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885B1 -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설계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설계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885B1
KR101406885B1 KR1020120063526A KR20120063526A KR101406885B1 KR 101406885 B1 KR101406885 B1 KR 101406885B1 KR 1020120063526 A KR1020120063526 A KR 1020120063526A KR 20120063526 A KR20120063526 A KR 20120063526A KR 101406885 B1 KR101406885 B1 KR 101406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view
data
architectural design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212A (ko
Inventor
이춘근
Original Assignee
거북선크루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거북선크루즈주식회사 filed Critical 거북선크루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3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885B1/ko
Publication of KR20130142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건축설계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축설계에 관련되어 건축설계 관리정보에 접수한 회원들의 필요에 의하여 진행되어 지는 연계된 건축설계 관리정보 시스템에서, 건축설계 관리정보 시스템을 시작(start)하게 되면 "시랑대-오랑대 iCon"이라 불리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스템이 가동되어 오픈(open)되어지는 시스템 가동수단과, 건축설계에 관한 구성요소를 셋팅 하는 것으로, 각 분야 전문가그룹의 정보를 등록하게 되는 구성요소 셋팅하고, 2D 형태의 조감도, 건축물을 3D 형태로 표현하여 3D View 조감도로 구현하는 구성요소 결정 수단, 건축물의 치수결정수단, 건축물 요소결정 수단, 공사금액과 공사일정 및 원가관리 부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최종 데이터 셋팅 수단, 최종건축물 구성 수단, 보고서 데이터 등록 및 보고서출력 수단으로 이루어져 건축설계 시스템이 완료되어지며, 상기의 건축물 요소결정 수단에서 최종 결과물 D/B에 문제리뷰로 등록되었을 경우에는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각각의 수단으로 피드백(feed back)되어 필요한 건축설계에 대한 조정 및 확인하는 관리시스템으로 구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존의 2D 기반 설계도의 납품방식에서 3D모델을 활용한 각종 분석 등 BIM 설계환경은 건축설계를 포함한 건설 산업 전반에 초기단계부터 BIM 기반 친환경분석을 수행하고, BIM 모델을 통해 에너지, 일조, 일영, 기록 등을 분석함으로서 저에너지의 환경친화적인 건축물을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설계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설계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Using a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architectural design}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설계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축설계에 관련되어 건축설계 관리정보에 접수한 회원들의 필요에 의하여 진행되어지는 연계된 건축설계 관리정보 시스템에서, 기존의 2D 기반 설계도의 납품방식에서 3D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완성도 높은 설계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비형상 정보의 입력방법 문제화 3D모델을 활용한 각종 분석 등 BIM 설계환경은 건축설계를 포함한 건설 산업 전반에 걸쳐 초기단계부터 BIM 기반 친환경분석을 수행하고, BIM 모델을 통해 에너지, 일조, 일정, 기록 등을 분석함으로서 저에너지의 환경친화적인 건축물을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설계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건축물을 새롭게 신축하거나 시설하기 위해서는 계획, 설계, 엔지니어링, 시공, 유지관리, 제반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러한 건축물 신축 과정에서 많은 업체들이 관여하게 되며, 각 업체 사이에 교류되는 정보의 양도 상당히 많다. 즉, 건축물을 신축하려면 설계사와 시공사, 및 각종 설비공사가 필요한데, 설계사는 기본계획, 건축 및 구조설계, 인허가, 감리 업무를 담당하고, 시공사는 홍보, 영업, 제작도, 납품 업무를 담당한다. 또한, 건축주는 홍보와 영업 업무를 담당하며 설계사는 건축설계 계획과 감리 업무를 하며, 건축물에 대한 설계가 완성되면 시공사는 구조설계, 공정관리, 소요자재 및 인원 투입 계획 업무를 담당한다.
