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327B1 -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한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한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327B1
KR101105327B1 KR1020100070399A KR20100070399A KR101105327B1 KR 101105327 B1 KR101105327 B1 KR 101105327B1 KR 1020100070399 A KR1020100070399 A KR 1020100070399A KR 20100070399 A KR20100070399 A KR 20100070399A KR 101105327 B1 KR101105327 B1 KR 101105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st
construction
type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상
Original Assignee
이기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상 filed Critical 이기상
Priority to KR1020100070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한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더욱 상세하게는 세부 공간의 부위별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시설물의 공사 원가 내역 정보를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생성하여 정밀한 원가 내역을 생성하는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한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기존의 건설 공사비를 표현하는 공종별 공사비 내역서의 문제점과 원가 계산 방식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정확한 부위별 공사비 내역서를 생성할 수 있고, 부위별 공사 원가를 다각도로 파악할 수 있으며, 관급 조달 공사에서 예정 가격 작성이 정확해 질 수 있으며, 설계의 경제성 검토 업무 시 비용 모델의 정확한 총원가 분석할 수 있게 되며, 건설 사업 관리를 위한 원가 관리가 용이하게 되며, 실비 정산 계약 방식의 활성화가 가능하며, 추가 경비, 특히 발주처의 귀책 사유로 인한 공기 연장 시 발생하는 추가 경비의 적용이 공간별 정산이 가능하므로 갈수록 간접비로 인한 건설 분쟁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한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Construction Cos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cluding Element Information and the Method on it}
본 발명은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한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부 공간의 부위별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시설물의 공사 원가 내역 정보를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생성하여 정밀한 원가 내역을 생성하는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한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설계에서, 시공, 유지 관리에 이르는 건설의 전 단계를 관통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효용성과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으며, 최근 들어 IT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건설 정보의 근간이 되는 CAD 데이터의 범용적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들이 현실화되고 있다. IAI(International Alliance for Interoperability)의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와 같은 건설 정보의 통합을 위한 기본 프로토콜이 국제적인 노력에 의하여 성장하였고, 다양한 건설 소프트웨어에서 IFC가 프로토콜로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결과적으로 BIM이라는 개념으로 대중화하기 시작하였고, 미국과 유럽 등에서 설계와 시공 프로세스를 관통하는 통합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인정하여 제도적 뒷받침을 받으면서 확산되고 있다.
"BIM" 이라 함은 건축, 토목, 플랜트를 포함한 건설 전 분야에서 시설물 객체의 물리적 혹은 기능적 특성에 의하여 시설물 수명 주기 동안 의사 결정을 하는데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디지털 모델(정보 체계)과 그의 작성을 위한 업무 절차를 포함하여 지칭한다. "BIM 성과품"이라 함은 BIM을 적용하는 사업에서 최종적으로 완성된 BIM 산출물의 집합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계약서나 시방서 또는 과업 지시서 등에 명시된다.
BIM에서 사용되는 3차원 고간 정보의 객체 분류 체계는 모델 데이터를 구성하는 물리적 객체 단위를 체계적으로 분류한 목록을 말하며, 여기에서는 이를 공간 객체와 부위 객체로 분류한다. "공간 객체"라 함은 BIM 객체의 하나로서 공간 객체는 시설물의 층, 구역 및 실 등 공간의 범위를 정의하는데 사용하는 객체를 말한다. 공간 객체는 건물의 층, 구역, 실 등 각종 공간의 범위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객체로서 개념적으로 공간을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공간 객체는 스페이스 프로그램 등에 의하여 분류하며 사용 여부는 필요에 따라 정한다. "부위"라 함은 물리적인 관점에서 시설물의 한 부분으로서 공간을 둘러싸고, 공간의 기능을 지원하는 시설물의 구성 요소를 말한다. "부위 객체"라 함은 BIM 객체의 하나로서 부위를 정의하는데 사용하는 객체를 말한다. 부위 객체는 기둥, 벽, 문, 창 등과 같이 물리적으로 시설을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이는 기관이 사용하는 기술적 분류 체계에 의하되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목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입력대상은 부위 객체 분류 목록을 대상으로 전문 분야별로 최소 입력 요구 대상을 설정한다.
BIM 속성 분류 체계는 개개의 객체 분류 단위가 공통으로 가진 내부적 특성의 집합을 말한다. 객체별 속성은 식별, 형상, 물성, 참고 등의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기관이 사용하는 기술적 분류 체계에 의하되 확보가 여의치 않은 경우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목록을 사용할 수 있다. 입력 대상은 BIM 속성 분류 체계를 대상으로 전문 분야별로 최소 입력 요구 대상의 목록을 설정한다. 모델 데이터의 객체별 속성은 단계별로 구분하여 입력하도록 계획할 수 있다.
도 1은 국토해양부 공고 제 2009 - 781호 건설 정보 분류 체계의 구성을 설명하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하나의 시설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으로 구성되고, 각 공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각 부위 또는 각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이 공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층으로 구성되는 공종 분류 체계를 가질 수 있다.)이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각 공종에는 인력, 자재, 장비 등과 같은 자원이 배정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한 건설 공사의 정밀하고 정확한 공사 원가 내역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각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설물분류"는 건설활동의 최종 결과물로서의 시설물과 그 주변 환경요인의 사용목적, 용도 및 기능에 따른 분류를 말한다. "공간분류"는 공간용도와 물리적인 부위요소에 의하여 구성되는 면적 또는 체적 및 개념적 구획을 구분한 분류를 말한다. "부위분류"는 물리적인 관점에서 시설물의 한 부분으로서 공간을 둘러싸고, 공간의 기능을 지원하는 시설물의 구성요소의 분류를 말한다. "공종 분류"는 기술적으로 시설물의 한 부위를 구성하는 작업단위로서 제반 자원을 동원하여 고안된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작업 및 작업결과의 분류를 말한다. "자원분류"는 건설 공종에 투입되는 자원을 물리적 자원인 자재와 작업을 지원하는 장비, 그리고 작업을 직접 수행하는 인력으로 구성된, 자재분류, 장비분류, 인력분류를 말한다. 분류면(주제면)"은 어떤 사물의 다양한 측면(관점)에 대한 공통의 특성끼리 모은 분류를 말한다. "조합분류"는 분류하고자 하는 정보의 정의를 위하여 두 개 이상의 동일 혹은 다른 분류면(주제면)의 분류를 조합하여 분류하는 방법을 말한다.
현재 건설공사에서 관급공사의 경우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에 의거 "원가 계산"에 의한 예정 가격의 작성 준칙에 따라 예산 편성, 발주, 계약관리 등의 각종 행정 행위를 진행한다. 원가 계산의 요율의 차이는 있겠지만 민간 건설 공사도 상기의 공사 원가의 틀 속에서 공사비 내역서를 작성하여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공사 내역서의 작성은 기술별, 대공사 항목, 소공사 항목, 항목별로 물량을 집계 후 단가(자재비, 노무비, 경비)를 적용하여 직접 공사비 내역서를 작성하여 집계한 후 최종 집계표의 갑지로 각종 간접비 원가 요율을 적용하여 당해 프로젝트(공사)의 원가 계산서를 작성하여 총 공사비를 제시하는 방식이다. 이때, 을지는 공사의 양에 따라 매우 많은 장이 나올 수 있으나, 갑지는 최종 집계표를 대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통상 1장으로 정리된다.
공사비 원가 계산 정보 처리 시스템도 이러한 관행을 반영하여 개발, 운영되고 있다. 도 3은 기존의 공사비 원가 계산 정보 처리 시스템이 아파트 공사를 예시로 한 공사비 내역서 작성 프로세서에 대한 흐름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단가 정보 데이터(자재비, 노무비, 경비 등으로 구성된다.)와 수량 산출서 데이터(공사 항목에 따라 각 호수, 동에 대한 수량 집계 데이터로 구성된다.)가 입력된다.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각 동별로 공사 항목별 내역서를 생성하고, 다시 동별 집계를 한 다음, 공사 항목별로 집계하여 전체 집계 데이터를 생성해 낸다. 전체 집계 데이터에는 직접 공사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정보가 을지의 역할을 한다. 전체 집계 데이터에 원가 요율 정보를 적용하여, 전체 공사비(직접 공사비와 간접 공사비의 합계를 포함함) 계산해 낸다. 이와 같은 경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사 항목별 집계표 생성 단계에서 직접비만 집계되므로, 공사 항목별, 세부 공간 단위별로 총 공사비 대비 원가 분석이 불가능하게 된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공사비 내역서의 작성은 공종별 단가 정보 및 공종별 수량 집계 정보로 공사 물량을 집계한 다음, 1동 공종별 내역서 및 2동 공종별 내역서 등과 같이 내역 작업을 수행하고, 1동 집계표 및 2동 집계표 등과 같은 동별 집계를 수행한 다음, 공종별 집계를 수행하고, 전체 직접비 집계표를 생성한다. 상기 전체 직접비 집계표에 대하여 직접 공사비 비목별 금액에 비율 분석(원가 요율을 입력)하여, 전체 집계표를 대상으로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를 생성하고, 전체 집계표를 대상으로 직접 공사비와 간접 공사비를 합계하여 전체 공사비 내역을 완성한다.
공사 전체에 대하여 직접비를 총계를 집계하고, 전체 직접비 구성 항목에 비율 분석 방식으로 전체 공사에 대한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종래의 공사비 내역서 작성 프로세스상의 문제점은 세부 공간별 또는 부위별로 공사비 구성 항목별 상세한 공사비를 파악할 수 없게 된다. 왜냐하면, 종래에는 각 세부 공간별로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공사에 대하여 직접 공사비를 집계한 다음, 집계된 전체 공사의 직접 공사비로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기존의 공사비 내역 시스템은 원가 요율 정보가 집계 데이터의 생성 후에 적용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세부 공간 공사 항목별의 총원가를 파악하는 데 아래와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기도 한다.
