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211B1 -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 Google Patents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211B1
KR101690211B1 KR1020140192084A KR20140192084A KR101690211B1 KR 101690211 B1 KR101690211 B1 KR 101690211B1 KR 1020140192084 A KR1020140192084 A KR 1020140192084A KR 20140192084 A KR20140192084 A KR 20140192084A KR 101690211 B1 KR101690211 B1 KR 101690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osal
bim
evaluation
value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0388A (ko
Inventor
이한용
신재순
이길동
임재춘
정왕영
이하승
안재홍
김홍기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40192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211B1/ko
Publication of KR20160080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툴을 사용하여 작성되어 발주처에게 납품되는 BIM 모델 설계도서에 대해서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VE)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가치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BIM-툴을 사용하여 작성되어 발주처에게 납품되는 BIM 모델 설계도서에 대해서 가치공학(VE)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공사비 산정을 고도화할 수 있도록 공사비 적산 모듈을 적용함으로써 추정공사비 산정을 정량화하고, 추정공사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발주처에서 요구하는 비용 관리(Cost Management: CM)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추가 작업 없이 즉각적으로 단계별 프리젠테이션 자료로 변환 및 표출할 수 있는,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BIM-BASED CONSTRUCTION VALUE ENGINEERING (VE)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툴(Tool)을 사용하여 작성되어 발주처에게 납품되는 BIM 모델 설계도서에 대해서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VE)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가치향상을 도모하고 공사비 산정을 고도화할 수 있는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치공학(VE)은 제조, 시스템, 서비스 및 건설 구조물을 위한 소정의 성능, 신뢰성 및 안전성을 만족하거나 품질을 보다 향상시켜 가면서 최소의 생애주기비용(Life Cycle Cost: LCC)으로 필요한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서 발주기관 또는 해당업체를 통해 전문가와 관련종사자에 의해 수행되는 조직적인 개선 활동을 말한다.
이러한 가치공학(VE)은 비용의 절감, 생산성의 향상 및 품질의 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유효한 수단으로서, 보다 적은 비용으로 같은 기능을 얻거나, 같은 비용으로 기능을 개선 및 증가시키거나, 또는 불필요한 기능과 비용을 없애고 운영비용이나 수익을 최적화하기 위한 대체안을 개발하게 된다.
국내의 경우, 이러한 가치공학(VE) 기법은 대기업 위주로 도입되고 있고, 품질 또는 생산 관리 혁신에 응용되고 있으며, 주로 건설업체들의 설계대안 분석이나 시공 공정 분석 등에 사용되고 있다.
현재 국내외에서 건설산업 및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가치공학(VE) 기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비교안을 분석하고,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어떤 대상에 대한 가치를 평가함에 있어서, 수치적으로 평가 가능한 정량적인 수치가 있는가 하면, 눈으로는 보이지만 수치로 표현하기 어려운 정성적인 요소가 더 많이 내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므로, 이러한 가치공학(VE) 분석은 정성적인 부분이지만, 의사결정의 중요한 핵심이 되는 많은 부분들을 정량화하여 구체화할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한편, 도 1은 일반적인 가치공학(VE)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가치공학(VE) 업무 프로세스는 가치공학(VE) 활동을 체계적인 계획 하에서 실행하게 하는 프로세스로서, 크게, 준비 단계(Pre-Study), 분석 단계(Study) 및 실행 단계(Post-Study)라고 하는 수행 절차를 준수해서 진행되는 체계적인 프로세스이다.
구체적으로, 준비 단계(S10)는 관련자료, 사용자 요구 측정 및 VE 대상 선정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이다.
분석 단계는, 선정된 대상에 대한 정보분석 및 정리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수집 단계(S21), 기능 정의, 기능 정리 및 기능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분석 단계(S22), 아이디어 창출 단계(S23), 아이디어의 개략 평가 및 구체화를 수행하기 위한 아이디어 평가 단계(S24), 대안의 구체화를 통한 대안 개발 및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대안 개발 및 평가 단계(S25) 및 실제 제안을 수행하기 위한 발표 단계(S26)를 포함한다. 여기서, 아이디어 평가 단계(S24) 및 대안 개발 및 평가 단계(S25)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가 없는 경우, 아이디어 창출 단계(S23)로 되돌아간다.
실행 단계(S30)는 실행 및 후속 조치를 수행하기 위한 단계로서, 실행 및 후속 조치를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전술한 준비 단계(S10)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이러한 가치공학(VE) 수행 단계별로 정량화할 수 있는 요소 및 세부 단계별 연계성을 고려한 전산화 시스템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여러 단계별로 다양한 비교분석 결과를 체계적으로 수치화, 시각화를 통해 도출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다수의 팀 어프로치에 의해 진행되는 가치공학(VE) 수행 단계에서 수정보완 사항에 대한 수치계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의사결정이 늦어지는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전술한 일반적인 가치공학(VE) 프로세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44760호에는 "온라인 가치공학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온라인 가치공학(VE)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온라인 가치공학(VE)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은, 가치공학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10), 팀리더 단말(20) 및 팀원 단말(30)을 포함하며, 상기 가치공학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10)은, iamCVS 수행부(11), iamCVS 관리부(12), 데이터베이스(DBMS: 13) 및 기능분석 계통도(FAST) 작성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치공학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10)은 가치공학(VE) 프로젝트 수행시에 실시간으로 팀원 및 팀리더가 업로드한 자료와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VE 과정별 결과를 전산 처리하고 문서 작성에 필요한 정보를 지원하며, 상기 가치공학(VE) 프로젝트의 정성적 요인의 수치화 및 정량화, 수치의 그래픽적인 다이어그램을 도출하여 팀리더 및 팀원들에게 제공한다.
팀리더 단말(20)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가치공학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1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팀리더가 소지한 단말로서, 가치공학(VE)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가치공학(VE) 팀원을 관리하기 위한 단말이다.
