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055B1 - Bim을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 - Google Patents

Bim을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055B1
KR101264055B1 KR1020120119281A KR20120119281A KR101264055B1 KR 101264055 B1 KR101264055 B1 KR 101264055B1 KR 1020120119281 A KR1020120119281 A KR 1020120119281A KR 20120119281 A KR20120119281 A KR 20120119281A KR 101264055 B1 KR101264055 B1 KR 101264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module
information
calculating
estim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한
최중식
김한샘
김한준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19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0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건물정보모듈(10)이 건물정보파일(IFC)을 생성하는 단계; (b) 개산견적 객체 선정 모듈(110)이 상기 건물정보파일(IFC)에서 건축공사 공종마다 각각 건물 객체를 선정하는 단계; (c) 물량정보 추출 모듈(120)이 상기 선정된 건물 객체의 정보 중 개산견적 연산에 필요한 물량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d)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모듈(130)이 상기 추출된 물량정보에 기 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을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BIM을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Quantity take―off method using building information for schematic estimation}
본 발명은 건물정보 및 규격화된 표준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을 효과적으로 연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란, 최근 건설산업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3차원 설계기술을 의미하는데, 개방형 BIM은 어떤 종류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던 관계없이 데이터를 서로 공유하도록 국제표준(IFC)을 사용하는 BIM을 의미한다.
최근 국제적으로 개방형 BIM의 활용을 통한 디자인 첨단화, 에너지 저감형/친환경 건축물 구축이 활성화되는 추세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초고층과 같은 대형 프로젝트에 선도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되고 있다.
초고층 빌딩 산업은 특성상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단계에서 건축, 구조, 전기, 설비, 통신, 방재 등 수많은 전문분야의 다수 업체가 참여하여 진행된다. 그 과정에서 3차원 데이터를 활용하여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각자가 생성한 방대한 분량의 BIM 데이터를 주고받아야 하는데, 약속된 표준이 없다면 공유나 교환이 불가능하다. 개방형 BIM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건설산업에 있어서 견적의 중요성은 익히 알려져 있다.
특히, 건축물 기획 단계에서 과거 시공된 유사건물의 통계와 물가지수를 참고하여 대략적인 비용을 산출하는 것을 개산견적이라 하는데, 이는 투자계획 단계에서의 의사결정 및 예산 범위의 설정을 위하여 중요한 사항이다.
기존의 견적은 2D 기반 도면을 바탕으로 수작업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이로 인하여, 작업자의 실수 내지 견적 담당자의 노하우 정도에 따라 물량산출이 매우 상이해지며, 설계 변경시 마다 대부분의 작업을 다시 수행하여야 하는 인력/비용의 낭비의 문제가 존재한다.
건설산업이 대형화, 복잡화 되어감에 따라 정보 부족으로 인한 견적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초고층 빌딩 산업의 경우 한층 더 극명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국제 표준인 IFC에 따른 개방형 BIM 기반으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건물정보모듈(10)이 건물정보파일(IFC)을 생성하는 단계; (b) 개산견적 객체 선정 모듈(110)이 상기 건물정보파일(IFC)에서 건축공사 공종마다 각각 건물 객체를 선정하는 단계; (c) 물량정보 추출 모듈(120)이 상기 선정된 건물 객체의 정보 중 개산견적 연산에 필요한 물량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d)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모듈(130)이 상기 추출된 물량정보에 기 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정보를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건축공사 공종은 골조공사, 조적공사, 마감공사, 창고 및 유리 공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축공사 공종은 골조공사이며, 상기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모듈(130)은 철근콘크리트 물량 연산 모듈(131a) 및 철골물량 연산 모듈(131b)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축공사 공종은 골조공사이며,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철근콘크리트 물량 연산 모듈(131a)이 상기 추출된 물량정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물량을 연산한 후, 기 설정된 콘크리트 대비 철근 비율 및 콘크리트 대비 거푸집 비율에 따라 철근 및 거푸집 물량을 연산하는 단계; (d2) 상기 철골물량 연산 모듈(131b)이 상기 추출된 물량정보를 이용하여 형강의 길이를 연산한 후, 선택되는 형강의 규격에 따라 철골물량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물정보모듈(10)은 개방형 BI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물정보파일(IFC)은 건물 객체마다 매핑되는 공종분류 코드 및 물품분류 코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 단계의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공종분류 코드 및 상기 물품분류 코드마다 비용 단가를 포함하는 기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축공사 공종은 골조공사이며, 상기 개산견적 객체 선정 모듈(110)은 골조공사 해당부재 선정 모듈(11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골조공사 해당부재 선정 모듈(111)은, 상기 건물정보파일(IFC)의 건물 객체속성 중 외벽속성(IsExternal) 또는 구조체속성(LoadBearing)이 참(true)인 경우 이를 건물 객체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추출되는 물량정보는 상기 선정된 건물 객체의 길이, 높이, 너비, 깊이 및 기하학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축공사 공종은 골조공사이며, 상기 선정되는 건물 객체는, 건물의 벽체, 바닥, 보, 기둥, 기초, 및 계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견적 수작업에 의한 실수를 실질적으로 대부분 방지할 수 있어서 정확한 물량 산출을 가능하게 하여 견적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설계 변경 시에도 용이한 확정이 가능하다.
