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192A -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192A
KR20160131192A KR1020150063008A KR20150063008A KR20160131192A KR 20160131192 A KR20160131192 A KR 20160131192A KR 1020150063008 A KR1020150063008 A KR 1020150063008A KR 20150063008 A KR20150063008 A KR 20150063008A KR 20160131192 A KR20160131192 A KR 20160131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information
integrated
reinforcing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규
이성건
이혁진
김병수
소범식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이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규 filed Critical 이성규
Priority to KR1020150063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1192A/ko
Publication of KR20160131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은, 각각 상이한 철근 시공 현장에 설치되어 시공 도면이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1, 2, 3, ...);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시공 도면으로부터 철근정보를 추출하는 철근정보 추출수단(310); 상기 철근정보 추출수단(310)으로부터 추출된 각각의 철근정보에 현장관련정보 및 철근고유식별정보를 각각 부여하여 복수의 통합철근정보를 생성하는 부가정보 부여수단(320); 상기 부가정보 부여수단(320)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복수의 통합철근정보를 저장하는 통합철근정보 저장부(330); 통합철근정보 저장부(330)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통합철근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통합철근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공간에서 가공 전 철근에 상기 복수의 통합철근정보에 해당하는 철근을 배치하는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부(400); 및 상기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부(400)에 의해서 수행된 시뮬레이션에 의해서 출력된 철근절단배치결과에 기초하여 철근을 절단 또는 절곡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REBAR PROCESS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장가공방식을 위한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가공방식은 1990년대 이전까지는 현장인력으로만 가공 조립이 이루어져 왔으나, 이후 기계가공방식이 도입되었으며, 최근에는, 현장에서 철근가공장치를 설치하여 철근을 가공하는 방식으로부터, 전문 철근가공 공장에서 철근을 가공하여 배포하는 하는 공장가공방식으로 점점 변화되고 있으며, 한국에서 전문 철근가공공장에서의 철근공사, 즉 공장가공방식에 의한 철근공사는 전체 철근공사의 20%정도로 타 선진국에 비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장가공방식이란 설계 및 구조 도면을 근거로 전문 철근가공업체의 전문 가공 설비를 이용하여 공장에서 철근을 가공한 후 가공된 철근을 현장에 하는 방식을 말하며, 현장가공방식이란 현장에서 설계 및 구조도면을 근거로 필요에 따라 현장 내에서 수작업으로 철근가공기계를 이용하여 철근을 가공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현장가공방식은, 철근 작업에 숙련된 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현장에서 설계 및 구조 도면을 근거로, 직접 철근에 관련한 물량을 집계하고 철근을 가공 및 조립하기 때문에, 철근에 관련한 물량 집계, 철근 가공 및 조립에 오류가 자주 발생하여, 철근손실이 과다하게 발생하고 관리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공장가공방식은, 전산 프로그램이 설계 및 구조 도면으로부터 철근에 관련한 물량을 집계하고, 철근가공 데이터를 추출하여, 철근가공 데이터를 기반으로 철근가공설비가 철근을 가공하기 때문에, 가공된 철근의 품질이 우수하여, 철근 조립에 있어서도 시공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고, 현장작업을 줄여줌으로써 공기단축과 현장 노무인력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고, 기존의 현장가공에서 필요했던 철근 야적장을 확보할 필요가 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공장가공방식에 따라 철근을 가공하는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특허문헌 1 및 2에는,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이용한 일종의 공장가공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 1에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층단위 구역설정에 따른 가공철근 현장관리 및 현장설치에 관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2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도면 분석 및 처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에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층단위 구역설정에 따른 가공철근 현장관리 및 현장설치에 관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건설업체 컴퓨터, 복수의 철근가공업체 컴퓨터, 복수의 철근조립업체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동일한 건설공사를 수행하는 건설업체, 철근가공업체 및 철근조립업체가 컴퓨터 네트워크로 서로 연결되어 철근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여, 가공철근의 현장관리 및 현장설치를 위한 최소단위로서 온라인상에서 입력된 도면에 대하여 각층별 구역을 설정하고 철근리스트를 