팀원 단말(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팀원 단말(31, 32, 33)을 포함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가치공학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10)에 접속할 수 있도록 각각의 팀원이 소지한 단말로서, 가치공학(VE) 대상의 성능평가항목 및 가중치 산정시 팀원이 작성하고 팀리더가 상호협의 과정을 거쳐 최종 결정하는 과정을 전산 프로세스를 통해 빠르게 성능평가 기준을 수립해주고, 상기 가치공학(VE) 프로젝트 수행과 관련하여 기능을 정의 및 분류하여 기능별 비용 및 기능별 성능을 평가하고, 상기 가치공학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에 업로드하기 위한 단말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온라인 가치공학(VE)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에 따르면, 가치공학(VE) 워크샵 특성에 맞는 VE 분석을 통해서 도출될 수 있는 정보의 전산화와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함으로써, 사업 및 업무기능 분석에 의한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입력값 및 출력값을 상호 연계하여 분석에 반영하고 피드백이 가능한 전산화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가치분석시 업무 수행 시간을 절감시키고, 사용자와 고객이 요구하는 사항을 보다 효율적으로 명확히 도출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77038호에는 "건설 가치공학 통합관리 시스템"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설 가치공학(VE) 통합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설 가치공학(VE) 통합관리 시스템은, 프로젝트 생성부(51), 프로젝트 준비부(52), 프로젝트 분석부(54) 및 프로젝트 실행부(54)를 포함하며, 또한, VE 통합관리 시스템은 컴퓨터(40)를 통해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코드화된 건설 가치공학(VE) 데이터들과 관리자 데이터들이 저장된 VE 프로젝트 DB(61) 및 과거 VE 제안사례 및 과거 사례데이터가 저장된 VE 사례 DB(62)를 활용하게 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설 가치공학(VE) 통합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건설사업에서 건설 가치공학(VE) 분석과정을 감리회사나 발주처, 설계사, 시공사 등에게 분야별 전문가들이 가치공학(VE) 분석을 위해 특정시간에 한자리에 모이지 않더라도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가치공학(VE) 분석대상이나 일정들을 선정 및 관리하고, 각 전문가들로부터 아이디어를 취합하여 VE 분석과정을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다.
한편,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건설시설물의 3차원 형상과 정보가 시설물 계획단계부터 유지관리단계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주기 동안 사용되는 3차원 건설정보 통합관리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BIM이란 다차원 가상공간에 기획, 설계, 엔지니어링(구조, 설비, 전기 등), 시공 더 나아가 유지관리 및 폐기까지 가상으로 시설물을 모델링하는 과정을 말한다. 특히, 최근 이슈(issue)인 최첨단 디자인 및 친환경 에너지 저가형 건축물 설계 및 시공할 수 있게 해주며, 다차원 가상설계 건설(Virtual Design Construction: VDC)과 유사한 개념이다. 최근 국제적으로 BIM의 적용범위를 건축분야뿐만 아니라 모든 건조 환경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유럽과 미국에서는 토목 및 플랜트 분야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건설 프로젝트는 사업기획에서부터, 설계, 시공, 유지관리의 연속적인 단계를 포함하며, 각 단계마다 건축, 토목, 설비, 전기, 통신 등 다양한 전문분야가 참여하게 된다. 이러한 전문분야들은 프로젝트 각 과정에서 다양한 건설정보를 생성, 수정 및 전달하게 되며, 이러한 건설정보들은 전문분야 간의 업무의 상관성에 따라 공유되고 통합 활용된다.
이러한 건설정보들의 전산화 측면에서 현재 국내외 건설시장은 2D CAD에서 3D CAD로, 그리고 건물의 전 생애주기의 정보를 통합하고자 하는 BIM 환경으로 빠른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BIM 기술은 건물의 전 생애주기 동안의 다양한 빌딩정보를 저장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해주며, 기하학적 형상정보와 속성정보를 연계하여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건설 프로젝트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팀워크를 증진시키며, 프로젝트 비용을 절감시키고, 공기단축에 따른 수익성을 증가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러한 BIM은 정보전달의 매개체로서, 공사관리에서 발생하는 정보들을 저장하고 가공하여 다양한 분야의 복잡하고 많은 정보의 이해를 도와 공사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공정 및 원가정보는 다른 정보와 비교해서 사용 빈도가 높아 건설 공사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수행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에 따라 BIM의 형상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공정/원가 정보를 연계하여 4D(3D+Time) 또는 5D(4D+Cost)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가 분석되고 활용되고 있으나, 현재 BIM의 활용성과 그 효과는 산업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현재 BIM 기반 공정 및 원가정보 관리 분야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BIM의 객체 중심적인 정보 구조는 작업을 중심으로 한 공정관리, 원가관리, 기성관리 등에 필요한 정보를 처리하는데 불리하다. 또한, BIM-기반으로 공정 및 원가정보를 생성하고 활용하는 과정이 실무에서의 공사관리 업무 프로세스와 연계성이 부족하여 공정 및 원가정보의 입력 작업으로 인한 업무량의 증가를 초래한다.
또한, BIM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얻지 못하여 BIM이 공사관리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대부분의 BIM 소프트웨어는 모델링한 객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공정 및 원가정보를 바탕으로 공정 및 원가정보를 분석하는데, 이때, 생성되는 정보가 제한적이어서 객체기반 물량산출 기능 이외의 공정 및 원가정보의 파악 및 분석 기능은 미흡하기 때문이다.
또한, 건설프로젝트 현장에서는 작업에 사용되는 물량에 기초하여 공사 진행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공사비와 완료일을 공사 중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예측하고, 향후 프로젝트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공정원가 통합관리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국내 건설산업에서는 그 동안 내역서를 사용한 비용 중심의 공정관리가 이루어졌다. 내역서는 적산단계에 작성되며 설계도면을 바탕으로 공사에 필요한 내역아이템 정보와 비용정보로 구성되는데, 내역서 작성과정에서 생성된 세부 데이터들은 내역서 작성 이후에는 전달되지 않고 실무에서는 내역서만으로 공사를 진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처럼 공사 진행 정도를 내역서의 공사비로 판단하는 비용에 의한 공정보고는 현장에서 어떤 작업이 이루어지는지 파악하기가 어려워 관리자의 경험적 측면에 많이 의지하게 된다. 또한, 작업을 비용이라는 수치로 표현하고 관리하여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새로운 사업에 활용하기 어렵다.