또한, 물가 지수가 반영될 수 있어서 정확도가 상승함은 물론, 특히 물가가 변경된 경우에도 간단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손쉽게 실시간 반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산견적 연산에 있어서 골조공사 해당부재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시스템의 설명
도 1을 참조하여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시스템을 설명한다.
건물정보모듈(10)은 건물에 관련된 정보가 입출력되고 건물정보파일(IFC)을 생성, 관리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이는 전술한 개방형 BIM일 수 있다.
건물정보파일(IFC)에는 다수의 건물 객체(Building elements)가 포함되며, 그 종류는 다양하다.
예를 들어, 건물정보모듈(10)이 개방형 BIM인 경우, 건물 객체는 벽체(Wall), 바닥(slab), 기둥(Column), 보(Beam), 창호(Window), 계단(Stair), 커튼월(Curtain Wall), 문(Door), 설비(Equipment), 램프(Ramp)를 비롯하여 건물에 구비되는 모든 객체를 포함한다.
개산견적 객체 선정 모듈(110)은, 건물정보모듈에 입력된 건물 정보 파일에서 개산견적의 대상이 되는 건물 객체를 선정한다.
여기에서 선정되는 건물 객체는 각 세분화된 건축공사 공종마다 상이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개산견적에 필요한 건축공사 공종으로서 골조공사, 조적공사, 마감공사, 창호 및 유리 공사로서 구분한다. 도 1에서는 골조공사의 경우를 예로 들어 개산견적 객체 선정 모듈(110)에는 골조공사 해당부재 선정 모듈(111)이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나, 다른 공종마다 선정 모듈이 구비됨은 물론이다.
어떠한 건물 객체가 선정되는지는 각 전술한 건축공사 공종마다 상이하다.
이러한 기준들은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시스템(100)에 미리 저장되며, 사용자가 건축공사 공종을 선택한 경우 개산견적 객체 선정 모듈(110)은 이에 해당되는 건물 객체가 선택된다.
예를 들어, 골조공사 해당부재 선정 모듈(111)은 건물 객체 중 속성이 벽체, 바닥, 보, 기둥, 기초, 및 계단인 것을 선정한다.
물량정보 추출 모듈(120)은 개산견적 객체 선정 모듈(110)에서 선정된 건물 객체에 대한 많은 정보 중에서 개산견적에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한다.
어떠한 정보가 추출되는지는 각 건축공사 공종 및 건물 객체마다 상이하다.
이러한 기준들은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시스템(100)에 미리 저장된다.
예를 들어, 골조공사 개산견적으로서 건물 객체가 벽체(wall)인 경우 길이(length), 높이(height), 너비(width), 깊이(depth) 및 기하학 정보가 추출된다.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모듈(130)은 추출된 물량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을 이용하여 물량을 연산한다.