생성하고, 철근 태그 정보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건설현장에 가공된 철근이 입고되어 가공철근의 이상 유무 검수시에, 철근에 부착된 철근 태그정보를 단말기를 통해서 인식하여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해당 철근의 현장 설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건축공사가 원활하고 신속하게 진행되도록 하며 철근관리가 용이해지고 공사기간이 실질적으로 단축되는 효과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도면 및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축자재들의 표준속성들을 코드화하여 컴퓨터에 저장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축자재들에 대한 코드화된 속성 정보를 텍스트 데이터로 표현하고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 및 처리하고자 하는 건축도면에 입력하는 단계, 건축 도면을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 건축자재들의 속성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자재의 목록을 그 속성들과 함께 컴퓨터의 출력장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가공을 요하는 자재목록을 작성하는데 따르는 시간과 인력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원자재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공개공보 10-2008-0111793 특허공개공보 10-2000-0072245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1 및 2뿐만 아니라 종래의 공장가공방식을 위한 철근가공시스템에서는, 비록, 컴퓨터를 이용하여 설계 및 구조 도면으로부터 철근에 관련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 데이터를 근거로 철근의 물량을 집계하고, 발주를 하고, 철근을 가공 및 조립하더라도, (i) 설계 및 구조 도면에 변경이 발생하거나, 현장 상황이 변하는 경우 이를 대처하는 속도가 느리고, (ii) 철근 자체에 관련한 제품 정보나 가공 정보가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서로 상이한 현장에 범용성을 가지고 적용되지 않고, (iii) 따라서, 복수의 현장에서 사용되는 철근의 총 손실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고, (iv) 철근가공공장 내에서 설비된 철근가공설비 간에 철근을 이동하거나, 가공된 철근을 현장으로 배송하거나, 현장에서 철근을 조립할 때, 가공된 철근에 대한 이력 정보가 없어, 오인 이송 또는 배송될 확률이 낮지 않아, 인지 능력이 있는 사람이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 (i) ~ (iv)에 대처할 수 있는 공장가공방식을 위한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은, 각각 상이한 철근 시공 현장에 설치되어 시공 도면이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시공 도면으로부터 철근정보를 추출하는 철근정보 추출수단; 상기 철근정보 추출수단으로부터 추출된 각각의 철근정보에 현장관련정보 및 철근고유식별정보를 각각 부여하여 복수의 통합철근정보를 생성하는 부가정보 부여수단; 상기 부가정보 부여수단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복수의 통합철근정보를 저장하는 통합철근정보 저장부; 통합철근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통합철근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통합철근정보를 기반으로 가상공간에서 가공 전 철근에 상기 복수의 통합철근정보에 해당하는 철근을 배치하는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부; 및 상기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부에 의해서 수행된 시뮬레이션에 의해서 출력된 철근절단배치결과에 기초하여 철근을 절단 또는 절곡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는,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철근 절단부 및 철근 절곡부를 제어하여 상기 철근절단배치결과에 기초하여 철근을 절단 또는 절곡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는,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태그부착부를 제어하여, 상기 철근 절단부 및 철근 절곡부에 의해서 절단 또는 절곡된 철근에, 상기 통합철근정보가 기록된 태그를 부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표준화된 철근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표준화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철근 표준화 서버는, 상기 철근정보 추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출근정보와 상기 철근 표준화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철근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에 각각 입력된 시공 도면에 표준화된 철근이 사용되고 있지 않은 부분이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부에 의해서 수행된 시뮬레이션에 의해서 출력된 철근절단배치결과에 따라, 상기 가공 전 철근이, 각각 상이한 철근 시공 현장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절단철근으로 절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합철근정보는 복수의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섹션에는 철근재원정보, 철근가공정보, 현장설치정보, 현장식별번호, 철근고유식별번호가 할당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설계 및 구조 도면에 변경이 발생하거나, 현장 상황이 변하는 경우 이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철근 자체에 관련한 제품 정보나 가공 정보의 표준화에 대처하여 서로 상이한 현장에 범용성을 가지고 적용될 수 있고, 복수의 현장에서 사용되는 철근의 총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철근가공공장 