그리고, 대부분은 건축업자가 전시회나 광고 등을 통해 고객에게 접근하거나 타인의 소개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건축물의 의뢰가 이루어진다. 건축주는 여러 설계사, 시공사를 통하여 가격, 규모, 공간구성, 공법 등에 관한 요구조건을 듣고, 건축주가 구상한 평면도를 제시한 후에, 설계내용을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평면설계를 진행한 후에 건축주가 요구조건에 부합하도록 건축사, 시공사, 관련 담당자들과 계속 협의하면서 새로운 평면도를 작성한다. 평면도가 완성되면, 이 설계를 중심으로 하여 본격적인 완성된 설계에 맞추어 건축도, 구조도, 전기배선도, 기계설계도와 건축법에 위배 여부 결정하여 작성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미니어쳐모형을 제작하거나 투시도를 작성하기도 한다. 대지가 도시계획구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법령에 따라 신고 및 허가를 득해야 한다. 기본설계가 완성되면, 시공사는 필요한 자재를 구매하고, 시공에 관련된 하도급업체를 선정한다. 하도급업체는 자체적인 샵드로잉(shop drawing)을 작성하기도 하고, 기타 시공과정에서 설계 변경이나 비정형화된 문서로 인하여 건물의 완성 후에도 법적문제 많은 시간을 낭비한다.
위와 같이 직접 대면하여 향하는 업무협의형태는 시장영역을 제한하는 요인이 되며, 고비용이 소요되는 투시도를 생략한 채 상상에 의존하여 공간개념을 느껴야 하고, 잦은 설계변경으로 인해 공사비가 상승하며, 하도급 및 재도급 등에 의해 공사비가 상승하며, 건축주가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할 기회가 적어 시공시 잦은 문제가 발생하고, 품질 및 가격에 대한 고객의 확신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건축업계에서는 건축주가 의사결정에 참여하여 요구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된다. 또한, 건축설계의 구조에 대한 엔지니어링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하우스의 건축설계, 인테리어, 시공관리, 시공후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토탈시스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건축주가 컴퓨터상에서 건축물을 설계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받아서, 자신이 원하는 주택을 시뮬레이션하고 시공업체를 선정하며 시공과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건축 시뮬레이션 및 시공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존의 2D 기반 설계도의 납품방식에서 3D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완성도 높은 설계를 요구에 부흥하고자, 3D모델을 활용한 각종 분석 등 BIM 설계환경은 건축설계를 포함한 건설 산업 전반에 걸쳐 초기단계부터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반 친환경분석을 수행하고, BIM 모델을 통해 자재소요량, 에너지, 일조, 일정, 인원, 공사기간에 대한 기록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서 저에너지의 환경친화적인 건축물을 설계하는 것이며, BIM 이란 다차원 가상공간에 기획, 설계, 엔지니어링(구조, 설비, 전기 등), 시공, 더 나아가 유지관리 및 폐기까지 가상으로 시설물을 모델링하는 과정을 말하며, 최첨단 디자인 및 친환경 에너지저감형 건축물을 설계 및 시공할 수 있게 해주며 다차원 가상설계건설과 유사한 개념이다.
따라서, 분 발명에서는 건축설계에 관련되어 건축설계 관리정보에 접수한 회원들의 필요에 의하여 진행되어 지는 연계된 건축설계 관리정보 시스템에서, 건축설계 관리정보 시스템을 시작(start)하게 되면 "시랑대-오랑대 iCon"이라 불리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스템이 가동되어 오픈(open)되어지는 시스템 가동수단과, 건축설계에 관한 구성요소를 셋팅하는 것으로, 각 분야 전문가그룹의 정보를 등록하게 되는 구성요소 셋팅하고, 2D 형태의 조감도로 구현, 건축물을 3D 형태로 표현하여 3D View 조감도로 구현하는 구성요소 결정 수단, 건축물의 치수결정수단, 건축물 요소결정 수단, 공사금액과 공사일정 및 원가관리 부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최종 데이터 셋팅 수단, 최종건축물 구성 수단, 보고서 데이터 등록 및 보고서출력 수단으로 이루어져 건축설계 시스템이 완료되어지며, 상기의 건축물 요소결정 수단에서 최종 결과물 D/B에 문제리뷰로 등록되었을 경우에는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각각의 수단으로 피드백(feed back)되어 필요한 건축설계에 대한 조정 및 확인하는 관리시스템으로 구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설계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3D모델을 활용한 각종 분석 등 BIM 설계환경을 통하여 다차원 가상공간에 기획, 설계, 엔지니어링(구조, 설비, 전기 등), 시공, 더 나아가 유지관리 및 폐기까지 가상으로 시설물을 