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997B1 - 건축용 천장 자재 수량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천장 자재 수량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997B1
KR101886997B1 KR1020180025719A KR20180025719A KR101886997B1 KR 101886997 B1 KR101886997 B1 KR 101886997B1 KR 1020180025719 A KR1020180025719 A KR 1020180025719A KR 20180025719 A KR20180025719 A KR 20180025719A KR 101886997 B1 KR101886997 B1 KR 101886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coefficient
ceiling
ceiling material
area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성모
Original Assignee
곽성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성모 filed Critical 곽성모
Priority to KR1020180025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기술은 건축용 천장 자재 수량 예측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건축용 천장 자재 수량 예측 방법은, 외부로부터 건축 도면 및 상기 건축 도면에서 선택된 공사 영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건축 도면을 분석하여 상기 선택된 공사 영역에서 콘크리트 천장 면적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 천장을 마감하는 데에 필요한 천장 자재들을 리스팅하고, 상기 천장 자재들 중 상기 콘크리트 천장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설치되는 자재들(제1 천장 자재)을 카테고리화하고, 상기 천장 자재들 중 상기 콘크리트 천장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설치되는 자재들(제2 천장 자재)을 카테고리화하며, 상기 천장 자재들 중 상기 콘크리트 천장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에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설치되는 자재들(제3 천장 자재)을 카테고리화하는 단계; 상기 제1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으로부터 도출되는 제1-1 보정 계수와, 상기 제1-1 보정 계수 및 기준 면적의 제곱근으로부터 도출되는 제1-2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제1 보정 계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으로부터 도출되는 제2-1 보정 계수와, 상기 제2-1 보정 계수 및 상기 기준 면적의 제곱근으로부터 도출되는 제2-2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제2 보정 계수를 결정하며, 상기 제2-2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제3 보정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면적과 상기 제1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천장 자재의 필요 수량을 산출하고, 상기 연산된 면적과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천장 자재의 필요 수량을 산출하며, 상기 연산된 면적과 상기 제3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천장 자재의 필요 수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필요 수량들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천장 자재 수량 예측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ESTIMATING QUANTITY OF CEILING MATERIAL FOR BUILDING AND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건축용 천장 자재 수량 예측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M-바 시스템을 이용한 건축용 천장 자재 수량 예측 방법 및 건축용 천장 자재 수량 예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천장 강제 받침재에 적용되는 시스템들 중 하나로서 M-바 시스템이 있다.
M-바 시스템은 한국공업규격제품으로서 가장 견고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이며, 집섬보드(Gypsum board), 암면흡음판(rock wool sound absorbing board), 알루미늄 제품 등의 마감재 선택이 자유로워 사무실, 상가, 주상복합 등 대부분의 건축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M-바 시스템은 M-바, M-바 조인트, M-바 클립, 캐링 찬넬(carrying channel), 마이너 찬넬(minor channel), 앙카, 행거, 행거용 볼트와 너트, 행거핀, 앵글 몰딩(angle moulding), 텍스, 텍스 피스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M-바 시스템을 시공하는 시공사에서는 시공전에 그 비용 산정을 하게 되는데, 비용 산정은 시공사마다 각기 다를 수밖에 없고, 통상 최저가 경쟁으로 이루어지는 입찰 경쟁시 무턱대고 낮은 금액으로 참여하였다가 이후 공사과정에서 추가대금이 청구되거나 대금미지급에 따른 공사지연 등의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시공사측뿐만 아니라, 입찰 주관사(시행사)에게도 막대한 손해를 끼칠 수 있는데, 대형 건축물일수록 많은 이해관계인들이 얽혀있어 그 손해는 더욱 커진다.
또한, 시공사에서 적정 금액으로 낙찰 받았다고 하더라도, 공사 실행 과정에서 잉여 자재들이 발생할 수 있고, 잉여 자재들은 재고로 이어져 결국 시공사에 재고의 보관 및 관리에 어려움을 준다.
이에, 시공사 입장에서는 보다 정확한 비용 산정이 필요하고, 입찰 주관사 입장에서도 터무니 없는 금액은 아닌지 검증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비용을 산정함에 있어서는 무엇보다 공사 자재의 필요 수량 파악이 우선되어야 하는데, 기존에는 표준화된 공사 자재 수량 예측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 예측을 수행하는 시점이나 주체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축용 천장 자재 비용 산정을 위한 최적의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시공사와 시행사 모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자재 수량 산출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자재 필요 수량 예측 방법은, 콘크리트 천장을 마감하는 데에 필요한 건축용 천장 자재들의 수량을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건축 도면 및 상기 건축 도면에서 선택된 공사 영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건축 도면을 분석하여 상기 선택된 공사 영역에서 콘크리트 천장 면적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 천장을 마감하는 데에 필요한 천장 자재들을 리스팅하고, 상기 천장 자재들 중 상기 콘크리트 천장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설치되는 자재들(제1 천장 자재)을 카테고리화하고, 상기 천장 자재들 중 상기 콘크리트 천장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설치되는 자재들(제2 천장 자재)을 카테고리화하며, 상기 천장 자재들 중 상기 콘크리트 천장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에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설치되는 자재들(제3 천장 자재)을 카테고리화하는 단계; 상기 제1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으로부터 도출되는 제1-1 보정 계수와, 상기 제1-1 보정 계수 및 기준 면적의 제곱근으로부터 도출되는 제1-2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제1 보정 계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으로부터 도출되는 제2-1 보정 계수와, 상기 제2-1 보정 계수 및 상기 기준 면적의 제곱근으로부터 도출되는 제2-2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제2 보정 계수를 결정하며, 상기 제2-2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제3 보정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면적과 상기 제1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천장 자재의 필요 수량을 산출하고, 상기 연산된 면적과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천장 자재의 필요 수량을 산출하며, 상기 연산된 면적과 상기 제3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천장 자재의 필요 수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필요 수량들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보정 계수는 상기 제1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의 역수이고, 상기 제1-2 보정 계수는 상기 제1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의 역수와 상기 기준 면적의 제곱근의 역수의 합이며, 상기 제1 보정 계수는 상기 제1-1 보정 계수 이상이고, 상기 제1-2 보정 계수 이하의 값일 수 있다.
