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547B1 -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547B1
KR100800547B1 KR1020060136669A KR20060136669A KR100800547B1 KR 100800547 B1 KR100800547 B1 KR 100800547B1 KR 1020060136669 A KR1020060136669 A KR 1020060136669A KR 20060136669 A KR20060136669 A KR 20060136669A KR 100800547 B1 KR100800547 B1 KR 100800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acility
cost information
database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병모
윤창섭
김호열
김성태
김찬중
장근호
주인식
박진석
이근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060136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건설의 대상이 되는 시설물의 구성 부위와, 공종과, 공정과, 공정 액티비티를 탑다운 방식으로 체계적으로 저장하면서, 상기 공정 액티비티의 원가 정보를 함께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두고, 차후 실제 건설하고자 하는 시설물이 결정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신속하게 건설 공정 정보를 생성하여 하위 공정으로 상세화하고, 상기 공정의 관리에 있어서는 상기 원가 정보에 근거하여 공정의 진척 상황을 집계하고, 상기 시설물이 완성된 후에는 상기 집계된 실적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준공정, 액티비티, 원가, 공종, 시설물, 부위

Description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Method of construction process management connecting cost information by element}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관리방법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정관리방법의 전체 플로챠트이다.
도 3은, 통합 데이터베이스 초기 구축단계의 상세 플로챠트이다.
도 4는, 전체 공정 생성단계의 상세 플로챠트이다.
도 5는, 공정 상세화단계의 상세 플로챠트이다.
도 6은, 공정 집계단계의 상세 플로챠트이다.
도 7은, 모범사례 업데이트단계의 상세 플로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공정관리방법의 일 실시예(플랜트)의 단계별 적용 플로챠트이다.
도 9는, 표준부위와 원가공종코드로부터 시설물별 표준 WBS를 등록하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참조공정표와 현장개요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전체 공정의 일례인 현장공정표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급내역서와 수량산출서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대표물량 설정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상세화된 공정의 일례인 계약단위 공정표의 예시도이다.
도 15는, 실행내역서와 실행 수량산출서의 예시도이다.
도 16은, 실행단위 공정의 일례인 프로젝트 공정표의 예시도이다.
도 17은, 외주계약내역과 실행단위 공정의 다른 일례인 외주업체 상세공정표의 예시도이다.
도 18은, 공정 집계의 방법의 일례인 업체 작업일보의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공정관리방법의 일 실시예(토목/건축)의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0은,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공사개요의 설명도이다.
도 21은,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수량산출서의 예시도이다.
도 22는,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WBS 선정의 예시도이다.
도 23은,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전체 공정의 일례인 기본공정표의 예시도이다.
도 24는,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자재소요계획 예시도이다.
도 25는,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실행예산의 예시도이다.
도 26은,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대표항목/물량 선정의 예시도이다.
도 27은,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고층아파트의 관리계정의 예시도이다.
도 28은,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하도급 외주계약의 예시도이다.
도 29는,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매출 및 자금수지계획의 예시도이다.
도 30은,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자재입출고의 예시도이다.
도 31은,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공정 집계의 일례인 작업일보의 예시도이다.
도 32는,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외주기성고 산정의 예시도이다.
도 33은,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투입원가 집계의 예시도이다.
도 34는,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실행기성 산정의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데이터베이스 수단
200 : 통합 데이터베이스
210 : 표준부위 데이터베이스
220 : 표준공종 데이터베이스
230 : 표준액티비티 데이터베이스
240 : 표준원가 데이터베이스
250 : 표준공정 데이터베이스
300 : 제어수단
400 : 통신수단
500 : 단말
본 발명은,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에 관한 것 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건설의 대상이 되는 시설물의 구성 부위와, 공종과, 공정과, 공정 액티비티를 탑다운 방식으로 체계적으로 저장하면서, 상기 공정 액티비티의 원가 정보를 함께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두고, 차후 실제 건설하고자 하는 시설물이 결정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신속하게 건설 공정 정보를 생성하여 하위 공정으로 상세화하고, 상기 공정의 관리에 있어서는 상기 원가 정보에 근거하여 공정의 진척 상황을 집계하고, 상기 시설물이 완성된 후에는 상기 집계된 실적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의 대상이 되는 시설물은 크게 토건, 즉 토목 및 건축분야의 시설물과 플랜트 시설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설물은 그 구성요소가 되는 여러 부위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시설물별 부위 정보를 PBS 또는 WBS 등으로 체계화하는 기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시설물의 건설에 소요되는 원가 정보를 CBS로 체계화하는 기법도 알려져 있다.