모델링함으로 건축주가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할 기회가 많아 시공 시에 잦은 문제해결과 품질 및 가격에 대한 고객의 확신을 가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축주가 의사결정에 참여하여 요구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으로 건축설계의 구조에 대한 엔지니어링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하우스의 건축설계, 인테리어, 시공관리, 시공 후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토탈시스템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설계관리 시스템의 흐름도
도 2는 전체 규모를 계략적으로 규모, 치수들을 결정한 예시도
도 3은 2D 형태의 조감도
도 4는 건축법규 및 최종계획의 예시도
도 5는 건축물에 대한 치수결정 예시도
도 6은 건축물에 대한 세부 요소 결정(환경적부분) 예시도
도 7은 건축물에 대한 세부 요소 결정(건축 구조 부분) 예시도
도 8은 건축물에 대한 세부 요소 결정(배관 부분) 예시도
도 9는 건축물에 대한 세부 요소 결정(전기 설비 분야) 예시도
도 10은 건축물에 대한 세부 요소 결정(조명 및 기계 설비 분야) 예시도
도 11은 건축물에 대한 최종 데이터 셋팅 예시도
도 12는 건축물에 대한 최종 건축물 구성을 정확한 수치 및 데이터 값을 셋팅하여, 컴퓨터와 인터페이스(Interface) 과정 중 일부 예시도
도 13은 건축물에 대한 최종 결과물 예시도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 실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설계관리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설계관리 시스템의 전체 흐름도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건축설계에 관련되어 건축설계 관리정보에 접수한 회원들의 필요에 의하여 진행되어 지는 연계된 건축설계 관리정보 시스템에서,
인터넷, 전자메일, 온라인 같은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하여 "시랑대-오랑대 아이콘(iCon)"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건축설계 관리정보 시스템을 시작(start)하게 되면 "시랑대-오랑대 iCon"이라 불리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스템이 가동되어 오픈(open)되어지는 시스템 가동수단 ;
건축설계에 관한 구성요소를 셋팅 하는 것으로(도 2), 건물의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건축설계에 관련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의 정보로 구성되는 전문가그룹의 정보를 등록하게 되는 구성요소 셋팅수단 ;
상기 건축설계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전문가그룹은 건축주, 건물주, 건축 설계사, 디자인 전문가 건설 시공사, 터파기, 가설공사, 파괴 공법 등의 분야별 시공 전문가, 건설 기계 전문가, 전기 전문가, 건축 환경 전문가, 건축 구조(지진 전문가), 배관 전문가, 창호 전문가, 조적 쌓기 전문가, 건축 법규 관련 전문가, 공정관리 전문가, 인허가 관리 및 재무관련 관리 전문가, IT 관련 전문가, 기타 건설공사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구성요소가 셋팅된 정보를 통하여 컴퓨터를 통한 가상 데이터를 입력하여 전체 규모를 계략적으로 스케치하여 1차 View하면서 치수들을 조감도에 맞추어 반복하면서 최종 안을 도출시키는 1차 View D/B에 자료를 등록한 후, 1차 View D/B에 등록된 자료를 통하여, 전체 단면도, 각 층별 건물 내에 들어갈 구성 요소들의 배치도 및 층별 단면도, 입면도, 측면도들을 CAD, AutoCAD, 다른 건축 툴로 2D 형태(도 3)로 표현하여 2차 View 조감도로 구현하는 2D 형태의 조감도 셋팅수단;
상기 2D 형태의 조감도에 등록된 자료를 통하여, 대형 건축물의 건설시 제한 사항들을 체크하고, 건축법에 위반되지 않도록 하며(도 4), 2D로 표현된 각 층별 단면도, 입면도, 측면도들의 구성 요소를 감안한 건축물을 3D 형태로 표현하여 3D View 조감도로 구현하는 구성요소 결정 수단 ;
상기 3D View 조감도에 등록된 자료를 통하여, 건축하고자 하는 건물에 있어서 제한 사항 및 환경, 지형, 일조건에 따른 조건 및 제한 사항들을 감안하여 각 층별에 들어갈 공간들의 치수의 크기 및 높이 등을 계산하여 가로, 세로, 높이들을 결정(도 5)하여 구현하는 치수결정수단 ;
상기 치수 및 수량결정 D/B에 등록된 자료를 통하여, 교통 및 환경, 지형, 일조건 평가, 각종 제한사항 등록, 요소자체 및 건축 구조, 배관부분, 전기설비분야, 조명 및 기계 설비 분야에 해당되는 제한사항을 제거하여 건축물 각 부분의 View를 구현하는 건축물 요소결정 수단 ;
상기 건축물 요소결정 수단에서 건축물의 세부 요소 결정을 살펴보면,
1) 환경적 부분(도 6) : 대형 건축물의 용도에 맞는 채광을 고려하여, 건축물에서 일어나는 모든 요소들을 감안하고, 관련된 모든 기능과 관리되어지는 동선들을 체크하여 분석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규모와 크기를 고려한 정확 수치를 결정한다.