상기 제2-1 보정 계수는 상기 제2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의 역수이고, 상기 제2-2 보정 계수는 상기 제2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의 역수와 상기 기준 면적의 제곱근의 역수의 합이며, 상기 제2 보정 계수는 상기 제2-1 보정 계수 이상이고, 상기 제2-2 보정 계수 이하의 값일 수 있다.
상기 제1 천장 자재는, M바 또는 마이너찬넬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천장 자재는, 캐링찬넬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천장 자재는, 앙카, 행거, 상기 앙카와 행거를 연결하는 행거볼트 및 행거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보정 계수는 3.3~3.6 범위의 값 또는 0.4~0.6 범위의 값이고, 상기 제2 보정 계수는 1.1~1.3 범위의 값이며, 상기 제3 보정 계수는 1.1~1.3 범위의 값으로서 상기 제2 보정 계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제1 보정 계수는 3.5 또는 0.5이고, 상기 제2 보정 계수는 1.2이며, 상기 제3 보정 계수는 1.3일 수 있다.
상기 제1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과 상기 제2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은 서로 배수 관계에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자재 필요 수량 예측 장치는, 콘크리트 천장을 마감하는 데에 필요한 건축용 천장 자재들의 수량을 예측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건축 도면 및 상기 건축 도면에서 선택된 공사 영역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건축 도면을 분석하여 상기 선택된 공사 영역에서 콘크리트 천장 면적을 연산하는 면적 연산부; 상기 콘크리트 천장을 마감하는 데에 필요한 천장 자재들을 리스팅하고, 상기 천장 자재들 중 상기 콘크리트 천장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설치되는 자재들(제1 천장 자재)을 카테고리화하고, 상기 천장 자재들 중 상기 콘크리트 천장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설치되는 자재들(제2 천장 자재)을 카테고리화하며, 상기 천장 자재들 중 상기 콘크리트 천장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에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설치되는 자재들(제3 천장 자재)을 카테고리화하는 카테고리 설정부; 상기 제1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으로부터 도출되는 제1-1 보정 계수와, 상기 제1-1 보정 계수 및 기준 면적의 제곱근으로부터 도출되는 제1-2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제1 보정 계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으로부터 도출되는 제2-1 보정 계수와, 상기 제2-1 보정 계수 및 상기 기준 면적의 제곱근으로부터 도출되는 제2-2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제2 보정 계수를 결정하며, 상기 제2-2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제3 보정 계수를 결정하는 보정 계수 결정부; 상기 연산된 면적과 상기 제1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천장 자재의 필요 수량을 산출하고, 상기 연산된 면적과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천장 자재의 필요 수량을 산출하며, 상기 연산된 면적과 상기 제3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천장 자재의 필요 수량을 산출하는 수량 산출부; 및 상기 수량 산출부의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기술은 천장 공사 비용 산정을 위한 최적의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시공사와 시행사 모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자재 수량예측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콘크리트 천장 공사에 필요한 자재들의 수량을 최적 범위 내로 제한함으로써, 재고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기술은 직관적이고 일관된 보정 계수 결정 방법을 통하여, 단위 변환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천장 자재 필요 수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천장 자재 수량 예측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천장 자재 수량 예측을 위해 활용되는 건축 도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축 도면에 적용되는 M-바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정계수들을 검증하기 위한 기준 면적과, 이러한 기준 면적을 갖는 콘크리트 천장에 설치될 수 있는 천장 자재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천장 자재들의 수량을 최대로 하였을 때를, 도 4b는 최소로 하였을 때를 각각 도시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천장 자재 수량 예측 장치(10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천장 자재 수량 예측을 위해 활용되는 건축 도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축 도면에 적용되는 M-바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천장 자재 수량 예측 장치(100)(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량 예측 장치'라 함)는 입력부(110), 면적 연산부(120), 카테고리 설정부(130), 보정 계수 결정부(140), 수량 산출부(150) 및 출력부(16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외부로부터 건축 도면 및 해당 건축 도면에서 선택된 공사 영역을 입력받는다.
건축 도면은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건물 평면도(D)일 수 있다.
건축 도면은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 파일 형태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도면을 카메라 모듈을 통해 직접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입력받을 수 있다.