한편, 최근 설계 VE 업무에서 정확한 정보를 빠르고 간편하고 제공하고 VE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해서 전술한 BIM을 일부 적용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BIM 적용이 가능한 VE 업무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BIM 툴(Tool)에 의해 작성된 BIM 모델 설계도서가 발주처에 납품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BIM 툴(71)에 의해 작성된 BIM 모델 설계도서(72)가 발주처(73)에 납품되고 있는데, 이때, 상기 BIM 모델 설계도서(72)는 별도의 가공 없이 상기 BIM 툴(71)에 의해 작성된 상태로 납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설계단계에서 비용 관리(Cost Management: CM)를 위한 기본 틀과 분류 표준, 공사비 데이터 등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이고, 또한, 정해진 시간 내에 제한된 예산 안에서 적정품질을 확보하여 최적 설계안을 도출 할 수 있도록 설계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때, 사업비 리스크, 설계의 적정성, 일정관리 리스크 등의 발주자의 관심 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44760호(출원일: 2009년 7월 20일), 발명의 명칭: "온라인 가치공학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77038호(출원일: 2011년 6월 30일), 발명의 명칭: "건설 가치공학 통합관리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134106호(출원일: 2010년 7월 21일), 발명의 명칭: "건설 VE 지원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105327호(출원일: 2010년 7월 21일), 발명의 명칭: "3차원 공간정보를 이용한 건설 공사 원가내역 정보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332354호(출원일: 2013년 6월 12일), 발명의 명칭: "다자간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가치공학 다단계 성능평가 처리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64055호(출원일: 2012년 10월 25일 ), 발명의 명칭: "BIM을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4-121145호(공개일: 2014년 10월 15일), 발명의 명칭: "BIM-기반 건설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1-93719호(공개일: 2011년 8월 18일), 발명의 명칭: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2-11833호(공개일: 2012년 2월 8일), 발명의 명칭: "설계의 경제성 검토를 위한 공사 원가 분석 방법 및 시스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BIM-툴(Tool)을 사용하여 작성되어 발주처에게 납품되는 BIM 모델 설계도서에 대해서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VE)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가치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BIM-툴을 사용하여 작성되어 발주처에게 납품되는 BIM 모델 설계도서에 대해서 가치공학(VE)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공사비 산정을 고도화할 수 있도록 공사비 적산 모듈을 적용함으로써 추정공사비 산정을 정량화하고, 추정공사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발주처에서 요구하는 비용 관리(Cost Management: CM)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BIM-툴을 사용하여 작성되어 발주처에게 납품되는 BIM 모델 설계도서에 대해서 가치공학(VE)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추가 작업 없이 즉각적으로 단계별 프리젠테이션 자료로 변환 및 표출할 수 있는,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은, 발주처에게 납품되도록 BIM 툴을 사용하여 작성되는 BIM 모델 설계도서; 상기 BIM 모델 설계도서의 가치향상을 위해 가치공학(VE)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BIM 모델 설계도서를 BIM 모델 기존안으로 하여 가치향상 유형에 따라 VE 개선안을 제안하며, 상기 VE 개선안에 따른 제안서 및 산출서를 제공하는 VE 프로세스 모듈;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의 가치공학(VE) 프로세스 수행시 상기 BIM 모델 기존안 및 상기 VE 개선안에 대한 공사비를 적산하는 공사비 적산 모듈;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의 가치공학(VE) 프로세스 수행시 상기 BIM 모델 기존안 및 상기 VE 개선안에 대한 생애주기비용(LCC)을 분석하는 LCC 분석 모듈; 및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의 가치공학(VE) 프로세스 수행시 즉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단계별 프리젠테이션 보고자료를 작성하는 프리젠테이션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BIM 모델 설계도서에 대해서 가치공학(VE)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가치향상을 도모하고, 상기 공사비 적산 모듈에 의해 공사비 산정을 고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은,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의 가치공학 프로세스 수행시 자동으로 생성되어 상기 BIM 모델 기존안 및 상기 VE 개선안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통합 DB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치향상 유형은 비용절감형, 기능향상형, 가치혁신형 또는 기능강조형의 4가지 유형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며, 상기 VE 개선안을 프리젠테이션 보고자료로 표출할 때, 상기 가치향상 유형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은 제안서 및 산출서를 표출하되, 상기 제안서는 공종, 제안 내용, 제안의 특징, 경제성 평가결과, 제안의 장단점 및 효과가 기재되고, 상기 산출서는 품명, 규격, 단위, 수량, 단가 및 합계가 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VE 개선안의 내용 다각적 이해 및 성능평가가 용이하도록 보행시선(Walk Through) 보기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 객체 선택부분의 물량이 산출서 수량에 입력될 수 있도록 보유하고 있는 일위대가(Breakdown Cost) 및 기초단가와 연동되어 금액을 산출하여 상기 산출서에 표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은 설계내역 마스터 읽어오기를 통해 납품받은 설계사의 설계도서 내역을 불러와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보고서 작성내용을 추가 작업 없이 즉각적으로 프리젠테이션 자료로 변환 및 표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프로그램 상의 프리젠테이션 화면으로 발표할 때, 상기 VE 개선안에 대한 도면을 1~8장까지 다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은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하면서 제안서 및 산출서의 세부사항 창을 도시하고, 상기 프리젠테이션 발표 중에 채택 여부를 선택하면 보고서 내용으로 반영되어 채택된 제안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BIM-툴을 사용하여 작성되어 발주처에게 납품되는 BIM 모델 설계도서에 대해서 가치공학(VE)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가치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BIM-툴을 사용하여 작성되어 발주처에게 납품되는 BIM 모델 설계도서에 대해서 가치공학(VE)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공사비 산정을 고도화할 수 있도록 공사비 적산 모듈을 적용함으로써 추정공사비 산정을 정량화하고, 추정공사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발주처에서 요구하는 비용 관리(CM)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BIM-툴을 사용하여 작성되어 발주처에게 납품되는 BIM 모델 설계도서에 대해서 가치공학(VE)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추가 작업 없이 즉각적으로 단계별 프리젠테이션 자료로 변환 및 표출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가치공학(VE)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온라인 가치공학(VE)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설 가치공학(VE) 통합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BIM 툴에 의해 작성된 BIM 모델 설계도서가 발주처에 납품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가치향상의 4가지 유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에서 VE 프로세스 모듈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이 구현된 실행화면에서 제안서 및 산출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이 구현된 실행화면에서 BIM 모델 기존안과 VE 개선안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이 구현된 실행화면에서 사업 개요정보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이 구현된 실행화면에서 객체 선택부분의 물량이 산출서 수량에 입력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이 구현된 실행화면에서 설계내역 마스터 읽어오기를 실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이 구현된 실행화면에서 프리젠테이션 자료로 출력되는 보고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이 구현된 실행화면에서 프리젠테이션 자료로 다양한 도면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m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이 구현된 실행화면에서 VE 프로세스 과정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6은 가치향상의 4가지 유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에서 VE 프로세스 모듈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100)은, BIM 모델 설계도서(110), VE 프로세스 모듈(120), 공사비 적산 모듈(130), 생애주기비용(LCC) 분석 모듈(140), 프리젠테이션 모듈(150) 및 통합 DB(160)를 포함하며, 이때, BIM 모델 설계도서(110)는 BIM 툴(200)에 의해 생성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100)의 VE 프로세스를 거쳐 발주처(300)에 제공된다.
