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942Y1 - 전송시스템의 전송경로 절체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송시스템의 전송경로 절체제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1942Y1 KR200301942Y1 KR20-2002-0023707U KR20020023707U KR200301942Y1 KR 200301942 Y1 KR200301942 Y1 KR 200301942Y1 KR 20020023707 U KR20020023707 U KR 20020023707U KR 200301942 Y1 KR200301942 Y1 KR 20030194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mission
- boards
- line
- data
- redunda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의 전송경로상에 연결되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각각 처리하는 복수개의 전송보드와, 상기 전송보드들을 이중화하여 액티브와 스탠바이로 각각 지정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혹은 별개의 전송경로를 형성하는 이원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들 보드들의 데이터전송기능을 이중화/이원화로 제어하는 제어보드와, 상기 제어보드의 이중화 혹은 이원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전송보드의 전송경로들을 절체하여 이중화 혹은 이원화시키는 절체모듈로 이루어진 전송시스템의 전송경로 절체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이중화로 구성된 전송시스템의 데이터전송경로를 절체모듈을 통해 이중화 및 이원화 데이터 전송을 모두 실행시키므로써, 회선용량 증대를 위해 별도로 선로를 증설하지 않고도 기존에 가설된 이중화선로를 그대로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므로 그에 따라 전송선로의 추가가설비용을 상당히 저감할 수 있음은 물론 데이터 전송시 절체장치를 통해 데이터의 전송상태에 따라 이중화 혹은 이원화로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전송장치의 전송품질도 상당히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전송시스템의 전송경로 절체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화로 구성된 전송시스템의 데이터전송경로를 절체모듈을 통해 이중화 및 이원화 데이터 전송을 모두 실행시키는 전송시스템의 전송경로 절체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혹은 통신시스템은 제공되는 서비스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시스템들이 사용될 수 있는데, 크게 분류하면 서비스 이용자 댁내에 설치되는단말장치, 그리고, 멀리 떨어진 두지점 사이에서 트래픽을 전달하는 전송시설 그리고 전송시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이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연결을 변경하여 두 단말 장치 사이에서 통신회선이 선택적으로 구성되게 하는 전송시스템 등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전송시스템에 디지털기술이 점목되어 그 기능이 급속도로 대용량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전송시스템의 자국 혹은 대향국 모두에는 내부 장치들의 불안정으로 인해 호의 끊김이나 또는 시스템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버스라인을 통해 액티브와 스텐바이측으로 나누어 이중화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이중화방식에 의해 구현된 전송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먼저 이중화로 구성된 전송경로(70A-B)상에 연결되고 액티브(active) 혹은 스탠바이(standby)로 각각 지정되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각각 처리하는 이중화 전송보드(71A-B,72A-B)와, 상기 이중화 전송보드(71A-B,72A-B)들을 액티브와 스탠바이로 각각 지정하고 이들 보드(71A-B,72A-B)의 데이터전송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보드(73A-B)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이중화 전송시스템은 복수의 송수신경로를 통해 연결되는 자국(74)과 대향국(75)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이중화 전송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자국(74) 혹은 대향국(75)의 각 제어보드들(73A-B)은 복수개의 이중화 전송보드(71A-B,72A-B)중 어느 하나는 액티브로, 다른 하나는 스탠바이로 지정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중화 전송보드(71A-B,72A-B)중 이중화전송보드(71A,72A)를 액티브로, 반면에 나머지 이중화 전송보드(71B,72B)는 스탠바이로 설정하였다. 이때, 상기 외부 전송시스템(도시안됨)으로부터 전송신호가 자국(74)의 액티브로 동작되는 이중화 전송보드(71A)와 스탠바이로 동작되는 이중화 전송보드(71B)로 각각 입력될 경우 상기 이중화 전송보드(71A-B)들은 그 설정된 기능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처리하여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자국(74)의 제어보드(73A)는 상기 이중화 전송보드(71A-B)들로부터 각각 출력된 송신신호를 함께 혼합하여 송신전송선로(70A)를 통해 대향국(75)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대향국(75)의 제어보드(73B)는 대향국(75)의 이중화 전송보드들(72A-B)을 통해 상기 송신전송선로(70A)를 통해 전송되온 데이터신호를 각각 처리하여 예컨대, 하부의 가입자기기(도시안됨)로 전송하여 호를 실행시킨다.