데이터 파일 형태로 입력 받는 경우, 수량 예측 장치는 건축 도면을 읽기 위한 리드부(미도시)와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 데이터로 입력 받는 경우, 수량 예측 장치는 촬상을 위한 카메라 모듈(미도시)와 촬상된 이미지를 도면으로 읽기 위한 리드부(미도시) 및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드부는 도면 인식 기능이 내장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 인식은 도면에 포함된 길이 표시선을 포함한 각종 선, 숫자, 도어 기호를 포함한 각종 기호들, 부호 축적 등을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획득된 건축 도면에는 공사 영역이 미리 선택되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건축 도면을 획득한 이후에 공사 영역이 선택되는 방식으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건축 도면에서 선택되어 있는 공사 영역을 인식하기 위해 상술한 리드부가 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 도면(D)에서 212호실~214호실에 대해 점선으로 변경 전 부분(bc)이 표시되고, 212호실 및 214호실에 대해 점선으로 변경 후 부분(ac)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리드부는 이러한 점선을 인식하여 선택된 공사 영역을 읽어낼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 후 부분(ac)은 음영처리가 되어 있으므로, 음영처리를 더욱 인식하면 변경 전 부분(bc)과 변경 후 부분(ac)을 서로 구분할 수 있다. 또는 변경 후 부분(ac)은 그 부분만이 건축 도면에서 따로 그려지므로, 주변 기호들과의 연결 관계를 분석하면 변경 전 부분과 변경 후 부분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경 전 부분(bc)은 점선 안팎으로 벽체 기호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지지만, 변경 후 부분(ac)은 점선 안에만 벽체 기호들이 존재하여 점선 안팎으로 벽체 기호들이 불연속적이다.
통상적으로 건축 도면으로 제공되는 평면도는 사용자에 의해 손으로 작성 및 수정되므로, 하나의 평면도에 변경 전 부분과 변경 후 부분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도시되는 경우가 많고, 따라서, 상술한 방식으로 공사 영역을 인식하는 것은 적절하다.
면적 연산부(120)는 건축 도면을 분석하여 선택된 공사 영역에 시공이 필요한 콘크리트 천장 면적을 연산한다.
상술한 리드부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변경 전 부분(bc)와 변경 후 부분(ac)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면적 연산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 도면에서 변경 전 부분(bc)과 변경 후 부분(ac)을 인식하고, 전후로 변화가 발생한 영역의 면적을 연산함으로써, 시공이 필요한 콘크리트 천장 면적을 연산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건축 도면(D)에서 변경 전후로 변화가 발생한 영역은 212호실과 213호실에 해당하며(212호실과 213호실이 하나의 213호실로 변경됨), 따라서, 건축 도면에서 212호실과 213호실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인식하고, 이들의 곱으로부터 시공이 필요한 콘크리트 천장 면적을 연산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가로 4,550mm, 세로 10,920mm(3,640mm×3)이므로, 시공 대상 면적은 49.686㎡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력부(110)와, 면적 연산부(120) 및 리드부(미도시)가 각각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드부의 기능은 입력부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면적 연산부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나,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건축 도면에서 선택된 공사 영역을 인식하고 해당 공사 영역에서 시공 대상 면적을 연산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계속하여, 카테고리 설정부(130)는 콘크리트 천장을 마감하는 데에 필요한 천장 자재들을 리스트하고, 이들을 종류별로 카테고리화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테고리별로 서로 다른 가중치들을 적용하기 위함이다.
먼저, 카테고리 설정부(130)는 콘크리트 천장을 마감하는 데에 필요한 천장 자재들을 리스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천장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M-바 시스템(1)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M-바(10), 마이너찬넬(11), 캐링찬넬(20), 앙카(미도시), 행거(30), 앙카와 행거를 연결하는 행거볼트(31), 행거핀(32), 텍스(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앙카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콘크리트 천장에 뚫린 천공으로 직접 삽입 고정되는 구성요소로서, 행거볼트(31)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카테고리 설정부(130)는 이러한 천장 자재들을 설치 방향을 따라 각각 제1 천장 자재, 제2 천장 자재 및 제3 천장 자재로 카테고리화한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천장에 대해 y방향으로 설치되는 천장 자재들을 제1 천장 자재로 카테고리화한다. 제1 천장 자재는 M-바(10), 마이너찬넬(11)을 포함할 수 있다.
콘크리트 천장에 대해 x방향으로 설치되는 천장 자재들을 제2 천장 자재로 카테고리화한다. 제2 천장 자재는 캐링찬넬(20)을 포함할 수 있다.
콘크리트 천장에 대해 z방향으로 설치되는 천장 자재들을 제3 천장 자재로 카테고리화한다. 제3 천장 자재는 앙카(미도시), 행거(30), 행거볼트(31), 행거핀(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스트 정보와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정보는 상술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보정 계수 결정부(140)는 제1 천장 자재에 적용할 제1 보정 계수, 제2 천장 자재에 적용할 제2 보정 계수, 및 제3 천장 자재에 적용할 제3 보정 계수를 결정한다.
이러한 보정 계수들은 가중치일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천장 자재들에 대해 보정 계수들이 적용되면, 각각의 단위에 맞는 수량들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바에 대해서는 길이 단위의 수량이, 앙카에 대해서는 개수 단위의 수량이 산출될 수 있다.
먼저, 제1 보정 계수(α)는 제1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d1)으로부터 도출되는 제1-1 보정 계수와, 제1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d1) 및 기준 면적(A)의 제곱근(sr)으로부터 도출되는 제1-2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1 보정 계수는 제1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d1)의 역수일 수 있다. 제1-2 보정 계수는 제1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d1)의 역수와 기준 면적(A)의 제곱근(sr)의 역수의 합일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면적(A)은 가장 적절한 가중치들을 부여하기 위해, 천장 공사 면적을 대표할 수 있는 값에 해당한다. 보정 계수 결정부에 의해 결정되는 가중치들은 어떠한 천장 공사에도 일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로(a) 4.5m와 가로(b) 4.5m의 곱으로 나타나는 20.25㎡가 기준 면적(A)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천장 자재들은 단위 길이가 일반적으로 4m라는 점에서, 그리고, 천장 공사는 일반적으로 한 변의 길이가 4m를 전후로 하는 영역에 대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기준 면적의 한 변의 길이를 4m보다 약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면적을 기초로 결정되는 가중치들은 각각의 천장 자재들에 대해 가장 적절한 수량이 도출될 수 있도록 한다. 기준 면적이 미터단위로 설정되었으므로, 보정 계수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길이 단위들에 미터단위를 적용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d1)이 300cm이면, 제1-1 보정 계수는 1/0.3=3.3이고, 제1-2 보정 계수는 1/0.3+1/4.5=3.6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d1)이 2400cm이면, 제1-1 보정 계수는 1/2.4=0.4이고, 제1-2 보정 계수는 1/2.4+1/4.5=0.6이다.