한편, 시설물의 건설에 있어서는, 어느 시기에 어떠한 액티비티를 행할지를 계획하여 공정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공정대로 시설물이 건설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은 공정 관리에 의하여 행하여지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 공정(또는 일정) 정보와 원가(또는 내역) 정보의 연계가 자동화되어 있지 않았다. 물론 상기 공정 정보와의 연계가 자동화되어 있는 기술도 없는 것은 아니었지만, 이는 원가 정보와의 연계가 아니라 수량 정보와의 연계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실제로 상기 공정 정보와 원가 정보의 연계를 위해서는, 원가 데이터를 별도로 작성하여 두고, 이를 상기 공정 정보에 대하여 작업자의 주관에 따라서 일일이 수작업으로 연계 및 분할하여야 하는 실정이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수작업을 통하여 작성된 공정-원가 연계 데이터를 보다 상세화하여 관리하고자 할 때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특별한 기준 없이 작업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여 공정 정보 및 원가 정보를 상세화한 후, 이 공정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실적을 관리하고 있는 것이 실정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작업자의 주관적 판단기준에 의거하여 공정 정보와 원가 정보를 연계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객관적 합리성이 결여되고, 매번 연계시마다 서로 다른 판단기준이 작용할 우려가 있어서 연계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작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연계 공정표 작성에 과다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 있어서는, 실적을 관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공정표, 작업일보, 기성내역서 등도 일관된 기준에 의거하여 작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작업일보 실적, 공정실적, 기성내역 실적 등이 연계되어 있지 못하여 별도로 분리하여 관리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실적을 집계하거나 처리함에 있어서도, 일원화되고 일관된 관리방식을 적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시설물의 건설에 있어서는 과거의 경험이 중요한데, 이는 과거의 경험이 시간과 비용,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주어진 여건에서 가장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는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과거 건설 실적 중에서 우수한 모범사례가 있더라도, 건설 현장이 달라지면 그 과거 자료를 참조하는 것은 전적으로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었다. 따라서 우수한 모범사례를 새로운 현장에 적용하는 것도 어렵고, 설사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수작업에 의하므로 과다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그 정확도도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시설물의 건설공정을 관리할 때에, 원가정보에 기초하여 공정의 진척도 및 실적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시설물의 부위와, 그 부위 생성에 요하는 공종과, 그 공종에 수행에 요하는 공정 및 액티비티와, 상기 액티비티에 소요되는 원가 정보에 대하여 미리 구축해 놓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차후에 건설하고자 하는 시설물에 대한 최상위의 전체 공정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공정과 원가 데이터를 자동 연계시켜서, 프로젝트 초기에 내역이 연계된 표준화된 공정 계획표를 대폭 단축된 시간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전체 공정표로부터 하위 공정으로 신속하게 자동으로 상세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공정의 진척도를 관리함에 있어서, 공정, 내역, 일일 작업일보의 연계를 통하여, 최하위인 실행단위 공정에서의 집계만 이루어지면 순차 상위 공정으로 집계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적 반영과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방 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모든 액티비티의 내역을 집계하지 않고 단순히 대표적인 항목만을 관리하도록 하여, 전체적인 공정의 진척도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시설물의 완성 후에는, 신속하고 정확하며 일관성 있는 관리에 의하여 진행된 우수한 모범사례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다시 피드백시켜서, 차후 건설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은, 적어도 원가와 공정 관련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저장된 통합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된 데이터베이스 수단과,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연결된 단말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설물에 대한 건설공정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시설물별, 각 시설물의 부위별, 각 부위에 소요되는 공종별, 각 공종 수행에 소요되는 액티비티별, 각 액티비티의 소요 원가, 및 소요 공정 정보를 저장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구축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 초기 구축단계와, 건설하고자 하는 시설물 전체에 대한 부위를 분석하여, 소요 수량을 산출하고, 소요 공종 및 액티비티를 결정하고,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함으로써 시설물 전체에 대한 공정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자동으로 공정과 원가정보를 연계시키는 전체 공정 생성단계와, 상기 전체 공정과 실행단위 공정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공정에 대하여, 상위 공정에 대한 부위를 분석하여, 소요 수량을 산출하고, 소요 공종 및 액티비티를 결정하고,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 및 상위 공정을 참조함으로써 하위 공정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자동으로 공정과 원가정보를 연계시키는 공정 상세화단계와, 상기 시설물의 완성시까지 소정 집계 주기마다, 상기 실행단위 공정에서부터 상기 전체 공정까지 각 공정에 의하여 실행된 공정 상황을, 상기 원가정보에 기초하여 집계하여, 상위 공정으로 순차 취합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공정 집계단계와, 상기 시설물의 완성 후에, 부위별 모범사례로 선택된 공정에 대하여,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분류체계에 맞춰서 공정 및 원가정보 항목별로 저장하는 모범사례 업데이트단계를 적어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공정 정보는, 적어도 각 공정 액티비티의 소요 기간 정보와 작업 순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소요 기간 정보는, 전체 공정에서 각 액티비티가 차지하는 100분율 정보이다.
또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공정 정보는, CPM 기법에 의한 일정계산을 마친 후 표준공정표 형식으로 등록된다.
한편, 상기 전체 공정과 실행단위 공정, 그리고 중간 공정에 대하여, 각각 그 공정의 액티비티에 속한 내역 중에서, 그 내역만 기성 확인하면 나머지 내역은 자동으로 정해진 비율만큼 기성 인식되는 것으로 인정되는 내역을 대표항목으로, 상기 나머지 내역은 보조항목으로 설정하고, 상기 대표항목의 소요 물량을 대표물 량으로 설정한 후, 상기 대표물량의 달성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각 공정의 액티비티 및 공정 전체의 진척도를 산정함으로써, 대표물량의 소요 정도와 단가에 의한 원가를 공정에 연계시킨다.
이때, 상기 공정 액티비티의 일당량을 1/n으로 역산정하여 대표물량을 계산하고, 미리 정해져 있는 할증계수에 의하여 보조물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전체 공정은, 시설물이 건설될 현장 전체의 공정을 나타내는 현장 공정이고, 상기 중간 공정은, 상기 전체 공정에 포함되는 각 도급계약에 의한 계약단위 공정이며, 상기 실행단위 공정은, 상기 중간 공정에 포함되는 각 공정 액티비티를 실제로 수행하기 위한 프로젝트의 공정을 나타내는 프로젝트단위 공정이다.
이때, 상기 실행단위 공정은, 하도급업체에 의하여 수행되는 업체 상세공정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체 공정, 중간 공정, 및 실행단위 공정은, 자동으로 생성된 후에, 액티비티의 수동 가감을 거쳐서 미세조정된 후에 확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간 공정 및 실행단위 공정은,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부위 정보 중에서 필요한 부위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부위 정보에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공종 정보를 조합한 후, 상기 공종 정보에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공정 액티비티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생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 공정 및 실행단위 공정은, 그 상위 공정의 부위 및 공종 통합정보에서 필요한 공종 정보를 선택한 후, 공정 액티비티를 설정함으로써 생성된 다.
또한, 상기 중간 공정 및 실행단위 공정은, 그 상위 공정의 내역 및 수량산출 내용으로부터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자동으로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계의 대상은, 실행단위 공정에서 작성되는 작업일보이다.
이때, 상기 집계의 결과를 이용하여, 적어도 종합공정 실적집계 및 기성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상위 공정의 액티비티를 산정할 때, 일당량을 1/n으로 역산정하여 상위 공정의 액티비티까지 물량을 산정하며, 상위 공정에 물량이 없으면 하위 공정의 액티비티들의 총 금액에 기초하여 진척도를 산정한다.
이때, 실행단위 공정에서 입력되는 처리내역 물량을 금액으로 환산하여 공정 액티비티의 진척도를 계산하고, 상위 공정의 액티비티의 금액을 계산하여, 이를 전일 처리물량에 누적한다.
그리고, 상기 집계의 결과를 이용하여, 하위 공정에 계획되었던 공정의 조기달성이나 지연 상황을 상위 공정에 반영시키기 위한 실적 피드백 처리를 행한다.