첫째, 관급공사 예정 가격 작성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건설공사에서 현재의 내역서 작성 시스템으로는 세부 공간 공사 항목별로는 공사물량을 산출하나, 공사비 내역서의 작성 시는 각 공사 항목 항목별 원가를 별도로 계상하지 않는 한, 공사비 총액대비 당해 부분의 공사비를 바로 파악할 수 없어, 이를 위해서는 별도로 세부 공간 공사 항목별 내역서를 만들고, 원가를 별도로 계산하여 반영하지 않으면 그 원가 비율 파악이 불가능하다.
둘째, 건설사업관리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건설 사업 관리, 또는 건축 감리를 수행하는 건설 공사에서 월별, 또는 준공 공사별 기성 청구 시에도 전문 인력에 의해, 각 완성된 부분의 공사별로 수량을 집계하여야 하고, 이를 기초로 기성 청구 내역서를 작성 후 원가를 별도로 계산하여 산출하여야만 그 금액을 확정할 수 있다. 이는 상당히 복잡한 작업으로, 대형 공사장의 경우 기성 관리를 위한 별도의 공무직원을 두어야만 한다.
셋째, 건설현장의 공정관리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건설 공사의 공정 관리에도 각 액티비티 당 직접 공사비를 분개하여 그 보할 비율과 전체 공사비(공사 원가)에 적용하여 공정율에 반영하므로, 공정율 산출 시 오차가 발생하고, 실제적인 투입 공사비와 괴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종래에는 수행작업량, 공정의 단위를 산출하는 기준이 없기 때문에 통상으로 공사비로 입력하고, 액티비티에 직접비 또는 대표공사 항목금액(직접비)을 기준으로 입력하기 때문에 정밀한 실 투입공사비 산출이 어렵고, 별도의 실 투입공사비 내역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공정 관리 공사비 통합관리시스템(EVMS)이 사용되고 있다.
넷째,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 업무 시 발생하는 문제이다. 현재 발주 금액 100억 이상의 관급 공사에서 VE 기법을 통한 원가 절감 및 품질 개선이 의무화되었으나, 이를 위해서는 VE기법을 적용할 공사 항목의 총원가가 파악되어야 하는데, 이는 VE 가능한 세부 공간 단위로 분리하여 내역서를 만들고 각 항목별로 원가를 다시 재산출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난해하고,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야만 정밀한 VE가 가능하다. 때문에 현 시점에서의 VE는 금액을 직접비의 추정적인 분개로 금액을 할당하여 진행하는 경우에는 그 개선도가 낮아진다. 종래의 VE는 VE 수행 항목의 공사비에 대한 분석이 세부 공간 공사 항목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분개하는 것이 극히 난해할 뿐만 아니라 정밀한 분석을 지원하지 못했다. 또한, VE 수행 항목의 공사비에 대한 분석이 세부 공간 공사 항목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아 분개하는 것이 극히 난해할 뿐만 아니라 정밀한 분석을 지원하지 못하는 VE 제안서가 통용되었다.
다섯째, 공동주택의 분양가격 산정을 위한 세대별 공사비 파악이 불가능한 문제이다. 민간아파트의 분양 원가 공개는 법적인 사항이고, 택지비(감정가), 직접 공사비, 간접 공사비, 설계비, 감리비, 부대비, 가산비 등 7개 항목을 분양가심사위원회가 검증해 사업장별로 공개하게 된다. 또한, 분양 계약 시도 건물 부분과 지하 주차장 부분의 공사비가 별도로 분리되어 있으나, 이러한 공동 주택의 공사비 체계 역시 직접비와 간접비가 별도로 반영되어 있고, 이 또한 상당히 복잡하여 분양 원가를 공개하더라도, 세부 공간 단위로 산출이 불가하기 때문에 견본 주택에 적용된 사양에 대한 공사비의 검증이 어려운 게 현실의 사정이다.
여섯째, 세부 공간별 또는 부위별로 전체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의 산출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따라, 세부 공간별로 또는 부위별로의 정밀한 공사비 분석이 불가능하였다.
일곱째, 세부 공간별 또는 부위별로 공사 진행 여부가 정밀하게 점검될 수는 있어도, 점검된 공사 진행에 따른 정확한 기성 공사비의 산정과 기성 공사비 청구를 위한 기성 공사비의 산정이 불가능하였다.
도 4는 직접 공사비 집계 및 원가 계산 후에 총 공사비 파악이 가능한 종래의 공사 원가 계산서(갑지)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세부 공간에 대하여 공종별로 간접 공사비 정보가 없기 때문에 총 공사비 대비 원가 분석이 불가능한 종래의 공사 원가 내역서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6은 동별 공간에 대하여 공종별로 간접 공사비 정보가 없기 때문에 총 공사비 대비 원가 분석이 불가능한 종래의 공사 원가 내역서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7은 공종별 원가 내역서에서 공종별로 직접 공사비만 표현되어 있어, 총 공사비 정밀한 대비 원가 분석이 불가능한 내역서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2는 BIM 설계 도면의 제작 소프트웨어 및 설계 도면의 일 실시예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BIM을 활용하여 물량을 산출하는 방식은 길이, 면적, 체적, 재료 등의 정보를 갖고 있는 객체를 생성하고 객체의 형상 및 재료에 따라 체적, 면적 등을 계산하여 물량을 산출한다. 이러한 산출 방식은 주요 구조 부재 및 마감재와 같이 모델링 되어진 객체에 한정되어 물량을 산출하기 때문에 거푸집, 동바리, 비계와 같이 설치 후 해체되는 가설공사나 조적 공사와 같이 벽돌의 크기 및 매수에 따라 적산 되는 공종 대한 적용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건설 사업의 공사비 산정에서 요구되는 표준 품셈, 일위 대가, 통합 내역서 등의 형식을 산출하는 기능을 지원하지 못하고, 개략 견적에 이용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세부 공간의 DB 형성만으로 세부 공간의 "부위"별 공사 원가 파악이 즉시 가능한 공사 원가 계산 정보 처리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공간별 부위별 원가 계산 방식은 추후 건물의 실제 형상과 정보를 가지는 3차원 기반 속성 정보 데이터를 활용하는 BIM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부위"별 공사 원가 파악이 즉시 가능한 공사원가 계산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건물의 실제 형상과 정보를 가지는 3차원 기반 속성 정보 데이터를 활용하는 BIM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신개념의 내역 시스템이 필요하다.
KR 1020010007818 A KR 1020010092638 A KR 10-0900315-0000 B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현행의 "공종별 내역서"와 대비되는 새로운 개념의 내역서 체계로 "부위 단위"의 세분화된 공간 중심의 공사비 내역서의 생성을 포함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현행의 "공종별 내역서"와 대비되는 새로운 개념의 내역서 체계로 "부위 단위"의 세분화된 공간 중심의 공사비 내역서의 생성을 포함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이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에 대한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에 대한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B)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가 대응되는 부위별-공종별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C)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이 설정하거나, 상기 사용자 컴퓨터의 요청을 반영한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가 정보는 직접 공사비 정보를 구성하는 공종별 자재비 정보, 공종별 노무비 정보, 및 공종별 경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B) 단계와 상기 (A) 단계는 상기 (A) 단계 후 상기 (B) 단계가 순차적으로 실시되거나, 상기 (B) 단계 후 상기 (A) 단계가 순차적으로 실시되거나, 상기 (A) 단계 및 상기 (B) 단계가 통합되어 1개의 단계로 실시되는 것이며, 상기 원가 요율 정보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 및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의 값을 계산하기 위한 규칙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입력된 공종별 단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생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에서 상기 공종은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종 분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공종 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 분류 체계가 2 이상의 계층을 가지는 다 계층 구조로 되는 경우,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공종 분류 체계를 저장하고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는 상기 공종 분류 체계상의 최말단 공종 분류 및 상기 공간 분류 체계상의 최말단 공간 분류를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가 요율 정보는 공사 규모 및 공사 유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것이며, 상기 단가 정보에는 직접 공사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에는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를 입력 변수 값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이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 및 상기 (B) 단계가 통합되어 1개의 단계로 실시되는 것은 하나의 정보 단위로 부위별-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가 입수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부위별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에 대응하는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인 것이며,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세부 공간이 포함되는 상기 세부 공간의 상위 공간과 상기 세부 공간의 관계에 관한 정보인 공간 구성 정보를 입수 받는 것이며, 상기 공간 구성 정보를 입수 받는 것은 상기 세부 공간의 상위 공간 분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에서 입수 받거나, 별도의 공간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세부 공간별 위치 정보로부터 입수 받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n(n>1)개의 독립된 차원을 가지는 데이터 구조를 가지는 것이며, 상기 차원은 공종, 공간, 공사비 구성 항목, 부위 중 어느 2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종에 관한 공종 분류 체계가 2 이상의 계층을 가지는 다 계층 구조로 되는 경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상의 공종 차원은 상기 공종 분류 체계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 공간에 관한 공간 분류 체계가 2 이상의 계층을 가지는 다 계층 구조로 되는 경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상의 공간 차원은 상기 공간 분류 체계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 공사비 구성 항목에 관한 공사비 구성 항목 분류 체계가 2 이상의 계층을 가지는 다 계층 구조로 되는 경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상의 공사비 구성 항목 차원은 상기 공사비 구성 항목 분류 체계를 반영하고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할 때, 상기 공종 분류 체계를 반영한 공종 분류별 중간 집계 정보, 상기 공간 분류 체계를 반영한 공간 분류별 중간 집계 정보, 상기 공사비 구성 항목 분류 체계를 반영한 공사비 구성 항목 분류별 중간 집계 정보 및 상기 부위별 중간 집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중간 집계 정보로 생성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변동이 발생하거나,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기 설정된 단위로 구분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변동이나 상기 구분을 회차로 관리하는 것이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할 때, 상기 회차별로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동은 공기 연장에 따른 추가 경비 발생, 물가 연동에 따른 지수 조정 발생, 변경 설계 변경에 따른 공종이나 투입 자재의 종류나 수량의 변동 발생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컴퓨터의 요청은 공종, 공간, 공사비 구성 항목, 부위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관련된 내역 정보인 것이며,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상기 공종, 공간, 공사비 구성 항목, 부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 정보와 관련된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이며, 상기 시스템은 3D CAD 시스템, VE 시스템, EVMS 시스템, 건설 감정 정보 처리 시스템, 예정 가격 작성 시스템, 원가 분석 시스템, 건설 사업 관리 시스템, 공사비 적산 시스템, 공사비 관리 시스템, 건설 감리 시스템, BIM 시스템, 건설 발주자 측 시스템, 건설 수행자 측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 객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경우, 상기 부위 객체가 하나이거나, 복수 개인 경우, 상기 개별 부위 객체에 대응하는 개별 부위별로 상기 부위가 대응되는 공종 및 상기 부위를 포함하는 공간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공사비 구성 항목별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에서 부위별 수량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상기 부위별 수량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 객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경우, 상기 부위 객체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개별 부위 객체에 대응하는 개별 부위별로 상기 부위가 대응되는 공종 및 상기 부위를 포함하는 공간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공사비 구성 항목별 내역 정보를 생성한 다음, 상기 복수개의 부위 객체가 속하는 상기 공종별 및 상기 공간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상기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내역을 재집계한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에서 부위별 수량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상기 부위별 수량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가 내역 정보는 상기 공종에 관한 공종 분류 체계가 2 이상의 계층을 가지는 다 계층 구조로 되는 경우, 상기 원가 내역 정보는 상기 공종별로 상기 2 이상의 계층별로의 집계 정보를 반영하는 것이거나, 상기 공간에 관한 공간 분류 체계가 2 이상의 계층을 