M-바 시스템에서 배치 간격이 300cm인 천장 자재는 M-바일 수 있다. 배치 간격이 2400cm인 천장 자재는 마이너찬넬일 수 있다.
이러한 제1-1 보정 계수와 제1-2 보정 계수는 제1 보정 계수에 대한 범위를 설정한다. 제1-1 보정 계수는 최소값을, 제1-2 보정 계수는 최대값을 설정한다. 따라서, 제1 보정 계수는 제1-1 보정 계수에서 제1-2 보정 계수에 이르는 범위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1 보정 계수와 제1-2 보정 계수의 중간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위 실시예에 적용하면, 제1-1 보정 계수가 3.3이고, 제1-2 보정 계수가 3.6일 때, 제1 보정 계수는 이들 사이의 중간 값에 해당하는 3.5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1 보정 계수가 0.4이고, 제1-2 보정 계수가 0.6일 때, 제1 보정 계수는 이들 사이의 중간 값에 해당하는 0.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정 계수 결정부는 각각의 연산 과정에서 반올림된 소수점 첫번째 자리까지의 결과값을 사용하여 다음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1 보정 계수 연산시 1/0.3의 결과값으로 소수점 두번째 자리에서 반올림된 3.3을 사용하고, 제1-2 보정 계수 연산시 1/0.3+1/4.5의 결과값으로 소수점 두번째 자리에서 반올림된 3.6을 사용하여, 이어지는 제1 보정 계수 연산시 (3.3+3.6)/2의 결과값으로 소수점 두번째 자리에서 반올림된 3.5를 사용한다. 이는 콘크리트 천장 공사에 필요한 자재들은 수량이 부족하기보다는 남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이때 남더라도 최대값 범위 내에서 제한될 수 있도록 한다.
유사하게, 제2 보정 계수를 결정한다.
제2 보정 계수(β)는 제2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d2)으로부터 도출되는 제2-1 보정 계수와, 제2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d2) 및 기준 면적(A)의 제곱근(sr)으로부터 도출되는 제2-2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2-1 보정 계수는 제2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d2)의 역수일 수 있다. 제2-2 보정 계수는 제2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d2)의 역수와 기준 면적(A)의 제곱근(sr)의 역수의 합일 수 있다.
일례로, 제2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d2)이 900cm이면, 제2-1 보정 계수는 1/0.9=1.1이고, 제2-2 보정 계수는 1/0.9+1/4.5=1.3이다.
M-바 시스템에서 배치 간격이 900cm인 천장 자재는 캐링찬넬일 수 있다.
제2 보정 계수는 제2-1 보정 계수에서 제2-2 보정 계수에 이르는 범위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1 보정 계수와 제2-2 보정 계수의 중간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위 실시예에 적용하면, 제2-1 보정 계수가 1.1이고, 제2-2 보정 계수가 1.3일 때, 제2 보정 계수는 이들 사이의 중간 값에 해당하는 1.2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정 계수 결정부는 각각의 연산 과정에서 반올림된 소수점 첫번째 자리까지만 사용하여 다음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 보정 계수 연산시 1/0.9의 결과값으로 소수점 두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1.1을 사용하고, 제2-2 보정 계수 연산시 1/0.9+1/4.5의 결과값으로 소수점 두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1.3을 사용하여, 이어지는 제2 보정 계수 연산시 (1.1+1.2)/2의 결과값으로 소수점 두번째 자리에서 반올림된 1.2를 사용한다.
다음으로, 제3 보정 계수를 결정한다.
제3 보정 계수는 제2 보정 계수 연산 과정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보정 계수는 제2-2 보정 계수를 근거로 제3 보정 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3 보정 계수(γ)는 제2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d2) 및 기준 면적(A)의 제곱근(sr)으로부터 도출된다. 따라서, 제3 보정 계수는 제2-2 보정 계수에 해당하는 값, 즉, 제3 보정 계수와 제2-2 보정 계수는 동일할 수 있다.
제3 보정 계수는 제2 보정 계수 이상의 값을 갖는다. 제2 보정 계수의 최대값이 제2-2 보정 계수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계는 제2 보정 계수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제3 보정 계수도 함께 결정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도출되는 제2 천장 자재의 수량이 바로 미터단위로 얻어지고, 제3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도출되는 제3 천장 자재의 수량이 바로 개수단위로 얻어지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정계수들은 미터인지 수량인지에 무관하게, 직관적이고 일관된 보정 계수 결정 방법을 통하여, 단위 변환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수량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위 실시예에 적용하면, 제3 보정 계수는 제2-2 보정 계수에 해당하는 1.3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정 계수 결정부는 각각의 연산 과정에서 반올림된 소수점 첫번째 자리까지만 사용하여 다음 연산을 수행하므로, 제2-2 보정 계수 연산시 1/0.9+1/4.5의 결과값으로 소수점 두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1.3을 사용하여, 이어지는 제3 보정 계수 연산시 그 결과값으로 1.3을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보정 계수 결정 과정과 제2 보정 계수 결정 과정은 배치 간격에서 차이를 보일 뿐, 나머지 연산들을 공통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2 보정 계수 결정 과정에서 제3 보정 계수가 함께 결정될 수 있다.
