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951B1 -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951B1
KR101562951B1 KR1020140007666A KR20140007666A KR101562951B1 KR 101562951 B1 KR101562951 B1 KR 101562951B1 KR 1020140007666 A KR1020140007666 A KR 1020140007666A KR 20140007666 A KR20140007666 A KR 20140007666A KR 101562951 B1 KR101562951 B1 KR 101562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ceiling
dustproof
dustproof material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7872A (ko
Inventor
한희갑
이상준
문기영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7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951B1/ko
Publication of KR20150087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2009/186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arrangements for damping v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판(1)이 부착되는 천장부재(2) 및 상기 천장부재(2)를 고정하는 캐링찬넬(3)을 포함하는 천장구조물에 사용되는 방진행거에 있어서, 일단은 천장면(4)에 형성된 결합부재(200)와 결합되며, 타단은 캐링찬넬(3)과 결합된 행거클립(100); 및 상기 행거클립(100)과 상기 결합부재(200) 사이에 형성된 방진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A DAMPING HANGER FOR THE CEIL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CELLING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구조물에 사용되는 방진기능을 갖춘 행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장판이나 그 부속설비를 천장에 고정시키는 행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진설계로 건물의 요동이나 지진시 완충성을 발휘하여 슬라브를 통해 전달되는 고체음을 차단하여 층간 소음 및 진동을 격감시키며, 천장에 고정된 설비들이 충격을 받거나, 이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그로 인한 소음 및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는 공동주택과 같은 다층 건물의 층간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것이다.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공동주택의 주거환경이 증대되면서 윗층과 아랫층 간의 소음문제가 사회적 해결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층간에 일정한 공간을 두어 소음과 진동을 방지하거나, 층간 공간에 방진재를 충전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려 왔으나, 그 효과가 미미하여 과제 해결에 기여하기 어려웠다.
또한, 층간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한 생활 환경의 불편의 문제 이외에도 종래의 천장구조물에 사용되는 행거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설비가 미비하여 소음이나 진동이 행거를 타고 그대로 전하여져 행거가 파지하고 있는 천장설비들이 요동하여 파손되거나 큰 소음이 발생하는 등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천장구조물은 약한 진동에도 행거를 타고 건물의 진동이 그대로 천장설비물에 전달되어 천장구조물에 대한 파손이 누적되는 경우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천장구조물용 행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층에서 전달되어오는 고체 진동을 차단할 수 있는 방진기능을 포함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진부재가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압축도가 표시된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기간이 짧으며, 공사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천장판(1)이 부착되는 천장부재(2) 및 상기 천장부재(2)를 고정하는 캐링찬넬(3)을 포함하는 천장구조물에 사용되는 방진행거에 있어서, 일단은 천장면(4)에 형성된 결합부재(200)와 결합되며, 타단은 캐링찬넬(3)과 결합된 행거클립(100); 및 상기 행거클립(100)과 상기 결합부재(200) 사이에 형성된 방진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행거클립(100)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부재(2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면(110)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200)는, 일단은 상기 천장면(4)과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결합면(110)에 형성된 행거클립 관통홀(111)에 삽입되는 행거볼트(210); 상기 행거볼트(210)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면(110)에 하향 하중을 제공하는 상부너트(220); 및 상기 행거볼트(210)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면(110)에 상향 하중을 제공하는 하부너트(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진부(300)는, 상기 상부너트(220)와 상기 결합면(110) 사이에 형성된 상부방진부(310); 및 상기 하부너트(230)와 상기 결합면(110) 사이에 형성된 하부방진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방진부(310)는, 상기 결합면(110)에 접촉되어 상기 결합부재(200)를 통하여 전달되어 오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상부방진재(311); 