반면에, 상기 대향국(75)에서 자국(74)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상기 과정과는 역으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전송시스템이 액티브와 스탠바이의 이중화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액티브로 동작하는 이중화 전송보드(71A,72A)에 장애가 발생되더라도 다른 스탠바이로 동작하는 이중화 전송보드(71B,72B)가 액티브로 절체되어 동작되므로 데이터 전송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이중화 전송시스템은 한번 이중화 선로로 구성될 경우 다른 구성선로로의 변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예컨대, 현재 이중화 선로가 중요한 정보선로가 아니어서 선로의 용량증가를 위해 선로를 변경할 필요가 있을 경우 별도로 선로를 가설해야 하므로 그에 따라 전송경로의 가설비용이 상당히 증가되었으며, 또한 이중화 선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조건에 맞게 선로를 선택제어할 수 없으므로 그에 따라 전송시스템의 기능성도 상당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절체모듈을 통해 회선용량 증대를 위해 별도로 선로를 증설하지 않고도 기존에 가설된 이중화선로를 그대로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므로 그에 따라 전송선로의 추가가설비용을 상당히 저감할 수 있는 전송시스템의 전송경로 절체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전송시 절체장치를 통해 데이터의 전송상태에 따라 이중화 혹은 이원화로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전송장치의 전송품질도 상당히 향상시키는 전송시스템의 전송경로 절체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복수의 전송경로상에 연결되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각각 처리하는 복수개의 전송보드와, 상기 전송보드들을 이중화하여 액티브와 스탠바이로 각각 지정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혹은 별개의 전송경로를 형성하는 이원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들 보드들의 데이터전송기능을 이중화/이원화로 제어하는 제어보드와, 상기 제어보드의 이중화 혹은 이원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전송보드의 전송경로들을 절체하여 이중화 혹은 이원화시키는 절체모듈로 이루어진 전송시스템의 전송경로 절체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이중화 전송시스템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고안의 절체제어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부호의 상세한 설명>
1A-D: 전송경로 2A-B: 전송보드
3A-B: 전송보드 4A-B: 제어보드
5A-B: 절체모듈 6 : 자국
7 : 대향국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복수의 전송경로(1A-D)상에 연결되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각각 처리하는 복수개의 전송보드(2A-B, 3A-B)와, 상기 전송보드(2A-B, 3A-B)들을 이중화하여 액티브와 스탠바이로 각각 지정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혹은 별개의 전송경로를 형성하는 이원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들 보드들(2A-B, 3A-B)의 데이터전송기능을 이중화/이원화로 제어하는 제어보드(4A-B)와, 상기 제어보드(4A-B)의 이중화 혹은 이원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전송보드(2A-B, 3A-B)의 전송경로들을 절체하여 이중화 혹은 이원화시키는 절체모듈(5A-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 전송시스템은 복수의 송수신경로를 통해 연결되는 자국(6)과 대향국(7)의 전송시스템내에 구현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 장치는 이중화 혹은 이원화로 동작시킬 것인지를 결정하고 예컨대,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을 고려할 경우엔 전송경로를 이중화로, 선로의 용량을 증가시킬 필요성이 있을 때는 전송경로를 이원화로 선택적용할 수가 있다.
예컨대, 본 고안 장치를 이중화로 동작시킬 경우에는 자국(6)의 제어보드(4A)와 대향국(7)의 제어보드(4B)로 이중화기능을 설정해 준다. 그러면, 상기 자국(6)과 대향국(7)의 제어보드(4A-B)는 절체모듈(5A-B)로 이중화 제어신호를 각각 입력시켜 전송경로를 이중화 모드로 작용되게 하는데, 예컨대, 상기 절체모듈(5A-B)은 상기 제어보드(4A-B)의 이중화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개의 전송보드(2A-B, 3A-B)중 어느 하나를 액티브로, 다른 하나는 스탠바이로 설정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송보드(2A-B, 3A-B)중 전송보드(2A, 3A)를 액티브로, 반면에 나머지 전송보드(2B, 3B)는 스탠바이로 설정하였다.