이후, 수량 산출부(150)는 면적 연산부(120)에 의해 연산된 면적과 보정 계수 결정부(140)에 의해 결정된 보정 계수들을 이용하여 카테고리 설정부(130)에 의해 카테고리화된 천장 자재들별로 필요 수량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연산된 시공 대상 면적과 제1 보정 계수(α)를 곱해서 제1 천장 자재의 필요 수량을 산출한다. 이때 산출되는 수량은 별도의 단위 변환 과정 없이, 길이 단위로 직접 도출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적용하면, 시공 대상 면적 49.686㎡에 제1 보정 계수 3.5를 곱해서 제1 천장 자재의 필요 수량이 173.901m인 것으로 산출된다. 제1 보정 계수 3.5는 배치 간격이 300cm인 M-바에 관한 것이므로, M-바의 필요 수량이 173.901m로 산출된다.
배치 간격이 2400cm인 마이너찬넬이라면 제1 보정 계수는 0.5이고, 시공 대상 면적 49.686㎡에 제1 보정 계수 0.5를 곱하면, 마이너찬넬의 필요 수량은 24.843m로 산출된다.
계속하여, 연산된 시공 대상 면적과 제2 보정 계수(β)를 곱해서 제2 천장 자재의 필요 수량을 산출한다. 이때 산출되는 수량은 별도의 단위 변환 과정 없이, 길이 단위로 직접 도출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적용하면, 시공 대상 면적 49.686㎡에 제2 보정 계수 1.2를 곱해서 제2 천장 자재의 필요 수량이 59.6232m인 것으로 산출된다. 제2 보정 계수 1.2는 배치 간격이 900cm인 캐링찬넬에 관한 것이므로, 캐링찬넬의 필요 수량이 59.6232m로 산출된다.
그리고, 연산된 시공 대상 면적과 제3 보정 계수(γ)를 곱해서 제3 천장 자재의 필요 수량을 산출한다. 이때 산출되는 수량은 별도의 단위 변환 과정 없이, 수량 단위로 직접 도출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적용하면, 시공 대상 면적 49.686㎡에 제3 보정 계수 1.3을 곱해서 제3 천장 자재의 필요 수량이 64.5918개인 것으로 산출된다. 제3 보정 계수 1.3은 M-바와 캐링찬넬의 교차점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행거에 관한 것이므로, 행거의 필요 수량이 64.5918개로 산출된다.
이때, 카테고리 설정부에 의해 카테고리화된 제3 천장 자재는 행거뿐만 아니라, 앙카, 행거볼트 및 행거핀도 포함하므로, 앙카, 행거볼트 및 행거핀에 대해서도 동일한 필요 수량이 산출될 수 있다. 즉, 앙카, 행거볼트 및 행거핀 각각의 필요 수량이 64.5918개로 산출된다.
출력부(160)는 수량 산출부(150)에 의해 산출된 각 천장 자재별 필요 수량을 출력한다.
출력은 수량 예측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액정디스플레이(LCD, LED),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또는 이들을 활용한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출력은 수량 예측 장치에 구비된 프린터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종이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출력 전, 수량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값들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실제 수량에 맞게 보정하는 과정이 수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올림하여 자연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올림이 아닌 반올림만 하더라도, 보정 계수에 이미 공차 범위가 모두 반영되어 있어 충분하지만, 올림 처리는 공사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재 파손, 천장에 기설치되어 있는 공조설비나 전기설비와의 위치 관계, 또는 건물 기둥과의 위치 관계를 고려할 때 보다 충분한 자재 수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적용하면, M-바의 필요 수량이 174m이고, 마이너찬넬의 필요 수량이 25m이며, 캐링찬넬의 필요 수량이 60m로 출력된다. 그리고, 앙카, 행거, 행거볼트 및 행거핀 각각의 필요 수량이 65개로 출력된다.
또는 M-바, 마이너찬넬, 캐링찬넬은 각각 단위 길이가 일반적으로 4m이므로, 4m로 나누어준 결과값을 필요 수량(개수)으로 함께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60)는 M-바 시스템(1)에 포함될 수 있는 추가 구성요소들로서, 너트의 필요 수량, M-바 조인트의 필요 수량을 더욱 출력할 수 있다. 너트는 행거볼트에 상응하는 나사산 구조를 갖고서 행거볼트와 행거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M-바 조인트는 M-바에 상응하는 구조를 갖고서 인접하는 M-바들간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바 시스템에서 M-바 조인트는 일례로, 85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량 산출부(150)는 너트의 필요 수량을 더욱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량 산출부(150)는 행거볼트의 산출 수량에 추가 보정 계수로 2를 곱해줌으로써 너트의 필요 수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그 결과값을 출력부(160)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적용하면, 행거의 필요 수량이 64.5918개이므로, 64.5918×2=129.1836개를 출력부(16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출력부(160)는 올림 처리하여 자연수 형태로 너트 필요 수량 130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수량 산출부(150)는 M-바 조인트의 필요 수량을 더욱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량 산출부(150)는 제2 보정 계수(β)를 이용하여 M-바 조인트의 필요 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연산된 시공 대상 면적과 제2 보정 계수(β)를 곱해서 M-바 조인트의 필요 수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그 결과값을 출력부(160)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적용하면, 시공 대상 면적 49.686㎡에 제2 보정 계수 1.2를 곱해서 M-바 조인트의 필요 수량 59.6232개를 출력부(16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출력부(160)는 올림 처리하여 자연수 형태로 M-바 조인트 필요 수량 60개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정계수들을 검증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정계수들을 검증하기 위한 기준 면적과, 이러한 기준 면적을 갖는 콘크리트 천장에 설치될 수 있는 천장 자재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천장 자재들의 수량을 최대로 하였을 때를, 도 4b는 최소로 하였을 때를 각각 도시한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세로(a) 4.5m와 가로(b) 4.5m로 정의되는 기준 면적의 콘크리트 천장과, 여기에 설치되는 32개의 M-바들(10a 내지 10af), 4개의 마이너찬넬들(11a 내지 11d), 12개의 캐링찬넬들(20a 내지 20l), 36개의 행거들(30a 내지 30aj)이 도시된다.