및 상기 상부너트(220)가 제공하는 하향 하중을 분산하는 상부 금속 플레이트(3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방진부(320)는, 상기 결합면(110)에 접촉되어 상기 결합부재(200)를 통하여 전달되어 오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하부방진재(321); 및 상기 하부너트(230)가 제공하는 상향 하중을 분산하는 하부 금속 플레이트(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방진재(311)에 형성되며 상기 행거볼트(210)가 관통되는 상부방진재 관통홀(314)의 직경이, 상기 상부 금속 플레이트(312)에 형성되며 상기 행거볼트(210)가 관통되는 상부 금속 플레이트 관통홀(313)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방진재(321)에 형성되며 상기 행거볼트(210)가 관통되는 하부방진재 관통홀(324)의 직경이, 상기 하부 금속 플레이트(322)에 형성되며 상기 행거볼트(210)가 관통되는 하부 금속 플레이트 관통홀(323)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방진부재 관통홀(314)의 직경이, 상기 행거클립 관통홀(111)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방진부재 관통홀(324)의 직경이, 상기 행거클립 관통홀(111)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방진부재(311)의 종단면의 크기가 상기 상부 금속 플레이트(312)의 종단면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방진재(321)의 종단면의 크기가 상기 하부 금속 플레이트(322)의 종단면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방진재(321)의 일측에는 방진날개(3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행거클립(100)에는 상기 하부너트(230)가 제공하는 상향 하중에 의한 상기 하부방진재(321)의 압축범위를 표시하는 눈금자(400)가 표시되며, 상기 눈금자(400)는 상기 하부방진재(321)의 스프링 상수가 작아지는 압축구간을 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눈금자(400)는 상기 하부너트(230)가 제공하는 상향 하중에 의한 상기 하부방진재(321)의 두께의 변화율이 5% ~ 15% 사이인 구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천장면(4)에 형성된 결합부재(200)에 행거클립(100)의 일단을 결합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행거클립(100)의 타단에 캐링찬넬(3)을 결합하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캐링찬넬(3)에 천장판(1)이 부착되는 천장부재(2)를 고정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재(200)는, 일단은 상기 천장면(4)과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결합면(110)에 형성된 행거클립 관통홀(111)에 삽입되는 행거볼트(210); 상기 행거볼트(210)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면(110)에 하향 하중을 제공하는 상부너트(220); 및 상기 행거볼트(210)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면(110)에 상향 하중을 제공하는 하부너트(230);를 포함하며, 상기 방진부(300)는, 상기 상부너트(220)와 상기 결합면(110) 사이에 형성된 상부방진부(310); 및 상기 하부너트(230)와 상기 결합면(110) 사이에 형성된 하부방진부(3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계(S100)는, 상기 행거볼트(210)를 상기 상부너트(220), 상기 상부방진부(310), 상기 행거클립 관통홀(111) 및 상기 하부방진부(320)에 삽입시키는 삽입단계; 및 상기 하부방진부(320)를 상기 하부너트(230)가 제공하는 상향 하중에 의해, 상기 행거클립(100)에 표시된 눈금자가 제시하는 압축범위까지 압축하는 압축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눈금자(400)는 상기 하부방진재(321)의 스프링 상수가 작아지는 압축구간을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눈금자(400)는 상기 하부너트(230)가 제공하는 상향 하중에 의한 상기 하부방진재(321)의 두께의 변화율이 5% ~ 15% 사이인 구간을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층에서 전달되어오는 고체 진동을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3dB 이상 저감시킨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구조물에 사용되는 방진부재가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구조물의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정밀하게 천장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공사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가 시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와 방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방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거클립의 상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방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방진부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부재의 변위에 따른 스프링 상수의 변화도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는 기본적으로 천장판(1)이 부착되는 천장부재(2) 및 천장부재(2)를 고정하는 캐링찬넬(3)을 포함하는 천장구조물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천장면(4)에 형성된 결합부재(200)와 결합되며, 타단은 캐링찬넬(3)과 결합된 행거클립(100) 및 행거클립(100)과 결합부재(200) 사이에 형성된 방진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도 2).