또한, 모범사례에 대하여,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부위, 공종, 공정, 액티비티의 분류체계에 따라서, 적어도 각 소요 공정 순서 및 기간, 단가와 수량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과 상기 단말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대하여,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동일 구성, 동일 효과를 가지는 구성에 대하여는, 도면이 달라지더라도 동일 부호를 유지함으로써,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관리방법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 수단(100)은, 통합 데이터베이스(200) 및 제어수단(300), 그리고 통신수단(400)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100)의 통합 데이터베이스(200)를 이용하는 단말(500)은, 미도시된 제어수단 및 통신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통신수단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입출력수단을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200)는, 시설물별, 부위별, 공종별, 공정별, 액티비티별, 원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이다. 이들 데이터는 소정 기준에 의거하여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시설물별 표준부위 데이터베이스(210), 각 부위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공종 데이터베이스(220), 각 공종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공정 데이터베이스(250), 각 공정을 이루는 액티비티 데이터베이스(230), 각 액티비티의 원가 데이터베이스(240)가 구비된다. 상기 공정이라 함은, 공사에 소요되는 각 액티비티의 일정과 순서, 기간 등의 유기적 정보를 말하며, 액티비티마다, 또는 공정마다 소정의 원가 정보가 함께 저장됨이 특징이다. 상기 원가라 함은, 자재 또는 인력, 시간 등의 요소에 대한 단가와, 필요한 수량을 함께 고려한 개념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100)과 단말(500)의 사이에는,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망이 존재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100)의 통신수단(400)과 단말(500)의 미도시된 통신수단은, 이들을 전기통신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신망의 종류는, 본 발명의 실시에 지장이 없는 한,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정관리방법의 전체 플로챠트이다.
본 발명의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은, 적어도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100)과 이에 연결된 단말(500)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이용한다.
상기 방법은, 통합 데이터베이스(200) 초기 구축단계(S100)와, 전체 공정 생성단계(S200)와, 공정 상세화단계(S300)와, 공정 집계단계(S400)와, 모범사례 업데이트단계(S500)를 적어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통합 데이터베이스 초기 구축단계(S100)의 상세 플로챠트이다. 이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100)에, 시설물별, 각 시설물의 부위별(S100), 각 부위에 소요되는 공종별(S120), 각 공종 수행에 소요되는 액티비티별(S130), 각 액티비티의 소요 원가, 및 소요 공정 정보(S140)를 저장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구축하는 단계이다.
각 시설물은, 건설 도급계약의 대상물이 되는 것이며, 이러한 각 시설물은 여러 구성부위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설물의 부위를 표준화하여 데이 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또한, 각 부위는 어떤 특정 공종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공종 정보를 표준화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공종은 어떤 특정 공정에 의하여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 정보를 표준화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공정을 이루는 액티비티를 표준화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티비티와 관련하여, 공정의 일정과 소요 기간, 작업 순서를 특정하면서, 이와 함께 원가, 즉 단가와 필요 수량 데이터를 연계시켜서 저장할 수 있다. 즉, 예컨대 '터파기 공사'에는 '㎥당 단가 5000인 작업이 10단위 필요하다'는 식의 정보가 함께 저장된다.
특히, 상기 소요 기간 정보는, 전체 공정에서 각 액티비티가 차지하는 100분율 정보로 환산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100일 소요되는 전체 공정 중에서 특정 액티비티가 10일 소요되는 경우에, 이를 100분율 10의 정보로 저장한다는 의미이다. 이로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실제 공정에 적용할 경우에 비율에 의한 유연한 일정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200)는, 상기 표준부위, 공종, 액티비티, 원가, 공정 데이터베이스가 별개로 각각 형성되어도 좋고, 이들이 통합되어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형성되어도 좋다. 별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수단(300)에 의하여 일관된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마치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인 것과 같이 동작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비된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의하면, 각 시설물별, 부위별, 공종별, 공정별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며, 특히 상기 공정별 데이터는 차후 이용될 것을 전제로 하여 '표준 공정표'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준 공정표 정보는, CPM 기법에 의한 일정계산을 마친 후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일정 계산시의 오차를 미리 검증한 후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200)는, 최초 형성시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내용을 하나하나 표준화하여 구축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미 건설되어 그 효율성이 검증된 데이터로부터 추가로 입력되거나 업데이트되어 그 내용이 변동, 발전될 수 있다. 이로써,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항상 그 시점에서의 가장 효율화된 내용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런 의미에서 이를 표준 데이터베이스라고 부를 수 있다.
도 4는, 전체 공정 생성단계(S200)의 상세 플로챠트이다.
건설하고자 하는 시설물이 특정되면, 그 시설물 전체에 대한 구성 부위를 분석하여, 소요 수량을 산출한다(S210). 이때, 시설물의 특정과, 그 구성부위의 특정은,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200)를 참조하여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위의 건설에 요하는 소요 공종 및 액티비티를 결정한다(S240). 이 경우에도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200)를 참조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시설물, 부위, 필요 공종, 액티비티 등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통 합 데이터베이스(20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러한 항목을 적절히 추가하여, 신규 생성한 후에,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S220, S230).
그리고,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함으로써 시설물 전체에 대한 공정을 자동으로 생성한다(S250). 이때, 상기 미리 형성되어 있는 '표준 공정표'가 참조될 수 있다.
즉, 어떤 시설물, 예컨대 '용광로'라는 시설물에 대하여, 표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함으로써 각 부위별로 필요한 공종이 결정되고, 이 공종의 실행에 필요한 공정이 표준 공정표로부터 결정된다.
그런데, 상기 표준 공정표에는 그 공정 액티비티에 대하여 이미 원가 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표준 공정표로부터 결정되는 전체 공정 정보에는 이미 자동으로 공정과 원가정보가 연계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상기 전체 공정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자동화되어 출력되는 것이므로, 실제의 도급계약 내용과는 괴리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에 의하여 수작업으로 적정한 수정을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데이터베이스에 의하여 자동 생성된 후에, 수동으로 미세조정을 거쳐서 확정되는 전체 공정은, 소정의 저장수단에 저장된다(S260).
도 5는, 공정 상세화단계(S300)의 상세 플로챠트이다.
