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335Y1 - 전전자 교환기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구조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335Y1
KR0130335Y1 KR2019950050515U KR19950050515U KR0130335Y1 KR 0130335 Y1 KR0130335 Y1 KR 0130335Y1 KR 2019950050515 U KR2019950050515 U KR 2019950050515U KR 19950050515 U KR19950050515 U KR 19950050515U KR 0130335 Y1 KR0130335 Y1 KR 01303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ntrol unit
output
power supply
redundanc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0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906U (ko
Inventor
김천수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2019950050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335Y1/ko
Publication of KR9700479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9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3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3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전자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측에 대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장치를 이중화하는 경우 시스템의 부피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설비비용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전자 교환기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구조는 회로보드의 제1백보드(10)와 제2백보드(20) 모두에 회로를 구성하고, 제1백보드(10)와 제2백보드(20)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케이블 접속부(30)를 구비함으로, 회로 부피가 매우 커져서 실제 교환기에 설치하는 경우 회로 실장 쉘프(shelf)가 증가되고, 회로보드, 전원공급부 및 케이블이 많이 소요되어 시스템 제작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많은 케이블을 사용함으로 인해 해당 케이블 상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시스템 운용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회로 보드의 단일 백보드에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터미널측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므로, 회로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어 시스템 제작비용을 감소시키고, 케이블 사용으로 인한 시스템 운용상의 오류를 해소한다.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구조
제1도는 종래 건전자 교환기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42 : 전원공급부 43, 51 : 입출력제어부
46, 49 : 입출력장치 이중화 제어부 50 : RS232C 콘넥터
52, 53 : 이중화제어부 D1, D2 : 다이오드
본 고안은 전전자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측에 대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장치를 이중화하는 경우 시스템의 부피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설비 비용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전자 교환기에서 CRT터미널 등의 단말기를 접속하여 각종 운용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하여 입출력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이와 같은 입출력장치를 운용하는 경우에 입출력장치의 장애에 기인한 입출력 동작의 중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입출력장치를 이중화하여, 하나의 입출력장치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에 다른 입출력장치를 가동시켜 각종 정보를 입출력하게 하고 있다.
종래 전전자 교환기의 입출력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이중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중화된 입출력장치는 1개 회로보드에 구비되어 있는 양면 백보드 상에 설치되는데, 제1백보드(10)에는 전원공급부(11), 입출력장치 이중화 제어부(15) 및 RS232C 콘넥터(12)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2백보드(20)에는 입출력 제어부(21, 22), 이중화제어부(23, 24) 및 전원공급부(25, 26)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입출력장치 이중화 제어부(15)는 단방향 버퍼(13)와 멀티플렉서(14)를 구비하는데, 단방향 버퍼(13)는 터미널(TM)로부터 RS232C 콘넥터(12)를 경유하여 인가되는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부(21, 22)측으로 출력하고, 멀티플렉서(14)는 입출력 제어부(21) 또는 입출력 제어부(22)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이중화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RS232C 콘넥터(12)를 경유하여 터미널(TM)측으로 출력한다. 이중화 제어부(24)는 A측의 액티브/스탠바이(Active/Stanby) 동작을 제어하고, 이중화 제어부(24)는 B측 액티브/스탠바이 동작을 제어하며, 이중화 제어부(24)는 멀티플렉서(14)측에 액티브 신호를 출력하여 멀티플렉서(14)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1백보드(10)와 제2백보드(20) 사이에 데이터와 신호를 주고받기 위해 케이블 접속부(30)가 구비되어 있고, 제1백보드(10)에는 전원공급부(11)가 구비되어 입출력장치 이중화 제어부(15)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2백보드(20)에는 전원공급부(25, 26)가 구비되어 전원공급부(25)에 의해 입출력 제어부(21)와 이중화 제어부(23)에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공급부(26)에 의해 입출력 제어부(22)와 이중화 제어부(24)에 전원을 공급한다.