이때, M-바들은, 16개의 4m짜리 M-바들(10a 내지 10p)과, 16개의 0.5m짜리 M-바들(10q 내지 10af)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4m짜리 M-바 대비, 0.5m짜리 M-바의 선의 두께를 얇게 도시하였다.
그리고, 마이너찬넬들도, 2개의 4m짜리 마이너찬넬들(11a 내지 11b)과, 2개의 0.5m짜리 마이너찬넬들(11c 내지 11d)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4m짜리 마이너찬넬 대비, 0.5m짜리 마이너찬넬의 선의 두께를 얇게 도시하였다.
또한, 캐링찬넬들도, 6개의 4m짜리 캐링찬넬들(20a 내지 20f)과, 6개의 0.5m짜리 캐링찬넬들(20g 내지 20l)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4m짜리 캐링찬넬 대비, 0.5m짜리 캐링찬넬의 선의 두께를 얇게 도시하였다.
M-바, 마이너찬넬 및 캐링찬넬은 일반적으로 각각 단위 길이가 4m이고, 이보다 0.5m 크게 한 변의 길이를 갖도록 설정되는 기준 면적의 콘크리트 천장에는, M-바, 마이너찬넬 및 캐링찬넬이 각각 4m짜리와 4m짜리를 잘라서 사용하는 0.5짜리가 들어갈 수 있다.
M-바는 배치 간격(d1)이 일반적으로 0.3m이므로 4.5m의 한 변을 갖는 기준 면적에는 최대 16라인으로 배치될 수 있다. 16라인 배치에 필요한 수량은 16×(4+0.5)=72m이다.
마이너찬넬은 배치 간격이 일반적으로 2.4m이므로 4.5m의 한 변을 갖는 기준 면적에는 최대 2라인으로 배치될 수 있다. 2라인 배치에 필요한 수량은 2×(4+0.5)=9m이다.
캐링찬넬은 배치 간격(d2)이 일반적으로 0.9m이므로, 4.5m의 한 변을 갖는 기준 면적에는 최대 6라인으로 배치될 수 있다. 6라인 배치에 필요한 수량은 6×(4+0.5)=27m이다.
행거는 일반적으로 M-바와 캐링 찬넬의 교차점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므로 세로 4.5m와 가로 4.5m의 기준 면적에는 세로로 6개씩 및 가로로 6개씩 해서 최대 36개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4a에 도시된 모형은 기준 면적의 콘크리트 천장에 산술적으로 최대로 설치될 수 있는 천장 부재들을 도시한 것으로서, 실제 공사 환경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이 필요하다. 실제 공사 환경은 천장 자재 설치 법규/규정, 공사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천장 자재 파손에 의한 로스, 천장 자재와 천장에 기설치되어 있는 공조설비나 전기설비와의 위치 관계, 또는 천장 자재와 건물 기둥과의 위치 관계 등을 반영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기준 면적의 모서리로부터 일정 거리 오프셋된다.
구체적으로, M-바들은 기준 면적의 좌측 모서리로부터 일정 거리(os1)만큼 오프셋된다. 캐링찬넬들은 기준 면적의 상측 모서리로부터 일정 거리(os2)만큼 오프셋된다. 행거들도 좌측 및 상측 모서리로부터 일정 거리(os2)만큼 오프셋된다. 마찬가지로, 마이너찬넬들도 좌측 모서리로부터 일정 거리(os1)만큼 오프셋된다.
오프셋된만큼, 기준 면적에 배치될 수 있는 M-바의 라인 수는 하나 줄어 최소 15라인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우측에 위치했던 하나의 라인이 삭제된다. 즉, 10p와 10af가 삭제된다.
기준 면적에 배치될 수 있는 캐링찬넬의 라인 수도 하나 줄어최소 5라인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측에 위치했던 하나의 라인이 삭제된다. 즉, 20f와 20l이 삭제된다.
기준 면적에 배치될 수 있는 행거의 개수도 줄어들어 세로로 5개씩 및 가로로 5개씩 해서 최소 25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우측에 배치되었던 30f, 30l, 30r, 30x, 30ad, 30aj가 삭제되고, 최하측에 배치되었던 30ae 내지 30aj가 삭제된다.
