실장되어 있고 셀프 1(10)에서도 적어도 한 장의 유니트만 실장되어 있으면 데이터의 송신에는 지장이 없다.
또한 셀프 1(10)로 입력되는 데이터의 이중화는 셀프 1(10)의 마더보드(13)에 시켜 주어야 브리지 탭에 의한 저항의 영향을 적게 받으므로 입력되는 데이터의 쇼트 포인트(short point)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유니트 A,B에 근접할수록 탭에 의한 저항의 영향을 적게 받게 된다.
상술한 셀프 1(10)과 셀프 2,3(20,30)의 관계는 셀프 1(10)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준 셀프를 의미하고 셀프 2,3(20,30)은 입/출력 셀프를 의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셀프내에 워킹과 스텐바이의 구분없이 어떤 유니트가 탈장되어도 정상적인 셀프간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하므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준 셀프와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을 처리하는 입/출력 셀프간에 인터페이스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셀프간의 인터페이스에서 각 셀프에 워킹 유니트 한 장씩만 실장되어 있으면 인터페이스에 영향을 주지 않고 시스템을 동작시킬 수 있어 시스템의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 하나의 셀프내에 이중화된 유니트 구조(제 1 유니트, 제 2 유니트)를 구비하여 워킹 유니트와 스텐바이 유니트로 동작하는 전자교환기 시스템내에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준 셀프(10)와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처리하는 제 1, 제 2 입/출력 (20,30)셀프 간의 인터페이스 구조에 있어서,상기 기준셀프(10)의 제 1 유니트(11), 제 2 유니트(12) 각각의 송신단자가 상기 제 1 입/출력 셀프(20)의 제 1 유니트(21)와 제 2 유니트(22)의 수신케이블에 이중화되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입/출력 셀프(30)의 제 1 유니트(31)와 제 2 유니트(32)의 수신단자에 이중화되어 연결되고;상기 제 1, 제 2 입/출력 셀프(20,30)의 제 1 유니트(21,31)와 제 2 유니트(22,32) 각각의 송신단자가 상기 기준셀프(10)의 제 1 유니트(11), 제 2 유니트(12)의 수신 단자에 이중화되어 연결되어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셀프간 이중화 인터페이스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의 이중화를 위한 점퍼작업이 각각 수신측 셀프의 마더보드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셀프간 이중화 인터페이스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20048U KR200206030Y1 (ko) | 1998-10-20 | 1998-10-20 | 교환기 셀프간 이중화 인터페이스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20048U KR200206030Y1 (ko) | 1998-10-20 | 1998-10-20 | 교환기 셀프간 이중화 인터페이스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8371U KR20000008371U (ko) | 2000-05-15 |
KR200206030Y1 true KR200206030Y1 (ko) | 2000-12-01 |
Family
ID=1953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20048U KR200206030Y1 (ko) | 1998-10-20 | 1998-10-20 | 교환기 셀프간 이중화 인터페이스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6030Y1 (ko) |
-
1998
- 1998-10-20 KR KR2019980020048U patent/KR20020603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8371U (ko) | 2000-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77096A (en) | Transmission system having stand-by line switching facility | |
US7032135B2 (en) | Equipment protection using a partial star architecture | |
KR200206030Y1 (ko) | 교환기 셀프간 이중화 인터페이스 구조 | |
JPH04286239A (ja) | 通信装置 | |
KR20000040686A (ko) | Lan 선로의 이중화 시스템 | |
JPH02149040A (ja) | データ伝送方式 | |
KR200301942Y1 (ko) | 전송시스템의 전송경로 절체제어장치 | |
JP2000244369A (ja) | 伝送装置 | |
KR100308926B1 (ko) | 통신 시스템의 예비 절체 장치 | |
KR200236879Y1 (ko) | Ipc이중화경로구조 | |
JP3603753B2 (ja) | 信号処理装置 | |
KR100359451B1 (ko) |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버스 이중화 장치 | |
US6611409B1 (en) | Line module protection method and device utilizing said method | |
KR100485051B1 (ko) |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보드 간 정합 장치 | |
KR200326001Y1 (ko) | 전전자 교환기의 공간스위치의 이중화 장치 | |
KR100306482B1 (ko) | 엔 대 일 이중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제어 방법 | |
KR100193063B1 (ko) | 전전자교환기 내 광데이타 링크의 이중화 선택회로 | |
KR910005713A (ko) | 타임스위치 장치를 이중화하여 구성한 디지틀 전자교환기 | |
JP2793693B2 (ja) | 信号アクセス方式 | |
KR200193572Y1 (ko) | 전송시스템의 보호라인 이중화장치 | |
JP2583002B2 (ja) | 2重系時分割通話路照合監視装置 | |
JPH11231903A (ja) | 制御システム | |
KR20000037970A (ko) | 전전자 교환기의 프로세서 링크 경로 제어 장치 | |
KR20000054934A (ko) | 교환기 시스템내 보드 및 노드의 이중화 절체구조 | |
KR20030068851A (ko) |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보드 링크 상태 관리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