일반적으로, 어떤 시설물의 건설에 있어서, 전체적인 공정은 그 자체로 실행 되지는 않으며, 이를 보다 세부적인 하위 단위의 공정으로 상세화시켜서 실행된다. 이때, 가장 상위의 공정을 상기 전체 공정이라고 하면, 실제로 실행되는 단위의 공정을 실행단위 공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체 공정과 실행단위 공정 사이에 위치하는 공정을 중간 공정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중간 공정에 대하여는, 상기 실행단위 공정에 이르기까지(S305), 그 상위 공정에 대한 부위를 분석한다. 이때, 상위 공정의 내역 중에서 특히 상세화하고자 하는 내역에 대하여, 시설물 및 부위에 대한 분석을 행한다. 그리고, 그 분석에 의거하여, 소요 수량을 산출한다(S310).
그리고, 소요 공종 및 액티비티를 결정한다. 이때, 역시 각 액티비티에는 원가와 공정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S340).
여기서, 만일, 상기 시설물, 부위, 필요 공종, 액티비티 등에 대한 데이터가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20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러한 항목을 적절히 추가하여, 신규 생성한 후에,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S320, S330).
그 후,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 및 상위 공정을 참조함으로써 하위 공정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이때, 공정의 부위 정보와 내역의 공종 정보, 수량산출의 부위 정보로부터 공정 정보에 내역 정보가 자동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자동으로 공정과 원가정보가 연계된다(S350).
그 후, 작업자에 의한 수동 미세조정을 거쳐서 확정된 상기 중간 공정의 데이터는, 소정의 저장수단에 저장된다(S360).
상기 상세화 공정은, 실제 작업이 실행되는 각 실행단위 공정에 이를 때까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중간 공정 및 실행단위 공정을 생성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부위 정보 중에서 필요한 부위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부위 정보에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공종 정보를 조합한 후, 상기 공종 정보에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공정 액티비티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생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함으로써 처음부터 상위 공정의 정보와 연계되지 않은 독립적인 공정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다만, 상기와 같이 독립적인 공정 정보를 생성시킨 경우에는, 상위 공정의 정보를 차후에 연계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그 상위 공정의 부위 및 공종 통합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이로부터 필요한 공종 정보를 선택한 후, 공정 액티비티를 설정함으로써 생성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공정 액티비티 정보가 없는 상위 공정의 정보로부터 일단 부위 및 공종만을 생성한 후, 이 생성된 정보에 공정 액티비티 정보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마직막으로, 그 상위 공정의 내역 및 수량산출 내용으로부터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자동으로 공정 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내역 및 수량산출 내용에는, 공종 또는 액티비티 정보가 내포되어 있으므로, 상 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함으로써 자동생성이 가능하다.
도 6은, 공정 집계단계(S400)의 상세 플로챠트이다.
상기 시설물의 완성시까지(S410), 소정 집계 주기마다, 상기 실행단위 공정에서부터 상기 전체 공정까지 각 공정에 의하여 실행된 공정 상황을, 상기 원가정보에 기초하여 집계하여, 상위 공정으로 순차 취합하는 과정을 반복한다(S420).
이때, 상기 집계된 진척상황에 의거하여 실적 피드백을 행할 수 있다(S420). 상기 실적 피드백이란, 미리 정해진 공정 계획보다 늦거나 빠르게 진행된 공정의 결과를 다른 공정에서 맞추도록 반영하는 피브백 작업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보도 소정 저장수단에 저장된다.
또한, 미리 정해져 있는 기성처리 주기마다, 집계치에 의거하여 기성처리 및 저장을 행할 수 있다(S440). 이에 의하여 예컨대 외주업체에 대한 기성 처리분의 지급 등의 관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공정의 집계는 목표한 시설물의 완성시까지 반복된다.
여기서, 상기 최초의 전체 공정 및 중간 공정, 실행단위 공정에 대하여는 대표물량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대표물량이라 함은, 각각 그 공정의 액티비티에 속한 내역 중에서, 그 내영만 기성 확인하면 나머지 내역은 자동으로 정해진 비율만큼 기성 인식되는 것으로 인정되는 내역을 대표항목이라고 할 때, 그 대표항목의 소요 물량을 의미한다. 상기 대표항목의 상대개념을 보조항목이라 하고, 대표물량 의 상대개념을 보조물량이라 한다.
상기 대표물량에 의한 관리를 위해서는, 상기 대표물량의 달성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각 공정의 액티비티 및 공정 전체의 진척도를 산정한 후, 대표 물량의 소요 정도와 단가에 의한 원가를 공정에 연계시키는 방법이 활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정 액티비티의 일당량을 1/n으로 역산정하여, 대표물량을 계산하고, 미리 정해져 있는 할증계수에 의하여 보조물량을 산출함으로써, 전체적인 소요 물량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표물량과 보조물량 전체의 소요 물량에 의거하여 공정의 진척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상위 공정의 액티비티를 산정할 때, 일당량을 1/n으로 역산정하여 상위 공정의 액티비티까지 물량을 산정하며, 상위 공정에 물량이 없으면, 하위 공정의 액티비티들의 총 금액에 기초하여 진척도를 산정한다. 이로써, 어느 경우이더라도 상위 공정의 액티비티를 산정할 수 있고, 이에 의거하여 집계를 행할 수 있다.
이때, 실행단위 공정에서 입력되는 처리내역 물량을 금액으로 환산하여 공정 액티비티의 진척도를 계산하고, 상위 공정의 액티비티의 금액을 계산하여, 이를 전일 처리물량에 누적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원가에 의한 처리물량을 공정의 진척도로 관리하는 구체적 방안이 구비된다.
도 7은, 모범사례 업데이트단계(S500)의 상세 플로챠트이다.
상기 시설물의 완성 후에는, 각 공정에 대하여 부위별로 평가를 행한다. 이 평가 결과, 모범사례로 선택(S510)된 공정에 대하여는,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분류체계에 맞춰서 공정 및 원가정보 항목별로 저장한다. 즉, 공종, 액티비티, 원가, 공정 데이터를 추출한 후(S520), 이를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각 분야별로 저장한다(S530). 이로써, 효율성이 입증된 프로세스에 대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함으로써, 항상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현시점에서 가장 효율화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공정관리방법의 일 실시예(플랜트)의 단계별 적용 플로챠트이다.