BIM 툴(200)은 BIM 모델 설계도서(110)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BIM 툴(200)의 종류에는 ArchiCAD, Revit, Microstation, Digital Project+Catia 등이 있다. 이 중에서 Revit은 모든 그룹의 설계사무소에서 기본적으로 활용되고 있고, 이는 Autodesk 소프트웨어를 구입하면 패키지 형태로 구입이 가능하며, 해당 프로그램의 호환성이 가장 높아서 경제적으로 활용도가 높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 외에도 Navisworks, Rhino, Solibri Model Checker 등의 보조 소프트웨어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소프트웨어들은 Revit과 ArchiCAD 등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BIM-기반 건설 VE 수행 시스템(100)은 VE 매니저로도 지칭되며, 상기 BIM-툴(200)을 사용하여 작성되어 발주처(300)에게 납품되는 BIM 모델 설계도서(110)에 대해서 가치공학(VE)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가치향상을 도모하고 공사비 산정을 고도화한다.
구체적으로, BIM 모델 설계도서(110)는 발주처(300)에게 납품되도록 BIM 툴(200)을 사용하여 작성된다. 여기서, 설계도서(Design Drawing)는 공사의 시공에 필요한 설계도와 시방서 및 이에 따르는 구조계산서와 설비관계의 계산서를 말하는데, 이중에서 시방서는 시공 방법, 재료의 종류와 등급, 공사현장에서의 주의사항 등 설계도에 표시할 수 없는 것을 기술한 문서이다. 또한, 설계도는 설계의 의도를 일정한 규약 하에 도시한 것으로, 설계 전반을 나타내는 도면 외에 구조도 및 설비도가 포함된다. 또한, 시방서는 시공 방법, 재료의 종류와 등급, 자재 메이커의 지정, 공사현장에서의 주의사항 등 설계도에 표시할 수 없는 것을 기술한 문서이다. 예를 들면, 건축관계의 설계도는 우선 부지에 대한 배치도가 필요하다. 건물의 대소에 따라 1/1000~1/200 정도로 그리며,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전개도 및 각부 상세도에 의해 형태와 시공법이 표시된다. 그리고 설비도는 전기(동력, 조명, 통신), 급배수, 공기조절의 각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국내의 건축법 제2조 1항에 따르면 '설계도서'란 건축물의 건축 등에 관한 공사용 도면, 구조 계산서, 시방서, 그 밖에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공사에 필요한 서류를 말한다.
VE 프로세스 모듈(120)은 상기 BIM 모델 설계도서(110)의 가치향상을 위해 가치공학(VE)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BIM 모델 설계도서(110)를 BIM 모델 기존안으로 하여 가치향상 유형에 따라 VE 개선안을 제안하며, 상기 VE 개선안에 따른 제안서 및 산출서를 제공한다.
여기서, 가치향상 유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치(Value) = 기능(Function)/비용(Cost)이라고 할 경우, 보다 적은 비용으로 같은 기능을 얻는 비용절감형, 같은 비용으로 기능을 개선 및 증가시키는 기능향상형, 비용을 감소시키면서도 기능을 향상시키는 가치혁신형 또는 비용을 증가되는 대신에 기능을 향상시키는 기능강조형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VE 수행 시스템(100)의 경우, VE 프로세스 모듈(120)이 VE 개선안을 제안할 때, 후술하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치향상 유형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공사비 적산 모듈(130)은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120)의 가치공학(VE) 프로세스 수행시 상기 BIM 모델 기존안 및 상기 VE 개선안에 대한 공사비를 적산한다.
생애주기비용(LCC) 분석 모듈(140)은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120)의 가치공학(VE) 프로세스 수행시 상기 BIM 모델 기존안 및 상기 VE 개선안에 대한 생애주기비용(LCC)을 분석한다. 이러한 생애주기비용(LCC) 분석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100)의 유지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50)은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120)의 가치공학(VE) 프로세스 수행시 즉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단계별 프리젠테이션 보고자료를 작성한다.