터미널(TM)이 접속되는 경우 입출력장치 이중화 제어부(15)가 터미널(TM)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경로를 연결한다. 예를 들어, 제2백보드(20)의 A측이 액티브 상태이고, B측이 스탠바이 상태인 경우, A측의 입출력 제어부(21)는 터미널(TM)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공급받고 터미널(TM)측으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때, A측의 이중화 제어부(23)는 B의 이중화 제어부(24)측으로 자신이 액티브 상태임을 통보하여 B측이 스탠바이 상태에 있게 한다. 그때, 이중화 제어부(24)는 선택제어 신호를 멀티플렉서(14) 출력하여 멀티플렉서(14)가 A측의 입출력 제어부(21)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터머널(TM)측에 전달하게 한다. 이상과 같은 상태에서 A측에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액티브 상태가 B측으로 넘어가고 A측이 오프 상태를 유지하면, B측의 이중화 제어부(24)가 자신이 액티브 상태임을 A측의 이중화 제어부(23)측으로 통보하고, 제1백보드(10)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제어부(15)를 통해 터미널(TM)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데, 그때 이중화 제어부(24)는 선택제어 신호를 멀티플렉서(14) 출력하여 멀티플렉서(14)가 B측의 입출력 제어부(22)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터미널(TM)측에 전달하게 한다. 이때, A측이 전원공급 중단된 상태에 있더라도 제1백보드(10)의 전원공급부(11)가 입출력장치 이중화 제어부(15)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입출력장치 이중화 제어부(15)가 데이터 전달 경로를 변경하여 줄 수 있으며, A측의 입출력 제어부(21)로부터 출력되는 역류신호를 입출력장치 이중화 제어부(15)에서 차단시켜 준다.
이상과 같은 전전자 교환기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구조는 회로보드의 제1백보드(10)와 제2백보드(20) 모두에 회로를 구성하고, 제1백보드(10)와 제2백보드(20)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케이블 접속부(30)를 구비함으로, 회로 부피가 매우 커져서 실제 교환기에 설치하는 경우 회로 실장 쉘프(shelf)가 증가되고, 회로 보드, 전원공급부 및 케이블이 많이 소요되어 시스템 제작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많은 케이블을 사용함으로 인해 해당 케이블 상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시스템 운용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회로 보드의 단일 백보드에 회로를 구성하고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회로 부피를 감소시켜 시스템 제작비용을 감소시키고, 케이블 사용으로 인한 시스템 운용상의 오류를 해소하도록 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구조는,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41)와;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부(42)와; 상기 제1전원공급부(41)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제1입출력제어부(43)와; 상기 제2전원공급부(42)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제2입출력제어부(51)와; 상기 제1입출력제어부(43)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1입출력장치 이중화 제어부(46)와; 상기 제2입출력제어부(51)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2입출력장치 이중화 제어부(49)와; 상기 제1전원공급부(41)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제1입출력장치 이중화 제어부(46)측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제1이중화제어부(52)와; 상기 제2전원공급부(42)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제2입출력장치 이중화 제어부(51)측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제2이중화제어부(53)와; 상기 제1이중화제어부(52)와 제2이중화제어부(52)간에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제1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6)와 제2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9)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공통전원라인(j, k, l, m, n)과; 상기 제1전원공급부(41)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공통전원라인(j, k, l, m, n)을 통해 상기 제1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6)와 제2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9)측에 전달하고 상기 공통전원라인(j, k, l, m, n)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차단하는 제1다이오드(D1)와, 상기 제2전원공급부(42)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공통전원라인(j, k, l, m, n)을 통해 상기 제1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6)와 제2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9)측에 전달하고 상기 공통전원 라인(j, k, l, m, n)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차단하는 제2다이오드(D2)와; 상기 제1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6) 및 제2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9)와 터미널(TM)간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RS232C 콘넥터(50)를 단일의 백보드(40)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일의 백보드(40) 상에 회로를 구성한다. 백보드(40)상에는 전원공급부(41, 42), 입출력제어부(43, 51), 입출력장치 이중화 제어부(46, 40), RS232C 콘넥터(50), 이중화제어부(52, 53) 및 다이오드(D1, D2)를 구비한다. 