다만, 마이너찬넬들은 그 배치 간격에 여유가 있으므로 라인 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요약하면, 기준 면적의 콘크리트 천장에는 M-바가 최대 16라인(72m) 및 최소 15라인(67.5m)으로 설치될 수 있고, 캐링찬넬이 최대 6라인(27m) 및 최소 5라인(22.5m)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행거가 최대 36개 및 최소 25개로 설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마이너찬넬은 오프셋 전후로 라인 수 변화없이 2라인(9m)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위 보정 계수로부터 각 천장 자재의 필요 수량을 예측해보면, M-바의 필요 수량이 71m(20.25×3.5), 캐링찬넬의 필요 수량이 25m(20.25×1.2), 앙카, 행거, 행거볼트 및 행거핀 각각의 필요 수량이 27개(20.25×1.3)인데, 이 예측 값들은 모두 도 4a 및 도 4b로부터 파악한 산술적인 최대 수량과 실질적인 최소 수량 범위 내에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보정 계수로부터 예측된 마이너찬넬의 필요 수량이 11m(20.25×0.5)로서, 도 4a 및 도 4b로부터 파악한 산술적인 수량과 대체로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보정 계수로부터 예측된 너트의 필요 수량이 53개(20.25×1.3×2)이고, M-바 조인트의 필요 수량이 25개(20.25×1.2)로서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천장 자재 수량 예측 장치(100)는 천장 공사 비용 산정을 위한 최적의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시공사와 시행사 모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자재 수량예측법을 제공한다.
또한, 콘크리트 천장 공사에 필요한 자재들은 수량이 부족하기보다는 남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이때 남더라도 최대값 범위 내에서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재고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정계수들은 미터인지 수량인지에 무관하게, 직관적이고 일관된 보정 계수 결정 방법을 통하여, 단위 변환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천장 자재 필요 수량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천장 자재 수량 예측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M-바 시스템
10 : M-바
11 : 마이너찬넬
20 : 캐링찬넬
30 : 행거
31 : 행거볼트
32 : 행거핀
40 : 텍스
100 : 건축용 천장 자재 수량 예측 장치
110 : 입력부
120 : 면적 연산부
130 : 카테고리 설정부
140 : 보정계수 결정부
150 : 수량 산출부
160 : 출력부

Claims (6)

  1. 입력부, 면적 연산부, 카테고리 설정부, 보정 계수 결정부, 수량 산출부 및 출력부를 포함하는 천장 자재 필요 수량 예측 장치의 콘크리트 천장을 마감하는 데에 필요한 건축용 천장 자재들의 수량을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외부로부터 건축 도면 및 상기 건축 도면에서 선택된 공사 영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면적 연산부가 상기 건축 도면을 분석하여 상기 선택된 공사 영역에서 콘크리트 천장 면적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 설정부가 상기 콘크리트 천장을 마감하는 데에 필요한 천장 자재들을 리스팅하고, 상기 천장 자재들 중 상기 콘크리트 천장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설치되는 자재들(제1 천장 자재)을 카테고리화하고, 상기 천장 자재들 중 상기 콘크리트 천장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설치되는 자재들(제2 천장 자재)을 카테고리화하며, 상기 천장 자재들 중 상기 콘크리트 천장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에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설치되는 자재들(제3 천장 자재)을 카테고리화하는 단계;
    상기 보정 계수 결정부가 상기 제1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으로부터 도출되는 제1-1 보정 계수와, 상기 제1-1 보정 계수 및 기준 면적의 제곱근으로부터 도출되는 제1-2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제1 보정 계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으로부터 도출되는 제2-1 보정 계수와, 상기 제2-1 보정 계수 및 상기 기준 면적의 제곱근으로부터 도출되는 제2-2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제2 보정 계수를 결정하며, 상기 제2-2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제3 보정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수량 산출부가 상기 연산된 면적과 상기 제1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천장 자재의 필요 수량을 길이 단위로 직접 산출하고, 상기 연산된 면적과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천장 자재의 필요 수량을 길이 단위로 직접 산출하며, 상기 연산된 면적과 상기 제3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천장 자재의 필요 수량을 개수 단위로 직접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부가 상기 산출된 필요 수량들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정 계수 결정부는 상기 제1-1 보정 계수를 최소값으로 하고 상기 제1-2 보정 계수를 최대값으로 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보정 계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2-1 보정 계수를 최소값으로 하고 상기 제2-2 보정 계수를 최대값으로 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결정하며, 상기 제2-2 보정 계수를 상기 제3 보정 계수로 결정하는 천장 자재 필요 수량 예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보정 계수는 상기 제1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의 역수이고, 상기 제1-2 보정 계수는 상기 제1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의 역수와 상기 기준 면적의 제곱근의 역수의 합이며,
    상기 제1 보정 계수는 상기 제1-1 보정 계수 이상이고, 상기 제1-2 보정 계수 이하의 값인, 천장 자재 필요 수량 예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보정 계수는 상기 제2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의 역수이고, 상기 제2-2 보정 계수는 상기 제2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의 역수와 상기 기준 면적의 제곱근의 역수의 합이며,
    상기 제2 보정 계수는 상기 제2-1 보정 계수 이상이고, 상기 제2-2 보정 계수 이하의 값인, 천장 자재 필요 수량 예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천장 자재는, M바 또는 마이너찬넬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천장 자재는, 캐링찬넬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천장 자재는, 앙카, 행거, 상기 앙카와 행거를 연결하는 행거볼트 및 행거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보정 계수는 3.3~3.6 범위의 값 또는 0.4~0.6 범위의 값이고,
    상기 제2 보정 계수는 1.1~1.3 범위의 값이며,
    상기 제3 보정 계수는 1.1~1.3 범위의 값으로서 상기 제2 보정 계수보다 크거나 같은, 천장 자재 필요 수량 예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정 계수는 3.5 또는 0.5이고,
    상기 제2 보정 계수는 1.2이며,
    상기 제3 보정 계수는 1.3인, 천장 자재 필요 수량 예측 방법.