내에서 설비된 철근가공설비 간에 철근을 이동하거나, 가공된 철근을 현장으로 배송하거나, 현장에서 철근을 조립할 때, 오인 이송 또는 배송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현장가공방식에서 공장가공방식으로의 변천 과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인 공장가공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해서 절단 및 절곡되는 철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의해서 철근에 부착되는 철근 태그 정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공장가공방식에 따른 것이므로 이하 설명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철근의 절단 및 절곡 공정은 철근가공공장에서 이루어지고, 철근 조립 및 설치만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된,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 철근 표준화 서버(200), 하나 이상의 단말기(1, 2, 3 ...), 철근정보 추출 수단(310), 부가정보 부여 수단(320), 통합철근정보 저장부(330),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부(400), 통합철근정보 수정부(500)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단말기(1, 2, 3, ...)는 철근 가공 현장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이다. 현장 1에는 제1 단말기(1)가 설치되어 있고, 현장 2에는 제2 단말기(2)가 설치되어 있고, 현장 3에는 제3 단말기(3)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현장 각각에 하나의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다. 현장은 절단 또는 절곡된 철근이 설치되는 공사가 이루어지는 장소를 말하고, 현장 간의 거리는 가까울 수도 있고 멀 수도 있다. 현장 간의 철근 공사는 상호 연관된 공사일 수도 있고,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상이한 공사일 수도 있다. 단말기(1, 2, 3, ...)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노트북 등이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휴대할 수 있는 스마트폰, PDA, 아이 패드 등과 같은 단말기가 될 수도 있다. 각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철근 공사는 시공 도면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데, 작업자는 각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1, 2, 3, ...)를 통해 현장에서 필요한 철근을 주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기(1, 2, 3, ...) 중 대표적으로 현장 1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단말기(1)를 통해 철근을 주문하고 주문된 철근이 가공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다만, 제1 단말기에 대한 설명 중 필요에 따라 제2 단말기(2) 및 제3 단말기(3)에 대한 설명을 부가하는 것으로 한다.
각 현장에 있는 작업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단말기(1, 2, 3, ...)기를 통해 철근을 주문할 때,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에 접속한다.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는 제1 단말기(1)의 표시 화면에 철근가공 주문을 위한 웹페이지를 전송한다. 작업자는 제1 단말기(1)에 표시되는 철근가공 주문 웹페이지에 철근 주문에 관련한 정보, 즉 가공된 철근이 배송되어야 할 현장 1의 장소, 담당자의 연락처 등을 입력한다. 또한, 작업자는 제1 단말기(1)에 현장 1의 시공 도면을 입력한다. 시공 도면은 오토캐드, CADian Duct, HVAC와 같은 건축설계프로그램에 의해서 작성된 도면 파일을 말한다.
현장 1의 시공 도면이 제1 단말기(1)에 입력되면,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는 현장 1의 시공 도면을,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철근정보 추출수단(310)에 전송한다. 철근정보 추출수단(310)은 시공 도면으로부터 철근에 관련된 모든 정보, 즉 철근정보를 추출한다. 시공 도면으로부터 철근 정보를 추출하는 경우 이를 전담하는 시중에서 입수 가능한 자재추출프로그램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철근정보에는 철근의 두께, 길이, 재질, 거칠기 등과 같은 철근 재원 정보, 철근의 절단, 절곡 등과 같은 철근가공정보, 철근의 크기에 따른 철근수량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은, 각각 상이한 철근 시공 현장에 설치되어 시공 도면이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1, 2, 3, ...);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시공 도면으로부터 철근정보를 추출하는 철근정보 추출수단(310); 상기 철근정보 추출수단(310)으로부터 추출된 각각의 철근정보에 현장관련정보 및 철근고유식별정보를 각각 부여하여 복수의 통합철근정보를 생성하는 부가정보 부여수단(320); 상기 부가정보 부여수단(320)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복수의 통합철근정보를 저장하는 통합철근정보 저장부(330); 통합철근정보 저장부(330)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통합철근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통합철근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공간에서 가공 전 철근에 상기 복수의 통합철근정보에 해당하는 철근을 배치하는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부(400); 및 상기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부(400)에 의해서 수행된 시뮬레이션에 의해서 출력된 철근절단배치결과에 기초하여 철근을 절단 또는 절곡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를 포함한다.