통합 DB(160)는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120)의 가치공학 프로세스 수행시 자동으로 생성되어 상기 BIM 모델 기존안 및 상기 VE 개선안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120)은 상기 BIM 모델 설계도서(110)에 대해서 가치공학(VE)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가치향상을 도모하고, 상기 공사비 적산 모듈(130)에 의해 공사비 산정을 고도화할 수 있고, 또한, 통합 DB(160)를 자동으로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업무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공사비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구축함으로써 다음 프로젝트에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고, 사업비 관리 외주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120)은 개요 확인부(121), 평가항목 확인부(122), 공종 설정부(123), 기능 정의 및 평가부(124), 제안서 작성부(125), 아이디어 개략평가부(126), 대안 선정부(127), 중간 협의부(128) 및 제안서 및 산출서 출력부(129)를 포함하며, 각각의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120)의 구체적인 처리 과정은 도 15a 내지 도 15m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모델로 납품된 설계도서에 대한 VE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은, 추후 2016년부터 조달청 건설공사 BIM 적용 의무에 대비하여 BIM 모델 설계도서를 기존안으로 하여 가치가 향상된 VE 개선안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이 구현된 실행화면에서 제안서 및 산출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이 구현된 실행화면에서, 제안서 및 산출서(3)를 선택하면 좌측에 제안서가 도시되고, 우측에 산출서가 도시되며, 이때, 좌측에 도시된 제안서 항목에 BIM 모델 기존안 및 VE 개선안 두 개를 띄워서 양쪽 다 변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에 도시된 제안서는 공종, 제안 내용, 제안의 특징, 경제성 평가결과, 제안의 장단점 및 효과 등을 표출하고, 또한, 우측에 도시된 산출서는 품명, 규격, 단위, 수량, 단가 및 합계 등을 표출하고, 또한, 분석 및 검토, 클래스 및 중간협의 내용 등을 표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은, VE 수행단계 중에서 가장 기초적인 기능을 평가하는 평가항목 선정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1명이 평가항목 선택하기 어려운데 설문조사 결과를 가지고 자동으로 평가항목을 선정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이 구현된 실행화면에서 BIM 모델 기존안과 VE 개선안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a는 BIM 모델 기존안과 VE 개선안이 프리젠테이션 자료로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며, 이때, VE 개선안이 전술한 가치향상 4가지 유형 중에서 가치혁신형으로 19,414만원이 절감되는 것을 나타내며, 특히, VE 개선안해당 객체의 부재정보, 단면정보를 확인하여 공사비 절감액 산출 내역을 도면상에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9b는 제안의 내용 다각적 이해 및 성능평가가 용이하도록 [보행시선 보기]를 선택하여 도 9a에 도시된 도면이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보행시선(Walk Through)은 예를 들면, 전술한 BIM 툴(200) 중에서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Revit 3D뷰 툴로서, 정지화상(Still Image)이 아니라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을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직관적으로 빌딩의 외형과 내부 또는 골조나 설비부분을 매우 쉽게 시각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이 구현된 실행화면에서 사업 개요정보를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이 구현된 실행화면에서 객체 선택부분의 물량이 산출서 수량에 입력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이 구현된 실행화면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기(V) > 사업 개요보기(R)를 선택함으로써 사업 개요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 선택부분의 물량이 산출서 수량에 입력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며, 예를 들면, 객체 선택부분의 물량은 기보유하고 있는 일위대가(Breakdown Cost), 기초단가인 [재료표 파일]과 연동되어 금액이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일위대가(Breakdown Cost)는 공사에 사용된 대금에 대한 명세를 기록한 문서로서, 이러한 일위대가는 공사에 대하여 관련된 보수나 사용대금을 의미하며, 표 형식으로 정리한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일위대가표에는 공사의 종류, 즉 공종과 명칭, 금액의 세부 내역을 기록하고, 이때, 세부 내역으로는 자재비용, 노무비용, 장비 사용 비용이 정확하고 자세하게 기록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이 구현된 실행화면에서 설계내역 마스터 읽어오기를 실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이 구현된 실행화면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내역 마스터 읽어오기]를 통해 납품받은 설계사의 설계도서 내역을 불러와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이 구현된 실행화면에서 프리젠테이션 자료로 출력되는 보고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이 구현된 실행화면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고서]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VE 제안 총괄표를 표출할 수 있다. 이때, 보고서 작성내용을 추가 작업 없이 바로 프리젠테이션(PT) 자료로 변환 및 표출되고, 즉각적으로 보고회 등을 편리하게 준비할 수 있고, 또한,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이 구현된 실행화면에서 프리젠테이션 자료로 다양한 도면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이 구현된 실행화면에서, 도 14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ppt 자료가 아닌 프로그램 상의 프리젠테이션 화면으로 발표하면서, 예를 들면, VE 개선안 도면을 1~8장까지 다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고, 이때,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하면서 제안서 및 산출서의 세부사항 창을 도시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리젠테이션 발표 중에 채택 여부를 선택하면, 보고서 내용으로 반영되어 채택된 제안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보고서 형태를 선택하여 제안서 페이지만 도시하거나, 또는 제안서 및 산출서 페이지를 함께 도시할 수 있고, 보고서 및 프리젠테이션을 출력할 수 있다.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의 VE 프로세스 과정]
도 15a 내지 도 15m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이 구현된 실행화면에서 VE 프로세스 과정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은 VE 매니저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VE 매니저 프로그램은,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VE 매니저 아이콘을 클릭하여 활성화시킨 후, 팝업창에서 예를 들면, "기존파일"을 클릭함으로써 VE 매니저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기(V) > 사업 개요보기(R) > 동별개요(D) 버튼을 클릭하여 사업 개요를 확인하는 것을 나타내며,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E 매니저(200)가 BIM 모델 설계도서(110)의 입력 후에 소정 형식의 파일을 배포하므로 사업 개요는 모두 입력된 상태로 제공된다.
다음으로,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M) > 평가항목 및 분석(P)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설문조사지에 따른 설문조사 결과로서 평가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킥오프 미팅시 설문조사지에 따른 설문조사가 진행된 후, 제안 아이디어에 대한 평가항목, 예를 들면, 경제성, 기능성, 안전성, 친환경성 및 유지관리성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E 매니저가 설문조사를 취합하여 입력한 후에 소정 형식의 파일을 배포하므로 입력이 이미 완료된 상태이고, 이때, 임의로 수정할 수 없도록 파일 잠금이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M) > 공종 설정(G) > 공종리스트 버튼을 클릭하여 공종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E 매니저가 공종을 추가 또는 삭제하여 공종을 미리 설정한 상태로 파일을 배포하며, 이때,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종리스트에서 공종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능정의 및 평가, 아이디어 개략평가, 제안서 및 산출서 어느 탭에서든 콤보박스에서 공종을 선택한 후에 작업을 수행하면, 모든 탭에 동일하게 공종이 적용된다. 여기서, 콤보 박스(combo box)는 컴퓨터/통신 윈도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직접 정보를 입력하거나 나열된 항목들 중에서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컨트롤을 말한다.