전원공급부(41)는 A측의 입출력제어부(43)와 이중화제어부(52)측으로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다이오드(D1)를 경유하여 B측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제어부(49)와 A측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제어부(46)측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2)는 B측의 입출력 제어부(51)와 이중화 제어부(53)측으로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다이오드(D2)를 경유하여 B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제어부(49)와 A측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제어부(46)측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중화제어부(52)는 자신이 액티브/스텐바이 상태 인지의 여부를 이중화제어부(530측으로 통보하고, 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6)의 단방향 버퍼(45)를 제어한다. 이중화제어부(53)는 자신이 액티브/스텐바이 상태 인지의 여부를 이중화제어부(52)측으로 통보하고, 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9)의 단방향 버퍼(48)를 제어한다. 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6)는 터미널(TM)로부터 RS232C 콘넥터(50)를 경유하여 인가되는 데이터를 입출력제어부(43)측으로 전달하고, 입출력제어부(43)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RS232C 콘넥터(50)를 경유하여 터미널(TM)측으로 전달하는데, 단방향 버퍼(44)는 RS233C 콘넥터(50)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를 입출력제어부(43)측으로 출력하고, 단방향 버퍼(45)는 입출력제어부(43)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이중화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RS232C 콘넥터(5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9)는 터미널(TM)로부터 RS232C 콘넥터(50)를 경유하여 인가되는 데이터를 입출력제어부(51)측으로 전달하고, 입출력제어부(51)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RS232C 콘넥터(50)를 경유하여 터미널(TM)측으로 전달하는데, 단방향 버퍼(47)는 RS232C 콘넥터(50)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를 이중화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RS232C 콘넥터(50)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다이오드(D1)는 전원공급부(41)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6, 49)측으로 전달하고, 신호가 입출력제어부(43)와 이중화제어부(52)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한다. 다이오드(D2)는 전원공급부(42)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6, 49)측으로 전달하고, 신호가 입출력제어부(51)와 이중화 제어부(53)측으로 연류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전원라인(j, k, l, m, n)은 전원공급부(41, 42)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6, 49)에 공급하여 주기 위한 공통 전원 라인으로서 사용되고, 전원라인(a, b)는 전원공급부(41)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입출력제어부(43)와, 이중화제어부(52)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라인으로서 사용되며, 전원라인(e, d)는 전원공급부(42)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입출력제어부(51)와 이중화제어부(53)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라인으로서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터미널(TM)에 대하여 데이터로 입출력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A측의 전원라인(a, b, c)과 B측의 전원라인(d, e, I)의 공통 전원라인(j, k, l, m, n)을 구비하고 있어서 전원공급부(41, 42) 중의 하나가 전원공급을 중단하더라도 다이오드(D1) 또는 다이오드(D2)를 경유하여 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6, 49)에 전원이 계속 공급되며, A, B측 중의 하나가 전원공급이 중단되더라도 공통 전원라인으로부터 액티브 상태인 측으로 신호가 역류되는 것을 다이오드(D1, D2)에 의해 방지한다. 먼저 A, B측의 전원공급부(41, 42) 모두가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서, A측이 액티브 상태로 동작하고 B측이 스탠바이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A측의 이중화제어부(52)는 로우레벨의 신호를 단방향 버퍼(45)측에 출력함과 동시에 B측의 이중화제어부(53)측으로 출력하여, 단방향 버퍼(45)를 동작시키과, 동시에 자신이 액티브 상태에 있음을 이중화제어부(53)측으로 통보한다. 이때, B측의 이중화제어부(53)는 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9)의 단방향 버퍼(48)측으로 하이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단방향 버퍼(48)의 동작을 중지시켜 입출력제어부(51)가 터미널(TM)측으로 데이터를 출력하지 못하게 하고, A측의 입출력제어부(43)는 단방향 버퍼(44)를 통해 터미널(TM)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함과 동시에 단방향 버퍼(45)를 통해 터미널(TM)측으로 데이터를 출력하면서 터미널(TM)과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이와 같이 A측이 액티브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A측의 전원공급부(41)가 전원공급을 중단하여 입출력제어부(43)와 이중화제어부(52)에 전원공급이 중단되면, B측의 이중화제어부(53)가 액티브 상태로 전환되어 로우레벨의 신호를 단방향 버퍼(48)에 출력하여 단방향 버퍼(48)를 동작시키고, 입출력제어부(51)가 단방향 버퍼(48)를 통해 터미널(TM)측에 데이터를 출력함과 동시에 터미널(TM)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단방향 버퍼(47)를 통해 수신한다. 이때, A측은 전원공급이 중단된 상태이므로 이중화제어부(52)는 단방향 버퍼(45)측으로 아무런 신호도 출력하지 못하여 공통 전원라인(k, m)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단방향 버퍼(45)에 하이레벨의 신호가 공급됨으로써 A측의 단방향 버퍼(45)가 동작정지하여 입출력제어부(43)로부터 데이터가 출력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액티브 상태인 B측은 안전하게 터미널(TM)측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회로 보드의 단일 백보드에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터미널측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므로, 회로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어 시스템 제작비용을 감소시키고, 케이블 사용으로 인한 시스템 운용상의 오류를 해소하게 된다.