이때, 상기 외부 전송시스템(도시안됨)으로부터 전송신호가 자국(6)의 액티브로 동작되는 전송보드(2A, 3A)와 스탠바이로 동작되는 전송보드(2B, 3B)로 각각 입력될 경우 상기 전송보드(2A-B, 3A-B)들은 그 설정된 기능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처리하여 절체모듈(5A-B)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자국(6)의 절체모듈(5A)은 제어보드(4A)의 이중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이중화 전송보드(2A-B)들로부터 각각 출력된 송신신호를 함께 혼합하여 송신전송선로(1A)를 통해 대향국(7)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대향국(7)의 절체모듈(5B)은 상기 자국(6)의 송신전송선로(1A)를 통해 전송되온 데이터신호를 그 절체된 이중호 전송경로를 통해 현재 액티브와 스탠바이로 동작하고 있는 전송보드(3A-B)로 각각 출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액티브와 스탠바이로 동작하고 있는 각각의 전송보드들(3A-B)은 제어보드(4B)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 호신호들을 그 설정된 방식으로 각각 처리하여 예컨대, 하부의 가입자기기(도시안됨)로 전송하여 호를 실행시킨다.
반면에, 상기 대향국(7)에서 자국(6)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상기 과정과는 역으로 전송경로(1B)를 따라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전송보드들(2A-B, 3A-B)이 절체모듈(5A-B)을 통해 액티브와 스탠바이의 이중화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액티브로 동작하는 전송보드(2A, 3A)에 장애가 발생되더라도 다른 스탠바이로 동작하는 전송보드(2B, 3B)가 액티브로 절체되어 동작되므로 데이터 전송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가 있다.
반면에, 본 고안 장치의 전송선로를 이원화로 설정하기를 원할 경우 자국(6)과 대향국(7)의 관리자는 제어보드(4A-B)를 통해 이원화기능을 설정해주게 된다. 그러면, 상기 자국(6)과 대향국(7)의 제어보드(4A-B)는 절체모듈(5A-B)로 이원화 제어신호를 각각 입력시킨다. 그리고, 상기 절체모듈(5A-B)은 입력된 제어보드(4A-B)의 이원화 제어신호에 따라 현재 설정된 전송경로를 이원화시킨다.
예컨대, 상기 자국(6)과 대향국(7)의 전송보드들(2A-B, 3A-B)이 액티브와 스탠바이의 구성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이를 해제시키고 이들 전송보드들(2A-B, 3A-B)을 전송경로별로 완전히 이원화시킨다.
즉, 상기 자국(6)의 전송보드(2A)는 절체모듈(5A)과 전송경로(1A,1B)와 대향국(7)의 절체모듈(5B)을 경유하여 대향국(7)의 전송보드(3A)로만 연결되고, 반면에, 상기 자국(6)의 전송보드(2B)는 절체모듈(5A)과 전송경로(1C,1D)와 대향국(7)의 절체모듈(5B)을 경유하여 대향국(7)의 전송보드(3B)로만 연결된다.