기 설정된 기준은 비용에 관련된 정보로서 물가기준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미리 저장될 수도 있으며, 또는 모든 사용자가 공통적으로 활용 가능한 표준 규격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대한민국 조달청 데이터베이스의 라이브러리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라이브러리에는 IFC에 따른 공종분류 코드 및 물품분류 코드가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이는 물가지수 등과 연동되어 최근의 가격 정보 등이 반영되어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공종분류 코드는 고소할증률이 포함되며, 물품분류 코드는 단가정보가 포함되는데,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모듈(130)은 이러한 정보들을 불러와서 앞서 추출된 물량정보에 적용함으로써 개산견적을 최근 물가지수에 맞추어 연산하게 된다.
대한민국 외의 타국의 경우에도 각 국가에서 활용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 있으며, 국제분류가 정립됨에 따라 이러한 정보들이 표준 규격으로 통일되는 경우 이를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모듈(130)은 건축공사 공종마다 상이한 하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골조공사를 예로 들어 철근콘크리트 물량 연산 모듈(131a)과 철골물량 연산 모듈(131b)이 도시된다.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의 설명
도 2 내지 3을 참조하여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예시에서는 건축공사 공종 중 골조공사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다른 공종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건물정보모듈(10)이 건물정보파일(IFC)을 생성한다(S210). 건물정보파일(IFC)은 개방형 BIM에 맞추어진 파일일 수 있다.
다음, 개산견적 객체 선정 모듈(110)이 상기 건물정보파일(IFC)에서 골조공사에 해당하는 건물 객체를 선정한다(S220).
다음, 물량정보 추출 모듈(120)이 상기 선정된 건물 객체의 정보 중에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에 필요한 물량정보를 추출한다.
도 3을 참조하여 S22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개방형 BIM을 통하여 입력되는 건물 객체는 각종 속성이 함께 입력된다. 예를 들어, 공종코드가 입력될 수 있으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준 규격으로 입력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재속성이 입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외벽속성(IsExternal), 구조체속성(LoadBearing) 등이 입력될 수 있다.
개산견적 객체 선정 모듈(110)은 건물정보파일(IFC)에 포함된 모든 건물 객체 중에서 골조공사를 위한 개산견적에 필요한 객체로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건물 객체를 선정한다(S221). 이는 벽체, 바닥, 보, 기둥, 기초, 및 계단 등일 수 있다.
다음, 객체에 매핑된 속성을 이용하여 다시 선정할 수 있다. 골조공사를 위해서는 외벽속성(IsExternal), 구조체속성(LoadBearing)이 참(true)인 건물 객체를 선정한다.
다음, 물량정보 추출 모듈(120)은 선정된 건물 객체의 길이, 높이, 너비, 깊이, 기하학정보를 추출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한다.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모듈(130)이 상기 추출된 물량정보에 기 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을 연산한다(S230~S270).
골조공사인 경우, 철근콘크리트 물량과 철골물량을 구분하여 연산한다. 그 순서에 전후가 없음은 물론이다.
먼저, 철근콘크리트 물량 연산 모듈(131a)은 추출된 물량정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물량을 연산한다(S230).
여기에서 물량정보 추출 모듈(120)이 철근 및 거푸집에 해당하는 물량정보까지 추출하지 않기 때문에, 콘크리트 대비 철근 비율과 콘크리트 대비 거푸집 비율을 먼저 설정한 후 S230 단계에서 연산된 콘크리트 물량을 이용하여 각각 철근 물량과 거푸집 물량을 연산할 수 있다(S240).
또한, 철골물량 연산 모듈(131b)은 추출된 물량정보를 이용하여 형강의 길이를 연산한다(S250).
마찬가지로 형강의 규격까지 건물정보파일(IFC)에 포함되지 않기에,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여 입력하고 연산된 형강의 길이에 형강의 단위중량을 곱함으로써 철골물량을 연산할 수 있다(S260).
다음, 이렇게 연산된 정보들을 합산함으로써 총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결과가 연산된다(S270).