2) 건축 구조 부분(도 7) ; 건축 구조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RC)와 철골 구조(S), 철골. 철근콘크리트 구조(SRC), 보강콘크리트 블록 구조 등이 있으나, 여기서는 라멘 구조와 철근 콘크리트 구조만 다룬다.
①. 대형 건축물에서는 라멘 구조와 철근 콘크리트 구조들로 구성됨으로 장단점들을 비교 검토하여 지형 가장 적합한 것으로 한다.
②. 내진 설계는 4축과 상, 하로 전문가 그룹들이 필요한 요소 내용을 데이터로 한다.
3) 배관 부분(도 8); 급수, 배수, 급탕, 냉방, 난방, 가스관을 배치하는 것이며, 그리고 여러 설비 형태로 분류되어 지며, 사후 관리 부분이 중요시 되는 부분이다.
4) 전기 설비 분야(도 9)로서 현대 대형 건축물에 있어서 모든 기능들이 전기에 의해서 이루어 진다. 따라서 전기 설비와 조명, 전기의 안전 등은 여러 측면에서 전문가들이 다루어야 한다.
5) 조명 및 기계 설비 분야(도 10); 대형 건축물에 있어서 기계 장치와 조명은 체육시설과 공연과는 다르며, 자동화로 이루어져야 된다.
상기 건축물 요소결정 수단에 모든 요소가 포함된 D/B의 자료를 통하여, 공정관리는 투입 물량 산출과 투입 인원, 스케줄 등이 표시하는 단계이므로 공사금액과 공사일정 및 원가관리 부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도 11)하는 최종 데이터 셋팅 수단;
상기 최종 데이터 셋팅에 추가요소를 등록하여 등록된 모든 요소가 등록 완료된 D/B의 자료를 통하여,
최종 건축물 구성은 각 단계에서 정확한 수치 및 데이터 값을 셋팅하여(도 12), 컴퓨터와 인터페이스(Interface) 과정으로 모든 요소를 확인하여 최종건축물 View로 구현하는 최종건축물 구성 수단;
상기 최종건축물 구성 단계에서 최종결과물 D/B를 통하여, 조감도, 평면도, 측면도, 관련도의 정확한 도면 처리 및 수치를 나타난 도면 및 3D 도면을 출력하는 단계(도 13)이며, 각종 계약서등을 문서화하여 관리하며, 각종보고서를 출력하여 사용하는 보고서 데이터 등록 및 보고서출력 수단; 으로 이루어져 건축설계 시스템이 완료되어지며,
상기의 건축물 요소결정 수단에서 최종 결과물 D/B에 문제리뷰로 등록되었을 경우에는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각각의 수단으로 피드백(feed back)되어 필요한 건축설계에 대한 조정 및 확인하는 관리시스템으로 구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설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실시예 2] 판넬화된 배송 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판넬화된 배송 시스템의 전체 흐름도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건축설계에 관련되어 건축설계 관리정보에 접수한 회원들의 필요에 의하여 진행되어 지는 연계된 건축설계 관리정보 시스템에서,
인터넷, 전자메일, 온라인 같은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하여 "시랑대-오랑대 아이콘(iCon)"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건축설계 관리정보 시스템을 시작(start)하게 되면 "시랑대-오랑대 iCon"이라 불리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스템이 가동되어 오픈(open)되어지는 시스템 가동단계 ;
건축설계에 관한 구성요소를 셋팅 하는 것으로, 건물의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건축설계에 관련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의 정보로 구성되는 전문가그룹의 정보를 등록하게 되는 구성요소 셋팅단계 ;
상기 구성요소가 셋팅된 정보를 통하여 컴퓨터를 통한 가상 데이터를 입력하여 전체 규모를 계략적으로 스케치하여 1차 View하면서 치수들을 CAD 툴에 맞추어 반복하면서 최종 안을 도출시키는 1차 View D/B에 자료를 등록한 후, 1차 View D/B에 등록된 자료를 통하여, 전체 단면도, 각 층별 건물 내에 들어갈 구성 요소들의 배치도 및 층별 단면도, 입면도, 측면도들을 CAD, AutoCAD, 다른 건축 툴로 2D 형태로 표현하여 2차 View 조감도로 구현하는 2D 형태의 조감도 셋팅수단;
상기 2D 형태의 조감도에 등록된 자료를 통하여, 대형 건축물의 건설시 제한 사항들을 체크하고, 건축법에 위반되지 않도록 하며, 2D로 표현된 각 층별 단면도, 입면도, 측면도들의 구성 요소를 감안한 건축물을 3D 형태로 표현하여 3D View 조감도로 구현하는 구성요소 결정단계 ;
상기 3D View 조감도에 등록된 자료를 통하여, 건축하고자 하는 건물에 있어서 제한 사항 및 환경, 지형, 일조건에 따른 조건 및 제한 사항들을 감안하여 각 층별에 들어갈 공간들의 치수의 크기 및 높이 등을 계산하여 가로, 세로, 높이들을 결정하여 구현하는 치수결정단계 ;