다음으로, 도 1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정의 및 평가(1)" 탭을 선택함으로써 ① 기능정의, ② 기능정리 및 ③ 평가 대상 정리가 도시되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① 기능정의는 기존에 사용한 기능정의가 포함되며, 이때, 필요 없는 기능은 마우스를 우클릭하여 삭제할 수 있고, 또는 새로운 기능정의를 위해 마우스를 우클릭하여 추가할 수 있다. 또한, ② 기능정리는 상기 기능정의에 입력되어 있는 리스트 중에서 선택하여 단계 (1), 단계 (2) 및 단계 (3)로 정리할 수 있다. 또한, ③ 평가 대상 정리(E)를 클릭하면 "기능평가 및 개선대상 기능" 코드가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정의 및 평가(1)" 탭을 선택함으로써 ④ 기능평가 및 개선대상 기능 및 ⑤ 평가결과가 도시되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④ 기능평가 및 개선대상 기능은, 예를 들면, 4가지 질문에 대해 그렇다/그저 그렇다/아니다 중에서 평가하는 것을 나타내며, 이때, 콤보박스가 불편한 경우, 1, 2, 3 숫자로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⑤ 평가결과로서, 제안서 및 산출서(3) 탭에서 대상기능을 선택하면 "제안함"으로 표시되고, 예를 들면, 기능평가에서 "아니다"가 많을 경우, 제안 대상기능으로 선택하는 것은 불합리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안서 및 산출서(3)" 탭을 선택하면, ① 제안명은 명사 + 동사로 작성될 수 있고, ② 발주청 담당자 및 제안자명을 입력할 수 있으며, ③ 추가(A)를 클릭하여 다음 제안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발주청 담당자, 제안자명을 입력한 후 추가를 클릭하면, 다음 제안에 동일하게 입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안서 및 산출서(3)" 탭을 선택하여, ④ 제안내용을 키워드 위주로 짧게 작성할 수 있고, 또한, ⑤ 제안설명 도면으로서, 1번 내지 8번 도면을 클릭한 후, 해당 부분을 더블클릭하면 도면을 첨부할 수 있고, 9번 도면은 BIM 모델 도면을 나타낸다. 이때, ppt 파일이나 다른 곳에 있는 도면과 설명을 드래그 선택하여 복사하고, 마우스를 우클릭하여 붙여넣기가 가능하다. 또한, "제안서 및 산출서(3)" 탭을 선택한 후, ⑥ 특징을 클릭하여 "~함, ~임" 등 단문으로 3줄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안서 및 산출서(3)" 탭을 선택한 후, ⑦의 내용 요약 형태로 작성할 수 있고, 또한, ⑧ [보고서]를 클릭함으로써 단계별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아이디어 개략평가(2)"에서 채택된 제안만 프리젠테이션 자료로 도시된다.
다음으로, 도 1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디어 개략평가(2)" 탭을 클릭하여, ① 아이디어를 추가, 삭제 또는 제안 및 산출 작성을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아이디어 추가시 마우스를 우클릭하여 아이디어를 추가로 작성할 수 있고, 이때, 제안서 및 산출서 동시에 생성된다. 또한, 아이디어 삭제시 마우스를 우클릭하여 아이디어를 삭제할 수 있고, 이때, 제안서 및 산출서 동시에 삭제된다. 또한, 마우스를 우클릭하여 제안 및 산출 작성을 선택하면 해당 아이디어에 대한 "제안서 및 산출서(3)" 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아이디어 개략평가(2)" 탭을 클릭하여, ② 아이디어 개략평가를 위해서 평가항목에 대해서 실행가능(O), 보다 상세한 조사를 요함(△) 또는 실현불가능(X) 중에서 평가할 수 있다. 이때, 콤보박스가 불편한 경우, 1, 2, 3 숫자로도 선택할 수 있다. 만일, 평가항목에 대해 실현불가능[X]한 평가가 많을 경우, 아이디어가 채택되는 것[◎]은 불합리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아이디어 개략평가(2)" 탭을 클릭하여, ③ 채택여부를 선택함으로써 "중간협의 전 자체 사전 협의 결과"로 채택(◎) 또는 미채택(X)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채택(◎)을 선택할 경우, [보고서] 항목의 중간협의 프리젠테이션(PT) 자료에서 제안내용이 도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안서 및 산출서" 탭을 선택하여 중간협의 전에 ① 분석 및 검토를 작성 완료하면, 이러한 분석 및 검토 내용을 바탕으로 중간협의가 진행된다. 또한, 중간협의 후에 ② 대안 클래스(CLASS)를 선정하면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안 선정표가 도시되고, 이러한 대안은 반영/추후검토/미반영 중에서 선택할 수 있고, 특히, 미반영을 선택할 경우, 도면 오류, 내역 오류, 설계 의도, 타공종 상반, 타공종 상충, 시공사 요구 , 설계사 요구, 발주처 요구, 안전 제고 또는 기반영 및 법규 제약 등의 사유를 선택하면, 보고서의 비고란에 중간협의 내용과 연계하여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디어 개략평가(2)" 탭을 선택하여 ① 제안내용을 중간협의 전에 작성 완료할 수 있고, 이후, ② 중간협의 내용은 설계사, 발주처와 협의 내용이 상세하게 작성된다. 이때, ② 중간협의 내용은 아이디어 개략평가에서 채택[◎]된 것만 작성한다.
다음으로, 도 15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안서 및 산출서(3)" 탭을 선택하여 ① 제안의 특징 및 효과(기술성)를 기재할 수 있으며, 이때, 특징, 분석 및 검토 내용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개선안에 대한 장점, 단점, 시공시 주의할 점, 제안 효과로 나눠서 작성하게 된다. 또한, "제안서 및 산출서(3)" 탭을 선택하여 ② 산출서를 작성할 수 있는데, BIM 모델 기존안의 경우, 설계 내역서의 엑셀파일을 로드하여 품명, 규격, 단위, 단가를 불러올 수 있고, 수량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VE 개선안의 경우, 설계 내역서에 있는 품목은 설계 내역서에서 불러오고, 설계 내역서에 없는 품목은 프로그램 자체의 일위대가를 불러올 수 있다. 이때, 견적가의 입력도 가능하다. 특히, 엑셀 내용을 복사할 경우, 품명, 규격, 단위, 단가, 수량, 금액 순으로 입력되며, 이때, 단가, 수량, 금액란에는 숫자 형태로 입력되어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도 15m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안서 및 산출서(3)" 탭을 선택하여 ③ 가치향상 효과로서, … 아이콘을 클릭하여 가치향상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안서 및 산출서(3)" 탭을 선택하여 ④ 평가등급으로서 1~10의 평가등급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때, 가중치는 설문조사결과에 의해 설정되어 있고, 예를 들면, Matrix 기법을 적용할 경우, 성능점수[F] = 중요도 x 평가등급(1~5점)으로 주어질 수 있고,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적용할 경우, 성능점수[F] = 가중치[%] x 평가등급(1~10점)으로 주어지고, 이에 따라 가치점수[V] = 성능점수[F] / 총절감액[C]로 표시됨으로써, 전술한 도 6에 도시된 가치향상의 4가지 유형 중 어느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BIM-툴을 사용하여 작성되어 발주처에게 납품되는 BIM 모델 설계도서에 대해서 가치공학(VE)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가치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BIM-툴을 사용하여 작성되어 발주처에게 납품되는 BIM 모델 설계도서에 대해서 가치공학(VE)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공사비 산정을 고도화할 수 있도록 공사비 적산 모듈을 적용함으로써 추정공사비 산정을 정량화하고, 추정공사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발주처에서 요구하는 비용 관리(CM)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추가 작업 없이 즉각적으로 단계별 프리젠테이션 자료로 변환 및 표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BIM-기반 건설 VE 수행 시스템(VE 매니저)
200: BIM 툴(TOOL)
300: 발주처
110: BIM 모델 설계도서
120: VE 프로세스 모듈
130: 공사비 적산 모듈
140: LCC 분석 모듈
150: 프리젠테이션 모듈
160: 통합 DB

Claims (10)