가지는 다 계층 구조로 되는 경우, 상기 원가 내역 정보는 상기 공간별로 상기 2 이상의 계층별로의 집계 정보를 반영하는 것이며, 상기 집계 정보에는 상기 공사비 구성 항목에 관한 공사비 구성 항목 분류 체계를 반영한 집계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사비 구성 항목 분류 체계를 반영한 집계 정보에는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집계 정보,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집계 정보 및 총 공사비 집계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에 대한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에 대한 공종별 단가 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대한 대응 정보인 부위별-공종별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입력 정보로 입수 받는 데이터 입수부;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이 설정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요청을 반영한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원가 내역 생성 엔진; 및 상기 데이터 입수부가 입력받는 데이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데이터, 원가 내역 정보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물 양식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DB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가 정보는 직접 공사비 정보를 구성하는 공종별 자재비 정보, 공종별 노무비 정보, 및 공종별 경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원가 요율 정보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 및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의 값을 계산하기 위한 규칙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입력된 공종별 단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생성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및 상기 부위별-공종별 정보는 하나의 정보 단위로 입력되는 것이거나, 별개의 정보 단위로 입력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에서 상기 공종은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종 분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공종 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 분류 체계가 2 이상의 계층을 가지는 다 계층 구조로 되는 경우,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공종 분류 체계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는 상기 공종 분류 체계상의 최말단 공종 분류 및 상기 공간 분류 체계상의 최말단 공간 분류를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은 상기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입력된 단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생성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n(n>1)개의 독립된 차원을 가지는 데이터 구조를 가지는 것이며, 상기 차원은 공종, 공간, 공사비 구성 항목, 부위 중 어느 2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에 관한 공종 분류 체계가 2 이상의 계층을 가지는 다 계층 구조로 되는 경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상의 공종 차원은 상기 공종 분류 체계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 공간에 관한 공간 분류 체계가 2 이상의 계층을 가지는 다 계층 구조로 되는 경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상의 공간 차원은 상기 공간 분류 체계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 공사비 구성 항목에 관한 공사비 구성 항목 분류 체계가 2 이상의 계층을 가지는 다 계층 구조로 되는 경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상의 공사비 구성 항목 차원은 상기 공사비 구성 항목 분류 체계를 반영하고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은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할 때, 상기 공종 분류 체계를 반영한 공종 분류별 중간 집계 정보, 상기 공간 분류 체계를 반영한 공간 분류별 중간 집계 정보, 상기 공사비 구성 항목 분류 체계를 반영한 공사비 구성 항목 분류별 중간 집계 정보 및 상기 부위별 중간 집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중간 집계 정보로 생성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변동이 발생하거나,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기 설정된 단위로 구분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변동이나 상기 구분을 회차로 관리하는 회차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은 상기 회차별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공종, 공간, 공사비 구성 항목, 부위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관련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원가 내역 선택 정보 입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가 내역 정보 생성 엔진은 상기 원가 내역 선택 정보 입수부가 입수하는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 정보와 관련된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사용자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시스템이며, 상기 시스템에는 2D/3D CAD 시스템, VE 시스템, EVMS 시스템, 건설 감정 정보 처리 시스템, 예정 가격 작성 시스템, 원가 분석 시스템, 건설 사업 관리 시스템, 공사비 적산 시스템, 공사비 관리 시스템, 건설 감리 시스템, BIM 시스템, 건설 발주자 측 시스템, 건설 수행자 측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 설정된 시스템으로부터 공간 객체에 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공간 객체 선택 정보 입수부;를 더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공간 객체 선택 정보 입수부는 공간 분류 체계상의 공간 분류의 최하위인 부위에 관한 부위 객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하는 부위 객체 선택 정보 입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가 내역 정보 생성 엔진은 상기 기 설정된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 객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경우, 상기 부위 객체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개별 부위 객체에 대응하는 개별 부위별로 상기 부위가 대응되는 공종 및 상기 부위를 포함하는 공간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공사비 구성 항목별 내역 정보를 생성한 다음, 상기 복수개의 부위 객체가 속하는 상기 공종별 및 상기 공간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상기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내역을 재집계한 가공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에서 부위별 수량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상기 부위별 수량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기 설정된 출력물을 제공하는 출력물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물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상기 원가 내역 생성 엔진이 생성한 원가 내역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기존의 건설 공사비를 표현하는 공종별 공사비 내역서의 문제점과 원가 계산 방식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동시에 갈수록 증가하는 클레임과 분쟁을 예방하고, 개선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세부 공간의 부위별 공사 원가 계산 방법은 건설 과정에 서의 각종 참여자들의 공사비에 대한 정확하고도 구체적이고 명확한 정보의 파악이 가능하게 하고, 건설 공사의 분쟁 발생 시 공사 비용의 산출과 분석에 효과적으로 대처 가능하게 하며, 나아가 건설 산업 전반에 걸쳐 역동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3차원 건설 정보인 BIM 기술에도 적용할 수 있는 신개념의 공사 원가 계산 시스템 기반구축에 일조할 것이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세부 공간의 DB 형성만으로 세부 공간의 정확한 부위별 공사 원가 파악이 즉시 가능한 공사 원가 계산 정보 처리 방법이고, 이러한 공간별 부위별 원가 계산 방식은 추후 건물의 실제 형상과 정보를 가지는 3차원 기반 속성 정보 데이터를 활용하는 BIM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부위"별 공사 원가 파악이 즉시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관급 조달공사에서 예정 가격 작성을 통한 공사비 내역서 작성 시, 공사의 항목별 내역, 각 세부 공간 항목별 내역이 정확하게 즉시 파악이 가능하고, 설계 내역서 작성 시 세부 공간 단위의 공사비의 즉각적인 분석이 가능하므로, 효율적인 비용 분배를 통한 경제적인 설계 및 공사비 내역서 작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설계의 경제성 검토 업무 시 비용 모델의 정확한 총원가 분석이 가능하다. VE기법에 적용할 항목별 비용 분배가 바로 가능하므로, VE 수행 시 금액 분개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전체 공사비와 비교가 가능하므로 효율적이고, 정밀한 VE가 가능해져 건설업 전체에 장기적인 성장요인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건설 사업 관리를 위한 원가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건설 공사의 항목별 내역, 각 세부 공간 항목별 내역이 즉시 파악 가능하고, 항목의 공사비 대비 전체 공사비와의 비율, 직접 공사비, 간접 공사비, 원가 요율, 부가세 등의 항목당 공사 원가를 구성하는 모든 내용이 한번에 동시에 분석되므로 내역서 관리, 공사비의 관리가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또한, 건설 공사의 공사 수행 후 월별, 또는 준공 공사별 기성 청구 시에도 각 세부 공간의 공종 항목의 완성, 미완성 여부만 판단하여 입력하면 즉시 실투입 공사비, 공사 수량 등이 확정되므로 현장 기성 관리 업무, 설계 변경 등의 업무 효율이 극대화된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실비 정산 계약 방식의 활성화 될 수 있다. 세부 공간별, 부위별 공사비 정산이 가능하고 간접비의 정확한 계산이 가능하므로 실비 정산 계약 방식의 활성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추가 경비의 정산 가능하게 된다. 현행의 공종별 내역서로는 표현할 수 없는 추가 경비, 특히 발주처의 귀책 사유로 인한 공기 연장 시 발생하는 추가 경비의 적용이 공간별 정산이 가능하므로 갈수록 간접비로 인한 건설 분쟁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건설 정보 분류 체계의 구성을 설명하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2는 BIM 설계 도면의 제작 소프트웨어 및 설계 도면의 일 실시예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공사비 내역서 작성 프로세스에서 원가 계산 시점 구분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직접 공사비 집계 및 원가 계산 후에 총 공사비 파악이 가능한 종래의 공사 원가 계산서(갑지)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세부 공간에 대하여 공종별로 간접 공사비 정보가 없기 때문에 총 공사비 대비 원가 분석이 불가능한 종래의 공사 원가 내역서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동별 공간에 대하여 공종별로 간접 공사비 정보가 없기 때문에 총 공사비 대비 원가 분석이 불가능한 종래의 공사 원가 내역서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7은 공종별 원가 내역서에서 공종별로 직접 공사비만 표현되어 있어, 총 공사비 정밀한 대비 원가 분석이 불가능한 내역서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시스템이 하나의 컴퓨터(서버나 대형 시스템,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PDA 등을 포함하는 기타 휴대용 컴퓨터 등) 내에서 작동하는 것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유무선 네트워크로 사용자 컴퓨터 또는 제 3의 시스템과 연계되어 작동하는 것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상기 제 3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자신의 일부로써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시스템의 기능 또는 시스템 자체를 연계, 호출, 처리 의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상기 제 3의 시스템의 예는 건설 설계 소프트웨어 또는 건설 설계 지원 시스템(예를 들면, BIM 시스템, 3D CAD 시스템)이 한 예가 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흐름도로 입력 정보를 처리하여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일 실시예적 방법을 제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흐름도로 시스템이 설정하거나 사용자가 요청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에 대하여 공사비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흐름도로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 객체에 대하여 설정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원가 내역 정보를 결정하고,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참조하여 선택된 공간 객체에 대응하는 설정 되거나 선택되는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세부 공간별 내역서의 일 실시예로, 세부 공간이 부위별로 구분되는 내역서로 현행의 "공종별 내역서"와 대비되는 새로운 개념의 내역서 체계로 공종을 구성하는 공사항목의 "수량", "규격", "단위", "단가" 등의 비목별 명세와 부수적인 "간접경비""총원가"가 동시에 시설물 세부공간의 부위별로 표기되는 "공간"중심의 공사비 내역서의 일례다. 상기 내역서에서는 천정, 바닥 등과 같은 부위별로 내역서가 작성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간접비는 간접비 구성 항목별로 상기 부위별로 내역이 작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할 것이다.