상기 치수 및 수량결정 D/B에 등록된 자료를 통하여, 교통 및 환경, 지형, 일조건 평가, 각종 제한사항 등록, 요소자체 및 건축 구조, 배관부분, 전기설비분야, 조명 및 기계 설비 분야에 해당되는 제한사항을 제거하여 건축물 각 부분의 View를 구현하는 건축물 요소결정 단계;
상기 건축물 요소결정단계에서 모든 요소가 포함된 D/B의 자료를 통하여, 공정관리는 투입 물량 산출과 투입 인원, 스케줄 등이 표시하는 단계이므로 공사금액과 공사일정 및 원가관리 부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최종 데이터 셋팅 단계;
상기 최종 데이터 셋팅에 추가요소를 추가 등록하여 등록된 모든 요소가 등록 완료된 D/B의 자료를 통하여, 최종 건축물 구성은 각 단계에서 정확한 수치 및 데이터 값을 셋팅하여, 컴퓨터와 인터페이스(Interface) 과정으로 모든 요소를 확인하여 최종건축물 View로 구현하는 최종건축물 구성 단계 ;
상기 최종건축물 구성 단계에서 최종결과물 D/B를 통하여, 조감도, 평면도, 측면도, 관련도의 정확한 도면 처리 및 수치를 나타난 도면 및 3D 도면을 출력하는 단계이며, 각종 계약서등을 문서화하여 관리하며, 각종보고서를 출력하여 사용하는 보고서 데이터 등록 및 보고서출력 단계; 로 이루어져 건축설계 시스템이 완료되어지며,
상기의 건축물 요소결정 수단에서 최종 결과물 D/B에 문제리뷰로 등록되었을 경우에는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각각의 단계로 피드백(feed back)되어 필요한 건축설계에 대한 조정 및 확인하는 관리시스템으로 구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설계관리 시스템의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3)

  1. 건축설계에 관련되어 건축설계 관리정보에 접수한 회원들의 필요에 의하여 진행되어 지는 연계된 건축설계 관리정보 시스템에서,
    인터넷, 전자메일, 온라인 같은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하여 "시랑대-오랑대 아이콘(iCon)"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건축설계 관리정보 시스템을 시작(start)하게 되면 "시랑대-오랑대 iCon"이라 불리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스템이 가동되어 오픈(open)되어지는 시스템 가동수단 ;
    건축설계에 관한 구성요소를 셋팅 하는 것으로, 건물의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건축설계에 관련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의 정보로 구성되는 전문가그룹의 정보를 등록하게 되는 구성요소 셋팅수단 ;
    상기 구성요소가 셋팅된 정보를 통하여 컴퓨터를 통한 가상 데이터를 입력하여 전체 규모를 계략적으로 스케치하여 1차 View하면서 치수들을 CAD 툴에 맞추어 반복하면서 최종 안을 도출시키는 1차 View D/B에 자료를 등록한 후, 1차 View D/B에 등록된 자료를 통하여, 전체 단면도, 각 층별 건물 내에 들어갈 구성 요소들의 배치도 및 층별 단면도, 입면도, 측면도들을 CAD, AutoCAD, 다른 건축 툴로 2D 형태로 표현하여 2차 View 조감도로 구현하는 2D 형태의 조감도 셋팅수단;

    상기 2D 형태의 조감도에 등록된 자료를 통하여, 대형 건축물의 건설시 제한 사항들을 체크하고, 건축법에 위반되지 않도록 하며, 2D로 표현된 각 층별 단면도, 입면도, 측면도들의 구성 요소를 감안한 건축물을 3D 형태로 표현하여 3D View 조감도로 구현하는 구성요소 결정 수단 ;
    상기 3D View 조감도에 등록된 자료를 통하여, 건축하고자 하는 건물에 있어서 제한 사항 및 환경, 지형, 일조건에 따른 조건 및 제한 사항들을 감안하여 각 층별에 들어갈 공간들의 치수의 크기 및 높이 등을 계산하여 가로, 세로, 높이들을 결정하여 구현하는 치수결정수단 ;
    상기 치수 및 수량결정 D/B에 등록된 자료를 통하여, 교통 및 환경, 지형, 일조건 평가, 각종 제한사항 등록, 요소자체 및 건축 구조, 배관부분, 전기설비분야, 조명 및 기계 설비 분야에 해당되는 제한사항을 제거하여 건축물 각 부분의 View를 구현하는 건축물 요소결정 수단 ;

    상기 건축물 요소결정 수단에 모든 요소가 포함된 D/B의 자료를 통하여, 공정관리는 투입 물량 산출과 투입 인원, 스케줄 등이 표시하는 단계이므로 공사금액과 공사일정 및 원가관리 부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최종 데이터 셋팅 수단;

    상기 최종 데이터 셋팅에 추가요소를 등록하여 등록된 모든 요소가 등록 완료된 D/B의 자료를 통하여, 최종 건축물 구성은 각 단계에서 정확한 수치 및 데이터 값을 셋팅하여, 컴퓨터와 인터페이스(Interface) 과정으로 모든 요소를 확인하여 최종건축물 View로 구현하는 최종건축물 구성 수단;
    상기 최종건축물 구성 단계에서 최종결과물 D/B를 통하여, 조감도, 평면도, 측면도, 관련도의 정확한 도면 처리 및 수치를 나타낸 도면 및 3D 도면을 출력하는 단계이며, 각종 계약서등을 문서화하여 관리하며, 각종보고서를 출력하여 사용하는 보고서 데이터 등록 및 보고서출력 수단; 으로 이루어져 건축설계 시스템이 완료되어지며,