이때, 상기 대향국(7)의 전송보드(2A)로 데이터가 수신될 경우 이 데이터는 전송보드(2A)와 절체모듈(5A) 및 전송경로(1A)를 통해 자국(6)의 절체모듈(5B)로 전송되는데, 이때, 상기 대향국(7)의 전송보드(3B)로는 이원화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신호가 전혀 처리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자국(6)의 절체모듈(5A)로 입력된 데이터신호는 자국(6)의 전송보드(2A)로만 입력되어 호처리된 다음 다음 목적지로 라우팅되는데, 이때 자국(6)의 전송보드(2B)로는 이원화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신호가 전혀 처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자국(6)과 대향국(7)의 전송보드(2A-B, 3A-B)와, 자국(6)과 대향국(7)의 전송보드(2A-B, 3A-B)가 각각 별개로 이원화되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이전의 이중화 선로에 비해 다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본 고안 실시예에서는 이원화 전송경로를 자국(6)과 대향국(7)의 전송보드가 2개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2개 이상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그 개수 만큼 이원화 전송경로를 설치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이중화로 구성된 전송시스템의 데이터전송경로를 절체모듈을 통해 이중화 및 이원화 데이터 전송을 모두 실행시키므로써, 회선용량 증대를 위해 별도로 선로를 증설하지 않고도 기존에 가설된 이중화선로를 그대로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므로 그에 따라 전송선로의 추가가설비용을 상당히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데이터 전송시 절체장치를 통해 데이터의 전송상태에 따라 이중화 혹은 이원화로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전송장치의 전송품질도 상당히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 복수의 전송경로상에 연결되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각각 처리하는 복수개의 전송보드와, 상기 전송보드들을 이중화하여 액티브와 스탠바이로 각각 지정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혹은 별개의 전송경로를 형성하는 이원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들 보드들의 데이터전송기능을 이중화/이원화로 제어하는 제어보드와, 상기 제어보드의 이중화 혹은 이원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전송보드의 전송경로들을 절체하여 이중화 혹은 이원화시키는 절체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시스템의 전송경로 절체제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경로중 이원화 전송경로는 자국과 대향국의 각 전송보드의 개수만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시스템의 전송경로 절체제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3707U KR200301942Y1 (ko) | 2002-08-08 | 2002-08-08 | 전송시스템의 전송경로 절체제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3707U KR200301942Y1 (ko) | 2002-08-08 | 2002-08-08 | 전송시스템의 전송경로 절체제어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1942Y1 true KR200301942Y1 (ko) | 2003-01-29 |
Family
ID=49399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23707U KR200301942Y1 (ko) | 2002-08-08 | 2002-08-08 | 전송시스템의 전송경로 절체제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1942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7421B1 (ko) * | 2009-06-23 | 2010-11-30 | 성창통신 주식회사 | 이중화 절체 장치 |
-
2002
- 2002-08-08 KR KR20-2002-0023707U patent/KR20030194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7421B1 (ko) * | 2009-06-23 | 2010-11-30 | 성창통신 주식회사 | 이중화 절체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530996C (zh) | 通信设备中实现单板主备倒换的系统及方法 | |
KR102075744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이중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
CN101188822B (zh) | 接口板主备倒换的方法、系统和能实现主备倒换的接口板 | |
KR200301942Y1 (ko) | 전송시스템의 전송경로 절체제어장치 | |
JPH09247766A (ja) | 遠方監視制御システム | |
CN103744755A (zh) | 主备单板端口共享保护的实现系统及方法 | |
JPH04286239A (ja) | 通信装置 | |
KR100423488B1 (ko) | 교환시스템에서프로세서간통신망의이중화구조 | |
JP3149047B2 (ja) | 二重化データ処理装置 | |
CN219372452U (zh) | 基于终端双网卡链路聚合的以太网冗余局域网系统 | |
CN210225433U (zh) | 基于以太网供电的通信切换器及电子设备 | |
KR100285332B1 (ko) | 이더넷이중화정합장치 | |
KR100286539B1 (ko) | 이동통신교환기의 이중화넘버.7프로세서의 관리방법 | |
KR101397993B1 (ko) | 접속 교환 프로세서 이중화 시스템 및 방법 | |
KR200206030Y1 (ko) | 교환기 셀프간 이중화 인터페이스 구조 | |
US7075888B1 (en) | Method for operating interface modules in an ATM communications device | |
JPH07226752A (ja) | 二重化lan切替システム | |
JPH088955A (ja) | ポイント・マルチポイント伝送方式 | |
KR200326001Y1 (ko) | 전전자 교환기의 공간스위치의 이중화 장치 | |
JP2023004453A (ja) | 冗長化モジュール | |
KR0174563B1 (ko) | 페이징 송신기에 있어서 주/예비장치의 절체 회로 | |
JP2000269891A (ja) | 光集線装置及び現用系/予備系の切替方法 | |
KR20010054911A (ko) | 통신 시스템의 예비 절체 장치 | |
KR20000055945A (ko) |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기지국 제어기내 링크제어보드의 이중화방법 | |
CN101083506A (zh) | 一种业务收发装置及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1230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