Claims (3)

  1. 전전자 교환기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구조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41)와,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부(42)와; 상기 제1전원공급부(41)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제1입출력제어부(43)와; 상기 제2전원공급부(42)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제2입출력제어부(51)와; 상기 제1입출력제어부(43)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1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6)와; 상기 제2입출력제어부(51)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2입출력장치 이중화 제어부(49)와; 상기 제1전원공급부(41)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제1입출력장치 이중화 제어부(46)측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제1이중화제어부(52)와; 상기 제2전원공급부(42)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제2입출력장치 이중화 제어부(51)측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제2이중화제어부(53)와; 상기 제1이중화제어부(52)와 제2이중화제어부(53)간에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제1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6)와 제2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9)측으로 전원으로 공급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공통전원라인(j, k, l, m, n)과; 상기 제1전원공급부(41)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공통전원라인(j, k, l, m, n)을 통해 상기 제1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6)와 제2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9)측에 전달하고 상기 공통전원라인(j, k, l, m, n)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차단하는 제1다이오드(D1)와, 상기 제2전원공급부(42)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공통전원라인(j, k, l, m, n)을 통해 상기 제1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6)와 제2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9)측에 전달하고 상기 공통전원 라인(j, k, l, m, n)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차단하는 제2다이오드(D2)와; 상기 제1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6) 및 제2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9)와 터미널(TM)간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RS232C 콘넥터(50)를 단일의 백보드(40)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6)는 상기 RS232C 콘넥터(50)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입출력제어부(43)측에 전달하는 제1단방향 버퍼(44)와; 상기 제1입출력제어부(43)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이중화제어부(52) 상기 공통전원라인(j, k, l, m, n)을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절환하는 제2단방향 버퍼(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출력장치 이중화제어부(49)는 상기 RS232C 콘넥터(50)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입출력제어부(51)측에 전달하는 제1단방향 버퍼(47)와; 상기 제2입출력제어부(51)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이중화제어부(53) 상기 공통전원라인(j, k, l, m, n)을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절환하는 제2단방향 버퍼(4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구조.
KR2019950050515U 1995-12-28 1995-12-28 전전자 교환기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구조 KR01303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515U KR0130335Y1 (ko) 1995-12-28 1995-12-28 전전자 교환기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515U KR0130335Y1 (ko) 1995-12-28 1995-12-28 전전자 교환기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906U KR970047906U (ko) 1997-07-31
KR0130335Y1 true KR0130335Y1 (ko) 1998-12-01

Family

ID=19440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0515U KR0130335Y1 (ko) 1995-12-28 1995-12-28 전전자 교환기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3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906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02257C (en) Communication device for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signals
KR0130335Y1 (ko) 전전자 교환기의 입출력장치 이중화 구조
KR0167200B1 (ko) 변전소 통신제어기의 이중화 절환장치
KR015042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티버스 감시 및 중계 장치
KR100729930B1 (ko) 이중화 시스템의 절체 회로
KR100308926B1 (ko) 통신 시스템의 예비 절체 장치
KR200326001Y1 (ko) 전전자 교환기의 공간스위치의 이중화 장치
JPH11353062A (ja) 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の電源切替回路
KR19980050247U (ko) 전전자 교환기의 입출력 포트 이중화 및 모드 선택 장치
KR200236879Y1 (ko) Ipc이중화경로구조
KR100291033B1 (ko)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 장치 및방법
JP3279068B2 (ja) 二重化制御装置
KR100208231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프로세서간 통신에서의 버스 터미네이션을 위한 전원 공급 장치
KR100231776B1 (ko) 개인 휴대 통신 교환기의 프로세서간 통신 경로 절체 장치
KR200301942Y1 (ko) 전송시스템의 전송경로 절체제어장치
KR200193996Y1 (ko)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 공간분할 스위치장치
KR20000037970A (ko) 전전자 교환기의 프로세서 링크 경로 제어 장치
KR100575957B1 (ko) 전송장치에서 서비스 유지장치 및 방법_
JPH02305145A (ja) カレントループ伝送システム
KR10020823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프로세서간 통신에서의 상태 신호 안정화 장치
KR100258723B1 (ko) 멀티 시리얼 더미 터미날을 이용한 이중화 시스템
KR0145930B1 (ko)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스위칭네트워크의 이중화제어회로
KR100247008B1 (ko) 이중화 모듈간 스위칭제어회로
JPH08237248A (ja) ネットワーク監視装置の接続装置及び接続方法
JPH11275063A (ja) デジタル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