도 14 종래의 공사비 내역서 작성 프로세스에서 원가 계산 시점 구분과 본 발명의 공사비 내역서 작성 프로세스에서 원가 계산 시점 구분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공사비 내역서 작성 시에는 원가 요율이 집계 단계 이전에 최초부터 활용됨으로써, 세부 공간별, 부위별로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및 기타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를 정확하게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입력 데이터로서 시설물 세부 공간별 위치 정보의 일례에 관한 도면이다. 상기 예시에서는 1층은 열람실 1, 열람실 2, 서고 1, 어린이 열람실, 화장실 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세부 공간별 위치 정보 데이터를 통하여 각 세부 공간은 각층별, 각 건물별로의 소속/분류 정보가 더 입력되어 공간 데이터부를 구성하게 된다. 공간 데이터부로 세부 공간 DB의 구성이 가능하다.
도 16은 입력 데이터로서 공종별-공간별 수량 산출 정보의 일례이다.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산출 정보에는 부위에 관한 정보가 추가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도 17은 입력 데이터로서 단가 정보 데이터의 일례에 대한 도면이다. 상기 단가 정보에는 공종(품명)별로 재료비, 노무비, 경비 등 직접비 구성 항목별 직접비가 포함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18은 입력 데이터로서 원가 요율 데이터 입력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원가 요율은 주로 간접비 구성 항목별로 원가 요율을 구성하는 함수(방식/공식)이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산재 고용 보험료는 G열*2.9%라고 할 때, G열은 산재 고용 보험료의 산정에 기초가 되는 다른 데이터 필드(예를 들면, 노무비)값이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데이터 필드의 일 실시예적 집합을 보여주고 있다. 데이터 필드들은 그룹핑 될 수 있는데, 차수 구분 필드 그룹, 세부 공간 위치 정보 필드 그룹, 직접비 구성 항목별 단가 정보 필드 그룹, 간접비 구성 항목 필드 그룹, 추가 경비 및 실비 보수 경비 필드 그룹, 발주처 직구매 자재, 폐기물 처리비 등 별도 금액 필드 그룹, 관급 자재비 등 기타 필드 그룹, 총원가 필드 그룹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 대한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큐브 데이터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차원은 원가 내역 구성 항목(비용), 공종, 공간이 기본적인 차원이 되고, 선택적으로 설계 변경, 기성고 확인, 계약 변경이나 사정 변경 등을 반영하는 차수(시간)가 차원이 될 수 있다. 상기 공간 정보에는 부위가 구성상 최하위 단위가 될 수도 있지만, 부위별로의 원가 내역의 효율적인 산정을 위해서는 부위가 별도의 차원처럼 취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도면의 예시에서는 세부 공간(열람실 1, 열람실 2, 서고 1 등)으로 공간 차원이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 주고 있으며, 부위는 공종 차원의 한 구성 요소로 포함되어 별도의 차원으로 취급되고 있지는 않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원가 내역 정보의 일례로 세부 공간의 부위별-공사비 구성 항목별 원가 계산 내역서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22는 세부 공간을 기준으로 한 부위별로의 공종별 원가 계산 내역서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도 23은 세부 공간의 상위 공간에 대한 부위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24는 세부 공간별로의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의 편의상 간접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가 아닌 간접비 부분합 정보가 제시되어 있으나, 이 부분합의 생성을 위해서는 간접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의 생성이 전제 됨은 당연할 것이다.
도 25는 세부 공간의 상위 공간(층별)로의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의 편의상 간접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가 아닌 간접비 부분합 정보가 제시되어 있으나, 이 부분합의 생성을 위해서는 간접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의 생성이 전제 됨은 당연할 것이다.
도 26은 공종별 전체 공사에 대하여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27은 공기 연장 등의 추가 간접비, 실비 보수 경비의 산정이 가능하고 집계표에서 직접 입력도 가능함을 보여 주는 총괄 원가 계산서의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출력물의 하나로, 세부 공간의 상위 공간(1층)에 대하여 부위별-공종별-공사비 구성 항목별 내역 정보의 일 실시예를 보여 주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다른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8은 사용자 컴퓨터(2000)(PC,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또는 서버, 또는 시스템 등의 기타 컴퓨터 등) 내에서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구동되는 방식에 관한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것이며, 도 9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2000)와 유무선 네트워크(3000)로 연결되어 있는 가상 공간상의 서버에서 구동하는 방식에 관한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사용자 컴퓨터는 하나의 독립되거나 연계되는 시스템이 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3D CAD 시스템이나 본 발명의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과 연동하는 별도의 BIM 시스템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컴퓨터는 특정한 시스템이 될 수도 있는데, 상기 특정한 시스템의 일례는 3D CAD 시스템 또는 기타 BIM 시스템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도 9에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계된 제 3의 시스템과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데, 상기 제 3의 시스템의 예로는 3D CAD 시스템 또는 기타 BIM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도 8의 방식과 차이가 나는 도 9의 특유한 것에 대해서는 별도로 설명한다.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는 데이터 입수부(1110);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 및 원가 내역 정보 생성 엔진(130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DB(1400)부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와의 원활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1100), 및 다수의 건설 감정 원가 내역 정보 처리 프로젝트 관리 등을 포함하여 각종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 모듈(1500)을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관리 모듈(1500)에는 원가 요율 정보를 관리하는 원가 요율 정보 관리부(1510)과 사용자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1520)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원가 요율 정보 관리부(1510)는 원가 요율이 변동되는 경우, 변동되는 원가 요율 정보를 관리한다.
한편,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기 설정된 서버에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서버에 유무선 네트워크(3000)로 연결된 사용자 컴퓨터(2000)에서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하면서 사용자가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100)에는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입수하는 데이터 입수부(1110)가 있다. 상기 데이터 입수부(1110)는 선택적으로 특별한 형태 또는 기 설정된 형태의 폼으로 데이터를 입수하는 경우, 입수 데이터 폼을 제공하는 입수 데이터 폼 제공부(1111)와 특별한 별도 사항을 입력받는 별도 사항 입수부(1112)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100)에는 사용자가 출력 받기를 원하는 출력물의 종류 또는 상기 출력물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출력 선택 정보 입수부(1120) 및 상기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형태의 출력물을 제공하는 출력물 제공부(1130)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특정한 시설물에 대하여, BIM 시스템이나 3D CAD 시스템 등에서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 객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하는 공간 객체 선택 정보 입수부(1140)이 있으며, 상기 공간 객체 선택 정보 입수부(1140)는 선택적으로 최하위 공간 객체인 부위 객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하는 부위 객체 선택 정보 입수부(1141)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100)은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과 연계되어 작동하는 BIM 시스템이나 3D CAD 시스템 등과 같은 외부 시스템과 연계/인터페이싱을 지원하기 위한 외부 시스템 인터페이스부(1150)을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공간 객체라는 용어는 물리적 객체 중에서의 공간 객체 및 물리적 객체 중에서의 부위 객체를 포함하는 뜻으로 사용된다. 즉, 상기 BIM 시스템이나 3D CAD 시스템에서는 천장이나 벽 등과 같은 물리적 객체 중의 부위 객체도 선택할 수 있지만, 건물의 층, 구역, 실 등과 같은 부위로 둘러싸인 물리적 객체 중의 공간 객체도 선택될 수 있기 때문이며, 기술(description)의 편의상 본 발명의 공간 객체에는 부위 객체도 포함되는 것으로 사용된다.