한편, 이와 같은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공종코드가 필요한 건물 객체 중에서 공종코드가 매핑되지 않은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건물정보모듈(10)에 피드백되어 해당 모델을 수정하는 자료로서 활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건물정보모듈
100: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시스템
110: 개산견적 객체 선정 모듈
111: 골조공사 해당부재 선정 모듈
120: 물량정보 추출 모듈
130: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모듈
131a; 철근콘크리트 물량 연산 모듈
131b: 철골물량 연산 모듈

Claims (11)

  1. (a) 건물정보모듈(10)이 건물정보파일(IFC)을 생성하는 단계;
    (b) 개산견적 객체 선정 모듈(110)이 상기 건물정보파일(IFC)에서 건축공사 공종마다 각각 건물 객체를 선정하는 단계;
    (c) 물량정보 추출 모듈(120)이 상기 선정된 건물 객체의 정보 중 개산견적 연산에 필요한 물량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d)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모듈(130)이 상기 추출된 물량정보에 기 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건축공사 공종은 골조공사, 조적공사, 마감공사, 창고 및 유리 공사를 포함하며,
    상기 건축공사 공종은 골조공사인 경우, 상기 개산견적 객체 선정 모듈(110)은 골조공사 해당부재 선정 모듈(1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건물정보)를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공사 공종은 골조공사이며,
    상기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모듈(130)은 철근콘크리트 물량 연산 모듈(131a) 및 철골물량 연산 모듈(131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을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공사 공종은 골조공사이며,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철근콘크리트 물량 연산 모듈(131a)이 상기 추출된 물량정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물량을 연산한 후, 기 설정된 콘크리트 대비 철근 비율 및 콘크리트 대비 거푸집 비율에 따라 철근 및 거푸집 물량을 연산하는 단계;
    (d2) 상기 철골물량 연산 모듈(131b)이 상기 추출된 물량정보를 이용하여 형강의 길이를 연산한 후, 선택되는 형강의 규격에 따라 철골물량을 연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을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정보모듈(10)은 개방형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을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정보파일(IFC)은 건물 객체마다 매핑되는 공종분류 코드 및 물품분류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을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공종분류 코드 및 상기 물품분류 코드마다 비용 단가를 포함하는 기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을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공사 해당부재 선정 모듈(111)은, 상기 건물정보파일(IFC)의 건물 객체 중 외벽속성(IsExternal) 또는 구조체속성(LoadBearing)이 참(true)인 경우 이를 건물 객체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을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되는 물량정보는 상기 선정된 건물 객체의 길이, 높이, 너비, 깊이 및 기하학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을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공사 공종은 골조공사이며,
    상기 선정되는 건물 객체는, 건물의 벽체, 바닥, 기둥, 보, 기초, 및 계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을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
KR1020120119281A 2012-10-25 2012-10-25 Bim을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 KR101264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281A KR101264055B1 (ko) 2012-10-25 2012-10-25 Bim을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281A KR101264055B1 (ko) 2012-10-25 2012-10-25 Bim을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4055B1 true KR101264055B1 (ko) 2013-05-29

Family

ID=48666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281A KR101264055B1 (ko) 2012-10-25 2012-10-25 Bim을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05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762B1 (ko) * 2014-09-02 2016-02-05 윤명철 건축설계 단계에서 bim을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자동 물량산출 연산 방법 및 정보 분류 시스템
KR101636203B1 (ko) 2015-04-15 2016-07-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Bim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분석 수행 방법
KR20160080388A (ko) 2014-12-29 2016-07-08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KR20160145227A (ko) 2015-06-09 2016-12-20 (주) 웹스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합성목재
KR101778231B1 (ko) 2017-07-07 2017-09-26 주식회사 코바엔지니어링 3d 모델링 미작성 객체에 대한 물량 산출 방법
KR20170115730A (ko) * 2016-04-08 2017-10-18 이주성 부동산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433867B1 (ko) * 2021-07-13 2022-08-18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가상적산을 이용한 철골 구조물 물량 산정 방법
KR102633969B1 (ko) 2023-06-27 2024-02-07 주식회사 두올테크 2d도면기반 물량 및 산출근거의 시각화 및 관리 시스템
KR102633970B1 (ko) 2023-06-27 2024-02-07 주식회사 두올테크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물량산출 및 근거확인 시각화및 관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UDREPORT no . 26 (2011.07. housing &siteplanningarchitectureurbandesign)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762B1 (ko) * 2014-09-02 2016-02-05 윤명철 건축설계 단계에서 bim을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자동 물량산출 연산 방법 및 정보 분류 시스템