어떤 시설물에 대한 도급내역서가 특정된 경우에, 도면 등의 설계 데이터로부터 수량산출서를 생성한 후, 상기 도급내역서의 내용을 참조하여 부위별 정보를 산출한다. 이때 관리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표물량을 설정할 수 있다.
부위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200)를 참조하여 기본공정표, 즉 전체 공정을 자동 생성한 후, 이를 공정 상세화단계(S300)에 의하여 상세공정, 공종별 상세공정 등의 순서로, 즉 중간 공정, 실행단위 공정으로 세분화해 나간다. 이때, 상기 도급내역으로부터 실행예산을 편성하고, 공종별 상세공정을 외주업체에서 행하는 경우에는 이로부터 외주계약내역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자체 실행이거나 외주실행인 경우 모두 실행단위 공정에서는 작업일보 라는 형태로 집계의 기초자료를 입력한다. 이때, 이들 자료는 종합 작업일보라는 형태로 상위 공정에서 집계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출용 작업일보도 작성될 수 있다.
집계의 결과는 자체기성 또는 업체별 기성산출을 거쳐서, 실행기성을 산출하여 집행하고, 상기 작업일보의 집계치와 기성 집계치는 변동사항의 반영에 의한 상위공정의 공정표 재작성 및 실적공정 진도표 체크에 활용된다. 그리고, 전체 계획에 반영되어, 다시 상기 관리가 연속 반복되는 작업이 시설물의 완성시까지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표준부위와 원가공종코드로부터 시설물별 표준 WBS를 등록하는 예시도이다.
시설물은 크게 토목/건축분야와 플랜트분야로 구분되며, 각 분야의 시설물과 그 각 시설물의 표준부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되어 있다. 예컨대 플랜트 중의 CAL 시설물에 있어서 대분류 Entry Section, 중분류 Transfer Equipment, 소분류 Coil Conveyor 등으로 분류된다.
한편, 공사의 종류인 공종에 대하여도 토목/건축과 플랜트로 구분하여, 필요한 공종과 원가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다. 예컨대 대분류 건축공사에 대하여 중분류로서 장비설치공사, 공통가설공사 등의 공종이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다. 필요시에는 더욱 세분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들 두 데이터베이스를 조합함으로써, 시설물의 부위와 그 부위의 건설에 필요한 공종이 특정되고, 그 공종에 소요되는 원가정보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시설물별 표준 WBS라 할 수 있다.
도 10은, 참조공정표와 현장개요의 예시도이다.
상기 시설물별 표준 WBS 정보에 표준 공정 액티비티를 설정하고, 그 소요기간 및 작업 순서를 설정한 후, CPM기법에 의한 일정계산을 수행하여, 참조 공정표, 즉 표준 공정표를 등록할 수 있다. 이로써, 통합 데이터베이스, 즉 표준 데이터베이스가 일단 완성된다.
그 후, 목표 시설물에 대한 현장 개요를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현장이 인도 1냉연 NO. 1 CAL 합리화 현장인 경우, 명칭, 계약금액, 공급가액, 계약일자, 계약기간 등 서지적 사항이 등록되는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대규모 현장에는 다수의 도급계약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1은, 전체 공정의 일례인 현장공정표의 예시도이다.
예컨대 CAL이라는 시설물에 대해서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의 부위에 대하여, 소요 공정을 고려하여, WBS 정보를 생성한 후, 이에 공정 액티비티를 부가하여 현장 공정표, 즉 전체 공정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데이터는 입력자인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여 미세조정된 후 확정되어 저장된다.
도 12는, 도급내역서와 수량산출서의 예시도이다.
한편, 도급내역서의 내용을 등록한다. 하나의 현장에 다수의 도급계약이 존재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므로, 계약단위별로 도급내역을 등록한다. 상기 도급내역에는 각종 공종 및 공정 액티비티와 관련된 항목이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로부터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도급수량산출서를 생성하여 등록한다. 상기 도급수량산출서에는 어떠한 공종이 얼마나 필요한지가 나타나 있다.
도 13은, 대표물량 설정의 예시도이다.
이제, 도급내역서의 정보를 이용한 공정 및 실적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대표물량을 설정한다. 예컨대 기계설치 항목을 대표물량으로 설정한 경우, 다른 항목은 보조물량이 되며, 미리 정해진 할증계수에 의하여 자동으로 전체 소요 물량이 산정되어, 차후에 이 수치로부터 공정 진척도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4는, 상세화된 공정의 일례인 계약단위 공정표의 예시도이다.
예컨대, 중간 공정을 하나의 공정으로 분화한 경우로서, 계약단위 공정을 들 수 있다. 이때, 계약단위 WBS를 설정하고, 이로부터 계약단위 공정표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계약단위 WBS는, 현장단위 WBS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하거나, 현장단위 WBS로부터 일부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생성하거나, 또는 미리 등록된 도급내역서 및 수량산출서를 이용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함으로써 자동으로 생성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약단위 공정표는, 현장공정표의 생성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생성할 수 있는데, 다만, 상기 현장공정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를 참조하여 생성하고, 존재치 않는 경우에는 참조공정표, 즉 표준 공정표를 참조하여 생성할 수 있다.
도 15는, 실행내역서와 실행 수량산출서의 예시도이다.
다음으로, 도급내역서를 이용하여 실행내역서를 작성하고, 이 실행내역서와 도급수량산출서를 이용하여 실행수량집계표를 생성하여 등록한다. 여기서, 실행 편성시에 신규내역이 발생하면, 실행수량산출서에 등록한다.
상기 실행내역서와 실행수량산출서는, 실행단위 공정에 요하는 내역과 수량이 나타나 있다.
도 16은, 실행단위 공정의 일례인 프로젝트 공정표의 예시도이다.
프로젝트 공정의 WBS는, 계약단위 WBS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하거나, 계약단위 WBS로부터 일부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생성하거나, 또는 미리 등록된 실행내역서 및 실행수량산출서를 이용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함으로써 자동으로 생성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젝트 공정표는, 프로젝트 WBS와 계약공정표, 실행내역서, 실행수량산출서를 참조하여 생성할 수 있다.
도 17은, 외주계약내역과 실행단위 공정의 다른 일례인 외주업체 상세공정표의 예시도이다.
만일 어떤 실행단위 공정에 대하여 외주업체에 하도급을 주는 경우에는, 외주계약과 함께, 그 관리를 위한 공정이 필요하다.