상기 도 8 내지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DB부(140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DB(1400)는 입수 데이터 저장부(1410), 생성 데이터 저장부(14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입수 데이터 저장부(1410)에는 입력받은 단가 정보에 관한 단가 정보 데이터부(1411), 수량 정보와 관련된 수량 산출 정보 데이터부(1412), 원가 요율 정보와 관련된 원가 요율 정보 데이터부(1413) 등이 있다. 한편, 상기 DB(1400)에는 공종 분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공종 데이터부와 공간 분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 데이터부(1415)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공종 분류란 대공종-중공종-소공종-항목(품명) 등과 같이 공종을 최상위 계층부터 최하위 계층까지에 대한 공종의 분류 체계로 하나의 최하위 계층의 공종은 자신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신의 상위 공종에 속하게 된다. 상기 공간 분류란 최하위 부위 단위부터, 최상위 시설물 단위까지의 상기 시설물을 구성하는 공간에 대한 구성 체계를 말한다. 예를 들면, 도서관이라는 시설물에 대하여, 1층, 2층 및 3층은 층 단위의 공간이며, 1층을 구성하는 열람실 1, 열람실 2, 서고 1 등은 세부 공간이며, 열람실 1을 구성하는 천장, 바닥, 벽체 등은 부위에 해당하는 세부 공간이 될 수 있다. 상기 생성 데이터 저장부(1420)에는 생성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나 출력물 생성부(1320)이 생성하는 출력물 정보 데이터나, 원가 내역 정보 생성 엔진(1300)이 생성하는 원가 내역 정보 데이터나 특화된 정보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다.
이어, 본 발명의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의 예시에서와 같이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최초 입력되는 부위별-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사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로부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상기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확장 단가 정보와 상기 수량 산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부위별-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입수(S21)하고,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공종별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S22)하여,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S23)하고, 상기 확장 단가 정보와 상기 공종별 수량 산출 정보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S24)하고,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설정하거나, 사용자가 요청한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반영한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S25)한다. 부위별-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는 도 16과 같이 하나의 정보 단위로 입력될 수도 있지만, 별개의 2개 이상의 독립된 정보 단위로 입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분설한다.
먼저 데이터의 입력부터 설명한다.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부위별-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입수(S21)한다. 한편,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입수하는 정보에는 공간 분류에 관한 정보가 추가적으로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공간 분류에 관한 정보는 상기 부위별-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도 15와 같은 별도의 데이터로 입력될 수도 있다. 공간 분류 체계별 공사비 내역 정보의 생성을 위해서는 상기 공간 분류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입력 데이터로 도 15의 시설물 세부 공간별 위치 정보(공간 구성 정보)의 일례와 도 16의 공종별-공간별 수량 산출 정보가 있다. 상기 도 15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서관이라는 시설물은 예시적으로 3개의 층으로 되어 있고, 각 층은 도 15에 예시되는 세부 공간을 포함하고 있다. 즉, 1층은 열람실 1, 열람실 2, 서고 1, 어린이 열람실, 화장실 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세부 공간별 위치 정보 데이터를 통하여 각 세부 공간은 각층별, 각 건물별로의 소속/분류 정보가 더 입력되어 공간 데이터부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도 16의 수량 산출 정보에는 공종의 앞쪽에 부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량 산출 정보는 "부위:공종:세부 공간"의 대응 관계가 성립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위:공종:세부 공간"의 대응 관계에서 "공종"을 무시하게 되면, "부위:세부 공간"의 대응 관계가 생성되게 되고, 이러한 대응 관계 정보로서 1) 각 세부 공간에 대응되는 n개의 부위와 2) 각 부위에 대응되는 m개의 세부 공간이 나오게 된다. 만약, 상기 도 16에는 세부 공간별 수량 산출 정보가 대응되어 있는데, 만약 상기 수량 산출 정보에서 상기 세부 공간의 상위에 해당하는 층별 집계가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있거나, "층"의 상위에 해당하는 다른 공간별 부분 집계가 있는 경우, 상기 집계 정보로서 도 15에 대응되는 시설물 세부 공간별 위치 정보(공간 구성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도 15 및 도 16의 데이터가 있거나 또는 도 16의 데이터에 공간 구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집계 정보가 추가적으로 더 포함되어 있는 경우, "부위:공종:임의 단위의 공간"에 대한 대응 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도 15의 예시에서는 1층은 열람실 1, 열람실 2, 서고1, 어린이 열람실, 화장실 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세부 공간별 위치 정보 데이터를 통하여 각 세부 공간은 각층별, 각 건물별로의 소속/분류 정보가 더 입력되어 공간 데이터부를 구성하게 된다. 공간 데이터부로 세부 공간 DB의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부위 정보는 도 15와 같은 공간 구성 정보에 더 포함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하지만, 도 15에 포함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도 16의 공종별-공간별 수량 산출 정보에 누락되지 않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게 된다. 그 이유는 상기 도 16에 있는 데이터의 공종 옆에 있는 부위가 없다면, 비록 열람실 1이 n개의 부위로 구성되고 있다는 정보가 있어도, 열람실 1과 관련된 m개의 공종이 있는 경우, ni번째 부위가 어느 mj번째 공종과 관련되어 있는지를 알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부위별로 공사 수량을 확정할 수 없고, 공종별로 단가 정보가 있어도 공종 mj가 어느 부위 ni에 대응되는지를 알 수 없게 되어, 결과적으로 부위 ni에 대한 공사비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없게 된다. 한편, 공종에 따라서 단가 정보가 결정되므로, 공종별-공간별 수량 산출 정보에서 공종에 대응되는 부위가 입력되어야만 할 것이다.
도 17은 입력 데이터로서 단가 정보 데이터의 일례에 대한 도면이다. 상기 단가 정보에는 공종(품명)별로 재료비, 노무비, 경비 등 직접비 구성 항목별 직접비가 포함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18에서는 입력 데이터로 원가 요율 정보가 입력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예를 들면,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의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1210)은 직접 공사비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S22)한다.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1210)은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공종별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S11)한다. 이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은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S12)하고, 상기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S13)한다.
상기 원가 요율 정보란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접 공사비 중 간접 노무비는 직접 공사비 정보의 노무비*14.1%, 산재-고용 보험비은 (상기 직접 공사비의 노무비 + 상기 간접 노무비)*2.9% 등과 같은 각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규칙 정보를 말한다. 물론,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1210)이 상기 산재-고용 보험비 정보를 생성할 때, 상기 산재-고용 보험비 정보의 생성을 위해서는 상기 간접 노무비 정보가 필요하므로, 상기 간접 노무비는 상기 산재-고용 보험비보다 우선적으로 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특정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의 계산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의 간접 공사비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 그 필요로 하는 간접 공사비 정보를 우선적으로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공종별로 기 설정된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모두 생성해 내면, 상기 공종별로 상기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직접 공사비와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를 결합하여 통합된 공사비 구성 항목별 정보인 확장 단가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와 상기 공종별 수량 산출 정보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공종별로 생성된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일례는 도 21의 본 발명의 출력물의 예시에 그 예가 나와 있다. 즉, 상기 출력물에서는 공종별로의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합계, 부가세, 기타 및 총원가 정보가 생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상기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는 직접 공사비 정보와 간접 공사비 정보가 될 수 있다.
이어, 상기 공종별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가 생성(S24)되게 된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본 발명의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의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0)가 담당한다. 상기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0)는 상기 공종별 확장 공사비 정보,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를 참조하여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0)가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은 크게 2가지 계열이 있다. 하나는 기 설정된 다차원 집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이며, 다른 하나는 기 설정된 몇 개의 집계 데이터만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먼저 다차원 집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다차원 집계 데이터는 본 발명의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의 상기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0)의 다차원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1)가 생성한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크게 3~5개 이상의 차원(축)으로 되어 있다. 첫번째 차원은 공사비 구성 항목 차원이며, 두번째 차원은 공종 차원이며, 세번째 차원은 공간 차원이며, 상기 공간 차원의 최하위에는 부위가 존재할 수도 있다. 한편, 때에 따라서는 부위가 개념적으로는 공간 차원의 최하위 요소이지만, 데이터 처리에서 독립된 차원처럼 취급할 수도 있다. 이때, 부위는 최하위 공간 구성 단위이므로, 부위들 간에는 계층 구조가 없는 것이 통상일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구성하는 값은 f(x,y,z,w)으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x는 공종 차원, y는 공간 차원, z는 공사비 구성 항목 차원, w는 부위 차원이 될 수 있을 것이며, f는 상기 (x, y, z, w)가 결정되는 경우 결정되는 셀 값이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은 최초로 입수되는 부위별-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입수하여, f(x,y,z,w)을 생성한다. 상기 f(x,y,z,w)와 같은 큐브(cube)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은 전산적으로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일례를 들어서 f(x,y,z,w)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은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1210)을 호출하여, 주어진 xi, yj, wk의 모든 조합별로, 우선적으로 확장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고, 주어진 xi, yj, wk의 모든 조합별로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와 상기 수량 산출 정보로 z=z(xi, yj, wk)를 모든 xi, 모든 yj, 모든 wk의 모든 조합별로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확장 공사비 정보를 생성할 때,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정보가 포함된 확장된 공사비 단가 정보(직접 공사비 단가 +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간접 공사비 단가)를 먼저 생성하고, 수량 산출 정보로 확장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제1 방법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의 생성은 직접 공사비 단가에 수량 산출 정보를 먼저 반영한 다음, 수량 산출 정보가 반영된 직접 공사비 정보(직접 공사비 단가*공사 수량)로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확장 공사비 정보(확장 공사비 단가*공사 수량)를 생성하는 제2 방법도 당연히 채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xi는 부위를 제외한(여기서는 wk를 사용하므로) 공간 분류의 최하위 공간i을 말하며(예를 들면 1층의 세부 공간인 열람실 1, 열람실 2, 서고1, 어린이 열람실, 화장실 1이 xi가 될 수 있다.), yj는 최하위 공종 분류(예를 들면, 도 17의 단가 정보에 나와 있는 공종이 jy가 될 수 있다.), wk는 (최하위) 부위 분류(예를 들면, 천정, 벽, 바닥, 골조 등이 wk의 예가 될 수 있다)가 된다. 한편, zl은 공사비 구성 항목이 된다.