    상기의 건축물 요소결정 수단에서 최종 결과물 D/B에 문제리뷰로 등록되었을 경우에는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각각의 수단으로 피드백(feed back)되어 필요한 건축설계에 대한 조정 및 확인하는 관리시스템으로 구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설계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설계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전문가그룹은 건축주, 건물주, 건축 설계사, 디자인 전문가 건설 시공사, 터파기, 가설공사, 파괴 공법 등의 분야별 시공 전문가, 건설 기계 전문가, 전기 전문가, 건축 환경 전문가, 건축 구조(지진 전문가), 배관 전문가, 창호 전문가, 조적 쌓기 전문가, 건축 법규 관련 전문가, 공정관리 전문가, 인허가 관리 및 재무관련 관리 전문가, IT 관련 전문가, 기타 건설공사 관련 전문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설계관리 시스템
  3. 건축설계에 관련되어 건축설계 관리정보에 접수한 회원들의 필요에 의하여 진행되어 지는 연계된 건축설계 관리정보 시스템에서,
    인터넷, 전자메일, 온라인 같은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하여 "시랑대-오랑대 아이콘(iCon)"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건축설계 관리정보 시스템을 시작(start)하게 되면 "시랑대-오랑대 iCon"이라 불리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스템이 가동되어 오픈(open)되어지는 시스템 가동단계 ;
    건축설계에 관한 구성요소를 셋팅 하는 것으로, 건물의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건축설계에 관련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의 정보로 구성되는 전문가그룹의 정보를 등록하게 되는 구성요소 셋팅단계 ;
    상기 구성요소가 셋팅된 정보를 통하여 컴퓨터를 통한 가상 데이터를 입력하여 전체 규모를 계략적으로 스케치하여 1차 View하면서 치수들을 조감도에 맞추어 반복하면서 최종 안을 도출시키는 1차 View D/B에 자료를 등록한 후, 1차 View D/B에 등록된 자료를 통하여, 전체 단면도, 각 층별 건물 내에 들어갈 구성 요소들의 배치도 및 층별 단면도, 입면도, 측면도들을 CAD, AutoCAD, 다른 건축 툴로 2D 형태로 표현하여 2차 View 조감도로 구현하는 2D 형태의 조감도 셋팅단계;
    상기 2D 형태의 조감도에 등록된 자료를 통하여, 대형 건축물의 건설시 제한 사항들을 체크하고, 건축법에 위반되지 않도록 하며, 2D로 표현된 각 층별 단면도, 입면도, 측면도들의 구성 요소를 감안한 건축물을 3D 형태로 표현하여 3D View 조감도로 구현하는 구성요소 결정단계 ;
    상기 3D View 조감도에 등록된 자료를 통하여, 건축하고자 하는 건물에 있어서 제한 사항 및 환경, 지형, 일조건에 따른 조건 및 제한 사항들을 감안하여 각 층별에 들어갈 공간들의 치수의 크기 및 높이 등을 계산하여 가로, 세로, 높이들을 결정하여 구현하는 치수결정단계;
    상기 치수 및 수량결정 D/B에 등록된 자료를 통하여, 교통 및 환경, 지형, 일조건 평가, 각종 제한사항 등록, 요소자체 및 건축 구조, 배관부분, 전기설비분야, 조명 및 기계 설비 분야에 해당되는 제한사항을 제거하여 건축물 각 부분의 View를 구현하는 건축물 요소결정 단계;
    상기 건축물 요소결정단계에서 모든 요소가 포함된 D/B의 자료를 통하여, 공정관리는 투입 물량 산출과 투입 인원, 스케줄 등이 표시하는 단계이므로 공사금액과 공사일정 및 원가관리 부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최종 데이터 셋팅 단계;
    상기 최종 데이터 셋팅에 추가요소를 추가등록하여 등록된 모든 요소가 등록 완료된 D/B의 자료를 통하여, 최종 건축물 구성은 각 단계에서 정확한 수치 및 데이터 값을 셋팅하여, 컴퓨터와 인터페이스(Interface) 과정으로 모든 요소를 확인하여 최종건축물 View로 구현하는 최종건축물 구성 단계 ;

    상기 최종건축물 구성 단계에서 최종결과물 D/B를 통하여, 조감도, 평면도, 측면도, 관련도의 정확한 도면 처리 및 수치를 나타난 도면 및 3D 도면을 출력하는 단계이며, 각종 계약서등을 문서화하여 관리하며, 각종보고서를 출력하여 사용하는 보고서 데이터 등록 및 보고서출력 단계; 로 이루어져 건축설계 시스템이 완료되어지며,
    상기의 건축물 요소결정 단계에서 최종 결과물 D/B에 문제리뷰로 등록되었을 경우에는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각각의 단계로 피드백(feed back)되어 필요한 건축설계에 대한 조정 및 확인하는 관리시스템으로 구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설계관리 시스템의 관리방법