한편, 철근정보 추출수단(310)에 의해서 철근정보가 추출되면,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는, 추출된 철근정보를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철근 표준화 서버(200)에 전송한다. 철근 표준화 서버(200)에는 표준화된 철근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철근 표준화 서버(200)는 저장되어 있는 철근정보와 네트워크상에서 전송된 철근정보를 비교하여, 전송된 철근정보가 표준화되어 있는 철근정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표준화된 철근정보가 아닌 경우, 제1 단말기(1)에 입력된 시공 도면에는 표준화된 철근이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이를 표준화된 철근으로 설계변경 할 지의 여부를 제1 단말기(1)에 표시하여 작업자가 결정할 수 있게 하고, 이와 반대로 표준화된 철근정보인 경우,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즉, 철근 표준화 서버(200)는, 철근정보 추출수단(310)으로부터 출력되는 출근정보와 철근 표준화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철근정보를 비교하여, 단말기(1, 2, 3, ...)에 각각 입력된 시공 도면에 표준화된 철근이 사용되고 있지 않은 부분이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철근 표준화 서버(200)를 이용하는 이유는, 표준화된 철근을 주문하면 후술하는 통합철근정보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철근가공비용이 낮아지고, 표준화되지 않은 철근을 주문하면 소량생산에 속하여 철근가공 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한편, 철근정보 추출수단(310)에 의해서 철근정보가 추출되면,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는, 추출된 철근정보를,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부가정보 부여수단(320)으로 전송한다. 부가정보 부여수단(320)은 추출된 철근정보에 부가정보를 추가한다. 부가정보는 철근고유식별번호, 현장식별정보, 납기일 등을 포함한다. 현장식별정보는 현장 1에서 제1 단말기(1)를 통해 주문된 것임을 입증하는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 현장 1의 주소(예를 들면, 거리명에 따른 주소, 또는 지번 등)가 될 수도 있고, 제1 단말기(1)의 MAC 주소(또는 IP 주소)가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현장을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렇게 철근 정보에 부가정보가 부여된 정보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합철근정보"라고 규정한다. 결과적으로, 부가정보 부여수단(320)은 철근정보에 부가정보를 추가하여 통합철근정보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는 통합철근정보를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통합철근정보 저장부(330)에 저장한다.
이상에서는 작업자가 현장 1의 제1 단말기(1)에 의해서 철근가공을 주문한 경우를 설명하였다. 이와 마찬가지로 현장 2의 제2 단말기(2), 현장 3의 제3 단말기(3) 등등도 현장 1의 제1 단말기에서 철근가공을 주문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작업자에 의해서 철근가공 주문이 이루어진 경우,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는 현장 2의 제2 단말기(2), 현장 3의 제3 단말기(3) 등등에 대해서 현장 1의 제1 단말기(1)에 대한 것과 마찬가지로 통합철근정보를 생성하여 통합철근정보 저장부(330)에 저장한다.
결과적으로, 통합철근정보 저장부(330)에는, 현장 1의 제1 단말기(1)에 입력된 시공도면, 현장 2의 제2 단말기(2)에 입력된 시공도면, 현장 3의 제3 단말기(3)에 입력된 시공도면, 등등으로부터 추출된 각각의 철근정보에 부가정보가 부여되어 형성된 통합철근정보가 모두 저장되어 있다.