KR20160080388A (ko) 2014-12-29 2016-07-08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KR101636203B1 (ko) 2015-04-15 2016-07-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Bim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분석 수행 방법
KR20160145227A (ko) 2015-06-09 2016-12-20 (주) 웹스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합성목재
KR102514545B1 (ko) * 2016-04-08 2023-03-27 (주) 아키드로우 부동산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70115730A (ko) * 2016-04-08 2017-10-18 이주성 부동산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10098928A (ko) * 2016-04-08 2021-08-11 (주) 아키드로우 부동산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10102155A (ko) * 2016-04-08 2021-08-19 (주) 아키드로우 부동산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294418B1 (ko) * 2016-04-08 2021-08-26 (주) 아키드로우 부동산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514546B1 (ko) 2016-04-08 2023-03-27 (주) 아키드로우 부동산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9009538A1 (ko) * 2017-07-07 2019-01-10 주식회사 코바엔지니어링 3d 모델링 미작성 객체에 대한 물량 산출 방법
KR101778231B1 (ko) 2017-07-07 2017-09-26 주식회사 코바엔지니어링 3d 모델링 미작성 객체에 대한 물량 산출 방법
KR102433867B1 (ko) * 2021-07-13 2022-08-18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가상적산을 이용한 철골 구조물 물량 산정 방법
WO2023287126A1 (ko) * 2021-07-13 2023-01-19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가상적산을 이용한 철골 구조물 물량 산정 방법
KR102633969B1 (ko) 2023-06-27 2024-02-07 주식회사 두올테크 2d도면기반 물량 및 산출근거의 시각화 및 관리 시스템
KR102633970B1 (ko) 2023-06-27 2024-02-07 주식회사 두올테크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물량산출 및 근거확인 시각화및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055B1 (ko) Bim을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
KR101335109B1 (ko) Bim을 이용한 골조 공사의 개산견적 연산 방법
Vitiello et al. BIM-based approach for the cost-optimization of seismic retrofit strategies on existing buildings
Teng et al. Systematic embodied carbon assessment and reduction of prefabricated high-rise public residential buildings in Hong Kong
Wang et al. Apply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o integrate schedule and cost for establishing construction progress curves
Hyun et al. Automated optimization of formwork design through spatial analysis i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KR101592762B1 (ko) 건축설계 단계에서 bim을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자동 물량산출 연산 방법 및 정보 분류 시스템
Kermanshachi et al. Feasibility analysis of post disaster reconstruction alternatives using automated BIM-based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tool
KR101692586B1 (ko) Bim을 이용한 건축 개산견적을 위한 단위단가 정보 연산 및 분류 방법
Nguyen et al. Simulating construction duration for multistory buildings with controlling activities
KR101755901B1 (ko) 건설생산계획 산출을 위한 bim 연동 생산성 시뮬레이션 방법
KR20090128634A (ko) Cbr기반 공공아파트 설계단계 건축공사비 예측 모델
Khaleel et al. Automation of cost control process in construction project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Whang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for project value: Quantity take-off of building frame approach
Cuellar Lobo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BIM‐) Based Generative Design for Drywall Installation Planning in Prefabricated Construction
Khosakitchalert et al. BIM-based wall framing calculation algorithms for detailed quantity takeoff
Akbar et al. Comparison Between the BOQ of Conventional and BIM Method on BPJS Building in Central Jakarta
Park BIM-based simulator for rebar placement
KR101835551B1 (ko) 3d bim 기반의 건축물 수선교체비 산정 시스템 및 산정방법
CN111985038A (zh) 一种待装修空间的工程量计算方法及装置
Lee et al.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module for formwork layout using the BIM
Eroğlu Evaluation of the reliability of BIM-based quantity take-off processes in construction projects
Wu et al. Automatic generation of the vertical transportation demands during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s using BIM
Rahmani et al. Comparison of estimatio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orking costs based on the concept of Computer-Aided design (CAD)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KR102545143B1 (ko) Bim기반의 모듈러 건축물 제조비 실시간 시뮬레이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