이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 또는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의 상기 다차원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1) 또는 정형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2)가 부분합을 계산하는 과정이다. 부분합은 x, y, z, w 각각에 대하여 각 차원별로 생성할 수 있다. z 차원의 부분합에는 직접 공사비 소계, 간접 공사비 소계(간접 공사비 구성 그룹별 소계가 생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총 소계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확장 공사비 정보의 생성 시 생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공간 차원을 우선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모든 yj, wk 조합 각각에 대하여(z에 대한 부분합은 생성되었음을 전제로 한다.) xi에 대한 부분합을 생성한다. 즉, 특정한 공종, 특정한 부위에 대하여 열람실 1, 열람실 2, 서고1, 어린이 열람실, 화장실 1과 관련된 공사비를 1층의 공사비로 소계하고, 1층, 2층 및 3층의 공사비를 시설물인 도서관의 공사비로 총계한다. 이어, 모든 xi, wk의 조합에 대하여 yj에 대한 부분합을 생성한다. 만약 공종 분류가 상기 공간 분류처럼 n개의 계층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계층에 대한 소계 및 계층간의 소계 정보를 생성한다. 만약 1개 계층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종 전체에 소계 정보를 생성하면 된다. 이어, 모든 xi, yj의 조합에 대하여 wk에 대한 부분합을 생성한다. 부분합의 생성은 (xi, yj, zl, wk)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차원 또는 어느 2개 이상의 차원의 조합에 대하여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특정한 조합에 대해서는 생성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할 것이다. 예를 든다면, 특정한 zl에 대해서, (xi, yj, wk)의 모든 조합별로 부분합을 생성해 놓을 필요는 없을 수도 있을 것이다.(간접 노무비를 특정 공간별, 특정 공종별, 특정 부위별에 대해서 생성해 놓을 필요는 없을 것이다. 통상적으로 간접 노무비는 전체 간접비 구성 항목과 함께 나타나는 것이 타당하므로, 특단의 경우가 아니라면 이와 같은 데이터 생성은 불필요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이 생성하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일종은 도 20에 예시되어 있다. 2차원 평면에는 3차원 정보를 시각적으로 도시해 낼 수 없으므로, 시각화의 편의상 도 20에는 천정, 벽, 바닥, 골조라는 부위가 하나의 화면에 나와 있는 것으로 표현하였다. 부위가 독립된 차원이 되는 경우에는 특정한 부위 1개에 대한 공종별-공사비 구성 항목별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정보가 나와야 된다. 즉, 특정한 부위가 천정이라면, 상기 도 20에서 1) 코드 표시에서 "천정"이라는 말이 없어야 하며, 2) 벽, 바닥, 골조 및 그 각각의 이하에 있는 항목들도 없어져야 한다. 즉, 붉은 색 박스 안의 내용만 나오는 형태가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예시로 타당할 것이다. 다만, 도 20에서는 하나의 도면으로 4개 차원의 데이터를 보여 주려고 하기 때문에 부위 차원을 독립된 축으로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항목이 표시되는 곳에 천정, 벽, 바닥, 골조로 표시하였다. 그러므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구성은 도 20에서 표시되는 것과 다른 형태인 f(x1,y,z,w1)(x1은 도서관 1층 열람실 1, w1은 천정)의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물론,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가 도 20과 같은 형태로 정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도 20과 같은 큐브 데이터를 생성해 놓으면, 상기 본 발명의 여러 출력물을 슬라이스(slice) 또는 다이스(dice)하는 방식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집계 정보의 생성 시 롤업(roll up) 연산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롤업 연산이란, 열람실 1, 열람실 2, 서고1, 어린이 열람실, 화장실 1(직하위 구성 요소들)로 1층(직상위 구성 요소)이 구성될 때, 1층을 구성하는 값에는 열람실 1, 열람실 2, 서고1, 어린이 열람실, 화장실 1의 값을 합산(직하위 구성 요소들의 값을 합산)하여 1층에 대한 값(직상위 구성 요소의 값)으로 하는 연산을 말한다. 상기 부분합/중간집계 정보의 생성은 본 발명의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1200)이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f(x,y,z,w)를 구성하는 각종 셀들 중에서는 다수의 null 데이터 가 존재함은 당연할 것이다.(특정 세부 공간에 특정 공종이 없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 f를 계산하는 순서와 방법은 극히 다양할 수 있을 것이며, 당업자는 이들 다양한 방법 중 최적의 방법(계산량이 적거나, 계산 속도가 빠른 방법 등)을 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방법은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들어옴도 당연할 것이다.
한편, 다수의 null 데이터를 피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도 21 내지 도 28에 나와 있는 본 발명의 출력물을 예시적으로 가정하고, 각 출력물 형태가 필요한 데이터만을 배치(batch) 방식으로 계산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것은 본 발명의 정형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2)가 수행한다. 상기 정형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2)는 출력물에 필요한 정형적인 집계 데이터만 생성한다. 상기 정형 집계 데이터 생성부(1222)는 xi, yj, zl, wk의 모든 조합에 대해서 f(xi, yj, zl, wk)를 생성해 놓는 것이 아니라, xi, yj, zl, wk 중 필요한 어느 2 이상에 대해서 집계 데이터를 생성해 놓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사비 구성 항목은 사실상 필수적인 것이므로, 공사비 구성 항목인 zl은 가로축에 고정적으로 포함하고, 세로축에는 공종이나 부위별 공종이 나오는 것을 각 세부 공간별, 상기 세부 공간의 상위 공간별로 상세한 공사비 내역 또는 간략 공사비 내역이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3은 세로축에 공간별(1층, 2층, 3층) 공사비에 대한 상세 정보가 나와 있다.
이어, 본 발명의 원가 내역 정보 생성 엔진(13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원가 내역 정보 생성 엔진(1300)은 부위 단위의 내역 정보가 포함된 결과물을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원가 내역 정보 생성 엔진(1300)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100)을 통하여 사용자의 선택 정보인 결과물의 종류, 결과물에 포함될 정보에 대하여 내역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물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열람실 1에 대하여 열람실 1을 구성하는 부위별로 각 부위별에 해당 공종별의 전체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도 20의 맨 앞에 나와 있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원가 내역 정보 생성 엔진(1300)은 상기 f(x,y,z,w) 중에서, x1으로 도서관 1층 열람실을, w로 상기 수량 산출 정보 상에서 포함된 부위 정보인 천장, 벽, 바닥, 골조와 각 부위별 대응 공종 정보("부위:공종:세부 공간"의 대응 정보를 참조함)에 한정하여 이들에 대응되는 f(열람실 1,yj,zl,wk)를 추출한다. wk는 천장, 벽, 바닥, 골조이며, yj는 wk에 관련된 것만 추출된다. 출력물의 형태가 각 부위별을 1개의 출력물에 표시하는 것이라면, f(열람실 1,yj,zl,wk)는 도 20에 나와 있는 형태가 될 것이며, 출력물의 형태가 각 부위별로 표시하는 것이라면, f(열람실 1,yj,zl,천정)은 도 20에서 붉은색으로 둘러 쌓인 부분까지가 표시되는 것일 것이다. 한편, 상기 사용자의 선택이 도 24와 같은 세부 공간별로의 직접비 구성 항목별 직접비 정보와 간접비 총계 정보인 경우, 상기 원가 내역 정보 생성 엔진(1300)은 f(xi,zl)(단, zl은 재료비, 노무비, 경비, 직접비 합계, 간접비 합계, 총원가 합계가 될 것이며, yj는 전체 소계, wk도 전체 소계가 될 것이다.)를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서 추출하여 출력물을 생성할 것이다.
한편, 도 25의 경우에는 f(xi,zl)에서 도 24에서와는 달리, xi는 세부 공간의 상위 공간별(1층, 2층, 3층 각각의 층별로의 xi 소계 정보)로 공사비 정보가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에서 추출하면 될 것이다.