이때, 실행내역서를 기준으로 외주계약단위별로 외주계약내역서를 등록하고, 프로젝트 공정표와 외주계약내역서를 이용하여 업체상세 공정표를 생성한다. 만일 필요하면 상세화할 수 있다.
도 18은, 공정 집계의 방법의 일례인 업체 작업일보의 예시도이다.
그리고, 만일 상기 외주계약이 이루어지지 않은 공정에 대한 자체 실적을 집계하거나 외주계약에 의한 외주업체에 의한 외주 실적을 집계하는 경우에는, 작업일지에 의한 관리를 행할 수 있다.
만일, 외주업체에 의한 경우에는, 업체 상세공정표를 기준으로 하루 단위로 공정 액티비티별로 대표물량의 실적을 등록한다.
이러한 대표물량의 보고에 의하여, 보조물량이 환산 처리되어, 공정 진척도가 파악된다. 이들은 상위 공정에서 집계하여 종합 공정표의 실적 집계가 달성되고, 정기적으로 기성처리가 행하여진다. 만일 정해진 공기를 미리 달성하거나 지연 달성하게 된 경우에는, 이를 상위 공정 및 관련 공정에서 반영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실적 피드백 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처리된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공정관리방법의 일 실시예(토목/건축)의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급계약서로부터 도출된 수량산출서에 의거하여, 프로젝트 WBS를 선정하고, 이로부터 기본공정표, 즉 전체공정이 작성된 후, 자재 소요계획이 산출되고, 실행예산이 편성되며, 여기에 관리의 편의를 위하여 대표항목/물량이 선정되어 등록되고, 필요시 실행단위 공정에 대한 하도급공사 외주계약이 체결된다. 자재 입고 및 출고가 이루어진 후, 실행단위 공정에 대한 작업일지가 작성되면, 이를 집계하여 외주기성고를 산정하고, 투입원가를 집계하여 실행기성고를 산정하고, 성과 측정에 활용한다.
도 20은,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공사개요의 설명도이다.
먼저, 공사의 개요는 아파트로서, 5개동을 가지며, 철근콘크리트조이다.
도 21은,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수량산출서의 예시도이다.
이때 소요되는 수량산출서를 보면, 시설, 공간, 부위, 공종, 자원별 표준 분류체계를 이용하여 WBS를 구축하여 두고, 이로부터 프로젝트 WBS를 생성하고 있다. 이때, 예컨대 토목공사에 대해서는 터파기, 가적치 등의 공종이, 건축공사에 대해서는 레미콘 등의 공종이 도출되어 있다.
도 22는,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WBS 선정의 예시도이다.
수량산출서를 근거로 하여 시설물의 분류, 공간(동), 부위(층) 정보 등을 적용하여, WBS를 정의한다. 예시에서는, 101동에 대하여 가설공사, 조적공사, 단열공사, 방수공사 등의 공종이 나열되어 있다. 그리고, 내역분류체계를 연결하여 원가 개념을 함께 도입하여, 관리의 계정(대표물량)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3은,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전체 공정의 일례인 기본공정표의 예시도이다.
이미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WBS 정보나 표준 공정표에는 원가 정보가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예컨대 101동 철근콘크리트 공사는 2003년 11월 중순부터 2004년 12월 말까지 실행되며, 이들은 동별, 공종별 구조와 연계하여 수량산출서의 정보를 내포하고 있다.
도 24는,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자재소요계획 예시도이다.
공정계획을 근거로 하여 수량산출서로부터 주요 자재의 소요 계획을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예컨대, 101동 골조공사를 위해서는 철근은 공정계획에 따라서 2월에 50%, 4월에 50%가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고, 레미콘은 철근가공조립 공정 이후인 4월부터 소요될 것으로 예측된다.
도 25는,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실행예산의 예시도이다.
실행예산은 자체 작업의 경우와 외주 작업의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실행예산의 구조는 수량산출서의 구조를 그대로 따라서 작성됨이 바람직하다.
실행예산은 실행단가를 적용하는 것으로서, 원가 데이터베이스와 물가정보 등 구매단가와 협력업체 견적을 종합하여 결정한다. 상기 원가 데이터베이스는, 이미 완성된 시설물에 대한 모범사례가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된 경우에, 그 효율성이 입증된 것으로 인정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만, 그 모범사례 실적이 노후된 데이터인 경우에는 구매단가를 기준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도 26은,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대표항목/물량 선정의 예시도이다.
예컨대, 101동에 대한 건축공사에 있어서, 토공사 중에서는 '터파기-토사' 공종을, 레미콘의 경우에는 '레미콘 타설'을, 철근의 경우에는 '가공조립'을 대표물량으로 지정한 경우이다. 이때, 대표항목/물량을 선정함에 따라서 관련 공종에 대하여 그룹화를 할 수도 있다.
도 27은,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고층아파트의 관리계정의 예시도이다.
공동주택부문의 관리계정으로서 대표항목/물량에 의한 진도관리와 원가 변동에 대한 관리를 분리하여 행할 수 있는데, 시뮬레이션 프로젝트의 규모는 20층, 5개 동, 공사금액 약 1,300억원 규모라고 할 때, 원가 변동 관리 항목은 약 110개, 대표물량에 의한 진도관리 항목은 약 1,700개 수준으로 정할 수 있다.
도 28은,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하도급 외주계약의 예시도이다.
만일 특정 실행단위 공정에 대하여 외주업체에 하도급을 주는 경우에는, 그 하도급의 내역을 공종별 단가, 금액으로 특정할 수 있다. 이때, 발주예산 편성 및 하도급 발주 내역에 대하여 공사/용역을 온라인으로 연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외주업체의 공정 진척도를 온라인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29는,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매출 및 자금수지계획의 예시도이다.
공정계획을 근거로 하여 매출계획 및 수금, 지불계획을 작성할 수 있다. 매출계획을 근거로 하여 기성수금계획을 수립하고, 기타 선수금, 대여금 등 계약조건에 반영할 수 있으며, 자재발주 및 외주계약 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지불계획 수립, 계약 및 지불조건에 반영할 수 있다.
도 30은,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자재입출고의 예시도이다.
예컨대 101동 철근콘크리트 공사, 조적공사 등에 대하여 입고일, 입고수량, 입고단가 등의 정보를 공정계획과 맞춰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31은,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공정 집계의 일례인 작업일보의 예시도이다.