  1. 발주처(300)에게 납품되도록 BIM 툴(200)을 사용하여 작성되는 BIM 모델 설계도서(110); 상기 BIM 모델 설계도서(110)의 가치향상을 위해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VE)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BIM 모델 설계도서(110)를 BIM 모델 기존안으로 하여 가치향상 유형에 따라 VE 개선안을 제안하며, 상기 VE 개선안에 따른 제안서 및 산출서를 제공하는 VE 프로세스 모듈(120);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120)의 가치공학(VE) 프로세스 수행시 상기 BIM 모델 기존안 및 상기 VE 개선안에 대한 공사비를 적산하는 공사비 적산 모듈(130);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120)의 가치공학(VE) 프로세스 수행시 상기 BIM 모델 기존안 및 상기 VE 개선안에 대한 생애주기비용(LCC)을 분석하는 LCC 분석 모듈(140); 및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120)의 가치공학(VE) 프로세스 수행시 즉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단계별 프리젠테이션 보고자료를 작성하는 프리젠테이션 모듈(150)을 포함하되,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120)은 상기 BIM 모델 설계도서(110)에 대해서 가치공학(VE)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가치향상을 도모하고, 상기 공사비 적산 모듈(130)에 의해 공사비 산정을 고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120)은 개요 확인부(121), 평가항목 확인부(122), 공종 설정부(123), 기능 정의 및 평가부(124), 제안서 작성부(125), 아이디어 개략평가부(126), 대안 선정부(127), 중간 협의부(128) 및 제안서 및 산출서 출력부(129)를 포함하며,
    VE 매니저 아이콘을 클릭되어 VE 매니저 프로그램이 활성화된 후, 보기(V) > 사업 개요보기(R) > 동별개요(D) 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개요 확인부(121)가 사업 개요를 확인하고,
    관리(M) > 평가항목 및 분석(P) 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평가항목 확인부(122)설문조사지에 따른 설문조사 결과로서 평가항목을 확인하고,
    관리(M) > 공종 설정(G) > 공종리스트 버튼을 클릭되면, 상기 공종 설정부(123)가 공종을 설정하되, VE 매니저가 공종을 추가 또는 삭제하여 공종을 미리 설정한 상태로 파일을 배포하며, 기능정의 및 평가, 아이디어 개략평가, 제안서 및 산출서 어느 탭에서든 콤보박스에서 공종을 선택한 후에 작업을 수행하면, 모든 탭에 동일하게 공종이 적용되고,
    "기능정의 및 평가" 탭이 선택되면, 상기 기능 정의 및 평가부(124)가 ① 기능정의, ② 기능정리 및 ③ 평가 대상 정리를 도시하되, ① 기능정의는 기존에 사용한 기능정의가 포함되며, 이때, 필요 없는 기능은 마우스를 우클릭하여 삭제할 수 있고, 또는 새로운 기능정의를 위해 마우스를 우클릭하여 추가할 수 있으며, ② 기능정리는 상기 기능정의에 입력되어 있는 리스트 중에서 선택하여 단계 (1), 단계 (2) 및 단계 (3)로 정리하고, ③ 평가 대상 정리(E)가 클릭되면 "기능평가 및 개선대상 기능" 코드를 생성하고,
    "제안서 및 산출서" 탭이 선택되면, 상기 제안서 작성부(125)가 ① 제안명은 명사 + 동사로 작성될 수 있고, ② 발주청 담당자 및 제안자명을 입력할 수 있으며, ③ 추가(A)를 클릭하여 다음 제안을 선택할 수 있으며,
    "아이디어 개략평가" 탭이 클릭되면, 상기 아이디어 개략평가부(126)가 ① 아이디어를 추가, 삭제 또는 제안 및 산출 작성을 선택할 수 있고,
    "제안서 및 산출서" 탭을 선택하여 중간협의 전에 ① 분석 및 검토를 작성 완료하면, 이러한 분석 및 검토 내용을 바탕으로 상기 중간 협의부(128)가 중간협의를 진행하며,
    중간협의 후에 대안 클래스(CLASS)를 선정하면 상기 대안 선정부(127)가 대안 선정표를 도시하고, 이러한 대안은 반영/추후검토/미반영 중에서 선택할 수 있고, 미반영을 선택할 경우, 도면 오류, 내역 오류, 설계 의도, 타공종 상반, 타공종 상충, 시공사 요구 , 설계사 요구, 발주처 요구, 안전 제고 또는 기반영 및 법규 제약의 사유를 선택하면, 보고서의 비고란에 중간협의 내용과 연계하여 표시될 수 있고,
    "아이디어 개략평가" 탭이 선택되면, ① 제안내용을 중간협의 전에 작성 완료할 수 있고, 이후, ② 중간협의 내용은 설계사, 발주처와 협의 내용이 상세하게 작성되며,
    "기능정의 및 평가" 탭이 선택되면 ④ 기능평가 및 개선대상 기능 및 ⑤ 평가결과가 도시되고,
    ⑤ 평가결과로서, 제안서 및 산출서(3) 탭에서 대상기능을 선택되면 "제안함"으로 표시되고,
    "제안서 및 산출서" 탭이 선택되면 ① 제안의 특징 및 효과(기술성)를 기재할 수 있으며, 개선안에 대한 장점, 단점, 시공시 주의할 점, 제안 효과로 나눠서 작성하며,
    "제안서 및 산출서" 탭이 선택되면 ② 산출서를 작성하고, ③ 가치향상 효과를 확인하고, ④ 평가등급으로서 1~10의 평가등급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때, 가중치는 설문조사결과에 의해 설정되어 있고, Matrix 기법을 적용할 경우, 성능점수[F] = 중요도 x 평가등급(1~5점)으로 주어질 수 있고,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적용할 경우, 성능점수[F] = 가중치[%] x 평가등급(1~10점)으로 주어지고, 이에 따라 가치점수[V] = 성능점수[F] / 총절감액[C]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120)의 가치공학 프로세스 수행시 자동으로 생성되어 상기 BIM 모델 기존안 및 상기 VE 개선안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통합 DB(160)를 추가로 포함하는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치향상 유형은 비용절감형, 기능향상형, 가치혁신형 또는 기능강조형의 4가지 유형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며, 상기 VE 개선안을 프리젠테이션 보고자료로 표출할 때, 상기 가치향상 유형이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120)은 제안서 및 산출서를 표출하되, 상기 제안서는 공종, 제안 내용, 제안의 특징, 경제성 평가결과, 제안의 장단점 및 효과가 기재되고, 상기 산출서는 품명, 규격, 단위, 수량, 단가 및 합계가 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120)은 상기 VE 개선안의 내용 다각적 이해 및 성능평가가 용이하도록 보행시선(Walk Through) 보기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120)은 객체 선택부분의 물량이 산출서 수량에 입력될 수 있도록 보유하고 있는 일위대가(Breakdown Cost) 및 기초단가와 연동되어 금액을 산출하여 상기 산출서에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120)은 설계내역 마스터 읽어오기를 통해 납품받은 설계사의 설계도서 내역을 불러와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테이션 모듈(150)은 보고서 작성내용을 추가 작업 없이 즉각적으로 프리젠테이션(PT) 자료로 변환 및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테이션 모듈(150)은 프로그램 상의 프리젠테이션 화면으로 발표할 때, 상기 VE 개선안에 대한 도면을 1~8장까지 다각적으로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E 프로세스 모듈(120)은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하면서 제안서 및 산출서의 세부사항 창을 도시하고, 상기 프리젠테이션 발표 중에 채택 여부를 선택하면 보고서 내용으로 반영되어 채택된 제안만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KR1020140192084A 2014-12-29 2014-12-29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KR101690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084A KR101690211B1 (ko) 2014-12-29 2014-12-29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084A KR101690211B1 (ko) 2014-12-29 2014-12-29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388A KR20160080388A (ko) 2016-07-08
KR101690211B1 true KR101690211B1 (ko) 2016-12-28

Family

ID=56502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084A KR101690211B1 (ko) 2014-12-29 2014-12-29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2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190A1 (ko)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부강테크 수처리 공정 최적화 및 자동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설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7006B2 (ja) * 2017-04-10 2021-07-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作業委託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10110376A (zh) * 2019-04-09 2019-08-09 天津大学 一种基于bim的枢纽坝型比选方案量化评价方法及装置