본 발명에 따르면, 상층에서 전달되어 오는 진동 및 소음은 천장면(4)에서 결합부재(200)를 통해 전달되어 오므로, 결합부재(200)와 결합된 행거클립(100)과 결합부재(200) 사이에 방진부(300)를 형성시킴으로서, 상층에서 전달되어 오는 진동 및 소음이 하층의 천장구조물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행거클립(100)의 일단에는 결합부재(2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면(110)이 형성되며, 결합부재(200)는, 일단은 상기 천장면(4)과 결합되며 타단은 결합면(110)에 형성된 행거클립 관통홀(111)에 삽입되는 행거볼트(210), 행거볼트(210)에 체결되어 결합면(110)에 하향 하중을 제공하는 상부너트(220) 및 행거볼트(210)에 체결되어 결합면(110)에 상향 하중을 제공하는 하부너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방진부(300)는, 상부너트(220)와 결합면(110) 사이에 형성된 상부방진부(310) 및 하부너트(230)와 결합면(110) 사이에 형성된 하부방진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상부방진부(310)는, 결합면(110)에 접촉되어 결합부재(200)를 통하여 전달되어 오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상부방진재(311) 및 상부너트(220)가 제공하는 하향 하중을 분산하는 상부 금속 플레이트(312)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도 3).
행거볼트(210)는 상부방진재(311) 및 상부 금속 플레이트(312)를 관통하므로, 상부방진재(311)에는 행거볼트가(210) 관통되는 상부방진재 관통홀(314)이 형성되고, 상부 금속 플레이트(312)에도 행거볼트가(2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부 금속 플레이트 관통홀(31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행거볼트(210)가 상부 금속 플레이트(312)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부방진재 관통홀(314)의 직경이 상부 금속 플레이트 관통홀(313)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금속재로 형성되는 행거볼트(210)와 상부 금속 플레이트(312)의 접촉을 방지하여 상층에서 전달되어 오는 진동 및 소음의 전달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하부방진부(320)는, 결합면(110)에 접촉되어 결합부재(200)를 통하여 전달되어 오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하부방진재(321) 및 하부너트(230)가 제공하는 상향 하중을 분산하는 하부 금속 플레이트(322)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도 5).
행거볼트(210)는 하부방진재(321) 및 하부 금속 플레이트(322)를 관통하므로, 하부방진재(321)에는 행거볼트가(210) 관통되는 하부방진재 관통홀(324)이 형성되고, 하부 금속 플레이트(322)에도 행거볼트가(2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부 금속 플레이트 관통홀(32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행거볼트(210)가 하부 금속 플레이트(322)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부방진재 관통홀(324)의 직경이 하부 금속 플레이트 관통홀(323)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금속재로 형성되는 행거볼트(210)와 하부 금속 플레이트(312)의 접촉을 방지하여 상층에서 전달되어 오는 진동 및 소음의 전달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행거볼트(210)는 상부방진부재와 하부방진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결합면에 형성된 행거클립 관통홀(111)을 관통하므로, 금속재로 형성된 행거볼트(210)와 행거클립 관통홀(111) 내측면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부방진부재 관통홀(314) 및 하부방진부재 관통홀(324)의 직경이 행거클립 관통홀(111)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상부 금속 플레이트(312) 및 하부 금속 플레이트(322)는 금속재로 형성되므로, 상부 금속 플레이트(312) 및 하부 금속 플레이트(322)가 인접 금속재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방진부재(311)의 종단면의 크기가 상부 금속 플레이트(312)의 종단면의 크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방진재(321)의 종단면의 크기가 하부 금속 플레이트(322)의 종단면의 크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의 하부방진재(321)의 일측에는 방진날개(325)가 형성될 수 있다(도 5).
방진날개(325)는 하부방진재(321)방진재(311)방진부(310)방진부(310)방진부(320) 최소화할 수 있도록, 행거클립(100)에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의 행거클립(100)에는 하부너트(230)가 제공하는 상향 하중에 의한 상기 하부방진재(321)의 압축범위를 표시하는 눈금자(400)가 표시될 수 있다(도 2).
여기서, 눈금자(400)는 하부방진재(321)의 스프링 상수가 작아지는 압축구간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스프링 상수는 탄성체에 작용되는 힘에 대한 스프링의 변형량의 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스프링 상수가 작을 수록 탄성체의 변형량이 커질 수 있어, 탄성체가 흡수하는 진동의 총량이 증대될 수 있다.