작업 수행을 자체공사에 의하는 경우에는 자체 작업일보를 작성하여 집계하고, 작업 수행을 외주 하청업체에 의하는 경우에는 그 외주업체마다 작업일보를 작 성하도록 하고, 일정 주기마다 집계한다.
예컨대, 토공은 A업체, 골조는 B업체와 C업체 등으로 외주를 주는 경우, 이들 작업일보는 취합되어, 상위 공정으로 종합되어 종합작업일보를 형성하게 된다.
도 32는,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외주기성고 산정의 예시도이다.
한편, 취합된 작업일보의 데이터는, 소정 주기, 예컨대 매월마다 기성 처리된다. 예컨대 대표물량이 정해져 있는 경우, 이 대표물량에 의한 집계에 의하여 진척율 또는 진척도가 결정되고, 이 진척도에 의거하여 기성고가 결정되며, 이에 의하여 기성처리가 이루어진다. 토공업체 A가 2004년 2월에 달성한 기성고는 이와 같이 산정되며, 외주비로서 처리된다.
도 33은,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투입원가 집계의 예시도이다.
그리고, 자재구입, 외주기성, 현장관리비, 안전관리비, 간접비 등의 비용은 투입원가로서 집계된다.
도 34는,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실행기성 산정의 예시도이다.
하도급에 의한 외주시공을 통해 달성한 기성물량에 실행단가를 반영하여 계산된 기성고가 자동 산정되며, 예컨대, 101동의 기초 및 골조공사의 경우에는, 철근이 반입되었으나, '가공 및 조립'공정이 진척되지 않았기 때문에 기성으로서 산정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회계적으로는 입고와 동시에 자동으 로 출고로 처리되므로, 수불부 상의 재고는 없는 상태로 파악된다. 따라서, 상기 실행기성의 산정은 회계정보로부터 파악될 수 없는 정보를 포함하는 의미있는 정보가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특정 실시예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본 발명의 본질적 내용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이루어진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설물의 건설공정을 관리할 때에, 원가정보에 기초하여 공정의 진척도 및 실적을 관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시설물의 부위와, 그 부위 생성에 요하는 공종과, 그 공종에 수행에 요하는 공정 및 액티비티와, 상기 액티비티에 소요되는 원가 정보에 대하여 미리 구축해 놓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차후에 건설하고자 하는 시설물에 대한 최상위의 전체 공정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공정과 원가 데이터를 자동 연계시켜서, 프로젝트 초기에 내역이 연계된 표준화된 공정 계획표를 대폭 단축된 시간으로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전체 공정표로부터 하위 공정으로 신속하게 자동으로 상세화시킬 수 있다.
또한, 공정의 진척도를 관리함에 있어서, 공정, 내역, 일일 작업일보의 연계 를 통하여, 최하위인 실행단위 공정에서의 집계만 이루어지면 순차 상위 공정으로 집계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적 반영과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모든 액티비티의 내역을 집계하지 않고 단순히 대표적인 항목만을 관리하도록 하여, 전체적인 공정의 진척도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시설물의 완성 후에는, 신속하고 정확하며 일관성 있는 관리에 의하여 진행된 우수한 모범사례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다시 피드백시켜서, 차후 건설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21)

  1. 적어도 원가와 공정 관련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저장된 통합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된 데이터베이스 수단과,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연결된 단말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설물에 대한 건설공정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시설물별, 각 시설물의 부위별, 각 부위에 소요되는 공종별, 각 공종 수행에 소요되는 액티비티별, 각 액티비티의 소요 원가, 및 소요 공정 정보를 저장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구축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 초기 구축단계와,
    건설하고자 하는 시설물 전체에 대한 부위를 분석하여, 소요 수량을 산출하고, 소요 공종 및 액티비티를 결정하고,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함으로써 시설물 전체에 대한 공정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자동으로 공정과 원가정보를 연계시키는 전체 공정 생성단계와,
    상기 전체 공정과 실행단위 공정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공정에 대하여, 상위 공정에 대한 부위를 분석하여, 소요 수량을 산출하고, 소요 공종 및 액티비티를 결정하고,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 및 상위 공정을 참조함으로써 하위 공정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자동으로 공정과 원가정보를 연계시키는 공정 상세화단계와,
    상기 시설물의 완성시까지 소정 집계 주기마다, 상기 실행단위 공정에서부터 상기 전체 공정까지 각 공정에 의하여 실행된 공정 상황을, 상기 원가정보에 기초하여 집계하여, 상위 공정으로 순차 취합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공정 집계단계와,
    상기 시설물의 완성 후에, 부위별 모범사례로 선택된 공정에 대하여,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분류체계에 맞춰서 공정 및 원가정보 항목별로 저장하는 모범사례 업데이트단계
    를 적어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공정 정보는, 적어도 각 공정 액티비티의 소요 기간 정보와 작업 순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요 기간 정보는, 전체 공정에서 각 액티비티가 차지하는 100분율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공정 정보는, CPM 기법에 의한 일정계산 을 마친 후 표준공정표 형식으로 등록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체 공정과 실행단위 공정, 그리고 중간 공정에 대하여, 각각 그 공정의 액티비티에 속한 내역 중에서, 그 내역만 기성 확인하면 나머지 내역은 자동으로 정해진 비율만큼 기성 인식되는 것으로 인정되는 내역을 대표항목으로, 상기 나머지 내역은 보조항목으로 설정하고, 상기 대표항목의 소요 물량을 대표물량으로 설정한 후, 상기 대표물량의 달성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각 공정의 액티비티 및 공정 전체의 진척도를 산정함으로써, 대표물량의 소요 정도와 단가에 의한 원가를 공정에 연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정 액티비티의 일당량을 1/n으로 역산정하여 대표물량을 계산하고, 미리 정해져 있는 할증계수에 의하여 보조물량을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체 공정은, 시설물이 건설될 현장 전체의 공정을 나타내는 현장 공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공정은, 상기 전체 공정에 포함되는 각 도급계약에 의한 계약단위 공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행단위 공정은, 상기 중간 공정에 포함되는 각 공정 액티비티를 실제로 수행하기 위한 프로젝트의 공정을 나타내는 프로젝트단위 공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행단위 공정은, 하도급업체에 의하여 수행되는 업체 상세공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체 공정, 중간 공정, 및 실행단위 공정은, 자동으로 생성된 후에, 액티비티의 수동 가감을 거쳐서 미세조정된 후에 확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공정 및 실행단위 공정은,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부위 정보 중에서 필요한 부위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부위 정보에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공종 정보를 조합한 후, 상기 공종 정보에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공정 액티비티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공정 및 실행단위 공정은, 그 상위 공정의 부위 및 공종 통합정보에서 필요한 공종 정보를 선택한 후, 공정 액티비티를 설정함으로써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공정 및 실행단위 공정은, 그 상위 공정의 내역 및 수량산출 내용으로부터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자동으로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계의 대상은, 실행단위 공정에서 작성되는 작업일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계의 결과를 이용하여, 적어도 종합공정 실적집계 및 기성처리를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위 공정의 액티비티를 산정할 때, 일당량을 1/n으로 역산정하여 상위 공정 의 액티비티까지 물량을 산정하며, 상위 공정에 물량이 없으면 하위 공정의 액티비티들의 총 금액에 기초하여 진척도를 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실행단위 공정에서 입력되는 처리내역 물량을 금액으로 환산하여 공정 액티비티의 진척도를 계산하고, 상위 공정의 액티비티의 금액을 계산하여, 이를 전일 처리물량에 누적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계의 결과를 이용하여, 하위 공정에 계획되었던 공정의 조기달성이나 지연 상황을 상위 공정에 반영시키기 위한 실적 피드백 처리를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20. 청구항 1에 있어서,