이때, 통합철근정보에 따른 철근은, 어느 현장(예를 들면, 현장 1)에서 어느 위치(예를 들면, 2층의 화장실)에 배치되는 철근으로서 그 철근의 재원(예를 들면, 길이 2m, 철근 양끝 30cm 절곡된 철근)을 알 수 있고, 철근 자체의 고유식별번호(예를 들면, 숫자와 문자가 조합된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철근에 부여되어 있는 고육식별번호 때문에, 특정 프로그램에서 각종 시뮬레이션을 위해, 복수의 현장 각각에 속하는 철근을 혼합하여 사용하더라도, 결과적으로 구별될 수 있고, 시뮬레이션 이전 상태로 원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는 특정 프로그램 상에서 각종 현장에서 사용되는 철근을 절단을 위해 배치할 때 그 적절성을 향상시키거나 철근 손실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후술한다.
다음으로,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는, 통합철근정보 저장부(33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현장에 대한 통합철근정보를 모두,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부(400)로 전송한다.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부(400)는, 통합철근정보 저장부(330)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현장에 대한 통합철근정보를 기반으로, 현장별로 그리고 설치 위치를 구분하지 않고, 철근을 절단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철근절단배치를 시뮬레이션 한다. 통상적으로 철근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 철근절단배치를 설계하는 경우, 하나의 현장에서 시공되는 철근에 한정해서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현장에서 시공되는 철근을 모두 통합하여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에 의해서 설계된 철근이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가공 전 철근(100)은 공장에 입고되어 있는 하나의 일직선 형상의 철근이다. 이 철근은, 후술하는 철근 절단부의 절단 가공에 의해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A 영역, B 영역, C 영역으로 두 개의 철근 절단선을 따라서 절단되어, 제1 절단철근(120), 제2 절단철근(140) 및 제3 절단철근(160)으로 분리되고, 다음으로 철근 절곡부의 굽힘 가공에 의해서, A 영역 및 C 영역에 있는 제1 절단철근(120)과 제3 절단철근(160)은 각각 그 일단부가 절곡된다. 이때 A 영역의 제1 절단철근(120), B 영역의 제2 절단철근(140) 및 C 영역의 제3 절단철근(160)은 동일한 현장에서 사용되는 철근일 수도 있지만, 상이한 현장에서 사용되는 철근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현장 1에 사용되는 철근으로서 A 영역의 제1 절단철근(120)이 사용되고, 현장 2에서 사용되는 철근으로서 B 영역의 제2 절단철근(140)이 사용되고, 현장 3에서 사용되는 철근으로서 C 영역의 제3 절단철근(160)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 현장에서 사용되는 철근이, 하나의 가공 전 철근(100)에 적용되는 것은 상술한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부(400)에 의해서 결정된다. 즉,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부(400)는, 복수의 현장으로부터 입수된 통합철근정보를 기반으로 철근절단배치를 시뮬레이션하여 철근 손실이 가장 적은 배치를 행한다. 예를 들면,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부(400)는 상술한 바에 따르면, 하나의 가공전 철근(100)에, 도 4의 A 영역, B 영역 및 C 영역으로서 각기 다른 현장에서 사용되는 철근이 절단 배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철근절단배치에 따르면 현장이 많으면 많을 수록 현장 총 철근손실율은 작아지는 효과가 있다.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부(400)는 특정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의해서 철근절단배치를 결정하지만, 철근 손실을 줄이기 위해 철근절단배치를 행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기만 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프로그램이어도 좋다.