  6. 콘크리트 천장을 마감하는 데에 필요한 건축용 천장 자재들의 수량을 예측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건축 도면 및 상기 건축 도면에서 선택된 공사 영역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건축 도면을 분석하여 상기 선택된 공사 영역에서 콘크리트 천장 면적을 연산하는 면적 연산부;
    상기 콘크리트 천장을 마감하는 데에 필요한 천장 자재들을 리스팅하고, 상기 천장 자재들 중 상기 콘크리트 천장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설치되는 자재들(제1 천장 자재)을 카테고리화하고, 상기 천장 자재들 중 상기 콘크리트 천장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설치되는 자재들(제2 천장 자재)을 카테고리화하며, 상기 천장 자재들 중 상기 콘크리트 천장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에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설치되는 자재들(제3 천장 자재)을 카테고리화하는 카테고리 설정부;
    상기 제1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으로부터 도출되는 제1-1 보정 계수와, 상기 제1-1 보정 계수 및 기준 면적의 제곱근으로부터 도출되는 제1-2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제1 보정 계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천장 자재의 배치 간격으로부터 도출되는 제2-1 보정 계수와, 상기 제2-1 보정 계수 및 상기 기준 면적의 제곱근으로부터 도출되는 제2-2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제2 보정 계수를 결정하며, 상기 제2-2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제3 보정 계수를 결정하는 보정 계수 결정부;
    상기 연산된 면적과 상기 제1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천장 자재의 필요 수량을 길이 단위로 직접 산출하고, 상기 연산된 면적과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천장 자재의 필요 수량을 길이 단위로 직접 산출하며, 상기 연산된 면적과 상기 제3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천장 자재의 필요 수량을 개수 단위로 직접 산출하는 수량 산출부; 및
    상기 수량 산출부의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정 계수 결정부는 상기 제1-1 보정 계수를 최소값으로 하고 상기 제1-2 보정 계수를 최대값으로 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보정 계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2-1 보정 계수를 최소값으로 하고 상기 제2-2 보정 계수를 최대값으로 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2 보정 계수를 결정하고, 상기 2-2 보정 계수를 상기 제3 보정 계수로 결정하는 천장 자재 필요 수량 예측 장치.
KR1020180025719A 2018-03-05 2018-03-05 건축용 천장 자재 수량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KR101886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719A KR101886997B1 (ko) 2018-03-05 2018-03-05 건축용 천장 자재 수량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719A KR101886997B1 (ko) 2018-03-05 2018-03-05 건축용 천장 자재 수량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997B1 true KR101886997B1 (ko) 2018-09-10

Family

ID=6359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719A KR101886997B1 (ko) 2018-03-05 2018-03-05 건축용 천장 자재 수량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42327A (zh) * 2023-05-29 2023-06-27 中建深圳装饰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装饰材料管理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6840A (ja) * 2007-01-30 2009-05-28 Faine Collaborate Kenkyusho:Kk 建築コスト見積装置、建築コスト見積方法、および、建築コスト見積プログラム
KR20120114459A (ko) * 2011-04-07 2012-10-17 주식회사 싸이픽소프트 철근 콘크리트 골조 공사 자재 수량 산출을 위한 도면 파일 분석 방법
KR20150087872A (ko) * 2014-01-22 2015-07-31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6840A (ja) * 2007-01-30 2009-05-28 Faine Collaborate Kenkyusho:Kk 建築コスト見積装置、建築コスト見積方法、および、建築コスト見積プログラム
KR20120114459A (ko) * 2011-04-07 2012-10-17 주식회사 싸이픽소프트 철근 콘크리트 골조 공사 자재 수량 산출을 위한 도면 파일 분석 방법
KR20150087872A (ko) * 2014-01-22 2015-07-31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42327A (zh) * 2023-05-29 2023-06-27 中建深圳装饰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装饰材料管理系统
CN116342327B (zh) * 2023-05-29 2023-08-18 中建深圳装饰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装饰材料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BIM-based automated design and planning for boarding of light-frame residential buildings
Said et al. Automated multi-objective construction logistics optimization system
Wang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ased integration of MEP layout designs and constructability
Leite et al. Analysis of modeling effort and impact of different levels of detail in building information models
US956889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sensor to configur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loomberg et al. BIM guidelines
US201302045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on of building floor area
Re Cecconi et al. Leveraging BIM for digital built environment asset management
US20080055554A1 (en) Full Scale Plan Projection
US202101100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ation of the external and internal sheathing for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JP2011197975A (ja) 天候を考慮した建設工事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Cheng et al. A BIM-based framework for material logistics planning
KR101886997B1 (ko) 건축용 천장 자재 수량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Tetik et al. Kitting logistics solution for improving on-site work performance in construction projects
US20040205014A1 (en) System for preparing construction project bids
US84289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acilities
Tonetto et al. Choosing fall protection systems in construction sites: Coping with complex rather than complicated systems
Dal Borgo et al. Production and shipment planning for Project Based Enterprises: Exploiting learning-forgetting phenomena for sustainable assembly of Curtain Walls
Yoo Repair time model for different building sizes Considering the earthquake hazard
Ferner et al. Pragmatic improvements to seismic resilience of non-structural elements: Practitioners perspective
Yusuf et al. Identification of the potentials and barriers of adopting standard method of measurement for mechanical and electrical services in Malaysia
KR20190044342A (ko) 창호 자재 발주 방법
Wong et al. Barriers in implement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in quantity surveying firms
Ho Song et al. Empirical determination of the smallest batch sizes for daily planning
KR20160131192A (ko)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