    모범사례에 대하여,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부위, 공종, 공정, 액티비티 의 분류체계에 따라서, 적어도 각 소요 공정 순서 및 기간, 단가와 수량 데이터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과 상기 단말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KR1020060136669A 2006-12-28 2006-12-28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KR100800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669A KR100800547B1 (ko) 2006-12-28 2006-12-28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669A KR100800547B1 (ko) 2006-12-28 2006-12-28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547B1 true KR100800547B1 (ko) 2008-02-04

Family

ID=3934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669A KR100800547B1 (ko) 2006-12-28 2006-12-28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54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327B1 (ko) 2010-07-21 2012-01-17 이기상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한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60686B1 (ko) 2013-03-18 2014-02-07 김유길 비용과 일정을 통합한 공정관리 시스템
KR101525003B1 (ko) * 2013-03-27 2015-06-03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건축물의 생애주기비용 산정 시스템
CN109064024A (zh) * 2018-08-02 2018-12-21 广东展诚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工程全过程造价动态管理方法及系统
KR102236978B1 (ko) 2020-06-30 2021-04-06 황희석 건설 시공비용 견적 산출 방법
KR102253818B1 (ko) * 2020-09-10 2021-05-18 윤지용 건축 자재 생산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2522943B1 (ko) * 2022-12-26 2023-04-19 대한민국(조달청장) Wbs 데이터가 포함된 cbs 기반의 설계 내역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가계산 및 입찰이 처리되는 시설공사 조달 관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767A (ko) * 2001-06-15 2002-12-28 (주) 엘콘시스템 비용/일정/공간 체계를 조합한 건설정보 처리방법
KR20020095768A (ko) * 2001-06-15 2002-12-28 (주) 엘콘시스템 공통자를 이용한 일정별 공정 영상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767A (ko) * 2001-06-15 2002-12-28 (주) 엘콘시스템 비용/일정/공간 체계를 조합한 건설정보 처리방법
KR20020095768A (ko) * 2001-06-15 2002-12-28 (주) 엘콘시스템 공통자를 이용한 일정별 공정 영상화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327B1 (ko) 2010-07-21 2012-01-17 이기상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한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60686B1 (ko) 2013-03-18 2014-02-07 김유길 비용과 일정을 통합한 공정관리 시스템
KR101525003B1 (ko) * 2013-03-27 2015-06-03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건축물의 생애주기비용 산정 시스템
CN109064024A (zh) * 2018-08-02 2018-12-21 广东展诚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工程全过程造价动态管理方法及系统
KR102236978B1 (ko) 2020-06-30 2021-04-06 황희석 건설 시공비용 견적 산출 방법
KR102253818B1 (ko) * 2020-09-10 2021-05-18 윤지용 건축 자재 생산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2522943B1 (ko) * 2022-12-26 2023-04-19 대한민국(조달청장) Wbs 데이터가 포함된 cbs 기반의 설계 내역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가계산 및 입찰이 처리되는 시설공사 조달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547B1 (ko)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Bu et al. Literature review of green retrofit design for commercial buildings with BIM implication
Tomek et al. Agile PM and BIM: A hybrid scheduling approach for a technological construction project
Pan et al. Construction material supply chain process analysis and optimization
Xu et al. Integration of BIM and energy consumption modelling for manufacturing prefabricated components: a case study in China
Hong et al. CBR-based cost prediction model-II of the design phase for multi-family housing projects
CN109558412A (zh) 装配式建筑建造平台的数据生长方法和装置
Stegnar et al. Information needs for progressive BIM methodology supporting the holistic energy renovation of office buildings
Moghadam Lean-mod: An approach to modular construction manufacturing production efficiency improvement
Si et al. A dynamic just-in-time component delivery framework for off-site construction
KR20180001297A (ko) 프로젝트 관리 장치
Porwal Construction waste management at source: a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ased system dynamic approach
JP2012098849A (ja) 工事進捗度の信頼性評価法
Sacks et al. 3D modeling and real-time monitoring in support of lean production of engineered-to-order precast concrete buildings
Said et al. Optimizing material logistics planning in construction projects
Kim et al. Stringing construction planning and execution tasks together for effective project management
KR20140117883A (ko) 건축물의 생애주기비용 산정 시스템
Каракозова et al. Creation of a network model on the basis of a universal sequence of construction works
Seppänen et al. Using location-based techniques for cost control
Dell’Isola Detailed cost estimating
Zheng Multi-Objective Optimization for Reinforcement Detailing Design and Work Planning on a Reinforced Concrete Slab Case
Ustinovičius et al. Uncertainty analysis in construction project’s appraisal phase
Trivedi et al. Optimisation of construction resources using lean construction technique
Li Integrat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cost estimating and scheduling for buildings construction at the conceptual design stage
Vishnuraj et al. Optimization of resources in highway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