KR1020120063526A 2012-06-14 2012-06-14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설계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1406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526A KR101406885B1 (ko) 2012-06-14 2012-06-14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설계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526A KR101406885B1 (ko) 2012-06-14 2012-06-14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설계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212A KR20130142212A (ko) 2013-12-30
KR101406885B1 true KR101406885B1 (ko) 2014-06-20

Family

ID=49985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526A KR101406885B1 (ko) 2012-06-14 2012-06-14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설계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8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443A (ko) 2016-11-24 2018-06-01 주식회사 이윰 웹 기반 건축 입찰 중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838B1 (ko) * 2015-09-14 2016-03-22 주식회사 두올테크 Bim 환경에서 문제점 해결 및 협업을 지원할 수 있는 지원 시스템
KR101760389B1 (ko) 2017-02-24 2017-07-21 스페이스워크 주식회사 가치 평가를 이용하여 건물 모델을 설계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N108806259B (zh) * 2018-01-15 2021-02-12 江苏壹鼎崮机电科技有限公司 基于bim的交通管制模型构建及标注方法
CN110055901A (zh) * 2019-05-16 2019-07-26 中铁十五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bim技术实现顶推钢管拱肋合龙精度的控制方法
CN110363681A (zh) * 2019-07-03 2019-10-22 福建卓畅建设有限公司 房建施工整合监管方法
CN110427445A (zh) * 2019-07-30 2019-11-08 江苏燕宁工程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公路工程bim中交通标志牌处理的方法及系统
CN114428988A (zh) * 2022-01-20 2022-05-03 南通雯华建筑规划设计有限公司 一种建筑结构设计优化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297A (ko) * 2000-09-19 2002-03-27 오종혁 인터넷을 이용한 건축 설계, 수·발주 및 시공관리 시스템
KR100330810B1 (ko) 1999-05-28 2002-04-01 최현애 건설정보 통합 관리시스템상에서 건설관련 자재목록을 이용한 시공에 관한 검색과 주문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75109A (ko) * 2001-03-23 2002-10-04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건설통합db를 이용한 건설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0669651B1 (ko) 2000-06-26 2007-01-15 주식회사지앤지커머스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건축운영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810B1 (ko) 1999-05-28 2002-04-01 최현애 건설정보 통합 관리시스템상에서 건설관련 자재목록을 이용한 시공에 관한 검색과 주문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669651B1 (ko) 2000-06-26 2007-01-15 주식회사지앤지커머스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건축운영시스템
KR20020022297A (ko) * 2000-09-19 2002-03-27 오종혁 인터넷을 이용한 건축 설계, 수·발주 및 시공관리 시스템