결과적으로,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로부터 명령을 받은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부(400)는, 통합철근정보 저장부(330)에 저장되어 있는 통합철근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현장에 시공되는 절단철근을 포함하는 철근절단배치결과를 출력한다.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는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부(400)로부터 출력된 철근절단배치결과(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철근절단배치결과)를 기반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로 철근을 절단 및 절곡하는 가공을 수행한다.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철근을 절단 및 절곡하는 가공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은,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에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 연결된 로딩부(31), 철근 절단부(32), 철근 절곡부(33), 태그부착부(34), 언로딩부(35) 및 모니터링부(36)를 추가로 포함한다.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는, 상술한 철근절단배치결과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로딩부(31), 철근 절단부(32), 철근 절곡부(33), 태그부착부(34), 언로딩부(35) 및 모니터링부(36)를 각각 제어하며, 로딩부(31), 철근 절단부(32), 철근 절곡부(33), 태그부착부(34) 및 언로딩부(35)는 철근을 이송하는 장치(도시 생략)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즉, 가공 전 철근은 로딩부(31), 철근 절단부(32), 철근 절곡부(33), 태그부착부(34) 및 언로딩부(35)의 순으로 이동하면서 가공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가 철근절단배치결과를 기반으로 철근을 가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철근절단배치결과를 기반으로, 로딩부(31)에 의해서 공장에 입고되어 있는 가공 전 철근(100)을 철근 절단부(32)에 로딩한다. 철근 절단부(32)는 상술한 도 4의 철근절단배치결과에 기초하여 철근 절단선을 따라 가공 전 철근(100)을 절단한다. 이러한 절단 가공에 의해서, 가공 전 철근(100)은 A 영역, B 영역, C 영역으로 분리된다. 예를 들면 현장 1에서 사용되는 제1 절단철근(120), 현장 2에서 사용되는 제2 절단철근(140) 및 현장 3에서 사용되는 제3 절단철근(160)으로 분리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도 4의 철근절단배치결과에 따라 절곡이 필요한 A 영역 및 C 영역의 제1 절단철근(120) 및 제2 절단철근(160)은, 철근 절곡부(33)에 로딩된다. 철근 절곡부(33)는 제1 절단철근(120) 및 제2 절단철근(160)의 각각의 일단부를 절곡한다. 결과적으로 가공된 제1 절단철근(120), 제2 절단철근(140) 및 제3 절단철근(160)은 태그부착부(34)에 로딩된다. 태그부착부(34)는 가공된 제1 절단철근(120), 제2 절단철근(140) 및 제3 절단철근(160) 각각에 통합철근정보가 기록된 태그를 부착한다. 태그가 부착된 절단철근은 언로딩부(35)에 의해서 언로딩되어 저장 창고 또는 이송 차량에 답채되어 각 현장으로 배송된다. 한편, 모니터링부(36)는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의 지시를 받아 로딩부(31), 철근 절단부(32), 철근 절곡부(33), 태그부착부(34) 및 언로딩부(35)의 동작 상태를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이상 여부, 가공 진행 상태, 가공 완료 등을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각 현장에 배송된 절단철근은, 작업자가 태그 판독기(도면 생략)에 의해 판독함으로써, 현장의 어느 위치에 사용되는 철근인지가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절단철근이 어느 곳에 사용되는 철근인지 파악하기 위해서 시공 도면을 작업자가 일일이 대조할 필요가 없어 시공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는 절단철근(예를 들면, 제1 절단철근(120), 제2 절단철근(140) 및 제3 절단철근(160))이 각각 현장 1 내지 3에 배송완료되었다는 메시지 및 각 절단철근에 해당하는 통합철근정보를, 제1 단말기(1), 제2 단말기(2) 및 제3 단말기(3)에 전송한다.