이어, 본 발명의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BIM 시스템이나 3D CAD 시스템과의 어떻게 연동, 정보 교환, 활용 또는 사용될 수 있는가에 대해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유무선 네트워크로 BIM 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다. 상기 BIM 시스템은 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로부터 도 13의 우측 상단에 있는 3D 이미지에서 공간 객체로 천정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통상적인 BIM 시스템의 경우, 각 공간 객체는 분리하여 선택될 수 있으며, 한꺼번에 2개 이상의 공간 객체가 선택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공간 객체는 천정이며, 상기 천정은 열람실 1에 있는 천정이 된다.) 이 경우 상기 BIM 시스템은 상기 선택 정보를 입수하고, 상기 선택 정보를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전송한다. 한편,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출력물의 종류와 표시될 정보의 종류(이 출력물의 종류와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는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상기 BIM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받는 것일 수 있다.)및 상기 사용자의 공간 객체 선택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상기 원가 내역 정보 생성 엔진(1300)을 통해서 도 13의 붉은색으로 박스를 한 천정 부위 총원가에 대한 정보를 천정 부위와 관련된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본 출력물에서는 간접비는 간접비 총액 정보만이 선택된 것으로 한다.)로 생성하여 상기 BIM 시스템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바닥을 선택한 경우에는 주황색 점선으로 둘러싸인 공사비 내역 정보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사용자가 모든 부위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도 13에 나와 있는 모든 부위별 공종별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정보가 생성되어, 상기 BIM 시스템에 제공된다. 한편, 상기 사용자는 상기 BIM 시스템에서 공간 객체로서 열람실 1보다 상위의 공간 객체인 3개의 층을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층별에 대한 간략 공사비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BIM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전송하고,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도 25와 같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BIM 시스템에 전송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특정한 출력물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1)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BIM 시스템에 디폴트(default) 출력물 종류와 디폴트 표시 내용이 있는 경우 상기 디폴트 정보에 대응되는 출력물을 전송(상기 전송은 상기 BIM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로 제공될 수도 있지만, 상기 BIM 시스템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해 줄 수 있을 것이며, 2) 상기 사용자 컴퓨터 또는 상기 BIM 시스템(상기 BIM 시스템은 다시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할 수도 있다)으로 상기 공간 객체에 대하여 제공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가 내역 출력물의 종류 및 표시되는 내용에 대한 선택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직접 또는 상기 BIM 시스템을 경유하여 전송받아 공사비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사비 원가 내역 정보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직접 또는 상기 BIM 시스템을 경유하여 전송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통상적인 BIM 시스템은 부위별로 공간 객체를 선택할 수 있고, 관리할 수 있으며, 부가 정보를 맵핑하거나 연동할 수 있다. 이에 상기 BIM 시스템은 특정한 부위와 같은 공간 객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에 전송하면,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BIM 시스템 상기 선택된 부위에 대응되는 공사비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BIM 시스템의 각 부위, 각 세부 공간, 각 세부 공간의 상위 공간에는 상기 공간에 대응되는 공간 객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생성한 공사비 원가 내역 정보가 연계되거나, 연동되거나,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BIM은 건설 설계뿐만 아니라, 건설의 전체 라이프 타임과 관련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건축물의 전체 라이프 타임을 통하여 상기 BIM 시스템이 요청하는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상기 BIM 시스템과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이 연동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적 구성은 도 12에 잘 나타나 있다.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의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100)은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 객체의 선택 정보를 전송 받고(S31), 상기 공간 객체에 대한 설정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출력될 원가 내역 정보를 결정(S32)하고,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참조하여 선택된 공간 객체에 대응하는 설정되거나 선택되는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S33)하여, 생성된 원가 내역 정보를 직접 또는 경유하여 사용자 컴퓨터에 전송(S34)한다.
본 발명의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을 사용하는 사용자 컴퓨터는 개인 사용자뿐만 아니라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적 사용자일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적 사용자에는 2D CAD 시스템, 3D CAD 시스템, VE 시스템, EVMS 시스템, 건설 감정 정보 처리 시스템, 예정 가격 작성 시스템, 원가 분석 시스템, 건설 사업 관리 시스템, 공사비 적산 시스템, 공사비 관리 시스템, 건설 감리 시스템, BIM 시스템, 건설 발주자 측 시스템, 건설 수행자 측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1000)은 상기 시스템적 사용자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도 있으며, 상기 시스템적 사용자에 포함되어 있거나, 상기 시스템적 사용자의 연동하여 기능할 수도 있다. 상기 연동에는 일부 또는 전체 기능의 호출, 특정한 정보의 송신과 수신 등이 포함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건설 산업 및 건설 산업을 지원하는 서비스업, 건설 정보 산업 등 건설 관련된 다양한 산업에 활용될 수 있다.
1000 :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
1100 : 인터페이스 모듈
1110 : 데이터 입수부
1111 : 입수 데이터 폼 제공부
1112 : 별도 사항 입수부
1120 : 출력 선택 정보 입수부
1130 : 출력물 제공부
1140 : 공간 객체 선택 정보 입수부
1141 : 부위 객체 선택 정보 입수부
1150 : 외부 시스템 인터페이스부
1200 :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
1210 : 간접 공사비 정보 생성 엔진
1220 : 집계 데이터 생성부
1221 : 다차원 집계 데이터 생성부
1222 : 정형 집계 데이터 생성부
1300 : 원가 내역 정보 생성 엔진
1310 : 부위 단위 내역 정보 처리부
1320 : 출력물 생성부
1321 : 출력물 생성부
1322 : 출력물 폼 데이터부
1400 : DB부
1410 : 입수 데이터 저장부
1411 : 단가 정보 데이터부
1412 : 수량 산출 정보 데이터부
1413 : 원가 요율 정보 데이터부
1414 : 공종 데이터부
1415 : 공간 데이터부
1420 : 생성 데이터 저장부
1421 : 집계 데이터 저장부
1422 : 출력 정보 저장부
1423 : 특화 정보 저장부
1500 : 관리 모듈
1510 : 원가 요율 정보 관리부
1520 : 사용자 관리부
2000 : 사용자 컴퓨터
3000 : 네트워크

Claims (24)

  1.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이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에 대한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에 대한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B)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가 대응되는 부위별-공종별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C)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이 설정하거나, 사용자 컴퓨터의 요청을 반영한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가 정보는 직접 공사비 정보를 구성하는 공종별 자재비 정보, 공종별 노무비 정보, 및 공종별 경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B) 단계와 상기 (A) 단계는 상기 (A) 단계 후 상기 (B) 단계가 순차적으로 실시되거나, 상기 (B) 단계 후 상기 (A) 단계가 순차적으로 실시되거나, 상기 (A) 단계 및 상기 (B) 단계가 통합되어 1개의 단계로 실시되는 것이며,
    상기 원가 요율 정보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 및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의 값을 계산하기 위한 규칙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입수된 공종별 단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생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에서 상기 공종은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종 분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공종 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 분류 체계가 2 이상의 계층을 가지는 다 계층 구조로 되는 경우,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공종 분류 체계를 저장하고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는 상기 공종 분류 체계상의 최말단 공종 분류 및 상기 공간 분류 체계상의 최말단 공간 분류를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 요율 정보는 공사 규모 및 공사 유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것이며,
    상기 단가 정보에는 직접 공사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에는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를 입력 변수 값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이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및 상기 (B) 단계가 통합되어 1개의 단계로 실시되는 것은 하나의 정보 단위로 부위별-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가 입수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이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부위별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의 생성을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공간에 대응하는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인 것이며,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세부 공간이 포함되는 상기 세부 공간의 상위 공간과 상기 세부 공간의 관계에 관한 정보인 공간 구성 정보를 입수 받는 것이며,
    상기 공간 구성 정보를 입수 받는 것은 상기 세부 공간의 상위 공간 분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에서 입수 받거나,
    별도의 공간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세부 공간별 위치 정보로부터 입수 받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n(n>1)개의 독립된 차원을 가지는 데이터 구조를 가지는 것이며,
    상기 차원은 공종, 공간, 공사비 구성 항목, 부위 중 어느 2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종에 관한 공종 분류 체계가 2 이상의 계층을 가지는 다 계층 구조로 되는 경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상의 공종 차원은 상기 공종 분류 체계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 공간에 관한 공간 분류 체계가 2 이상의 계층을 가지는 다 계층 구조로 되는 경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상의 공간 차원은 상기 공간 분류 체계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 공사비 구성 항목에 관한 공사비 구성 항목 분류 체계가 2 이상의 계층을 가지는 다 계층 구조로 되는 경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상의 공사비 구성 항목 차원은 상기 공사비 구성 항목 분류 체계를 반영하고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할 때, 상기 공종 분류 체계를 반영한 공종 분류별 중간 집계 정보, 상기 공간 분류 체계를 반영한 공간 분류별 중간 집계 정보, 상기 공사비 구성 항목 분류 체계를 반영한 공사비 구성 항목 분류별 중간 집계 정보 및 상기 부위별 중간 집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중간 집계 정보로 생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변동이 발생하거나,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기 설정된 단위로 구분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변동이나 상기 구분을 회차로 관리하는 것이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할 때, 상기 회차별로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은 공기 연장에 따른 추가 경비 발생, 물가 연동에 따른 지수 조정 발생, 변경 설계 변경에 따른 공종이나 투입 자재의 종류나 수량의 변동 발생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의 요청은 공종, 공간, 공사비 구성 항목, 부위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관련된 내역 정보인 것이며,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상기 공종, 공간, 공사비 구성 항목, 부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고,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 정보와 관련된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스템이며,
    상기 시스템은 3D CAD 시스템, VE 시스템, EVMS 시스템, 건설 감정 정보 처리 시스템, 예정 가격 작성 시스템, 원가 분석 시스템, 건설 사업 관리 시스템, 공사비 적산 시스템, 공사비 관리 시스템, 건설 감리 시스템, BIM 시스템, 건설 발주자 측 시스템, 건설 수행자 측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 객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경우, 상기 부위 객체가 하나이거나, 복수 개인 경우,
    개별 부위 객체에 대응하는 개별 부위별로 상기 부위가 대응되는 공종 및 상기 부위를 포함하는 공간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공사비 구성 항목별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에서 부위별 수량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상기 부위별 수량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 객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경우, 상기 부위 객체가 복수 개인 경우,
    개별 부위 객체에 대응하는 개별 부위별로 상기 부위가 대응되는 공종 및 상기 부위를 포함하는 공간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공사비 구성 항목별 내역 정보를 생성한 다음, 상기 복수개의 부위 객체가 속하는 상기 공종별 및 상기 공간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상기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내역을 재집계한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에서 부위별 수량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상기 부위별 수량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 내역 정보는
    상기 공종에 관한 공종 분류 체계가 2 이상의 계층을 가지는 다 계층 구조로 되는 경우, 상기 원가 내역 정보는 상기 공종별로 상기 2 이상의 계층별로의 집계 정보를 반영하는 것이거나,
    상기 공간에 관한 공간 분류 체계가 2 이상의 계층을 가지는 다 계층 구조로 되는 경우, 상기 원가 내역 정보는 상기 공간별로 상기 2 이상의 계층별로의 집계 정보를 반영하는 것이며,