KR20020075109A (ko) * 2001-03-23 2002-10-04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건설통합db를 이용한 건설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443A (ko) 2016-11-24 2018-06-01 주식회사 이윰 웹 기반 건축 입찰 중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212A (ko)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885B1 (ko)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설계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
Panteli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applications in smart buildings: From design to commissioning and beyond A critical review
Abanda et al. BIM in off-site manufacturing for buildings
Jupp 4D BIM for environmental planning and management
Azhar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now and beyond
Masood et al. Is BIM adoption advantageous for construction industry of Pakistan?
Du et al. Multi-agent simulation for managing design changes in prefabricated construction projects
Grzyl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as an opportunity and risk for stakeholders involved in construction investment process
Porwal et al. The integr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nd system dynamic modeling to minimize construction waste generation from change orders
Ahmad et al. BIM-based iterative tool for sustainable building design: A conceptual framework
Mydin et al. Buildability attributes at design phase in Malaysian building construction
Shehata et al. (3Ts) Green conservation framework: A hierarchical-based sustainability approach
Politi Project planning and management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Nguyen et al. A theoretical BIM-based framework for quantity take-off to facilitate progress payments: the case of high-rise building projects in Vietnam
Xiaer et al. Design for safety (DFS)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 review
Dubljević et al. Computational BIM tool for automated LEED certification process
Deshpande et al. Evaluation of the use of BIM tools for construction site utilization planning
Krepp et al. BIMsite-towards a BIM-based generation and evaluation of realization variants comprising construction methods, site layouts and schedules
Grzyl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 small and middle sized buildings–case study
Nath et al. Precast workflow productivity measurement through BIM adoption
Wong et al. Barriers in implement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in quantity surveying firms
Kim et al. Developing 5D system connecting cost, schedule and 3D model
KR20230150483A (ko) 3d 모델을 기반으로하는 건축설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Popovas et al. Technique for computer aided evaluation of economic indicators of a construction project
KR20240062424A (ko) 3차원 모델링 기반 bim설계환경이 구현된 건축설계관리 시스템의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