상술한 태그 판독기는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예를 들면, 제1 단말기(1), 제2 단말(2) 및 제3 단말(3)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절단철근(예를 들면, 제1 절단철근(120), 제2 절단철근(140) 및 제3 절단철근(160) 각각)이 현장에 도착했을 때, 통합철근정보가 기록된 철근태그를 태그 판독기로 판독하는 순간, 태그 판독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말기는, 태그 판독기로 판독된 통합철근정보와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로부터 전송되어온 통합철근정보와 비교하여, 철근 배송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고, 배송에 이상이 없다는 메시지를 철근관리 통합관리 서버(1000)에 전송한다. 철근관리 통합관리 서버(1000)가 배송에 이상이 없다는 메시지를 각 현장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으면, 모든 철근가공주문처리는 완료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에 의해서 관리되는 통합철근정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서 통합철근정보는 섹션 1 내지 5로 구성되어 있다. 섹션 1에는 철근재원정보가 할당되고, 섹션 2에는 철근가공정보가 할당되고, 섹션 3에는 현장설치정보가 할당되고, 섹션 4에는 현장식별번호가 할당되고, 섹션 5에는 철근고유식별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섹션 1 및 2는 도 2의 철근정보 추출수단(310)에 의해서 추출된 정보이고, 섹셕 3 내지 5는 도 2의 부가정보 부여수단(32)에 의해서 부여된 정보이다. 통합철근정보에는 섹션 1 내지 5에 한정되지 않고 현장 또는 공장에서 필요한 각종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다음으로, 현장에서 설계변경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현장 1에서 사용되는 도 4의 제1 절단 철근(120)의 배치 위치가, 예를 들면, 현장 1의 1층 거실에서 2층의 화장실로 설계변경이 이루어진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작업자는 현장 1의 제1 단말기(1)를 통해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에 접속한다. 작업자는,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에서 제1 단말기(1)에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통해, 제1 절단 철근(120)의 배치 위치가, 현장 1의 1층 거실에서 2층의 화장실로 설계변경이 이루어진 것을 입력하면,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통합철근정보 수정부(500)에 지시를 내려 통합철근정보 저장부(330)에 저장되어 있던 해당 통합철근정보를 판독하여 수정하고, 수정된 통합철근정보를 다시 통합철근정보 저장부(330)에 저장한다.
만일, 작업자가 단말기(1, 2, 3, ...)를 통해 현장의 시공 도면을 수정하면,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의 지시에 따라 통합철근정보 수정부(500)가 통합철근정보 저장부(330)에 저장되어 있던 해당 통합철근정보를 판독하여 수정하고, 수정된 통합철근정보를 다시 통합철근정보 저장부(330)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통합철근정보 저장부(330)에 저장되어 있던 수정된 통합철근정보를 기반으로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부(400)가 철근절단배치결과를 출력하고,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가 철근절단배치결과에 기초하여 철근을 가공한다.
통합철근정보 수정부(500)에 의하면, 작업자는 단순히 현장에 설치된 단말기에 입력되는 시공도면을 수정함으로써 현장설계변경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명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으로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숙지한 당해 분야의 숙련된 자는 용이하게 본 발명의 취지 및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계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 변경 및 수정은 본 발명이 청구하고자 하는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제1 단말기
2: 제2 단말기
3 : 제3 단말기
100: 철근
200: 철근 표준화 서버
310: 철근정보 추출수단
320: 부가정보 부여수단
330: 통합철근정보 저장부
400: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부
500: 통합철근정보 수정부
1000: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

Claims (6)

  1. 각각 상이한 철근 시공 현장에 설치되어 시공 도면이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1, 2, 3, ...);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시공 도면으로부터 철근정보를 추출하는 철근정보 추출수단(310);
    상기 철근정보 추출수단(310)으로부터 추출된 각각의 철근정보에 현장관련정보 및 철근고유식별정보를 각각 부여하여 복수의 통합철근정보를 생성하는 부가정보 부여수단(320);
    상기 부가정보 부여수단(320)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복수의 통합철근정보를 저장하는 통합철근정보 저장부(330);
    통합철근정보 저장부(330)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통합철근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통합철근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공간에서 가공 전 철근에 상기 복수의 통합철근정보에 해당하는 철근을 배치하는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부(400); 및
    상기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부(400)에 의해서 수행된 시뮬레이션에 의해서 출력된 철근절단배치결과에 기초하여 철근을 절단 또는 절곡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는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철근 절단부(32) 및 철근 절곡부(33)를 제어하여 상기 철근절단배치결과에 기초하여 철근을 절단 또는 절곡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가공 통합관리 서버(1000)는,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태그부착부(34)를 제어하여, 상기 철근 절단부(32) 및 철근 절곡부(33)에 의해서 절단 또는 절곡된 철근에, 상기 통합철근정보가 기록된 태그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표준화된 철근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표준화 서버(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철근 표준화 서버(200)는, 상기 철근정보 추출수단(310)으로부터 출력되는 출근정보와 상기 철근 표준화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철근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1, 2, 3, ...)에 각각 입력된 시공 도면에 표준화된 철근이 사용되고 있지 않은 부분이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절단배치 시뮬레이션부(400)에 의해서 수행된 시뮬레이션에 의해서 출력된 철근절단배치결과에 따라, 상기 가공 전 철근(100)이, 각각 상이한 철근 시공 현장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절단철근(120, 140, 160)으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철근정보는 복수의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섹션에는 철근재원정보, 철근가공정보, 현장설치정보, 현장식별번호, 철근고유식별번호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