CN112214861A (zh) * 2019-07-12 2021-01-12 莱芜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bim的机电系统管线装配系统
CN110599113A (zh) * 2019-08-12 2019-12-20 新疆交通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bim技术的公路施工实时管控系统及其工作流程
CN112016151A (zh) * 2020-09-04 2020-12-01 厦门中联永亨科创有限公司 一种基于bim技术的建筑数据采集系统及实时校验方法
CN112966920A (zh) * 2021-03-01 2021-06-15 四川大学锦城学院 一种建筑施工管理系统
CN113901570A (zh) * 2021-11-23 2022-01-07 悉地(苏州)勘察设计顾问有限公司 一种将bim应用到变电站建设过程的方法
CN116662393B (zh) * 2023-06-10 2023-12-12 中建新城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分布式数据查询的建筑工程控制方法和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038B1 (ko) * 2010-07-30 2011-10-26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건설 가치공학 통합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159B1 (ko) * 2005-09-01 2006-01-10 (주)에코아이 건설 시설물에 대한 가치평가 및 환경평가의 수행을 위한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0944760B1 (ko) 2009-07-20 2010-03-03 (주)아이엠기술단 온라인 가치공학 프로세스 처리 시스템
KR20110093719A (ko) 2010-02-12 2011-08-18 이기상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34106B1 (ko) 2010-07-21 2012-04-20 이기상 건설 ve 지원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05327B1 (ko) 2010-07-21 2012-01-17 이기상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한 건설 공사 원가 내역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011833A (ko) 2011-10-05 2012-02-08 이기상 설계의 경제성 검토를 위한 공사 원가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101264055B1 (ko) 2012-10-25 2013-05-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Bim을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
KR20140121145A (ko) 2013-04-05 2014-10-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Bim기반 건설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
KR101332354B1 (ko) 2013-06-12 2013-11-22 (주)아이엠기술단 다자간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가치공학 다단계 성능평가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038B1 (ko) * 2010-07-30 2011-10-26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건설 가치공학 통합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190A1 (ko)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부강테크 수처리 공정 최적화 및 자동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설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388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211B1 (ko)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Hamdi et al. BIM and Lean interactions from the bim capability maturity model perspective: A case study
Li et al. A project-based quantification of BIM benefits
Smith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 strategic implementation guide for architects, engineers, constructors, and real estate asset managers
KR101167850B1 (ko) 직접 공사비 구성 항목별 확장 단가 정보의 생성을 포함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Tang et al. Relationship between BIM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of OSM projects
Jiang Developments in cost estimating and scheduling in BIM technology
EP2580700A2 (en) Model inventory manager
Fernande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BIM platforms on construction site
CN109559070A (zh) 装配式建筑平台的设备生产信息管理方法及装置
Brinda et al. Developments of facility management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Forbes et 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Luthra Implement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 architectural firms in India
Inzerillo et al. EXPLORING 4D AND 5D ANALYSIS IN BIM ENVIRONMENT FOR INFRASTRUCTURES: A CASE STUDY
Hoseini et al.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on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Areas of Knowledge: a Hybrid FANP-FVIKOR Approach
Skvortsova et al. Economic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the introduction of industry 4.0 technologies in the activities of industrial enterprises
Mohamed Hossam et al. IDENTIFYING THE IMPACT OF INTEGRAT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WITH MAINTENANCE MANAGEMENT A LITERATURE REVIEW
KR101081880B1 (ko)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건설사업관리용 기성공사비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Gokce et al. IFC view for bill of quantities for software interoperability
Li Integrat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cost estimating and scheduling for buildings construction at the conceptual design stage
WO2011099826A2 (ko)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Macheret et al. Applic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echnologies at the Design Stages of Real Estate Objects
Ahmad et al. Application of 5D BIM to improve the oil and gas project cost performance
Naweed et al. Application of 4d-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its challenges in AEC industry
Wefki et al. BIM-based schedule generation and optimization using genetic algorith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