    상기 집계 정보에는 상기 공사비 구성 항목에 관한 공사비 구성 항목 분류 체계를 반영한 집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공사비 구성 항목 분류 체계를 반영한 집계 정보에는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집계 정보,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집계 정보 및 총 공사비 집계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18.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에 대한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에 대한 공종별 단가 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종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대한 대응 정보인 부위별-공종별 정보 및 원가 요율 정보를 입력 정보로 입수 받는 데이터 입수부;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기 설정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
    사용자 컴퓨터로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이 설정하거나, 상기 사용자 컴퓨터의 요청을 반영한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원가 내역 생성 엔진; 및
    상기 데이터 입수부가 입력받는 데이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데이터, 원가 내역 정보 생성 엔진이 생성하는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물 양식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DB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가 정보는 직접 공사비 정보를 구성하는 공종별 자재비 정보, 공종별 노무비 정보, 및 공종별 경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원가 요율 정보는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 및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의 값을 계산하기 위한 규칙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입력된 공종별 단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생성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및 상기 부위별-공종별 정보는 하나의 정보 단위로 입력되는 것이거나, 별개의 정보 단위로 입력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에서 상기 공종은 공종 분류 체계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위 공종 분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공종 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 분류 체계가 2 이상의 계층을 가지는 다 계층 구조로 되는 경우, 상기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공종 분류 체계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는 상기 공종 분류 체계상의 최말단 공종 분류 및 상기 공간 분류 체계상의 최말단 공간 분류를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은 상기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종별 간접 공사비 정보와 상기 직접 공사비 정보로 공종별 확장 단가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확장 단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간접 공사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입력된 단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간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로 생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n(n>1)개의 독립된 차원을 가지는 데이터 구조를 가지는 것이며, 상기 차원은 공종, 공간, 공사비 구성 항목, 부위 중 어느 2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에 관한 공종 분류 체계가 2 이상의 계층을 가지는 다 계층 구조로 되는 경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상의 공종 차원은 상기 공종 분류 체계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 공간에 관한 공간 분류 체계가 2 이상의 계층을 가지는 다 계층 구조로 되는 경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상의 공간 차원은 상기 공간 분류 체계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 공사비 구성 항목에 관한 공사비 구성 항목 분류 체계가 2 이상의 계층을 가지는 다 계층 구조로 되는 경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상의 공사비 구성 항목 차원은 상기 공사비 구성 항목 분류 체계를 반영하고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은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할 때, 상기 공종 분류 체계를 반영한 공종 분류별 중간 집계 정보, 상기 공간 분류 체계를 반영한 공간 분류별 중간 집계 정보, 상기 공사비 구성 항목 분류 체계를 반영한 공사비 구성 항목 분류별 중간 집계 정보 및 상기 부위별 중간 집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중간 집계 정보로 생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변동이 발생하거나,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 상기 공종별 단가 정보 및 상기 원가 요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기 설정된 단위로 구분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변동이나 상기 구분을 회차로 관리하는 회차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 생성 엔진은 상기 회차별로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공종, 공간, 공사비 구성 항목, 부위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관련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원가 내역 선택 정보 입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가 내역 정보 생성 엔진은 상기 원가 내역 선택 정보 입수부가 입수하는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 정보와 관련된 원가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사용자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시스템이며, 상기 시스템에는 2D CAD 시스템, 3D CAD 시스템, VE 시스템, EVMS 시스템, 건설 감정 정보 처리 시스템, 예정 가격 작성 시스템, 원가 분석 시스템, 건설 사업 관리 시스템, 공사비 적산 시스템, 공사비 관리 시스템, 건설 감리 시스템, BIM 시스템, 건설 발주자 측 시스템, 건설 수행자 측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시스템으로부터 공간 객체에 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공간 객체 선택 정보 입수부;를 더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공간 객체 선택 정보 입수부는 공간 분류 체계상의 공간 분류의 최하위인 부위에 관한 부위 객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하는 부위 객체 선택 정보 입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가 내역 정보 생성 엔진은 상기 기 설정된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 객체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수 받는 경우, 상기 부위 객체가 복수 개인 경우, 개별 부위 객체에 대응하는 개별 부위별로 상기 부위가 대응되는 공종 및 상기 부위를 포함하는 공간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공사비 구성 항목별 내역 정보를 생성한 다음, 상기 복수개의 부위 객체가 속하는 상기 공종별 및 상기 공간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상기 공사비 구성 항목별 공사비 내역을 재집계한 가공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것이며,
    상기 공종별-공간별 수량 정보에서 부위별 수량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이며, 상기 원가 내역 기초 데이터는 상기 부위별 수량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 기 설정된 출력물을 제공하는 출력물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물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상기 원가 내역 생성 엔진이 생성한 원가 내역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0100070399A 2010-07-21 2010-07-21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한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05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399A KR101105327B1 (ko) 2010-07-21 2010-07-21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한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399A KR101105327B1 (ko) 2010-07-21 2010-07-21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한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5327B1 true KR101105327B1 (ko) 2012-01-17

Family

ID=4561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399A KR101105327B1 (ko) 2010-07-21 2010-07-21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한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32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662B1 (ko) * 2013-01-11 2013-08-13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Bim 객체분류체계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192115A3 (en) * 2012-06-18 2014-03-06 Coaxis, Inc. A system and method link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KR20160080388A (ko) 2014-12-29 2016-07-08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US10915671B2 (en) 2013-09-20 2021-02-09 Viewpoin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based data
KR102236978B1 (ko) 2020-06-30 2021-04-06 황희석 건설 시공비용 견적 산출 방법
CN116777123A (zh) * 2023-08-22 2023-09-19 四川省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基于bim的装配式建筑的工程量和工程造价的评估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838A (ko) * 2004-12-10 2006-06-14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공사비와 공사공정을 연계하는 건설공정 관리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0800547B1 (ko) 2006-12-28 2008-02-04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838A (ko) * 2004-12-10 2006-06-14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공사비와 공사공정을 연계하는 건설공정 관리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0800547B1 (ko) 2006-12-28 2008-02-04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2115A3 (en) * 2012-06-18 2014-03-06 Coaxis, Inc. A system and method link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US11200522B2 (en) 2012-06-18 2021-12-14 Viewpoint, Inc. System and method link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US11803791B2 (en) 2012-06-18 2023-10-31 Viewpoint, Inc. System and method link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KR101293662B1 (ko) * 2013-01-11 2013-08-13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Bim 객체분류체계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US9141925B2 (en) 2013-01-11 2015-09-22 Myongji University Industry And Academia Cooperation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geometry breakdown structure
US10915671B2 (en) 2013-09-20 2021-02-09 Viewpoin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based data
US11263364B2 (en) 2013-09-20 2022-03-01 Viewpoin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based data
KR20160080388A (ko) 2014-12-29 2016-07-08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KR102236978B1 (ko) 2020-06-30 2021-04-06 황희석 건설 시공비용 견적 산출 방법
CN116777123A (zh) * 2023-08-22 2023-09-19 四川省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基于bim的装配式建筑的工程量和工程造价的评估方法
CN116777123B (zh) * 2023-08-22 2024-02-06 四川省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基于bim的装配式建筑的工程量和工程造价的评估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stafa et al. Exploring the status, benefits, barriers and opportunities of using BIM for advancing prefabrication practice
KR101167850B1 (ko)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확장 단가 정보의 생성을 포함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KR101105327B1 (ko)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한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Jackson Project cost overruns and risk management
McCuen et al. Evaluating award-winning BIM projects using the national building information model standard capability maturity model
US20090210273A1 (en) Methods & systems for visualizing business functions and/or operations
Boon et al. Evolution of quantity surveying practice in the use of BIM–the New Zealand experience
KR101690211B1 (ko)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KR20120121634A (ko) 공정 및 비용 관리를 위한 웹 기반의 bim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JP2024505370A (ja) 写真測量法的なリアリティ・メッシュを開発及び提示することにより不動産に関する情報を処理及び表示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Xu et al. Integrating the empirical models of benchmark land price and GIS technology for sustainability analysis of urban residential development
Choi et al. BIM-based benchmarking system for healthcare projects: Feasibility study and functional requirements
WO2021126012A1 (ru) Система для матрично-цифрового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переменного множества данных
Acampa et al. Assessing the transformability of public housing through BIM
Walheer Global Malmquist and cost Malmquist indexes for group comparison
KR101071169B1 (ko) 세부 공간별 공사 항목별 건설 감정 원가 내역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건설 감정 원가 내역 정보 처리 시스템
KR101041884B1 (ko) 세부 공간 공사 항목별 원가 계산 정보를 사용하는 공사비 원가 계산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공사비 원가 계산 정보 처리 시스템
Johnson A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prototype for housing mobility program planning
KR101134106B1 (ko) 건설 ve 지원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6739535A (zh) 精准招商数字孪生规划展示平台系统及其搭建方法
KR20110093523A (ko) 공사비 원가 계산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공사비 원가 계산 정보 처리 시스템
KR101002988B1 (ko) 공사비 원가 계산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공사비 원가 계산 정보 처리 시스템
Zegordi et al. Efficiency assessment of Iranian handmade carpet company by network DEA
KR101081880B1 (ko)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건설사업관리용 기성공사비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3455606A (zh) 一种大数据库创建及数据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