탄성체의 경우 두께의 변화율이 5% ~ 15% 사이인 구간에서 작은 스프링 상수값을 갖게 되므로, 눈금자(400)는 하부너트(230)가 제공하는 상향 하중에 의한 하부방진재(321)의 두께의 변화율이 5% ~ 15% 사이인 구간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구조물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을 이하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천장구조물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은, 천장면(4)에 형성된 결합부재(200)에 행거클립(100)의 일단을 결합하는 제1 단계(S100), 행거클립(100)의 타단에 캐링찬넬(3)을 결합하는 제2 단계(S200) 및 캐링찬넬(3)에 천장판(1)이 부착되는 천장부재(2)를 고정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계(S100)는, 행거볼트(210)를 상부너트(220), 상부방진부(310), 행거클립 관통홀(111) 및 하부방진부(320)에 삽입시키는 삽입단계 및 하부방진부(320)를 하부너트(230)가 제공하는 상향 하중에 의해, 행거클립(100)에 표시된 눈금자가 제시하는 압축범위까지 압축하는 압축조절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천장판
2 : 천장부재
3 : 캐링찬넬
4 : 천장면
5 : 천장부재 고정용 클립
100 : 행거클립
200 : 결합부재
300 : 방진부
400 : 눈금자

Claims (17)

  1. 천장판(1)이 부착되는 천장부재(2) 및 상기 천장부재(2)를 고정하는 캐링찬넬(3)을 포함하는 천장구조물에 사용되는 방진행거에 있어서,
    일단은 천장면(4)에 형성된 결합부재(200)와 결합되며, 타단은 캐링찬넬(3)과 결합된 행거클립(100); 및
    상기 행거클립(100)과 상기 결합부재(200) 사이에 형성된 방진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행거클립(100)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부재(2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면(110)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200)는,
    일단은 상기 천장면(4)과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결합면(110)에 형성된 행거클립 관통홀(111)에 삽입되는 행거볼트(210);
    상기 행거볼트(210)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면(110)에 하향 하중을 제공하는 상부너트(220); 및
    상기 행거볼트(210)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면(110)에 상향 하중을 제공하는 하부너트(230);를 포함하며,
    상기 방진부(300)는,
    상기 상부너트(220)와 상기 결합면(110) 사이에 형성된 상부방진부(310); 및
    상기 하부너트(230)와 상기 결합면(110) 사이에 형성된 하부방진부(32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방진부(310)는,
    상기 결합면(110)에 접촉되어 상기 결합부재(200)를 통하여 전달되어 오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상부방진재(311); 및
    상기 상부너트(220)가 제공하는 하향 하중을 분산하는 상부 금속 플레이트(312);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방진부(320)는,
    상기 결합면(110)에 접촉되어 상기 결합부재(200)를 통하여 전달되어 오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하부방진재(321); 및
    상기 하부너트(230)가 제공하는 상향 하중을 분산하는 하부 금속 플레이트(322);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방진재(311)에 형성되며 상기 행거볼트(210)가 관통되는 상부방진재 관통홀(314)의 직경이, 상기 상부 금속 플레이트(312)에 형성되며 상기 행거볼트(210)가 관통되는 상부 금속 플레이트 관통홀(313)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하부방진재(321)에 형성되며 상기 행거볼트(210)가 관통되는 하부방진재 관통홀(324)의 직경이, 상기 하부 금속 플레이트(322)에 형성되며 상기 행거볼트(210)가 관통되는 하부 금속 플레이트 관통홀(323)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상부방진재 관통홀(314)의 직경이, 상기 행거클립 관통홀(111)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하부방진재 관통홀(324)의 직경이, 상기 행거클립 관통홀(111)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하부방진재(321)의 일측에는, 상기 행거클립(100)과 상기 하부방진재(321)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하부방진재(321) 일측에서 일부면이 돌출되어 형성된 방진날개(32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방진재(311)의 종단면의 크기가 상기 상부 금속 플레이트(312)의 종단면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방진재(321)의 종단면의 크기가 상기 하부 금속 플레이트(322)의 종단면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클립(100)에는 상기 하부너트(230)가 제공하는 상향 하중에 의한 상기 하부방진재(321)의 압축범위를 표시하는 눈금자(400)가 표시되며,