KR1020150063008A 2015-05-06 2015-05-06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 KR20160131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008A KR20160131192A (ko) 2015-05-06 2015-05-06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008A KR20160131192A (ko) 2015-05-06 2015-05-06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192A true KR20160131192A (ko) 2016-11-16

Family

ID=5754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008A KR20160131192A (ko) 2015-05-06 2015-05-06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119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894B1 (ko) * 2020-11-04 2021-09-30 다스코 주식회사 Bim을 이용한 용접철근매트의 설계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4329711A (zh) * 2021-12-28 2022-04-12 国泰新点软件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图形算量平台的预制构件数据处理方法及系统
KR20220150526A (ko) 2021-05-04 2022-11-11 엔컴주식회사 가공철근 생산 설비의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4149048A1 (zh) * 2023-01-13 2024-07-18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模块化智能钢筋加工生产线及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245A (ko) 2000-08-22 2000-12-05 강윤환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도면 분석 및 처리방법
KR20080111793A (ko) 2007-06-20 2008-12-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층단위 구역설정에 따른가공철근 현장관리 및 현장설치에 관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245A (ko) 2000-08-22 2000-12-05 강윤환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도면 분석 및 처리방법
KR20080111793A (ko) 2007-06-20 2008-12-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층단위 구역설정에 따른가공철근 현장관리 및 현장설치에 관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894B1 (ko) * 2020-11-04 2021-09-30 다스코 주식회사 Bim을 이용한 용접철근매트의 설계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150526A (ko) 2021-05-04 2022-11-11 엔컴주식회사 가공철근 생산 설비의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4329711A (zh) * 2021-12-28 2022-04-12 国泰新点软件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图形算量平台的预制构件数据处理方法及系统
WO2024149048A1 (zh) * 2023-01-13 2024-07-18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模块化智能钢筋加工生产线及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5568B2 (ja) 施工支援方法、および、施工支援システム
CN109559069B (zh) 基于装配式建筑平台的生产管理方法、装置及终端设备
AU2015101964A4 (en)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zhar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now and beyond
Aram et al. Requirements for BIM platforms in the concrete reinforcement supply chain
Li et al. A project-based quantification of BIM benefits
JP6430571B2 (ja) 建設業の建築情報管理、ソフトウェア、及び方法
KR102370134B1 (ko)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heng et al. A BIM-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framework for predictive maintenance management of building facilities
KR20160131192A (ko)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
KR101406885B1 (ko)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설계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
Galiano-Garrigos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in operations of maintenance at the university of alicante
KR101755901B1 (ko) 건설생산계획 산출을 위한 bim 연동 생산성 시뮬레이션 방법
Ahn et al. Integration of building maintenance data in applic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KR100800547B1 (ko)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Brinda et al. Developments of facility management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Dubljević et al. Computational BIM tool for automated LEED certification process
US20140058963A1 (en) Facility control system (fcs-c2) (introduction of traveler form) to manage assets planning, design, construction, fabrication, operating, maintence and products fabrication
KR101525003B1 (ko) 건축물의 생애주기비용 산정 시스템
Bergonzoni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for LEED® IEQ category prerequisites and credits calculations
Vimonsatit et al. Use of BIM tools for site layout planning
JP2020052706A (ja) 工程管理システム、工程管理方法、および工程管理プログラム
Lei et al. Heavy lift analysis at feed stage for industrial project
JP7274243B1 (ja) 鉄筋納入支援システム、及び、鉄筋納入支援方法
JP7195681B1 (ja) 鉄筋納入支援システム、及び、鉄筋納入支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