    상기 눈금자(400)는 상기 하부방진재(321)의 스프링 상수가 작아지는 압축구간을 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자(400)는 상기 하부너트(230)가 제공하는 상향 하중에 의한 상기 하부방진재(321)의 두께의 변화율이 5% ~ 15% 사이인 구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6. 제5항의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장면(4)에 형성된 상기 결합부재(200)에 상기 행거클립(100)의 일단을 결합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행거클립(100)의 타단에 상기 캐링찬넬(3)을 결합하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캐링찬넬(3)에 상기 천장판(1)이 부착되는 상기 천장부재(2)를 고정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계(S100)는,
    상기 행거볼트(210)를 상기 상부너트(220), 상기 상부방진부(310), 상기 행거클립 관통홀(111) 및 상기 하부방진부(320)에 삽입시키는 삽입단계; 및
    상기 하부방진부(320)를 상기 하부너트(230)가 제공하는 상향 하중에 의해, 상기 행거클립(100)에 표시된 눈금자가 제시하는 압축범위까지 압축하는 압축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자(400)는 상기 하부방진재(321)의 스프링 상수가 작아지는 압축구간을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자(400)는 상기 하부너트(230)가 제공하는 상향 하중에 의한 상기 하부방진재(321)의 두께의 변화율이 5% ~ 15% 사이인 구간을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40007666A 2014-01-22 2014-01-22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KR101562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666A KR101562951B1 (ko) 2014-01-22 2014-01-22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666A KR101562951B1 (ko) 2014-01-22 2014-01-22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872A KR20150087872A (ko) 2015-07-31
KR101562951B1 true KR101562951B1 (ko) 2015-10-26

Family

ID=53877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666A KR101562951B1 (ko) 2014-01-22 2014-01-22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41480B2 (ja) * 2017-05-29 2021-09-2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天井支持構造
KR101886997B1 (ko) * 2018-03-05 2018-09-10 곽성모 건축용 천장 자재 수량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255Y1 (ko) * 2000-01-19 2000-06-15 조용군 천정구조물용 방진행거
KR200228560Y1 (ko) 2000-12-20 2001-06-15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 종현 방진용 천장구조물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255Y1 (ko) * 2000-01-19 2000-06-15 조용군 천정구조물용 방진행거
KR200228560Y1 (ko) 2000-12-20 2001-06-15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 종현 방진용 천장구조물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872A (ko) 2015-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4205B2 (en) Compressed elastomer damper for earthquake hazard reduction
KR101608689B1 (ko) 내진 구조체
CA2638507C (en) Angled connector
KR101028217B1 (ko) 점탄성과 마찰을 이용한 이중강관형 복합제진장치
KR101562951B1 (ko)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KR20140005708U (ko) 내진 및 방진용 배관고정장치
JP5695787B1 (ja) 構造物用強制両面スライド支承装置
KR101229488B1 (ko) 스카이 브릿지용 제진 댐퍼
JP2020002529A (ja) 構造物用多面スライド支承装置
JP4651502B2 (ja) クリーンルームの防振架構構造
CA3028460A1 (en) Acoustic and insulation mounting
JP6148045B2 (ja) 構造物用両面スライド支承装置
KR101562952B1 (ko)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JP6885670B2 (ja) 建物構造
JP2016205413A (ja) 免震構造
KR100719868B1 (ko) 단열기능을 겸한 바닥충격음 방지패널
CN211202735U (zh) 浮置板轨道用隔振器内非线性隔震结构
KR102369622B1 (ko) 화재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어셈블리
US11732470B2 (en) Acoustic mount
KR101536406B1 (ko) 층간소음 저감유닛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KR101051046B1 (ko) 방진부재를 구비한 바닥 마루판재
KR101434479B1 (ko) 선박의 바닥용 방진 구조체
JP5808689B2 (ja) 制振体を設けた建物
JP2006014384A (ja) 装置の据付構造
KR200422319Y1 (ko) 단열기능을 겸한 바닥충격음 방지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